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75904B1 - 점착제 조성물, 점착 시트, 광학 필터 및 디스플레이 장치 - Google Patents

점착제 조성물, 점착 시트, 광학 필터 및 디스플레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75904B1
KR101375904B1 KR1020080039272A KR20080039272A KR101375904B1 KR 101375904 B1 KR101375904 B1 KR 101375904B1 KR 1020080039272 A KR1020080039272 A KR 1020080039272A KR 20080039272 A KR20080039272 A KR 20080039272A KR 101375904 B1 KR101375904 B1 KR 10137590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essure
sensitive adhesive
weight
parts
acrylic monom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392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113515A (ko
Inventor
조익환
한인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화학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to KR10200800392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75904B1/ko
Publication of KR200901135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1351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759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7590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2Elements
    • C08K3/04Carbon
    • C08K3/046Carbon nanorods, nanowires, nanoplatelets or nanofibr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Nanotechn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 Adhesives Or Adhesive Processes (AREA)
  • Adhesive Tap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연성 아크릴 모노머 및 경성 아크릴 모노머를 포함하는 아크릴계 모노머 혼합물; 및 근적외선 흡수제를 포함하는 점착제 조성물; 이를 포함하는 점착 시트; 광학 필터; 및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점착제 조성물은 우수한 투명성을 가지며, 고온, 고압 처리가 없이도 실온에서 적층체를 제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점착 시트 또는 광학 필터는 제조 또는 사용 시에 판 어긋남이 일어나지 않고, 우수한 내충격성, 박리 강도, 전단력 및 근적외선 차폐성을 가지며, 고온 및/또는 고습 하에서 물성 저하가 없다. 추가로 본 발명의 조성물은 착색 또는 변색 현상이 방지되며, EMI 저감 및 대전 방지 특성을 가지고, 크랙 발생 등에 의한 광학 특성의 저하가 방지되는 이점이 있다.
연성 아크릴 모노머, 경성 아크릴 모노머, 근적외선 흡수제, EMI 흡수 필러, 점착제 조성물, 점착 시트, 광학 필터, PDP

Description

점착제 조성물, 점착 시트, 광학 필터 및 디스플레이 장치 {A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a pressure-sensitive adhesive sheet, an optical filter and a display device}
본 발명은 점착제 조성물, 상기를 포함하는 점착 시트, 광학 필터, 및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상 생활 공간에는 번개에 의한 방전과 같이 자연 현상에 따른 전자계 및 TV 또는 라디오와 같이 전파를 수신 또는 방사하는 장치, 자동차 플러그 또는 전기 용접기와 같은 방전 기능을 가지는 인공 시스템에서 발생하는 인공 전자계가 존재한다.
이와 같은 전자계가 존재하는 환경은 전자파 환경이라고도 호칭된다. 전자파 환경 내에는 TV 수상기와 같은 전자파 발생 장치에서 의도적으로 이용되는 필요 전자파도 존재하지만, 노이즈로도 지칭되는 비의도적으로 발생된 전자파도 존재하며, 이는 타 기기의 오작동의 원인이 될 뿐만 아니라, 인체에도 악영향을 미친다. 이러 한 노이즈는 내부의 회로를 통하여 공간으로 방사되는 노이즈(radiated emission), 그리고 신호선 또는 전원 전선 등을 통하여 타 제품에 영향을 미치는 노이즈(conducted emission)로 구분된다.
최근 반도체 기술 및 디지털 기술의 급속한 발전은 부품의 초소형, 고밀도 및 고속화를 이룩하였으며, 기기의 경박 단소화에 따라 극히 적은 구동 에너지로도 필요한 동작을 수행할 수 있게 되었다. 그러나, 이에 수반하여 기기 내부에서 짧은 시간에 전류 또는 전압이 변화하게 되면서, 발생하는 노이즈가 대단히 커지고, 또한 외부의 불필요한 에너지에도 민감한 반응을 나타내는 노이즈에 아주 약한 장치가 되었다. 이러한 기기 특성은 인위적 제어가 어려운 자연 현상의 미소한 전자파 장해에도 민감하게 반응하여 오동작을 유발한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방법은 크게 두 가지로 구분할 수 있는데, 하나는 불필요한 전자파의 방출을 억제하는 방법이고, 다른 하나는 장치가 일정 수준의 전자파 환경 장애를 견디면서 정상적으로 작동할 수 있도록 내성을 강화하는 방법이다.
