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76756B1 - 액정표시패널의 엔드 실 형성용 조성물, 액정표시패널 및액정표시패널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액정표시패널의 엔드 실 형성용 조성물, 액정표시패널 및액정표시패널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76756B1
KR101376756B1 KR1020070104019A KR20070104019A KR101376756B1 KR 101376756 B1 KR101376756 B1 KR 101376756B1 KR 1020070104019 A KR1020070104019 A KR 1020070104019A KR 20070104019 A KR20070104019 A KR 20070104019A KR 101376756 B1 KR101376756 B1 KR 10137675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quid crystal
display panel
crystal display
composition
acryl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040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38629A (ko
Inventor
이성남
허정욱
이남석
이준협
이정훈
Original Assignee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1040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76756B1/ko
Priority to US12/241,676 priority patent/US7932984B2/en
Publication of KR200900386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3862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767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7675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KMATERIALS FOR MISCELLANEOUS APPLICATION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C09K3/00Material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C09K3/10Materials in mouldable or extrudable form for sealing or packing joints or covers
    • C09K3/1006Materials in mouldable or extrudable form for sealing or packing joints or covers characterised by the chemical nature of one of its constitu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5/00Manufacture of articles or shaped materials contain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41Filling or closing of cell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2202/00Materials and properties
    • G02F2202/02Materials and properties organic material
    • G02F2202/022Materials and properties organic material polymeric
    • G02F2202/023Materials and properties organic material polymeric curabl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Liquid Cryst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액정표시패널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액정표시패널의 제조시에 액정 주입 후 주입구를 봉합하기 위해 사용되는 엔드 실(End Seal) 형성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엔드 실 형성용 조성물은 고분자 아크릴 수지, 아크릴 체인에 의해 고분자화된 고분자 광개시제 및 아크릴 친화성 커플링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엔드 실 형성용 조성물에 따르면, 엔드 실 봉합 공정시 액정으로의 성분 용출이 적어 주입구 얼룩 및 잔상 등의 화면 불량을 일으키지 않아 고품질의 화상을 구현할 수 있다. 특히, 최근에 사용이 증가하고 있는 고유전율 액정에서 탁월한 효과가 기대된다.
액정표시패널, 엔드 실, 아크릴 수지, 고분자 광개시제, 아크릴 친화성 커플링제

Description

액정표시패널의 엔드 실 형성용 조성물, 액정표시패널 및 액정표시패널의 제조방법{Composition of End Sealant, Liquid Crystal Display Panel And Method of Manufacturing Liquid Crystal Display Panel}
본 발명은 액정표시패널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액정표시패널의 제조시에 액정 주입 후 주입구를 봉합하기 위해 사용되는 엔드 실 형성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오늘날 정보화 시대의 도래와 함께 다양한 정보의 신속한 전달을 위해, 영상, 그래픽, 문자 등의 각종 정보를 표시하는 고성능의 디스플레이에 대한 요구가 급증하고 있다. 이와 같은 요구에 따라 최근 디스플레이 산업은 급속한 성장을 보이고 있다.
특히, 액정표시장치(LCD)는 음극선관(CRT)에 비해 소비 전력이 낮고, 경량박형화가 가능하며, 유해 전자파를 방출하지 않는 차세대 첨단 디스플레이 소자로 수년간 크게 진보하여 왔다. 한편, 최근에는 고화질의 디지털 방송 시대를 맞이하여 30인치급 이상의 대화면 디스플레이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Plasma Display Panel: PDP)과 함께 액정표시장치가 크게 주목을 받고 있다.
액정표시장치는 2개의 기판 사이에 고체와 액체의 중간 물질인 액정을 주입하여 두 기판에 배치된 전극 간에 형성되는 전계에 의해 액정 분자의 배열을 변화시킴으로써 명암을 발생시켜 화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장치로서, 전자시계, 전자계산기, PC 및 TV 등에 폭 넓게 사용되고 있다.
액정표시장치의 패널은 통상 화소 전극 및 박막 트랜지스터 등이 구비되는 하부 기판 및 공통 전극이 구비되는 상부 기판을 실을 이용하여 합착하고, 실에 형성된 주입구를 통해 액정을 주입한 후, 주입구를 엔드 실로 봉합함에 의해 완성된다.
