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78231B1 - 환자용 자동 목욕시설 - Google Patents

환자용 자동 목욕시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78231B1
KR101378231B1 KR1020120066710A KR20120066710A KR101378231B1 KR 101378231 B1 KR101378231 B1 KR 101378231B1 KR 1020120066710 A KR1020120066710 A KR 1020120066710A KR 20120066710 A KR20120066710 A KR 20120066710A KR 101378231 B1 KR101378231 B1 KR 10137823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ower
unit
patient
booth
head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667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143285A (ko
Inventor
김석태
김수민
Original Assignee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200667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78231B1/ko
Publication of KR201301432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4328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782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7823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3/00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 A61H33/60Components specifically designed for the therapeutic baths of groups A61H33/00
    • A61H33/6005Special constructive structural details of the bathtub, e.g. of the walls or supporting structur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0/00Body-drying implements; Toilet paper; Holders therefor
    • A47K10/48Drying by means of hot ai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3/00Baths; Douches; Appurtenances therefor
    • A47K3/28Showers or bathing douches
    • A47K3/283Fixed showers
    • A47K3/284Pre-fabricated shower cabine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3/00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 A61H33/60Components specifically designed for the therapeutic baths of groups A61H33/00
    • A61H33/601Inlet to the bath
    • A61H33/6021Nozz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3/00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 A61H33/005Electrical circuits therefor
    • A61H2033/0083Illumin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01Constructive details
    • A61H2201/0115Constructive details used in wat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01Constructive details
    • A61H2201/0192Specific means for adjusting dimensions

Abstract

본 발명은 환자가 목욕을 쉽게 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자동식 환자용 샤워부스에 관한 것으로서, 상부에 원호 형상의 가이드부를 구비한 부스 본체 및 물을 분사하는 샤워 유니트 및 공기를 분사하는 건조 유니트를 포함하는 헤드 유니트가 가이드부를 따라 원호 궤적을 그리면서 시계 방향 및 반시계 방향으로 반복하여 왕복 운동함으로써 환자의 목욕 과정 일체를 보조해주는 환자용 샤워부스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환자용 자동 목욕시설{Automatic bath booth for patient}
본 발명은 환자가 목욕을 쉽게 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자동식 환자용 샤워부스에 관한 것으로서, 상부에 원호 형상의 가이드부를 구비한 부스 본체 및 물을 분사하는 샤워 유니트 및 공기를 분사하는 건조 유니트를 포함하는 헤드 유니트가 가이드부를 따라 원호 궤적을 그리면서 시계 방향 및 반시계 방향으로 반복하여 왕복 운동함으로써 환자의 목욕 과정 일체를 보조해주는 환자용 샤워부스에 관한 것이다.
근력이 약하고 거동이 불편한 환자와 노약자는 물론 이들의 개호인(介護人)에게 많은 움직임과 힘이 요구되는 목욕은 쉬운 일이 아니며, 이는 인해 목욕 과정에서 사고가 발생하는 2차 상해의 위험성도 높다.
그렇지만 장시간 침대에 누워있는 환자의 개인위생을 위해서 목욕은 꼭 필요한 것이기에, 환자와 노약자들의 움직임을 최소화하면서 자동으로 목욕이 가능하도록 도와주는 시설이나 장치가 요구된다.
이러한 요구에 부응하기 위해 제안된 종래기술 중의 하나로서, 한국등록특허 제10-1039702호의 "욕조겸용 침대"를 에로 들 수 있다. 상기 욕조겸용 침대는 에어를 주입하여 사용하는 에어 매트리스를 욕조로 용이하게 변형 사용할 수 있어 사용자가 이동하지 않고도 침대와 욕조의 변형이 가능하도록 구성한 것에 특징이 있다.
