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74768B1 - 텐트용 알루미늄 보온재 - Google Patents

텐트용 알루미늄 보온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74768B1
KR101374768B1 KR1020130127913A KR20130127913A KR101374768B1 KR 101374768 B1 KR101374768 B1 KR 101374768B1 KR 1020130127913 A KR1020130127913 A KR 1020130127913A KR 20130127913 A KR20130127913 A KR 20130127913A KR 101374768 B1 KR101374768 B1 KR 10137476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m
tent
valve
layer
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279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송준호
Original Assignee
송준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송준호 filed Critical 송준호
Priority to KR10201301279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7476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747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7476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00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02Tents combined or specially associated with other devices
    • E04H15/10Heating, lighting or ventilating
    • E04H15/12Hea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5/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 B32B15/2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comprising aluminium or copper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00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32Parts, components, construction details, accessories, interior equipment, specially adapted for tents, e.g. guy-line equipment, skirts, thresholds
    • E04H15/54Covers of tents or canopies

Abstract

본 발명은 텐트 설치 장소에서 공기를 주입하여 텐트 내측면에 설치하여 우수한 단열 효과를 얻을 수 있으며, 알루미늄 포일을 포함하는 다겹 필름층으로 이루어져 외력에 의한 손상이 거의 없고, 얇은 두께로도 단열 효과가 매우 우수한 텐트용 알루미늄 보온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텐트용 알루미늄 보온재는, 알루미늄 포일(foil)과, 상기 알루미늄 포일의 외측면과 내측면에 각각 적층된 적어도 1개 이상의 수지 재질의 수지 필름층으로 이루어져, 가장자리 부분이 서로 접합된 2장의 보온필름재와; 상기 2장의 보온필름재 사이에 공기가 주입되어 형성되는 공기층과; 상기 2장의 보온필름재 중 어느 하나 또는 2장의 보온필름재가 접합된 부분에 설치되며, 일단부가 2장의 보온필름재 사이의 공간과 연통되게 형성되어 보온필름재 사이로의 공기 주입을 허용하거나 폐쇄하는 밸브 및; 상기 보온필름재를 텐트에 착탈 가능하게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텐트용 알루미늄 보온재{luminium Heat Insulatior for Tent}
본 발명은 텐트용 보온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알루미늄 포일(foil)과 복수의 수지 필름, 섬유보강 필름 등을 겹쳐서 제작한 2겹의 보온필름 사이에 공기를 주입한 구조로 이루어져, 텐트의 내측면에 착탈이 가능하게 설치되어 보온 기능을 하는 텐트용 알루미늄 보온재에 관한 것이다.
텐트는 유목민에게 일상적인 주거용으로 사용되거나, 군사, 탐험, 야영 등에는 일시적으로 거주할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하는 것이며, 이에 따라 신속하게 설치함과 더불어 철거할 수 있는 구조로 되어 있다.
이러한 텐트는 대부분 부속품을 상호 조립함으로써 일정한 형태를 유지하게 되는데, 텐트의 몸체에 해당하는 텐트 천과, 텐트의 골격에 해당하는 텐트 지지수단 등의 상호조립에 의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텐트의 조립방법은 일정한 길이와 형태의 텐트 지지수단과, 텐트 천에 소정의 간격으로 다수 형성된 체결구를 상호 결합하여 텐트지지수단의 형상에 의해 내부에 공간부가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텐트의 형태를 이루게 된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의 텐트는 천막과 골조의 단순한 구조로 구성되고, 상기 천막은 골조의 외측에 설치되기 때문에 추운 날씨나 온도가 급격히 저하되는 밤시간대에는 텐트 내부의 온도가 저하되어 사용이 적합하지 못한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텐트의 천 자체에 공기층을 형성하여 단열성을 갖게 하거나, 텐트의 내측면 또는 외측면에 단열성 수지가 구비된 보온재를 부착하여 텐트 내부를 보온하는 방법이 개발되었다.
하지만 텐트의 천 자체를 공기층이 구비된 재질로 하여 보온을 하는 방식은 텐트의 제조비용을 대폭 상승시켜 거의 실용성이 없으므로 상용화되기 어려운 문제가 있다.