한편, 엔드 실은 광개시제를 포함하는 엔드 실 조성물을 경화하여 형성하는데, 경화 전의 엔드 실 조성물 성분이 액정으로 용출하게 되면 주입구 얼룩 및 잔상 등의 각종 화면 불량을 일으키게 된다. 이는 최근 액정의 저전압화 경향에 따라 더욱 문제시되고 있는데, 그것은 저전압화에 따라 고유전율의 액정이 개발되고 있으며 고유전율 액정의 경우 기존 엔드 실 조성물의 용출이 더욱 용이하게 일어나기 때문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엔드 실 봉합 공정시 액정으로의 성분의 용출이 적어 주입구 얼룩 및 잔상 등의 화면 불량을 일으키지 않는 액정표시패널의 엔드 실 형성용 조성물을 제공하는데 있다. 아울러, 상기 엔드 실 형성용 조성물을 이용하여 제조되는 액정표시패널 및 이를 이용한 액정표시패널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고분자 아크릴 수지, 아크릴 체인에 의해 고분자화된 고분자 광개시제 및 아크릴 친화성 커플링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패널의 엔드 실 형성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고분자 아크릴 수지로는 바람직하게는 비스페놀 A, 비스페놀 F, 비스페놀 S 및 비스페놀 B계 아크릴 수지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종 이상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고분자 아크릴 수지의 분자량은 5,000 내지 30,000g/mole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고분자 광개시제로는 바람직하게는 벤조페논계, 아세토페논계 및 트리아졸계 광개시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종 이상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고분자 광개시제의 분자량은 5,000 내지 30,000g/mole인 것이 바람직하 다.
상기 아크릴 친화성 커플링제로는 바람직하게는 실란계 화합물이 사용될 수있다. 상기 실란계 화합물은 아크릴 체인을 작용기로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실란계 화합물에 작용기로 포함되는 아크릴 체인의 분자량은 5,000 내지 30,000g/mole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엔드 실 형성용 조성물의 점도는 10,000 내지 50,000cps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또한, 실을 매개로 화소 전극이 구비되는 하부 기판 및 공통 전극이 구비되는 상부 기판을 합착하고, 상기 실에 형성된 주입구를 통해 액정을 주입하고, 상기 주입구를 엔드 실로 봉합함에 의해 제조되는 액정표시패널에 있어서, 상기 엔드 실은 고분자 아크릴 수지, 아크릴 체인에 의해 고분자화된 고분자 광개시제 및 아크릴 친화성 커플링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패널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또한, (S1) 화소 전극이 구비되는 하부 기판을 준비하는 단계; (S2) 공통 전극이 구비되는 상부 기판을 준비하는 단계; (S3) 상기 하부 기판 또는 상부 기판의 가장자리에 주입구가 마련되도록 실 패턴을 형성하고, 상기 하부 기판과 상부 기판을 합착한 후 상기 실 패턴을 경화하는 단계; (S4) 상기 주입구를 통해 액정을 주입하는 단계; 및 (S5) 고분자 아크릴 수지, 아크릴 체인에 의해 고분자화된 고분자 광개시제 및 아크릴 친화성 커플링제를 포함하는 엔드 실 형성용 조성물로 상기 주입구를 봉합하고, 상기 엔드 실 형성용 조성물을 경화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액정표시패널의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엔드 실 형성용 조성물, 액정표시패널 및 액정표시패널의 제조방법에 따르면, 엔드 실 봉합 공정시 액정으로의 성분 용출이 적어 주입구 얼룩 및 잔상 등의 화면 불량을 일으키지 않아 고품질의 화상을 구현할 수 있다. 특히, 최근에 그 사용이 증가하고 있는 고유전율 액정에서 탁월한 효과가 기대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면에서는 여러 층 및 영역을 명확하게 표현하기 위하여 두께를 확대하여 나타내었다.
도 1a 내지 도 1d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정표시패널의 제조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도 1a 내지 도 1d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정표시패널의 제조방법을 설명한다. 도 1c 및 도 1d는 이해의 편의를 위하여 실 패턴(30), 배향막(20) 및 액정(40)이 상부 기판(50)을 통해 투시되도록 도시하였다.
먼저, 상부 기판(50) 및 하부 기판(10)을 준비한다.
