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75409B1 - 처치구 - Google Patents

처치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75409B1
KR101375409B1 KR1020097013851A KR20097013851A KR101375409B1 KR 101375409 B1 KR101375409 B1 KR 101375409B1 KR 1020097013851 A KR1020097013851 A KR 1020097013851A KR 20097013851 A KR20097013851 A KR 20097013851A KR 101375409 B1 KR101375409 B1 KR 10137540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eatment
tube
diameter expansion
diameter
inclined surf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70138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104818A (ko
Inventor
가즈야 사또
Original Assignee
올림푸스 메디칼 시스템즈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올림푸스 메디칼 시스템즈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올림푸스 메디칼 시스템즈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901048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0481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754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7540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34Trocars; Puncturing needles
    • A61B17/3478Endoscopic needles, e.g. for infus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4Infusion devices, e.g. infusing by gravity; Blood infusion; Accessorie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 A61B1/012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characterised by internal passages or accessories therefor
    • A61B1/018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characterised by internal passages or accessories therefor for receiving instrum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0067Catheters; Hollow probes characterised by the distal end, e.g. tips
    • A61M25/0082Catheter tip comprising a tool
    • A61M25/0084Catheter tip comprising a tool being one or more injection needles
    • A61M2025/0089Single injection needle protruding axially, i.e. along the longitudinal axis of the catheter, from the distal tip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rger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Path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Biophys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Anesthesiology (AREA)
  • Hematology (AREA)
  • Infusion, Injection, And Reservoir Apparatuses (AREA)
  • Endoscopes (AREA)
  • Media Introduction/Drainage Providing Device (AREA)
  • Surgical Instruments (AREA)

Abstract

내시경에 삽통 가능한 삽입부를 갖고, 상기 내시경을 통하여 체 내에 배치되는 상기 삽입부의 선단에 조직에 대해 소정의 처치를 행하는 처치부가 상기 삽입부에 돌몰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내시경으로부터 인출되는 상기 삽입부의 기단부에 상기 처치부의 돌몰을 조작하는 조작부를 구비하는 처치구를 제공한다.
Figure R1020097013851
주사침(처치구), 삽입부, 중공침(처치부), 조작부, 조작관, 구멍

Description

처치구{TREATMENT DEVICE}
본 발명은, 내시경에 삽통하여 사용되는 처치구에 관한 것이다.
본원은, 2007년 1월 19일자로 출원된 일본 특허 출원 제2007-10002호에 대해 우선권을 주장하여, 그 내용을 여기에 원용한다.
내시경을 이용하여 경구적인 처치를 행할 때에는, 내시경의 채널에 삽통 가능한 내시경용 처치구가 사용된다. 내시경용 처치구는, 가요성을 갖는 가늘고 긴 삽입부를 갖고, 체 내에 삽입되는 삽입부의 선단에는 처치를 행하는 처치부가 설치되어 있다. 바로 앞측으로 인출되는 삽입부의 기단부에는, 처치부를 조작하기 위한 조작부가 설치되어 있다.
여기서, 내시경용 처치구의 일례로서는, 조직에 약액을 주입하거나, 조직을 부풀어 올라오게 하거나 할 때에 사용되는 주사침을 들 수 있다. 주사침은, 삽입부로 되는 시스 내에, 중공침이 진퇴 가능하게 통과되어, 중공침의 선단이 조직에 천자되는 처치부로 된다. 조작부는, 시스의 기단에 고정된 파이프 형상의 조작부 본체와, 조작부 본체에 진퇴 가능하게 부착되어, 중공침에 접속되는 구금으로 이루어진다. 이 종류의 주사침은, 시스 내에 중공침의 선단을 수용한 상태에서 체 내에 도입된다. 조직에 천자할 때에는, 조작부 본체에 대해 구금을 압입하여, 중공 침의 선단을 시스로부터 돌출시킨다.
중공침의 돌몰을 절환하는 조작부의 구조로서는, 예를 들면, 특허 문헌 1에 개시되어 있는 것이 있다. 이 조작부는, 조작부 본체에 세로 방향의 홈이 형성되어 있고, 홈의 양단은 대략 원형으로 확대된 정지 착좌부로 되어 있다. 구금에는, 조작부 본체 내에 삽입되는 조작관이 접속되어 있고, 조작관에는 세로 방향으로 연장되는 탄성 설 형상부가 형성되어 있다. 탄성 설 형상부의 자유단에는, 핀이 설치되어 있다. 핀은, 직경이 상이한 2단 구조를 갖고, 대경의 기초부는 조작부 본체측의 홈의 폭보다 크지만, 정지 착좌부의 직경보다 작다. 소경의 선단부는, 홈의 폭 이하이다. 조작관은, 조작부 본체 내에 삽입되어, 스프링으로 중공침을 되돌리는 방향으로 부세되어 있다.
주사침을 조립할 때에는, 핀이 전방의 정지 착좌부에 도달할 때까지 조작관을 조작부 본체에 삽입한다. 탄성 설 형상부가 복원되어 핀이 전방의 정지 착좌부에 들어간다. 이 때, 중공침의 선단은, 시스로부터 돌출된 작업 위치에 있다. 처치가 종료되면, 시술자가 수동으로 핀을 압입한다. 압축되어 있던 스프링이 복원되어 조작관 및 구금이 이전의 위치로 되돌려진다. 핀의 선단부가 홈에 가이드되면서 이동한다. 후방의 정지 착좌부에 도달하면, 탄성 설 형상부가 복원되어 핀이 후방의 정지 착좌부에 들어가, 조작관 및 구금이 정지된다. 이 위치에서 중공침의 선단은, 시스 내에 수용된다.
특허 문헌 1: 일본 특허 공표 제2005-534436호 공보
<발명의 개시>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
그러나, 이와 같은 조작부에서는, 중공침을 돌몰시킬 때에 버튼을 압입하는 동작이 필요하게 된다. 특히, 중공침을 전진시킬 때에는, 버튼을 누르면서 구금을 전진시키지 않으면 안되므로 조작이 복잡하였다. 또한, 판 스프링 형상의 탄성 설 형상부나 스프링을 사용하기 때문에, 장치 구성이 복잡하였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사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간단한 구성으로 중공침 등의 처치부의 진퇴 조작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주된 목적으로 한다.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이하의 수단을 제안하고 있다.