또한 텐트의 내측면에 단열성 수지가 포함된 보온재를 텐트에 부착시키는 방식(예를 들어 국내 등록실용신안 제0437565호의 텐트 단열덮개)은 보온재 자체의 무게로 인하여 텐트의 안정성이 저하되고, 보온재 자체의 부피가 커서 휴대가 어려운 문제가 있다.
이외에도 2장의 폴리에틸렌(Polyethylene) 필름을 포개어 그 사이에 다수의 공기층을 형성하는 방식(예를 들어 국내 공개특허 제2013-0091704호의 에어캡 텐트)은 가볍고 설치가 용이한 이점이 있지만, 공기의 주입 및 배출이 불가능하여 부피가 커서 휴대가 매우 어렵고, 홑겹 또는 다겹의 수지 필름층으로만 이루어져 외부 물체에 의해 쉽게 손상되는 문제가 있다.
1.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0437565호(등록일자 2007년12월04일) "텐트 단열덮개" 2.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0944374호(등록일자 2010년02월18일) "휴대가 용이한 보온 단열 텐트" 3.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13-0091704호(공개일자 2013년08월19일) "에어캡 텐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텐트 설치 장소에서 공기를 주입하여 텐트 내측면에 설치하여 우수한 단열 효과를 얻을 수 있으며, 알루미늄 포일을 포함하는 다겹 필름층으로 이루어져 외력에 의한 손상이 거의 없고, 얇은 두께로도 단열 효과가 매우 우수한 텐트용 알루미늄 보온재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텐트에 설치되는 텐트용 보온재에 있어서, 알루미늄 포일(foil)과, 상기 알루미늄 포일의 외측면과 내측면에 각각 적층된 적어도 1개 이상의 수지 재질의 수지 필름층으로 이루어져, 가장자리 부분이 서로 접합된 2장의 보온필름재와; 상기 2장의 보온필름재 사이에 공기가 주입되어 형성되는 공기층과; 상기 2장의 보온필름재 중 어느 하나 또는 2장의 보온필름재가 접합된 부분에 설치되며, 일단부가 2장의 보온필름재 사이의 공간과 연통되게 형성되어 보온필름재 사이로의 공기 주입을 허용하거나 폐쇄하는 밸브 및; 상기 보온필름재를 텐트에 착탈 가능하게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텐트용 알루미늄 보온재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보온재는 알루미늄 포일을 구비한 보온필름재와, 이 보온필름재 사이에 주입되는 공기층으로 이루어져 있으므로 우수한 강도와 내구성을 제공할 수 있으며, 단열 성능 또한 매우 우수한 이점을 갖고 있다. 특히 보온필름재가 알루미늄 포일을 포함하여 구성되므로 기존의 보온재에 비하여 열반사에 의한 단열 효과가 매우 높은 이점이 있다.
또한 보온필름재 사이에 주입되는 공기층으로 인한 부피 단열 효과를 제공하여 단열 성능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보온필름재 내측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여 보온필름재의 부피를 대폭 축소하고, 원하는 형태로 접을 수 있다. 따라서 휴대성 및 보관 편이성이 대폭 향상되는 효과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텐트용 알루미늄 보온재가 텐트에 설치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텐트용 알루미늄 보온재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텐트용 알루미늄 보온재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텐트용 알루미늄 보온재의 요부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텐트용 알루미늄 보온재를 구성하는 보온필름재의 각 필름층을 분리하여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의 보온필름재를 구성하는 섬유보강층을 확대하여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7a는 본 발명에 따른 텐트용 알루미늄 보온재의 밸브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요부 사시도이다.
도 7b는 도 7a의 밸브의 단면도이다.
도 8a는 본 발명에 따른 텐트용 알루미늄 보온재의 밸브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요부 사시도이다.
도 8b는 도 8a의 밸브의 작동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텐트용 알루미늄 보온재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텐트용 알루미늄 보온재를 나타낸 것으로, 먼저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텐트용 알루미늄 보온재(1)는 텐트(T)의 내측면에 착탈 가능하게 고정되어 단열 작용을 한다.
