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75981B1 - 조정가능한 형상을 가지는 감압 조절기 - Google Patents

조정가능한 형상을 가지는 감압 조절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75981B1
KR101375981B1 KR1020087024580A KR20087024580A KR101375981B1 KR 101375981 B1 KR101375981 B1 KR 101375981B1 KR 1020087024580 A KR1020087024580 A KR 1020087024580A KR 20087024580 A KR20087024580 A KR 20087024580A KR 101375981 B1 KR101375981 B1 KR 10137598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ston
bore
wheel
bonnet
slee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70245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112276A (ko
Inventor
에릭 더블유. 누만
토드 윌리엄 라르센
Original Assignee
테스콤 코포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테스콤 코포레이션 filed Critical 테스콤 코포레이션
Publication of KR200801122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11227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759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7598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DSYSTEMS FOR CONTROLLING OR REGULATING NON-ELECTRIC VARIABLES
    • G05D16/00Control of fluid pressure
    • G05D16/04Control of fluid pressure without auxiliary power
    • G05D16/10Control of fluid pressure without auxiliary power the sensing element being a piston or plunger
    • G05D16/103Control of fluid pressure without auxiliary power the sensing element being a piston or plunger the sensing element placed between the inlet and outlet
    • G05D16/106Sleeve-like sensing elements; Sensing elements surrounded by the flow path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137/00Fluid handling
    • Y10T137/2496Self-proportioning or correlating systems
    • Y10T137/2544Supply and exhaust typ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137/00Fluid handling
    • Y10T137/7722Line condition change responsive valves
    • Y10T137/7781With separate connected fluid reactor surface
    • Y10T137/7793With opening bias [e.g., pressure regulator]
    • Y10T137/7808Apertured reactor surface surrounds flow lin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137/00Fluid handling
    • Y10T137/7722Line condition change responsive valves
    • Y10T137/7781With separate connected fluid reactor surface
    • Y10T137/7834Valve seat or external sleeve moves to open valv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Control Of Fluid Pressure (AREA)
  • Safety Valves (AREA)
  • Fluid-Pressure Circuits (AREA)
  • Mechanically-Actuated Valv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입구 포트와 출구 포트사이의 유체 흐름을 제어하기 위한 조절기와 같은 흐름 제어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장치의 출구 압력을 변화시키고 상기 장치를 폐쇄하는데 요구되는 압력을 포함하는 내부 조정 메카니즘을 구비한다. 상기 장치는 상기 장치의 하우징을 형성하고 내부 장치 캐비티를 한정하기 위하여 분리가능하게 부착되는 몸체 및 본넷트와 같은 제 1 및 제 2 구성품을 포함할 수 있다. 피스톤은 상기 장치의 캐비티에 배치되어서 그 곳내에서 이동가능하며, 상기 장치 캐비티의 내부면과 유체 밀봉관계로 있다. 상기 구성품들과 피스톤은 내부 포트를 상기 출구 포트와 유체 소통시키는 상기 장치 캐비티내에 채널을 한정하도록 형성되며, 상기 피스톤은 유체 흐름을 방지하는 폐쇄 위치와, 상기 출구 포트로 유체 흐름을 허용하는 개방 위치사이에서 이동가능하다. 상기 내부 조정 메카니즘은 상기 피스톤이 폐쇄 위치로 이동하는 출구 압력을 증가시키거나 또는 감소시키기 위하여 어느 방향으로든 회전될 수 있는 휠 형태가 될 수 있다. 상기 하우징의 종방향 축으로부터 오프셋된 배출 포트는 상기 조정 메카니즘의 조작을 위하여 상기 장치의 내부에의 접근을 제공할 수 있다.
조절기, 하우징, 캐비티, 본넷트, 몸체, 채널, 휠, 배출 포트, 내부 조정 메 카니즘

Description

조정가능한 형상을 가지는 감압 조절기{PRESSURE REDUCING REGULATOR WITH ADJUSTABLE FEATURE}
본 발명은 본원에 참조로서 그 전체가 합체되어 있는 2006년 3월 10일자로 출원된 미국 가 특허출원 제 60/781,243 호를 기초로 한다.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감압 조절기(pressure reducing regulator)와 같은 직렬식 흐름 제어 장치(in-line flow control device)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상기 조절기를 폐쇄하기 위하여 요구되는 압력을 포함하는 출구 압력을 변화시키기 위한 조정 메카니즘(adjustment mechanism)을 구비하는 감압 조절기에 관한 것이다.
감압 조절기와 같은 흐름 제어 장치는 일반적으로 본 기술 분야에서 공지되어 있다. 예를 들면, 라크만(Lachmann) 등에게 허여된 미국 특허 제 4,476,888 호는, 전방의 출력 챔버, 상기 출력 챔버에 인접되고 그 후방에 있는 후방 흡입 챔버 및, 상기 챔버들 사이에 놓여 있는 밸브 시트로 형성되는 밸브 하우징을 구비하는 과압력(overpressure) 제어 밸브를 기재하고 있다. 밸브 몸체는 시트 위의 폐쇄 위치내로 상기 밸브 시트를 향하여 전방으로 상기 하우징 내에서 이동할 수 있으며, 상기 챔버들 사이의 흐름을 차단하며, 상기 밸브 시트로부터 후방으로 상기 챔버들 사이의 흐름을 허용하는 개방 위치로 이동한다. 상기 몸체는 상기 챔버들에 서 적어도 하나의 전방으로 향하는 면(face)과, 적어도 하나의 후방으로 향하는 면을 가진다. 상기 전방으로 향하는 면의 유효 표면적은 후방으로 향하는 면의 표면적보다 더 크다. 소정의 일반적으로 일정한 편향력(biasing force)을 가지고 스프링은 상기 밸브를 개방 위치인 전방으로 가압함으로써, 전방 면상에 후방으로 작용하는 압력이 스프링 력과 후방 면위의 압력 둘 다를 극복할 때에 상기 밸브 몸체는 상기 스프링에 대하여 후방인 폐쇄 위치로 이동하게 된다.
골드(Gold)에게 허여된 미국 특허 제 4,667,695 호는 2단 릴리프 밸브(a two stage relief valve)를 기재하고 있으며, 여기에서 파이럿 흐름(pilot flow)은 이것의 최대 작동 압력 범위로 연장하고 또한 이것의 작동 특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소정의 특정 최대 레벨까지 활성적인(active) 흐름 제어 요소에 의하여 제한된다. 하류 흐름(downstream) 오리피스는 고정된 면적 형태로 완전 개방될 수 있거나, 스프링 또는 솔레노이드 편향 부재에 의하여 제어될 수 있다. 상기 하류 흐름 오리피스 솔레노이드 또는 스텝퍼 모터(stepper motor)가 작동됨으로써, 상기 릴리프 압력 레벨은 전기 입력 신호에 반응한다.
밀러(Miller)에게 허여된 미국 특허 제 5,501,247 호는, 유체 압력 조절기에서, 그 조합이, 캐비티(cavity)와 상기 캐비티위로 연장되는 몸체위의 캡을 형성하는 몸체로서, 상기 캡과 몸체는 상기 몸체위의 캡의 회전 보상을 허용하는 상호결합 나사(interengaging thread)를 지니게 되어 있는 상기 몸체와, 상기 캐비티에 있으며 상기 몸체에 의하여 형성되는 렛지(ledge)위에 안착되어서 밀봉부(seal)를 형성하는 다이아프램(diaphragm)과, 상기 밀봉부에 캡 압력을 전달하도록 캐비티에 있는 압력 전달 요소(pressure transmitting element)와, 상기 캡에 있는 스프링과, 상기 캐비티내에 있으며 스프링 압력을 상기 다이아프램으로 전달하기 위하여 축방향으로 이동가능한 구조물 및, 상기 압력 전달 요소와 상기 몸체 및 상기 구조물중의 적어도 하나 사이에서 상대 회전 운동을 차단하기 위한 차단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몸체는 흐름 포팅(flow porting)을 가지며, 상기 몸체에 있고 상기 포팅을 통해 유체 흐름을 제어하기 위하여 이동가능한 포핏(poppet)이 존재하며, 상기 포핏은 상기 구조물과의 축방향 운동을 위하여 지탱된다.
라르센(Larsen)에게 허여된 미국 특허공개 제 2004/0216781 호는, 하우징에 나사 결합되는 핏팅의 관형부와 동축으로 정렬되는 관형부를 가진 하우징을 포함하는 직렬식(inline) 흐름 제어 장치를 기술하고 있다. 피스톤은 관통하여 연장되는 보어를 가지고, 관형부는 축방향으로 이격된 관계에서 이 보어 내로 연장되며, 상기 피스톤이 상기 장치를 통한 유체 흐름을 차단하기 위하여 차단 위치로 상기 관형부에 대해 축방향으로 이동할 때에, 상기 핏팅 관형부는 피스톤의 내부 숄더(internal shoulder)에 대하여 접촉하기 위하여 밸브 시트를 장착한다. 상기 피스톤의 확대된 직경부의 저부면은 양쪽 피스톤 위치에서 상기 피스톤 보어와 유체 소통하게 되지만, 상기 피스톤이 이것의 차단 위치에 있을 때에 몸체의 고압 입구와 유체 소통은 하지 않는다. 스프링은 상기 피스톤을 이것의 차단 위치에서 탄성적으로 가압한다. 2개의 실시예는 압력 조절기인 반면에, 제 3 실시예는 균형 밸브(balanced valve)이다.
본 발명의 하나의 특징에서, 본 발명은 흐름 제어 장치의 출구 압력을 변화시키기 위한 내부 조정 메카니즘을 가지는 흐름 제어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장치를 폐쇄하기 위하여 요구되는 압력을 포함한다. 상기 장치는 이 장치의 하우징을 형성하기 위해 분리가능하게 부착되며 내부 장치의 캐비티를 규정하는 몸체와 본넷트(bonnet)와 같은 제 1 및 제 2 구성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구성품 중의 하나는 그것에 부착되는 유체 소스(fluid source)로 부터 가압 유체를 수용하기 위한 입구 포트를 포함하고, 상기 동일 구성품 또는 구성품중의 다른 것은 가압 유체를 방출하기 위한 출구 포트를 포함한다. 피스톤은 상기 장치 캐비티 내에 배치되어서 이동가능하며, 그리고 상기 장치 캐비티의 내부면과 유체 밀봉 관계로 된다. 상기 구성품들과 상기 피스톤은 입구 포트를 출구 포트와 유체 소통시키는 장치 캐비티내의 채널을 한정하고, 상기 채널 내에 밸브 시트를 배치하기 위하여 형성될 수 있으므로, 상기 피스톤의 내부면이 밸브 시트에 결합되어 출구 포트로의 유체 흐름을 방지하는 폐쇄 위치와, 상기 피스톤의 내부면이 상기 밸브 시트로부터 분리되어 출구 포트로의 유체 흐름을 허용하는 개방 위치사이에서 이동하게 된다. 상기 피스톤의 표면이 출구 포트와 유체 소통할 수 있도록 상기 피스톤이 부가로 형성됨으로써, 상기 출구 포트에서의 증가되는 압력은 상기 개방 위치로부터 폐쇄 위치로의 방향에서 상기 피스톤의 표면상에 가압 유체에 의하여 적용되는 힘의 증가를 발생시킨다.
