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80129B1 - 케이블 어셈블리 - Google Patents

케이블 어셈블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80129B1
KR101380129B1 KR1020120135214A KR20120135214A KR101380129B1 KR 101380129 B1 KR101380129 B1 KR 101380129B1 KR 1020120135214 A KR1020120135214 A KR 1020120135214A KR 20120135214 A KR20120135214 A KR 20120135214A KR 101380129 B1 KR101380129 B1 KR 10138012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upling
coupling part
cable
cover
hand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352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충식
Original Assignee
대동도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동도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동도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1352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8012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801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8012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79/00Mounting or connecting vehicle locks or parts thereof
    • E05B79/02Mounting of vehicle locks or parts thereof

Landscapes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케이블 어셈블리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핸들과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결합부커버; 상기 결합부커버 내측에 배치되는 결합부; 및 상기 결합부와 연결되며, 래치 어셈블리와 연결되어 상기 핸들의 작동력을 상기 래치 어셈블리로 전달하는 케이블;을 포함하되, 상기 결합부는, 상기 결합부커버에 삽입 체결되는 결합부헤드; 및 상기 결합부헤드로부터 연장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케이블과 연결되는 연결부;를 구비하며, 상기 결합부헤드는, 상기 연결부의 길이방향과 직교하도록 배치되며, 원주상의 두 점을 잇는 일측의 현을 중심으로 원기둥의 일부가 잘려나난 부분 원기둥의 형태로 형성되는 원형부; 및 상기 원형부 일측으로부터 돌출 형성되되, 상기 현을 한 변으로 하는 사각형의 단면을 가지고 사각 기둥 형태로 형성되는 돌출부;를 구비하는 케이블 어셈블리가 제공될 수 있다.

