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77681B1 - 턴업 기구를 갖춘 타이어 성형 드럼 - Google Patents

턴업 기구를 갖춘 타이어 성형 드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77681B1
KR101377681B1 KR1020117018044A KR20117018044A KR101377681B1 KR 101377681 B1 KR101377681 B1 KR 101377681B1 KR 1020117018044 A KR1020117018044 A KR 1020117018044A KR 20117018044 A KR20117018044 A KR 20117018044A KR 101377681 B1 KR101377681 B1 KR 10137768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ire
building drum
tire building
drum
arm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70180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96398A (ko
Inventor
그라아프 마틴 데
안토니 슬로츠
게리트 멀더
게리트 로디크
얀 코르넬리스 그라슈이스
Original Assignee
브이엠아이 홀랜드 비.브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42238581&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101377681(B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브이엠아이 홀랜드 비.브이. filed Critical 브이엠아이 홀랜드 비.브이.
Publication of KR201200963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9639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776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7768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30/00Producing pneumatic or solid tyres or parts thereof
    • B29D30/06Pneumatic tyres or parts thereof (e.g. produced by casting, moulding, compression moulding, injection moulding, centrifugal casting)
    • B29D30/08Building tyres
    • B29D30/20Building tyres by the flat-tyre method, i.e. building on cylindrical drums
    • B29D30/24Dru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30/00Producing pneumatic or solid tyres or parts thereof
    • B29D30/06Pneumatic tyres or parts thereof (e.g. produced by casting, moulding, compression moulding, injection moulding, centrifugal casting)
    • B29D30/08Building tyres
    • B29D30/20Building tyres by the flat-tyre method, i.e. building on cylindrical drums
    • B29D30/24Drums
    • B29D30/26Accessories or details, e.g. membranes, transfer r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30/00Producing pneumatic or solid tyres or parts thereof
    • B29D30/06Pneumatic tyres or parts thereof (e.g. produced by casting, moulding, compression moulding, injection moulding, centrifugal casting)
    • B29D30/08Building tyres
    • B29D30/20Building tyres by the flat-tyre method, i.e. building on cylindrical drums
    • B29D30/24Drums
    • B29D30/244Drums for manufacturing substantially cylindrical tyre components with cores or beads, e.g. carcas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30/00Producing pneumatic or solid tyres or parts thereof
    • B29D30/06Pneumatic tyres or parts thereof (e.g. produced by casting, moulding, compression moulding, injection moulding, centrifugal casting)
    • B29D30/08Building tyres
    • B29D30/20Building tyres by the flat-tyre method, i.e. building on cylindrical drums
    • B29D30/32Fitting the bead-rings or bead-cores; Folding the textile layers around the rings or co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30/00Producing pneumatic or solid tyres or parts thereof
    • B29D30/06Pneumatic tyres or parts thereof (e.g. produced by casting, moulding, compression moulding, injection moulding, centrifugal casting)
    • B29D30/08Building tyres
    • B29D30/20Building tyres by the flat-tyre method, i.e. building on cylindrical drums
    • B29D30/32Fitting the bead-rings or bead-cores; Folding the textile layers around the rings or cores
    • B29D2030/3221Folding over means, e.g. bladders or rigid arms
    • B29D2030/3264Folding over means, e.g. bladders or rigid arms using radially expandable, contractible mechanical means, e.g. circumferentially spaced arms, spring rollers, ca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Tyre Moulding (AREA)
  • Moulds For Moulding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2세트의 턴업 아암(14)들을 갖추고서 고무 타이어 구성부품들을 이용하여 미가황 타이어를 성형하는데 사용하기 위한 턴업 기구를 갖춘 타이어 성형 드럼을 제공하는바, 아암들의 각 세트는 축 방향으로 이동가능한 아암 지지대 (17)에 연결된다. 타이어 성형 드럼은, 한편으로는 턴업 아암세트들을 서로를 향하여 축 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하여 아암 지지대들을 제1 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수단을 구비하고, 아암들은 시작위치로부터 틸팅위치로 반경 방향 평면들에서 틸팅가능하며, 또 다른 한편으로는 아암들을 틸팅위치로부터 시작위치로 축 방향으로 분리이동하기 위하여 아암 지지대들을 제1 방향에 대향하는 제2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타이어 성형 드럼은, 아암들 또는 클램핑장치와 같은 적어도 하나의 가동부들이 시작위치에 있는지를 검출하고, 또 아암들이 시작위치에 있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검출 신호를 발생하기 위한 공압식 검출 장치(20)를 구비한다.

Description

턴업 기구를 갖춘 타이어 성형 드럼{TYRE BUILDING DRUM WITH TURN-UP MECHANISM}
본 발명은, 보강코드가 구비되거나 또는 구비되지 않은 고무 타이어 구성부품들과 또 에이펙스(apex)가 구비되거나 또는 구비되지 않은 2개의 비이드 코어를 사용하여 미가황(unvulcanised) 타이어를 성형하는데 사용하기 위한 턴업 기구를 갖춘 타이어 성형 드럼에 관한 것이다.
공지의 타이어 성형 드럼은, 중심축을 갖는 기저부와, 비이드 코어(bead core)들을 지지하기 위하여 서로 이격되어 축 주위에 위치된 2개의 링 세그먼트(ring segment: 또한 클램핑기구라고도 불림) 및, 링 세그먼트들 내에 위치된 타이어 구성부품들의 일부를 반경 방향으로 연장하기 위한 수단이 구비된다. 링 세그먼트들의 외부 어느 한쪽에서, 타이어 성형 드럼은 한 세트의 축 방향으로 연장하는 아암(턴업 또는 폴딩 아암이라고도 불림)이 구비되는 바, 링 세그먼트들을 향하여 지향된 제1 자유 외부 단부에서 각 아암은 제1 턴업 부재, 일반적으로 턴업 롤러가 구비되며, 대향하는 제2 외부 단부에서 아암들은 축 방향으로 이동가능한 아암 지지대에 힌지 연결된다. 제1 외부 단부 가까이에서, 각 아암의 적어도 일부는 타이어 구성부품을 지지하기 위한 수단이 구비될 수 있고, 변형예로 타이어 성형 드럼은 아암들에 연결되지않은 개별적인 지지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소위 시작위치에서, 지지수단은 타이어 구성부품들을 위한 원주방향 지지표면을 형성한다. 턴업공정을 위하여 아암 지지대들을 이동시키기 위한 수단이 사용된다. 한편으로, 상기 수단은 양쪽 세트의 아암의 제2 외부 단부들을 서로를 향하여 축 방향으로 제1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이와 동시에, 링 세그먼트들 내에 위치된 타이어 구성부품들의 부위 때문에, 아암들은 틸팅위치를 향하여 반경 방향 평면에서 틸팅되고, 그 결과로 제1 외부 단부는, 링 세그먼트들 내에 위치된 타이어 구성부품들의 연장된 부위들에 대하여 원래 링 세그먼트들의 외부였던 타이어 구성부품들의 부위를 가압하면서 축 방향 및 반경 방향으로 이동한다. 다른 한편, 상기 수단은, 아암들이 틸팅위치로부터 시작위치로 복귀될 수 있게 해주는바, 왜냐하면 상기 수단이 제1 방향에 반대인 제2 방향으로 아암 지지대들을 축 방향으로 분리 이동시키기 때문이다.
턴업 기구를 구비한 이러한 타이어 성형 드럼들은 일반적으로 공지되어 있다. 이들 성형 드럼들은 그 위에서, 타이어 구성부품들, 특히 라이너(liner)와 카카스(carcass) 층들 및 사이드(side)들이 공급되고 또 원통형 케이싱이 만들어지며, 또한 비이드 코어가 공급되고, 그 후 타이어 성형 드럼 상의 원통형 케이싱이 형상화된 토러스(torus) 형태로 팽창되며, 케이싱의 사이드들이 턴업 기구의 수단에 의해 비이드 코어들을 중심으로 턴업되도록, 타이어 성형 드럼으로 설계될 수 있다. 이들 성형 드럼들은 그들로, 이미 형성된 원통형 카카스 케이싱이 공급되는, 성형 드럼으로 설계될 수도 있다.
