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19176A - 화상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화상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19176A
KR20230019176A KR1020230008517A KR20230008517A KR20230019176A KR 20230019176 A KR20230019176 A KR 20230019176A KR 1020230008517 A KR1020230008517 A KR 1020230008517A KR 20230008517 A KR20230008517 A KR 20230008517A KR 20230019176 A KR20230019176 A KR 2023001917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sin layer
image display
photocurable resin
cover member
transmitting co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085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다카오 하시모토
Original Assignee
데쿠세리아루즈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데쿠세리아루즈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데쿠세리아루즈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300191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1917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308Support structures for LCD panels, e.g. frames or bezels
    • G02F1/133331Cover glasse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308Support structures for LCD panels, e.g. frames or bezel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00Processes of polymerisation
    • C08F2/46Polymerisation initiated by wave energy or particle radiation
    • C08F2/48Polymerisation initiated by wave energy or particle radiation by ultraviolet or visible light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65/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polymerising monomers on to polymers of unsaturated monocarboxylic acids or derivatives thereof as defined in group C08F20/00
    • C08F265/04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polymerising monomers on to polymers of unsaturated monocarboxylic acids or derivatives thereof as defined in group C08F20/00 on to polymers of esters
    • C08F265/06Polymerisation of acrylate or methacrylate esters on to polymers thereof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4/00Adhesives based on organic non-macromolecular compounds having at least one polymerisable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 ; adhesives, based on monomer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of groups C09J183/00 - C09J183/16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4/00Adhesives based on organic non-macromolecular compounds having at least one polymerisable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 ; adhesives, based on monomer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of groups C09J183/00 - C09J183/16
    • C09J4/06Organic non-macromolecular compounds having at least one polymerisable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 in combination with a macromolecular compound other than an unsaturated polymer of groups C09J159/00 - C09J187/00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03Apparatus specially adapted to the manufacture of LCD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509Filters, e.g. light shielding masks
    • G02F1/133512Light shielding layers, e.g. black matrix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9/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installation, removal, maintenance of electric discharge tubes, discharge lamps, or parts thereof; Recovery of material from discharge tubes or lamps
    • H01J9/20Manufacture of screens on or from which an image or pattern is formed, picked up, converted or stored; Applying coatings to the vessel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3/00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 H05B33/1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to the manufacture of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2202/00Materials and properties
    • G02F2202/02Materials and properties organic material
    • G02F2202/022Materials and properties organic material polymeric
    • G02F2202/023Materials and properties organic material polymeric curable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2202/00Materials and properties
    • G02F2202/28Adhesive materials or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 Liquid Crystal (AREA)
  • Lining Or Join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과제] 화상 표시 부재와 그 표면측에 배치되는 만곡한 광투과성 커버 부재를 광경화성 수지 조성물의 경화 수지층을 개재하여 적층하여 화상 표시 장치를 제조할 때에, 완성한 화상 표시 장치의 표시면에 공극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고, 또, 공극이 발생하지 않더라도, 광경화 수지층의 잔류 응력에 의해 표시에 색 편차가 발생하지 않도록 한다. [해결 수단] 화상 표시 장치는, 화상 표시 부재와 만곡한 광투과성 커버 부재가, 광경화 수지층을 개재하여 적층되어 있는 구조를 갖는다. 광투과성 커버 부재의 오목부면측의 폭은, 화상 표시 부재의 폭보다 크다. 또, 광경화 수지층의 최대 두께는, 화상 표시 부재가 광투과성 커버 부재에 접촉하지 않는 두께이다. 이 화상 표시 장치에 있어서는, 그것을 단면에서 보았을 때에, 광투과성 커버 부재의 오목부면 저부로부터, 화상 표시 부재가 광투과성 커버 부재에 접촉한다고 상정되는 2개의 접촉점을 이은 기준선까지의 거리보다, 광경화 수지층의 최대 두께가 두껍게 되어 있다. 또, 광경화 수지층은, 광투과성 커버 부재측의 제1 광경화 수지층과 화상 표시 부재측의 제2 광경화 수지층의 2층 구조로 되어 있고, 제1 광경화 수지층의 최대 두께는, 광투과성 커버 부재의 오목부면 저부로부터, 화상 표시 부재가 광투과성 커버 부재에 접촉한다고 상정되는 2점을 이은 기준선까지의 거리에 상당한다.

Description

화상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IMAGE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본 발명은, 액정 표시 패널 등의 화상 표시 부재와, 그 표면측에 배치되는 만곡한 투명 보호 시트 등의 광투과성 커버 부재가, 광투과성의 광경화 수지층을 개재하여 적층되어 있는 화상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카 내비게이션 등의 차재용 정보 단말에 이용되고 있는 화상 표시 장치는, 플랫한 광투과성 커버 부재에 광경화성 수지 조성물을 도포하고, 자외선 조사에 의해 가경화시켜 가경화 수지층을 형성한 후, 가경화 수지층에 액정 표시 패널이나 유기 EL 패널 등의 플랫한 화상 표시 부재를 적층하고, 계속해서 가경화 수지층에 대해 자외선 조사를 재차 행함으로써 본경화시켜 광경화 수지층으로 만듦으로써 제조되고 있다(특허문헌 1).
그런데, 차재용 정보 단말용 화상 표시 장치의 의장성이나 터치감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한 방향으로 만곡한 형상의 광투과성 커버 부재를 이용하는 것이 요구되도록 되어 있다. 이 때문에, 이러한 화상 표시 장치를 특허문헌 1에 기재된 제조 방법에 준해 제조하는 것이 시도되고 있다. 예를 들면, 만곡한 광투과성 커버 부재(100)의 오목부측 표면(100a)에 광경화성 수지 조성물(101)을 도포하고(도 4a), 자외선을 조사하여 가경화 수지층(102)을 형성하고(도 4b), 그 가경화 수지층(102)에 평탄한 화상 표시 부재(103)를 적층함으로써 제조하는 것이 시도되고 있지만(도 4c), 대부분의 경우, 화상 표시 부재(103)의 모서리(103a)가 광투과성 커버 부재(100)의 오목부면(100a)에 선접촉하도록 적층되어 있다.
일본국 특허공개 2014-119520호 공보
일반적으로, 광경화성 수지 조성물을 자외선 조사에 의해 광경화시키면 경화 수축이 발생하지만, 플랫한 광투과성 커버 부재에 플랫한 화상 표시 부재를 적층하는 특허문헌 1의 제조 방법의 경우에는, 면방향의 광경화성 수지 조성물의 도포 두께가 약 150㎛ 정도로 얇고 또한 균일하기 때문에, 광경화 수지층이 경화 수축해도 보이드가 발생하기 어렵고, 화상 품질에 대한 광경화 수지층의 잔류 응력의 영향을 무시할 수 있는 것이었다.
한편, 한 방향으로 만곡한 형상의 광투과성 커버 부재의 오목부면에 광경화성 수지 조성물을 도포한 경우, 만곡하고 있지 않은 변 근방의 광경화성 수지 조성물의 도포 두께는 0~500㎛ 정도가 되지만, 오목부면의 중앙부의 광경화성 수지 조성물의 도포 두께는 만곡하고 있지 않은 변 근방의 도포 두께보다 매우 두꺼워지고, 경우에 따라 수㎜ 두께 정도까지 두꺼워진다. 이 때문에, 오목부면의 중앙부에서는, 광경화성 수지 조성물의 경화 수축이 현저하게 큰 것이 되고, 결과적으로 중앙부에는 함몰이 형성되고, 완성한 화상 표시 장치의 표시면에 공극이 발생하고, 또, 공극이 발생하지 않더라도, 광경화 수지층의 잔류 응력에 의해 표시에 색 편차가 발생하는 것이 우려되고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이상의 종래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는 것이며, 화상 표시 부재와 그 표면측에 배치되는 만곡한 광투과성 커버 부재를 광경화성 수지 조성물의 광경화 수지층을 개재하여 적층하여 화상 표시 장치를 제조할 때에, 완성한 화상 표시 장치의 표시면에 공극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고, 또, 공극이 발생하지 않더라도, 광경화 수지층의 잔류 응력에 의해 표시에 색 편차가 발생하지 않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자는, 화상 표시 부재와, 만곡한 광투과성 커버 부재가, 광경화 수지층을 개재하여 적층되어 있는 화상 표시 장치에 있어서, 투과성 커버 부재의 오목부면측의 폭을 화상 표시 부재의 폭보다 크게 하고, 또한 그것들을 적층하고 있는 광경화 수지층의 최대 두께를, 화상 표시 부재가 광투과성 커버 부재에 접촉하지 않는 두께로 함으로써, 화상 표시 장치의 표시면에 공극이 발생하지 않도록 할 수 있고, 또, 광경화 수지층의 잔류 응력을 저감시켜 표시의 색 편차가 발생하지 않도록 할 수 있는 것을 알아냈다.
