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20363B1 - 액정표시장치 모듈 및 이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액정표시장치 모듈 및 이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20363B1
KR101820363B1 KR1020110071990A KR20110071990A KR101820363B1 KR 101820363 B1 KR101820363 B1 KR 101820363B1 KR 1020110071990 A KR1020110071990 A KR 1020110071990A KR 20110071990 A KR20110071990 A KR 20110071990A KR 101820363 B1 KR101820363 B1 KR 10182036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crylate
liquid crystal
methacrylate
crystal panel
res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719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11097A (ko
Inventor
박동식
김진욱
Original Assignee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0719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20363B1/ko
Priority to US13/542,436 priority patent/US8530009B2/en
Priority to CN201210243557.9A priority patent/CN102890347B/zh
Priority to TW101126399A priority patent/TWI485472B/zh
Publication of KR201300110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1109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203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2036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4/00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based on organic non-macromolecular compounds having at least one polymerisable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 ; 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monomer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of groups C09D183/00 - C09D183/16
    • C09D4/06Organic non-macromolecular compounds having at least one polymerisable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 in combination with a macromolecular compound other than an unsaturated polymer of groups C09D159/00 - C09D187/00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308Support structures for LCD panels, e.g. frames or bezel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KMATERIALS FOR MISCELLANEOUS APPLICATION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C09K2323/00Functional layers of liquid crystal optical display excluding electroactive liquid crystal layer characterised by chemical composition
    • C09K2323/05Bonding or intermediate layer characterised by chemical composition, e.g. sealant or spacer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308Support structures for LCD panels, e.g. frames or bezels
    • G02F1/133317Intermediate frames, e.g. between backlight housing and front frame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2202/00Materials and properties
    • G02F2202/02Materials and properties organic material
    • G02F2202/022Materials and properties organic material polymeric
    • G02F2202/023Materials and properties organic material polymeric curabl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00Metal working
    • Y10T29/49Method of mechanical manufacture
    • Y10T29/49002Electrical device making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Liquid Cryst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평부와 수직부로 이루어진 커버버툼과; 상기 커버버툼의 수직부의 내측면과 접촉하며 상기 커버버툼의 수평부 상에 안착되는 백라이트 유닛과; 상기 백라이트 유닛 상부로 상기 커버버툼의 수직부 상에 안착되는 액정패널과; 상기 커버버툼과 조립 체결되며, 상기 커버버툼의 수직부 외측으로 상기 커버버툼의 수직부를 둘러싸며 단턱이 구비된 사이드 커버와; 상기 사이드 커버의 단턱에 구비되며 상기 액정패널의 측면과 밀착 고정되어 상기 액정패널을 고정시키는 역할을 하는 패널 측면 지지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패널 측면 지지수단은 UV광에 의해 부피팽창과 경화되는 특성을 갖는 물질로 이루어져 상기 액정패널이 상기 커버버툼의 수직부 상에 안착되는 단계에서는 제 1 부피를 가져 상기 액정패널과 접촉되지 않고, 상기 액정패널이 상기 커버버툼 상에 안착 된 후, UV광 조사에 의해 상기 제 1 부피보다 큰 제 2 부피를 가지며 경화됨으로써 상기 액정패널의 측면과 접촉하는 것이 특징인 액정표시장치 모듈 및 이의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액정표시장치 모듈 및 이의 제조 방법{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module and method of the same}
본 발명은 액정표시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경량 및 박형이 가능하며 다양한 외관 디자인을 구현할 수 있는 액정표시장치 모듈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동화상 표시에 유리하고 콘트라스트비(contrast ratio)가 큰 특징을 보여 TV, 모니터 등에 활발하게 이용되는 액정표시장치(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 LCD)는 액정의 광학적 이방성(optical anisotropy)과 분극성질(polarization)에 의한 화상구현원리를 나타낸다.
이러한 액정표시장치는 나란한 두 기판(substrate) 사이로 액정층을 개재하여 합착시킨 액정패널(liquid crystal panel)을 필수 구성요소로 하며, 액정패널 내의 전기장으로 액정분자의 배열방향을 변화시켜 투과율 차이를 구현한다.
하지만, 액정패널은 자체 발광요소를 갖추지 못한 관계로 투과율 차이를 화상으로 표시하기 위해서 별도의 광원을 요구하고, 이를 위해 액정패널 배면에는 광원(光源)이 내장된 백라이트 유닛(backlight unit)이 배치된다.
여기서, 백라이트 유닛의 광원으로 냉음극형광램프(Cold Cathode Fluorescent Lamp : CCFL), 외부전극형광램프(External Electrode Fluorescent Lamp), 그리고 발광 다이오드(Light Emitting Diode : LED, 이하 LED라 함) 등을 사용한다.
도 1은 일반적인 액정표시장치 모듈의 단면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일반적인 액정표시장치 모듈(1)은 액정패널(10)과 백라이트 유닛(20), 그리고 서포트메인(30)과 커버버툼(50), 탑커버(40)로 구성된다.
상기 액정패널(10)은 화상표현의 핵심적인 역할을 담당하는 부분으로써 액정층을 사이에 두고 대면 합착된 제 1 및 제 2 기판(12, 14)으로 구성된다.
상기 액정패널(10) 후방으로는 상기 백라이트 유닛(20)이 구비된다.
상기 백라이트 유닛(20)은 상기 서포트메인(30)의 적어도 일측 가장자리 길이방향을 따라 배열되는 LED 어셈블리(29)와, 상기 커버버툼(50) 상에 안착되는 백색 또는 은색의 반사판(25)과, 이러한 반사판(25) 상에 안착되는 도광판(23) 그리고 이의 상부로 개재되는 다수의 광학시트(21)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LED 어셈블리(29)는 도광판(23)의 일측에 배치되며, 백색광을 발하는 다수의 LED(29a)와, LED(29a)가 장착되는 LED PCB(printed circuit board : 29b, 이하, PCB라 함)를 포함한다.
이러한 액정패널(10)과 백라이트 유닛(20)은 가장자리가 사각테 형상의 서포트메인(30)으로 둘려진 상태로 액정패널(10) 상면 가장자리를 두르는 탑커버(40) 그리고 백라이트 유닛(20) 배면을 덮는 커버버툼(50)이 각각 전후방에서 결합되어 서포트메인(30)을 매개로 일체화된다.
이때, 탑커버(40)는 액정패널(10)의 상면 및 측면 가장자리를 덮도록 단면이"ㄱ"형태로 절곡된 사각테 형상으로, 탑커버(40)의 전면을 개구하여 액정패널(10)에서 구현되는 화상을 표시하도록 구성한다.
그리고 미설명부호 19a, 19b는 각각 액정패널(10)의 전 후면에 부착되어 빛의 편광방향을 제어하는 편광판을 나타낸다.
한편, 최근 이러한 액정표시장치 모듈(1)은 휴대용 컴퓨터는 물론 데스크톱 컴퓨터 모니터 및 벽걸이형 텔레비전 등에서 사용되며, 그 사용영역이 점차 넓어지고 있는 추세이며, 넓은 디스플레이 면적을 가지면서도 획기적으로 감량된 무게 및 부피를 갖고자 하는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그러나, 액정표시장치 모듈(1)을 경량 및 박형으로 제작하고자 하는 노력에도 불구하고, 액정표시장치 모듈을 구성하고 있는 구성요소가 너무 많아, 액정표시장치의 박형 및 경량을 저해하고 있는 실정이다.
한편, 상기 탑커버(40)에 의한 불필요한 공정비용이 많이 상승하는 문제점도 존재한다.
즉, 탑커버(40)는 금속플레이트를 사각형 형상의 일정크기로 절단한 후, 절단된 금속플레이트의 내측에 사각형 형상의 개구면을 형성한 후, 단면이 "ㄱ"형상을 이루도록 밴딩(banding) 및 드로잉(drawing)가공을 함으로써 형성하는데, 이때, 탑커버(40)의 개구면을 형성하기 위하여 상대적으로 넓은 면적의 금속플레이트를 절단 후 제거해야 하므로, 불필요한 재료비가 증가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최근에는 탑커버를 없애고 베젤폭을 최소화한 액정표시장치 모듈이 제안되고 있다.
이러한 탑커버가 생략된 액정표시장치 모듈은 액정패널을 그 가장자리를 따라 상측에서 지지하는 역할을 하는 탑커버가 제거됨으로써 액정패널의 측면 지지를 위해 이중사출을 통해 패널 측면 지지 수단이 형성된 사이드 커버를 구비하거나, 또는 서포트 메인에 추가적으로 액정패널의 측면을 지지하고 액정패널의 측면 보호와 마감처리를 위해 측면 지지수단이 구비되고 있다.
이러한 패널 측면 지지수단은 통상적으로 TPU(Thermoplastic Polyurethane) 또는 TPE(Thermoplastic elastomer)를 사용하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TPU 또는 TPE로 이루어진 패널 측면 지지수단을 사이드 커버 또는 서포트 메인에 장착한 상태에서 최종적으로 액정패널을 상기 서포트 메인 상에 안착되도록 조립하게 되는데, 상기 패널 측면 지지수단 간의 이격 폭이 상기 액정패널의 폭과 일치하는 경우 액정패널의 조립 시 액정패널의 밴딩이 요구되며 이 경우 액정패널의 밴딩 스트레스에 의해 액정패널이 파손되거나, 또는 측단 꼭지점 부분 등이 깨지는 등의 문제가 발생하고 있다.
