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74327B1 - 장수말벌독 추출물을 이용한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장수말벌독 추출물을 이용한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74327B1
KR101374327B1 KR1020120023718A KR20120023718A KR101374327B1 KR 101374327 B1 KR101374327 B1 KR 101374327B1 KR 1020120023718 A KR1020120023718 A KR 1020120023718A KR 20120023718 A KR20120023718 A KR 20120023718A KR 101374327 B1 KR101374327 B1 KR 10137432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ample
skin
wasp
test
subje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237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102698A (ko
Inventor
정욱철
Original Assignee
정욱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욱철 filed Critical 정욱철
Priority to KR10201200237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74327B1/ko
Priority to JP2014560835A priority patent/JP5978319B2/ja
Priority to CN201280071251.8A priority patent/CN104379125A/zh
Priority to PCT/KR2012/004197 priority patent/WO2013133482A1/ko
Publication of KR201301026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0269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743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74327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of animal origin
    • A61K8/98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of animal origin of species other than mammals or bir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5/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materials or reaction products thereof with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35/56Materials from animals other than mammals
    • A61K35/63Arthropo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7/00Drugs for dermatological disord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7/00Drugs for dermatological disorders
    • A61P17/10Anti-acne ag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2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for chemically bleaching or whitening the ski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Dermat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Epidemiolog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Bird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Zo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Insects & Arthropods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기능성 화장품 조성물 제조용 장수말벌독 추출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저장용기에 알콜농도 15% ~ 50% 의 에탄올 용액을 넣는 사전 준비과정과;살아 있는 장수말벌 중 일벌만을 상기 에탄올 용액 1리터에 15 ~ 100 마리 비율로 상기 저장용기에 넣고 뚜껑을 밀봉한 후 상기 에탄올 용액에 장수말벌이 빠져 움직임이 둔화되도록 하는 장수말벌 투입과정과; 이를 그늘진 곳에서 실온에서 6개월 이상 바람직하게는 1년 이상 숙성하는 숙성과정과; 숙성된 액체를 분리하는 숙성액 분리과정:을 포함하는 일련의 과정이 연속적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장수말벌독 추출물을 이용한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The composition manufacturing method useing a Vespa mandarina}
본 발명은 장수말벌을 이용한 기능성 화장품 조성물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좀더 상세하게 설명하면 장수말벌의 각종 염증에 대한 효과를 피부보습과 더불어 여드름 치료 등의 항염증 효과를 효과적으로 얻기 위하여 개발된 장수말벌을 이용한 장수말벌독 추출방법 및 이를 이용한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장수말벌은 일반 일벌의 크기가 25~37mm로 우리나라에서 자생하는 말벌류 중에서 가장 대형에 속한 것으로 주로 인적이 드문 곳의 땅을 파고 집을 짓는 성질이 있으며 식물의 수액이나 꿀 등도 먹으로 주로 여름에는 각종 곤충류를 그리고 먹이가 부족한 가을철에는 다른 벌집을 공격하는 경우가 많아 양봉업자에게는 해충으로 인식되는 경우가 많았다.
더욱이 큰 덩치와 강한 턱 그리고 튼튼한 껍질과 함께 일반 꿀벌의 600배에 이르는 강력한 독침으로 사마귀조차 장수말벌의 사냥감이 되기도 하며 일반 벌집을 공략할 경우 한 마리가 수백 마리의 벌을 죽이기에 두렵기까지 한 존재이며, 인간도 예외가 될 수 없이 수회 이상의 독침에 쏘이게 되면 사망에 이르기도 한다.
한편, 최근에 가장 각광받고 있는 분야는 봉독에 대한 연구로 일부에서만 이용하던 봉침의 단계에서 이제는 꿀벌뿐만 아니라 독성이 강한 장수말벌을 포함하는 말벌에 독을 추출하고 이를 중화하여 다양한 질명의 치료에 사용되고 있다.
단백질이 주성분인 이 봉독의 경우 항생제(마이싱)의 천 배에 달하는 항염증 효과를 가지고 있어 관절염의 치료와 같은 기존에 알려졌던 치료뿐만 아니라 여드름, 기미, 잔주름 등의 피부질환의 개선에도 사용되고 있다.
또한, 독의 강도가 꿀벌의 550배에 이르는 말벌의 경우 펩타이드(Peptide)란 물질을 함유하게 되는데 독과 함께 이러한 성분이 심장의 부정맥증에 유효하다는 사실이 밝혀지면서 일본에는 수년 전부터 말벌독 붐을 이루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봉독에 관한 관심이 의료 및 화장품 시장에서 증가함에 따라 정부 또는 회사에서 봉독을 추출하기 위한 장비를 무상으로 공급하고 있는데 이는 벌통을 통과하는 벌에게 전기적 충격을 가하여 봉독을 채집하도록 하고 있으나 이러한 장치는 꿀벌에 한정되는 것으로 그 효율이 매우 적어 몇 달에 걸쳐 추출하여도 불과 5g 남짓의 추출량에 머물고 있다.
이렇게 생산성이 극히 낮으며 벌이 전기충격에 의한 스트레스로 죽는 경우가 많아 양봉농가에서는 사실상 이러한 봉독 채집기의 설치를 꺼려하고 있는 실정이다.
반면에 꿀벌과 비교하면 그 독성이 550배에 이르는 장수말벌의 경우 그 독성이 꿀벌에서 얻을 수 있는 각종 효능을 얻을 수 있는 것으로 바꾸어 말하면 장수말벌 한 마리에서 얻을 수 있는 꿀벌 550마리에서 얻을 수 있는 것과 같다는 이야기이다.
하지만 장수말벌은 원만한 두께의 옷도 소용없을 정도로 침이 길고 위력이 강하여 이를 전문적으로 채취하던 사람에게도 위험한 존재로 일일이 한 마리씩 독을 추출하는 과정에서 위험에 노출될 확률이 높은 단점이 있으며, 반대로 8월부터 먹이감이 모자라면 양봉농가의 벌통에 침입하여 막대한 피해를 미치는 장수말벌을 잡아 이용할 경우 벌꿀의 생산량 증대와 더불어 부가적인 수입을 얻을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되는 것이다.
(특허 문헌 1) 대한민국특허공개 제10-1999-0039050호 (1999년06월05일) (특허 문헌 2) 대한민국특허등록 제10-1018352-0000호 (2011년02월22일)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개발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피부에 흡수가 잘되고 직접적인 자극을 주는 성분이 충분히 중화된 상태에서 피부에 바르도록 하여 피부보습, 항염증 치료, 피부미백에 효과가 있는 장수말벌독 추출방법 및 이를 이용한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을 개발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발명은 저장용기에 알콜농도 15% ~ 50% 의 에탄올 용액을 넣는 사전 준비과정과;살아 있는 장수말벌 중 일벌만을 상기 에탄올 용액 1리터에 15 ~ 100마리 비율로 상기 저장용기에 넣고 뚜껑을 밀봉한 후 상기 에탄올 용액에 장수말벌이 빠져 움직임이 둔화되도록 하는 장수말벌 투입과정과; 이를 그늘진 곳에서 실온에서 6개월 이상 바람직하게는 1년 이상 숙성하는 숙성과정과; 숙성된 액체를 분리하는 숙성액 분리과정:을 포함하는 일련의 과정이 연속적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장수말벌독 추출방법이 제시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의 방법에 의해 추출된 장수말벌독 추출물을 이용한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피부보습 효과와 항염증 효과 및 피부 미백 효과가 우수한 장수말벌을 이용한 액체를 제조하여 이를 단독 또는 다른 물질과 혼합하여 화장품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여 주로 피부치료 및 상태개선에 효과가 있는 기능성 화장품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피부의 생태뿐만 아니라 피부의 색소에 작용하여 미백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된다.
이에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 예를 당업자가 용이하게 이해하고 재현할 수 있도록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저장용기에 알콜농도 15% ~ 50% 의 에탄올 용액을 넣는 사전 준비과정과;살아 있는 장수말벌 중 일벌만을 상기 에탄올 용액 1리터에 15 ~ 100 마리, 바람직하기로는 1리터에 20마리 ~ 80마리 정도의 비율로 상기 저장용기에 넣고 뚜껑을 밀봉한 후 상기 에탄올 용액에 장수말벌이 빠져 움직임이 둔화되도록 하는 장수말벌 투입과정과; 이를 그늘진 곳에서 실온에서 6개월 이상 바람직하게는 1년 이상 숙성하는 숙성과정과; 숙성된 액체를 분리하는 숙성액 분리과정:을 포함한다.