상기 흐름 제어 장치는 상기 폐쇄 위치로부터 개방 위치로 상기 피스톤을 편향시키는 스프링과, 상기 장치 캐비티내에 원통형 부재 위에 배치된 내부 나사 보어를 가지며 스프링에 결합하는 휠, 기어 또는 유사한 구성품을 또한 포함함으로써, 한 방향으로의 휠 또는 기어의 회전은 상기 휠을 상기 원통형 부재를 따라서 축방향으로 이동시켜 상기 스프링을 압축하고 상기 피스톤을 개방 위치로부터 폐쇄 위치로 이동시키는데에 필요한 출구 압력을 증가시키며, 반대 방향으로의 휠 또는 기어의 회전은 상기 휠을 상기 원통형 부재를 따라 축방향으로 이동시켜 상기 스프링을 감압시키고 상기 피스톤을 개방 위치로부터 폐쇄 위치로 이동시키는데 필요한 출구 압력을 감소시킨다. 상기 흐름 제어 장치는 상기 하우징의 외부면으로부터 내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휠 또는 기어에 근접한 상기 장치 캐비티와 교차하는 보어를 부가로 포함할 수 있으므로, 상기 휠 또는 기어의 표면은 적절한 조정 공구에 의해서 상기 휠 또는 기어를 어느 방향으로도 회전시키도록 결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보어의 종방향 축은 상기 장치의 종방향 축에 평행하고 오프셋(offest)되게 배향된다.
도 1은 유체가 관통하여 흐를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개방 위치에 있는 본 발명에 따른 감압 조절기의 단면도이다.
도 1A는 도 1의 감압 조절기 일부의 확대된 단면도이다.
도 2는 관통하여 흐르는 유체 흐름을 차단하기 위하여 폐쇄 위치에 있는 도 1의 감압 조절기의 단면도이다.
도 3A는 그 곳내로 삽입되는 조정 공구를 구비하는 도 1의 감압 조절기의 상부도이다.
도 3B는 관통하여 흐르는 유체 흐름을 차단하기 위하여 폐쇄 위치에 있는 도 1의 감압 조절기와, 저압 상태로 있는 감압 조절기를 폐쇄하기 위한 조정 공구 및 스프링을 또한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4는 유체가 관통하여 흐를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개방 위치에 있는 본 발명에 따른 감압 조절기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5는 관통하여 흐르는 유체 흐름을 차단하기 위하여 폐쇄 위치에 있는 도 1의 감압 조절기와, 저압 상태에 있는 감압 조절기를 폐쇄하기 위한 스프링을 또한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다음의 설명이 본 발명의 수많은 다른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일지라도, 본 발명의 법적인 범위는 본 발명의 말미에 있는 청구범위의 용어에 의하여 한정된다는 점을 이해해야만 한다. 이러한 상세한 설명은 단지 예시적으로 해석되고, 불가능하지 않지만 모든 가능한 실시예를 기술하는 것이 비현실적이기 때문에 본 발명의 모든 가능한 실시예를 기술하지 않는다. 현재 기술이나 본 특허 출원일 이후에 발전되는 기술을 사용하여서 수많은 다른 실시예가 구현될 수 있고, 이것은 본 발명을 한정하는 청구범위 내에 여전히 포함될 것이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이, "용어 ' '는 여기에서 ...를 의미하는 것으로 한정된다" 또는 유사한 문장을 사용하여 본원에서 용어가 명확히 한정되지 않는다면, 이것의 평이하거나 또는 통상적인 의미 이상으로 명확히든 또는 암시적으로든 상기 용어의 의미를 한정하는 의도는 없으며, 이러한 용어는 본원의 어떠한 섹션에서도 이루어지는 어떠한 언급(청구범위의 용어와는 다른)도 기초로 하여서 그 범위내에 한정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아야만 한다. 본원의 끝에 있는 청구범위에서 인용되는 어떠한 용어도 단일 의미와 일치되는 방식으로 본원에서 언급되는한, 이는 독자를 혼동시키지 않을 정도까지만의 명료함을 위하여 이루어지는 것이고, 청구범위의 용어는 암시 등에 의해서 단일 의미로 제한되는 의도는 아니다. 마지막으로, 청구범위의 요소가 어떠한 구성의 인용이 없이 용어 "수단" 및 작용을 인용함으로써 한정되지 않으면, 어떠한 청구범위 요소의 범위는 U.S.C. § 112, 6절을 기초로 하여서 해석되는 의도는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감압 조절기(10)와 같은 흐름 제어 장치의 제 1 실시예를 도시하며, 이것은 몸체(12), 그것에 분리가능하게 부착된 본넷트(14) 및, 이들 구성품들이 감압 조절기(10)의 하우징을 형성하기 위하여 분리가능하게 부착될 때에 상기 몸체(12) 및 본넷트(14)의 내부면에 의하여 한정되는 장치 캐비티 내에 배치되고 슬라이드가능한 피스톤(16)을 포함한다. 상기 몸체(12)는 입구 포트(20)로부터 상기 몸체(12)의 환형 상부 에지(22)까지 상기 몸체(12)를 통하여 연장되는 축방향 보어(18)를 한정하는 내부면을 포함한다. 명료함을 목적으로, 정상부, 저부, 상부(의) 및 하부(의)와 같은 방향 표시는 조절기의 배향과 일치되는 도면에서 도시된 바와 같은 감압 조절기의 구성품의 공간적인 관계를 도시하기 위하여 사용된다. 그러나, 당업자는 상기 감압 조절기는 주어진 실시를 위하여 필요한 어떠한 배향으로도 설치될 수 있으며, 본 명세서에서 정상부 및 하부 요소로 기재된 요소들은 그 배향에 따라 왼쪽 및 오른쪽, 오른쪽 및 왼쪽, 또는 하부 및 상부 요소가 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상기 몸체(12)의 축방향 보어(18)를 한정하는 내부면은 입구 포트(20)에 근접된 하부 또는 입구부(24)와, 상기 입구부(24)보다 더 큰 직경을 가지는 중간부(26) 및, 상기 중간부(26)보다 훨씬 더 큰 직경을 가지며 상부 에지(22)로 상향으로 연장되는 상부(28)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입구부(24) 및 중간부(26)사이의 내부면 부분은 축방향 보어(18)의 저부벽(30)을 한정하며, 상기 중간부(26) 및 상부(28)사이의 내부면 부분은 축방향 보어(18)의 숄더(32)를 한정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내부면의 입구부(24)는, 상기 입구부(24)와 피스톤(16)의 대응되는 구성품사이에 밀봉부를 형성하는 O-링(34)을 수용하기 위한 저부벽(30)에 근접된 홈을 제공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입구부(20)로부터 저부벽(30까지 균일한 직경을 가지는 축방향 보어(18)의 부분을 한정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몸체를 용이하게 제조하기 위하여,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입구부(24)는, 상기 내부면의 입구부(24)가 슬리브(38), 필터(40) 및 스냅-피트 링(snap-fit ring)(42)은 물론 상기 O-링(34) 및 백-업 링(back-up ring)(36)의 삽입을 수용하기 위하여 상기 저부벽(30)으로부터 상기 입구 포트(20)를 향하여 진행할 때에, 점진적으로 증가하는 직경을 가진다. 립 부분(lip portion)(24)은 상기 슬리브(38)의 상부 에지와, 상기 O-링(34)과 백-업 링(36)을 수용하기 위한 입구부(24)의 부가의 숄더(48)사이의 갭을 제공하기 위하여 상기 슬리브(38)의 대응되는 외부 숄더(46)에 결합하도록 형성되는 숄더(44)를 한정할 수 있다. 필터(40)는 상기 슬리브(38)의 후방에 상기 입구 포트(20)를 통하여 삽입될 수 있고 슬리브(38)의 저부 에지에 접촉할 수 있으며, 상기 입구 포트(20)에 근접한 입구부(24)에서 대응되는 홈내로 가압될 수 있는 스냅-피트 링(42)에 의하여 그 자리에 유지될 수 있다. 유지 목적을 위하여, 상기 링(42)은 입구부(24)의 홈 바깥쪽으로 잡아당겨질 수 있으므로, 상기 O-링(34), 백-업 링(36), 슬리브(38) 및 필터(40)는 상기 입구부(24)의 바깥쪽으로 잡아당겨질 수 있다.
상기 본넷트(14)는 상기 몸체(12)에 분리가능하게 부착하기 위하여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본넷트(14)의 정상부(52)로부터 외향으로 연장되는 환형부(5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본넷트(14)의 환형부(50)는 이것의 외부면 위의 외부 나사(54)를 가질 수 있으며, 상기 외부 나사는 본넷트(14)가 상기 몸체(12)내로 나사결합되도록 허용하기 위하여 상기 몸체(12)의 내부면의 상부(28)의 내부 나사(56)와 결합하며 이에 하향으로 대면되는 숄더(58)는 상기 몸체(12)의 정상부 에지(22)에 결합한다. 상기 환형부(50)와 정상부(52)는 축방향 보어(60) 및 정상부 벽(62)을 한정하는 내부면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본넷트(14)는 상기 정상부(52)로 부터 하향으로 연장되어서 일체적으로 결합되며, 상기 몸체(12)의 보어(18)와 축방향으로 정렬되는 축방향 연장 관형 슬리브(64)를 포함한다. 상기 본넷트(14)는 출구 포트(68)로부터 외부 나사 넥크(70), 정상부(52) 및 긴 관형 슬리브(64)를 통하여, 상기 슬리브(64)의 하부 단부로부터 상기 본넷트(14)가 그것에 부착될 때에 상기 몸체(12)의 내부면의 입구부(24)을 향하여 연장되는 시트 마운트(72)까지 연장되는 축방향 보어(66)를 한정하는 내부면을 또한 포함한다. 이러한 방법으로 형성되고 부착되어서, 상기 축방향 보어(66)는 상기 몸체(12)의 보어(18)와 실질적으로 축방향으로 정렬된다.
