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76764B1 - 엘엔지운반선의 화물창 건조용 가설재 - Google Patents

엘엔지운반선의 화물창 건조용 가설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76764B1
KR101376764B1 KR1020130060253A KR20130060253A KR101376764B1 KR 101376764 B1 KR101376764 B1 KR 101376764B1 KR 1020130060253 A KR1020130060253 A KR 1020130060253A KR 20130060253 A KR20130060253 A KR 20130060253A KR 101376764 B1 KR101376764 B1 KR 10137676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go hold
support
temporary
temporary material
rai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602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67287A (ko
Inventor
서영철
이원식
김충광
Original Assignee
서영철
이원식
동현산업주식회사
코리아디엠주식회사
김충광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영철, 이원식, 동현산업주식회사, 코리아디엠주식회사, 김충광 filed Critical 서영철
Priority to KR10201300602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76764B1/ko
Publication of KR201300672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6728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767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7676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71/00Designing vessels; Predicting their performance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3/00Scaffolds essentially supported by building constructions, e.g. adjustable in height
    • E04G3/28Mobile scaffolds; Scaffolds with mobile platform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Conveying And Assembling Of Building Elements In Situ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엘엔지운반선의 화물창 건조용 가설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엘엔지운반선의 화물창내의 화물창바닥에 레일을 비고정식으로 이동이 가능하게 깔고 그 상측에 가설재를 설치하는데, 가설재의 하부에는 레일에 얹혀서 활주가 가능하게 하는 롤러와, 롤러가 레일에 얹히거나 또는 레일로부터 상측으로 이격되게 하는 수개의 받침볼트가 나사식으로 설치된 받침판을 회전 자유롭게 설치하여 가설재가 전후 길이방향으로의 이동은 물론이고 직각방향으로도 이동이 자유롭게 하고, 수직기둥에 조립 설치되어 발판설치부를 구성하는 수평지지대유닛은 수직기둥과 간편하게 조립되면서도 발판설치부가 견고하게 구성되게 하면서 발판과 사다리를 함께 설치할 수 있어서 작업자의 이동이 자유로워 작업성이 향상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은 엘엔지운반선(1)의 화물창(2) 내부에 설치되는 가설재(10)를 구성하는 것에 있어서, 상기 가설재(10)가 설치되는 화물창바닥(4)에는 한 쌍의 레일(11)이 이동이 가능하게 비고정식으로 놓여지고, 상기 가설재(10)에 포함되는 수직기둥(20)의 기둥본체(21) 하단부에는 암나사관(25)이 고정되게 설치되며, 이 암나사관(25)이 설치된 기둥본체(21)의 하부에는 상부에 암나사관(28)이 고정 설치된 받침대관(29)을 구비하되, 상하측 암나사관(25,28) 사이에는 중간에 돌림부(26a)가 구비되고 로크너트(27)가 체결되는 스크류(26)가 나사식으로 각각 체결되며, 상기 받침대관(29)의 하단부에는 받침판(30)이 수평 설치되고, 이 받침판(30)의 하부에는 레일(11)에 얹혀서 가설재(10)가 활주되게 하는 롤러(34)가 롤러지지대(33)에 의해 회전 자유롭게 설치되며, 상기 받침판(30)의 사방에는 상단부에 돌림부(31a)가 형성되고 하단부는 화물창바닥(4)에 지지되는 지지부(32)가 설치되는 수개의 받침볼트(31)가 수직방향으로 체결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엘엔지운반선의 화물창 건조용 가설재{Temporary resources for constructing tank of LNG carrier}
본 발명은 엘엔지운반선의 화물창 건조용 가설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엘엔지운반선의 화물창내의 화물창바닥에 레일을 이동 가능하게 비고정식으로 깔고 그 상측에 가설재를 설치하는데, 가설재의 하부에는 레일에 얹혀서 활주가 가능하게 하는 롤러와, 롤러가 레일에 얹히거나 또는 레일로부터 상측으로 이격되게 하는 수개의 받침볼트가 나사식으로 설치된 받침판을 회전 자유롭게 설치하여 가설재가 전후 길이방향으로의 이동은 물론이고 직각방향으로도 이동이 자유롭게 하고, 수직기둥에 조립 설치되어 발판설치부를 구성하는 수평지지대유닛은 수직기둥과 간편하게 조립되면서도 발판설치부가 견고하게 구성되게 하면서 발판과 사다리를 함께 설치할 수 있어서 작업자의 이동이 자유로워 작업성이 향상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도 1 및 도 2는 엘엔지운반선(1)의 화물창(2)을 건조(建造)하기 위해서 화물창(2)의 내부에 가설재(10)를 설치한 상태를 나타내는 종래기술에 대한 측단면도와 정단면도이다.
