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79594B1 - 계단상승기능을 겸비한 운반차 - Google Patents

계단상승기능을 겸비한 운반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79594B1
KR101379594B1 KR1020120018378A KR20120018378A KR101379594B1 KR 101379594 B1 KR101379594 B1 KR 101379594B1 KR 1020120018378 A KR1020120018378 A KR 1020120018378A KR 20120018378 A KR20120018378 A KR 20120018378A KR 101379594 B1 KR101379594 B1 KR 10137959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heel shaft
head
coupling
rear wheel
front whe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183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96848A (ko
Inventor
이대수
Original Assignee
이대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대수 filed Critical 이대수
Priority to KR10201200183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79594B1/ko
Publication of KR201300968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9684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795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7959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55/00Endless track vehicles
    • B62D55/06Endless track vehicles with tracks without ground wheels
    • B62D55/075Tracked vehicles for ascending or descending stairs, steep slopes or vertical surfa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55/00Endless track vehicles
    • B62D55/02Endless track vehicles with tracks and additional ground whe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55/00Endless track vehicles
    • B62D55/08Endless track units; Parts thereof
    • B62D55/084Endless-track units or carriages mounted separably, adjustably or extensibly on vehicles, e.g. portable track uni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10Road Vehicles
    • B60Y2200/15Fork lift trucks, Industrial truc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andcar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계단상승기능을 겸비한 운반차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상판부에 화물을 선적하고 수평을 유지하면서 계단을 상승할 수 있는 계단상승기능을 겸비한 운반차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인 계단상승기능을 겸비한 운반차는, 판형의 좌판프레임(101)과 판형의 우판프레임(102)을 장방형의 철편으로 형성되는 제1주행륜축지지바(103), 제2주행륜축지지바(104), 배터리장착선반(105) 및 모터장착선반(106)과, 후방결합축(107) 및 후판프레임(108)에 의해 볼트체결 되어 결합 구성되는 본체프레임부(100);
구동 모터(210)와, 배터리(220)와, 모터축(211)의 스프라킷(미도시)과 후륜축(322)의 스프라킷(322b)에 연결되어 상기 후륜축(322)에 동력을 전달하는 구동체인(23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구동 모터(210) 및 배터리(220)는 손잡이부(500)의 스위치박스(53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동력을 구동 및 제어하는 구동부(200);
전륜(311)과, 전륜축(312)과, 상기 전륜(311)을 상기 전륜축(312)에 결합 고정하기 위한 결합볼트(313)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본체프레임부(100)의 전륜축결합장공(312h)에 결합되는 전륜부재(310)와, 후륜(321)과, 후륜축(322)과, 상기 후륜(321)을 상기 후륜축(322)에 결합 고정하기 위한 결합볼트(323)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본체프레임부(100)의 후륜축결합공(322h)에 결합되는 후륜부재(320)와, 중계륜(331)과, 중계륜축(332)과, 상기 중계륜(331)을 상기 중계륜축(332)에 결합 고정하기 위한 결합볼트(333)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본체프레임부(100)의 중계륜축결합공(332h)에 결합되는 중계륜부재(330)와, 전륜(311)의 타이밍기어(311a)와 후륜(321)의 타이밍기어(321a)를 연결하여 후륜축(322)의 전해진 동력을 후륜(321)과 전륜(311)을 통하여 전륜축(312)에 전달하는 타이밍벨트(340)와, 주행륜(351)과, 주행륜축(352)과, 상기 주행륜축(352)을 본체프레임(100)에 결합하고 탄지시키기 위한 압축스프링(353), 결합너트(354) 및 체결와셔(355)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본체프레임부(100)의 제1주행륜축지지바결합공(103h)과 제2주행륜축지지바결합공(104h)에 결합되는 복수개의 주행륜부재(350)와, 보조륜(361)과, 보조륜축(362)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본체프레임부(100)의 보조륜축결합공(362h)에 결합되는 보조륜부재(36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차륜부(300);
물건을 선적하는 상판(410)과, 상기 상판(410)의 하부에 용접결합되어 상기 상판(410)을 고정하는 상판프레임(420)과, 상기 상판(410)의 하부에서 상부슬롯은 상판(410) 저면 중앙영역의 동일선상에 일정간격으로 용접결합되어 있는 2개의 완충실린더결합구(413)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하부슬롯은 본체프레임(100)의 좌,우판프레임(101)(102)에 결합되는 완충실린더결합축(450)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상판(410)의 급강하를 완충하기 위한 2개의 완충실린더(43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상판부(400);
강재 파이프체를 ∩형상으로 절곡하여 형성하되 상,하부영역에 상부가로대(511)와 하부가로대(512)가 용접 결합되고 양 하단부에 체결공(513)이 통공된 손잡이(510)와, 상판(410)의 상부에 직각(90°)으로 용접결합되어 있는 손잡이결합파이프(412)에 손잡이(510) 양 하단부를 삽입하고 체결 고정하기 위한 체결볼트(520)와, 상기 손잡이(510)의 상부가로대(511)에 장착되고 구동부(2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운반차의 on/off, 가감속, 정역회전을 조절할 수 있는 스위치박스(53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손잡이부(500);로 이루어지는 본체부(A)와,
중심축인 철제사각파이프 양단에 헤드좌프레임(611)과 헤드우프레임(612)이 용접결합되어 형성되며, 상기 헤드좌,우프레임(611),(612)에는 각각 헤드전륜축결합장공(622h)과 헤드후륜축결합공(632h)이 통공되고, 상기 각 헤드전륜축결합장공(622h)과 헤드후륜축결합공(632h)의 지근거리에는 각각 베아링(b)을 장착할 수 있도록 베아링결합공(bh)이 통공되어 각각 베아링(b)이 장착되는 H프레임(610);
V벨트폴리로 형성되는 헤드전륜(621)과, 중앙부에는 헤드실린더(650)의 하부슬롯이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헤드전륜(621) 결합영역은 일정폭의 평활면(624)을 형성하며 상기 헤드좌,우프레임(611),(612)의 헤드전륜축결합장공(622h)에 결합되는 헤드전륜축(622) 및 상기 헤드전륜(621)을 상기 헤드전륜축(622)에 결합하기 위한 결합볼트(623)로 구성되는 헤드전륜부재(620);
V벨트폴리로 형성되는 헤드후륜(631)과, 헤드후륜(631) 결합영역은 일정폭의 평활면(634)을 형성하며, 중앙부에는 스프로킷(635)이 결합고정 되어 본체부(A)의 전륜축(312) 중앙부에 결합고정 되어있는 스프로킷(312b)과 연결체인(636)으로 연결되고, 상기 헤드전륜축(622) 보다 길게 형성되어 헤드좌,우프레임(611),(612)의 헤드후륜축결합공(632h)에 결합 된 좌우측 연장축은 다시 본체프레임부(100)의 좌,우판프레임(101)(102)에 형성된 헤드후륜축결합공(632h)에 결합되는 헤드후륜축(632)과, 상기 헤드후륜(631)을 상기 헤드후륜축(632)에 결합하기 위한 결합볼트(633)로 구성되는 헤드후륜부재(630);
상기 헤드전륜(621)과 상기 헤드후륜(631)을 연결하는 V벨트(640);
상부슬롯은 헤드실린더결합구(655)가 회전가능하게 결합 되어 손잡이(510) 하부가로대(512) 중앙부에 통공된 헤드실린더결합구 결합공(514)에 탈, 부착되고 하부슬롯은 헤드전륜축(622) 중앙부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헤드실린더(650);로 이루어지는 헤드부(B)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인 계단상승기능을 겸비한 운반차에 의하면, 큰 베란다 창이 없고 엘레베이터가 설치되어 있지 않은 저층의 재래식 건물인 경우 계단을 이용하여 화물을 옮기는 경우에도 인력과 동력을 동시에 이용하여 수평을 유지하며 화물들을 용이하게 옮길 수 있음은 물론 화물 운반중 실수로 손잡이를 놓치게 되는 경우에도 화물 파손의 위험을 최소화 할 수 있고, 재래식 저층 건물의 계단의 폭과 계단 중간층의 중간바닥면이 좁은 경우에도 화물을 선적한 운반차의 자체회전이 가능하고, 사용 후에는 해체가 간편하여 운반과 보관이 용이하고, 다양한 높이로 형성되는 계단도 용이하게 상승할 수 있는 보편적인 기능을 갖는 운반차가 제공된다.
또한 평지이용시와 계단이용시의 사용 차륜을 이원화하여 평지에서도 기계적인 무리 없이 사용가능하여 운반차의 수명을 연장할 수 있는 계단상승기능을 겸비한 운반차가 제공된다.

Description

계단상승기능을 겸비한 운반차{The Cart for ascending the stairs}
본 발명은 계단상승기능을 겸비한 운반차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상판부에 화물을 선적하고 수평을 유지하면서 계단을 상승할 수 있는 계단상승기능을 겸비한 운반차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물 내부로 화물을 옮길 때에는 화물을 엘레베이터를 이용하여 옮기거나 또는 사다리차를 이용하여 베란다 창을 통해 옮기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러나 비교적 큰 베란다 창이 없고 엘레베이터가 설치되어 있지 않은 저층의 재래식 건물인 경우에는 계단을 이용하여 화물을 인력으로 옮겨야 하므로 큰 힘이 요구되었었다.
특히 가구, 복사기, 에어컨 및 실험기자재 등 수평을 유지하며 옮겨야 하는 화물인 경우에는 더욱 어렵고 물리적으로 더 큰 힘을 요구하게 될 뿐더러 화물 운반중 실수로 손잡이를 놓치게 되는 경우 화물 파손의 위험에 노출되어 있었으며, 또한 화물을 운반하는 운반차는 화물을 선적할 수 있는 일정 크기로 제작되어야 하나, 대부분의 재래식 저층 건물의 경우에는 계단의 폭과 계단 중간층의 중간바닥면이 좁아 화물을 선적한 운반차가 자체회전이 어렵고, 차체의 부피가 커 사용 후에는 운반과 보관이 불편하였고, 차체를 작게 제작하게 되면 화물 하중을 크게 받아 이동이 어려웠었다.
또한 건물마다 계단의 높이가 일정하지 않아 다양한 높이로 형성된 계단을 상승할 수 있는 보편적인 기능을 갖는 운반차를 갖출 수도 없었다.
