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66315B1 - 여행용 캐리어 - Google Patents

여행용 캐리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66315B1
KR101666315B1 KR1020150101105A KR20150101105A KR101666315B1 KR 101666315 B1 KR101666315 B1 KR 101666315B1 KR 1020150101105 A KR1020150101105 A KR 1020150101105A KR 20150101105 A KR20150101105 A KR 20150101105A KR 101666315 B1 KR101666315 B1 KR 10166631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llers
driving roller
roller
carrier
reg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011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용한
김병식
김태수
박종진
원홍인
정진태
Original Assignee
한양대학교 에리카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양대학교 에리카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한양대학교 에리카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501011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6631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663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6631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5/00Rigid or semi-rigid luggage
    • A45C5/04Trunks; Travelling basket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5/00Rigid or semi-rigid luggage
    • A45C5/14Rigid or semi-rigid luggage with built-in rolling means
    • A45C5/141Rigid or semi-rigid luggage with built-in rolling means the rolling means being formed by the trunk itself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5/00Rigid or semi-rigid luggage
    • A45C5/14Rigid or semi-rigid luggage with built-in rolling means
    • A45C2005/147Rigid or semi-rigid luggage with built-in rolling means for climbing stairs

Abstract

여행용 캐리어가 개시된다. 여행용 캐리어는 내부에 수납공간이 형성된 캐리어 몸체; 상기 캐리어 몸체의 바닥면에 제공되며, 지면을 따라 구르는 복수의 이동 바퀴; 및 상기 캐리어 몸체의 후면에 제공되며, 상기 캐리어 몸체의 이동을 보조하는 보조 이동부를 포함하되, 상기 보조 이동부는 상기 캐리어 몸체의 후면에 제공되며, 상기 캐리어 몸체의 높이방향으로 레일 홈이 형성된 프레임; 상기 레일 홈을 따라 일렬 배열되는 다수의 롤러들; 및 상기 롤러들에 감기는 회전 벨트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여행용 캐리어{TRAVEL CARRIER}
본 발명은 여행용 캐리어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계단에서 이동이 편리한 여행용 캐리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캐리어는 해외여행이나 이민시 의류나 소품과 같은 물품등을 편리하게 보관 운송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투입용량이 조정되면서 바퀴가 부착되도록 형성된다.
최근에는 이동수단의 발달로 인해 여행객이 점차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며, 이에 따라, 캐리어 또한 지속적인 성장을 보이고 있다. 따라서, 간단하고 편리하게 사용이 가능한 캐리어와 그에 관련된 장치는 그 필요성이 증대되고 있다.
한편, 종래의 캐리어는 이동할 때 아래쪽에 바퀴가 부착되었기 때문에 수평이동은 쉽게 가능하지만, 계단의 이동시에는 수직으로 이동되지 않아 직접 들고 가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만약, 캐리어의 무게가 가볍거나 크기가 작을 경우에는 문제가 없으나, 내부에 짐이 많아 무게가 무겁거나 캐리어의 크기가 클 경우 계단을 오르기가 쉽지 않은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계단을 오를 때 힘들이지 않고 쉽게 캐리어를 끌고 올라갈 수 있는 여행용 캐리어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여행용 캐리어는 내부에 수납공간이 형성된 캐리어 몸체; 상기 캐리어 몸체의 바닥면에 제공되며, 지면을 따라 구르는 복수의 이동 바퀴; 및 상기 캐리어 몸체의 후면에 제공되며, 상기 캐리어 몸체의 이동을 보조하는 보조 이동부를 포함하되, 상기 보조 이동부는 상기 캐리어 몸체의 후면에 제공되며, 상기 캐리어 몸체의 높이방향으로 레일 홈이 형성된 프레임; 상기 레일 홈을 따라 일렬 배열되는 다수의 롤러들; 및 상기 롤러들에 감기는 회전 벨트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롤러들은 상기 레일 홈의 상부영역과 하부영역에 각각 위치하며, 외주면에 치와 홈이 번갈아 반복하여 형성된 한 쌍의 구동 롤러; 상기 구동 롤러들의 사이 영역에서 일렬 배열되는 다수의 지지 롤러들을 포함하며, 상기 회전 밸트의 안쪽면에는 