본 발명의 처치구는, 내시경에 삽통 가능한 삽입부를 갖고, 상기 내시경을 통하여 체 내에 배치되는 상기 삽입부의 선단에 조직에 대해 소정의 처치를 행하는 처치부가 상기 삽입부에 돌몰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내시경으로부터 인출되는 상기 삽입부의 기단부에 상기 처치부의 돌몰을 조작하는 조작부를 구비하는 처치구로서, 상기 조작부는, 상기 삽입부의 시스에 고정되는 조작부 본체와, 상기 조작부 본체에 형성된 구멍에 진퇴 가능하게 삽입되고, 상기 처치부에 연통하는 구금이 설치된 조작관을 갖고, 상기 조작부 본체의 상기 구멍에는, 내경을 넓히는 직경 확장부가 상기 조작관의 진퇴 방향으로 2개소 형성되어 있고, 기단측의 상기 직경 확장부는 상기 처치부가 상기 시스 내에 수용되는 위치에 대응하여 형성되고, 선단측의 상기 직경 확장부는 상기 처치부가 상기 시스로부터 돌출되는 위치에 대응하여 형성되고, 상기 조작관에는, 직경 방향으로 변형하여 상기 직경 확장부에 계합(係合) 가능한 계지부(係止部)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계지부는, 상기 직경 확장부에 계합 가능한 돌기부를 갖고, 상기 돌기부의 기단측에는, 상기 조작관의 후퇴 시에 상기 계지부를 직경 축소 방향으로 변형시키는 경사진 끝면과, 상기 끝면에 대해 상기 조작관의 둘레 방향으로 어긋난 위치에 형성되고, 선단을 향할수록 상기 조작관의 축선에 가까워지도록 경사진 경사면을 갖고, 상기 조작부 본체의 기단측의 상기 직경 확장부에 있어서 기단측의 벽면에는, 선단을 향할수록 상기 축선에 가까워지도록 경사지고, 상기 경사면과 계합하는 면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이 처치구에서는, 직경 확장부에 계지부가 계합되면, 그 위치에서 처치부가 로크된다. 처치부를 이동시킬 때에는, 조작관을 이동시킨다.
또한, 선단측의 직경 확장부로부터 조작관을 후퇴시킬 때는, 끝면과 선단측의 직경 확장부가 협동하여 계지부를 직경 축소 방향으로 변형시켜 조작관의 이동을 가능하게 한다. 기단측의 직경 확장부에서는, 조작관을 더 끌어당길 때에, 경사면이 직경 확장부측의 면에 계합한다. 이에 따라서, 조작관의 빠짐이 방지된다.
또한, 상기 처치구에 있어서, 상기 계지부는, 상기 돌기부의 기단측의 중앙 부분이 진퇴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고, 이 중앙 부분에 상기 끝면이 형성되고, 상기 경사면은, 상기 중앙 부분을 상기 조작관의 둘레 방향으로 사이에 두도록 양측에 배치되고, 상기 기단측의 직경 확장부는, 상기 돌기부의 상기 중앙 부분을 수용 가능한 슬릿이 형성되어 있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이 처치구에서는, 선단측의 직경 확장부로부터 조작관을 후퇴시킬 때에 사용되는 끝면이 기단측으로 돌출하고 있다. 조작관을 기단측의 직경 확장부까지 끌어당길 때는, 돌출한 중앙 부분이 기단측의 직경 확장부의 슬릿으로 진입하고 직경 확장부와 돌기부의 간섭이 방지된다.
또한, 상기 처치구에서, 선단측에 형성된 상기 직경 확장부에는, 상기 조작관을 후퇴시켰을 때에 상기 계지부를 닫도록 압압하는 방향으로 제2 경사면이 형성되고, 기단측에 형성된 상기 직경 확장부에는, 상기 조작관을 전진시켰을 때에 상기 계지부를 닫도록 압압하는 방향으로 제3 경사면이 형성되어 있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이 처치구에서는, 선단측의 직경 확장부에서는, 돌출시킨 처치부를 수용하는 방향으로는 제2 경사면이 계합을 해제하도록 기능한다. 기단측의 직경 확장부에서는, 처치부를 수용한 상태로부터 돌출시키는 방향으로는 직경 확장부의 제3 경사면이 계합을 해제하도록 기능한다.
또한, 상기 처치구에 있어서, 상기 계지부의 선단부에는, 전진 방향으로 상기 조작관의 축선을 향하여 외형을 축소시키도록 제4 경사면이 형성되어 있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이 처치구에서는, 처치부를 수용한 상태로부터 처치부를 돌출시키는 방향으로는, 계지부의 선단측의 제4 경사면이 계합을 해제하도록 기능한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발명의 효과>
본 발명에 따르면, 조작부 본체에 대해 조작관을 진퇴시킴으로써 처치부를 돌몰시키는 구성에 있어서, 조작관의 진퇴 동작에 의해 조작부 본체와의 계합 및 계합의 해제를 컨트롤하는 경사면을 형성하였으므로, 조작관의 진퇴 동작만으로 처치부의 돌몰 및 위치의 로크를 행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처치부의 조작이 간단하게 된다. 또한, 조작부의 장치 구성을 간략화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른 처치구의 일례인 주사침의 외관도.
도 2는 주사침의 선단 부분의 확대 단면도로서, 중공침이 시스 내에 수용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3은 조작부의 구성을 도시하는 단면도.
도 4는 도 3의 A-A선을 따른 단면도.
도 5는 조작관을 후퇴시켜, 시스 내에 중공침을 수용하였을 때의 배치를 설명하는 단면도.
도 6은 주사침의 조작부의 다른 형태를 도시하는 단면도.
도 7은 도 6의 조작부에서 조작관을 후퇴시켜, 시스 내에 중공침을 수용하였을 때의 배치를 설명하는 단면도.
도 8은 주사침의 조작부의 다른 형태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9는 도 8의 B-B선을 따른 단면도.
도 10은 조작관의 사시도.
도 11은 조작관의 측면도.
도 12는 도 10의 C-C선을 따른 단면도.
도 13은 도 10의 D-D선을 따른 단면도.
도 14는 도 8의 상태로부터 조작관을 인출한 도면.
<부호의 설명>
1 : 주사침(처치구)
2 : 삽입부
3 : 시스
4 : 중공침(처치부)
5, 71 : 조작부
21, 72 : 조작부 본체
22, 73 : 조작관
25 : 구멍
41, 92 : 구금
31, 61, 81 : 제1 직경 확장부
32, 62, 82 : 제2 직경 확장부
33A, 33B, 35A, 35B, 52A, 66A, 66B, 86, 96A, 96B : 경사면
51, 93 : 계지부
95 : 돌기부
96 : 돌기부 본체
97 : 가장자리부
97A : 끝면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량의 형태>
이하,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의 각 실시 형태에서, 동일한 구성 요소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있다. 또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제1 실시 형태>
도 1에 내시경용 처치구로서의 주사침의 전체 구성을 도시한다. 주사침(1)은, 삽입부(2)로 되는 가늘고 긴 시스(3)의 선단에 처치부로 되는 중공침(4)을 돌몰 가능하게 설치한 구성을 갖는다. 시스(3)의 기단부에는 조작부(5)가 부착되어 있다.
시스(3)에는 수지제의 튜브가 이용되고 있다. 도 2에 중공침(4)을 수용한 상태에서의 단면도로서 도시한 바와 같이, 시스(3)의 선단부는 개구경을 축소시킨 스토퍼(11)로 되어 있다. 스토퍼(11)가 형성하는 개구부(12)의 직경은, 중공침(4)을 삽통 가능하지만, 삽통에는 소정의 역량이 필요한 정도의 섭동 저항을 갖는 크기이다.
