KR101380715B1 - 가공식품, 가공식품 제조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가공식품, 가공식품 제조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80715B1
KR101380715B1 KR1020130115855A KR20130115855A KR101380715B1 KR 101380715 B1 KR101380715 B1 KR 101380715B1 KR 1020130115855 A KR1020130115855 A KR 1020130115855A KR 20130115855 A KR20130115855 A KR 20130115855A KR 101380715 B1 KR101380715 B1 KR 10138071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cessed food
molding
raw material
hole
food ra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158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남규
Original Assignee
이남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남규 filed Critical 이남규
Priority to KR10201301158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8071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807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8071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2BUTCHERING; MEAT TREATMENT; PROCESSING POULTRY OR FISH
    • A22CPROCESSING MEAT, POULTRY, OR FISH
    • A22C7/00Apparatus for pounding, forming, or pressing meat, sausage-meat, or meat products
    • A22C7/0092Apparatus for pounding, forming, or pressing meat, sausage-meat, or meat products with worms or other rotary mounted memb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3/00Implements for preparing or holding food,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47J43/04Machines for domestic use not covered elsewhere, e.g. for grinding, mixing, stirring, kneading, emulsifying, whipping or beating foodstuffs, e.g. power-driven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3/00Implements for preparing or holding food,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47J43/20Shapes for preparing foodstuffs, e.g. meat-patty moulding devices, pudding moul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Formation And Processing Of Food Produc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육류를 이용하여 도넛 형태의 가공식품을 만드는 가공 식품 제조 장치에 관한 것으로, 슬라이드 홈이 관통되어 있고, 상기 슬라이드 홈과 연결된 유입 통로가 형성된 바디, 상기 유입 통로와 연결되어 있으며 원판이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성형 홀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슬라이드 홈에 직선 이동 가능하게 배치된 성형부, 상기 유입 통로와 연결되어 있고, 가공식품 원료를 상기 성형 홀에 채워 넣는 공급부, 그리고 상기 바디와 이웃하게 배치되어 있고, 상기 성형부가 상기 바디 외부로 이동하면 상기 성형 홀에 채워진 상기 가공식품 원료를 이탈 시키는 추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원판의 직경은 상기 성형 홀의 직경보다 작다.

Description

가공식품, 가공식품 제조 장치 및 그 제조 방법{processed food, apparatus for manufacturing processed food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processed food}
본 발명은 육류와 같은 식품 원료를 이용하여 도넛 형태로 가공식품을 만드는 식품 제조 장치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돈육을 이용하는 만드는 가공식품은 햄, 돈가스 따위가 있다. 돈가스는 돈육 중의 등심이나 전지 및 후지를 소정 크기로 절단하여 부드럽게 연육한 후 밀가루반죽, 빵가루 및 양념류를 입힌 후 기름에 튀겨 먹을 수 있도록 된 것으로서, 근래 들어 외식산업의 발달과 더불어 그 소비량이 점차 증가되고 있다.
이러한 돈가스는 돈육을 소정 크기로 절단해낸 후 이를 연육용 망치로 두드려 형성하거나, 분쇄한 돈육을 기설정된 형상으로 형성하여 만들게 된다.
이와 같은 돈가스는 작업자가 직접 수작업을 하게 되면서 대량 생산이 어려웠다. 또한, 통상적인 형상을 벗어나지 못하였다.
공개특허공보 제10??2002??0086136호 (2022.11.18) 공개특허공보 제10??2012??0028617호 (2012.03.23)
본 발명은 식품 제조 장치를 이용하여 외관이 독특한 가공식품을 성형하고, 대량 생산을 할 수 있는 기술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가공식품 제조 장치는 육류를 이용하여 도넛 형태의 가공식품을 제조하는 것으로, 슬라이드 홈이 관통되어 있고, 상기 슬라이드 홈과 연결된 유입 통로가 형성된 바디, 상기 유입 통로와 연결되어 있으며 원판이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성형 홀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슬라이드 홈에 직선 이동 가능하게 배치된 성형부, 상기 유입 통로와 연결되어 있고, 가공식품 원료를 상기 성형 홀에 채워 넣는 공급부, 그리고 상기 바디와 이웃하게 배치되어 있고, 상기 성형부가 상기 바디 외부로 이동하면 상기 성형 홀에 채워진 상기 가공식품 원료를 이탈 시키는 추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원판의 직경은 상기 성형 홀의 직경보다 작다.