또한 계단을 상승하는 힘이나 구조를 가진 운반차를 그대로 평지에서 사용하기에는 무리가 있으므로 운반차의 수명이 짧아지는 단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본 발명인 계단상승기능을 겸비한 운반차는, 큰 베란다 창이 없고 엘레베이터가 설치되어 있지 않은 저층의 재래식 건물인 경우 계단을 이용하여 화물을 옮기는 경우에도 인력과 동력을 동시에 이용하여 수평을 유지하며 화물들을 용이하게 옮길 수 있음은 물론 화물 운반중 실수로 손잡이를 놓치게 되는 경우에도 화물 파손의 위험을 최소화 할 수 있고, 재래식 저층 건물의 계단의 폭과 계단 중간층의 중간바닥면이 좁은 경우에도 화물을 선적한 운반차의 자체회전이 가능하고, 사용 후에는 해체가 간편하여 운반과 보관이 용이하고, 다양한 높이로 형성되는 계단도 용이하게 상승할 수 있는 보편적인 기능을 갖는 계단상승기능을 겸비한 운반차를 제공하기 위함이다.
또한 평지이용시와 계단이용시의 사용 차륜을 이원화하여 평지에서도 기계적인 무리 없이 사용가능하게 하여 운반차의 수명을 연장하기 위함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인 계단상승기능을 겸비한 운반차는,
판형의 좌판프레임(101)과 판형의 우판프레임(102)을 장방형의 철편으로 형성되는 제1주행륜축지지바(103), 제2주행륜축지지바(104), 배터리장착선반(105) 및 모터장착선반(106)과, 후방결합축(107) 및 후판프레임(108)에 의해 볼트체결 되어 결합 구성되는 본체프레임부(100);
구동 모터(210)와, 배터리(220)와, 모터축(211)의 스프라킷(미도시)과 후륜축(322)의 스프라킷(322b)에 연결되어 상기 후륜축(322)에 동력을 전달하는 구동체인(23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구동 모터(210) 및 배터리(220)는 손잡이부(500)의 스위치박스(53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동력을 구동 및 제어하는 구동부(200);
전륜(311)과, 전륜축(312)과, 상기 전륜(311)을 상기 전륜축(312)에 결합 고정하기 위한 결합볼트(313)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본체프레임부(100)의 전륜축결합장공(312h)에 결합되는 전륜부재(310)와,
후륜(321)과, 후륜축(322)과, 상기 후륜(321)을 상기 후륜축(322)에 결합 고정하기 위한 결합볼트(323)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본체프레임부(100)의 후륜축결합공(322h)에 결합되는 후륜부재(320)와,
중계륜(331)과, 중계륜축(332)과, 상기 중계륜(331)을 상기 중계륜축(332)에 결합 고정하기 위한 결합볼트(333)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본체프레임부(100)의 중계륜축결합공(332h)에 결합되는 중계륜부재(330)와,
전륜(311)의 타이밍기어(311a)와 후륜(321)의 타이밍기어(321a)를 연결하여 후륜축(322)의 전해진 동력을 후륜(321)과 전륜(311)을 통하여 전륜축(312)에 전달하는 타이밍벨트(340)와,
주행륜(351)과, 주행륜축(352)과, 상기 주행륜축(352)을 본체프레임(100)에 결합하고 탄지시키기 위한 압축스프링(353), 결합너트(354) 및 체결와셔(355)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본체프레임부(100)의 제1주행륜축지지바결합공(103h)과 제2주행륜축지지바결합공(104h)에 결합되는 복수개의 주행륜부재(350)와,
보조륜(361)과, 보조륜축(362)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본체프레임부(100)의 보조륜축결합공(362h)에 결합되는 보조륜부재(36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차륜부(300);
물건을 선적하는 상판(410)과, 상기 상판(410)의 하부에 용접결합되어 상기 상판(410)을 고정하는 상판프레임(420)과, 상기 상판(410)의 하부에서 상부슬롯은 상판(410) 저면 중앙영역의 동일선상에 일정간격으로 용접결합되어 있는 2개의 완충실린더결합구(413)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하부슬롯은 본체프레임(100)의 좌,우판프레임(101)(102)에 결합되는 완충실린더결합축(450)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상판(410)의 급강하를 완충하기 위한 2개의 완충실린더(43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상판부(400);
강재 파이프체를 ∩형상으로 절곡하여 형성하되 상,하부영역에 상부가로대(511)와 하부가로대(512)가 용접 결합되고 양 하단부에 체결공(513)이 통공된 손잡이(510)와, 상판(410)의 상부에 직각(90°)으로 용접결합되어 있는 손잡이결합파이프(412)에 손잡이(510) 양 하단부를 삽입하고 체결 고정하기 위한 체결볼트(520)와, 상기 손잡이(510)의 상부가로대(511)에 장착되고 구동부(2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운반차의 on/off, 가감속, 정역회전을 조절할 수 있는 스위치박스(53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손잡이부(500);로 이루어지는 본체부(A)와,
중심축인 철제사각파이프 양단에 헤드좌프레임(611)과 헤드우프레임(612)이 용접결합되어 형성되며, 상기 헤드좌,우프레임(611),(612)에는 각각 헤드전륜축결합장공(622h)과 헤드후륜축결합공(632h)이 통공되고, 상기 각 헤드전륜축결합장공(622h)과 헤드후륜축결합공(632h)의 지근거리에는 각각 베아링(b)을 장착할 수 있도록 베아링결합공(bh)이 통공되어 각각 베아링(b)이 장착되는 H프레임(610);
V벨트폴리로 형성되는 헤드전륜(621)과, 중앙부에는 헤드실린더(650)의 하부슬롯이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헤드전륜(621) 결합영역은 일정폭의 평활면(624)을 형성하며 상기 헤드좌,우프레임(611),(612)의 헤드전륜축결합장공(622h)에 결합되는 헤드전륜축(622) 및 상기 헤드전륜(621)을 상기 헤드전륜축(622)에 결합하기 위한 결합볼트(623)로 구성되는 헤드전륜부재(620);
V벨트폴리로 형성되는 헤드후륜(631)과, 헤드후륜(631) 결합영역은 일정폭의 평활면(634)을 형성하며, 중앙부에는 스프로킷(635)이 결합고정 되어 본체부(A)의 전륜축(312) 중앙부에 결합고정 되어있는 스프로킷(312b)과 연결체인(636)으로 연결되고, 상기 헤드전륜축(622) 보다 길게 형성되어 헤드좌,우프레임(611),(612)의 헤드후륜축결합공(632h)에 결합 된 좌우측 연장축은 다시 본체프레임부(100)의 좌,우판프레임(101)(102)에 형성된 헤드후륜축결합공(632h)에 결합되는 헤드후륜축(632)과, 상기 헤드후륜(631)을 상기 헤드후륜축(632)에 결합하기 위한 결합볼트(633)로 구성되는 헤드후륜부재(630);
상기 헤드전륜(621)과 상기 헤드후륜(631)을 연결하는 V벨트(640);
상부슬롯은 헤드실린더결합구(655)가 회전가능하게 결합 되어 손잡이(510) 하부가로대(512) 중앙부에 통공된 헤드실린더결합구 결합공(514)에 탈, 부착되고 하부슬롯은 헤드전륜축(622) 중앙부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헤드실린더(650);로 이루어지는 헤드부(B)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인 계단상승기능을 겸비한 운반차에 의하면, 큰 베란다 창이 없고 엘레베이터가 설치되어 있지 않은 저층의 재래식 건물인 경우 계단을 이용하여 화물을 옮기는 경우에도 인력과 동력을 동시에 이용하여 수평을 유지하며 화물들을 용이하게 옮길 수 있음은 물론 화물 운반중 실수로 손잡이를 놓치게 되는 경우에도 화물 파손의 위험을 최소화 할 수 있고, 재래식 저층 건물의 계단의 폭과 계단 중간층의 중간바닥면이 좁은 경우에도 화물을 선적한 운반차의 자체회전이 가능하고, 사용 후에는 해체가 간편하여 운반과 보관이 용이하고, 다양한 높이로 형성되는 계단도 용이하게 상승할 수 있는 보편적인 기능을 갖는 계단상승기능을 겸비한 운반차가 제공된다.
또한 평지이용시와 계단이용시의 사용 차륜을 이원화하여 평지에서도 기계적인 무리 없이 사용가능하여 운반차의 수명을 연장할 수 있는 계단상승기능을 겸비한 운반차가 제공된다.
도1은 본 발명인 계단상승기능을 겸비한 운반차의 개략도이다.
도2는 본 발명인 계단상승기능을 겸비한 운반차의 본체부프레임부 설명도이다.
도3은 본 발명인 계단상승기능을 겸비한 운반차의 측단면 개략도이다.
도4는 본 발명인 계단상승기능을 겸비한 운반차의 부재의 결합위치를 나타낸 설명도이다
도5는 본 발명인 계단상승기능을 겸비한 운반차의 차륜부의 전륜부재, 후륜부재, 중계륜부재의 개략을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도6은 본 발명인 계단상승기능을 겸비한 운반차의 차륜부의 전륜부, 후륜부, 중계륜부와 타이밍벨트를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도7은 주행륜부재(350)의 개략을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 이다.
도8은 주행륜(351)과 전륜(311) 또는 후륜(321)과의 높이관계를 비교한 설명도이다.
도9는 보조륜부재(360)의 개략을 나타낸 설명도이다.
도10은 보조륜(361)과 후륜(321)과의 높이관계를 비교한 설명도이다.
도11은 상판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12는 상판부와 손잡이부를 결합한 상태를 나타낸 설명도이다.
