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73623B1 - 다층구조의 회로를 포함하는 직물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다층구조의 회로를 포함하는 직물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73623B1
KR101373623B1 KR1020120078851A KR20120078851A KR101373623B1 KR 101373623 B1 KR101373623 B1 KR 101373623B1 KR 1020120078851 A KR1020120078851 A KR 1020120078851A KR 20120078851 A KR20120078851 A KR 20120078851A KR 101373623 B1 KR101373623 B1 KR 10137362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ductive pattern
pattern
conductive
insulating
circu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788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13164A (ko
Inventor
김영환
홍혁기
김동순
황태호
손재기
Original Assignee
전자부품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자부품연구원 filed Critical 전자부품연구원
Priority to KR10201200788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73623B1/ko
Priority to US13/918,401 priority patent/US20140020937A1/en
Publication of KR201400131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1316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736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7362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00Printed circuits
    • H05K1/02Details
    • H05K1/0296Conductive pattern lay-out details not covered by sub groups H05K1/02 - H05K1/0295
    • H05K1/0298Multilayer circuits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15/00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 D03D15/50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characterised by the properties of the yarns or threads
    • D03D15/533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characterised by the properties of the yarns or threads antistatic; electrically conductive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1/00Woven fabrics designed to make specified articles
    • D03D1/0082Fabrics for printed circuit boards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15/00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 D03D15/20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the fibres or filaments constituting the yarns or threads
    • D03D15/242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the fibres or filaments constituting the yarns or threads inorganic, e.g. basalt
    • D03D15/25Metal
    • D03D15/258Noble metal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15/00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 D03D15/20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the fibres or filaments constituting the yarns or threads
    • D03D15/283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the fibres or filaments constituting the yarns or threads synthetic polymer-based, e.g. polyamide or polyester fibre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00Printed circuits
    • H05K1/02Detail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00Printed circuits
    • H05K1/02Details
    • H05K1/03Use of materials for the substrate
    • H05K1/038Textile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3/00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printed circuits
    • H05K3/10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printed circuits in which conductive material is applied to the insulating support in such a manner as to form the desired conductive pattern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3/00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printed circuits
    • H05K3/46Manufacturing multilayer circuits
    • H05K3/4685Manufacturing of cross-over conductors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101/00Inorganic fibres
    • D10B2101/20Metallic fibres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331/00Fibres made from polymer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e.g. polycondensation products
    • D10B2331/30Fibres made from polymer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e.g. polycondensation products polycondensation products not covered by indexing codes D10B2331/02 - D10B2331/14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printed circuits covered by H05K1/00
    • H05K2201/01Dielectrics
    • H05K2201/0137Materials
    • H05K2201/0162Silicon containing polymer, e.g. silicone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printed circuits covered by H05K1/00
    • H05K2201/09Shape and layout
    • H05K2201/09209Shape and layout details of conductors
    • H05K2201/09218Conductive traces
    • H05K2201/09245Crossing layou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Production Of Multi-Layered Print Wiring Board (AREA)
  • Structure Of Printed Boards (AREA)

Abstract

신뢰성 높은 다층구조의 회로를 포함하는 직물 및 그 제조방법을 제안된다. 제안된 다층구조의 회로를 포함하는 직물은, 기재층, 기재층 상에 형성된 제1도전패턴, 제1도전패턴과 적어도 일부가 교차되도록 형성되는 제2도전패턴 및 제1도전패턴의 제2도전패턴과 교차되는 영역인 교차부 상에 형성된 절연패턴을 포함한다.

Description

다층구조의 회로를 포함하는 직물 및 그 제조방법{Fabrics with multi-layered circuit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다층구조의 회로를 포함하는 직물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신뢰성 높은 다층구조의 회로를 포함하는 직물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현재, 의복은 단순히 인체를 보호하기 위한 목적으로만 착용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기능이 부여되어 여러가지 기능을 이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야외에서 활동하는 사람에게 이용되는 경우, 의복의 내부에 온도센서나 습도센서를 부착시키고 소정의 온도 또는 습도가 되면 의복 착용자에게 이를 알려 적정수준의 온도나 습도를 맞출 수 있게 한다.