상기 관형 슬리브(64)는 외부에 나사가 형성된 외부면을 가지는 정상부(74)와, 상기 시트 마운트(72)와 정상부(74)사이에서 연장되는 감소된 외경의 중간부(76)를 가지며, 상기 밸브 시트(78)를 수용하는 시트 마운트(72)를 가짐으로써, 상기 밸브 시트(78)는 정상부 벽(62)에 대하여 말단으로 배치된다. 상기 하부(76), 시트 마운트(72) 및 밸브 시트(78)는 도 1A에 보다 상세하게 도시된다. 그 상단부에서 상기 시트 마운트(72)는 중간부(76)와 동일한 외경이며, 상기 시트 마운트(72)의 외경은 상기 시트 마운트(72)의 중공 원통형 부(80)에 대하여 아래로 테이퍼짐으로써, 상기 중간부(76)와 중공 원통형 부(80)사이에 배치된 상기 시트 마운트(72)의 절두 원추형 부(frustoconical portion)(82)를 한정한다. 상기 절두 원추형 부(82)는 상기 관형 슬리브(64)의 외부와 상기 보어(66)를 유체 소통하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절두 원추형 부(82)의 외부면과 보어(66)사이에서 연장되는 하나 이상의 개구(84)를 포함한다. 상기 원통형 부(80)는 상기 시트 마운트(72)의 보어(88)를 한정하는 내부에 나사형성된 표면(86)을 가질 수 있다. 상기 밸브 시트(78)는 감소된 직경의 상부 원통형 부(90)와, 상기 원통형 부(90)와의 경계에 배치되는 주 베이스(major base)를 가지며 상기 원통형 부(90)의 외경보다 더 큰 외경을 가지는 하부 절두 원추형 부(92)를 포함한다. 상기 시트 마운트(72)의 보어(86)와, 상기 밸브 시트(78)의 원통형 부(90)는 그 곳내에서 원통형 부(90)를 유지하도록 상기 원통형 부(90)가 보어(86)내로 가압되거나 또는 나사 결합되어서 내부 나사부에 의하여 결합될 수 있도록 된 크기일 수 있다. 상기 밸브 시트(78)는 Vespel® 또는 다른 유사한 플라스틱과 같은 경질의 탄성 재료, 또는 다른 적절한 재료로부터 제조될 수 있으며, 이는 상기 원통형 부(80)의 보어(88)내로 프레스 또는 나사 결합될 수 있고 또 상기 감압 조절기(10)가 실질적으로 공기 밀봉부(airtight seal)를 형성하기 위하여 폐쇄될 때에 필요에 따라서 변형할 수 있다.
다시, 도 1에서, 상기 본넷트(14)는, 상기 조절기(10)가 개방되고 폐쇄될 때에 유체용의 방출과, O-링 밀봉부의 고장의 경우에 고압 유체가 몸체(12) 및 본넷트(14) 각각의 축방향 보어(18,60)에 의하여 형성되는 캐비티내로 누설될 수 있도록 안전 방출(safety release)을 제공하는 오프셋 배출 포트(offset vent port)(94)를 또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배출 포트(94)는 아래에서 보다 충분히 설명되는 방법으로 조정 공구의 삽입용 억세스(access)를 또한 제공할 수 있다. 상기 배출 포트(94)는 상기 보어(18,60 및 66)의 종방향 축에 일반적으로 평행하고 또한 그것으로부터 오프셋된 종방향 축을 가지고 배출 포트(94)의 개구로부터 하향으로 연장하고 상기 본넷트(14)의 상기 환형부(50)와 정상부(52)의 내부면에 교차하는 축방향 보어(96)를 한정하는 내부면을 포함한다. 이러한 방법으로 형성됨으로써, 상기 배출 포트(94)의 축방향 보어(96)는 상기 몸체(12)와 본넷트(14)에 의하여 형성되는 캐비티를 상기 조절기(10)의 외부를 둘러싸는 주변 환경과 유체 소시킨다. 상기 배출 포트(94)의 내부면은 상기 입구 포트(20)에 근접된 입구부(24)와 유사한 방법으로 형성됨으로써, 필터(98)는 이 필터(98)를 유지하기 위하여 상기 내부면에서 대응되는 홈내로 가압되는 스냅-피트 링(100)과 함께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배출 포트(94)의 개구로부터 대향된 단부에서, 상기 내부면은 아래에서 보다 충분히 설명되는 방법으로 상기 조정 공구의 일부를 수용하기 위한 부싱(102)을 또한 형성할 수 있다.
상기 피스톤(16)은 상기 조절기(10)의 개방 및 폐쇄 위치 사이에서 축방향 운동을 위하여 상기 몸체(12) 및 본넷트(14) 각각의 보어(18,60)에 의하여 형성되는 캐비티에 슬라이드가능하게 장착된다. 상기 피스톤(16)은 상기 보어(18)의 상부 부분(28)을 형성하는 내부면과 근접 슬라이딩 핏트(sliding fit)를 형성하기 위한 크기로 된 중앙 플랜지부(104)와, 상향으로 연장되는 중공 원통형 부(106) 및, 하향으로 연장되는 슬리브(108)를 포함한다. 상기 피스톤(16)의 내부면은 보어(18,60 및 66)의 종방향 축과 정렬되는 축방향 보어(110)를 한정한다. 상기 피스톤(16)의 플랜지부(104)는 상기 몸체(12) 및 본넷트(14)에 대하여 상기 피스톤(16)의 전체적인 축방향 운동 동안에 상기 몸체(12)의 내부면과 유체 밀봉부를 형성하기 위하여 O-링(112)이 배치된 환형홈을 가진다. 상기 원통형 부(106)는 제 1 코일 스프링(114)이 원통형 부(106)의 외부면과 상기 환형부(50)의 내부면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플랜지부(104)의 정상부면(116)에 결합할 수 있도록 상기 본넷트(14)의 환형부(50))의 내경보다 더 작은 외경을 가진다.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스프링(114)은 원통형 부(106)의 정상부 에지(118) 위에 배치되어서 그것과 결합할 수 있다.
상기 슬리브(108)는 플랜지부(104)의 저부면(120)으로부터 하향으로 연장되어서, 상기 플랜지부(104)의 저부면(120)에서의 주 베이스로부터 상기 슬리브(108) 근방의 부 베이스(minor base)까지 하향으로 테이퍼진 중간 절두 원추형 부(12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슬리브(108)는 상기 몸체(12)의 보어(18)의 입구부(24)와 근접 슬라이딩 핏트를 형성하기 위한 크기로 된 외경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슬리브(108)의 외부면은 상기 몸체(12) 및 본넷트(14)에 대한 피스톤(16)의 전체적인 축방향 운동 동안에 상기 입구부(24)와 슬리브(108)사이의 유체 밀봉을 형성하기 위하여 상기 입구부(24)내에 배치되는 O-링(34)에 의하여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보어(110)는 상기 원통형 부(116)의 정상부 에지(118)로부터 하향으로 연장되는 상부(124)를 포함하고, 이 상부(124) 속으로 슬리브(64)의 상기 하부(76)와 시트 마운트(72)가 연장하고 있다. 상기 상부(124)는 상기 피스톤(16)이 상기 슬리브(64)에 대하여 축방향으로 이동할 때에 상기 슬리브(64)의 하부(76)와의 유체 밀봉을 제공하기 위하여 O-링(126)이 마련되는 내부 홈을 포함한다. 상기 보어(110)는 환형의 상향 숄더(130)를 제공하기 위하여 상기 상부(124)보다 더 작은 직경을 가지는 중간부(128)를 또한 포함하고, 상기 중간 부(128)의 직경은 상기 절두 원추형 부(92)의 주 베이스의 최대 직경보다 더 작게 되지만, 상기 절두형 원추형 부(92)의 부 베이스의 최소 직경보다 크게 된다(도 1A). 상기 보어(110)가 상기 슬리브(108)를 향하여 하향으로 감에 따라, 그 직경은 상기 슬리브(108)를 통과하는 하부(132)에서 또한 감소될 수 있다. 상기 피스톤(16)은 상기 보어(110)를 캐비티(136)와 유체 소통시키기 위하여 상기 플랜지부(104) 아래의 피스톤(16)의 표면과 보어(110)사이에서 연장되는 하나 이상의 개구(134)를 또한 포함하고, 상기 캐비티(136)는 피스톤(16)의 저부면(120)과, 상기 O-링(34 및 112)사이에서 상기 몸체(12)의 보어(18)를 한정하는 내부면에 의하여 한정되는 장치 캐비티의 일부분이다.
상기 조절기(10)를 폐쇄하는데에 요구되는 출구 압력을 조정하기 위하여, 상기 슬리브(64)의 정상부(74)의 외부 나사와 결합하도록 크기가 결정된 내부 나사 보어(140)를 가지는 조정 기어(138)가 제공된다. 상기 슬리브(64)상의 조정 기어(138)의 설치를 용이하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슬리브(64)의 하부(76) 및, 대응되는 상기 보어(110)의 상부(124)의 내경은 상기 조정 기어(138)가 슬리브(64)의 하부(76)상을 그리고 상기 정상부(74)의 나사부위로 슬라이드될 수 있도록 허용하기 위한 크기로 된다. 상기 본넷트(14)가 상기 몸체(12)상에 나사결합될 때에, 상기 코일 스프링(114)은 상기 피스톤(16)의 정상부 면(116)과 상기 조정 기어(138)의 저부면(142)사이에 배치됨으로써, 상기 코일 스프링(114)에서의 인장은 상기 조정 기어(138)가 슬리브(64)의 정상부(74)를 따라서 상기 피스톤(16)을 향하여 축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방향으로 상기 조정 기어(138)를 회전시킴으로써 증가될 수 있으며, 상기 슬리브(64)의 정상부(74)를 따라서 상기 피스톤(16)으로부터 이격되게 축방향으로 조정 기어(138)를 이동시키기 위하여 상기 조정 기어(130)를 반대 방향으로 회전시킴으로써 감소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상기 조정 기어(138)가 정상부 벽(162)를 향하여 외향으로 이동함에 따라 상기 조정 기어(138)가 상기 코일 스프링(114)을 분리시킬 수 있도록 상기 구성품의 크기를 결정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또한, 니들 베어링과 같은 베어링은 상기 코일 스프링(114)과 피스톤(16)의 회전을 발생시키지 않고 상기 조정 기어(130)를 회전시키는 것을 허용하기 위하여 상기 조정 기어(138)와 코일 스프링(114)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조정 기어(138)는 아래에서 보다 충분히 설명되는 방법으로 상기 기어(138)의 위치를 조정하도록 결합되는 조정 기어(138)의 외주면에 일정 간격의 치형부(tooth)(144)를 또한 포함한다.