이 외에도 침대에 욕조 기능을 결합한 유사한 종래기술들이 다수 존재하지만, 이는 침대에 누운 상태 그대로 목욕을 할 수 있도록 보조하는 기구이기 때문에 거동이 거의 불가능한 중환자에게 적합할 뿐이며, 어느 정도 자신의 힘으로 스스로 거동할 수 있는 대다수의 환자나 노약자에게는 적합하지 못한 것이다.
한국등록특허 제10-1039702호
따라서, 본 발명은 자신의 힘으로 거동할 수 있는 대다수의 환자나 노약자들을 위해 샤워 후 건조로 이어지는 일체의 목욕 과정을 힘들이지 않고도 스스로 할 수 있고, 또한 목욕시 움직임을 최소화함으로써 사고 발생의 위험성도 크게 낮출 수 있는 환자용 샤워부스를 제공하는 것을 하나의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스스로 설 수 있는 환자는 물론 휠체어에 앉은 환자 모두가 사용할 수 있는 환자용 샤워부스를 제공하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환자용 샤워부스는, 상부에 원호 형상의 가이드부를 구비한 부스 본체; 및 물을 분사하는 샤워 유니트 및 공기를 분사하는 건조 유니트를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부를 따라 원호 궤적을 그리면서 이동가능한 헤드 유니트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헤드 유니트는, 건조 유니트를 가운데에 두고 그 좌우로 각각 결합된 제1 샤워 유니트 및 제2 샤워 유니트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제1 샤워 유니트 및 제2 샤워 유니트의 분사 중심선이 적어도 지면과 수평을 이루는 각도까지 연장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건조 유니트는 적외선 조사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는 상기 헤드 유니트의 하방으로 인접 배치된 조명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조명부의 하방으로 인접 배치된 거울과, 상기 거울의 하방으로 인접 배치된 세면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거울은 원형 거울이고, 상기 조명부 및 상기 세면대는 원호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세면대의 어느 일측면 또는 양측면으로 수납부를 구비하는 것도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세면대의 하방에서 전면을 향해 돌출 형성된 제1 핸드레일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세면대의 상방에서 횡방향을 따라 길게 돌출 형성된 제2 핸드레일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부스 본체는 상기 헤드 유니트의 지면에 대한 높이가 가변되도록 상하로 이동 가능하며, 이를 대체할 수 있는 또 다른 실시예에서는 상기 부스 본체는 상기 헤드 유니트, 조명부, 세면대 및 제1 핸드레일을 포함하는 제1 본체와 그 외의 부분인 제2 본체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2 본체에 대해 제1 본체가 상하로 이동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헤드 유니트는 사용시에 상기 가이드부를 따라 시계 방향 및 반시계 방향으로 반복하여 왕복 운동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진 본 발명의 환자용 샤워부스는 원호 형상의 가이드부를 따라 왕복 운동하는 헤드 유니트에 의해 환자의 움직임을 최소화하면서 샤워 후 건조로 이어지는 일체의 목욕 과정을 자동으로 수행할 수 있으므로, 환자 스스로 쉽게 목욕을 할 수 있으며 목욕시의 사고 발생의 위험성도 크게 낮출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또한, 본 발명은 부스 본체가 상하로 이동하여 헤드 유니트의 지면에 대한 높이가 가변될 수 있기 때문에, 스스로 설 수 있는 환자는 물론 휠체어에 앉은 환자 모두가 편하게 사용할 수 있다는 또 다른 장점도 가진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환자용 샤워부스의 전체적인 모습을 보여주는 사시도.
도 2는 도 1의 환자용 샤워부스에 포함된 샤워 유니트의 동작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도면.
도 3은 도 1의 환자용 샤워부스에 포함된 건조 유니트의 동작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도면.
도 4는 도 1의 환자용 샤워부스의 높이조절 기능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도면.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환자용 샤워부스(10)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환자용 샤워부스의 전체적인 모습을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환자용 샤워부스에 포함된 샤워 유니트의 동작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이며, 도 3은 도 1의 환자용 샤워부스에 포함된 건조 유니트의 동작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도면, 그리고 도 4는 도 1의 환자용 샤워부스의 높이조절 기능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환자용 샤워부스(10)는 크게 부스 본체(101)와 헤드 유니트(200)를 포함한다.
