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77164B1 - 제빵용 앙금 공급장치 - Google Patents

제빵용 앙금 공급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77164B1
KR101377164B1 KR1020120045522A KR20120045522A KR101377164B1 KR 101377164 B1 KR101377164 B1 KR 101377164B1 KR 1020120045522 A KR1020120045522 A KR 1020120045522A KR 20120045522 A KR20120045522 A KR 20120045522A KR 101377164 B1 KR101377164 B1 KR 10137716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diment
cutting
sediment supply
supply nozzle
mol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455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122302A (ko
Inventor
박동우
윤해옥
윤병용
Original Assignee
박동우
윤병용
윤해옥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동우, 윤병용, 윤해옥 filed Critical 박동우
Priority to KR10201200455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77164B1/ko
Priority to PCT/KR2013/000460 priority patent/WO2013165073A1/ko
Publication of KR201301223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2230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771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7716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1BAKING; EDIBLE DOUGHS
    • A21BBAKERS' OVENS; MACHINES OR EQUIPMENT FOR BAKING
    • A21B5/00Baking apparatus for special goods; Other baking apparatus
    • A21B5/02Apparatus for baking hollow articles, waffles, pastry, biscuits, or the like
    • A21B5/023Hinged moulds for baking waffles
    • AHUMAN NECESSITIES
    • A21BAKING; EDIBLE DOUGHS
    • A21CMACHINES OR EQUIPMENT FOR MAKING OR PROCESSING DOUGHS; HANDLING BAKED ARTICLES MADE FROM DOUGH
    • A21C11/00Other machines for forming the dough into its final shape before cooking or baking
    • AHUMAN NECESSITIES
    • A21BAKING; EDIBLE DOUGHS
    • A21BBAKERS' OVENS; MACHINES OR EQUIPMENT FOR BAKING
    • A21B5/00Baking apparatus for special goods; Other baking apparatus
    • AHUMAN NECESSITIES
    • A21BAKING; EDIBLE DOUGHS
    • A21CMACHINES OR EQUIPMENT FOR MAKING OR PROCESSING DOUGHS; HANDLING BAKED ARTICLES MADE FROM DOUGH
    • A21C5/00Dough-dividing machines
    • A21C5/006Dough-dividing machines for dispensing liquid or semi-liquid dough, e.g. batter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anufacturing And Processing Devices For Dough (AREA)
  • Filling Or Emptying Of Bunkers, Hoppers, And Tank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의한 앙금 공급장치는, 앙금을 제공 받는 앙금공급관에 착탈 가능한 구조로 결합되어, 일측으로 앙금을 배출하는 앙금공급노즐; 상기 앙금공급노즐과 착탈 가능한 구조로 결합되어 베이스블록에 장착되는 체결브라켓;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에 의한 앙금 공급장치는, 형틀의 종류에 따라 앙금공급노즐만을 교체할 수 있어 앙금공급관과 각종 고정 브라켓을 공용으로 사용할 수 있고, 앙금공급노즐의 높이를 일정 범위 이내에서 조절할 수 있으며, 앙금의 낙하거리를 최소화시키면서도 형틀 이송 시 앙금절단수단이 앙금이나 다른 구성요소에 간섭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제빵용 앙금 공급장치 {Filling supply apparatus for bread}
본 발명은 제빵기용 앙금 공급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앙금공급노즐 교체가 가능하며 안정적으로 앙금을 공급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제빵기용 앙금 공급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호두과자 제빵기는 반죽을 공급하기 위한 반죽공급부와 앙금을 공급하기 위한 앙금공급부와 호두 알갱이 등의 첨가물을 공급하기 위한 첨가물공급부가 본체 상에 설치된다. 반죽공급부는 반죽이 저장되는 반죽통 및 반죽 제공을 위한 반죽공급관이 구비되고, 앙금공급부는 앙금이 저장되는 앙금통 및 앙금 제공을 위한 앙금공급관이 구비되며, 첨가물공급부는 첨가물이 저장되는 첨가물통 및 첨가물 제공을 위한 첨가물공급관이 구비된다. 반죽공급관과 앙금공급관과 첨가물공급관이 배치된 라인 상에 다수개의 형틀을 장착시킨 후, 이동수단을 이용하여 다수개의 형틀을 이동 및 정지를 반복하면서 반죽, 앙금, 알갱이를 정량공급하고, 상기 내용물이 공급된 형틀을 이동하여 가열수단에 의해 열을 가하여 적당히 익었을 때, 다 익은 내용물을 인출하기 위해 형틀을 인출수단에 위치하여 자동으로 뒤집어 인출한 후, 형틀을 최초 위치로 위치하여 내용물을 재투입하는 일련의 순환작업이 연속적으로 반복 작동되는 바이다.
또한, 호두과자를 소성하기 위해 내용물을 투입하는 형틀은, 상부형틀과 하부형틀이 상하로 서로 포개지도록 덮이되 일측이 힌지결합되며, 상부형틀을 용이하게 열고 닫을 수 있도록 상부형틀의 일측에는 손잡이가 돌출된다.
한편, 반죽은 일반적으로 유동성이 있도록 묽은 상태로 제공되는바 형틀로의 정량 공급이 용이하지만, 앙금은 유동성이 매우 낮은 고형화 상태로 제공되므로 형틀로의 정량 공급에 어려움이 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앙금공급관을 통해 배출되는 앙금을 일정량만큼씩 절단하여 형틀로 공급하는 제빵기의 앙금절단수단이 본원발명의 출원인에 의해 제안된 바 있다. 이때, 종래의 제빵기는 호두과자, 단풍빵, 풀빵 등 여러 종류의 빵을 제조할 수 있도록 제조하고자 하는 빵의 종류에 맞는 형틀로 교체 장착이 가능하도록 구성되는데, 반죽공급부와 종래의 제빵기는 설치된 형틀의 종류에 관계없이 앙금을 공급하는 앙금공급관의 끝단 높이가 일정하게 고정되어 있으므로, 높이가 높은 형틀이 장착되는 경우에도 각종 공급관이 형틀에 간섭되지 아니하도록, 상기 반죽공급관, 앙금공급관, 첨가물공급관은 충분히 높은 지점에 위치된다.