상기 코일 스프링(114)은 상기 보어(18)의 저부벽(30)을 향하여 상기 피스톤(16)을 항상 탄성적으로 가압시킨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어떠한 압력 소스도 상기 몸체(12)의 외부로 나사형성된 넥크(146)에 연결되지 않고, 또한 어떠한 출구 도관도 외부로 나사형성된 넥크(70)에 부착되지 않을 때와 같이, 상기 조절기(10)의 캐비티(136) 내의 출구 압력이 상기 코일 스프링(114)에 의하여 상기 피스톤(16)에 적용되는 힘을 극복하는데에 불충분할 때에, 상기 코일 스프링(114)은 상기 피스톤(16)의 저부면(120)을 상기 보어(18)의 숄더(32)와 결합하도록 함으로써, 유체는 상기 보어(18)의 입구부(24)를 통하여 상기 입구 포트(20)로부터 상기 보어(110)까지, 개구(84)를 통하여 보어(66)까지, 그리고 상기 출구 포트(68)를 통하여 흐를 수 있다. 이때에, 상기 캐비티(136)는 개구(134)를 통하여 상기 입구 포트(20)와 출구 포트(68)와 유체 소통되고, 결과적으로 또한 상기 입구 포트(20)로부터 가압 유체를 수용한다.
상기 감압 조절기(10)가 필드에 설치될 때에, 고압 소스는 입구 포트(20)에 연결되고, 출구 라인은 출구 포트(68)에 연결된다. 가압 유체가 상기 입구 포트(20)에 연결되는 소스에 의하여 제공될 때에, 상기 가압 유체는 입구 포트(20)로부터 상기 입구부(24), 상기 보어(110), 상기 개구(84) 및 보어(66)를 통하여, 그리고 상기 출구 포트(68) 바깥으로 상기 출구 라인까지 흐르게 된다. 동시에, 가압 유체는 상기 보어(110)로부터 상기 개구(134)를 통하여 상기 캐비티(136)까지 흐르게 된다. 상기 출구 포트(68)에서의 압력, 따라서 상기 캐비티(136)에서의 압력이 증가될 때에, 상기 가압 유체의 힘은 상기 코일 스프링(114)의 편향력에 대하여 상기 피스톤(16)의 저부면(120) 위에 작용하게 된다. 일단 상기 캐비티(136)에서의 압력이 임계 레벨(threshold level)에 도달하게 된다면, 상기 피스톤(16)의 저부면(120)위에 작용하는 힘은 코일 스프링(114)의 힘을 극복하게 되고, 상기 피스톤(16)을 숄더(32)로부터 떨어지게 하여 상기 밸브 시트(78)를 향하여 이동시키기 시작한다.
상기 캐비티(136)에서의 압력이 계속하여 증가될 때에, 상기 피스톤(16)의 내부면은, 상기 출구 포트(68)에서의 압력이 상기 조절기(10)가 조정되는 소정 또는 미리설정된(preset) 최대 출구 압력에 도달할 때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조절기(10)를 폐쇄하도록 상기 밸브 시트(78)에 의하여 궁극적으로 결합된다. 상기 피스톤(16)이 폐쇄 위치에 있을 때에, 상기 밸브 시트(78)의 절두 원추형부(92)의 축방향 중간부는 상기 보어(18)의 입구부(24)로부터 상기 보어(110)의 상부(124) 및 상기 보어(66)로 유체 흐름을 차단하기 위하여 상기 상부(124)와 중간부(128)의 접합부에서 상기 피스톤(16)의 내부면에 접촉하게 된다. 상기 출구 포트(68)에서의 압력이 최대 출구 압력에서 또는 그 이상에서 유지되는 한, 상기 캐비티(136)내에서의 압력은 상기 밸브 시트(78)에 대하여 상기 피스톤(16)의 안착을 유지할 것이다. 이러한 동안에, 상기 O-링인 112 또는 126에 의하여 형성되는 밀봉부가 실패하는 경우, 상기 실패한 O-링(112 또는 126)을 지나서 그리고 상기 피스톤(16)의 플랜지부(104)위의 몸체(12) 및 본넷트(14)에 의하여 형성되는 캐비티 부내로의 가압 유체의 누설은 상기 보어(96)를 통하여 배출 포트(vent port)(94)로, 그리고 상기 조절기(10)를 둘러싸는 주변 환경 또는 상기 배출 포트(94)에 부착되는 적절한 컨테이터(container)내로 배출될 것이다. 상기 출구 포트(68)에서의 압력이 상기 조절기(10)용 최대 출구 압력 아래로 감소될 때에, 상기 코일 스프링(114)의 편향력은 상기 캐비티(136)내의 압력을 극복하고 상기 피스톤(16)을 상기 숄더(32)를 향하여 하향으로 가압시켜 상기 밸브 시트(78)로부터 상기 피스톤(16)을 떨어지게 하고 다시 상기 입구 포트(20)를 출구 포트(68)와 유체 소통시킨다. 상기 입구 포트(20)에서의 입구 압력이 최대 출구 압력보다 더 크게 되면, 상기 출구 압력 및 그에 대응하는 상기 캐비티(136)에서의 압력은 증가될 수 있으며, 다시 상기 피스톤(16)을 상기 밸브 시트(78)와 결합하게 이동시킨다.
도 3A 및 도 3B는 조정 기어(138)의 위치를 조정하기 위하여 내부로 삽입되는 조정 공구(150)를 구비하는 감압 조절기(10)를 도시한다. 상기 조정 공구(150)가 상기 배출 포트(94)를 통하여 삽입되도록 허용하기 위하여 상기 필터(98) 및 스냅-피트 링(snap-fit ring)(100)이 상기 보어(96)로부터 제거된다. 상기 조정 공구(150)는 상기 보어(96) 내에서 상기 조정 공구(150)를 회전시키기 위하여 사용자의 손에 의하여 또는 부가의 공구에 의하여 결합되도록 형성되는 핸들(152)을 또한 포함할 수 있고, 상기 핸들(152)은 이 핸들(152)의 최대 외경이 핸들(150)이 배치되는 보어(94)의 대응되는 부분의 내경보다 조금 더 작게 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조정 공구(150)의 실질적인 측방향 운동이 방지될 수 있도록 크기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조정 공구(150)는 상기 핸들(152)과 축방향으로 정렬되고 상기 조정 공구(150)가 상기 보어(96)내에 배치될 때에 상기 보어(60,96)사이의 개구를 통하여 연장되는 기어(138)의 치형부(144)와 결합하도록 형성되는 치형부를 가지는 하향으로 연장되는 기어(154)를 부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보어(96) 내에서 상기 조정 공구(150)의 정렬을 부가로 용이하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조정 공구(150)는 상기 핸들(152)과 기어(154)와 축방향으로 정렬되고, 상기 기어(154)로부터 하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조정 공구(150)가 상기 보어(96) 내로 삽입될 때에 상기 부싱(bushing)에 의하여 수용되는 축(156)을 또한 포함할 수 있다.
일단 상기 공구(150)가 상기 기어(138)의 치형부(144)와 결합하는 상기 기어(154)의 치형부를 가지고 상기 보어(96) 내로 삽입된다면, 상기 조절기(10)를 폐쇄하기 위하여 요구되는 출구 압력의 조정은, 상기 조정 공구(150)의 회전 방향에 따라서 상기 피스톤(16)를 향하거나 또는 그것으로부터 상기 슬리브(64)를 따라 축방향으로 상기 기어를 이동시키기 위하여 상기 슬리브(64)의 정상부(74)에 대하여 상기 기어(138)의 대응되는 회전을 발생시키도록 상기 공구(152)의 회전에 의하여 영향을 받게 된다. 상기 공구(150)가 상기 기어(138)를 상기 피스톤(16)을 향하여 이동시키기 위한 방향으로 회전할 때에, 상기 기어(138)는 상기 조절기(10)를 폐쇄하기 위하여 상기 밸브 시트(78)를 향하여 상기 피스톤(16)을 이동시키는데 필요한 출구 압력을 증가시키기 위하여 상기 코일 스프링(114)에 결합하여서 압축시킨다. 반대로, 상기 공구(150)의 반대 방향으로 회전은 상기 기어(138)를 피스톤(16)으로부터 이격되게 이동시킴으로써, 상기 코일 스프링(114)은 감압되고 따라서 상기 피스톤(16)을 상기 밸브 시트(78)를 향하여 이동시키는데 필요한 출구 압력을 감소시킨다.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구성품은 상기 기어(138)가 본넷트(14)의 상부벽(62) 근방의 최상부 위치에 배치될 때에 상기 기어(138)가 상기 코일 스프링(114)으로부터 완전하게 분리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기어(138)가 원하는 위치에 유지되는 것을 보장하기 위하여, 상기 조절기(10)는 상기 본넷트(14)의 외부면과 정상부 벽(62)사이의 본넷트(14)의 정상부 (52)를 통하여 내부 나사형성된 개구에 수용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세트 스크류(158)(도 3A)를 또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세트 스크류(158)는 상기 개구내로 나사결합되고 상기 기어(138)의 상부면에 결합될 수 있어, 상기 세트 스크류(158) 및 기어(138)의 상부면 사이와, 상기 기어(138)의 나사부와 상기 슬리브(64)의 상부면사이의 마찰을 제공함으로써 상기 기어(138)의 회전 운동을 방지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 기어(138)를 조정하기 위하여, 상기 세트 스크류(158)는 상기 기어(138)의 상부면으로부터 해제되어서 상기 기어(138)가 상기 공구(150)의 회전에 응하여서 회전하도록 한다. 일단 상기 기어(138)가 재배치된다면, 상기 세트 스크류(158)는 상기 기어(138)의 상부면과 결합하도록 다시 나사 결합된다.