또한, 본 발명자는, 그러한 화상 표시 장치를 제조하는 경우에, 화상 표시 부재가 광투과성 커버 부재에 접촉하지 않는 두께가 되도록 광경화 수지층의 최대 두께를 컨트롤하기 위해서는, (가)만곡한 광투과성 커버 부재에 대해서는, 그 오목부면에, 화상 표시 장치를 단면에서 보았을 때에 광투과성 커버 부재의 오목부면측의 폭보다 좁은 폭의 화상 표시 부재가 광투과성 커버 부재에 접촉한다고 상정되는 2개의 접촉점을 이은 기준선까지 광경화성 수지 조성물을 충전하고, 자외선 조사하여 베이스 두께를 갖는 제1 가경화 수지층을 형성하고, (나)한편, 화상 표시 부재에 대해서는, 의도한 광경화 수지층의 최대 두께에서, 광투과성 커버 부재측의 가경화 수지층의 기준선까지의 최대 두께를 빼서 얻어지는 두께에 상당하는 두께로, 광경화성 수지 조성물을 평탄한 화상 표시 부재에 도포하고, 자외선 조사하여 제2 가경화 수지층을 형성하고, (다)그들 가경화 수지층을 접합하고, 또한 자외선 조사하여 본경화시킴으로써, 기준선까지의 최대 두께를 초과하는 소정의 최대 두께로 컨트롤된 광경화 수지층을 형성할 수 있는 것을 알아내고, 본 발명의 제조 방법을 완성시키기에 이르렀다.
즉, 본 발명은, 화상 표시 부재와, 만곡한 광투과성 커버 부재가, 광경화 수지층을 개재하여 적층되어 있는 화상 표시 장치로서,
광투과성 커버 부재의 오목부면측의 폭이, 화상 표시 부재의 폭보다 크고,
광경화 수지층의 최대 두께가, 화상 표시 부재가 광투과성 커버 부재에 접촉하지 않는 두께인 화상 표시 장치를 제공한다.
또, 본 발명은, 상술의 화상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이하의 공정 (A)~(F):
<공정 (A)>
*만곡한 광투과성 커버 부재의 오목부면에, 화상 표시 장치를 단면에서 보았을 때에 광투과성 커버 부재의 오목부면측의 폭보다 좁은 폭의 화상 표시 부재가 광투과성 커버 부재에 접촉한다고 상정되는 2개의 접촉점을 이은 기준선까지 광경화성 수지 조성물을 충전하는 공정;
<공정 (B)>
공정 (A)에서 충전된 광경화성 수지 조성물에 대해 자외선을 조사하여 가경화시켜 제1 가경화 수지층을 형성하는 공정;
<공정 (C)>
화상 표시 부재의 한 면에, 소정 두께의 광경화성 수지 조성물을 도포하는 공정;
<공정 (D)>
공정 (C)에서 도포된 광경화성 수지 조성물에 대해 자외선을 조사하여 가경화시켜 제2 가경화 수지층을 형성하는 공정;
<공정 (E)>
제1 가경화 수지층과 제2 가경화 수지층이 마주보도록, 만곡한 광투과성 커버 부재와 화상 표시 부재를 적층하는 공정;
<공정 (F)>
제1 가경화 수지층 및 제2 가경화 수지층에 대해 자외선을 조사하여 본경화시켜 각각 제1 광경화 수지층 및 제2 광경화 수지층으로 만듦으로써, 그들이 적층된 광경화 수지층을 형성하는 공정;
을 갖는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화상 표시 장치는, 화상 표시 부재와, 만곡한 광투과성 커버 부재가, 광경화 수지층을 개재하여 적층되어 있고, 투과성 커버 부재의 오목부면측의 폭이 화상 표시 부재의 폭보다 크고, 또한 그들을 적층하고 있는 광경화 수지층의 최대 두께가, 화상 표시 부재가 광투과성 커버 부재에 접촉하지 않는 두께로 되어 있다. 이 때문에, 화상 표시 장치의 표시면에 공극이 발생하지 않도록 할 수 있고, 또, 광경화 수지층의 잔류 응력을 저감시켜 표시의 색 편차가 발생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화상 표시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2a는, 광투과성 커버 부재의 설명도이다.
도 2b는, 광투과성 커버 부재의 설명도이다.
도 2c는, 광투과성 커버 부재의 설명도이다.
도 2d는, 광투과성 커버 부재의 설명도이다.
도 2e는, 광투과성 커버 부재의 설명도이다.
도 2f는, 광투과성 커버 부재의 설명도이다.
도 3a는, 본 발명의 제조 방법의 공정 (A)의 설명도이다.
도 3b는, 본 발명의 제조 방법의 공정 (B)의 설명도이다.
도 3c는, 본 발명의 제조 방법의 공정 (C)의 설명도이다.
도 3d는, 본 발명의 제조 방법의 공정 (D)의 설명도이다.
도 3e는, 본 발명의 제조 방법의 공정 (E)의 설명도이다.
도 3f는, 본 발명의 제조 방법의 공정 (F)의 설명도이다.
도 4a는, 종래의 화상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의 설명도이다.
도 4b는, 종래의 화상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의 설명도이다.
도 4c는, 종래의 화상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의 설명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화상 표시 장치와 그 제조 방법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우선 화상 표시 장치부터 설명한다.