도13은 헤드부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도14 내지 도15는 본 발명인 계단상승기능을 겸비한 운반차의 계단상승 상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인 계단상승기능을 겸비한 운반차에 대해 자세히 설명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또한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명칭으로 표기되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도1은 본 발명인 계단상승기능을 겸비한 운반차의 개략도이고, 도2는 본 발명인 계단상승기능을 겸비한 운반차의 본체부프레임부 설명도이고, 도3은 본 발명인 계단상승기능을 겸비한 운반차의 측단면 개략도이고, 도4는 본 발명인 계단상승기능을 겸비한 운반차의 부재의 결합위치를 나타낸 설명도이다
첨부된 도면에 나타낸 것과 같이, 본 발명인 계단상승기능을 겸비한 운반차는,
판형의 좌판프레임(101)과 판형의 우판프레임(102)을 장방형의 철편으로 형성되는 제1주행륜축지지바(103), 제2주행륜축지지바(104), 배터리장착선반(105) 및 모터장착선반(106)과, 후방결합축(107) 및 후판프레임(108)에 의해 볼트체결 되어 결합 구성되는 본체프레임부(100);
구동 모터(210)와, 배터리(220)와, 모터축(211)의 스프라킷(미도시)과 후륜축(322)의 스프라킷(322b)에 연결되어 상기 후륜축(322)에 동력을 전달하는 구동체인(23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구동 모터(210) 및 배터리(220)는 손잡이부(500)의 스위치박스(53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동력을 구동 및 제어하는 구동부(200);
전륜(311)과, 전륜축(312)과, 상기 전륜(311)을 상기 전륜축(312)에 결합 고정하기 위한 결합볼트(313)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본체프레임부(100)의 전륜축결합장공(312h)에 결합되는 전륜부재(310)와,
후륜(321)과, 후륜축(322)과, 상기 후륜(321)을 상기 후륜축(322)에 결합 고정하기 위한 결합볼트(323)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본체프레임부(100)의 후륜축결합공(322h)에 결합되는 후륜부재(320)와,
중계륜(331)과, 중계륜축(332)과, 상기 중계륜(331)을 상기 중계륜축(332)에 결합 고정하기 위한 결합볼트(333)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본체프레임부(100)의 중계륜축결합공(332h)에 결합되는 중계륜부재(330)와,
전륜(311)의 타이밍기어(311a)와 후륜(321)의 타이밍기어(321a)를 연결하여 후륜축(322)의 전해진 동력을 후륜(321)과 전륜(311)을 통하여 전륜축(312)에 전달하는 타이밍벨트(340)와,
주행륜(351)과, 주행륜축(352)과, 상기 주행륜축(352)을 본체프레임(100)에 결합하고 탄지시키기 위한 압축스프링(353), 결합너트(354) 및 체결와셔(355)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본체프레임부(100)의 제1주행륜축지지바결합공(103h)과 제2주행륜축지지바결합공(104h)에 결합되는 복수개의 주행륜부재(350)와,
보조륜(361)과, 보조륜축(362)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본체프레임부(100)의 보조륜축결합공(362h)에 결합되는 보조륜부재(36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차륜부(300);
물건을 선적하는 상판(410)과, 상기 상판(410)의 하부에 용접결합되어 상기 상판(410)을 고정하는 상판프레임(420)과, 상기 상판(410)의 하부에서 상부슬롯은 상판(410) 저면 중앙영역의 동일선상에 일정간격으로 용접결합되어 있는 2개의 완충실린더결합구(413)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하부슬롯은 본체프레임(100)의 좌,우판프레임(101)(102)에 결합되는 완충실린더결합축(450)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상판(410)의 급강하를 완충하기 위한 2개의 완충실린더(43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상판부(400);
강재 파이프체를 ∩형상으로 절곡하여 형성하되 상,하부영역에 상부가로대(511)와 하부가로대(512)가 용접 결합되고 양 하단부에 체결공(513)이 통공된 손잡이(510)와, 상판(410)의 상부에 직각(90°)으로 용접결합되어 있는 손잡이결합파이프(412)에 손잡이(510) 양 하단부를 삽입하고 체결 고정하기 위한 체결볼트(520)와, 상기 손잡이(510)의 상부가로대(511)에 장착되고 구동부(2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운반차의 on/off, 가감속, 정역회전을 조절할 수 있는 스위치박스(53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손잡이부(500);로 이루어지는 본체부(A)와,
중심축인 철제사각파이프 양단에 헤드좌프레임(611)과 헤드우프레임(612)이 용접결합되어 형성되며, 상기 헤드좌,우프레임(611),(612)에는 각각 헤드전륜축결합장공(622h)과 헤드후륜축결합공(632h)이 통공되고, 상기 각 헤드전륜축결합장공(622h)과 헤드후륜축결합공(632h)의 지근거리에는 각각 베아링(b)을 장착할 수 있도록 베아링결합공(bh)이 통공되어 각각 베아링(b)이 장착되는 H프레임(610);
V벨트폴리로 형성되는 헤드전륜(621)과, 중앙부에는 헤드실린더(650)의 하부슬롯이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헤드전륜(621) 결합영역은 일정폭의 평활면(624)을 형성하며 상기 헤드좌,우프레임(611),(612)의 헤드전륜축결합장공(622h)에 결합되는 헤드전륜축(622) 및 상기 헤드전륜(621)을 상기 헤드전륜축(622)에 결합하기 위한 결합볼트(623)로 구성되는 헤드전륜부재(620);
V벨트폴리로 형성되는 헤드후륜(631)과, 헤드후륜(631) 결합영역은 일정폭의 평활면(634)을 형성하며, 중앙부에는 스프로킷(635)이 결합고정 되어 본체부(A)의 전륜축(312) 중앙부에 결합고정 되어있는 스프로킷(312b)과 연결체인(636)으로 연결되고, 상기 헤드전륜축(622) 보다 길게 형성되어 헤드좌,우프레임(611),(612)의 헤드후륜축결합공(632h)에 결합 된 좌우측 연장축은 다시 본체프레임부(100)의 좌,우판프레임(101)(102)에 형성된 헤드후륜축결합공(632h)에 결합되는 헤드후륜축(632)과, 상기 헤드후륜(631)을 상기 헤드후륜축(632)에 결합하기 위한 결합볼트(633)로 구성되는 헤드후륜부재(630);
상기 헤드전륜(621)과 상기 헤드후륜(631)을 연결하는 V벨트(640);
상부슬롯은 헤드실린더결합구(655)가 회전가능하게 결합 되어 손잡이(510) 하부가로대(512) 중앙부에 통공된 헤드실린더결합구 결합공(514)에 탈, 부착되고 하부슬롯은 헤드전륜축(622) 중앙부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헤드실린더(650);로 이루어지는 헤드부(B)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먼저 상기 본체프레임부(100)는, 도2에 나타낸 것과 같이 판형의 좌판프레임(101)과 판형의 우판프레임(102)을, 제1주행륜축지지바(미도시),제2주행륜축지지바(미도시),배터리장착선반(105),모터장착선반(106),후방결합축(107) 및 후판프레임(108)에 의해 볼트체결되어 결합 구성된다.
상기 좌판프레임(101)에는, 제1주행륜축지지바결합공(103h), 제2주행륜축지지바결합공(104h), 배터리장착선반결합공(105h), 모터장착선반결합공(106h), 후방결합축결합공(107h), 후판프레임결합공(108h)과, 전륜축결합장공(312h), 중계륜축결합공(332h), 후륜축결합공(322h), 두개의 주행륜축고정구삽입장공(352bh), 두개의 주행륜축고정구고정공(352bf), 보조레버고정쇠결합공(363fh)과, 상판결합축결합공(440h), 완충실린더결합축결합공(450h) 및 헤드후륜축결합공(632H)이 통공되고,
상기 우판프레임(102)에는, 제1주행륜축지지바결합공(103h), 제2주행륜축지지바결합공(104h), 배터리장착선반결합공(105h), 모터장착선반결합공(106h), 후방결합축결합공(107h), 후판프레임결합공(108h)과, 헤드후륜축결합공(632h), 전륜축결합장공(312h), 중계륜축결합공(332h), 후륜축결합공(322h), 두개의 주행륜축 삽입봉 삽입공(352ah), 상판결합축결합공(440h) 및 완충실린더결합축결합공(450h)이 통공된다.
상기 좌,우판프레임(101)(102)은, 부재가 결합 되지 않은 임의의 여유영역에는 중량삭감공(101h)(102h)을 형성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좌,우판프레임(101)(102)의 전륜축결합장공(312h)은, 도3에 나타낸 것과 같이 타이밍벨트(340)의 텐션을 유지하기 위해 전륜축(312)의 결합위치 조절이 가능하도록 장공으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이때 상기 헤드후륜(631)과 전륜(311)은 가능한 한 가까운 위치에 통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므로, 상기 좌,우판프레임(101)(102)의 상기 헤드후륜축결합공(632H)은 도4에 나타낸 것과 같이 상기 전륜축결합장공(312h)의 전단부로부터 전륜(311)의 반경 길이보다는 길고 전륜(311)의 직경 길이보다는 작은 거리가 이격 되게 통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이때 상기 좌,우판프레임(101)(102)에 통공되는 상기 헤드후륜축결합공(632h), 전륜축결합장공(312h), 중계륜축결합공(332h) 및 후륜축결합공(322h)은 도3에 나타낸 것과 같이 지면으로부터 동일한 높이(H)에 통공된다.
이는, 본 발명인 계단상승기능을 겸비한 운반차가 계단을 오를 때 손잡이(510)를 앞으로 당겨 헤드부(B)의 헤드전륜(621) 및 헤드후륜(631)이 본체부(A)의 전륜(311), 중계륜(331) 및 후륜(321)과 동일선상에 놓이도록 하고 헤드실린더(650)의 상부밸브(653)와 하부밸브(654)를 닫고 진행하면 헤드전륜(621), 헤드후륜(631), 전륜(311), 중계륜(331) 및 후륜(321)이 여러 계단에 걸쳐 동일평면상에 길게 놓여져 진행되게 됨으로써, 전체의 하중을 여러 계단에 결쳐 고르게 분산시켜 주므로 화물을 실은 본 발명인 계단상승기능을 겸비한 운반차가 용이하게 계단을 오를 수 있게 하기 위함이다.
이는 평지를 진행할 때에도 필요에 따라서는 헤드실린더(650)에 의해 본체부(A)와 헤드부(B)의 차륜들을 동일평면상에 길게 놓여 지도록 하고 헤드실린더(650)의 상부밸브(653)와 하부밸브(654)를 닫고 진행하면 하중이 여러 부분으로 고르게 분산되므로 용이하게 진행할 수 있어 매우 유용하다.
또한, 상기 좌,우판프레임(101)(102)의 헤드후륜축결합공(632h), 전륜축결합장공(312h), 중계륜축결합공(332h) 및 후륜축결합공(322h)의 지근거리에는 각각 베아링(b)을 장착할 수 있도록 베아링결합공(bh)이 통공되어 각각 베아링(b)이 장착된다.
또한, 상기 제1주행륜축지지바(103), 제2주행륜축지지바(104), 배터리장착선반(105) 및 모터장착선반(106)은, 장방형의 철편으로 형성되되 도2에 나타낸 것과 같이 양단부를 절곡하여 접합부를 형성하고 절곡된 접합부에는 다수개의 결합공(h)을 형성하여 좌,우판프레임(101)(102)에 형성된 각 해당 결합공(기재생략)에 볼트결합된다.
이때, 상기 장방형의 철편은 휨 현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도2에 나타낸 것과 같이 길이방향을 따라 중앙부에 "V" 형상의 골(v)을 형성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또한 이때, 상기 배터리장착선반(105)의 상부에는 상자 형상의 배터리보관함(미도시)을 결합하는 것도 유용하다.
