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20512A - 액정표시장치 - Google Patents

액정표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20512A
KR20060020512A KR1020040069359A KR20040069359A KR20060020512A KR 20060020512 A KR20060020512 A KR 20060020512A KR 1020040069359 A KR1020040069359 A KR 1020040069359A KR 20040069359 A KR20040069359 A KR 20040069359A KR 20060020512 A KR20060020512 A KR 2006002051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quid crystal
crystal display
concave
convex portion
unevenne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693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용상
Original Assignee
엘지.필립스 엘시디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필립스 엘시디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필립스 엘시디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693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60020512A/ko
Publication of KR200600205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2051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308Support structures for LCD panels, e.g. frames or bezel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528Polariser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308Support structures for LCD panels, e.g. frames or bezels
    • G02F1/133314Back fram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Liquid Crystal (AREA)

Abstract

하부 편광판과 서포트 메인에 제 1 요철과 제 2 요철을 형성하여, 제작비용을줄이고, 개발일정을 단축시킬 수 있는 액정표시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액정표시장치는 저면에 다수의 제 1 오목부와 제 1 볼록부로 이루어진 제 1 요철이 형성된 하부 편광판을 구비한 액정표시모듈; 및 상기 액정표시모듈을 지지하고, 상면에 제 1 요철에 대응된 다수의 제 2 오목부와 제 2 볼록부로 이루어진 제 2 요철이 형성된 서포트 메인을 포함한다.
하부편광판, 서포트 메인, 백라이트 어셈블리

