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59709B1 - 유아용 욕조 - Google Patents

유아용 욕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59709B1
KR101759709B1 KR1020150090730A KR20150090730A KR101759709B1 KR 101759709 B1 KR101759709 B1 KR 101759709B1 KR 1020150090730 A KR1020150090730 A KR 1020150090730A KR 20150090730 A KR20150090730 A KR 20150090730A KR 101759709 B1 KR101759709 B1 KR 10175970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thtub
water
container
drainage
water supp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907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01828A (ko
Inventor
기성간
Original Assignee
(주)페이스그래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페이스그래픽 filed Critical (주)페이스그래픽
Priority to KR10201500907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59709B1/ko
Publication of KR201700018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0182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597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5970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3/00Baths; Douches; Appurtenances therefor
    • A47K3/02Baths
    • A47K3/06Collapsible baths, e.g. inflatable; Movable baths
    • A47K3/062Collapsible baths, e.g. inflatable; Movable bath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 e.g. for washing the feet, for bathing in sitting position
    • A47K3/064Collapsible baths, e.g. inflatable; Movable bath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 e.g. for washing the feet, for bathing in sitting position specially adapted for use for children or babies ; Mounting frame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3/00Baths; Douches; Appurtenances therefor
    • A47K3/001Accessories for baths, not provided for in other subgroups of group A47K3/00 ; Insertions, e.g. for babies; Tubs suspended or inserted in baths; Security or alarm devices; Protecting linings or coverings; Devices for cleaning or disinfecting baths; Bath insulation

Abstract

상측이 개구된 내부 수용공간으로 목욕물을 담아 유아를 씻길 수 있도록 형성되는 욕조와, 상부에는 상기 욕조가 안착되는 안착부가 형성되고, 상기 안착부를 받쳐 지지하도록 형성되는 지지부와, 상기 지지부의 하단에서 바닥면에 지지되는 고정부를 포함하는 지지수단 및, 내부에 물을 저장하기 위해 마련된 물수용부에는 저장된 물을 가열하는 가열수단이 마련되고, 상측에는 상기 물수용부 내부로 물을 공급하기 위한 물공급부가 마련되는 급수용기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유아용 욕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유아용 욕조{The bathtub for an infant}
본 발명은 유아를 목욕시키기 위해 사용하는 유아용 욕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욕조의 이동 및 휴대가 용이하고, 목욕을 시키는 보호자의 신체조건에 맞게 욕조의 높낮이를 조절하며, 목욕물의 급수 및 배수를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욕조 내의 온도를 설정된 온도로 유지 및 식별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보호자의 편의성을 증대와 유아의 건강을 보호 및 목욕에 대한 스트레스를 해소시킬 수 있는 유아용 욕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유아(幼兒)는 대소변이 잦고 항시 따뜻한 환경에서 지내기 때문에 습진 등의 발생 가능성이 높고, 기어다니시 시작하면서 부터는 각종 오물이나 먼지에 쉽게 노출되어 각종 피부염이나 질병에 노출될 가능성이 높아지게 된다.
이에, 각종 질병을 예방하고, 피부의 탄력성을 유지하며, 건강한 성장을 위해서 수시로 목욕을 시켜주어야 하는데, 이러한 유아들 특히 신생아들은 스스로 목을 가눌 수 없을 뿐만 아니라, 앉은 자세도 불가능하기 때문에 욕조의 바닥에 비누 거품과 수막 현상에 의해 미끄러지기 쉬워 눈이나 귀로 물이 들어가거나 물속에 빠지는 등 안전상의 우려가 있기 때문에, 어느 정도 성장한 어린이를 목욕시킬 때와는 달리 매우 조심스럽게 목욕을 시켜야 한다.
과거에는 유아들의 목욕을 위해 세숫대야나 부피가 큰 양동이를 사용하였으나, 근래에 들어서는 유아용품의 발달로 인해 유아용 욕조가 제조 및 판매되고 있으며, 이러한 유아용 욕조는 내부에 일정량의 물을 담아 사용할 수 있도록 장방형의 플라스틱 재질로 된 함체로 형성되었다.
이러한 대부분의 욕조는 유아의 몸보다 크게 제작되고, 유아는 혼자서 몸을 제대로 가눌 수 없기 때문에 보호자가 유아의 목과 몸을 한손으로 잡고, 다른 한손으로 유아의 신체를 닦아내는 방법으로 목욕을 시켜야 했으며, 한번 씻어낸 물은 버리고 다시 깨끗한 물로 채워 씻기기 위해서도 유아를 한손으로 잡은 상태에서 욕조 내부의 물을 버리고 채우는 과정이 이루어져야 했기 때문에, 물을 버리고 채우는 동안 몸이 젖은 유아가 욕조 밖에 있어야 하기 때문에 감기에 걸리기 쉬운 상황에 노출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여기서, 종래의 유아용 욕조는 욕실이나 거실 바닥에 두고 사용하기 때문에 보호자가 허리를 숙인 상태에서 목욕을 시켜야 했기 때문에, 경험이 많은 보호자라 하더라도 유아를 씻기는 것이 힘든 일로 느껴졌고, 경험이 많지 않은 보호자로서는 유아를 목욕시키는 행위가 더욱더 어렵게 느껴질 수 밖에 없게 되었다.
