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73618B1 - 벽걸이형 드럼세탁기의 거치불량 감지 장치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벽걸이형 드럼세탁기의 거치불량 감지 장치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73618B1
KR101373618B1 KR1020120101978A KR20120101978A KR101373618B1 KR 101373618 B1 KR101373618 B1 KR 101373618B1 KR 1020120101978 A KR1020120101978 A KR 1020120101978A KR 20120101978 A KR20120101978 A KR 20120101978A KR 101373618 B1 KR101373618 B1 KR 10137361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ll
rear panel
washing machine
drum washing
tub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019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112666A (ko
Inventor
이주동
황의근
이재민
Original Assignee
동부대우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부대우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동부대우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US14/019,500 priority Critical patent/US10190247B2/en
Priority to CN201310415147.2A priority patent/CN103668857B/zh
Priority to EP13184078.7A priority patent/EP2708626A3/en
Publication of KR201301126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1266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736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7361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3/00Control of operations performed in washing machines or washer-dryers 
    • D06F33/30Control of washing machine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or target of the control 
    • D06F33/47Responding to irregular working conditions, e.g. malfunctioning of pump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4/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34/04Signal transfer or data transmission arrangements
    • D06F34/05Signal transfer or data transmission arrangements for wireless communication between components, e.g. for remote monitoring or control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4/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34/14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measuring specific parameters
    • D06F34/20Parameters relating to constructional components, e.g. door sensor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20Mountings, e.g. resilient mountings, for the rotary receptacle, motor, tub or casing; Preventing or damping vibrations
    • D06F37/206Mounting of motor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20Mountings, e.g. resilient mountings, for the rotary receptacle, motor, tub or casing; Preventing or damping vibrations
    • D06F37/22Mountings, e.g. resilient mountings, for the rotary receptacle, motor, tub or casing; Preventing or damping vibrations in machines with a receptacle rotating or oscillating about a horizontal axi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30Driving arrangemen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42Safety arrangements, e.g. for stopping rotation of the receptacle upon opening of the casing door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12Casings; Tub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5/00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mechanical techniques
    • G01B5/24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mechanical techniques for measuring angles or tapers; for testing the alignment of ax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PMEASURING LINEAR OR ANGULAR SPEED, ACCELERATION, DECELERATION, OR SHOCK; INDICATING PRESENCE, ABSENCE, OR DIRECTION, OF MOVEMENT
    • G01P15/00Measuring acceleration; Measuring deceleration; Measuring shock, i.e. sudden change of acceleration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3/00Parameters monitored or detected for the control of domestic laundry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3/18Washing liquid level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3/00Parameters monitored or detected for the control of domestic laundry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3/26Unbalance; Noise level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5/00Systems or parameters controlled or affected by the control systems of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5/58Indications or alarms to the control system or to the user
    • D06F2105/60Audible signal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5/00Systems or parameters controlled or affected by the control systems of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5/62Stopping or disabling machine operation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02Rotary receptacles, e.g. drum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26Casings; Tubs
    • D06F37/267Tubs specially adapted for mounting thereto components or devices not provided for in preceding subgroup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12Casings; Tubs
    • D06F39/14Doors or covers; Securing means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ain Body Construction Of Washing Machines And Laundry Dryers (AREA)
  • Detail Structures Of Washing Machines And Dryers (AREA)
  • Control Of Washing Machine And Dryer (AREA)
  • Accessory Of Washing/Drying Machine, Commercial Washing/Drying Machine, Other Washing/Drying Machin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관통홀부와 벽면 사이에 완충부재가 개재되고 상기 관통홀부를 통해 상기 체결부재가 삽입되어 벽면에 거치되는 배면패널과, 세탁수가 담수되고 상기 배면패널에 지지되는 터브와, 상기 배면패널에 결합되고 상기 터브를 감싸는 박스부,를 포함하는 벽걸이형 드럼세탁기에 있어서, 상기 배면패널과 벽면간의 접촉상태를 센싱하는 센서; 상기 센싱된 접촉상태를 기반으로 상기 드럼세탁기의 거치불량을 판단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의 판단 결과에 따라 전원공급을 단속하는 전원공급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벽걸이형 드럼세탁기의 거치불량 감지 장치 및 그 방법{SENSING APPARATUS FOR INSTALLATION DEFECT OF WALL MOUNTED DRUM TYPE WASHING MACHINE AND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벽걸이형 드럼세탁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벽면에 거치된 벽걸이형 드럼세탁기의 거치 상태를 감지하여 낙하로 인한 사고를 미연에 방지하도록 하는 벽걸이형 드럼세탁기의 거치불량 감지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벽걸이형 드럼세탁기는, 캐비닛과, 캐비닛 내부에 유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세탁수가 담수되는 터브와, 터브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세탁물이 수납되는 드럼과, 드럼에 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부와, 터브에 세탁수를 공급하는 급수장치와, 터브로부터 세탁수를 캐비닛 외부로 배출하는 배수장치를 포함한다.
사용자가 드럼 내부에 세탁물을 수납한 후에 세탁작동을 개시하면, 급수장치의 작동에 의해 터브 및 드럼 내부에 세탁수가 공급되고, 구동부의 작동에 의해 드럼이 회전되면서 세탁작동이 개시된다.
세탁작동이 종료된 후에는 배수장치의 작동에 의해 터브 및 드럼 내부에 담수되었던 세탁수가 배수장치를 통해 캐비닛 외부로 배출된다.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1-0023877호(2011년 3월 8일 공개, 발명의 명칭 : 커버 일체형 구조의 스테이터를 포함하는 드럼세탁기의 직결형 구동장치)에 개시되어 있다.
일반적인 드럼세탁기는 캐비닛 내부에 터브가 유동 가능하게 설치되기 때문에 세탁작동 중에 터브가 유동되면서 진동이 발생되어, 드럼세탁기의 설치위치를 바닥면에 설치하여야 하므로 드럼세탁기의 설치위치를 다양하게 변경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이를 개선할 필요성이 요청된다.
본 발명은 드럼세탁기를 벽면에 거치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되, 벽면 설치시 거치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았거나 세탁작동 중에 발생되는 진동으로 인해 거치 상태에 이상이 생긴 경우, 이를 감지하여 즉시 통보하도록 하는 벽걸이형 드럼세탁기의 거치불량 감지 장치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벽걸이형 드럼세탁기의 거치불량 감지장치는, 관통홀부와 벽면 사이에 완충부재가 개재되고 상기 관통홀부를 통해 상기 체결부재가 삽입되어 벽면에 거치되는 배면패널과, 세탁수가 담수되고 상기 배면패널에 지지되는 터브와, 상기 배면패널에 결합되고 상기 터브를 감싸는 박스부,를 포함하는 벽걸이형 드럼세탁기에 있어서, 상기 배면패널과 벽면간의 접촉상태를 센싱하는 센서; 상기 센싱된 접촉상태를 기반으로 상기 드럼세탁기의 거치불량을 판단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의 판단 결과에 따라 전원공급을 단속하는 전원공급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센서는, 상기 배면패널을 벽면에 고정시키기 위한 체결부재와 결합되는 너트부재가 풀림 이동됨에 따른 상기 배면패널과 벽면간의 접촉상태를 센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센서는, 상기 완충부재와 상기 벽면간의 접촉상태를 센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 제어부의 판단 결과에 따라 경고음 출력하는 경고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 제어부의 판단 결과에 따라 기저장된 연락처로 문자를 전송하는 문자전송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벽걸이형 드럼세탁기의 거치불량 감지방법은, 관통홀부와 벽면 사이에 완충부재가 개재되고 상기 관통홀부를 통해 상기 체결부재가 삽입되어 벽면에 거치되는 배면패널과, 세탁수가 담수되고 상기 배면패널에 지지되는 터브와, 상기 배면패널에 결합되고 상기 터브를 감싸는 박스부,를 포함하는 벽걸이형 드럼세탁기의 거치불량 감지방법에 있어서, 제어부가 벽면에 거치된 드럼세탁기의 배면패널에 구비된 센서로부터 상기 배면패널과 벽면간의 접촉상태를 입력받는 단계; 상기 입력된 접촉상태로부터 상기 배면패널과 벽면 간 접촉이 해제되었는지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배면패널과 벽면 간 접촉이 해제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드럼세탁기의 전원공급을 중단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센서는 상기 배면패널을 벽면에 고정시키기 위한 체결부재와 결합되는 너트부재가 풀림 이동됨에 따른 상기 배면패널이 벽면간의 접촉상태를 센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센서는, 상기 완충부재와 상기 벽면간의 접촉상태를 센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배면패널과 벽면 간 접촉이 해제된 것으로 판단되면, 경고음을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배면패널과 벽면 간 접촉이 해제된 것으로 판단되면, 기저장된 연락처로 문자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드럼세탁기를 벽면에 거치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되, 벽면 설치시 거치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았거나 세탁작동 중에 발생되는 진동으로 인해 거치 상태에 이상이 생긴 경우, 이를 감지하고 전원을 오프하여 사고 위험을 방지하고 사용자 및 설치기사에게 즉시 통보함에 따라 낙하 및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즉각적인 대응이 가능하도록 하여 제품 신뢰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벽걸이형 드럼세탁기가 도시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벽걸이형 드럼세탁기가 도시된 배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벽걸이형 드럼세탁기가 도시된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벽걸이형 드럼세탁기가 도시된 배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벽걸이형 드럼세탁기가 도시된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벽걸이형 드럼세탁기의 탄력조립부가 도시된 작동 상태도이다.
도 7은 도 5에 도시된 A부 확대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벽걸이형 드럼세탁기의 장착구조가 도시된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벽걸이형 드럼세탁기의 전면패널 장착구조가 도시된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벽걸이형 드럼세탁기의 수위감지센서 장착구조 및 배수부가 도시된 사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벽걸이형 드럼세탁기의 배수부가 도시된 단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벽걸이형 드럼세탁기의 배면패널이 도시된 배면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벽걸이형 드럼세탁기의 도어 개방상태가 도시된 사시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벽걸이형 드럼세탁기의 박스부 장착구조가 도시된 분해 사시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벽걸이형 드럼세탁기의 가이드돌기와 가이드홈부의 연결구조가 도시된 단면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벽걸이형 드럼세탁기의 우회부가 도시된 사시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벽걸이형 드럼세탁기의 우회부가 구비되는 전면패널이 도시된 사시도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벽걸이형 드럼세탁기의 세제함 장착구조가 도시된 단면도이다.
