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77636B1 - 치과 보철물 가압력 분산부재 - Google Patents

치과 보철물 가압력 분산부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77636B1
KR101377636B1 KR1020130164090A KR20130164090A KR101377636B1 KR 101377636 B1 KR101377636 B1 KR 101377636B1 KR 1020130164090 A KR1020130164090 A KR 1020130164090A KR 20130164090 A KR20130164090 A KR 20130164090A KR 101377636 B1 KR101377636 B1 KR 10137763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mastication
dental prosthesis
pressing force
teet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640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현기봉
Original Assignee
현기봉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기봉 filed Critical 현기봉
Priority to KR10201301640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7763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776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7763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5/00Filling or capping teeth
    • A61C5/30Securing inlays, onlays or crow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3/00Dental prostheses; Making same
    • A61C13/225Fastening prostheses in the mouth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3/00Dental prostheses; Making same
    • A61C13/225Fastening prostheses in the mouth
    • A61C13/28Fastening by spring action between upper and lower dentur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Dent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Dental Tools And Instruments Or Auxiliary Dental Instru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의한 보철물 가압력 분산부재는, 사람의 저작력에 의해 변형이 가능한 재료로 평판 형상으로 제작되어 장변이 상호 맞닿도록 연결되되, 폭방향이 상향 및 하향으로 번갈아 경사지게 배열되어 지그재그 패턴으로 연결되는 셋 이상의 저작 플레이트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에 의한 보철물 가압력 분산부재를 이용하면, 환자의 교합력을 보철물 전체에 고르게 분산시킬 수 있어 보철물을 안정적으로 치아에 결합시킬 수 있고, 치아 형상에 맞춰 변형이 용이하므로 환자의 치아에 무리가 가해지지 아니하며, 복원 탄성력이 적어 물고 있는 상태를 일정시간 유지하는데 큰 힘이 소요되지 아니하다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치과 보철물 가압력 분산부재 {Pressure distributing member for Dental prosthesis}
본 고안은 치아에 보철물을 접합시킬 때 윗니와 아랫니 사이에서 가압되어 환자의 저작력을 보철물에 전달하기 위한 가압력 분산부재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치아의 교합면 형상에 맞추어 제작되어 환자의 저작력을 보철물의 각 부위에 고르게 분산되도록 구성되는 보철물 가압력 분산부재에 관한 것이다.
치과용 보철은 풍치나 충치, 또는 사고로 인한 외상 따위의 요인으로 상실되거나 손상된 치아를 치료하여 상실된 저작(咀嚼) 기능이나 심미 등을 회복시켜 주는 치아 대체물로서 개발되어 현재 치료에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치과용 보철물은, 신경치료 등으로 약해진 치아를 감싸거나 치아의 상실 부위를 수복하는 일반 보철물과, 변색, 형태 이상 및 틈새 등을 개선하는 심미 보철물 등이 있다.
이러한 보철물은 치아의 교합면 중 교두(치아의 돌출부분) 높이와 와(치아의 오목한 부분) 깊이 등을 고려하여 적절한 형상으로 제작된 후, 치아의 상실 부위를 채우도록 결합된다.
보철물은 일반적으로 치과용 접착제에 의해 치아에 결합되는데, 환자의 저작력(윗니와 아랫니가 맞물리도록 입을 다무는 힘)을 이용하여 보철물을 치아에 가압한다. 예를 들어 아랫니에 보철물을 결합하는 경우 아랫니의 상면에 안착된 보철은 대응되는 윗니에 의해 하향 가압되도록 하는데, 이때 보철물의 적합도를 증진시키기 위하여 상기 보철물과 윗니 사이에는 나무나 플라스틱 또는 금속으로 제작된 가압력 분산부재를 삽입하여 보철물과 치아의 손상을 방지하는 방법을 이용하고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종래의 가압력 분산부재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종래의 가압력 분산부재의 사용상태를 도시하는 단면도이고, 도 2는 종래의 가압력 분산부재 제2 실시예의 사용상태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윗니(10)와 아랫니(20)의 교합면에 안착된 보철물(30)을 각각의 치아에 압착시키고자 하는 경우,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윗니(10)와 아랫니(20) 사이(더 정확하게는, 윗니(10)의 보철물(30)과 아랫니(20)의 보철물(30) 사이)에 나무나 합성수지로 제작된 스틱 형상의 가압력 분산부재(40)를 사이에 두고, 치아를 다물도록 함으로써 상기 보철물(30)들이 환자의 저작력에 의해 각각의 치아(10, 20)에 압착되도록 한다.