본원에서 도시되고 설명되는 상기 조정 메카니즘이 평행한 회전축을 가지는 한 쌍의 나란한 스퍼 기어(spur gear)(138,154)를 합체시키지만, 당업자는 다른 형상의 기어 및 기어의 배향이 본 발명에 따른 조정 메카니즘에서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예를 들면, 특별한 구현으로 상기 본넷트(14)의 넥크(70)에 부착되는 출구 라인용 커플링의 크기는 상기 조정 공구(150)가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보어(96) 내로 삽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상기 기어(138)로의 억세스는 상기 보어(96)가 상기 조절기(10)의 측부를 향하여 외향으로 배향될 수 있도록 상기 조정기(10)의 종방향 축에 대하여 수직으로 또는 다른 각도로 배향되는 상기 배출 포트(94)의 보어(96)로서만 얻어질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 상기 기어(138,154)는 베벨 기어(bevel gear)로서 또는 서로 정합하는 원형 랙(mating circular rack) 및 피니언 기어로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보어(96)는 상기 기어(138)가 조절기(10) 내에서 축방향으로 이동할 때에 상기 기어(138,154)의 치형부와의 결합을 유지하는데 필요한 공구(150)의 축방향 및/또는 측방향 이동을 용이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본원에서 설명되고 청구되는 조정 메카니즘을 구현하기 위한 상기 기어(138), 조정 공구(150), 상기 배출 포트(94)의 보어(96)의 다른 형상, 그리고 상기 조정기(10)의 다른 구성품은 당업자에게는 명백할 것이다. 또한, 나사진 정상부(74)위에 회전가능하게 배치되는 구성품으로서 휠이 구현될 수 있으며, 상기 조정 공구 및 보어(96)는 어느 쪽 방향이든 상기 휠을 회전시키기 위하여 상기 휠의 표면과 결합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전의 실시예 및 다른 형상들은 본 발명에 따른 감압 조절기에서의 사용에 있어 본 발명자에 의해서 고려된다.
도 3B는 상기 조절기(10)를 0 PSI 출구 압력으로 다운시켜서 아무런 흐름이 없는 상태로 조정하여, 상기 조절기(10)가 입구 포트(20)에서 가압 유체 소스와 출구 포트(68)에서 출구 라인에 직선으로 연결되는 동안 상기 조절기(10)를 사용자가 폐쇄하도록 할 수 있는 감압 조절기(10)의 실시예를 또한 도시한다. 이 실시예에서, 제 2 코일 스프링(160)은, 상기 밸브 시트(78)의 방향으로, 또한 상기 코일 스프링(114)에 의하여 적용되는 힘에 대하여 반대방향으로 상기 피스톤(16)의 저부면(120)에 힘을 적용하기 위하여 상기 피스톤(16)의 저부면(120)과 상기 보어(18)의 저부벽(30)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코일 스프링(160)에 의하여 적용되는 힘이 코일 스프링(114), 상기 피스톤(16) 및 코일 스프링(114)(상기 조절기(10)의 배향에 따라서)의 결합된 중량 및, 상기 O-링(34,112,126)에 의하여 형성되는 밀봉부에서의 마찰력에 의하여 적용되는 힘을 극복하고 상기 피스톤(16)을 상기 밸브 시트(78)와 결합시키는 위치로 기어(38)가 조정될 수 있도록 상기 코일 스프링(114,160)이 선택될 수 있다. 상기 기어(138)가 상기 본넷트(52)의 정상부 벽(162)을 향하여 더욱 조정될 때에, 상기 피스톤(16)과 밸브 시트(78)사이의 실링 힘(ceiling force)은 상기 코일 스프링(114)이 감압될 때에 증가될 수 있다. 상기 조절기(10)를 재개방하기 위하여, 상기 기어(138)는 코일 스프링(114)을 압축하여서, 상기 코일 스프링(160)에 의하여 적용되는 힘이 극복되어서 상기 피스톤(16)이 상기 밸브 시트(78)로부터 떨어질 때까지 상기 코일 스프링(114)에 의하여 적용되는 힘을 증가시키기 위하여 상기 피스톤(16)의 방향으로 조정된다. 상기 코일 스프링(114,160)의 형상은 단지 예시적인 것이며, 당업자는 다른 형태의 스프링 또는 다른 탄성 부재가 본원에 설명된 바와 같이 상기 피스톤(16)을 상기 밸브 시트(78)와의 결합 및 결합해제로 편향시키기 위하여 상기 조절기(10)에서 구현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또한, 상기 스프링 또는 다른 탄성 부재는 상술된 방법으로 상기 피스톤(16) 위에 작용하기 위하여 상기 조절기(10)내의 다른 위치에 배치될 수 있으며, 이러한 상기 스프링 및 다른 탄성 부재 및 상기 조절기(10)내의 이들의 위치의 그와 같은 변경은 본 발명에 따른 감압 조절기(10)에서의 사용에 있어 본 발명자에 의해서 고려된다.
도 4 및 5는 상기 몸체(202) 위에서 나란히 배치되는 입구 포트(20)와 출구 포트(68)를 가지며, 상기 본넷트(204)를 통한 어떠한 유체 흐름도 없는 감압 조절기(200)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면부호 일치와, 상기 조절기(10 및 200)사이의 차이점을 인식시키는 것을 돕기 위하여, 2개의 실시예에서 대응되는 요소를 인식하기 위하여 동일한 참조부호가 사용된다. 예를 들면, 조절기(200)에서의 피스톤(16)은 상기 조절기(10)내에 구현되는 동일한 피스톤(16)이 될 수 있으며, 따라서 양 실시예에서 동일한 도면부호가 상기 피스톤(16)에 적용된다.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몸체(202)의 보어(18)의 입구부(206)는 상기 중간부(26)로부터 상기 몸체(202)내로 하향으로 연장될 수 있으며, 상술된 상기 입구부(24)와 동일한 방법으로 상기 피스톤(16)의 슬리브(108)를 수용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입구부(206)는 O-링(34) 및 백-업 링(back-up ring)(36)을 수용하기 위한 홈(208)을 부가로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입구 포트(20)는 가압 유체 공급부로부터의 커플링을 수용하기 위하여 내부의 나사부(212)를 가지는 입구 보어(210)에 의하여 상기 보어(18)의 입구부(26)와 연결되어 유체소통으로 될 수 있다. 이와 유사하게, 상기 출구 포트(68)는 출구 라인의 커플링을 수용하기 위하여 내부 나사부(216)를 가지 는 출구 보어(214)에 의하여 상기 캐비티(136)와 연결되어서 유체 소통될 수 있다.
상기 조절기(200)의 본넷트(204)는 조절기(10)의 본넷트(14)와 일반적으로 유사하지만, 슬리브(64)는 상기 본넷트(204)의 정상부 벽(62)으로부터 하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몸체(202)의 보어(18)와 축방향으로 정렬되는 솔리드 생크(solid shank)(218)로 대체된다. 상기 슬리브(64)와는 반대로, 상기 생크(218)는 상기 본넷트(204)를 통한 유체 흐름을 허용하는 보어(66) 및 개구(84)를 포함하지 않는다. 그러나, 상기 생크(218)는 상기 슬리브(64)의 각 대응되는 시트 마운트(72), 상부(74) 및 하부(76)와 같이 유사한 외부면을 가지는 시트 마운트(220), 상부(222) 및 하부(224)를 포함한다. 결과적으로, 상기 기어(138)의 내부 나사(140)는 정상부(222)의 외부 나사와 결합되고, 상기 하부(224)는 상기 보어(110)의 상부(124) 내에 미끄럼가능하게 수용되고, 상기 시트 마운트(222)는 상기 밸브 시트(78)를 수용하여 보유가능하게 결합한다.
상기 조절기(10)와 같이, 상기 코일 스프링(114)은 가압 유체가 상기 조절기(200)에 적용되지 않을때에 도 4에 도시된 정상 개방 위치로 상기 피스톤(16)을 편향시킨다. 입구 포트(20)에 공급되는 가압 유체는 상기 입구 포트(20)를 통하여 보어(18)의 입구부(206)로 흘러서, 상기 보어(110)의 하부(132)내로 흐르게 된다. 상기 생크(204)가 슬리브(64)의 보어(66) 및 개구(84)를 포함하지 않기 때문에, 상기 가압 유체는 개구(134)를 통하여 우회하여 캐비티(136)로, 그리고 출구 보어(214)를 통하여 출구 포트(68)로 흐른다. 상기 출구 포트(68)에서의 압력과, 그 결과 상기 캐비티(136)에서의 압력이 증가됨에 따라서, 상기 가압 유체의 힘은 상기 코일 스프링(114)의 편향력에 대항하여 그리고 상기 밸브 시트(78)의 방향으로 상기 피스톤(16)의 저부면(120)에 작용한다. 일단 상기 캐비티(136)의 압력이 임계 레벨에 도달한다면, 상기 피스톤(16)의 저부면(120)에 작용하는 힘은 상기 코일 스프링(114)의 힘을 극복하여서, 상기 피스톤(16)을 상기 밸브 시트(78)를 향하여 이동시키기 시작한다.
상기 캐비티(136)에서의 압력이 계속하여 증가함에 따라서, 상기 피스톤(16)의 내부면은 상기 출구 포트(68)에서의 압력이 상기 조절기(10)가 조정되는 미리설정된 최대 출구 압력에 도달할 때에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조절기(10)를 폐쇄하기 위하여 상기 밸브 시트(78)에 의하여 궁극적으로 결합된다. 상기 피스톤(16)이 폐쇄 위치에 있을 때에, 상기 밸브 시트(78)의 절두 원추형 부(92)는 상기 입구 포트(20)로부터 캐비티(136) 및 출구 포트(68)로의 유체 흐름을 차단하기 위하여 상술된 방법으로 상기 피스톤(16)의 내부면에 접촉한다. 상기 출구 포트(68)에서의 압력이 상기 최대 출구 압력에서 또는 그 이상에서 유지되는 한, 상기 캐비티(136) 내의 압력은 상기 밸브 시트(78)에 대하여 상기 피스톤(16)의 안착을 유지할 것이다. 상기 출구 포트(68)에서의 압력이 상기 조절기(10)용 최대 출구 압력아래로 감소될 때에, 상기 코일 스프링(114)의 편향력은 상기 캐비티(136)내의 압력을 극복하여서 상기 밸브 시트(78)로부터 상기 피스톤(16)을 떨어지게 하기 위하여 상기 피스톤(6)을 하향으로 가압시키고 상기 입구 포트(20)를 상기 출구 포트(68)와 유체 소통시킨다. 상기 입구 포트(20)에서의 입구 압력이 상기 최대 출구 압력보다 더 크게 된다면, 상기 출구 압력 및, 대응되는 상기 캐비티(136)에 서의 압력은 증가되어서 다시 상기 피스톤(16)을 밸브 시트(78)와의 결합되게 이동시킨다.