이와 같이 각 공급관들이 높이 설치되면, 높이가 낮은 형틀이 장착되어 있는 상태에서 형틀에 반죽이 먼저 공급되고 그 이후 앙금이 공급될 때, 낙하하는 앙금에 의해 반죽이 사방으로 튀게 되며, 앙금이 정확한 위치에 안착되지 아니하고 일측으로 치우쳐 공급된다는 문제점이 발생될 수 있다. 물론, 장착되는 형틀의 종류에 따라 앙금공급노즐을 다른 종류로 교체하거나 앙금공급노즐의 고정 높이를 변경시키면 앙금이 절단되는 위치를 형틀에 맞게 조정할 수 있으나, 앙금공급노즐의 교체 또는 높이 변경을 하고자 하는 경우 앙금공급관을 고정시키기 위한 구성요소까지 바꾸어 설치해야 한다는 단점이 발생된다. 또한, 앙금공급관의 고정 높이를 변경시키면 앙금절단수단 역시 고정 높이가 변경되어야 하므로, 형틀 교체에 따른 후속 작업이 매우 복잡해진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앙금이 절단된 후 낙하하는 거리를 최소화시키기 위해서는 앙금절단수단과 형틀이 매우 가깝게 위치되어야 하는데, 이와 같이 앙금절단수단과 형틀이 매우 가까운 경우 앙금절단수단에 의해 절단된 앙금이 아래로 낙하하지 아니하고 절단위치에서 그대로 머무르게 되어, 형틀 이송 시 절단된 앙금이 앙금절단수단에 간섭될 우려가 있다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형틀의 종류에 따라 앙금공급노즐만을 교체할 수 있고, 앙금공급노즐의 장착 높이가 일정 범위 이내에서 조정 가능하며, 앙금의 낙하거리를 최소화시키면서도 형틀 이송 시 앙금절단수단이 앙금이나 다른 구성요소에 간섭되지 아니하도록 구성되는 앙금 공급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앙금 공급장치는, 베이스블록; 앙금을 제공 하는 앙금공급관에 착탈 가능한 구조로 결합되어, 일측으로 앙금을 배출하는 앙금공급노즐; 상기 베이스블록에 결합되며, 상기 앙금공급노즐이 착탈 가능한 구조로 장착되는 체결브라켓;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체결브라켓은, 상기 앙금공급노즐이 상하방향으로 삽입되는 체결판과, 상기 앙금공급노즐을 상기 체결판에 고정시키는 고정수단과, 상기 체결판을 상기 베이스블록에 결합시키는 체결바를 포함한다.
상기 앙금공급노즐은 외주면에 수나사산이 형성되고, 상기 고정수단은, 상기 수나사산에 나사결합되어 상기 체결판의 상면과 저면에 각각 밀착되는 한 쌍의 체결너트로 적용된다.
상기 앙금공급관은 사용자의 힘에 의해 휘어질 수 있는 연성관으로 제작된다.
상기 앙금공급노즐을 통해 배출되는 앙금을 절단하는 절단수단을 더 포함한다.
상기 절단수단은, 길이방향이 앙금공급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배열되는 제1 커팅와이어를 구비하는 제1 커팅틀과, 길이방향이 앙금공급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배열되는 제2 커팅와이어를 구비하는 제2 커팅틀을 포함하되, 상기 제1 커팅와이어와 제2 커팅와이어가 상기 앙금공급노즐 하측에서 상호 맞닿거나 인접하여 상기 앙금공급노즐을 통해 배출되는 앙금을 절단할 수 있도록 상기 제1 커팅틀과 제2 커팅틀 중 하나 이상이 왕복 가능한 구조로 구성된다.
상기 제1 커팅와이어와 제2 커팅와이어는, 동일한 높이에서 상호 평행하도록 배열된다.
상기 베이스블록을 주기적으로 승강시키는 승강수단을 더 포함한다.
상기 승강수단은, 상기 절단수단이 상기 앙금공급노즐을 통해 배출되는 앙금을 절단하고 원상태로 복귀된 이후, 상기 베이스블록을 상승시켰다가 하강시키도록 구성된다.
상기 승강수단은, 상기 앙금공급노즐 하측에 위치된 형틀이 이송레일에 의해 측방향으로 이송되는 동안 상기 베이스블록이 상승되어 있는 상태로 유지시킨다.
절단용 구동축의 회전력으로 상기 절단수단을 구동시키는 구동수단을 더 포함하고, 상기 승강수단은, 상기 절단용 구동축과 연동되는 승강용 구동축과, 상기 승강용 구동축에 결합되어 회전 각도에 따라 상기 베이스블록을 승강시키는 승강캠을 포함한다.
상기 구동수단은, 상기 절단용 구동축에 결합되어 자전하는 구동캠과, 회동축을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며 일측이 상기 구동캠의 외주면에 접촉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구성되어 상기 구동캠의 회전 각도에 따라 회동되는 회동링크와, 상기 회동링크의 일측이 상기 구동캠의 외주면에 밀착되는 방향으로 상기 회동링크에 탄성력을 인가하는 복원부재와, 상기 회동링크의 타측에 결합되어 상기 회동링크가 회동될 때 상기 제1 커팅와이어가 상기 제2 커팅와이어에 가까워졌다가 멀어지도록 상기 제1 커팅틀을 이송시키는 왕복링크를 포함한다.