이때, 보철물(30)은 실제 치아의 형상을 따라 교두와 와가 구비되도록 요철을 갖는 형상으로 형성되므로, 스틱 형상의 가압력 분산부재(40)가 보철물(30)의 일부만을 가압한다는 문제가 발생된다. 특히, 윗니(10)에 부착된 보철물(30)과 같이 치아의 와 부위(오목한 부위)에만 장착되는 경우, 가압력 분산부재(40)가 전혀 접촉되지 아니하므로 윗니(10)에 밀착되지 아니하게 된다는 문제가 발생된다.
물론, 상기 가압력 분산부재(40)를 환자의 저작력에 의해 뭉개질 수 있는 나무로 제작하거나, 환자의 저작력에 의해 변형될 수 있는 합성수지로 제작하면 보철물(30)의 전체 부위를 가압할 수는 있지만, 상기 가압력 분산부재(40)를 나무로 제작하는 경우 상기 가압력 분산부재(40)가 으깨어지도록 매우 세게 씹어야 하므로 환자에게 고통이 유발될 수 있고, 상기 가압력 분산부재(40)를 합성수지로 제작하는 경우 가압력 분산부재(40)가 원상태로 복원되지 못하도록 지속적으로 강하게 물고 있어야 한다는 불편함이 있었다.
상기 언급한 바와 같이 매우 큰 힘으로 물지 아니하더라도 보철물(30)의 오목한 부위가 치아(10, 20)에 압착될 수 있도록,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돌기 형상의 가압력 분산부재(40)가 제안된 바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경우 상기 가압력 분산부재(40)가 가압하는 부위는 치아(10, 20)에 압착되지만, 상기 보철물(30)의 가운데 부위가 가압되는 반력에 의해 나머지 경계부위가 들뜨는 현상이 발생된다는 단점이 있고, 이는 들뜨는 부위의 접착제가 용해되어 이차적인 충치가 발생함으로써 보철물의 수명을 단축시키는 가장 큰 원인이 된다.
KR 10-1292989 B1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환자의 교합력을 보철물 전체에 고르게 분산시킬 수 있고 보철물의 수명을 결정하는 가장 중요한 요소인 보철물 경계부위와 치아와의 적합도를 향상시키며 환자의 치아에 무리를 가하지 아니하면서도 치아 형상에 맞춰 변형이 용이하고, 복원 탄성력이 적어 물고 있는 상태를 일정시간 유지하는데 큰 힘이 소요되지 아니하는 보철물 가압력 분산부재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의한 보철물 가압력 분산부재는, 사람의 저작력에 의해 변형이 가능한 재료로 직사각형 평판 형상으로 제작되어 장변이 상호 맞닿도록 연결되되, 폭방향이 상향 및 하향으로 번갈아 경사지게 배열되어 지그재그 패턴으로 연결되는 셋 이상의 저작 플레이트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웃하는 두 개의 저작 플레이트 간의 결합각도는 110도 내지 130도로 설정된다.
상기 저작 플레이트는, 장변 길이가 13㎜ 내지 17㎜이고, 단변 길이가 2㎜ 내지 4㎜로 설정된다.
상기 저작 플레이트는 넷 이상 연결되되, 홀수 번째로 배열되는 저작 플레이트들이 상호 평행하고, 짝수 번째로 배열되는 저작 플레이트들이 상호 평행하도록 배열된다.
상기 저작 플레이트는, 길이방향으로 절곡 또는 만곡되도록 연결되는 둘 이상의 조각판으로 구성된다.
상기 저작 플레이트는, 일측이 하향 연장되는 좌측 조각판과, 일측이 상향으로 연장되며 타단이 상기 좌측 조각판의 일단에 연결되는 중심 조각판과, 일측이 하향으로 연장되며 타단이 상기 중심 조각판의 일단에 연결되는 우측 조각판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웃하는 두 개의 조각판 간의 결합각도는 110도 내지 130도로 설정된다.
상기 저작 플레이트는 백향목 또는 연성 플라스틱으로 제작된다.