Description

액정표시장치{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도 1은 종래의 액정표시장치의 평면도를 나타낸 도면.
도 2는 선 A-A'을 따라 절취한 종래의 액정표시장치의 단면도.
도 3은 선 A-A'을 따라 절취한 종래의 다른 액정표시장치의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LCM의 상세 분해도를 나타낸 도면.
도 5a는 본 발명에 따른 액정표시장치의 하부 편광판의 제 1 요철부의 오목부와 서포트 메인의 제 2 요철부의 볼록부를 대응시킨것을 나타낸 도면.
도 5b는 본 발명에 따른 액정표시장치의 하부 편광판의 제 1 요철부의 오목부와 서포트 메인의 제 2 요철부의 오목부를 대응시킨것을 나타낸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액정표시장치를 절취한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액정표시장치를 절취한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100: 액정표시장치 모듈
111: 액정패널 111a: 상부 편광판
111b: 하부 편광판 112a: 반사판
112b: 도광판 112c: 확산시트
112d: 프리즘시트 112e: 프리즘시트
112f: 보호시트 113: 서포트 메인
120: 탑케이스
본 발명은 액정표시장치에 관한것으로, 특히 백라이트를 구비한 액정표시장치에 관한것이다.
최근들어, 평판표시소자에 대한 연구가 활발한데, 그 중에서 각광받고 있는 것으로 액정표시장치(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LCD), FED(Field Emission Display device), ELD(Electro-luminescence Display device), PDP(Plasma Display Panels)등이 있다.
이 중, 액정표시장치는 콘트라스트 비(contrast ratio)가 크고, 계조 표시나 동화상 표시에 적합하며 전력소비가 적다는 특징 때문에 노트북 PC, 데스크탑 모니터, 및 액정TV로 그 영역이 확대되고 있는 추세이다.
통상적으로 상기 액정표시장치는 전계를 이용하여 액정의 광투과율을 주절함으로써 화상이 구현된다. 이를 위하여, LCD는 액정셀들이 매트릭스 형태로 배열되어진 액정패널과, 상기 액정패널을 구동하기 위한 구동회로를 구비한다. 상기 액정패널에는 상기 액정셀들 각각에 전계를 인가하기 위한 화소전극들과 기준전극, 즉 공통전극이 마련된다. 상기 화소전극은 하부기판 상에 액정셀별로 형성되는 반면, 공통전극은 상부기판의 전면에 형성된다. 상기 화소전극들 각각은 스위칭 소자로 사용되는 박막트랜지스터(TFT)에 접속된다. 상기 화소전극은 박막트랜지스터를 통해 공급되는 데이터신호에 따라 공통전극과 함께 액정셀을 구동시킨다.
도 1은 종래의 액정표시장치의 평면도를 나타내며, 도 2는 선 A-A'을 따라 절취한 종래의 액정표시장치의 단면도이고, 도 3은 선 A-A'을 따라 절취한 종래의 다른 액정표시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종래의 액정표시장치는 서포트 메인(36)과 상기 서포트 메인(36)의 내부에 적층되는 백라이트 유닛 및 액정패널과, 상기 서포트 메인(36)의 일측 저면과 측면을 감싸는 커버버텀(미도시)과, 상기 액정패널이 가장자리와 상기 커버버텀(34)을 감싸는 탑케이스(32)를 구비한다.
상기 서포트 메인(36)의 내부에는 반사판(22), 도광판(20), 확산시트(24), 프리즘(26, 28)시트 및 보호 시트(30)가 순차적으로 적층된 백라이트 유닛이 적층되고, 상기 백라이트 유닛 상에 상판(10)과 하판(12) 바깥으로 상부 및 하부 편광판(14, 16a)이 부착된 액정패널이 적층된다.
상기 백라이트 유닛은 광원으로부터의 광을 면광원으로 전환하기 위한 도광판(20)과, 상기 도광판(20)의 배면에 위치하여 상기 도광판(20) 후면으로 방출되는 광을 상기 액정패널 쪽으로 반사시키기 위한 반사판(22)과, 상기 도광판으로부터 출사된 광을 확산시키기 위한 확산시트(24)와, 상기 확산시트(24)로부터의 광을 집광시키기 위한 프리즘 시트(26, 28)와, 상기 프리즘 시트(28)를 보호하기 위한 보호시트(30)로 이루어 진다.
상기 액정패널은 기판상에 블랙매트릭스를 포함한 컬러필터 어레이, 공통전 극 및 배향막이 순차적으로 형성된 상판(10)과, 상기 기판 상에 형성된 박막트랜지스터 어레이를 포함하는 화소전극, 및 배향막이 순차적으로 형성된 하판(12)과, 상기 상판(10) 상에 부착된 상부 편광판(14),과 상기 하판(12) 아래에 부착된 하부 편광판(16a)과, 상기 상판(10)과 하판(12)사이의 갭을 유지시키는 도시되지 않는 스페이서와, 상기 상판(10)과 하판(12)사이의 공간에 주입된 액정으로 구성된다. 상기 액정패널의 가장자리에는 블랙매트릭스영역과, 게이트 패드들과 데이터 패드들이 존재하는 패드영역이 존재한다.
상기 탑케이스(32)는 상기 액정패널과 여러 광학시트들의 표면 가장자리 및 측면을 감싸도록 설치된다. 상기 탑케이스(32)는 상기 액정패널의 가장자리를 감싸므로 외부충격으로부터 상기 액정패널을 보호하게 된다.