중공침(4)은, 가요성을 갖는 송액 튜브(13)의 선단에 조인트(14)를 개재하여 압입 고정되어 있다. 중공침(4)은, 경질의 재료로 제조되어 있고, 선단은 예리한 단부(4A)로 되어 있다. 중공침(4)의 외경은, 송액 튜브(13)의 내경에 비해 작다. 송액 튜브(13)는, 예를 들면 PFA(4불화퍼플루오로알킬비닐에테르) 수지 등의 부드러운 수지로 제조되어 있다. 송액 튜브(13)는, 시스(3) 내에 진퇴 가능하게 통하게 되어 있고, 그 기단부는 시스(3)에 고정된 조작부(5) 내에 인입되어 있다.
도 1 및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조작부(5)는 시스(3)의 기단부에 삽입하여 고정된 조작부 본체(21)와, 조작부 본체(21)에 진퇴 가능하게 삽입된 조작관(22)을 갖는다. 조작부 본체(21)는, 길이 방향(축방향)에 관통하는 구멍(25)이 형성되어 있고, 이 구멍(25)에 송액 튜브(13)가 삽입되어 있다. 구멍(25)은 선단측에 대해 기단측이 직경 확장되어 있고, 직경 확장된 구멍(25A) 내에 조작관(22)의 관부(26)가 삽입되어 있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직경 확장된 구멍(25A)은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키 홈(27)이 2개 형성되어 있다. 키 홈(27)의 수나 배치는, 도시한 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직경 확장된 구멍(25A)에는 선단측과 기단측의 각각에 내경을 넓히는 직경 확장부(31, 32)가 키 홈(27)을 피해서 형성되어 있다. 선단측의 제1 직경 확장부(31)는 구멍(25A)을 사이에 두고 대칭으로 한 쌍 형성되고, 그 각각이 조작부 본체(21)의 외주로부터 직경 확장된 구멍(25A)에 향하여 천설된 구멍(33)으로 이루어진다. 각각의 구멍(33)은, 외주측의 개구에 대해 내주측의 개구가 기단측에 형성되도록 비스듬하게 천설되어 있다. 이에 의해, 구멍(33)의 선단측의 벽면은, 축선의 선단측에 향하는 방향과의 사이에 둔각을 이루는 경사면(33A)으로 되어 있다. 구멍(33)의 기단측의 벽면은, 축선의 선단측에 향하는 방향과의 사이에 예각을 이루는 경사면(33B)으로 되어 있다.
기단측의 제2 직경 확장부(32)도 직경 확장된 구멍(25A)을 사이에 두고 대칭으로 한 쌍 형성되고, 각각이 조작부 본체(21)의 외주로부터 직경 확장된 구멍(25A)에 향하여 천설된 구멍(35)으로 이루어진다. 구멍(35)은, 외주측의 개구에 대해 내주측의 개구가 선단측에 형성되도록 비스듬하게 천설되어 있다. 이에 의해, 구멍(35)의 선단측의 벽면은, 축선의 선단측에 향하는 방향과의 사이에 둔각을 이루는 경사면(35A)으로 되어 있다. 구멍(35)의 기단측의 벽면은, 축선의 선단측에 향하는 방향과의 사이에 예각을 이루는 경사면(35B)으로 되어 있다.
조작관(22)은, 구멍(25A)에 삽입 가능한 관부(26)의 기단에 구금(41)이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조작관(22)에는, 구금(41)으로부터 관부(26)의 선단으로 빠지는 관통 구멍(42)이 형성되어 있다. 관통 구멍(42)의 선단 부분에는, 경질의 파이프(43)가 압입 고정되어 있다. 파이프(43)는, 조작부 본체(21)의 구멍(25) 내에 진입하여, 송액 튜브(13)에 접속되어 있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관부(26)의 외주에는, 키(44)가 2개 천설되어 있다. 키(44)는 조작부 본체(21) 측의 키 홈(27)의 형성 위치에 맞춰서 형성되어 있고, 키 홈(27)에 키(44)를 삽입함으로써 회전이 방지된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조작관(22)의 선단에는 파이프(43)를 사이에 두도록 한 쌍의 계지부(51)가 형성되어 있다. 한 쌍의 계지부(51)는 관부(26)의 선단에 슬릿을 넣음으로써 탄성 변형 가능하게 형성된 부분이며, 자유단으로 되는 선단부에 돌기부(52)가 직경 방향 외측에 형성되어 있다. 돌기부(52)는 선단이 중심을 향하여 비스듬하게 컷트된 경사면(52A)을 갖는다. 돌기부(52)의 기단측은, 직경 방향을 대략 따른 평면(52B)으로 되어 있다. 외력이 작용하지 않는 상태에서, 한 쌍의 돌기부의 외면(52C)간의 거리는, 구멍(25A)의 직경보다 크다.
여기서, 계지부(51) 및 직경 확장부(31, 32)는, 계지부(51)의 돌기부(52)를 제1 직경 확장부(31)에 일치시켰을 때에 중공침(4)이 시스(3)로부터 돌출되어, 조직에 자입 가능한 작업 위치로 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한, 계지부(51)의 돌기부(52)를 제2 직경 확장부(32)에 일치시켰을 때에 중공침(4)이 시스(3) 내에 완전하게 인입되는 수용 위치로 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 주사침의 동작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시되지 않은 내시경을 환자의 입 등으로부터 삽입하여, 내시경의 촬상 장치에서 확인하면서 처치 대상 부위에 유도한다. 내시경의 작업용 채널에 주사침(1)을 삽통하고, 삽입부(2)의 시스(3)의 선단을 체 내에 도입한다.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조작부(5)는, 초기 상태로서, 계지부(51)의 돌기부(52)를 제2 직경 확장부(32)에 계지시켜, 중공침(4)을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시스(3) 내에 수용시켜 둔다. 이 위치에서는, 돌기부(52)의 면(52B)이 직경 확장부(32)의 예각의 경사면(35B)에 맞닿으므로, 조작관(22)을 이 이상 인출할 수는 없게 되어 있다.
중공침(4)을 돌출시킬 때에는, 구금(41)을 잡아 조작관(22)을 조작부 본체(21)에 압입한다. 제2 직경 확장부(32)의 선단측의 경사면(35A)에 의해, 한 쌍의 계지부(51)가 닫히는 방향으로 압압되고, 돌기부(52)의 외면(52C)간의 거리가 구멍(25A)의 직경 이하로 작아진다. 그 결과, 한 쌍의 계지부(51)가 구멍(25A) 내를 전진 가능하게 된다. 조작관(22)을 압입하면, 파이프(43)나 송액 튜브(13)를 통하여 연결되어 있는 중공침(4)이 전진한다.
구멍(25A)의 직경은, 제1 직경 확장부(31)까지는 대략 일정하므로, 조작관(22)이 스무스하게 전진하고, 중공침(4)이 시스(3)로부터 돌출하기 시작한다. 한 쌍의 계지부(51)의 돌기부(52)가, 제1 직경 확장부(31)에 도달하면, 계지부(51)가 복원되어 열리어 계지부(51)가 제1 직경 확장부(31)에 들어간다. 조작관(22)이이 위치에 있을 때, 선단측에서는 중공침(4)이 시스(3)로부터 돌출되고, 또한 시스(3)의 선단의 개구부(12)에 끼인다.