상기 저작 플레이트의 표면에는 하나 이상의 돌출부가 형성된다.
상기 저작 플레이트의 표면에 부착되거나, 상기 저작 플레이트에 매립되는 다수 개의 향기캡슐을 더 포함한다.
상기 저작 플레이트는 나무로 이루어지되, 향을 갖는 액상에 침지되는 과정과, 건조과정을 거쳐 제작된다.
본 고안에 의한 보철물 가압력 분산부재를 이용하면, 환자의 교합력을 보철물 전체에 고르게 분산시킬 수 있어 보철물의 변연적합도를 향상시킴으로써 보철물을 안정적으로 치아에 결합시킬 수 있고, 결합한 이후에 접착제의 변연 누수현상을 줄여 보철물의 수명을 연장시키고, 치아 형상에 맞춰 변형이 용이하므로 환자의 치아에 무리가 가해지지 아니하며, 복원 탄성력이 적어 물고 있는 상태를 일정시간 유지하는데 큰 힘이 소요되지 아니하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1회용으로 사용되므로 위생적이며, 대량생산이 가능하여 단가를 낮출수 있으며, 사용 후 제품을 폐기하더라도 자연분해되므로 환경 오염을 줄일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종래의 가압력 분산부재의 사용상태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2는 종래의 가압력 분산부재 제2 실시예의 사용상태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보철물 가압력 분산부재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보철물 가압력 분산부재의 측면도이다.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보철물 가압력 분산부재의 사용상태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보철물 가압력 분산부재가 골이 깊은 치아에 사용되는 경우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9 및 도 10은 본 발명에 의한 보철물 가압력 분산부재가 골이 얕은 치아에 사용되는 경우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에 의한 보철물 가압력 분산부재 제2 실시예의 사시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에 의한 보철물 가압력 분산부재 제2 실시예의 사용상태를 도시하는 정면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에 의한 보철물 가압력 분산부재 제2 실시예의 다수치아에 사용상태를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도 14 및 도 15는 본 발명에 의한 보철물 가압력 분산부재 제3 실시예의 사시도 및 측면도이다.
도 16 및 도 17은 본 발명에 의한 보철물 가압력 분산부재 제4 실시예의 측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보철물 가압력 분산부재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보철물 가압력 분산부재의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보철물 가압력 분산부재의 측면도이며,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보철물 가압력 분산부재의 사용상태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본 발명에 의한 보철물 가압력 분산부재는 보철물(30)이 안착된 윗니(10)와 아랫니(20) 사이에 삽입되어, 환자가 입을 다무는 동작에 의해 발생되는 저작력을 상기 보철물(30)에 고르게 전달시키는 기능을 하는 부재로서, 환자의 치아 형태에 맞춰 변형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즉, 환자의 저작력에 의해 변형이 가능한 나무 또는 연성 플라스틱으로 제작된다. 이때 사람의 치아는 교합면이 평면을 이루는 것이 아니라 교두(치아의 돌출부(200)분)와 와(치아의 오목한 부분)를 갖는 요철 형상으로 이루어지므로, 상기 보철물 가압력 분산부재가 종래와 같이 스틱 형상으로 제작되면 치아의 형태에 맞게 변형되기까지 많은 변형이 요구된다는 단점이 있다. 즉, 스틱 형상의 보철물 가압력 분산부재를 치아로 씹어 치아의 형태에 맞도록 변형시키기 위해서는 상기 보철물 가압력 분산부재를 매우 큰 힘으로 씹어야 하고, 아무리 큰 힘으로 씹어도 보철물 변연이 완전히 치아에 밀착되지 않으며 환자에게 큰 통증이 유발될 수 있다는 문제가 발생된다.