이때 알콜의 도수는 삼투압 현상에 의하여 장수말벌이 함유된 각종 성분이 제한된 시간에 스며나오도록 하고 반대로 알콜 성분은 장수말벌에 스며들어 부패를 방지하고 급속한 숙성이 아닌 느린 숙성이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한 필요조건으로 일반적으로 알콜농도 15% ~ 50% 의 에탄올 용액을 이용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시중에서 쉽게 구할 수 있는 담금주(알콜도수 30도)를 이용하였다.
장수말벌을 투입하는 것은 보통 장수 말벌집을 발견하지 않았을 경우에는 양봉농가에서 침입한 장수말벌을 잠자리채 등을 이용하여 사로잡게 되는 것으로 그 수가 제한적이고 지속적이기 때문에 그때마다 포획하여 넣도록 하는 것이다.
반대로 장수말벌집을 발견하였을 경우에도 살아있는 장수말벌을 한 마리씩 상기 저장용기에 넣고 저장용기의 뚜껑을 닫은 후 술에 장수말벌이 빠져 움직임이 둔화되면 다른 장수말벌을 넣어 같은 과정을 반복하도록 하여 무리하게 한꺼번에 많은 수를 넣다가 침에 쏘이는 것을 방지함이 바람직하다.
이때 살아있는 개체를 투입하는 이유는 죽어있는 말벌의 경우 일반적으로 급속하게 굳어버리는 벌의 독 등으로 인하여 유효한 약효가 적게 나오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원에서는 장수말벌에 한정된 것으로 황말벌, 털보말벌, 꼬마장수말벌, 좀말벌 등의 다른 말벌에서는 본원과 같은 방식으로 봉독을 추출할 때 부작용이 발생하는 경우가 있으므로 화장품의 용도로 사용하는 본원에서는 그 말벌이 섞이는 것을 주의해야한다.
이후 본 발명의 상기 분리된 숙성액을 가열하여 알콜 농도를 줄이는 알콜 분리과정을 포함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숙성과정에서는 빛이 최소화된 어두운 곳이 내용물의 변질을 막는 것이 바람직하며 알콜 분리과정은 발생하는 약간의 냄새와 알콜의 양을 줄이도록 하여 화장품의 재료로 보다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러한 본원의 제시는 기존의 양봉농가에서 장수말벌에 의한 피해가 극심하던 상황에서 본원의 효율과 함께 양봉농가에서는 장수말벌의 채집 및 판매효과 그리고 말벌에 의한 꿀의 수확량 피해를 줄이도록 하여 농가 소득의 증대가 예상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일반적으로 봉독에는 항염증의 효과가 일반 항염제 즉 마이싱의 1000배에 가까운 효과가 있다고 알려져 있으며 이는 피부에 여드름과 기미도 일종의 염증이기에 본원에서 추출된 액을 피부에 바르면 알콜의 증발에 의하여 모공이 열리고 이에 봉독이 피부에 스며들어 각종 여드름과 기미에 탁월한 효과가 있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화장품 등의 외용제는 대개 건강한 정상인들이 일상적으로 장기간 연용하는 제품으로 특정 질환의 치료를 위하여 일정기간 사용되는 의약품과는 다르다는 특성이 있으므로, 의약품의 경우 치료라는 유효성과 이에 따르는 부작용을 동시에 고려하여 가치가 결정되는 반면 화장품은 절대적인 안전성이 확보된 이후에 유효성이 검토되어야 하며, 현재까지 화장품 원료 및 완성된 제품의 안전성을 확보하기 위한 수단으로 인체 피부를 이용한 시험은 필수적으로 수행함이 바람직한 것이다.
이에 본 발명에 따른 추출물에 대한 인체피부 일차자극, 안점막자극성 시험을 수행하여 조성물의 유효성을 입증하고자 하였으며, 인체피부 미백의 효과에 대해 시험을 수행하여 본 발명의 조성물이 인체피부 미백효과가 있음을 발견하였다.
이하의 실험예에서 본발명의 방법에 의해 담금주(알콜도수 30도) 1.8리터에 장수말벌(일벌) 40마리를 투입하여 실온에서 1년간 숙성시킨 장수말벌독 추출물을 가지고 에센스 및 로션으로 화장품을 제조하여 각 시험하였다.
1. [ 장수말벌독 화장품 3종의 인체피부 일차자극 시험 ]
1) 시험 배경
화장품 등의 외용제는 대개 건강한 정상인들이 일상적으로 장기간 연용하는 제품으로 특정 질환의 치료를 위하여 일정기간 사용되는 의약품과는 다르다.의약품의 경우 치료라는 유효성과 이에 따르는 부작용을 동시에 고려하여 가치가 결정되는 반면 화장품은 절대적인 안전성이 확보된 이후에 유효성이 검토되어야 한다.
화장품을 포함한 외용제에 의해 유발될 수 있는 피부반응은 증상 양상에 따라 급성 접촉피부염(Acute Contact Dermatitis), 자극성 접촉피부염(Irritant Contact Dermatitis), 알러지성 접촉피부염(Allergic Contact Dermatitis), 광독성 피부염(Phototoxic Contact Dermatitis), 광알러지성 접촉피부염(Photoallergic Contact Dermatitis), 접촉성 담마진(Contact Urticaria) 및 염증반응의 육안적 소견없이 피부 불쾌감을 유발하는 현상인 주관적 자극감(Sensory Ir itation)과 여드름, 피부변화(Hyper/Hypopigmentation), 국부적 부작용, 전신성 부작용 등으로 나눌 수 있다.
현재까지 화장품 원료 및 완성된 제품의 안전성을 확보하기 위한 수단으로 인체 피부를 이용한 시험 및 동물을 이용한 시험이 보편적으로 수행되어 왔다.
인체 피부를 이용한 시험은 실제 사용 조건에서의 피부자극을 예견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으나 많은 시간의 소요, 시험대상자 간의 개체차이, 시험자의 주관적인 요인이 개입되는 점, 자극이 강한 물질의 경우 시험대상자에게 고통을 주는 점 및 자극수준이 낮은 물질들간을 비교할 때 반복노출이 아닌 일차노출에 의해서는 그 차이가 명확하지 않다는 제한요소 때문에 동물을 이용한 시험이 사람을 이용한 시험 이전 단계로서 수행되어져 왔다.
그러나, 화장품을 개발하는 단계에서의 동물시험은 환경 및 동물 보호차원에서 사회적 비난에 직면하고 있고, 유럽의 ECCD(European Community Cosmetics Directive)의 6차 개정안에서는 이미 1998년부터 원료 및 제품에 대한 동물 시험을 중지하고 적용 가능한 대체 시험법을 단계적으로 적용하기로 결정하였으며, 또한 'EU Cosmetic Direct 7번' 조항에서도 Skin irritation, Phototoxicity, Dermal absorption, Skin corrosivity, Mutagenicity, Eye irritation 등에는 2009년부터 동물금지법을 실행하며 2013년부터는 systemic toxicity부분의 동물실험금지법이 실행된다.
이에 따라 현재까지 in vitro 시험법이 전세계적으로 개발되어 왔으며 이러한 방법을 실제 제품개발에 활용하기 위한 각국 간의 확인 연구가 계속 진행되고 있다.
현재까지는 in vitro 대체시험이나 동물 시험법이 인체 피부의 기작을 정확히 반영할 수 없다는 현실 때문에 인체시험은 필수적으로 수행되어 오고 있다.
2) 시험 목적
본 시험은 원료 및 화장품의 인체피부에 대한 일차자극 유무를 확인하고자 시행하였다.
3) 시험 기관
- 기관명: ㈜더마프로/피부과학연구소
- 주소: 서울시 서초구 방배동 919-1번지
4) 시험 기간
2011년 07월 25일 ~ 2011년 07월 28일
5) 시험 물질
Figure 112012018774431-pat00001
* 장수말벌독화장품 35: 에센스 화장료 조성물 중에 장수말벌독 추출물 35중량%.
* 장수말벌독화장품 50: 에센스 화장료 조성물 중에 장수말벌독 추출물 50중량%.
* 장수말벌독화장품 100: 장수말벌독 추출물 100중량%.
6) 시험 방법
6-1. 시험 대상자
피험자 선정기준 및 제외기준에 부합되는 18세~60세의 남성 또는 여성 30명 이상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각각의 지원자들은 세부적인 사항에 따른다는 서면 동의서에 서명을 하였으며, 숫자로 된 고유 번호를 부여하였다.