상기 바디의 내부 바닥면에는 상기 성형 홀과 연결된 복수의 배기 홀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가공식품 원료가 상기 성형 홀에 채워질 때 상기 가공식품 원료의 공급되는 압력에 의해 상기 성형 홀의 공기가 상기 배기 홀을 통하여 상기 바디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상기 슬라이드 홈의 내부면은 황동 또는 스테인리스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성형부는, 상기 원판이 배치된 상기 성형 홀이 형성되어 있는 슬라이드 패널, 상기 원판이 상기 성형 홀 중앙에 위치하도록 상기 원판과 상기 슬라이드 패널을 연결하는 적어도 하나의 연결바, 그리고 상기 슬라이드 패널을 직선 이동 시키는 액추에이터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연결바는 상기 슬라이드 패널 상면과 상기 원판의 상면을 연결하며, 상기 연결바와 접하는 상기 바디의 내부에는 상기 연결바를 가이드 하는 가이드 홈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성형부는 상기 슬라이드 패널이 상기 바디에서 외부로 이동하면 상기 슬라이드 패널의 이동된 부분을 지지하는 가이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공급부는 가공식품 원료가 보관될 수 있고 상기 유입 통로와 연결된 공급 통로를 가지는 호퍼, 상기 호퍼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어 있고, 상기 가공식품 원료를 상기 공급 통로 간헐적으로 유입 시키는 스크류, 그리고 상기 공급 통로에 승강 가능하게 배치되어 있고 상기 공급 통로로 유입된 상기 가공식품 원료를 상기 성형 홀에 채워 넣는 충진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공급 통로의 폭은 상기 유입 통로의 폭 보다 좁거나 동일하며, 상기 가공식품 원료는 상기 충진부에 의해 가압될 때 상기 공급 통로에서 상기 유입 통로를 통하여 퍼지면서 상기 성형 홀에 채워지고, 채워진 상기 가공식품 원료는 상기 슬라이드 홈의 바닥면이 지지할 수 있다.
상기 추출부는 상기 성형 홀과 대응되는 형태로 형성되어 있는 추출바디 및 상기 추출바디를 승강 시키는 액추에이터를 포함하고, 상기 추출바디의 저면은 상기 성형 홀에 채워진 가공식품 원료에 접할 수 있고, 상기 저면은 상기 가공식품 원료와 접촉 면적을 최소화 하기 위하여 함몰 홈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추출바디는 하강 시 상기 성형 홀에 삽입되면서 저면이 상기 가공식품 원료에 접하고, 상기 추출바디에는 하강 시 상기 원판 및 상기 연결바가 삽입되는 원판 홈 및 바 홈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가공식품 제조 장치는 추출부 하부에 위치하고, 상기 성형 홀에서 이탈된 성형물을 다음 공정으로 이동시키는 이송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가공식품 제조 방법은 육류를 이용하여 도넛 형태의 가공식품을 만드는 것으로, 가공식품 원료를 호퍼에 수용하는 단계, 상기 호퍼에 수용된 상기 가공식품 원료를 배출하는 단계, 배출된 상기 가공식품 원료를 슬라이드 패널의 성형 홀 방향으로 가압하고, 상기 가공식품 원료를 상기 성형 홀에 채워 넣어 가공식품을 성형하는 단계, 상기 성형 홀에 형성된 성형물을 가압하여 상기 성형 홀에서 이탈시키는 단계, 그리고 상기 성형 홀에서 이탈된 상기 성형물을 다음 공정으로 이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상기 가공식품 제조 방법은 상기 이송하는 단계를 통해 이송된 상기 성형물의 표면에 고물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고물이 형성된 상기 성형물을 급속 냉동시키는 단계, 그리고 급속 냉각시킨 상기 성형 식품을 포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고물을 형성하는 단계에서, 상기 고물은 개란, 입자 형태의 곡물 가루, 고형물 형태의 곡물 가루, 허브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 중에 선택된 어느 하나일 수 있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가공식품은 육류를 원료로 하여 만들어지고, 기설정된 모양을 가지며, 가운데 부분에 상하 관통된 홀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가공식품 원료가 공급부에서 성형부로 유입되고, 성형부에서 성형된 성형물이 추출부의 가압으로 성형부에서 이탈하게 된다. 이탈된 성형물은 다음 공정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에 따라 가공식품을 신속하고 대량으로 생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공급부에서 성형부로 유입된 가공식품 원료가 성형부의 성형 홀 모양으로 형성된다. 성형 홀에 배치된 원판에 의해 성형 홀에서 이탈하는 성형물은 도넛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도넛 형상에 의해 가공식품의 외관은 독특하고 미려해질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가공식품 제조 장치 개략도.
도 2는 도 1에 도시한 바디 및 성형부를 나타낸 평면도.
도 3은 도 1에 도시한 주요 부분을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도 3에 도시한 형성부와 추출부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가공식품 제조 공정을 나타낸 블록도.
도 6은 가공식품 원료가 성형부에 공급되는 상태를 나타낸 공정도.
도 7은 성형부에서 성형된 가공식품을 이탈하는 상태를 나타낸 공정도.