본 발명에 의한 보철물 가압력 분산부재는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보완하기 위하에 제안된 것으로서, 치아 교합면의 평균적인 형상에 맞추어 어느 정도 굴곡을 갖는 형상으로 제작되어, 환자의 치아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쉽게 변형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는 점에 특징이 있다. 즉, 본 발명에 의한 보철물 가압력 분산부재는, 환자의 저작력에 의해 변형이 가능한 재료로 직사각형 평판 형상으로 제작되어 장변이 상호 맞닿도록 연결되는 다수 개의 저작 플레이트(100)로 구성되되, 상기 다수 개의 저작 플레이트(100)는 사람 치아의 평균 형상에 맞춰 굴곡을 가질 수 있도록 지그재그 패턴으로 연결된다. 예를 들어 본 실시예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저작 플레이트(110)부터 제9 저작 플레이트(100)까지 총 9개의 저작 플레이트(110~190)가 폭방향으로 일렬로 연결되도록 제작되는 경우, 제1 저작 플레이트(110)는 폭방향 일측(도 3에서는 후단측)이 아래를 향하도록 비스듬히 배치되고, 제2 저작 플레이트(120)는 폭방향 일측(도 3에서는 후단측)이 위를 향하도록 비스듬히 배치되며, 제3 저작 플레이트(130)부터 제9 저작 플레이트(190)들은 제1 저작 플레이트(110)와 제2 저작 플레이트(120) 배열이 반복되는 구조 즉, 폭방향이 하향 및 상향으로 번갈아 경사지게 배열되는 구조로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의한 보철물 가압력 분산부재를 측면에서 보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평방향으로 연장되는 지그재그 패턴을 이루게 되는바,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윗니(10)와 아랫니(20) 사이에서 압착되었을 때 윗니(10)와 아랫니(20)의 교합면(윗니(10)의 하측면과 아랫니(20)의 상측면)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쉽게 변형될 수 있게 된다. 즉, 본 발명에 의한 보철물 가압력 분산부재는 환자가 약간만 힘을 주어 씹더라도 환자의 치아 형상에 맞춰 쉽게 변형되므로 윗니(10)와 아랫니(20)에 안착된 보철물(30)들의 각 부위를 각각 윗니(10)와 아랫니(20)에 고르게 압착시킬 수 있으며, 환자가 매우 큰 힘으로 씹을 필요가 없으므로 보철물 가압력 분산부재를 씹는 과정에서 유발되는 고통이 현저히 감소하게 된다는 장점이 있다.
이때, 사람의 치아 교합면 중 가장 높은 지점과 가장 낮은 지점 간의 각도는 약 30도를 이루게 되므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저작 플레이트(110)는 폭방향 일측(도 4에서는 우측)이 하향으로 약 30도 가량 기울어지도록 배치되고, 제2 저작 플레이트(120)는 폭방향 일측(도 4에서는 우측)이 상향으로 약 30도 가량 기울어지도록 배치됨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호 이웃하는 제1 저작 플레이트(110)와 제2 저작 플레이트(120) 간의 결합각도는 120도 내외 즉, 110도 내지 130도로 설정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사람의 치아는 몇 번째 치아인지에 관계없이 교두와 와 간의 기울기가 일정하게 나타나는바, 한 번에 여러 개의 치아에 보철물(30)을 압착시킬 수 있도록 본 발명에 의한 보철물 가압력 분산부재가 네 개 이상의 저작 플레이트(100)로 구성되는 경우, 상향으로 경사진 저작 플레이트(100)들의 경사각이 모두 동일하게 설정되고 하향으로 경사진 저작 플레이트(100)들의 경사각이 모두 동일하게 설정되도록 즉, 홀수 번째로 배열되는 저작 플레이트(100)들이 상호 평행하고, 짝수 번째로 배열되는 저작 플레이트(100)들이 상호 평행하도록 배열됨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다수 개의 저작 플레이트(100)들이 각각 사전에 설정된 동일한 각도로 기울어지게 배열되면 한 번에 여러 개의 치아에 보철물(30)을 압착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저작 플레이트(100) 제작이 매우 용이해진다는 장점이 있다.
