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07684B1 - 흑삼 발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미백용 화장품 조성물 - Google Patents

흑삼 발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미백용 화장품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07684B1
KR102207684B1 KR1020190067346A KR20190067346A KR102207684B1 KR 102207684 B1 KR102207684 B1 KR 102207684B1 KR 1020190067346 A KR1020190067346 A KR 1020190067346A KR 20190067346 A KR20190067346 A KR 20190067346A KR 102207684 B1 KR102207684 B1 KR 10220768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st
sample
skin
black ginseng
ginse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673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140562A (ko
Inventor
안준민
박진주
Original Assignee
안준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안준민 filed Critical 안준민
Priority to KR10201900673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07684B1/ko
Publication of KR202001405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4056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076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0768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2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for chemically bleaching or whitening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80Process related aspects concerning the preparation of the cosmetic composition or the storage or application thereof
    • A61K2800/85Products or compounds obtained by fermentation, e.g. yoghurt, beer, win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Botany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Myc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rmatolog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흑삼 발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미백용 화장품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미백용 화장품 조성물은 흑삼을 발효시켜 미백 효능이 우수한 인삼 사포닌을 함유하도록 하여 소비자 신뢰 형성 및 흑삼 시장 확대에 현저하게 기여할 수 있는 화장품 조성물이다.