도 8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가공식품을 나타낸 사시도.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그러면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가공식품 제조 장치에 대하여 도 1 내지 도 4를 참고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가공식품 제조 장치 개략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한 바디 및 성형부를 나타낸 평면도이며, 도 3은 도 1에 도시한 주요 부분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에 도시한 형성부와 추출부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고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가공식품 제조 장치(100)는 다진 육류 따위로 이루어진 가공식품 원료를 도넛 형상으로 만드는 것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가공식품 제조 장치(100)는 크게 상형부(1)와 하형부(2)로 이루어져 있다. 상형부(1)와 하형부(2)는 가공식품 제조 장치(100)의 골조 기능을 한다. 상형부(1)와 하형부(2)는 가이드(도시하지 않음)로 연결되어 있다. 상형부(1)는 가이드를 따라 승강할 수 있다.
상형부(1)와 하형부(2)이루어진 가공식품 제조 장치(100)는 바디(10), 성형부(20), 공급부(30), 추출부(40)를 포함한다.
여기서, 바디(10) 및 성형부(20)는 하형부(2)에 배치되어 있고, 공급부(30) 및 추출부(40)는 상형부(1)에 배치되어 있다.
바디(10)는 하형부(2)의 상면에 분리 가능하게 배치되어 있다. 여기서, 바디(10)의 저면과 하형부(2) 사이에는 공간(2a)이 형성되어 있다. 바디(10)는 기설정된 폭과 넓이를 갖는다. 바디(10)의 내부에는 폭 방향(도 2의 "A" 방향)을 따라 슬라이드 홈(12)이 형성되어 있다. 슬라이드 홈(12)은 바디(10)의 내부를 관통한다.
바디(10)에는 슬라이드 홈(12)과 연결된 유입 통로(11)가 형성되어 있다. 유입 통로(11)는 바디(10)의 상부측 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다. 유입 통로(11)는 바디(10)의 길이 방향(도 2의 "B" 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있다.
바디(10)의 슬라이드 홈(12) 바닥면에는 복수의 배기 홀(13)이 형성되어 있다. 배기 홀(13)은 미세하게 형성되어 있다. 배기 홀(13)은 슬라이드 홈(12)을 공간(2a)과 연결한다. 여기서, 배기 홀(13)이 형성된 슬라이드 홈(12)의 바닥면은 상부측과 분리될 수 있다.
한편, 슬라이드 홈(12)의 내부면은 부식이 발생하지 않는 스테인리스, 황동, 티타늄 따위로 만들어질 수 있다. 그러나 슬라이드 홈(12)의 내부면은 강화섬유 따위로 만들어질 수 있다.
성형부(20)는 가공식품 원료를 기설정된 형상으로 형성한다. 성형부(20)는 바디(10)에 결합되어 있다.
성형부(20)는 슬라이드 패널(21), 원판(22), 연결바(23), 그리고 액추에이터(24)를 포함한다.
슬라이드 패널(21)은 기설정된 길이와 폭을 갖는다. 슬라이드 패널(21)의 폭은 바디(10)의 폭 보다 넓다. 이러한 슬라이드 패널(21)는 슬라이드 홈(12)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어 있다. 슬라이드 패널(21)의 폭이 바디(10) 폭 보다 크므로 슬라이드 패널(21)의 일부분은 슬라이드 홈(12)에 위치하고 다른 부분은 바디(10) 외부로 노출되어 있다.
슬라이드 패널(21)에는 성형 홀(221)이 상하 관통되어 있다. 이때 성형 홀(221)은 슬라이드 패널(21)의 전방(도 2의 "C" 방향) 부분에 형성되어 있다. 성형 홀(221)은 슬라이드 패널(21)의 폭 방향을 따라 간격을 두고 형성되어 있다.
이때 성형 홀(221)은 슬라이드 패널(21)의 직선 이동에 따라 유입 통로(11)와 연결되거나, 유입 통로(11)로부터 벗어날 수 있다.
원판(22)는 성형 홀(221)의 중앙에 위치한다. 원판(22)은 성형 홀(221)과 대응되게 형성되어 있다. 원판(22)의 외부 둘레면과 성형 홀(221)의 내부 둘레면은 서로 마주한다. 원판(22)이 성형 홀(221)의 중앙에 배치되면서 성형 홀(221)은 도넛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도 2 내지 도 3에서 성형 홀(221)과 원판(22)을 원형으로 형성하였으나, 성형 홀(221)과 원판(22)은 사각, 오각과 같은 다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성형 홀(221)과 원판(22)는 별, 다이어몬드, 타원 따위와 같은 다양한 모양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연결바(23)는 성형 홀(221) 중앙에 위치한 원판(22)을 슬라이드 패널(21)에 연결한다. 연결바(23)는 슬라이드 패널(21)의 폭 방향을 따라 배치되어 있다. 연결바(23)는 원판(22)의 상면과 슬라이드 패널(21)의 상면을 서로 연결한다. 이러한 연결바(23)는 각 성형 홀(221) 마다 배치되어 있다. 연결바(23)는 성형 홀(221) 및 원판(22)의 크기에 따라 그 개수가 달라질 수 있다.