셋 이상의 링크가 회전 가능하도록 연이어 연결되되 길이방향 중단이 상기 베이스블록에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길이방향 양측이 상기 제1 커팅틀과 제2 커팅틀에 회전 가능한 구조로 결합되어, 상기 제1 커팅틀이 일방향으로 이송될 때 상기 제2 커팅틀을 반대방향으로 이송시키는 연결링크를 더 포함한다.
상기 앙금공급노즐의 내측에는 앙금배출유로를 가로지르는 분배바가 구비된다.
상기 앙금공급노즐의 앙금배출유로는 끝단으로 갈수록 좁아지도록 경사지게 형성된다.
상기 앙금공급노즐의 앙금배출유로 끝단에는 단턱이 형성된다.
본 발명에 의한 앙금 공급장치는, 형틀의 종류에 따라 앙금공급노즐만을 교체할 수 있어 앙금공급관과 각종 고정 브라켓을 공용으로 사용할 수 있고, 앙금공급노즐의 높이를 일정 범위 이내에서 조절할 수 있으며, 앙금의 낙하거리를 최소화시키면서도 형틀 이송 시 앙금절단수단이 앙금이나 다른 구성요소에 간섭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앙금 공급장치가 설치된 제빵기의 사시도이다.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앙금 공급장치의 측면도 및 부분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앙금 공급장치에 포함되는 절단수단의 사시도이다.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앙금 공급장치에 포함되는 앙금공급노즐의 장착구조를 도시하는 측면도 및 분해사시도이다.
도 7 내지 도 9는 본 발명에 의한 앙금 공급장치의 동작상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의한 앙금 공급장치에 포함되는 앙금공급노즐의 저면사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에 의한 앙금 공급장치에 포함되는 앙금공급노즐 제2 실시예의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앙금 공급장치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앙금 공급장치가 설치된 제빵기의 사시도이다.
본 발명에 의한 앙금 공급장치(10)는 호두과자나 경주빵, 풀빵 등을 제조하는 제빵기에 설치되는 장치로서, 뜨겁게 가열되는 형틀(20)의 내부 공간으로 앙금을 투입하도록 구성된다. 이때 제빵기에는, 형틀(20)을 이송시키는 이송레일(30)과, 밀가루 반죽을 공급하는 반죽 공급장치(40)와, 호두 알갱이 등 앙금 이외의 첨가물을 투입시키기 위한 첨가물 공급장치(50)가 설치된다.
앙금 공급장치(10)는 앙금을 저장하는 앙금통(100)과 상기 앙금통(100)에 저장된 앙금을 앙금통(100)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한 앙금가압수단(200)과 배출되는 앙금을 형틀(20) 측으로 제공하기 위한 앙금공급관(300)을 구비하고, 반죽 공급장치(40)는 밀가루 반죽을 저장하고 있는 반죽통(42)과 상기 반죽통(42)에 저장된 밀가루 반죽을 형틀(20) 측으로 제공하기 위한 반죽공급관(미도시)을 구비하며, 첨가물 공급장치(50)는 첨가물을 저장하고 있는 첨가물통(52)과 상기 첨가물통(52)에 저장된 첨가물을 형틀(20) 측으로 제공하기 위한 첨가물공급관(54)을 구비한다. 이때, 형틀(20), 이송레일(30), 반죽 공급장치(40), 첨가물 공급장치(50)는 종래의 제빵기에도 동일하게 적용되고 있는바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고, 이하에서는 앙금 공급장치(10)를 중점적으로 설명한다.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앙금 공급장치(10)의 측면도 및 부분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앙금 공급장치(10)에 포함되는 절단수단(600)의 사시도이며,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앙금 공급장치(10)에 포함되는 앙금공급노즐(400)의 장착구조를 도시하는 측면도 및 분해사시도이다.
본 발명에 의한 앙금 공급장치(10)는, 앙금을 형틀(20) 측으로 배출시키기 위한 앙금공급관(300) 및 앙금공급노즐(400)과, 앙금공급노즐(400)을 베이스블록(B)에 고정시키기 위한 체결브라켓(500)과, 앙금공급노즐(400)을 통해 배출되는 앙금을 일정량만큼 절단하기 위한 절단수단(600)과, 상기 절단수단(600)을 구동시키기 위한 구동수단(700)과, 베이스블록(B)을 승강시키는 승강수단(80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절단수단(600)은 앙금공급노즐(400)의 하단을 통해 배출되는 앙금을 수평방향으로 절단함으로써, 형틀(20)로 공급되는 앙금의 크기 및 형상을 균일화시키기 위한 구성요소로서,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길이방향이 앙금공급방향(본 실시예에서는 상하방향)과 교차하는 방향(본 실시예에서는 수평방향)으로 배열되는 제1 커팅와이어(612)를 구비하는 제1 커팅틀(610)과, 길이방향이 앙금공급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배열되는 제2 커팅와이어(622)를 구비하는 제2 커팅틀(62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앙금공급노즐(400)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커팅와이어(612)와 제2 커팅와이어(622) 사이로 앙금(S)을 배출시키도록 장착되며, 앙금공급노즐(400)로부터 일정량의 앙금(S)이 배출되었을 때 제1 커팅와이어(612)와 제2 커팅와이어(622)가 상호 가까워지도록 제1 커팅틀(610)과 제2 커팅틀(620)이 이송됨으로써, 앙금공급노즐(400)로부터 하향으로 배출된 앙금(S)은 제1 커팅와이어(612) 및 제2 커팅와이어(622)에 의해 절단되어 아래로 떨어지게 된다.