부스 본체(101)는 환자용 샤워부스(10)의 각종 구성요소가 장착되는 몸체로서, 특히 그 상부에는 원호 형상의 가이드부(110)를 구비한다.
그리고, 헤드 유니트(200)는 부스 본체(101)의 가이드부(110)를 따라 원호 궤적을 그리면서 이동가능한 구성인데, 헤드 유니트(200)는 사용시에 가이드부(110)를 따라 시계 방향 및 반시계 방향으로 반복하여 왕복 운동할 수 있다.
그리고, 헤드 유니트(200)는 물을 분사하는 샤워 유니트(210)와 공기를 분사하는 건조 유니트(220)를 포함하며, 이에 따라 헤드 유니트(200)는 사용자의 두부를 정점으로 하여 좌우로 왕복 운동하면서 샤워시에는 샤워 유니트(210)로 물을 분사하고, 샤워가 끝나면 건조 유니트(220)에서 불어나오는 공기로 몸을 말려주기 때문에 샤워 과정에서의 사용자의 움직임은 최소화된다.
또한, 건조 유니트(220)에는 적외선 조사기(221)가 더 포함되어 건조용 공기의 온도를 보다 따뜻하게 만들어 건조를 촉진시키는 것을 물론, 사용자(특히, 면역기능이 떨어지는 노약자)의 피부 안으로 직접 적외선이 침투하여 샤워 후에 체온이 떨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도 있다.
특히, 상기 헤드 유니트(200)는 건조 유니트(220)를 가운데에 두고 그 좌우로 각각 결합된 제1 샤워 유니트(211) 및 제2 샤워 유니트(212)로 이루어짐으로써 샤워시 샴푸나 비누 거품을 보다 빠르고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가이드부(110)는 제1 샤워 유니트(211) 및 제2 샤워 유니트(212)의 분사 중심선이 적어도 지면과 수평을 이루는 각도까지 충분히 연장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의 측부까지 효과적으로 씻을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좋다.
위와 같은 헤드 유니트(200)의 샤워 및 건조과정이 효과적으로 수행될 것임은, 도 2의 샤워시 제1 샤워 유니트(211) 및 제2 샤워 유니트(212)가 왕복 운동하는 과정을 보여주는 도면과, 도 3의 건조 유니트(220)의 동작으로부터 쉽게 알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헤드 유니트(200) 이외에 몇몇 편의장치를 더 구비할 수 있으며, 이들 편의장치는 도 1에 도시되어 있다.
즉,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헤드 유니트(200)의 하방으로 인접 배치된 조명부(3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조명부(300)의 하방으로는 거울(400)이 인접 배치되고, 그 거울(400)의 하방에는 세안이나 양치질 등을 위한 세면대(500)가 인접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헤드 유니트(200)가 가이드부(110)를 따라 원호 궤적으로 움직이는 것을 고려해, 원형(또는 반원 등도 가능) 거울(400)과 원호 형상의 조명부(300) 및 세면대(500)로 구성할 수 있다. 이러한 원형의 구성을 채택하면, 본 발명의 환자용 샤워부스(10)는 행동범위가 작은 세안과 양치질을 위한 원형 거울(400)의 중심 영역과, 상대적으로 행동범위가 큰 세발, 샤워 등을 위한 외측 영역의 2개의 영역을 원형이라는 하나의 통일된 이미지로 형상화함으로써 디자인적인 미감을 불러낼 수 있다.
