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77654B1 - 대형기판 및 대형기판의 균일한 연마를 위한 연마 방법 - Google Patents

대형기판 및 대형기판의 균일한 연마를 위한 연마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77654B1
KR101377654B1 KR1020130107975A KR20130107975A KR101377654B1 KR 101377654 B1 KR101377654 B1 KR 101377654B1 KR 1020130107975 A KR1020130107975 A KR 1020130107975A KR 20130107975 A KR20130107975 A KR 20130107975A KR 101377654 B1 KR101377654 B1 KR 10137765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bstrate
polishing
polishing pad
pad
eff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079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103702A (ko
Inventor
민경훈
임예훈
이대연
송재익
박수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화학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to KR10201301079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77654B1/ko
Publication of KR201301037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0370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776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7765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BMACHINES, DEVICES, OR PROCESSES FOR GRINDING OR POLISHING; DRESSING OR CONDITIONING OF ABRADING SURFACES; FEEDING OF GRINDING, POLISHING, OR LAPPING AGENTS
    • B24B7/00Machines or devices designed for grinding plane surfaces on work, including polishing plane glass surfaces; Accessories therefor
    • B24B7/10Single-purpose machines or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inish Polishing, Edge Sharpening, And Grinding By Specific Grinding Devices (AREA)
  • Mechanical Treatment Of Semiconductor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기판 연마 방법은 대형 기판을 연마하는 공정에서 대형 기판의 중심부와 테두리 부분의 연마량 차이를 최소화할 수 있다.