이와 같이 의복에 센서를 부착시키는 경우, 센서에서 센싱한 데이터를 처리하는 프로세서, 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 또는 외부와의 통신모듈 등이 함께 의복에 부착되어야 한다. 이 때, 이들 복수의 모듈은 금속배선으로 서로 연결되어야 하는데, 센서가 여러 개인 경우와 같이 의복에 여러 회로가 서로 독립적으로 형성되어야 하는 경우에는 면적이 한정된 의복에 회로배선이 용이하지 않은 경우가 있다.
따라서, 의복과 같이 면적이 한정된 공간에 회로배선을 효율적으로 하기 위한 방법의 개발이 요청된다.
공개특허공보 제10-2009-0111651호(2009.10.27.) 공개특허공보 제10-2008-0043730호(2008.05.19.) 공개특허공보 제10-2013-0036845호(2013.04.15.) 공개특허공보 제10-2008-0093856호(2008.10.22)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신뢰성 높은 다층구조의 회로를 포함하는 직물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이상과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다층구조의 회로를 포함하는 직물은, 기재층; 기재층 상에 형성된 제1도전패턴; 제1도전패턴과 적어도 일부가 교차되도록 형성되는 제2도전패턴; 및 제1도전패턴의 제2도전패턴과 교차되는 영역인 교차부 상에 형성된 절연패턴;을 포함한다.
제1도전패턴 및 제2도전패턴은 은(Ag)을 포함할 수 있고, 절연패턴은 실리콘계 수지를 포함할 수 있다.
절연패턴은 제1도전패턴의 폭보다 넓은 폭으로 제1도전패턴을 덮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1도전패턴 및 제2도전패턴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는데, 교차부에 형성되어 제1도전패턴 및 제2도전패턴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비아홀을 통해 서로 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기재층 상에 제1도전패턴을 형성하는 단계; 제1도전패턴의 소정영역 상에 절연패턴을 형성하는 단계; 및 절연패턴에서 제1도전패턴과 교차되도록 제2도전패턴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다층구조의 회로를 포함하는 직물 제조방법이 제공된다. 절연패턴을 형성한 후에는 절연패턴을 건조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다층구조의 회로를 포함하는 직물을 이용하면, 한정된 공간에서 다양한 모듈의 배선이 효율적으로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단순한 공정으로 직물 상에 회로 배선시 원하는 대로 전기적으로 분리하거나 연결시킬 수 있으면서도 신뢰성 높은 기능성 직물을 제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a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다층구조의 회로를 포함하는 직물의 사시도이고, 도 1b는 도 1a의 A-A'의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다층구조의 회로를 포함하는 직물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또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다층구조의 회로를 포함하는 직물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a 및 도 4b는 각각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들에 따른 다층구조의 회로를 포함하는 직물의 단면도들이다.
도 5a 내지 도 5c는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다층구조의 회로를 포함하는 직물 제조방법의 설명에 제공되는 도면들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여러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이하 설명하는 실시형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첨부된 도면에서 특정 패턴을 갖도록 도시되거나 소정두께를 갖는 구성요소가 있을 수 있으나, 이는 설명 또는 구별의 편의를 위한 것이므로 특정패턴 및 소정두께를 갖는다고 하여도 본 발명이 도시된 구성요소에 대한 특징만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a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다층구조의 회로를 포함하는 직물의 사시도이고, 도 1b는 도 1a의 A-A'의 단면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다층구조의 회로를 포함하는 직물(100)은 기재층(110); 기재층(110) 상에 형성된 제1도전패턴(120); 제1도전패턴(120)과 적어도 일부가 교차되도록 형성되는 제2도전패턴(130); 및 제1도전패턴(120)의 제2도전패턴(130)과 교차되는 영역인 교차부(B) 상에 형성된 절연패턴(140);을 포함한다. 첨부된 도면에서, 제1도전패턴, 제2도전패턴 및 절연패턴은 도시의 편의상 그 두께가 없는 것으로 도시된다.