여기서, 조작관(22)을 더욱 전진시키고자 한 경우, 돌기부(52)의 선단의 경사면(52A)이 제1 직경 확장부(31)의 경사면(33A)에 맞닿는다. 경사면(33A)의 경사 방향은 계지부(51)를 직경 축소 방향으로 압압하지 않고, 간섭하는 방향이므로, 조작관(22)을 이 이상 전진시킬 수는 없다. 한편, 조작관(22)을 비교적 약한 힘으로 끌어당겨 후퇴시키고자 하면, 돌기부(52)의 기단측의 면(52B)이, 제1 직경 확장 부(31)에 의한 경사면(33B)에 맞부딪쳐 간섭한다. 즉, 계지부(51)가 제1 직경 확장부(31)에 계지되어, 중공침(4)의 위치가 로크된다. 따라서, 주사침(1) 전체를 전진시키면, 중공침(4)이 조직을 자입한다.
중공침(4)을 조직에 자입시키면, 구금(41)에 접속된 실린지로부터 약액이나 생리 식염수 등의 액체를 송입한다. 송액 튜브(13)를 통과한 액체가 중공침(4)으로부터 조직에 주입된다. 처치가 종료되면, 주사침(1)을 후퇴시켜 중공침(4)을 조직으로부터 빼낸다.
중공침(4)을 시스(3) 내에 수용할 때에는, 조작관(22)을 자입 시에 작용하는 힘보다 강한 힘으로 끌어당겨 후퇴시킨다. 제1 직경 확장부(31)의 경사면(33B)에 의해 계지부(51)의 돌기부(52)가 압압되어, 한 쌍의 계지부(51)가 닫힌다. 이에 의해, 조작관(22)이 후퇴 가능하게 된다. 돌기부(52)와 제1 직경 확장부(31)의 경사면(33B) 사이의 계합력은, 중공침(4)을 조직에 자입할 때에는 조작관(22)의 이동을 금지하고, 구금(41)이 수동으로 당겨졌을 때에는 한 쌍의 계지부(51)를 변형시키도록 형상이 설정되어 있다.
조작관(22)을 후퇴시키는 과정에서, 돌기부(52)가 제2 직경 확장부(32)에 도달하면, 한 쌍의 계지부(51)가 복원되어 조작부 본체(21)에 걸린다. 이 위치에서 정지시키면, 중공침(4)이 시스(3) 내에 완전하게 수용된다. 또한, 제2 직경 확장부(32)의 기단측의 경사면(35B)은, 조작관(22)이 후퇴하는 방향에는, 계지부(51)에 간섭하여 빠짐 방지 된다. 따라서, 통상의 조작으로 조작관(22)이 빠지는 일은 없다.
이 실시 형태에 따르면, 중공침(4)의 진퇴 방향으로 2개의 직경 확장부(31, 32)를 형성하고, 직경 확장부(31, 32)에 테이퍼 형상의 면을 형성하였으므로, 조작관(22)을 진퇴시키는 것만으로 조작관(22) 측의 돌기부(52)를 변형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간단한 구성으로 조작이 용이하게 된다. 각 직경 확장부(31, 32)는, 중공침(4)이 돌출되는 작업 위치와, 중공침(4)이 시스(3) 내에 완전하게 수용되는 수용 위치에 대응시켜 형성하고 있으므로, 조작관(22)이 계지되는 위치까지 이동시키는 것만으로, 중공침(4)의 돌몰을 제어할 수 있다.
종래와 같이, 조작부 본체에 구금을 밀어 넣거나, 비틀어 넣거나 하여, 중공침을 작업 위치에 고정시키는 타입의 주사침에서는, 밀어 넣기나 비틀어 넣기에 요하는 큰 역량이 마지막으로 필요하게 되는 것에 대해, 이 주사침(1)에서는, 마지막으로 큰 역량을 가할 필요가 없으므로, 조작이 편하다. 또한, 중공침(4)을 작업 위치에 고정시킬 때에 필요한 역량이 부족하게 되는 일이 없게 된다.
<제2 실시 형태>
이 실시 형태는, 구금측에만 경사면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조작부 본체(21)는, 제1 직경 확장부(61)와 제2 직경 확장부(62)가 각각 한 쌍씩 형성되어 있다. 제1 직경 확장부(61)는, 중공침(4)을 시스(3)로부터 돌출시키는 작업 위치에 대응하여 형성되어 있다. 제2 직경 확장부(62)는, 중공침(4)을 시스(3) 내에 인입한 수용 위치에 대응하여 형성되어 있다. 이들 직경 확장부(61, 62)는, 축선에 대해 직교하는 방향으로 조작부 본체(21)의 외주면으로부터 구멍(25A)에 관통하는 구멍(63, 64)으로 이루어진다. 따 라서, 이들 구멍(63, 64)의 선단측의 벽면(63A, 64A)과, 기단측의 벽면(63B, 64B)은, 각각 축선에 직교하는 면으로 되어 있다.
구금(41)이 설치된 조작관(22)은, 선단에 한 쌍의 계지부(65)가 형성되어 있다. 계지부(65)의 돌기부(66)는, 선단측과 기단측의 각각에 경사면(66A, 66B)이 형성되어 있다. 경사면(66A)은, 선단측을 향하여 닫히도록, 즉 전진 방향으로 조작관(22)의 축선을 향하여 외형을 축소시키도록 경사져 있다. 경사면(66B)은, 구금(41)을 향하여 닫히도록, 즉 후퇴 방향으로 조작관(22)의 축선을 향하여 외형을 축소시키도록 경사져 있다.
중공침(4)을 시스(3) 내에 수용할 때에는, 제2 직경 확장부(62)에 계지부(65)를 계지시킨다. 중공침(4)을 작업 위치까지 이동시킬 때에는, 구금(41)을 잡아 조작관(22)을 전진시킨다. 계지부(65)의 돌기부(66)의 선단측의 경사면(66A)이 제2 직경 확장부(62)의 선단측의 벽면(64A)에 눌려져, 계지부(65)가 직경 방향 내측으로 압입된다. 돌기부(66)의 외면(66C)간의 거리가 서서히 작아져, 구멍(25A)의 직경에 대략 동등하게 되면, 조작관(22)이 구멍(25A) 내를 전진한다. 구멍(25A)의 직경은, 제1 직경 확장부(61)까지는 대략 일정하므로, 조작관(22)이 스무스하게 전진하고, 중공침(4)이 시스(3)로부터 돌출되기 시작한다. 계지부(65)가 제1 직경 확장부(61)에 도달하면, 계지부(65)가 복원되고, 돌기부(66)가 제1 직경 확장부(61)에 진입하여 계지된다. 조작관(22)이 이 위치에 있을 때, 선단측에서는 중공침(4)이 시스(3)로부터 돌출되고, 또한 시스(3)의 선단의 개구부(12)에 끼인다.
