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87131B1 - 이동식 세발기 - Google Patents

이동식 세발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87131B1
KR101187131B1 KR1020100126893A KR20100126893A KR101187131B1 KR 101187131 B1 KR101187131 B1 KR 101187131B1 KR 1020100126893 A KR1020100126893 A KR 1020100126893A KR 20100126893 A KR20100126893 A KR 20100126893A KR 101187131 B1 KR101187131 B1 KR 10118713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icycle
frame
user
hair
dry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268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65651A (ko
Inventor
성열규
Original Assignee
성열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성열규 filed Critical 성열규
Priority to KR10201001268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87131B1/ko
Publication of KR201200656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6565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871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8713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19/00Devices for washing the hair or the scalp; Similar devices for colouring the hair
    • A45D19/04Portable wash stand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20/00Hair drying devices; Accessories therefor
    • A45D20/04Hot-air producers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식 세발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이동 수단을 구비한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에 제공되는 세발대와, 상기 세발대의 상부에 위치하도록 제공되고, 사용자 머리의 상하방향으로 회전이 가능하도록 제공되는 원호 형상의 세발부재와, 상기 세발대의 상부에 위치하도록 제공되고, 사용자 머리의 상하방향으로 회전이 가능하도록 제공되는 원호 형상의 건조부재와, 상기 프레임에 제공되고, 상기 건조부재로 온풍을 발생시켜 전달하는 온풍발생부와, 상기 프레임에 제공되고, 저장된 물을 상기 세발부재로 공급하는 물공급부를 포함하는 이동식 세발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이동식 세발기{MOVABLE HAIR WASHER}
본 발명은 이동식 세발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이동 수단을 구비한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에 제공되는 세발대와, 상기 세발대의 상부에 위치하도록 제공되고, 사용자 머리의 상하방향으로 회전이 가능하도록 제공되는 원호 형상의 세발부재와, 상기 세발대의 상부에 위치하도록 제공되고, 사용자 머리의 상하방향으로 회전이 가능하도록 제공되는 원호 형상의 건조부재와, 상기 프레임에 제공되고, 상기 건조부재로 온풍을 발생시켜 전달하는 온풍발생부와, 상기 프레임에 제공되고, 저장된 물을 상기 세발부재로 공급하는 물공급부를 포함하는 이동식 세발기에 관한 것이다.
선진국에서는 노동인력이 부족하고 임금이 매우 높기 때문에 미용실에서는 세발 기술자가 많이 모자라다. 그리고 세발 기술자는 작업상 샴푸를 자주 접하고 시간이 오래 지나면 손이 상하게 되기 때문에 세발작업을 꺼리게 되고 또한 병원의 미용실에서 환자들을 위해 세발작업을 할 때에는 세발 기술자가 심각하게 부족하다. 따라서 수동으로 세발하는 것을 대체할 수 있는 세발기는 그 수요가 크다.
또한, 전신마비나 병환으로 장기간 누워있는 중환자 혹은 중풍환자와 같이 스스로 일어나 앉거나 걸어 다닐 수 없을 정도로 거동이 불편한 환자는 스스로 머리를 감을 수 없다. 따라서 보호자나 간병인(이하, 간병인)이 누워 있는 상태에서 물수건을 이용하여 세발을 하기도 한다. 하지만 물수건으로 세발을 하게 되면, 머리카락은 물론이고 두피를 제대로 닦을 수 없다.
이에 따라, 간병인은 환자를 세면장으로 이동시켜 세숫대야의 물로 머리를 감긴다. 하지만 거동이 불편한 환자는 몸을 추스르지 못하기 때문에 옮기는 과정이 너무 힘이 들뿐만 아니라, 임의로 움직여서는 안 되는 중환자에게는 옮기는 과정에서 치명상을 초래할 가능성이 있다. 이와 같이 거동이 불편한 환자를 이동시켜 세발을 한다는 것은 거의 불가능하다. 뿐만 아니라 세숫대야로 환자의 머리를 감겨주는 것조차 간병인으로서는 매우 곤란한 경우가 있다.