상부 기판(50)은 절연 기판 상에 공통 전극 등을 형성하고, 그 위에 배향막(20)을 형성함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한편, 하부 기판(10)은 절연 기판 상에 게이트 라인, 게이트 절연막, 데이터 라인, 박막 트랜지스터, 화소 전극 등을 형성 하고, 그 위에 배향막(20)을 형성함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각 구성 요소의 형성 방법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공지의 방법을 포함하여 본 발명의 목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기술이 채용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하부 기판(10) 또는 상부 기판(50)의 가장자리에 주입구가 마련되도록 실 패턴(30)을 형성하고(도 1a 참조), 상기 하부 기판(10)과 상부 기판(50)을 합착한 후 경화한다(도 1b 참조).
실 패턴(30)은 하부 기판(10)과 상부 기판(50)을 접착 및 고정시켜 액정(40)이 두 기판 사이에 보존되도록 하부 기판(10) 또는 상부 기판(50)의 가장자리에 형성하는데, 배향막(20) 위에서는 실 패턴(30)의 접착력이 약하기 때문에 실 패턴(30)은 배향막(20)의 주변부에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실 패턴(30) 형성시에는, 하부 기판(10)과 상부 기판(50)을 합착한 후 액정(40)을 주입할 수 있도록, 주입구을 형성한다.
실 패턴(30)을 형성하는 방법으로는 대표적으로, 스크린 마스크로 인쇄하는 방법과 도 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펜서(100)를 이용하여 실 패턴(30)을 형성하는 방법이 이용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주입구를 통해 액정(40)을 주입한다(도 1c 참조).
액정 주입 방법으로는 대표적으로 진공 주입법이 이용될 수 있는데, 이는 도 1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가 진공 상태인 패널의 주입구를 액정(40)이 담긴 용기 에 담궈 외부 압력을 이용하여 액정(40)을 주입하는 방법이다.
다음으로, 엔드 실 형성용 조성물로 상기 주입구를 봉합하고, 상기 엔드 실형성용 조성물을 경화한다(도 1d 참조).
상기 엔드 실 형성용 조성물은 고분자 아크릴 수지, 고분자 광개시제 및 아크릴 친화성 커플링제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종래의 엔드 실 형성용 조성물은 경화 전 액정으로 용출하여 주입구 얼룩 및 잔상 등의 불량을 일으켰으나, 상기 조성의 엔드 실 형성용 조성물을 사용하면 성분 용출을 크게 감소시켜 이 같은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 특히, 엔드 실 형성용 조성물의 성분 용출에 의한 문제는 유전율 12 이상의 고유전율 액정에서 더욱 심각하므로, 상기 조성의 엔드 실 형성용 조성물은 이 같은 고유전율 액정에서 더욱 효과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고분자 아크릴 수지로는 바람직하게는 비스페놀 A, 비스페놀 F, 비스페놀 S 및 비스페놀 B계 아크릴 수지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종 이상이 사용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고분자 아크릴 수지의 분자량은 5,000 내지 30,000g/mole인 것이 바람직하며, 5,000 내지 20,000g/mole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분자량이 5,000g/mole 미만이면 액정으로의 용출이 증가하여 얼룩을 유발시키며, 30,000g/mole를 초과하면 공정 불량을 일으킬 수 있어 바람직하지 못하다.
상기 고분자 광개시제는 아크릴 체인에 의해 고분자화된 것으로서, 바람직하게는 벤조페논계, 아세토페논계 및 트리아졸계 광개시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 는 적어도 1종 이상이 사용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고분자 광개시제의 분자량은 5,000 내지 30,000g/mole인 것이 바람직하며, 5,000 내지 10,000g/mole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분자량이 5,000g/mole 미만이면 액정으로의 용출이 증가하여 얼룩을 유발시키며, 30,000g/mole을 초과하면 반응성이 감소하여 미경화 아크릴에 의한 오염을 유발시키게 되므로 바람직하지 못하다.
상기 아크릴 친화성 커플링제로는 바람직하게는 실란계 화합물이 사용될 수있으며, 상기 실란계 화합물은 아크릴 체인을 작용기로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실란계 화합물에 작용기로 포함되는 아크릴 체인의 분자량은 5,000 내지 30,000g/mole인 것이 바람직하며, 5,000 내지 10,000g/mole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아크릴 체인의 분자량이 5,000g/mole 미만이면 액정으로의 용출이 증가하여 얼룩을 유발시키며, 30,000g/mole를 초과하면 반응성이 감소하여 바람직하지 못하다.