한편, 본 발명에 의한 보철물 가압력 분산부재가 나무로 제작되는 경우, 환자의 저작력에 의해 쉽게 뭉개질 수 있으며, 환자가 보철물 가압력 분산부재를 장시간동안 물고 있더라도 무는 힘을 강하게 유지시킬 필요가 없도록 뭉개진 형태가 다시 복구되지 아니하는 백향목으로 제작됨이 바람직하다. 백향목은 일반 나무젓가락이나 이쑤시개 등의 재료로 널리 사용되고 있는 목재로서, 가공이 쉽고 단가가 저렴하다는 장점이 있다. 물론, 본 발명에 의한 보철물 가압력 분산부재는, 사람의 신체에 무해한 성분으로 제작된다면 연성 플라스틱으로 제작될 수도 있는데, 이때 상기 연성 플라스틱은 복원탄성이 크지 아니한 것으로 설정됨이 바람직하다.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보철물 가압력 분산부재가 골이 깊은 치아에 사용되는 경우를 도시하는 단면도이고, 도 9 및 도 10은 본 발명에 의한 보철물 가압력 분산부재가 골이 얕은 치아에 사용되는 경우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치아의 교합면에 형성된 교두와 와 간의 각도 즉, 골의 깊이는 개인 특성에 따라 다를 수 있다. 예를 들어 유아나 어린이를 포함한 젊은 환자의 경우 교두가 높고 와가 깊은 특징(골이 깊은 특징)이 있고, 고령자나 이갈이 환자의 경우 교두가 낮고 와가 얕은 특징(골이 얕은 특징)이 있다.
이와 같이 교두와 와 간의 각도가 평균치에서 다소 벗어나는 경우에 있어서도 본 발명에 의한 보철물 가압력 분산부재는 효과적으로 활용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의한 보철물 가압력 분산부재가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골이 깊은 치아에 사용되는 경우 환자의 저작 동작에 의해 저작 플레이트(100) 간의 결합 각도가 작아지도록 변형되어야하지만, 종래의 스틱 형상의 보철물 가압력 분산부재에 비해서는 요구되는 변형량이 매우 적으므로 환자에게 큰 저작력이 요구되지 아니하게 된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보철물 가압력 분산부재가 도 9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골이 얕은 치아에 사용되는 경우 환자의 저작 동작에 의해 저작 플레이트(100) 간의 결합 각도가 커지도록 펴져야 하는데, 이와 같은 경우에 있어서도 이웃하는 저작 플레이트(100) 간에는 어느 정도의 결합 각도가 유지되어야 하므로, 종래의 스틱 형상의 보철물 가압력 분산부재에 비해 요구되는 매우 큰 변형량이 요구되지는 않는다. 즉, 본 발명에 의한 보철물 가압력 분산부재를 이용하게 되면, 상기 보철물 가압력 분산부재를 치아 형상에 맞추어 변형되는 변형량이 종래의 보철물 가압력 분산부재에 비해 평균적으로 현저히 감소되는바, 환자에게 큰 저작력을 요구할 필요가 없어지게 된다는 장점이 있다.
도 11은 본 발명에 의한 보철물 가압력 분산부재 제2 실시예의 사시도이고, 도 12는 본 발명에 의한 보철물 가압력 분산부재 제2 실시예의 사용상태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며, 도 13은 본 발명에 의한 보철물 가압력 분산부재 제2 실시예의 다수치아에 사용상태를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일반적으로 사람의 치아는 윗니(10)가 아랫니(20)보다 바깥쪽에 위치하게 되어, 상호 대응되는 윗니(10)와 아랫니(20)가 교합될 때 상기 윗니(10)는 아랫니(20)의 수직 상방에 적층되는 것이 아니라 교두 부위가 아랫니(20)의 와에 맞닿도록 엇갈리게 적층된다. 즉, 상호 교합되는 한 쌍의 윗니(10) 및 아랫니(20)를 보게 되면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윗니(10)가 치아 반개 정도 바깥쪽(도 12에서는 우측)으로 치우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한 보철물 가압력 분산부재는 전후 방향으로만 굴곡을 갖는 것이 아니라 좌우 방향으로도 굴곡을 갖는 구조로 제작됨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각각의 저작 플레이트(100)는 결합방향과 직각을 이루는 방향 즉, 길이방향으로 절곡 또는 만곡되도록 연결되는 둘 이상의 조각판으로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보철물 가압력 분산부재가 좌우방향으로도 굴곡을 갖는 구조로 제작되면, 치아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변형되기 위한 변형량을 최소화시킬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이때 상기 저작 플레이트(100)는 