이에, 종래에는 한국공개특허공보 제1999-0074343호(유아용 욕조)와 같이 손잡이를 이용해 일 방향으로 회전력을 가하면 구동휠의 회전력이 안내샤프트에 전달되어 방향으로 회전되고, 안내샤프트와 안내하우징에 결합된 회동축이 회동바를 밀거나 당겨 승강대가 펼쳐지거나 오므려지면서 유아용 욕조의 높이를 조절하거나, 한국등록실용신안 제0459933호(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유아욕조)와 같이 욕조를 지지하는 테두리부의 하측에 결합되는 내·외측 다리부재에 높이조절공을 형성하고 그 높이조절공에 높이조절뭉치를 결합하여 욕조의 높이를 조절하거나, 한국등록실용신안 제0465264호(다기능 욕조 스탠드)와 같이 상단봉과 하단봉에 의해 일체로 형성되어 힌지에 의해 회전 반경이 조절가능하게 결합된 제1다리부재와 제2다리부재를 통해 욕조의 높이를 조절하였다.
그러나, 상기한 욕조의 높이 조절 방식 중 회전축을 통해 높이를 조절하는 경우에는 설정된 높이로 상승 및 하강시키기 위해 허리 또는 무릎을 구부린 상태에서 지속적인 회전력을 가해야 하므로 불필요하게 체력이 소모되고, 짧은 시간에 높이 조절을 하기 불편하였다.
또한, 높이조절공을 통해 높이를 조절하는 경우는 허리 또는 무릎을 구부린 상태로 높이를 조절해야 하는 불편함과, 설정된 가동 범위 내에서만 높이조절이 가능하여 보호자가 원하는 높이로 정확히 조절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더불어, 힌지를 통한 회전반경을 조절하거나 상기한 두 방식들에 비해 간편하게 높이를 조절할 수는 있었으나, 설정된 높이로 정확한 조절이 어려울 뿐만 아니라, 높이가 조절된 상태를 견고하게 유지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유아를 씻기기 위해서는 물의 온도를 37~40도로 유지해 주어야 하는데, 이를 위해 대다수의 보호자들은 자신의 손목에 물을 뿌려 따스한 정도로 미지근한 물임을 짐작하였으나 이러한 방법으로는 적정한 온도의 확인이 어려웠고, 또 다른 방법으로는 욕조에 직접 온도계를 넣어 온도를 측정하였으나, 이 역시도 보호자가 수시로 확인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더불어, 유아의 감기를 예방하기 위해 목욕시간은 10분 이내로 짧게 끝내는 것이 바람직한데, 욕조에 담긴 물은 일정시간이 지남에 따라 온도가 떨어지기 때문에 항시 보조 용기에 물을 담아 준비해야 했으며, 이 과정에서도 항시 욕조에 담겨진 물의 온도를 확인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이에, 종래에는 한국 등록실용신안 제0384553호와 같이 히터가 내장된 자동온도조절장치를 욕조 내부에 매립하고, 입수호스와 출수호를 통해 물을 순환하여 일정한 온도가 되도록 하고 있으나, 설정된 온도를 유지하기 위해 그 설정된 온도 이상으로 가열된 온수가 직접 욕조에 공급되는 경우 목욕을 하는 유아가 화상을 입게될 우려가 있고, 욕조에 인접하여 설치된 온도조절장치에서 유해 전자파가 발생하는 경우 유아에게 직접 전달될 우려가 있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한국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09-0003336(2009.04.09., 위치이동 가능한 유아욕조) 한국등록실용신안공보 제0446499호(2009.11.05., 유아용 다기능 욕조) 한국공개특허공보 제1999-0074343호(1999.10.05., 유아용 욕조) 한국등록실용신안 제0459933호(2012.04.20.,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유아욕조) 한국등록실용신안 제0465264호(2013.02.15., 다기능 욕조 스탠드) 한국 등록실용신안 제0384553호(2005.05.16., 욕조내장형자동온도조절장치)
따라서,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욕조를 편리하게 운반 및 이동시킬 수 있고, 선택된 장소에서 고정하여 사용할 수 있는 유아용 욕조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보호자의 신체 조건에 따라 욕조의 높이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는 유아용 욕조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보호자가 욕조 내부에 담긴 물의 온도를 항시 식별할 수 있으며, 목욕에 적정한 온도로 설정된 온수를 욕조 내부에 수시로 공급할 수 있는 유아용 욕조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목욕을 하는 동안 유아를 욕조 밖으로 안고 있지 않은 상태에서도 욕조 내부의 물을 용이하게 교체할 수 있는 유아용 욕조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욕조 내부에서 미끄러짐이나 부딪힘에 의해 유아에게 전달되는 충격을 완화하고, 세척 및 관리가 용이하며, 욕조 형상을 견고하게 유지할 수 있는 유아용 욕조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유아용 욕조의 용도 뿐만 아니라, 생활 용품으로 활용할 수 있는 유아용 욕조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것으로, 상측이 개구된 내부 수용공간으로 목욕물을 담아 유아를 씻길 수 있도록 형성되는 욕조와, 상부에는 상기 욕조가 안착되는 안착부가 형성되고, 상기 안착부를 받쳐 지지하도록 형성되는 지지부와, 상기 지지부의 하단에서 바닥면에 지지되는 고정부를 포함하는 지지수단 및, 내부에 물을 저장하기 위해 마련된 물수용부에는 저장된 물을 가열하는 가열수단이 마련되고, 상측에는 상기 물수용부 내부로 물을 공급하기 위한 물공급부가 마련되는 급수용기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급수용기는 상기 가열수단에 의해 가열된 온수를 일측에 마련된 토출부를 통해 외부로 공급하는 펌프와, 상기 토출부에 결합되어 상기 펌프에 의해 공급된 온수를 이동하는 호스와, 상기 호스의 말단에 결합되어 공급된 온수를 분사하는 샤워노즐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급수용기의 일측면에는 상기 가열수단의 가열온도와 상기 펌프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가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욕조의 테두리부에는 상기 호스 및 샤워노즐을 고정하는 고정클립이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욕조는 내부에 수용된 물의 온도를 측정하는 센서와, 상기 센서를 통해 검출된 온도를 수치로 나타내는 온도표시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욕조의 하면에는 다수의 돌기가 하향 돌출되고, 상기 안착부에는 상기 돌기와 대응되는 위치에 돌출부가 상향 돌출되며, 상기 돌출부의 일측에는 상기 돌기가 삽입 및 고정되도록 하는 고정홈이 함몰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욕조의 하면에는 상기 욕조의 높낮이 및 기울기를 조절하기 