상기 엔드 실 형성용 조성물의 점도는 10,000 내지 50,000cps인 것이 바람직한데, 10,000cps 미만이면 성분들의 용출이 증가하여 얼룩을 유발시키며, 50,000cps를 초과하면 공정 불량을 일으킬 수 있어 바람직하지 못하다.
도 2는 도 1d의 A-A' 선에 따른 액정표시패널의 개략 단면도이다.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정표시패널을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액정표시패널은 상부 기판(50), 하부 기판(10), 상부 기판(50) 및 하부 기판(10)에 액정(40)의 배향을 위해 형성되는 배향막(20), 그리고 실 패턴(30) 및 엔드 실(60)에 의해 하부 기판(10) 및 상부 기판(50) 사이에 채워지는 액정을 포함한다.
상기 하부 기판(10)은 절연 기판 위에 매트릭스 형태로 형성된 다수의 화소를 구비한다. 다수의 화소 각각은 데이터 신호 전달을 위한 데이터 라인(DL)과 게이트 신호 전달을 위한 게이트 라인(GL)에 연결된 박막 트랜지스터와 박막 트랜지스터에 연결된 화소 전극을 포함한다.
상기 박막 트랜지스터는 게이트 라인으로부터 전달된 게이트 신호에 응답하여 데이터 라인으로부터 전달된 데이터 신호를 선택적으로 화소전극에 공급한다. 이를 위해, 박막 트랜지스터는 게이트 라인과 접속된 게이트 전극, 데이터 라인과 접속된 소스 전극, 화소 전극과 접속된 드레인 전극, 게이트 전극과 게이트 절연막을 사이에 두고 중첩되면서 소스 전극과 드레인 전극 사이에 채널을 형성하는 활성층, 활성층과 소스 전극 및 드레인 전극과의 오믹 접촉을 위한 오믹 접촉층을 구비한다.
상기 화소 전극은 각 화소 영역에서 컬러 필터(R, G, B)와 중첩되도록 형성되고, 박막 트랜지스터의 드레인 전극과 접속된다. 이러한 화소 전극은 박막 트랜지스터를 통해 공급된 화소 데이터 신호에 의해 공통 전극과 전위차를 발생시킨다. 이 전위차에 의해 액정(40)이 회전하게 되며 액정(40)의 회전 정도에 따라서 광투과량이 결정된다.
상기 상부 기판(50)은 제2 절연 기판 상에 빛샘 방지를 위해 형성되는 블랙 매트릭스와, 블랙 매트릭스에 의해 구획된 영역에 형성된 컬러 필터와, 컬러 필터 와 블랙 매트릭스 상에 형성되는 오버코트층과, 오버코트층 위에 형성되는 공통 전극을 포함한다. 상기 오버코트층은 생략될 수도 있다.
블랙 매트릭스는 액정(40)을 제어할 수 없는 영역을 통해 투과되는 빛을 차단하고, 박막 트랜지스터의 채널로의 직접적인 광조사를 차단하여 박막 트랜지스터의 광누설 전류를 막기 위한 것으로, 불투명한 유기물질 또는 불투명한 금속으로 형성된다.
컬러 필터는 색을 구현하기 위해 적색, 녹색, 청색 컬러 필터(R, G, B)를 포함하며, 박막 트랜지스터 기판에 구비된 다수의 화소 각각에 대응하도록 상부 기판 상에 구비된다. 적색, 녹색, 청색 컬러 필터(R, G, B)는 각각 자신이 포함하고 있는 적색, 녹색, 청색 안료를 통해 특정 파장의 광을 흡수 또는 투과시킴으로써 적색, 녹색, 청색을 구현하게 된다. 아울러, 적색, 녹색, 청색 컬러 필터(R, G, B)를 각각 투과한 적색, 녹색, 청색 광의 가법혼색을 통해 다양한 색상이 구현된다.
오버코트층은 블랙 매트릭스와 컬러 필터 상에 형성되어, 컬러 필터를 보호하고 블랙 매트릭스와 컬러 필터 사이에 발생하는 단차를 감소시킨다. 오버코트층은 투명 유기물질로 형성될 수 있다.