6-1-1. 선정 기준
다음 기술된 조건에 부합되는 지원자를 시험 대상군으로 선정한다.
① 18세~60세의 남녀로 피부 질환이 없는 건강한 자
② 시험에 앞서 시험의 목적, 내용 등에 대해 충분히 설명을 듣고 자발적으로 서면 동의서에 서명한 지원자
③ 시험기간 동안 실험에서 요구하는 사항에 잘 협조하고 이상한 증상이 있으면 즉시 연락을 할 의향이 있는 자
④ 시험기간 동안 추적 관찰이 가능한 지원자
6-1-2. 제외 기준
다음 기술된 항목에 해당되는 지원자는 시험 대상군에서 제외한다.
① 임신 중이거나 수유 중 또는 6개월 이내에 임신을 계획하고 있는 여성
② 시험 부위에 문신, 흉터, 화상 등이 있어서 scoring을 방해하는 경우
③ 감염성 피부 질환 또는 기타 시험의 목적에 방해되는 피부질환이 있는 경우
④ 현재 치료중인 약물이 피부반응에 영향을 주는 경우
⑤ 화장품, 의약품 또는 일상적인 광 노출에 자극이 심하거나 알러지가 있는 자
⑥ 아토피성 피부를 가진 자
⑦ 피임제, 항히스타민제, 소염제를 복용하고 있는 자
⑧ 모공각화증 또는 피부 묘기증이 있는 경우
⑨ 첩포용 테이프에 자극이나 알러지가 심한 자
⑩ 동시에 다른 시험에 참여하고 있는 경우
⑪ 이전의 동일 시험에 참여하고 4주 이상 경과하지 않은 경우
⑫ 기타 위의 사항들 외에 임상시험 책임자의 판단으로 임상시험이 곤란하다고 판단되는 경우
6-1-3. 제한 사항
① 피험자는 첩포를 붙이고 있는 동안 시험부위(등)에 물이 닿지 않도록 하였다.
② 신체의 치료를 위한 약을 복용하거나 사용하는 경우 시험 담당자에게 통지 하도록 하였다.
6-1-4. 시험 대상자 수 및 산출 근거
피험자 수는 기능성 화장품 등의 심사에 관한 규정의 독성시험법 7항 (1)인체 첩포 시험방법에 근거하여 30명 이상을 선정하여 시행하였다.
6-1-5. 시험 중지 및 탈락 기준
본 시험과정 중 시험 일정을 준수하지 않는 피험자의 경우는 계속적 참여의사를 물어 중단여부를 결정하였으며, 기타 부작용, 추적관찰 불가능 및 프로토콜을 어기는 일이 발생하였을 때는 시험을 중단토록 하였다.
① 피험자가 임상시험 참여동의를 철회한 경우
② 시험 중 시험물질에 의한 부작용이 심각한 경우
③ 갑작스런 사고나 질환의 병발 현상으로 시험의 진행이 불가능한 경우
④ 기타 시험자의 판단에 의해 시험수행에 지장이 있다고 생각되는 경우
6-2. 시험 재료
IQ chamber: Chemotechnique Diagnostics AB (Sweden) Micropore tape: 3M / Medical-Surgical Division Microman (M250): Gilson, France
Marking pen: Skin marker Slim (Sweden)
6-3. 시험 방법
① 시험 부위는 70% ethanol로 세척한 뒤 건조시켰다.
② 시험물질은 의뢰인이 제공한 그대로 적용하였다.
③ 시험물질은 20㎕를 IQ chamber 내에 적하시킨 후 시험부위인 등 부위에 얹어 micropore tape으로 고정시켰다.
④ 첩포는 48시간 동안 도포하며, 첩포를 제거한 후에는 skin marker로 시험 부위를 표시하고 30분, 24시간 후에 각 시험 부위를 관찰하였다.
6-4. 판정 기준
관찰은 첩포 제거 후 30분, 24시간이 경과하였을 때 이루어지며 피부 반응은 Frosch & Kligman법과 The Cosmetic, Toiletry, and Fragrance Association (CTFA) guideline을 반영한 표 2의 기준에 따라 평가하였다.
Table 2. Recording of patch test reactions
Symbol Grade Clinical Description
+ 1 Slight erythema, either spotty or diffuse
++ 2 Moderate uniform erythema
+++ 3 Intense erythema with edema
++++ 4 Intense erythema with edema & vesicles
Figure 112012018774431-pat00002

6-5. 결과 계산 방법
48시간 및 72시간의 평균 반응도를 비교하였으며, 각 물질에 대한 평균 반응도를 기준으로 하여 그 결과를 판정하였다.
Figure 112012018774431-pat00003

7) 시험 결과
7-1. 시험 대상자
총 31명이 본 시험의 전 과정에 참여하였다.
피험자들의 평균 연령은 40.9 ± 9.5세였으며, 최고 연령자는 53세, 최저 연령자는 20 세였다.
시험 대상자들의 피부 특성은 설문에 의해 조사되었으며, 그 결과는 표 3과 같다.
Figure 112012018774431-pat00004
7-2. 결과
시험물질 #21, #22, #23은 시험기간 동안 4 ~ 7명의 피험자가 1+ grade의 피부 반응을 보였다(표 4).
Figure 112012018774431-pat00005
8) 결론
시험물질 #22는 인체피부 일차자극 측면에서 중자극, 그 외 시험물질(#21, #23)은 경자극 범주의 물질로 판단된다.
또한 발명자는 한국화학융합시험연구원에서도 피부자극성시험(GLP)를 의뢰하여 '식품의약품안전청고시 제2009-116호'의 방법으로 시험한 결과 " 본 시험물질은 홍반, 가피, 부종등을 유발하지 않으며, P.I.I. 지수는 "0.0"으로 비자극성물질(Non irritant)로 판단된다라는 결과는 얻었다.(성적서번호 ; TBH-000407)
2. [ 안점막자극성시험 ( GLP ) ]
발명자는 한국화학융합시험연구원에서 안점막자극성시험(GLP)를 의뢰하여 '식품의약품안전청고시 제2009-116호'의 방법으로 시험한 결과 " 본 시험물질은 결막의 안자극을 유발하였으며 I.A.O.I 지수는 비세척군 및 세척군에서 모두 '0.7'의 지수를 나타내어 '무자극물'로 평가되었다 " 라는 판명을 받았다.(성적서번호 ; TBH-000408)
상기 안점막자극성시험은 화장품은 어떠한 용도로 사용하더라도 손이나 기타 이유에 의하여 눈에 그 성분이 들어갈 확률이 높은 것으로 아무리 피부에 무해하다고 하더라도 눈에 유해한 것이면 그것은 화장품으로서 상당히 위험한 것으로 판단하는 것이 바람직하여 시험을 한 것이다.
3. [ 미백 효능 평가 인체시험 ]
1) 서론
피부색은 성별, 개인차, 연령, 지역, 계절 및 신체 부위에 따라서, 또는 건강 상태나 스트레스 등의 감정에 의해서도 변화한다. 일반적으로 여성보다 남성이, 젊은 사람보다는 고령자에게 색소가 많이 존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사람의 피부색은 멜라닌(melanin), 카로틴(carotene) 및 헤모글로빈(hemoglobin)의 양에 따라 결정되는데 이중 멜라노사이트(melanocytes)에서 합성되는 멜라닌이 가장 결정적인 요소이다.
멜라닌은 피부 표피(epidermis)내 기저층(basal layer)에 존재하는 색소 세포인 멜라노사이트에서 합성되어 주변 각질 세포 (keratinocytes)로 전이된다.
멜라닌의 생성은 티로신(tyrosine)이 티로시나아제(tyrosinase)에 의해 (3,4- dihydroxyphenyl)-alanine(DOPA), DOPAchrome 등으로 변하는 복잡한 화학적 변화에 의해 생성된다고 알려져 있다.
멜라닌이 비정상적으로 적게 생산되면 저색소병변이 발생한다.
반대로 과잉생산은 여성들의 주된 고민 중 하나인 기미와 주근깨를 형성하며 피부암(melanoma)과도 밀접한 관계가 있다고 보고되었다.
멜라닌은 색소와 단백질의 복합체인 페놀류의 물질로서 신경세포에서 합성되는 신경 멜라닌(neuronal melanin)과 피부, 모낭, 눈 등에 존재하는 피부 멜라닌(cutaneous melanin)으로 구분된다.
미백 화장품에 사용되는 대표적인 미백 성분으로 Arbutin, Kojic acid, Ascorbic acid 등이 있다.