또한, 이러한 액정패널 자체의 파손 또는 측단 꼭지점 부분 등이 깨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패널 측면 지지수단을 액정패널 삽입 시 소정의 유격을 갖도록 형성하는 경우는 액정패널의 측면 지지가 이루어지지 않으며, 제조 후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액정패널의 가장자리부와 상기 패널 지지수단 간의 이격 부분에 이물 등이 끼게 되어 외관 품위가 떨어지는 문제가 발생하고 있다.
이러한 유격에 대해 실리콘 등을 도포하여 유격을 없애는 공정을 추가적으로 진행하고 있지만, 상기 유격에 대해 실리콘이 도포된다 하더라도 유격의 위치별 오차 등에 의해 내부를 완전히 메우지 못함으로써 이물 개입의 여지를 가지며, 실리콘 도포 등의 추가적인 공정 진행에 의해 제조 비용이 상승하며 단위시간당 제조 시간을 늘려 생산성을 저하시키는 요인이 되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액정패널의 조립이 용이하며, 조립 시 액정패널의 파손 등이 발생하지 않으며, 제조 후 시간이 경과하더라도 이물 등이 부착되어 외관 품위가 떨어지는 등의 문제가 발생하지 않으며, 제조비용을 저감시킬 수 있는 액정표시장치 모듈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전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액정표시장치 모듈은, 수평부와 수직부로 이루어진 커버버툼과; 상기 커버버툼의 수직부의 내측면과 접촉하며 상기 커버버툼의 수평부 상에 안착되는 백라이트 유닛과; 상기 백라이트 유닛 상부로 상기 커버버툼의 수직부 상에 안착되는 액정패널과; 상기 커버버툼과 조립 체결되며, 상기 커버버툼의 수직부 외측으로 상기 커버버툼의 수직부를 둘러싸며 단턱이 구비된 사이드 커버와; 상기 사이드 커버의 단턱에 구비되며 상기 액정패널의 측면과 밀착 고정되어 상기 액정패널을 고정시키는 역할을 하는 패널 측면 지지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패널 측면 지지수단은 UV광에 의해 부피팽창과 경화되는 특성을 갖는 물질로 이루어져 상기 액정패널이 상기 커버버툼의 수직부 상에 안착되는 단계에서는 제 1 부피를 가져 상기 액정패널과 접촉되지 않고, 상기 액정패널이 상기 커버버툼 상에 안착 된 후, UV광 조사에 의해 상기 제 1 부피보다 큰 제 2 부피를 가지며 경화됨으로써 상기 액정패널의 측면과 접촉하는 것이 특징이다.
이때, 상기 패널 측면 지지수단은, 아크릴계 공중합 수지와 아크릴 단량체와 가교성 모노머와 개시제와 실란커플링제로 구성된 것이 특징이다.
상기 아크릴계 공중합 수지는, 상기 지지수단의 시인성 및 경화도에 영향을 끼치는 것으로 폴리스틸렌 환산 중량평균분자량(Mw)이 2000 내지 6000인 것으로, 에폭시 아크릴레이트 수지, 우레탄 아크릴레이트 수지, 폴리에스터 아크릴레이트 수지, 실리콘 아크릴레이트 수지, 아미노 아크릴레이트 수지, 에폭시 메타아크릴레이트 수지, 우레탄 메타아크릴레이트 수지, 폴리에스터 메타아크릴레이트 수지, 실리콘 메타아크릴레이트 수지 및 아미노 메타아크릴레이트 수지 중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의 물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특징이다.
또한, 상기 아크릴 단량체는, 2-부톡시에틸아크릴레이트, 2-부톡시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2-에톡시에틸아크릴레이트, 2-에톡시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2-에틸-2-아다만틸아크릴레이트, 2-에틸-2-아다만틸메타아크릴레이트, 2-하이드록시에틸아크릴레이트, 2-메틸-2-아다만틸아크릴레이트, 2-메틸-2-아다만틸메타아크릴레이트, 벤질아크릴레이트, 시클로헥실아크릴레이트, 디(에틸렌글리콜)에틸에테르아크릴레이트, 디(에틸렌글리콜)에틸에테르메타아크릴레이트, 디(에틸렌글리콜)메틸에테르메타아크릴레이트, 디시클로펜타닐아크릴레이트, 에폭시아크릴레이트, 에틸렌글리콜메틸에테르아크릴레이트, 에틸렌글리콜페닐에테르아크릴레이트, 하이드록시프로필아크릴레이트, 이소보닐아크릴레이트, 메틸아다멘틸아크릴레이트, 네오펜틸글리콜벤조네이트아크릴레이트, 2-하이드록시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아다만틸메타아크릴레이트, 알릴메타아크릴레이트, 벤질메타아크릴레이트, 시클로헥실메타아크릴레이트, 디시클로펜타닐메타아크릴레이트, 에폭시시클로헥실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 에틸렌글리콜페닐에테르메타아크릴레이트, 하이드록시부틸메타아크릴레이트, 하이드록시프로필메타아크릴레이트, 이소보닐메타아크릴레이트, 글리시딜메타아크릴레이트, 메틸아다멘틸메타아크릴레이트, 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 메틸글리시딜메타아크릴레이트, 이소부틸아크릴레이트, 터트-부틸아크릴레이트, 라우릴아크릴레이트, 알킬아크릴레이트, 2-하이드록시아크릴레이트, 트리메톡시부틸아크릴레이트, 에틸카르비톨아크릴레이트, 페녹시에틸아크릴레이트, 4-하이드록시부틸아크릴레이트, 2-하이드록시-3-페녹시프로필아크릴레이트 및 이들의 메타아크릴레이트류, 3-플루오로에틸아크릴레이트, 4-플루오로프로필아크릴레이트 및 이들의 메타아크릴레이트류, 트리에틸실록실에틸아크릴레이트 및 이들의 메타아크릴레이트류 중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의 물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특징이다.
그리고, 가교성 모노머는, 1,4-부탄디올디아크릴레이트, 1,6-헥산디올디아크릴레이트, 1,3-부틸렌글리콜디아크릴레이트, 네오펜틸글리콜디아크릴레이트, 에틸렌글리콜디아크릴레이트, 디에틸렌글리콜디아크릴레이트, 프로필렌글리콜디메타아크릴레이트, 펜타에리스톨테트라아크릴레이트, 펜타에리트리톨디아크릴레이트, 펜타에리트리톨트리아크릴레이트, 디펜타에리트리톨트리아크릴레이트, 디펜타에리트리톨펜타아크릴레이트, 펜타에리트리톨헥사아크릴레이트 트리에틸렌글리콜디아크릴레이트, 폴리에틸렌글리콜디아크릴레이트, 디펜타에리스리톨디아크릴레이트, 솔비톨트리아크릴레이트, 비스페놀 A 디아크릴레이트 유도체, 트리메틸프로판트리아크릴레이트 및 이들의 메타아크릴레이트류 중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의 물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특징이다.
또한, 상기 개시제는, 디아조퀴논(Diazoquinone) 계열 단독 또는 동일계열의 이종 이상 혼합된 물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특징이다.
상기 실란커플링제는, 에폭시가 함유된 2-(3,4 에폭시 사이클로 헥실)-에틸트리메톡시실란, 3-글리시독시트리메톡시실란, 3-글리시독시프로필트리에톡시실란,
아민기가 함유된 N-2(아미노에틸)3-아미토프로필메틸디메톡시실란, N-2(아미노에틸)3-아미노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N-2(아미노에틸)3-아미노프로필트리에톡시실란, 3-아미노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3-아미노프로필트리에톡시실란, 3-트리에톡시실리-N-(1,3-디메틸뷰틸리덴)프로필아민, N-페닐-3-아미노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머캅토가 함유된 3-머캅토프로필메틸디메톡시실란, 3-머캅토프로필트리에톡시실란,
이소시아네이트가 함유된 3-이소시아네이트프로필트리에톡시실란 중 어느 하나인 것이 특징이다.
또한, 상기 패널 측면 지지수단은, 상기 아크릴계 공중합 수지와 아크릴 단량체 및 가교성 모노머가 98wt% 내지 99.5wt%, 상기 개시제과 실란커플링제가 0.5wt% 내지 2wt%인 함량비를 갖는 것이 특징이며, 상기 공중합 수지와 아크릴 단량체와 가교성 모노머는 14:3:3 내지 6:2:2의 함량비를 가지며, 상기 개시제와 실란 커플링제는 6:4 내지 5:5의 함량비를 갖는 것이 특징이다.
상기 패널 측면 지지수단은 UV광 조사에 의해 경화되기 전에는 알코올 분산계 용매를 더 포함하며, 안료를 포함하는 첨가제를 더 포함하는 것이 특징이다.