도 5는 상기 슬리브(108)의 저부면과 상기 입구부(206)의 저부벽사이에서 상기 보어(18)의 입구부(206)내에 상기 코일 스프링(160)을 다르게 배치시키는 것을 또한 도시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코일 스프링(160)은 상기 코일 스프링(114)에 의하여 적용되는 힘과 반대 방향으로 상기 피스톤(16)을 편향시킴으로써, 상기 조절기(200)는 0 PSI 출구 압력의 아무런 흐름이 없는 상태로 위치될 수 있으며, 이 때 조절기(200)는 상기 조정 기어(138)가 상기 코일 스프링(160)에 의하여 적용되는 힘을 극복하기 위하여 상기 코일 스프링(114)을 압축할 때까지 폐쇄 위치로 유지된다. 상기 코일 스프링(160)은 상기 피스톤(16)을 폐쇄 위치를 향하여 편향시키기 위하여 상기 조절기(200) 내의 다른 위치에 위치될 수 있다는 것은 당업자에게는 명백할 것이다. 예를 들면, 상기 코일 스프링(160)은 상기 슬리브(108)의 외경보다 약간 더 큰 내경을 가질 수 있으며, 상기 슬리브(108)에 대하여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코일 스프링(160)은 상기 보어(18)의 중간부(26)의 내경보다 약간 더 작은 외경을 가질 수 있으며, 상기 피스톤(16)의 플랜지부(104)와 결합한다. 상기 스프링(114,160)의 다른 형상은 명백할 것이며 본 발명에 따른 감압 조절기에 사용할 시 본 발명자에 의해서 숙고된다.
상술된 텍스트가 본 발명의 수 많은 다른 실시예의 상세한 설명을 기술하지만, 본 발명의 법적인 범위는 본 발명의 끝에 기재된 청구범위의 문언에 의하여 한정된다는 것을 이해해야만 한다. 상세한 설명은 단지 예시적으로 해석되고, 불가능하지는 않지만 모든 가능한 실시예를 기술하는 것이 비현실적이기 때문에 본 발명의 모든 가능한 실시예를 기재하지 않는다. 현 기술이나 본 특허의 출원일 이후에 발전된 기술을 사용하여서 많은 대체 실시예가 구현될 수 있으며, 이는 본 발명을 한정하는 청구범위내에 여전히 포함될 것이다.

Claims (36)

  1. 입구 포트와 출구 포트사이의 유체 흐름을 제어하기 위한 흐름 제어 장치로서,
    상부 환형부와 상기 입구 포트와 유체 소통하는 축방향 보어를 가지는 몸체와,
    상기 몸체에 제거가능하게 장착되며, 정상부, 축방향 보어 및 상기 정상부로부터 하향으로 연장되며 밸브 시트를 가지는 축방향 연장 슬리브를 가지는 본넷트로서, 상기 본넷트의 축방향 보어 및 몸체의 상부 환형부는 상기 출구 포트와 유체 소통하는 캐비티의 적어도 한 부분을 가지고 상기 흐름 제어 장치 내의 캐비티를 형성하는 상기 본넷트와,
    상기 몸체의 축방향 보어내에 축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연장되며 상기 몸체의 축방향 보어를 한정하는 벽에 대하여 유체 밀봉관계로 있는 피스톤으로서, 상기 피스톤은 상기 슬리브를 수용하는 상부를 가지는 축방향 보어 및, 피스톤의 축방향 보어를 상기 피스톤의 저부면과 유체 소통시키는 개구를 포함하며, 상기 피스톤은 피스톤의 축방향 보어의 숄더가 상기 밸브 시트에 결합하는 폐쇄 위치와, 상기 숄더가 상기 밸브 시트로부터 분리되는 개방 위치사이에서 상기 슬리브를 따라서 축방향으로 이동가능하며, 상기 출구 포트는 양 피스톤 위치 사이에서 상기 피스톤 저부면과 유체 소통하는 상기 피스톤과,
    상기 슬리브의 정상부에 작동가능하게 연결되는 휠로서, 상기 휠이 회전할 때에 상기 휠이 상기 슬리브를 따라서 축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되어 있는 상기 휠 및,
    상기 피스톤과 휠사이에 배치되어서 상기 피스톤을 개방 위치로 향하여 편향시키는 스프링을 포함하고,
    상기 피스톤의 저부상의 압력은 상기 출구 포트의 압력이 적어도 소정의 최대 출구 압력일 때에 상기 피스톤을 폐쇄 위치로 이동시키며, 상기 소정의 최대 출구 압력은 상기 휠을 하나의 방향으로 회전시킴으로써 증가되고, 상기 휠을 반대 방향으로 회전시킴으로써 감소되고,
    상기 본넷트는 배출 포트로부터 내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휠에 근접한 본넷트의 내부면과 교차하는 보어를 가지는 배출 포트를 추가로 포함함으로써, 상기 휠은 상기 본넷트가 몸체에 부착될 때에 상기 흐름 제어 장치의 외부로부터 접근가능하며, 상기 휠을 어느 방향으로도 회전시키기 위하여 결합가능한 흐름 제어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피스톤의 하부와 몸체의 하부는, 양 피스톤 위치에서 상기 피스톤의 축방향 보어와 유체 소통하는 몸체의 축방향 보어와 결합되는 흐름 제어 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피스톤의 하부는 상기 피스톤의 저부면으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몸체의 축방향 보어내에 배치되고 이와 유체 밀봉 관계로 있는 피스톤의 슬리브를 포함하는 흐름 제어 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밸브 시트는 상기 슬리브로부터 물리적으로 분리가능하며, 상기 본넷트 정상부에 대해 말단으로 있는 상기 슬리브의 단부는 상기 밸브 시트를 보유가능하게 결합하도록 형성되는 시트 마운트를 포함하는 흐름 제어 장치.
  5. 삭제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휠은 휠의 외주면(outer circumference)에 대하여 이격된 다수의 치형부를 포함하고, 상기 배출 포트 보어는 상기 휠의 치형부와 결합하기 위하여 형성되는 치형부를 가지는 기어를 구비하는 조정 공구를 수용하도록 형성됨으로써, 상기 조정 공구의 회전은 상기 휠의 대응되는 회전을 발생시키는 흐름 제어 장치.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배출 포트 보어는 상기 조정 공구가 상기 배출 포트 보어내로 삽입될 때에 상기 조정 공구의 외향으로 연장되는 축을 수용하고, 상기 배출 포트 보어내에 상기 조정 공구의 측방향 운동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축과 결합하도록 형성되는 부싱을 포함하는 흐름 제어 장치.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몸체 축방향 보어, 상기 슬리브 및 피스톤의 축방향 보어의 종방향 축은 일치하며, 상기 배출 포트 보어의 종방향 축은 상기 몸체 축방향 보어, 상기 슬리브 및 피스톤 축방향 보어의 일치하는 종방향 축에 평행하고 또한 그것으로부터 오프셋되는 흐름 제어 장치.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피스톤의 저부면에 결합하고 상기 피스톤을 폐쇄 위치로 편향시키는 부가의 스프링을 또한 포함하고, 상기 휠이 제 1 위치로 회전될 수 있음으로써, 상기 스프링에 의하여 적용되는 힘이 상기 부가의 스프링에 의하여 적용되는 힘을 극복하여 상기 피스톤을 개방 위치에서 유지시키고, 또한 상기 휠이 제 2 위치로 회전될 수 있음으로써, 상기 부가의 스프링에 의하여 적용되는 힘이 상기 스프링에 의하여 적용되는 힘을 극복하여 상기 피스톤을 폐쇄 위치에서 유지시키도록, 상기 스프링 및 상기 부가의 스프링이 형성되는 흐름 제어 장치.
  1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본넷트는 이 본넷트의 외부면과 상기 휠 근방의 내부면 사이에서 연장되는 나사 개구를 포함하고, 상기 흐름 제어 장치는 상기 본넷트의 나사 개구에 배치되고 상기 슬리브에 대한 상기 휠의 회전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휠에 결합하도록 형성되는 세트 스크류를 포함하는 흐름 제어 장치.
  11.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본넷트는 상기 출구 포트로부터 상기 슬리브를 통하여 상기 밸브 시트까지 연장되는 축방향 슬리브 보어와, 상기 축방향 슬리브 보어를 상기 슬리브의 외부와 유체 소통시키는 개구를 포함하는 흐름 제어 장치.
  12.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출구 포트는 상기 피스톤 개구를 거쳐서 양 피스톤 위치에서 상기 피스톤의 저부면과 유체 소통되는 흐름 제어 장치.
  1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몸체는 상기 입구 포트를 상기 몸체의 축방향 보어와 유체 소통시키는 입구 보어와, 상기 출구 포트를 상기 몸체 축방향 보어와 유체 소통시키는 출구 보어를 포함하고, 상기 피스톤의 축방향 보어 및 개구는 상기 입구 포트를 상기 출구 포트와 유체 소통시키는 흐름 제어 장치.
  14. 입구 포트와 출구 포트사이의 유체 흐름을 제어하기 위한 흐름 제어 장치로서, 상기 입구 포트와 유체 소통하는 입구 보어를 구비하는 몸체와, 상기 출구 포트가 상기 입구 포트와 유체 소통하는 상태에서 상기 몸체에 제거가능하게 장착되는 본넷트와, 상기 몸체와 본넷트내에 축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연장되며 상기 몸체와 본넷트내의 캐비티를 한정하는 벽에 유체 밀봉관계로 있는 피스톤을 포함하고, 상기 피스톤은 저부면과, 상기 입구 포트를 상기 출구 포트와 유체 소통시키는 축방향 보어 및, 상기 피스톤의 축방향 보어를 상기 피스톤의 저부면과 유체 소통시키는 개구를 포함하고, 상기 피스톤은 상기 피스톤의 축방향 보어가 상기 본넷트의 밸브 시트와 결합하여 상기 입구 포트로부터 출구 포트로의 유체 흐름을 방지하는 폐쇄 위치와, 피스톤의 축방향 보어가 상기 밸브 시트로부터 분리되어 유체 흐름을 허용하는 개방 위치사이에서 축방향으로 이동가능하며, 상기 출구 포트는 양 피스톤 위치에서 상기 피스톤의 저부면과 유체 소통되며, 상기 흐름 제어 장치는 상기 피스톤을 개방 위치로 편향시키는 스프링을 또한 포함하며, 상기 피스톤의 저부면위의 압력은 상기 출구 포트 압력이 상기 입구 포트에서 가압 액체의 적용에 응하여 증가될 때에 증가되며, 상기 출구 포트 압력이 적어도 소정의 최대 출구 압력일 때에 상기 피스톤을 폐쇄 위치로 이동시키는 흐름 제어 장치에 있어서,
    상기 몸체 및 상기 본넷트의 상기 캐비티 내에 배치되며, 상기 스프링과 결합하여 상기 스프링에 의해서 상기 피스톤에 가해지는 힘을 조정하고, 그에 따라 상기 흐름 제어 장치를 폐쇄하기 위하여 소정의 최대 출구 압력을 조정하기 위한 조정 메카니즘과;
    상기 흐름 제어 장치의 외부면을 통한 배출 포트로서, 상기 배출 포트로부터 내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조정 메카니즘 근방에서 본넷트의 내부면과 교차하는 보어를 가지는 상기 배출 포트를 포함하여, 상기 조정 메카니즘은 상기 흐름 제어 장치의 외부로부터 접근가능하고, 상기 조정 메카니즘을 작동하기 위하여 결합가능하며, 상기 배출 포트 보어의 종방향 축은 상기 피스톤의 종방향 축으로부터 오프셋되는 흐름 제어 장치.