이때, 제1 커팅와이어(612)와 제2 커팅와이어(622)는 서로 맞닿을 때까지 가까워질 수도 있고, 상호간의 거리가 설정치 미만이 될 때까지만 가까워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제1 커팅틀(610)과 제2 커팅틀(620)이 모두 이송되는 구조를 도시하고 있으나, 앙금(S)이 절단될 수만 있다면 제1 커팅와이어(612)와 제2 커팅와이어(622) 중 어느 하나만이 이송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그러나 제1 커팅와이어(612)와 제2 커팅와이어(622) 중 어느 하나만이 이송되는 경우에는 앙금(S)이 절단 과정에서 일측으로 밀려 공급위치가 변경될 수 있으므로, 본 실시예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커팅와이어(612)와 제2 커팅와이어(622)가 모두 이송되도록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앙금(S)이 깨끗하게 절단될 수 있도록 즉, 앙금(S)의 절단면이 하나의 평면을 이룰 수 있도록, 상기 제1 커팅와이어(612)와 제2 커팅와이어(622)는 동일한 높이에서 상호 평행하도록 배열됨이 바람직하다.
한편 절단수단(600)을 구동시키기 위한 상기 구동수단(700)은 외부로부터 제공되는 회전력으로 제1 커팅틀(610)(더 명확하게는 제1 커팅틀(610)에 포함되는 제1 연장바(614))과 제2 커팅틀(620)(더 명확하게는 제2 커팅틀(620)에 포함되는 제2 연장바(624))을 직선 왕복시키도록 구성된다. 즉, 상기 절단수단(600)은,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동력에 의해 자전하는 절단용 구동축(710)에 결합되는 평판캠 구조를 이루며 외주면에 요입홈(722)이 형성되는 구동캠(720)과, 길이방향 중단에 장착된 회동축(732)을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며 일측(본 실시예에서는 하측)에 구비된 구름롤러(734)가 구동캠(720)의 외주면을 타고 구르는 회동링크(730)와, 상기 회동링크(730)의 일측이 상기 구동캠(720)의 외주면에 밀착되는 방향(본 실시예에서는 시계방향)으로 회동링크(730)에 탄성력을 인가하는 복원부재(760)와, 회동링크(730)의 타측(본 실시예에서는 상측)에 결합되어 회동링크(730)의 일측이 요입홈(722)에 인입되었을 때 상기 제1 커팅와이어(612)가 상기 제2 커팅와이어(622)에 가까워지도록 상기 제1 커팅틀(610)을 이송시키는 왕복링크(740)를 포함한다.
또한, 제1 커팅틀(610)이 일방향으로 이송될 때 제2 커팅틀(620)이 반대방향으로 이송될 수 있도록, 중단이 베이스블록(B)에 자전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길이방향 양측이 제1 커팅틀(610)과 제2 커팅틀(620)에 힌지결합되어 상기 제1 커팅틀(610)에 인가되는 이송력을 반대 방향으로 방향전환하여 제2 커팅틀(620)로 전달하는 연결링크(7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연결링크(750)가 한 개의 막대 구조로 이루어지면 제1 커팅틀(610)과 제2 커팅틀(620)이 수평방향으로 왕복되지 못하고 상하로 유동하게 되는바, 상기 연결링크(750)는 셋 이상의 링크가 회전 가능하도록 연이어 연결되되 길이방향 양측이 상기 제1 커팅틀(610)과 제2 커팅틀(620)에 회전 가능한 구조로 결합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절단수단(600) 및 이송수단의 동작에 대해서는 이하 도 7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한편, 종래의 앙금 공급장치는 앙금통과 앙금공급관과 앙금공급노즐이 일체로 결합되며, 제조하고자 하는 빵의 종류에 따라 앙금공급노즐의 높이가 일정하게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높이차이가 있는 다른 종류의 빵을 제조하고자 할 때, 앙금 공급장치 전체를 교체시켜야 하므로 교체비용 및 시간이 매우 많이 소요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앙금통을 교체하게 되면 기존의 앙금통에 채워져 있던 앙금을 새로운 앙금통으로 옮겨 담아야하는데, 이와 같이 앙금을 옮겨 담는 작업에 매우 많은 시간이 소요될 뿐만 아니라, 앙금을 옮겨 담는 과정에서 먼지나 이물질이 앙금에 섞일 수 있으므로 매우 비위생적이라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다양한 종류의 빵을 제조할 수 있기 위해서는 빵 종류별 앙금 공급장치를 각각 구매해야하므로 제빵기의 전체 가격이 상승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앙금 공급장치(10)는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도록, 앙금공급관(300)의 배출단(앙금통(100)과 연결된 측의 반대측 끝단)에 착탈 가능한 구조로 결합되는 앙금공급노즐(400)과, 베이스블록(B)에 고정 결합되며 상기 앙금공급노즐(400)이 착탈 가능한 구조로 장착되는 체결브라켓(50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는 점에 가장 큰 특징이 있다. 앙금을 형틀(20) 측으로 공급하는 앙금공급노즐(400)이 상기 언급한 바와 같이 앙금공급관(300) 및 체결브라켓(500)과 착탈 가능한 구조로 결합되면, 형틀(20)이 다른 규격으로 교체되었을 때 교체된 형틀(20)에 맞는 사이즈로 앙금공급노즐(400)만을 교체 장착하고 앙금공급관(300) 및 체결브라켓(500)은 공용으로 사용할 수 있으므로, 형틀(20) 교체를 위한 작업공정이 매우 간단해진다는 장점이 있다.