또한, 상기 백라이트 유닛은 반사판과 상기 반사판 상에 위치하는 도광판, 상기 도광판 상에 개재되는 다수의 광학시트 그리고 상기 도광판의 일측에 위치하는 광원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특징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액정표시장치 모듈의 제조 방법은, 수평부와 수직부로 이루어진 커버버툼과; 상기 커버버툼의 수직부의 내측면과 접촉하며 상기 커버버툼의 수평부 상에 안착되는 백라이트 유닛과; 상기 백라이트 유닛 상부로 상기 커버버툼의 수직부 상에 안착되는 액정패널과; 상기 커버버툼과 조립 체결되며, 상기 커버버툼의 수직부 외측으로 상기 커버버툼의 수직부를 둘러싸며 단턱이 구비된 사이드 커버와; 상기 사이드 커버의 단턱에 구비되며 상기 액정패널의 측면과 밀착 고정되어 상기 액정패널을 고정시키는 역할을 하는 패널 측면 지지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패널 측면 지지수단은 UV광에 의해 부피팽창과 경화되는 특성을 갖는 물질로 이루어진 것이 특징인 액정표시장치 모듈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상기 사이드 커버의 단턱에 용액 상태의 패널 측면 지지수단용 액체를 도포하여 경화전의 패널 측면 지지수단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경화전의 패널 측면 지지수단이 형성된 상기 커버버툼의 수직부 상에 상기 경화전의 패널 측면 지지수단과 접촉없이 상기 액정패널을 안착시키는 단계와; 상기 액정패널이 상기 커버버툼의 수직부 상에 안착된 상태에서 상기 경화전의 패널 측면 지지수단에 UV광을 조사하여 부피가 팽창되도록 하여 상기 액정패널의 측단 접촉한 상태에서 경화되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액정표시장치 모듈용 패널 측면 지지수단은, 아크릴계 공중합 수지와 아크릴 단량체와 가교성 모노머와 개시제와 실란커플링제로 구성되어 UV광에 반응하여 부피팽창 및 경화되는 것이 특징인 액정표시장치 모듈용 패널 측면 지지수단으로서, 상기 아크릴계 공중합 수지와 아크릴 단량체 및 가교성 모노머가 98wt% 내지 99.5wt%, 상기 개시제과 실란커플링제가 0.5wt% 내지 2wt%인 함량비를 갖는 것이 특징이며, 상기 공중합 수지와 아크릴 단량체와 가교성 모노머는 14:3:3 내지 6:2:2의 함량비를 가지며, 상기 개시제와 실란 커플링제는 6:4 내지 5:5의 함량비를 갖는 것이 특징이다.
이때, 상기 아크릴계 공중합 수지는, 상기 지지수단의 시인성 및 경화도에 영향을 끼치는 것으로 폴리스틸렌 환산 중량평균분자량(Mw)이 2000 내지 6000인 것으로, 에폭시 아크릴레이트 수지, 우레탄 아크릴레이트 수지, 폴리에스터 아크릴레이트 수지, 실리콘 아크릴레이트 수지, 아미노 아크릴레이트 수지, 에폭시 메타아크릴레이트 수지, 우레탄 메타아크릴레이트 수지, 폴리에스터 메타아크릴레이트 수지, 실리콘 메타아크릴레이트 수지 및 아미노 메타아크릴레이트 수지 중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의 물질로 이루어지며,
상기 아크릴 단량체는, 2-부톡시에틸아크릴레이트, 2-부톡시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2-에톡시에틸아크릴레이트, 2-에톡시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2-에틸-2-아다만틸아크릴레이트, 2-에틸-2-아다만틸메타아크릴레이트, 2-하이드록시에틸아크릴레이트, 2-메틸-2-아다만틸아크릴레이트, 2-메틸-2-아다만틸메타아크릴레이트, 벤질아크릴레이트, 시클로헥실아크릴레이트, 디(에틸렌글리콜)에틸에테르아크릴레이트, 디(에틸렌글리콜)에틸에테르메타아크릴레이트, 디(에틸렌글리콜)메틸에테르메타아크릴레이트, 디시클로펜타닐아크릴레이트, 에폭시아크릴레이트, 에틸렌글리콜메틸에테르아크릴레이트, 에틸렌글리콜페닐에테르아크릴레이트, 하이드록시프로필아크릴레이트, 이소보닐아크릴레이트, 메틸아다멘틸아크릴레이트, 네오펜틸글리콜벤조네이트아크릴레이트, 2-하이드록시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아다만틸메타아크릴레이트, 알릴메타아크릴레이트, 벤질메타아크릴레이트, 시클로헥실메타아크릴레이트, 디시클로펜타닐메타아크릴레이트, 에폭시시클로헥실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 에틸렌글리콜페닐에테르메타아크릴레이트, 하이드록시부틸메타아크릴레이트, 하이드록시프로필메타아크릴레이트, 이소보닐메타아크릴레이트, 글리시딜메타아크릴레이트, 메틸아다멘틸메타아크릴레이트, 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 메틸글리시딜메타아크릴레이트, 이소부틸아크릴레이트, 터트-부틸아크릴레이트, 라우릴아크릴레이트, 알킬아크릴레이트, 2-하이드록시아크릴레이트, 트리메톡시부틸아크릴레이트, 에틸카르비톨아크릴레이트, 페녹시에틸아크릴레이트, 4-하이드록시부틸아크릴레이트, 2-하이드록시-3-페녹시프로필아크릴레이트 및 이들의 메타아크릴레이트류, 3-플루오로에틸아크릴레이트, 4-플루오로프로필아크릴레이트 및 이들의 메타아크릴레이트류, 트리에틸실록실에틸아크릴레이트 및 이들의 메타아크릴레이트류 중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의 물질로 이루어지며, 상기 가교성 모노머는, 1,4-부탄디올디아크릴레이트, 1,6-헥산디올디아크릴레이트, 1,3-부틸렌글리콜디아크릴레이트, 네오펜틸글리콜디아크릴레이트, 에틸렌글리콜디아크릴레이트, 디에틸렌글리콜디아크릴레이트, 프로필렌글리콜디메타아크릴레이트, 펜타에리스톨테트라아크릴레이트, 펜타에리트리톨디아크릴레이트, 펜타에리트리톨트리아크릴레이트, 디펜타에리트리톨트리아크릴레이트, 디펜타에리트리톨펜타아크릴레이트, 펜타에리트리톨헥사아크릴레이트 트리에틸렌글리콜디아크릴레이트, 폴리에틸렌글리콜디아크릴레이트, 디펜타에리스리톨디아크릴레이트, 솔비톨트리아크릴레이트, 비스페놀 A 디아크릴레이트 유도체, 트리메틸프로판트리아크릴레이트 및 이들의 메타아크릴레이트류 중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의 물질로 이루어지며, 상기 개시제는, 디아조퀴논(Diazoquinone)계열 단독 또는 동일계열의 이종 이상 혼합된 물질로 이루어지며, 상기 실란커플링제는, 에폭시가 함유된 2-(3,4 에폭시 사이클로 헥실)-에틸트리메톡시실란, 3-글리시독시트리메톡시실란, 3-글리시독시프로필트리에톡시실란,
아민기가 함유된 N-2(아미노에틸)3-아미토프로필메틸디메톡시실란, N-2(아미노에틸)3-아미노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N-2(아미노에틸)3-아미노프로필트리에톡시실란, 3-아미노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3-아미노프로필트리에톡시실란, 3-트리에톡시실리-N-(1,3-디메틸뷰틸리덴)프로필아민, N-페닐-3-아미노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머캅토가 함유된 3-머캅토프로필메틸디메톡시실란, 3-머캅토프로필트리에톡시실란,
이소시아네이트가 함유된 3-이소시아네이트프로필트리에톡시실란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진 것이 특징이다.
또한, 상기 액정표시장치 모듈용 패널 측면 지지수단은 UV광의 조사 전에는 알코올 분산계 용매에 분산되어 액체 상태를 이루는 것이 특징이며, 그리고 상기 패널 측면 지지수단은 안료를 포함하는 첨가제를 더 포함하는 것이 특징이다.
위에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있어서는 UV광 조사에 의해 별도의 가스 공급 또는 경화공정을 필요로 하지 않으며 팽창되는 특성을 가지며, 팽창된 상태를 유지하는 특성을 갖는 특수 물질을 이용하여 패널 측면 지지수단을 구성함으로써 액정패널의 조립 시 액정패널의 파손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안정적으로 액정패널의 측면을 지지하며, 액정패널과 패널 측면 지지수단 간에 이격이 없으므로 시간이 경과하더라도 이물이 끼는 등에 의한 외관 품위가 저하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는 패널 측면 지지수단이 액정패널을 서포트 메인 상에 안착 시 상기 액정패널의 측면과 상기 패널 측면 지지수단 간에는 충분한 유격이 있는 상태가 되므로 액정패널의 안정적인 조립이 가능하며, 조립의 용이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있어서는 별도의 가열공정을 필요로 하지 않으므로 가열수단의 초기 투자 비용을 줄일 수 있으며, 가열에 의한 액정패널 내의 액정층 등의 상변이 등을 억제함으로써 가열에 의해 발생되는 불량을 억제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액정표시장치 모듈의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액정표시장치 모듈 일부에 대한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 따른 액정표시장치 모듈에 구비되는 패널 측면 지지수단에 있어, UV광을 조사하기 전과 조사한 후의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액정표시장치용 모듈에 구비되는 패널 측면 지지수단을 이루는 개시제에 있어 UV광 조사시의 개시제의 특성 변화를 나타낸 도면.