중공침(4)을 되돌릴 때에는, 구금(41)을 잡아 조작관(22)을 후퇴시킨다. 돌기부(66)의 기단측의 경사면(66B)이 제1 직경 확장부(61)의 기단측의 벽면(63B)에 눌려져, 계지부(65)가 직경 방향 내측으로 압입된다. 계지부(65)간의 거리가 서서히 작아져, 구멍(25A)의 직경에 대략 동등하게 된다. 조작관(22)이 구멍(25A) 내를 후퇴하고, 중공침(4)이 시스(3) 내로 인입된다. 계지부(65)가 제2 직경 확장부(62)에 도달하면, 계지부(65)가 복원되어 돌기부(66)가 제2 직경 확장부(62) 내에 진입하여 계지된다. 이 때, 중공침(4)은 시스(3) 내에 완전하게 수용된다.
이 실시 형태에서는, 직경 확장부(61, 62)를 형성하는 구멍(63, 64)이 축선에 직교하므로, 제조가 용이하게 된다. 그 밖의 효과는, 제1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이다.
<제3 실시 형태>
도 8은, 이 실시 형태의 주사침(1)의 조작부(71)의 구성을 도시한다. 또한, 삽입부(2) 및 중공침(4)은, 제1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이다.
조작부(71)는, 시스(3)에 고정되는 조작부 본체(72)와, 조작부 본체(72)에 진퇴 가능하게 삽입된 조작관(73)을 갖는다. 도 9에 단면 형상을 도시한 바와 같이, 조작부 본체(72)의 구멍(25A)에는 키 홈(27)이 길이 방향을 따라서 형성되어 있어, 조작관(73)의 회전을 방지하고 있다. 또한, 조작부 본체(72)의 선단측에는, 제1 직경 확장부(81)가, 기단측에는 제2 직경 확장부(82)가 각각 키 홈(27)을 피하는 위치에, 구멍(25A)의 직경을 넓히도록 형성되어 있다.
선단측의 제1 직경 확장부(81)는, 구멍(25A)을 사이에 두고 한 쌍 형성되어 있고, 그 각각이 조작부 본체(72)로부터 구멍(25A)에 관통하는 관통 구멍(83)으로 이루어진다. 관통 구멍(83)은, 선단측의 벽면(83A)과 기단측의 벽면(83B)의 각각이 조작부 본체(72)의 길이 방향에 대략 직교하는 수직벽으로 되어 있다.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직경 확장부(81)는 조작부 본체(72)의 길이 방향에 직교하는 면에서 볼 때 대략 사각형으로 되어 있다.
기단측의 제2 직경 확장부(82)는, 조작부 본체(72)의 길이 방향에 직교하는 면에서 볼 때 대략 사각형으로 형성됨과 함께, 기단측의 중앙 부분에 절결(85)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절결(85)을 사이에 두도록 한 쌍의 경사면(86)이 형성되어 있고, 경사면(86)이 형성하는 간극과 절결(85)에 의해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슬릿(87)이 형성되어 있다.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 직경 확장부(82)는, 구멍(25A)을 사이에 두고 한 쌍 형성되어 있고, 그 각각이 조작부 본체(72)로부터 구멍(25A)에 관통하는 관통 구멍(88)을 이용하여 형성되어 있다. 경사면(85)은, 기단측이 열리도록 경사져 있고, 경사면(85)의 선단과, 관통 구멍(88)의 선단측의 벽면(88A) 사이에 소정의 간격이 확보되어 있다. 벽면(88A)은, 길이 방향에 대략 직교하는 수직면으로 되어 있다.
도 10 및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조작관(73)은 관부(91)의 기단에 구금(92)이 일체로 형성되어 있고, 도시되지 않은 관통 구멍을 통하여 약액 등을 중공침(4)에 공급 가능하게 되어 있다. 관부(91)의 측면에는, 키(44)가 키 홈(27)에 대응하여 형성되어 있다. 관부(91)의 선단부는, 절삭 가공에 의해 한 쌍의 계지부(93)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한 쌍의 계지부(93)의 사이로부터는 파이프 (42)(도 10 및 도 11에는 도시 생략)가 연장되어 있고, 송액 튜브(13)에 접속되어 있다.
계지부(93)는, 선단측이 자유단으로 되어 직경 방향으로 변형 가능하게 되어 있고, 각각의 계지부(93)의 직경 방향 외측에 돌기부(95)가 형성되어 있다.
돌기부(95)는, 직경 방향으로부터 볼 때 대략 사각형의 돌기부 본체(96)의 기단측의 중앙 부분으로부터 가장자리부(97)를 돌출시킨 볼록 형상을 갖는다. 돌기부 본체(96)의 선단면은, 기단측을 향하여 열리는 경사면(96A)으로 되어 있다. 가장자리부(97)는, 길이 방향을 따라서 연장되고, 그 기단측의 끝면(97A)은, 기단을 향하여 닫히는 경사면으로 되어 있다. 가장자리부(97)를 사이에 두도록 배치되고, 볼록 형상에서 1단 내려간 어깨 부분에 상당하는 돌기부 본체(96)의 기단면은, 경사면(96B)으로 되어 있다. 경사면(96B)은, 가장자리부(97)의 끝면(97A)보다 선단측에 배치되고, 끝면(97A)과 반대 방향, 즉 선단을 향하여 닫히는 방향으로 경사진 평면이다.
여기서, 돌기부(95)는, 조작부 본체(72) 측의 제1, 제2 직경 확장부(81, 82)에 각각 진입 가능한 외형을 갖는다. 돌기부 본체(96)로부터 연장되는 가장자리부(97)의 길이 방향의 길이는, 제2 직경 확장부(82)의 슬릿(87)의 길이 이하이다. 가장자리부(97)의 길이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의 폭은, 슬릿(87)의 폭 이하이다.
이 주사침(1)은, 중공침(4)을 시스(3)에 수용한 수용 위치와 작업 위치 중 어느 하나에 위치 결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주사침(1)을 체 내에 삽입할 때 등은, 중공침(4)을 수용 위치에 넣는다. 이 때, 조작관(73)을 조작부 본체(72)에 대해 당겨, 제2 직경 확장부(82)에 계지부(93)를 계지시킨다. 도 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돌기부 본체(96)가 구멍(88)에 진입하고, 가장자리부(97)는 슬릿(87)에 들어간다. 돌기부 본체(96)의 기단측에 경사면(96B)과, 제2 직경 확장부(82)의 경사면(86)은, 조작관(73)을 인출하는 방향에서는 계합하도록 경사 방향이 설정되어 있으므로, 조작관(73)을 이 이상 인출할 수는 없다.