상기 엘엔지운반선(1)은 내부에 엘엔지(LNG)가스가 담겨지는 화물창(2)의 외부전체에 화물창(2)과 간격을 두고 선외판이 설치되어 화물창(2)의 외부와 선외판의 사이에는 평형수가 채워지는 평형수공간(9a)이 구비되며, 상기 선외판은 상측의 선체상부데크(9)와, 양측 선체측판(8)과, 하측의 선체하부판(7)이 포함된다.
그리고, 화물창(2)은 엘엔지운반선(1)의 내부에 길이방향으로 수개의 화물창격벽(3)이 간격을 두고 설치되어 수개의 화물창이 구비되는데, 도 1에서는 1화물창(2a), 2화물창(2b)으로 구분하여 표시하였으며, 이 화물창(2)을 위치에 따라 화물창바닥(4)과, 화물창측벽(6), 화물창천정(5)으로 구분하여 도시하였다.
이와 같은 엘엔지운반선(1)의 내부에 화물창(2)을 건조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화물창의 크기가 매우 크기 때문에 작업자가 밟고 올라가서 필요로 하는 작업을 하도록 하는 가설재(10)를 설치하는데, 종래에는 화물창(2)의 천정과, 선체의 천정을 미설치하여 상부가 개방되게 한 상태에서 일측의 1화물창(2a)에 공지된 가설재(10)를 설치한다.
이 공지된 종래의 가설재(10)는 다수개의 수직기둥을 화물창(2)의 높이만큼 다단으로 설치하면서 옆으로는 일정간격을 두고 설치하며, 서로 인접한 각각의 수직기둥들을 수평연결대로서 연결하되, 상부에서 볼 때 바둑판모양이 되도록 조립 설치하는데, 이렇게 설치한 가설재(10)는 화물창(2)의 내부에서 이동이 불가능한 상태로 설치되어 커다란 구조물로 구성된 가설재(10)를 이용하여 필요로 하는 작업을 수행한다.
그리고, 도 2에서는 커다란 구조물로 설치되는 가설재(10)가 화물창(2)의 내부 양측에 설치되며, 가운데에 공간을 형성하고 그 양측 가설재(10)의 사이를 이동다리(10a)로서 연결하고 화물창측벽(6)과 선체측판(8)의 일측을 개구시켜 출입구(9b)를 형성한 것을 나타내고 있는데, 이는 작업자가 필요로 하는 자재와 공구, 장비 등을 이동하기 위하여 설치한 예이다.
도 1 및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일측의 1화물창(2a)에 그 화물창의 높이만큼 커다란 구조물로 가설재(10)를 설치한 상태에서 필요로 하는 작업을 마친 뒤에는, 가설재(10) 더미에서 상측의 일부 및 측방의 일부를 분리하여 이동다리(10a)와 출입구(9b)를 통하여 분리한 부품들을 외부로 이동시키고, 이동다리(10a)까지 해체하여 출입구(9b)를 통하여 분리된 이동다리(10a) 부품들을 외부로 이동시킨다.
그 다음에는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1화물창(2a)에 있던 가설재(10) 더미를 크레인으로 들어서 "B"와 같이 2화물창(2b)으로 이동시키는데, 이때를 위하여 화물창(2)의 천정과, 선체의 상부 천정을 미설치하여 상부를 개방한 것이며, 이렇게 2화물창(2b)으로 이동시킨 가설재(10) 더미에 작업에 맞는 또 다른 가설재부품과 이동다리를 다시 설치한 뒤에 필요로 하는 작업을 수행하게 된다.
위와 같이 2화물창(2b)에 대한 작업이 완료된 뒤에는 화물창(2)의 상부에 화물창천정(5)을 설치하고, 그 상부로 선체상부데크(9)를 추가로 설치하며, 2화물창(2b)에 설치되었던 가설재(10)를 부품별로 해체하여 선체의 외부로 이동시키게 된다.