턴업 기구를 갖춘 타이어 성형 드럼들 중의 하나가 EP-A-1.562.738로 공지되어 있다. 턴업공정 동안에, 아암들이 틸팅되고, 지지수단 상에 위치된 타이어 구성부품들의 부위들이 턴업 부재(턴업 롤러)를 향하여 지지수단 위로 이동하여 그로부터 배출된다, 기계적인 결합으로 인하여, 어느 한 쪽의 회동하는 아암들 세트들은, 시작위치로부터 링 세그먼트들의 외부 틸팅위치로 동시에 이동할 수 있게 된다. 비록 공지의 타이어 성형 드럼이 일반적으로 만족스럽게 작동하고 또 설정된 공차 내에서 정확한 타이어들을 생산하지만, 실제로 많은 수의 생산된 타이어들이 열등한 품질을 갖는다.
본 발명의 목적은, 아암들을 갖는 간단한 턴업 기구를 갖추고서 타이어가 정확하게 제조될 수 있는 타이어 성형 드럼을 제공하는 것이다.
제1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은, 2개의 비이드 코어들을 갖는 고무 타이어 구성부품들을 이용하여 미가황 타이어를 성형하는데 사용하기 위한 턴업 기구를 갖춘 타이어 성형 드럼을 제공하는 바, 이 타이어 성형 드럼은 중앙의 드럼축을 갖는 기저부; 비이드 코어들을 지지하기 위하여 서로 이격되면서 축 주위에 위치된 2개의 링 세그먼트들; 링 세그먼트들 내에 위치된 타이어 구성부품들의 부위를 반경 방향으로 팽창시키기 위한 팽창수단; 시작위치에서, 링 세그먼트들의 외부 어느 한쪽에 위치되어 축 방향으로 연장하되, 링 세그먼트들을 향하여 지향된 제1 자유 외부 단부에 제1 턴업 부재가 구비되고 또 대향하는 제2 외부 단부에 축 방향으로 이동가능한 아암 지지대에 힌지 연결된 2개 세트의 아암들; 한편으로는 양쪽 세트의 아암들의 제2 외부 단부들을 서로를 향하여 축 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하여 아암 지지대들을 제1 방향으로 이동시키되, 아암들이 시작위치로부터 틸팅위치로 반경 방향 평면들에서 틸팅가능하여 그 결과로 제1 외부 단부들을 축 방향 및 반경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반면에, 링 세그먼트들 내에 위치된 타이어 구성부품들의 팽창된 부위에 대하여 링 세그먼트들의 외부에 위치된 타이어 구성부품들의 부위를 가압하도록 하고, 다른 한편으로는 아암들을 틸팅위치로부터 시작위치로 축 방향으로 분리이동하기 위하여 아암 지지대를 제1 방향과 반대되는 제2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시프팅 장치; 타이어 성형 드럼의 적어도 하나의 가동부(movable part)가 원하는 위치에 있는지를 검출하기 위한 검출 장치를 구비한 타이어 성형 드럼에 있어서, 상기 검출 장치가 압축공기 공급원과 이 압축공기 공급원에 연결된 또는 연결될 수 있는 공기채널(air channel)을 포함하고, 이 공기채널은 개구부를 포함하며, 또 적어도 원하는 위치에서 또는 이 원하는 위치에 근접하게 가동부는 공기채널에서 유량 및/또는 압력을 조절하거나 변화시키기 위하여 개구부에 결합되는 한편, 상기 검출 장치는 공기채널에서 유량 또는 압력을 각각 측정하기 위하여 유량계 및/또는 압력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타이어 성형 드럼은, 아암들 또는 클램핑기구 등과 같은 가동부들의 적어도 하나가 원하는 위치, 예컨대 시작위치에 있는지를 검출하기 위한 검출 장치가 구비된다. 공기채널 내에서 유량 또는 압력을 측정하는 것을 이용함으로써, 개구부로부터 원격으로 검출작업을 할 수 있고 또 가동부 가까이에 유량계 및/또는 압력계를 설치할 필요가 없게 된다.
검출 장치는 이제 가동부가 원하는 위치에 있는지의 여부를 나타내는 검출 신호를 발생할 수 있고, 특히 가동부가 원하는 위치에 정확하게 위치하고 있는지가 확인될 수 있다. 만일 그렇지 않다면, 주어진 신호는 다음 공정단계가 수행되는 것을 자동으로 방지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또는 대신에, 주어진 신호는 예컨대 경보를 발생하기 위한 경보장치를 작동시킬 수 있거나, 또는 검출 신호가 타이어 성형 드럼의 작동을 자동으로 정지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해서, 다음 공정단계가 수행되기 이전에 가동부를 정확한 위치에 가져올 수 있고, 그리하여 타이어들이 안전하고 또 정확하게 제조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가동부는, 적어도 원하는 위치에서 또는 이 원하는 위치에 근접하게, 정지부의 접촉면과 실질적으로 밀봉식으로 맞닿고, 공기채널은 정지부의 접촉면 위 또는 그 표면에서 유출한다.
일 실시예에서, 공기채널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정지부(22)를 관통한다.
일 실시예에서, 검출 장치는 예응력 스프링을 갖춘 안전 부시(safety bush)를 더 포함하는바, 이 안전 부시는 예응력 스프링에 의하여 실질적으로 밀봉식으로 접촉면에 대하여 가압되고, 가동부는 적어도 원하는 위치에서 또는 이 원하는 위치에 근접하게 안전 부시에 결합된다.
일 실시예에서, 가동부는 적어도 원하는 위치에서 또는 이 원하는 위치에 근접하게 안전 부시와 맞닿는다.
일 실시예에서, 가동부는 적어도 원하는 위치에서 무가압(forceless)방식으로 안전 부시와 맞닿는다.
일 실시예에서, 공기채널은 안전 부시의 일부를 통과한다.
일 실시예에서, 유량계 및/또는 압력계는 타이어 성형 드럼의 메인 하우징에 위치되거나 및/또는 중앙의 드럼축으로부터 이격된다.
일 실시예에서, 가동부는 적어도 하나의 링 세그먼트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가동부는 아암, 아암 지지대 또는 시프팅 장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검출 장치는 아암들이 시작위치에 있는지를 검출하고, 또 아암들이 시작위치에 있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검출 신호를 발생하도록 된다.
일 실시예에서 시프팅 장치는, 타이어 성형 드럼의 메인 하우징 내에서 드럼축의 중심선에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연장하는 풀/푸시(pull/push) 로드들을 포함하고, 메인 하우징에는 풀/푸시 로드들이 작동적으로 결합되는 구동 기구가 위치되며, 메인 하우징에는 타이어 성형 드럼의 적어도 하나의 풀/푸시 로드가 원하는 위치에 있는지를 검출하기 위하여 검출 장치가 위치된다.
일 실시예에서, 검출 장치는 메인 하우징에 배열된 전기 접점을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검출 장치는 타이어 성형 드럼에 배열된 전기 접점을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검출 장치는 가동부가 원하는 위치에 정확하게 위치하지않을 때 검출 신호를 발생하도록 된다.