위해, 일측을 기준으로 접철 가능하게 결합되는 조절수단이 하나 이상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홈은 상기 조절수단이 접철되는 방향에 함몰되고, 상기 조절수단의 하부는 펼쳐진 상태에서 상기 고정홈에 삽입 및 고정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욕조는 내측의 내부몸체와 상기 내부몸체의 외측에 결합되는 외부몸체로 분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지부는 상부몸체와 하부몸체로 상·하 분리 구성되어, 둘 중 어느 하나가 다른 하나에 삽입되도록 형성되고, 내부에는 유압에 의해 상·하 슬라이딩 이동되는 실린더부가 마련되고, 일측 외면에는 상기 상부몸체의 상승 및 하강 높이를 조절하는 조절레버가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욕조의 일측에는 내·외측을 관통하는 배수홀이 형성되고, 상기 안착부에는 상기 배수홀과 대응되는 위치에 상·하로 관통되는 배수안내홀이 형성되며, 상기 지지수단의 일측에는 상기 배수홀에서 배수된 물이 상측의 배수유입부를 통해 내부의 배수저장부로 저장되는 배수용기가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급수용기 및 배수용기의 일측 하면에는 상기 급수용기 및 배수용기를 지지한 상태로 바닥면에 밀착되어 회전하는 이동롤러가 결합되고, 타측 하면에는 상기 이동롤러가 상기 급수용기 및 배수용기의 하면에 돌출되는 높이와 대응되는 길이를 갖도록 형성되어 상기 급수용기 및 배수용기가 임의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는 논슬립패드가 결합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유아용 욕조는 가벼운 재질로 형성되어 운반 및 이동이 용이하고, 분해와 조립이 간편하여 선택된 장소에서 고정시킨 상태로 사용할 수 있어, 휴대성 및 편의성이 증대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욕조 하부를 안착 지지하는 지지수단의 높이를 보호자의 신체 조건에 따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어, 허리 또는 무릎을 구부지지 않은 상태로 유아를 목욕시키는 것이 가능하므로, 보호자의 피로도를 감소시키고 부상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욕조 내부에 설치된 센서와 외부 일측에 설치된 온도표시부를 통해 목욕물의 온도를 항시 식별할 수 있어, 물의 온도를 수시로 확인해야 하는 불편함을 방지할 수 있고, 급수용기에서 목욕에 적정한 온도로 가열된 온수를 수시로 욕조 내부에 공급할 수 있어, 유아의 비눗물을 씻겨내기 위해 별도의 보조용기에 온수를 준비해야 하는 번거로움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욕조에 유아를 씻기고 난 이후의 물을 배수할 수 있는 배수홀을 구비하고, 배수홀을 통해 배수된 물은 배수용기에 저장되도록 함으로써, 목욕을 하는 동안 유아가 욕조 밖에 머무르지 않도록 하여 유아의 감기를 예방함과 동시에, 배수를 위해 유아를 안고 있지 않아도 되므로 보호자의 팔과 어깨에 무리가 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욕조에 유아를 씻기고 난 이후의 물을 배수할 수 있는 배수홀을 구비하고, 배수홀을 통해 배수된 물은 배수용기에 저장되도록 하여, 목욕을 하는 동안 유아가 욕조 밖에서 기다리지 않도록 함으로써, 유아의 감기를 예방할 수 있고 이와 동시에 보호자의 팔과 어깨에 무리가 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욕조 내부에서 미끄러지거나 부딪혀 유아에게 전달되는 충격을 완화할 수 있는 내부몸체와, 욕조 형상을 견고하게 유지할 수 있는 외부몸체로 구성하여, 유아의 부상을 방지할 수 있어 안심하고 사용할 수 있고, 세척 및 관리를 용이하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유아를 목욕시키기 위해서는 유아용 욕조로 사용하고, 그 외에는 일상 생활 용품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하여, 제품의 활용도를 극대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유아용 욕조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대한 분해사시도,
도 3a는 도 1에서 욕조를 발췌하여 나타낸 사시도,
도 3b는 도 3a의 저면사시도,
도 4는 도 1에서 지지수단을 발췌하여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도 1에서 급수용기를 발췌하여 나타낸 사시도,
도 6은 도 5에 대한 A-A단면도,
도 7는 도 1에서 배수용기를 발췌하여 나타낸 사시도,
도 8은 도 1에서 급수용기 및 배수용기 결합된 손잡이의 또 다른 형상을 나타낸 측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유아용 욕조를 나타낸 일부 분해사시도,
도 10은 도 9에서 조절수단을 통해 욕조의 기울기가 조절된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설명에 앞서, 여러 실시예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을 가지는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사용하여 대표적으로 제1실시예에서 설명하고, 그 외의 실시예에서는 제1실시예와 다른 구성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유아용 욕조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내지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유아용 욕조는 크게 욕조(100), 지지수단(200) 및 급수용기(3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욕조(100)는 상측이 개구된 내부 수용공간으로 목욕물을 담아 유아를 씻기기 위한 것으로, 면역력이 약한 유아들이 사용하는 것인 만큼 인체에 무해하고 친환경적인 수지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욕조(100)는 내측의 내부몸체(110)와 내부몸체(110)의 외측에 결합되는 외부몸체(120)로 분리 구성될 수 있는데, 내부몸체(110)는 유아의 피부가 직접 접촉되는 부분으로 유아가 미끄러지거나 부딪힘 등에 따른 충격을 흡수할 수 있는 연질의 재질로 형성되고, 외부몸체(120)는 욕조(100)의 형상을 유지하면서 외부의 충격에도 견딜 수 있는 경질의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욕조(100)에는 하면 테두리부분에 하향 돌출되는 리브(121)가 형성되고, 욕조(100)의 내부에는 수용된 물의 온도를 측정하는 센서(130)가 마련되고, 테두리부에는 센서(130)를 통해 검출된 온도를 수치로 나타내는 온도표시부(140)와, 온도표시부(140)와 이격된 위치에는 후술할 샤워노즐(370)을 고정하는 고정클립(150)이 마련된다.