도 5a 내지 도 5c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액정표시장치 모듈의 제조 단계별 공정 단면도.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액정표시장치 모듈 일부에 대한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액정표시장치 모듈(100)은 액정패널(130)과 백라이트 유닛(128) 그리고 액정패널(130)과 백라이트 유닛(128)을 모듈화하기 위한 커버버툼(105)과 사이드 커버(108)로 구성된다.
이들 각각에 대해 좀 더 자세히 살펴보면, 상기 액정패널(130)은 화상표현의 핵심적인 역할을 담당하는 부분으로서, 액정층(미도시)을 사이에 두고 서로 대면 합착된 제 1 기판(133) 및 제 2 기판(136)을 포함한다.
이때, 능동행렬 방식이라는 전제 하에 비록 도면상에 나타나지는 않았지만 통상 하부기판 또는 어레이 기판이라 불리는 상기 제 1 기판(133)의 내측면에는 다수의 게이트 배선(미도시)과 데이터 배선(미도시)이 교차하여 화소영역(pixel)을 정의하며 형성되고 있으며, 상기 두 배선(미도시)의 교차지점 부근에는 스위칭 소자로서 박막트랜지스터(Thin Film Transistor : TFT)가 구비되어 각 화소영역(미도시)에 형성된 투명한 화소전극(미도시)과 일대일 대응하며 연결되고 있다.
그리고 상부기판 또는 컬러필터 기판이라 불리는 상기 제 2 기판(136)의 내측면에는 각 화소영역 별로 적(R), 녹(G), 청(B)색의 컬러필터(color filter) 패턴이 구비되고 있으며, 상기 각 컬러필터 패턴(미도시)을 두르며 상기 게이트 배선(미도시)과 데이터 배선(미도시) 그리고 박막트랜지스터(미도시)를 가리는 블랙매트릭스(black matrix)가 구비되고 있다.
또한, 상기 제 2 기판(136)의 내측면에는 상기 적(R), 녹(G), 청(B)색의 컬러필터 패턴(미도시) 및 블랙매트릭스(미도시)를 덮는 투명 공통전극(미도시)이 마련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제 1 및 제 2 기판(133, 136)의 외면으로는 특정 빛만을 선택적으로 투과시키는 제 1 및 제 2 편광판(141, 145)이 각각 부착되고 있다.
또한, 상기 액정패널(130)의 적어도 일 가장자리를 따라서는 연성인쇄회로기판(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이나 테이프 캐리어 패키지(tape carrier package : TCP) 같은 연결부재(미도시)를 매개로 인쇄회로기판(미도시)이 연결되고 있다.
이러한 액정패널(130)은 게이트구동 회로의 온(on)/오프(off) 신호에 의해 각 게이트 배선(미도시)별로 선택된 박막트랜지스터(미도시)가 온(on) 되면 데이터구동 회로의 신호전압이 상기 데이터 배선(미도시)을 통해서 해당 화소전극(미도시)으로 전달되고, 이에 따른 화소전극(미도시)과 공통전극(미도시) 사이의 전기장에 의해 액정분자의 배열방향이 변화되어 투과율 차이를 나타낸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른 액정표시장치 모듈(100)에는 상기 액정패널(130)이 나타내는 투과율의 차이가 외부로 발현되도록 이의 배면에서 빛을 공급하는 백라이트 유닛(128)이 구비된다.
상기 백라이트 유닛(128)은 LED 어셈블리(미도시)와, 백색 또는 은색의 반사판(123)과, 이러한 반사판(123) 상에 안착되는 도광판(121) 그리고 이의 상부로 개재되는 광학시트(125)를 포함한다.
한편, LED 어셈블리(미도시)는 상기 도광판(123)의 입광면과 대면하도록 상기 도광판(123)의 일측에 위치하며, 이러한 LED 어셈블리(미도시)는 다수개의 LED(미도시)와, 다수개의 LED(미도시)가 일정 간격 이격하여 장착되는 PCB(미도시)를 포함한다.
여기서, 도면에서는 LED(미도시)를 광원으로 하는 백라이트 유닛(128)이 구비된 것을 일례로 보이고 있지만, 상기 광원은 이러한 LED(미도시) 외에도 냉음극전극형광램프(cold cathode fluorescent lamp)나 외부전극형광램프(external electrode fluorescent lamp)와 같은 형광램프가 될 수 있다.
이때, 다수의 LED(미도시)는 RGB의 색을 모두 발하거나 백색을 발하는 LED칩(미도시)을 포함하여, 상기 도광판(121)의 입광면을 향하는 전방으로 백색광을 발한다. 한편, 다수의 LED(미도시)는 각각 적(R), 녹(G), 청(B)의 색을 갖는 빛을 발하며, 이러한 다수개의 RGB LED(미도시)를 한꺼번에 점등시킴으로써 색섞임에 의한 백색광을 구현할 수도 있다.
다수의 LED(미도시)로부터 출사되는 빛이 입사되는 도광판(121)은 LED(미도시)로부터 입사된 빛이 여러 번의 전반사에 의해 도광판(121) 내를 진행하면서 상기 도광판(121)의 넓은 영역으로 골고루 퍼져 상기 액정패널(130)에 면광원을 제공한다.
이러한 도광판(121)은 균일한 면광원을 공급하기 위해 배면에 특정 모양의 패턴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반사판(123)은 상기 도광판(121)의 배면에 위치하여, 도광판(121)의 배면을 통과한 빛을 액정패널(130) 쪽으로 반사시킴으로써 빛의 휘도를 향상시킨다.
상기 도광판(121) 상부의 광학시트(125)는 확산시트와 적어도 하나의 집광시트 등을 포함하며, 상기 도광판(121)을 통과한 빛을 확산 또는 집광하여 상기 액정패널(130)로 보다 균일한 면광원이 입사 되도록 한다.
이러한 액정패널(130)과 백라이트 유닛(128)은 커버버툼(105)을 통해 모듈화 되는데, 상기 커버버툼(105)은 백라이트 유닛(128) 배면에 밀착되는 수평면(105a) 및 이의 가장자리가 수직하게 상향 절곡된 측면(105b)으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커버버툼(105) 상에 안착되며 상기 액정패널(130) 및 백라이트 유닛(128)의 가장자리를 두르는 수직부로 이루어지는 사각의 테 형상의 사이드 커버(108)가 상기 커버버툼(105)과 결합되고 있다.
이러한 액정패널(130)과 백라이트 유닛(128)은 커버버툼(105)을 통해 모듈화 되고 있다.
한편, 상기 사이드 커버(108)의 내측면에는 단턱(110)이 형성되며, 상기 단턱(110)에는 본 발명에 있어 가장 특징적인 것으로 그 부피가 UV광 조사에 의해 그 부피가 1회 팽창되는 특성을 갖는 물질로 이루어진 패널 측면 지지수단(155)이 상기 단턱(110)의 밑면과 측면과 접촉하며 구비되고 있다. 여기서, 단턱(110)의 밑면의 길이는 액정패널(130)과 액정패널(130)을 마주 대하는 단턱(110)의 측면 사이의 거리보다 짧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모듈화된 액정표시장치 모듈(100)은 상기 액정패널(130)의 전면에서 화상을 표시하게 된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액정표시장치 모듈(100)은 상기 액정패널(130)과 백라이트 유닛(128)을 사이드 커버(108)와 커버버툼(105) 만으로 모듈되는 것이 특징이며, 따라서 기존의 탑커버 및 서포트 메인을 삭제함으로써, 경량 및 박형을 구현할 수 있으며 나아가 내로우 베젤이 가능하며, 공정의 단순화 및 조립이 용이한 효과를 갖는다.
그리고, 패널 측면 지지수단(155)과 상기 액정패널(130)의 측면이 밀착된 상태를 유지함으로써 액정패널(130)과 패널 측면 지지수단(155) 사이의 이격영역에 이물 등이 끼는 등의 문제는 발생되지 않으므로 외관 품위 또한 저하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를 갖는다.
이후에는 이러한 구성을 갖는 액정표시장치 모듈에 있어 가장 특징적인 구성요소인 패널 측면 지지수단의 재질 및 특성에 대해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 따른 액정표시장치 모듈에 구비되는 패널 측면 지지수단에 있어, UV광을 조사하기 전과 조사한 후의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특징적인 구성인 패널 측면 지지수단(155)은 1회에 한해서 UV광이 조사되면, 그 부피가 변하며 경화되는 특성을 갖는 것이 특징이다.
즉, 도시한 바와같이, UV광 조사 전의 패널 측면 지지수단(155a)은 용액 상태로서 단턱 상에 도포된 후에는 젤 상태로서 제 1 부피(155a 참조)를 갖는다.
이때, 이러한 제 1 부피를 갖는 젤 상태에서 UV광을 조사하면 이를 이루는 물질 특성 상 그 자체 내부에서 질소가스가 발생하여 부피 팽창을 유도함으로써 상기 제 1 부피 보다 큰 제 2 부피(155b 참조)를 갖게 되며, 용매가 증발된 후에는 완전 경화되어 고체 상태를 이루는 되는 것이 특징이다.