제2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은, 2개의 비이드 코어들을 갖는 고무 타이어 구성부품들을 이용하여 미가황 타이어를 성형하는데 사용하기 위한 턴업 기구를 갖춘 타이어 성형 드럼을 제공하는 바, 이 타이어 성형 드럼은 중앙의 드럼축을 갖는 기저부; 비이드 코어들을 지지하기 위하여 서로 이격되면서 축 주위에 위치된 2개의 링 세그먼트들; 링 세그먼트들 내에 위치된 타이어 구성부품들의 부위를 반경 방향으로 팽창시키기 위한 팽창수단; 시작위치에서, 링 세그먼트들의 외부 어느 한쪽에 위치되어 축 방향으로 연장하되, 링 세그먼트들을 향하여 지향된 제1 자유 외부 단부에 제1 턴업 부재가 구비되고 또 대향하는 제2 외부 단부에 축 방향으로 이동가능한 아암 지지대에 힌지 연결된 2개 세트의 아암들; 한편으로는 양쪽 세트의 아암들의 제2 외부 단부들을 서로를 향하여 축 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하여 아암을 제1 방향으로 이동시키되, 아암들이 시작위치로부터 틸팅위치로 반경 방향 평면들에서 틸팅가능하여 그 결과로 제1 외부 단부들을 축 방향 및 반경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반면에, 링 세그먼트들 내에 위치된 타이어 구성부품들의 팽창된 부위에 대하여 링 세그먼트들의 외부에 위치된 타이어 구성부품들의 부위를 가압하도록 하고, 다른 한편으로는 아암들을 틸팅위치로부터 시작위치로 축 방향으로 분리이동하기 위하여 아암 지지대들을 제1 방향에 대향하는 제2 방향으로 이동시키도록 되며, 타이어 성형 드럼의 메인 하우징 내에서 드럼축의 중심선에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연장하는 풀/푸시 로드들을 포함하고, 메인 하우징에는 풀/푸시 로드들이 작동적으로 결합되는 구동 기구가 위치되는 시프팅 장치; 및 타이어 성형 드럼의 적어도 하나의 가동부가 원하는 위치에 있는지를 검출하고, 또 타이어 성형 드럼의 적어도 하나의 풀/푸시 로드가 원하는 위치에 있는지를 검출하기 위하여 메인 하우징에 위치된 검출 장치를 구비한다.
일 실시예에서, 검출 장치는 메인 하우징에 배열된 전기 접점을 포함한다.
추가적인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은, 2개의 비이드 코어들을 갖는 고무 타이어 구성부품들을 이용하여 미가황 타이어를 성형하는데 사용하기 위한 턴업 기구를 갖춘 타이어 성형 드럼을 제공하는 바, 이 타이어 성형 드럼은 중앙의 드럼축을 갖는 기저부와, 비이드 코어들을 지지하기 위하여 서로 이격되면서 축 주위에 위치된 2개의 링 세그먼트, 및 링 세그먼트들 내에 위치된 타이어 구성부품들의 부위를 반경 방향으로 팽창시키기 위한 팽창수단을 구비하고, 또 링 세그먼트들의 외부 어느 한쪽에서 타이어 성형 드럼은 축 방향으로 연장하는 한 세트의 아암들을 구비하며, 링 세그먼트들을 향하여 지향된 제1 자유 외부 단부에서 아암들은 제1 턴업 부재를 구비하고, 또 대향하는 제2 외부 단부에서 아암은 축 방향으로 이동가능한 아암 지지대에 힌지 연결되며, 타이어 성형 드럼은 양쪽 세트의 아암들의 제2 외부 단부들을 서로를 향하여 축 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하여 아암을 제1 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시프팅 장치를 구비하고, 아암들은 시작위치로부터 틸팅위치로 반경 방향 평면들에서 틸팅가능하여 그 결과로 제1 외부 단부들을 축 방향 및 반경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반면에, 링 세그먼트들 내에 위치된 타이어 구성부품들의 팽창된 부위에 대하여 링 세그먼트들의 외부에 위치된 타이어 구성부품들의 부위를 가압하도록 하여, 다른 한편으로는 아암들을 틸팅위치로부터 시작위치로 축 방향으로 분리이동하기 위하여 아암 지지대를 제1 방향에 대향하는 제2 방향으로 이동시키도록 된 타이어 성형 드럼에 있어서, 타이어 성형 드럼이 아암들이 시작위치에 있는지를 검출하고, 또 아암들이 시작위치에 있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검출 신호를 발생하기 위한 검출 장치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오랜 조사를 통하여, 몇몇 경우에서 적어도 하나의 아암이 틸팅위치로 옮겨진 후에 계속해서 시작위치로 충분히 이동되지 않기 때문에 공지의 타이어 성형 드럼에서는 적어도 문제점들의 일부가 야기되는 것이 증명되었다. 그 결과, 아암의 제1 외부 단부가 여전히 반경 방향으로 약간 돌출하고, 이에 따라 아암 위에 배열된 타이어 구성부품들이 정확하게 위치되지 않을 뿐만 아니라 아암을 시작위치에 부정확하게 가져온 이후의 공정단계들이 또한 정확하게 수행되지않고 또 몇몇 경우에는 불안정하게 수행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타이어 성형 드럼이, 아암들이 시작위치에 있는지를 검출하고, 또 아암들이 시작위치에 있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검출 신호를 발생하기 위한 검출 장치를 구비함으로써, 아암들이 시작위치에 정확하게 위치하고 있는지 확인할 수 있다. 그렇지 않을 때, 주어진 신호는 다음 공정단계가 수행되는 것을 자동으로 방지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또는 대신에, 주어진 신호는 예컨대 경보를 발생하기 위한 경보장치를 작동시킬 수 있거나, 또는 검출 신호가 타이어 성형 드럼의 작동을 자동으로 정지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해서, 다음 공정단계가 수행되기 이전에 아암들을 정확한 위치로 이동시킬 수 있고, 그리하여 타이어들이 안전하고 또 정확하게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타이어 성형 드럼의 유리한 실시예에서, 검출 장치는 타이어 성형 드럼에 배열된 전기 접점을 포함한다. 추가적으로 또는 대신에 검출 장치는, 외부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센서는 예컨대 광센서, 자기센서 또는 카메라 시스템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타이어 성형 드럼의 매우 콤팩트한 실시예에서, 상기 검출 장치는 압축공기 공급원과 이 압축공기 공급원에 연결된 또는 연결될 수 있는 공기채널을 포함하고, 시작위치에서 아암 지지대는 기저부의 정지부의 접촉면과 밀봉식으로 맞닿고, 공기채널은 정지부를 관통하며, 또 공기채널은 정지부의 접촉면 위에서 유출하고, 검출 장치는 바람직하기에는 공기채널에서 유량 또는 압력을 각각 측정하기 위하여 유량계 및/또는 압력계를 또한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타이어 성형 드럼의 일 실시예에서, 아암들의 위치에 대한 훨씬 더 정확한 검출과 또 타이어 성형 드럼의 보다 안전한 작동이 이루어지는바, 왜냐하면 각 아암의 제2 외부 단부가 맞닿는 단부를 구비하고, 그 외부 원주에서 각 정지부가 오목부를 구비하며, 이 오목부에 안전 부시가 수용되고, 이 안전 부시는 예응력 스프링에 의하여 오목부의 벽에 대하여 밀봉되게 가압된 접촉벽을 갖추며, 상기 안전 부시는 시작위치에서 아암들의 접촉단부에 무가압방식으로 맞닿는 자유 외부 단부를 구비하고, 또 공기채널은 안전 부시의 일부를 관통하기 때문이다. 공기채널을 사용하기 때문에 컴팩트한 타이어 성형 드럼이 얻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아암들을 갖는 간단한 턴업 기구를 갖추고 타이어를 정확하게 제조할 수 있는 타이어 성형 드럼이 제공된다.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들에 도시된 다수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을 기초로 하여 설명될 것이다.