지지수단(200)은 욕조(100)의 하부가 상면에 안착되어 밀착 지지되는 안착부(210)와, 안착부(210)의 하면에서 하향 돌출되어 안착부(210)를 받쳐 지지하는 지지부(220)와, 지지부(220)의 하단에서 바닥면에 지지되어 임의로 유동되지 않도록 하는 고정부(230)를 포함하여 형성된다.
지지부(220)는 높이를 조절하기 위해 안착부(210)를 지지하는 상부몸체(221)와 고정부(230)에서 상측으로 연장 형성된 하부몸체(222)로 상·하 분리 구성되고, 상부몸체(221)와 하부몸체(222)는 둘 중 어느 하나가 다른 하나에 삽입되어 상·하 슬라이딩 이동되도록 결합된다.
이러한, 상부몸체(221)와 하부몸체(222) 내부에는 유압에 의해 상·하로 이동되는 실린더부(223)가 결합되고, 상부몸체(221)의 일측에는 실린더부(223)의 유압을 조절하여 상승 및 하강 높이를 조절하는 조절레버(224)가 결합된다.
여기서, 고정부(230)의 하면에는 바닥면에 설치된 상태에서 미끄러지거나 임의로 유동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고무, 우레탄 등의 공지된 재질로 형성된 미끄럼방지수단(미도시)이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욕조(100)의 하부 일측에는 욕조(100) 내부에 채워진 물을 배수하기 위해 내·외측을 관통하는 배수홀(180)이 형성되며, 후술할 안착부(210)에는 배수홀(180)과 대응되는 위치에 상·하로 관통되는 배수안내홀(213)이 형성된다.
급수용기(300)는 내부에 물을 저장하기 위해 마련된 물수용부(310)와, 물수용부(310) 내부로 물을 공급하기 위해 급수용기(300)의 상측에 마련된 물공급부(320)와, 물수용부(310)에 저장된 물을 가열하도록 마련된 가열수단(33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급수용기(300)는 가열수단(330)에 의해 가열된 온수를 일측에 마련된 토출부(340)를 통해 외부로 공급하는 펌프(350)와, 토출부(340)에 결합되어 펌프(350)에 의해 공급된 온수를 이동하는 호스(360)와, 호스(360)의 말단에 결합되어 공급된 온수를 분사하는 샤워노즐(370)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고, 급수용기(300)의 상면에는 물공급부(320)에 이격된 상면에는 가열수단(330)의 가열온도와 펌프(350)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380)가 마련된다.
이러한 급수용기(300)에는 상수도에 연결된 상수도연결호스에 연결되어 물수용부(310)에 지속적으로 물이 지속적으로 공급될 수 있도록 하는 상수도연결부(301)와, 급수용기(300)의 일측 외면에는 호스(360)를 사용하지 않거나 짧은 길이로 사용할 경우 이를 고정할 수 있도록 하는 호스걸이부(302)가 별도로 마련될 수 있다.
여기서, 제어부(380)에는 전원을 공급 및 차단하는 전원버튼과, 가열온도를 설정하는 온도조절버튼과, 가열수단(330)을 작동시키는 가열버튼과, 펌프(350)를 작동시켜 물이 공급되도록 하는 급수버튼과, 물수용부(310)내에 물이 부족함을 알리는 물부족알림램프 및 정상적인 작동이 이루어지지 않음을 알리는 경고램프와, 각각의 작동버튼을 누름에 따른 작동상태 및 물수용부(310) 내의 물 온도를 표시하는 계기판, 설정된 온도로 가열이 완료되거나 물이 부족하거나 작동 오류가 발생하는 경우 소리를 통해 이를 알리는 음향부가 구비된다.
또한, 토출부(340)에는 배출되는 물을 공급 또는 차단할 수 있는 개폐밸브(341)가 구비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호스(360)와 토출부(340)를 분리한 상태에서도 물수용부(310) 내에 채워진 물이 급수용기(300) 외부로 흘러나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더불어, 샤워노즐(370)은 도시하지 않았으나 테두리부의 미세공급노즐과 중심부의 일괄공급노즐로 배출되는 영역으로 구성되어 샤워노즐(370)의 일측에는 배출되는 영역을 선택하여 분사되는 물의 세기를 조절하는 가변스위치부가 마련되고, 샤워노즐(370)의 손잡이(530) 부분에는 펌프(350)를 통해 온수가 공급되더라도 이를 선택적으로 배출시키거나 차단할 수 있는 개폐조절부가 각각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가변스위치부는 사용 용도에 맞게 공급되는 물의 세기 및 면적을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고, 개폐조절부는 보호자가 서 있는 상태로 유아를 목욕시키는 동안에도 제어부(380)를 조작하기 위해 허리를 숙였다 폈다 반복하는 불편함을 해소하기 위함이다.