특히, 간병인이 환자가 처한 환경에 따라 적절하게 세발을 할 수 없는 경우가 허다하다. 예를 들어, 외부에서 직접 물을 공급받아 환자를 세발할 수 없는 환경에 처한 환자들도 많으나 환자들의 요청에 따라 언제든지 세발을 할 수 있는 장비가 없는 실정이다. 따라서 환자들의 상태나 환경에 관계없이 세발의 요청이 있는 경우 언제든지 세발을 할 수 있는 장비가 필요한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환자가 침대에 누워있는 상태에서 머리만을 세발기에 두고 자동적으로 세발 및 건조가 될 수 있도록 한 이동식 세발기를 제공하고 있다.
특히, 환자의 머리 부위를 다양하게 회전하면서 세발 및 건조가 가능하도록 하여 세발 성능 및 환자의 만족감을 향상시키는 이동식 세발기를 제공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과제 해결 수단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한 이동식 세발기의 일실시예는, 이동 수단(31)을 구비한 프레임(33)과, 상기 프레임(33)에 제공되는 세발대(1)와, 상기 세발대(1)의 상부에 위치하도록 제공되고, 사용자(100) 모발의 상하방향으로 회전이 가능하도록 제공되는 원호 형상의 세발부재(10)와, 상기 세발대(1)의 상부에 위치하도록 제공되고, 사용자(100) 모발의 상하방향으로 회전이 가능하도록 제공되는 원호 형상의 건조부재(20)와, 상기 프레임에 제공되고, 상기 건조부재(20)로 온풍을 발생시켜 전달하는 온풍발생부(9)와, 상기 프레임에 제공되고, 저장된 물을 상기 세발부재(10)로 공급하는 물공급부를 포함하고, 상기 세발부재(10)는 원호 형상의 내측으로 사용자(100)의 모발에 물을 분사하는 복수 개의 분사노즐(11)을 포함하고, 상기 건조부재(20)는 원호 형상의 내측으로 사용자(100)의 모발에 온풍을 공급하는 배출부(21)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프레임(33)에는 위치 조절 부재(7)가 제공되고, 상기 세발부재(10) 및 상기 건조부재(20)는 상기 위치 조절 부재(7)에 제공되어, 사용자(100)의 머리 위치에 따라 위치 조절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특히, 상기 분사노즐(11)에는 초음파 진동자를 두어 분사되는 물을 가늘게 만드는 것도 가능하다.
본 발명은 환자가 침대에 누워있는 상태에서 머리만을 세발기에 두고 자동적으로 세발 및 건조가 될 수 있도록 하여 편의성을 향상시킬 뿐만 아니라, 세발기가 이용될 수 있는 영역을 확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특히, 환자의 머리 부위를 다양하게 회전하면서 세발 및 건조가 가능하도록 하여 세발 성능 및 환자의 만족감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이동식 세발기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이동식 세발기의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이동식 세발기의 세발부재의 동작을 나타내는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이동식 세발기의 건조부재의 동작을 나타내는 측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이동식 세발기를 사용하는 모습의 측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구체적으로 살펴보기로 한다.
다만,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용어가 동일하더라도 표시하는 부분이 상이하면 도면 부호가 일치하지 않음을 미리 말해두는 바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설정된 용어들로서 이는 실험자 및 측정자와 같은 사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이동식 세발기의 사시도를,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이동식 세발기의 측면도를 나타낸다.
본 발명에 의한 이동식 세발기의 일실시예는, 이동 수단(31)을 구비한 프레임(33)과, 상기 프레임(33)에 제공되는 세발대(1)와, 상기 세발대(1)의 상부에 위치하도록 제공되고, 사용자(100) 모발의 상하방향으로 회전이 가능하도록 제공되는 원호 형상의 세발부재(10)와, 상기 세발대(1)의 상부에 위치하도록 제공되고, 사용자(100) 모발의 상하방향으로 회전이 가능하도록 제공되는 원호 형상의 건조부재(20)와, 상기 프레임에 제공되고, 상기 건조부재(20)로 온풍을 발생시켜 전달하는 온풍발생부(9)와, 상기 프레임에 제공되고, 저장된 물을 상기 세발부재(10)로 공급하는 물공급부를 포함하고, 상기 세발부재(10)는 원호 형상의 내측으로 사용자(100)의 모발에 물을 분사하는 복수 개의 분사노즐(11)을 포함하고, 상기 건조부재(20)는 원호 형상의 내측으로 사용자(100)의 모발에 온풍을 공급하는 배출부(21)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프레임(33)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측의 직선 형태의 부재에 이동 수단(31)과 연결되는 지지부(32)로 구성될 수 있다. 다만, 프레임(33)의 형상이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부당하게 제한해서는 안된다.