한편, 최근 액정 표시 장치(LCD),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PDP), 유기 EL 소자 또는 FED 장치와 같은 평면형 디스플레이 장치, 태양전지 모듈 센서, 게이지 또는 계량기 등의 표시 패널의 보호 구조로서, 패널 표면에 내충격성이 높은 강화 유리판, 폴리카보네이트판 또는 아크릴판 등의 보호 패널을 적층하여 복층화하는 방법이 주목 받고 있다.
이러한 보호 패널은 종래의 표시 패널과 투명 플라스틱판 사이에 공극을 설 치하여, 복층화함으로서 유리 표시 패널의 파손 방지를 도모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 방법은 공극의 게재에 따른 박막화의 곤란, 이중 반사에 따른 시인성의 저하, 폴리카보네이트 또는 아크릴의 휘어짐에 따른 대형화 곤란 등의 문제점이 있다. 이에 따라 최근에는 표시 패널 및 보호 패널을 1층 이상의 점착제를 사용하여 밀착하는 방법이 제안되고 있다. 상기 방법은 표시 패널 및 보호 패널 사이에 액상 수지를 주입하고, 실온에서 경화시키거나, 핫 멜트 접착제로 가열 용융하여 접착 처리하거나, 경질의 투명 점착 시트를 사용하여 압착 처리하는 방법이다.
그러나, 상기 방법들은 대부분 오토 클레이브 방식 등으로 열 및/또는 압력을 가하면서 접착하게 되고, 이 때 재질간 상이한 선 팽창 계수로 인해, 휘어짐, 박리 및/또는 균열 등이 발생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일본 특허공개공보 제2002-311843호는 투명한 기재 필름 상에 접착제 또는 점착제, 박막의 금속 메쉬 및 메쉬의 요철면을 평탄화하는 평탄화층을 순차 적층하고, 상기 접착제, 점착제 또는 평탄화층에 가시광 및/또는 근적외선 영역의 특정 파장을 흡수하는 흡수제를 포함시킨 전자파 차폐용 부재를 개시한다. 또한, 상기 부재는 전자파 및 근적외선 차폐성을 가지고, 디스플레이의 색 편차, 콘트라스트의 향상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고 개시한다.
또한 일본 특허공개공보 제1999-116826호는 근적외선 흡수 필러를 사용하여 코팅법 또는 캐스팅법으로 필름을 제조하는 기술을 개시하고, 일본 특허공개공보 제2001-174627호는 투명 기재 내에 입자 및 이물질의 양을 제어하여 광학적 변형을 줄임으로써, 광학 필터를 디스플레이 장치의 전면에 배치했을 때 화질을 향상시키 는 방법을 개시하며, 일본 공개특허공보 제2004-177731호는 외부 충격을 양호하게 완화할 수 있는 투명 충격력 완화부재를 근적외선 차폐 부재로 이용하는 기술을 제안한다.
그러나, 상기 기술들은 모두 고온 및/또는 고습 조건 하에서의 근적외선 차폐성의 저하, 가시광 영역의 특정 파장의 흡수에 따른 착색 또는 변색, 및 크랙 발생에 따른 투명성 저하라는 문제점을 가진다. 또한, 전자파 흡수를 위하여 메쉬를 이용하는 경우 디스플레이 화상의 선명도가 떨어지게 되고, 용제 타입의 점착제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카본 블랙 등과 같은 나노 입자의 분산 공간이 적어지므로, 충분한 EMI 차폐성을 얻을 수 없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 기술을 고려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광학 필터와 같은 적층체의 실온 제조가 가능하며, 제조 후 판 어긋남이 발생하지 않고, 근적외선 흡수능, 전자파 흡수능, 광학 특성 및 내충격성 등의 물성이 뛰어난 점착제 조성물, 이를 사용하여 제조된 점착 시트 및 광학 필터, 그리고 상기 광학 필터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중합시 유리전이온도가 0℃ 이하인 연성 아크릴 모노머 및 중합시 유리전이온도가 80℃ 이상인 경성 아크릴 모노머를 함유하는 아크릴계 모노머 혼합물; 및
근적외선 흡수제를 포함하는 점착제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다른 수단으로서, 기재 필름; 및
상기 기재필름 상에 형성되고, 본 발명에 따른 점착제 조성물을 함유하는 점착층을 포함하는 점착 시트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또 다른 수단으로서, 투명 기판의 전면 또는 후면에 기능성 필름이 본 발명의 따른 점착 시트에 의해 적층되어 있는 광학 필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또 다른 수단으로서, 패널 전면에 부 착된 본 발명에 따른 광학 필터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점착제 조성물은 우수한 투명성을 가지며, 오토 클레이브 등에 의한 고온, 고압 처리가 없이도 실온에서 광학 필터와 같은 적층체를 효율적으로 제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점착 시트 또는 광학 필터는 사용 또는 제조 시에 판 어긋남이 일어나지 않고, 우수한 내충격성, 박리 강도 및 전단력을 가진다. 또한 본 발명의 점착 시트 또는 광학 필터는 우수한 근적외선 차폐성을 가지며, 고온 및/또는 고습 하에서 물성의 저하가 없다. 또한 가시광 영역 특정 파장의 흡수에 따른 착색 또는 변색 현상이 방지되며, EMI 저감 및 대전 방지 특성을 가지고, 크랙 발생 등에 의한 광학 특성의 저하가 우수하게 방지되는 이점이 있다.