도 2 내지 도 5에 도시된 것과 같이, 본 발명의 보온재(1)는 알루미늄 포일(foil)(14)과, 상기 알루미늄 포일의 외측면과 내측면에 각각 적층된 적어도 1개 이상의 수지 재질의 수지 필름층으로 이루어져, 가장자리 부분이 서로 접합된 2장의 보온필름재(10)와; 상기 2장의 보온필름재(10) 사이에 공기가 주입되어 형성되는 공기층(20)과; 상기 2장의 보온필름재(10) 중 어느 하나 또는 2장의 보온필름재(10)가 접합된 부분에 설치되며, 일단부가 2장의 보온필름재(10) 사이의 공간과 연통되게 형성되어 보온필름재(10) 사이로의 공기 주입을 허용하거나 폐쇄하는 밸브(30) 및; 상기 보온필름재(10)를 텐트에 착탈 가능하게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수단을 포함한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2장의 보온필름재(10)는 동일한 소재, 즉 동일한 수지 필름들이 적층되어 구성될 수 있지만, 이와 다르게 서로 다른 소재의 수지 필름층들이 적층되어 구성될 수도 있을 것이다. 상기 보온필름재(10)는 알루미늄 포일(14)을 구비하며, 우수한 강도와 단열 성능을 제공한다. 상기 2장의 보온필름재(10)는 모든 가장자리 부분이 서로 접합될 수도 있지만, 이와 다르게 양측 가장자리만 접합되고, 다른 2 가장자리에는 동일 또는 유사한 재질로 된 다른 보온필름재가 접합되어 차폐될 수 있다.
상기 2장의 보온필름재(10)는 도 2에 도시된 것과 같은 격자 형태로 접합되거나, 도 3에 도시된 것과 같이 일방향으로 서로 접합되면서 보온필름재(10) 사이의 공간이 복수개의 공간으로 구획되어, 밸브(30)를 통해 보온필름재(10) 사이에 공기를 주입했을 때 공기층(20)이 격자 형태 또는 일자형 줄무늬 형태로 볼록하게 형성된다. 상기 보온필름재(10)의 격자 형태 또는 일자형 줄무늬 형태로 구획된 부분들은 서로 연통되게 형성되어 각각의 부분들을 통해서 공기가 유동할 수 있게 되어 있다.
한편 전술한 것처럼 상기 보온필름재(10)는 알루미늄 포일(14)에 여러 장의 수지 필름층이 적층된 구조를 갖는데, 이 실시예에서 상기 보온필름재(10)는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저밀도 폴리에틸렌(LDPE: Low Density Polyethylene) 소재로 된 내면필름층(11)과, 다수의 섬유가 교차하여 직조된 섬유보강층(12)과, 저밀도 폴리에틸렌(LDPE: Low Density Polyethylene) 소재로 된 보강필름층(13)과, 알루미늄 포일(fiol)(14)과, 합성수지 소재로 된 기능성 필름층(15)과, 저밀도 폴리에틸렌(LDPE) 또는 선형저밀도 폴리에틸렌(LLDPE: Linear Low Density Polyethylene) 소재로 된 외면필름층(16)이 순차적으로 적층되어 구성된다. 즉, 알루미늄 포일(14)을 기준으로 양측 각각에 내면필름층(11)-섬유보강층(12)-보강필름층(13)으로 이루어진 수지 필름층과, 기능성 필름층(15)-외면필름층(16)으로 이루어진 수지 필름층이 적층된 구조로 되어 있다.
상기 내면필름층(11)과 섬유보강층(12), 보강필름층(13), 알루미늄 포일(14), 기능성 필름층(15), 외면필름층(16)들은 접착제에 의해 상호 접합되어 일체화된다.