도 1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벽걸이형 드럼세탁기의 유연제함 장착구조가 도시된 단면도이다.
도 2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벽걸이형 드럼세탁기의 세제함 장착구조가 도시된 분해 사시도이다.
도 2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벽걸이형 드럼세탁기의 유연제함 장착구조가 도시된 분해 사시도이다.
도 2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벽걸이형 드럼세탁기의 세제함 장착구조가 도시된 확대 단면도이다.
도 2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벽걸이형 드럼세탁기의 유연제함 장착구조가 도시된 확대 단면도이다.
도 2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벽걸이형 드럼세탁기의 오조립방지부가 도시된 도면이다.
도 2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벽걸이형 드럼세탁기의 넘침방지부가 도시된 단면도이다.
도 2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벽걸이형 드럼세탁기의 드럼이 도시된 정면 사시도이다.
도 2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벽걸이형 드럼세탁기의 드럼이 도시된 배면 사시도이다.
도 2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벽걸이형 드럼세탁기의 드럼이 도시된 단면도이다.
도 2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벽걸이형 드럼세탁기의 거치불량 감지 장치가 도시된 블록구성도이다.
도 3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벽걸이형 드럼세탁기의 거치불량 감지 장치에서 센서가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3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벽걸이형 드럼세탁기의 거치불량 감지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벽걸이형 드럼세탁기의 거치불량 감지 장치 및 그 방법의 일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러한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써,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벽걸이형 드럼세탁기가 도시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벽걸이형 드럼세탁기가 도시된 배면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벽걸이형 드럼세탁기가 도시된 분해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벽걸이형 드럼세탁기가 도시된 배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벽걸이형 드럼세탁기는, 벽면에 거치되는 배면패널(10)과, 세탁수가 담수되고 배면패널(10)에 지지되는 터브(20)와, 터브(20)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세탁물이 수납되는 드럼(23)과, 드럼(23)을 회전시키는 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부(40)와, 터브(20)에 세탁수를 공급하는 급수장치(74, 74a)와, 터브(20)로부터 배출되는 세탁수를 외부로 배수하는 배수장치(75)를 포함한다.
터브(20)에는 개구부(53)가 형성되는 전면패널(50)이 설치되고, 배면패널(10)에는 터브(20)를 감싸는 박스부(30)가 설치된다.
박스부(30)의 전방에는 전면패널(50)을 감싸는 커버부(32)가 설치된다.
이처럼, 전면패널(50)이 커버부(32)에 의해 감싸여지고, 커버부(32)는 박스부(30)에 탄성 결합되면서 견고하게 고정되며, 박스부(30)는 벽면(W)에 거치되는 배면패널(10)에 체결부재 등을 통해 결합되므로, 종래와 같이 터브(20)의 전방부를 지지하는 댐퍼나 감쇠스프링을 별도로 구비할 필요 없이 터브(20) 전방부의 진동을 감쇠시키면서 지지할 수 있게 된다. 
커버부(32)에는 도어(60)가 개폐 가능하게 설치되고, 전면패널(50)에는 세제함(90) 및 유연제함(100)이 착탈 가능하게 설치된다.(도 17 참조)
사용자가 세탁작동을 행할 때에는 벽면(W : 도 8 참조)에 설치되는 드럼세탁기의 커버부(32)로부터 도어(60)를 개방하고, 드럼(23) 내부에 세탁물을 수납한다.
이후에 전면패널(50)에 장착된 세제함(90) 및 유연제함(100)을 분리하고, 세제와 섬유 유연제를 세제함(90)과 유연제함(100)에 각각 넣고 다시 세제함(90)과 유연제함(100)을 전면패널(50)에 삽입한다.
도어(60)를 닫고 조작부(21a)를 조작하면 급수장치(74, 74a)에 의해 터브(20) 내부에 세탁수가 공급되고, 구동부(40)에 전원이 인가되어 드럼(23)이 회전되면서 세탁작동이 개시된다.
세탁작동이 완료된 후에는 배수장치(75)의 작동에 따라 세탁수가 박스부(30) 외부로 배출된다.
본 실시예는 2~4kg 정도의 크기로 이루어지는 소형의 드럼(23)이 벽면에 거치되는 배면패널(10)에 설치되므로 세탁을 자주하게 되는 아기 옷, 속옷, 와이셔츠 등의 세탁물을 손쉽게 세탁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세탁물이 모아질 때까지 기다리지 않고 소량의 세탁물이 발생되더라도 세탁물이 발생되는 그 때 그 때마다 세탁수 및 전기량의 소비를 걱정하지 않고 부담 없이 세탁을 행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벽걸이형 드럼세탁기는, 배면패널(10)에 설치되는 제어블록(22)과, 제어블록(22)으로부터 배면패널(10) 외부로 연장되는 전원선(11a)과, 배면패널(10)의 배면에 구비되고 전원선(11a)을 배면패널(10) 외부로 안내하고 고정시키는 안내부(12)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의 배면패널(10)은 안내부(12)가 구비되므로 전원선(11a)이 배면패널(10)의 측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어 배면패널(10)을 벽면에 용이하게 거치하게 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벽걸이형 드럼세탁기의 전원선(11a)은, 배면패널(10)의 테두리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배면패널(10)에 형성되는 안내부(12)를 따라 고정되고, 배면패널(10)의 외측으로 드러나게 된다.
제어블록(22)으로부터 연장되는 전원선(11a)은 배면패널(10)을 관통하여 안내부(12) 측으로 연장된다.
본 실시예의 배면패널(10)에는 전원선(11a)이 통과되는 통과홀부(11)가 형성되고, 제어블록(22)은 배면패널(10)의 전면부(10a)에 설치된다.
제어블록(22)으로부터 연장되는 전원선(11a)은 통과홀부(11)를 통해 배면패널(10)의 배면 측으로 연장되고, 배면패널(10)의 배면에 구비되는 안내부(12)를 따라 배면패널(10)의 테두리 방향으로 안내된다.
따라서 전원선(11a)은 배면패널(10)의 측 방향 외측으로 드러나게 되므로 전원선(11a)이 드럼세탁기 외측으로 드러나게 되는 부위가 벽면(W)에 인접하게 배치되어 벽면(W)에 밀착되게 전원선(11a)을 배치시킬 수 있게 된다.
전원선(11a)은 배면패널(10)의 배면으로 연장된 후에, 배면패널(10)의 상측 또는 하측 외부로 드러나게 되므로 벽걸이형 드럼세탁기의 외관이 미려하게 마무리될 수 있다.
안내부(12)는, 통과홀부(11)를 통해 연장되는 전원선(11a)을 배면패널(10)의 일측으로 안내하고 고정하는 고정부(12a)를 포함한다.
고정부(12a)는 배면패널(10)의 배면에 형성되고, 전원선(11a)을 배면패널(10)과 벽면(W) 사이의 공간에 고정시킨다.
따라서 배면패널(10)의 배면으로 연장되는 전원선(11a)은 세탁작동 중에 발생되는 진동에 의해 유동되지 않고 일정한 위치에 배치된다.
배면패널(10)의 배면에는 복수 개의 보강리브(13c)가 형성되고, 배면패널의 중앙을 중심으로 하여 방사형으로 복수 개의 방사형리브(13)가 형성된다.
고정부(12a)는 방사형리브(13)의 일부분이 절개되어 이루어진다. 다수 개의 방사형리브(13)는 서로 간격을 유지한 채 배치되며, 전원선(11a)이 배치되는 공간을 형성하게 된다.
배면패널(10)은 사각 모양에 가까운 패널로 이루어지며, 모서리가 곡면부가 형성된다. 물론, 배면패널(10)은 원형 또는 타원형과 같이 다양한 모양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기한 배면패널(10)의 형상에 한정될 필요는 없다.
배면패널(10)의 테두리는 벽체 방향으로 굴곡되므로 배면패널(10)과 벽체 사이에는 공간이 형성된다.(도 2 참조)
이렇게 공간이 형성됨에 따라 다수 개의 보강리브(13c) 및 방사형리브(13)는 벽면(W)과 간섭되지 않은 채 배면패널(10)의 배면에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배면패널(10)은 보강리브(13c) 및 방사형리브(13)에 의해 강도가 보강되므로 드럼(23)의 회전에 의해 발생되는 진동에 의해 변형되거나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통과홀부(11)는 배면패널(10)의 하부에 형성되고, 방사형리브(13)가 절개되어 이루어지는 다수 개의 고정부(12a)가 전원선(11a)이 지나는 통로를 이루게 된다.
고정부(12a)는 전원선(11a)이 반원 모양에 가까운 곡선을 이루며 배면패널(10)의 상부로 연장될 수 있도록 다수 개가 연속하게 형성된다.
이와 같이 다수 개의 고정부(12a)가 간격을 유지하면서 배면패널(10)의 상단까지 배치됨에 따라, 고정부(12a)에 삽입되는 전원선(11a)을 배면패널(10)의 하단으로부터 상단까지 안내할 수 있게 된다.
복수 개의 방사형리브(13) 사이에는 설치홀부(13a)가 형성되고, 전원선(11a)에 권취되는 케이블부재(13b)는 체결부재에 의해 설치홀부(13a)에 고정된다.
케이블부재(13b)는 외력에 의해 성형된 모양을 그대로 유지하는 철사 또는 이와 그 성질이 유사한 부재이다.
따라서 케이블부재(13b)로 전원선(11a)을 감싸고, 케이블부재(13b)를 설치홀부(13a)에 체결부재로 고정시키면 전원선(11a)이 고정부(12a) 외부로 유동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배면패널(10)의 테두리에는 고정부(12a)를 따라 안내되는 전원선(11a)이 배면패널(10)의 상측 외부로 드러나도록 제1관통홈부(12b)가 형성된다.
따라서 전원선(11a)은 제1관통홈부(12b)를 통해 배면패널(10)의 상측 외부로 드러나게 된다.
배면패널(10)의 하부 테두리에는 통과홀부(11)로부터 연장되는 전원선(11a)이 배면패널(10)의 하측 외부로 드러나도록 제2관통홈부(12c)가 형성된다.
따라서 전원선(11a)을 배면패널(10)의 하측으로 연장시킬 때에는 전원선(11a)이 제2관통홈부(12c)를 통해 배면패널(10)의 외부로 드러나게 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벽걸이형 드럼세탁기가 도시된 단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벽걸이형 드럼세탁기의 탄력조립부가 도시된 작동 상태도이고, 도 7은 도 5에 도시된 A부 확대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벽걸이형 드럼세탁기의 장착구조가 도시된 단면도이다.