상기 구동 롤러의 홈들과 맞물리는 치들이 서로 이격하여 상기 회전 벨트의 둘레를 따라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구동 롤러들 중 어느 하나는 상기 레일 홈 내에서 위치가 고정되고, 상기 보조 이동부는 상기 구동 롤러들 중 다른 하나의 위치를 이동시키며, 위치가 고정된 상기 구동 롤러와의 사이 거리를 조절하는 위치 조절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지 롤러들 각각은 원통 형상의 롤러 몸체; 및 상기 롤러 몸체의 일 단에 형성되며, 상기 롤러 몸체보다 큰 직경을 갖는 가이드를 가지며, 상기 지지 롤러들은 상기 레일 홈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가이드가 지그재그로 배열되도록 위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보조 이동부는 상기 구동 롤러들 중 어느 하나에 인접하여 상기 프레임과 결합하며, 그 끝단이 상기 구동 롤러의 외주면의 회전 경로상에 위치하는 스토퍼를 더 포함하되, 상기 구동 롤러는 제1방향으로 회전가능하고, 상기 제1방향과 반대인 제2방향으로 회전하는 경우 상기 치들이 상기 스토퍼에 걸려 회전이 제한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몸체에 결합하고, 다수의 로드들이 서로 삽입되며 슬라이드 방식으로 길이 조절이 가능한 손잡이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로드들 중 어느 하나는 제1영역; 및 상기 제1영역과 핀 결합하는 제2영역을 가지며, 상기 제2영역은 상기 제1영역에 대해 제1방향으로 회전가능하고, 상기 제1방향과 반대인 제2방향으로 회전이 제한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캐리어가 계단에 기울어진 상태에서 사용자가 캐리어를 끌어 올릴 수 있으므로, 캐리어를 직접 들고 계단을 오르는 경우보다 적은 힘으로 캐리어를 이동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여행용 캐리어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조 이동부의 일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조 이동부의 다른 일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지지 롤러들이 배열된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도 4의 구동 롤러와 스토퍼를 간략하게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손잡이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여행용 캐리어를 끌고 계단을 이동하는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여행용 캐리어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할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 될 수도 있다. 오히려, 여기서 소개되는 실시 예는 개시된 내용이 철저하고 완전해질 수 있도록 그리고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 상에 있다고 언급되는 경우에 그것은 다른 구성요소 상에 직접 형성될 수 있거나 또는 그들 사이에 제 3의 구성요소가 개재될 수도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도면들에 있어서, 막 및 영역들의 두께는 기술적 내용의 효과적인 설명을 위해 과장된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의 다양한 실시 예 들에서 제1, 제2, 제3 등의 용어가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기술하기 위해서 사용되었지만, 이들 구성요소들이 이 같은 용어들에 의해서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어느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시키기 위해서 사용되었을 뿐이다. 따라서, 어느 한 실시 예에 제 1 구성요소로 언급된 것이 다른 실시 예에서는 제 2 구성요소로 언급될 수도 있다. 여기에 설명되고 예시되는 각 실시 예는 그것의 상보적인 실시 예도 포함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및/또는'은 전후에 나열한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의미로 사용되었다.
명세서에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또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구성요소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구성요소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배제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연결"은 복수의 구성 요소를 간접적으로 연결하는 것, 및 직접적으로 연결하는 것을 모두 포함하는 의미로 사용된다.
또한,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여행용 캐리어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여행용 캐리어(100)는 캐리어 몸체(10), 이동 바퀴(20), 보조 이동부(30), 그리고 손잡이부(60)를 포함한다.
캐리어 몸체(10)는 대체로 사각형상의 박스로, 내부에 수납공간이 형성된다. 수납공간에는 사용자가 보관하고자 하는 물건을 수납할 수 있다. 캐리어 몸체(10)는 다양한 재질로 제공될 수 있다. 캐리어 몸체(10)는 알루미늄, 폴리카보네이트, 나일론, 폴리에스터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재질로 제공될 수 있다.