본 발명은, 중합시 유리전이온도가 0℃ 이하인 연성 아크릴 모노머 및 중합시 유리전이온도가 80℃ 이상인 경성 아크릴 모노머를 함유하는 아크릴계 모노머 혼합물; 및
근적외선 흡수제를 포함하는 점착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점착제 조성물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연성 아크릴 모노머 및 경성 아크릴 모노머의 혼합물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된 용어 『연성 아크릴 모노머』는 상기 모노머를 호모폴리머로 중합하였을 때, 유리전이온도(Tg)가 0℃ 이하인 아크릴계 모노머를 의미하며, 『경성 아크릴 모노머』는 상기 모노머를 호모폴리머로 중합하였을 때, 유리전이온도가 80℃ 이상인 아크릴계 모노머를 의미한다. 본 발명에서 아크릴계 모노머 혼합물은 상기 연성 아크릴 모노머 및 경성 아크릴 모노머를 함유하는 아크릴계 공중합체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모노머가 공중합된 아크릴계 공중합체가 본 발명의 조성물에 포함되는 경우 상기 공중합체의 20℃에서의 가교 전 점도는 500 mPa·s 내지 3000 mPa·s인 것이 바람직하다. 점도가 상기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점착 시트의 제조 공정 등에서 코팅 작업성이 저하될 우려가 있다. 또한, 아크릴 공중합체의 가교 전 유리전이온도는 -4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70℃ 내지 -50℃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유리전이온도가 상기 범위를 벗어날 경우 점착 시트의 내구성 및/또는 유연성이 저하될 우려가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할 수 있는 연성 아크릴 모노머의 예로는 부틸 (메타)아크릴레이트, 헥실 (메타)아크릴레이트, n-옥틸 (메타)아크릴레이트, 이소옥틸 (메타)아크릴레이트, 2-에틸헥실 (메타)아크릴레이트 및 이소노닐 (메타)아크릴레이트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을 들 수 있고, 경성 아크릴 모노머의 예로는 (메타)아크릴산, 말레산, 푸마르산, 아크릴아미드, N-비닐 피롤리돈, N-비닐 카프로락탐 및 아크릴로 니트릴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을 들 수 있 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아크릴계 모노머 혼합물은 상기 연성 아크릴 모노머를 70 중량부 내지 99 중량부; 그리고 경성 아크릴 모노머를 1 중량부 내지 30 중량부의 양으로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혼합물 내의 연성 아크릴 모노머의 함량이 70 중량부보다 작거나, 경성 아크릴 모노머의 함량이 30 중량부를 초과하면, 유리전이온도가 지나치게 높아져 내충격성 감소, 헤이즈(haze) 발생 및/또는 초기 점착력 감소 등의 문제가 발생할 우려가 있다. 또한, 상기 연성 아크릴 모노머의 함량이 99 중량부를 초과하거나, 경성 아크릴 모노머의 함량이 1 중량부보다 작으면, 유리전이온도가 지나치게 낮아져 내스크래치성 및/또는 점착 내구성 등이 저하될 우려가 있다.
본 발명의 점착제 조성물은 상기 아크릴계 모노머 혼합물과 함께 근적외선 흡수제를 포함한다. 상기 성분은 전체 조성물의 근적외선 흡수능을 향상시키는 역할을 한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흡수제로서, 디스플레이용으로 일반적으로 범용되는 제품들을 제한 없이 사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제품의 예로서, Ni 착체와 디임모늄의 혼합색소; 구리 이온 및 아연 이온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을 함유하는 유기 색소(ex. 프탈로시아닌 또는 나프탈로시아닌 (naphthalocyanince) 등의 시아닌계 색소)를 들 수 있고, 상기 중 시아닌계 색소를 사용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 근적외선 흡수제는 아크릴계 모노머 혼합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1 중량부 내지 20 중량부의 양으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함량이 1 중량부보다 작으면, 근적외선 흡수제 첨가 효과가 나타나지 않 을 우려가 있고, 20 중량부를 초과하면, 헤이즈가 발생하여 투명성이 저하될 우려가 있다.