도 5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벽걸이형 드럼세탁기는, 터브(20)와 배면패널(10)을 연결하고, 터브(20)를 감싸는 보강부(14)를 포함한다.
배면패널(10)은 패널 모양으로 형성되어 벽면(W)에 거치되고, 배면패널(10)의 전면부(10a)로부터 전방으로 돌출되도록 원통 모양의 터브(20)가 형성된다.
터브(20)와 배면패널(10)의 연결부위에는 보강부(14)가 링 모양으로 터브(20)의 내측 단부를 감싸게 된다.
보강부(14)가 터브(20)의 내측 단부를 감싸므로 터브(20)와 배면패널(10) 사이의 연결부위에 가해지는 하중이 분산된다.
따라서 터브(20)의 내측 단부에 변형이 발생되거나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배면패널(10)의 배면에는 복수 개의 방사형리브(13) 및 보강리브(13c)가 형성되므로 배면패널(10)의 강도가 향상된다. 따라서 배면패널(10)의 변형 또는 파손을 방지하게 된다.
보강부(14)는 보강리브(13c)와 일체로 형성되므로 보강부(14)는 터브(20)의 내측 단부의 변형을 방지하고, 보강리브(13c)는 배면패널(10)의 변형을 방지한다.
따라서 터브(20)와 배면패널(10) 사이의 연결부위 강도가 향상된다.
터브(20)는 배면패널(10)로부터 전방으로 돌출되게 형성되고, 보강리브(13)는 배면패널(10)로부터 후방으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보강부(14)는 배면패널(10)로부터 전방으로 돌출되고 터브(20)에 일체로 연결되므로, 터브(20)의 내측 단부를 감쌀 수 있게 되고, 전면부(10a)와 비교하여 돌출된 위치에서 터브(20)와 배면패널(10)을 연결하게 된다.
보강부(14)의 상단은 굴곡되어 터브(20)에 일체로 연결된다. 보강부(14)의 상단이 굴곡됨에 따라 보강부(14)의 하부와 터브(20) 사이에는 공간부(14a)가 형성된다.
또한, 보강부(14)의 전방 측 단부와 배면패널(10)의 전면부(10a) 사이는 계단 모양으로 이루어지게 된다.
따라서 배면패널(10)의 전면부(10a) 측에 배치되는 제1금형(K1)과, 배면패널(10)의 배면 측에 배치되는 제2금형(K2)과, 배면패널(10) 및 터브(20)의 측면에 배치되는 제3금형(K3)을 사용하여 터브(20)가 일체로 형성되는 배면패널(10)을 제작할 수 있게 된다.(도 11 참조)
상기한 바와 같은 금형공정에 의해 배면패널(10), 터브(20) 및 보강부(14)가 일체로 형성된다.
배면패널(10)의 테두리에는 박스부(30)가 결합되는 안착부(15)가 형성된다.
따라서 배면패널(10)과 박스부(30)를 조립할 때에 박스부(30)의 단부가 배면패널(10)의 테두리에 형성되는 안착부(15)에 정확하게 안착될 수 있게 된다.
안착부(15)는 배면패널(10)의 전면부(10a)와 비교하여 후방에 배치되도록 형성되고, 보강부(14), 전면부(10a) 및 안착부(15)는 계단 모양으로 배치된다.
따라서 박스부(30)와 배면패널(10)을 조립할 때에 안착부(15)와 전면부(10a) 사이에 형성되는 단차에 의해 박스부(30)의 단부를 안착부(15)에 정확히 배치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전면부(10a)로부터 돌출되게 형성되는 보강부(14)에 의해 터브(20)의 내측 단부가 감싸지는 모양을 이루기 때문에 터브(20)와 배면패널(10) 사이의 연결부위 강도가 향상되는 효과가 나타나게 된다.
보강부(14), 전면부(10a) 및 안착부(15)는 안착부(15)로부터 보강부(14)로 갈수록 전방 측으로 돌출되는 계단 모양을 이룬다.
따라서 터브(20)가 일체로 형성되는 배면패널(10)의 제작을 완료한 후에 배면패널(10) 및 터브(20)의 측면에 배치되는 금형이 용이하게 분리될 수 있게 된다.
또한, 보강부(14), 전면부(10a) 및 안착부(15)는 터브(20) 측으로 갈수록 전방 측으로 돌출되는 계단 모양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계단 모양을 성형한 금형이 외측 방향으로 후퇴될 때에 보강부(14), 전면부(10a) 및 안착부(15)와 금형이 간섭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배면패널(10)에는 벽면(W)에 결합되도록 체결부재(16a)가 삽입되는 관통홀부(16)가 형성되고, 관통홀부(16)와 벽면(W) 사이에는 완충부재(16c)가 개재된다.
배면패널(10)은 정면 형상이 사각형 또는 이와 유사한 패널 모양으로 형성되고, 네 개의 모서리부에 각각 관통홀부(16)가 형성된다.(도 8 참조)
관통홀부(16)가 형성되는 배면패널(10)의 배면에는 다수 개의 방사형리브(13) 및 보강리브(13c)가 형성된다.
관통홀부(16)와 간격을 유지하며 방사형리브(13)가 연속되게 형성되고, 각각의 방사형리브(13)를 연결하는 보강리브(13c)가 형성된다.
관통홀부(16)에는 체결부재(16a)가 삽입되어 벽면(W)에 결합되고, 체결부재(16a)와 결합되는 너트부재(16b)는 배면패널(10)의 전면부(10a)에 밀착된다.
세탁작동이 진행되는 동안에 발생되는 진동은 체결부재(16a)와 배면패널(10)을 밀착시키는 너트부재(16b)에 의해 전달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벽걸이형 드럼세탁기는 너트부재(16b)가 전면부(10a)에 위치되므로 너트부재(16b)와 벽면(W) 사이의 간격이 형성되고, 이 간격 사이에 보강리브(13) 및 완충부재(16c)가 개재되어 드럼(23)의 진동이 벽면(W)에 전달되는 것을 억제하게 된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벽걸이형 드럼세탁기의 전면패널 장착구조가 도시된 사시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벽걸이형 드럼세탁기의 수위감지센서 장착구조 및 배수부가 도시된 사시도이고,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벽걸이형 드럼세탁기의 배수부가 도시된 단면도이고,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벽걸이형 드럼세탁기의 배면패널이 도시된 배면도이다.
도 9 내지 도 12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벽걸이형 드럼세탁기는, 드럼(23)의 구동축(23a)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도록 배면패널(10)에 구비되는 결합부(17 : 도 5 참조)와, 구동축(23a)에 연결되는 구동부(40 : 도 2 참조)가 벽면(W)과 간섭되는 것을 방지하는 배치부(17b)를 포함한다.
결합부(17)는 배면패널(10)의 중앙부에 구비되고 터브(20)의 내부에 설치되는 드럼(23)과 구동부(40)를 연결시키므로, 구동부(40)에서 제공되는 동력은 드럼(23)에 전달된다.
배치부(17b)는 배면패널(10)의 배면이 전방으로 오목하게 형성되어 이루어진다. 따라서 배치부(17b) 내측에 구동부(40)가 위치되므로 구동부(40)의 작동에 의해 회전되는 구동휠(42)이 배면패널(10) 및 벽면(W)과 간섭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구동부(40 : 도 2 참조)는, 드럼(23)을 회전시키는 동력을 제공하는 모터(41)와, 구동축(23a)에 연결되는 구동휠(42)과, 모터(41)의 동력을 구동휠(42)에 전달하는 벨트(43)를 포함한다.
모터(41)는 배면패널(10)의 전면부(10a)에 설치되고, 모터(41)의 회전축(41a)은 배면패널(10)을 관통하여 배면패널(10)의 배면으로 연장된다.
구동휠(42)은 배면패널(10)의 배면에 구비되는 배치부(17b) 내부에 위치되면서, 구동축(23a)에 연결된다.
벨트(43)는 모터(41)의 회전축(41a)과 구동휠(42)이 연동되도록 설치된다.
따라서 모터(41)의 동력이 벨트(43)에 의해 구동휠(42)에 전달되고, 구동휠(42)이 회전되면 구동축(23a)에 연결되는 드럼(23)이 회전되면서 세탁작동을 행하게 된다.
결합부(17 : 도 5 참조)는, 배면패널(10)에 형성되는 회전홀부(17c)와, 회전홀부(17c)에 설치되고 구동축(23a)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베어링부(17d)를 포함한다.
구동축(23a)은 회전홀부(17c)에 설치되는 베어링부(17d)에 의해 배면패널(1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구동축(23a)의 전단부에는 드럼(23)이 설치되며, 구동축(23a)의 후단부에는 구동휠(42)이 설치된다.
배치부(17b)는, 구동부(40)가 배치되도록 배면패널(10)의 배면이 전방으로 오목하게 형성되어 이루어진다.
배치부(17b)는 배면패널(10)의 중앙부, 즉 구동휠(42)이 위치되는 부위가 전방으로 오목하게 형성되어 이루어진다.
따라서 배치부(17b) 내부에 위치되는 구동휠(42)은 배면패널(10) 및 벽면(W)과 간섭되지 않고 회전될 수 있게 된다.
물론, 모터(41)는 배면패널(10)의 배면에 위치되어 구동축(23a)에 직결될 수 있다. 즉, 본 실시예에 언급된 구동부(40) 외에 직결식 모터가 설치될 수 있다.
이는 본 발명의 기술구성을 인지한 당업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는 것이므로 다른 실시예에 대한 구체적인 도면이나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모터(41)에는 고정홀부(41b)가 형성되고, 배면패널(10)에는 전방으로 돌출되는 복수 개의 보스부(17a)가 형성되어 고정홀부(41b)가 삽입된다.
고정홀부(41b)는 모터(41)의 양측면으로부터 측 방향으로 돌출되고, 하측 방향으로 굴곡되어 이루어진다.
보스부(17a)는 배면패널(10)의 전면부(10a)로부터 전방으로 돌출되고, 보스부(17a)의 내측으로 고정홀부(41b)가 삽입된다.
따라서 모터(41)의 고정홀부(41b)를 보스부(17a)에 삽입하면 모터(41)가 정확한 위치에 가조립된다.