그리고 상기 패널 측면 지지수단(155) 이렇게 1회의 UV광이 조사되어 부피 팽창이 이루어진 뒤 경화된 상태(155b 참조)에서는 또 다시 UV광이 조사되거나 또는 열이 가해진다 하더라도 그 부피는 변하지 않는 것이 특징이다.
이러한 제한성 팽창 특성을 갖는 패널 측면 지지수단(155)은 아크릴계 공중합 수지와 아크릴 단량체와 가교성 모노머와 개시제와 실란커플링제로 구성되는 것이 특징이다.
조금 더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지지수단은 아크릴계 공중합 수지와 아크릴 단량체 및 가교성 모노머가 98wt% 내지 99.5wt%, 상기 개시제과 실란 커플링제가 0.5wt% 내지 2wt%인 함량비를 갖는 것이 특징이다.
이때, 상기 공중합 수지와 아크릴 단량체와 가교성 모노머는 14:3:3 내지 6:2:2 정도의 비를 가지며, 상기 개시제와 실란 커플링제는 6:4 내지 5:5 정도의 비를 갖는 것이 특징이다.
한편, 상기 아크릴계 공중합 수지는 상기 지지수단의 시인성 및 경화도에 영향을 끼치는 것으로 폴리스틸렌 환산 중량평균분자량(Mw)이 2000 내지 6000인 것으로, 에폭시 아크릴레이트 수지, 우레탄 아크릴레이트 수지, 폴리에스터 아크릴레이트 수지, 실리콘 아크릴레이트 수지, 아미노 아크릴레이트 수지, 에폭시 메타아크릴레이트 수지, 우레탄 메타아크릴레이트 수지, 폴리에스터 메타아크릴레이트 수지, 실리콘 메타아크릴레이트 수지 및 아미노 메타아크릴레이트 수지 중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의 물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특징이다.
상기 아크릴 단량체는 상기 지지수단의 시인성 및 코팅도에 영향을 끼치는 것으로, 2-부톡시에틸아크릴레이트, 2-부톡시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2-에톡시에틸아크릴레이트, 2-에톡시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2-에틸-2-아다만틸아크릴레이트, 2-에틸-2-아다만틸메타아크릴레이트, 2-하이드록시에틸아크릴레이트, 2-메틸-2-아다만틸아크릴레이트, 2-메틸-2-아다만틸메타아크릴레이트, 벤질아크릴레이트, 시클로헥실아크릴레이트, 디(에틸렌글리콜)에틸에테르아크릴레이트, 디(에틸렌글리콜)에틸에테르메타아크릴레이트, 디(에틸렌글리콜)메틸에테르메타아크릴레이트, 디시클로펜타닐아크릴레이트, 에폭시아크릴레이트, 에틸렌글리콜메틸에테르아크릴레이트, 에틸렌글리콜페닐에테르아크릴레이트, 하이드록시프로필아크릴레이트, 이소보닐아크릴레이트, 메틸아다멘틸아크릴레이트, 네오펜틸글리콜벤조네이트아크릴레이트, 2-하이드록시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아다만틸메타아크릴레이트, 알릴메타아크릴레이트, 벤질메타아크릴레이트, 시클로헥실메타아크릴레이트, 디시클로펜타닐메타아크릴레이트, 에폭시시클로헥실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 에틸렌글리콜페닐에테르메타아크릴레이트, 하이드록시부틸메타아크릴레이트, 하이드록시프로필메타아크릴레이트, 이소보닐메타아크릴레이트, 글리시딜메타아크릴레이트, 메틸아다멘틸메타아크릴레이트, 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 메틸글리시딜메타아크릴레이트, 이소부틸아크릴레이트, 터트-부틸아크릴레이트, 라우릴아크릴레이트, 알킬아크릴레이트, 2-하이드록시아크릴레이트, 트리메톡시부틸아크릴레이트, 에틸카르비톨아크릴레이트, 페녹시에틸아크릴레이트, 4-하이드록시부틸아크릴레이트, 2-하이드록시-3-페녹시프로필아크릴레이트 및 이들의 메타아크릴레이트류, 3-플루오로에틸아크릴레이트, 4-플루오로프로필아크릴레이트 및 이들의 메타아크릴레이트류, 트리에틸실록실에틸아크릴레이트 및 이들의 메타아크릴레이트류 중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의 물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특징이다.
상기 가교성 모노머는 상기 지지수단의 시인성 및 경화도에 영향을 끼치는 것으로, 1,4-부탄디올디아크릴레이트, 1,6-헥산디올디아크릴레이트, 1,3-부틸렌글리콜디아크릴레이트, 네오펜틸글리콜디아크릴레이트, 에틸렌글리콜디아크릴레이트, 디에틸렌글리콜디아크릴레이트, 프로필렌글리콜디메타아크릴레이트, 펜타에리스톨테트라아크릴레이트, 펜타에리트리톨디아크릴레이트, 펜타에리트리톨트리아크릴레이트, 디펜타에리트리톨트리아크릴레이트, 디펜타에리트리톨펜타아크릴레이트, 펜타에리트리톨헥사아크릴레이트 트리에틸렌글리콜디아크릴레이트, 폴리에틸렌글리콜디아크릴레이트, 디펜타에리스리톨디아크릴레이트, 솔비톨트리아크릴레이트, 비스페놀 A 디아크릴레이트 유도체, 트리메틸프로판트리아크릴레이트 및 이들의 메타아크릴레이트류 중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의 물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특징이다.
상기 개시제는 Diazoquinone(DQ) 계열 단독 또는 동일계열의 이종 이상 혼합된 물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특징이며, 도 4(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액정표시장치용 모듈에 구비되는 패널 측면 지지수단을 이루는 개시제에 있어 UV광 조사시의 개시제의 특성 변화를 나타낸 도면.)를 참조하면, 이러한 개시제는 UV광 조사 시 Diazoquinone 자체에 포함되어 있는 N2 분자가 가스 상태로 빠져나오게 됨으로써 별도의 발포 가스를 첨가하지 않아도 그 자체로 부피 팽창에 기여하는 역할을 하며, 공중합 수지와 아크릴 단량체 및 가교성 모노머를 연결시켜 UV광 경화를 유도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 특징이다.
상기 실란커플링제는 상기 지지수단과 사이드 커버와의 접착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것으로, 에폭시가 함유된 2-(3,4 에폭시 사이클로 헥실)-에틸트리메톡시실란, 3-글리시독시트리메톡시실란, 3-글리시독시프로필트리에톡시실란,
아민기가 함유된 N-2(아미노에틸)3-아미토프로필메틸디메톡시실란, N-2(아미노에틸)3-아미노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N-2(아미노에틸)3-아미노프로필트리에톡시실란, 3-아미노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3-아미노프로필트리에톡시실란, 3-트리에톡시실리-N-(1,3-디메틸뷰틸리덴)프로필아민, N-페닐-3-아미노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머캅토가 함유된 3-머캅토프로필메틸디메톡시실란, 3-머캅토프로필트리에톡시실란,
이소시아네이트가 함유된 3-이소시아네이트프로필트리에톡시실란 중 어느 하나인 것이 특징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이러한 구성을 갖는 패널 측면 지지수단(155)을 이루는 물질 즉, 공중합 수지와 아크릴 단량체와 가교성 모노머와 개시제와 실란커플링제에 용매와 선택적으로 소량의 첨가제를 더욱 포함한 물질이 패널 측면 지지수단을 형성을 위해 도포되는 특수 물질이 되며, 이때, 용매는 알코올 분산계이며, 상기 첨가물은 특정 색 예를들면 블랙을 나타내는 염료가 될 수 있다.
즉, 전술한 특성을 갖는 공중합 수지와 아크릴 단량체와 가교성 모노머와 개시제와 실란커플링제가 알코올 분산계 용매에 섞여 점성을 갖는 용액 상태를 이룬 상태에서 상기 사이드 커버(108)의 단턱(110) 상에 적정량 도포된 후, UV광을 조사함으로써 부피가 팽창되고, 최종적으로 용매가 증발되어 제거됨으로써 경화된 상태의 패널 측면 지지수단(155)을 이루게 됨으로써 액정패널(130)이 커버버툼의 수직부(105) 상에 안착되도록 하는 조립 공정을 상기 액정패널(130)의 밴딩없이 진행되도록 하여 파손 등을 방지하고 용이하게 진행시킬 수 있는 것이다.
이후에는 간략히 본 발명에 실시예에 따른 액정표시장치 모듈의 제조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도 5a 내지 도 5c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액정표시장치 모듈의 제조 단계별 공정 단면도이다.
우선, 도 5a에 도시한 바와같이, 일반적인 제조 공정 진행에 의해 각각 어레이 기판인 제 1 기판(133)과 컬러필터 기판인 제 2 기판(136)을 완성하고 액정층(미도시)을 개재하여 합착함으로서 액정패널(130)을 완성하고, 상기 액정패널(130)의 양 외측면에 제 1 및 제 2 편광판(141, 145)을 부착한다.