공통 전극은 오버코트층 위에 형성되며, 공통 전극에 인가된 공통 전압과 화소 전극에 인가된 화소 전압의 차이에 의해 액정층에 전계가 형성되어 액정(40)의 광투과량이 조절된다.
<실시예 및 비교예>
하기 표 1의 조성에 따라 본 발명의 조성에 따른 실시예 1 및 기존의 조성에 따른 비교예 1의 엔드 실 형성용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표 1]
성분 비교예 1 실시예 1
아크릴 수지 A1 20% -
A2 - 70%
A3 75% -
A4 - 25%
광개시제 B1 0.1% -
B2 - 0.1%
실란계 커플링제 C1 2.4% -
C2 2.5% -
C3 - 2.4%
C4 - 2.5%
상기 표 1에서, A1 및 A4는 비스페놀 A계 디에톡실레이티드 디아크릴레이트(Bisphenol A계 Diethoxylated Diacrylate)이며 분자량이 각각 5,000g/mole 및 10,000 g/mole이고, A2 및 A3는 비스페놀 A계 디글리시딜 에테르 디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Bisphenol A계 Diglycidyl Ether Diacrylate Oligomer)로서 분자량이 2,000g/mole이며 각각 HEMA(2-HydroxyEthyl Methacrylate)를 25 중량% 및 30 중량% 포함한다. 또한, B1은 벤조페논(Benzophenone)이고, B2는 아크릴 체인(chain)에 의해 고분자화된 아세토페논(Acetophenone)으로서 분자량은 10,000이다. 한편, C1 및 C2는 각각 KBM 5 시리즈(Shin-Etsu사) 및 KBE 5 시리즈(Shin-Etsu사)의 실란계 커플링제이며, C3 및 C4는 비스페놀계 아크릴 체인에 의해 고분자화된 실란계 커플링제로서 분자량이 각각 6,000 및 8,000g/mole이다.
실험예 1( 용출성 평가)
상기 실시예 1 및 비교예 1에 따른 엔드 실 형성용 조성물을 이용하여 각 조성물을 구성하는 성분들의 용출성을 평가하였다. 구체적으로, 각 조성물 1g과 유전율 12. 6의 액정(LC-1) 5g을 테스트 시험관에 넣은 후 테스트 시험관을 은박지로 싸고, 100℃에서 1 시간 동안 방치한 후 테스트 시험관으로부터 오염 액정을 추출하여 GC(Gas Chromatography)를 통해 용출성을 평가하였다. 각 성분의 용출 여부를 O, X로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표 2]
성분 비교예 1 실시예 1
아크릴 수지 A1 X -
A2 - O
A3 O -
A4 - X
광개시제 B1 O -
B2 - X
실란계 커플링제 C1 O -
C2 O -
C3 - X
C4 - X
상기 표 2의 결과로부터, 비교예 1의 엔드 실 형성용 조성물의 경우 아크릴 수지 A3와 광개시제 B1 및 실란계 커플링제 C1, C2가 용출되었으나, 실시예 1의 엔드 실 형성용 조성물의 경우 아크릴 수지 A2만이 용출되어 구성 성분의 용출량이 획기적으로 감소되었음을 알 수 있다.
실험예 2(액정의 휘도 변화 측정)
실험예 1에서와 동일한 방법으로 오염 액정을 제조하고, 오염 액정과 순수 액정의 휘도(Luminance) 변화를 광학계(휘도 측정용 카메라, RD-80S)를 이용하여 측정하였으며, 그 결과를 도 3의 그래프에 나타내었다.
도 3의 그래프를 통해, 실시예 1의 엔드 실 형성용 조성물로 오염된 액정(도 3에서 "실시예 1"로 표시)의 경우 휘도 저하가 비교예 1의 엔드 실 형성용 조성물로 오염된 액정(도 3에서 "비교예 1"로 표시)에 비해 작았으며, 특히 주입구 얼룩을 평가하는 32그레이(gray)에서는 순수 액정과 동일 수준의 휘도를 나타내었다.