모터(41)는 배면패널(10)의 전면부(10a) 하측에 설치되고, 한 쌍의 보스부(17a) 사이에 배치되어 가조립된 후에 체결부재에 의해 전면부(10a)와 모터(41)가 결합된다.
모터(41)는 고정홀부(41b) 및 보스부(17a)에 의해 배면패널(10)에 1차 결합되고, 별도의 체결부재(16a)에 의해 배면패널(10)에 2차 결합된다.
따라서 모터(41)가 구동될 때에 발생되는 진동에 의해 모터(41)와 배면패널(10) 사이에 유격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고정홀부(41b)에는 체결부재가 삽입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고정홀부(41b)와 보스부(17a) 사이의 결합력을 더욱 증대시킬 수 있다.
배면패널(10)에는 수위감지센서(19)가 설치되는 돌출부(18)가 설치되고, 돌출부(18)에는 수위감지센서(19)를 분리하기 위한 착탈홀부(18a)가 형성된다.
수위감지센서(19)는 터브(20)의 하부에 연결되는 배수관으로부터 분기되는 별도의 관에 설치되는 압력센서이다.
수위감지센서(19)는 터브(20) 내부의 압력을 감지하여 터브(20)에 담수되는 세탁수의 양을 판단하는 센서이다.
수위감지센서(19)는 터브(20)의 상부에 배치되며, 배면패널(10)로부터 전방으로 돌출되는 돌출부(18)에 설치된다.
돌출부(18)는 배면패널(10)로부터 전방으로 돌출되어 이루어지고, 돌출부(18)의 상면에는 착탈홀부(18a)가 형성되며, 돌출부(18)의 전면에 수위감지센서(19)가 설치된다.
수위감지센서(19)에는 후크가 형성되고, 후크를 돌출부(18)의 전면을 통해 삽입하면 후크가 돌출부(18) 내부로 삽입되면서 수위감지센서(19)의 장착이 이루어지게 된다.
장기간 세탁작동을 행하여 수위감지센서(19)를 교체할 때에는 작업자가 착탈홀부(18a)에 공구를 삽입하여 후크를 돌출부(18) 외측으로 밀어 수위감지센서(19)의 분리를 용이하게 행할 수 있게 된다.
터브(20)에는 개구부(53)가 구비되는 전면패널(50)이 설치되고, 전면패널(50)에는 개구부(53)를 개폐하는 도어(60)가 연결되도록 힌지부(62)가 지지된다.
힌지부(62)는 개구부(53)의 일측에 수직 방향으로 긴 곡선의 패널 모양으로 형성되고, 상부 및 하부에서 돌출되는 지지대(62a)가 도어(60)의 상부 및 하부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배면패널(10)에는 터브(20)를 감싸는 박스부(30)가 설치되고, 박스부(30)에는 전면패널(50)을 감싸는 커버부(32)가 설치된다.
도어(60)부가 연결되는 힌지부(62)는 커버부(32)를 관통하여 전면패널(50)에 결합되는 체결부재에 의해 지지된다.(도 13 참조)
전면패널(50)은 커버부(32)와 비교하여 두껍게 형성되며, 전면패널(50)의 전면에는 다수 개의 보강리브가 형성되므로, 도어(60)를 지지하는 지지력이 향상되는 효과가 나타나게 된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벽걸이형 드럼세탁기의 도어 개방상태가 도시된 사시도이고,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벽걸이형 드럼세탁기의 박스부 장착구조가 도시된 분해 사시도이고,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벽걸이형 드럼세탁기의 가이드돌기와 가이드홈부의 연결구조가 도시된 단면도이다.
또한,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벽걸이형 드럼세탁기의 우회부가 도시된 사시도이고, 도 1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벽걸이형 드럼세탁기의 우회부가 구비되는 전면패널이 도시된 사시도이다.
도 13 내지 도 17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벽걸이형 드럼세탁기는, 전면패널(50)에 설치되는 컨트롤부(21)와, 컨트롤부(21) 측으로 떨어지는 세탁수를 우회시키는 우회부(70)를 포함한다.
컨트롤부(21)는 커버부(32)에 설치되는 조작부(21a)와 연결되도록 전면패널(50)의 전면 하부에 설치된다.
우회부(70)는 컨트롤부(21)의 상측에 배치된다. 따라서 터브(20)를 따라 하측 방향으로 흐르는 세탁수는 우회부(70)를 따라 터브(20)의 측 방향으로 떨어지게 된다.
이로써, 컨트롤부(21)에 수분이 유입되어 발생되는 드럼세탁기의 오작동 및 파손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우회부(70)는 컨트롤부(21)와 개구부(53) 사이에 배치되는 우회리브(71)를 포함한다.
터브(20)를 따라 하측으로 흐르는 세탁수는 우회리브(71)를 따라 터브(20)의 외곽 방향으로 안내되어 컨트롤부(21) 측으로 세탁수가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우회리브(71)는 좌우방향으로 길게 형성되고, 우회리브(71)의 양측 단부는 하측방향으로 곡면을 이루며 굴곡된다.
따라서 우회리브(71)의 상면에 떨어지는 세탁수는 우회리브(71)의 양측 단부 측으로 흐르게 된다.
우회리브(71) 내측에는 세탁수를 가열하는 히터(72)가 설치된다.
터브(20)에 담기는 세탁수를 가열하도록 전원이 공급되는 히터(72)에는 전기장치가 연결된다. 히터(72)의 전기장치는 우회리브(71)에 의해 세탁수가 접촉되지 않게 된다.
배면패널(10)의 상부에는 급수장치(74, 74a : 도 3 참조)가 연결되고, 배면패널(10)에는 급수장치(74, 74a)로부터 떨어지는 세탁수가 컨트롤부(21) 측으로 흐르는 것을 방지하는 배수부(80 : 도 9, 도 10 참조)가 구비된다.
급수장치(74, 74a)는 배면패널(10)에 설치되는 복수 개의 급수밸브(74 : 도 3 참조)와, 급수밸브(74)와 터브(20)를 연결하고, 급수밸브(74)와 급수원을 연결하는 급수관(74a : 도 3 참조)을 포함한다.
급수관(74a)은 배면패널(10)의 하부에 형성되는 제2관통홈부(12c : 도 2 참조)를 통해 배면패널(10)의 배면으로 삽입되고, 터브(20)의 둘레면을 따라 배면패널(10) 상부로 연장되어 급수밸브(74)와 연결된다.
급수밸브(74)가 오작동되거나 파손되는 경우에는 급수관(74a)을 따라 공급되는 세탁수가 터브(20)의 둘레면을 따라 하측으로 흐를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벽걸이형 드럼세탁기는 배수부(80)에 의해 터브(20)의 하측으로 흐르는 세탁수를 배면패널(10) 외측으로 배출시키게 된다.
배수부(80)는, 터브(20)로부터 돌출되는 차단리브(81)와, 차단리브(81)에 대향되도록 배면패널(10)에 형성되는 배수홀부(82)와, 배수홀부(82)를 통해 흐르는 세탁수를 배면패널(10)의 테두리 측으로 안내하는 안내리브(83)를 포함한다.
차단리브(81)는 터브(20)의 양측 상부에 깔때기 모양으로 형성되고, 터브(20)의 둘레면에 일체로 형성된다.
따라서 터브(20)를 따라 흐르는 세탁수는 차단리브(81)에 담겨지게 된다.
배수홀부(82)는 차단리브(81)와 터브(20)의 둘레면으로 형성되는 깔때기 모양의 공간의 하단에 형성되는 홀부이며, 배면패널(10)의 전면부(10a)와 배면이 통하도록 배면패널(10)을 관통하여 이루어진다.
따라서 급수밸브(74)로부터 터브(20)의 둘레면을 따라 흐르는 세탁수는 차단리브(81)에 의해 모아지고, 배수홀부(82)를 통해 배면패널(10)의 배면 측으로 이동된다.
안내리브(83)는 배면패널(10)의 배면에 링 모양으로 형성되고, 배수홀부(82)는 안내리브(83)의 외측에 배치되며 배면패널(10)의 전면과 배면을 관통하도록 형성된다.
터브(20)의 둘레면을 따라 흐르는 세탁수는 차단리브(81)에 의해 모아지고, 배수홀부(82)를 따라 배면패널(10)의 배면으로 이동된 후에 안내리브(83)를 따라 배면패널(10)의 테두리 측으로 이동되며 하측으로 떨어지게 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벽걸이형 드럼세탁기는, 커버부(32)와 박스부(30) 사이에 탄성력이 생성되도록 박스부(30)와 배면패널(10)을 연결하는 탄력조립부(39 : 도 3 참조)를 포함한다.
박스부(30)와 커버부(32)는 벽걸이형 드럼세탁기의 외벽을 이루며, 서로에게 탄성력을 제공하는 부품이다.
따라서 박스부(30)와 커버부(32)에 의해 생성되는 탄성력의 역방향으로 외력을 가하여 박스부(30)와 커버부(32)를 조립한다.
박스부(30)와 커버부(32)는 조립된 후에도 원상태로 복원되려는 탄성력이 존재한다.
따라서 박스부(30), 커버부(32) 및 배면패널(10) 사이에는 탄성력이 의해 각각의 부품들 사이의 결속력이 향상되는 효과가 나타난다.
탄력조립부(39)는, 연결홀부(31)에 형성되는 고리부(31a)와, 고리부(31a)가 삽입되도록 커버부(32)에 형성되는 걸림홈부(33)와, 배면패널(10)에 형성되고 박스부(30)가 안착되는 안착부(15)를 포함한다.
박스부(30)는 전방에 연결홀부(31)가 형성되고, 연결홀부(31)에 커버부(32)가 설치되는데, 연결홀부(31)에 형성되는 고리부(31a)는 커버부(32)의 테두리에 형성되는 걸림홈부(33)에 삽입된다.
안착부(15)는, 커버부(32)가 조립된 박스부(30)가 배면패널(10)에 안착되면 박스부(30)의 단부와 안착부(15) 사이에 간격(a)이 형성되도록 박스부(30)의 단부 위치와 비교하여 후방에 배치되는 길이로 형성된다.(도 7 참조)
따라서 박스부(30)와 커버부(32)를 조립한 후에 전면패널(50)이 설치된 배면패널(10)에 박스부(30) 및 커버부(32)를 안착시키면 박스부(30)의 단부가 안착부(15)로부터 간격(a)을 유지하며 떨어지게 배치된다.