상기 섬유보강층(12)(Reinforced Fabric Film)은 직포(織布)라고도 하는데, 도 6에 도시한 것과 같이 본 발명의 섬유보강층(12)은 각각의 섬유(12a)들의 교차부분이 핫멜트(hot melt) 공정 등을 통해 서로 융착되어 접합된 구조를 갖는다. 이와 같이 섬유보강층(12)의 섬유들이 서로 고정된 구조를 갖게 되면, 보온필름재(10)에 굽힘이 발생하더라도 각각의 섬유들이 떨어지지 않고 서로 결합된 상태를 유지하므로 섬유 간의 마찰에 의한 절단이나 손상 등이 발생하지 않게 되며, 보온필름재(10)의 유연성 및 인장, 인열 강도가 향상되어 꺽임 방지에 유리한 이점을 얻을 수 있다. 특히 보온재(10)를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보온재(10) 내측의 공기를 빼고 보온재(10)를 접거나 말아서 보관하게 되는데, 이 때 섬유보강층(12)의 섬유(12a)들이 떨어져 있으면 접힘 부분에서 섬유들의 마찰로 인해 보온필름재(10)가 손상될 수 있지만 전술한 것처럼 섬유(12a)의 교차 부분이 서로 접합되면 이러한 문제가 거의 완전히 해결되므로 보온재의 사용 수명을 대폭 연장시킬 수 있다.
물론, 상기 섬유보강층(12)은 각각의 섬유(12a)들의 교차 부분을 융착하기 위해서는 다른 수지 필름층의 용융 온도보다 높은 열이 필요하기 때문에 섬유(12a)의 융착 공정은 섬유보강층(12)과 다른 수지 필름층의 접합 공정 이전에 수행된다.
상기 내면필름층(11)과 보강필름층(13)(LDPE)은 섬유보강층(12)을 감싸면서 섬유보강층(12)의 강도 및 신도를 증대시키고, 섬유보강층(12)의 표면층과 균형을 이루며 강한 접착력을 갖는다.
상기 알루미늄 포일(14)은 빛 반사와 열 반사율이 좋은 특성이 있으며, 복사열이 빠져나가지 못하게 하여 우수한 보온 기능을 제공한다.
상기 기능성 필름층(15)은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 : Polyethylene terephthlate) 소재로 되어 알루미늄 포일(14)의 평활성을 유지시키며 열 안정성 및 치수 안정성을 제공하는 기능을 한다. 상기 기능성 필름층(15)을 구성하는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 수지는 투명성이 높고, 표면이 평활하며 광택성이 우수함과 더불어 인장강도가 강하여 기계적인 힘 또는 열에 의한 치수 변화가 매우 적은 특성이 있다.
상기 외면필름층(16)은 저밀도 폴리에틸렌(LDPE) 또는 선형저밀도 폴리에틸렌(LLDPE) 수지로 만들어져, 상기 PET 수지로 된 기능성 필름층(15)에 접합된다. 상기 외면필름층(16)이 선형저밀도 폴리에틸렌(LLDPE) 수지로 만들어지는 것이 바람직한데, 선형저밀도 폴리에틸렌(LLDPE) 수지는 저밀도 폴리에틸렌(LDPE)와 비교하여 인장강도, 인장신도율, 강성 등이 더 우수하기 때문에 보온필름재(10)에 공기를 주입하거나 공기를 배출하는 과정에서 보온필름재(10)의 꺽임 발생을 방지할 수 있고, 이에 따라 보온필름재(10)의 꺽임으로 인한 크랙 발생 또는 손상을 최소화하여 수명을 증대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상기 밸브(30)는 양단부가 개방되어 내측 단부가 보온필름재(10) 사이 공간으로 연통되고 외측단부가 외부로 노출되게 배치된 원통형의 밸브몸체(31)와, 상기 밸브몸체(31)의 내측단부에 자유롭게 선회 가능하게 설치되어 내측단부를 개폐하는 보조 개폐판(32)과, 상기 밸브몸체(31)의 외측단부에 선회 가능하게 설치되어 사용자에 의해 선회하면서 밸브몸체(31)의 외측단부 내측으로 압입되면서 밸브몸체(31)를 폐쇄하는 밸브캡(33)을 포함한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외에도 공지의 다양한 밸브를 적용하여 보온필름재(10) 