  15. 청구항 14에 있어서,
    상기 조정 메카니즘은 흐름 제어 장치내의 슬리브위에 배치되는 휠이며, 따라서 상기 휠은 이 휠이 회전할 때에 상기 슬리브를 따라서 축방향으로 이동하며, 상기 슬리브의 종방향 축은 상기 피스톤의 종방향 축과 일치하고, 상기 소정의 최대 출구 압력은 상기 휠을 한 방향으로 회전시킴으로써 증가되고, 상기 휠을 반대 방향으로 회전시킴으로써 감소되는 흐름 제어 장치.
  16. 청구항 15에 있어서,
    상기 휠은 상기 배출 포트 보어를 통하여 상기 흐름 제어 장치의 외부로부터 접근가능하고, 상기 휠을 어느 방향으로든 회전시키기 위하여 결합가능한 흐름 제어 장치.
  17. 청구항 16에 있어서,
    상기 휠은 이 휠의 외주면에 일정 간격의 다수의 치형부를 포함하고, 상기 배출 포트 보어는 상기 휠의 치형부와 결합하도록 형성되는 치형부를 가진 기어를 가지는 조정 공구를 수용하도록 형성됨으로써, 상기 조정 공구의 회전은 상기 휠의 대응되는 회전을 발생시키는 흐름 제어 장치.
  18. 청구항 17에 있어서,
    상기 배출 포트 보어는 상기 조정 공구가 상기 배출 포트 보어내로 삽입될 때에 상기 조정 공구의 외향으로 연장되는 축을 수용하고, 또한 상기 배출 포트 보어내에 상기 조정 공구의 측방향 운동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축과 결합하도록 형성되는 부싱을 포함하는 흐름 제어 장치.
  19. 청구항 14에 있어서,
    상기 입구 포트, 출구 포트 및 상기 피스톤의 축방향 보어의 종방향 축은 일치하며, 상기 배출 포트 보어의 종방향 축은 상기 입구 포트, 출구 포트 및 피스톤 축방향 보어의 일치하는 종방향 축에 평행하고 또한 그것으로부터 오프셋된 흐름 제어 장치.
  20. 청구항 14에 있어서,
    상기 입구 포트 및 출구 포트의 종방향 축은 일치되며, 상기 피스톤의 축방향 보어는 상기 입구 포트 및 출구 포트의 종방향 축에 수직이며, 상기 배출 포트 보어의 종방향 축은 상기 피스톤의 축방향 보어의 종방향 축에 평행하고 그것으로부터 오프셋되고, 상기 입구 포트 및 출구 포트의 일치하는 종방향 축과 수직인 흐름 제어 장치.
  21. 청구항 14에 있어서,
    상기 피스톤의 저부면에 결합하고 상기 피스톤을 폐쇄 위치로 편향시키는 부가의 스프링을 또한 포함하고, 상기 조정 메카니즘이 제 1 위치로 조정될 수 있음으로써 상기 스프링에 의하여 적용되는 힘이 상기 부가의 스프링에 의하여 적용되는 힘을 극복하여 상기 피스톤을 개방 위치에서 유지시키고 또한 상기 조정 메카니즘이 제 2 위치로 회전될 수 있음으로써 상기 부가의 스프링에 의하여 적용되는 힘이 상기 스프링에 의하여 적용되는 힘을 극복하여 상기 피스톤을 폐쇄 위치에서 유지시키도록, 상기 스프링 및 상기 부가의 스프링이 형성되는 흐름 제어 장치.
  22. 청구항 14에 있어서,
    상기 출구 포트는 피스톤 개구를 거쳐서 양쪽 위치에서 피스톤 저부면과 유체 소통되는 흐름 제어 장치.
  23. 입구 포트와 출구 포트 사이의 유체 흐름을 제어하기 위한 조절기로서,
    상기 입구 포트에 작동가능하게 연결된 내부 보어를 가지는 몸체와;
    상기 몸체에 제거가능하게 장착되는 본넷트로서, 상기 본넷트는 이 본넷트의 축방향 보어내에 배치되는 슬리브를 구비하고, 여기에서 상기 본넷트의 축방향 보어 및 몸체의 내부 보어는 캐비티의 적어도 한 부분이 상기 출구 포트와 유체 소통하도록 캐비티를 형성하는 상기 본넷트와;
    상기 몸체의 내부 보어에 밀봉가능하게 결합하며, 상기 입구 포트와 출구 포트 사이의 유체 흐름을 제어하기 위하여 상기 슬리브의 하부에 미끄럼가능하게 연결되도록 채택되는 피스톤과;
    상기 슬리브의 정상부에 작동가능하게 연결되는 휠로서, 상기 휠이 회전할 때에 상기 휠이 상기 슬리브를 따라서 축방향으로 이동하게 되어 있는 상기 휠 및;
    상기 피스톤과 휠 사이에 연결되어서, 유체 압력이 상기 입구 포트와 출구 포트 사이에서 제어가능할 수 있도록 스프링이 상기 피스톤의 저부면위에 발생되는 유체 힘에 반응하여서 상기 피스톤에 대하여 편향력을 제공하는 스프링을 포함하고,
    상기 본넷트는 배출 포트로부터 내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휠에 근접한 상기 본넷트의 내부면과 교차하는 보어를 구비하는 배출 포트를 추가로 포함함으로써, 상기 휠은 상기 본넷트가 상기 몸체에 부착될 때에 상기 조절기의 외부로부터 접근가능하고 상기 휠을 어느 방향으로든 회전시키기 위하여 결합가능한 흐름 제어 조절기.
  24. 청구항 23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의 편향력은 상기 휠을 한 방향으로 회전시킴으로써 증가되고, 상기 휠을 반대 방향으로 회전시킴으로써 감소되는 흐름 제어 조절기.
  25. 청구항 23에 있어서,
    상기 피스톤은 상기 슬리브를 수용하는 상부를 가지는 축방향 보어 및, 피스톤의 축방향 보어를 상기 피스톤의 저부면과 유체 소통시키는 개구를 포함하고, 상기 피스톤은 피봇 축방향 보어의 숄더가 상기 슬리브와 결합되는 폐쇄 위치와, 상기 숄더가 상기 슬리브로부터 분리되는 개방 위치 사이에서 상기 슬리브를 따라서 축방향으로 이동가능하고, 상기 출구 포트는 양 위치에서 상기 피스톤의 저부면과 유체 소통되는 흐름 제어 조절기.
  26. 청구항 25에 있어서,
    피스톤의 하부와 몸체의 하부는 양 피스톤 위치에서 상기 피스톤의 축방향 보어와 유체 소통하는 몸체의 내부 보어와 결합되는 흐름 제어 조절기.
  27. 청구항 26에 있어서,
    상기 피스톤의 하부는 상기 피스톤의 저부면으로부터 연장되며 상기 몸체의 내부 보어에 배치되어 이와 유체 밀봉관계로 있는 피스톤 슬리브를 포함하는 흐름 제어 조절기.
  28. 청구항 25에 있어서,
    상기 피스톤의 저부면과 결합하고 상기 피스톤을 폐쇄 위치로 향하여 편향시키는 부가의 스프링을 또한 포함하고, 상기 휠이 제 1 위치로 회전될 수 있음으로써 스프링에 의해서 적용되는 힘이 부가의 스프링에 의해서 적용되는 힘을 극복하여 상기 피스톤을 개방 위치에서 유지시키고, 상기 휠이 제 2 위치로 회전될 수 있으므로써 부가의 스프링에 의해서 적용되는 힘이 상기 스프링에 의해서 적용되는 힘을 극복하여 상기 피스톤을 폐쇄 위치에서 유지시키도록, 상기 스프링 및 상기 부가의 스프링이 형성되는 흐름 제어 조절기.
  29. 청구항 25에 있어서,
    상기 본넷트는 상기 출구 포트로부터 상기 슬리브를 통하여 연장되는 축방향 슬리브 보어와, 축방향 슬리브 보어를 상기 슬리브의 외부와 유체 소통시키는 개구를 포함하는 흐름 제어 조절기.
  30. 청구항 29에 있어서,
    상기 출구 포트는 양 피스톤 위치에서 상기 피스톤 개구를 거쳐서 상기 피스톤의 저부면과 유체 소통되는 흐름 제어 조절기.
  31. 청구항 25에 있어서,
    상기 몸체는 입구 포트를 상기 몸체의 내부 보어와 유체 소통시키는 입구 보어와, 출구 포트를 상기 몸체의 내부 보어와 유체 소통시키는 출구 보어를 포함하고, 상기 피스톤의 축방향 보어 및 개구는 상기 입구 포트를 상기 출구 포트와 유체 소통시키는 흐름 제어 조절기.
  32. 삭제
  33. 청구항 23에 있어서,
    상기 휠은 이 휠의 외주면에 일정 간격의 다수의 치형부를 포함하고, 상기 배출 포트 보어는 조정 공구의 회전이 상기 휠의 대응되는 회전을 발생시킬 수 있도록 상기 휠의 치형부와 결합하도록 형성되는 치형부를 가진 기어를 구비하는 상기 조정 기구를 수용하도록 형성되는 흐름 제어 조절기.
  34. 청구항 33에 있어서,
    상기 배출 포트 보어는 상기 조정 공구가 상기 배출 포트 보어내로 삽입될 때에 상기 조정 공구의 외향으로 연장되는 외향으로 연장되는 축을 수용하고, 상기 배출 포트 보어 내에서 상기 조정 공구의 측방향 운동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축과 결합하도록 형성되는 부싱을 포함하는 흐름 제어 조절기.
  35. 청구항 23에 있어서,
    상기 몸체 내부 보어, 상기 슬리브 및 상기 피스톤의 종방향 축은 일치하며, 상기 배출 포트 보어의 종방향 축은 상기 몸체 내부 보어, 슬리브 및 피스톤의 일치하는 종방향 축에 대하여 평행하고 또한 그것으로부터 오프셋되는 흐름 제어 조절기.