Description

흑삼 발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미백용 화장품 조성물{Cosmetic composition for skin whitening comprising black-ginseng fermentation extract}
본 발명은 흑삼 발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미백용 화장품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현대사회는 엄청난 기술 발전에 의한 건강하고 여유로운 삶이 요구되고 있는 가운데 복지, 건강, Well-being 및 아름다워지고자 하는 소망과 함께 의약품과 화장품 개발에 세계적으로 관심이 높아지고 있으며, 특히 화장품개발은 의약품 개발에 비해 거대자본이 소요되지 않고, 기술집약적인 고부가가치 생명공학산업의 활용이 가능하여 국내 생물소재산업의 발전에 기여할 수 있는 분야이다.
최근에는 전통적인 화장품의 세정과 미용 목적 외의 유용한 기능(미백, 주름개선, 자외선 차단)을 추구하는 기능성 화장품(cosmeceutics) 개발이 적은 비용과 시간으로 세계적 수준의 제품을 개발할 수 있는 분야이며, 생활수준의 향상과 노령화사회의 가속화로, 시장의 성장성과 고부가가치 창출 면에서 바이오 테크놀러지를 이용한 첨단 미래형산업이다.
21세기 화장품 업계의 화두는 기능성 화장품이라고 할 정도로 기능성 화장품에 대한 관심과 소비가 증가하고 있으므로, 미래의 화장품개발은 안정성만을 강조한 일반화장품이 아닌, 주름개선, 미백 및 자외선차단 등의 적극적인 개념의 도입이 강화된, 효능, 효과를 강조한 기능성 화장품 개발에 초점을 맞추어 수행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기능성 화장품은 의약품은 아니지만 다른 유형의 화장품과 달리 기능적인 효과를 가지고 있어 식품의약품안전처의 심사를 받은 제품만 시중에서 "기능성 화장품"으로 표시하여 유통이 될 수 있으며, 기능성에 기반을 두어 점차 소비자들 사이에서 수요가 증대되고 있는 제품이며 국내 화장품산업에서 기능성 화장품은 그 중요성이 점차 부각되고 있는 실정이며, 화장품산업은 최근에 한류 열풍과 맞물려 우리나라의 산업에 매우 긍정적인 기여를 하고 있는 분야로써, 고용, 부가가치 창출효과 (1,000억 원당 788억 원)가 크고, 경기에 대한 민감도(경제성장 1% 감소 시 생산규모 감소규모로 화장품은 0.6이며, 자동차 및 부품은 4.3, 영화 및 방송 2.8)가 낮아 경기침체 시 “안전판” 역할을 할 수 있다.
현재 미백 기능성 화장품 산업은 고부가가치가 창출되는 산업으로 경제성장에 따른 소득수준의 향상과 여성의 사회활동 증가에 힘입어 2010년 기준 1조 2천억 원의 시장으로 확대되고 있다.
세계적인 경기 침체와 국내 중공업의 기술경쟁력 저하는 고령화 사회와 더불어 높은 청년 실업률로 한국 경제에 불안감을 더해 주고 있으나, 화장품 산업은 한류 열풍과 더불어 매년 높은 성장률과 수출 실적으로 한국 경제 발전에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어서 따라서, 미백 등 우수한 기능성을 가진 화장품의 개발은 수출 진행뿐만 아니라 관련 산업 발전을 위하여 매우 필요하다.
최근 국내외에서 인삼 및 홍삼 추출물을 이용한 미용관련 유효성 평가 결과 미백 효과가 있다는 연구 논문들이 발표되고 있고 실제 인삼 및 홍삼 추출물을 함유한 기능성 화장품들이 제조, 판매되고 있으며 주성분은 인삼 사포닌으로 추정하고 있으나 그러나, 인삼 및 홍삼 추출물의 미백 효과에 대한 약리 기전 등의 과학적인 접근 및 이에 대한 객관적인 검증보다는 회사 브랜드 및 마케팅 기법에 의존한 판매 전략으로 소비자 신뢰 형성 및 시장 확대에 어려움이 있는 것이 현실이다.
1. 대한민국 특허 등록 제10-1072133호
따라서, 유효 인삼 사포닌의 함량을 증대시키는 새로운 기술을 이용한 발효 흑삼을 제조하여 이를 원료로 사용한 미백용 기능성 화장품의 개발은 매우 시의 적절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흑삼 발효 추출물을 유효 성분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백용 화장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화장품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흑삼 발효 추출물은
1) 인삼을 증숙시키고 건조시키는 과정을 반복하여 흑삼을 제조하는 단계;
2) 상기 흑삼을 정제수로 추출하는 단계; 및
3) 제조된 흑삼 추출물을 효모로 발효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것일 수 있다.
을 특징으로 하는 미백용 화장품 조성물.
본 발명에 따른 화장품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효모는 사카로마이세스 크레비시아에(Saccharomyces cerevisiae)를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화장품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흑삼 발효 추출물은 상기 사카로마이세스 크레비시아에(Saccharomyces cerevisiae)를 넣고 발효시킨 다음 멸균시킨 후에 아세토박터 파스퇴리아누스(Acetobacter pasteurianus)를 넣고 추가 발효시켜 얻어지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미백용 화장품 조성물은 흑삼을 발효시켜 미백 효능이 우수한 인삼 사포닌을 함유하도록 하여 소비자 신뢰 형성 및 흑삼 시장 확대에 현저하게 기여할 수 있는 화장품 조성물이다.
도 1은 멜라닌 생성 저해 시험에 쓰이는 melanoma 세포인 B16-F1에 대한 세포 독성 결과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In vitro tyrosinase 활성 저해 시험 결과 도면이다.
도 3은 In vitro DOPA 산화반응 저해시험 결과 도면이다.
도 4는 멜라닌 생성 저해 시험 결과 중 세포 외 멜라닌 측정 결과 도면이다.
이하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을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미백용 화장품 조성물은 흑삼 발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데, 본 발명자는 흑삼 발효 추출물에 함유된 인삼 사포닌이 홍삼, 미발효 흑삼에 비하여 피부 미백에 우수한 효과를 나타내는 것을 확인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흑삼 발효 추출물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 알려진 것이라면 특별한 제한이 없으며, 예를 들어 흑삼을 추출 용매로 추출한 후에 효모, 유산균, Bifidobacterium속 세균 등의 미생물들로 발효하여 제조한 것을 들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본 발명에서의 "흑삼"(black ginseng)은 인삼을 증숙과 건조 과정을 여러 차례 되풀이하여 얻어지는 인삼 가공물로서, 특히 3 내지 8년근 인삼을 60 내지 120℃에서 약 1 내지 48시간 동안 증숙하는 단계 이후, 상기 증숙된 인삼을 30 내지 80℃에서 약 1 내지 72시간 동안 건조시키는 단계를 수 회, 특히 3 내지 12회 반복하는 것을 포함하는 공정을 통하여 수득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의 "흑삼 발효 추출물"은 흑삼 추출물을 발효시킨 것을 의미하며, 이에 제한되지 않지만, 특히 효모를 이용하여 1 내지 72시간 동안 20 내지 60℃에서 발효시켜 수득하는 발효물을 포함할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정의되는 본 발명에서의 "흑삼 발효 추출물"은 1) 인삼을 증숙시키고 건조시키는 과정을 반복하여 흑삼을 제조하는 단계; 2) 상기 흑삼을 물로 추출하는 단계; 및 3) 제조된 흑삼 추출물을 효모로 발효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것일 수 있다.
이때, 상기 용어, "흑삼 추출물"은 상기 흑삼의 물, 메탄올, 에탄올, 부탄올 등의 저급 알콜 또는 이들의 혼합용매, 구체적으로 물 또는 1 내지 100% 물 및 에탄올 혼합용매, 보다 구체적으로 물에 가용하여 추출한 수득물 일 수 있다.
또한, 상기 효모는 당업계에 공지된 흑삼을 발효시킬 수 있는 효모 균주를 제한없이 사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사카로마이시스 세레비지애(Saccharomyces cerevisiae), 한세눌라 폴리모르파(Hansenula polymorpha), 피키아 파스토리스(Pichia pastoris) 또는 야로위아 리폴리티카(Yarrowia lipolytica)일 수 있으며, 더욱 구체적으로 사카로마이시스 세레비지애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은 미백 효과가 우수한 인삼 사포닌의 함량을 증진시키기 위하여 사카로마이세스 크레비시아에(Saccharomyces cerevisiae)에 의한 발효가 완료된 후에 가열하여 멸균시킨 후 초산균인 아세토박터 파스퇴리아누스(Acetobacter pasteurianus)를 접종하여 추가 발효하는 과정을 더 거칠 수 있다. 발효는 조건 및 시간은 특별한 제한이 없으며, 사카로마이세스 크레비시아에(Saccharomyces cerevisiae)의 발효와 동일하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상기 흑삼 발효 추출물을 조성물 총 중량 대비 0.0001 내지 80중량%, 구체적으로 0.0005 내지 70중량%, 더욱 구체적으로 0.001 내지 60 중량%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함량이 0,0001 중량% 미만이면 본래 목적하는 활성을 충분하게 달성할 수 없어 바람직하지 못하며, 80 중량%를 초과하면 증가하는 함량만큼 뚜렷한 효과의 증대가 기대되지 않아 비경제적이며, 화장료 조성물의 안전성에 문제를 발생시킬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서의 화장품 조성물은 화장품 조성물에 통상적으로 이용되는 성분들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일 예로 항산화제, 안정화제, 용해제, 비타민, 안료 및 향료와 같은 통상적인 보조제, 그리고 담체를 포함한다.
이와 같은 화장품 조성물은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제조되는 어떠한 제형으로도 제조될 수 있다. 일 구체 예로 고점도 유화제형, 저점도 유화제형 및 가용화 제형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제형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제조하고자 하는 제형에 따라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화장품 조성물 배합 성분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 용액, 현탁액, 유탁액, 페이스트, 겔, 크림, 로션, 파우더, 비누, 계면활성제-함유 클렌징, 오일, 분말 파운데이션, 유탁액 파운데이션, 왁스 파운데이션, 팩, 마사지크림 및 스프레이 등으로 제형화 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보다 상세하게는, 유연 화장수, 영양 화장수, 영양 크림, 마사지 크림, 에센스, 아이 크림, 선로션, 선크림, 메이크업 베이스, 비비크림, 클렌징크림, 클렌징폼, 클렌징 워터, 팩, 스틱상 제품, 밤(Balm) 타입 제품, 스프레이 또는 파우더의 제형으로 제조될 수 있다.
제조하고자 하는 제형에 따라 추가로 수상성분, 유상성분, 계면활성제, 보습제, 저급알콜, 점증제, 킬레이트제, 방부제, 향료 등을 선택하여 배합 첨가할 수 있다.
이하, 실시예 및 실험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상술한 실시예의 기술에 의해 본 발명이 제한되는 것이 아님은 명백하다.
< 실시예 1>
1. 흑삼 발효 추출물 제조
금산에서 생산되어 유통되는 5년근 삼을 구입한 후 삼을 흙만 없어지도록 물로 가볍게 세척을 한 후 인삼 증숙기에 넣고 123℃에서 5시간 동안 가압상태에서 1차 증숙하였다. 이어서 1차 증숙된 삼을 60℃가 유지되는 건조실에서 약 12시간 동안 건조하였으며 이와 같은 단계를 총 9번 반복하여 증숙 단계를 수행하였다.
이어서 9번 증숙한 삼을 곱게 분쇄한 다음 85℃의 정제수 5ℓ로 72시간 동안 추출한 다음 추출물을 34℃로 온도를 낮춘 다음 사카로마이세스 크레비시아에(Saccharomyces cerevisiae)를 넣고 24시간 동안 발효한 다음, 온도를 85℃로 상승시켜 24시간 동안 유지하여 살균처리하여 본 발명에 따른 흑삼 발효 추출물 제조를 완료하였다.
2. 안전성 평가
가. 세포독성 시험 ( MTT assay)
상기 제조한 발효 흑삼 원료를 실험 전 동결건조하여 powder로 만든 뒤, 시험에 적당한 용매로 희석시켜 농도를 맞춰 사용하였음.
(1) 세포독성 시험 방법
- 발효 흑삼 원료의 피부안전성 평가를 위한 cell cytotoxicity assay를 위해 MTT assay를 진행하였음.
시험방법은 다음과 같음.
96-well-plate에 1*104 cells/well이 되도록 seeding

24 h incubation

Washing 후 농도별 시험물질 도포 (용매: FBS가 포함되지 않은 배지)