대부분의 미백 성분들은 tyrosinase의 활성을 저해하여 멜라닌 색소 형성을 억제하거나, 생성된 멜라닌 색소를 환원시켜 미백 효과를 나타낸다고 알려져 있다.
인체를 이용한 미백 시험은 두 가지 방법이 사용되고 있다.
첫째, 자연적으로 생성된 과색소침착부위(예: 기미)에 시료를 사용하면서 미백의 효과를 측정하는 방법과 둘째, 자외선을 피부에 조사하여 인공적으로 피부에 색소를 침착시킨 후 시료를 사용하여 미백의 효과를 측정하는 방법(인공색소침착법)을 이용하고 있다.
자연적으로 발생한 과색소 부위, 기미 부위 등을 이용할 경우 장기간의 시간이 소요되며 또한 과색소 부위를 가진 피험자를 구하기가 쉽지 않다는 단점이 있으나 실질적인 미백 효과를 측정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인공색소침착을 이용한 미백 효과 측정방법은 약 2~3 개월의 단기간에 시료의 미백 효과를 확인할 수 있다는 장점과 상대적으로 쉽게 피험자를 구할 수 있어 최근에는 많은 연구실에서 인공색소침착법으로 미백 시험을 수행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인공색소침착법으로 시험을 수행하였고, Spectrophotometer와 Mexameter를 이용한 피부색 측정과 피부과전문의에 의한 육안평가를 병행하여 시료의 미백 효과를 평가하였다.
의뢰인이 제공한 시료 '[J-007]'의 미백 효과를 대조시료와 비교 평가하기 위하여 피험자의 하박내측 피부에 자외선을 조사하여 인공적으로 색소 침착 부위를 생성시켰다.
시료와 대조시료를 각각 8주간 지정된 시료 사용 위치에 해당 시료를 피험자 스스로 하루 2회씩 도포하였고, 시료 도포 위치는 피험자에 따라 다르게 무작위로 배치하였으며 이중맹검(double blind) 조건에서 연구를 수행하였다.
2) 연구 방법
2-1) 연구 목적
한국인 성인 여성 피험자의 하박내측에 인공흑화를 유발한 후, 8주간 시료(본발명의 방법에 의해 추출된 장수마벌독 추출물)와 대조 시료를 사용하면서 시료의 피부미백 효능을 평가하였다.
5-2) 연구 개요
시료의 미백 효능을 대조 시료와 비교 평가하기 위해, 20명 이상의 성인 여성 피험자를 모집하였다.
피험자의 하박내측 피부에 자외선을 조사하여 인공 흑화를 유발한 후, 시료와 대조시료를 8주간 연속 도포하면서, 기기측정과 육안평가를 병행하였다.
2-3) 일정과 절차
본 시험의 세부 일정은 표 5와 같다.
Figure 112012018774431-pat00006
본 시험의 시험 절차는 표 6과 같다.
Figure 112012018774431-pat00007
2-4) 피험자
2-4-1) 피험자 모집, 선정 방법
피험자에게 실험의 목적과 방법을 명확하게 알려준 후, 피험자가 자유로운 의지로 참여를 결정하고 참가 동의서에 서명한 후 실험에 참여하였다. 구체적 절차는 다음과 같다.
- 아이이씨코리아㈜에서는 사전에 수행된 피험자 모집 조사(Medical examination*)를 통해 적절한 피험자를 확보하고 관리한다.
- 임상실험 계획이 확정되면, 아이이씨코리아㈜의 피험자 데이터 베이스에서 본 임상시험의 피험자 조건에 적합한 피험자를 자동 선택한다.
- 선택된 피험자에게 무작위로 전화하여 임상시험의 구체적 내용을 설명하고, 실험내용에 동의한 피험자를 실험 첫날 당사로 방문하게 한다.
- 실험 첫날, 연구 목적과 방법에 적합하도록 구성된 설문(피험자 선정 및 제외조건)을 활용하여, 연구책임자 (피부과전문의)가 본 연구에 참여할 피험자를 최종적으로 선정한다.
피험자 최종 선정을 위한 설문지에는 피험자 선정조건, 제외조건, 제약사항 등이 연구 내용에 적합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이 설문 조사는 연구 시작 직전에 수행한다.
- 피험자에게 연구 일정, 참가비, 예상되는 위험성(소양증, 탈색소 침착 등), 중도 탈락 기준을 설명한다.
피험자는 설명들은 내용을 고려하여 자유로운 의지로 실험 참여 여부를 결정한 후 참가 동의서에 서명한다.
피험자에게 부작용 발생시 의뢰인이 계약서에 명시한 피험자 보상 규칙에 따라 적절한 보상을 받을 수 있다는 사실을 설명한다.
- 본 실험에 참여한 피험자의 비밀은 보장된다.
단, 의학적인 목적에 의해서 피시험자의 신원이 밝혀지지 않는 범위에서 시험자료가 이용될 수 있음을 알린다.
- 임상시험 참가 동의서에 서명한 피험자는 실험을 개시한다.
* Medical examination: 아이이씨코리아㈜의 일반적인 피험자 선정 제외 조건을 적용하여 피험자를 면담하고 모집하여 데이터베이스에 등록하는 것
2-4-2) 실험에 참여하는 피험자 수
의뢰인의 요청에 따라 25명의 피험자를 모집하였다.
2-4-3) 선정 조건
2-4-3-1) 피험자 데이터베이스에서 적용하는 일반적인 선정 조건
- 한국 여성
- 체중: 데이터베이스 등록을 위한 모집 조사에서는 고려하지 않으며, 각 세부 연구의 최종 피험자 선정 시에 연구책임자의 판단으로 연구에 지장을 초래할 가능성이 있는 피험자를 제외시킴.
- 한국어를 이해할 수 있는 자로서, 제공되는 문서를 읽거나, 연구자의 설명을 듣고 이해할 수 있는 자.
- 국민건강보험에 가입되어있는 자
- 척추의 심한 뒤틀림이나 휘어짐이 있는 자는 제외함.
* 본 일반적인 사항은 증례보고서(Case Report Form)에는 별도로 기록하지 않았다.
2-4-3-2) 인공색소침착 후 미백 효능평가시험에서 적용하는 피험자 선정 조건
아래 선정 조건을 실험 시작일에 피부과전문의가 피험자에게 설문하고 증례기록서에 기록하였다.
- 연구 내용을 이해하고 자발적으로 임상 시험 참가 동의서를 작성하고 서명한 자
- 피부 질환을 포함하는 급, 만성 신체 질환이 없는 건강한 자
- 광 피부타입이Ⅱ, Ⅲ과 Ⅳ에 해당되는 자(표 7)
- 만 18 세 이상 60 세 이하의 성인 여성
- 시험기간 동안 추적 관찰이 가능한 자
FITZPATRICK의 광 피부 유형 분류 기준 설문 봄~여름에 자외선차단제를 바르지 않고 30분~45분 정도 피부가 태양에 노출되었을 때 피부 상태에 대해 답해 주십시오 (또는 비교적 장시간 태양에 노출된 경험을 상기하여 답해주십시오).
항상 쉽게(매우 심하게) 붉어지고, 거의 검게 되지 않는다. 피부가 쉽게 벗겨진다.
쉽게(심하게) 붉어지고, 약간 검게 된다. 피부가 벗겨진다.
보통으로 붉어지고, 중간 정도로 검게 된다.
그다지 붉어지지 않고, 쉽게 검게 된다.
거의 붉어지지 않고, 쉽게 검게 된다.
거의 붉어지지 않고, 쉽게 검게 된다.
FITZPATRICK의 광 피부 유형 설문 조사 방법으로 인공흑화에 적합한 Ⅱ, Ⅲ, Ⅳ의 광 피부 타입을 가진 피험자를 선정하였다.
2-4-4) 제외 조건
2-4-4-1) 피험자 데이터베이스에서 적용하는 일반적인 제외 조건
- 법률적으로 생활에 제약을 받고 있는 자
- 심한 질환을 앓고 있는 자
- 미성년자 또는 국내법상 임상 연구에 참여할 수 없는 자
- 아이이씨코리아㈜ 임직원
- 비상 연락이 불가하거나, 실험 기간 중 소집에 응할 수 없는 자
- 다음 조건으로 부적합한 자
·시험 기간 중 여러 임상 연구에 중복 참여하는 자(중복 참여가 우려되는 자)
·실험 재참여 제한 기간이 경과되지 않은 자: 동일한 유형의 시험에 참여한 후 6 개월이 경과되지 않은 자
·건강 상태: 본 조건은 피험자의 안전을 확보하기 위한 조건이므로 엄격하게 적용되어야 하며, 설문 조사로 확인한다.