한편, 연결바(23)가 슬라이드 패널(21)의 상면과 원판(22)의 상면을 연결하게 되면서 연결바(23)는 슬라이드 패널(21)의 상면으로부터 돌출된 형태로 형성된다. 연결바(23)가 슬라이드 패널(21)에서 돌출되어 있으므로 연결바(23)가 접하는 바디(10)의 내부에는 가이드 홈(14)이 형성된다. 연결바(23)가 가이드 홈(14)에 삽입되면서 연결바(23)는 슬라이드 패널(21)이 이동할 때 가이드 역할을 할 수 있다.
액추에이터(24)는 슬라이드 패널(21)의 후방(도 2의 "D" 방향)에 위치한다.
액추에이터(24)는 압축공기를 작동유체로 사용한다. 액추에이터(24)의 하우징은 하형부(2)에 연결되어 있고, 로드는 슬라이드 패널(21)에 연결되어 있다.
액추에이터(24)의 로드 작동 방향에 따라 슬라이드 패널(21) 전방으로 이동하거나 후방으로 이동하게 된다. 여기서, 액추에이터(24)의 로드가 후방으로 이동하면 성형 홀(221)과 유입 통로(11)는 서로 연결된다. 그러나 액추에이터(24)의 로드가 전방으로 이동하면 성형 홀(221)은 바디(10)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성형부(20)는 가이드(2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가이드(25)는 슬라이드 패널(21)이 전방으로 이동할 때 바디(10)에서 인출되는 슬라이드 패널(21)을 지지한다. 가이드(25)는 바디(10)의 전방에서 배치되어 있다. 여기서 가이드(25)는 하형부(2)에 결합되어 있다. 그러나 가이드(25)는 바디(10)에 결합될 수도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성형부(20)의 슬라이드 패널(21), 원판(22), 그리고 연결바(23)는 슬라이드 홈(12)의 내부면과 같은 재질로 만들어질 수 있다.
공급부(30)는 상형부(1) 내부에 배치되어 있다. 공급부(30)는 가공식품 원료를 성형부(20)에 공급한다. 공급부(30)는 호퍼(31), 스크류(32), 그리고 충진부(33)를 포함한다.
호퍼(31)는 상부측이 개방되어 있다. 호퍼(31)는 상부측에 하부측으로 갈수록 단면적이 작아진다. 이와 같은 호퍼(31) 내부로 가공식품 원료가 투입되어 보관된다. 여기서 가공식품 원료는 제조하는 가공식품에 따라 그 원료가 달라질 수 있다. 가공식품이 돈가스 일 경우 가공식품 원료는 육류가 될 수 있다. 또한 가공식품의 종류에 따라 가공식품 원료는 반죽된 곡물일 수도 있다.
이러한 호퍼(31)의 저면 일부분은 바디(10)와 마주한다. 바디(10)와 마주하는 호퍼(31) 저면 부분에는 호퍼(31) 내부 공간과 연결된 공급 통로(311)가 형성되어 있다. 공급 통로(311)는 유입 통로(11)와 연결되어 있다.
한편, 상형부(1)가 하강하여 하형부(2)에 접해 있을 때 공급 통로(311)와 유입 통로(11)가 연결된다. 그러나 상형부(1)가 하형부(2)로부터 분리되어 있으면 공급 통로(311)와 유입 통로(11)는 떨어진다.
한편, 호퍼(31) 내부에는 가공식품 원료를 섞어주는 교반기(도시하지 않음)가 설치될 수 있다. 교반기의 구성은 공지의 교반기와 동일하므로 이하 교반기의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스크류(32)는 호퍼(31)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어 있다. 이때 스크류(32)의 일측은 공급 통로(311) 부분에 위치하고 타측은 구동모터(도시하지 않음)와 동력 연결되어 있다. 이러한 스크류(32)는 호퍼(31)의 폭 방향을 따라 간격을 두고 배열되어 있다. 배열된 모든 스크류(32)는 하나의 구동모터에 동력 연결되어 있다. 이에 따라 스크류(32)들은 동시에 회전한다. 스크류(32)는 호퍼(31) 내에서 연속 회전되지 않고 간헐적으로 회전된다. 이에 따라 호퍼(31) 내부로 투입된 가공식품 원료는 스크류(32)에 의해 공급 통로(311)로 간헐적으로 유입된다.
충진부(33)는 블록 형태로 형성되어 있다. 충진부(33)는 공급 통로(311)에 승강 가능하게 배치되어 있다. 충진부(33)가 최대로 상승하면 충진부(33)는 공급 통로(311) 상부측에 위치한다. 즉, 스크류(32)에 의해 공급 통로(311)로 유입된 가공식품 원료 상부측에 위치할 수 있다.