24 h incubation

Washing 후 0.5 mg/mL MTT sol. 분주
(1x PBS로 5 mg/mL으로 만든 후, DMEM으로 묽혀 0.5 mg/mL로 제조)

4 h incubation

DMSO 분주

30 min~1 h 뒤 측정
(2) 세포독성 시험 결과
-멜라닌 생성 저해 시험에 쓰이는 melanoma 세포인 B16-F1에 시험물질에 대한 MTT assay 를 진행하였음. 100㎍/mL 농도에서 유의적 차이가 있었음. 따라서 B16-F1을 이용한 본 실험에서 100㎍/mL 이상의 농도는 사용하지 않았음(도 1 참조).
3. 미백 유효성 평가
멜라닌은 피부조직의 흑색 혹은 갈색 색소로 멜라닌 생성 저해 여부로 미백활성을 평가함. 생합성 경로는 다음과 같음.
Figure 112019058361827-pat00001
미백 유효성 평가를 위해 식약처에서 제시한 기능성화장품의 유효성평가를 위한 가이드라인 I (2015) - 피부의 미백에 도움을 주는 제품의 유효성 또는 기능을 입증하는 자료에 따라 in vitro tyrosinase 활성 저해 시험, in vitro DOPA 산화반응 저해 시험, 멜라닌 생성 저해 시험을 실시하였음.
가. In vitro tyrosinase 활성 저해 시험 ( In vitro tyrosinase inhibition assay)
Tyrosinase는 인체 내 멜라닌 생성 경로에서 초기 단계에 관여하는 효소로 tyrosinase의 저해는 멜라닌 생성 저해로 연결됨.
(1) In vitro tyrosinase 활성 저해 시험 방법
- 시료 및 기지 농도의 tyrosinase와 기질인 tyrosine을 반응시켜 생성물의 양을 측정하여 tyrosinase 저해율을 평가하는 방법임.
시험방법은 다음과 같음.
시험에 필요한 모든 용액이 37℃가 되도록 준비함

E.P. tube에 0.1M 인산염완충액(pH 6.5) 220 μL를 넣음

시료액 20 μL를 넣음
* 대조군으로 시료액 대신 0.1M PBS, 양성대조군으로 Arbutin 이용

Tyrosinase(2000 U/mL)(l) 20 μL 넣음

1.5 mM L-Tyrosine(l) 40 μL 넣고 신속하게 cuvette로 옮김

37℃에서 15 min 반응시킨 후 490 nm에서 흡광도 측정
(2) In vitro tyrosinase 활성 저해 시험 결과
- In vitro tyrosinase 활성 저해 시험 결과는 대조군 대비 (% of Con.) 그래프로 나타내었음. 농도 의존적으로 저해되는 것을 알 수 있으며, 25㎍/mL 이상에서는 tyrosinase 활성으로 인한 생성물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감소한 것을 볼 수 있음(도 2 참조).
나. In vitro DOPA 산화반응 저해시험 ( In vitro DOPA oxidation inhibition assay)
멜라닌 생성 경로 중 L-DOPA 생성물이 멜라닌으로 변환되는 과정에도 tyrosinase가 관여함.
(1) In vitro DOPA 산화반응 저해시험 방법
- 시료 및 기지 농도의 tyrosinase와 기질인 DOPA를 반응시켜 생성물의 생성량을 측정하여 tyrosinase 저해율을 평가하는 방법임.
시험에 필요한 모든 용액이 37℃가 되도록 준비함

E.P. tube에 0.1M 인산염완충액(pH 7.0) 850 μL를 넣음

시료액 50 μL를 넣음
* 대조군으로 시료액 대신 0.1M PBS, 양성대조군으로 Arbutin 이용

Tyrosinase(2000 U/mL)(l) 50 μL 넣음

10 mM L-DOPA(l) 50 μL 넣고 신속하게 cuvette로 옮김

37℃에서 15 min 반응시킨 후 475 nm에서 흡광도 측정
(2) In vitro DOPA 산화반응 저해시험 결과
- 대조군 대비 (% of Con.) 그래프로 나타내었음. 농도 의존적으로 산화반응이 저해되는 것을 알 수 있으며, 10㎍/mL 이상에서는 도파 산화반응으로 인한 생성물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감소한 것을 볼 수 있음(도 3 참조).
다. 멜라닌 생성 저해 시험
배양한 멜라닌 세포에 미백 활성이 있을 것으로 추정되는 성분을 적용하여 세포의 멜라닌 생성 저해 효과를 평가함. 세포 내 멜라닌 양과 세포 외의 총 멜라닌 양을 측정하여 저해율을 평가함.
(1) 멜라닌 생성 저해 시험 방법
- 본 실험에서는 L-Tyrosine을 넣어서 멜라닌 생성을 촉진한 뒤 세포내 멜라닌 양을 측정하였음.
6-well-plate에 1*105 cells/well이 되도록 seeding

24 h incubation

Washing 후 농도별 시험물질 도포 및 L-Tyrosine 처리
(용매: Phenol red 및 FBS가 포함되지 않은 배지)

24 h incubation

세포 외 멜라닌 측정을 위한 배지 채취
* 채취한 용액은 시험물질이 포함되어 있으므로 시험물질의 흡광도 값을 측정하여 보정함

남은 세포를 떼어낸 후 원심분리하여 pellet만 남기고 전부 suction

phenol red가 없는 DMDEM으로 묽힌 후 원심분리하여 pellet만 남기고 전부 suction
* 세포를 떼어내기 위해 첨가했던 Trysine/EDTA가 색을 띄므로 이를 완전히 제거하기 위해 2번의 원심분리를 거침

pellet에 1N NaOH 200 μL씩 넣음

원심분리하여 상층액만 채취 후 microplate에 넣음

490 nm에서 흡광도 측정
(2) 멜라닌 생성 저해 시험 결과
- 멜라닌 생성 저해 시험 결과 중 세포 외 멜라닌 측정 결과로 대조군 대비 (% of Con.) 그래프로 나타내었음. 농도 의존적으로 저해되는 것을 알 수 있으며, 1㎍/mL 이상에서는 멜라닌 생성 저해로 중간 생성물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감소한 것을 볼 수 있음(도 4 참조).
4. 인체피부안전성 ( 인체첩포시험 ) 및 기능성평가
가. 실험 방법
(1) 시험목적:
- 한국인 성인 여성 피험자에게 시료를 배포하고, 자택에서 일반적인 사용법에 따라 8주 동안 시료를 사용하도록 한 후 주름 및 미백 개선 효능을 평가함.
(2) 실험개요
- 30세 이상의 눈가 주름 및 색소 침착 부위를 가진 한국인 여성 20명 이상을 대상으로, 얼굴을 반쪽씩(눈가 주름 및 뺨 부위를 포함한 반쪽 면 전체) 분할하여 시료와 대조시료를 8주간 연속 사용하도록 함. 눈가 주름 영상 분석 및 피부색 측정과 전문가 육안 검사를 병행하여 시료의 주름 및 미백 개선 효능을 평가함.
(3) 일정과 절차
내용
1차 방문
D0(T0)
2차 방문
D28(T4w)
3차 방문
D56(T8w)
피험자 선정, 제외 조건에 따라 피부과 전문의가 적합한 피험자 선정