박스부(30)와 배면패널(10)을 조립할 때에는 작업자가 박스부(30)의 전면을 안착부(15) 방향으로 눌러 커버부(32) 및 박스부(30)를 변형시키면서 박스부(30)의 단부가 안착부(15)에 밀착되도록 한 후에 박스부(30)와 배면패널(10)의 결합을 행하게 된다.
박스부(30)와 배면패널(10)에는 상부에 두 곳, 하부에 두 곳 체결부재가 결합되는 조립홀부(10b)가 형성된다.
따라서 박스부(30)의 조립을 완료한 후에도 박스부(30) 및 커버부(32)의 전면으로 체결부재가 드러나지 않게 된다.
안착부(15)에는 가이드홈부(15a)가 형성되고, 박스부(30)에는 가이드홈부(15a)에 삽입되는 가이드돌기(38)가 형성된다.
따라서 박스부(30)를 안착부(15)에 안착시킬 때에 가이드돌기(38)가 가이드홈부(15a)에 삽입되도록 박스부(30)를 배치시키면 박스부(30)를 배면패널(10)의 정확한 위치에 조립할 수 있게 된다.
커버부(32)에는 도어(60)가 설치되는 장착홀부(36)가 형성되고, 장착홀부(36)로부터 걸림홈부(33) 측으로 갈수록 박스부(30) 외측으로 경사지는 곡면부(36a)가 형성된다.(도 5 참조)
커버부(32)의 테두리는 곡면부(36a)에 의해 전방 측으로 돌출되는 모양을 이루게 된다.
따라서 커버부(32)와 박스부(30)가 결합된 상태에서 박스부(30)를 안착부(15) 측으로 가압하면 곡면부(36a)가 직선 모양으로 펴지면서 박스부(30)의 단부가 안착부(15) 측으로 이동된다.
커버부(32)에는 장착홀부(36)와 곡면부(36a) 사이에 도어(60)의 힌지부(62)가 관통되는 장착홈부(37)가 형성된다.
장착홈부(37)에 힌지부(62)를 안착시킨 후에 체결부재를 힌지부(62)와 장착홈부(37)에 관통시켜 전면패널(50)에 결합시킨다.
따라서 외관상으로는 힌지부(62)가 커버부(32)에 결합된 것으로 보이지만, 힌지부(62)는 전면패널(50)에 지지된다.
전면패널(50)에는, 힌지부(62)가 결합되는 제1지지부(51)와, 커버부(32)가 지지되는 제2지지부(52)가 일체로 형성된다.
힌지부(62) 및 장착홈부(37)를 관통하는 체결부재는 제1지지부(51)에 결합된다.
커버부(32) 및 박스부(30)가 안착부(15) 측으로 가압될 때에 제2지지부(52)는 지렛대 역할을 행하므로 커버부(32)의 곡면부(36a)가 펼쳐지면서 박스부(30)의 단부가 안착부(15) 측으로 이동된다.
도 1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벽걸이형 드럼세탁기의 세제함 장착구조가 도시된 단면도이고, 도 1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벽걸이형 드럼세탁기의 유연제함 장착구조가 도시된 단면도이고, 도 2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벽걸이형 드럼세탁기의 세제함 장착구조가 도시된 분해 사시도이고, 도 2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벽걸이형 드럼세탁기의 유연제함 장착구조가 도시된 분해 사시도이다.
또한, 도 2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벽걸이형 드럼세탁기의 세제함 장착구조가 도시된 확대 단면도이고, 도 2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벽걸이형 드럼세탁기의 유연제함 장착구조가 도시된 확대 단면도이고, 도 2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벽걸이형 드럼세탁기의 오조립방지부가 도시된 도면이다.
도 18 내지 도 24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벽걸이형 드럼세탁기는, 커버부(32)를 관통하여 전면패널(50)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는 세제함(90)을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벽걸이형 드럼세탁기는 벽면(W)에 거치되므로 소형의 드럼세탁기가 사용되는 터브(20)와 박스부(30) 사이의 간격, 및 커버부(32)와 전면패널(50) 사이의 간격이 협소하다.
따라서 본 실시예는 세제함(90)이 커버부(32) 또는 박스부(30)에 설치되지 않고, 커버부(32)를 관통하여 전면패널(50)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된다.
전면패널(50)에는 세제함(90)이 삽입되는 제1삽입홀부(54)가 형성되고, 제1삽입홀부(54)에는 급수관(74a)이 연결되는 제1급수홀부(54b)가 형성된다.
제1삽입홀부(54)는 전면패널(50)의 전면으로부터 전방으로 돌출되게 형성되고, 제1삽입홀부(54)의 둘레면 상부에는 급수관(74a)이 삽입되는 제1급수홀부(54b)가 형성된다.
급수관(74a)은 제1급수홀부(54b)에 삽입되어 연결되므로 급수관(74a)과 제1급수홀부(54b) 사이에 누수가 발생되지 않게 된다.
또한, 제1삽입홀부(54)에 세제함(90)이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고, 제1급수홀부(54b)에 급수관(74a)이 연결되므로 박스부(30)나 커버부(32)에 별도의 세제함(90)이 설치되지 않고, 전면패널(50)에서 세제와 세탁수가 혼합되어 터브(20) 내부로 바로 공급된다.
세제함(90)은, 제1삽입홀부(54)에 삽입되는 제1수납부(91)와, 제1수납부(91)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전면패널(50)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손잡이부(92)를 포함한다.
제1수납부(91)는 상면이 개구되는 용기 모양으로 형성되고, 제1수납부(91)의 전면에 제1손잡이부(92)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따라서 제1수납부(91)를 제1삽입홀부(54)에 삽입한 후에 제1손잡이부(92)를 회전시키면 제1손잡이부(92)와 커버부(32)의 제1잠금홀부(34) 사이에서 잠금작동이 이루어진다.
제1손잡이부(92)를 회전시킬 때에는 제1수납부(91)와 제1손잡이부(92)가 서로 공회전되므로 제1수납부(91)는 회전되지 않게 된다.
제1수납부(91)에는 잔수홀부(91a)가 형성되므로 제1수납부(91)를 통해 터브(20)로 공급되는 세탁수가 제1수납부(91)에 잔존하지 않고 잔수홀부(91a)를 통해 터브(20) 측으로 배출된다.
잔수홀부(91a)는 제1수납부(91)의 내측 하단에 형성되고, 터브(20) 내측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된다.
따라서 제1수납부(91)에서 잔수홀부(91a)를 따라 배출되는 세탁수는 터브(20) 내부로 회수된다.
잔수홀부(91a)에는 세탁수가 역류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류방지돌기(91c)가 형성된다.
따라서 제1수납부(91)로부터 배출된 세탁수는 다시 제1수납부(91)와 제1삽입홀부(54) 사이의 간격으로 역류되는 것을 방지토록 한다.
역류방지돌기(91c)는 잔수홀부(91a)의 저면으로부터 하측 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따라서 제1수납부(91)의 저면, 즉 잔수홀부(91a)의 저면을 따라 제1수납부(91) 및 제1삽입홀부(54) 사이의 간격으로 유입되는 세탁수는 역류방지돌기(91c)에 맺힌 후에 하측 방향으로 떨어져 터브(20) 내측으로 회수된다.
제1삽입홀부(54)에는 제1수납부(91)와 제1삽입홀부(54) 사이에 간격이 넓어져 세탁수가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제1단차부(54c)가 형성된다.
제1단차부(54c)는 제1삽입홀부(54)의 하부가 하측 방향으로 확관되어 이루어진다.
제1수납부(91)와 제1삽입홀부(54) 사이의 간격이 넓어지면서 세탁수가 제1수납부(91)의 저면과 제1삽입홀부(54) 사이의 간격으로 유입되는 세탁수가 다시 터브 측으로 배출된다.
제1수납부(91)에는 세탁수가 저장되고 제1수납부(91)에 공급되는 세탁수가 넘치면 터브(20) 측으로 공급되도록 제1수납부(91)의 배면에는 양측면과 비교하여 낮은 제1유도패널(91b)이 구비된다.
제1유도패널(91b)은 제1수납부(91)의 배면이 양측면 패널과 비교하여 낮게 형성되어 이루어진다.
따라서 제1급수홀부(54b)를 따라 공급되는 세탁수가 제1수납부(91)에 담수된 후에 제1수납부(91)의 용량을 초과하여 넘치게 되면 세탁수가 제1유도패널(91b)의 상단을 넘어 터브(20) 측으로 떨어지게 된다.
또한, 본 실시예의 벽걸이형 드럼세탁기는, 커버부(32)를 관통하여 제2삽입홀부(55)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는 유연제함(100)을 더 포함한다.
유연제함(100)에 섬유 유연제를 담아 세탁작동을 행하면 헹굼단계가 진행될 때에 유연제함(100)에 세탁수가 공급되어 섬유 유연제와 세탁수가 터브(20) 내부로 공급된다.
유연제함(100)은, 제2삽입홀부(55)에 삽입되고 사이펀부(103)가 구비되는 제2수납부(101)와, 제2수납부(101)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전면패널(50)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손잡이부(102)를 포함한다.
제2수납부(101)는 상면이 개구되는 용기 모양으로 형성되고, 제2수납부(101)의 전면에 제2손잡이부(102)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따라서 제2수납부(101)를 제2삽입홀부(55)에 삽입한 후에 제2손잡이부(102)를 회전시키면 제2손잡이부(102)와 커버부(32)의 제2잠금홀부(35) 사이에서 잠금작동이 이루어진다.
제2손잡이부(102)를 회전시킬 때에는 제2수납부(101)와 제2손잡이부(102)가 서로 공회전되므로 제2수납부(101)는 회전되지 않게 된다.
제2수납부(101)에는 사이펀부(103)가 설치되므로 제2수납부(101)에 세탁수가 공급되면 세탁수와 섬유 유연제가 사이펀 효과에 의해 제2수납부(101)에 잔존하지 않고 터브(20) 측으로 배출된다.
제2삽입홀부(55)에는 제2수납부(101)와 제2삽입홀부(55) 사이에 간격이 넓어져 유입되는 세탁수가 터브(20) 측으로 배출되도록 제2단차부(55c)가 형성된다.
제2단차부(55c)는 제2삽입홀부(55)의 하부가 하측 방향으로 확관되어 이루어진다.
제2수납부(101)와 제2삽입홀부(55) 사이의 간격이 넓어지면서 세탁수가 제2수납부(101)의 저면과 제2삽입홀부(55) 사이의 간격으로 유입된 후에 잔존되지 않고 터브(20) 측으로 배출된다.