이와 같은 종래의 화물창 건조용 가설재는, 화물창(2)의 크기에 맞게 가설재 더미를 초대형으로 조립 설치해야 하므로 가설재를 구성하는 다량의 가설재부품이 한꺼번에 많이 소요되는 문제와, 화물창의 건조기간을 단축시키기 위하여 화물창(2)의 천정과, 선체의 상부 천정을 미설치하고 일측에 설치되었던 가설재(10) 더미를 타측의 화물창으로 옮기는 데도 불구하고 더 많은 작업시간과 더 많은 작업공정이 소요되는 문제를 지니고 있었다.
또한, 상부를 개방한 상태로 1차적으로 화물창의 내측에 대한 작업을 마치고, 타측의 화물창으로 가설재 더미를 옮긴 뒤에 추가로 설치하는 화물창천정(5)과, 선체상부데크(9)에 대한 마무리 작업을 위하여 초기보다는 크기나 부피가 줄어들지만, 또 다른 가설재를 다시 설치한 뒤에 마무리작업을 추가로 실행함에 따라 작업기간이 추가로 더 소요되는 문제와, 가설재 더미를 구축하는 부품들이 한꺼번에 많은 량이 소요됨에 따라 공사비용이 상승되고, 가설재 부품을 보관하는 커다란 공간이 확보되어야 하는 등의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엘엔지운반선의 화물창내의 화물창바닥에 레일을 이동 가능하게 비고정식으로 깔고 그 상측에 가설재를 설치하되, 레일에 얹혀서 활주되는 롤러를 구비한 하측 받침판이 회전이 가능하고 받침판과 화물창바닥과의 상하높이를 조절할 수 있게 함으로써, 가설재가 전후 길이방향으로의 이동은 물론이고 직각방향으로도 이동이 자유로움에 따라 가설재 더미의 크기를 작업에 필요한 크기만큼 작게 조립 설치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기술적 과제로 한다.
또한, 수직기둥에 조립 설치되어 발판설치부를 구성하는 수평지지대유닛은 수직기둥과 간편하게 조립되면서도 발판설치부가 견고하게 구성되게 하면서 발판과 사다리를 함께 설치할 수 있어서 작업자의 이동이 자유로워 작업성이 향상되도록 하는 것을 또 다른 기술적 과제로 한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엘엔지운반선의 화물창 내부에 설치되는 가설재를 구성하는 것에 있어서, 상기 가설재가 설치되는 화물창바닥에는 한 쌍의 레일이 이동이 가능하게 비치되고, 상기 가설재에 포함되는 수직기둥의 기둥본체 하단부에는 암나사관이 고정되게 설치되며, 이 암나사관이 설치된 기둥본체의 하부에는 상부에 암나사관이 고정 설치된 받침대관을 구비하되, 상하측 암나사관 사이에는 중간에 돌림부가 구비되고 로크너트가 체결되는 스크류가 나사식으로 각각 체결되며, 상기 받침대관의 하단부에는 받침판이 수평 설치되고, 이 받침판의 하부에는 레일에 얹혀서 가설재가 활주되게 하는 롤러가 롤러지지대에 의해 회전 자유롭게 설치되며, 상기 받침판의 사방에는 상단부에 돌림부가 형성되고 하단부는 화물창바닥에 지지되는 지지부가 설치되는 수개의 받침볼트가 수직방향으로 체결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엘엔지운반선의 화물창 건조용 가설재는, 엘엔지운반선의 화물창내에서 가설재가 전후 길이방향으로의 이동은 물론이고 직각방향으로도 이동이 자유로움에 따라 가설재더미의 크기를 작업에 필요한 만큼의 크기로 작게 조립 설치하게 되어, 가설재를 구성하는 부품수와 그것들을 조립 설치하기 위한 인력, 그리고 공사기간이 감축되어 공사비용을 대폭 감축시킬 수 있는 효과와, 가설재 더미의 크기가 감축된 만큼 화물창 내측의 공간이 여유로워지게 되는 등의 효과를 지니고 있는 것이다.
또한, 수직기둥에 조립 설치되어 발판설치부를 구성하는 수평지지대유닛은 수직기둥과 간편하게 조립되면서도 발판설치부가 견고하게 구성되게 하는 효과가 있으며, 수평지지대유닛의 구조가 발판과 사다리를 함께 설치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어서 작업자의 이동이 자유롭고 작업에 편리함을 주어 작업성이 향상되게 되는 또 다른 효과가 있는 것이다.
도 1은 종래 가설재가 엘엔지운반선의 화물창 내측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측단면도.