실험예 3(성분별 용출에 의한 휘도 변화 측정)
비교예 1의 각 성분들과 유전율 12.6의 액정과(LC-1)) 및 유전율 11.8의 액정(LC-2)을 이용하여 실험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오염 액정을 제조하고, 오염 액정 및 순수 액정의 상대 휘도(Normalized Luminance)를 측정하였으며, 그 결과를 도 4 및 도 5에 나타내었다. 도 4는 액정 1에 대한 휘도 변화 측정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고, 도 5는 액정 2에 대한 휘도 변화 측정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4 및 도 5를 통해, 유전율이 높아질수록 휘도 저하를 유발하는 성분의 개수가 증가하고 휘도 저하 폭도 증가함을 알 수 있다. 이를 통해 기존의 엔드 실 형성용 조성물은 고유전율 액정에 적용할 경우 주입구 얼룩이나 잔상 등의 화질 불량을 야기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도 4에서 LC-1, LC-1-B1, LC-1-HEMA, LC-1-C1 및 LC-1-C2은 각각 액정 1, B1으로 오염된 액정 1, HEMA로 오염된 액정 1, C1으로 오염된 액정 1, C2로 오염된 액정 1을 나타내고, 도 5에서 LC-2, LC-2-B1, LC-2-HEMA, LC-2-C1 및 LC-2-C2은 각각 액정 2, B1으로 오염된 액정 2, HEMA로 오염된 액정 2, C1으로 오염된 액정 2, C2로 오염된 액정 2를 나타낸다.
실험예 4(주입구 얼룩 수준 평가)
실시예 1 및 비교예 1의 엔드 실 형성용 조성물을 이용하여 실제 패널을 제조하고, 55℃ HTOL(High Temperature Operating Limit)에서의 각각의 주입구 얼룩 수준을 하기 표 3의 기준에 따라 평가하였다. 표 3의 등급 중 3 수준 및 4 수준은 부적합한 것으로 평가된다. 액정으로는 유전율 12.6의 액정(LC-1) 및 유전율 11.8의 액정(LC-2)을 사용하였다. 평가 결과는 하기 표 4에 나타내었다.
[표 3]
등급 주입구 얼룩 정도
0 수준 정면/측면(상하좌추 각 80도)에서 시인되지 않는 경우
1 수준 정면 시인 안되며 상하좌우에서 미세하게 시인되는 경우
2 수준 정면 시인 안되며 상하좌우에서 확연히 시인되는 경우
3 수준 정면 시인 미세하게 되며 상하좌우 확연히 시인되는 경우
4 수준 정면/상하좌우에서 확연히 시인되는 경우
[표 4]
비교예 1 실시예 1
LC-1 1/10매 3수준
4/10매 2수준
5/10매 1수준
3/10매 1수준
7/10매 0수준
LC-2 8/10매 1.5수준
2/10매 1수준
2/8매 1.5수준
6/8매 1수준
상기 표 4에 나타난 바와 같이, 액정의 종류에 관계 없이 실시예 1의 엔드 실 형성용 조성물이 비교예 1의 엔드 실 형성용 조성물에 비해 주입구 수준이 양호 하였으며, 액정의 고유전율화에 따라 주입구 얼룩 수준의 마진(Margin)이 현격히 차이나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를 통해, 실시예 1의 엔드 실 형성용 조성물이 비교예 1의 엔드 실 형성용 조성물에 비해 저오염성을 가짐과 동시에 고유전율 액정에 더 적합한 것을 알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 또는 해당 기술 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라면, 후술될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명세서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정하여져야만 할 것이다.
도 1a 내지 도 1d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정표시패널의 제조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A-A' 선에 따른 액정표시패널의 개략 단면도이다.