·임신 중이거나 수유중인 여성, 의학적으로 부적절한 피임 방법을 사용하는 여성
·최근 5년 이내 장기(간, 폐, 신장 등 주요 장기) 이식 수술을 받았거나, 장기 절단 수술을 받은 자, 뇌 수술을 받은 자, 수술 후유증을 가진 자
·심혈관계 질환, 내분기계 질환, 소화기계 질환, 신경계 질환, 비뇨기계 질환을 가진 자
·항히스타민제, 스테로이드제, 알러지억제제 또는 이와 유사한 기능을 갖는 약품을 장기 복용 또는 적용하고 있는 자
·심한 천식을 가진 자
·약물에 민감 반응을 경험한 자, 실험실에서 사용되는 물질(장갑, 접착제 등)에 알러지가 우려되는 자
·다음 피부 질환을 가진 자: urticaria, œdema, eczema, recurrent herpes, herpes zoster having erupted in the last 3 months, pityriasis versicolour, common acne with a sudden rise of inflammation or nodular or cystic acne, psoriasis, ichthyosis, lichen planus, chronic lupus erythematosis, keloid scars, severe pigmentation disorders (vitiligo, chloasma, multiple lentigines, numerous or congenital nevi, especially if they are of large size), hyperhidrosis, dorsal hyperpilosity
·면역계 질환을 가졌거나, 면역억제제 치료를 받고 있는 자
·하루 10 개비 이상의 흡연을 하거나, 매일 3 잔 이상의 술을 마시는 자
- 민감성 피부 또는 아토피성 피부를 가진 자
* 본 일반적인 제외 조건은 임상연구에서 작성되는 증례보고서(Case Report Form)에는 별도로 기록하지 않았다. 단, 실험 재참여 제한 기간과 현재 건강상태 등은 증례기록서에 기록하였다.
2-4-4-2) 인공색소침착 후 미백 효능평가시험에서 적용하는 피험자 제외 조건
아래 선정 조건을 실험 시작일에 피부과전문의가 피험자에게 설문하고 증례기록서에 기록하였다.
- 임신 또는 수유 중이거나 3 개월 이내에 임신을 계획하고 있는 자
- 정신과적 질환이나 피부질환이 있는 자
- 천식, 당뇨, 고혈압 등 만성 소모성 질환이 있는 자
- 피부 질환의 치료를 위해 스테로이드가 함유된 피부 외용제를 1개월 이상 사용하는 자
- 민감성, 과민성 피부 또는 아토피성 피부를 가진 자
- 광 알레르기 또는 광 감작의 병력이 있는 자
- 동일한 실험에 참가한 뒤 6개월이 경과되지 않은 자
- 연구 시작 전 3개월 내에 시험 부위에 동일 또는 유사한 화장품 또는 의약품을 사용한 자
- 연구 개시 3주 이내에 동일한 시험부위를 사용하는 다른 실험에 참여한 자
- 광선 조사 부위에 점, 여드름, 홍반, 모세혈관확장 등의 피부 이상 소견이 있는 자
- 최근 5년 이내에 장기 이식 또는 절제 수술을 받은 자
- 최근 3주 이내에 한약(보약)을 장기 복용한 자
- 소화기계, 면역계, 심혈관계, 내분비계, 비뇨기계 질환을 앓고 있는 자
- 약물에 민감한 반응 또는 실험에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물질에 과민반응을 보인 경험이 있는 자
- 연구 시작 전 6개월 내에 시험부위의 피부 질환 치료를 받은 경험이 있는 자
- 최근 8일 이내 고열 증세가 24시간 이상 지속된 경험을 가진 자
- 최근 1개월 이내에 예방주사를 맞았거나, 실험기간 중 예방 주사를 맞을 계획이 있는 자
- 그 외 연구 책임자의 판단으로 시험에 부적합하다고 생각되는 자
2-4-5) 제한 조건
실험기간 동안 피험자에게 제한되는 사항.
- 실험 기간 동안 아스피린, 항염제, 항히스타민제, 스테로이드제(한약 포함)의 복용 또는 사용이 금지된다.
- 실험 기간 동안 예방 주사를 맞거나 면역억제제의 치료도 금지된다.
- 실험 기간 동안 시험부위에, 제공되는 본 시료 외에 다른 미백 화장품을 사용할 수 없다.
- 시험부위를 햇빛에 노출하지 않도록 한다.
- 시료 도포를 거르지 않는다.
- 실험기간 중 일상생활에서 크게 벗어난 활동을 하지 않는다.
2-4-6) 피험자 의무 사항
피험자의 보호와 정확한 연구 진행을 위해 피험자가 준수할 사항
- 시료의 사용방법, 제한사항 및 기타 검사일정 및 방문일정을 준수한다.
- 실험기간 중 자신에게 발생하는 모든 질환, 증세에 대해 상세히 보고한다.
- 실험 종료 시까지 본 실험에 대한 정보 등에 대해 비밀을 유지한다.
- 실험에 관여된 모든 자료를 정직하게 작성한다.
2-4-7) 연구 진행 도중 피험자 탈락 기준
피험자 선정 및 제외기준에 의하여 선정된 피험자라 할지라도 실험과정 중 아래와 같은 탈락 기준이 발생할 경우, 주관책임자와 연구원의 판단 하에 제외시켰으며, 실험 결과 산정에서 제외하였다.
- 시료를 시험기간 동안 3일 이상 시료 도포를 하지 않았을 경우 피험자 의무사항 불이행으로 인해 연구에서 제외될 수 있음.
- 자외선 조사부위에 소양감이나 홍반 등의 유해 사례가 발생하는 경우
- 실험 도중 예상하지 못한 유해 사례 또는 부작용이 발생한 경우
- 실험 진행 과정 중 시험 부위에 과도한 자외선 노출을 하거나, 음주, 흡연 등으로 정확한 평가에 장애가 발행한 경우
- 연구 내용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다른 치료를 받게 되는 경우
- 피험자 스스로 참가 동의를 철회하는 경우
- 피험자를 추적 관찰하지 못하게 되는 경우
- 피험자 개인 사정으로 탈락 기준의 사유가 발생되는 경우
- 피험자가 실험을 지속할 수 없다고 연구책임자가 판단하는 경우
- 피험자가 실험의 제한조건이나 의무사항을 따르지 않는 경우
2-4-8) 피험자에 관한 인체 실험 진행 규정
- 실험 진행 중 임상시험 책임자와 연구 담당자는 피험자의 안전에 최선을 다해야 하며, 모든 유해 사례 발생시 신속하고 적절한 조치를 취하여 그 유해 사례를 최소화하여야 한다.
- 실험 진행 중 피험자가 시료에 의하여 피부 자극 또는 유해 사례가 보고하는 경우에는 즉시 도포된 시료를 닦아내고 증상이 호전되지 않을 경우, 피부과전문의에 의한 피부과적 평가와 적절한 치료를 받는다.
- 과도한 자외선 조사에 의하여 피부 표면에 수포를 동반한 홍반이 발생할 경우 적절한 피부과적 평가와 치료를 받도록 한다.
- 기타 비정상적인 피부 반응이 발생할 경우 임상시험 책임자와 연구 담당자는 피부과적 평가와 함께 적절한 조치를 취하며 증례 및 상황에 대하여 상세히 기록 한다.
2-5) 시료
2-5-1) 시료 정보
- 명칭(시료코드) 시료: [J-007] (시료 A)
주성분이 함유되어 있는 시료(이하 '시료' 혹은 '시료 A'로 표기)
* 앞서 언급한 방법에 의해 추출한 장수말벌독 추출물을 로션으로 제조하여 시료로 제공함.
- 대조시료: [J-008] (시료 B)
주성분이 함유되어 있지 않은 시료(이하 '대조시료' 혹은 '시료 B'로 표기)
- 의뢰인으로부터 위와 같이 시료를 수령함. 시료 정보의 확인은 실험 종료 후 보고서 작성 직전에 의뢰인으로부터 수령함.
성상 시료: 로션상
대조시료: 로션상
시료 관리번호 시료: A2122 (시료 A)
대조시료: A2123 (시료 B)
- 시료 수령 직후 시료는 아이이씨코리아㈜에 등록되어 관리번호를 부여하며, 시료에 라벨을 부착함.
- 분석 : 의뢰인이 시료가 정확한 것인지 확인하여야 하며, 시료에 관한 정보(성상 등)를 제공하여야 함. 아이이씨코리아㈜에서는 시료의 안정도, 물리적 특성을 확인하는 화학 분석은 수행하지 않았음.