또한 상기 후방결합축(107)은, 상기 좌,우판프레임(101)(102)의 후방결합축결합공(107h)에 삽입되어 외부로부터 체결너트에 의해 너트체결되되 상기 좌판프레임(101) 외측으로 일정길이 돌출시키고, 상기 돌출부(107')는 상기 좌판프레임(101)에 축결합 되어 있는 보조레버고정쇠(363f)의 스토퍼 기능을 하게 된다.
또한 상기 후판프레임(108)은, 장방형의 철편으로 형성되되 철편의 양단부는 절곡되어 접합부를 형성하고 절곡된 상기 접합부에는 다수개의 결합공(h)을 형성하여 상기 결합공(h)을 통해 상기 좌,우판프레임(101)(102)의 후미에 볼트결합된다.
상기 후판프레임(108)의 중앙영역에는 도2에 나타낸 것과 같이 보조륜축결합공(362h)이 통공되고, 상기 보조륜축결합공(362h)에는 베아링(b)이 장착된다.
다음, 상기 구동부(200)는, 도1에 나타낸 것과 같이 구동 모터(210)와, 배터리(미도시)와, 동력을 전달하는 구동체인(23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구동 모터(210)의 외부에 연장형성되는 모터축(211)에는 외주연하여 등각 배치된 다수개의 치(미도시)를 갖는 스프라킷(미도시)이 공지의 고정수단에 의해 결합고정되며, 상기 모터축의 스프라킷과 후륜축(322)의 일측영역에 결합고정된 스프라킷(322b)이 구동체인(230)으로 연결되어 상기 후륜축(322)에 동력이 전달된다.
상기 모터축의 스프라킷과 상기 후륜축(322)의 스프라킷(322b)은 동일한 크기로 형성하여 에너지 누수를 최소화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구동 모터(210)는 12V 내지 24V용 DC모터 사용이 가능하다.
또한 모터의 감속과정은 공지된 내용이므로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구동 모터(210)는 모터장착선반(106) 상부에 고정수단에 의해 고정된다.
상기 배터리(220)는 배터리장착선반(105) 상부에 고정수단에 의해 고정된다.
또는 배터리장착선반(105)에 상자형상의 배터리보관함(105')을 구비하고 탑재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상기 구동 모터(210) 및 배터리는 도9에 나타낸 것과 같이 손잡이부(500)의 상부가로대(511)에 장착된 스위치박스(53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본 발명 계단 상승 기능을 갖는 운반차의 동력을 구동 및 제어한다.
다음, 상기 차륜부(300)는, 전륜부재(310), 후륜부재(320), 중계륜부재(330), 타이밍벨트(340), 주행륜부재(350) 및 보조륜부재(36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첨부된 도5는 본 발명인 계단상승기능을 겸비한 운반차의 차륜부의 전륜부재, 후륜부재, 중계륜부재의 개략을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고, 도6은 본 발명인 계단상승기능을 겸비한 운반차의 차륜부의 전륜부, 후륜부, 중계륜부와 타이밍벨트를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첨부된 도면에 나타낸 것과 같이 상기 전륜부재(310)는, 외주연에 타이밍기어(311a)를 형성하고 외주의 임의의 지점에 결합공(311b)이 형성되며 일면에는 약간 큰 직경으로 된 원판형의 궤도이탈방지판(311c)이 밀착접합 된 좌우 양측 2개의 전륜(311)과, 강재의 봉체로 형성되되 중앙부에는 등각 배치된 다수개의 치(312a)를 갖는 스프라킷(312b)이 고정수단에 의해 결합고정되고 양단부영역의 전륜(311) 결합영역은 일정폭의 평활면(312c)을 형성한 전륜축(312)과, 상기 전륜(311)을 상기 전륜축(312)에 결합 고정하기 위한 결합볼트(313)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전륜축(312)에는 복수개의 체결와셔(314)와 체결너트(315)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전륜축(312)은, 좌,우판프레임(101)(102)의 전륜축결합장공(312h)에 결합 된다.
상기 전륜축(312)의 중앙부에 결합고정된 스프라킷(312b)은 헤드후륜축(632)의 중앙부에 결합고정된 스프라킷(635)과 연결체인(636)으로 연결되어 상기 헤드후륜축(632)에 동력이 전달된다.
상기 전륜축(312)의 스프라킷(312b)과 상기 헤드후륜축(632)의 스프라킷(636)은 동일한 크기로 형성하여 에너지 누수를 최소화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후륜부재(320)는, 외주연에 타이밍기어(321a)를 형성하고 외주의 임의의 지점에 결합공(321b)이 형성되며 일면에는 약간 큰 직경으로 된 원판형의 궤도이탈방지판(321c)이 밀착접합 된 좌우 양측 2개의 후륜(321)과, 강재의 봉체로 형성되되 일측영역에는 등각 배치된 다수개의 치(322a)를 갖는 스프라킷(322b)이 고정수단에 의해 결합고정되고 양단부영역의 후륜(321) 결합영역은 일정폭의 평활면(322c)을 형성한 후륜축(322)과, 상기 후륜(321)을 상기 후륜축(322)에 결합 고정하기 위한 결합볼트(323)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후륜축(322)에는 복수개의 체결와셔(324)와 체결너트(325)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후륜축(322)은 좌,우판프레임(101)(102)의 후륜축결합공(322h)에 결합 된다.
상기 후륜축(322) 일측영역에 결합고정된 스프라킷(322b)은 모터축(211)에 결합고정된 스프라킷(213)과 구동체인(230)으로 연결되어 상기 후륜축(322)에 동력이 전달된다.
상기 후륜축(322)의 스프라킷(322b)과 상기 모터축(211)의 스프라킷(213)은 동일한 크기로 형성하여 에너지 누수를 최소화하기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중계륜부재(330)는, 외주연에 타이밍기어(331a)를 형성하고 외주의 임의 의 지점에 결합공(331b)이 형성되며 일면에는 약간 큰 직경으로 된 원판형의 궤도이탈방지판(331c)이 밀착접합 된 좌우 양측 2개의 중계륜(331)과, 강재의 봉체로 형성되되 양단부영역의 중계륜(331) 결합영역은 일정폭의 평활면(332c)을 형성한 중계륜축(332)과, 상기 중계륜(331)을 상기 중계륜축(332)에 결합 고정하기 위한 결합볼트(333)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중계륜축(332)에는 복수개의 체결와셔(334)와 체결너트(335)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중계륜축(332)은 좌,우판프레임(101)(102)의 중계륜축결합공(332h)에 결합 된다.
상기 중계륜(331)은, 전륜(311)과 후륜(321)의 중간 지점에 결합 되어 본 발명인 운반차의 하중을 분담함과 동시에, 후륜(321)의 동력을 전륜(311)에 전달하는 타이밍벨트(340)의 텐션이 유지될 수 있도록 중계해 줌으로써 타이밍벨트(340)의 이완현상을 막아 준다.
또한 상기 타이밍벨트(timing belt)(340)는, 전륜(311),중계륜(331),후륜(321)의 각 타이밍기어(311a)(331a)(321a)와 맞물릴 수 있도록 내주연에 등간격의 톱니(cog)를 형성하고, 전륜(311)의 타이밍기어(311a)와 후륜(321)의 타이밍기어(321a)를 정확하게 연결하여 후륜축(322)의 전해진 동력을 후륜(321)과 전륜(311)을 통하여 전륜축(312)에 전달한다.
또한 상기 타이밍벨트(340)의 외주연에는 등간격의 발톱(341)을 형성한다.
상기 타이밍벨트(340)는 무한궤도로써 보통의 바퀴에 비해 접지면적이 크고, 특히 외주연에 형성된 발톱(341)에 의하여 지면과의 마찰도 크므로, 본발명의 운반차는 요철(凹凸)이 있는 곳은 물론 건물의 계단도 상승 진행할 수 있게 한다.
상기 타이밍벨트(340)는 본체부(A) 좌우 양측에 2개가 구비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둘레54인치 폭40mm의 타이밍벨트를 사용하였다.
본 발명자는 수많은 시행착오 끝에 상기 타이밍벨트 둘레의 길이가 이보다 긴 경우에는 이에 맞춰 제작한 본 발명인 계단 상승 기능을 갖는 운반차의 규모가 지나치게 커져서 본 발명의 목적 대비 효용성이 떨어지고, 이보다 작은 경우에는 중량의 화물을 선적하였을 때에 본 발명인 운반차는 집중하중을 받게 되어 운행하기가 어려워 바람직하지 못함을 알게 되었다.
또한 상기한 전륜(310), 중계륜(330), 후륜(320)과 하기할 헤드전륜(621) 및 헤드후륜(631)의 직경은 동일하게 형성되며, 본 실시예에서는 직경 10㎝로 동일하게 제작되었다.
이는 상기의 본체부(A) 차륜(310)(320)(330)과 하기할 헤드부(B) 차륜(621)(631)이 동일평면을 갖도록 헤드실린더(650)를 조정하여 고정하면, 계단을 오를 때에는 길어진 길이로 인해 여러 계단이 동일평면을 이루게 되므로 하중이 분산되어 진행이 용이하고, 요철이 있는 평지 진행의 경우도 이치는 같으며, 이는 상기 차륜들의 단위 거리당 회전수를 같게 함으로써 분산된 하중을 고르게 지탱하기 때문이다.
첨부된 도7은 주행륜부재(350)의 개략을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 이고, 도8은 주행륜(351)과 전륜(311) 또는 후륜(321)과의 높이관계를 비교한 설명도이다.
상기 주행륜부재(350)는, 제1주행륜부재(350-1)와 제2주행륜부재(350-2)의 2조가 구비되나, 각 조의 구성은 동일하므로 아래 하나의 통합설명에 갈음한다.
상기 주행륜부재(350)는 평지 진행시 사용된다.
상기 주행륜부재(350)는, 도7에 나타낸 것과 같이 공지의 회전형 주행륜(351)(공지의 캐스터륜을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과, 일면에 상기 주행륜(351) 2개를 결합고정한 장방형의 판형 철편으로 형성되되 상기 판형 철편의 일단부에는 일단에 볼트체를 형성한 환봉으로 된 삽입봉(352a) 타단이 용접결합되고 상기 판형 철편의 타단부에는“⊂” 형상으로 완곡 지거나 또는 “ㄷ” 형상으로 절곡된 환봉으로 된 고정구(352b)의 일단이 용접결합되는 주행륜축(352)과, 상기 주행륜축(352)을 본체프레임(100)에 결합하고 탄지시키기 위한 압축스프링(353), 결합너트(354) 및 체결와셔(355)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주행륜(351)은, 도8에 나타낸 것과 같이 상기 주행륜축(352)과 상기 주행륜(351)의 최외곽둘레와의 직선거리(M)가, 상기 본체부 전륜(311) 또는 후륜(321) 결합지점의 주행륜축(352) 높이와 본체부 전륜(311) 또는 후륜(321)의 최외곽둘레와의 직선거리(m)보다 약간 길게 결합 된다.