Description

케이블 어셈블리{Cable assembly}
본 발명은 어셈블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케이블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의 도어, 테일 게이트 등에는 래치 어셈블리가 설치되어 도어를 구속하거나 해제할 수 있다. 이러한 래치 어셈블리는 작동을 하기 위하여 구동력을 제공하는 다양한 장치와 케이블 어셈블리를 통하여 연결될 수 있다. 이때, 케이블 어셈블리는 구동력을 제공하는 핸들, 엑추에이터 등과 연결되어 핸들, 엑추에이터 등으로부터 발생하는 구동력을 래치 어셈블리로 제공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케이블 어셈블리는 내부에 설치되는 케이블과, 케이블 일단에 형성되는 결합부를 구비하고, 케이블의 외면을 감싸도록 설치되는 피복부를 구비할 수 있다. 이때, 케이블은 어느 정도의 강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금속 재질로 형성되며, 여러 가닥의 실 모양 금속 파이버가 서로 꼬아진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결합부의 경우 케이블과 유사한 재질로 형성되어 핸들, 엑추에이터 등과 연결될 수 있다. 특히 결합부는 다이 캐스팅(Die Casting) 방법에 의하여 형성되며 케이블과 일체로 형성되는 경우가 일반적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경우 차량의 핸들의 작동에 따라 금속 재질의 결합부가 핸들과 접촉하여 마찰음이 발생하거나 작동성이 떨어지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작동이 원활하고 마찰음을 저감시킬 수 있는 케이블 어셈블리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핸들과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결합부커버; 상기 결합부커버 내측에 배치되는 결합부; 및 상기 결합부와 연결되며, 래치 어셈블리와 연결되어 상기 핸들의 작동력을 상기 래치 어셈블리로 전달하는 케이블;을 포함하되, 상기 결합부는, 상기 결합부커버에 삽입 체결되는 결합부헤드; 및 상기 결합부헤드로부터 연장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케이블과 연결되는 연결부;를 구비하며, 상기 결합부헤드는, 상기 연결부의 길이방향과 직교하도록 배치되며, 원주상의 두 점을 잇는 일측의 현을 중심으로 원기둥의 일부가 잘려나난 부분 원기둥의 형태로 형성되는 원형부; 및 상기 원형부 일측으로부터 돌출 형성되되, 상기 현을 한 변으로 하는 사각형의 단면을 가지고 사각 기둥 형태로 형성되는 돌출부;를 구비하는 케이블 어셈블리가 제공될 수 있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핸들에 결합하는 결합부커버와 결합부커버 내측에 배치되는 결합부를 구비함으로써 핸들의 작동에 따라 마찰이 저감된 형태에서 작동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핸들의 작동 시 마찰이 거의 발생하지 않으므로 마찰로 인한 마찰음을 저감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어셈블리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결합부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결합부 커버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케이블 어셈블리를 보여주는 분해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케이블 어셈블리와 핸들의 결합관계를 보여주는 부분사시도이다.
본 발명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구성요소들은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어셈블리(100)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1을 참고하면, 케이블 어셈블리(100)는 핸들(미도시)에 설치되는 결합부커버(11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결합부커버(110)는 핸들(H)의 일부가 삽입되거나 일부에 삽입되어 설치될 수 있다. 또한, 결합부커버(110)는 상기 핸들에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케이블 어셈블리(100)는 결합부커버(110)에 삽입되는 결합부(12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결합부(120)는 결합부커버(110)에 일부가 완전히 삽입되어 결합할 수 있다. 결합부(120)와 결합부커버(110)는 서로 상이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결합부(120)는 금속 재질로 형성될 수 있으며, 결합부커버(110)는 합성수지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케이블 어셈블리(100)는 결합부(120)에 연결되도록 형성되며, 래치 어셈블리(미도시)와 연결되어 상기 래치 어셈블리를 작동시키는 케이블(130)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케이블(130)은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금속 와이어 등과 유사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한편, 케이블 어셈블리(100)는 케이블(130)이 내부에 삽입되는 피복부(14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피복부(140)는 고무 재질 등과 같은 탄성 재질로 형성되어 케이블(130)의 운동 시 인장되거나 압축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결합부(120) 및 결합부커버(110)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결합부(120)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2를 참고하면, 결합부(120)는 결합부커버(110)에 삽입되는 결합부헤드(121)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결합부(120)는 결합부헤드(121)로부터 연장되도록 형성되며, 케이블(130)과 연결되는 연결부(122)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결합부헤드(121)와 연결부(122)는 금속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특히 결합부헤드(121)와 연결부(122)는 케이블(130)과 동일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결합부헤드(121)와 연결부(122)는 다이 캐스팅(Die casting) 방법에 의하여 형성될 수 있다. 이때, 결합부헤드(121)와 연결부(122)는 아연 다이 캐스팅 방법에 의하여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부(122)는 케이블(130)의 길이방향과 대응되는 방향으로 소정정도 연장 형성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연결부(122)는 케이블(130)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된 바(bar)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연결부(122)의 일단(도 2의 좌측단)은 케이블(130)과 연결될 수 있으며, 연결부(122)의 타단(도 2의 우측단)에는 결합부헤드(121)가 배치될 수 있다. 이때, 결합부헤드(121)는 연결부(122)의 길이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소정정도 연장 형성될 수 있으며, 따라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부(122) 및 결합부헤드(121)는 전체적으로 대략 'T'자형의 형상을 이루게 된다.