도 3는 실험예 2의 휘도 변화 측정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4는 실험예 3의 액정 1에 대한 휘도 변화 측정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5는 실험예 3의 액정 2에 대한 휘도 변화 측정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설명>
10: 하부 기판 20: 배향막
30: 실 패턴 40: 액정
50: 상부 기판 60: 엔드 실
100: 디스펜서

Claims (20)

  1. 고분자 아크릴 수지;
    아크릴 체인에 의해 고분자화된 고분자 광개시제; 및
    아크릴 친화성 커플링제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패널의 엔드 실 형성용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분자 아크릴 수지는 비스페놀 A, 비스페놀 F, 비스페놀 S 및 비스페놀 B계 아크릴 수지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종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패널의 엔드 실 형성용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분자 아크릴 수지의 분자량은 5,000 내지 30,000g/mole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패널의 엔드 실 형성용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분자 광개시제는 벤조페논계, 아세토페논계 및 트리아졸계 광개시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종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패널의 엔드 실 형성용 조성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분자 광개시제의 분자량은 5,000 내지 30,000g/mole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패널의 엔드 실 형성용 조성물.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아크릴 친화성 커플링제는 실란계 화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패널의 엔드 실 형성용 조성물.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실란계 화합물은 아크릴 체인을 작용기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패널의 엔드 실 형성용 조성물.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실란계 화합물에 작용기로 포함되는 아크릴 체인의 분자량은 5,000 내지 30,000g/mole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패널의 엔드 실 형성용 조성물.
  9. 제1항에 있어서,
    점도가 10,000 내지 50,000cps인 액정표시패널의 엔드 실 형성용 조성물.
  10. 실을 매개로 화소 전극이 구비되는 하부 기판 및 공통 전극이 구비되는 상부 기판을 합착하고, 상기 실에 형성된 주입구를 통해 액정을 주입하고, 상기 주입구를 엔드 실로 봉합함에 의해 제조되는 액정표시패널에 있어서,
    상기 엔드 실은 고분자 아크릴 수지, 아크릴 체인에 의해 고분자화된 고분자 광개시제 및 아크릴 친화성 커플링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패널.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고분자 아크릴 수지는 비스페놀 A, 비스페놀 F, 비스페놀 S 및 비스페놀 B계 아크릴 수지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종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패널.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고분자 광개시제는 벤조페논계, 아세토페논계 및 트리아졸계 광개시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종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패널.
  13.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아크릴 친화성 커플링제는 실란계 화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패널.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실란계 화합물은 아크릴 체인을 작용기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패널.
  15.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액정의 유전율은 20℃에서 12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패널.
  16. (S1) 화소 전극이 구비되는 하부 기판을 준비하는 단계;
    (S2) 공통 전극이 구비되는 상부 기판을 준비하는 단계;
    (S3) 상기 하부 기판 또는 상부 기판의 가장자리에 주입구가 마련되도록 실 패턴을 형성하고, 상기 하부 기판과 상부 기판을 합착한 후 상기 실 패턴을 경화하는 단계;
    (S4) 상기 주입구를 통해 액정을 주입하는 단계; 및
    (S5) 고분자 아크릴 수지, 아크릴 체인에 의해 고분자화된 고분자 광개시제 및 아크릴 친화성 커플링제를 포함하는 엔드 실 형성용 조성물로 상기 주입구를 봉합하고, 상기 엔드 실 형성용 조성물을 경화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액정표시패널의 제조 방법.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고분자 아크릴 수지는 비스페놀 A, 비스페놀 F, 비스페놀 S 및 비스페놀 B계 아크릴 수지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종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패널의 제조 방법.
  18.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고분자 광개시제는 벤조페논계, 아세토페논계 및 트리아졸계 광개시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종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패널의 제조 방법.
  19.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아크릴 친화성 커플링제는 실란계 화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패널의 제조 방법.
  20. 제16항에 있어서,
    점도가 10,000 내지 50,000cps인 액정표시패널의 제조 방법.