세발대(1)는 사용자(100)의 목을 지지할 수 있는 목지지부를 포함하여 보울(Bowl) 형상으로 제공된다. 세발대(1)의 하측 중심에는 모아진 물이 배수될 수 있는 배수구가 마련되어 있고, 세발대(1)의 하부에는 배수구와 연결된 배수관(2)을 통하여 오수가 모아지는 오수저장부(3)가 제공된다. 오수저장부(3)도 프레임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프레임(33)에는 위치 조절 부재(7)가 제공되고, 상기 세발부재(10) 및 상기 건조부재(20)는 상기 위치 조절 부재(7)에 제공되어, 사용자(100)의 머리 위치에 따라 위치 조절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위치 조절 부재(7)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임의 직선 부분을 감싸도록 제공되는 슬라이딩부(8)를 통하여 프레임의 직선 부분에 대해 이동이 가능한 구조이다.
세발부재(10)는 위치 조절 부재(7)에 연결되고, 연결된 부분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가능하도록 제공된다. 세발부재(10)가 위치 조절 부재(7)와 연결되는 부분에는 회전모터를 두어 세발부재(10)가 자동으로 회동하도록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임(33)은 한 쌍이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위치 조절 부재(7) 역시 한 쌍으로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세발부재(10)는 원호 형상의 양측이 위치 조절 부재(7)에 연결되어 회동 가능한 구조이다.
건조부재(20) 역시 세발부재(10)와 마찬가지의 형상 및 연결 구조로 위치 조절 부재(7)에 연결되어 있다. 다만, 건조부재(20)는 세발부재(10) 보다 사용자의 머리를 기준으로 볼 때 더 멀리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건조부재(20)가 더 가깝게 제공된다면, 세발부재(10)에서 분사된 물이 건조부재(20)로 들어가 고장을 일으킬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건조부재(20)의 원호의 직경은 세발부재(10)의 원호의 직경보다 더 크게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건조부재(20)의 회전시 세발부재(10)와의 간섭을 피하기 위함이다.
세발부재(10)에는 분사노즐(11)이 제공되어 있다. 분사노즐(11)은 세발부재(10)를 따라 소정의 간격만큼 이격되어 배열된다. 분사노즐(11)은 배출되는 물이 좀더 강하게 배출될 수 있도록 한다.
세발부재(10)는 단순한 관의 형상이고, 물을 공급하고 배출하는 힘을 제공하는 것은 프레임에 제공되는 펌프(5)이다. 즉, 본 발명에 의한 물공급부는, 프레임에 제공되는 물저장부(4)와, 물저장부의 물을 순간적으로 온수로 가열하는 순간 물가열기(6)와, 가열된 물을 세발부재(10)로 공급하는 압력을 제공하는 펌프(5)로 구성된다. 펌프(5)로부터 세발부재(10)까지의 물의 이동은 튜브를 통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튜브는 미관상 프레임 부재의 내부 공간에 삽입되어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건조부재(20)에는 배출부(21)가 형성되어, 온풍을 사용자의 모발에 공급한다. 다만, 프레임에 제공되는 온풍발생부(9)에서 전기를 이용하여 온풍을 발생시키고, 이를 프로펠러 등에 의해 건조부재(20)로 공급하게 된다. 역시 튜브 등으로 연결되어 있고, 이는 프레임 부재의 내부 공간에 삽입되어 제공되는 것이 미관상 좋다.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위치 조절 부재(7)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건조부재(20) 및 세발부재(10)로 연결되는 튜브가 위치 조절 부재(7)를 통하여 연결된다. 따라서 프레임 상 위치 조절 부재(7)가 덮고 있는 부분은 위치 조절 부재(7)의 내부와 프레임 부재의 내부 공간이 서로 개방되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이동식 세발기의 세발부재의 동작을 나타내는 측면도를 나타낸다.