도 1에 나타내는, 본 발명의 화상 표시 장치(10)는, 화상 표시 부재(1)와, 만곡한 광투과성 커버 부재(2)가, 광경화 수지층(3)을 개재하여 적층되어 있는 구조를 갖고 있다. 광투과성 커버 부재(2)의 만곡의 정도는, 화상 표시 장치(10)의 사용 목적 등에 따라 적절히 설정할 수 있다. 이 화상 표시 장치(10)에 있어서는, 광투과성 커버 부재의 오목부면측의 폭(Y)(예를 들면, 50~150㎜, 보다 일반적으로는 85~100㎜)이, 화상 표시 부재(1)의 폭(X)보다 크게 되어 있고(예를 들면, 5~30㎜, 보다 일반적으로는 10~25㎜ 정도 크게 되어 있고), 광경화 수지층(3)의 최대 두께(hm)(예를 들면, 0.5~4.0㎜, 보다 현실적으로는 1.6~3.5㎜)가, 화상 표시 부재(1)가 광투과성 커버 부재(2)에 접촉하지 않는 두께로 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화상 표시 장치(10)를 단면에서 보았을 때에, 광투과성 커버 부재(2)의 오목부면 저부(B)로부터, 광경화 수지층(3)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 화상 표시 부재(1)가 광투과성 커버 부재(2)에 접촉한다고 상정되는 2개의 접촉점(P1 및 P2)을 이은 기준선(L0)까지의 거리(h0)(예를 들면, 0.3~3.5㎜, 보다 현실적으로는 1.5~3.4㎜)보다, 광경화 수지층(3)의 최대 두께(hm)가 두껍게 되어 있다. 이러한 구조로 함으로써, 광경화 수지층(3)이 경화 수축해도, 화상 표시 부재(1)가 광투과성 커버 부재(2)에 접촉하고 있지 않기 때문에, 광경화 수지층(3) 자체에서 응력을 완화할 수 있고, 또한 화상 표시 부재(1)의 변형·이동이 과도하게 제한되지 않기 때문에, 화상 표시 장치(10)의 표시면의 공극의 발생과, 표시의 색 편차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광경화 수지층(3)의 형성에 관해, 광경화성 수지 조성물을, 광투과성 커버 부재(2)의 오목부면에 한 번에 필요한 두께로 과부족없이 도포하는 것은 불가능하지는 않지만, 매우 곤란하다. 특히, 광경화 수지층(3)의 최대 두께(hm)가, 광투과성 커버 부재(2)의 오목부면 저부(B)로부터 광투과성 커버 부재(2)의 오목부면측의 모서리(P3와 P4)를 이은 직선(L1)까지의 거리(h1)(예를 들면 3.0~4.2㎜)보다 큰 경우에는 곤란성이 현저해진다. 이것은, 도포해야 할 광경화성 수지 조성물이 유동성을 갖기 때문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화상 표시 장치(10)에 있어서는, 후술의 제조 방법에 의존하는 구성이지만, 광경화 수지층(3)을, 광투과성 커버 부재(2)측의 제1 광경화 수지층(3a)과 화상 표시 부재(1)측의 제2 광경화 수지층(3b)의 2층 구조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제1 광경화 수지층(3a)의 최대 두께(h0)는, 광투과성 커버 부재(2)의 오목부면 저부(B)로부터, 화상 표시 부재(1)가 광투과성 커버 부재(2)에 접촉한다고 상정되는 2점(P1, P2)을 이은 기준선(L0)까지의 거리에 상당한다. 이러한 2층 구성로 하면, 평탄한 화상 표시 부재(1) 상에 hm에서 h0을 뺀 두께에 대응하는 두께(예를 들면, 0.03~1.5㎜)의 제2 광경화 수지층(3b)을 형성하는 것이 용이해진다.
(화상 표시 부재(1))
본 발명의 화상 표시 장치(10)를 구성하는 화상 표시 부재(1)로서는, 액정 표시 패널, 유기 EL 표시 패널, 플라즈마 표시 패널, 터치 패널 등을 들 수 있다. 여기서, 터치 패널이란, 액정 표시 패널과 같은 표시 소자와 터치 패드와 같은 위치 입력 장치를 조합한 화상 표시·입력 패널을 의미한다.
(광투과성 커버 부재(2))
만곡한 광투과성 커버 부재(2)의 구체적인 형상으로서는, 한 방향으로 만곡한 형상(예를 들면, 원 기둥 파이프를 그 중심축에 평행한 평면으로 절단하여 얻어지는 열호측의 형상(이하, 가로 홈통 형상이라고 칭한다))(도 2a)이나, X 방향과 Y 방향으로 만곡한 형상(도 2b), 360° 방향으로 만곡한 형상(예를 들면, 구를 그 중심점을 포함하지 않는 평면으로 절단하여 얻어지는 열호측의 형상)(도 2c)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형상의 중앙부에 평탄부(2b)가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예를 들면, 도 2d).
광투과성 커버 부재(2)가 가로 홈통 형상인 경우(도 2a), 그 양단부(2x와 2y)의 내측에, 광경화성 수지 조성물의 도포 영역을 구획하는 내측 댐재(20)(도 2e), 혹은 그 양단부(2x와 2y)의 외측에 광경화성 수지 조성물의 도포 영역을 구획하는 외측 댐재(21)(도 2f)를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내측 댐재(20) 및 외측 댐재(21)로서는, 도포된 광경화성 수지 조성물을, 그것과 상용하지 않고 막을 수 있고, 광경화성 수지 조성물의 가경화 후에, 간편하게 제거 가능한 공지의 재료로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내측 댐재(20)로서는, 미점착층을 구비한 공지의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테이프 등을 광투과성 커버 부재(2)의 단부 내측에 제방 형상으로 붙인 것을 들 수 있다. 외측 댐재(21)로서는, 실리콘 시트, 불소 수지 시트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광투과성 커버 부재(2)가 도 2b나 도 2c의 형태인 경우, 댐재는 없어도 된다. 또, 도 2a의 형태인 경우라도, 내측 댐재(20)에 대응하는 광투과성 커버 부재(2)의 표면에, 광경화성 수지 조성물의 흐름을 방지하기 위한 표면 처리(예를 들면, 광경화성 수지 조성물의 특성에 따라 조면화 처리, 친수화 처리, 혹은 발수화 처리 등)를 행해도 된다.
광투과성 커버 부재(2)의 재료로서는, 화상 표시 부재에 형성된 화상이 시인 가능해지는 광투과성이 있으면 되고, 유리, 아크릴 수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 폴리카보네이트 등의 수지 재료를 들 수 있다. 이들 재료에는, 한쪽 면 또는 양면 하드 코팅 처리, 반사 방지 처리 등을 실시할 수 있다. 광투과성 커버 부재(1)의 만곡의 형상이나 두께 등의 치수적인 특성, 탄성 등의 물성은, 사용 목적에 따라 적절히 결정할 수 있다.
(광경화 수지층(3))
화상 표시 부재(1)와 광투과성 커버 부재(2)를 접합하는 광경화 수지층(3)은, 광경화성 수지 조성물의 층상의 광경화물이며, 화상 표시 부재(1)가 표시하는 화상을 시인 가능하게 하는 광투과성을 갖는다. 광경화 수지층(3)을 구성하는 광경화성 수지 조성물은, 그 성상이 바람직하게는 액상이다. 액상의 것을 사용하면, 광투과성 커버 부재(2)의 오목부에 광경화성 수지 조성물을 조성물 표면이 평탄해지도록 충전할 수 있다. 여기서, 액상이란, 콘 플레이트형 점토계로 0.01~100Pa·s(25℃)의 점도를 나타내는 것이다.
이러한 광경화성 수지 조성물은, 베이스 성분(성분 (가)), 아크릴레이트계 모노머 성분(성분 (나)), 및 광중합 개시제(성분 (다))를 함유하는 것을 바람직하게 예시할 수 있다. 또한 가소제 성분(성분 (라))을 함유할 수 있다. 또, 광경화성 수지 조성물의 최종적인 경화 수축률은 바람직하게는 3% 이상의 것이다. 5% 이상이어도 된다.
여기서, “최종적인 경화 수축률”이란, 광경화성 수지 조성물을 미경화 상태로부터 완전하게 경화시킨 상태의 사이에 발생한 경화 수축률을 의미한다. 여기서, 완전하게 경화란, 후술하는 바와 같이 경화율이 적어도 90%가 되도록 경화한 상태를 의미한다. 이하, 최종적인 경화 수축률을 전경화 수축률로 칭한다. 또, 경화성 수지 조성물을 미경화 상태로부터 가경화시킨 상태의 사이에 발생한 경화 수축률을 가경화 수축률로 칭한다. 또한, 본경화 공정에 있어서, 가경화 상태로부터 완전하게 경화시킨 상태의 사이에 발생한 경화 수축률은 본경화 수축률로 칭한다.
광경화성 수지 조성물의 전경화 수축률은, 미경화(바꾸어 말하면, 경화 전)의 조성물과 완전 경화 후의 고체의 완전 경화물의 비중을 전자 비중계(ALFA MIRAGE CO., LTD.제 SD-120L)를 이용해 측정해, 양자의 비중차로부터 다음 식에 의해 산출할 수 있다. 또, 광경화성 수지 조성물의 가경화 수지의 가경화 수축률은, 미경화(바꾸어 말하면, 경화 전)의 조성물과 가경화 후의 고체의 가경화물의 비중을 전자 비중계(ALFA MIRAGE CO., LTD.제 SD-120L)를 이용하여 측정하고, 양자의 비중차로부터 다음 식에 의해 산출할 수 있다. 본경화 수축률은, 전경화 수축률에서 가경화 수축률을 뺌으로써 산출할 수 있다.