또한 이때 일단이 장방형 판형 철편의 타단부에 용접결합된 고정구(352b)의 절곡된 타단부는, 상기 판형 철편으로부터 좌측프레임(101)의 두께보다 약간 큰 간극(g)을 형성한다.
상기 주행륜부재(350)는, 먼저 본체프레임(100)의 내부로부터 주행륜축(352)의 고정구(352b)를 좌판프레임(101)의 고정구삽입장공(352bh)에 깊게 삽입한 후, 다시 상기 주행륜축(352)의 삽입봉(352a)을 우판프레임(102)의 삽입봉삽입공(352ah)에 삽입하여 우판프레임(102) 외측에 돌출되는 상기 삽입봉(352c)에 압축스프링(353)을 개재시킨 다음 결합너트(354)를 결합하여 상기 본체프레임(100)에 결합한다.
이때 상기 주행륜부재(350)는, 상기 고정구(352b)의 걸림부(352c)가 상기 고정구삽입장공(352bh)에 걸리게 되어 회전되지 않으므로, 상기 주행륜(351)은 바닥에 끌리지 않게 된다.
다음, 상기 주행륜(351)을 동작하고자 할 때에는, 상기 고정구(352b)를 손으로 잡아당기고 회전시켜 상기 고정구(352b)의 걸림부(352c)를 좌판프레임(101)의 걸림부고정공(352ch)에 위치시키면, 압축스프링(353)의 복원력에 의해 상기 걸림부(352c)가 상기 걸림부고정공(352ch)에 삽입되므로 상기 주행륜부재(350)는 다시 본체프레임(100)에 고정되게 된다.
이때 상기 주행륜축(352b)은 본체프레임(100)의 주행륜축지지바(103)(104)에 밀착 지지 되고, 상기 주행륜(351)은, 상기 주행륜축(352)과 상기 주행륜(351)의 최외곽둘레와의 직선거리(M)가, 상기 본체부 전륜(311) 결합지점에서의 상기 주행륜축(352) 높이와 본체부 전륜(311)의 최외곽둘레와의 직선거리(m)보다 약간 길게 결합되어 있으므로, 주행위치로 이동된 주행륜(351)에 의해 차체가 위로 들리게 되므로 수동 주행이 가능해지게 된다.
도9는 보조륜부재(360)의 개략을 나타낸 설명도이고, 도10은 보조륜(361)과 후륜(321)과의 높이관계를 비교한 설명도이다.
도9에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보조륜부재(360)는, 공지의 회전형 보조륜(361)(공지의 캐스터륜을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과, 강재의 환봉으로 절곡 형성되되, 후판프레임(108)의 중앙영역에 통공된 보조륜축결합공(362h)에 결합되는 중앙부(362a), 상기 중앙부(362a)의 일단부에서 직각으로 수평 절곡된 타단부에는 상기 보조륜(361)이 결합고정되는 보조륜결합부(362b), 상기 중앙부(362a)의 타단부에서 직상방으로 수직 절곡되는 레버부(362c)가 일체로서 형성되는 보조륜축(362)으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레버부(362c)에 삽입하여 상기 레버부(362c)의 작동을 보조할 수 있는 파이프체의 보조레버(363)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보조레버(363)는 별도의 공구함 등에 구비된다.
또한 이때 상기 후판프레임(108)의 보조륜축결합공(362h) 지근거리에는 베아링결합공(bh)이 통공되어 베아링(b)이 장착된다
또한 이때 상기 보조륜(361)은, 상기 보조륜축(362)과 상기 보조륜(361)의 최외곽 둘레와의 직선거리(M')가, 상기 본체부 후륜(321) 결합지점에서의 상기 보조륜축(362) 높이와 본체부 후륜(321)의 최외곽둘레와의 직선거리(m')보다 약간 길게 결합 된다.
또한 상기 보조륜부재(360)는, 중앙부(362a)가 후판프레임(108) 중앙영역에 통공된 보조륜축결합공(362h)에 삽입되어 결합수단에 의해 결합되되, 상기 보조륜축(362)의 보조륜결합부(362b)는 상기 후판프레임(108)의 안쪽에 수평되게 위치되고, 상기 레버부(362c)는 상기 후판프레임(108)의 외부에서 수직으로 솟아 있는 상태로 위치된다.
다음, 상기 보조륜(361)을 동작하고자 할 때에는, 파이프체로 된 보조레버(363)를 상기 레버부(362c)에 삽입결합하고 앞으로 당겨 상기 보조레버(363)를 90도 회전시킨 상태에서 좌측프레임(101)에 축결합되어 있는 보조레버고정쇠(363f)에 걸어 고정한다.
이때 상기 보조륜(361)은, 상기 보조륜축(362)과 상기 보조륜(361)의 최외곽 둘레와의 직선거리(M')가, 상기 본체부 후륜(321) 결합지점에서의 상기 보조륜축(362) 높이와 본체부 후륜(321)의 최외곽둘레와의 직선거리(m')보다 약간 길게 결합되어 있으므로, 작동위치로 이동된 상기 보조륜(361)에 의해 본 발명인 계단상승기능을 겸비한 운반차는 후미가 위로 들린 3륜 상태에서 수동 운전이 가능해 지게 된다.
즉, 상기와 같이 보조륜(361)이 수동 운전 가능한 작동위치로 이동되어 지면에 닿게되면 본체부(A)의 후륜(321)이 위로 들리게 되어 차체는 3륜 상태가 되므로 계단난간의 좁은 공간에서도 용이하게 회전할 수 있다.
첨부된 도11은 상판부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12는 상판부와 손잡이부를 결합한 상태를 나타낸 설명도이다.
첨부된 도면에 나타낸 것과 같이 상기 상판부(400)는, 물건을 선적하는 상판(410)과, 상기 상판(410)의 하부에 용접결합되어 상기 상판(410)을 고정하는 상판프레임(420)과, 상기 상판(410)의 하부에 결합되어 상기 상판(410)의 급강하를 완충하기 위한 2개의 완충실린더(4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상판(410)은 4각의 철판으로 형성되며, 중량을 줄이기 위해 임의영역에 다수개의 중량감량공(411)을 형성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상기 상판(410) 상면의 상측 양쪽 영역에는 체결공(412')이 통공된 파이프체로 된 2개의 손잡이결합파이프(412)의 일단부가 용접결합된다.
상기 상판프레임(420)은 철제 사각파이프로 된 사각틀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상판프레임(420)의 상부영역 양쪽 측단부 영역에는 도11에 나타낸 것과 같이 중앙부에 결합공(422)을 통공한 결합편(421)이 용접결합된다.
상기의 상판(410)은 상판프레임(420)에 용접결합되어 고정되며 또한 상판프레임(420)의 상부영역 양쪽 측단부 영역에 용접결합된 결합편(421)의 결합공(422)에는 좌,우판프레임(101)(102)에 결합되어 있는 상판결합축(440)의 양단이 회전가능하게 삽입되어 외측으로부터 볼트체결된다.
또한, 상기한 2개의 완충실린더(430)는, 상판(410) 상부에 선적된 물건의 하중을 지탱하며, 하중에 의해 상판(410)이 갑작스럽게 하강하게 되는 상황에서도 상판(410)의 급강하를 완충함으로써 선적된 물건의 파손을 방지하기 위해 결합 된다.
상기 2개의 완충실린더(430)의 상부슬롯은 상판(410) 저면 중앙영역의 동일선상에 일정간격으로 용접결합되어 있는 2개의 완충실린더결합구(413)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하부슬롯은 본체프레임(100)의 좌,우판프레임(101)(102)에 결합되는 완충실린더결합축(450)에 회전가능하게 결합 된다.
상기 각 완충실린더(430)에는, 도1에 나타낸 것과 같이 완충실린더의 유압탱크(431)와 동일용량의 보조탱크(432)를 병열로 각각 부가 결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사용 기름은 미싱 기름을 사용하는 것이 부드러워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손잡이부(500)는, 강재 파이프체를 ∩형상으로 절곡하여 형성하되 상,하부영역에 상부가로대(511)와 하부가로대(512)가 용접 결합된 손잡이(510)와, 상판(410)의 상부에 직각(90°)으로 용접결합되어 있는 손잡이결합파이프(412)에 손잡이(510) 양 하단부를 삽입하고 체결 고정하기 위한 체결볼트(520)와, 상기 손잡이(510)의 상부가로대(511)에 장착되고 구동부(2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운반차의 on/off, 가감속, 정역회전을 조절할 수 있는 스위치박스(5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손잡이(510)의 양 하단부에는 체결공(513)이 통공된다.
상기 손잡이(510)의 하부가로대(512) 중앙부에는 헤드실린더결합구(655)를 탈부착하기 위한 복수개의 헤드실린더결합구 결합공(514)이 통공된다.
본 발명인 운반차가 계단을 오를 때에는 상기 손잡이(510)를 앞으로 당겨 제쳐줌으로써, 동시에 상판(410)이 서서히 당겨지며 지면에 수평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여 상판(410) 위에 선적된 물건이 미끄러져 떨어지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당겨진 상판(410)은, 상판(410) 하면에 결합 된 2개의 완충실린더(430)의 버팀을 받으며 안정을 유지하게 되며, 상기 2개의 완충실린더(430)는 상판(410)의 급격한 하강 상황에서도 완충역할을 해주게 되므로 선적된 화물을 안전하게 운반할 수 있게 된다.
첨부된 도13은 헤드부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상기 헤드부(B)는, H프레임(610), 헤드전륜부재(620), 헤드후륜부재(630), V벨트(640) 및 헤드실린더(650)로 구성된다.
상기 H프레임(610)은, 중심축인 철제사각파이프 양단에 헤드좌프레임(611)과 헤드우프레임(612)이 용접결합되어 형성되며, 상기 헤드좌,우프레임(611),(612)에는 각각 헤드전륜축결합장공(622h)과 헤드후륜축결합공(632h)이 통공되고, 상기 각 헤드전륜축결합장공(622h)과 헤드후륜축결합공(632h)의 지근거리에는 각각 베아링(b)을 장착할 수 있도록 베아링결합공(bh)이 통공되어 각각 베아링(b)이 장착된다.