상승한 충진부(33)가 하강 하면 공급 통로(311)로 유입된 가공식품 원료를 유입 통로(11) 방향으로 가압한다. 충진부(33)에 의해 가압된 가공식품 원료는 유입 통로(11)를 통하여 성형 홀(221)에 채워진다. 이때 가공식품 원료는 퍼지면서 성형 홀(221) 내부에 채워지게 된다. 충진부(33)의 가압력에 의해 가공식품이 성형 홀(221) 내부에서 퍼지게 되면서 가공식품 원료는 성형 홀(221) 내부에 전체적으로 채워질 수 있다.
한편, 충진부(33)는 압축공기를 작동유체로 사용하는 액추에이터(331)의 로드와 연결되어 있다. 액추에이터(331)의 작동에 따라 충진부(33)가 승강하게 된다. 액추에이터(331)는 공급 통로(311)에 위치하지 않고, 공급 통로(311) 외부에 배치되어 있다. 이는 액추에이터(331)에서 발생할 수 이물질이 공급 통로(311)로 유입된 가공식품 원료에 혼합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한편, 도 1에서 공급 통로(311)와 유입 통로(11)의 폭이 동일한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공급 통로(311)의 폭이 유입 통로(11)의 폭 보다 좁게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공급 통로(311)에 위치한 가공식품 원료가 충진부(33)의 가압력에 의해 유입 통로(11)로 유입될 때, 공급 통로(311)와 공급 통로(311)의 폭 차이에 의해 가공식품 원료는 분산되면서 성형 홀(221)에 채워질 수 있다. 즉, 가공식품 원료의 퍼짐성이 향상되어 가공식품 원료가 성형 홀(221)에 빈틈 없이 꽉 채워질 수 있다.
추출부(40)는 상형부(1)에 배치되어 있으며, 성형부(20)의 전방 상부측에 위치한다. 이에 따라 추출부(40)는 슬라이드 패널(21)이 바디(10)에서 전방으로 이동하면 성형 홀(221)과 마주한다. 추출부(40)는 성형 홀(221)에 채워진 가공식품 원료(이하, 성형물)를 성형 홀(221)에서 이탈시킨다. 추출부(40)는 추출 바디(41) 및 액추에이터(43)를 포함한다.
추출 바디(41)는 성형 홀(221)과 대응되는 개수로 형성되어 있다. 이에 따라 추출 바디(41) 또한 길이 방향을 따라 배열되어 있다. 추출 바디(41)가 복수로 형성되므로 이들의 상부측은 브래킷(42)으로 연결되어 있다.
이러한 추출 바디(41)는 승강 가능하다. 추출 바디(41)는 성형 홀(221)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추출 바디(41)는 성형 홀(221)로 삽입된다. 이때 성형 홀(221)에 위치한 원판(22)과 연결바(23)가 간접 되지 않도록 추출 바디(41)에는 원판 홈(411)과 바 홈(412)이 형성되어 있다. 원판 홈(411)과 바 홈(412)은 추출 바디(41)의 상하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있다. 추출 바디(41)가 하강하여 성형 홀(221)에 삽입되면 원판(22)은 원판 홈(411)에 삽입되고, 연결바(23)는 바 홈(412)에 삽입된다. 이에 따라 추출 바디(41)가 하강하여도 추출 바디(41)는 원판(22) 및 연결바(23)와 간섭되지 않는다.
이와 같은 추출 바디(41)의 저면은 성형 홀(221)에 채워진 성형물에 접할 수 있다. 이때 추출 바디(41)의 저면이 성형물에 전체적으로 접하게 되면, 성형물에 함유된 수분에 의해 추출 바디(41) 저면에 부착될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추출 바디(41)와 성형물간의 접촉 면적으로 최소화하기 위하여, 추출 바디(41)의 저면에 함몰 홈(413)이 형성되어 있다. 함몰 홈(413)의 외곽 부분이 성형물에 접하게 되면서 성형물과 추출 바디(41)의 접촉 면적이 최소화 될 수 있다. 추출 바디(41)의 내부면에 성형물과 접하지 않게 되므로, 성형물과 추출 바디(41)는 손쉽게 분리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추출 바디(41)의 저면 외곽 부분이 성형물에 접한 상태에서 추출 바디(41)가 지속적으로 하강하면 성형 홀(221) 내부에 채워진 성형물은 압력을 받게 된다. 압력을 받은 성형물은 성형 홀(221)에서 이탈하게 된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가공식품 제조 장치(100)는 이송부(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송부(50)는 컨베이어 구조로 형성되어 있다. 이송부(50)는 바디(10)에서 인출된 슬라이드 패널(21)를 사이에 두고 추출부(40)와 마주한다. 이에 따라 추출부(40)에 의해 성형 홀(221)에서 이탈된 가공식품이 이송부(50)로 떨어질 수 있다.
이송부(50)는 이탈된 가공식품을 이후 진행되는 공정으로 이동시킨다. 이후 진행되는 공정은 가공식품에 빵가루 따위를 묻히는 고정 및 포장 고정 따위가 진행될 수 있다.