전경화 수축률(%)=[(완전 경화물 비중-미경화 조성물 비중)/완전 경화물 비중]×100
가경화 수축률(%)=[(가경화물 비중-미경화 조성물 비중)/가경화물 비중]×100
본경화 수축률(%)=전경화 수축률-가경화 수축률
성분 (가)의 베이스 성분은, 광경화 수지층의 막형성 성분이며, 엘라스토머 및 아크릴레이트계 올리고머 중 적어도 어느 한쪽을 함유하는 성분이다. 양자를 성분 (가)로서 병용해도 된다.
엘라스토머로서는, 바람직하게는 아크릴산 에스테르의 공중합체로 이루어지는 아크릴 공중합체, 폴리부텐, 폴리올레핀 등을 바람직하게 들 수 있다. 또한, 이 아크릴산 에스테르 공중합체의 중량 평균 분자량은, 바람직하게는 5000~500000이며, 폴리부텐의 반복수(n)는 바람직하게는 10~10000이다.
한편, 아크릴레이트계 올리고머로서는, 바람직하게는, 폴리이소프렌, 폴리우레탄, 폴리부타디엔 등을 골격으로 갖는 (메타)아크릴레이트계 올리고머를 들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 있어서, 「(메타)아크릴레이트」라는 용어는, 아크릴레이트와 메타크릴레이트를 포함한다.
폴리이소프렌 골격의 (메타)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의 바람직한 구체예로서는, 폴리이소프렌 중합체의 무수 말레산 부가물과 2-히드록시에틸메타크릴레이트의 에스테르화물(UC102(폴리스티렌 환산 분자량 약 17000), KURARAY CO., LTD.;UC203(폴리스티렌 환산 분자량 약 35000), KURARAY CO., LTD.;UC-1(폴리스티렌 환산 분자량 약 25000), KURARAY CO., LTD.) 등을 들 수 있다.
또, 폴리우레탄 골격을 갖는 (메타)아크릴레이트계 올리고머의 바람직한 구체예로서는, 지방족 우레탄아크릴레이트(EBECRYL230(분자량 5000), DAICEL-ALLNEX LTD.;UA-1, LIGHT CHEMICAL INDUSTRIES CO., LTD.) 등을 들 수 있다.
폴리부타디엔 골격의 (메타)아크릴레이트계 올리고머로서는, 공지의 것을 채용할 수 있다.
성분 (나)의 아크릴레이트계 모노머 성분은, 화상 표시 장치의 제조 공정에 있어서, 광경화성 수지 조성물에 충분한 반응성 및 도포성 등을 부여하기 위해 반응성 희석제로서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아크릴레이트계 모노머로서는, 2-히드록시프로필메타크릴레이트, 4-히드록시부틸아크릴레이트, 스테아릴아크릴레이트, 벤질아크릴레이트, 테트라히드로푸르푸릴아크릴레이트, 디시클로펜테닐아크릴레이트, 디시클로펜테닐옥시에틸메타크릴레이트, 이소보닐아크릴레이트, 디시클로펜타닐아크릴레이트, 라우릴메타크릴레이트 등을 들 수 있다.
성분 (다)의 광중합 개시제로서는, 공지의 광래디칼 중합 개시제를 사용할 수 있고, 예를 들면, 1-히드록시-시클로헥실페닐케톤(IRGACURE 184, BASF JAPAN LTD.), 2-히드록시-1-{4-[4-(2-히드록시-2-메틸-프로피오닐)벤질]페닐}-2-메틸-1-프로판-1-온(IRGACURE 127, BASF JAPAN LTD.), 벤조페논, 아세토페논 등을 들 수 있다.
이러한 광중합 개시제는, 베이스 성분 (가) 중의 아크릴레이트계 올리고머 및 모노머(성분 (나))의 합계 100질량부에 대해, 너무 적으면 자외선 조사시에 경화 부족이 되고, 너무 많으면 개열에 의한 아웃 가스가 늘어나 발포 결함의 경향이 있으므로, 바람직하게는 0.1~5질량부, 보다 바람직하게는 0.2~3질량부이다.
또, 광경화성 수지 조성물은, 분자량의 조정을 위해 연쇄 이동제를 함유할 수 있다. 예를 들면, 2-메르캅토에탄올, 라우릴메르캅탄, 글리시딜메르캅탄, 메르캅토아세트산, 티오글리콜산 2-에틸헥실, 2,3-디메르캅토-1-프로판올, α-메틸스티렌 다이머 등을 들 수 있다.
성분 (라)의 가소제 성분은, 광경화 수지층에 완충성을 부여함과 더불어, 광경화성 수지 조성물의 경화 수축률을 저감시키기 위해 사용되고, 자외선의 조사에서는 성분 (가)의 베이스 성분 및 성분 (나)의 아크릴레이트계 모노머 성분과 반응하지 않는 것이다. 이러한 가소제 성분은, 고체의 점착 부여제(1)와 액상 오일 성분(2)을 함유한다.
고체의 점착 부여제(1)로서는, 테르펜 수지, 테르펜페놀 수지, 수소 첨가 테르펜 수지 등의 테르펜계 수지, 천연 로진, 중합 로진, 로진 에스테르, 수소 첨가 로진 등의 로진 수지, 테르펜계 수소 첨가 수지를 들 수 있다. 또, 상술의 아크릴레이트계 모노머를 미리 저분자 폴리머화한 비반응성의 올리고머도 사용할 수 있고, 구체적으로는, 부틸아크릴레이트와 2-헥실아크릴레이트 및 아크릴산의 공중합체나 시클로헥실아크릴레이트와 메타크릴산의 공중합체 등을 들 수 있다.
액상 오일 성분(2)으로서는, 폴리부타디엔계 오일, 또는 폴리이소프렌계 오일 등을 함유할 수 있다.
또, 광경화성 수지 조성물은, 또한, 필요에 따라서, 실란커플링제 등의 접착 개선제, 산화 방지제 등의 일반적인 첨가제를 함유할 수 있다.
광경화성 수지 조성물은, 경화 수축률이 바람직하게는 3% 미만으로 억제되어 있으므로, 기본적으로는 가소제 성분을 함유하는 것은 필수는 아니지만, 광경화 수지층(3)에 완충성을 부여하는 등을 위해서, 본 발명의 효과를 해치지 않는 범위에서 가소제 성분(성분 (라))을 함유할 수 있다. 따라서, 광경화성 수지 조성물 중에 성분 (가)의 베이스 성분과 성분 (나)의 아크릴레이트계 모노머 성분의 합계 함유량은 바람직하게는 25~85질량%이지만, 성분 (라)의 가소제 성분의 함유량은 0~65 질량%의 범위이다.
본 발명의 화상 표시 장치는, 이하의 공정 (A)~(F)를 갖는 제조 방법에 의해 제조할 수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면서 공정마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공정 (A):충전 공정>
우선, 도 3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만곡한 광투과성 커버 부재(2)의 오목부면에, 화상 표시 장치를 단면에서 보았을 때에 광투과성 커버 부재(2)의 오목부면측의 폭보다 좁은 폭의 화상 표시 부재가 광투과성 커버 부재에 접촉한다고 상정되는 2개의 접촉점(P1 및 P2)을 이은 기준선(L0)까지 디스펜서(D) 등에 의해 광경화성 수지 조성물(30)을 충전한다.