본 발명의 점착제 조성물은 또한, 아크릴계 모노머 혼합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1 중량부 내지 20 중량부, 바람직하게는 3 중량부 내지 15 중량부의 EMI 흡수 필러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EMI 흡수 필러로는 우수한 전기전도성을 가지는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와 같은 필러의 예로는 나노탄소섬유(ex. 카본 블랙), 금속 분말(ex. 알루미늄 또는 구리 등) 및 전도성 폴리머(ex. 아닐린 계열의 전도성 폴리머) 및 배위금속화합물 (킬레이트 계열 화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을 들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서 상기 필러 함량이 1 중량부 미만이면, 필러 첨가 효과가 나타나지 않을 우려가 있고, 20 중량부를 초과하면, 라디칼 반응성이 떨어져, 점착 시트로의 제조가 어려워질 우려가 있다.
본 발명의 점착제 조성물은 또한, 아크릴계 모노머 혼합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0.1 중량부 내지 5 중량부의 라디칼 개시제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성분의 첨가로 인하여, 점착 시트의 제조 시 아크릴계 모노머의 중합이 용이하게 일어나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라디칼 개시제로서 열개시제 또는 광개시제를 사용할 수 있으며, 상기 두 가지 개시제를 혼합하여 사용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이러한 개시제로는 이 분야에서 상용화되어 있는 개시제를 제한 없이 사용 할 수 있으며, 그 종류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광개시제의 예로는 벤조인 메틸에테르, 벤조인 이소프로필 에테르, 아니소인 메틸에테르, 벤조인 또는 벤질케탈을 들 수 있으며, 상기 중 1종 또는 2종 이상을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열개시제의 예로는 벤조인퍼옥시드와 같은 과산화물계 화합물, 아조비스이소부티로니트릴 및 아민계 화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을 들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라디칼 개시제의 함량이 0.1 중량부 미만이면, 미반응 모노머가 잔존할 우려가 있고, 5 중량부를 초과하면, 분자량 및 재현성이 저하될 우려가 있다.
본 발명에서는 또한 점착제 조성물 내 연성 및 경성 아크릴 모노머의 혼합물 또는 그 공중합체에 가교 구조를 도입하기 위하여, 아크릴계 모노머 혼합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0.01 중량부 내지 20 중량부의 가교제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교제로는 이 분야에서 통상 사용되는 것을 사용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다관능성 아크릴레이트계 화합물(ex. 디아크릴레이트 화합물 또는 트리아크릴레이트 화합물), 아지리딘계 가교제 및 에폭시계 가교제 중 1종 또는 2종 이상의 조합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다관능성 아크릴레이트계 화합물의 구체적인 예로는 헥산디올 디아크릴레이트, 에틸렌글리콜 디아크릴레이트, 디에틸렌글리콜 디아크릴레이트, 트리에틸렌글리콜 디아크릴레이트, 프로필렌글리콜 디아크릴레이트, 디프로필렌글리콜 디아크릴레이트 및/또는 트리프로필렌글리콜 디아크릴레이트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가교제의 함량이 0.01 중량부보다 작으면, 점착제의 유연성이 증가 하여 작업성이 떨어질 우려가 있고, 20 중량부를 초과하면, 내충격성이 저하되거나, 절단 공정 시에 가공성이 떨어질 우려가 있다.
본 발명의 점착제 조성물은 또한 카복실기, 수산기 및 글리시딜기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관능기를 함유하는 아크릴레이트계 모노머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모노머로 인해, 점착 시트 제조 공정 중에 2차 가교가 가능하게 되어, 미반응 모노머가 감소되고, 점착 내구성을 개선할 수 있다. 상기 모노머의 구체적인 종류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이 분야의 일반적인 모노머를 적용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모노머는 아크릴계 모노머 혼합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1 중량부 내지 5 중량부의 범위로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크릴레이트계 모노머의 함량이 상기 범위를 벗어나면, 미반응 모노머의 감소 효과가 떨어져, 점착 내구성이 저하될 우려가 있다.