한편,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유아용 욕조는 배수홀(180)을 통해 배수된 물을 저장하기 위해 지지수단(200)의 일측 즉, 배수안내홀(213)에 인접한 위치에 배치되는 배수용기(400)가 더 구비되는데, 이러한 배수용기(400)는 배수홀(180)에서 배수된 물이 유입되는 배수유입부(410)와, 이 배수유입부(410)를 통해 유입된 물이 내부에 저장되는 배수저장부(420)로 형성된다.
여기서, 배수안내홀(213)에는 배수홀(180)을 통해 배수된 물이 이동할 수 있는 주름관 형상의 배수튜브(214)가 결합되고, 배수튜브(214)의 말단측은 배수유입부(410) 내에 삽입되거나 그 외면에 결합되도록 함으로써, 욕조(100)에서 배수된 물이 안착부(210)의 상면이나 배수용기(400)의 외부로 흐르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배수튜브(214)가 주름관으로 형성되어 길이 조절을 용이하게 할 수 있으므로 배수용기(400)의 위치를 자유롭게 배치할 수 있다.
이러한, 배수용기(400)는 사용이 완료된 이후 보관하거나, 기타 다른 용도로 사용하는 경우, 배수유입부(410)에 결합되어 개구면을 마감할 수 있는 배수용기캡(411)이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급수용기(300) 및 배수용기(400)의 일측 하면에는 급수용기(300) 및 배수용기(400)를 지지한 상태로 바닥면에 밀착되어 회전하는 이동롤러(510)를 결합하여 편리하게 이동하도록 할 수 있고, 타측 하면에는 이동롤러(510)가 급수용기(300) 및 배수용기(400)의 하면에 돌출되는 높이와 대응되는 길이를 갖는 논슬립패드(520)가 결합되어 설정된 위치에 배치된 상태에서 임의로 유동하는 것이 방지되도록 할 수 있으며, 이러한 논슬립패드(520)는 미끄러짐을 방지하면서도 완충작용을 할 수 있는 고무, 우레탄 등의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불어, 급수용기(300) 및 배수용기(400)에는 편리한 이동 및 운반을 위한 손잡이(530)가 결합되는데, 이러한 손잡이(530)는 첨부한 도면에서 급수용기(300)에는 상측 일면에 고정되고, 배수용기(400)에는 상측 중앙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으로 도시하였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에 따른 하나의 실시예일 뿐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손잡이(530)는 도 8과 같이 각 용기의 형상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된 한 쌍이 상호 대칭되는 방향으로 결합되고, 각 용기에 결합된 일측을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게 형성되며, 양측 손잡이(530)의 중심부가 각 용기의 상측에서 모아질 수 있는 길이로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유아용 욕조에 대한 작용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유아를 목욕시키기 위한 장소에 지지수단(200)을 설치하고, 안착부(210)의 상측에는 욕조(100)를 결합하며, 지지수단(200)의 양측에는 물수용부(310)에 물이 채워진 급수용기(300)와 배수저장부(420)가 비어있는 배수용기(400)를 각각 배치한다.
이와 같이 배치된 상태에서 조절레버(224)를 작동하여 보호자의 신체조건 즉, 유아를 목욕시키기 용이한 높이로 위치를 조절한 상태에서, 제어부(380)를 통해 가열버튼을 누르게 되면 가열수단(330)은 급수용기(300) 내에 저장된 물을 설정된 온도로 가열하기 시작하고, 설정된 온도로 가열이 완료되면 음향부에서는 알람이 울리게 된다.
이를 통해, 보호자는 수시로 물의 온도를 확인할 필요 없이 온수 준비가 완료되었음을 쉽게 인지할 수 있으므로, 보호자는 온수가 준비되는 동안 목욕 용품을 준비하는 등 여타의 다른 일을 할 수 있고, 유아 역시도 미리 옷을 벗지 않아도 되므로 체온 변화에 따른 감기에 걸릴 우려를 감소시킬 수 있다.
이처럼, 물수용부(310)에 저장된 물이 온도로 가열되면 펌프(350)를 작동시키고, 가열된 온수는 펌프(350)의 작동에 의해 토출부(340), 호스(360), 샤워노즐(370)로 순차 이동하여 욕조(100) 내에 물을 공급하게 되며, 이때의 샤워노즐(370)은 노즐이 욕조(100) 내부를 향하도록 고정클립(150)에 의해 고정된 상태이고, 배수홀(180)에는 욕조(100) 내부의 물이 배수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별도의 마개가 결합된 상태이다.
욕조(100) 내에 물이 공급되면 센서(130)는 물의 온도를 감지하게 되고, 센서(130)로부터 검출된 물의 온도는 온도표시부(140)로 표시되는데, 이러한 센서(130) 및 온도표시부(140)는 유아를 목욕시키는 내내 작동되며, 목욕을 시키는 동안 온도표시부(140)에 표시된 온도가 떨어지게 되면 다시 급수용기(300) 내에 저장된 온수를 욕조(100) 내에 공급하여 유아가 목욕하기 적절한 온도로 유지하면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급수용기(300)에서 공급되어 욕조(100) 내에 채워진 온수를 이용해 유아를 비누 또는 샴푸 등의 목욕용품으로 씻긴 후에는 다시 한번 깨끗한 물로 몸에 묻은 거품이나 세제성분을 씻어내야 하는데, 이때 배수홀(180)에 결합된 마개를 분리하면 욕조(100) 내부에 담겨 있는 물은 배수안내홀(213)에 결합된 배수튜브(214)를 통해 배수용기(400)로 저장되며, 세제성분이 포함된 물이 배수되기 시작하면, 샤워노즐(370)에서 물이 공급되도록 개폐조절부를 조절하여 급수용기(300)의 물수용부(310)에 저장된 온수가 욕조(100) 내로 공급되도록 한다.