도 2는 종래 가설재가 엘엔지운반선의 화물창 내측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정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가설재가 엘엔지운반선의 화물창 내측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평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가설재가 엘엔지운반선의 화물창 내측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정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엘엔지운반선의 화물창 건조용 가설재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요부가 되는 도 5의 "C"부를 발췌하여 확대도시한 정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엘엔지운반선의 화물창 건조용 가설재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포함되는 수직기둥과 수평지지대유닛의 구조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일사용상태를 사시도.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엘엔지운반선의 화물창 건조용 가설재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 도 3 내지 도 9를 참고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도 3 및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엘엔지운반선(1)에 형성되는 화물창(2) 내측의 화물창바닥(4)에 가설재(10)가 활주하는 것을 안내하는 레일(11)이 가설재(10)가 진행(활주)하는 방향, 즉 가로방향이나 세로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비고정식으로 놓여지고, 그렇게 놓인 레일(11) 위에서 가설재(10)가 레일을 따라서 활주할 수 있도록 하는 것에 관한 것이다.
즉, 엘엔지운반선(1)의 화물창(2) 내부에 설치되는 가설재(10)를 구성하는 본 발명은, 상기 가설재(10)가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화물창바닥(4)에 한 쌍의 레일(11)이 이동이 가능하게 비고정식으로 설치된다.
그리고, 도 5, 6 및 도 8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가설재(10)에 포함되는 수직기둥(20)의 기둥본체(21) 하단부에는 암나사관(25)이 고정되게 설치되며, 이 암나사관(25)이 설치된 기둥본체(21)의 하부에는 상부에 암나사관(28)이 고정 설치된 받침대관(29)을 구비하되, 상하측 암나사관(25,28)의 사이에는 중간에 돌림부(26a)가 구비되고 로크너트(27)가 체결되는 스크류(26)가 나사식으로 각각 체결된다.
수직기둥(20)을 구성하는 수직기둥(20) 중에서 최하단부에 설치되는 받침대관(29)의 하단부에는 받침판(30)이 수평 설치되고, 이 받침판(30)의 하부에는 레일(11)에 얹혀서 가설재(10)가 활주되게 하는 롤러(34)가 롤러지지대(33)에 의해 회전 자유롭게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받침판(30)의 사방에는 수개의 받침볼트(31)가 수직방향으로 체결 설치되는데, 받침판(30)을 상하로 나사식으로 관통한 받침볼트(31)는 상단부에 스패너나 렌치를 이용하여 돌릴 수 있는 돌림부(31a)가 형성되고 하단부에는 저면이 화물창바닥(4)에 지지되는 지지부(32)가 설치되어 있다.
이때, 지지부(32)는 넓은 지지면적을 가지도록 받침볼트(31)의 직경보다 대폭 외경이 확대된 접시형태의 와셔와 같이 받침볼트(31)의 하단부에 공회전되게 설치된다.
그리고, 도 5 및 도 7, 8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수직기둥(20)은 기둥본체(21)의 상단부에 또 다른 수직기둥(20)의 하단부와 끼움식으로 연결되는 끼움부(22)가 형성되고, 끼움부(22) 하방의 기둥본체(21)에는 수개의 조립구멍이 일정간격으로 형성된 상하측 연결판(23)이 플랜지 형태로 설치되며, 상기 하부측 연결판(23) 하측의 기둥본체(21)의 외부 사방에는 경사지지대홀딩부(24)가 설치된다.
또한, 서로 인접하는 기둥본체(21) 사이에는 인접하는 기둥본체(21)를 착탈 가능하게 연결하는 수평지지대유닛(40)을 설치하되, 이 수평지지대유닛(40)은 상하지지대(44)로서 연결되며 서로 동일한 길이로 형성되는 상부수평대(42)와 하부수평대(46)의 양단부에는 상기 상하측 연결판(23)의 조립구멍에 핀으로 끼워지는 소켓(41)이 각각 설치된다.
그리고, 상부수평대(42)의 가운데 내외측에는 중간지지대(48)를 설치하기 위한 중간지지대설치구(43)가 수평 설치되며, 하부수평대(46)의 하부 양측에는 경사지지대설치부(45)가 설치되고, 각각의 경사지지대설치부(45)와 기둥본체(21)에 설치된 경사지지대홀딩부(24) 사이에는 경사지지대(47)가 볼트로서 연결 설치되는 것이다.