본 발명의 점착제 조성물을 또한 발명의 효과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범위에서 커플링제, 대전방지제, 계면활성제 및 자외선 차단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성분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기재필름; 및
상기 기재필름 상에 형성되고, 본 발명에 따른 점착제 조성물을 함유하는 점착층을 포함하는 점착 시트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의 점착 시트는 내충격성 및 광학 특성이 우수한 장점을 가지므로, 각종 창 재료 또는 표시 패널을 구성하는 유리, 또는 투명 플라스틱 재료와 같은 평면 투명 재료를 접합시키는 용도로 우수하게 사용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일반적으로 점착 시트의 경도가 높아지면 내충격성이 감소되나, 본 발명의 점착 시트의 경우 높은 경도와 우수한 내충격성을 동시에 갖으며, 낮은 유리전이온도로 인해 저온 점착력이 우수하고, 재단 등의 가공성이 우수하다. 이와 같은 우수한 작업성 및 물성과 함께, 본 발명의 점착 시트는 우수한 근적외선 차폐성, 명실명암비 및 전자파 흡수능을 가지며, 고온 및/또는 고습 하에서도 우수한 물성이 유지되고, 가시광 영역에서 특정 파장의 흡수로 인한 착색 또는 변색이 없으며, 크랙 발생에 의한 광학 특성의 저하도 방지되는 이점을 가진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점착 시트는 투명 창 소재, LCD 또는 PDP와 같은 평면형 디스플레이장치로서, 내충격성, 내균열성, 및 진동 흡수 성능 등이 요구되는 표면 구조의 구성 부재로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점착 시트를 제조하는 방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이 분야의 일반적인 제조 공법을 제한 없이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본 발명의 점착 시트는 기재필름(배킹 필름) 상에 전술한 각 성분을 포함하는 조성물을 코팅하여 점착층을 형성하고, 상기 점착층을 자외선 경화기 등에 의해 경화시킴으로써 제조될 수 있다. 이 때 사용될 수 있는 기재 필름의 예로는 플라스틱 필름, 종이, 부직포, 유리 또는 금속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상기 플라스틱 필름의 구체적인 예로는 PVC(poly(vinyl chloride)) 필름, PET (poly(ethylene terephthalate)) 필름, PE(polyethylene) 필름, PP (polypropylene) 필름, PVDC(poly(vinylidene chloride)) 필름, EVA (ethylene vinyl acetate) 필름, PS(polystyrene) 필름, PC (polycarbonate) 필름, PA(polyamide) 필름, PVAC(poly(vinyl acetate)) 필름, PU(polyurethane) 필름, PVA(poly(vinyl alcohol)) 필름, PTFE(poly(tetrafluoroethylene)) 필름, 아크릴 필름 또는 상기 중 2종 이상이 적층된 수지필름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점착 시트에서 상기 기재 필름 또는 점착층의 두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이 분야에서 통상 채용되는 두께로 형성하면 된다.
본 발명은 또한, 투명 기판의 전면 또는 후면에 기능성 필름이 본 발명에 따른 점착 시트에 의해 적층되어 있는 광학필터에 관한 것이다. 광학필터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전면(시청자 측)에 부착되어 EMI의 차폐, 난반사 방지 및 근적외선 차폐 등을 수행하는 기능성 필터이다. 본 발명의 점착 시트는 전술한 우수한 광학 특성 등의 물성으로 인해, 상기와 같은 광학 필터의 제조에 유용하게 적용될 수 있다. 상기에서 투명 기재의 예로는 유리 및 투명 합성 수지 필름 등을 들 수 있다.
광학필터는 유리 또는 합성 수지 필름, 그리고 각종의 기능성 필름이 서로 적층되어 이루어진다. 이 때 기능성 필름의 예로는 리모콘의 오작동을 유발할 수 있는 근적외선을 차단하는 NIR 컷 필름(Near-Infrared Cut film); 디스플레이 장치가 보다 나은 색상을 표현할 수 있도록 하는 색보정 필름(Color compensation film); 모듈로부터 방출되는 유해 전자파를 차단하는 EMI 차폐 필름(EMI shielding film); 및 외부 광원으로부터의 눈부심을 방지하는 AR 필름 (Anti-reflection film)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광학필터가 적용되는 용도에 따라 상기 기능성 필름의 1종 또는 2종 이상이 사용될 수 있으며, 이 때 본 발명의 점착 시트를 사용함으로써 그 성능을 보다 우수하게 유지시킬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 본 발명에 따른 광학필터가 패널 전면에 부착된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이다. 상기에서 패널 전면이란 디스플레이 장치의 시청자측 또는 시청자측의 면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광학 필터가 적용될 수 있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종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예를 들면, 플라즈마디스플레이 패널(PDP), 액정디스플레이(LCD), 유기 EL 디스플레이, 또는 CRT 등을 포함하고, 특히 플라즈마디스플레이 패널에 바람직하게 적용될 수 있다.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Plasma Display Panel)은 기체 방전 형상(플라즈마 현상)을 이용한 표시 장치로서, PDP 모듈 및 광학 필터 등으로 구성된다. 본 발명의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에서는 패널의 전면 또는 패널 전면에 적층된 어느 한 층의 전면에 본 발명에 따른 광학 필터를 부착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또한 상기 광학 필터를 패널 전면에 부착시키기 위한 점착제로서 본 발명에 따른 점착제 조성물 또는 점착 시트를 사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르는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나, 하기 제시된 실시예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연성 아크릴계 모노머로서 2-에틸헥실 아크릴레이트 90 중량부, 경성 아크릴계 모노머로서 아크릴산 10 중량부 및 열개시제로서 벤조일 퍼옥사이드 0.8 중량부를 사용하여 벌크 수지를 1차적으로 제조하였다. 상기 벌크 수지에 라디칼 개시제(광개시제)로서 벤조인 메틸에테르 1 중량부, 가교제로서 헥산디올 디아크릴레이트 8 중량부, 근적외선 흡수제로서 나프탈로시아닌계 색소(Sumika Optogen NIR-830) 5 중량부, EMI 흡수 필러로서 카본 블랙 10 중량부 및 커플링제 0.2 중량부를 혼합하여 조성물을 수득하였다. 상기 조성물을 이형 처리된 PET 필름 상에 1 mm의 두께로 코팅한 후, 자외선(출력: 100 mW)을 2분간 조사하여 경화시킴으로써 점착 시트를 수득하였다.