안전성 평가: 면담 및 육안 검사로 피험자 피부 상태 검진



배포된 시료를 피험자 스스로 자택에서 일반적인 사용법에 따라 사용함
←―――――――――――→
육안 평가: 주름 및 피부색 판정표를 기준으로 평가함



눈가 주름 영상 측정 (PRIMOS System)



피부색 측정 (Spectrophotometer CM2600d)



유효성 설문: 일대일 면담으로 효능에 대한 피험자 설문 조사

(4) 피험자
(가) 피험자 모집, 선정 방법
- 피험자에게 시험의 목적과 방법을 명확하게 알려준 후 피험자가 자유로운 의지로 참여를 결정하고 참가 동의서에 서명한 후 시험에 참여함. 구체적으로 다음과 같은 절차를 따라 진행함.
- 사전에 수행된 피험자 모집 조사 (Medical examination11 Medical examination: 아이이씨코리아㈜의 일반적인 피험자 선정 제외 조건을 적용하여 피험자를 면담하고 모집하여 데이터베이스에 등록하는 것)를 통해 적절한 피험자를 확보하고 관리함.
- 인체적용시험 계획에 따라 피험자 데이터베이스에서 본 인체적용시험의 피험자 선정조건에 적합한 피험자를 선별.
- 선별된 피험자에게 무작위로 전화하여 인체적용시험의 구체적 내용을 설명하고, 시험내용에 동의한 피험자를 시험 첫날 실험실로 방문하도록 함.
- 시험 첫날, 시험 목적과 방법에 적합하도록 구성된 설문(피험자 선정 및 제외조건)을 활용하여, 시험자가 본 시험에 참여할 피험자를 최종적으로 선정. 피험자 최종 선정을 위한 설문지에는 피험자 선정조건, 제외조건, 제약 사항 등이 시험 내용에 적합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이 설문 조사는 시험 시작 직전에 수행함.
- 피험자에게 시험 일정, 참가비, 예상되는 위험성, 중도 탈락 기준을 설명함. 피험자에게 유해사례 또는 부작용 발생시 의뢰자가 계약서에 명시한 피험자 보상 규칙에 따라 적절한 보상을 받을 수 있다는 사실을 설명함. 본 시험에 참여한 피험자의 개인 정보는 비밀 유지되며, 의학적인 목적에 의해서 피험자의 신원이 밝혀지지 않는 범위에서 시험자료가 이용될 수 있음을 알림.
- 피험자는 설명된 내용을 고려하여 자유로운 의지로 참여 여부를 결정한 후 참가동의서에 서명함. 참가동의서에 서명한 피험자는 시험을 개시함.
(나) 시험에 참여하는 피험자 수
- 시험을 정상적으로 완료한 피험자가 20명 이상이 되도록 23명의 피험자를 모집함.
(다) 피험자 선정 조건
① 피험자 데이터베이스에서 적용하는 일반적인 선정 조건
- 한국 여성
- 체중: 데이터베이스 등록을 위한 모집 조사에서는 고려하지 않으며, 각 세부 시험의 최종 피험자 선정 시에 시험책임자의 판단으로 시험에 지장을 초래할 가능성이 있는 피험자를 제외시킴.
- 한국어를 이해할 수 있는 자로서, 제공되는 문서를 읽거나, 시험자의 설명을 듣고 이해할 수 있는 자.
- 국민건강보험에 가입되어있는 자
- 척추의 심한 뒤틀림이나 휘어짐이 있는 자는 제외함.
* 주의: 본 일반적인 사항은 각 시험에서 작성되는 증례보고서(Case Report Form)에는 별도로 기록하지 않음. 단, 피험자의 최근 건상 상태는 예외로 함.
② 본 시험에서 적용하는 피험자 선정 조건
아래 선정 조건을 시험 시작일에 피부과 전문의가 피험자에게 설문하고 증례기록서에 기록함.
- 시험 내용을 이해하고 자발적으로 인체적용시험 참가 동의서를 작성하고 서명한 자
- 피부 질환을 포함하는 급, 만성 신체 질환이 없는 건강한 자
- 피부과전문의의 이학적 검사상 눈가 주위에 주름 및 얼굴에 색소침착부위를 가지고 있는 자
- 만 30 세 이상 60 세 이하의 성인 여성
- 시험기간 동안 추적 관찰이 가능한 자
(라) 피험자 제외 조건
① 피험자 데이터베이스에서 적용하는 일반적인 제외 조건
- 법률적으로 생활에 제약을 받고 있는 자
- 심한 질환을 앓고 있는 자
- 미성년자 또는 국내법상 인체 적용 시험에 참여할 수 없는 자
- 비상 연락이 불가하거나, 시험 기간 중 소집에 응할 수 없는 자
- 다음 조건으로 부적합한 자
· 시험 기간 중 여러 인체 적용 시험에 중복 참여하는 자 (중복 참여가 우려되는 자)
· 시험 재참여 제한 기간이 경과되지 않은 자: 동일한 유형의 시험에 참여한 후 6 개월이 경과되지 않은 자
· 건강 상태: 본 조건은 피험자의 안전을 확보하기 위한 조건이므로 엄격하게 적용되어야 하며, 설문 조사로 확인함.
· 임신중이거나 수유중인 여성, 의학적으로 부적절한 피임 방법을 사용하는 여성
· 최근 5 년 이내 장기(간, 폐, 신장 등 주요 장기) 이식 수술을 받았거나, 장기 절단 수술을 받은 자, 뇌 수술을 받은 자, 수술 후유증을 가진 자
· 심혈관계 질환, 내분기계 질환, 소화기계 질환, 신경계 질환, 비뇨기계 질환을 가진 자
· 항히스타민제, 스테로이드제, 알러지 억제제 또는 이와 유사한 기능을 갖는 약품을 장기 복용 또는 적용하고 있는 자
· 심한 천식을 가진 자
· 약물에 민감 반응을 경험한 자, 시험실에서 사용되는 물질(장갑, 접착제 등)에 알러지가 우려되는 자
· 다음 피부 질환을 가진 자: urticaria, oedema, eczema, recurrent herpes, herpes zoster having erupted in the last 3 months, pityriasis versicolour, common acne with a sudden rise of inflammation or nodular or cystic acne, psoriasis, ichthyosis, lichen planus, chronic lupus erythematosis, keloid scars, severe pigmentation disorders (vitiligo, chloasma, multiple lentigines, numerous or congenital nevi, especially if they are of large size), hyperhidrosis, dorsal hyperpilosity
· 면역계 질환을 가졌거나, 면역 억제제 치료를 받고 있는 자
· 하루 10 개비 이상의 흡연을 하거나, 매일 3 잔 이상의 술을 마시는 자
* 본 일반적인 제외 조건은 증례보고서(Case Report Form)에는 별도로 기록하지 않음. 단, 시험 재참여 제한 기간과 여러 개 시험의 중복 참여 허용 기준 및 현재 건강상태 등은 예외적으로 증례기록서에 기록할 수 있도록 함.
② 본 시험에서 적용하는 피험자 제외 조건
아래 선정 조건을 시험 시작일에 피부과 전문의가 피험자에게 설문하고 증례기록서에 기록함.
* 피험자의 건강 상태
- IEC 데이터베이스에 등록 후 건강 상태에 변화로 인해 시험이 부적합한 자
- 임신 또는 수유 중이거나 3개월 이내에 임신을 계획하고 있는 자
- 현재 피임약을 복용하고 있는 자
- 정신과적 질환이나 피부질환이 있는 자
- 천식, 당뇨, 고혈압 등 소모성 질환이 있는 자
- 시험부위에 피부 이상소견이 있어 측정이 곤란한 자
- 피부 질환의 치료를 위해 스테로이드가 함유된 피부 외용제를 1개월 이상 사용하는 자
- 최근 7일 이내 고열 증세가 24시간 이상 지속된 경험을 가진 자
- 화장품이나 약물에 의한 알러지 및 민감 반응 병력으로 시험에 부적합하거나 과도한 위험이 우려되는 자
- 의학적 치료를 받았거나 1개월 이내 예방 주사를 맞거나 계획이 있는 자
* 시료 사용 부위 확인