이때 상기 헤드좌,우프레임(611),(612)의 헤드전륜축결합장공(622h)은, V벨트(640)의 텐션을 유지하기 위해 헤드전륜축(622)의 결합위치 조절이 가능하도록 장공으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헤드전륜부재(620)는, 헤드전륜(621), 헤드전륜축(622) 및 결합볼트(623)로 구성되며, 상기 헤드전륜(621)은 V벨트폴리로 형성되고, 상기 헤드전륜축(622)은 상기 헤드좌,우프레임(611),(612)의 헤드전륜축결합장공(622h)에 결합된다.
상기 헤드전륜축(622)은, 중앙부에는 헤드실린더(650)의 하부슬롯이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헤드전륜(621) 결합영역은 일정폭의 평활면(624)을 형성한다.
이때 상기 헤드실린더(650)의 상부슬롯에는 헤드실린더결합구(655)가 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 있어 상기 헤드실린더결합구(655)가 손잡이(510) 하부가로대(512) 중앙부에 통공된 헤드실린더결합구 결합공(514)에 탈, 부착된다.
상기 헤드후륜부재(630)는, 헤드후륜(631), 헤드후륜축(632) 및 결합볼트(633)로 구성되며, 상기 헤드후륜(631)은 V벨트폴리로 형성되고, 상기 헤드후륜축(632)은 상기 헤드전륜축(622) 보다 길게 형성되어 상기 헤드좌,우프레임(611),(612)의 헤드후륜축결합공(632h)에 결합되되 상기 헤드후륜축(632)의 좌우측 연장부는 다시 본체프레임부(100)의 좌,우판프레임(101)(102)에 형성된 헤드후륜축결합공(632h)에 결합된다.
상기 헤드후륜축(632)은, 헤드후륜(631) 결합영역은 일정폭의 평활면(634)을 형성하며, 중앙부에는 스프로킷(635)이 결합고정되어 본체부(A)의 전륜축(312) 중앙부에 결합고정되어 있는 스프로킷(312b)과 연결체인(636)으로 연결되어 상기 헤드후륜축(632)에 동력이 전달된다.
상기 V벨트(640)는, 상기 헤드후륜축(632)에 전달된 동력을 헤드전륜(621)에 전달하여 헤드전륜(621)을 회전시킨다.
상기 헤드실린더(650)는, 유압탱크(651)와 동일용량의 보조탱크(652)가 병렬 연결되고 상하부에는 유량의 흐름을 조절할 수 있는 상부밸브(653)와 하부밸브(654)가 구비된다.
상기 헤드실린더(650)의 상부슬롯에는 헤드실린더결합구(655)가 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 있고, 상기 헤드실린더결합구(655)는 손잡이(510)의 하부가로대(512) 중앙부에 통공된 헤드실린더결합공(514)에 필요에 따라 선택적으로 탈,부착된다.
상기 헤드실린더(650)는, 미싱 기름을 사용하는 것이 부드러워 바람직하다.
다음은 본 발명인 계단상승기능을 겸비한 운반차의 작용효과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판형의 좌판프레임(101)과 우판프레임(102)을, 제1주행륜축지지바(103),제2주행륜축지지바(104),배터리장착선반(105),모터장착선반(106),후방결합축(107) 및 후판프레임(108)에 의해 볼트체결 하여 본체프레임부(100)를 구성한다.
다음 상기 본체프레임부(100)의 좌,우판프레임(101)(102)에 통공된, 전륜축결합장공(312h)에 전륜부재(310)의 전륜축(312)을, 중계륜축결합공(332h)에 중계륜부재(330)의 중계륜축(332)을, 후륜축결합공(322h)에 후륜부재(320)의 후륜축(322)을, 또한 같은 방식으로 주행륜부재(350), 보조륜부재(360) 및 보조레버고정쇠(363f)를 각각 결합한다.
이때 상기 전륜축(312)은, 먼저 전륜(311)과 후륜(321)에 타이밍벨트(340)를 걸고 상기 타이밍벨트(340)를 당겨 텐션을 조절한 후 상기 전륜축결합장공(312h)에 결합고정 한다.
이어서 상기 좌,우판프레임(101)(102)의 상판결합축결합공(440h)에 상판결합축(440)을 결합하고, 상판결합축(440) 양단을 상판프레임(420)의 좌우측단부 상부영역에 용접결합된 결합편(421)의 결합공(422)에 삽입하고 외부로부터 결합너트로 회전가능하게 결합한다.
다음 스위치박스(530)를 결합한 손잡이(510)를 상판(410)의 손잡이결합파이프(412)에 삽입하여 체결볼트(520)로 체결하고 스위치박스(530)를 구동부(200)의 배터리(220), 구동 모터(210)와 전기적으로 연결한다.
이어서 상기 좌,우판프레임(101)(102)의 완충실린더결합축결합공(450h)에는 완충실린더(430)의 하부슬롯이 회전가능하게 결합된 완충실린더결합축(450)을 결합하고, 완충실린더(430)의 상부슬롯을 상판(410) 하면에 용접결합된 완충실린더결합구(413)에 회전가능하게 결합하여 본체부(A)의 결합을 완료한다.
다음, 헤드부(B)의 H프레임(610)의 헤드전륜축결합장공(622h)에는, 헤드실린더(650)의 하부슬롯이 회전가능하게 결합된 헤드전륜부재(620)의 헤드전륜축(622)을, 헤드후륜축결합공(632h)에는, 중앙부에 스프로킷(635)을 결합고정 한 헤드후륜부재(630)의 헤드후륜축(632)을 결합하고, 다시 헤드후륜축(632) 양단의 연장축은 좌,우판프레임부(101)(102)의 헤드후륜축결합공(632H)에 결합 된다.
또한 헤드실린더(650) 상부슬롯에 결합 되어 있는 헤드실린더결합구(655)를 손잡이(510)의 하부가로대(512) 중앙부에 통공된 헤드실린더결합구 결합공(514)에 결합한다.
이때 상기 헤드전륜축(622)은, 먼저 헤드전륜(621)과 헤드후륜(631)에 V벨트(640)를 걸고 상기 V벨트(640)를 당겨 텐션을 조절한 후 헤드전륜축결합장공(622h)에 결합고정하여 헤드부(B)의 결합을 완료한다.
이어서 헤드후륜축(632) 중앙부의 스프로킷(635)과 전륜축(312) 중앙부의 스프로킷(312b)을 연결체인(636)으로 연결하여 본 발명인 계단상승기능을 겸비한 운반차의 구성을 완료한다.
완성된 본 발명인 계단상승기능을 겸비한 운반차는, 평지에서는 상판(410)에 화물을 적재하고 스위치를 가동하면 평지를 전진하기 시작한다.
이때 평지에서도 헤드실린더(650)를 작동하여 헤드부(B)의 헤드전륜(621)과 헤드후륜(631)을 본체부(A)의 전륜(311), 중계륜(331) 및 후륜(321)과 동일평면을 이루도록 헤드실더(650)의 상,하부밸브(653)(654)를 고정하고 운행하면, 전체 하중이 고르게 분산되어 화물을 적재한 본 발명인 계단상승기능을 겸비한 운반차는 한층 더 용이하게 전진하게 된다.
첨부된 도14 내지 도15는 본 발명인 계단상승기능을 겸비한 운반차의 계단상승 상태도이다.
도14 내지 도15에 나타낸 것과 같이 본 발명인 계단상승기능을 겸비한 운반차가 계단을 오르게 되는 경우에는, 헤드실린더(650)를 당겨 헤드부(B)의 헤드전륜(621)과 헤드후륜(631)을 이루는 평면의 각도를 난간 형성각도에 맞춰 당겨주고, 상,하부밸브(653)(654)를 닫아 유압을 고정한 후, 구동부(200)의 동력을 인가하면서 인력으로 손잡이(510)를 앞으로 당겨주면, 상판(410) 하부에 결합 되어 있는 완충실린더(430)가 서서히 신장되며 상판(410)이 서서히 위로 따라 올라와 수평을 유지할 수 있게 되고, 전체 무게중심은 상부의 헤드부(H)로 이동하게 되어, 헤드전륜(621),헤드후륜(631)이 하중을 받으며 밀려 올라가게 되고, 이어서 본체부(A)가 계단을 따라 올라가게되어, 헤드전륜(621),헤드후륜(631),전륜(311),중계륜(331) 및 후륜(321)은 동일평면을 이루며 계단을 오르게 된다.
즉, 계단을 오를 때에는 헤드부(H)의 헤드전륜(621)과 헤드후륜(631) 및 본체부(A)의 전륜(311), 중계륜(331) 및 후륜(321)이 동일평면을 이루고 길게 계단을 상승진행 하며 하중이 여러 계단에 걸쳐 분산되므로 계단상승이 훨씬 수월해 진다.
이때 행여 손잡이(510)를 놓치더라도 완충실린더(430)의 완만한 하강작용에 의해 화물을 실은 상판(410)은 서서히 하강하게 되므로 안전을 도모할 수 있다.
상기한 것과 같이 헤드실린더(650)를 당겨 헤드부(B)의 헤드전륜(621)과 헤드후륜(631)을 이루는 평면각도를, 난간 형성각도에 맞춰 조절하는 것이 매우 용이하므로, 본 발명인 계단 상승 기능을 갖는 운반차(1)는 다양한 높이로 이루어진 계단이 있는 건물에도 보편적으로 사용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계단 중간층의 계단바닥면에 다다르면, 보조레버(363)를 보조륜부재(360)의 레버부(362c)에 삽입하고 앞으로 당긴 후 좌판프레임(101)에 축결합되어 있는 보조레버고정쇠(363f)에 걸어 고정하면, 이때 상기 보조륜(361)은, 상기 보조륜축(362)과 상기 보조륜(361)의 최외곽둘레와의 직선거리(M')가, 상기 본체부 전륜(311)의 결합지점에서의 상기 보조륜축(362)의 높이와 본체부 전륜(311)의 최외곽둘레와의 직선거리(m')보다 약간 길도록 결합되어 있으므로, 작동위치로 이동된 상기 보조륜(361)에 의해 본 발명인 계단상승기능을 겸비한 운반차는 후미가 위로 들린 3륜 상태에서 수동 회전이 가능해 지게 된다.
즉, 상기와 같이 보조륜(361)이 수동 운전 가능한 작동위치로 이동되어 지면에 닿게되면 본체부(A)의 후륜(321)이 위로 들리게 되어, 차체는 3륜 상태가 되므로, 계단난간의 좁은 공간에서도 용이하게 회전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와 같은 3륜상태에서는 주행륜(351)을 작동하기가 매우 용이해 진다.