이동 바퀴(20)는 캐리어 몸체(10)의 바닥면에 제공되며, 지면을 따라 구른다. 이동 바퀴(20)는 적어도 두 개 이상 제공된다. 실시예에 따르면, 이동 바퀴(20)는 4개 제공된다. 사용자는 평지 또는 경사 길을 이동 할 때, 이동 바퀴(20)를 이용하여 캐리어(100)를 밀거나 끌 수 있다. 이동 바퀴(20)를 지지하는 지지부(21)는 캐리어 몸체(10)에 대해 자유롭게 회동 가능하다. 지지부(21)에 의해 캐리어(100)는 자유롭게 방향전환이 가능하다.
보조 이동부(30)는 캐리어(100)의 후면에 제공되며, 캐리어(100)의 이동을 보조한다. 보조 이동부(30)는 이동 바퀴(20)에 의해 이동이 어려운 구간에서 캐리어(100)의 이동을 보조할 수 있다. 예컨대 사용자가 계단을 오르거나 내려가야 하는 경우 캐리어(100)는 보조 이동부(30)를 통해 이동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조 이동부의 일부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조 이동부의 다른 일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캐리어의 후방에서 바라본 보조 이동부의 모습이고, 도 3은 캐리어의 전방에서 바라본 보조 이동부의 모습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보조 이동부(30)는 프레임(31), 구동 롤러(35, 36), 지지 롤러(41), 벨트(45), 이동 조절부(51), 그리고 스토퍼(55)를 포함한다.
프레임(31)은 직사각 형상을 가지며, 캐리어 몸체(10)의 후면에 결합한다. 프레임(31)은 길이 방향이 캐리어 몸체(10)의 높이 방향과 나란하게 배치된다. 이하, 프레임(31)의 영역 중 이동 바퀴(20)에 인접한 영역을 하단(31a)이라 하고, 하단(31a)과 마주하는 영역을 상단(31b)이라 한다. 실시 예에 의하면, 프레임(31)은 캐리어 몸체(10)의 후면으로부터 소정 두께로 돌출될 수 있다. 프레임(31)에는 레일 홈(32a, 32b)과 위치 조절 홀(33a, 33b)이 형성된다.
레일 홈(32a, 32b)은 캐리어 몸체(10)의 높이 방향으로 형성되며, 구동 롤러(35)와 지지 롤러(41)가 위치하는 공간을 제공한다. 실시 예에 의하면, 레일 홈(32a, 32b)은 프레임(31)의 양측에 나란하게 2열 형성될 수 있다.
위치 조절 홀(33a, 33b)은 프레임(31)의 하단(31a)과 상단(31b) 중 어느 하나에 인접하여 형성될 수 있다. 실시 예에 의하면, 위치 조절 홀(33a, 33b)은 프레임(31)의 하단(31a)에 인접하여 형성된다. 위치 조절 홀(33a, 33b)은 일 방향으로 프레임(31)의 일 측에서 타 측으로 관통하는 홀로, 프레임(31)의 길이방향으로 소정 길이를 가진다.
구동 롤러(35, 36)는 레일 홈(32a, 32b)들 내에 각각 한 쌍 제공된다. 구동 롤러(35, 36)들 중 하나(36)는 프레임(31)의 상단(31b)에 인접 위치하고, 다른 하나(35)는 프레임(31)의 하단(31a)에 인접 위치한다. 구동 롤러(35, 36)들 중 어느 하나는 위치가 고정된다. 실시 예에 의하면, 프레임(31)의 상단(31b)에 인접 위치하는 구동 롤러(36)는 회전 축이 프레임(31)이 삽입 고정되어 위치가 고정된다. 다른 하나의 구동 롤러(35)는 위치이동이 가능하며, 구동 롤러(35, 36)들 사이 거리를 조절할 수 있다. 구동 롤러(35)는 후술하는 위치 조절부(51)에 의해 위치가 이동될 수 있다. 구동 롤러(35, 36)들의 외주면에는 치(35a, 36a)와 홈(35b, 36b)이 둘레를 따라 번갈아 반복하여 형성된다. 치(35a, 36a)와 홈(35b, 36b)은 각각 균일한 폭을 갖는다. 홈(35b, 36b)들은 벨트(45)의 안쪽면에 형성된 치(45a)들과 맞물린다.