또한, 세제성분을 포함한 물이 욕조(100)에서 배수되는 동안 유아의 체온이 급격히 떨어질 수 있으므로, 욕조(100) 내에 있던 물이 배수되는 동안에도 급수용기(300)에 저장된 온수를 욕조(100) 내부로 공급하여 유아의 체온이 떨어지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불어, 배수홀(180)을 통해 욕조(100) 내의 물이 배수되는 속도는 샤워노즐(370)을 통해 온수가 공급되는 속도보다 빠르게 이루어지므로, 배수홀(180)에 결합된 마개를 분리하기 전에 물수용부(310) 내의 온수가 먼저 공급되도록 할 수도 있다.
샴푸성분을 포함한 물이 모두 배수되고 난 이후, 유아가 목욕하기 적절한 온도로 가열된 깨끗한 온수를 욕조(100)에 채워 유아의 몸에 묻은 샴푸성분을 깨끗이 씻어내고 나면 유아의 목욕은 완료된다.
이때, 목욕을 완료한 유아를 욕조(100) 밖으로 꺼내기 전·후로 마개를 빼내어 욕조(100) 내에 채워진 물이 배수홀(180)을 통해 배수용기(400)로 저장되도록 한다.
한편, 욕조(100)의 사용이 끝난 이후, 욕조(100)는 배수홀(180)을 개방한 상태로 샤워노즐(370)에서 물이 분사되도록 하여 욕조(100) 내부의 거품이나 기타 이물질을 깨끗이 씻어내면 되고, 배수용기(400)는 손잡이(530) 및 이동롤러(510)를 이용해 하수 공간으로 이동시킨 후 상측의 덮개를 개방하여 내부에 저장된 물을 버리면 된다.
또한, 사용을 완료한 이후에는 욕조(100), 지지수단(200), 급수용기(300), 배수용기(400)를 각각 분리하여 보관 및 운반할 수 있으며, 급수용기(300)에 결합된 샤워노즐(370), 호스(360) 역시도 토출부(340)와 분리하여 보관할 수 있다.
더불어, 급수용기(300)와 배수용기(400)는 일생 생활에서 물통이나 보관함 등으로 활용할 수 있으므로, 제품의 활용도를 높일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유아용 욕조(100)는 가벼운 재질로 형성되어 운반 및 이동이 용이하고, 분해와 조립이 간편하여 선택된 장소에서 고정시킨 상태로 사용할 수 있으며, 욕조(100) 하부를 안착 지지하는 지지수단(200)의 높이를 보호자의 신체 조건에 따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어, 허리 또는 무릎을 구부지지 않은 상태로 유아를 목욕시키는 것이 가능하여, 휴대성과 편의성은 물론 보호자의 부상을 방지하고 피로도를 감소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욕조(100) 내부에 설치된 센서(130)와 외부 일측에 설치된 온도표시부(140)를 통해 목욕물의 온도를 항시 식별할 수 있어, 물의 온도를 수시로 확인해야 하는 불편함을 방지할 수 있고, 급수용기(300)에서 목욕에 적정한 온도로 가열된 온수를 수시로 욕조(100) 내부에 공급할 수 있어, 유아의 비눗물을 씻겨내기 위해 별도의 보조용기에 온수를 준비해야 하는 번거로움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더불어, 욕조(100)에 유아를 씻기고 난 이후의 물을 배수할 수 있는 배수홀(180)을 구비하고, 배수홀(180)을 통해 배수된 물은 배수용기(400)에 저장되도록 하여, 목욕을 하는 동안 유아가 욕조(100) 밖에서 기다리지 않도록 함으로써, 유아의 감기를 예방할 수 있고 이와 동시에 보호자의 팔과 어깨에 무리가 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끝으로, 욕조(100) 내부에서 미끄러지거나 부딪혀 유아에게 전달되는 충격을 완화할 수 있는 내부몸체(110)와, 욕조(100) 형상을 견고하게 유지할 수 있는 외부몸체(120)로 구성하여, 유아의 부상을 방지할 수 있어 안심하고 사용할 수 있고, 세척 및 관리를 용이하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유아용 욕조에 대한 제2실시예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이하에서는 상기한 제1실시예와 차이를 갖는 구성 및 작용에 대해 설명한다.
도 9 및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실시예에 따른 유아용 욕조는 욕조(100)가 안착부(210)에 안착된 상태에서 임의로 유동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욕조(100)의 하면에는 다수개의 돌기(160)가 돌출 형성되고, 안착부(210)의 상면에는 돌기(160)와 대응되는 위치에 상향 돌출되는 돌출부(211)가 형성되며, 돌출부에는 일측에 'ㄴ'자 형의 고정홈(212)이 함몰 형성되어, 돌기(160)와 고정홈(212)이 상호 탈착 가능하게 결합된다.
또한, 욕조(100)의 하면에는 욕조(100)의 높낮이 및 기울기를 조절하기 위해서, 결합된 일측을 기준으로 접철 가능하게 형성되는 조절수단(170)이 욕조(100)의 길이방향 양측에 각각 구비되고, 조절수단(170)이 욕조(100)의 하면에 이격되도록 회동시킨 상태에서는 조절수단(170)의 하부가 상기한 고정홈(212)에 삽입 및 고정된다.
여기서, 돌기(160)와 고정홈(212)의 결합이 가능하면서도, 조절수단(170)이 펼쳐진 상태에서는 조절수단(170)의 하부가 용이하게 고정홈(212)에 삽입되고 돌출부(211)에 지지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고정홈(212)은 조절수단(170)이 접철되는 방향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때 조절수단(170)이 접철되는 각도는 조절수단(170)을 펼쳤을 때 그 하부가 돌기(160)와 대응되는 위치에 올 수 있도록 형성되어야 할 것이다.