KR1020070104019A 2007-10-16 2007-10-16 액정표시패널의 엔드 실 형성용 조성물, 액정표시패널 및액정표시패널의 제조방법 KR101376756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04019A KR101376756B1 (ko) 2007-10-16 2007-10-16 액정표시패널의 엔드 실 형성용 조성물, 액정표시패널 및액정표시패널의 제조방법
US12/241,676 US7932984B2 (en) 2007-10-16 2008-09-30 End-sealant composition, liquid crystal display panel, and method of manufacturing liquid crystal display pane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04019A KR101376756B1 (ko) 2007-10-16 2007-10-16 액정표시패널의 엔드 실 형성용 조성물, 액정표시패널 및액정표시패널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38629A KR20090038629A (ko) 2009-04-21
KR101376756B1 true KR101376756B1 (ko) 2014-03-21

Family

ID=407212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04019A KR101376756B1 (ko) 2007-10-16 2007-10-16 액정표시패널의 엔드 실 형성용 조성물, 액정표시패널 및액정표시패널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7932984B2 (ko)
KR (1) KR10137675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97132B1 (ko) * 2007-09-12 2009-05-14 삼성모바일디스플레이주식회사 표시패널 봉지장치 및 이를 이용한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의 제조방법
TWI539215B (zh) * 2010-04-20 2016-06-21 友達光電股份有限公司 液晶顯示面板
KR101820363B1 (ko) * 2011-07-20 2018-01-19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액정표시장치 모듈 및 이의 제조 방법
TWI472003B (zh) * 2011-08-15 2015-02-01 Au Optronics Corp 顯示面板
KR20150082943A (ko) 2014-01-08 2015-07-16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및 그 제조방법
US11435610B2 (en) 2014-11-17 2022-09-06 Alphamicron Incorporated Method for producing a flexible electro-optic cell
JP7027165B2 (ja) * 2014-11-17 2022-03-01 アルファマイクロン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軟質電気光学セルを生成する方法
US10914991B2 (en) 2014-11-17 2021-02-09 Alphamicron Incorporated Method for producing a flexible electro-optic cell
WO2017067634A1 (de) 2015-10-23 2017-04-27 Merck Patent Gmbh Benzilmonoketale und deren verwendung
CN114525139A (zh) 2020-10-07 2022-05-24 默克专利股份有限公司 液晶介质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50094084A1 (en) 2003-11-03 2005-05-05 Hsin-Yi Hsu Liquid crystal display cell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477326A (en) * 1983-06-20 1984-10-16 Loctite Corporation Polyphotoinitiators and compositions thereof
CN1880348A (zh) * 2001-02-28 2006-12-20 株式会社钟化 新聚合物和用于现场成型的液体垫圈
JP2003043499A (ja) * 2001-08-02 2003-02-13 Nec Kagoshima Ltd 液晶表示装置及びそのシール材塗布方法
EP1731544A4 (en) * 2004-03-30 2008-06-18 Kaneka Corp CURABLE COMPOSITION
TWI242092B (en) * 2004-06-10 2005-10-21 Hannstar Display Corp Repairing method of a liquid crystal display panel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50094084A1 (en) 2003-11-03 2005-05-05 Hsin-Yi Hsu Liquid crystal display cell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90147206A1 (en) 2009-06-11
US7932984B2 (en) 2011-04-26
KR20090038629A (ko) 2009-04-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76756B1 (ko) 액정표시패널의 엔드 실 형성용 조성물, 액정표시패널 및액정표시패널의 제조방법
CN100465738C (zh) 液晶显示面板及其制造方法
JP3568862B2 (ja) カラー液晶表示装置
JPH08271871A (ja) 表示装置
JP2014089463A (ja) 液晶表示装置の作製方法
CN100510891C (zh) 液晶显示器的滤色器基板及其制造方法
WO2010098063A1 (ja) 液晶表示装置
TWI308976B (en) Process and structure of linquid crystal panel with one drop fill
JP2002023170A (ja) 液晶表示装置
CN109633994A (zh) 液晶显示面板
US11162027B2 (en) Liquid crystal material, method of manufacturing liquid crystal display panel, and display panel
KR20160121393A (ko) 디스플레이 패널
KR100825313B1 (ko) 액정주입구 구조가 개선된 액정표시소자
JP2015102792A (ja) 黒色感光性樹脂組成物、ブラックマトリックス基板、カラーフィルタ、液晶表示装置及び有機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表示装置
US20190322860A1 (en) Cationically curable sealant composition
US11061294B1 (en) Black matrix composition, liquid crystal display panel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JP2010175920A (ja) カラーフィルタの製造方法、カラーフィルタ及び液晶表示装置
JP2006154514A (ja) カラーフィルタ基板および液晶表示装置
JP2003015138A (ja) 柱状スペーサーを設けた液晶表示装置用カラーフィルタ
Choi et al. Color Filter Architecture, Materials, and Process Flow
JP2010091978A (ja) カラーフィルタ形成基板と液晶表示パネル
KR20060095356A (ko) 액정표시소자 및 그 제조방법
KR100685934B1 (ko) 액정표시장치의 제조방법
US20210341806A1 (en) Liquid crystal panel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KR102162891B1 (ko) 액정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액정표시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0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0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27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