상기 서포트 메인(36)은 상기 백라이트 유닛상에 설치됨과 아울러 상기 액정패널을 안착시킴으로써 액정표시장치 전체를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예를 들어, 200nit 정도의 밝은 휘도를 갖는 액정표시장치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 편광판(16a)과 시트들의 최상위층인 보호시트(30)와 갭이 0이 되는 구조로 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액정표시장치는 램프의 열에 의한 시트들의 주름 현상을 방지하기 위해서 하부 편광판(16a)과 시트들의 최상위층인 보호시트(30) 사이에 갭이 0이 되도록 제작된다. 그리고, 밝은 휘도를 갖도록 하기 위해서는 상기 하부 편광판(16a)은 특수한 편광판을 적층시켜서 두껍게 제작된다. 이때 특수한 편광판은 액정표시장치가 밝은 휘도를 갖도록 해주는 역할을 한다. 그래서 상기 하부 편광판(16a)은 두껍게 제작되는 것이다.
그런데, 액정표시장치는 모델마다 각각 다른 구조로 되어 있다. 여기서, 150nit 정도의 휘도를 갖는 액정표시장치의 경우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 편광판은 얇게 제작된다. 이때, 상기 하부 편광판은 보통의 휘도를 갖도록 하는 노멀한 편광판이다. 그래서, 상기 하부 편광판(16a)보다 얇게 제작되는 것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미 제작된 액정표시장치의 서포트 메인의 금형에 얇게 제작된 하부 편광판(16b)을 적층했을때, 상기 하부 편광판(16b)과 시트들의 최상위층인 보호시트(30) 사이에 갭이 존재한다. 상기 갭으로 인해서, 램프의 열로 인한 주름 현상(wringkle)이 나타나게 된다. 따라서 상기 하부 편광판(16b)과 시트들의 최상위층인 보호시트(30)와의 갭을 0으로 만들어 주기 위해서는 서포트 메인의 금형을 새로 제작하거나, 금형을 새로 수정해야 하는 경우가 발생하게 된다. 이에 따라, 개발일정이 지연되고, 금형비나 수정비에 따른 비용이 첨부된다.
본 발명은 서포트 메인과 하부 편광판의 양측면에 요철을 형성하여 어셈블리 조합만으로 하부 편광판과 시트들의 최상위층인 확산시트 사이에 갭이 존재하지 않도록 하여 비용을 절감시키고 개발 일정을 단축하는데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저면에 다수의 제 1 오목부와 제 2 볼록부로 이루어진 제 1 요철이 형성된 하부 편광판을 구비한 액정표시모듈과 상기 액정표시모듈을 지지하고, 상면에 제 1 요철에 대응된 다수의 제 2 오목부와 제 2 볼록부로 이루어진 제 2 요철이 형성된 서포트 메인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액정표시모듈의 상세 분해도이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액정표시모듈(100)은 백라이트부(112)와 액정패널(111)로 구분되며, 상기 백라이트부(112)와 상기 액정패널(111)은 서포트 메인(113)과 탑케이스(120)에 의하여 지지된다. 플라스틱 재질의 상기 서포트 메인(113) 위에 상기 백라이트부(112)로서 반사판(112a)과 도광판(112b) 및 확산 또는 보호시트(112c)와 제 1 프리즘시트(112d) 및 제 2 프리즘시트(112e)와 확산 또는 보호시트(112f) 및 액정패널(111)이 차례로 적층되어 구성된다.
한편, 상기 백라이트부(112)는 상측으로 금속재질의 탑케이스(120)과 결합되며 하부에는 상기 서포트 메인(113)에 의하여 지지된다. 또한 상기 액정패널(111)의 상하면에는 상부 편광판(111a)과 하부 편광판(111b)이 장착된다.
상기 도광판(112b)은 상기 서포트 메인(113)의 상면에 적재되는데, 일반적으로, 상기 서포트 메인(113)은 플라스틱 재질로서 몰드가공에 의하여 구성된다.
상기 하부 편광판의 저면으로 다수의 제 1 요철이 형성되고, 상기 서포트 메인의 상면으로 제 2 요철이 형성된다. 여기서, 제 1및 제 2 요철은 각각 움푹들어간 제 1 및 제 2 오목부와 돌출된 제 1 및 제 2 볼록부로 이루어진다.
도 5a는 본 발명에 따른 액정표시장치의 하부 편광판의 제 1 요철의 제 1 오목부와 서포트 메인의 제 2 요철의 제 2 볼록부를 대응시킨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 편광판(111b)과 서포트 메인(113)의 가장자 리에 각각 제 1 및 제 2 요철을 형성한다. 필요에 따라 양측 가장자리, 4면 가장자리에 요철을 형성한다. 상기 하부 편광판(111b)의 제 1 요철보다 서포트 메인(113)의 제 2 요철을 소정의 깊이만큼 더 크게 형성된다.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밝은 휘도를 갖도록 요구되는 액정표시장치는 상기 하부 편광판(111b)의 제 1 요철의 제 1 오목부(c')를 상기 서포트 메인(113)의 제 2 요철의 제 2 볼록부(d")와 대응되도록 적층시킨다.
예를 들어, 200nit 정도의 밝은 휘도를 갖도록 요구되는 액정표시장치는 하부 편광판(111b)의 제 1 요철의 제 1 오목부(c')가 서포트 메인(113)의 제 2 요철의 제 2 볼록부(d")와 대응하도록 적층시켜 제작된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액정표시장치를 절취한 단면도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하부 편광판(111b)과 시트들의 최상위층인 보호시트(112f) 사이의 갭이 존재하지 않게 된다. 따라서, 램프의 열로 인해 발생되는 주름을 방지 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150nit 정도의 휘도를 갖도록 요구되는 액정표시장치는 새로운 하부 편광판과 서포트 메인을 제작하지 않고 200nit 정도의 휘도를 갖는 액정표시장치의 백라이트 어셈블리 조합만으로 제작이 가능하다.