세발부재(10)는 한 쌍의 위치 연결 부재(또는 한 쌍의 프레임)과의 연결 부분을 중심으로 회전이 가능하게 제공된다. 세발부재(10)는 원호 형상을 가지므로, 회전하는 경로는 구의 형상을 만들게 된다. 다만, 동작 시 사용자(100)의 목 부위에 의해 간섭되므로, 실제 회전하는 각도는 사용자의 모발이 있는 영역에 한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분사노즐(11)에는 초음파 진동자를 두어 분사되는 물을 가늘게 만드는 것도 가능하다. 초음파 진동자는 물방울의 직경을 더욱 작게 만들어 모발에 공급되는 양을 증가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초음파 진동자를 사용하게 되면, 물을 고르게 분사할 수 있어 물 및 샴푸의 절약 효과가 있고, 두피 진정 작용, 비듬 제거, 및 알러지 방지 등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이동식 세발기의 건조부재의 동작을 나타내는 측면도를 보여준다.
건조부재(20) 역시 세발부재(10)와 동일한 원리로 작동하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다만, 건조부재(20)가 작동시에는 위치 조절 부재가 사용자(100) 측으로 이동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건조부재(20)가 세발부재(10) 보다 사용자(100)로부터 멀리 떨어져 있어 이를 보상하기 위함이다. 이러한 이유때문에 위치 조절 부재를 통해 세발부재 및 건조부재의 위치를 조절하는 것이 필요하다.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이동식 세발기를 사용하는 모습의 측면도를 나타낸다. 본 발명의 핵심은 병원에서 이동이 불편한 환자의 침대(110)로 세발기를 위치시킨 상태에서 세발을 하는 것이다. 사용자(100)가 세발대(1)에 머리를 위치시킨 후, 위치 조절 부재(7) 이동시켜 최적의 위치에 세발부재를 위치시키고, 세발부재를 회전시켜가면서 사용자(100)의 모발에 물을 공급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프레임의 지지부(32)는 높이 조절 수단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각 병원마다 침대의 높이가 상이하기 때문에 세발대(1)의 위치를 이에 맞추도록 조절할 필요성이 있다. 높이 조절 수단은 두 개의 관형 부재를 겹친 상태에서 겹쳐진 정도를 변화시키고, 이어 고정하는 방식을 취할 수 있다.
또는 자동차의 높이 조절이 가능한 지그 형상 구조를 채용할 수도 있고, 나사 결합 타입으로 회전을 하여 높이를 조절하는 방식을 취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은 이동식 세발기를 침대의 높이에 맞출 수 있도록 높이 조절 수단을 제공하는 것에 기술적 특징이 있는 것이지, 높이 조절 수단의 세부적인 구성까지 권리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실시예에 의해 권리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인 사상을 가지고 있다면 모두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해당된다고 볼 수 있으며, 본 발명은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권리범위가 정해짐을 밝혀둔다.