도 1a 내지 도 1d는, 미가황 타이어를 성형하기 위하여 턴업 기구를 갖는 타이어 성형 드럼의 여러 처리단계에서의 종단면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타이어 성형 드럼의 일부의 종단면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것으로, 아암들이 시작위치에 위치하고 있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타이어 성형 드럼의 일부의 종단면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것으로, 아암들이 틸팅위치에 위치하고 있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타이어 성형 드럼의 일부의 종단면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것으로, 아암들이 틸팅위치와 시작위치 사이에 위치하고 있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타이어 성형 드럼의 일부의 종단면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것으로, 아암들이 시작위치에 부정확하게 위치하고 있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타이어 성형 드럼의 일부의 종단면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것으로, 아암들이 다시 시작위치에 위치하고 있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타이어 성형 드럼의 제2실시예의 일부의 종단면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것으로, 클램핑기구가 시작위치에 위치하고 있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타이어 성형 드럼의 제2실시예의 일부의 종단면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것으로, 클램핑기구가 반경 방향으로 팽창된 위치에 위치하고 있다.
도 1a는, 본 발명이 적용될 수 있는 타이어 성형 드럼의 예시적인 실시예의 측단면도를 나타낸다. 고무 타이어 구성부품들을 사용하여 미가황 타이어를 성형하는 것은, 타이어 성형 드럼의 중심에 대하여 또 드럼축(1)을 중심으로 적어도 거의 실질적으로 대칭으로 배열된 제1 드럼 반쪽(half: 2)과 제2 드럼 반쪽(3) 위에서 이루어진다. 제1, 2 드럼 반쪽(2, 3)은, 드럼축(1)을 따라 축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각 드럼 반쪽(2, 3)은, 선회식으로 이 드럼 반쪽(2, 3)에 연결된 폴딩(folding) 아암(14)들을 갖는 또한 턴업 기구라고 불리는 폴딩 아암유닛을 포함한다. 또한, 드럼 반쪽(2, 3)은 비이드 코어들을 지지하기 위하여 또한 클램핑기구라고 불리는 쇼울더 지지대(12)와 링 세그먼트(13)가 구비된다.
타이어 성형 드럼은, 드럼 반쪽(2, 3)의 구동을 위한 그리고 폴딩 아암유닛의 전동장치가 내장된 중공(hollow)의 드럼축(1)을 포함한다. 상기 전동장치는 드럼축(1)에 동심상으로 위치된 4개의 풀/푸시 로드(101, 103, 105, 107)들을 포함한다.
제일 중앙의 풀/푸시 로드는, 제1 연결부 또는 이동핀(flight pin: 102)을 매개로 드럼축(1) 내에 위치된 그 외부 단부 가까이에서 제1드럼 반쪽(2: 상세히 도시 안 됨)에 결합된 제1 풀/푸시 로드(101)이다. 중앙의 제1 풀/푸시 로드(101)의 적어도 일부 주위에 튜브형상의 제3 풀/푸시 로드(103)가 위치되는바, 이는 제3 연결부 또는 이동핀(104)을 매개로 드럼축(1)내에 위치된 그 외부 단부 가까이에서 제1드럼 반쪽(2)의 폴딩 아암유닛에 결합된다. 제3 풀/푸시 로드(103)의 적어도 일부 주위에 튜브형상의 제4 풀/푸시 로드(105)가 위치되는바, 이는 제4 연결부 또는 이동핀(106)을 매개로 드럼축(1)내에 위치된 그 외부 단부 가까이에서 제2드럼 반쪽(3)의 폴딩 아암유닛에 결합된다. 제4 풀/푸시 로드(105)의 적어도 일부 주위에 튜브형상의 제2 풀/푸시 로드(107)가 위치되는바, 이는 제2 연결부 또는 이동핀(108)을 매개로 드럼축(1)내에 위치된 그 외부 단부 가까이에서 제2드럼 반쪽(3)에 결합된다.
4개의 풀/푸시 로드(101, 103, 105, 107)들은, 타이어 성형 드럼의 메인 하우징(4) 내에서 드럼축(1)의 중심선(h)에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연장한다. 메인 하우징(4)에는 풀/푸시 로드(101, 103, 105, 107)들이 이하 상세히 기재되는 바와 같이 결합되는 구동 기구(9, 10)들이 위치된다.
드럼축(1)은, 제1 및 제2 드럼축 부위를 포함하는 바, 구동축(5)으로도 불리는 제1 드럼축 부위는 메인 하우징(4)에 위치된 베어링장치(6)에서 회전가능하다. 제2 드럼축 부위는, 플랜지 커플링(15)을 매개하여 제1 드럼축 부위를 제2 드럼축 부위에 실질적으로 축 방향으로 및 분리가능하게 결합하도록 된 커플링 부재를 매개로 제1 드럼축 부위에 연결된다.
제2 드럼축 부위는, 제1 풀/푸시로드(101)를 제1 드럼 반쪽(2)에 연결하기 위한 제1 연결부(102)를 수용하기 위한 제1 드럼축 슬롯(slot)을 구비한다. 제1 드럼축 슬롯은 제3 풀/푸시로드(103)를 제1 드럼 반쪽(2)의 폴딩 아암유닛에 연결하기 위한 제2 연결부(104)를 추가로 수용하도록 될 수 있다. 그러나 변형 실시예에서, 제2 연결부를 위하여 별개의 드럼축 슬롯이 구비될 수 있다. 제2 드럼축 부위는, 제2 풀/푸시로드(107)를 제2 드럼 반쪽(3)에 연결하기 위한 제3 연결부 (108)를 수용하기 위한 제2 드럼축 슬롯을 또한 구비한다. 제2 드럼축 슬롯은 제4 풀/푸시로드(105)를 제2 드럼 반쪽(3)의 폴딩 아암유닛에 연결하기 위한 제4 연결부(106)를 추가로 수용하도록 될 수 있다. 그러나 변형 실시예에서, 제4 연결부를 위하여 별개의 드럼축 슬롯이 구비될 수 있다.
구동축(5)은, 벨트전동장치(7)에 의해 드럼축 구동모터(8)에 결합되고, 상기 벨트전동장치(7)는 구동 기구(9, 10)들로부터 벗어나 연장하는 베어링장치(6)의 한 쪽에 위치된다. 도 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벨트전동장치(7)는 메인 하우징(4)의 외부에 위치된다.
또한, 메인 하우징(4)내에서, 구동 기구(9, 10)들은 베어링장치(6) 후방에서 실질적으로 드럼축(1)의 연장부에 위치된다. 4개의 풀/푸시 로드(101, 103, 105, 107)들은 베어링장치(6)를 너머 구동 기구(9, 10) 내부로 연장한다.
구동 기구(9, 10)들은, 제1 스핀들(113)과 제2 스핀들(115)을 포함하는바, 이들은 드럼축(1)의 중심선(h)의 실질적으로 어느 한 쪽에 위치된다. 제 1스핀들 (113)은, 구동 기구의 중간부위의 어느 한 쪽에 동일하게 커다란, 그러나 반대방향의 피치를 갖는 나사부를 구비한다. 제 1스핀들(113)상에서 구동 기구(9)의 중간부위의 어느 한 쪽에는 제1 이동너트(flight nut: 109)와 제2 이동너트(112)가 배열되고, 제1, 2 이동너트 (109, 112)들은 제1 풀/푸시 로드(101)와 제2 풀/푸시 로드(107)에 각각 연결된다. 제2 스핀들(115)은, 구동 기구의 중간부위의 어느 한 쪽에 동일하게 커다란, 그러나 반대방향의 피치를 갖는 나사부를 구비한다. 제2 스핀들(115)상에서 구동 기구(10)의 중간부위의 어느 한 쪽에는 제3 이동너트(110)와 제4 이동너트(111)가 배열되고, 제3, 4 이동너트 (110, 111)들은 제3 풀/푸시 로드(103)와 제4 풀/푸시 로드(105)에 각각 연결된다. 제1, 2 스핀들(113, 115)을 각각 구동하면, 제1, 2 이동너트(109, 112) 및 제3, 4 이동너트(110, 111)들이 각각 실질적으로 동일한 속도로 그러나 반대방향으로 구동될 것이다. 풀/푸시 로드(101, 103, 105, 107)들이 드럼축(1)을 따라 이동하고 또 구동 기구(9, 10)들이 실질적으로 메인 하우징(4)에 고정됨에 따라, 풀/푸시 로드(101, 103, 105, 107)들은 베어링을 매개하여 각각의 이동너트(109, 112, 110, 111)들에 연결된다.