Description

대형기판 및 대형기판의 균일한 연마를 위한 연마 방법{Large scale plate and method for uniform polishing of the same }
본 발명은 대형 기판 및 그 연마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구체적으로는 대형 기판을 연마하는 공정에서 대형 기판의 중심부와 테두리 부분의 연마량 차이를 최소화할 수 있는 연마방법 및 그에 의해 생산된 대형기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기계적인 한계로 인해서 연마기는 대형 기판보다 작게 설계된다. 이 경우에는 대형 기판의 전체면을 연마하기 위해서 연마기를 이동시키면서 기판을 연마한다.
도 1을 참조하면, 통상적인 연마기의 상정반(1)이 기판(2)의 장축 방향(x 방향)으로 이동하는 거리(P1)는 상정반(1) 반지름의 60%~80%이고 기판(2)의 단축 방향(y 방향)으로 이동하는 거리(P2)는 상정반(1) 반지름의 50%~70%이다. 도 1에서 점선으로 이루어진 직사각형(10)은 연마시에 상정반(1)의 중심이 이동하는 경로를 나타낸다.
상정반(1)이 상기 거리(P1)(P2)만큼 이동하면서 대형 기판(2)을 연마하면 대형 기판(2)의 중심부에서는 연마가 많이 이루어지는 반면에 대형 기판(2)의 테두리 부분에서는 연마가 작게 이루어져서 연마 편차가 심하게 발생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도 2는 상기 연마 편차를 보여준다. 도 2에서 붉은 색일수록 연마량이 많은 것을 나타내고 푸른 색일수록 연마량이 작은 것을 나타낸다.
상기 연마 편차는 상기 경로(10)를 따라 상정반(1)이 이동할 때, 상정반(1)이 상기 중심부를 항상 지나는 반면에 상기 테두리 부분을 중심부의 1/4정도만 지나기 때문에 발생한다.
한편, 연마패드의 연마량은 연마패드의 마모 상태, 연마패드가 기판(2)에 가하는 압력 등에 따라 영향을 받는다. 따라서, 상기 연마 편차를 줄이기 위해서는 연마패드의 마모 상태와 연마패드가 기판(2)에 가하는 압력도 고려해야 한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대형 기판을 연마하는 공정에서 대형 기판의 중심부와 테두리 부분의 연마량 차이(연마 편차)를 최소화할 수 있는 연마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특히, 본 발명은 연마패드의 마모 상태와 연마패드가 기판에 가하는 압력도 고려하여 상기 연마량 차이(연마 편차)를 최소화하는 연마 방법을 제공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연마방법에 의해서 생산된 대형 기판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들을 이루기 위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기판 연마 방법은, 연마시에 상정반이 사각형의 경로를 따라 연마공정을 수행하고, 상기 상정반이 기판의 장축방향으로 이동하는 거리(S1) 및 기판의 단축방향으로 이동하는 거리(S2)는 상정반에 설치된 연마패드의 지름(D)의 90% 내지 100%이다.
바람직하게, 상기 경로는 직사각형이다.
바람직하게, 상기 S1 및 S2는 아래 식 1,2로부터 계산된 값 중에서 작은 값을 갖는다.
[식 1]
D-d
[식 2]
Figure 112013082339104-pat00001
Figure 112013082339104-pat00002
상기 식 1,2에서
d : 연마패드의 테두리 부분에서 마모된 부분의 반경 방향 길이의 합.
D' : 연마패드가 기판에 가하는 압력이 기판을 마모시키기에 적합한 유효압력(Peff) 이상이 되는 부분의 직경.
Pend : 연마패드에서 상기 마모된 부분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 중 최외곽에서 연마패드가 기판에 가하는 압력.
Peff : 기판을 마모시키기에 적합하도록 연마패드가 기판에 가하는 압력.
아울러, 본 발명은 상기 연마방법에 의해서 균일하게 연마된 대형기판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기판 연마 방법은 대형 기판의 중심부와 테두리 부분의 연마량 차이(연마 편차)를 최소화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기판 연마 방법은 연마량 차이(연마 편차)를 최소화하는데 있어서 연마패드의 마모 상태와 연마패드가 기판에 가하는 압력을 고려하기 때문에 대형 기판의 연마를 더욱 균일하게 할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은 상기 연마방법에 의해서 균일하게 연마된 대형기판을 제공한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대형기판 연마시에 연마기 상정반의 중심이 이동하는 경로를 보여주는 구성도.