사이의 공간을 개방 및 폐쇄하여 공기의 주입 및 배출 작동을 수행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예를 들어 도 8a 및 도 8b에 밸브(30)의 다른 실시예로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밸브(30)는 서로 포개어진 상태로 양단부를 제외한 테두리 부분이 접합된 2장의 저밀도 폴리에틸렌(LDPE) 또는 선형저밀도 폴리에틸렌(LLDPE: Linear Low Density Polyethylene) 소재의 밸브필름(35)과, 상기 밸브필름(35)의 내측에 인쇄된 내열성 잉크층(36)으로 구성되어, 상기 밸브필름(35)이 상기 2장의 보온필름재(10)가 접합되는 가장자리 부분에 보온필름재(10)와 함께 접합되며, 일부분은 외부로 노출되고 나머지 부분은 보온필름재(10) 내측 공간으로 삽입되게 설치된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밸브(30)의 밸브필름(35)은 저밀도 폴리에틸렌(LDPE) 또는 선형저밀도 폴리에틸렌(LLDPE: Linear Low Density Polyethylene) 소재로 되어 있기 때문에 밸브(30)를 2장의 보온필름재(10) 사이에 두고 열융착시키면 별도의 접착제없이 밸브필름(35)이 보온필름재(10)에 융착되어 접합된다. 그러나, 상기 내열성 잉크층(36)은 열에 의해 서로 융착되지 않으므로 내열성 잉크층(36) 사이의 공간은 개방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상기 밸브(30)의 내측부, 즉 보온필름재(10)의 내측 공간으로 삽입된 부분은 외부로 빠져나가려고 하는 공기압에 의해 찌그러지거나 휘어지면서 사이 공간이 폐쇄되고, 밸브(30) 사이 공간을 외부에서 강제로 벌리지 않는 한 보온필름재(10) 내측의 공기가 밸브(30) 외측으로 빠져나가는 현상은 거의 발생하지 않게 된다.
상기 밸브(30)를 통해 보온필름재(10) 사이 공간에 공기를 주입하고자 할 경우에는 사용자가 외부로 노출되어 있는 밸브(30) 끝단을 벌리고 그 사이에 스트로(straw) 또는 공기주입기의 노즐 등을 삽입하여 공기를 주입하면 된다. 그리고, 밸브(30)를 통해 공기를 배출할 때에는 사용자가 외부로 노출되어 있는 밸브(30) 끝단을 손으로 벌리거나 별도의 도구(예를 들어 스트로) 등을 꼽고 보온재(1)를 눌러 공기를 배출하면 된다.
한편, 상기 고정수단은 보온재가 텐트의 내측면에 연접된 상태로 유지되도록 보온재를 텐트에 고정시키는 수단으로서, 예를 들어 보온재의 각 모서리 부분에 설치되어 텐트 내측 구조물에 묶이는 복수개의 끈이나 벨크로 테이프, 클램프, 후크 등을 이용하여 구성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보온재(1)는 텐트 설치 후 밸브(30)를 통해 공기를 주입하여 2장의 보온필름재(10) 사이에 공기층(20)을 형성하여 보온재(1)를 팽창시킨 다음, 밸브(30)를 폐쇄하고, 고정수단을 이용하여 보온재(1)를 텐트(T)의 내측면에 고정시킨다. 이 때, 상기 보온재(1)는 공기층(20)이 형성된 얇고 유연한 필름재로 되어 있기 때문에 텐트(T)가 곡면 형태로 이루어지더라도 텐트(T)의 형상과 대응하는 형상으로 휘어지면서 텐트(T)의 내측면과 연접하여 고정될 수 있다. 따라서, 보온재(1) 설치로 인하여 텐트(T) 내부 공간이 축소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보온재(1)는 알루미늄 포일(14)을 구비한 보온필름재(10)로 이루어져 있으므로 우수한 강도와 내구성을 제공할 수 있으며, 단열 성능 또한 매우 우수한 이점을 가지고 있다. 즉, 보온필름재(10)가 알루미늄 포일(14)을 포함하여 구성되므로 기존의 보온재에 비하여 열반사에 의한 단열 효과가 매우 높은 이점이 있다.