예를 들어, 제조하고자 하는 빵의 두께가 두꺼워 형틀(20)에 공급되는 밀가루 반죽의 높이가 높아지는 경우에는 앙금공급노즐(400)의 하측 끝단이 밀가루 반죽과 접촉되지 아니하도록 상향으로 조정 되어야 하며, 제조하고자 하는 빵의 두께가 얇아 형틀(20)에 공급되는 밀가루 반죽의 높이가 낮은 경우에는 앙금공급노즐(400)의 하측 끝단이 밀가루 반죽과 최대한 가까워질 수 있도록 하향으로 조정되어야 한다. 따라서 교체되는 형틀(20)의 높이가 높은 경우에는 길이가 짧은 앙금공급노즐(400)을 장착시키고, 교체되는 형틀(20)의 높이가 낮은 경우에는 길이가 긴 앙금공급노즐(400)을 장착시킴으로써, 앙금 공급장치(10) 중 앙금공급노즐(400)을 제외한 나머지 부품들은 공용으로 활용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제조하고자 하는 빵의 두께가 동일하다 하더라도 공급되는 앙금의 양을 증가시키거나 감소시키고자 하는 경우에 있어서도, 본 발명에 의한 앙금공급장치는 앙금공급노즐(400)만을 교체함으로써 앙금 공급량을 조절할 수 있으므로, 제빵기 사용이 매우 간편해진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종래에는 앙금공급노즐(400)이 형틀(20)의 바로 위에 고정되어 있으므로 형틀(20) 세척에 어려움이 있었지만, 본 발명에 의한 앙금 공급장치(10)는 앙금공급노즐(400)을 탈거시킴으로써 형틀(20) 세척을 보다 용이하게 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한편, 앙금공급노즐(400)과 체결브라켓(500)은 착탈 가능하기만 하다면 어떠한 구조로도 결합될 수 있으나, 앙금공급노즐(400)은 체결브라켓(500)에 결합된 상태에서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도록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즉, 체결브라켓(500)은, 앙금공급노즐(400)이 상하방향으로 관통될 수 있도록 관통공(512)이 형성된 체결판(510)과, 중단 부위가 관통공(512)에 위치되도록 걸쳐져 있는 앙금공급노즐(400)을 체결판(510)에 고정시키는 고정수단(520)과, 체결판(510)을 베이스블록(B)에 결합시키는 체결바(53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체결판(510)은 한 쌍의 체결바(530) 상에 걸쳐지도록 안착되되, 체결바(530)의 상면으로부터 상향 돌출되는 결합볼트(532)가 관통되며 상기 결합볼트(532)에 체결되는 결합너트(534)에 의해 체결바(530)에 고정 결합된다.
이때 앙금공급노즐(400)은 외주면에 수나사산(410)이 형성되고, 상기 고정수단(520)은 앙금공급노즐(400)의 수나사산(410)과 나사결합되는 암나사산이 내주면에 형성되어 체결판(510)의 상면과 저면에 각각 밀착되는 한 쌍의 체결너트로 적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앙금공급노즐(400)의 외주면에 사나사산이 형성되고 고정수단(520)이 한 쌍의 체결너트로 적용되면, 앙금공급노즐(400)이 체결판(510)에 결합되는 위치를 상하 방향으로 조정할 수 있으므로, 앙금이 절단되는 부위를 보다 정확하게 조정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예를 들어, 앙금공급노즐(400)이 체결브라켓(500)에 체결되었을 때, 각 부품의 제조공차 및 조립공차의 누적으로 인하여 앙금공급노즐(400)의 하측단이 제1 커팅와이어(612) 및 제2 커팅와이어(622)보다 낮은 지점에 위치될 수 있는데, 이와 같은 경우 제1 커팅와이어(612) 및 제2 커팅와이어(622)가 앙금공급노즐(400)에 간섭되어 앙금을 절단할 수 없게 된다. 이때 상기 앙금공급노즐(400)이 본 실시예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의 체결너트에 의해 체결판(510)에 결합되도록 구성되면, 상기 한 쌍의 체결너트를 일방향으로 회전시킴으로써 앙금공급노즐(400)의 결합높이를 조정할 수 있으므로 제1 커팅와이어(612) 및 제2 커팅와이어(622)가 앙금공급노즐(400)에 간섭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반대로 앙금공급노즐(400)이 과도하게 상측에 결합되는 경우에 있어서도 앙금공급노즐(400)의 결합높이를 적절하게 낮출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앙금 공급장치(10)와 같이 다양한 종류의 앙금공급노즐(400)이 교체 장착될 수 있도록 구성되면, 장착되는 앙금공급노즐(400)의 종류에 따라 앙금공급관(300)이 결합되는 지점(본 실시예에서는 앙금공급노즐(400)의 상단)의 위치가 변경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앙금공급관(300)은 어떠한 앙금공급노즐(400)이 장착되더라도 앙금공급노즐(400)과 연결될 수 있도록, 사용자의 힘에 의해 휘어질 수 있는 연성관으로 제작됨이 바람직하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앙금 공급장치(10)의 작동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7 내지 도 9는 본 발명에 의한 앙금 공급장치(10)의 동작상태도이다.
도 2에 도시된 상태에서 절단용 구동축(710)이 시계방향으로 회전을 하여 요입홈(722)이 회동링크(730)의 일측(본 실시예에서는 하측)에 구비된 구름롤러(734)가 위치하고 있는 방향을 향하게 되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름롤러(734)가 요입홈(722)에 인입됨으로써 회동링크(730)는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되고, 회동링크(730)의 타측(본 실시예에서는 상측)과 연결된 왕복링크(740) 및 제1 커팅틀(610)은 우측방향으로 이송되며, 연결링크(750)에 의해 제1 커팅틀(610)과 연결된 제2 커팅틀(620)은 제1 커팅틀(610)과 반대방향 즉, 좌측방향으로 이송된다.