- 최근 6개월 이내에 시험 부위에 화학적, 물리적 치료를 받은 자 (피부박피시술, 주름제거시술)
- 시험 부위에 자극이나 상처, 흉터, 점, 여드름, 홍반, 모세혈관 확장 등의 피부 이상 소견이 있는 자
- 최근 4주 이내에 과도한 자외선 노출을 받은 자
* 화장 습관 및 Wash-out
- 최근 2주 이내에 화장품 및 화장 습관을 변경한 자
- 동일한 시험에 참여한 뒤 6개월이 경과되지 않은 자
- 시험 시작 1개월 이내에 시험 부위에 동일 또는 유사한 화장품 또는 의약품을 사용한 자
- 그 외 시험 책임자의 판단으로 시험에 부적합하다고 생각되는 자
(마) 시험 제한 사항
시험기간 동안 피험자에게 제한되는 사항.
- 시험 기간 동안 아스피린, 항염제, 항히스타민제, 스테로이드제(한약 포함)의 복용 또는 사용이 금지됨.
- 시험 기간 동안 예방 주사를 맞거나 면역억제제의 치료도 금지됨.
- 시험 기간 동안 제공되는 본 시료 외에 다른 주름 및 미백 개선 화장품을 사용할 수 없음.
- 시험 기간 동안 평소 사용하던 화장품 및 화장습관을 변경하지 않음.
- 시험부위를 햇빛에 노출되지 않도록 한다. 햇빛에 3시간 이상 계속 노출되는 경우 평소 사용하던 자외선 차단제를 사용하도록 함.
- 시료간 혼동하여 도포하거나 시료 도포를 거르지 않음.
- 시험기간 중 일상생활에서 크게 벗어난 활동을 하지 않음.
- 방문 일에는 세안 후 본 시료를 포함한 어떠한 화장품도 사용하지 말고 방문함.
(바) 피험자 의무 사항
피험자의 보호와 정확한 시험 진행을 위해 피험자가 준수할 사항
- 시료의 사용방법, 제한사항 및 기타 검사일정을 준수함.
- 시험기간 중 자신에게 발생하는 모든 질환, 증세에 대해 상세히 보고함.
- 시험 종료 시까지 본 시험에 대한 정보 등에 대해 비밀을 유지함.
- 시험에 관여된 모든 자료를 정직하게 작성함.
(사) 시험 진행 도중 피험자 탈락 기준
다음 사항에 해당되는 경우 피험자는 시험 진행 도중이라도 탈락될 수 있음을 설명함.
- 예상하지 못한 유해사례가 발생한 경우
- 중대한 유해사례가 발생한 경우
- 시험 내용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다른 치료를 받게 되는 경우
- 피험자 스스로 참가 동의를 철회하는 경우
- 피험자를 추적 관찰하지 못하게 되는 경우
- 탈락 기준의 사유가 발생되는 경우
- 피험자가 시험을 지속할 수 없다고 시험책임자가 판단하는 경우
- 피험자가 시험의 제한조건이나 의무사항을 따르지 않는 경우
(아) 피험자에 관한 인체 시험 진행 규정
- 본 인체적용시험은 헬싱키선언의 정신과 GCP 가이드라인 [published by I.C.H. (Topic E6: CPMP/ICH/135/95)]의 내용에 따라 피험자의 권리, 안전, 복지를 우선적으로 보호할 수 있도록 수행함. 시험자는 피험자의 안전을 보장할 수 있도록 다음 사항을 충실하게 이행함.
- 시험 진행 중 인체 적용 시험 책임자와 시험 담당자는 피험자의 안전에 최선을 다해야 하며, 모든 유해사례 발생시 신속하고 적절한 조치를 취하여 그 유해사례를 최소화 하여야 함.
- 시험 진행 중 피험자가 시료에 의하여 피부 자극 또는 유해사례를 보고하는 경우에는 즉시 도포된 시료를 닦아내고, 증상이 호전되지 않을 경우 피부과 전문의에 의한 피부과적 평가와 적절한 치료를 받음.
- 기타 비정상적인 피부 반응이 발생할 경우 시험책임자와 시험 담당자는 피부과적 평가와 함께 적절한 조치를 취하며 증례 및 상황에 대하여 상세히 기록함.
Skin type
Cream type
명칭
[Skin N (Cream containing fermented black ginseng, adenosin, and alpha-bisabolol)]
(대조시료: Control cream)
[Cream containing fermented black ginseng]
(대조시료: Control cream)
성상
[Skin N (Cream containing fermented black ginseng, adenosin, and alphabisabolol)]:
베이지색의 크림상
(Control cream: 백색의 크림상)
[Cream containing fermented black ginseng]: 베이지색의 크림상
(Control cream: 백색의 크림상)
시료 관리번호
[Skin N (Cream containing fermented black ginseng, adenosin, and alpha-bisabolol)]: A6687
(대조시료: Control cream - A6688)
시료 수령 직후 시료는 아이이씨코리아㈜에 등록되어 관리번호를 부여하며, 시료에 라벨을 부착하였음.
[Cream containing fermented black ginseng]: A6686
(대조시료: Control cream - A6688)
시료 수령 직후 시료는 아이이씨코리아㈜에 등록되어 관리번호를 부여하며, 시료에 라벨을 부착하였음.
분석
본 시험에 사용된 시료의 물리화학적 특성과 안전성을 확인하고 확보할 책임은 의뢰인에게 있으며, 본 시험기관에서는 시료의 물리화학적 특성을 확인하기 위한 별도의 분석은 수행하지 않음.
용기 (포장 상태)
플라스틱 용기
수령한 시료의 양
50개 (대조시료: 50개)
수령일자
2017년 04월 11일
보관 방법
고온과 직사광선을 피하여 5~25°C 사이에서 보관함.
아이이씨코리아㈜에서는 보고서가 발행된 날로부터 180일간 시료를 보관하며, 의뢰인으로부터 별도의 요청이 없을 경우 폐기함.
(5) 시료
(가) 시료 사용 방법
아래 기준에 따라 피험자 스스로 자택에서 사용함.
시료 사용 위치
눈가 주름 및 뺨 부위를 포함한 얼굴 반쪽 면 전체 (Randomization)
시료 사용 양
평소 화장품 사용량
시료 사용 주기
하루 2회(아침, 저녁)
시료 사용 기간
8 주간
시료 사용
평소 화장품 사용 습관에 따라 얼굴을 좌/우측으로 분할하여 눈가 주름 및 뺨 부위를 포함한 반쪽 면 전체에 시료와 대조시료를 각각 하루 2회씩 (아침, 저녁) 8주간 사용함.
(6) 측정 및 육안평가
- 피험자는 시료 사용 전, 사용 4주 후 및 8주 후에 각각 실험실로 방문하여 시험 부위를 물로 가볍게 세정한 후 측정 및 평가를 실시함. 공기의 이동과 직사광선이 없으며 항온항습조건 (22±2℃, 50±10%)이 유지되는 공간에서 피험자가 최소 15분 이상 피부 안정을 취한 다음 시험을 실시함.
- 미백 효능 평가
얼굴의 색소 침착 부위를 피부과전문의가 시험 부위로 선정하여 측정 및 평가를 진행함. (좌/우측 Randomization)
① 피부색 측정
- 피부색의 기기 측정을 위해 Spectrophotometer CM2600d (Minolta, Japan)를 사용함. 이 기기는 백색 광선을 방사하고 표면에서 반사되는 광선을 측정하여 색상을 CIE 색상 기준에 따라 표현하는 기기임. 측정 값은 L*a*b* 값으로 표시됨. L*은 명도를 표시하는 값으로 피부색이 밝고 투명할수록 높은 값을 나타냄. 색상과 채도를 표시하는 색도는 a*b* 로 표시함. a*는 피부의 red-green, b*는 피부의 yellow-blue을 나타냄. 본 시험에서는 선정된 색소 침착부위의 피부색을 시료 사용 전과 사용 4주 후 및 8주 후에 측정하였으며, Spectrophotometer의 probe는 3mm로 하여 자동 3회 측정 후 나타내는 평균값을 사용함. 피부색 밝기를 나타내는 L* 값과 ITA 값을 계산하여 분석 데이터로 사용함. 본 시험에서는 선정된 색소 침착 부위의 피부색을 시료 사용 전과 사용 4주 후 및 8주 후에 측정을 수행하여 피부색 밝기 parameter를 분석함.