상기 가설재(10)를 구성할 때, 기본단위는 4개의 수직기둥(20)과 4개의 수평지지대유닛(40)을 조립 설치하여 사각형모양으로 1세트의 가설재(10)를 구성하며, 4개의 수평지지대유닛(40)이 사각형으로 조립된 뒤에는 각각의 상부수평대(42)의 가운데에 수평 설치되는 중간지지대설치구(43)에 중간지지대(48)를 가로방향이나 세로방향으로 설치하고, 그 상면에 도 9에서 보는 바와 같이 2개의 직사각공간에 2개의 발판(12)을 설치하거나, 또는 1개의 공간에만 발판(12)을 설치하고, 또 다른 1개의 공간은 비워두고 상하층으로 오르내릴 수 있는 사다리(13)를 설치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어 있는 본 발명의 작용관계를 도 3 내지 도 9를 참고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가설재(10)를 화물창(2)의 내부에 설치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도 3, 4 및 도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화물창천정(5)까지 막혀서 관형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화물창격벽(3)은 설치하지 않은 상태에서 가설재(10)를 작업에 필요한 폭만큼 조립 설치한다.
이때, 받침판(30) 하측에는 레일(11)을 설치하지 않고 받침볼트(31)가 화물창바닥(4)에 지지되게 하여 가설재(10)는 이동하지 않고 제자리에서 필요로 하는 작업을 할 수 있게 된다.
이 상태에서 가설재(10)가 설치된 구간에 대한 작업을 마쳐서 다음 작업구간으로 이동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도 3, 4 및 도 6에서와 같이 받침판(30)의 하측에 설치된 롤러(34)의 하측과 화물창바닥(4)의 사이로 레일(11)을 비고정식으로 밀어 넣는데, 이때는 가설재(10)가 진행할 방향으로 레일(11)을 밀어 넣어야 하며, 이렇게 놓인 레일의 위에 가설재(10)를 올려놓았을 때, 가설재의 중량에 레일이 눌려서 레일이 삐딱해지지 않고 가설재가 진행할 방향으로 놓이게 된다. 이렇게 놓인 레일(11) 위에 가설재(10)가 얹히게 한 상태에서 다음의 작업위치로 가설재(10)를 밀면, 가설재(10) 하측의 롤러가 레일(11)에 얹혀있기 때문에 가설재(10)가 가설재(10)를 미는 방향으로 레일(11)에 안내되면서 밀려가게 된다.
이렇게 작업위치로 가설재(10)가 밀려가 이동하게 되면, 도 6과 같이 받침볼트(31)를 내려서 레일(11)과 롤러(34)가 간격을 두게 하여 필요한 작업을 할 수 있게 되는데, 아래에서 구체적인 작용관계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가설재(10)를 화물창바닥(4)에서 이동하지 않게 세울 때는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받침판(30)의 사방에 설치된 받침볼트(31)를 돌리면 그 각각의 받침볼트(31)가 하측으로 돌출하는데, 받침볼트(31)가 받침판(30)의 하측으로 돌출된 높이가 롤러(34) 저면까지의 높이와 레일(11)의 높이를 합친 높이보다 높으면, 롤러(34)의 저면이 레일(11)의 상면과 이격되고, 각각의 받침볼트(31) 저면이 화물창바닥(4)에 지지되어 가설재(10)는 제자리에 세워지게 되어 안정되게 필요로 하는 작업을 할 수 있게 된다.
이렇게 작업을 하다가 다음의 작업위치로 이동해야 하는 경우에는 각각의 받침볼트(31)가 상측으로 올라가도록 돌려서 받침판(30)의 하측으로 돌출된 받침볼트(31)의 높이가 롤러(34) 저면까지의 높이와 레일(11)의 높이를 합친 높이보다 낮게하면, 레일(11)의 상측에 롤러(34)가 얹혀서 가설재(10)를 레일(11)이 깔린 길이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는 상태가 된다.
이 상태에서 가설재(10)를 밀면, 가설재(10)의 하단에 설치된 롤러(34)가 레일(11)에 얹힌 상태이므로 가설재(10)를 미는 방향으로 가설재(10)가 밀려가게 되며, 이렇게 밀면서 원하는 위치에 가설재(10)가 도달하게 되면, 받침볼트(31)를 다시 나사식으로 돌려서 받침볼트(31)의 저면 지지부(32)가 화물창바닥(4)에 지지되면서 롤러(34)와 레일(11)의 간격이 이격되게 하면, 이 가설재(10)는 레일(11)에 영향을 받지 않고 제자리에 세워지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가설재(10)를 필요한 길이만큼 이동하면서 작업을 하다가 가설재(10)가 제일 막다른 화물창격벽(3)에 까지 이동하거나, 또는 반대편 화물창측벽(6)에 대한 작업을 위하여 가설재(10)를 직각방향으로 이동시키고자 하는 경우에는, 제일 먼저 받침볼트(31)가 하측으로 내려가도록 돌려서 롤러(34)와 레일(11)의 사이가 벌어지게 한다.