이와 같이 제1 커팅틀(610)이 우측방향으로 이송되고 제2 커팅틀(620)이 좌측방향으로 이송되면 제1 커팅와이어(612)와 제2 커팅와이어(622)는 상호 가까워지도록 이송되면서 앙금공급노즐(400)로부터 배출되는 앙금을 절단하게 된다. 이때, 제1 커팅틀(610)과 제2 커팅틀(620)이 상하로 요동하지 아니하고 수평방향으로만 왕복 이송될 수 있도록, 상기 제1 커팅틀(610)과 제2 커팅틀(620)의 이송방향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부재(77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부재(770)는 제1 커팅틀(610)과 제2 커팅틀(620) 중 회동링크(730)를 향해 연장된 부위 즉, 제1 연장바(614)와 제2 연장바(624)(도 3 참조)의 길이방향으로 배열되도록 베이스블록(B)에 결합되는 제1 가이드부재(772)와 제2 가이드부재(774)를 포함하며, 제1 연장바(614)와 제2 연장바(624)의 상면과 저면에 접촉됨으로써 제1 연장바(614)와 제2 연장바(624)의 상하방향 움직임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이때 제1 가이드부재(772) 및 제2 가이드부재(774)는 제1 연장바(614) 및 제2 연장바(624)와 접촉되는 부위에 롤러를 구비함으로써 제1 연장바(614) 및 제2 연장바(624)가 왕복이송될 때 발생되는 마찰력을 최소화시키도록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외력에 의해 이송되는 부재의 이송방향을 어느 일방향으로 가이드하기 위한 가이드부재(770)는 이미 여러 분야에 걸쳐 다양한 구조로 적용되고 있는바,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7에 도시된 상태에서 구동캠(720)이 더 회전하여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동링크(730)의 구름롤러(734)가 요입홈(722)을 벗어나게 되면, 상기 회동링크(730)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므로 왕복링크(740)는 제1 커팅틀(610)을 좌측방향으로 밀고 연결바는 제2 커팅틀(620)을 우측방향으로 밀어, 제1 커팅와이어(612)와 제2 커팅와이어(622)가 상호 멀어지도록 즉, 도 2에 도시된 상태로 복귀된다. 이와 같이 앙금공급노즐(400)을 통해 공급되는 앙금을 절단하여 형틀(20)로 제공한 이후에는 또 다른 형틀(20)에 앙금이 제공될 수 있도록 이송레일(30)이 형틀(20)을 이송시켜야 하는데, 본 실시예와 같이 제1 커팅틀(610)과 제2 커팅틀(620)이 형틀(20)과 매우 근접한 상태에서는 형틀(20)을 이송시키는 과정에서 상기 형틀(20)이 제1 커팅틀(610)이나 제2 커팅틀(620)에 간섭될 우려가 있다. 또한, 형틀(20)로 제공된 앙금과 앙금공급노즐(400) 간의 간격이 매우 좁은 경우에 있어서도, 형틀(20) 이송 과정에서 형틀(20)에 제공된 앙금이 앙금공급노즐(400)과 간섭되어 앙금의 위치가 정상상태를 벗어나게 될 우려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한 앙금 공급장치(10)는, 이송레일(30)이 형틀(20)을 이송시키는 동안 앙금공급노즐(400)이나 제1 커팅틀(610), 제2 커팅틀(620) 등이 형틀(20)로부터 멀리 이격될 수 있도록, 앙금공급노즐(400)과 제1 커팅틀(610)과 제2 커팅틀(620)을 승강시키는 승강수단(80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승강수단(800)은, 동력전달체인 등으로 절단용 구동축(710)과 연결되어 상기 절단용 구동축(710)과 연동되는 승강용 구동축(810)과, 승강용 구동축(810)에 결합되며 외주면이 상기 베이스블록(B)의 저면에 접촉되어 회전 각도에 따라 상기 베이스블록(B)을 승강시키는 승강캠(82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절단수단(600)이 앙금을 절단하는 과정에서 승강수단(800)이 베이스프레임을 승강시키면, 앙금 절단이 정상적으로 이루어지지 아니할 우려가 있을 뿐만 아니라, 절단된 앙금이 형틀(20)까지 낙하하는 거리가 길어져 앙금의 위치가 정상위치를 벗어날 우려가 있다. 따라서 상기 승강수단(800)은, 절단수단(600)이 앙금공급노즐(400)을 통해 배출되는 앙금을 절단하고 원상태로 복귀된 이후 즉, 도 8에 도시된 상태 이후에 상기 베이스블록(B)을 상승시켰다가 하강시키도록 구성된다.
도 8에 도시된 상태에서 구동캠(720)이 더 회전하여 승강캠(820)의 장축방향 끝단이 베이스블록(B)의 저면에 접촉되면,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블록(B) 및 이에 결합된 앙금공급노즐(400), 체결브라켓(500), 제1 커팅틀(610), 제2 커팅틀(620) 모두 상승하게 된다. 이송레일(30)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앙금공급노즐(400), 체결브라켓(500), 제1 커팅틀(610), 제2 커팅틀(620)이 상승되어 있는 동안 형틀(20)을 이송시킴으로써, 형틀(20) 및 이에 담겨진 앙금이 다른 구성요소와 간섭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승강캠(820)의 형상은 앙금공급노즐(400), 체결브라켓(500), 제1 커팅틀(610), 제2 커팅틀(620)의 상승거리 및 상승유지 시간 등에 따라 다양하게 제작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에 의한 앙금 공급장치(10)에 포함되는 앙금공급노즐(400)의 저면사시도이고, 도 11은 본 발명에 의한 앙금 공급장치(10)에 포함되는 앙금공급노즐(400) 제2 실시예의 단면도이다.
