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70836B1 - 복합경화형 광학 점착시트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복합경화형 광학 점착시트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70836B1
KR102370836B1 KR1020150061115A KR20150061115A KR102370836B1 KR 102370836 B1 KR102370836 B1 KR 102370836B1 KR 1020150061115 A KR1020150061115 A KR 1020150061115A KR 20150061115 A KR20150061115 A KR 20150061115A KR 102370836 B1 KR102370836 B1 KR 10237083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composite
adhesive sheet
acrylate
optical adhesi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611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129941A (ko
Inventor
조영한
김현중
박지원
이태형
Original Assignee
미래나노텍(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래나노텍(주) filed Critical 미래나노텍(주)
Priority to KR10201500611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70836B1/ko
Publication of KR201601299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2994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708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7083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2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their carrier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35/00Heating, cooling or curing, e.g. crosslinking or vulcanising; Apparatus therefor
    • B29C35/02Heating or curing, e.g. crosslinking or vulcanizing during moulding, e.g. in a mould
    • B29C35/08Heating or curing, e.g. crosslinking or vulcanizing during moulding, e.g. in a mould by wave energy or particle radiation
    • B29C35/0805Heating or curing, e.g. crosslinking or vulcanizing during moulding, e.g. in a mould by wave energy or particle radiation using electromagnetic radiation
    • B29C2035/0827Heating or curing, e.g. crosslinking or vulcanizing during moulding, e.g. in a mould by wave energy or particle radiation using electromagnetic radiation using UV radia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203/00Applications of adhesives in processes or use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2203/318Applications of adhesives in processes or use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for the production of liquid crystal display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301/0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2301/2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structural features of the adhesive itself
    • C09J2301/208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structural features of the adhesive itself the adhesive layer being constituted by at least two or more adjacent or superposed adhesive layers, e.g. multilayer adhesive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301/0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2301/4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presence of essential component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Adhesives Or Adhesive Process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복합경화형 광학 점착시트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복합경화형 광학 점착시트는 베이스층; 상기 베이스층의 상면에 형성되는 복합경화층; 상기 복합경화층의 상면 일부에 형성되는 블랙매트릭스층; 및 상기 복합경화층 및 상기 블랙매트릭스층 상면에 형성되는 표면층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복합경화층은 저온유리전이모노머, 고온유리전이모노머, 광개시제, 다관능 바인더, 이온반응성 아크릴레이트, 다관능 이온반응성 바인더, 이온성 개시제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하여 블랙매트릭스층의 비투과영역에서도 UV에 의해 이온 경화가 가능해져 UV 미경화를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복합경화형 광학 점착시트 및 그 제조방법 {COMPLEX HARDENING OPTICAL ADHESIVE SHEET AND THE MANUFACTURING METHOD}
본 발명은 복합경화형 광학 점착시트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복합경화 방식으로 액상의 재료를 이용하면서 UV 미경화를 방지할 수 있는 광학 점착시트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터치스크린 패널은 일반적으로 커버 윈도우(Cover Window) 아래에 투명전극 및 디스플레이 모듈(Display Module)이 위치하는 구조를 갖는다. 이러한 터치스크린 패널은 초기에는 커버 윈도우와 투명전극 사이에 에어 갭(Air Gap)을 이용한 구조였으나, 현재에는 광학용 접착소재를 충진한 풀 라미네이션(Full Lamination) 방식{혹은 다이렉트 본딩(Direct Bonding) 방식}이 일반화되고 있다.
이러한 풀 라미네이션 방식의 터치스크린 패널 구조에서 각 레이어(Layer)를 접착시키기 위해 사용되는 광학용 접착소재는 크게 투명한 양면 테이프 타입의 OCA(Optically Clear Adhesive)와 투명한 액체 타입의 OCR(Optically Clear Resin)으로 나뉜다.