선택적으로 이동너트(109, 112, 110, 111)들은 선형 가이드들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예컨대, 턴업 또는 폴딩 아암(14)들의 풀/푸시 로드(103, 105)들의 이동너트(110, 111)들의 위치를 결정하기 위하여, 메인 하우징(4)에 2개의 센서(15a, 15b)들이 설치되고, 이 센서들은 도 1A와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턴업 또는 폴딩 아암(14)들이 시작위치에 있을 때, 이동너트들에 의하여 작동된다.
제 1스핀들(113)과 제 2스핀들(115)은 벨트 전동장치를 매개하여 자신의 서보모터(114, 116)에 각각 결합된다.
상기에서 상세히 논의된 구동 기구(9, 10)는, 드럼 반쪽(2, 3) 및 드럼 반쪽(2, 3)의 폴딩 아암(14)의 동시 운동에 상당한 개선을 제공한다. 제2 드럼 반쪽(3)과 그의 폴딩 아암들의 위치에 대하여 제1 드럼 반쪽(2)과 그의 폴딩 아암들의 위치를 거울-대칭으로, 특히 타이어 성형 드럼의 중간부위를 통해 수직인 2등분 평면(v)에서 거울-대칭으로 조정하기 위하여, 제1 풀/푸시 로드(101)는 제1 이동너트(109)에 실질적으로 축 방향으로 조정가능하게 결합되고, 제3 풀/푸시 로드(103)는 제3 이동너트(110)에 실질적으로 축 방향으로 조정가능하게 결합된다. 선택적으로, 제2 및/또는 제4 이동너트는 또한 해당 풀/푸시 로드에 실질적으로 축 방향으로 조정가능하게 결합된다.
도 1a에 도시된 바와 같은 실시예에서, 구동 기구(9, 10)들은 드럼축(1)의 중심선(h)의 위 및 아래의 어느 한 쪽에 위치된다. 이 실시예에서, 스핀들(113, 115)들은, 소위 12시 - 6시 위치에서 풀/푸시 로드(101, 103, 105, 107)들에 평행하게 위치된다. 변형예에서, 구동 기구들은 중심선(h)주위의 다른 위치들에 또한 위치될 수 있다. 예컨대, 구동 기구(9, 10)들은 소위 9시 - 3시 위치에서 실질적으로 수평면에서 중심선(h)의 어느 한 쪽에 위치될 수 있거나, 또는 구동 기구 (9, 10)들은 예컨대 소위 8시 - 4시 위치에서 중심선(h)과 수직인 평면을 갖는 제1, 2 스핀들(113, 115)의 교차점이 삼각형의 꼭지점들을 형성하는 각도로 위치될 수 있다.
변형예에서, 구동 기구(9, 10)들은 2중으로 설계될 수도 있다. 그러한 경우, 각 풀/푸시 로드는 자신의 스핀들을 갖는다. 상기 4개의 스핀들들은 예컨대, 소위 12시 - 3시 - 6시 - 9시 위치에서 드럼축(1)의 중심선(h) 주위에 위치될 수 있다.
사용시,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드럼 반쪽(2, 3)위에서 비이드(b)를 갖는 고무재질의 타이어 구성부품(t)들이 정해진 시작위치에 위치된다.
이어서, 드럼 반쪽(2, 3)들은 도 1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어도 제1 및 제2 풀/푸시 로드(101, 107)를 이동시킴으로써 타이어 성형 드럼의 중심으로 이동된다. 폴딩 아암(14)들을 들어올리지 않고 드럼 반쪽(2, 3)들을 이동시키기 위하여, 한편으로는 제1 및 제3 풀/푸시 로드(101, 103)들이 실질적으로 함께 구동되고 또 동시에 제2 및 제4 풀/푸시 로드(107, 105)들이 실질적으로 함께 구동된다. 이는 제1 및 제2 서보모터(114, 116)에 의하여 동일한 속도 및 동일한 방향으로 제1 및 제2 스핀들(113, 115)를 구동함으로써 이루어질 수 있다.
그 후, 고무 구성부품들을 이어주기(stitch)위하여 폴딩 아암(14)들이 작동된다. 도 1d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폴딩 아암(14)들을 위로 선회시키기 위하여, 한편으로 제1 풀/푸시 로드(101)에 대하여 제3 풀/푸시 로드(103)가 이동되고 또 동시에 제2 풀/푸시 로드(107)에 대하여 제4 풀/푸시 로드(105)가 이동된다. 폴딩 아암(14)들의 리프팅 동안에 드럼 반쪽(2, 3)들이 정지상태로 있을 때, 단지 제2 스핀들(115)들만이 구동될 필요가 있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타이어 성형 드럼의 확대된 부위의 종단면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바, 폴딩 아암(14)들은 시작위치에 있다. 타이어 성형 드럼은, 아암(14)들이 시작위치에 있는지를 검출하고, 또 아암들이 시작위치에 있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검출 신호를 발생하기 위한 검출 장치를 구비한다. 그러한 방식에서, 검출 장치는 타이어 성형 드럼에 배열된 전기 접점(15)을 포함할 수 있는바, 링 세그먼트를 향하여 지향된 아암(14)의 제1 자유 외부 단부에 배열된 턴업 롤러(11)와 접촉하는지 여부에 달려있는 도시된 실시예에서 전기 접점은, 다른 검출 신호를 발생한다. 전기 접점은, 다른 위치들, 예컨대 폴딩 아암(14)의 힌지(s)에 배열될 수도 있음이 명확하다. 추가하여 또는 대신에, 검출 장치는 외부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검출 신호는 다음 공정단계가 수행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타이어 성형 드럼의 작동을 자동으로 정지시키거나 및/또는 경보신호를 발생하기 위하여 사용될 수 있다.
도 2 내지 도 6에 따른 실시예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제4 이동핀(106)은 아암 지지대들 및 그리하여 폴딩 아암(14)들을 이동시킬 수 있도록 아암 지지대(17)에 결합된다. 도 2에 도시된 비작동 위치에서 아암 지지대(17)는 정지부(22)의 벽(19)에 맞닿는다.
본 발명의 도시된 실시예에서, 각 아암(14)의 제2 외부 단부는 접촉단부 (18)를 구비한다. 또한 각 정지부(22)는 그 외부 원주에 오목부(24)를 구비하고, 이 오목부(24)에 안전 부시(25)가 수용된다. 안전 부시(25)는, 예응력 스프링(27)에 의하여 오목부(24)의 벽(28)에 대하여 밀봉되게 가압된 접촉벽(26)을 갖는다. 안전 부시(25)는, 시작위치에서 아암(14)들의 접촉단부(18)와 무가압방식으로 맞닿는 자유 외부 단부(29)를 구비한다. 아암 지지대(17)가 정지부(22)와 맞닿는지를 검출하기 위하여 정지부(22)에 전기 접점(21)이 배열될 수 있다. 변형예로, 상기 전기 접점은 공기채널과 연통하는 채널부위(도시 안 됨)로 대체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기 접점은, 축들이 계속하여 메인 하우징 내부에까지 체류함에 따라 메인 하우징에 수용될 수도 있다.