도 2는 도 1의 연마에 따른 연마 편차를 보여주는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연마방법에서 연마기 상정반의 중심이 이동하는 경로를 보여주는 도면.
도 4는 연마패드와 기판이 접촉된 상태를 보여주는 단면도.
도 5는 도 4의 상태에서 연마패드가 기판에 인가하는 압력을 보여주는 그래프.
도 6은 도 3의 연마에 따른 연마 편차를 보여주는 도면.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연마방법에서 연마기 상정반의 중심이 이동하는 경로를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4는 연마패드와 기판이 접촉된 상태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연마방법은 연마패드(3)가 설치된 상정반(1)이 기판(2)의 장축 방향(x 방향)으로 이동하는 거리(S1)와 단축 방향(y 방향)으로 이동하는 거리(S2)가 연마패드(3)의 지름(D)의 90% 내지 100%라는 특징을 가진다. 도면에서 점선으로 이루어진 사각형은 상기 연마시에 상정반(1)이 이동하는 경로(20)를 나타내는데, 상기 경로(20)는 직사각형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S1, S2가 상기 D의 90% 보다 작으면 연마 공정시에 대형 기판(2)의 중심부를 상정반(1)이 중첩(반복)해서 지나가기 때문에 상기 중심부에서의 연마량이 테두리에서의 연마량보다 훨씬 많아지게 되고, 이에 따라 연마 편차가 커지게 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 S1, S2가 상기 D의 100% 보다 크면 연마 공정시에 상정반(1)이 대형 기판(2)의 중심부를 지나가지 않는 경우가 발생할 수도 있다.
한편, 상정반(1)에 설치된 연마패드(3)가 기판(2)을 연마하면 연마패드(3)도 마모되는데, 상기 마모는 연마패드(3)의 테두리 부분부터 발생된다. 도 4에 나타난 바와 같이, 연마패드(3)가 기판(2)과 접촉된 상태일 때, 상기 마모된 테두리 부분(d/2)은 기판(2)과 접촉하지 못하기 때문에 기판(2)의 연마에 기여하지 못한다. 도 4의 참조부호 d는 마모된 테두리 부분의 반경방향 길이의 합을 나타낸다. 도 4에서는 연마패드(3)의 상면에 구비되는 상정반(1)의 도시가 생략되었다.
연마패드(3)가 기판(2)을 연마할 수 있으려면 연마패드(3)가 기판(2)에 소정 압력(이하, ‘유효 압력(Peff)’이라 함) 이상을 인가해야 한다. 기판(2)을 연마할 수 있도록 연마패드(3)가 기판(2)에 인가하는 압력이 유효압력(Peff) 이상되는 부분의 직경을 D’라고 할 때, 연마에 유효한 부분의 직경(이하, ‘연마 유효 지름(Deff)’이라 함)은 (D-d)와 D’중에서 작은 값으로 정의할 수 있다. 도 5는 연마패드(3)의 실제 직경(D)과 D’의 관계를 예시적으로 보여준다.
상기 연마 유효 지름(Deff)이 기판(2)의 장축방향(x 방향) 길이(a) 및 단축방향(y 방향) 길이(b) 보다 큰 경우에는 상정반(1)을 이동시키지 않고서도 기판(2)을 연마할 수 있으나, 상기 연마 유효 지름(Deff)이 상기 a, b 보다 작은 경우에는 상정반(1)을 이동시키면서 연마를 하여야 한다. 이 경우에 상기 상정반(1)의 장축방향(x 방향) 이동거리(S1) 및 단축방향(y 방향) 이동거리(S2)는 다음의 수학식 1, 2로부터 계산된 값 중에서 작은 값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Figure 112013082339104-pat00003
Figure 112013082339104-pat00004
상기 수학식 2에서, Pend 는 연마패드에서 상기 마모된 부분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 중 최외곽에서 연마패드가 기판에 가하는 압력을 나타낸다.
상기 수학식 1,2를 이용하면 연마패드(3)의 마모상태와 연마패드(3)가 기판(2)에 인가하는 압력도 고려하여 S1, S2를 정할 수 있기 때문에 대형 기판(2)의 연마를 더욱 균일하게 할 수 있다. 도 6은 상기 수학식 1,2를 이용하여 결정된 이동거리(S1)(S2)를 갖는 경우의 연마량을 나타낸 것이다. 도 6과 도 2를 비교하면, 도 6의 경우가 도 2의 경우보다 연마편차가 훨씬 작음을 알 수 있다.
<도면의 주요 참조부호에 대한 설명>
1 : 상정반 2 : 기판
3 : 연마패드
S1 : 상정반의 장축방향(x 방향) 이동거리
S2 : 상정반의 단축방향(y 방향) 이동거리
a : 기판의 장축방향(x 방향) 길이
b : 기판의 단축방향(y 방향) 길이
D : 연마패드의 직경 Peff : 유효압력
D': 연마패드가 기판에 인가하는 압력이 유효압력(Peff) 이상되는 부분의 직경
Deff : 연마 유효 지름