또한 보온필름재(10) 사이에 주입되는 공기층(20)으로 인한 부피 단열 효과가 부가되므로 단열 성능이 더욱 향상되는 이점이 있다. 즉, 상기 공기층(20)에 의해 보온재(1)가 팽창하여 부피가 커지게 되어 텐트 내부와 텐트 외부 간의 열전달을 최소화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실시예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에서 설명된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부가 및 변형이 가능할 것임은 당연하며, 이와 같은 변형된 실시 형태들 역시 아래에 첨부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정하여지는 본 발명의 보호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1 : 보온재 10 : 보온필름재
11 : 내면필름층 12 : 섬유보강층
13 : 보강필름층 14 : 알루미늄 포일
15 : 기능성 필름층 16 : 외면필름층
20 : 공기층 30 : 밸브
31 : 밸브몸체 32 : 보조 개폐판
33 : 밸브캡 T : 텐트

Claims (7)

  1. 텐트에 설치되는 텐트용 보온재에 있어서,
    알루미늄 포일(foil)(14)과, 상기 알루미늄 포일의 외측면과 내측면에 각각 적층된 적어도 1개 이상의 수지 재질의 수지 필름층으로 이루어져, 가장자리 부분이 서로 접합된 2장의 보온필름재(10)와;
    상기 2장의 보온필름재(10) 사이에 공기가 주입되어 형성되는 공기층(20)과;
    상기 2장의 보온필름재(10) 중 어느 하나 또는 2장의 보온필름재(10)가 접합된 부분에 설치되며, 일단부가 2장의 보온필름재(10) 사이의 공간과 연통되게 형성되어 보온필름재(10) 사이로의 공기 주입을 허용하거나 폐쇄하는 밸브(30) 및;
    상기 보온필름재(10)를 텐트에 착탈 가능하게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보온필름재(10)의 수지 필름층 사이, 또는 알루미늄 포일(14)과 수지 필름층 사이에 다수의 섬유가 교차하여 직조된 섬유보강층(12)이 적층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텐트용 알루미늄 보온재.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온필름재(10)는 저밀도 폴리에틸렌(LDPE: Low Density Polyethylene) 소재로 된 내면필름층(11)과, 다수의 섬유가 교차하여 직조된 섬유보강층(12)과, 저밀도 폴리에틸렌(LDPE: Low Density Polyethylene) 소재로 된 보강필름층(13)과, 상기 알루미늄 포일(fiol)(14)과, 합성수지 소재로 된 기능성 필름층(15)과, 저밀도 폴리에틸렌(LDPE) 또는 선형저밀도 폴리에틸렌(LLDPE: Linear Low Density Polyethylene) 소재로 된 외면필름층(16)이 순차적으로 적층되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텐트용 알루미늄 보온재.
  4.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섬유보강층(12)은 각각의 섬유(12a)들의 교차부분이 서로 융착되어 접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텐트용 알루미늄 보온재.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2장의 보온필름재(10)는 격자 형태 또는 일방향으로 서로 접합되면서 보온필름재(10) 사이의 공간이 복수개의 공간으로 구획되어, 밸브(30)를 통해 보온필름재(10) 사이에 공기를 주입했을 때 공기층(20)이 격자 형태 또는 일자형 줄무늬 형태로 볼록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텐트용 알루미늄 보온재.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30)는 양단부가 개방되어 내측 단부가 보온필름재(10) 사이 공간으로 연통되고 외측단부가 외부로 노출되게 배치된 원통형의 밸브몸체(31)와, 상기 밸브몸체(31)의 내측단부에 자유롭게 선회 가능하게 설치되어 내측단부를 개폐하는 보조 개폐판(32)과, 상기 밸브몸체(31)의 외측단부에 선회 가능하게 설치되어 사용자에 의해 선회하면서 밸브몸체(31)의 외측단부 내측으로 압입되면서 밸브몸체(31)를 폐쇄하는 밸브캡(33)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텐트용 알루미늄 보온재.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30)는 서로 포개어진 상태로 양단부를 제외한 테두리 부분이 접합된 2장의 저밀도 폴리에틸렌(LDPE) 또는 선형저밀도 폴리에틸렌(LLDPE: Linear Low Density Polyethylene) 소재의 밸브필름(35)과, 상기 밸브필름(35)의 내측에 인쇄된 내열성 잉크층(36)으로 구성되어, 상기 밸브필름(35)이 상기 2장의 보온필름재(10)가 접합되는 가장자리 부분에 보온필름재(10)와 함께 접합되어 고정되며, 밸브(30)의 일부분은 외부로 노출되고 나머지 부분은 보온필름재(10) 내측 공간으로 삽입되어 공기압에 의해 찌그러지거나 변형되면서 사이 공간이 폐쇄되어 공기 누출이 방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텐트용 알루미늄 보온재.