- 용기 (또는 포장 상태) : 펌프형 플라스틱 용기
- 수령한 시료의 양 : 시료 25개, 대조시료 25개
- 수령일자 : 2011년 09월 29일
- 보관 방법 : 고온과 직사광선을 피하여 5~25°C 사이에서 보관함. 아이이씨코리아㈜에서는 보고서가 발행된 날로부터 180일간 시료를 보관하며, 의뢰인으로부터 별도의 요청이 없을 경우 폐기함.
2-5-2) 시료사용 방법
사용 방법은 아래와 같다.
- 시료사용 위치 : 하박내측의 인공흑화 부위
(각 시료에 대한 사용부위는 무작위로 배치함)
- 시료사용 양 : 적당 량
- 시료사용 주기 : 하루 2 회 (아침, 저녁)
- 시료사용 기간 : 8주간
- 시료사용 방법 : 피험자가 자택에서 스스로 지정된 위치에 지정된 시료를 도포함. 인공 흑화 부위를 벗어나거나 시료 도포한 손가락으로 다른 시료를 도포하지 않도록 주의함.
2-5-3) 시료의 유효성분
- 시료명 ; [J-007]
- 성분명 : Hornet Extract
- 함량(%) : 33.3%
2-6) 시험의 원리 및 장비
2-6-1) 시험의 원리
피부에 자외선을 조사하면 피부의 melanocytes의 활성과 melanin 생성이 증가하여 피부 색이 검게 변화된다. 시간이 경과되면서 melanocytes의 활성이 정상화되고 melanin은 점차 감소하여 원래의 피부색으로 환원된다. 미백 효과를 갖는 물질을 도포하면 미백 물질의 활성으로 인하여 melanin의 감소와 melanocytes의 활성 감소가 더 빠르게 진행되므로 피부색의 환원 속도가 더 빨라진다. 미백 효과를 갖는 물질과 그렇지 않은 물질을 동일한 조건으로 일정 기간 동안 도포하면서, 피부색을 색차계로 측정하고, 훈련된 전문가의 육안판정을 병행하여 미백 효과를 비교, 확인할 수 있다.
2-6-2) 자외선 조사 장치(Solar simulator)
실험을 진행하는 동안 균등한 품질의 자외선을 이용하기 위하여 인공 자외선 조사장 치(Solar simulator)를 사용하였으며, 태양 광선과 유사한 방사 스펙트럼을 갖고, 특정 파장에서 피크를 나타내지 않는 xenon arc lamp를 장착한 solar simulator를 사용하였다.
실험에 사용된 Solar simulator의 기종은 Multi-port solar simulator 601(Solarlight co., US) 이며 다음과 같은 특징을 가지고 있다.
- 300 watt xenon arc lamp를 장착하고 있으며, 6개의 liquid light guide(LLG)를 통하여 직경 8mm 크기의 원형으로 자외선을 방사한다. 6개의 LLG를 통해 방사되는 자외선의 세기는 각 LLG 상단에 장착된 조리개를 통해 개별적으로 조절 가능하다. 2mm 두께의 Schott WG320 filter와 UG11 filter를 사용하여 자외선 C와 가시광선 영역의 파장을 제거하고 사용하였다.
2-6-3) 광량 측정기 (PMA 2100 UV meter)
본 연구에서 사용한 광량 측정기는 PMA 2100 UV meter (Solarlight Co., US)이며, UVB sensor(PMA 2103)를 Solar simulator LLG 말단에 결합한 후 광 세기를 측정하였다. 측정값은 MED/min 단위로 표시된다. 1.0 MED/min은 21mJ/cm2와 동일한 광 에너지이다. 광 세기는 각 피험자에게 자외선을 조사하기 직전에 측정하여 증례기록서에 기록하였다.
2-6-4) Spectrophotometer를 사용한 피부색 측정
피부색의 기기 측정을 위해 Spectrophotometer® CM2600d (Minolta, Japan)를 사용하였다. 이 기기는 백색 광선을 방사하고 표면에서 반사되는 광선을 측정하여 색상을 CIE 색상 기준에 따라 표현하는 기기이다. 측정값은 L*a*b* 값으로 표시된다. L*은 명도를 표시하는 값으로 피부색이 밝고 투명할수록 높은값을 나타낸다. a*는 피부의 red-green, b*는 피부의 yellow-blue 을 나타낸다. Spectrophotometer의 probe는 3mm로 하였으며, 자동 3회 측정 후 나타내는 평균값을 유효 데이터로 이용하였다.
2-6-5) Mexameter®MX18를 사용한 Melanin index 측정 Mexameter®MX18(Courage+Khazaka GmbH, Germany)은 좁은 영역의 파장만을 이용하는 피부색 측정기(Narrow-band reflectance spectrophotometer)로서 피부의 멜라닌과 헤모글로빈의 양을 측정하는데 적합하다. 측정값은 Melanin index(MI)와 Erythema index(EI)로 표현된다. EI는 반사광의 적색과 녹색 파장의 비율을 기준으로 계산되며 MI는 전체 반사광 중 적색광의 비율로 계산된다. Mexameter®MX18은 녹색광과 적색광을 방사하는 다이오드를 활용하여 기기에서 방사되는 광선의 총량과 반사되는 광선의 양을 컴퓨터로 계산하여 결과를 보여준다.
본 실험에서는 MI를 Mexameter® MX18을 이용하여 3회 반복 측정 한 후, 그 평균값을 유효 데이터로 이용하였다. 각 측정된 결과는 증례기록서에 기록하였다.
2-7) 실험 과정
2-7-1) 최소홍반량(MED) 결정
자외선 조사장치 Solar simulator Multiport 601(Solarlight Co., USA)로 피부에 자외선을 조사한 후 최소홍반량을 확인한 기존 연구 결과(표 8)를 바탕으로 피부색(ITA°)에 따른 최소홍반량을 결정하였다. 선정된 피험자의 하박내측 피부색을 피부색 측정기 (Spectrophotometer® CM2600d)로 측정하였다.
Figure 112012018774431-pat00008
2-7-2) 인공색소침착 유발
각각의 피험자에게서 결정된 최소홍반량을 기준으로, 피험자의 하박내측에 자외선을 조사하였다. 광량의 세기는 2.0 MED/min 으로 하였으며 시험부위는 과도한 털이나 피부색에 차이가 있는 부분을 피하여 깨끗하고 편평한 부위를 선택하였다. 최소홍반량 결정 후 3 회에 걸쳐 0.5~3.0MED 의 자외선을 누적 조사하였다. 자외선 조사량은 각 피험자의 흑화 정도에 따라 차이를 두며, 흑화 정도는 연구자의 육안 판정 및 Spectrophotometer CM2600d 의 L*차이 값 (흑화 후-흑화 전)에 의해 결정하였다.(표 9)
Figure 112012018774431-pat00009
3차 자외선 조사일로부터 6일 후, 인공 색소침착 된 피부색을 Spectrophotometer로 측정하여 L*(명도)값이 인공흑화 전과 1이상 차이가 나는 피험자 또는 피부과전문의의 육안으로 뚜렷한 흑화가 관찰되는 피험자는 시료도포를 개시하였다.
2-7-3) 측정 및 육안평가
공기의 이동과 직사광선이 없으며 항온항습조건(22±2℃, 50±5%)이 유지되는 공간에서 조명을 일정하게 유지하였다. 피험자는 최소 15분간 피부 안정을 취하도록 한 후 측정과 평가를 실시하였다.
2-7-3-1) Spectrophotometer 를 사용한 기기 평가
인공색소침착 전, 인공색소침착 후 시료도포 전, 시료도포 4주 후와 8주 후에 시험부 위의 L*a*b* 값을 각 부위마다 3회 반복(auto condition) 측정하였다.
2-7-3-2) 육안평가
피부과전문의 2명이 피부색 평가 기준표(Intensity score table)를 기준으로 시험부위의 피부색을 육안평가 하였다. 피부색 평가 기준표는 피부색에 따라 1점(밝고 투명함)에서 10점(어둡고 칙칙함)까지 피부색의 밝기를 나타낸다. 각 점수 사이의 중간 점수 0.5점을 부여하였다. 육안평가는 인공색소 침착 전, 시료도포 전, 시료도포 4주 후와 8주 후에 수행하였다.