이렇게 각각의 받침볼트(31)가 하측으로 나사식으로 돌출되어 롤러(34)와 레일(11)의 사이가 벌어지면, 레일(11)을 롤러(34)의 하측에서 빼낸다. 이때는 레일(11)이 화물창바닥(4)에 비고정식으로 놓여 있기 때문에 레일(11)을 롤러(34) 하측에서 쉽게 빼낼 수 있는 것이다.
그 뒤에 4개의 수직기둥(20) 중에서 3개의 수직기둥(20)의 하측에 설치된 받침판(30)의 받침볼트(31)가 화물창바닥(4)을 지지하고 있게 하고, 1개의 수직기둥(20) 하측에 설치된 받침볼트(31) 만을 화물창바닥(4)으로부터 간격이 벌어지게 한다.
위에서 수직기둥(20)을 4개라고 한 것은, 1개 세트의 가설재(10)를 구성하는데 가장 작은 기본 단위가 되게 가설재(10)를 구성할 때, 4개의 수직기둥(20)과 4개의 수평지지대유닛(40)을 조립하여 사각체형상으로 가설재(10)를 구성하기 때문이다.
위와 같이 4개의 수직기둥(20) 중에서 3개의 수직기둥(20) 저면은 화물창바닥(4)에 지지되어 있고, 1개의 수직기둥(20) 하부만 화물창바닥(4)과 간격을 두고 있으므로, 이 가설재(10)는 넘어지지 않고 수직하게 세워져 있게 된다.
이 상태에서 저면이 화물창바닥(4)과 간격을 둔 상태의 수직기둥(20)의 하부받침판(30)을 직각으로 회전시키는데, 이는 도 5 내지 도 8에서 보는 바와 같이 기둥본체(21)와 그 하방의 받침대관(29) 사이에 스크류(26)가 나사식으로 체결되어 있고, 스크류(26)에는 로크너트(27)가 체결되었기 때문에 로크너트(27)를 조금 풀은 상태에서 스크류(26) 하측의 받침대관(29)을 포함한 받침판(30)을 돌리면, 이 받침대관(29)을 포함한 받침판(30)은 그 것을 돌리는 만큼 회전하게 된다.
이렇게 받침대관(29)을 포함한 받침판(30)을 가로방향에서 세로방향으로 90도만큼 직각으로 돌린 뒤에, 직각만큼 돌린 받침판(30)의 하부에 도 6과 같이 레일(11)을 밀어 넣고, 그 받침판(30)에 설치된 각각의 받침볼트(31)를 풀어서 각각의 받침볼트(31)의 저면에 설치된 지지부(32)가 화물창바닥(4)에 지지되게 한다. 이때, 상기 레일(11)은 화물창바닥(4)에 고정되지 않고 롤러(34) 하부에 놓인 상태가 된다.
나머지 3개의 수직기둥(20)의 하측에 설치된 받침판(30)도 위와 동일한 방법으로 직각방향으로 돌리면, 4개의 수직기둥(20) 하측에 설치된 각각의 받침판(30)이 모두 직각방향으로 돌아가게 되는 것이며, 이렇게 직각으로 돌아간 상태에서 필요한 작업을 하게 되고, 가설재(10)의 이동이 필요한 경우에는 레일(11)에 롤러(34)가 얹히게 하고 받침볼트(31)는 화물창바닥(4)과 벌어지게 한 뒤에 가설재(10)를 밀면, 가설재(10)는 레일(11)에 안내되어 이동시킬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엘엔지운반선(1)의 화물창(2) 내에서 화물창(2)의 전체길이 만큼 길이방향으로 이동하면서 필요한 작업을 수행한 뒤에 가설재(10)가 개구부측으로 나오면서 화물창격벽(3)을 설치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수평지지대유닛(40)은 도 5 및 도 8, 9에서 보는 바와 같이 수직기둥(20)의 외부에 설치된 연결판(23)에 수평지지대유닛(40)의 상하부수평대(42,46)의 양단에 상하로 각각 설치된 소켓(41)을 핀으로 간편하게 결합하고, 그 하부수평대(46)와 수직기둥(20)에 설치된 경사지지대홀딩부(24) 사이를 경사지지대(47)로 지지되게 설치함에 따라 간편하게 조립하면서도 4개의 수직기둥(20)과 4개의 수평지지대유닛(40)으로 이루어지는 가설재(10)가 견고하게 형태를 유지하게 된다.