제2수납부(101)에는 세탁수가 저장되고 제2수납부(101)에 공급되는 세탁수가 넘치면 터브(20) 측으로 공급되도록 제2수납부(101)의 배면에는 양측면과 비교하여 낮은 제2유도패널(101a)이 구비된다.
제2유도패널(101a)은 제2수납부(101)의 배면이 양측면 패널과 비교하여 낮게 형성되어 이루어진다.
따라서 제2급수홀부(55b)를 따라 공급되는 세탁수가 제2수납부(101)에 담수된 후에 제2수납부(101)의 용량을 초과하여 넘치게 되면 세탁수가 제2유도패널(101a)의 상단을 넘어 터브(20) 측으로 떨어지게 된다.
제2수납부(101)의 바닥면은 사이펀부(103) 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된다.
제2수납부(101)의 바닥면에 잔존하는 세탁수 또는 섬유 유연제는 경사진 바닥면을 따라 사이펀부(103) 측으로 이동되고, 사이펀부(103)의 작동에 의해 세탁수 또는 섬유 유연제가 제2수납부(101)에 잔존하지 않게 된다.
사이펀부(103)는, 제2수납부(101)의 바닥면으로부터 상측으로 돌출되는 배출관(103a)과, 배출관(103a)과 간격을 유지하며 배출관(103a)의 상부를 감싸는 덮개부(103b)를 포함한다.
섬유 유연제가 담겨진 제2수납부(101)에 세탁수가 공급되면 배출관(103a)과 덮개부(103b) 사이의 간격을 따라 세탁수와 섬유 유연제가 사이펀 효과에 의해 배출관(103a) 측으로 배출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벽걸이형 드럼세탁기는, 세제함(90)과 유연제함(100)이 서로 교차되어 조립되는 것을 방지하는 오조립방지부(59)를 포함한다.
제1수납부(91)와 제2수납부(101)가 유사한 모양과 유사한 크기로 형성되기 때문에 사용자가 세제함(90)과 유연제함(100)을 서로 교차하여 삽입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벽걸이형 드럼세탁기는 오조립방지부(59)에 의해 세제함(90)과 유연제함(100)이 서로 교차되어 삽입되지 않도록 한다.
따라서 사용자가 제1삽입홀부(54)에 유연제함(100)을 넣고 제2삽입홀부(55)에 세제함(90)을 넣은 상태에서 세탁작동을 개시하는 실수를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제1손잡이부(92)에는 제1걸림부(92a)가 형성되고, 제1손잡이부(92)가 삽입되는 커버부(32)의 제1잠금홀부(34)에는 제1걸림부(92a)의 회전을 구속하는 제1스토퍼(34a)가 형성된다.
제1손잡이부(92)의 배면에는 제1수납부(91)의 제1후크부(92b)가 회전 가능하게 삽입되는 제1체결홈부(91d)가 형성되므로 제1손잡이부(92)와 제1수납부(91)는 서로 공회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제1손잡이부(92)의 둘레면에는 한 쌍의 제1걸림부(92a)가 형성되고, 제1걸림부(92a)가 걸리도록 커버부(32)의 제1잠금홀부(34)에는 한 쌍의 제1스토퍼(34a)가 간격을 유지하며 형성된다.
제1스토퍼(34a)는 제1잠금홀부(34)의 테두리에서 중앙 측으로 돌출되는 돌기 모양으로 형성되고, 제1잠금홀부(34)의 두 부분에 서로 간격을 유지하면 형성된다.
제1손잡이부(92)를 제1잠금홀부(34)에 삽입할 때에 제1걸림부(92a)와 제1스토퍼(34a)가 서로 이격되게 배치된 상태에서 제1손잡이부(92)를 제1잠금홀부(34)에 삽입하고 제1손잡이부(92)를 회전시키면, 제1걸림부(92a)와 제1스토퍼(34a)가 겹치게 된다.
따라서 제1손잡이부(92)가 제1잠금홀부(34)로부터 분리되지 않는 잠금상태가 된다.
이때, 제1손잡이부(92)와 제1수납부(91)는 서로 공회전되므로 제1수납부(91)에 담긴 세제가 쏟아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제2손잡이부(102)에는 제2걸림부(104)가 형성되고, 제2손잡이부(102)가 삽입되는 커버부(32)의 제2잠금홀부(35)에는 제2걸림부(104)의 회전을 구속하는 제2스토퍼(35a)가 형성된다.
제2손잡이부(102)의 배면에는 제2수납부(101)의 제2후크부(102a)가 회전 가능하게 삽입되는 제2체결홈부(101b)가 형성되므로 제2손잡이부(102)와 제2수납부(101)는 서로 공회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제2손잡이부(102)의 둘레면에는 한 쌍의 제2걸림부(104)가 형성되고, 제2걸림부(104)가 걸리도록 커버부(32)의 제2잠금홀부(35)에는 한 쌍의 제2스토퍼(35a)가 간격을 유지하며 형성된다.
제2스토퍼(35a)는 제2잠금홀부(35)의 테두리에서 중앙 측으로 돌출되는 돌기 모양으로 형성되고, 제2잠금홀부(35)의 두 부분에 서로 간격을 유지하면 형성된다.
제2손잡이부(102)를 제2잠금홀부(35)에 삽입할 때에 제2걸림부(104)와 제2스토퍼(35a)가 서로 이격되게 배치된 상태에서 제2손잡이부(102)를 제2잠금홀부(35)에 삽입하고 제2손잡이부(102)를 회전시키면, 제2걸림부(104)와 제2스토퍼(35a)가 겹치게 배치된다.
따라서 제2손잡이부(102)가 제2잠금홀부(35)로부터 분리되지 않는 잠금상태가 된다.
이때, 제2손잡이부(102)와 제2수납부(101)는 서로 공회전되므로 제2수납부(101)에 담긴 섬유 유연제가 쏟아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제1잠금홀부(34)에는 상부로부터 제1수납부(91) 측으로 연장되는 제1차단패널(54a)이 형성되고, 제2잠금홀부(35)에는 상부로부터 제2수납부(101) 측으로 연장되는 제2차단패널(55a)이 형성된다.
제1차단패널(54a)은 제1수납부(91)가 삽입되었을 때에 제1수납부(91)의 상측에 배치되고, 제1수납부(91)가 제1삽입홀부(54)에 삽입된 상태에서 제1손잡이부(92)에 가깝게 배치된다.
따라서 제1급수홀부(54b)를 통해 세탁수가 공급될 때에 제1수납부(91) 외부로 넘치는 세탁수가 제1손잡이부(92) 측으로 유실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제2차단패널은 제2수납부(101)가 삽입되었을 때에 제2수납부(101)의 상측에 배치되고, 제2수납부(101)가 제2삽입홀부(55)에 삽입된 상태에서 제2손잡이부(102)에 가깝게 배치된다.
제2급수홀부(55b)를 통해 세탁수가 공급될 때에 제2수납부(101) 외부로 넘치는 세탁수가 제2손잡이부(102) 측으로 유실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오조립방지부(59)는, 제1삽입홀부(54)에서 제1수납부(91) 측으로 연장되는 제1차단패널(54a)에 형성되고 사이펀부(103)와 간섭되는 차단부(56)를 포함한다.
제2수납부(101)에 형성되는 사이펀부(103)는 제2수납부(101) 상측으로 돌출되도록 길게 형성된다.
제2수납부(101)를 제1삽입홀부(54)에 끼우면 사이펀부(103)와 차단부(56)가 간섭되어 제2수납부(101)를 제1삽입홀부(54)에 끼울 수 없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세제함(90)과 유연제함(100)을 서로 교차하여 삽입한 후에 세탁작동을 행하는 실수를 차단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전면패널(50)에 설치되는 도어(60)에는 제1손잡이부(92) 및 제2손잡이부(102)가 삽입되는 감지홈부(61)가 형성된다.(도 13 참조)
제1손잡이부(92) 및 제2손잡이부(102)를 완전히 잠그지 않은 상태에서는 도어(60)를 닫을 때에 제1손잡이부(92) 및 제2손잡이부(102)가 감지홈부(61)에 삽입되지 않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제1손잡이부(92) 및 제2손잡이부(102)를 완전히 잠그지 않은 상태에서 도어(60)를 닫을 수 없게 된다. 이렇듯 불완전한 장치 시 정상적인 세탁작동을 행할 수 없게 된다.
도 2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벽걸이형 드럼세탁기의 넘침방지부가 도시된 단면도이다.
도 2 및 도 25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는, 터브(20)에 충진되는 공기가 배출되도록 배면패널(10)에 형성되는 공기배출구(123)와, 공기배출구(123)가 막히는 것을 방지하는 막힘방지부(120)를 포함한다.
배면패널(10)의 중앙 상측에는 공기배출구(123)가 형성되어 터브(20) 내부의 고압 공기가 공기배출구(123)를 통해 터브(20) 외부로 배출된다.
공기배출구(123)에는 터브(20)로부터 배출되는 공기를 외부로 안내하는 배기관이 설치되고, 배기관(125)은 안내부(12)에 의해 제2관통홈부(12c) 측으로 연장된다.
배기관(125)은 전원선(11a)과 같이 케이블부재(13b)에 의해 권취되어 설치홀부(13a)에 결합될 수 있다.
막힘방지부(120)는 배면패널(10)에 형성되고 공기배출구(123)의 단부가 확관되도록 하는 포밍부(121)를 포함한다.
포밍부(121)는 공기배출구(123)와 비교하여 지름이 크게 형성되므로 터브(20) 내부에 형성되는 거품 등에 의해 공기배출구(123)가 막히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막힘방지부(120)는 공기배출구(123)에 연결되는 배기관(125)이 공기배출구(123) 보다 높은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배면패널(10)에 형성되는 안내부(12)를 포함한다.
안내부(12)에는 전원선(11a)과 배기관(125)이 모두 삽입될 수 있으며, 배기관(125)에 권취되는 케이블부재(13b)가 체결부재(16a)에 의해 설치홀부(13a)에 결합되면 배기관(125)이 고정부(12a) 외부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고정부(12a) 내측으로 연장되는 배기관(125)은 배면패널(10) 하측으로 연장되고, 제2관통홈부(12c)를 통해 배면패널(10)의 외측으로 드러나게 된다.