지지 롤러(41)는 복수 개가 레일 홈(32a, 32b) 내에 각각 위치하며, 구동 롤러(35, 36)들 사이 영역에서 일렬 배열된다. 지지 롤러(41)들은 각각의 회전 축이 서로 나란하도록 배치된다. 지지 롤러(41)들은 각각 롤러 몸체(42)와 가이드(43)를 가진다. 롤러 몸체(42)는 원통 형상으로, 회전 축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다. 가이드(43)는 롤러 몸체(42)의 일 단에 형성되며, 롤러 몸체(42)보다 큰 직경을 갖는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지지 롤러들이 배열된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지지 롤러(41)들은 레일 홈(32a)의 길이 방향을 따라 가이드(43)가 지그재그 형태로 배치되도록 레일 홈(32a) 내에 위치한다. 가이드(43)는 벨트(45)가 회전 경로에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한다. 상술한 가이드(43)의 배치 형태는 벨트(45)가 안정적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안내한다. 이는 가이드(43)가 롤러 몸체(42)의 양 단에 형성되는 경우와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롤러 몸체(42) 양 단에 가이드(43)가 형성된 경우보다 구조가 간단하고 제조 비용이 저렴한 장점이 있다.
벨트(45)는 구동 롤러(35, 36)들 간에 회전 루프를 형성하며, 처짐이 발생되지 않도록 지지 롤러(41)들에 의해 지지된다. 벨트(45)의 안쪽면에는 치(45a)들이 서로 이격하여 벨트(45)의 둘레를 따라 형성된다. 치(45a)들은 구동 롤러(35, 36)에 형성된 홈(35b, 36b)들과 맞물리며, 치(45a)들 사이 공간은 구동 롤러(35, 36)에 형성된 치(35a, 36a)들과 맞물린다. 벨트(45)가 지면과의 마찰로 회전하게 되는 경우, 치(45a)들과 맞물려 구동 롤러(35, 36)들이 함께 회전한다. 벨트(45)는 고무 재질로 제공될 수 있다. 고무 재질은 지면과의 마찰을 극대화하여 계단에서의 미끄러짐을 방지한다.
이동 조절부(51)는 구동 롤러(35, 36)들 사이 거리를 조절하여 벨트(45)의 장력(tension)을 유지시킨다. 또한, 이동 조절부(51)의 조절로 벨트(45) 교체가 가능하다. 이동 조절부(51)는 이동 샤프트(52)와 볼트(53)를 포함한다. 이동 샤프트(52)는 프레임(31)의 폭에 상응하는 길이를 가지며, 위치 조절 홀(33a, 33b)들에 순차적으로 삽입된다. 이동 샤프트(52)의 일단에는 하나의 구동 롤러(35)가 회전가능하도록 삽입되고, 타단에는 다른 하나의 구동 롤러(35)가 회전가능하도록 삽입된다. 이동 샤프트(52)의 양 끝단에는 볼트(53)가 체결된다. 볼트(53)는 샤프트(31)에 밀착 체결되어 이동 샤프트(52)의 위치를 고정시킨다. 사용자는 양측 볼트(53)를 푼 상태에서 이동 샤프트(52)를 위치 조절 홀(33a, 33b) 내에서 이동 시킬 수 있다. 사용자는 벨트(45)의 장력이 유지되는 위치로 이동 샤프트(52)를 이동 시킨 후, 볼트(53)를 죄어 이동 샤프트(52)의 위치를 고정시킨다.