공기채널(20)이 정지부(22)를 관통하여 형성되는 바, 공기채널은 압축공기 공급원(23)에 연결되거나 또는 연결될 수 있다. 공기채널(20)에 연결되거나 또는 압축공기 공급원(23)에 연결된 것은, 공기채널(20)에서 유량 및/또는 압력을 각각 측정하기 위한 유량계(F) 및/또는 압력계(P)이다. 공기채널(20)은, 안전 부시(25)의 접촉벽(26)에서 출구(K2)의 위치에서 유출하는바, 정지부(22)를 안전 부시(25)에 연결하기 위하여 적어도 부분적으로 가요성 도관이 사용됨을 알 수 있다.
타이어 성형 드럼의 작동이 이하에서 간단히 설명된다.
도 2에 도시된 위치에서, 아암(14)들은 시작위치에 위치하고 있다. 이 위치에서 아암 지지대(17)는 정지부(22)에 대하여 고정 지지된다. 스프링(27)은 또한 출구(K2)를 폐쇄상태로 유지한다. 검출 장치(유량계(F) 및/또는 압력계(P)는 유량(또는 압력계에 의한 특정압력)을 측정하지않고, 그리하여 검출 장치는 아암들이 정확히 시작위치에 있음을 나타내는 신호를 발생하며, 그래서 다음 공정단계가 진행될 수 있다.
다음 공정단계(도 3)에서, 구동 기구는 제4 이동핀(106)을 화살표 방향으로 구동하고, 그래서 아암(14)들은 틸팅위치로 가져오게 된다. 상기 공정단계에서 검출 장치는 아무런 기능을 갖지않고 또 그 결과로, 예컨대 꺼져있다. 주어진 신호들은 또한 처리될 필요가 없다.
도 4에 도시된 다음 공정단계에서, 제4 이동핀(106)은 구동 기구에 의하여 도 3에 도시된 것에 반대방향으로 이동되고(화살표 참조), 그 결과 아암(14)들은 틸팅위치로부터 도 4에 도시된 중간위치를 경유하여 시작위치로 다시 되돌려진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출구(K2)는 스프링(27)에 의해 폐쇄되어 있다.
도 5에는 본 발명에 따른 타이어 성형 드럼의 일부의 개략적인 종단면이 도시되는 바, 아암(14)들의 적어도 하나가 시작위치에 부정확하게 위치하고 있다. 이러한 경우, 전기 접점은 아암 지지대(17)가 정지부(22)에 정확하게 맞닿고 또 비작동 위치(또는 시작위치)에 도달하였다는 것을 검출한다. 그러나 출구(K2)는 개방되는바, 왜냐하면 하나 또는 몇몇 아암(14)들이 안전 부시(25)의 자유 외부 단부(29)에 충돌하고 또 스프링(27)을 가압하기 때문이다. 이제 유량계(F)는 큰 유량을 검출하고, 그 결과 유량계에 의해 주어진 신호는 아암(14)들의 적어도 하나의 부정확한 위치를 나타내고, 이에 따라 예컨대 타이어 성형 드럼의 회전이 자동으로 정지되며, 또 아무런 추후 공정단계가 수행되지 않는 것이 보장된다. 경보가 또한 발생될 수 있어서, 작업자가 아암을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확한(안전한) 위치에 위치시킬 수 있다. 변형예로 또는 추가적으로 전기 접점(21)의 신호가 사용될 수 있는바, 이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은 상황에서 아암이 정확한 위치에 도달하지 않았다는 것을 나타낸다. 그러한 방식으로, 다음 공정단계를 수행하기 위한 조건으로서, 검출 장치가 모든 아암들이 정확한 시작위치에 위치하고 있다는 것을 나타내는 것을 확실히 할 수 있다.
도 7에는 본 발명에 따른 타이어 성형 드럼의 제2 실시예의 확대된 부위의 개략적인 종단면이 도시되는바, 클램핑기구(13)와 그 구동부(13a)가 시작위치에 위치된다. 타이어 성형 드럼은, 클램핑기구(13)가 시작위치에 있는지를 검출하고, 또 클램핑기구가 시작위치에 있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검출 신호를 발생하기 위한 검출 장치를 구비한다.
압축공기 공급원(23a)에 연결된 또는 연결될 수 있는 공기채널(20a)은, 드럼축(1)의 벽을 관통한다. 공기채널(20a)에 연결되거나 또는 압축공기 공급원(23a)에 연결된 것은, 공기채널(20a)에서 유량 및/또는 압력을 각각 측정하기 위한 유량계 (F) 및/또는 압력계(P)이다. 개구부 또는 출구(K3)의 위치에서, 공기채널 (20a)은 클램핑장치(13a)의 구동부의 접촉벽에서 유출한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은 초기 위치에서, 클램핑장치(13a)의 구동 기구는 실질적으로 개구부 또는 출구(K3)에 밀봉되게 맞닿고, 또 공기채널 내에서 실질적으로 아무런 흐름 및 압력이 생성되지 않는다.
클램핑장치(13a)의 구동 기구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클램핑기구(13)의 반경 방향의 팽창을 구동하기 위하여 동작하면, 출구는 개방되고, 그 결과 공기는 개구부로부터 흐를 수 있고 또 공기채널(20a)에 흐름이 발생한다. 또한, 공기채널 내의 압력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강하한다. 공기채널(20)에서 압력 및/또는 유량을 검출함으로써, 클램핑기구(13)가 원하는 시작위치에 있는지 여부가 검출될 수 있다.
여기서, 유량계 (F) 및/또는 압력계(P)는 출구(K3)로부터 이격되어 위치될 수 있고, 또 바람직하기에는 메인 하우징(4)에 위치된다.
타이어 성형 드럼의 추가적인 실시예에서, 상기에서 설명된 하나 이상의 검출 장치들이 조합될 수 있다.
예컨대 아암 지지대들을 이동시키기 위한 수단이 구동 기구와 구동된 스핀들을 포함하는 타이어 성형 드럼을 기초로 하여 본 발명을 전술하였다. 한 예에 의하여 본 발명이 기술되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상기 타이어 성형 드럼들에 한정되지 않고, 아암 지지대들을 이동시키기 위한 수단이 공압식 피스턴/실린더 조립체들을 포함하는 타이어 성형 드럼들에도 적용될 수 있는바, 여기서 각 조립체는 실린더실과 그 내부에서 이동가능한 피스턴을 포함하고, 피스턴은 아암 지지대에 연결되며, 또 피스턴은 실린더실을 제1 실린더실 부위와 제2 실린더실 부위로 분할하며, 각 조립체는 압축공기 공급원에 연결된 또는 연결될 수 있는 공기배관을 매개하여 작동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타이어 구성부품들 및/또는 비이드 코어들이 원하는 위치에 위치되었는지 여부의 검출에도 또한 적용될 수 있다. 예컨대, 타이어 구성부품들 및/또는 비이드 코어들은, 존재한다면, 공기채널에서 개구부를 실질적으로 밀봉방식으로 폐쇄할 수 있고, 그 결과 타이어 구성부품들 및/또는 비이드 코어들의 존재는 유량계 및/또는 압력계에 의하여 검출될 수 있다.