도 1에 종래기술에 따라 블랙매트릭스(2)가 형성된 커버 윈도우(3)와 터치스크린 패널(미도시, 터치스크린 패널은 일예일 뿐, 블랙매트릭스(2)가 형성된 커버 윈도우(3)와 부착되는 어떠한 layer일 수 있음)을 부착하기 위한 OCA 필름의 점착층(1)이 도시되어 있다. 점착층(1)은 필름 형상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고유의 탄성적인 성질을 지니게 된다. 따라서 점착층(1)이 접착될 때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블랙매트릭스층(3)의 측면에서 단차에 다른 공극(void)이 발생하는데, 이러한 공극은 커버 윈도우(3) 전역으로 이동하여 불량을 야기하는 문제가 된다. OCA 필름이 유동성을 갖기 때문에 공극이 이동하는 것이다.
도 2에 종래의 OCR의 단면이 도시되어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종래의 OCR은 베이스층(4); 베이스층(4) 상부에 형성되는 액체 형태의 점착층(5); 점착층(5)의 상면 일부에 형성되는 블랙매트릭스층(6); 점착층(5) 및 블랙매트릭스층(6) 상부에 형성되는 표면층(7)으로 구성되나, 점착층(5)이 액상의 재료로 구성됨으로써 OCA와 같이 단차에 의한 문제점이 발생하지 않는다. 그러나 UV를 조사하였을 때 블랙매트릭스층(6)의 비투과영역{도 2에서 블랙매트릭스층(6)의 하부 영역}에서 UV 미경화가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UV 미경화에 의해 잔존 OCR이 흘러내리거나 주변부(UV 미경화 부위의 주변부)를 오염시키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본 발명은 위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에서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액상의 재료를 사용하여 UV 경화를 이용하되, UV 미경화를 방지할 수 있는 복합경화형 광학 점착시트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위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복합경화형 광학 점착시트는 베이스층; 상기 베이스층의 상면에 형성되는 복합경화층; 상기 복합경화층의 상면 일부에 형성되는 블랙매트릭스층; 및 상기 복합경화층 및 상기 블랙매트릭스층 상면에 형성되는 표면층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복합경화층은 저온유리전이모노머, 고온유리전이모노머, 광개시제, 다관능 바인더, 이온반응성 아크릴레이트, 다관능 이온반응성 바인더, 이온성 개시제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위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복합경화형 광학 점착시트 제조방법은 베이스층을 형성하는 베이스층 형성단계; UV 중합을 이용하여 복합경화층을 형성하는 복합경화층 형성단계; 블랙매트릭스층을 형성하는 블랙매트릭스층 형성단계; 표면층을 형성하는 표면층 형성단계; 상기 표면층 상부로 365nm 이상의 파장을 갖는 UV를 조사하는 제1 UV 조사단계; 및 상기 표면층 상부로 280nm 이하의 파장을 갖는 UV를 조사하는 제2 UV 조사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복합경화형 광학 점착시트 제조방법.