중공침(4)을 수용 위치부터 작업 위치까지 이동시킬 때에는, 조작관(73)을 조작부 본체(72)에 압입한다. 제2 직경 확장부(82)의 벽면(88A)이 대략 수직인 것에 대해, 돌기부 본체(96)의 선단측의 경사면(96A)이 선단을 향하여 닫히도록 경사져 있으므로, 조작관(73)을 압입함에 따라서 돌기부(95)가 직경 축소되는 방향으로 압압되어 한 쌍의 계지부(93)가 직경 축소 방향으로 변형하게 된다. 돌기부(95)간의 거리가 구멍(25A)의 외경 이하로 될 때까지 계지부(93)가 변형하게 되면, 조작관(73)이 구멍(25A)을 따라서 전진한다. 이 때문에, 비교적 가벼운 역량으로 로크를 해제할 수 있다. 또한, 돌기부 본체(96)의 기단측의 경사면(96B)은, 이 방향에서는 계합하지 않으므로, 조작관(73)의 이동이 방해되는 일은 없다.
돌기부(95)가, 제1 직경 확장부(81)까지 이동하면, 한 쌍의 계지부(93)가 탄성력에 의해 복원되고, 가장자리부(97)를 포함하는 돌기부(95)의 전체가 제1 직경 확장부(81)의 구멍(83)에 진입한다. 이 위치는, 중공침(4)의 작업 위치에 상당하고, 이 위치에서 조작관(73) 및 중공침(4)이 로크된다.
처치가 종료되어 중공침(4)을 다시 수용 위치로 되돌릴 때에는, 조작관(73)을 당긴다. 제1 직경 확장부(81)의 벽면(83B)이 대략 수직인 것에 대해서, 가장자 리부(97)의 끝면(97A)이 기단을 향하여 닫히도록 경사져 있으므로, 조작관(73)을 되돌림에 따라서 돌기부(95)가 직경 축소 방향으로 압압되어, 한 쌍의 계지부(93)가 직경 축소 방향으로 변형하게 된다. 돌기부(95)간의 거리가 구멍(25A)의 외경 이하로 될 때까지 계지부(93)가 변형하게 되면, 조작관(73)이 구멍(25A)을 따라서 후퇴한다. 가장자리부(97)를 사이에 두는 양측의 경사면(96B)은, 끝면(97A)보다 선단측에 있으므로, 경사면(96B)이 제1 직경 확장부(81)의 벽면(83B)에 간섭하는 일은 없다. 이 때문에, 비교적 가벼운 역량으로 로크가 해제된다. 돌기부(95)가 제2 직경 확장부(82)까지 이동한 곳에서, 계지부(93)가 제2 직경 확장부(82)에 끼워져 조작관(73) 및 중공침(4)의 위치가 로크된다.
이 실시 형태에서는, 계지부(93)의 돌기부(95)에 경사지는 가장자리부(97)를 형성하고, 가장자리부(97)의 끝면(97A)과 제1 직경 확장부(81)를 협동시킴으로써 중공침(4)의 후퇴 시에 계지부(93)를 직경 축소 방향으로 변형시키도록 하였으므로, 가벼운 역량으로 조작관(73)의 로크를 해제할 수 있다.
계지부(93)의 돌기부(95)의 선단에 경사면(96A)을 형성하고, 경사면(96A)과 제2 직경 확장부(82)를 협동시킴으로써 중공침(4)의 전진 시에 계지부(93)를 직경 축소 방향으로 변형시키도록 하였으므로, 가벼운 역량으로 조작관(73)의 로크를 해제할 수 있다.
또한, 제2 직경 확장부(82)에서 조작관(73)을 로크하였을 때에는, 조작관(73)을 더욱 인출하는 방향에는 돌기부(95) 측의 경사면(96B)과 제2 직경 확장부(82)의 경사면(86)이 계합됨으로써, 조작관(73)의 빠짐이 방지된다. 이 때에, 가장자리부(97)를 수용하는 슬릿(87)을 형성하였으므로, 가장자리부(97)가 조작부 본체(72)에 간섭하는 일은 없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의 각 실시 형태에 한정되지 않고 널리 응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직경 확장부(31, 61, 81), 제2 직경 확장부(32, 62, 82) 및 계지부(51, 65, 93)는, 각각 1쌍씩 형성하였지만, 1개씩이어도 되고, 3개 이상이어도 된다.
직경 확장부(31, 32, 61, 62, 81, 82)는, 외주면에 관통하는 구멍이 아니어도 된다. 구멍(25A)으로부터 직경 확장 방향으로 형성한 오목부이어도 된다.
경사진 면(33A, 33B, 35A, 35B, 52A, 66A, 66B, 86, 96A, 96B, 97A)은, 평면이나 곡면 등, 임의의 형상으로 할 수 있다.
제1 실시 형태에서, 계지부(51) 측의 경사면(52A)을 형성하지 않고, 축선에 대략 수직인 면으로 하여도 된다. 계지부(51) 측의 기단측의 평면(52B)을 경사면으로 하여도 된다. 경사면으로 하는 경우에는, 후퇴 방향에서 기단이 축선을 향하여 닫히는 방향으로 경사시킨다.
제3 실시 형태에서, 돌기부(95)의 선단면을 수직면으로 하여도 된다. 이 경우, 제2 직경 확장부(82)의 선단측의 벽면은, 선단을 향하여 닫히는 경사면으로 된다.
제3 실시 형태에서, 돌기부(95)는 기단측을 향하여 돌출하는 볼록 형상으로 하였지만, 오목 형상으로 하여도 된다. 오목 형상의 움푹 패인 부분을 경사면(96B)과 동일한 방향의 경사면으로 할 때에는, 제2 직경 확장부(82)는 돌기 부(95)의 외형에 맞춰서 기단측의 중앙 부분에 돌출시키고, 이 부분에 경사면(86)과 동일한 방향의 경사면을 형성한다. 오목 형상의 움푹 패인 부분을 끝면(97A)과 동일한 방향의 경사면으로 할 때에는, 제1 직경 확장부(81)의 기단측의 중앙 부분을 돌기부(95)의 외형에 맞춰서 돌출시킨다.
내시경용의 처치구는, 스네어나 클립, 고주파 나이프 등, 조직에 대해 소정의 처치를 행하는 처치부가 돌몰 가능하게 설치된 구성이면 되고, 실시 형태의 주사침에 한정되지 않는다.