그리고, 각각의 상부수평대(42)의 가운데는 내외측으로 중간지지대설치구(43)가 설치되어서 중간지지대(48)를 가로방향이나 세로방향으로 설치할 수 있으며, 평면에서 볼 때 정사각형 공간을 2개의 직사각형 공간으로 나누게 되며, 필요에 따라 2개의 발판(12)을 설치하거나, 또는 1개의 발판(12)과 1개의 사다리(13)를 함께 설치할 수 있어서, 작업자가 편안하게 이동과 작업을 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 기둥본체(21)의 하단부에 설치된 암나사관(25)과 받침대관(29)의 상부에 설치된 암나사관(28)의 사이에 스크류(26)가 설치된 것은, 4개의 기둥(20) 사이에 설치되는 수평지지대유닛(40)과 그 상측에 설치되는 발판(12)을 수평하게 맞추는 것과, 가설대(10)를 직각방향으로 이동시키고자 할 때 사용되는 것이며, 스크류(26)에 설치되는 로크너트(27)는 위치를 조절한 스크류(26)의 풀림을 방지하기 위하여 이중으로 체결 설치되는 것이다.
1 : 엘엔지운반선 2 : 화물창 3 : 화물창격벽
4 : 화물창바닥 5 : 화물창천정 6 : 화물창측벽
7 : 선체하부판 8 : 선체측판 9 : 선체상부데크
10 : 가설재 11 : 레일 12 : 발판
13 : 사다리 20 : 수직기둥 21 : 기둥본체
22 : 끼움부 23 : 연결판 24 : 경사지지대설치구
25,28 : 암나사관 26 : 스크류 27 : 로크너트
29 : 받침대관 30 : 받침판 31 : 받침볼트
32 : 지지부 33 : 롤러지지대 34 : 롤러
40 : 수평지지대유닛 41 : 소켓 42 : 상부수평대
43 : 중간지지대설치구 44 : 상하지지대 45 : 경사지지대설치구
46 : 하부수평대 47 : 경사지지대 48 : 중간지지대

Claims (2)

  1. 엘엔지운반선(1)의 화물창(2) 내부에 설치되는 가설재(10)를 구성하는 것에 있어서,
    상기 가설재(10)가 설치되는 화물창바닥(4)에는 한 쌍의 레일(11)이 이동이 가능하게 비고정식으로 놓여지고,
    상기 가설재(10)에 포함되는 수직기둥(20)의 기둥본체(21) 하단부에는 암나사관(25)이 고정되게 설치되며, 이 암나사관(25)이 설치된 기둥본체(21)의 하부에는 상부에 암나사관(28)이 고정 설치된 받침대관(29)을 구비하되, 상하측 암나사관(25,28) 사이에는 중간에 돌림부(26a)가 구비되고 로크너트(27)가 체결되는 스크류(26)가 나사식으로 각각 체결되며,
    상기 받침대관(29)의 하단부에는 받침판(30)이 수평 설치되고, 이 받침판(30)의 하부에는 레일(11)에 얹혀서 가설재(10)가 활주되게 하는 롤러(34)가 롤러지지대(33)에 의해 회전 자유롭게 설치되며,
    상기 받침판(30)의 사방에는 상단부에 돌림부(31a)가 형성되고 하단부는 화물창바닥(4)에 지지되는 지지부(32)가 설치되는 수개의 받침볼트(31)가 수직방향으로 체결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엔지운반선의 화물창 건조용 가설재.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기둥(20)은 기둥본체(21)의 상단부에 또 다른 수직기둥(20)의 하단부와 끼움식으로 연결되는 끼움부(22)가 형성되고, 끼움부(22) 하방의 기둥본체(21)에는 수개의 조립구멍이 일정간격으로 형성된 상하측 연결판(23)이 플랜지 형태로 설치되며, 상기 하부측 연결판(23) 하측의 기둥본체(21)의 외부 사방에는 경사지지대홀딩부(24)가 설치되며,
    서로 인접하는 기둥본체(21) 사이에는 인접하는 기둥본체(21)와 착탈가능하게 연결하는 수평지지대유닛(40)을 설치하되,
    이 수평지지대유닛(40)은 상하지지대(44)로서 연결되며 서로 동일한 길이로 형성되는 상하부수평대(42,46)의 양단부에는 상기 상하측 연결판(23)의 조립구멍에 핀으로 끼워지는 소켓(41)이 설치되고, 상부수평대(42)의 가운데 내외측에는 중간지지대설치구(43)가 수평 설치되며, 하부수평대(46)의 하부 양측에는 경사지지대설치부(45)가 설치되고, 각각의 경사지지대설치부(45)와 기둥본체(21)에 설치된 경사지지대홀딩부(24) 사이에는 경사지지대(47)가 볼트로서 연결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엔지운반선의 화물창 건조용 가설재.