그리고, 상기 제 1 및 제 2 편광판(141, 145)이 부착된 액정패널(130)에 대해 인쇄회로기판(미도시)을 연결부재인 FPC(미도시)등을 개재하여 실장한다.
이후, 상기 커버버툼(105) 내에 백라이트 유닛(128)을 안착시키고, 상기 커버버툼(105)의 측면을 두루는 사이드 커버(108)를 조립한다.
다음, 상기 사이드 커버(108) 가장자리의 내측에 구비된 단턱(110)에 대해 전술한 바와같은 아크릴계 공중합 수지와 아크릴 단량체와 가교성 모노머와 개시제와 실란커플링제가 알코올 분산계 용매에 섞여 용액 상태를 이룬 패널 측면 지지수단용 특수 용액을 적정량 도포하여 젤 상태의 측면 지지수단(155a)을 상기 사이드 커버(108)의 단턱(110) 상에 형성한다.
이때 상기 젤 상태의 측면 지지수단(155a)은 상기 액정패널(130) 장착 시 상기 액정패널(130)의 측단과 소정간격 0.1mm 내지 0.5mm 이격한 상태가 되는 것이 특징이다.
다음, 도 5b에 도시한 바와같이, 상기 젤 상태의 측면 지지수단(155a)이 형성된 상태에서 상기 커버버툼(105)의 측면(105b) 상에 상기 액정패널(130)을 안착시킨다. 이때, 상기 젤 상태의 패널 측면 지지수단(155a)은 액정패널(130)의 폭보다 넓은 폭을 가지며 이격하여 형성되고 있으므로 상기 액정패널(130)은 그 몸체의 밴딩이 필요없이 상기 커버버툼(105) 상에 안착될 수 있다.
따라서, 액정패널(130) 조립시 액정패널(130)이 밴딩됨으로써 발생하는 스트레스에 의한 파손은 원천적으로 방지될 수 있다.
또한, 현 상태에서는 젤 상태의 상기 패널 측면 지지수단(155a)과 접촉없이 액정패널(130)이 상기 커버버툼(105) 상에 안찰될 수 있으므로 조립 작업이 수월하게 진행되는 장점이 있다.
다음, 상기 액정패널(130)이 상기 커버버툼(105)의 측면(105b) 상에 안착된 상태의 액정표시장치 모듈(100)에 있어 상기 젤 상태의 지지수단(155a)이 형성된 부분을 따라 UV 조사장치(195) 등을 통해 UV광을 조사한다. 이때 상기 UV광의 조사는 도면에 나타낸 바와같이 상기 젤 상태의 지지수단이 형성된 부분을 따라 조사될 수도 있으며, 또는 상기 액정표시장치 모듈 전면에 조사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젤 상태의 지지수단은 도 5c에 도시한 바와같이, 상기 UV광 조사에 의해 그 특성상 공중합 수지와 실리콘 단량체와 가교성 모노머는 개시제에 의해 크로스 링킹되어 서로 연결됨으로써 경화되며, 개시제로부터 N2 가스가 빠져나옴으로써 이에 의해 부피 팽창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때, 상기 젤 상태의 패널 측면 지지수단(도 5b의 155a)은 그 부피 팽창력을 감안하여 상기 사이드 커버(108)의 단턱(110)에 적정량 도포된 상태이므로 상기 UV광 조사 후에는 상기 액정패널(130)의 측단과 접촉한 상태를 이루게 된다.
상기 UV광 조사에 상기 젤 상태의 패널 측면 지지수단(도 5b의 155a)은 그 부피가 팽창함으로써 상기 커버버툼(105)의 측면(105b) 상에 안착된 상기 액정패널(130)의 측면과 접촉한 상태에서 그 부피팽창이 완료되며, 이렇게 부피 팽창된 상태에서 경화된 패널 측면 지지수단(155b)은 상기 액정패널(130)을 단단히 고정시키게 된다.
따라서, 최종적으로 액정패널(130)의 측면과 경화된 상기 패널 측면 지지수단(155b) 사이에 갭이 없으므로 종래의 액정표시장치 모듈에서 발생되는 이물 끼임에 의한 외관 품위 저하의 문제 또한 원천적으로 억제되는 것이 특징이다.
또한, 경화된 상기 패널 측면 지지수단(155b)은 상기 알코올 분산계 용매와 더불어 소량의 첨가물이 더욱 포함하는 경우, 상기 첨가물은 블랙을 띠는 염료가 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상기 패널 측면 지지수단(155b)은 블랙을 띠므로 오프 상태의 액정패널(130)이 이루는 블랙과 일치됨으로써 외관 품위 및 블랙 시인성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갖는 것이 특징이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로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취지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하게 변경하여 실시할 수 있다.
100 : 액정표시장치 모듈
105 : 커버버툼
105a : 커버버툼의 수평부
105b : 커버버툼의 측면
108 : 사이트 커버
110 : 단턱
121 : 도광판
123 : 반사판
125 : 광학시트
128 : 백라이트 유닛
130 : 액정패널
133 : 제 1 기판
136 : 제 2 기판
141 : 제 1 편광판
145 : 제 2 편광판
155a : 경화전의 패널 측면 지지수단
195 : UV조사장치

Claims (19)

  1. 수평부와 수직부로 이루어진 커버버툼과;
    상기 커버버툼의 수직부의 내측면과 접촉하며 상기 커버버툼의 수평부 상에 안착되는 백라이트 유닛과;
    상기 백라이트 유닛 상부로 상기 커버버툼의 수직부 상에 안착되는 액정패널과;
    상기 커버버툼과 조립 체결되며, 상기 커버버툼의 수직부 외측으로 상기 커버버툼의 수직부를 둘러싸며 단턱이 구비된 사이드 커버와;
    상기 사이드 커버의 단턱에 구비되며 상기 액정패널의 측면과 밀착 고정되어 상기 액정패널을 고정시키는 역할을 하는 패널 측면 지지수단
    을 포함하며,
    상기 패널 측면 지지수단은 UV광에 의해 부피팽창과 경화되는 특성을 갖는 물질로 이루어져 상기 액정패널이 상기 커버버툼의 수직부 상에 안착되는 단계에서는 제 1 부피를 가져 상기 액정패널과 접촉되지 않고, 상기 액정패널이 상기 커버버툼 상에 안착 된 후, UV광 조사에 의해 상기 제 1 부피보다 큰 제 2 부피를 가지며 경화됨으로써 상기 액정패널의 측면과 접촉하고,
    상기 단턱의 밑면의 길이가 상기 액정패널과 상기 액정패널을 마주 대하는 상기 단턱의 측면 사이의 거리보다 짧은 것이 특징인 액정표시장치 모듈.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패널 측면 지지수단은,
    아크릴계 공중합 수지와 아크릴 단량체와 가교성 모노머와 개시제와 실란커플링제로 구성된 것이 특징인 액정표시장치 모듈.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아크릴계 공중합 수지는,
    상기 지지수단의 시인성 및 경화도에 영향을 끼치는 것으로 폴리스틸렌 환산 중량평균분자량(Mw)이 2000 내지 6000인 것으로, 에폭시 아크릴레이트 수지, 우레탄 아크릴레이트 수지, 폴리에스터 아크릴레이트 수지, 실리콘 아크릴레이트 수지, 아미노 아크릴레이트 수지, 에폭시 메타아크릴레이트 수지, 우레탄 메타아크릴레이트 수지, 폴리에스터 메타아크릴레이트 수지, 실리콘 메타아크릴레이트 수지 및 아미노 메타아크릴레이트 수지 중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의 물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특징인 액정표시장치 모듈.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아크릴 단량체는,
    2-부톡시에틸아크릴레이트, 2-부톡시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2-에톡시에틸아크릴레이트, 2-에톡시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2-에틸-2-아다만틸아크릴레이트, 2-에틸-2-아다만틸메타아크릴레이트, 2-하이드록시에틸아크릴레이트, 2-메틸-2-아다만틸아크릴레이트, 2-메틸-2-아다만틸메타아크릴레이트, 벤질아크릴레이트, 시클로헥실아크릴레이트, 디(에틸렌글리콜)에틸에테르아크릴레이트, 디(에틸렌글리콜)에틸에테르메타아크릴레이트, 디(에틸렌글리콜)메틸에테르메타아크릴레이트, 디시클로펜타닐아크릴레이트, 에폭시아크릴레이트, 에틸렌글리콜메틸에테르아크릴레이트, 에틸렌글리콜페닐에테르아크릴레이트, 하이드록시프로필아크릴레이트, 이소보닐아크릴레이트, 메틸아다멘틸아크릴레이트, 네오펜틸글리콜벤조네이트아크릴레이트, 2-하이드록시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아다만틸메타아크릴레이트, 알릴메타아크릴레이트, 벤질메타아크릴레이트, 시클로헥실메타아크릴레이트, 디시클로펜타닐메타아크릴레이트, 에폭시시클로헥실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 에틸렌글리콜페닐에테르메타아크릴레이트, 하이드록시부틸메타아크릴레이트, 하이드록시프로필메타아크릴레이트, 이소보닐메타아크릴레이트, 글리시딜메타아크릴레이트, 메틸아다멘틸메타아크릴레이트, 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 메틸글리시딜메타아크릴레이트, 이소부틸아크릴레이트, 터트-부틸아크릴레이트, 라우릴아크릴레이트, 알킬아크릴레이트, 2-하이드록시아크릴레이트, 트리메톡시부틸아크릴레이트, 에틸카르비톨아크릴레이트, 페녹시에틸아크릴레이트, 4-하이드록시부틸아크릴레이트, 2-하이드록시-3-페녹시프로필아크릴레이트 및 이들의 메타아크릴레이트류, 3-플루오로에틸아크릴레이트, 4-플루오로프로필아크릴레이트 및 이들의 메타아크릴레이트류, 트리에틸실록실에틸아크릴레이트 및 이들의 메타아크릴레이트류 중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의 물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특징인 액정표시장치 모듈.