ITA°= [Arc Tan (L*-50)/b*] 180/3.14159
(L*=Luminance, b*= Yellow/Blue component)
② 피부색 육안 평가
- 육안 평가는 이중 맹검(double blind) 조건에서 전문가(피부과전문의)가 육안 평가를 실시함. 선정된 색소침착부위의 피부색을 Photographic scale(을 사용하여 평가하여 증례기록서에 기록함. 중간 점수는 0.5로 부여함.
Figure 112019058361827-pat00002
(다) 임상 사진 촬영
- VISIA Complexion Analysis System (Canfield, USA)은 얼굴의 정면 및
- 측면을 촬영하는 기기로 재현성이 높고 고해상도의 이미지를 얻을 수 있으며, 눈에 보이지 않는 피부 상태를 multi-spectral imaging으로 피부 표면과 피부 표면 아래의 상태를 촬영할 수 있음. 촬영 모드로는 가시광선촬영 (Flash-normal)과 편광촬영 (cross polarization), UV촬영 (UV)이 가능하며, 촬영된 이미지를 RBX Technology 의 특수 고안된 기술을 통해 Red와 Brown의 이미지로 전환이 가능하여 광노화에 의한 melanin, hyper-pigmentation 및 hemoglobin, acne 등을 분석할 수 있고 UV 촬영 이미지를 이용하여 포르피린 (porphyrin)을 분석할 수 있음. 그 외 모공(pore), 피부결(texture) 등을 분석할 수 있음. 본 시험에서는 시료 사용 전과 사용 4주 후 및 8주 후에 얼굴 측면을 사진 촬영함.
(라) 설문평가
- 마지막 방문 일에 시료의 사용성 및 주름과 미백 효능에 대한 설문 조사를 하여 피험자 개인이 주관적으로 판단하는 시료의 효과를 평가하였다.
(마) 시료의 피부 안전성 평가
- 피부과 전문의가 시료 사용 전, 시료사용 4주 후 및 8주 후에 시료의 안전성을 평가함. 시료의 사용과 관련성이 있는 외견적인 증세(physical signs: erythema, oedema, dryness, desquamation…)를 육안 검사하고, 피험자가 자각하는 증세 (functional signs: prickling, tightness, local heat, …)를 문진함.
(7) 데이터 분석과 결과 해석
(가) 기기측정 분석 결과
- 눈가 주름 부위의 거칠기 (Roughness) parameter 분석.
- 색소침착부위의 피부색 밝기(L*, ITA) parameter 분석.
- 시료 사용 전과 후 및 대조시료와의 통계적 유의성 검증.
(나) 육안평가 결과
- 시료 사용 전과 후 및 대조시료와의 통계적 유의성을 검증하였다.
(다) 최종 판정 방법
- 시험책임자가 기기측정 결과와 육안평가 결과를 종합적으로 검토하여 시료의 주름 및 미백 개선 효과를 최종 판정함. (기기 측정과 육안 평가의 결과가 상반될 경우, 기기측정의 결과를 우선 시하여 판정함)
(라) 통계분석 방법
- 통계 분석 프로그램은 SPSS® 14.0을 사용함.
- 시료 사용 전과 후: 기기 측정 분석 결과와 육안평가 결과의 평균과 표준편차를 산출함.
- 시료와 대조시료간 비교: 시료 사용 전(D0)를 기준으로 변화량(△Dx-D0)을 산출함.
- 시료 사용 전과 후 분석
* 반복측정 분산분석: Repeated Measurement ANOVA (RM-ANOVA)
* 사후 분석: Bonferroni Post-Hoc Analysis
- 시료와 대조시료 간 비교 분석
* 일반화최소자승법 (Generalized least square estimation, GLM)으로 Marginal model을 적합하여 분석을 수행함.
* 제한된 최우추정법 (restricted maximum likelihood method)으로 고정효과(fixed effect)에 대해서 이분산성(heteroscedasticity)을 허용하였고, 상관관계(correlation structure)는 비구조적 (unstructure)으로 설정함.
(마) 설문 조사 결과
- 설문 조사로 얻어진 결과는 % 단위로 환산함.
나. 시험 결과
(1) 피험자 구성
- 시험 첫날 23명의 피험자가 방문하여 피부과전문의의 선정제외조건에 따른 면담을 통해 23명 모두가 적합한 피험자로 선정됨. 23명의 모든 피험자가 정상적으로 시험을 종료하여 최종 23명 (평균 42.6세)의 유효한 데이터를 획득, 분석함.
피험자 구성 (cream and skin type)
모집한 피험자 수
23
시험 당일 아이이씨코리아로 방문한 피험자 수(D0)
23
시험책임자에 의해 최종 선정된 피험자 수
23
시험 도중 탈락한 피험자 수
- 유해사례
- 중대한 유해사례
- 시험 규정에 위배되는 부적절한 치료를 받음
- 피험자 스스로 시험 동의 철회함
- 추적관찰 불가능
- 시험 도중 제외조건 발생
- 시험 책임자의 판단
- 시험 규정 위반
0
최종 분석 결과 분석에 포함된 피험자 수
12
데이터 분석에 포함된 피험자 정보 (cream type)
Figure 112019058361827-pat00003
데이터 분석에 포함된 피험자 정보 (skin type)
Figure 112019058361827-pat00004
(2) 미백 효능 분석 결과
(가) 피부색 분석 결과
① Cream type
- 시료 [Cream containing fermented black ginseng]을 사용한 색소 침착 부위의 피부색을 시료 사용 전과 비교한 결과, 사용 8주 후에 피부색 밝기를 나타내는 L*, ITA parameter가 유의하게 증가함.
Figure 112019058361827-pat00005
- 대조시료 [Control cream]을 사용한 색소 침착 부위의 피부색을 시료 사용 전과 비교한 결과, 사용 8주 후에 피부색 밝기를 나타내는 L*, ITA parameter가 유의하게 증가함.
Figure 112019058361827-pat00006
- 시료 [Cream containing fermented black ginseng] 및 대조시료 [Control craeam] 사용 8 주 후, 피부색 밝기를 나타내는 L*, ITA parameters에서 시료 간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시료 [Cream containing fermented black ginseng]의 피부색 밝기 개선 효능이 더 우수한 것으로 나타남.
Figure 112019058361827-pat00007
② Skin type
- 시료 [Skin N (Cream containing fermented black ginseng, adenosin, and alpha-bisabolol)]을 사용한 색소 침착 부위의 피부색을 시료 사용 전과 비교한 결과, 사용 8주 후에 피부색 밝기를 나타내는 L*, ITA parameter가 유의하게 증가함.
Figure 112019058361827-pat00008
- 대조시료 [Control cream]을 사용한 색소 침착 부위의 피부색을 시료 사용 전과 비교한 결과, 사용 8주 후에 피부색 밝기를 나타내는 L*, ITA parameter가 유의하게 증가함.
Figure 112019058361827-pat00009