실시예 2
연성 아크릴계 모노머로서 2-에틸헥실 아크릴레이트 89 중량부, 경성 아크릴계 모노머로서 아크릴산 11 중량부 및 열개시제로서 벤조일 퍼옥사이드 0.5 중량부를 사용하여 벌크 수지를 1차적으로 제조하였다. 상기 벌크 수지에 라디칼 개시제(광개시제)로서 벤조인 메틸에테르 1 중량부, 가교제로서 헥산디올 디아크릴레이트 10 중량부, 근적외선 흡수제로서 나프탈로시아닌계 색소(Sumika Optogen NIR-830) 5 중량부, EMI 흡수 필러로서 카본 블랙 10 중량부 및 커플링제 0.2 중량부를 혼합하여 조성물을 수득하였다. 상기 조성물을 이형 처리된 PET 필름 상에 1 mm의 두께로 코팅한 후, 자외선 (출력: 100 mW)을 2분간 조사하여 경화시킴으로써 점착 시트를 수득하였다.
실시예 3
연성 아크릴계 모노머로서 2-에틸헥실 아크릴레이트 89 중량부, 경성 아크릴계 모노머로서 아크릴산 11 중량부 및 열개시제로서 벤조일 퍼옥사이드 0.5 중량부를 사용하여 벌크 수지를 1차적으로 제조하였다. 상기 벌크 수지에 라디칼 개시제(광개시제)로서 벤조인 메틸에테르 1 중량부, 가교제로서 헥산디올 디아크릴레이트 10 중량부, 근적외선 흡수제로서 나프탈로시아닌계 색소(Sumika Optogen NIR-830) 5 중량부, EMI 흡수 필러로서 카본 블랙 5 중량부 및 커플링제 0.2 중량부를 혼합하여 조성물을 수득하였다. 상기 조성물을 이형 처리된 PET 필름 상에 1 mm의 두께로 코팅한 후, 자외선 (출력: 100 mW)을 2분간 조사하여 경화시킴으로써 점착 시트를 수득하였다.
상기 제조된 실시예에 대하여 하기 나타난 방법으로 각 물성을 측정하였다.
1. 밀린 거리 측정 ( Creep Test )
제조된 점착 시트의 밀린 거리 측정은 KS D 0237에 근거하여 측정하였다. 구체적으로는 점착 시트를 1 mm × 1 mm의 크기로 절단한 후, 이를 SUS판에 합판하여, 상온에서 하루 동안 방치하였다. 이어서 60℃의 온도에서 1 Kg의 하중을 가하 여, 2시간 후의 SUS판의 면 방향으로의 이동 거리를 측정하였다.
2. 점착제 경도
점착제의 두께를 10 mm 이상으로 적층하여 연필 경도 측정기를 사용하여 연필 경도를 측정하고, 또한 아스카 C 경도계(Asker C)를 사용하여 6 Kg의 하중으로 경도를 측정하였다.