Claims (6)

  1. 내시경에 삽통(揷通) 가능한 삽입부를 갖고, 상기 내시경을 통하여 체 내에 배치되는 상기 삽입부의 선단에 조직에 대해 소정의 처치를 행하는 처치부가 상기 삽입부에 돌몰(突沒)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내시경으로부터 인출되는 상기 삽입부의 기단부에 상기 처치부의 돌몰을 조작하는 조작부를 포함하는 처치구로서,
    상기 조작부는, 상기 삽입부의 시스에 고정되는 조작부 본체와, 상기 조작부 본체에 형성된 구멍에 진퇴(進退) 가능하게 삽입되고, 상기 처치부에 연통(連通)하는 구금(口金)이 설치된 조작관을 갖고,
    상기 조작부 본체의 상기 구멍에는, 내경을 넓히는 직경 확장부가 상기 조작관의 진퇴 방향에 2개소 형성되어 있고, 기단측의 상기 직경 확장부는 상기 처치부가 상기 시스 내에 수용되는 위치에 대응하여 형성되고, 선단측의 상기 직경 확장부는 상기 처치부가 상기 시스로부터 돌출되는 위치에 대응하여 형성되고,
    상기 조작관에는, 직경 방향으로 변형하여 상기 직경 확장부에 계합(係合) 가능한 계지부(係止部)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계지부는, 상기 직경 확장부에 계합 가능한 돌기부를 갖고,
    상기 돌기부의 기단측에는,
    상기 조작관의 후퇴 시에 상기 계지부를 직경 축소 방향으로 변형시키는 경사진 끝면과,
    상기 끝면에 대해 상기 조작관의 둘레 방향으로 어긋난 위치에 형성되고, 선단을 향할수록 상기 조작관의 축선에 가까워지도록 경사진 경사면을 갖고,
    상기 조작부 본체의 기단측의 상기 직경 확장부에 있어서의 기단측의 벽면에는, 선단을 향할수록 상기 축선에 가까워지도록 경사지고, 상기 경사면과 계합하는 면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처치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계지부는, 상기 돌기부의 기단측의 중앙 부분이 진퇴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고, 이 중앙 부분에 상기 끝면이 형성되고,
    상기 경사면은, 상기 중앙 부분을 상기 조작관의 둘레 방향으로 사이에 두도록 양측에 배치되고,
    상기 기단측의 직경 확장부는, 상기 돌기부의 상기 중앙 부분을 수용 가능한 슬릿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처치구.
  3. 제1항에 있어서,
    선단측에 형성된 상기 직경 확장부에는, 상기 조작관을 후퇴시켰을 때에 상기 계지부를 닫도록 압압하는 방향으로 제2 경사면이 형성되고,
    기단측에 형성된 상기 직경 확장부에는, 상기 조작관을 전진시켰을 때에 상기 계지부를 닫도록 압압하는 방향으로 제3 경사면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처치구.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계지부의 선단부에는, 전진 방향으로 상기 조작관의 축선을 향하여 외형을 축소시키도록 제4 경사면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처치구.
  5. 삭제
  6. 삭제
KR1020097013851A 2007-01-19 2008-01-16 처치구 KR10137540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7010002A JP5086648B2 (ja) 2007-01-19 2007-01-19 処置具
JPJP-P-2007-010002 2007-01-19
PCT/JP2008/050428 WO2008087971A1 (ja) 2007-01-19 2008-01-16 処置具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04818A KR20090104818A (ko) 2009-10-06
KR101375409B1 true KR101375409B1 (ko) 2014-03-17

Family

ID=396359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7013851A KR101375409B1 (ko) 2007-01-19 2008-01-16 처치구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8262558B2 (ko)
EP (1) EP2106814B1 (ko)
JP (1) JP5086648B2 (ko)
KR (1) KR101375409B1 (ko)
CN (1) CN101583389B (ko)
WO (1) WO200808797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00057048A1 (en) * 2008-09-04 2010-03-04 Stephen Eldredge Apparatus, System, and Method for Treating Atypical Headaches
CN102238917B (zh) * 2008-12-24 2017-05-24 奥林巴斯株式会社 处理器具
US11547275B2 (en) 2009-06-18 2023-01-10 Endochoice, Inc. Compact multi-viewing element endoscope system
US11278190B2 (en) 2009-06-18 2022-03-22 Endochoice, Inc. Multi-viewing element endoscope
US10165929B2 (en) 2009-06-18 2019-01-01 Endochoice, Inc. Compact multi-viewing element endoscope system
US9901244B2 (en) 2009-06-18 2018-02-27 Endochoice, Inc. Circuit board assembly of a multiple viewing elements endoscope
US9706903B2 (en) 2009-06-18 2017-07-18 Endochoice, Inc. Multiple viewing elements endoscope system with modular imaging units
US9872609B2 (en) 2009-06-18 2018-01-23 Endochoice Innovation Center Ltd. Multi-camera endoscope
US10130246B2 (en) 2009-06-18 2018-11-20 Endochoice, Inc. Systems and methods for regulating temperature and illumination intensity at the distal tip of an endoscope
US9492063B2 (en) 2009-06-18 2016-11-15 Endochoice Innovation Center Ltd. Multi-viewing element endoscope
US9474440B2 (en) 2009-06-18 2016-10-25 Endochoice, Inc. Endoscope tip position visual indicator and heat management system
US9713417B2 (en) 2009-06-18 2017-07-25 Endochoice, Inc. Image capture assembly for use in a multi-viewing elements endoscope
US10524645B2 (en) 2009-06-18 2020-01-07 Endochoice, Inc. Method and system for eliminating image motion blur in a multiple viewing elements endoscope
EP2865322B1 (en) 2009-06-18 2020-07-22 EndoChoice, Inc. Multi-camera endoscope
EP3718466B1 (en) 2010-09-20 2023-06-07 EndoChoice, Inc. Endoscope distal section comprising a unitary fluid channeling component
US9560953B2 (en) 2010-09-20 2017-02-07 Endochoice, Inc. Operational interface in a multi-viewing element endoscope
EP3540495A1 (en) 2010-10-28 2019-09-18 EndoChoice Innovation Center Ltd. Optical systems for multi-sensor endoscopes
US9706908B2 (en) 2010-10-28 2017-07-18 Endochoice, Inc. Image capture and video processing systems and methods for multiple viewing element endoscopes
US10663714B2 (en) 2010-10-28 2020-05-26 Endochoice, Inc. Optical system for an endoscope
EP3522215A1 (en) 2010-12-09 2019-08-07 EndoChoice Innovation Center Ltd. Flexible electronic circuit board for a multi-camera endoscope
US11889986B2 (en) 2010-12-09 2024-02-06 Endochoice, Inc. Flexible electronic circuit board for a multi-camera endoscope
US10517464B2 (en) 2011-02-07 2019-12-31 Endochoice, Inc. Multi-element cover for a multi-camera endoscope
US9101266B2 (en) 2011-02-07 2015-08-11 Endochoice Innovation Center Ltd. Multi-element cover for a multi-camera endoscope
EP2604175B1 (en) 2011-12-13 2019-11-20 EndoChoice Innovation Center Ltd. Removable tip endoscope
CN102551846B (zh) * 2012-01-18 2014-02-12 南京微创医学科技有限公司 内窥镜下使用一次性远程注射针
AU2012369170A1 (en) * 2012-02-10 2014-07-24 Dolor Technologies, L.L.C. Systems and apparatus for facilitating intranasal treatment of a patient
US9560954B2 (en) 2012-07-24 2017-02-07 Endochoice, Inc. Connector for use with endoscope
US9636003B2 (en) 2013-06-28 2017-05-02 Endochoice, Inc. Multi-jet distributor for an endoscope
US9993142B2 (en) 2013-03-28 2018-06-12 Endochoice, Inc. Fluid distribution device for a multiple viewing elements endoscope