본 발명에 따른 복합경화형 광학 점착시트는 복합경화층이 액상의 재료로 형성되기 때문에 종래의 단차가 발생하는 문제점을 해결함과 동시에, 블랙매트릭스층의 비투과영역에서도 UV에 의해 이온 경화가 가능해져 UV 미경화를 방지할 수 있다. 이로써 UV 미경화에 의한 오염 역시 방지하고 층간의 접착력을 우수하게 유지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OCA의 단면도
도 2는 종래의 OCR의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복합경화형 광학 점착시트의 단면도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복합경화형 광학 점착시트에 UV 반응 상태도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복합경화형 광학 점착시트 제조방법의 순서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복합경화형 광학 점착시트의 물성 평가결과 그래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복합경화형 광학 점착시트 제조방법의 실시예 1
도 10은 실시예 1의 간략한 개념도 및 물성 평과결과 그래프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복합경화형 광학 점착시트 제조방법의 실시예 2
도 12는 실시예 2의 간략한 개념도 및 물성 평과결과 그래프
도 13은 실시예 2에 따라 제조된 복합경화형 광학 점착시트의 사진
도 14는 실시예 2의 결과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복합경화형 광학 점착시트 제조방법의 실시예 2
도 16은 실시예 3의 간략한 개념도 및 물성 평과결과 그래프
도 17은 UV 중합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
아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복합경화형 광학 점착시트 및 그 제조방법을 첨부된 도면을 통해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복합경화형 광학 점착시트의 단면도로서, 본 발명에 따른 복합경화형 광학 점착시트는 베이스층(10); 베이스층(10)의 상면에 형성되는 복합경화층(20); 복합경화층(20)의 상면 일부에 형성되는 블랙매트릭스층(30); 및 복합경화층(20) 및 블랙매트릭스층(30) 상면에 형성되는 표면층(4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부연하면, 베이스층(10), 표면층(40)은 릴리즈 필름으로 작용하고, 복합경화층(20)은 점착제로 작용한다. 블랙매트릭스층(30)은 실제 본 발명에 다른 복합경화형 광학 점착시트 내에서 구비되는 층이 아니고, 커버 윈도우의 가장자리에 배치되어 베젤 역할을 하는 층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복합경화형 광학 점착시트는 릴리즈 필름으로 작용하는 베이스층(10), 표면층(40)과 점착층으로 작용하는 복합 경화층(20)만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블랙매트릭스층(30)은 종래기술과의 차이점에 따른 효과(단차에 의한 접착불량)를 설명하고자 도시한 것일 뿐이다.
베이스층(10)은 본 발명에 따른 복합경화형 광학 점착시트의 토대를 이루는 구성요소로서, 디스플레이 장치의 종류 및 특성에 따라 폴리카보네이트(Polycarbonate), 폴리메틸 메타크릴레이트(Polymethyl Methacrylate, 아크릴) 등의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복합경화층(20)은 베이스층(10)의 상면에 형성되는 구성요소로서, 유리전이온도가 저온인 모노머로 이루어지는 저온유리전이(Low Tg)모노머, 유리전이온도가 고온인 모노머로 이루어지는 고온유리전이(High Tg)모노머, 광개시제, 다관능 바인더, 이온반응성 아크릴레이트, 다관능 이온반응성 바인더, 이온성 개시제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삭제
이때 저온유리전이모노머에는 2헥실에틸아크릴레이트, 부틸아크릴레이트, 아이오옥틸아크릴레이트, 라우릴아크릴레이트, 도데실아크릴레이트 등이 포함되어 구성될 수 있고, 고온유리전이모노머에는 아이소보닐아크릴레이트, 아크릴산, 메타아크릴레이트, 글리시딜(메타)아크릴레이트, 하이드록실(메타)아크릴레이트 등이 포함되어 구성될 수 있다.
광개시제로는 포스핀(Phosphine), 벤조페논(Benzophenone), 아세토페논(Acetophenone), 페닐케톤(Phenylketone) 계열의 개시제가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광개시제는 365nm 이상의 UV 반응 스펙트럼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반적으로 UV는 파장이 10nm~400nm 사이의 빛으로 정의되기 때문에 365nm 이상의 UV 반응 스펙트럼을 갖는다는 것은 365nm~400nm 사이의 반응 스펙트럼을 갖는 것으로 볼 수 있다.
복합경화층(20)에는 이외에도 다관능 바인더, 이온반응성 아크릴레이트, 다관능 이온반응성 바인더, 이온성 개시제를 포함하여 구성되는데, 다관능 바인더는 2개 이상의 아크릴 반응기를 가진 모노머 혹은 올리고머를 의미한다.
이온반응성 아크릴레이트는 한쪽에 아크릴레이트(메타아크릴레이트) 구조를 가지고 있고, 나머지 공간에 옥세탄, 옥실란, 락탐 구조 등을 가진다. 이온반응성 아크릴레이트는 이러한 구조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양이온 및 음이온 개시에 의해 반응을 할 수 있다.