[표 1]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밀린 거리(mm) 0.01 0.01 이하 0.01 이하
연필 경도 1H 2H 2H
점착제 경도 64 73 70
상기 표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점착 시트는 밀린 거리 및 경도 등의 물성이 우수하였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점착 시트의 경우 용매를 함유하지 않는 3차원 가교 중합체로서 투명 겔을 포함하고, 상기 겔 함량이 95 중량% 이상이었다. 또한, 상기 점착 시트는 연필 경도 및 점착제 경도가 우수하였으며, 추가로 이와 같은 높은 경도에도 불구하고, 점착력이 우수하였다. 구체적으로, 기존 사용되던 일반적인 점착 시트 등의 경우, 지나치게 부드러워(soft) 재단 등의 후가공이 곤란한 문제가 있었으나, 본 발명의 실시예의 경우 우수한 재작업성을 나타내면서, 박리 후에도 피착면에 잔사를 남기지 않았다. 또한, 본 발명의 점착 시트는 제조 공 정 중에 용매를 사용하지 않았기 때문에, VOCs의 방출도 거의 없어, 환경적으로도 우수한 장점을 나타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점착 시트의 일 태양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광학 필터의 일 태양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면 부호의 설명>
1: 점착층 2: 기재필름
3: AR 필름 4: NIR & 색보상 필름
5: 유리 6: EMI 차폐 필름

Claims (19)

  1. 중합시 유리전이온도가 0℃ 이하인 연성 아크릴 모노머 70 중량부 내지 99 중량부 및 중합시 유리전이온도가 80℃ 이상인 경성 아크릴 모노머 1 중량부 내지 30 중량부를 함유하는 아크릴계 모노머 혼합물; 및
    근적외선 흡수제를 포함하는 점착제 조성물.
  2. 제 1 항에 있어서,
    연성 아크릴 모노머는 부틸 (메타)아크릴레이트, 헥실 (메타)아크릴레이트, n-옥틸 (메타)아크릴레이트, 이소옥틸 (메타)아크릴레이트, 2-에틸헥실 (메타)아크릴레이트 및 이소노닐 (메타)아크릴레이트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착제 조성물.
  3. 제 1 항에 있어서,
    경성 아크릴 모노머는 (메타)아크릴산, 말레산, 푸마르산, 아크릴아미드, N-비닐 피롤리돈, N-비닐 카프로락탐 및 아크릴로 니트릴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착제 조성물.
  4. 삭제
  5. 제 1 항에 있어서,
    근적외선 흡수제는 Ni 착체와 디임모늄의 혼합 색소; 및 구리 이온 및 아연 이온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을 함유하는 색소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착제 조성물.
  6. 제 1 항에 있어서,
    근적외선 흡수제는 아크릴계 모노머 혼합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1 중량부 내지 20 중량부의 양으로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착제 조성물.
  7. 제 1 항에 있어서,
    아크릴계 모노머 혼합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1 중량부 내지 15 중량부의 EMI 흡수 필러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착제 조성물.
  8. 제 7 항에 있어서,
    EMI 흡수 필러는 나노탄소섬유, 금속 분말, 전도성 폴리머 및 배위금속 화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착제 조성물.
  9. 제 1 항에 있어서,
    아크릴계 모노머 혼합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0.1 중량부 내지 5 중량부의 라디칼 개시제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착제 조성물.
  10. 제 9 항에 있어서,
    라디칼 개시제는 열개시제 또는 광개시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착제 조성물.
  11. 제 10 항에 있어서,
    열개시제는 과산화물계 화합물, 아조비스이소부티로니트릴 및 아민계 화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착제 조성물.
  12. 제 10 항에 있어서,
    광개시제는 벤조인 메틸에테르, 벤조인 이소프로필에테르, 아니소인 메틸에테르, 벤조인 및 벤질케탈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착제 조성물.
  13. 제 1 항에 있어서,
    아크릴계 모노머 혼합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0.01 중량부 내지 20 중량부의 가교제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착제 조성물.
  14. 제 13 항에 있어서,
    가교제는 다관능성 아크릴레이트 화합물, 아지리딘계 가교제 및 에폭시계 가교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착제 조성물.
  15. 제 1 항에 있어서,
    카복실기, 수산기 및 글리시딜기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관능기를 함유하는 아크릴레이트계 모노머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착제 조성물.
  16. 기재필름; 및
    상기 기재필름 상에 형성되고, 제 1 항 내지 제 3 항 및 제 5 항 내지 제 15 항 중 어느 한 항의 점착제 조성물을 함유하는 점착층을 포함하는 점착 시트.
  17. 투명 기판의 전면 또는 후면에 기능성 필름이 제 16 항에 따른 점착 시트에 의해 적층되어 있는 광학 필터.
  18. 제 17 항에 있어서,
    기능성 필름은 AR 필름; NIR 및 색 보정 필름 및 EMI 차폐 필름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 필터.