앙금공급노즐(400)을 통해 배출되는 앙금이 한 번에 다량으로 배출되지 아니하도록,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앙금공급노즐(400)의 내측에는 앙금배출유로를 가로지르는 분배바(420)가 구비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앙금공급노즐(400)의 내측에 분배바(420)가 구비되면, 앙금공급노즐(400) 내부의 앙금이 상기 분배바(420)에 일차적으로 접촉된 이후 외부로 배출되므로, 한 번에 많은 양의 앙금이 쏟아져 배출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분배바(420)가 앙금공급노즐(400)의 수직 중심축을 중심으로 방사형으로 배열되면, 앙금공급노즐(400) 내부의 앙금을 각 방향으로 고르게 분산하여 배출할 수 있다는 장점도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분배바(420)가 '+'형상으로 배열되는 경우만을 도시하고 있으나, 상기 분배바(420)의 배열형상은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포함되는 앙금공급노즐(400)은, 한 번에 많은 양의 앙금이 쏟아지듯이 배출되는 현상을 더욱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도록,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앙금공급노즐(400)의 앙금배출유로는 끝단으로 갈수록 좁아지도록 경사지게 형성되는 구조 즉, 앙금배출유로 내측에 경사면을 구비하는 구조로 구성될 수 있다. 앙금공급노즐(400)의 앙금배출유로가 끝단으로 갈수록 좁아지도록 경사지게 형성되면, 앙금공급노즐(400) 내부의 앙금이 배출단 측으로 갈수록 압착되어 유동성이 낮아지게 되므로, 앙금이 쏟아지듯이 배출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앙금공급노즐(400)의 앙금배출유로 끝단에 단턱(430)이 추가로 구비될 수도 있다. 앙금배출유로 끝단에 단턱(430)이 형성되면, 앙금이 앙금공급노즐(400) 외부로 배출되기 바록 직점에 상기 단턱(430)에 걸리게 되므로 앙금이 쏟아지듯이 배출되는 현상을 더욱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 단턱(430)의 형상 및 크기는 앙금의 특성이나 앙금공급량 등 여러 조건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 예를 사용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특정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습득한 자라면,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으면서도 많은 수정과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하여야 할 것이다.
10 : 앙금 공급장치 20 : 형틀
30 : 이송레일 40 : 반죽 공급장치
42 : 반죽통 50 : 첨가물 공급장치
52 : 첨가물통 54 : 첨가물공급관
100 : 앙금통 200 : 앙금가압수단
300 : 앙금공급관 400 : 앙금공급노즐
410 : 수나사산 420 : 분배바
430 : 단턱 500 : 체결브라켓
510 : 체결판 512 : 관통공
520 : 고정수단 530 : 체결바
532 : 결합볼트 534 : 결합너트
600 : 절단수단 610 : 제1 커팅틀
612 : 제1 커팅와이어 614 : 제1 연장바
620 : 제2 커팅틀 622 : 제2 커팅와이어
624 : 제2 연장바 700 : 구동수단
710 : 절단용 구동축 720 : 구동캠
722 : 요입홈 730 : 회동링크
732 : 회동축 734 : 구름롤러
740 : 왕복링크 750 : 연결링크
760 : 복원부재 770 : 가이드부재
772 : 제1 가이드부재 774 : 제2 가이드부재
800 : 승강수단 810 : 승강용 구동축
820 : 승강캠 S : 앙금

Claims (16)

  1. 베이스블록;
    앙금을 제공 하는 앙금공급관에 착탈 가능한 구조로 결합되어, 일측으로 앙금을 배출하는 앙금공급노즐;
    상기 베이스블록에 결합되며, 상기 앙금공급노즐이 착탈 가능한 구조로 장착되는 체결브라켓;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앙금 공급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브라켓은,
    상기 앙금공급노즐이 상하방향으로 삽입되는 체결판과, 상기 앙금공급노즐을 상기 체결판에 고정시키는 고정수단과, 상기 체결판을 상기 베이스블록에 결합시키는 체결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앙금 공급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앙금공급노즐은 외주면에 수나사산이 형성되고,
    상기 고정수단은, 상기 수나사산에 나사결합되어 상기 체결판의 상면과 저면에 각각 밀착되는 한 쌍의 체결너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앙금 공급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앙금공급관은 사용자의 힘에 의해 휘어질 수 있는 연성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앙금 공급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앙금공급노즐을 통해 배출되는 앙금을 절단하는 절단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앙금 공급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절단수단은, 길이방향이 앙금공급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배열되는 제1 커팅와이어를 구비하는 제1 커팅틀과, 길이방향이 앙금공급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배열되는 제2 커팅와이어를 구비하는 제2 커팅틀을 포함하되, 상기 제1 커팅와이어와 제2 커팅와이어가 상기 앙금공급노즐 하측에서 상호 맞닿거나 인접하여 상기 앙금공급노즐을 통해 배출되는 앙금을 절단할 수 있도록 상기 제1 커팅틀과 제2 커팅틀 중 하나 이상이 왕복 가능한 구조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앙금 공급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커팅와이어와 제2 커팅와이어는, 동일한 높이에서 상호 평행하도록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앙금 공급장치.
  8. 삭제
  9.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절단수단이 상기 앙금공급노즐을 통해 배출되는 앙금을 절단하고 원상태로 복귀된 이후, 상기 베이스블록을 상승시켰다가 하강시키도록 구성되는 승강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앙금 공급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수단은,
    상기 앙금공급노즐 하측에 위치된 형틀이 이송레일에 의해 측방향으로 이송되는 동안 상기 베이스블록이 상승되어 있는 상태로 유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앙금 공급장치.