기재층(110)은 도전패턴들이 형성되는 기판에 상응하는 층으로서, 본 발명에서 기재층(110)은 특히 직물일 수 있다. 직물은 그 특성상 플렉서블하고 부도전성을 나타낸다.
기재층(110) 상에는 다층구조의 회로가 형성될 수 있다. 회로는 도 1a에서와 같이 적어도 2종 이상의 도전패턴을 포함한다. 특히, 도 1a에서와 같이 회로는 서로 교차되는 제1도전패턴(120) 및 제2도전패턴(130)을 포함하며, 그에 따라 본 발명의 기재층(110) 상에는 2층 이상의 도전패턴이 형성될 수 있다. 첨부된 도면들에서는 도전패턴이 2종으로 2층의 회로가 도시되어 있으나 이는 예시일 뿐 3층 이상의 회로를 포함하는 직물 또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본 발명을 적용할 수 있을 것이다.
제1도전패턴(120) 및 제2도전패턴(130)은 적어도 일부가 교차된다. 도 1b에서, 제1도전패턴(120) 및 제2도전패턴(130)의 교차되는 영역은 교차부(B)로서 표시되어 있다.
다층구조의 회로의 경우, 2이상의 배선패턴을 포함하므로 교차부(B)와 같이 배선패턴이 수직적으로 겹치는 영역이 존재할 수 있다. 특히 기재층(110)이 의복에 사용되는 직물인 경우에는 한정된 영역을 갖고 인체의 형상에 따라 형성되는 의복의 특성상 배선패턴이 형성될 공간이 제한되어 있으므로 교차부(B)가 형성된다.
교차부(B)는 2이상의 도전성 패턴이 겹치는 부분이므로 신호라인과 같이 겹쳐야 하는 경우라면 도전패턴이 겹쳐서 형성될 수도 있으나, 이와 달리 서로 다른 모듈을 구성하는 회로의 일부인 경우에는 서로 겹치지 않아야 한다. 따라서 교차부(B)에서는 제1도전패턴(120) 및 제2도전패턴(130)이 서로 전기적으로 분리될 필요가 있다.
따라서, 제1도전패턴(120)의 제2도전패턴(130)과 교차되는 영역인 교차부(B) 상에는 절연패턴(140)이 형성된다. 도 1a에서 절연패턴(140)은 제1도전패턴(120)을 덮을 수 있도록 제1도전패턴(120)의 폭보다 넓은 폭으로 형성되어 제1도전패턴(120)이 제2도전패턴(130)과 전기적으로 절연되도록 한다. 절연패턴(140)은 제1도전패턴(120)의 말단에는 형성되지 않을 수 있는데, 그에 따라 제1도전패턴(120)은 절연패턴(140)이 형성되지 않은 말단이 다른 배선패턴과 연결되거나 모듈과 연결되거나 배터리 등과 같이 다른 부품 및 배선과 연결될 수 있다.
제1도전패턴 및 제2도전패턴은 은(Ag)과 같이 전도성이 뛰어난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절연패턴으로는 전기적으로 절연성을 갖는 물질이 사용될 수 있는데, 실리콘계 수지와 같이 레진을 사용하면 미세한 배선패턴을 덮을 수 있도록 프린팅하는 것이 용이하다. 실리콘계 수지는 기재층(110) 상에도 프린팅될 수 있는데, 프린팅된 실리콘계 수지 상에 도전패턴을 형성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다층구조의 회로를 포함하는 직물의 사시도이다. 본 실시예에서 다층구조의 회로를 포함하는 직물(200)은 기재층(210), 제1도전패턴(220), 제2도전패턴(230) 및 절연패턴(240)을 포함한다. 도 2에서 기재층(210), 제1도전패턴(220), 제2도전패턴(230) 및 절연패턴(240)에 대한 설명 중 도 1과 관련하여 설명한 내용은 이를 생략하기로 한다.