윗니(10)와 아랫니(20)의 교합면 전체에 걸쳐 위치될 수 있도록 적어도 3개의 조각판(좌측 조각판, 중심 조각판, 우측 조각판)으로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저작 플레이트(110)는, 일측(도 11에서는 우측)이 하향 연장되는 제1 좌측 조각판(112)과, 일측(도 11에서는 우측)이 상향으로 연장되며 타단(도 11에서는 좌측단)이 상기 좌측 조각판의 일단(도 11에서는 우측단)에 연결되는 제1 중심 조각판(114)과, 일측(도 11에서는 우측)이 하향으로 연장되며 타단(도 11에서는 좌측단)이 상기 중심 조각판의 일단(도 11에서는 우측단)에 연결되는 제1 우측 조각판(116)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제2 저작 플레이트(120) 역시 제2 좌측 조각판(122)과 제2 중심 조각판(124)과 제2 우측 조각판(126)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이후 나머지 제3 저작 플레이트(130) 내지 제9 저작 플레이트(190) 역시 제1 저작 플레이트(110) 및 제2 저작 플레이트(120)와 같이 각각 3개의 조각판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이웃하는 두 개의 조각판 간의 결합각도는 이웃하는 두 개의 저작 플레이트(100) 간의 결합각도와 마찬가지로 110도 내지 130도로 설정됨이 바람직한데, 이와 같이 두 개의 조각판 간의 결합각도가 한정되는 이유는 두 개의 저작 플레이트(100) 간의 결합각도가 110도 내지 130도로 설정되는 이유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언급한 바와 같이 하나의 저작 플레이트(100)가 3개의 조각판으로 구성되면,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 개의 치아 교합면에 밀착될 수 있으면서,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보철물 가압력 분산부재를 이용하였을 때 저작 플레이트(100)가 윗니(10)의 교합면과 아랫니(20)의 교합면에 모두 밀착될 수 있으므로, 보철물(30)을 보다 견고하게 윗니(10) 및 아랫니(20)에 접착시킬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이때, 사람의 어금니는 좌우방향 폭이 약 10㎜ 이내이고 전방에서 보았을 때 약 절반가량 겹쳐지므로, 상기 저작 플레이트(100)의 길이방향 거리(장변 길이)가 어금니의 좌우방향 폭의 1.5배 즉, 13㎜ 내지 17㎜로 설정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사람의 어금니는 전후방향 길이가 약 11㎜ 이내이므로, 각 저작 플레이트(100)는 폭(단변 길이)이 치아의 교두와 와까지의 거리와 대응되도록 2㎜ 내지 4㎜ 이내로 설정됨이 바람직하다.
도 14 및 도 15는 본 발명에 의한 보철물 가압력 분산부재 제3 실시예의 사시도 및 측면도이다.
치아의 교합면 형상은 환자들의 개인차에 따라 매우 다양하므로, 본 발명에 의한 보철물 가압력 분산부재가 환자의 저작력에 의해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는 재료로 제작된다 하더라도 치아의 교합면에 모두 압착되지 못하는 경우 즉, 치아의 교합면과 저작 플레이트(100) 사이에 빈 공간이 형성되는 경우가 발생될 수 있다. 특히, 상기 저작 플레이트(100)가 연성 플라스틱으로 제작되는 경우에는 저작 플레이트(100)의 형상 변경에 한계가 있으므로 치아의 교합면과 저작 플레이트(100) 사이에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저작 플레이트(100)의 표면에는 도 14 및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 이상의 돌출부(200)가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저작 플레이트(100) 표면에 돌출부(200)가 형성되면, 환자가 상기 저작 플레이트(100)를 씹었을 때 상기 돌출부(200)가 찌그러지면서 치아의 교합면과 저작 플레이트(100) 사이의 빈 공간을 채울 수 있으므로, 보철물(30)이 치아에 압착되는 효과를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이때, 상기 돌출부(200)의 형상 및 개수, 배열구조는 치아의 특성 등 여러 조건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으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6 및 도 17은 본 발명에 의한 보철물 가압력 분산부재 제4 실시예의 측면도이다.