도 2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벽걸이형 드럼세탁기의 드럼이 도시된 정면 사시도이고, 도 2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벽걸이형 드럼세탁기의 드럼이 도시된 배면 사시도이고, 도 2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벽걸이형 드럼세탁기의 드럼이 도시된 단면도이다.
도 26 내지 도 2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벽걸이형 드럼세탁기의 드럼(23)의 직경(B)은 드럼(23)의 깊이(A)와 비교하여 길게 형성된다. 이때, 드럼(23)의 깊이(A)는 드럼(23)의 전면(23c)으로부터 배면(23d)까지의 거리를 의미한다.
드럼(23)은 직경(B)이 깊이(A)보다 크게 형성되므로, 즉, 직경(B)은 상대적으로 크게, 깊이(A)는 상대적으로 얕게 형성됨에 따라 동일한 용적을 구현하고자 할 때에 드럼(23)의 전장 길이를 짧게 형성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벽걸이형 드럼세탁기 전체의 전장 길이가 짧아지게 되므로, 벽면(W)으로부터 드럼세탁기가 돌출되는 정도를 줄일 수 있게 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드럼(23)의 깊이(A)는 120 ~ 130mm로 이루어진다. 드럼(23)의 깊이가 120mm 미만으로 형성되는 경우에는 세탁물이 드럼(23)의 전면(23c)과 배면(23d) 사이에 수납되기 어려워 세탁물의 투입이 불편해진다.
또한, 드럼(23)의 깊이(A)가 130mm을 초과하는 경우에는 드럼(23) 및 드럼세탁기의 전장 길이가 길어져 설치 공간을 많이 차지하게 되므로 벽걸이형 드럼세탁기의 외관이 미려하지 못하고, 드럼세탁기가 차지하는 공간이 증가되어 사용자의 행동반경이 줄어들게 된다.
따라서 드럼(23)의 깊이(A)를 120 ~ 130mm로 하면, 세탁물의 투입이 용이해지고, 드럼세탁기의 외관이 미려해지며, 드럼세탁기의 돌출량이 줄어 사용자의 행동반경이 넓어지게 된다.
드럼(23)의 형상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드럼(23)의 직경(B)은 드럼(23)의 깊이(A)와 비교하여 3 ~ 3.2배 크게 형성된다.
드럼(23)의 직경(B)이 드럼(23)의 깊이(A)와 비교하여 3배 미만인 경우에는, 드럼(23)의 깊이(A)가 커지므로 벽면(W)으로부터 드럼세탁기가 돌출되는 길이가 증가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드럼세탁기의 전장 길이가 길어져 설치 공간을 많이 차지하게 되므로 벽걸이형 드럼세탁기의 외관이 미려하지 못하고, 드럼세탁기가 차지하는 공간이 증가되어 사용자의 행동반경이 줄어들게 된다.
드럼(23)의 직경(B)이 드럼(23)의 깊이(A)와 비교하여 3.2배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제품의 가로 크기 및 세로 크기가 확장되므로 드럼세탁기를 거치하기 위한 벽면(W)의 넓이가 넓어지게 되어 드럼세탁기의 설치가 어려워지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드럼(23)의 직경(B)이 드럼(23)의 깊이(A)와 비교하여 3 ~ 3.2배 크게 형성되면, 세탁물의 투입이 용이해지고, 드럼세탁기의 외관이 미려해지며, 드럼세탁기의 돌출량이 줄어 사용자의 행동반경이 넓어지게 된다.
또한, 드럼(23)의 테두리로부터 투입구(23b)까지의 최단 거리(C)는 드럼(23)의 깊이(A)와 비교하여 0.4 ~ 0.8배 작게 형성된다.
드럼(23)의 테두리로부터 투입구(23b)까지의 최단 거리(C)가 드럼(23)의 깊이(A)와 비교하여 0.4배 보다 작은 경우에는 세탁물이 수납되는 공간이 작아지게 되므로 세탁물의 투입이 불편해지고, 드럼(23) 내부에 투입된 세탁물이 드럼(23) 외부로 다시 나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드럼(23)의 테두리로부터 투입구(23b)까지의 최단 거리(C)가 드럼(23)의 깊이(A)와 비교하여 0.8배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투입구(23b)의 크기가 작아져 세탁물을 꺼내기가 불편해지게 된다.
따라서 드럼(23)의 테두리로부터 투입구(23b)까지의 최단 거리(C)가 드럼(23)의 깊이(A)와 비교하여 0.4 ~ 0.8배 작게 형성되면, 세탁물의 투입이 용이해지고, 드럼세탁기의 외관이 미려해지며, 드럼세탁기의 돌출량이 줄어 사용자의 행동반경이 넓어지게 된다.
드럼(23)의 배면(23d)에는 구동부(40)가 연결되도록 다수 개의 돌출부(23e)가 간격을 유지하며 형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벽걸이형 드럼세탁기의 작동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벽걸이형 드럼세탁기를 설치할 때에는 벽면(W)에 네 개의 체결부재(16a)를 설치하고, 체결부재(16a)에 완충부재(16c)를 삽입한 후에 체결부재(16a)가 배면패널(10)의 관통홀부(16)에 삽입되도록 배면패널(10)을 벽면(W)에 거치시킨다.
관통홀부(16)를 통해 배면패널(10)의 전면부(10a) 측으로 돌출되는 체결부재(16a)에 너트부재(16b)를 결합하고, 전면부(10a)에 너트부재(16b)가 밀착되도록 한다.
이후에, 커버부(32)와 박스부(30)를 조립하고 박스부(30)를 배면패널(10)에 씌우면 박스부(30)의 단부가 안착부(15)에 안착되고, 가이드돌기(38)가 가이드홈부(15a)에 삽입되면서 박스부(30)가 배면패널(10)의 정확한 위치에 안착된다.
이때, 박스부(30)의 단부는 안착부(15)와 간격을 유지하도록 배치된다. 작업자는 박스부(30)와 커버부(32)를 안착부(15) 측으로 누르면서 박스부(30)의 상부 및 하부에 체결부재(16a)를 삽입하여 배면패널(10)과 결합시킨다.
벽걸이형 드럼세탁기의 설치가 완료된 후에는 박스부(30)와 커버부(32)의 사이에서 발생되는 탄성력에 의해 박스부(30), 커버부(32) 및 배면패널(10)이 서로 당겨지게 되므로 부품들 사이의 결속력이 향상되는 효과가 나타나게 된다.
세탁작동을 행할 때에는 사용자가 도어(60)를 열어 드럼(23) 내부에 세탁물을 수납하고, 세제함(90) 및 유연제함(100)을 분리시켜 세제 및 섬유 유연제를 제1수납부(91)와 제2수납부(101)에 충진시킨 후에 제1수납부(91) 및 제2수납부(101)를 제1삽입홀부(54) 및 제2삽입홀부(55)에 삽입한다.
이때, 제1삽입홀부(54)에는 제1차단패널(54a)로부터 하측으로 연장되는 차단부(56)가 형성되므로 유연제함(100)을 제1삽입홀부(54)에 넣으면 사이펀부(103)와 차단부(56)가 간섭되므로 사용자가 세제함(90)과 유연제함(100)을 교차하여 삽입하는 실수를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세제함(90) 및 유연제함(100)을 제1삽입홀부(54) 및 제2삽입홀부(55)에 넣은 후에는 제1손잡이부(92) 및 제2손잡이부(102)를 회전시켜 제1걸림부(92a) 및 제2걸림부(104)가 제1스토퍼(34a) 및 제2스토퍼(35a)와 겹치도록 한다. 이로써, 세제함(90)과 유연제함(100)이 잠기게 된다.
이후에, 사용자가 조작부를 눌러 세탁작동을 개시하면 급부밸브가 개방되면서 세탁수가 터브(20)에 공급된다.
이때, 급수관(74a)을 따라 제1급수홀부(54b)를 지나 세제함(90)으로 공급되는 세탁수는 제1수납부(91)에 충진된다.
이후에 세탁수가 계속 공급되면 제1유도패널(91b) 상측으로 넘쳐 터브(20) 내부로 공급된다.
세탁수의 공급이 완료되면 제어블록(22)에서 송신되는 작동신호에 따라 모터(41)가 구동되고, 모터(41)의 회전축(41a)으로부터 벨트(43)를 따라 전달되는 동력이 구동휠(42) 및 드럼(23)을 회전시켜 세탁작동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때, 본 실시예는 터브(20), 배면패널(10) 및 보강부(14)가 일체로 형성되기 때문에 드럼(23)이 회전되면서 발생되는 진동에 의해 터브(20)가 유동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배면패널(10)과 벽면(W) 사이에 개재되는 완충부재(16c)에 의해 드럼(23)의 진동이 벽면(W)에 전달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게 된다.
이로써, 드럼세탁기를 벽면에 설치하여 사용할 수 있고, 전원선(11a)을 연장방향을 가변시킬 수 있는 벽걸이형 드럼세탁기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도 2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벽걸이형 드럼세탁기의 거치불량 감지 장치가 도시된 블록구성도이고, 도 3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벽걸이형 드럼세탁기의 거치불량 감지 장치에서 센서가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29 및 도 30을 참조하면, 관통홀부(16)와 벽면(W) 사이에 완충부재(16c)가 개재되고 관통홀부(16)를 통해 체결부재(16a)가 삽입되어 벽면(W)에 거치되는 배면패널(10)과, 세탁수가 담수되고 배면패널(10)에 지지되는 터브(20)와, 배면패널(10)에 결합되고 터브(20)를 감싸는 박스부(30),를 포함하는 벽걸이형 드럼세탁기에 있어서, 벽걸이형 드럼세탁기의 거치불량 감지장치는, 센서(16d), 제어부(1), 전원공급부(2), 경고부(3), 문자전송부(4)를 포함한다.
센서(16d)는 배면패널(10)과 벽면(W)간의 접촉상태를 센싱한다.
이때, 도 30에서와 같이 배면패널(10)에 구비되는 센서(16d)는, 탈수 행정시와 같이 세탁작동 중에 발생되는 진동으로 인하여 지면(G)으로부터 떨어진 벽면(W)에 고정된 드럼세탁기의 거치 상태에 이상이 발생하는 경우 이를 감지한다.
따라서, 센서(16d)는 배면패널(10)을 벽면(W)에 고정시키기 위한 체결부재(16a)와 결합되는 너트부재(16b)가 풀림 이동됨에 따른 배면패널(10)이 벽면(W)간의 접촉상태를 센싱하거나, 드럼세탁기의 배면패널(10)과 벽면(W) 사이에 위치하는 완충부재(16c)와 벽면(W)간의 접촉상태를 센싱할 수 있다.