다음은 도 1 내지 도 4를 참고하여 설명한 가공식품 제조 장치를 이용하여 가공식품을 제조하는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5 내지 도 7을 참고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가공식품 제조 방법은 가공식품 원료 투입 단계(S10), 가공식품 원료 배출 단계(S20), 가공식품 원료 성형 단계(S30), 성형물 이탈 단계(S40), 그리고 성형물 이송 단계(S50)를 포함한다.
도 6의 a)를 참고하면, 가공식품 원료 투입 단계는 가공하고자 하는 가공 식품의 원료를 호퍼(31)에 투입한다. 이때 투입되는 가공 식품 원료는 분쇄된 상태로 투입된다.
그리고 상형부(1)가 하강하여 하형부(2)에 접한 상태를 유지한다. 이때 슬라이드 패널(21)는 후방으로 이동되어 있다. 이에 따라 성형 홀(221), 유입 통로(11) 및 공급 통로(311)가 서로 연결된 상태가 된다. 그리고 충진부(33)는 최상위로 상승된 상태를 유지한다. 추출 바디(41) 또한 상승되어 있다.
도 6의 b)를 참고하면, 가공식품 원료 배출 단계는 스크류(32)를 회전시킨다. 이때 스크류(32)는 연속적으로 회전하지 않고, 간헐적으로 회전한다. 예컨대, 스크류(32)는 1 피치(P) 회전할 수 있다. 스크류(32)의 회전은 성형 홀(221)의 넓이 및 성형 홀(221)의 깊이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스크류(32)가 1피치 회전하므로, 1피치 내에 위치한 가공식품 원료는 공급 통로(311)로 유입될 수 있다.
도 6의 c)를 참고하면, 가공식품 원료 성형 단계는 가공식품 원료가 공급 통로(311)에 유입되면 충진부(33)를 하강시킨다. 하강하는 충진부(33)는 공급 통로(311)로 유입된 가공식품 원료에 압력을 가하여 성형 홀(221) 방향으로 가압한다.
가압된 가공식품 원료는 충진부(33)에서 가하는 압력에 의해 유입 통로(11)를 통하여 성형 홀(221)에 채워진다. 이때 가공식품 원료는 퍼지면서 성형 홀(221)에 채워지게 된다. 가공식품 원료가 퍼지게 되므로 성형 홀(221) 내에서 빈틈 없이 가공식품 원료가 채워질 수 있다.
그리고 성형 홀(221)과 연결된 슬라이드 홈(12)의 바닥면에 배기 홀(13, 도 1 참조)이 형성되어 가공식품 원료가 성형 홀(221)에 채워질 때 성형 홀(221) 내에 위치한 공기는 배기 홀(13, 도 1 참조)을 통하여 공간(2a)으로 배기된다. 성형 홀(221)의 공기가 배기됨으로써 가공식품 원료는 성형 홀(221)에 빈틈 없이 채워지며, 성형물에 기공이 형성되지 않는다.
도 6의 d)을 먼저 참고하면, 성형물 이탈 단계는 먼저, 슬라이드 패널(21)을 전방으로 이동시켜 성형물이 채워진 성형 홀(221)이 바디(10) 외부로 노출되도록 한다. 바디(10)에서 전방으로 노출된 슬라이드 패널(21)는 가이드(25)에 지지되어 있다. 이때 성형 홀(221)는 추출 바디(41) 하부에 위치한다. 그리고 슬라이드 패널(21)이 전방으로 이동하는 동시에 충진부(33)는 상승한다.
도 6의 e)를 참고하면, 슬라이드 패널(21)이 전방으로 이동하고, 충진부(33)가 상승하면 추출 바디(41)는 하강한다. 이때 추출 바디(41)의 저면 테두리 부분이 성형 홀(221)에 채워진 성형물을 가압한다. 여기서 함몰 홈(413)에 의해 성형물과 추출 바디(41)의 접촉 면적이 최소화 된다. 추출 바디(41)의 가압력에 의해 성형 홀(221)에 채워진 성형물은 빠지게 된다. 빠진 성형물은 추출 바디(41)와 마주하는 이송부(50)로 떨어져 다음 공정으로 이동할 수 있다.
도 6의 f)를 참고하면, 성형물은 이송부(50)를 따라 이동하고, 추출 바디(41)는 상승한다. 그리고 전방으로 이동한 슬라이드 패널(21)은 후방으로 이동하여 성형 홀(221)이 유입 통로(11) 및 공급 통로(311)와 연결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다시 공급부가 작동하여 가공식품 원료를 성형 홀에 채워 넣게 된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성형된 가공식품은 성형 홀(221)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된다. 성형 홀(221)의 중앙에 원판(22)이 배치되므로, 가공식품 원료가 성형 홀(221)에 채워질 때 원판(22)과 성형 홀(221) 내부 둘레면 사이에 채워지게 된다.