<공정 (B):제1 가경화 수지층 형성 공정>
다음에, 도 3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공정 (A)에서 충전된 광경화성 수지 조성물(30)에 대해 자외선(UV)을 조사하여 가경화시켜 제1 가경화 수지층(30a)을 형성한다. 여기서, 가경화시키는 것은, 광경화성 수지 조성물(30)을 유동하지 않는 상태로 하여 취급성을 향상시키기 위해서이다. 이러한 가경화의 레벨은, 제1 가경화 수지층(30a)의 경화율(겔분율)이 바람직하게는 10% 이상 90%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40% 이상 90% 이하, 특히 60% 이상 90% 이하가 되는 레벨이다. 또, 경화율(겔분율)이란, 자외선 조사 전의 광경화성 수지 조성물(30) 중의 (메타)아크릴로일기의 존재량에 대한 자외선 조사 후의 (메타)아크릴로일기의 존재량의 비율(소비량 비율)로 정의되는 수치이며, 이 수치가 클수록, 경화가 진행되고 있는 것을 나타낸다.
또한, 경화율(겔분율)은, 자외선 조사 전의 수지 조성물층의 FT-IR 측정 차트에 있어서의 베이스라인으로부터의 1640~1620㎝-1의 흡수 피크 높이(hx)와, 자외선 조사 후의 수지 조성물층의 FT-IR 측정 차트에 있어서의 베이스라인로부터의 1640~1620㎝-1의 흡수 피크 높이(hy)를, 이하의 수식에 대입함으로써 산출할 수 있다.
경화율(%)={(hx-hy)/hx}×100
자외선의 조사에 관해, 경화율(겔분율)이 바람직하게는 10~80%가 되도록 가경화시킬 수 있는 한, 광원의 종류, 출력, 누적 광량 등은 특별히 제한은 없고, 공지의 자외선 조사에 의한 (메타)아크릴레이트의 광래디컬 중합 프로세스 조건을 채용할 수 있다.
또, 자외선 조사 조건에 관해, 상술의 경화율의 범위 내에 있어서, 후술하는 공정 (E)의 적층 공정에 있어서의 접합 조작시, 제1 가경화 수지층(30a)이나 제2 가경화 수지층(31b)의 액 떨어짐이나 변형이 발생하지 않는 조건을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한 액 떨어짐이나 변형이 발생하지 않는 조건을 점도로 표현하면, 20Pa·S 이상(콘 플레이트 레오미터, 25℃, 콘 및 플레이트 C35/2, 회전수 10rpm)이 된다.
가경화에 있어서의 경화의 레벨은, 후술하는 본경화 공정 (F)에 있어서 제1 가경화 수지층(30a) 및 제2 가경화 수지층(31b)으로부터 각각 제1 광경화 수지층(3a) 및 제2 광경화 수지층(3b)이 되는 사이에 발생하는 경화 수축률이 3% 미만이 되도록 경화시키는 것이다. 즉, 전경화 수축률이 5%인 광경화성 수지 조성물(30, 31)의 경우에는, 가경화 시에 적어도 2% 정도 가경화 수축시켜 두게 된다.
또한, 공정 (A)의 충전에 앞서, 내측 댐재(20)(도 2e 참조)나 외측 댐재(21)(도 2f 참조)를 설치한 경우, 공정 (B) 후, 공정 (F) 전에, 내측 댐재(20) 또는 외측 댐재(21)를 제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미 광경화성 수지 조성물이 가경화되어 있고, 수지 유동이 발생하지 않기 때문이다.
<공정 (C):도포 공정>
다음에, 도 3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화상 표시 부재(1)의 한 면에, 소정 두께의 광경화성 수지 조성물(31)을 디스펜서 등을 이용하여 도포한다. 광경화성 수지 조성물(31)은, 공정 (A)에서 설명한 것과 같은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광경화성 수지 조성물(31)의 도포는,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광경화 수지층(3)의 최대 두께(hm)를, 화상 표시 부재(1)가 광투과성 커버 부재(2)에 접촉하지 않는 두께로 하도록 행한다.
<공정 (D):제2 가경화 수지층 형성 공정>
다음에, 도 3d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공정 (C)에서 도포된 광경화성 수지 조성물(31)에 대해, 공정 (B)와 같은 조작·조건으로 자외선(UV)을 조사하여 가경화시켜 제2 가경화 수지층(31b)을 형성한다.
<공정 (E):적층 공정>
계속해서, 제1 가경화 수지층(30a)과 제2 가경화 수지층(31b)이 마주보도록, 만곡한 광투과성 커버 부재(2)와 화상 표시 부재(1)를 적층한다(도 3e). 적층은, 공지의 압착 장치를 이용하여, 10℃~80℃로 가압함으로써 행할 수 있지만, 제1 가경화 수지층(30a), 제2 가경화 수지층(31b), 화상 표시 부재(1), 광투과성 커버 부재(2)의 각각의 계면에 기포가 들어가지 않도록 하기 위해, 이른바 진공 접합법으로 적층을 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공정 (E)와 공정 (F) 사이에, 적층물에 공지의 가압탈포 처리(처리 조건예:0.2~0.8MPa, 25~60℃, 5~20min)를 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공정 (F):본경화 공정>
계속해서, 도 3f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화상 표시 부재(1)와 광투과성 커버 부재(2) 사이에 협지되어 있는 제1 가경화 수지층(30a) 및 제2 가경화 수지층(31b)에 대해 자외선(UV)을 조사하여 본경화시켜 각각 제1 광경화 수지층(3a) 및 제2 광경화 수지층(3b)으로 만듦으로써, 그들이 적층된 광경화 수지층(3)을 형성한다. 이로 인해 도 1에 나타내는 화상 표시 장치가 얻어진다. 또한, 본 공정에 있어서 본경화시키는 것은, 제1 가경화 수지층(30a) 및 제2 가경화 수지층(31b)을 충분히 경화시켜, 화상 표시 부재(1)와 광투과성 커버 부재(2)를 접착하여 적층하기 위해서이다. 이러한 본경화의 레벨은, 광투과성의 광경화 수지층(3)의 경화율(겔분율)이 바람직하게는 90%보다 크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95% 이상 100% 이하가 되는 레벨이다.
또한, 광경화 수지층(3)의 광투과성의 레벨은, 화상 표시 부재(1)에 형성된 화상이 시인 가능해지는 광투과성이면 된다.
[실시예]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에 의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또한, 이하의 실시예에 있어서, 광경화성 수지 조성물의 전경화 수축률, 가경화 수축률, 본경화 수축률은, 광경화성 수지 조성물의 비중, 가경화물, 완전 경화물의 각각의 비중을 전자 비중계(ALFA MIRAGE CO., LTD.제 SD-120L)를 이용하여 측정하고, 그들 측정 결과를 다음 식에 적용시켜 산출했다.
전경화 수축률(%)=[(완전 경화물 비중-미경화 조성물 비중)/완전 경화물 비중]×100
가경화 수축률(%)=[(가경화물 비중-미경화 조성물 비중)/가경화물 비중]×100
본경화 수축률(%)=전경화 수축률-가경화 수축률
실시예 1
(공정 (A):충전 공정)
우선, 45(w)×80(l)×3(t)㎜의 사이즈의 투명 수지판(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판)을 준비하고, 폭방향으로 곡률 반경이 300㎜(r)가 되도록 공지의 수법으로 만곡시키고, 만곡한 가로 홈통 형상의 광투과성 커버 부재로서 수지 커버(도 2a)를 얻었다.
별도, 폴리부타디엔의 골격을 갖는 아크릴레이트계 올리고머(TE-2000, NIPPON SODA CO., LTD.) 50질량부, 히드록시에틸메타크릴레이트 20질량부, 광중합 개시제 10질량부(IRGACURE 184, BASF JAPAN LTD.제를 3중량부, SpeedCure TPO, DKSH JAPAN K.K.제를 7질량부)를 균일하게 혼합하여 광경화성 수지 조성물을 조제했다. 이 광경화성 수지 조성물은, 경화율 0%에서 90%까지의 사이에서, 5.6%의 전경화 수축률을 나타내는 것이었다.