도 2에서, 절연패턴(240)은 제1도전패턴(220) 및 제2도전패턴(230)의 교차되는 영역에 형성되어 있다. 제1도전패턴의 말단만을 남기고 제1도전패턴을 모두 덮는 도 1의 절연패턴(140)과는 달리, 도 2의 절연패턴(240)은 제1도전패턴(220) 및 제2도전패턴(230)의 교차되는 영역을 덮도록 형성되어 있다. 절연패턴(240)은 제1도전패턴(220) 및 제2도전패턴(230)이 수직적으로 교차되는 영역에 대응하는 제1도전패턴(220) 상에 형성된다. 절연패턴(240)은 제1도전패턴(220) 및 제2도전패턴(230)의 교차되는 영역과 일치하도록 형성될 수 있으나 공정상의 용이성이나 신뢰성의 문제를 고려하여 제1도전패턴(220) 및 제2도전패턴(230)의 교차되는 영역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그에 따라, 도 1b에서와 같이 절연패턴(140)은 제1도전패턴(120)의 측면을 완전히 덮도록 형성되어 회로배선의 신뢰성을 더욱 높일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또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다층구조의 회로를 포함하는 직물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에서 세로방향의 배선이 제1도전패턴에 대응하고, 가로방향의 배선이 제2도전패턴에 대응한다. 세로방향의 제1도전패턴 상에는 절연패턴이 형성되어 있고, 그 상부에 가로방향의 제2도전패턴이 형성되어 있다.
도 4a 및 도 4b는 각각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들에 따른 다층구조의 회로를 포함하는 직물의 단면도들이다. 본 실시예에서 다층구조의 회로를 포함하는 직물(400, 401)은 기재층(410, 411), 제1도전패턴(420, 421), 제2도전패턴(430, 431) 및 절연패턴(440, 441)을 포함한다. 도 4a 및 도 4b에서 기재층(410, 411), 제1도전패턴(420, 421), 제2도전패턴(430, 431) 및 절연패턴(440, 441)에 대한 설명 중 도 1과 관련하여 설명한 내용은 이를 생략하기로 한다.
도 4a에서 제1도전패턴(420) 및 제2도전패턴(430)은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제1도전패턴(420) 및 제2도전패턴(430)은 서로 교차되는 교차부에 형성되는 비아홀(450)을 통해 서로 연결될 수 있다.
비아홀(450)은 제1도전패턴(420)이 형성된 후, 절연패턴(440)을 형성할 때 절연패턴(440)에 비아홀(450) 형태의 관통공을 형성할 수 있는 마스크를 적용하여 절연패턴(440)을 형성한 후, 형성된 관통공에 금속 등의 도전성 물질을 충전하여 형성할 수 있다. 이와 달리, 도 4b의 경우, 절연패턴(441)에 형성된 관통공을 제2도전패턴(431)을 덮어 비아홀(451)을 형성할 수 있다. 도 4a의 비아홀(450)은 비아홀의 도전성 재료를 특히 제2도전패턴(430)과 상이한 물질로 형성하고자 하는 경우 별도 공정으로 제2도전패턴(430)과 상이한 물질로 충전하여 형성할 수 있고, 도 4b의 경우 비아홀(451)의 도전성 물질이 제2도전패턴(431)과 동일한 물질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한 경우나 절연패턴(441)의 높이가 높지 않아 제2도전패턴(431)의 패턴형성 후에도 비아홀(451)로 인한 높이 차이가 문제되지 않는 경우에 적용가능하다.
도 5a 내지 도 5c는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다층구조의 회로를 포함하는 직물 제조방법의 설명에 제공되는 도면들이다.