KR1020130060253A 2013-05-27 2013-05-27 엘엔지운반선의 화물창 건조용 가설재 KR10137676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60253A KR101376764B1 (ko) 2013-05-27 2013-05-27 엘엔지운반선의 화물창 건조용 가설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60253A KR101376764B1 (ko) 2013-05-27 2013-05-27 엘엔지운반선의 화물창 건조용 가설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67287A KR20130067287A (ko) 2013-06-21
KR101376764B1 true KR101376764B1 (ko) 2014-03-25

Family

ID=488631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60253A KR101376764B1 (ko) 2013-05-27 2013-05-27 엘엔지운반선의 화물창 건조용 가설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7676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577627B (zh) * 2018-12-24 2021-06-04 福州鼓楼纹英建筑工程有限责任公司 一种螺结抱杆凳组装平台
KR102452414B1 (ko) * 2020-10-12 2022-10-07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Lng 화물창 단열 작업용 발판 구조물, 상기 발판 구조물의 설치 및 해체방법
KR102404526B1 (ko) * 2020-10-12 2022-06-07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Lng 화물창 단열 작업용 발판 구조물, 상기 발판 구조물의 설치 및 해체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17844A (ja) 2002-06-18 2004-01-22 Chuo Build Industry Co Ltd Lng船防熱工事用足場
KR200423416Y1 (ko) 2006-05-16 2006-08-07 주식회사 디. 케이. 에스 시스템 서포트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17844A (ja) 2002-06-18 2004-01-22 Chuo Build Industry Co Ltd Lng船防熱工事用足場
KR200423416Y1 (ko) 2006-05-16 2006-08-07 주식회사 디. 케이. 에스 시스템 서포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67287A (ko) 2013-06-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214954B2 (en) Modular furniture system
CN109235861B (zh) 一种应用于小高层建筑的装配式脚手架
CN105604185B (zh) 一种抗震建筑支架连接结构及其连接方法
NO751644L (ko)
KR101376764B1 (ko) 엘엔지운반선의 화물창 건조용 가설재
JP5530017B1 (ja) 高層の建築物、及びそのメンテナンス方法
US20150041252A1 (en) Access structure integration assembly and integrated access systems and methods of using the same
EP2105573A2 (en) A sliding door arrangement
JP2015229852A (ja) 吊り足場における側壁立設工法及び装置
KR200486124Y1 (ko) 선박 건조용 이동 발판
US9382707B2 (en) Acoustic shell frame and system
GB2545477A (en) Modular working platform
CN109537919B (zh) 一种分段企口围栏的快速搭设方法
KR20130063524A (ko) 화물선의 파형격벽 공사용 시설재
JP4456545B2 (ja) バラストタンク補修等用仮設足場装置
CN209760742U (zh) 一种房建用简易脚手架
ITBO20100350A1 (it) Sistema di costruzione modulare prefabbricato a rigidita controllata
JP4079061B2 (ja) 吊り足場
CN111764590A (zh) 一种可兼做静压箱的架高地板及其施工方法
JP2006291696A (ja) 載置式棚構造ユニット及び載置式棚構造
KR20130005818U (ko) 선박 및 해양구조물의 화장실용 칸막이 서포트
JP2020084493A (ja) 簡易建物
JP2014227766A (ja) 支柱の立設装置及びフレーム構造体
CN219365355U (zh) 一种建筑工程用组合式脚手架
CN213710675U (zh) 一种绿色生态临建围墙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0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1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312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