이에 따라 도 8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외형은 성형 홀(221)의 형상을 형성하고, 가운데 부분이 상하 방향으로 관통된 도넛 형태의 가공식품(200)이 제조된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가공식품 제조 방법은 고물 도포 단계(S60), 냉동 단계(S70), 그리고 포장 단계(S80)를 더 포함한다.
고물 도포 단계(S60)는 성형물 이송 단계(S50)를 통해 이송된 성형물의 표면에 빵가루 따위를 묻힌다. 빵 가루는 고형물 형태의 곡물 가루 따위로 만들어질 수 있다. 이러한 고물은 성형물을 튀길 때 성형물을 보호 한다. 또한 고형물은 성형물의 맛을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고물 도포 단계에서 고물은 개란, 밀가루와 같은 입자 형태의 곡물 가루, 허브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 중에 선택된 어느 하나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고물은 성형물의 원료 및 취식자의 취향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냉동 단계(S70)는 고물이 묻은 성형물을 냉동시킨다. 이때 성형물의 신선도를 유지하기 위하여 급속 냉동시킨다.
이와 같은 고물 도포 단계(S60)와 냉동 단계(S70)는 하나의 컨베이어를 통하여 연속 이루어질 수 있다.
포장 단계(S80)는 급속 냉동된 성형물을 포장한다. 이때 성형물을 작업자가 직접 포장 작업을 하거나, 자동화 장치를 이용하여 포장할 수 있다.
따라서, 가공식품 원료가 공급부에서 성형부로 채워지고, 성형부에서 성형된 성형물이 추출부의 가압으로 성형부에서 이탈하게 된다. 이탈된 성형물은 다음 공정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에 따라 가공식품을 신속하고 대량으로 생산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다진 육류 따위를 이용하여 도넛 형상의 가공 식품을 만드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가공 식품의 원료는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으며, 형상 또한 성형 홀 및 원판의 형상에 따라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100: 가공식품 제조 장치
1: 상형부 2: 하형부
2a: 공간 10: 바디
11: 유입 통로 12: 슬라이드 홈
13: 배기 홀 14: 가이드 홈
20: 성형부 21: 슬라이드 패널
211: 성형 홀 22: 원판
23: 연결바 24: 액추에이터
25: 가이드 30: 공급부
31: 호퍼 311: 공급 통로
32: 스크류 33: 충진부
331: 액추에이터 40: 추출부
41: 추출 바디 411: 원판 홈
412: 바 홈 413: 함몰 홈
42: 브래킷 43: 액추에이터
50: 이송부

Claims (14)

  1. 육류를 이용하여 도넛 형태의 가공식품을 제조하는 것으로,
    슬라이드 홈이 관통되어 있고, 상기 슬라이드 홈과 연결된 유입 통로가 형성된 바디,
    상기 유입 통로와 연결되어 있으며 원판이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성형 홀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슬라이드 홈에 직선 이동 가능하게 배치된 성형부,
    상기 유입 통로와 연결되어 있고, 가공식품 원료를 상기 성형 홀에 채워 넣는 공급부, 그리고
    상기 바디와 이웃하게 배치되어 있고, 상기 성형부가 상기 바디 외부로 이동하면 상기 성형 홀에 채워진 상기 가공식품 원료를 이탈 시키는 추출부
    를 포함하고,
    상기 원판의 직경은 상기 성형 홀의 직경보다 작은
    가공식품 제조 장치.
  2. 제1항에서,
    상기 바디의 내부 바닥면에는 상기 성형 홀과 연결된 복수의 배기 홀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가공식품 원료가 상기 성형 홀에 채워질 때 상기 가공식품 원료의 공급되는 압력에 의해 상기 성형 홀의 공기가 상기 배기 홀을 통하여 상기 바디 외부로 배출되는 가공식품 제조 장치.
  3. 제1항에서,
    상기 슬라이드 홈의 내부면은 황동 또는 스테인리스로 형성된 가공식품 제조 장치.
  4. 제1항에서,
    상기 성형부는,
    상기 원판이 배치된 상기 성형 홀이 형성되어 있는 슬라이드 패널,
    상기 원판이 상기 성형 홀 중앙에 위치하도록 상기 원판과 상기 슬라이드 패널을 연결하는 적어도 하나의 연결바, 그리고
    상기 슬라이드 패널을 직선 이동 시키는 액추에이터
    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바는 상기 슬라이드 패널 상면과 상기 원판의 상면을 연결하며, 상기 연결바와 접하는 상기 바디의 내부에는 상기 연결바를 가이드 하는 가이드 홈이 형성되어 있는
    가공식품 제조 장치.
  5. 제4항에서,
    상기 성형부는
    상기 슬라이드 패널이 상기 바디에서 외부로 이동하면 상기 슬라이드 패널의 이동된 부분을 지지하는 가이드를 더 포함하는
    가공식품 제조 장치.