다음에, 가로 홈통 형상의 수지 커버의 양단을, 외측 댐재로서 실리콘 러버 시트 2장 사이에 끼워 넣었다(도 2f). 이 수지 커버의 오목부에, 조제한 광경화성 수지 조성물을, 수지용 디스펜서를 이용하여, 중앙부에서의 두께가 670㎛ 두께, 폭이 40㎜가 되도록 토출하고 광경화성 수지 조성물막을 형성했다.
(공정 (B):제1 가경화 수지층 형성 공정)
다음에, 공정 (A)에서 작성한 광경화성 수지 조성물막에 대해서, 자외선 조사 장치(LC-8, HAMAMATSU PHOTONICS K.K.제)를 사용하여, 적산 광량이 1200mJ/㎠가 되도록, 200mW/㎠ 강도의 자외선을 6초 조사함으로써 광경화성 수지 조성물막을 가경화시켜 제1 가경화 수지층을 형성하고, 또한 외측 댐재를 제거했다. 또한, 제1 가경화 수지층의 가경화 수축률은 3.8%였다.
또한, 제1 가경화 수지층의 경화율은, FT-IR 측정 차트에 있어서의 베이스라인로부터의 1640~1620㎝-1의 흡수 피크 높이를 지표로 하여 구한 바, 약 70%였다.
(공정 (C):도포 공정)
다음에, 40(W)×80(L)㎜의 사이즈의 플랫한 액정 표시 소자의 편광판이 적층된 면에, 공정 (A)에서 사용한 광경화성 수지 조성물을, 선단을 슬릿 형상으로 한 디스펜서에 의해 막두께가 100㎛가 되도록 도포했다.
(공정 (D):제2 가경화 수지층 형성 공정)
다음에, 공정 (C)에서 작성한 광경화성 수지 조성물막에 대해서, 자외선 조사 장치(LC-8, HAMAMATSU PHOTONICS K.K.제)를 사용하여, 적산 광량이 1200mJ/㎠가 되도록, 200mW/㎠ 강도의 자외선을 6초 조사함으로써 광경화성 수지 조성물막을 가경화시켜 제2 가경화 수지층을 형성했다. 제2 가경화 수지층의 가경화 수축률은 3.8%이며, 경화율은 약 70%였다.
(공정 (E):적층 공정)
다음에, 공정 (B)의 제1 가경화 수지층이 형성된 수지 커버에, 공정 (D)의 제2 가경화 수지층이 형성된 액정 표시 소자를, 제1 가경화 수지층과 제2 가경화 수지층이 대향하도록 올려 놓고, 수지 커버측으로부터 진공 접합기(진공도 50Pa, 접합압 0.07MPa, 접합시간 3초, 상온)로 부착했다.
(공정 (F):본경화 공정)
다음에, 이 액정 표시 소자에 대해, 수지 커버측으로부터, 자외선 조사 장치(ECS-03601EG, EYE GRAPHICS CO., LTD.)를 사용하여 자외선(200mW/㎠)을 3000mJ/㎠로 조사함으로써 가경화 수지층을 완전하게 경화시키고, 광투과성의 광경화 수지층을 형성했다. 이 광경화 수지층의 경화율은 98%였다. 이로써, 액정 표시 소자에, 광투과성 커버 부재로서 만곡한 수지 커버가 광경화 수지층을 개재하여 적층된 액정표시 장치가 얻어졌다. 또, 본경화 수축률은 1.8%였다.
얻어진 액정표시 장치에 대해서, 공극의 발생의 유무를 유리 수지 커버측으로부터 육안으로 관찰한 바, 유리 수지 커버와 광경화 수지층의 계면에는 공극은 관찰되지 않았다. 또, 표시 조작을 행한 바, 유리 수지 커버의 중앙의 표시에 색 편차는 관찰되지 않았다. 또한, 가경화 수축률은 3.8%이며, 본경화 수축률은 1.8%였다.
비교예 1
공정 (C)와 공정 (D)를 행하지 않고, 공정 (B)의 제1 가경화 수지층이 형성된 수지 커버에, 제2 가경화 수지층이 형성되어 있지 않은 액정 표시 소자를 올려놓고, 수지 커버측으로부터 진공 접합기(진공도 50Pa, 접합압 0.07MPa, 접합시간 3초, 상온)로 부착한 이외에, 실시예 1과 같은 조작을 행하여, 화상 표시 장치를 얻었다. 얻어진 액정 표시 장치는, 공극의 발생의 유무를 수지 커버측으로부터 육안으로 관찰한 바, 광경화 수지층과 액정 표시 소자의 계면의 대략 중앙부에 기포 형상의 공극이 발생되어 있었다.
본 발명의 화상 표시 장치는, 화상 표시 부재와, 만곡한 광투과성 커버 부재가, 광경화 수지층을 개재하여 적층되어 있고, 투과성 커버 부재의 오목부면측의 폭이 화상 표시 부재의 폭보다 크고, 또한 그것들을 적층하고 있는 광경화 수지층의 최대 두께가, 화상 표시 부재가 광투과성 커버 부재에 접촉하지 않는 두께로 되어 있다. 이 때문에, 화상 표시 장치의 표시면에 공극이 발생하지 않도록 할 수 있고, 또, 광경화 수지층의 잔류 응력을 저감시켜 표시의 색 편차가 발생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화상 표시 장치는, 예를 들면, 터치 패널을 구비한 차재용 정보 단말의 공업적 제조에 유용하다.
1:화상 표시 부재 2:광투과성 커버 부재
2b:평탄부 2x, 2y:광투과성 커버 부재의 양단부
3:광경화 수지층 3a:제1 광경화 수지층
3b:제2 광경화 수지층 10:화상 표시 장치
20:내측 댐재 21:외측 댐재
30, 31:광경화성 수지 조성물 30a:제1 가경화 수지층
31b:제2 가경화 수지층
B:광투과성 커버 부재의 오목부면측 저부
D:디스펜서 hm:광경화 수지층의 최대 두께
h0:제1 광경화 수지층의 최대 두께
h1:저부(B)로부터 직선(L1)까지의 거리
L0:접촉점을 이은 기준선
L1:광투과성 커버 부재의 오목부면측의 모서리를 이은 직선
P1, P2:화상 표시 부재와 광투과성 커버 부재의 접촉점
P3, P4:광투과성 커버 부재의 오목부면측의 모서리
X:화상 표시 부재의 폭
Y:광투과성 커버 부재의 오목부면측의 폭

Claims (17)

  1. 화상 표시 부재와, 만곡한 광투과성 커버 부재가, 광경화 수지층만을 개재하여 적층되어 있는 화상 표시 장치로서,
    광투과성 커버 부재의 오목부면측의 폭이, 화상 표시 부재의 폭보다 크고,
    광경화 수지층의 최대 두께가, 화상 표시 부재가 광투과성 커버 부재에 접촉하지 않는 두께이며,
    화상 표시 장치를 단면에서 보았을 때에, 광투과성 커버 부재의 오목부면 저부로부터, 화상 표시 부재가 광투과성 커버 부재에 접촉한다고 상정되는 2개의 접촉점을 이은 기준선까지의 거리보다, 광경화 수지층의 최대 두께가 두껍고,
    광경화 수지층이, 광투과성 커버 부재측의 제1 광경화 수지층과 화상 표시 부재측의 제2 광경화 수지층의 2층 구조로 되어 있고, 제1 광경화 수지층의 최대 두께가, 광투과성 커버 부재의 오목부면 저부로부터, 화상 표시 부재가 광투과성 커버 부재에 접촉한다고 상정되는 2점을 이은 기준선까지의 거리에 상당하는, 화상 표시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화상 표시 부재가, 액정 표시 패널, 유기 EL 표시 패널, 플라즈마 표시 패널 또는 터치 패널인, 화상 표시 장치.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광경화성 수지 조성물이, 엘라스토머 및 아크릴레이트계 올리고머 중 적어도 한쪽과, 아크릴계 모노머와, 광중합 개시제를 함유하는 액상의 수지 조성물이고,
    엘라스토머가, 아크릴 공중합체, 폴리부텐 및 폴리올레핀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일종이며,
    아크릴레이트계 올리고머가, 폴리우레탄계 (메타)아크릴레이트, 폴리부타디엔계 (메타)아크릴레이트 및 폴리이소프렌계 (메타)아크릴레이트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일종인, 화상 표시 장치.