본 실시예에 따라 다층구조의 회로를 포함하는 직물을 제조하는 방법은 기재층(510) 상에 먼저 제1도전패턴(520)을 형성한다(도 5a). 도전패턴은 예를 들어 도전성 물질을 포함하는 도전성 페이스트를 원하는 영역에 프린트하여 형성할 수 있다.
제1도전패턴(520)의 소정영역 상에 절연패턴(540)을 형성하고, 절연패턴(540)은 완전히 건조시켜 제2도전패턴(530)이 그 상부에 잘 형성될 수 있도록 한다(도 5b). 절연패턴(540)은 제1도전패턴(520) 중 제2도전패턴(530)과 교차가능성 있는 영역(521)을 덮을 수 있도록 형성한다. 절연패턴(540)은 실리콘계 수지와 같은 레진인 경우, 원하는 형태로 마스크를 형성하고 레진을 프린트한 후 마스크를 제거하여 형성할 수 있다.
그 후, 절연패턴(540) 상에 하부에 위치하는 제1도전패턴(520)과 제2도전패턴(530)이 교차할 수 있도록 제2도전패턴(530)을 형성하여 다층구조의 회로를 포함하는 직물(500)을 제조한다(도 5c).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형태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해석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대하여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형태의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은 당해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할 것이다.
100, 200, 400, 401, 500 다층구조의 회로를 포함하는 직물
110, 210, 410, 510 기재층
120, 220, 420, 520 제1도전패턴
130, 230, 430, 530 제2도전패턴
140, 240, 440, 540 절연패턴
450, 451 비아홀
B 교차부

Claims (8)

  1. 기재층;
    상기 기재층 상에 형성된 제1도전패턴;
    상기 제1도전패턴과 적어도 일부가 교차되도록 형성되는 제2도전패턴; 및
    상기 제1도전패턴의 상기 제2도전패턴과 교차되는 영역인 교차부 상에 형성된 절연패턴;을 포함하고,
    상기 절연패턴은,
    상기 제1도전패턴의 일부 영역과 상기 제2도전패턴의 일부 영역에만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층구조의 회로를 포함하는 직물.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도전패턴 및 상기 제2도전패턴은 은(Ag)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층구조의 회로를 포함하는 직물.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절연패턴은 실리콘계 수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층구조의 회로를 포함하는 직물.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절연패턴은 상기 제1도전패턴의 폭보다 넓은 폭으로 상기 제1도전패턴을 덮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층구조의 회로를 포함하는 직물.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도전패턴 및 상기 제2도전패턴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층구조의 회로를 포함하는 직물.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교차부에 형성되어 상기 제1도전패턴 및 상기 제2도전패턴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비아홀;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층구조의 회로를 포함하는 직물.
  7. 기재층 상에 제1도전패턴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제1도전패턴의 소정영역 상에 절연패턴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절연패턴에서 상기 제1도전패턴과 교차되도록 제2도전패턴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다층구조의 회로를 포함하는 직물 제조방법.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절연패턴을 형성한 후 상기 절연패턴을 건조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층구조의 회로를 포함하는 직물 제조방법.