  6. 제1항에서,
    상기 공급부는
    가공식품 원료가 보관될 수 있고 상기 유입 통로와 연결된 공급 통로를 가지는 호퍼,
    상기 호퍼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어 있고, 상기 가공식품 원료를 상기 공급 통로 간헐적으로 유입 시키는 스크류, 그리고
    상기 공급 통로에 승강 가능하게 배치되어 있고 상기 공급 통로로 유입된 상기 가공식품 원료를 상기 성형 홀에 채워 넣는 충진부
    를 포함하는
    가공식품 제조 장치.
  7. 제6항에서,
    상기 공급 통로의 폭은 상기 유입 통로의 폭 보다 좁거나 동일하며,
    상기 가공식품 원료는 상기 충진부에 의해 가압될 때 상기 공급 통로에서 상기 유입 통로를 통하여 퍼지면서 상기 성형 홀에 채워지고, 채워진 상기 가공식품 원료는 상기 슬라이드 홈의 바닥면이 지지하는 가공식품 제조 장치.
  8. 제1항에서,
    상기 추출부는
    상기 성형 홀과 대응되는 형태로 형성되어 있는 추출바디 및
    상기 추출바디를 승강 시키는 액추에이터
    를 포함하고,
    상기 추출바디의 저면은 상기 성형 홀에 채워진 가공식품 원료에 접할 수 있고, 상기 저면은 상기 가공식품 원료와 접촉 면적을 최소화 하기 위하여 함몰 홈이 형성되어 있는
    가공식품 제조 장치.
  9. 제8항에서,
    상기 추출바디는 하강 시 상기 성형 홀에 삽입되면서 저면이 상기 가공식품 원료에 접하고, 상기 추출바디에는 하강 시 원판 및 연결바가 삽입되는 원판 홈 및 바 홈이 형성되어 있는 가공식품 제조 장치.
  10. 제1항에서,
    추출부 하부에 위치하고, 상기 성형 홀에서 이탈된 성형물을 다음 공정으로 이동시키는 이송부를 더 포함하는 가공식품 제조 장치.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KR1020130115855A 2013-09-30 2013-09-30 가공식품, 가공식품 제조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KR10138071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15855A KR101380715B1 (ko) 2013-09-30 2013-09-30 가공식품, 가공식품 제조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15855A KR101380715B1 (ko) 2013-09-30 2013-09-30 가공식품, 가공식품 제조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80715B1 true KR101380715B1 (ko) 2014-04-10

Family

ID=506563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15855A KR101380715B1 (ko) 2013-09-30 2013-09-30 가공식품, 가공식품 제조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80715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502620A (ja) * 1998-02-17 2002-01-29 ケリー・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揚げ物を成形する方法および装置
KR100454594B1 (ko) * 2002-07-22 2004-11-03 배흥규 라이스 커틀릿 및 그 제조방법
US7175417B2 (en) * 2004-03-26 2007-02-13 Formax, Inc. Apparatus for forming food patties having surface indentations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502620A (ja) * 1998-02-17 2002-01-29 ケリー・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揚げ物を成形する方法および装置
KR100454594B1 (ko) * 2002-07-22 2004-11-03 배흥규 라이스 커틀릿 및 그 제조방법
US7175417B2 (en) * 2004-03-26 2007-02-13 Formax, Inc. Apparatus for forming food patties having surface indentation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419758B2 (ja) 三次元食品成形装置およびプロセス
RU2573792C2 (ru) Устройство распределения массы и формовочное устройство
EP2877030B1 (en) A method and system for moulding food patties
US20100031791A1 (en) Portioning of food stuff
JPH0568525A (ja) 立体成型食品の製造法
CN108477276B (zh) 一种贡丸生产设备和制备贡丸的工艺方法
CN100493875C (zh) 成型瓷砖或板的方法和设备
EP0273761B1 (en) An apparatus for supplying a uniform amount of loose food material
US3565297A (en) Process and apparatus for feeding foodstuffs
KR101380715B1 (ko) 가공식품, 가공식품 제조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KR20210119825A (ko) 육류를 이용한 가공식품 제조방법 및 제조장치
JP2003507201A (ja) 計量切断装置
KR20160122366A (ko) 텔레스코픽 식품 성형 장치
KR101799279B1 (ko) 식용피 제조 장치
KR20220026929A (ko) 가공식품 제조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US5223297A (en) Method for forming shaped edible products
US5181456A (en) Apparatus for forming binderless edible products
CN104687223B (zh) 食品热压成型装置以及食品热压成型工艺
AU2004231657B2 (en) Pancake die
KR101853595B1 (ko) 도넛 반죽 성형기
KR101444796B1 (ko) 냉떡국 제조장치
KR102670371B1 (ko) 누룽지 제조장치
CN112790207B (zh) 一种包馅食品成型方法
US3230579A (en) Fish steak producing machine
CN115884681B (zh) 含有粒状物的组合食品的成形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24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