다관능 이온반응성 바인더는 양이온 및 음이온 개시에 반응할 수 있는 구조를 두 개 이상 갖고 있는 모노머 및 올리고머를 의미한다.
이온성 개시제는 280nm 이하의 UV 반응 스펙트럼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이온성 개시제는 10nm~280nm 사이의 파장을 갖는 빛에 반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이온성 개시제는 양이온 개시제 및 음이온 개시제로 이루어지며, 양이온 개시제와 음이온 개시제가 동일한 몰비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왜냐하면 이온성 개시제는 산 또는 염기의 부가적인 산물을 형성하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양이온 개시제와 음이온 개시제가 서로 다른 비율로 구성된다면 산 또는 염기가 부가적으로 만들어지고, 이러한 산 또는 염기를 제거하기 위해 별도의 중화과정을 거쳐야한다. 이러한 산 또는 염기의 부가적인 생성을 최대한 억제하기 위해 양이온 개시제와 음이온 개시제가 동일한 몰비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복합경화형 광학 점착시트는 첨가제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도 있는데, 첨가제는 점착부여수지 및 가소제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러한 첨가제는 첨가제를 제외한 복합경화층(20)의 전체 구성물을 100 중량부로 했을때, 0.01~40 중량부로 이루어질 수 있다.
블랙매트릭스층(30)은 복합경화층(20)의 상면 일부에 형성되는 구성요소로서, 구체적으로 복합경화층(20)의 상면 테두리 부분에 형성된다.
표면층(40)은 복합경화층(20) 및 블랙매트릭스층(30)의 상부에 형성되는 구성요소로서, PET 등의 소재로 형성된다.
위와 같은 구성의 복합경화형 광학 점착시트는 복합경화층(20)이 UV의 파장에 따라 경화가 다르게 일어난다. 즉, 광개시제가 365nm 이상의 파장의 UV에 의해 광(UV)경화 반응을 유도하고, 이온성 개시제가 280nm 이하의 파장의 UV에 의해 이온경화 반응을 유도한다. 이러한 광경화 반응과 이온경화 반응은 시간차를 두어 따로 진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복합경화형 광학 점착시트의 UV 반응 상태도이다. 도 4는 복합경화형 광학 점착시트를 제조하는 경우로서, 릴리즈 필름(10, 40)이 부착된 복합경화층(20)을 1차 경화시키기 위해 365nm 이상의 파장의 UV를 조사한 경우로서, 복합경화층(20)은 365nm 이상의 파장의 UV에 의해 광경화 반응을 시작하여 1차 경화된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블랙매트릭스층(30)은 복합경화형 광학 점착시트 내에 구비되는 성분이 아니다.
도 5는 위와 같이 양면 테이프 형태로 제조된 복합경화형 광학 점착시트를 이용하여 블랙매트릭스층(30)이 형성된 커버 윈도우(40)와 터치스크린 패널(10)을 부착하는 경우를 나타낸 도면이다. 복합경화형 광학 점착시트 내 복합경화층(20)을 이용하여 커버 윈도우(40)와 터치스크린 패널(10)을 접착시킨 후, 280nm 이하의 파장의 UV를 조사한 경우로서, 복합경화층(20)은 280nm 이하의 파장의 UV에 의해 이온경화 반응을 시작하고 도 5에 도시된 것처럼 블랙매트릭스층(30)의 하부에도 이온경화 반응이 유도되며 결국 복합경화층(20) 전체가 경화된다.