스토퍼(55)는 캐리어 몸체(10)의 후면과 프레임(31) 사이에 위치하며, 프레임(31)에 고정될 수 있다. 스토퍼(55)는 두께가 얇은 판으로 제공되며, 구동 롤러(35, 36)들 중 어느 하나에 인접하여 위치한다. 실시 예에 의하면, 스토퍼(55)는 프레임(31)의 상단(31b)에 위치하는 구동 롤러(36)에 인접 위치한다. 스토퍼(55)는 그 끝단이 구동 롤러(36)의 외주면의 회전 경로상에 위치한다. 실시 예에 의하면, 스토퍼(55)는 그 끝단이 구동 롤러(36)의 외주면에 형성된 홈(36b)에 위치한다.
도 5는 도 4의 구동 롤러와 스토퍼를 간략하게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와 같이, 스토퍼(55)는 구동 롤러(36)의 일 방향 회전을 제한한다. 구동 롤러(36)가 제1방향(R1)으로 회전하고자 하는 경우 스토퍼(55)의 끝단이 구동 롤러(36)에 얹힌 상태에서 구동 롤러(36)가 회전할 수 있다. 이와 달리, 구동 롤러(36)가 제2방향(R2)으로 회전하고자 하는 경우, 구동 롤러(36)의 치(36a)가 스토퍼(55)의 끝단에 걸려 구동 롤러(36)의 회전이 제한된다.
이러한 작동 방법은 사용자가 계단을 올라갈 때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사용자가 캐리어(100)를 계단에 기울인 상태에서 캐리어(100)를 끌 경우, 벨트(45)는 지면과의 마찰에 의해 제1방향(R1)으로 회전한다. 이 경우 스토퍼(55)는 구동 롤러(36)의 회전을 제한하지 않으므로 벨트(45)는 자유롭게 회전될 수 있다. 벨트(45)의 회전으로 사용자는 캐리어(100)를 용이하게 끌어 올릴 수 있다. 또한, 벨트(45)가 직접 지면과 접촉하므로 캐리어 몸체(10)의 손상이 예방된다.
이와 달리, 벨트(45)가 제2방향(R2)으로 회전하고자 하는 경우, 스토퍼(55)가 구동 롤러(36)의 제2방향(R2) 회전을 제한하므로 벨트(45)의 회전이 제한된다. 이러한 벨트(45)의 회전 제한은 캐리어(100)가 아래로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손잡이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 및 도 6을 참조하면, 손잡이부(60)는 복수의 로드(61)들이 서로 삽입되며, 슬라이드 방식으로 길이 조절이 가능하다. 로드(61)들 중 어느 하나는 제1영역(61a)과 제2영역(61b)으로 분리될 수 있다.
제1영역(61a)과 제2영역(61b)은 핀(62) 결합하며, 제2영역(61b)은 제1영역(61a)에 대해 제1방향(L1)으로 회전가능하고, 제1방향(L1)과 반대인 제2방향(L2)으로 회전이 제한된다. 제1방향(L1)은 캐리어 몸체(10)의 후면에서 전면으로 향하는 방향이다. 계단에서 캐리어(100)를 끌 경우, 손잡이부(60)가 사용자의 손 높이보다 낮게 위치되어 사용자가 손으로 잡기 불편하다. 이 경우, 도 7과 같이 제2영역(61b)을 제1영역(61a)에 대해 제1방향(L1)으로 회전시킬 경우 손잡이부(60)의 높이가 상대적으로 높아지므로 사용자가 용이하게 손잡이부(60)를 잡을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여행용 캐리어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캐리어 몸체(110)의 후면에는 수용 공간(111)이 형성된다. 수용 공간(111)에는 보조 이동부(30)가 위치한다. 수용 공간(111)은 프레임(31)의 두께에 상응하는 깊이를 가질 수 있다. 벨트(45)는 대략 캐리어 몸체(110)의 후면과 동일 평면상에서 회전 경로를 형성한다. 도 1과 달리, 보조 이동부(30)가 캐리어 몸체(110)에서 돌출되지 않으므로, 외관이 단순해지며 돌출로 인한 사용자의 불편이 해소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 예를 사용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특정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습득한 자라면,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으면서도 많은 수정과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하여야 할 것이다.