다시말하면 상기 주행륜(351)을 동작하고자 할 때에는, 상기와 같이 3륜상태에서 작동하거나 또는 인력으로 차체의 후미부를 들어올린 후, 상기 고정구(352b)를 손으로 잡아당기고 회전시켜 상기 고정구(352b)의 걸림부(352c)를 좌판프레임(101)의 걸림부고정공(352ch)에 위치시키면, 압축스프링(353)의 복원력에 의해 상기 걸림부(352c)가 상기 걸림부고정공(352ch)에 삽입되므로 상기 주행륜부재(350)는 다시 본체프레임(100)에 고정되게 되며, 이때 상기 주행륜축(352b)은 본체프레임(100)의 주행륜축지지바(103)(104)에 밀착 지지 되고, 상기 주행륜(351)은, 상기 주행륜축(352)과 상기 주행륜(351)의 최외곽둘레와의 직선거리(M)가, 상기 본체부 전륜(311) 결합지점에서의 상기 주행륜축(352) 높이와 본체부 전륜(311)의 최외곽둘레와의 직선거리(m)보다 약간 길도록 결합되어 있으므로, 주행위치로 이동된 주행륜(351)에 의해 차체가 위로 들리게 되므로 수동 주행이 가능해지게 되는 것이다.
또한 작업이 완료된 이후에는 본 발명인 계단 상승 기능을 갖는 운반차(1)는, 손잡이부의 체결볼트(520)를 해체하고 헤드실린더결합구 결합공(514)으로부터 헤드실린더결합구(655)를 분리하면 용이하게 손잡이부(500)를 분리할 수 있고, 이어서 좌우판프레임(101)(102)의 헤드후륜축결합공(632H)으로부터 헤드후륜축(632)을 해체하면 용이하게 헤드부(B)를 분리할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인 계단상승기능을 겸비한 운반차의 운반과 보관이 매우 용이하다.
이상, 본 발명인 계단상승기능을 겸비한 운반차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면을 첨부하여 자세히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와 상기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한 도면의 범위 안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함은 자명하다.
A 본체부 B 헤드부 b 베아링 bh 베아링결합공 h 결합공 v 골 g 간극
100 본체프레임부 101 좌판프레임 102 우판프레임 103 제1주행륜축지지바 104 제2주행륜축지지바 105 배터리장착선반 105‘ 배터리보관함 106 모터장착선반 107 후방결합축 107’ 돌출부 108 후판프레임
101h 중량삭감공 102h 중량삭감공 103h 제1주행륜축지지바결합공 104h 제2주행륜축지지바결합공 105h 배터리장착선반결합공 106h 모터장착선반결합공 107h 후방결합축결합공 108h 후판프레임결합공 312h 전륜축결합장공 322h 후륜축결합공 332h 중계륜축결합공 352ah 삽입봉삽입공 352bh 고정구삽입장공 352ch 걸림부고정공 362h 보조륜축결합공 363fh 보조레버고정쇠결합공 440h 상판결합축결합공 450h 완충실린더결합축결합공 632H 헤드후륜축결합공
200 구동부 210 모터 211 모터축 212 치 213 스프라킷 220 배터리 230 구동체인
300 차륜부
310 전륜부재 311 전륜 311a 타이밍기어 311b 결합공 311c 궤도이탈방지판 312 전륜축 312a 치 312b 스프라킷 312c 평활면 313 결합볼트 314 체결와셔 315 체결너트
320 후륜부재 321 후륜 321a 타이밍기어 321b 결합공 321c 궤도이탈방지판 322 후륜축 322a 치 322b 스프라킷 322c 평활면 323 결합볼트 324 체결와셔 325 체결너트
330 중계륜부재 331 중계륜 331a 타이밍기어 331b 결합공 331c 궤도이탈방지판 332 중계륜축 332a 치 332b 스프라킷 332c 평활면 333 결합볼트 334 체결와셔 335 체결너트
340 타이밍벨트(timing belt) 341 발톱
350 주행륜부재 350-1 제1주행륜부재 350-2 제2주행륜부재 351 주행륜 352 주행륜축 352a 삽입봉 352b 고정구 352c 걸림부 353 압축스프링 354 결합너트 355 체결와셔
360 보조륜부재 361 보조륜 362 보조륜축 362a 중앙부 362b 보조륜결합부 362c 레버부 363 보조레버 363f 보조레버고정쇠
400 상판부 410 상판 411 중량감량공 412 손잡이결합파이프 412‘ 체결공 413 완충실린더결합구 420 상판프레임 421 결합편 422 결합공 430 완충실린더 431 유압탱크 432 보조탱크 440 상판결합축 450 완충실린더결합축
500 손잡이부 510 손잡이 511 상부가로대 512 하부가로대 513 체결공 514 헤드실린더결합구 결합공 520 체결볼트 530 스위치박스
610 H프레임 611 헤드좌프레임 612 헤드우프레임 622h 헤드전륜축결합장공 632h 헤드후륜축결합공
620 헤드전륜부재 621 헤드전륜 622 헤드전륜축 623 결합볼트 624 평활면
630 헤드후륜부재 631 헤드후륜 632 헤드후륜축 633 결합볼트 634 평활면 635 스프로킷 636 연결체인
640 V벨트
650 헤드실린더 651 유압탱크 652 보조탱크 653 상부밸브 654 하부밸브 655 헤드실린더결합구

Claims (24)

  1. 판형의 좌판프레임(101)과 판형의 우판프레임(102)을 장방형의 철편으로 형성되는제1주행륜축지지바(103), 제2주행륜축지지바(104), 배터리장착선반(105) 및 모터장착선반(106)과 후방결합축(107) 및 후판프레임(108)에 의해 볼트체결 되어 결합 구성되는 본체프레임부(100);
    구동 모터(210)와, 배터리(220)와, 모터축(211)의 스프라킷(미도시)과 후륜축(322)의 스프라킷(322b)에 연결되어 상기 후륜축(322)에 동력을 전달하는 구동체인(23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구동 모터(210) 및 배터리(220)는 손잡이부(500)의 스위치박스(53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동력을 구동 및 제어하는 구동부(200);
    전륜(311)과, 전륜축(312)과, 상기 전륜(311)을 상기 전륜축(312)에 결합 고정하기 위한 결합볼트(313)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본체프레임부(100)의 전륜축결합장공(312h)에 결합되는 전륜부재(310)와,
    후륜(321)과, 후륜축(322)과, 상기 후륜(321)을 상기 후륜축(322)에 결합 고정하기 위한 결합볼트(323)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본체프레임부(100)의 후륜축결합공(322h)에 결합되는 후륜부재(320)와,
    중계륜(331)과, 중계륜축(332)과, 상기 중계륜(331)을 상기 중계륜축(332)에 결합 고정하기 위한 결합볼트(333)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본체프레임부(100)의 중계륜축결합공(332h)에 결합되는 중계륜부재(330)와,
    전륜(311)의 타이밍기어(311a)와 후륜(321)의 타이밍기어(321a)를 연결하여 후륜축(322)의 전해진 동력을 후륜(321)과 전륜(311)을 통하여 전륜축(312)에 전달하는 타이밍벨트(340)와,
    주행륜(351)과, 주행륜축(352)과, 상기 주행륜축(352)을 본체프레임(100)에 결합하고 탄지시키기 위한 압축스프링(353), 결합너트(354) 및 체결와셔(355)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본체프레임부(100)의 제1주행륜축지지바결합공(103h)과 제2주행륜축지지바결합공(104h)에 결합되는 복수개의 주행륜부재(350)와,
    보조륜(361)과, 보조륜축(362)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본체프레임부(100)의 보조륜축결합공(362h)에 결합되는 보조륜부재(36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차륜부(300);
    물건을 선적하는 상판(410)과, 상기 상판(410)의 하부에 용접결합되어 상기 상판(410)을 고정하는 상판프레임(420)과, 상기 상판(410)의 하부에서 상부슬롯은 상판(410) 저면 중앙영역의 동일선상에 일정간격으로 용접결합되어 있는 2개의 완충실린더결합구(413)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하부슬롯은 본체프레임(100)의 좌,우판프레임(101)(102)에 결합되는 완충실린더결합축(450)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상판(410)의 급강하를 완충하기 위한 2개의 완충실린더(43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상판부(400);
    강재 파이프체를 ∩형상으로 절곡하여 형성하되 상,하부영역에 상부가로대(511)와 하부가로대(512)가 용접 결합되고 양 하단부에 체결공(513)이 통공된 손잡이(510)와, 상판(410)의 상부에 직각(90°)으로 용접결합되어 있는 손잡이결합파이프(412)에 손잡이(510) 양 하단부를 삽입하고 체결 고정하기 위한 체결볼트(520)와, 상기 손잡이(510)의 상부가로대(511)에 장착되고 구동부(2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운반차의 on/off, 가감속, 정역회전을 조절할 수 있는 스위치박스(53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손잡이부(500);로 이루어지는 본체부(A)와,
    중심축인 철제사각파이프 양단에 헤드좌프레임(611)과 헤드우프레임(612)이 용접결합되어 형성되며, 상기 헤드좌,우프레임(611),(612)에는 각각 헤드전륜축결합장공(622h)과 헤드후륜축결합공(632h)이 통공되고, 상기 각 헤드전륜축결합장공(622h)과 헤드후륜축결합공(632h)의 지근거리에는 각각 베아링(b)을 장착할 수 있도록 베아링결합공(bh)이 통공되어 각각 베아링(b)이 장착되는 H프레임(610);
    V벨트폴리로 형성되는 헤드전륜(621)과, 중앙부에는 헤드실린더(650)의 하부슬롯이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헤드전륜(621) 결합영역은 일정폭의 평활면(624)을 형성하며 상기 헤드좌,우프레임(611),(612)의 헤드전륜축결합장공(622h)에 결합되는 헤드전륜축(622) 및 상기 헤드전륜(621)을 상기 헤드전륜축(622)에 결합하기 위한 결합볼트(623)로 구성되는 헤드전륜부재(620);
    V벨트폴리로 형성되는 헤드후륜(631)과, 헤드후륜(631) 결합영역은 일정폭의 평활면(634)을 형성하며, 중앙부에는 스프로킷(635)이 결합고정 되어 본체부(A)의 전륜축(312) 중앙부에 결합고정 되어있는 스프로킷(312b)과 연결체인(636)으로 연결되고, 상기 헤드전륜축(622) 보다 길게 형성되어 헤드좌,우프레임(611),(612)의 헤드후륜축결합공(632h)에 결합 된 좌우측 연장축은 다시 본체프레임부(100)의 좌,우판프레임(101)(102)에 형성된 헤드후륜축결합공(632h)에 결합되는 헤드후륜축(632)과, 상기 헤드후륜(631)을 상기 헤드후륜축(632)에 결합하기 위한 결합볼트(633)로 구성되는 헤드후륜부재(630);
    상기 헤드전륜(621)과 상기 헤드후륜(631)을 연결하는 V벨트(640);