  5. 제 2 항에 있어서,
    가교성 모노머는,
    1,4-부탄디올디아크릴레이트, 1,6-헥산디올디아크릴레이트, 1,3-부틸렌글리콜디아크릴레이트, 네오펜틸글리콜디아크릴레이트, 에틸렌글리콜디아크릴레이트, 디에틸렌글리콜디아크릴레이트, 프로필렌글리콜디메타아크릴레이트, 펜타에리스톨테트라아크릴레이트, 펜타에리트리톨디아크릴레이트, 펜타에리트리톨트리아크릴레이트, 디펜타에리트리톨트리아크릴레이트, 디펜타에리트리톨펜타아크릴레이트, 펜타에리트리톨헥사아크릴레이트 트리에틸렌글리콜디아크릴레이트, 폴리에틸렌글리콜디아크릴레이트, 디펜타에리스리톨디아크릴레이트, 솔비톨트리아크릴레이트, 비스페놀 A 디아크릴레이트 유도체, 트리메틸프로판트리아크릴레이트 및 이들의 메타아크릴레이트류 중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의 물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특징인 액정표시장치 모듈.
  6.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개시제는,
    디아조퀴논(Diazoquinone) 계열 단독 또는 동일계열의 이종 이상 혼합된 물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특징인 액정표시장치 모듈.
  7.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실란커플링제는,
    에폭시가 함유된 2-(3,4 에폭시 사이클로 헥실)-에틸트리메톡시실란, 3-글리시독시트리메톡시실란, 3-글리시독시프로필트리에톡시실란,
    아민기가 함유된 N-2(아미노에틸)3-아미토프로필메틸디메톡시실란, N-2(아미노에틸)3-아미노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N-2(아미노에틸)3-아미노프로필트리에톡시실란, 3-아미노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3-아미노프로필트리에톡시실란, 3-트리에톡시실리-N-(1,3-디메틸뷰틸리덴)프로필아민, N-페닐-3-아미노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머캅토가 함유된 3-머캅토프로필메틸디메톡시실란, 3-머캅토프로필트리에톡시실란,
    이소시아네이트가 함유된 3-이소시아네이트프로필트리에톡시실란 중 어느 하나인 것이 특징인 액정표시장치 모듈.
  8.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패널 측면 지지수단은,
    상기 아크릴계 공중합 수지와 아크릴 단량체 및 가교성 모노머가 98wt% 내지 99.5wt%,
    상기 개시제과 실란커플링제가 0.5wt% 내지 2wt%인 함량비를 갖는 것이 특징이며,
    상기 공중합 수지와 아크릴 단량체와 가교성 모노머는 14:3:3 내지 6:2:2의 함량비를 가지며,
    상기 개시제와 실란 커플링제는 6:4 내지 5:5의 함량비를 갖는 것이 특징인 액정표시장치 모듈.
  9.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패널 측면 지지수단은 UV광 조사에 의해 경화되기 전에는 알코올 분산계 용매를 더 포함하는 것이 특징인 액정표시장치 모듈.
  10.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패널 측면 지지수단은 안료를 포함하는 첨가제를 더 포함하는 것이 특징인 액정표시장치 모듈.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백라이트 유닛은 반사판과 상기 반사판 상에 위치하는 도광판, 상기 도광판 상에 개재되는 다수의 광학시트 그리고 상기 도광판의 일측에 위치하는 광원으로 이루어지는 액정표시장치 모듈.
  12. 수평부와 수직부로 이루어진 커버버툼과; 상기 커버버툼의 수직부의 내측면과 접촉하며 상기 커버버툼의 수평부 상에 안착되는 백라이트 유닛과; 상기 백라이트 유닛 상부로 상기 커버버툼의 수직부 상에 안착되는 액정패널과; 상기 커버버툼과 조립 체결되며, 상기 커버버툼의 수직부 외측으로 상기 커버버툼의 수직부를 둘러싸며 단턱이 구비된 사이드 커버와; 상기 사이드 커버의 단턱에 구비되며 상기 액정패널의 측면과 밀착 고정되어 상기 액정패널을 고정시키는 역할을 하는 패널 측면 지지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패널 측면 지지수단은 UV광에 의해 부피팽창과 경화되는 특성을 갖는 물질로 이루어진 것이 특징인 액정표시장치 모듈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상기 사이드 커버의 단턱에 용액 상태의 패널 측면 지지수단용 액체를 도포하여 경화전의 패널 측면 지지수단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경화전의 패널 측면 지지수단이 형성된 상기 커버버툼의 수직부 상에 상기 경화전의 패널 측면 지지수단과 접촉없이 상기 액정패널을 안착시키는 단계와;
    상기 액정패널이 상기 커버버툼의 수직부 상에 안착된 상태에서 상기 경화전의 패널 측면 지지수단에 UV광을 조사하여 부피가 팽창되도록 하여 상기 액정패널의 측단 접촉한 상태에서 경화되도록 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단턱의 밑면의 길이가 상기 액정패널과 상기 액정패널을 마주 대하는 상기 단턱의 측면 사이의 거리보다 짧은 액정표시장치 모듈의 제조 방법.
  13. 아크릴계 공중합 수지와 아크릴 단량체와 가교성 모노머와 개시제와 실란커플링제로 구성되어 UV광에 반응하여 부피팽창 및 경화되는 것이 특징인 액정표시장치 모듈용 패널 측면 지지수단으로서,
    상기 아크릴계 공중합 수지와 아크릴 단량체 및 가교성 모노머가 98wt% 내지 99.5wt%,
    상기 개시제과 실란커플링제가 0.5wt% 내지 2wt%인 함량비를 갖는 것이 특징이며,
    상기 공중합 수지와 아크릴 단량체와 가교성 모노머는 14:3:3 내지 6:2:2의 함량비를 가지며,
    상기 개시제와 실란 커플링제는 6:4 내지 5:5의 함량비를 갖는 것이 특징인 액정표시장치 모듈용 패널 측면 지지수단.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아크릴계 공중합 수지는,
    상기 지지수단의 시인성 및 경화도에 영향을 끼치는 것으로 폴리스틸렌 환산 중량평균분자량(Mw)이 2000 내지 6000인 것으로, 에폭시 아크릴레이트 수지, 우레탄 아크릴레이트 수지, 폴리에스터 아크릴레이트 수지, 실리콘 아크릴레이트 수지, 아미노 아크릴레이트 수지, 에폭시 메타아크릴레이트 수지, 우레탄 메타아크릴레이트 수지, 폴리에스터 메타아크릴레이트 수지, 실리콘 메타아크릴레이트 수지 및 아미노 메타아크릴레이트 수지 중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의 물질로 이루어지며,
    상기 아크릴 단량체는,
    2-부톡시에틸아크릴레이트, 2-부톡시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2-에톡시에틸아크릴레이트, 2-에톡시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2-에틸-2-아다만틸아크릴레이트, 2-에틸-2-아다만틸메타아크릴레이트, 2-하이드록시에틸아크릴레이트, 2-메틸-2-아다만틸아크릴레이트, 2-메틸-2-아다만틸메타아크릴레이트, 벤질아크릴레이트, 시클로헥실아크릴레이트, 디(에틸렌글리콜)에틸에테르아크릴레이트, 디(에틸렌글리콜)에틸에테르메타아크릴레이트, 디(에틸렌글리콜)메틸에테르메타아크릴레이트, 디시클로펜타닐아크릴레이트, 에폭시아크릴레이트, 에틸렌글리콜메틸에테르아크릴레이트, 에틸렌글리콜페닐에테르아크릴레이트, 하이드록시프로필아크릴레이트, 이소보닐아크릴레이트, 메틸아다멘틸아크릴레이트, 네오펜틸글리콜벤조네이트아크릴레이트, 2-하이드록시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아다만틸메타아크릴레이트, 알릴메타아크릴레이트, 벤질메타아크릴레이트, 시클로헥실메타아크릴레이트, 디시클로펜타닐메타아크릴레이트, 에폭시시클로헥실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 에틸렌글리콜페닐에테르메타아크릴레이트, 하이드록시부틸메타아크릴레이트, 하이드록시프로필메타아크릴레이트, 이소보닐메타아크릴레이트, 글리시딜메타아크릴레이트, 메틸아다멘틸메타아크릴레이트, 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 메틸글리시딜메타아크릴레이트, 이소부틸아크릴레이트, 터트-부틸아크릴레이트, 라우릴아크릴레이트, 알킬아크릴레이트, 2-하이드록시아크릴레이트, 트리메톡시부틸아크릴레이트, 에틸카르비톨아크릴레이트, 페녹시에틸아크릴레이트, 4-하이드록시부틸아크릴레이트, 2-하이드록시-3-페녹시프로필아크릴레이트 및 이들의 메타아크릴레이트류, 3-플루오로에틸아크릴레이트, 4-플루오로프로필아크릴레이트 및 이들의 메타아크릴레이트류, 트리에틸실록실에틸아크릴레이트 및 이들의 메타아크릴레이트류 중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의 물질로 이루어지며,
    상기 가교성 모노머는,
    1,4-부탄디올디아크릴레이트, 1,6-헥산디올디아크릴레이트, 1,3-부틸렌글리콜디아크릴레이트, 네오펜틸글리콜디아크릴레이트, 에틸렌글리콜디아크릴레이트, 디에틸렌글리콜디아크릴레이트, 프로필렌글리콜디메타아크릴레이트, 펜타에리스톨테트라아크릴레이트, 펜타에리트리톨디아크릴레이트, 펜타에리트리톨트리아크릴레이트, 디펜타에리트리톨트리아크릴레이트, 디펜타에리트리톨펜타아크릴레이트, 펜타에리트리톨헥사아크릴레이트 트리에틸렌글리콜디아크릴레이트, 폴리에틸렌글리콜디아크릴레이트, 디펜타에리스리톨디아크릴레이트, 솔비톨트리아크릴레이트, 비스페놀 A 디아크릴레이트 유도체, 트리메틸프로판트리아크릴레이트 및 이들의 메타아크릴레이트류 중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의 물질로 이루어지며,
    상기 개시제는,
    디아조퀴논(Diazoquinone)계열 단독 또는 동일계열의 이종 이상 혼합된 물질로 이루어지며,
    상기 실란커플링제는,
    에폭시가 함유된 2-(3,4 에폭시 사이클로 헥실)-에틸트리메톡시실란, 3-글리시독시트리메톡시실란, 3-글리시독시프로필트리에톡시실란,
    아민기가 함유된 N-2(아미노에틸)3-아미토프로필메틸디메톡시실란, N-2(아미노에틸)3-아미노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N-2(아미노에틸)3-아미노프로필트리에톡시실란, 3-아미노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3-아미노프로필트리에톡시실란, 3-트리에톡시실리-N-(1,3-디메틸뷰틸리덴)프로필아민, N-페닐-3-아미노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머캅토가 함유된 3-머캅토프로필메틸디메톡시실란, 3-머캅토프로필트리에톡시실란,
    이소시아네이트가 함유된 3-이소시아네이트프로필트리에톡시실란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진 것이 특징인 액정표시장치 모듈용 패널 측면 지지수단.