보철물(30)을 치아에 접착시키는 접착제가 구강 내에서 경화되는 데에는 약 4~5분의 시간이 소요되므로, 이 시간 동안 환자는 보철물 가압력 분산부재를 물고 기다릴 수밖에 없다. 환자는 이 시간 동안 지속적으로 긴장을 하게 되므로, 근육이 뭉치거나 치료에 대한 공포감이 커지게 되는 등의 문제가 발생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보철물 가압력 분산부재는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할 수 있도록 즉, 향기요법으로 환자를 진정시킬 수 있도록, 도 16 및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 개의 향기캡슐(300)이 추가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향기캡슐(300)은 향을 내는 액체가 내부에 포함되어 있는 마이크로 캡슐의 일종으로서, 환자가 보철물 가압력 분산부재를 씹었을 때 터져 내부의 향기 액체가 분출되도록 구성된다. 이때 상기 향기캡슐(300)은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저작 플레이트(100)의 표면에 부착될 수도 있고,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저작 플레이트(100)에 매립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보철물 가압력 분산부재를 씹었을 때 향기가 발산되도록 구성되면, 환자는 향기 요법을 통해 심리적 안정을 취할 수 있게 된다는 장점이 있다. 이때 상기 향기캡슐(300)에 포함되는 향기 액체는 식용 아로마 오일이나 착향료 등 여러 가지 물질로 대체될 수 있고, 향기의 종류 역시 용도에 따라 다양하게 적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사용자가 치아로 씹었을 때 향기를 발산시키는 향기캡슐(300)은 츄잉껌 등에 상용화되어 있으므로, 향기캡슐(300)의 구조 및 작동 원리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한편, 별도의 향기캡슐(300)을 이용하지 아니하더라도 향기요법을 활용할 수 있도록, 상기 저작 플레이트(100)는 나무로 이루어지되, 향을 갖는 액상에 침지되는 과정과 건조과정을 거침으로써 내부에 향기 액체가 내부에 침습되도록 제작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저작 플레이트(100)에 향기 액체가 침습되어 있는 경우에 있어서도, 환자가 저작 플레이트(100)를 씹었을 때 향기가 발산되는바, 상기 언급한 향기요법의 효과를 동일하게 얻을 수 있다.
상기 언급한 바와 같이 저작 플레이트(100)에 향기 액체를 침습시키는 방법을 이용하는 경우, 별도의 향기캡슐(300)을 추가시키는 경우에 비해 제조공정이 간단해지고 제조비용이 절감되므로, 제품의 생산원가를 절감시킬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한편 연성 플라스틱으로 제조하는 경우 향기나는 플라스틱을 사용할 수 있으며, 시중에 상용되는 문구류, 장난감 등에 적용되는 원리와 같으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상,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 예를 사용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특정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첨부된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습득한 자라면,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으면서도 많은 수정과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하여야 할 것이다.
10 : 윗니 20 : 아랫니
100 : 저작 플레이트 110 : 제1 저작 플레이트
120 : 제2 저작 플레이트 130 : 제3 저작 플레이트
140 : 제4 저작 플레이트 150 : 제5 저작 플레이트
160 : 제6 저작 플레이트 170 : 제7 저작 플레이트
180 : 제8 저작 플레이트 190 : 제9 저작 플레이트
200 : 돌출부 300 : 향기캡슐

Claims (11)

  1. 사람의 저작력에 의해 변형이 가능한 재료로 평판 형상으로 제작되어 장변이 상호 맞닿도록 연결되되, 폭방향이 상향 및 하향으로 번갈아 경사지게 배열되어 지그재그 패턴으로 연결되는 셋 이상의 저작 플레이트(10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 보철물 가압력 분산부재.
  2. 제1항에 있어서,
    이웃하는 두 개의 저작 플레이트(100) 간의 결합각도는 110도 내지 130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 보철물 가압력 분산부재.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저작 플레이트(100)는, 장변 길이가 13㎜ 내지 17㎜이고, 단변 길이가 2㎜ 내지 4㎜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 보철물 가압력 분산부재.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저작 플레이트(100)는 넷 이상 연결되되, 홀수 번째로 배열되는 저작 플레이트(100)들이 상호 평행하고, 짝수 번째로 배열되는 저작 플레이트(100)들이 상호 평행하도록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 보철물 가압력 분산부재.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저작 플레이트(100)는, 길이방향으로 절곡 또는 만곡되도록 연결되는 둘 이상의 조각판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 보철물 가압력 분산부재.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저작 플레이트(100)는, 일측이 하향 연장되는 좌측 조각판과, 일측이 상향으로 연장되며 타단이 상기 좌측 조각판의 일단에 연결되는 중심 조각판과, 일측이 하향으로 연장되며 타단이 상기 중심 조각판의 일단에 연결되는 우측 조각판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 보철물 가압력 분산부재.