Claims (4)

  1. 연마패드가 설치된 상정반을 이동시켜 기판을 연마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연마시에 상정반은 사각형의 경로를 따라 연마공정을 수행하고,
    상기 상정반이 기판의 장축방향으로 이동하는 거리(S1) 및 기판의 단축방향으로 이동하는 거리(S2)는 상정반에 설치된 연마패드의 지름(D)의 90% 내지 100%이며,
    상기 S1 및 S2는 아래 식 1,2로부터 계산된 값 중에서 작은 값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판 연마 방법.
    [식 1]
    D-d
    [식 2]
    Figure 112013107096191-pat00013
    Figure 112013107096191-pat00014

    상기 식 1,2에서
    d : 연마패드의 테두리 부분에서 마모된 부분의 반경 방향 길이의 합.
    D' : 연마패드가 기판에 가하는 압력이 기판을 마모시킬 수 있는 유효압력(Peff) 이상이 되는 부분의 직경.
    Pend : 연마패드에서 상기 마모된 부분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 중 최외곽에서 연마패드가 기판에 가하는 압력.
    Peff : 기판을 마모시킬 수 있도록 연마패드가 기판에 가하는 압력.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경로는 직사각형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판 연마 방법.
  3. 삭제
  4. 삭제
KR1020130107975A 2013-09-09 2013-09-09 대형기판 및 대형기판의 균일한 연마를 위한 연마 방법 KR10137765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07975A KR101377654B1 (ko) 2013-09-09 2013-09-09 대형기판 및 대형기판의 균일한 연마를 위한 연마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07975A KR101377654B1 (ko) 2013-09-09 2013-09-09 대형기판 및 대형기판의 균일한 연마를 위한 연마 방법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74710A Division KR101504221B1 (ko) 2010-08-02 2010-08-02 대형기판 및 대형기판의 균일한 연마를 위한 연마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03702A KR20130103702A (ko) 2013-09-24
KR101377654B1 true KR101377654B1 (ko) 2014-03-25

Family

ID=494527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07975A KR101377654B1 (ko) 2013-09-09 2013-09-09 대형기판 및 대형기판의 균일한 연마를 위한 연마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77654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190657A (ja) * 2006-01-20 2007-08-02 Asahi Glass Co Ltd 板状体の研磨方法及びその装置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190657A (ja) * 2006-01-20 2007-08-02 Asahi Glass Co Ltd 板状体の研磨方法及びその装置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류춘회 외 2명, 고속가공기를 이용한 CAD/CAM 포켓가공에 관한 연구, 한국기계가공학회지, 제3권, 제3호, 2004.09(pp 32-38)*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03702A (ko) 2013-09-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847789B2 (ja) 両面研磨装置用キャリアの製造方法およびウエーハの両面研磨方法
KR101604076B1 (ko) 동시 양면 연마를 이용하여 반도체 웨이퍼를 연마하기 위한 방법
TWI623033B (zh) 研磨裝置
KR20100057815A (ko) 형상화된 프로파일을 갖는 유지 링
JP2016046490A (ja) ウエーハの加工方法
JP2010045279A (ja) 半導体基板の両面研磨方法
TWI459504B (zh) 一種提供夾具平台空氣區的系統及方法
KR101504221B1 (ko) 대형기판 및 대형기판의 균일한 연마를 위한 연마 방법
KR101377654B1 (ko) 대형기판 및 대형기판의 균일한 연마를 위한 연마 방법
JP5605260B2 (ja) インサート材及び両面研磨装置
US20140364041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olishing wafer
KR101459607B1 (ko) 웨이퍼 그라인딩 장치
CN212601122U (zh) 一种抛光垫及抛光设备
JP2004223684A (ja) ウェーハノッチ研磨用パッド
JP2015174164A (ja) ツルーイング用砥石
KR101286009B1 (ko) 웨이퍼 연마 장치 및 웨이퍼 연마방법
TWI604919B (zh) 固定環及研磨設備
KR20140002873A (ko) 웨이퍼 연마 장치 및 웨이퍼 연마 방법
KR20140028287A (ko) 웨이퍼 연마 장치
KR20140002872A (ko) 웨이퍼 연마 장치 및 웨이퍼 연마 방법
JP2007331034A (ja) ワークキャリア及び両面研磨機
WO2015076039A1 (ja) 研磨方法及び研磨装置
KR20120122113A (ko) 석재측면가공용 연마패드
KR101506875B1 (ko) 드레싱 유닛
KR101572094B1 (ko) 연마 휠 드레싱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1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1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1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16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