1: 드럼축
2: 제1 드럼 반쪽
3: 제2 드럼 반쪽
4: 메인 하우징
5: 구동축
6; 베어링장치
7: 벨트전동장치
8: 드럼축 구동모터
9, 10: 구동 기구
11: 턴업롤러
12: 쇼울더 지지대
13: 클램핑기구 (링 세그먼트)
13a: 클램핑기구용 구동부
14: 폴딩 아암
15, 15a, 15b: 전기 접점
16: 플랜지 커플링
17: 아암 지지대
18: 접촉단부
19: 정지부의 벽
20, 20a: 공기채널
21: 전기 접점
22: 정지부
23, 23a: 압축공기 공급원
24: 정지부의 오목부
25: 안전 부시
26: 안전 부시용 접촉벽
27: 예응력 스프링
28: 오목부의 벽
29: 안전 부시의 자유 외부 단부
F: 유량계
P: 압력계
K2, K3: 출구
s: 힌지
b: 비이드
h: 중심선
t: 타이어 구성부품들
v: 수직인 2등분 평면
101: 제1 풀/푸시로드
102: 제1 연결부/이동핀
103: 제3 풀/푸시로드
104: 제3 연결부/이동핀
105: 제4 풀/푸시로드
106: 제4 연결부/이동핀
107: 제2 풀/푸시로드
108: 제2 연결부/이동핀
109: 제1 이동너트
110: 제3 이동너트
111: 제4 이동너트
112: 제2 이동너트
113: 제1 스핀들
114: 제1 서보모터
115: 제2 스핀들
116: 제2 서보모터

Claims (15)

  1. 2개의 비이드 코어(b)를 갖는 고무 타이어 구성부품(t)을 이용하여 미가황 타이어를 성형하는 데 사용하기 위한 턴업 기구를 갖춘 타이어 성형 드럼으로서, 이 타이어 성형 드럼에는,
    중앙의 드럼축(1)을 갖는 기저부;
    비이드 코어(b)를 지지하기 위하여 서로 이격되면서 드럼축 주위에 위치된 2개의 링 세그먼트(13);
    링 세그먼트 내에 위치된 타이어 구성부품의 부분을 반경 방향으로 팽창시키기 위한 팽창 장치;
    시작위치에서, 링 세그먼트의 외부 어느 한쪽에 위치되어 축 방향으로 연장하고, 링 세그먼트를 향하여 지향된 제1 자유 외부 단부에 제1 턴업 부재(11)가 구비되고 또 대향하는 제2 외부 단부에서 축 방향으로 이동가능한 아암 지지대(17)에 힌지 연결된 2개 세트의 아암(14);
    한편으로는 2개 세트의 아암(14)의 제2 외부 단부를 서로를 향하여 축 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하여 아암 지지대(17)를 제1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시프팅 장치로서, 아암이 시작위치로부터 틸팅위치로 반경 방향 평면에서 틸팅가능하여 그 결과로 제1 외부 단부를 축 방향 및 반경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반면에, 링 세그먼트 내에 위치된 타이어 구성부품의 팽창된 부분에 대하여 링 세그먼트의 외부에 위치된 타이어 구성부품의 부분을 가압하도록 하고, 다른 한편으로는 아암(14)을 틸팅위치로부터 시작위치로 축 방향으로 분리이동하기 위하여 아암 지지대(17)를 제1 방향과 반대되는 제2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것인 시프팅 장치; 및
    타이어 성형 드럼의 적어도 하나의 가동부가 원하는 위치에 있는지를 검출하기 위한 검출 장치
    가 마련되는 것인 타이어 성형 드럼에 있어서,
    상기 검출 장치는 압축공기 공급원(23)과 이 압축공기 공급원에 연결된 또는 연결될 수 있는 공기채널(20)을 포함하고, 이 공기채널은 개구부(K2)를 포함하며, 가동부는 적어도 원하는 위치에서 또는 이 원하는 위치에 근접하게 공기채널에서 유량 또는 압력을 조절하거나 변화하기 위하여 개구부에 결합되고,
    상기 검출 장치는 공기채널에서 유량 또는 압력을 각각 측정하기 위하여 유량계(F) 또는 압력계(P)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어 성형 드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동부는, 적어도 원하는 위치에서 또는 이 원하는 위치에 근접하게, 정지부(22)의 접촉면과 밀봉식으로 맞닿고, 상기 공기채널은 정지부의 접촉면 위 또는 그 표면에서 유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어 성형 드럼.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채널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정지부(22)를 관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어 성형 드럼.
  4.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 장치는, 예응력 스프링을 갖춘 안전 부시(safety bush)를 더 포함하고, 이 안전 부시는 예응력 스프링에 의하여 밀봉식으로 접촉면에 대하여 가압되며, 상기 가동부는 적어도 원하는 위치에서 또는 이 원하는 위치에 근접하게 안전 부시에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어 성형 드럼.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가동부는 적어도 원하는 위치에서 또는 이 원하는 위치에 근접하게 안전 부시와 맞닿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어 성형 드럼.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가동부는 적어도 원하는 위치에서 무가압방식으로 안전 부시와 맞닿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어 성형 드럼.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채널은 안전 부시의 일부를 관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어 성형 드럼.
  8.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유량계 또는 압력계는 타이어 성형 드럼의 메인 하우징(4)에 위치되거나, 또는 중앙의 드럼축(1)으로부터 이격되어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어 성형 드럼.
  9.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가동부는 적어도 하나의 링 세그먼트(1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어 성형 드럼.
  10.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가동부는 아암, 아암 지지대 또는 시프팅 장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어 성형 드럼.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 장치(15; 20; F; P)는 아암(14)이 시작위치에 있는지를 검출하고, 아암이 시작위치에 있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검출 신호를 발생하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어 성형 드럼.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시프팅 장치는, 타이어 성형 드럼의 메인 하우징(4) 내에서 드럼축(1)의 중심선(h)에 평행하게 연장하는 풀/푸시 로드(101, 103, 105, 107)를 포함하고, 메인 하우징에는 풀/푸시 로드(101, 103, 105, 107)가 작동적으로 결합되는 구동 기구(9, 10)가 위치되며, 메인 하우징에는 타이어 성형 드럼의 적어도 하나의 풀/푸시 로드가 원하는 위치에 있는지를 검출하기 위하여 검출 장치가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어 성형 드럼.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 장치는 메인 하우징에 배열된 전기 접점(15)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어 성형 드럼.
  1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 장치는 타이어 성형 드럼에 배열된 전기 접점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어 성형 드럼.
  15.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 장치는 가동부가 원하는 위치에 정확하게 위치하지 않을 때 검출 신호를 발생하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어 성형 드럼.
KR1020117018044A 2009-11-26 2010-11-26 턴업 기구를 갖춘 타이어 성형 드럼 KR10137768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NL2003874 2009-11-26
NL2003874A NL2003874C2 (nl) 2009-11-26 2009-11-26 Bandenbouwtrommel met opslagmechanisme.
US28309109P 2009-11-27 2009-11-27
US61/283,091 2009-11-27
PCT/NL2010/050796 WO2011065829A1 (en) 2009-11-26 2010-11-26 Tyre building drum with turn-up mechanism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96398A KR20120096398A (ko) 2012-08-30
KR101377681B1 true KR101377681B1 (ko) 2014-03-25

Family

ID=422385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7018044A KR101377681B1 (ko) 2009-11-26 2010-11-26 턴업 기구를 갖춘 타이어 성형 드럼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1) US8881785B2 (ko)
EP (1) EP2403710B1 (ko)
JP (1) JP5632011B2 (ko)
KR (1) KR101377681B1 (ko)
CN (1) CN102300701B (ko)
BR (1) BRPI1011410B1 (ko)
NL (1) NL2003874C2 (ko)
RU (1) RU2531289C2 (ko)
TW (1) TWI519408B (ko)
WO (1) WO201106582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930678B2 (ja) * 2011-11-29 2016-06-08 住友ゴム工業株式会社 空気入りタイヤの製造装置
CN103171162A (zh) * 2011-12-22 2013-06-26 软控股份有限公司 轮胎成型机及其助推反包方法
DE102012014987B4 (de) * 2012-07-27 2020-10-15 Harburg-Freudenberger Maschinenbau Gmbh Hochschlagvorrichtung für Reifenseitenwände
CN104742391A (zh) * 2013-12-30 2015-07-01 软控股份有限公司 机械指反包驱动装置
NL2014555B1 (en) * 2014-10-13 2016-10-04 Vmi Holland Bv Method and drum for manufacturing a tyre, in particular a run-flat tyre.