  11. 제9항에 있어서,
    절단용 구동축의 회전력으로 상기 절단수단을 구동시키는 구동수단을 더 포함하고,
    상기 승강수단은, 상기 절단용 구동축과 연동되는 승강용 구동축과, 상기 승강용 구동축에 결합되어 회전 각도에 따라 상기 베이스블록을 승강시키는 승강캠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앙금 공급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절단수단은, 길이방향이 앙금공급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배열되는 제1 커팅와이어를 구비하는 제1 커팅틀과, 길이방향이 앙금공급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배열되는 제2 커팅와이어를 구비하는 제2 커팅틀을 포함하고,
    상기 구동수단은, 상기 절단용 구동축에 결합되어 자전하는 구동캠과, 회동축을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며 일측이 상기 구동캠의 외주면에 접촉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구성되어 상기 구동캠의 회전 각도에 따라 회동되는 회동링크와, 상기 회동링크의 일측이 상기 구동캠의 외주면에 밀착되는 방향으로 상기 회동링크에 탄성력을 인가하는 복원부재와, 상기 회동링크의 타측에 결합되어 상기 회동링크가 회동될 때 상기 제1 커팅와이어가 상기 제2 커팅와이어에 가까워졌다가 멀어지도록 상기 제1 커팅틀을 이송시키는 왕복링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앙금 공급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수단은,
    적어도 3개의 링크가 회전 가능하도록 연이어 연결되되 길이방향 중단이 상기 베이스블록에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길이방향 양측이 상기 제1 커팅틀과 제2 커팅틀에 회전 가능한 구조로 결합되어, 상기 제1 커팅틀이 일방향으로 이송될 때 상기 제2 커팅틀을 반대방향으로 이송시키는 연결링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앙금 공급장치.
  14. 제1항 내지 제7항 및 제9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앙금공급노즐의 내측에 앙금배출유로를 가로지르는 분배바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앙금 공급장치.
  15. 제1항 내지 제7항 및 제9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앙금공급노즐의 앙금배출유로는 끝단으로 갈수록 좁아지도록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앙금 공급장치.
  16. 제1항 내지 제7항 및 제9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앙금공급노즐의 앙금배출유로 끝단에는 단턱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앙금 공급장치.
KR1020120045522A 2012-04-30 2012-04-30 제빵용 앙금 공급장치 KR101377164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45522A KR101377164B1 (ko) 2012-04-30 2012-04-30 제빵용 앙금 공급장치
PCT/KR2013/000460 WO2013165073A1 (ko) 2012-04-30 2013-01-22 제빵용 앙금 공급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45522A KR101377164B1 (ko) 2012-04-30 2012-04-30 제빵용 앙금 공급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22302A KR20130122302A (ko) 2013-11-07
KR101377164B1 true KR101377164B1 (ko) 2014-03-25

Family

ID=495144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45522A KR101377164B1 (ko) 2012-04-30 2012-04-30 제빵용 앙금 공급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377164B1 (ko)
WO (1) WO2013165073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066838A (zh) * 2019-12-30 2020-04-28 安徽省金皖颖食品有限公司 一种月饼连续生产设备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28510B1 (ko) * 2019-03-08 2019-10-04 홍정혜 제빵제과 필링기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5515Y1 (ko) 2000-06-23 2000-12-01 손병수 다중떡 성형장치
JP2001275639A (ja) 2000-04-04 2001-10-09 Rheon Autom Mach Co Ltd 包あん機
KR200320357Y1 (ko) 2003-02-13 2003-07-25 서상진 성형기용 절단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65059A (ko) * 2007-01-08 2008-07-11 안청용 호떡·찐빵·왕만두 제조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75639A (ja) 2000-04-04 2001-10-09 Rheon Autom Mach Co Ltd 包あん機
KR200205515Y1 (ko) 2000-06-23 2000-12-01 손병수 다중떡 성형장치
KR200320357Y1 (ko) 2003-02-13 2003-07-25 서상진 성형기용 절단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066838A (zh) * 2019-12-30 2020-04-28 安徽省金皖颖食品有限公司 一种月饼连续生产设备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3165073A1 (ko) 2013-11-07
KR20130122302A (ko) 2013-11-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45062B1 (ko) 누룽지 연속 제조 설비용 밥 공급 성형 장치
US8443752B2 (en) Method and device for arranging a sprinkling material on a dough piece
CN202618130U (zh) 一种糕点生产用自动撒粉机
KR101377164B1 (ko) 제빵용 앙금 공급장치
CN105410089A (zh) 一种基于鲜面机的自动撒粉装置和鲜面机
EP3512344B1 (en) Food dough extrusion machine
CN104170900A (zh) 链板式烘烤隧道炉
RU2562192C1 (ru) Устройство подачи грецких орехов
CN105984603A (zh) 多支棒状物料理料机
CN205390190U (zh) 一种饼干撒料装置
US20150296808A1 (en) Devices, systems, and methods for filling doughnut holes
CN204014885U (zh) 链板式烘烤隧道炉
JP6206951B2 (ja) 米飯成形装置
KR200192708Y1 (ko) 견과류 수량제어 공급장치
CN210630538U (zh) 一种糕点生产用自动撒粉装置
US11751720B2 (en) Movable type grill roaster
KR101446203B1 (ko) 중공과자용 액상물 주입장치
US4401015A (en) Apparatus for the baking of irregularly trimmed waffle, mainly cheese waffle
CN210735394U (zh) 一种管桩生产中混凝土传送带清洁设备
CN105307945A (zh) 从泡罩中取出丸粒的装置及调节该装置的方法
KR101891174B1 (ko) 과자 투입장치
KR101628734B1 (ko) 앙금빵의 정형용 자동화 장치
KR101266841B1 (ko) 소보로빵용 생지 제조장치
JP6153199B2 (ja) 食材処理装置
CN215775166U (zh) 一种自动压面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2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304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