즉, 조절수단(170)이 욕조(100)의 하면에 밀착되도록 접은 상태에서는 돌기(160)와 고정홈(212)이 결합되는 것이고, 조절수단(170)이 욕조(100)의 하면에 이격되도록 펼친 상태에서는 조절수단(170)의 하부가 고정홈(212)에 결합되는 것이다.
이때, 조절수단(170)은 양측에서 일괄적으로 접철되거나 각각이 개별적으로 접철될 수 있으며, 욕조(100)의 하면에 밀착되도록 접힌 상태에서 돌기(160)와 고정홈(212)의 결합이 방해되지 않도록 함은 물론, 배수홀(180)을 통해 욕조 내부의 물이 배수되는 것을 방해하지 않도록 형성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욕조(100)의 하면에는 조절수단(170)의 접철되는 각도를 조절한 상태로 유지되도록 하는 각도조절부재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이처럼, 욕조(100)의 돌기(160)가 안착부(210)의 고정홈(212)에 삽입 고정되므로, 욕조(100)가 임의로 유동되거나 안착부(210)에서 이탈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더불어, 욕조(100)의 하면에서 배수홀(180)의 반대측에 결합된 조절수단(170)이 욕조(100)의 하면에 이격되도록 회동시켜 고정홈(212)에 고정시키면, 욕조(100)는 배수홀(180)을 기준으로 상향 경사진 상태가 되며, 이에 따라 배수홀(180)을 통한 원활한 배수가 가능하고, 욕조(100) 내면에 묻은 세제성분이 씻겨짐과 동시에 배수되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조절수단(170)은 욕조(100) 내부에 채워진 물을 원활하게 배수하기 위한 이유 등으로 욕조(100)의 기울기를 조절하기 위함 뿐만아니라, 욕조(100)만을 따로 분리하여 사용할 때에 돌출부(211) 및 욕조(100)의 하부면 즉, 리브(121) 및 돌기(160)에 바닥의 이물질이 묻거나 부착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며, 욕조(100)만을 분리하여 좌식으로 사용하는 경우에는 조절수단(170)에 의해 바닥에 이격되도록 높이를 조절한 상태에서 목욕을 시킬 수 있어, 보호자의 허리나 무릎에 무리가 가는 것을 방지하여 피로도를 감소시키기 위함이다.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첨부된 특허청구범위 내에서 다양한 형태의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변형 가능한 다양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내에 있는 것으로 본다.
100 : 욕조 110 : 내부몸체
120 : 외부몸체 130 : 센서
140 : 온도표시부 150 : 고정클립
160 : 돌기 170 : 조절수단
180 : 배수홀
200 : 지지수단 210 : 안착부
211 : 돌출부 212 : 고정홈
213 : 배수안내홀 214 : 배수튜브
220 : 지지부 221 : 상부몸체
222 : 하부몸체 223 : 실린더부
224 : 조절레버 230 : 고정부
300 : 급수용기 310 : 물수용부
320 : 물공급부 330 : 가열수단
340 : 토출부 350 : 펌프
360 : 호스 370 : 샤워노즐
380 : 제어부
400 : 배수용기 410 : 배수유입부
411 : 배수용기캡 420 : 배수저장부
510 : 이동롤러 520 : 논슬립패드
530 : 손잡이

Claims (12)

  1. 상측이 개구된 내부 수용공간으로 목욕물을 담아 유아를 씻길 수 있도록 형성되는 욕조(100);
    상부에는 상기 욕조(100)가 안착되는 안착부(210)가 형성되고, 상기 안착부(210)를 받쳐 지지하도록 형성되는 지지부(220)와, 상기 지지부(220)의 하단에서 바닥면에 지지되는 고정부(230)를 포함하는 지지수단(200); 및,
    내부에 물을 저장하기 위해 마련된 물수용부(310)에는 저장된 물을 가열하는 가열수단(330)이 마련되고, 상측에는 상기 물수용부(310) 내부로 물을 공급하기 위한 물공급부(320)가 마련되는 급수용기(300);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욕조(100)의 하면에는 다수의 돌기(160)가 하향 돌출되고, 상기 안착부(210)에는 상기 돌기(160)와 대응되는 위치에 돌출부(211)가 상향 돌출되며, 상기 돌출부(211)의 일측에는 상기 돌기(160)가 삽입 및 고정되도록 하는 고정홈(212)이 함몰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용 욕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급수용기(300)는 상기 가열수단(330)에 의해 가열된 온수를 일측에 마련된 토출부(340)를 통해 외부로 공급하는 펌프(350)와, 상기 토출부(340)에 결합되어 상기 펌프(350)에 의해 공급된 온수를 이동하는 호스(360)와, 상기 호스(360)의 말단에 결합되어 공급된 온수를 분사하는 샤워노즐(37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용 욕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급수용기(300)의 일측면에는 상기 가열수단(330)의 가열온도와 상기 펌프(350)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380)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용 욕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욕조(100)의 테두리부에는 상기 호스(360) 및 샤워노즐(370)을 고정하는 고정클립(150)이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용 욕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욕조(100)는 내부에 수용된 물의 온도를 측정하는 센서(130)와, 상기 센서(130)를 통해 검출된 온도를 수치로 나타내는 온도표시부(14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용 욕조.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욕조(100)의 하면에는 상기 욕조(100)의 높낮이 및 기울기를 조절하기 위해, 일측을 기준으로 접철 가능하게 결합되는 조절수단(170)이 하나 이상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용 욕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홈(212)은 상기 조절수단(170)이 접철되는 방향에 함몰되고, 상기 조절수단(170)의 하부는 펼쳐진 상태에서 상기 고정홈(212)에 삽입 및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용 욕조.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욕조(100)는 내측의 내부몸체(110)와 상기 내부몸체(110)의 외측에 결합되는 외부몸체(120)로 분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용 욕조.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220)는 상부몸체(221)와 하부몸체(222)로 상·하 분리 구성되어, 둘 중 어느 하나가 다른 하나에 삽입되도록 형성되고, 내부에는 유압에 의해 상·하 슬라이딩 이동되는 실린더부(223)가 마련되고, 일측 외면에는 상기 상부몸체(221)의 상승 및 하강 높이를 조절하는 조절레버(224)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용 욕조.