이때, 결합부헤드(121)는 대략 원기둥의 형태로 형성된 원형부(121a)와, 사각 기둥 형태로 원형부(121a)의 일측에 돌출 형성된 돌출부(121b)를 포함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결합부헤드(121)는 원형 및 상기 원형의 일측 현(chord)을 한 변으로 하는 사각형이 조합된 횡단면을 가질 수 있으며, 이와 같은 횡단면이 연결부(122)의 길이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부분 원기둥의 형태를 띄는 원형부(121a)와, 사각 기둥 형태의 돌출부(121b)를 구비할 수 있다. 이때, 상기의 '부분 원기둥'은 원형의 횡단면을 가지는 완전한 원기둥의 형태에서, 원주상의 두 점을 잇은 현을 중심으로 원기둥의 일부가 잘려나간 형태를 의미한다.
상기와 같은 원형부(121a)의 경우는 결합부커버(110)와 결합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어느 정도 회전이 가능하므로 결합부커버(110)와 결합부(120) 사이의 상대운동을 통하여 제품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은 결합부헤드(121)와 연결부(122)는 서로 직교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결합부헤드(121)는 연결부(122)의 길이방향에 대해서 수직하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연결부(122)는 케이블(130)의 일단으로부터 연장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연결부(122)의 단면은 케이블(130)의 단면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결합부헤드(121)와 연결부(122)가 형성되어 케이블(130)에 힘을 가하거나 케이블(130)에서 가해지는 힘에 의하여 결합부(120)가 결합부커버(110)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즉, 결합부헤드(121)는 상기와 같이 연결부(122)와 각도를 형성함으로써 결합부커버(110)와의 접촉면적을 증대시킬 수 있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결합부커버(110)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3을 참고하면, 결합부커버(110)는 상기 핸들에 삽입되도록 형성되는 삽입돌기(111)와, 삽입돌기(111)가 돌출되어 형성된 결합부커버바디부(112)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삽입돌기(111)는 결합부커버바디부(112)의 양단으로부터 결합부커버바디부(112)의 길이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한편, 결합부커버바디부(112)에는 상기 핸들의 일부가 삽입되도록 삽입홈(113)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결합부커버바디부(112)에는 삽입홈(113)과 연결되도록 형성되며, 결합부헤드(121)가 삽입되는 결합부헤드삽입홈(114)이 형성될 수 있다. 특히, 결합부커버바디부(112)에는 상술한 연결부(122)가 삽입되어 회전하도록 형성되는 가이드홈(115)이 형성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케이블 어셈블리(100)의 결합 및 작동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케이블 어셈블리(100)를 보여주는 분해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케이블 어셈블리(100)와 핸들(H)의 결합관계를 보여주는 부분사시도이다.
도 4 및 도 5를 참고하면, 케이블 어셈블리(100)는 케이블(130), 결합부(120)를 일체로 성형한 후 결합부(120)에 결합부커버(110)를 설치할 수 있다. 이때, 결합부커버(110)는 핸들(H)에 설치된 후 결합부(120)가 설치되는 것도 가능하고, 결합부커버(110)에 결합부(120)를 설치한 후 핸들(H)에 설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다만,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결합부커버(110)에 결합부(120)를 설치한 후 결합부커버(110)를 핸들(H)에 설치하는 경우를 중심으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한편, 결합부(120)를 결합부커버(110)에 설치하는 경우, 결합부헤드삽입홈(114)을 통하여 결합부헤드(121)를 삽입할 수 있다. 이때, 돌출부(121b)가 먼저 결합부헤드삽입홈(114)에 삽입된 후 원형부(121a)가 결합부헤드삽입홈(114)을 통하여 결합부커버(110) 내측으로 삽입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과정이 완료되면, 연결부(122)는 가이드홈(115)에 삽입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결합부헤드(121)를 상기와 같이 삽입한 후 회전시키면 연결부(122)는 가이드홈(115)에 삽이되고, 일부가 결합부커버(110)의 외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
상기와 과정이 완료되면, 결합부커버(110)를 핸들(H)에 삽입할 수 있다. 이때, 삽입돌기(111)를 핸들(H)에 삽입한 후 결합부커버(110)를 회전하는 등의 작업을 통하여 삽입홈(113)에 핸들(H)의 일부를 삽입시킬 수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이 설치되는 케이블 어셈블리(100)는 케이블(130)의 일단에 연결되는 상기 래치 어셈블리를 작동시킬 수 있다. 이때, 상기 래치 어셈블리는 다양한 부위에 설치되는 래치 어셈블리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래치 어셈블리는 도어 래치 어셈블리, 후드 래치 어셈블리, 테일게이트 래치 어셈블리 등 자동차에 사용되는 모든 래치 어셈블리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케이블 어셈블리(100)가 작동하는 방법을 살펴보면, 사용자가 핸들(H)에 힘을 가하는 경우 핸들(H)은 회전하거나 회동하면서 결합부커버(110)를 움직일 수 있다. 이때, 결합부커버(110)는 결합부(120)를 움직이게 되고, 결합부(120)는 케이블(130)을 움직여 상기 래치 어셈블리를 작동시킬 수 있다.
따라서 케이블 어셈블리(100)는 핸들(H)에 결합하는 결합부커버(110)와 결합부커버(110) 내측에 배치되는 결합부(120)를 구비함으로써 핸들(H)과 결합부(120)가 직접 접촉하지 않아 핸들(H)의 작동에 따라 마찰이 저감된 형태에서 작동할 수 있다. 또한, 케이블 어셈블리(100)는 핸들(H)의 작동 시 마찰이 거의 발생하지 않으므로 마찰로 인한 마찰음을 저감시킬 수 있다.
비록 본 발명이 상기 언급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되었지만, 발명의 요지와 범위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수정이나 변형을 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첨부된 특허청구의 범위에는 본 발명의 요지에 속하는 한 이러한 수정이나 변형을 포함할 것이다.
100 : 케이블 어셈블리
110 : 결합부커버
111 : 걸림돌기
112 : 결합부커버바디부
113 : 삽입홈
114 : 결합부헤드삽입홈
115 : 가이드홈
120 : 결합부
121 : 결합부헤드
122 : 연결부
130 : 케이블
140 : 피복부