- 시료 [Skin N (Cream containing fermented black ginseng, adenosin, and alpha-bisabolol)] 및 대조시료 [Control craeam] 사용 8 주 후, 피부색 밝기를 나타내는 L*, ITA parameters 에서 시료 간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시료 [Skin N (Cream containing fermented black ginseng, adenosin, and alpha-bisabolol)]의 피부색 밝기 개선 효능이 더 우수한 것으로 나타남.
Figure 112019058361827-pat00010
(나) 피부색 육안 평가 결과
① Cream type
- 시료 [Cream containing fermented black ginseng]과 대조시료 [Control cream]을 사용한 색소 침착 부위의 피부색을 시료 사용 전과 비교한 결과, 시료 및 대조시료 모두 8주 후에 색소 침착 부위의 피부색이 유의하게 밝아진 것으로 평가함.
Figure 112019058361827-pat00011
- 시료 [Cream containing fermented black ginseng] 및 대조시료 [Control cream] 사용 8 주 후, 색소 침착 부위의 피부색이 시료 간 유의한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음.
Figure 112019058361827-pat00012
② Skin type
- 시료 [Skin N (Cream containing fermented black ginseng, adenosin, and alpha-bisabolol)]과 대조시료 [Control cream]을 사용한 색소 침착 부위의 피부색을 시료 사용 전과 비교한 결과, 시료 및 대조시료 모두 8주 후에 색소 침착 부위의 피부색이 유의하게 밝아진 것으로 평가함.
Figure 112019058361827-pat00013
- 시료 [Skin N (Cream containing fermented black ginseng, adenosin, and alpha-bisabolol)] 및 대조시료 [Control cream] 사용 8 주 후, 색소 침착 부위의 피부색이 시료 간 유의한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음.
Figure 112019058361827-pat00014
(4) 피험자 설문 평가 결과
(가) Cream type
- 시료 사용 8주 후 시료의 사용성과 미백 효능에 대해 설문 평가 결과는 다음과 같음.
Figure 112019058361827-pat00015
(나) Skin type
- 시료 사용 8주 후 시료의 사용성과 미백 효능에 대해 설문 평가 결과는 다음과 같다.
Figure 112019058361827-pat00016
(5) 피험자 피부 반응 보고 내역
- 시료를 매일 2회씩 8주간 연속하여 피부에 사용하였으며, 시료 사용 전, 시료 사용 4주 후 및 8주 후에 피부과전문의가 시험부위를 육안 검사하였다. 또한 피험자에게 문진으로 자극 여부를 확인하여 시료와의 연관성을 피부과전문의가 판정함. 시험 진행 기간 동안 시험의 조기 종료 및 시료의 사용 방법 및 횟수를 변경할 수준의 피부 반응은 보고 및 관잘 되지 않았으며, 이외 특이적 유해사례 또한 관찰되지 않았음.
- 시험에 참여한 23명의 피험자 모두 시험을 정상적으로 종료함.
다. 결론 및 고찰
(1) 피부색 분석 결과
(가) Cream type
시료 사용 8주 후, 색소 침착 부위의 피부색 밝기를 나타내는 L*, ITA parameter 가 유의하게 증가하였으며, L*, ITA parameters 에서 대조시료와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 시료 [Cream containing fermented black ginseng]의 피부색 밝기 개선 효능이 더 우수한 것으로 나타남.
(나) Skin type
시료 사용 8주 후, 색소 침착 부위의 피부색 밝기를 나타내는 L*, ITA parameter 가 유의하게 증가하였으며, L*, ITA parameters 에서 대조시료와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 시료 [Skin N (Cream containing fermented black ginseng, adenosin, and alpha-bisabolol)]의 피부색 밝기 개선 효능이 더 우수한 것으로 나타남.
(2) 피부색 육안 평가 결과
(가) Cream type
- 시료 사용 8 주 후, 색소 침착 부위의 피부색이 유의하게 밝아진 것으로 평가하였으나, 대조시료와 유의한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음.
(나) Skin type
- 시료 사용 8 주 후, 색소 침착 부위의 피부색이 유의하게 밝아진 것으로 평가하였으나, 대조시료와 유의한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음.
< 실시예 2>
1. 흑삼 발효 추출물의 제조
실시예 1에 따라 제조한 흑삼 발효 추출물에 아세토박터 파스퇴리아누스(Acetobacter pasteurianus)를 넣고 24시간 동안 발효한 다음, 온도를 85℃로 상승시켜 24시간 동안 유지하여 살균처리하여 실시예 2의 흑삼 발효 추출물 제조를 완료하였다.
2. 멜라닌 생성 저해 효과 확인
상기 추출물을 쥐의 멜라노마 세포(B-16 mouse melanoma cell)의 배양액에 첨가하여 세포 수준에서의 미백효과를 실험하였다. (Lotan R, Lotan D Cancer Res 40:3345-3350, 1980)
실험 전 쥐의 멜라노마 세포에 대하여 독성을 평가하여 독성이 없는 농도인 50㎍/mL로 미백평가를 수행하였다. 양성 대조군인 알부틴과 발효하지 않은 진안 흑삼 열수 추출물을 사용하였다.
각각의 시료를 B-16멜라노마 세포에 처리하여 3일간 배양하였으며, 이후, 세포들을 트립신(trypsin) 처리하여 배양용기로부터 떼어내 원심분리 한 후 멜라닌을 추출하였다. 떼어낸 세포는 수산화 나트륨 용액(1N농도) 1ml를 가하여 10분간 끓여 멜라닌을 녹이고 분광 광도계를 이용하여, 400나노미터(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여 생성된 멜라닌의 양을 측정하였다.
상기 멜라닌 양은 단위 세포수당(106cell)의 흡광도로 나타내는 방법으로 측정하였으며, 대조군에 대한 상대적인 멜라닌 생성량을 저해율(%)로 계산하고 결과를 표 21에 정리하였다. 또한, 실험은 3번 반복된 것이다.
시료 멜라닌생성량 저해율(%)
음성 대조군(무첨가) 0.065±0.002 -
양성 대조군: 진안 흑삼 추출물 0.041±0.002 37%
대조군: 알부틴 0.033±0.001 49%
실시예 1 추출물 0.035±0.003 46%
실시예 2 추출물 0.029±0.001 55%
표 21의 결과에서 볼 수 있듯이, 본 발명의 추출물 중에서 실시예 1의 흑삼 발효 추출물은 기존에 알려진 미백 물질인 알부틴과 거의 유사한 정도의 멜라닌 생성 억제능을 보였으며, 다른 양성 대조군은 미발효 흑삼 추출물보다는 현저하게 효과를 보였음, 특히 초산균 발효를 더 거친 실시예 2의 추출물은 알부틴보다 더 우수한 멜라닌 생성 억제능을 보여 미백에 대한 초산균 추가 발효의 상승효과가 확인할 수 있었다.