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욕조(100)의 하부 일측에는 내·외측을 관통하는 배수홀(180)이 형성되고, 상기 안착부(210)에는 상기 배수홀(180)과 대응되는 위치에 상·하로 관통되는 배수안내홀(213)이 형성되며, 상기 지지수단(200)의 일측에는 상기 배수안내홀(213)에서 배수된 물이 상측의 배수유입부(410)를 통해 내부의 배수저장부(420)로 저장되는 배수용기(400)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용 욕조.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급수용기(300) 및 배수용기(400)의 일측 하면에는 상기 급수용기(300) 및 배수용기(400)를 지지한 상태로 바닥면에 밀착되어 회전하는 이동롤러(510)가 결합되고, 타측 하면에는 상기 이동롤러(510)가 상기 급수용기(300) 및 배수용기(400)의 하면에 돌출되는 높이와 대응되는 길이를 갖도록 형성되어 상기 급수용기(300) 및 배수용기(400)가 임의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는 논슬립패드(520)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용 욕조.
KR1020150090730A 2015-06-25 2015-06-25 유아용 욕조 KR10175970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90730A KR101759709B1 (ko) 2015-06-25 2015-06-25 유아용 욕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90730A KR101759709B1 (ko) 2015-06-25 2015-06-25 유아용 욕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01828A KR20170001828A (ko) 2017-01-05
KR101759709B1 true KR101759709B1 (ko) 2017-07-19

Family

ID=578355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90730A KR101759709B1 (ko) 2015-06-25 2015-06-25 유아용 욕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5970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157141A (zh) * 2018-09-18 2019-01-08 费秋霞 一种组合式新生儿清洗护理装置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00146B1 (ko) 2021-03-19 2023-02-15 상하이 친삼 인터내셔널 트레이딩 씨오., 엘티디. 개선된 기능을 갖는 유아용 욕조 스탠드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43262A (ja) * 2000-11-08 2002-05-21 Kazuo Kanematsu 浴用リフト
KR101513904B1 (ko) * 2014-11-24 2015-04-21 김휘욱 이동형 유아 목욕 장비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85863B2 (ja) 1997-09-22 2001-07-11 日本電気株式会社 データ多重化方法および装置
KR19990074343A (ko) 1998-03-10 1999-10-05 하성곤 유아용 욕조
US6567355B2 (en) 1999-12-03 2003-05-20 Hitachi, Ltd. Optical detector, optical pickup and optical information reproducing apparatus using optical pickup
KR100446499B1 (ko) 2001-12-24 2004-09-04 삼성전자주식회사 단자 커버 장치
KR100459933B1 (ko) 2003-07-07 2004-12-03 맥섬석 지.엠. 주식회사 원적외선을 방사하는 맥섬석 미립자 제조방법과 맥섬석 미립자로 형성된 세라믹을 갖는 용기 및 그 제조방법
US7760140B2 (en) 2006-06-09 2010-07-20 Intel Corporation Multiband antenna array using electromagnetic bandgap structures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43262A (ja) * 2000-11-08 2002-05-21 Kazuo Kanematsu 浴用リフト
KR101513904B1 (ko) * 2014-11-24 2015-04-21 김휘욱 이동형 유아 목욕 장비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157141A (zh) * 2018-09-18 2019-01-08 费秋霞 一种组合式新生儿清洗护理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01828A (ko) 2017-01-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70157376A1 (en) Bathing system and corresponding method
JP6227761B2 (ja) 乳幼児用ビデ
CN202681760U (zh) 一种婴儿洗头洗澡盆
US20080141452A1 (en) Portable infant washing tub
CA2854535A1 (en) Baby bath station
US7032259B1 (en) Collapsible infant tub
KR101847784B1 (ko) 이동식 좌욕온수세정기
KR101759709B1 (ko) 유아용 욕조
KR101292178B1 (ko) 고령자 및 장애인을 위한 자동 목욕장치
US10849821B2 (en) Hydrotherapy soaking chair and method for use
KR101492170B1 (ko) 유아용 목욕 보조대
US20100180372A1 (en) Portable bathtub for maintaining the temperature of water used for bathing
KR101533451B1 (ko) 접이식 유아 세정보조기구
KR101584860B1 (ko) 유아용 욕조
US11071413B2 (en) Hydrotherapy soaking chair and method for use
KR200486696Y1 (ko) 유아용 입식보조기
KR20100008439U (ko) 미끄럼방지구를 구비한 유아용 욕조
JPH09192194A (ja) 身体洗浄装置及びその椅子
BR202015019661Y1 (pt) Aperfeiçoamento introduzido em aparelho para banhos de leito
US11883354B2 (en) Hydrotherapy soaking chair and method for use
US20240115459A1 (en) Hydrotherapy soaking chair and method for use
KR20110009274U (ko) 유아용 다용도 욕조
CN215195308U (zh) 一种动物造型婴幼儿游泳桶
KR20170050213A (ko) 유아용 목욕대
KR200390319Y1 (ko) 좌욕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