  4. 화상 표시 부재와, 만곡한 광투과성 커버 부재가, 광경화 수지층만을 개재하여 적층되어 있고, 광투과성 커버 부재의 오목부면측의 폭이, 화상 표시 부재의 폭보다 크고, 광경화 수지층의 최대 두께가, 화상 표시 부재가 광투과성 커버 부재에 접촉하지 않는 두께로 되어 있는 화상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이하의 공정 (A)~(F):
    <공정 (A)>
    만곡한 광투과성 커버 부재의 오목부면에, 화상 표시 장치를 단면에서 보았을 때에 광투과성 커버 부재의 오목부면측의 폭보다 좁은 폭의 화상 표시 부재가 광투과성 커버 부재에 접촉한다고 상정되는 2개의 접촉점을 이은 기준선까지 광경화성 수지 조성물을 충전하는 공정;
    <공정 (B)>
    공정 (A)에서 충전된 광경화성 수지 조성물에 대해 자외선을 조사하여 가경화시켜 제1 가경화 수지층을 형성하는 공정;
    <공정 (C)>
    화상 표시 부재의 한 면에, 소정 두께의 광경화성 수지 조성물을 도포하는 공정;
    <공정 (D)>
    공정 (C)에서 도포된 광경화성 수지 조성물에 대해 자외선을 조사하여 가경화시켜 제2 가경화 수지층을 형성하는 공정;
    <공정 (E)>
    제1 가경화 수지층과 제2 가경화 수지층이 서로 직접 마주보도록, 만곡한 광투과성 커버 부재와 화상 표시 부재를 적층하는 공정;
    <공정 (F)>
    제1 가경화 수지층 및 제2 가경화 수지층에 대해 자외선을 조사하여 본경화시켜 각각 제1 광경화 수지층 및 제2 광경화 수지층으로 만듦으로써, 그들이 적층된 광경화 수지층을 형성하는 공정;
    을 갖는 제조 방법.
  5. 청구항 4에 있어서,
    공정 (B)의 제1 가경화 수지층 및 공정 (D)의 제2 가경화 수지층의 경화율이, 각각 10% 이상 90% 이하이며, 공정 (F)의 광경화 수지층의 경화율이 90%보다 크고 100% 이하인, 제조 방법.
  6. 청구항 4 또는 청구항 5에 있어서,
    공정 (A)의 충전에 앞서, 만곡한 광투과성 커버 부재의 오목부면측의 기준선까지 광경화성 수지 조성물을 충전 가능하게 하는 댐 부재를, 당해 오목부면에 설치하는, 제조 방법.
  7. 청구항 4 또는 청구항 5에 있어서,
    공정 (E)와 공정 (F) 사이에, 가압탈포 처리를 행하는, 제조 방법.
  8. 청구항 4 또는 청구항 5에 있어서,
    화상 표시 부재가, 액정 표시 패널, 유기 EL 표시 패널, 플라즈마 표시 패널 또는 터치 패널인, 제조 방법.
  9. 청구항 4 또는 청구항 5에 있어서,
    광경화성 수지 조성물이, 엘라스토머 및 아크릴레이트계 올리고머 중 적어도 한쪽과, 아크릴계 모노머와, 광중합 개시제를 함유하는 액상의 수지 조성물이고,
    엘라스토머가, 아크릴 공중합체, 폴리부텐 및 폴리올레핀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일종이며,
    아크릴레이트계 올리고머가, 폴리우레탄계 (메타)아크릴레이트, 폴리부타디엔계 (메타)아크릴레이트 및 폴리이소프렌계 (메타)아크릴레이트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일종인, 제조 방법.
  10. 화상 표시 부재와 만곡한 광투과성 커버 부재가 광경화 수지층을 개재하여 적층되어 있는 화상 표시 장치의 당해 광투과성 커버 부재의 오목부면측의 폭이 화상 표시 부재의 폭보다 크고, 화상 표시 장치를 단면에서 보았을 때에, 당해 광경화 수지층의 최대 두께가, 당해 광투과성 커버 부재의 오목부면 저부로부터 당해 광투과성 커버 부재의 오목부면측 양단 모서리를 이은 직선까지의 거리에 상당하는 두께보다도 두껍게 되어 있는 화상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이하의 공정 (A)~(F):
    <공정 (A)>
    만곡한 광투과성 커버 부재의 오목부면에 광경화성 수지 조성물을 충전하는 공정;
    <공정 (B)>
    공정 (A)에서 충전된 광경화성 수지 조성물에 대해 자외선을 조사하여 가경화시켜 제1 가경화 수지층을 형성하는 공정;
    <공정 (C)>
    화상 표시 부재의 한 면에, 소정 두께의 광경화성 수지 조성물을 도포하는 공정;
    <공정 (D)>
    공정 (C)에서 도포된 광경화성 수지 조성물에 대해 자외선을 조사하여 가경화시켜 제2 가경화 수지층을 형성하는 공정;
    <공정 (E)>
    제1 가경화 수지층과 제2 가경화 수지층이 마주보도록, 만곡한 광투과성 커버 부재와 화상 표시 부재를 적층하는 공정;
    <공정 (F)>
    제1 가경화 수지층 및 제2 가경화 수지층에 대해 자외선을 조사하여 본경화시켜 각각 제1 광경화 수지층 및 제2 광경화 수지층으로 만듦으로써, 그들이 적층된 광경화 수지층을 형성하는 공정;
    을 갖는 제조 방법.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공정 (A)에 있어서, 만곡한 광투과성 커버 부재의 오목부면에, 당해 오목부면 저부로부터 화상 표시 부재가 광투과성 커버 부재에 접촉한다고 상정되는 2점을 이은 기준선까지 광경화성 수지 조성물을 충전하고,
    공정 (C)에 있어서, 화상 표시 부재의 한 면에, 당해 기준선부터 당해 광투과성 커버 부재의 오목부면측 양단 모서리를 이은 직선까지의 거리에 상당하는 두께보다도 두껍게 되도록 광경화성 수지 조성물을 도포하는, 제조 방법.
  12. 청구항 10 또는 청구항 11에 있어서,
    공정 (B)의 제1 가경화 수지층 및 공정 (D)의 제2 가경화 수지층의 경화율이, 각각 10% 이상 90% 이하이며, 공정 (F)의 광경화 수지층의 경화율이 90%보다 크고 100% 이하인, 제조 방법.
  13. 청구항 10 또는 청구항 11에 있어서,
    공정 (A)의 충전에 앞서, 만곡한 광투과성 커버 부재의 오목부면측의 기준선까지 광경화성 수지 조성물을 충전 가능하게 하는 댐 부재를, 당해 오목부면에 설치하는, 제조 방법.
  14. 청구항 10 또는 청구항 11에 있어서,
    공정 (E)와 공정 (F) 사이에, 가압탈포 처리를 행하는, 제조 방법.
  15. 청구항 10 또는 청구항 11에 있어서,
    화상 표시 부재가, 액정 표시 패널, 유기 EL 표시 패널, 플라즈마 표시 패널 또는 터치 패널인, 제조 방법.