그리고, 세면대(500)의 어느 일측면 또는 양측면으로 면도기, 비누 등을 거치하기 위한 수납부(510)를 구비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세면대(500)의 하방에서 전면을 향해 돌출 형성된 제1 핸드레일(600), 그리고 더 나아가 세면대(500)의 상방에서 횡방향을 따라 길게 돌출 형성된 제2 핸드레일(610)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이는 물론 거동이 불편한 환자의 움직임을 보조하는 안전장치이다. 특히 제1 핸드레일(600)은 서 있는 사람은 물론 휠체어에 앉아서 샤워를 하는 환자에게 유용하다(도 4 참조).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부스 본체(101)는 헤드 유니트(200)의 지면에 대한 높이가 가변되도록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으며, 이는 도 4에 나타나 있다. 이는 도시된 바와 같이 헤드 유니트(200)에 대한 두부(頭部)의 거리가 먼 경우, 예를 들면 휠체어에 앉은 환자나 어린이도 효과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배려한 것이다.
특히, 도 4a에 도시된 것처럼 샤워 본체 전체가 지면에 대해 상하로 이동할 수 있는 것은 물론, 도 4b와 같이 부스 본체(101)가 헤드 유니트(200), 조명부(300), 세면대(500) 및 제1 핸드레일(600)(제2 핸드레일이 구비된 경우에는 이를 포함)을 포함하는 제1 본체(101)와 그 외의 부분인 제2 본체(102)로 이루어지면서 제2 본체(102)에 대해 제1 본체(101)가 상하로 이동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후자의 경우는 바닥 아래로 충분한 깊이를 확보하기 어렵거나 기타 배관이 지나가기 때문에 공사를 할 수 없는 경우 등에 유용하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환자용 샤워부스는 원호 형상의 가이드부를 따라 왕복 운동하는 헤드 유니트에 의해 환자의 움직임을 최소화하면서 샤워 후 건조로 이어지는 일체의 목욕 과정을 자동으로 수행할 수 있으므로, 환자 스스로 쉽게 목욕을 할 수 있으며 목욕시의 사고 발생의 위험성도 크게 낮출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부스 본체가 상하로 이동하여 헤드 유니트의 지면에 대한 높이가 가변될 수 있기 때문에, 스스로 설 수 있는 환자는 물론 휠체어에 앉은 환자나 어린이 모두가 편하게 사용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환자용 샤워부스에 대해서 예시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위 내에서 통상의 기술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10: 환자용 샤워부스 100: 부스 본체
101: 제1 본체 102: 제2 본체
110: 가이드부 200: 헤드 유니트
210: 샤워 유니트 211: 제1 샤워 유니트
212: 제2 샤워 유니트 220: 건조 유니트
221: 적외선 조사기 300: 조명부
400: 거울 500: 세면대
510: 수납부 600: 제1 핸드레일
610: 제2 핸드레일

Claims (13)

  1. 상부에 원호 형상의 가이드부를 구비한 부스 본체; 및
    물을 분사하는 샤워 유니트 및 공기를 분사하는 건조 유니트를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부를 따라 원호 궤적을 그리면서 이동가능한 헤드 유니트;로 구성되며,
    상기 부스 본체는 상기 헤드 유니트의 지면에 대한 높이가 가변되도록 상하로 이동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자용 샤워부스.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헤드 유니트는, 건조 유니트를 가운데에 두고 그 좌우로 각각 결합된 제1 샤워 유니트 및 제2 샤워 유니트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자용 샤워부스.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제1 샤워 유니트 및 제2 샤워 유니트의 분사 중심선이 적어도 지면과 수평을 이루는 각도까지 연장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자용 샤워부스.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건조 유니트는 적외선 조사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자용 샤워부스.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헤드 유니트의 하방으로 인접 배치된 조명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자용 샤워부스.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조명부의 하방으로 인접 배치된 거울과, 상기 거울의 하방으로 인접 배치된 세면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자용 샤워부스.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거울은 원형 거울이고, 상기 조명부 및 상기 세면대는 원호 형상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자용 샤워부스.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세면대의 어느 일측면 또는 양측면으로 수납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자용 샤워부스.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세면대의 하방에서 전면을 향해 돌출 형성된 제1 핸드레일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자용 샤워부스.