상기 200nit 정도의 휘도를 갖는 액정표시장치의 하부 편광판(111b)의 제 1 요철의 제 1 볼록부(d')는 서포트 메인(113)의 제 2 요철의 제 2 볼록부(d")와 상기 하부 편광판(111b)의 제 1 요철의 제 1 오목부(c')는 상기 서포트 메인의 제 2 요철의 제 2 오목부(c")를 서로 대응하도록 적층시킨다. 따라서, 밝은 휘도에 요구되는 액정표시장치에서 백라이트 어셈블리 조합만으로 좀 더 어두운 휘도를 갖도록 요구되는 액정표시장치가 제작 될 수 있다.
도 5b는 본 발명에 따른 액정표시장치의 하부 편광판의 제 1 요철의 제 1 오목부와 서포트 메인의 제 2 요철의 제 2오목부를 대응시킨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여기서, 상기 하부편광판의 제 1 요철의 제 1 볼록부는 상기 서포트 메인의 제 2 요철의 제 2 볼록부와 대응된다.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하부 편광판(111b)의 제 1 요철의 제 1 오목부(c')는 상기 서포트 메인(113)의 제 2 요철의 제 2 오목부(c")와 대응되도록 적층된다. 그리고 상기 하부 편광판(111b)의 제 1 요철의 제 1 볼록부(d')는 상기 서포트 메인(113)의 제 2 요철의 제 2 볼록부(d")와 대응 되도록 적층시킨다. 이때, 상기 하부 편광판(111b)과 시트들의 최상위층인 보호시트(112f)사이의 갭이 존재하지 않게 된다. 이는 도 7을 통해서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액정표시장치를 절취한 단면도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액정표시장치는 상기 하부 편광판의 제 1 요철의 제 1 오목부(c')와 상기 서포트 메인의 제 2 요철의 제 2 볼록부(d")와 대응 되도록 적층되어 제작된다. 이때 상기 액정표시장치의 휘도는 도 6에 도시된 액정표시장치보다 좀더 어둡게 제작된다.
상기 하부 편광판(111b)의 제 1 요철에 움푹 들어간 제 1 오목부(c')는 상기 서포트 메인(113)의 제 2 요철에 움푹 들어간 제 2 오목부(c")와 대응 되도록 적층시킨다. 그리고 상기 하부 편광판(111b)의 제 1 요철에 둘출된 제 1 볼록부(d')는 상기 서포트 메인(113)의 제 2 요철에 돌출된 제 2 볼록부(d")와 대 응되도록 적층시킨다. 이때,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하부 평관판(111b)와 시트들의 최상위층인 보호시트(112f) 사이에 갭이 존재하지 않는다. 따라서, 램프의 열로 인해 시트위에 발생하는 주름을 방지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좀더 어두운 휘도를 갖도록 요구되는 액정표시장치는 새로운 서포트 메인을 제작하거나 수정하지 않고 밝은 휘도를 갖는 액정표시장치의 백라이트 어셈블리 조합만으로 제작이 가능하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액정표시장치는 하부 편광판에 제 1 요철을 형성하고, 서포트 메인에 제 2 요철을 형성한다. 이때, 상기 요철은 각각 움푹 들어간 오목부와 돌출된 볼록부로 이루어져 있다. 여기서, 상기 액정표시장치는 램프의 열로 인한 주름을 방지하기 위해서 상기 하부 편광판과 시트들의 최상위층인 보호시트 사이의 갭이 존재하지 않도록 제작되어야 한다. 상기 액정표시장치가 밝은 휘도를 갖도록 요구 되면, 상기 하부 편광판의 제 1 요철의 제 1 오목부와 상기 서포트 메인의 제 2 요철의 제 2 볼록부가 대응되도록 적층시킨다. 그리고, 상기 하부 편광판의 제 1 요철의 제 1 볼록부는 상기 서포트 메인의제 2 요철의 제 2 오목부와 대응되도록 적층시킨다. 이때, 상기 하부 편광판(111b)과 시트들의 최상위층인 보호시트(112f)과의 갭은 0이되어 램프의 열로 인한 주름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어두운 휘도를 갖는 액정표시장치가 요구되면, 상기 하부 편광판의 제 1 요철의 제 1 오목부와 상기 서포트 메인의 제 2 요철의 제 2 오목부가 대응되도록 적층시킨다. 그리고 상기 하부 편광판의 제 1 요철의 제 1 볼록부는 상기 서포트 메인의 제 2 요철의 제 2 볼록부와 대응 되도록 적층시킨다. 여기서, 휘도에 따라 요구되는 액정표시장치를 제작할때, 상기 하부 편광판과 상기 서포트 메인을 새롭게 제작하지 않고 어셈블리 조합만으로 제작이 가능하다. 따라서, 밝은 휘도를 갖는 액정표시장치의 하부 편광판과 서포트 메인을 사용하여 좀더 어두운 휘도를 갖는 액정표시장치를 제작할 수 있다. 그래서, 서포트 메인을 새로 제작하거나 수정하는 데 드는 제작비와 수정비가 절감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하부 편광판의 제 1 요철과 서포트 메인의 제 2 요철을 형성하여 어셈블리 조합만으로 요구되는 휘도에 따라 램프의 열로 인해 발생하는 주름을 방지하면서, 새롭게 하부 편광판과 서포트 메인을 제작하지 않기 때문에, 비용이 감소되고 개발일정이 단축 될 수 있다.