즉, 본 발명에 따른 복합경화형 광학 점착시트는 형태가 OCA 필름으로 사용이 간편하고, OCR처럼 UV가 미치지 못하는 영역으로 인한 미경화 현상을 이온경화 반응을 통해 해결한다. OCR의 경우 미경화 영역이 발생할 경우, 그 미경화 영역으로 인해 경화된 영역조차 환원되어 점차 미경화 영역이 넓어지는 데 반해, 이온경화 반응은 미경화 영역이 있더라도, 경화 영역에 의해 미경화 영역이 경화되는 특징이 있다. 또한, 형태가 유사한 OCA 필름 대비 유동성(flexible)이 우수하여 단차에 부착이 용이하다. 만약, 본 발명의 복합경화형 광학 점착시트를 단차 패턴에 부착할 때 공극이 발생하더라도, 2차 경화에서 복합경화층(20)이 완전 경화되기 때문에 공극이 다른 영역으로 확산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이처럼 본 발명에 따른 복합경화형 광학 점착시트는 종래의 OCR과는 다르게 복합경화(두 번의 경화)를 통하여 미경화 부분이 발생하지 않기 때문에, 미경화에 의해 발생되는 문제점을 모두 해결할 수 있다.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복합경화형 광학 점착시트 제조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6 및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복합경화형 광학 점착시트 제조방법을 구체적으로 알아본다.
① 베이스층 형성단계(S10): 디스플레이 장치의 종류 및 특성에 따라 폴리카보네이트(Polycarbonate), 폴리메틸 메타크릴레이트(Polymethyl Methacrylate, 아크릴) 등의 소재로 베이스층(10)을 형성하는 단계이다.
② 복합경화층 형성단계(S20): 저온유리전이모노머, 고온유리전이모노머, 광개시제, 다관능 바인더, 이온반응성 아크릴레이트, 다관능 이온반응성 바인더, 이온성 개시제가 포함된 조성물로 UV 중합을 이용하여 복합경화층(20)을 형성하는 단계이다.
이러한 복합경화층 형성단계(S20)는 저온유리전이모노머, 고온유리전이모노머, 광개시제가 포함된 조성물의 상태에서 UV 중합 반응을 을 일으키는 UV 중합단계(S20-1); UV 중합된 상태의 조성물에 다관능 바인더, 이온반응성 아크릴레이트, 다관능 이온반응성 바인더, 이온성 개시제를 첨가(필요에 따라 첨가제도 첨가할 수 있음)한 후 블렌딩(Blending: 혼합)하고 코팅하는 혼합 및 코팅단계(S20-2)로 이루어질 수 있다.
③ 블랙매트릭스층 형성단계(S30): 복합경화층(20) 상면의 테두리 부분에 블랙매트릭스층(30)을 형성하는 단계이다.
④ 표면층 형성단계(S40): PET 등의 소재를 이용하여 표면층(40)을 형성하는 단계이다.
⑤ 제1 UV 조사단계(S50): 표면층(40) 상부로 365nm 이상의 파장을 갖는 UV를 조사하는 단계이다. 이러한 제1 UV 조사단계(S50)를 거치면 도 4에 도시된 것처럼 복합경화층(20) 중 블랙매트릭스층(30)의 하부를 제외한 부분이 경화된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복합경화형 광학 점착시트의 물성 평가결과 그래프로서, 경화된 복합경화층(20)의 접착 강도(Peel Strength)를 UV의 광량(dose)을 조절하여 테스트한 결과이다. 도 8을 참조하면 UV의 광량을 1600mJ로 조사하였을 때 복합경화층(20)의 접착 강도가 가장 높은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제1 UV 조사단계(S50)에서 조사하는 UV의 광량을 1600mJ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⑥ 제2 UV 조사단계(S60): 베이스층, 표면층이 제거된 복합 경화층(20)을 단차가 형성된 패턴(예를 들어 블랙매트릭스층(30)에 부착한 후, 280nm 이하의 파장을 갖는 UV를 조사하는 단계이다. 이러한 제2 UV 조사단계(S60)를 거치면 도 5에 도시된 것처럼 복합경화층(20) 중 블랙매트릭스층(30)의 하부에 이온경화가 전이되고, 이로써 복합경화층(20) 전체가 경화될 수 있다.
위와 같은 단계를 거쳐 액상의 재료를 이용하면서도 UV 미경화를 방지할 수 있는 복합경화형 광학 점착시트를 제조할 수 있다.