  19. 제 17 항에 따른 광학 필터가 패널의 전면에 부착되어 있는 디스플레이 장치.
KR1020080039272A 2008-04-28 2008-04-28 점착제 조성물, 점착 시트, 광학 필터 및 디스플레이 장치 KR10137590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39272A KR101375904B1 (ko) 2008-04-28 2008-04-28 점착제 조성물, 점착 시트, 광학 필터 및 디스플레이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39272A KR101375904B1 (ko) 2008-04-28 2008-04-28 점착제 조성물, 점착 시트, 광학 필터 및 디스플레이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13515A KR20090113515A (ko) 2009-11-02
KR101375904B1 true KR101375904B1 (ko) 2014-03-27

Family

ID=415548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39272A KR101375904B1 (ko) 2008-04-28 2008-04-28 점착제 조성물, 점착 시트, 광학 필터 및 디스플레이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7590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09298B1 (ko) * 2009-12-29 2012-01-31 주식회사 엘지화학 수성 아크릴계 점착제,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점착시트
KR20140064842A (ko) * 2011-08-12 2014-05-28 쓰리엠 이노베이티브 프로퍼티즈 컴파니 광학적으로 투명한 도전성 접착제 및 그 용품
CN102559103B (zh) * 2011-12-23 2013-11-27 上海奇想青晨新材料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精裱胶及其制备方法
US10239981B2 (en) 2013-06-19 2019-03-26 Lg Chem, Ltd.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KR101687446B1 (ko) * 2013-06-19 2016-12-16 주식회사 엘지화학 점착제 조성물
KR102370836B1 (ko) * 2015-04-30 2022-03-08 미래나노텍(주) 복합경화형 광학 점착시트 및 그 제조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038069A (ja) * 2006-08-09 2008-02-21 Soken Chem & Eng Co Ltd 近赤外線吸収フィルム用バインダー樹脂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038069A (ja) * 2006-08-09 2008-02-21 Soken Chem & Eng Co Ltd 近赤外線吸収フィルム用バインダー樹脂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13515A (ko) 2009-11-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8230900B (zh) 图像显示装置
KR101566061B1 (ko) 점착 필름, 이를 위한 점착제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부재
EP2341112B1 (en) Transparent adhesive sheet and image display device
KR200484125Y1 (ko) 화상 표시 장치용 투명 양면 점착 시트 및 화상 표시 장치
KR101628435B1 (ko) 점착 필름, 이를 위한 점착제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부재
CN104854646B (zh) 显示装置
KR101375904B1 (ko) 점착제 조성물, 점착 시트, 광학 필터 및 디스플레이 장치
KR101548411B1 (ko) 고온에서의 박리성이 우수한 광학용 점착 필름
KR20200112999A (ko) 화상 표시 장치용 투명 양면 점착 시트 및 이를 사용한 화상 표시 장치
KR101780542B1 (ko) 점착 필름 및 이를 포함하는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장치
JP2014227453A (ja) 粘着シートおよび積層体
KR20090128490A (ko) 광투과형 전자파 차폐 적층체 및 그의 제조방법, 광투과형 전파흡수체 및 접착제 조성물
KR101768302B1 (ko) 점착필름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부재
KR20130129223A (ko) 화상 표시 장치용 점착 시트, 화상 표시 장치 및 점착성 수지 조성물
KR20150060085A (ko) 재작업성이 우수한 양면 코팅 테이프
WO2017204162A1 (ja) 偏光フィルム、粘着剤層付き偏光フィルム、及び画像表示装置
US20170101560A1 (en) Pressure 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pressure sensitive adhesive sheet, pressure sensitive adhesive film, laminate for touch panel, and capacitive touch panel
JP2016069529A (ja) 画像表示装置用粘着シート、画像表示装置の製造方法及び画像表示装置
KR101745042B1 (ko) 터치패널용 점착제 조성물, 점착 필름 및 터치 패널
KR101687059B1 (ko) 점착제 조성물
JP2017003943A (ja) 画像表示装置の製造方法、画像表示装置用粘着シート及び画像表示装置
KR20160032778A (ko) 터치 스크린 패널용 점착제 조성물, 점착 필름 및 터치 스크린 패널
JP2016071161A (ja) 画像表示装置用粘着シート、画像表示装置の製造方法及び画像表示装置
KR101665539B1 (ko) 광학투명접착제 제거용 점착 필름, 이의 제조 방법, 및 이를 이용한 터치스크린의 광학투명접착제 제거 방법
KR101906637B1 (ko) 점착제 조성물, 광학용 점착 필름 및 터치 스크린 패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1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1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1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16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