Claims (6)

  1. 저면에 다수의 제 1 오목부와 제 1 볼록부로 이루어진 제 1 요철이 형성된 하부 편광판을 구비한 액정표시모듈;
    상기 액정표시모듈을 지지하고, 상면에 제 1 요철에 대응된 다수의 제 2 오목부와 제 2 볼록부로 이루어진 제 2 요철이 형성된 서포트 메인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편광판의 두께는 휘도 밝기에 따라 달라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휘도 밝기가 높아 상기 하부 편광판의 두께가 증가된 경우, 상기 제 1 요철의 제 1 볼록부는 상기 제 2 요철의 제 2 오목부에 대응되고, 상기 제 1 요철의 제 1 오목부는 상기 제 2 요철의 제 2 볼록부에 대응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휘도 밝기가 낮아 상기 하부 편광판 두께가 감소된 경우, 상기 제 1 요철의 제 1오목부는 상기 제 2 요철의 제 2 오목부에 대응되고, 상기 제 1 요철의 제 1 볼록부는 상기 제 2 요철의 제 2 볼록부에 대응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요철은 상기 하부 편광판의 양측 테두리에 형성되고, 상기 제 2 요철은 상기 제 1 요철에 대응되도록 상기 서포트 메인의 양측 테두리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요철은 상기 하부 편광판의 모든 가장자리의 테두리에 형성되고, 상기 제 2 요철은 상기 제 1 요철에 대응되도록 상기 서포트 메인의 모든 가장자리 테두리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장치.
KR1020040069359A 2004-08-31 2004-08-31 액정표시장치 KR2006002051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69359A KR20060020512A (ko) 2004-08-31 2004-08-31 액정표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69359A KR20060020512A (ko) 2004-08-31 2004-08-31 액정표시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20512A true KR20060020512A (ko) 2006-03-06

Family

ID=371276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69359A KR20060020512A (ko) 2004-08-31 2004-08-31 액정표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60020512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743887B2 (en) 2007-10-09 2014-06-03 Qualcomm Incorporated Methods and apparatus for mobility support and IP multimedia subsystem (IMS) registration in a multimode network environment
US8780857B2 (en) 2007-10-09 2014-07-15 Qualcomm Incorporated Methods and apparatus for mobility support between network domains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743887B2 (en) 2007-10-09 2014-06-03 Qualcomm Incorporated Methods and apparatus for mobility support and IP multimedia subsystem (IMS) registration in a multimode network environment
US8780857B2 (en) 2007-10-09 2014-07-15 Qualcomm Incorporated Methods and apparatus for mobility support between network domain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403802B (zh) 具有改良光導板之背光組件及具有該背光組件之顯示器裝置
US8432525B2 (en) Backlight unit an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having the same
US7764331B2 (en) Liquid crystal display with the frame having chamfer
KR20080077569A (ko) 액정 표시 장치
US20080055518A1 (en) Light weight liquid crystal display
KR20120068499A (ko) 백라이트 유닛 및 이를 구비한 액정표시장치
US10718966B2 (en)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US20160334560A1 (en) Display device including accommodating member
US10718965B2 (en)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KR101292585B1 (ko) 액정표시장치
US20160363804A1 (en) Display device
KR101929378B1 (ko) 액정표시장치
US20070013825A1 (en) Liquid crystal display
KR20070004335A (ko) 액정표시장치
KR20120057388A (ko) 백라이트 유닛 및 이를 구비한 액정표시장치
KR20120067205A (ko) 백라이트 유닛, 이를 구비한 액정표시장치 및 그 조립방법
KR101898588B1 (ko) 디스플레이 장치
KR101737799B1 (ko) 차광테이프와 이를 적용한 백라이트 유닛 및 이를 구비한 액정표시장치
KR20160080857A (ko) 백라이트 유닛 및 이를 구비한 액정표시장치
KR102082679B1 (ko) 액정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101200885B1 (ko) 액정 표시 모듈
KR20060020512A (ko) 액정표시장치
KR101753910B1 (ko) 액정표시장치
KR101749750B1 (ko) 백라이트 유닛 및 액정표시장치
KR101510906B1 (ko) 액정표시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