  15.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액정표시장치 모듈용 패널 측면 지지수단은 UV광의 조사 전에는 알코올 분산계 용매에 분산되어 액체 상태를 이루는 것이 특징인 액정표시장치 모듈용 패널 측면 지지수단.
  16.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패널 측면 지지수단은 안료를 포함하는 첨가제를 더 포함하는 것이 특징인 액정표시장치 모듈용 패널 측면 지지수단.
  17.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개시제는 하기의 화학식으로 표현되는 물질을 함유하는 액정표시장치 모듈용 패널 측면 지지수단.
    화학식
    Figure 112017069730030-pat00008

  1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패널 측면 지지수단은 하기의 화학식으로 표현되는 물질을 함유하는 개시제를 포함하는 액정표시장치 모듈.
    화학식
    Figure 112017069730030-pat00009

  19.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패널 측면 지지수단은 하기의 화학식으로 표현되는 물질을 함유하는 개시제를 포함하는 액정표시장치 모듈의 제조 방법.
    화학식
    Figure 112017069730030-pat00010
KR1020110071990A 2011-07-20 2011-07-20 액정표시장치 모듈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1820363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71990A KR101820363B1 (ko) 2011-07-20 2011-07-20 액정표시장치 모듈 및 이의 제조 방법
US13/542,436 US8530009B2 (en) 2011-07-20 2012-07-05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including side supporting means and method of fabricating the same
CN201210243557.9A CN102890347B (zh) 2011-07-20 2012-07-13 具有侧面支撑单元的液晶显示装置及其制造方法
TW101126399A TWI485472B (zh) 2011-07-20 2012-07-20 包含側邊支撐工具之液晶顯示裝置及其製造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71990A KR101820363B1 (ko) 2011-07-20 2011-07-20 액정표시장치 모듈 및 이의 제조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11097A KR20130011097A (ko) 2013-01-30
KR101820363B1 true KR101820363B1 (ko) 2018-01-19

Family

ID=475338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71990A KR101820363B1 (ko) 2011-07-20 2011-07-20 액정표시장치 모듈 및 이의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8530009B2 (ko)
KR (1) KR101820363B1 (ko)
CN (1) CN102890347B (ko)
TW (1) TWI485472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784999B2 (en) * 2013-03-20 2017-10-10 Lg Display Co., Ltd. Liquid crystal display with narrow bezel area
KR102066137B1 (ko) * 2013-07-31 2020-01-14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제조방법
CN103992239A (zh) * 2014-05-12 2014-08-20 洞头县恒立印刷材料有限公司 一种可紫外光固化氨基甲基丙烯酸酯的合成方法
TWI561893B (en) * 2014-10-27 2016-12-11 Au Optronics Corp Display module and assembly method thereof
KR102365173B1 (ko) * 2015-06-10 2022-02-21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백라이트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JP2017120365A (ja) * 2015-12-28 2017-07-06 株式会社ジャパンディスプレイ 表示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
CN111766725B (zh) * 2020-07-23 2022-10-11 合肥京东方光电科技有限公司 一种显示面板、显示装置、制作方法、使用方法
CN112647824B (zh) * 2020-12-21 2022-06-10 中新国际联合研究院 节能自适应调光全息显示材料及全息膜及全息显示玻璃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40176485A1 (en) 2003-03-06 2004-09-09 Acryfoam Ltd . Foamable photo-polymerized composition
US20090147206A1 (en) 2007-10-16 2009-06-11 Samsung Electronics Co., Ltd. End-sealant composition, liquid crystal display panel, and method of manufacturing liquid crystal display panel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03838B1 (ko) * 1999-09-20 2006-07-24 엘지.필립스 엘시디 주식회사 액정 표시장치
US6746725B2 (en) * 2000-08-31 2004-06-08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Acrylic foam pressure sensitive adhesive method thereof
JP3891843B2 (ja) * 2002-01-08 2007-03-14 株式会社日立製作所 液晶表示装置
US6894082B2 (en) * 2002-09-16 2005-05-17 Henkel Corporation Foamable compositions
JP5056372B2 (ja) * 2007-11-22 2012-10-24 ソニー株式会社 バックライト装置及び液晶表示装置
KR101290601B1 (ko) * 2009-05-15 2013-07-29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액정표시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40176485A1 (en) 2003-03-06 2004-09-09 Acryfoam Ltd . Foamable photo-polymerized composition
US20090147206A1 (en) 2007-10-16 2009-06-11 Samsung Electronics Co., Ltd. End-sealant composition, liquid crystal display panel, and method of manufacturing liquid crystal display panel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2890347B (zh) 2015-03-04
TW201305662A (zh) 2013-02-01
TWI485472B (zh) 2015-05-21
US8530009B2 (en) 2013-09-10
US20130021554A1 (en) 2013-01-24
CN102890347A (zh) 2013-01-23
KR20130011097A (ko) 2013-01-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20363B1 (ko) 액정표시장치 모듈 및 이의 제조 방법
US9869893B2 (en)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fabricating the same
US7708451B2 (en) Bottom frame for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backlight assembly an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using the same
US8436957B2 (en)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having good heat radiating function
US9316864B2 (en)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KR101376656B1 (ko) 액정표시장치
US10126580B2 (en)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US20090256796A1 (en)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US10534227B2 (en) Integrated display module and ultra-slim display device
US7567315B2 (en) Liquid crystal display module including hook assembly
CN109324437B (zh) 显示装置
KR101900057B1 (ko) 액정표시장치
KR101292585B1 (ko) 액정표시장치
KR102182780B1 (ko) 접착제와, 이를 이용한 표시장치 및 표시장치 제조 방법
US8419200B2 (en) Backlight unit an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both having a polarization layer with protrusions and grooves
KR20150063836A (ko) 액정표시장치
KR20120124110A (ko) 액정표시장치 모듈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2066076B1 (ko) 액정표시장치
KR20120058339A (ko) 가이드 패널을 포함하는 액정표시장치모듈
KR20060020512A (ko) 액정표시장치
KR20170077954A (ko) 접착제 조성물과, 이를 이용한 표시장치 및 표시장치 제조 방법
KR20170081007A (ko) 열 경화 접착제 조성물과 이를 이용한 표시장치
KR20070082085A (ko) 액정표시장치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50029956A (ko) 액정 표시 장치 및 그의 조립 방법
KR20150016720A (ko) 접착제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