KR1020130127913A 2013-10-25 2013-10-25 텐트용 알루미늄 보온재 KR10137476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27913A KR101374768B1 (ko) 2013-10-25 2013-10-25 텐트용 알루미늄 보온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27913A KR101374768B1 (ko) 2013-10-25 2013-10-25 텐트용 알루미늄 보온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74768B1 true KR101374768B1 (ko) 2014-03-17

Family

ID=506488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27913A KR101374768B1 (ko) 2013-10-25 2013-10-25 텐트용 알루미늄 보온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7476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34096A (ko) * 2020-04-29 2021-11-09 정봉균 텐트 원단의 제조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337437A (ja) * 2004-05-28 2005-12-08 Nakajima Corporation:Kk 空気注入弁用保護カバー
KR100678718B1 (ko) * 2006-10-18 2007-02-02 강창희 단열 보온재
KR101137505B1 (ko) * 2010-07-08 2012-04-20 주식회사 에스앤피 건축용 복합 단열재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337437A (ja) * 2004-05-28 2005-12-08 Nakajima Corporation:Kk 空気注入弁用保護カバー
KR100678718B1 (ko) * 2006-10-18 2007-02-02 강창희 단열 보온재
KR101137505B1 (ko) * 2010-07-08 2012-04-20 주식회사 에스앤피 건축용 복합 단열재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34096A (ko) * 2020-04-29 2021-11-09 정봉균 텐트 원단의 제조방법
KR102337897B1 (ko) 2020-04-29 2021-12-09 정봉균 텐트 원단의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85950Y1 (ko) 단열 보온판 및 그 보온판을 응용하는 보온박스, 벽면 또는 바닥 패널
ES2545269T3 (es) Procedimiento para fabricar un objeto de una estructura sándwich que tiene una esquina reforzada, y un objeto de este tipo
US8601760B2 (en) Fire barrier
WO2003010459A1 (en) Spiral hose using polyethylene
JP6868550B2 (ja) 巻き付け可能な耐摩耗性の反射熱保護織物スリーブおよびその構築方法
US8141594B2 (en) Pipe insulation products and methods
JP5476508B2 (ja) 液化天然ガス貨物倉の防壁構造及び防壁シート
JP2017141053A (ja) 折り畳み式保冷保温箱
KR101374768B1 (ko) 텐트용 알루미늄 보온재
KR20150099554A (ko) 단열 패널
JP2007056903A (ja) 断熱材及びその断熱材を用いた断熱構造体
JP6810377B2 (ja) 折り畳み式保冷保温箱、組み立て式保冷保温箱
US20140193602A1 (en) Precompressed Sealing Tape
KR101558953B1 (ko) 단열성이 개선된 반사형 단열재
JP7379106B2 (ja) シート定着構造
JP3025235U (ja) 圧縮保存袋の弁構造
JP4598667B2 (ja) 配管表面カバー、仮設用配管および仮設用配管の施工方法
JP5278767B2 (ja) 帯電防止性シートシャッタ用接合シート
FI69987B (fi) Konstruktionsmaterial saerskilt foer kylrum
KR102464981B1 (ko) 아파트 옥상 방수를 위한 메쉬 우레탄 방수시트 및 이를 이용한 도막 일체형 방수공법
KR100824720B1 (ko) 직조층이 내장된 열반사 단열재
KR102440289B1 (ko) 수축 복원 기능을 갖는 복합단열패널
EP1666363A4 (en) SEALING TAPE AND LONGITUDINAL SEALING STRIP IN A PAPER CONTAINER AND PAPER CONTAINER EQUIPPED WITH SAID LONGITUDINAL SEALING STRIP
JP2675748B2 (ja) 柔軟性物品用収納袋
CN218615795U (zh) 一种保温箱的隔热保温板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0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1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309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