10: 베이스층 20: 복합경화층
30: 블랙매트릭스층 40: 표면층

Claims (10)

  1. 베이스층;
    상기 베이스층의 상면에 형성되는 복합경화층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복합경화층은 저온유리전이모노머, 고온유리전이모노머, 광개시제, 다관능 바인더, 이온반응성 아크릴레이트, 다관능 이온반응성 바인더, 이온성 개시제를 포함하며,
    상기 저온유리전이모노머는 2헥실에틸아크릴레이트, 부틸아크릴레이트, 아이오옥틸아크릴레이트, 라우릴아크릴레이트, 도데실아크릴레이트가 포함되며,
    상기 고온유리전이모노머는 아이소보닐아크릴레이트, 아크릴산, 메타아크릴레이트, 글리시딜(메타)아크릴레이트, 하이드록실(메타)아크릴레이트가 포함되며,
    상기 이온성 개시제는 양이온 개시제 및 음이온 개시제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경화형 광학 점착시트.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KR1020150061115A 2015-04-30 2015-04-30 복합경화형 광학 점착시트 및 그 제조방법 KR10237083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61115A KR102370836B1 (ko) 2015-04-30 2015-04-30 복합경화형 광학 점착시트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61115A KR102370836B1 (ko) 2015-04-30 2015-04-30 복합경화형 광학 점착시트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29941A KR20160129941A (ko) 2016-11-10
KR102370836B1 true KR102370836B1 (ko) 2022-03-08

Family

ID=574844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61115A KR102370836B1 (ko) 2015-04-30 2015-04-30 복합경화형 광학 점착시트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70836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5040283A (ja) 2013-08-23 2015-03-02 東亞合成株式会社 光硬化性接着剤組成物、偏光板とその製造法、光学部材及び液晶表示装置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75904B1 (ko) * 2008-04-28 2014-03-27 주식회사 엘지화학 점착제 조성물, 점착 시트, 광학 필터 및 디스플레이 장치
KR101640369B1 (ko) * 2013-07-19 2016-07-22 배인수 터치스크린 패널용 커버 시트 제조방법, 이를 이용한 터치스크린 패널 제조방법 및 그에 따라 제조된 터치스크린 패널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5040283A (ja) 2013-08-23 2015-03-02 東亞合成株式会社 光硬化性接着剤組成物、偏光板とその製造法、光学部材及び液晶表示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29941A (ko) 2016-11-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20204725A1 (en) Uv-photocured resin layer and image display device using the same
KR101483385B1 (ko) 화상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CN105807468B (zh) 图像显示装置的制造方法
KR102435423B1 (ko) 광경화성 수지 조성물, 및 화상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EP2852487B1 (en) Metallic pigment particles
CN109917566B (zh) 图像显示装置的制造方法、树脂用分配器
TWI630117B (zh) 影像顯示裝置用雙面黏著片材及其貼合方法、附有離型薄膜之影像顯示裝置用雙面黏著片材及使用該等而成之影像顯示裝置
TWI644794B (zh) Method for manufacturing double-sided adhesive sheet for image display device
WO2017022285A1 (ja) 光学部材の製造方法
KR20160025050A (ko) 곡면 기재용 다층 구조 점접착 필름
CN106896551B (zh) 图像显示装置的制造方法
TW201730640A (zh) 影像顯示裝置之製造方法
JP2017048358A (ja) 光硬化性樹脂組成物、及び画像表示装置の製造方法
JP7319546B2 (ja) 光硬化性樹脂組成物及び画像表示装置の製造方法
KR20230019176A (ko) 화상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KR102370836B1 (ko) 복합경화형 광학 점착시트 및 그 제조방법
KR102483283B1 (ko) 접합체의 제조 방법, 접속 방법
JP2019040025A (ja) 画像表示装置の製造方法
JP2017535638A (ja) Uv硬化性粘着剤(psa)又は段階処理可能なpsa系を用いた組立て方法
JP7368990B2 (ja) 光学装置の製造方法
KR102012695B1 (ko) 광학용 점착 필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