KR1020120078851A 2012-07-19 2012-07-19 다층구조의 회로를 포함하는 직물 및 그 제조방법 KR101373623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78851A KR101373623B1 (ko) 2012-07-19 2012-07-19 다층구조의 회로를 포함하는 직물 및 그 제조방법
US13/918,401 US20140020937A1 (en) 2012-07-19 2013-06-14 Fabrics with multi-layered circuit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78851A KR101373623B1 (ko) 2012-07-19 2012-07-19 다층구조의 회로를 포함하는 직물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13164A KR20140013164A (ko) 2014-02-05
KR101373623B1 true KR101373623B1 (ko) 2014-03-13

Family

ID=499455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78851A KR101373623B1 (ko) 2012-07-19 2012-07-19 다층구조의 회로를 포함하는 직물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20140020937A1 (ko)
KR (1) KR10137362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96259B1 (ko) * 2012-10-08 2019-10-01 엘지전자 주식회사 직물인쇄회로의 제조 방법 및 상기 직물인쇄회로를 구비하는 전자 기기
CN106102303B (zh) * 2016-06-28 2019-09-13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Pcb板及具有其的移动终端
TWI635812B (zh) * 2017-05-26 2018-09-21 Taiwan Textile Research Institute 織物模組及其製作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261182A (ja) * 1998-03-13 1999-09-24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回路基板とその製造方法
KR20080043730A (ko) * 2006-11-14 2008-05-19 코오롱글로텍주식회사 전도성 원단 및 이의 제조방법
KR20090111651A (ko) * 2008-04-22 2009-10-27 한국과학기술원 직물형 인쇄회로기판을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제조방법
KR101092645B1 (ko) 2009-02-27 2011-12-13 코오롱글로텍주식회사 다층구조를 가지는 전자 원단 및 이의 제조방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592276B2 (en) * 2002-05-10 2009-09-22 Sarnoff Corporation Woven electronic textile, yarn and article
US7056571B2 (en) * 2002-12-24 2006-06-06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Wiring board and its production process
US20100157180A1 (en) * 2004-01-28 2010-06-24 Kent Displays Incorporated Liquid crystal display
US20090321123A1 (en) * 2006-08-03 2009-12-31 BASF SE Patents, Trademarks and Lincenses Method for producing structured electrically conductive surfaces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261182A (ja) * 1998-03-13 1999-09-24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回路基板とその製造方法
KR20080043730A (ko) * 2006-11-14 2008-05-19 코오롱글로텍주식회사 전도성 원단 및 이의 제조방법
KR20090111651A (ko) * 2008-04-22 2009-10-27 한국과학기술원 직물형 인쇄회로기판을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제조방법
KR101092645B1 (ko) 2009-02-27 2011-12-13 코오롱글로텍주식회사 다층구조를 가지는 전자 원단 및 이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40020937A1 (en) 2014-01-23
KR20140013164A (ko) 2014-02-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790558B2 (ja) 配線回路基板の製造方法
WO2009045888A3 (en) Printed circuit board coil
CN104349575B (zh) 柔性电路板及其制作方法
CN105744719B (zh) 多层式电路板
TWI453677B (zh) 射頻識別標籤與具有其之衣物
WO2008044167A3 (en) Textile for connection of electronic devices
JP2015082644A (ja) フレックスリジッド配線板及びフレックスリジッド配線板の製造方法
KR101373623B1 (ko) 다층구조의 회로를 포함하는 직물 및 그 제조방법
US9784626B2 (en) Pressure array sensor modul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KR101860735B1 (ko) 배선 기판
US9786589B2 (en) Method for manufacturing package structure
JP2015082645A (ja) フレックスリジッド配線板及びフレックスリジッド配線板の製造方法
JP2010050298A5 (ko)
TWI536879B (zh) 軟性電路板及其製造方法
WO2008044202A3 (en) Textile for connection of electronic devices
JP2007129197A (ja) 共通結合領域を持つ埋め込みキャパシタデバイス
KR101293017B1 (ko) 베젤의 폭을 줄인 터치 패널
TWI651026B (zh) 指紋感測器用佈線基板
TWI463927B (zh) 透明印刷電路板
US10709019B1 (en) Printed circuit board connection for integrated circuits using two routing layers
KR101352519B1 (ko) 연성인쇄회로 및 이의 제조 방법
CN105789190B (zh) 一种集成芯片、集成芯片系统和集成芯片的生产方法
US11631934B2 (en) Integrated NFC antenna in touch layer
CN107958875A (zh) 半导体装置以及布线基板的设计方法
KR20140060115A (ko) 인쇄회로기판 및 인쇄회로기판 제조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0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04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