US10595714B2 (en) 2013-03-28 2020-03-24 Endochoice, Inc. Multi-jet controller for an endoscope
US9986899B2 (en) 2013-03-28 2018-06-05 Endochoice, Inc. Manifold for a multiple viewing elements endoscope
US9667935B2 (en) 2013-05-07 2017-05-30 Endochoice, Inc. White balance enclosure for use with a multi-viewing elements endoscope
US10499794B2 (en) 2013-05-09 2019-12-10 Endochoice, Inc. Operational interface in a multi-viewing element endoscope
US9949623B2 (en) 2013-05-17 2018-04-24 Endochoice, Inc. Endoscope control unit with braking system
US10064541B2 (en) 2013-08-12 2018-09-04 Endochoice, Inc. Endoscope connector cover detection and warning system
US9943218B2 (en) 2013-10-01 2018-04-17 Endochoice, Inc. Endoscope having a supply cable attached thereto
US9968242B2 (en) 2013-12-18 2018-05-15 Endochoice, Inc. Suction control unit for an endoscope having two working channels
WO2015112747A2 (en) 2014-01-22 2015-07-30 Endochoice, Inc. Image capture and video processing systems and methods for multiple viewing element endoscopes
US11234581B2 (en) 2014-05-02 2022-02-01 Endochoice, Inc. Elevator for directing medical tool
CN106659368B (zh) 2014-07-21 2020-04-17 恩多巧爱思股份有限公司 多焦、多相机内窥镜系统
CN106687024B (zh) 2014-08-29 2020-10-09 恩多巧爱思股份有限公司 改变内窥镜插入管的刚度的系统和方法
US20170266391A1 (en) * 2014-09-22 2017-09-21 Kaneka Corporation Injection needle device for endoscope
US10123684B2 (en) 2014-12-18 2018-11-13 Endochoice, Inc. System and method for processing video images generated by a multiple viewing elements endoscope
WO2016112034A2 (en) 2015-01-05 2016-07-14 Endochoice, Inc. Tubed manifold of a multiple viewing elements endoscope
US10376181B2 (en) 2015-02-17 2019-08-13 Endochoice, Inc. System for detecting the location of an endoscopic device during a medical procedure
US10078207B2 (en) 2015-03-18 2018-09-18 Endochoice, Inc. Systems and methods for image magnification using relative movement between an image sensor and a lens assembly
US10401611B2 (en) 2015-04-27 2019-09-03 Endochoice, Inc. Endoscope with integrated measurement of distance to objects of interest
WO2016187124A1 (en) 2015-05-17 2016-11-24 Endochoice, Inc. Endoscopic image enhancement using contrast limited adaptive histogram equalization (clahe) implemented in a processor
JP6985262B2 (ja) 2015-10-28 2021-12-22 エンドチョイス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Endochoice, Inc. 患者の体内における内視鏡の位置を追跡するための装置及び方法
AU2016361331B2 (en) 2015-11-24 2021-10-28 Endochoice, Inc. Disposable air/water and suction valves for an endoscope
EP3419497B1 (en) 2016-02-24 2022-06-01 Endochoice, Inc. Circuit board assembly for a multiple viewing element endoscope using cmos sensors
WO2017160792A1 (en) 2016-03-14 2017-09-21 Endochoice, Inc. System and method for guiding and tracking a region of interest using an endoscope
CN109310408B (zh) 2016-06-21 2021-11-23 安多卓思公司 具有与不同的视频数据信号源连接的多个连接接口的内窥镜系统
CN107837099A (zh) * 2016-09-18 2018-03-27 成都测迪森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按压式植发器
JP2020185037A (ja) * 2019-05-10 2020-11-19 株式会社Lake・E2 内視鏡用注射具
KR102422131B1 (ko) * 2021-09-15 2022-07-15 김창보 니들부 연결방식이 개선된 내시경용 주사기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245101A (ja) * 1992-03-04 1993-09-24 Asahi Optical Co Ltd 内視鏡用注射具
WO2002036179A2 (en) * 2000-11-06 2002-05-10 Medamicus, Inc. Safety introducer apparatus and method therefor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7126201A (en) 1981-01-26 1982-08-05 Toyo Electric Mfg Co Ltd Controlling device for electric motor vehicle
JPS6334699Y2 (ko) 1981-02-02 1988-09-14
JPH0681544A (ja) 1992-09-02 1994-03-22 Tateyama Alum Ind Co Ltd 立体模様を現出した建具用枠材
JP2565812Y2 (ja) * 1993-05-07 1998-03-25 オリンパス光学工業株式会社 内視鏡用注射針
US5964740A (en) * 1996-07-09 1999-10-12 Asahi Kogaku Kogyo Kabushiki Kaisha Treatment accessory for an endoscope
JPH1085331A (ja) * 1996-07-26 1998-04-07 Asahi Optical Co Ltd 内視鏡用注射具
JP4493126B2 (ja) * 1999-08-20 2010-06-30 オリンパス株式会社 内視鏡用注射針
EP1386633A1 (en) 2002-08-02 2004-02-04 Sergio Restelli Safety catheter
CN2629727Y (zh) * 2003-06-18 2004-08-04 无锡市宇寿医疗器械有限公司 一次性使用自毁注射器
JP4981339B2 (ja) * 2006-03-29 2012-07-18 Hoya株式会社 内視鏡用注射具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245101A (ja) * 1992-03-04 1993-09-24 Asahi Optical Co Ltd 内視鏡用注射具
WO2002036179A2 (en) * 2000-11-06 2002-05-10 Medamicus, Inc. Safety introducer apparatus and method theref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8087971A1 (ja) 2008-07-24
KR20090104818A (ko) 2009-10-06
US8262558B2 (en) 2012-09-11
JP2008173313A (ja) 2008-07-31
CN101583389B (zh) 2012-12-05
US20100010295A1 (en) 2010-01-14
CN101583389A (zh) 2009-11-18
EP2106814A4 (en) 2010-03-03
JP5086648B2 (ja) 2012-11-28
EP2106814B1 (en) 2016-09-28
EP2106814A1 (en) 2009-10-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75409B1 (ko) 처치구
JP4481880B2 (ja) ステント留置装置
JP4700384B2 (ja) 医療用結紮縫合装置及び医療用結紮縫合システム
JP5164769B2 (ja) 縫合器
EP2213246B1 (en) Expandable needle suture apparatus and associated handle assembly
JP4669090B2 (ja) 処置具
EP2946732B1 (en) Tissue sampling device
CN112969418B (zh) 夹具单元及内窥镜夹具
EP1884207B1 (en) Medical suture ligation device
US10973501B2 (en) Endoscopic treatment tool and handle
CN109310857A (zh) 插管装置
JP6382444B2 (ja) 内視鏡用注射針
US20160324536A1 (en) Medical treatment instrument
JP5188253B2 (ja) 留置カテーテルの抜去補助具
WO2017073454A1 (ja) 医療用拡張器具
CN110520060B (zh) 线固定器具
JP2006174935A (ja) 内視鏡用穿刺針
EP3000402B1 (en) Puncture treatment instrument for endoscope
JP2006304994A (ja) ステント留置装置
JP5859612B2 (ja) 臓器固定具用挿入補助具
CN112040895A (zh) 处置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2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1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04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