100: 여행용 캐리어
10: 캐리어 몸체
20: 이동 바퀴
30: 보조 이동부
31: 프레임
35, 36: 구동 롤러
41: 지지 롤러
45: 벨트
51: 이동 조절부
55: 스토퍼
60: 손잡이부

Claims (6)

  1. 내부에 수납공간이 형성된 캐리어 몸체;
    상기 캐리어 몸체의 바닥면에 제공되며, 지면을 따라 구르는 복수의 이동 바퀴; 및
    상기 캐리어 몸체의 후면에 제공되며, 상기 캐리어 몸체의 이동을 보조하는 보조 이동부를 포함하되,
    상기 보조 이동부는
    상기 캐리어 몸체의 후면에 제공되며, 상기 캐리어 몸체의 높이방향으로 레일 홈이 형성된 프레임;
    상기 레일 홈을 따라 일렬 배열되는 다수의 롤러들; 및
    상기 롤러들에 감기는 회전 벨트를 포함하고,
    상기 롤러들은
    상기 레일 홈의 상부영역과 하부영역에 각각 위치하며, 외주면에 치와 홈이 번갈아 반복하여 형성된 한 쌍의 구동 롤러;
    상기 구동 롤러들의 사이 영역에서 일렬 배열되는 다수의 지지 롤러들을 포함하며,
    상기 회전 밸트의 안쪽면에는 상기 구동 롤러의 홈들과 맞물리는 치들이 서로 이격하여 상기 회전 벨트의 둘레를 따라 형성되며,
    상기 보조 이동부는
    상기 구동 롤러들 중 어느 하나에 인접하여, 상기 회전 벨트의 안쪽면과 상기 프레임 사이에 위치하며, 일단이 상기 프레임과 결합하고, 그 끝단이 상기 구동 롤러의 외주면의 회전 경로상에 위치하는 판상의 스토퍼를 더 포함하되,
    상기 구동 롤러는 제1방향으로 회전가능하고, 상기 제1방향과 반대인 제2방향으로 회전하는 경우 상기 치들이 상기 스토퍼의 끝단에 걸려 회전이 제한되며,
    상기 스토퍼의 끝단은 상기 제2방향을 따라 상기 구동 롤러와 상기 회전 벨트가 맞물리는 영역 후방에 위치하는 여행용 캐리어.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롤러들 중 어느 하나는 상기 레일 홈 내에서 위치가 고정되고,
    상기 보조 이동부는
    상기 구동 롤러들 중 다른 하나의 위치를 이동시키며, 위치가 고정된 상기 구동 롤러와의 사이 거리를 조절하는 위치 조절부를 더 포함하는 여행용 캐리어.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롤러들 각각은
    원통 형상의 롤러 몸체; 및
    상기 롤러 몸체의 일 단에 형성되며, 상기 롤러 몸체보다 큰 직경을 갖는 가이드를 가지며,
    상기 지지 롤러들은 상기 레일 홈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가이드가 지그재그로 배열되도록 위치되는 여행용 캐리어.
  5. 삭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에 결합하고, 다수의 로드들이 서로 삽입되며 슬라이드 방식으로 길이 조절이 가능한 손잡이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로드들 중 어느 하나는
    제1영역; 및
    상기 제1영역과 핀 결합하는 제2영역을 가지며,
    상기 제2영역은 상기 제1영역에 대해 제1방향으로 회전가능하고, 상기 제1방향과 반대인 제2방향으로 회전이 제한되는 여행용 캐리어.