Claims (10)

  1. 핸들(H)과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하는 결합부커버(110);
    상기 결합부커버(110) 내측에 배치되는 결합부(120); 및
    상기 결합부(120)와 연결되며, 래치 어셈블리와 연결되어 상기 핸들(H)의 작동력을 상기 래치 어셈블리로 전달하는 케이블(130);을 포함하되,
    상기 결합부(120)는,
    상기 결합부커버(110)에 삽입 체결되는 결합부헤드(121); 및
    상기 결합부헤드(121)로부터 연장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케이블(130)과 연결되는 연결부(122);를 구비하며,
    상기 결합부헤드(121)는,
    상기 연결부(122)의 길이방향과 직교하도록 배치되며, 원주상의 두 점을 잇는 일측의 현(chord)을 중심으로 원기둥의 일부가 잘려나간 부분 원기둥의 형태로 형성되는 원형부(121a); 및
    상기 원형부(121a) 일측으로부터 돌출 형성되되, 상기 현을 한 변으로 하는 사각형의 단면을 가지고 사각 기둥 형태로 형성되는 돌출부(121b);를 구비하는 케이블 어셈블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커버(110)는,
    상기 핸들(H)에 삽입되도록 돌출되어 형성되는 삽입돌기(111); 및
    상기 결합부(120)가 내측에 배치되는 결합부커버바디부(112);를 구비하는 케이블 어셈블리.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커버바디부(112)는 상기 핸들(H)의 일부가 삽입되는 삽입홈(113);이 형성되는 케이블 어셈블리.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커버바디부(112)는 상기 결합부(120)의 일부가 회전할 때 가이드되는 가이드홈(115);이 형성된 케이블 어셈블리.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120)와 상기 결합부커버(110)는 서로 상이한 재질로 형성되는 케이블 어셈블리.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커버(110)는 합성수지 재질로 형성되는 케이블 어셈블리.
KR1020120135214A 2012-11-27 2012-11-27 케이블 어셈블리 KR10138012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35214A KR101380129B1 (ko) 2012-11-27 2012-11-27 케이블 어셈블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35214A KR101380129B1 (ko) 2012-11-27 2012-11-27 케이블 어셈블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80129B1 true KR101380129B1 (ko) 2014-04-02

Family

ID=506562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35214A KR101380129B1 (ko) 2012-11-27 2012-11-27 케이블 어셈블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80129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74411B1 (ko) * 2006-10-31 2007-11-08 기아자동차주식회사 도어 인사이드 핸들 케이블 연결구조
KR20080009840A (ko) * 2006-07-25 2008-01-3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의 도어 인사이드 핸들 조립체
JP2008163692A (ja) * 2006-12-29 2008-07-17 Toyota Motor Corp ドアヒンジ部構造
KR100887826B1 (ko) * 2007-11-13 2009-03-0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인사이드 핸들 조립체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09840A (ko) * 2006-07-25 2008-01-3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의 도어 인사이드 핸들 조립체
KR100774411B1 (ko) * 2006-10-31 2007-11-08 기아자동차주식회사 도어 인사이드 핸들 케이블 연결구조
JP2008163692A (ja) * 2006-12-29 2008-07-17 Toyota Motor Corp ドアヒンジ部構造
KR100887826B1 (ko) * 2007-11-13 2009-03-0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인사이드 핸들 조립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050426B2 (en) Cable routing structure
CN104070232B (zh) 链锯的导杆紧固装置
EP2950410A1 (en) Routing structure for protective tube for power supply
WO2014061618A1 (ja) 電線保持構造
US10395796B2 (en) Flat cable and waterproof cable
EP2244861B1 (de) Handgriff für ein elektrohandwerkzeug
KR101380129B1 (ko) 케이블 어셈블리
KR20130102110A (ko) 둘레가 코일로 감긴 가요성 코어를 포함하는 피치형 케이블
JP2010283965A (ja) コルゲートクランプ
CN105480172A (zh) 线夹
EP3548359A1 (de) Lenkrad für ein kraftfahrzeug
JP5117239B2 (ja) ステアリングロールコネクタ
JP5416294B1 (ja) ベルト取付治具
KR101446655B1 (ko) 다공 그로멧을 포함하는 와이어 하네스 고정 장치
JP2016183745A (ja) ボーデンケーブルの端末構造
KR20160082709A (ko) 케이블 고정 장치
JP2007215327A (ja) ケーブルサポート
JP2017078465A (ja) クリップ
JP6194207B2 (ja) 外装部材
KR101371665B1 (ko) 콜게이트튜브 삽입 부재
KR200443657Y1 (ko) 와이어 하네스 프로텍터
JP2019058006A (ja) 電線結束部材及びワイヤーハーネス
KR101619493B1 (ko) 스위블 어댑터
JP2014201351A (ja) 結束バンド、バンドクリップ及びバンドクリップ付きワイヤーハーネス
KR101326337B1 (ko) 자동차용 와이어하네스 고정용 밴드케이블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27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