  36. 청구항 25에 있어서,
    상기 본넷트는 이 본넷트의 외부면과 상기 휠 근방의 내부면사이에서 연장되는 나사 개구를 포함하고, 상기 조절기는 상기 본넷트의 나사 개구에 배치되며 상기 슬리브에 대하여 상기 휠의 회전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휠에 결합하도록 형성되는 세트 스크류를 포함하는 흐름 제어 조절기.
KR1020087024580A 2006-03-10 2007-03-08 조정가능한 형상을 가지는 감압 조절기 KR10137598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78124306P 2006-03-10 2006-03-10
US60/781,243 2006-03-10
PCT/US2007/005990 WO2007106374A2 (en) 2006-03-10 2007-03-08 Pressure reducing regulator with adjustable featur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112276A KR20080112276A (ko) 2008-12-24
KR101375981B1 true KR101375981B1 (ko) 2014-03-18

Family

ID=383262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7024580A KR101375981B1 (ko) 2006-03-10 2007-03-08 조정가능한 형상을 가지는 감압 조절기

Country Status (13)

Country Link
US (1) US7828009B2 (ko)
EP (1) EP1999530B1 (ko)
JP (1) JP4880707B2 (ko)
KR (1) KR101375981B1 (ko)
CN (1) CN101401050B (ko)
AU (1) AU2007225298B2 (ko)
BR (1) BRPI0708715A2 (ko)
CA (1) CA2645506C (ko)
DE (1) DE602007006646D1 (ko)
MX (1) MX2008011546A (ko)
NO (1) NO338555B1 (ko)
RU (1) RU2008135714A (ko)
WO (1) WO2007106374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757710B2 (en) * 2006-06-19 2010-07-20 Tescom Corporation High-pressure regulator
AU2008242699B2 (en) * 2007-04-20 2012-09-13 Fisher Controls International Llc Service regulator with improved boost performance
US20090078321A1 (en) * 2007-09-20 2009-03-26 Daniel A. Holt, D/B/A Rehvac Manufacturing Ltd. Gas pressure regulator having a regulator cap for a bayonet engagement with the regulator body
EP2166424B1 (en) * 2008-09-19 2017-06-07 Isomatic A/S Fluid regulator
EP2166423B1 (en) * 2008-09-19 2017-12-20 Isomatic A/S Balanced fluid valve
US9092037B2 (en) * 2010-02-10 2015-07-28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Pressure-regulating valve
CA2732241C (en) * 2010-02-18 2015-05-19 Dyna-Flo Control Valve Services Ltd. Cantilever feedback mechanism for a proportional bellows assembly
GB201006347D0 (en) 2010-04-16 2010-06-02 Linde Ag Gas pressure control valve
JP5453227B2 (ja) * 2010-12-06 2014-03-26 川崎重工業株式会社 減圧弁
EP2721207B1 (en) * 2011-06-15 2019-01-02 Picanol A pressure regulator device
US9128492B2 (en) * 2011-08-10 2015-09-08 Tescom Corporation Regulators having an isolated loading chamber and blowout prevention apparatus
CN102749937B (zh) * 2012-07-13 2014-06-04 中国石油天然气股份有限公司 流体释放定量控制装置
US9310812B2 (en) * 2012-10-12 2016-04-12 Illinois Tool Works Inc. Multi-stage pressure regulator and method for fluid pressure regulation
US9709998B2 (en) 2013-03-14 2017-07-18 Marshall Excelsior Co. Pressure regulator
US20160048138A1 (en) * 2013-03-25 2016-02-18 Ad-Venta Compact Inverted Pressure Regulator for Dispensing a Gas
LU92383B1 (en) * 2014-02-27 2015-08-28 Luxembourg Patent Co Sa Pressure reducer with cap-shaped movable chamber
JP6410489B2 (ja) * 2014-06-25 2018-10-24 株式会社Ihi 空圧作動バルブ
BR102015005289A2 (pt) * 2015-03-10 2016-09-13 Ovd Imp Adora E Distribuidora Ltda válvula reguladora de pressão
JP6726865B2 (ja) 2015-06-05 2020-07-22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プラズマ生成装置
CN107771306B (zh) * 2015-06-10 2021-01-26 Ad文塔公司 用于输送受压流体的紧凑且平衡的调节器
US10775811B2 (en) * 2016-04-26 2020-09-15 Oxford Flow Limited Device for controlling fluid flow
CN105927741A (zh) * 2016-07-06 2016-09-07 成都航天烽火精密机电有限公司 高压气体减压阀
US20180024576A1 (en) * 2016-07-25 2018-01-25 Wellsonic, Lc Stable Pressure Regulator Apparatus
DE102016117642A1 (de) * 2016-09-19 2018-03-22 Dr. Ing. H.C. F. Porsche Aktiengesellschaft Kraftstoffabschaltventil
US10174853B2 (en) 2016-10-13 2019-01-08 Itt Manufacturing Enterprises Llc Compressed natural gas (CNG) pressure regulator
CN108758040B (zh) * 2018-08-14 2023-08-15 江苏华燕船舶装备有限公司 一种呼吸减压阀
US11174956B2 (en) * 2018-09-14 2021-11-16 Ningbo Major Draft Beer Equipment Co., Ltd Regulable pressure relief valve for a draft beer fresh-keeping keg
KR102602414B1 (ko) 2018-09-18 2023-11-14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연료전지 시스템용 압력 레귤레이터
EP3881940A4 (en) * 2018-11-14 2022-08-03 ThreeBond Co., Ltd. ASSEMBLY, METHOD OF USING THE ASSEMBLY, APPLICATION DEVICE, METHOD OF USING THE APPLICATION DEVICE, AND METHOD OF FILLING A MATERIAL
US11169550B2 (en) * 2019-10-30 2021-11-09 Pressure Specialist, Inc. Externally adjustable pressure regulator
LU102430B1 (en) * 2021-01-20 2022-07-20 Rotarex S A Adjustable gas regulator
CN113339555A (zh) * 2021-04-20 2021-09-03 宁波万安股份有限公司 一种燃气稳压装置
CN114263773B (zh) * 2022-01-04 2023-08-11 芜湖能量热能设备有限公司 一种节能环保型热水炉用安全阀
CN115773394B (zh) * 2023-02-13 2023-05-02 通威微电子有限公司 余压阀和空调室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85290A (ja) * 1997-09-12 1999-03-30 Fujikura Rubber Ltd ロック機構を有するレギュレータ
JP2004038982A (ja) * 2002-07-12 2004-02-05 Tescom Corp 管内減圧調整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606803A (en) * 1925-02-18 1926-11-16 Lalor Fuel Oil System Company Pressure-regulating device
US2219408A (en) * 1937-07-22 1940-10-29 Phillips Petroleum Co Automatic valve
US3890999A (en) * 1972-12-15 1975-06-24 Eugene D Moskow Fluid pressure regulator
DE3131817A1 (de) * 1981-08-12 1983-03-03 Borsig Gmbh, 1000 Berlin Steuerventil
US4667695A (en) 1984-06-04 1987-05-26 Harold Gold Pressure regulating and on-off valve
JPH089833B2 (ja) * 1989-08-17 1996-01-31 旭硝子株式会社 防汚加工剤
US5251655A (en) * 1992-07-06 1993-10-12 Wilshire Partners Flow control valves for post-mix beverage dispensers
CN2171130Y (zh) * 1993-10-05 1994-07-06 李明泰 气体流量控制器
US5501247A (en) * 1995-02-17 1996-03-26 Vemco Corporation Pressure regulator with means to block relative rotation of parts during assembly
CN2283273Y (zh) * 1996-08-13 1998-06-03 陈家光 可调式气体安全流量控制器
JP2000250635A (ja) * 1999-02-26 2000-09-14 Smc Corp レギュレーター
CN1220917C (zh) * 2003-03-25 2005-09-28 北京七星华创电子股份有限公司 稳流控制装置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85290A (ja) * 1997-09-12 1999-03-30 Fujikura Rubber Ltd ロック機構を有するレギュレータ
JP2004038982A (ja) * 2002-07-12 2004-02-05 Tescom Corp 管内減圧調整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RU2008135714A (ru) 2010-04-20
BRPI0708715A2 (pt) 2011-06-07
WO2007106374A2 (en) 2007-09-20
JP4880707B2 (ja) 2012-02-22
NO20083792L (no) 2008-10-09
MX2008011546A (es) 2008-11-18
CA2645506A1 (en) 2007-09-20
CA2645506C (en) 2013-02-12
AU2007225298A1 (en) 2007-09-20
NO338555B1 (no) 2016-09-05
CN101401050A (zh) 2009-04-01
US7828009B2 (en) 2010-11-09
DE602007006646D1 (de) 2010-07-01
JP2009529731A (ja) 2009-08-20
EP1999530A2 (en) 2008-12-10
US20070209703A1 (en) 2007-09-13
KR20080112276A (ko) 2008-12-24
WO2007106374A3 (en) 2007-11-01
CN101401050B (zh) 2012-03-28
AU2007225298B2 (en) 2010-05-27
EP1999530B1 (en) 2010-05-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75981B1 (ko) 조정가능한 형상을 가지는 감압 조절기
RU2667045C2 (ru) Регулятор текучей среды с интегрированным перепускным клапаном для быстрого создания давления
US20040007269A1 (en) Inline pressure reducing regulator
US20040065368A1 (en) Internally piloted dome loaded regulator
US3478776A (en) Pressure regulating device for fluid dispensing systems
US5613516A (en) Combination hydraulic pressure regulator and pressure switch
US5301713A (en) Flow control valve having adjustable piston for varying flow rate
AU2002352793B2 (en) Pneumatic pressure regulator assembly
US8640732B1 (en) High pressure inlet regulator
EP1110132B1 (en) Metering valve
EP3455692A1 (en) Compressed gas regulator with integrated pressure relief valve
JP2013537293A (ja) 変動する非対称性を有するボリュームブースタ
KR102342222B1 (ko) 유량 조정 밸브 및 밸브 구조체
US10539269B2 (en) Minimal lubrication device with fine adjustment of the flow of oil
JPH07248067A (ja) リリーフ弁
US5727588A (en) Depressurizing connector
AU2008310150B2 (en) Adjustable pressure reduction valve
LU102430B1 (en) Adjustable gas regulator
US11193602B2 (en) Pressure relief valve for a pressure regulator and pressure regulator comprising said pressure relief valve
SU996782A1 (ru) Вентиль тонкой регулировки
GB2256508A (en) Pressure control apparatus
EP1300568A3 (en) Metering valve arrangement
JP2004206427A (ja) 減圧機構および該減圧機構を有する流体圧力調整装置
JPH0478382A (ja) 調圧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0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2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27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