JP6313702B2 (ja) * 2014-12-08 2018-04-18 株式会社ブリヂストン グリーンタイヤの製造方法および装置
DE102015221700A1 (de) * 2015-11-05 2017-05-11 Continental Reifen Deutschland Gmbh Reifenbauvorrichtung sowie Verfahren zum Herstellen eines Reifenrohlings
FR3051390B1 (fr) * 2016-05-20 2018-06-29 Compagnie Generale Des Etablissements Michelin Installation de retroussage destinee a la fabrication d'ebauches de pneumatiques
CN110225818B (zh) 2016-12-29 2021-09-03 倍耐力轮胎股份公司 用于构建用于车轮的轮胎的装置和方法
CN107498902B (zh) * 2017-09-22 2023-06-06 青岛软控机电工程有限公司 机械成型鼓、胎圈锁紧力检测装置及其检测方法
CN107471705A (zh) * 2017-09-22 2017-12-15 青岛软控机电工程有限公司 机械成型鼓、反包等距控制装置及其控制方法
CN108274789B (zh) * 2017-12-29 2024-05-28 青岛软控机电工程有限公司 成型机箱及具有其的空气弹簧成型机
NL2021600B1 (en) * 2018-09-11 2020-05-01 Vmi Holland Bv Tire building drum with a bladder or sleeve
CN109016586A (zh) * 2018-09-30 2018-12-18 萨驰华辰机械(苏州)有限公司 轮胎成型鼓
CN109016585A (zh) * 2018-09-30 2018-12-18 萨驰华辰机械(苏州)有限公司 轮胎成型鼓
CN109291481B (zh) * 2018-11-30 2020-10-20 萨驰华辰机械(苏州)有限公司 一种用于轮胎成型鼓的位置检测系统及位置检测方法
FR3102222B1 (fr) * 2019-10-18 2021-11-05 Michelin & Cie Embrayage Mobile dans un Système de Confection des Pneumatiques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296407A (ja) 2007-05-29 2008-12-11 Bridgestone Corp タイヤ成型方法及びタイヤ成型装置
JP2009034856A (ja) 2007-07-31 2009-02-19 Bridgestone Corp タイヤ成型装置及びタイヤ成型方法

Family Cites Families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1110237A (en) * 1965-10-28 1968-04-18 Akad Wissenschaften Ddr Improvements in and relating to pneumatic switches
US3709027A (en) * 1971-01-22 1973-01-09 Automatic Switch Co Proximity sensing device
US3844871A (en) * 1973-02-05 1974-10-29 Uniroyal Inc Tire building machine
US3888720A (en) * 1973-02-05 1975-06-10 Uniroyal Inc Tire building machine having a variable diameter tire building drum
US3894423A (en) * 1973-10-15 1975-07-15 Schmidt Precision Tool Co J M Air gage cartridge
DE2411014A1 (de) * 1974-03-07 1975-09-18 Vni I K I Oboru Dlja Schinnoj Einrichtung zur bearbeitung der reifenwulst fuer luftreifenaufbaumaschinen
DE2445471A1 (de) * 1974-09-24 1976-04-01 Volkswagenwerk Ag Steuerventil zur steuerung einer hubkolben-zylinder-einheit
US4015494A (en) * 1975-06-24 1977-04-05 Cashin Systems Corporation Cold cut slicing system
US4229629A (en) * 1979-03-01 1980-10-21 Pawlowski Eugene J Miniature pneumatic switch actuator
US4477215A (en) * 1981-11-16 1984-10-16 Gabriele Leonard A Broaching machine safety
JPS5952707A (ja) * 1982-09-20 1984-03-27 Nec Corp タツチセンサ
SU1452023A1 (ru) * 1985-04-12 1994-10-30 Всесоюзный Научно-Исследовательский И Конструкторский Институт По Оборудованию Для Шинной Промышленности Механизм для формирования борта покрышек пневматических шин
US4850221A (en) * 1988-09-12 1989-07-25 Molex Incorporated Wire sensing apparatus
SU1763236A1 (ru) * 1991-01-21 1992-09-23 Омское научно-производственное объединение "Прогресс" Устройство дл контрол положени бортовых колец в сборочных станках
RU2015919C1 (ru) * 1991-03-07 1994-07-15 Сатцаева Лидия Михайловна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остановки сборочного барабана в заданном положении
US5224374A (en) * 1991-05-31 1993-07-06 Texas Instruments Incorporated Wafer proximity sensor
US6091048A (en) * 1997-05-16 2000-07-18 Illinois Tool Works Inc. Welding machine with automatic parameter setting
US6318434B1 (en) 1997-05-23 2001-11-20 Vmi Epe Holland B.V. Tire building drum with turn-up apparatus
JP4854903B2 (ja) 2000-03-17 2012-01-18 ブイ、エム、アイ、エープ、ホランド、ベスローテン、フェンノートシャップ 上昇機構を具備するタイヤ成型ドラム
US6469265B1 (en) * 2001-06-05 2002-10-22 Delphi Technologie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a limit switch
WO2004012928A1 (ja) 2002-08-05 2004-02-12 Bridgestone Corporation タイヤ成型ドラムおよびタイヤの成型方法
NL1021668C2 (nl) * 2002-10-16 2004-04-20 Vmi Epe Holland Bandentrommel met opslagmechanisme voor het bouwen van een ongevulcaniseerde band.
US20050231318A1 (en) * 2004-04-15 2005-10-20 James Bullington Trip-free limit switch and reset mechanism
US7325445B1 (en) * 2004-11-03 2008-02-05 Robert Bosch Gmbh Air test to determine surface roughness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296407A (ja) 2007-05-29 2008-12-11 Bridgestone Corp タイヤ成型方法及びタイヤ成型装置
JP2009034856A (ja) 2007-07-31 2009-02-19 Bridgestone Corp タイヤ成型装置及びタイヤ成型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2300701B (zh) 2015-04-22
KR20120096398A (ko) 2012-08-30
US8881785B2 (en) 2014-11-11
RU2011135954A (ru) 2013-03-10
TWI519408B (zh) 2016-02-01
BRPI1011410A2 (pt) 2016-03-15
US20110315322A1 (en) 2011-12-29
EP2403710A1 (en) 2012-01-11
RU2531289C2 (ru) 2014-10-20
TW201134650A (en) 2011-10-16
JP2013512127A (ja) 2013-04-11
WO2011065829A1 (en) 2011-06-03
BRPI1011410B1 (pt) 2019-09-17
JP5632011B2 (ja) 2014-11-26
EP2403710B1 (en) 2013-09-11
CN102300701A (zh) 2011-12-28
NL2003874C2 (nl) 2011-05-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77681B1 (ko) 턴업 기구를 갖춘 타이어 성형 드럼
EP2293927B1 (en) Tyre building drum for building an unvulcanised tyre
US4004693A (en) Apparatus for inspecting the disposition of steel ply cords in pneumatic tires
US8770251B2 (en) Tyre building drum for building an unvulcanised tyre
US20190337251A1 (en) Bead setting assembly
US9840234B2 (en) Inflator with reactive tire pressure monitoring
CN106482671B (zh) 硫化胶囊对称性检测装置及方法
CA1123330A (en) Tire building machine with axially movable engaging flanges
JP2010208198A (ja) タイヤの製造方法および製造装置
JP2013071288A (ja) タイヤ構成部材の折返し方法および装置
JP4904666B2 (ja) 空気入りタイヤの反転装置
JP7251032B2 (ja) トランスファー装置及びタイヤ成型装置
JP2015020366A (ja) タイヤ成型ドラム及びタイヤ成型方法
EP3990267B1 (en) Assembly for placement of sensors within tire
EP3984732A1 (en) Green tire forming apparatus
JP6313702B2 (ja) グリーンタイヤの製造方法および装置
KR100509778B1 (ko) 가류기의 브라더 측정장치
IT201800006971A1 (it) Metodo ed apparato per determinare la posizione della valvola di gonfiaggio di pneumatici per ruote di veicoli nell’ambito di un processo di manutenzione delle ruot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0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1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06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