    상부슬롯은 헤드실린더결합구(655)가 회전가능하게 결합 되어 손잡이(510) 하부가로대(512) 중앙부에 통공된 헤드실린더결합구 결합공(514)에 탈, 부착되고 하부슬롯은 헤드전륜축(622) 중앙부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헤드실린더(650);로 이루어지는 헤드부(B)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단상승기능을 겸비한 운반차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좌,우판프레임(101)(102)에 통공되는 헤드후륜축결합공(632h), 전륜축결합장공(312h), 중계륜축결합공(332h) 및 후륜축결합공(322h)은 지면으로부터 동일한 높이에 통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단상승기능을 겸비한 운반차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주행륜축지지바(103),제2주행륜축지지바(104),배터리장착선반(105)과 모터장착선반(106)을 형성하는 장방형의 철편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중앙부에 "V" 형상의 골(v)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단상승기능을 겸비한 운반차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좌,우판프레임(101)(102)의 상기 헤드후륜축결합공(632h)은, 상기 전륜축결합장공(312h)의 전단부로부터 전륜(311)의 반경 길이보다는 길고 전륜(311)의 직경 길이보다는 작은 거리가 이격 되게 통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단상승기능을 겸비한 운반차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차륜부(300)의 전륜부재(310)는, 외주연에 타이밍기어(311a)를 형성하고 외주의 임의의 지점에 결합공(311b)이 형성되며 일면에는 약간 큰 직경으로 된 원판형의 궤도이탈방지판(311c)이 밀착접합 된 좌우 양측 2개의 전륜(311)과, 강재의 봉체로 형성되되 중앙부에는 등각 배치된 다수개의 치(312a)를 갖는 스프라킷(312b)이 고정수단에 의해 결합고정되고 양단부영역의 전륜(311) 결합영역은 일정폭의 평활면(312c)을 형성한 전륜축(312)과, 상기 전륜(311)을 상기 전륜축(312)에 결합 고정하기 위한 결합볼트(313)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차륜부(300)의 후륜부재(320)는, 외주연에 타이밍기어(321a)를 형성하고 외주의 임의의 지점에 결합공(321b)이 형성되며 일면에는 약간 큰 직경으로 된 원판형의 궤도이탈방지판(321c)이 밀착접합 된 좌우 양측 2개의 후륜(321)과, 강재의 봉체로 형성되되 일측영역에는 등각 배치된 다수개의 치(322a)를 갖는 스프라킷(322b)이 고정수단에 의해 결합고정되고 양단부영역의 후륜(321) 결합영역은 일정폭의 평활면(322c)을 형성한 후륜축(322)과, 상기 후륜(321)을 상기 후륜축(322)에 결합 고정하기 위한 결합볼트(323)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차륜부(300)의 중계륜부재(330)는, 외주연에 타이밍기어(331a)를 형성하고 외주의 임의의 지점에 결합공(331b)이 형성되며 일면에는 약간 큰 직경으로 된 원판형의 궤도이탈방지판(331c)이 밀착접합 된 좌우 양측 2개의 중계륜(331)과, 강재의 봉체로 형성되되 양단부영역의 중계륜(331) 결합영역은 일정폭의 평활면(332c)을 형성한 중계륜축(332)과, 상기 중계륜(331)을 상기 중계륜축(332)에 결합 고정하기 위한 결합볼트(333)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차륜부(300)의 타이밍벨트는(340)는, 외주연에는 등간격의 발톱(341)을 형성하되, 전륜(311),중계륜(331),후륜(321)의 각 타이밍기어(311a)(331a)(321a)와 맞물릴 수 있도록 내주연에 등간격의 톱니(cog)를 형성하고,
    상기 차륜부(300)의 주행륜부재는(350)는, 공지의 회전형 주행륜(351)과, 일면에 상기 주행륜(351) 2개를 결합고정한 장방형의 판형 철편으로 형성되되 상기 판형 철편의 일단부에는 일단에 볼트체를 형성한 환봉으로 된 삽입봉(352a) 타단이 용접결합되고, 상기 판형 철편의 타단부에는“⊂” 형상으로 완곡 지거나 또는 “ㄷ” 형상으로 절곡된 환봉으로 된 고정구(352b)의 일단이 용접결합되는 주행륜축(352)과, 상기 주행륜축(352)을 본체프레임(100)에 결합하고 탄지시키기 위한 압축스프링(353), 결합너트(354) 및 체결와셔(355)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차륜부(300)의 보조륜부재는(360)는, 공지의 회전형 보조륜(361)과, 강재의 환봉으로 절곡 형성되되 후판프레임(108)의 중앙영역에 통공된 보조륜축결합공(362h)에 결합되는 중앙부(362a), 상기 중앙부(362a)의 일단부에서 직각으로 수평 절곡된 타단부에는 상기 보조륜(361)이 결합고정되는 보조륜결합부(362b), 상기 중앙부(362a)의 타단부에서 직상방으로 수직 절곡되는 레버부(362c)가 일체로서 형성되는 보조륜축(362)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단상승기능을 겸비한 운반차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주행륜(351)은, 상기 주행륜축(352)과 상기 주행륜(351)의 최외곽둘레와의 직선거리(M)가, 상기 본체부 전륜(311) 결합지점에서의 상기 주행륜축(352)의 높이와 본체부 전륜(311)의 최외곽둘레와의 직선거리(m)보다 약간 길도록 결합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단상승기능을 겸비한 운반차
  13.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판형 철편 타단부에 일단이 용접결합된 상기 고정구(352b)의 절곡된 타단은, 상기 판형 철편의 타단부로부터 좌측프레임(101) 두께보다 약간 큰 간극(g)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단상승기능을 겸비한 운반차
  14. 삭제
  15.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레버부(362c)에는, 상기 레버부(362c)의 작동을 보조할 수 있게 파이프체의 보조레버(363)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단상승기능을 겸비한 운반차
  16.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륜(361)은, 상기 보조륜축(362)과 상기 보조륜(361)의 최외곽 둘레와의 직선거리(M')가, 본체프레임부(100)의 전륜(311) 결합지점에서의 상기 보조륜축(362) 높이와 전륜(311)의 최외곽둘레와의 직선거리(m')보다 약간 길도록 결합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단상승기능을 겸비한 운반차
  17. 삭제
  1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완충실린더(430)에는, 완충실린더의 유압탱크(431)와 동일용량의 보조탱크(432)를 병열로 각각 부가 결합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단상승기능을 겸비한 운반차
  19. 삭제
  20. 삭제
  21. 삭제
  22. 삭제
  2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헤드실린더(650)의 상부슬롯에는 헤드실린더결합구(655)가 회전가능하게 결합 되어 손잡이(510) 하부가로대(512) 중앙부에 통공된 헤드실린더결합구결합공(514)에 탈,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단상승기능을 겸비한 운반차
  2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헤드실린더(650)는, 유압탱크(651)와 동일용량의 보조탱크(652)가 병렬 연결되고 유압탱크(651)의 상하부에는 유량의 흐름을 조절할 수 있는 상부밸브(653)와 하부밸브(654)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단상승기능을 겸비한 운반차
KR1020120018378A 2012-02-23 2012-02-23 계단상승기능을 겸비한 운반차 KR10137959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18378A KR101379594B1 (ko) 2012-02-23 2012-02-23 계단상승기능을 겸비한 운반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18378A KR101379594B1 (ko) 2012-02-23 2012-02-23 계단상승기능을 겸비한 운반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96848A KR20130096848A (ko) 2013-09-02
KR101379594B1 true KR101379594B1 (ko) 2014-04-04

Family

ID=494494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18378A KR101379594B1 (ko) 2012-02-23 2012-02-23 계단상승기능을 겸비한 운반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79594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66315B1 (ko) * 2015-07-16 2016-10-13 한양대학교 에리카산학협력단 여행용 캐리어
RU217341U1 (ru) * 2023-02-20 2023-03-28 Леонид Витальевич Гущин Гусеничный транспортер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627259B (zh) * 2013-11-14 2016-09-07 沈阳新松机器人自动化股份有限公司 一种危险环境转载机器人
KR101437958B1 (ko) * 2013-12-27 2014-09-11 곡성군(관리부서:곡성군농업기술센터) 연근 수확기용 주행장치
KR20160086130A (ko) * 2015-01-09 2016-07-19 한화테크윈 주식회사 이동 장치
CN108016478A (zh) * 2016-11-04 2018-05-11 刘伟华 变电站用蓄电池类核心设备转移车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66315B1 (ko) * 2015-07-16 2016-10-13 한양대학교 에리카산학협력단 여행용 캐리어
RU217341U1 (ru) * 2023-02-20 2023-03-28 Леонид Витальевич Гущин Гусеничный транспорте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96848A (ko) 2013-09-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79594B1 (ko) 계단상승기능을 겸비한 운반차
CN103201195B (zh) 用于车辆运输的可移除的框架系统
CA2657203C (en) Conveyance device using carriage
US20070107990A1 (en) Personnel lift apparatus
US10155643B2 (en) Material handler for construction site
CN110914111A (zh) 用于车辆搁架和顶盖的轨道系统
CN105016174A (zh) 一种用于楼梯上的轨道式电动升降车
JP4984229B2 (ja) 台車式搬送装置
CN201140974Y (zh) 一种可升降的手推式搬运车
KR100702666B1 (ko) 다층형 주차설비
US8602389B2 (en) Curtain door installation system
JPH11217950A (ja) 駐車設備のターンテーブル装置
KR200407929Y1 (ko) 평면왕복식 입체주차장치
KR20120007320U (ko) 카 데크의 곡직용 이동형 지그
CN204778187U (zh) 一种用于楼梯上的轨道式电动升降车
JP2007290826A (ja) 乗客コンベアの構成部品搬入方法と構成部品搬出方法並びにそれを利用した乗客コンベアの改修方法及びそれに使用する乗客コンベアの構成部品搬出入装置
KR20160003956U (ko) 차량 이동장치가 구비된 타워형 주차장치
CN205709554U (zh) 一种带反滚轮运行小车的半门架桥式悬臂起重机
JP4196328B2 (ja) 搬送装置
KR101893286B1 (ko) 다층 구조의 스마트 주차 시스템
KR102582834B1 (ko) 벨트식 주차 타워 시스템
CN205916158U (zh) 一种楼梯运输车
KR101670614B1 (ko) 차량 탈부착용 리프트
KR20070071743A (ko) 전동계단운반기
CN205709612U (zh) 一种带反滚轮运行小车和反倾翻的半门架悬臂起重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