  10.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세면대의 상방에서 횡방향을 따라 길게 돌출 형성된 제2 핸드레일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자용 샤워부스.
  11. 삭제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부스 본체는 상기 헤드 유니트, 조명부, 세면대 및 제1 핸드레일을 포함하는 제1 본체와 그 외의 부분인 제2 본체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2 본체에 대해 제1 본체가 상하로 이동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자용 샤워부스.
  13.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헤드 유니트는 사용시에 상기 가이드부를 따라 시계 방향 및 반시계 방향으로 반복하여 왕복 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자용 샤워부스.
KR1020120066710A 2012-06-21 2012-06-21 환자용 자동 목욕시설 KR10137823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66710A KR101378231B1 (ko) 2012-06-21 2012-06-21 환자용 자동 목욕시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66710A KR101378231B1 (ko) 2012-06-21 2012-06-21 환자용 자동 목욕시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43285A KR20130143285A (ko) 2013-12-31
KR101378231B1 true KR101378231B1 (ko) 2014-03-27

Family

ID=499865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66710A KR101378231B1 (ko) 2012-06-21 2012-06-21 환자용 자동 목욕시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7823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97913B1 (ko) * 2017-05-30 2018-09-12 김성주 스마트 자동 목욕 시스템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80523U (ko) * 1989-11-29 1991-08-19
JP2769006B2 (ja) * 1989-12-28 1998-06-25 株式会社竹中工務店 浴室ユニット用シャワー装置
JP3080523U (ja) 2001-03-22 2001-09-28 有限会社平野鉄工所 シャワーユニット
KR20060106521A (ko) * 2005-04-09 2006-10-12 최문규 자체 건조기능을 가진 기능성 나노용액 분무 샤워 부스
KR101039702B1 (ko) 2010-10-14 2011-06-09 (주)에어박스 욕조겸용 침대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80523U (ko) * 1989-11-29 1991-08-19
JP2769006B2 (ja) * 1989-12-28 1998-06-25 株式会社竹中工務店 浴室ユニット用シャワー装置
JP3080523U (ja) 2001-03-22 2001-09-28 有限会社平野鉄工所 シャワーユニット
KR20060106521A (ko) * 2005-04-09 2006-10-12 최문규 자체 건조기능을 가진 기능성 나노용액 분무 샤워 부스
KR101039702B1 (ko) 2010-10-14 2011-06-09 (주)에어박스 욕조겸용 침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43285A (ko) 2013-12-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686042B2 (ja) 入浴補助機
CN105455712A (zh) 折叠式辅助洗澡椅
JP5672617B2 (ja) 身体乾燥機能付き介助装置
KR101378231B1 (ko) 환자용 자동 목욕시설
KR102245249B1 (ko) 입욕 구조체
JP6898788B2 (ja) シャワー機能付き椅子およびシャワー設備
KR20110129785A (ko) 안전바를 구비한 욕조
JPH07241251A (ja) 浴 槽
JP2008110181A (ja) 携帯移動式洗髪台
CN203263215U (zh) 新型浴缸
KR101187131B1 (ko) 이동식 세발기
JP2912550B2 (ja) 浴槽装置
JPH0632102Y2 (ja) 浴室装置
JPS6344037Y2 (ko)
JP2003250857A (ja) ドーム式シャワー入浴装置
JP2016052493A (ja) 介護用組立式浴槽
JP5630051B2 (ja) 浴槽
JP2007236412A (ja) シャワー装置
JP2020199031A (ja) シャワー装置
JP2009172298A (ja) 入浴装置
JPH09271508A (ja) 座位式シャワー装置
TWM553611U (zh) 嬰兒用澡盆
JP2008220564A (ja) ミストサウナ室
CN109124427A (zh) 坐式浴缸
TWM552330U (zh) 輔助身障人士沐浴的座椅結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0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02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