1 : 세발대, 2 : 배수관, 3 : 오수저장부, 4 : 물저장부, 5 : 펌프, 6 : 순간 물가열부, 7 : 위치 조절 부재, 10 : 세발부재, 20 : 건조부재, 33 :프레임, 32 : 프레임 지지부

Claims (3)

  1. 이동 수단(31)을 구비한 프레임(33)과,
    상기 프레임(33)에 제공되는 세발대(1)와,
    상기 세발대(1)의 상부에 위치하도록 제공되고, 사용자(100) 모발의 상하방향으로 회전이 가능하도록 제공되는 원호 형상의 세발부재(10)와,
    상기 세발대(1)의 상부에 위치하도록 제공되고, 사용자(100) 모발의 상하방향으로 회전이 가능하도록 제공되는 원호 형상의 건조부재(20)와,
    상기 프레임에 제공되고, 상기 건조부재(20)로 온풍을 발생시켜 전달하는 온풍발생부(9)와,
    상기 프레임에 제공되고, 저장된 물을 상기 세발부재(10)로 공급하는 물공급부를 포함하고,
    상기 세발부재(10)는 원호 형상의 내측으로 사용자(100)의 모발에 물을 분사하는 복수 개의 분사노즐(11)을 포함하고,
    상기 건조부재(20)는 원호 형상의 내측으로 사용자(100)의 모발에 온풍을 공급하는 배출부(21)를 포함하는,
    이동식 세발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33)에는 위치 조절 부재(7)가 제공되고,
    상기 세발부재(10) 및 상기 건조부재(20)는 상기 위치 조절 부재(7)에 제공되어, 사용자(100)의 머리 위치에 따라 위치 조절이 가능한,
    이동식 세발기.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분사노즐(11)에는 초음파 진동자를 두어 분사되는 물을 가늘게 만드는,
    이동식 세발기.
KR1020100126893A 2010-12-13 2010-12-13 이동식 세발기 KR10118713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26893A KR101187131B1 (ko) 2010-12-13 2010-12-13 이동식 세발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26893A KR101187131B1 (ko) 2010-12-13 2010-12-13 이동식 세발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65651A KR20120065651A (ko) 2012-06-21
KR101187131B1 true KR101187131B1 (ko) 2012-09-28

Family

ID=466852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26893A KR101187131B1 (ko) 2010-12-13 2010-12-13 이동식 세발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8713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79329A (ko) 2020-12-04 2022-06-13 이승찬 이동식 소형 세발기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87703U (ja) 1982-12-06 1984-06-14 オ−ジ−技研株式会社 自動洗髪機の縦型ブラシ台に設けたブラシ保持機構
KR100404618B1 (ko) 2001-02-13 2003-11-05 이만택 건조를 위한 열풍수단을 갖는 모발 세척기
KR100801494B1 (ko) 2006-07-24 2008-02-18 정주영 자동 샴푸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87703U (ja) 1982-12-06 1984-06-14 オ−ジ−技研株式会社 自動洗髪機の縦型ブラシ台に設けたブラシ保持機構
KR100404618B1 (ko) 2001-02-13 2003-11-05 이만택 건조를 위한 열풍수단을 갖는 모발 세척기
KR100801494B1 (ko) 2006-07-24 2008-02-18 정주영 자동 샴푸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79329A (ko) 2020-12-04 2022-06-13 이승찬 이동식 소형 세발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65651A (ko) 2012-06-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5176538A1 (zh) 自动洗头机
US20070157376A1 (en) Bathing system and corresponding method
US20070079766A1 (en) Beauty, medical treatment, and bath system for pet animal
CN202010272U (zh) 多功能坐浴熏洗椅
US11700977B2 (en) Automatic system for providing full body shower to a user
CN203042776U (zh) 实用洗头盆
JP2018089068A (ja) 風呂椅子
KR101292178B1 (ko) 고령자 및 장애인을 위한 자동 목욕장치
KR101773714B1 (ko) 탈모 케어 및 두피 마사지 장치
KR101187131B1 (ko) 이동식 세발기
WO2006008794A1 (ja) 頭髪,頭皮のセルフ自動洗髪並びにセルフ自動ケア装置
JP4606914B2 (ja) フットバス用椅子
KR20050053477A (ko) 애완동물용 미용, 의료 및 욕조 시스템
JP4089238B2 (ja) シャワー装置
CN202859537U (zh) 电动洗头器
KR101759709B1 (ko) 유아용 욕조
CN210019121U (zh) 一种摇摆式全自动智能淋浴装置
KR101773715B1 (ko) 두피 마사지용 헤어 캡
CN203507027U (zh) 卧式洗头盆
KR101378231B1 (ko) 환자용 자동 목욕시설
CN104510583A (zh) 卧式洗头盆
JP3149181U (ja) 洗髪器
KR20110008151U (ko) 벽부착형 자동세발기
JP3084507U (ja) 移動式携帯型美容ベッド
RU2288693C2 (ru) Мини-баня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2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2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2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1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29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