Figure 112012018774431-pat00010
2-7-4) 사진 촬영
임상 사진 촬영을 위해 준비된 사진실(Orion400 strobo, Aurora light bank, Korea)에서 디지 털카메라(Nikon D90 digital camera, Japan)를 이용하여 촬영하였다. 피험자의 자세, 피사체와 사진기까지의 거리, 각도, 조도, 노출, 조리개 값 등 촬영 조건을 고정하고 동일 연구자가 사진 촬영을 하여 일정한 품질의 사진을 얻도록 하였다.
2-7-5) 피험자 최종 평가 설문
시료 사용 8주 후, 연구책임자가 피험자에게 시료의 피부 적합성과 화장품으로서의 효과에 관하여 설문하여 5점 척도로 평가하였다.
2-7-6) 피부과전문의의 피부안전성 평가
피부과전문의가 시료사용 전, 시료사용 4주 후와 8주 후 시료의 안전성을 평가하였다. 시료의 사용과 관련성이 있는 외견적인 증세(physical signs: erythema, oedema, dryness, desquamation…)를 육안 검사하고, 피험자가 자각하는 증세(functional signs: prickling, tightness, local heat, …)를 문진하여 증례기록서에 기록한 후, 시료와의 연관성을 판정하였다.
2-7-7) 데이터 분석과 결과 해석
2-7-7-1) 기기측정 결과
- Spectrophotometer를 사용하여 피부색의 명도 값 L*과 ITA°을 구하였다. 시료사용 전과 시료사용 후의 차이 값(△L*, △ITA°)을 구해 시료와 대조시료의 통계적 유의성을 검증하였다.
- Mexameter를 사용하여 멜라닌 지수를 측정하였다. 시료사용 전과 시료사용 후의 차이 값(△MI)을 구해 시료와 대조시료의 통계적 유의성을 검증하였다.
- 시료와 대조시료간의 피부색 변화 값이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낼 경우, 시료의 미백 효과가 있는 것으로 해석하였다.
2-7-7-2) 육안평가 결과
- 육안 평가로 얻어진 결과는 시료사용 전과 시료사용 후의 육안평가 차이 값을 구해 시료와 대조시료의 통계적 유의성을 검증하였다.(△값)
- 2명의 연구자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는 경우, 시료의 미백 효과가 있는 것으로 해석하였다.
2-7-7-3) 통계분석 방법
통계분석 프로그램은 SPSS®14.0을 사용하였다. 기기측정 결과와 육안평가 결과 데이터의 정규성을 각각 Shapiro-wilk test1로 검증하였다.
시료 vs. 대조시료
- 정규성을 만족할 경우(p>0.05): Paired t-test(p<0.05)
- 정규성을 만족하지 않을 경우(p<0.05): Wilcoxon test(p<0.05)
3) 시험 결과
3-1) 피험자 구성
본 연구의 기본 선정 조건을 만족하는 성인 여성 피험자 25명을 모집하였다. 실험 첫날 피부과전문의에 의한 피험자 선정 및 제외조건에 따라 25명이 실험에 적합한 피험자로 선정하여 실험을 개시하였으나 실험기간 동안 2명의 피험자가 탈락하여 최종 23명(평균 37.5세)의 유효한 데이터를 획득하였다.(표11)
Figure 112012018774431-pat00011
3-2) 데이터 분석에 포함된 피험자 정보(표 12)
Figure 112012018774431-pat00012
3-3) 피부색 밝기(L*) 측정 결과
시료 사용 4 주와 8 주 후 시료 사용 부위의 피부색 밝기(L*)를 측정한 결과, 시료 사용 전에 비해 모두 밝아졌으며 시료 사용 4 주 후와 8 주 후 시료간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 시료 A 사용 부위의 피부색 밝기 개선이 시료 B 사용 부위보다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p<0.05).(표 13, 표 14)
Figure 112012018774431-pat00013
Figure 112012018774431-pat00014
3-4) ITA°측정 결과
시료 사용 4 주와 8 주 후 시료 사용 부위 피부색의 ITA°를 분석한 결과, 시료 사용 전에 비해 모두 밝아졌으며 시료 사용 8 주 후 시료간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 시료 A 사용 부위의 ITA°증가량이 시료 B 사용 부위보다 통계적으로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p<0.05).(표 15, 표 16)
Figure 112012018774431-pat00015
Figure 112012018774431-pat00016
3-5) Melanin index 측정 결과
시료 사용 4 주와 8 주 후 시료 사용 부위 피부색의 멜라닌 지수를 분석한 결과, 시료 사용 전에 비해 모두 밝아졌으나 시료간 통계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표 17, 표 18)
Figure 112012018774431-pat00017
Figure 112012018774431-pat00018
3-6) 전문가 육안 판정 결과
2명의 전문가가 시료 사용 4 주와 8 주 후 피부색을 육안평가 한 결과, 평가자1은 시료 사용 부위의 피부색이 시료간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는 것으로 평가하였으나 평가자2는 시료 사용 4주 후부터 시료 A 사용 부위의 피부색이 시료 B 사용 부위보다 유의하게 밝은 것으로 평가하였다(p<0.05).(표 19, 표 20)
Figure 112012018774431-pat00019
Figure 112012018774431-pat00020
3-7) 피험자 최종 평가 설문
연구책임자가 실험 종료일에 시료의 피부 적합성과 미백 효능에 대해 설문 평가하였다. '매우 좋음'과 '좋음'으로 답변한 피험자의 비율을 분석한 결과, 피부 적합성은 시료 A와 B는 61%로 동일하였고 미백 효능에 대해서는 시료 A는 61%, 시료 B는 57%로 시료 A가 시료 B보다 약간 미백 효능이 우수한 것으로 평가하였다.(표 21)
Figure 112012018774431-pat00021
3-8) 피부 안전성 평가 결과
시료 도포 4주 후와 8주 후에 피부과전문의가 시험부위를 육안검사하고, 피험자가 보고한 자극에 대해 발생 시점, 빈도, 강도, 지속시간 등을 문진 하여 시료의 안전성을 최종 평가하였다.
시료 사용 기간 동안 3 명의 피험자가 시료 사용 직후 따끔거림(No.14: B site, No.19: A, B site, No.21: B site)을 보고하였다. 이들 반응은 매우 약함에서 약함 정도의 반응으로 지속시간이 몇 초간에서 몇 분으로 짧았으며 반복적인 시료 사용에도 시료 사용 2주 이후에는 증상이 재발하지 않아 시료 연관성은 낮은 것으로 판정하였다.
이외 연구를 중단하거나 시료 사용 방법의 변경이 필요한 유해 사례는 보고, 관찰되지 않았으며 보고된 반응은 시료의 안전성을 우려할 만한 특이적 반응은 아닌 것으로 판정하였다.
피부과전문의의 문진 및 관찰 결과 시료 연관성이 있는 피부 유해 사례는 관찰되지 않았으며 피부 안전성은 "좋음" 수준으로 판정하였다.
3-9) 결과 종합
·실험을 개시한 25명의 피험자 중 2명이 중도 탈락하여 최종 23명(평균 37.5세)의 유효한 데이터를 획득하였다. 3차 자외선 조사일로부터 6일 후, 인공 색소침착 된 피부색을 Spectrophotometer로 측정 하여 L*(명도)값이 인공흑화 전과 1이상 차이가 나는 피험자 또는 피부과전문의의 육 안으로 뚜렷한 흑화가 관찰되는 피험자는 시료도포를 개시하였다.
·시료 도포 개시일로부터 4주 후와 8주 후 인공흑화 부위의 피부색을 기기 측정한 결과, 시료 사용 4주 후와 8주 후 시료를 도포한 부위의 피부색(L*)이 대조시료 도포부위와 비교하여 유의하게(p<0.05) 밝아진 것으로 나타났고 시료 사용 8주 후 시료 사용 부위의 ITA°값이 대조시료 사용 부위보다 유의하게 밝아진 것으로 나타났다.
· 시료 도포 개시일로부터 4주 후와 8주 후 인공흑화 부위의 피부색을 2명의 전문가가 육안 판정한 결과, 평가자1은 시료 사용 부위의 피부색이 시료간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는 것으로 평가하였고 평가자2는 시료 사용 4주 후부터 시료 A 사용 부위의 피부색이 시료 B 사용 부위 보다 유의하게 밝은 것으로 평가하였다
· 시료 사용 기간 동안 4주 간격으로 시료의 피부 안전성을 피부과전문의가 관찰한 결과, 시료와 관련된 유해 사례는 관찰되지 않았다.
4) 고찰 및 결론
본 시험은 정욱철님(개인)이 의뢰한 시료 '[J-007]'의 미백 효과를 대조시료와 비교 평가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본 시험에서는 연령 21세에서 51세 (평균연령 37.5세) 사이의 한국인 여성 피험자 23명으로부터 유효한 데이터를 획득하여 8주간 실험을 수행한 결과를 분석하였다.