  16. 청구항 10 또는 청구항 11에 있어서,
    광경화성 수지 조성물이, 엘라스토머 및 아크릴레이트계 올리고머 중 적어도 한쪽과, 아크릴계 모노머와, 광중합 개시제를 함유하는 액상의 수지 조성물이고,
    엘라스토머가, 아크릴 공중합체, 폴리부텐 및 폴리올레핀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일종이며,
    아크릴레이트계 올리고머가, 폴리우레탄계 (메타)아크릴레이트, 폴리부타디엔계 (메타)아크릴레이트 및 폴리이소프렌계 (메타)아크릴레이트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일종인, 제조 방법.
  17. 화상 표시 부재와 만곡한 광투과성 커버 부재가 광경화 수지층을 개재하여 적층되어 있는 화상 표시 장치로서,
    당해 광투과성 커버 부재의 오목부면측의 폭이 화상 표시 부재의 폭보다 크고,
    화상 표시 장치를 단면에서 보았을 때에, 당해 광경화 수지층의 최대 두께가, 당해 광투과성 커버 부재의 오목부면 저부로부터 당해 광투과성 커버 부재의 오목부면측 양단 모서리를 이은 직선까지의 거리에 상당하는 두께보다도 두껍게 되어 있는, 화상 표시 장치.
KR1020230008517A 2017-02-27 2023-01-20 화상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KR20230019176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7034749A JP7038477B2 (ja) 2017-02-27 2017-02-27 画像表示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JPJP-P-2017-034749 2017-02-27
KR1020180006094A KR102612913B1 (ko) 2017-02-27 2018-01-17 화상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06094A Division KR102612913B1 (ko) 2017-02-27 2018-01-17 화상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19176A true KR20230019176A (ko) 2023-02-07

Family

ID=63375634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06094A KR102612913B1 (ko) 2017-02-27 2018-01-17 화상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KR1020230008517A KR20230019176A (ko) 2017-02-27 2023-01-20 화상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06094A KR102612913B1 (ko) 2017-02-27 2018-01-17 화상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2) JP7038477B2 (ko)
KR (2) KR102612913B1 (ko)
CN (1) CN108508641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20095146A (ja) * 2018-12-12 2020-06-18 株式会社デンソー 表示装置
JP7368990B2 (ja) 2019-09-23 2023-10-25 デクセリアルズ株式会社 光学装置の製造方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4119520A (ja) 2012-12-14 2014-06-30 Dexerials Corp 画像表示装置の製造方法

Family Cites Families (2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158852B2 (ja) * 2006-09-26 2013-03-06 三菱レイヨン株式会社 アクリル樹脂組成物、アクリル樹脂フィルム、熱成形用艶消しアクリル樹脂フィルム、光硬化性アクリル樹脂フィルム及びこれらを積層した積層体
EP2180367B1 (en) * 2007-07-17 2018-08-29 Dexerials Corporation Image display device
JP2009093158A (ja) * 2007-09-21 2009-04-30 Toshiba Matsushita Display Technology Co Ltd 表示素子
KR20110052655A (ko) * 2008-07-25 2011-05-18 헨켈 코포레이션 몰드 어셈블리 및 성형 부품의 제조를 위한 감쇠된 광 방법
JP2011081414A (ja) * 2010-12-24 2011-04-21 Hitachi Ltd 表示装置
EP2769997B1 (en) * 2011-10-21 2017-04-26 Nipponkayaku Kabushikikaisha Method for producing optical member and use of ultraviolet ray cured resin composition for same
JP5304922B1 (ja) * 2012-05-09 2013-10-02 デクセリアルズ株式会社 画像表示装置の製造方法
US9439315B2 (en) * 2012-06-29 2016-09-06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and method and apparatus for manufacturing the same
JP2014010294A (ja) * 2012-06-29 2014-01-20 Japan Display Inc 表示モジュール及び電子装置
KR101623325B1 (ko) * 2012-07-30 2016-05-20 시바우라 메카트로닉스 가부시끼가이샤 기판 접합 장치 및 기판 접합 방법
CN104335269B (zh) * 2012-12-14 2019-01-01 迪睿合电子材料有限公司 图像显示装置的制造方法、树脂用分配器
JP5994618B2 (ja) * 2012-12-14 2016-09-21 デクセリアルズ株式会社 光硬化性樹脂組成物及びそれを用いた画像表示装置の製造方法
KR101991839B1 (ko) * 2013-01-15 2019-06-24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커버 윈도우를 구비하는 표시 장치
KR20140096596A (ko) * 2013-01-28 2014-08-06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US9470919B2 (en) * 2013-05-14 2016-10-18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Methods for producing a glass-based non planar digital display
JP6275589B2 (ja) * 2013-09-26 2018-02-07 芝浦メカトロニクス株式会社 接着剤塗布装置、接着剤塗布方法、表示装置用部材の製造装置及び表示装置用部材の製造方法
CN105392827A (zh) * 2013-10-15 2016-03-09 日本合成化学工业株式会社 树脂片及其用途
KR101710188B1 (ko) * 2013-11-26 2017-02-24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JP6271289B2 (ja) * 2014-02-20 2018-01-31 芝浦メカトロニクス株式会社 接着剤塗布装置、表示装置用部材の製造装置及び表示装置用部材の製造方法
JP6494920B2 (ja) * 2014-04-07 2019-04-03 三菱電機株式会社 画像表示装置の製造方法
JP2016066607A (ja) * 2014-09-18 2016-04-28 株式会社半導体エネルギー研究所 剥離方法、発光装置、モジュール、及び電子機器
MY178518A (en) * 2014-11-14 2020-10-15 Bosch Gmbh Robert Method and apparatus for optical bonding, and a display
JP6698333B2 (ja) * 2015-03-31 2020-05-27 太陽インキ製造株式会社 硬化性樹脂組成物、ドライフィルム、硬化物およびプリント配線板
JP6359996B2 (ja) * 2015-03-31 2018-07-18 信越化学工業株式会社 画像表示装置用紫外線硬化型液状オルガノポリシロキサン組成物、該組成物を含む画像表示装置用接着剤、該接着剤を用いた画像表示装置及び該接着剤を用いた接着方法
JP6916980B2 (ja) * 2015-03-31 2021-08-11 天馬微電子有限公司 表示装置及び表示装置の製造方法
JP2017026887A (ja) * 2015-07-24 2017-02-02 日本写真印刷株式会社 カバーパネル、操作パネル、操作パネルの製造方法
CN105045348B (zh) * 2015-08-31 2018-08-24 业成光电(深圳)有限公司 三维曲面显示设备及其制造方法
TWI561896B (en) * 2016-05-19 2016-12-11 Covatech Inc Liquid optical clear adhesive (loca) curved bonding method and display device
JP7063539B2 (ja) 2017-02-13 2022-05-09 スタンレー電気株式会社 表示装置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4119520A (ja) 2012-12-14 2014-06-30 Dexerials Corp 画像表示装置の製造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8508641A (zh) 2018-09-07
KR102612913B1 (ko) 2023-12-12
CN108508641B (zh) 2022-08-02
JP2021131567A (ja) 2021-09-09
JP7038477B2 (ja) 2022-03-18
KR20180099459A (ko) 2018-09-05
JP7192915B2 (ja) 2022-12-20
JP2018141834A (ja) 2018-09-13
TW201841728A (zh) 2018-12-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907027B2 (en) UV-photocured resin layer and image display device using the same
KR102277736B1 (ko) 화상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JP7376819B2 (ja) 画像表示装置の製造方法
KR20230019176A (ko) 화상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EP2767970A1 (en) Method for producing image display device
EP3594927B1 (en) Method for manufacturing image display device
CN105182578A (zh) 图像显示装置的制造方法
TWI833689B (zh) 圖像顯示裝置及其製造方法
JP7198306B2 (ja) 光学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