Claims (5)

1) 인삼을 증숙시키고 건조시키는 과정을 반복하여 흑삼을 제조하는 단계;
2) 상기 흑삼을 정제수로 추출하는 단계; 및
3) 제조된 흑삼 추출물을 사카로마이세스 크레비시아에(Saccharomyces cerevisiae)를 넣고 발효시킨 다음 멸균시킨 후에 아세토박터 파스퇴리아누스(Acetobacter pasteurianus)를 넣고 추가 발효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흑삼 발효 추출물을 유효 성분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백용 화장품 조성물.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흑삼 발효 추출물을 전체 조성물 대비 0,001 내지 80중량%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백용 화장품 조성물.
삭제
삭제
삭제
KR1020190067346A 2019-06-07 2019-06-07 흑삼 발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미백용 화장품 조성물 KR10220768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67346A KR102207684B1 (ko) 2019-06-07 2019-06-07 흑삼 발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미백용 화장품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67346A KR102207684B1 (ko) 2019-06-07 2019-06-07 흑삼 발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미백용 화장품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40562A KR20200140562A (ko) 2020-12-16
KR102207684B1 true KR102207684B1 (ko) 2021-01-26

Family

ID=740423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67346A KR102207684B1 (ko) 2019-06-07 2019-06-07 흑삼 발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미백용 화장품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07684B1 (ko)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72133B1 (ko) 2004-01-15 2011-10-10 (주)아모레퍼시픽 피부 미백 효능을 상승시키는 화장료 조성물
KR102041414B1 (ko) * 2017-07-20 2019-11-06 단국대학교 천안캠퍼스 산학협력단 흑삼 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주름의 예방 또는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박진주 저, 단국대학교 대학원 약학과 석사학위논문(2019.02.28.) 1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40562A (ko) 2020-12-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90068219A1 (en) Anti-wrinkle hormone-type cosmetic composition
US9044490B2 (en) Active ingredient obtained from Cichorium intybus for acting on the barrier function of the skin that is similar to that of vitamin D
US20130101689A1 (en) Composition containing paper mulberry extracts
CN109223677B (zh) 一种薏米水解物、其制备方法及其在化妆品中的应用
EP3442662B1 (en) Method of improving the appearance of periorbital dyschromia
CN114376949B (zh) 一种精华面膜及其制备方法和应用
Xie et al. A new product of multi‐plant extracts improved skin photoaging: An oral intake in vivo study
CN113662900A (zh) 一种具有舒缓修复及提亮皮肤功效的组合物及制备方法和应用
CN112236201B (zh) 红木(bixa orellana)提取物的用途
KR102207684B1 (ko) 흑삼 발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미백용 화장품 조성물
CN113081874A (zh) 一种基于肤质的个性化美容方法
KR101738339B1 (ko) 한약재 혼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노화 및 주름 개선용 조성물
US11648196B2 (en) Active ingredient including a black oat extract and a spiny restharrow extract and cosmetic uses, in particular anti-graying
KR102433733B1 (ko) 쑥부쟁이 유래 캘러스 추출물 및 그 배양액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
KR102206595B1 (ko) 피부노화방지 및 피부주름개선용 메셈브리안테뭄속 아이스플랜트와 콜라겐의 혼합 발효물, 발효 용해물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CN107184451A (zh) 一种控油紧致面膜
CN107095804A (zh) 一种茶籽萃取油润肤霜及其制备方法
KR101738340B1 (ko) 황련 및 괄루인 혼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노화 및 주름 개선용 조성물
EP3270942B1 (en) Use of hylocereus undatus fruit extract as fluorescent colorant of skin
CN110327268A (zh) 组合物及其在制备抗衰老的个人护理产品中的应用
Harsojuwono et al. Assessing the effectiveness of turmeric and tamarind leaves extract cream as anti-aging in vivo
CN115969759B (zh) 光保护植物提取组合物及其应用
TWI788019B (zh) 果香菊萃取物用於製備調理肌膚的組合物之用途
KR102129585B1 (ko) 아토피성 피부염 개선제 조성물, 아토피 피부염 개선제 및 이의 제조방법
CN109069406A (zh) 改善眶周性色素异常的外观的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