시료의 미백 효과를 평가하기 위해 피험자 하박내측에 자외선을 조사하여 인공적으로 색소 침착을 유발시킨 후, 시료를 8주 동안 피험자 스스로 하루 2회씩 도포하면서 시료 도포 전, 시료 도포 4주 후와 8주 후 Spectrophotometer와 Meaxameter 시료 도포 부위의 피부색을 측정하였다. 또한 시료 사용 전, 시료 사용 4주와 8주 후 2명의 전문가(피부과전문의)가 피부색의 변화를 육안 평가하였다. 피부과전문의가 시료의 피부 안전성을 평가하기 위해 육안 검사를 병행하였다.
Spectrophotometer CM2600d 측정 결과(L*), 시료 사용 4주 후와 8주 후 시료 "[J-007]"을 도포한 피부는 대조시료와 비교하여 유의한 수준(p<0.05)으로 피부색이 밝아졌다.
따라서, 시료 '[J-007]'은 자외선 조사로 유발시킨 인공흑화 부위에 8주간 사용할 때 피부 미백에 도움을 주는 것으로 판단하였다.

Claims (5)

  1. 저장용기에 알콜농도 15% ~ 50% 의 에탄올 용액을 넣는 사전 준비과정과; 살아 있는 장수말벌 중 일벌만을 상기 에탄올 용액 1리터에 15 ~ 100 마리 비율로 상기 저장용기에 넣고 뚜껑을 밀봉한 후 상기 에탄올 용액에 장수말벌이 빠져 움직임이 둔화되도록 하는 장수말벌 투입과정과; 이를 그늘진 곳에서 실온에서 6개월 이상 숙성하는 숙성과정과; 상기 숙성된 액체를 분리하는 숙성액 분리과정:을 통해서 추출한 장수말벌독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인체 피부미백향상을 위한 화장료 조성물.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1020120023718A 2012-03-08 2012-03-08 장수말벌독 추출물을 이용한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 KR101374327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23718A KR101374327B1 (ko) 2012-03-08 2012-03-08 장수말벌독 추출물을 이용한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
JP2014560835A JP5978319B2 (ja) 2012-03-08 2012-05-29 オオスズメバチ毒抽出方法およびこれを利用した機能性化粧料組成物
CN201280071251.8A CN104379125A (zh) 2012-03-08 2012-05-29 金环胡蜂毒提取方法及用此的功能性化妆料组合物
PCT/KR2012/004197 WO2013133482A1 (ko) 2012-03-08 2012-05-29 장수말벌독 추출방법 및 이를 이용한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23718A KR101374327B1 (ko) 2012-03-08 2012-03-08 장수말벌독 추출물을 이용한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02698A KR20130102698A (ko) 2013-09-23
KR101374327B1 true KR101374327B1 (ko) 2014-03-14

Family

ID=491169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23718A KR101374327B1 (ko) 2012-03-08 2012-03-08 장수말벌독 추출물을 이용한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5978319B2 (ko)
KR (1) KR101374327B1 (ko)
CN (1) CN104379125A (ko)
WO (1) WO2013133482A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90937A (ko) 2017-02-03 2018-08-14 주식회사 제롬바이오메디슨 정제뱀독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
KR20190054608A (ko) 2017-11-14 2019-05-22 주식회사 제롬바이오메디슨 분리 정제된 코브라 뱀 독을 포함하는 피부 주름 개선용 화장품 조성물
KR20220074501A (ko) 2020-11-27 2022-06-03 주식회사사띠 항염/항진 화장품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품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906014A (zh) * 2015-05-18 2015-09-16 台山市互信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蜂毒橄榄按摩油及其使用方法
KR101613302B1 (ko) 2015-12-30 2016-04-18 (주)넥스젠바이오텍 Sv82 폴리펩타이드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주름 개선 및 탄력 유지용 화장료 조성물
KR102140797B1 (ko) * 2018-10-29 2020-08-04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고치벌 유래의 천연독을 이용한 항염증 조성물
KR20230017005A (ko) * 2021-07-27 2023-02-03 안동대학교 산학협력단 말벌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당뇨병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및 건강 기능 식품
KR102572181B1 (ko) * 2021-07-27 2023-08-29 안동대학교 산학협력단 말벌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균 조성물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39050A (ko) * 1997-11-10 1999-06-05 성재갑 말벌 독 추출물을 함유하는 여드름 예방 및 치료제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167515A (ja) * 1982-03-29 1983-10-03 Rikagaku Kenkyusho 新規ポリペプチドa及びその製造法
JP3118560B2 (ja) * 1996-12-02 2000-12-18 工業技術院長 耐熱性ホスホリパーゼ活性を有する酵素組成物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1187725A (ja) * 2000-01-06 2001-07-10 Pola Chem Ind Inc ストレス予防剤及びそれを含有してなる皮膚外用剤
KR101394817B1 (ko) * 2009-04-29 2014-05-14 (주)아모레퍼시픽 봉독 또는 봉독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018352B1 (ko) * 2009-07-28 2011-03-04 동성제약주식회사 봉독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여드름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101746639B1 (ko) * 2010-07-02 2017-06-14 (주)아모레퍼시픽 봉독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미백 및 보습용 조성물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39050A (ko) * 1997-11-10 1999-06-05 성재갑 말벌 독 추출물을 함유하는 여드름 예방 및 치료제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90937A (ko) 2017-02-03 2018-08-14 주식회사 제롬바이오메디슨 정제뱀독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
KR20190054608A (ko) 2017-11-14 2019-05-22 주식회사 제롬바이오메디슨 분리 정제된 코브라 뱀 독을 포함하는 피부 주름 개선용 화장품 조성물
KR20220074501A (ko) 2020-11-27 2022-06-03 주식회사사띠 항염/항진 화장품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5978319B2 (ja) 2016-08-24
JP2015509527A (ja) 2015-03-30
WO2013133482A1 (ko) 2013-09-12
CN104379125A (zh) 2015-02-25
KR20130102698A (ko) 2013-09-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74327B1 (ko) 장수말벌독 추출물을 이용한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
CN101180030B (zh) 化妆品及皱纹改善剂
CN108272740B (zh) 组合物及含有该组合物的痤疮修复化妆品
Lim et al. Photoprotection of the skin from visible light‒induced pigmentation: current testing methods and proposed harmonization
CN109152938A (zh) 用于皮肤化妆或治疗用途的虎耳草提取物
Peate The skin: largest organ of the body
Xie et al. A new product of multi‐plant extracts improved skin photoaging: An oral intake in vivo study
Chajra et al. Trihydroxybenzoic acid glucoside as a global skin color modulator and photo-protectant
West et al. Efficacy of a Morinda citrifolia based skin care regimen
CN113662900A (zh) 一种具有舒缓修复及提亮皮肤功效的组合物及制备方法和应用
Van Abbe et al. Pharmaceutical and Cosmetic Products for Topical Administration: Pharmaceutical Monographs
US11648196B2 (en) Active ingredient including a black oat extract and a spiny restharrow extract and cosmetic uses, in particular anti-graying
CN106413679B (zh) 光吸收增强效果良好的皮肤美容光反应组合物
CN107405373B (zh) 白肉火龙果果实提取物作为皮肤荧光着色剂的用途
Moss et al. Life “in the Pink”. Brief Administration of BOOST Oxygen Beauty® Elevates Blood Oxygen Saturation and Enhances Facial Skin Colour
Merja et al. Safety and efficacy of Arcedin™ infused anti-gray hair serum in adult human subjects with partially gray hair
KR102207684B1 (ko) 흑삼 발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미백용 화장품 조성물
Gosavi et al. Formulation and evaluation of polyherbal lotus oil
US20240041963A1 (en) A nutraceuticals formulation with an enhanced organoleptic properties used for scalp and hair care
Rajput et al. Determination of Skin Color in Relation to Ethnicity, Gender, Age, Site, and Environmental Factors: An Overview
CN116602899A (zh) 一种美白保湿组合物及其制备方法和应用
CN116473856A (zh) 一种美白亮肤面膜精华液及其制备方法、一种美白亮肤面膜
Setyanto et al. Effectiveness of 0.1% Retinol Serum and Astaxanthin Gel on Skin Photoaging
Lademann et al. The Role of Antioxidants in Prevention of Premature Skin Aging
VYANGA DISEASE REVIEW VYANGA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1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0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1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310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