  7. 제5항에 있어서,
    이웃하는 두 개의 조각판 간의 결합각도는 110도 내지 130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 보철물 가압력 분산부재.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저작 플레이트(100)는 백향목 또는 연성 플라스틱으로 제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 보철물 가압력 분산부재.
  9.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저작 플레이트(100)의 표면에는 하나 이상의 돌출부(200)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 보철물 가압력 분산부재.
  10.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저작 플레이트(100)의 표면에 부착되거나, 상기 저작 플레이트(100)에 매립되는 다수 개의 향기캡슐(300)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 보철물 가압력 분산부재.
  11.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저작 플레이트(100)는 나무로 이루어지되, 향을 갖는 액상에 침지되는 과정과, 건조과정을 거쳐 제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 보철물 가압력 분산부재.

KR1020130164090A 2013-12-26 2013-12-26 치과 보철물 가압력 분산부재 KR10137763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64090A KR101377636B1 (ko) 2013-12-26 2013-12-26 치과 보철물 가압력 분산부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64090A KR101377636B1 (ko) 2013-12-26 2013-12-26 치과 보철물 가압력 분산부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77636B1 true KR101377636B1 (ko) 2014-04-01

Family

ID=506560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64090A KR101377636B1 (ko) 2013-12-26 2013-12-26 치과 보철물 가압력 분산부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7763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314009A (zh) * 2019-06-28 2019-10-11 首都医科大学附属北京友谊医院 一种牙周术后术区牙齿护板及其制备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3809U (ja) * 1992-07-27 1994-02-22 和宏 今井 補綴物の圧着用器具
JPH0721009U (ja) * 1993-09-17 1995-04-18 俊光 橘 歯科用補綴物等の接着安定用補助具
JP2005334024A (ja) * 2004-05-24 2005-12-08 Gc Corp 歯牙修復用補助具
JP2010194196A (ja) * 2009-02-26 2010-09-09 Sonomi Sakai 唾液分泌促進器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3809U (ja) * 1992-07-27 1994-02-22 和宏 今井 補綴物の圧着用器具
JPH0721009U (ja) * 1993-09-17 1995-04-18 俊光 橘 歯科用補綴物等の接着安定用補助具
JP2005334024A (ja) * 2004-05-24 2005-12-08 Gc Corp 歯牙修復用補助具
JP2010194196A (ja) * 2009-02-26 2010-09-09 Sonomi Sakai 唾液分泌促進器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314009A (zh) * 2019-06-28 2019-10-11 首都医科大学附属北京友谊医院 一种牙周术后术区牙齿护板及其制备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H0436019B2 (ko)
EP2328538B1 (en) Biologic response teether
CN107115202B (zh) 出牙嚼器
US4059101A (en) Therapeutic device for massaging gingival tissue
KR102119019B1 (ko) 손목 착용용 치아발육기
CN111904678A (zh) 具有开放式咬合面的口腔内吞咽训练辅具及其制造方法
KR20100089823A (ko) 안면 근육 및 입 근육 자극장치
JP2019523075A (ja) 改良型歯がため装置
KR101377636B1 (ko) 치과 보철물 가압력 분산부재
EP3139857A1 (en) Removable denture with metal denture tooth or teeth
DE69728110T2 (de) Bausatz zur Herstellung einer Platte zum Anheben okklusaler Zahnoberflächen
JPH0420430Y2 (ko)
JP6313158B2 (ja) 痩身用マウスピース
KR100871479B1 (ko) 애완견용 칫솔
CN211049651U (zh) 磁力牙齿矫正装置
JP6347015B1 (ja) 口腔ケア清掃具
US3423827A (en) Dental bridge
JP7064045B1 (ja) マウスピース
KR102093593B1 (ko) 저작을 통해 tmj를 교정하는 치과 스플린트
WO2021100751A1 (ja) 歯科用口腔内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KR20020080733A (ko) 치주조직 단련용 구조물
JP5901000B1 (ja) 義歯
KR200378557Y1 (ko) 아동용 치아 트레이
WO2023057011A1 (de) Trainingsmittel und verfahren zum konditionieren von ernährungsgewohnheiten
CN2364861Y (zh) 人类牙齿保健用的牙模、牙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