KR1020150101105A 2015-07-16 2015-07-16 여행용 캐리어 KR10166631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01105A KR101666315B1 (ko) 2015-07-16 2015-07-16 여행용 캐리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01105A KR101666315B1 (ko) 2015-07-16 2015-07-16 여행용 캐리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66315B1 true KR101666315B1 (ko) 2016-10-13

Family

ID=571741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01105A KR101666315B1 (ko) 2015-07-16 2015-07-16 여행용 캐리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66315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892072A (zh) * 2017-12-14 2018-04-10 国网山东省电力公司龙口市供电公司 一种电力检测工具携带装置
KR101939689B1 (ko) * 2017-08-02 2019-01-17 (주)티케이클래식 이동시 손상을 방지하는 캐리어
KR20190014360A (ko) * 2017-08-02 2019-02-12 주식회사 티케이클래식 계단이동이 용이한 캐리어
KR20190030823A (ko) 2017-09-15 2019-03-25 윤정원 접이식 의자로 활용되는 손잡이를 갖는 여행용 캐리어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337208A (ja) * 1997-06-05 1998-12-22 Kazuhiro Ohinata 旅行カバン用運搬補助具と旅行カバン
JP2007008435A (ja) * 2005-07-01 2007-01-18 Masaaki Tanase 段差昇降を容易にするキャリーカート
KR101379594B1 (ko) * 2012-02-23 2014-04-04 이대수 계단상승기능을 겸비한 운반차
KR101508901B1 (ko) * 2013-10-22 2015-04-07 한국방송통신전파진흥원 점검장비 운반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337208A (ja) * 1997-06-05 1998-12-22 Kazuhiro Ohinata 旅行カバン用運搬補助具と旅行カバン
JP2007008435A (ja) * 2005-07-01 2007-01-18 Masaaki Tanase 段差昇降を容易にするキャリーカート
KR101379594B1 (ko) * 2012-02-23 2014-04-04 이대수 계단상승기능을 겸비한 운반차
KR101508901B1 (ko) * 2013-10-22 2015-04-07 한국방송통신전파진흥원 점검장비 운반장치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39689B1 (ko) * 2017-08-02 2019-01-17 (주)티케이클래식 이동시 손상을 방지하는 캐리어
KR20190014360A (ko) * 2017-08-02 2019-02-12 주식회사 티케이클래식 계단이동이 용이한 캐리어
KR101979447B1 (ko) * 2017-08-02 2019-05-15 주식회사 티케이클래식 계단이동이 용이한 캐리어
KR20190030823A (ko) 2017-09-15 2019-03-25 윤정원 접이식 의자로 활용되는 손잡이를 갖는 여행용 캐리어
CN107892072A (zh) * 2017-12-14 2018-04-10 国网山东省电力公司龙口市供电公司 一种电力检测工具携带装置
CN107892072B (zh) * 2017-12-14 2024-01-12 国网山东省电力公司龙口市供电公司 一种电力检测工具携带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66315B1 (ko) 여행용 캐리어
EP3943416A1 (en) Goods shelf shuttle and goods shelf system
US9981810B2 (en) Closed gap transfer for a conveyor and method of using same
US20060102433A1 (en) Stacker crane
WO2012004530A1 (fr) Chariot de rideau motorisé et installation d'occultation comprenant un tel chariot
WO2008001029A1 (en) Apparatus for carrying a load up and down stairs
CN104470785B (zh) 配备有通过螺旋弹簧而易于缩回的把手的手拉车
KR101711248B1 (ko) 벨트 정션 컨베이어 및 롤러
US10518800B2 (en) Magnetically adhering robot
GB2421713A (en) Load carrier adapted for moving up and down stairs
US10358295B2 (en) Transport device
US20160185531A1 (en) An item transfer device and a method of operating the item transfer device
US3120358A (en) Cable reel jack
JPH11253500A (ja) 人間搬送装置の持上げ装置に取付けられている担持手段の懸架装置
FR2576889A1 (fr) Chariot de manutention, en particulier chariot elevateur, realise egalement en tant que gerbeur a mat telescopique
JP2009121583A (ja) 動力伝動装置及び自動倉庫用昇降式移載装置
ES2308412T3 (es) Maquina aplanadora para banda metalica.
JP4053580B1 (ja) 有限直線運動装置
US20210009181A1 (en) Heavy duty carriage
US7500551B1 (en) Conveyor system
JP5321872B2 (ja) スタッカークレーン
GB2440310A (en) Travel bag with retractable handle and wheeled support frame
US20050056528A1 (en) Transport system, in particular an airport luggage transport system
CN111573130A (zh) 伸缩式皮带输送机
CN211870589U (zh) 一种医院用利用高度差输送物体的架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