제어부(1)는 센싱된 접촉상태가 접촉해제상태이면 드럼세탁기의 거치불량으로 판단한다.
전원공급부(2)는 제어부(1)의 판단 결과에 따라 전원공급을 단속한다.
이때, 전원공급부(2)는 드럼세탁기의 전원을 강제 오프하거나 세탁이 일시정지할 수도 있다.
또한, 배면패널(10)과 벽면(W) 간 접촉이 해제된 것으로 판단되면, 경고부(3)는 제어부(1)로부터 경고음 출력이 요청되면 드럼세탁기 외부로 경고음을 출력하고, 문자전송부(4)는 제어부(1)로부터 문자 전송이 요청되면 기 저장되어있던 연락처로 문자를 전송하여 드럼세탁기의 거치불량 상태를 알리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벽걸이형 드럼세탁기의 거치불량 감지방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3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벽걸이형 드럼세탁기의 거치불량 감지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31을 참조하면, 관통홀부(16)와 벽면(W) 사이에 완충부재(16c)가 개재되고 관통홀부(16)를 통해 체결부재(16a)가 삽입되어 벽면(W)에 거치되는 배면패널(10)과, 세탁수가 담수되고 배면패널(10)에 지지되는 터브(20)와, 배면패널(10)에 결합되고 터브(20)를 감싸는 박스부(30),를 포함하는 벽걸이형 드럼세탁기의 거치불량 감지방법에 있어서, 먼저 제어부(1)가 벽면(W)에 거치된 드럼세탁기의 배면패널(10)에 구비된 센서(16d)로부터 배면패널(10)과 벽면(W)간의 접촉상태를 입력받는다(S10).
이때, 배면패널(10)에 구비되는 센서(16d)는, 탈수 행정시와 같이 세탁작동 중에 발생되는 진동으로 인하여 벽면(W)에 고정된 드럼세탁기의 거치상태에 이상이 발생하는 경우, 이를 감지한다.
따라서, 센서(16d)는 배면패널(10)을 벽면(W)에 고정시키기 위한 체결부재(16a)와 결합되는 너트부재(16b)가 풀림 이동됨에 따라 배면패널(10)이 벽면(W)으로부터 접촉 해제되는지를 센싱하거나, 드럼세탁기의 배면패널(10)과 벽면(W) 사이에 위치하는 완충부재(16c)가 벽면(W)으로부터 접촉 해제되는지를 센싱한다.
제어부(1)는 입력된 접촉상태로부터 배면패널(10)과 벽면(W) 간 접촉이 해제되었는지 판단한다(S20).
그 다음, 배면패널(10)과 벽면(W) 간 접촉이 해제된 것으로 판단되면, 드럼세탁기의 거치불량으로 판단하여 드럼세탁기의 전원공급을 중단한다(S30).
이때, 전원공급부(2)는 드럼세탁기의 전원을 강제 오프하거나 세탁이 일시정지할 수도 있다.
또한, 배면패널(10)과 벽면(W) 간 접촉이 해제된 것으로 판단되면, 경고부(3)는 드럼세탁기 외부로 경고음을 출력하고, 문자전송부(4)는 기 저장되어있던 연락처로 문자를 전송하여 드럼세탁기의 거치불량 상태를 알리도록 한다.
이에따른 본 발명의 벽걸이형 드럼세탁기의 거치불량 감지방법에 의하면 벽면 설치시 거치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았거나 세탁작동 중에 발생되는 진동으로 인해 거치 상태에 이상이 생긴 경우, 이를 감지하고 전원을 오프하여 사고 위험을 방지하고 사용자 및 설치기사에게 즉시 통보함에 따라 낙하 및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즉각적인 대응이 가능하도록 하여 제품 신뢰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되는 일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 : 제어부 2 : 전원공급부
3 : 경고부 4 : 문자전송부
10 : 배면패널 10a : 전면부
10b : 조립홀부 11 : 통과홀부
11a : 전원선 12 : 안내부
12a : 고정부 12b : 제1관통홈부
12c : 제2관통홈부 13 : 보강리브
13a : 설치홀부 13b : 케이블부재
14 : 보강부 14a : 공간부
15 : 안착부 15a : 가이드홈부
16 : 관통홀부 16a : 체결부재
16b : 너트부재 16c : 완충부재
16d : 센서
17 : 결합부 17a : 보스부
17b : 배치부 17c : 회전홀부
17d : 베어링부 18 : 돌출부
18a : 착탈홀부 19 : 수위감지센서
20 : 터브 21 : 컨트롤부
21a : 조작부 22 : 제어블록
23 : 드럼 23a : 구동축
30 : 박스부 31 : 연결홀부
31a : 고리부 32 : 커버부
33 : 걸림홈부 34 : 제1잠금홀부
34a : 제1스토퍼 35 : 제2잠금홀부
35a : 제2스토퍼 36 : 장착홀부
36a : 곡면부 37 : 장착홈부
38 : 가이드돌기 40 : 구동부
41 : 모터 41a : 회전축
41b : 고정홀부 42 : 구동휠
43 : 벨트 50 : 전면패널
51 : 제1지지부 52 : 제2지지부
53 : 개구부 54 : 제1삽입홀부
54a : 제1차단패널 54b : 제1급수홀부
54c : 제1단차부 55 : 제2삽입홀부
55a : 제2차단패널 55b : 제2급수홀부
55c : 제2단차부 56 : 차단부
59 : 오조립방지부 60 : 도어
61 : 감지홈부 62 : 힌지부
62a : 지지대 70 : 우회부
71 : 우회리브 72 : 히터
74 : 급수밸브 74a : 급수관
75 : 배수장치 80 : 배수부
81 : 차단리브 82 : 배수홀부
83 : 안내리브 90 : 세제함
91 : 제1수납부 91a : 잔수홀부
91b : 제1유도패널 92 : 제1손잡이부
92a : 제1걸림부 92b : 제1후크부
100 : 유연제함 101 : 제2수납부
101a : 제2유도패널 102 : 제2손잡이부
102a : 제2후크부 103 : 사이펀부
103a : 배출관 103b : 덮개부
104 : 제2걸림부 110 : 오조립방지부
120 : 막힘방지부 121 : 포밍부
123 : 공기배출구 125 : 배기관

Claims (10)

  1. 관통홀부와 벽면 사이에 완충부재가 개재되고 상기 관통홀부를 통해 체결부재가 삽입되어 벽면에 거치되는 배면패널과, 세탁수가 담수되고 상기 배면패널에 지지되는 터브와, 상기 배면패널에 결합되고 상기 터브를 감싸는 박스부,를 포함하는 벽걸이형 드럼세탁기에 있어서,
    상기 배면패널과 벽면간의 접촉상태를 센싱하는 센서;
    상기 센싱된 접촉상태를 기반으로 상기 드럼세탁기의 거치불량을 판단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의 판단 결과에 따라 전원공급을 단속하는 전원공급부; 를 포함하는 벽걸이형 드럼세탁기의 거치불량 감지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는,
    상기 배면패널을 벽면에 고정시키기 위한 체결부재와 결합되는 너트부재가 풀림 이동됨에 따른 상기 배면패널과 벽면간의 접촉상태를 센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걸이형 드럼세탁기의 거치불량 감지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는,
    상기 완충부재와 상기 벽면간의 접촉상태를 센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걸이형 드럼세탁기의 거치불량 감지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의 판단 결과에 따라 경고음 출력하는 경고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걸이형 드럼세탁기의 거치불량 감지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의 판단 결과에 따라 기저장된 연락처로 문자를 전송하는 문자전송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걸이형 드럼세탁기의 거치불량 감지장치.
  6. 관통홀부와 벽면 사이에 완충부재가 개재되고 상기 관통홀부를 통해 체결부재가 삽입되어 벽면에 거치되는 배면패널과, 세탁수가 담수되고 상기 배면패널에 지지되는 터브와, 상기 배면패널에 결합되고 상기 터브를 감싸는 박스부,를 포함하는 벽걸이형 드럼세탁기의 거치불량 감지방법에 있어서,
    제어부가 벽면에 거치된 드럼세탁기의 배면패널에 구비된 센서로부터 상기 배면패널과 벽면간의 접촉상태를 입력받는 단계;
    상기 입력된 접촉상태로부터 상기 배면패널과 벽면 간 접촉이 해제되었는지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배면패널과 벽면 간 접촉이 해제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드럼세탁기의 전원공급을 중단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벽걸이형 드럼세탁기의 거치불량 감지방법.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는
    상기 배면패널을 벽면에 고정시키기 위한 체결부재와 결합되는 너트부재가 풀림 이동됨에 따른 상기 배면패널이 벽면간의 접촉상태를 센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걸이형 드럼세탁기의 거치불량 감지방법.
  8.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는,
    상기 완충부재와 상기 벽면간의 접촉상태를 센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걸이형 드럼세탁기의 거치불량 감지방법.
  9.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배면패널과 벽면 간 접촉이 해제된 것으로 판단되면, 경고음을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걸이형 드럼세탁기의 거치불량 감지방법.
  10.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배면패널과 벽면 간 접촉이 해제된 것으로 판단되면, 기저장된 연락처로 문자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걸이형 드럼세탁기의 거치불량 감지방법.
KR1020120101978A 2012-04-04 2012-09-14 벽걸이형 드럼세탁기의 거치불량 감지 장치 및 그 방법 KR101373618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4/019,500 US10190247B2 (en) 2012-04-04 2013-09-05 Wall-mounted drum washing machine and method for sensing mounting abnormality and fall thereof
CN201310415147.2A CN103668857B (zh) 2012-04-04 2013-09-12 壁装式滚筒洗衣机和用于检测壁装式滚筒洗衣机的安装异常和坠落的方法
EP13184078.7A EP2708626A3 (en) 2012-04-04 2013-09-12 Wall-mounted drum washing machine and method for sensing mounting abnormality and fall of wall-mounted drum washing machin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35178 2012-04-04
KR20120035178 2012-04-0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12666A KR20130112666A (ko) 2013-10-14
KR101373618B1 true KR101373618B1 (ko) 2014-03-25

Family

ID=49633624

Family Applications (8)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01978A KR101373618B1 (ko) 2012-04-04 2012-09-14 벽걸이형 드럼세탁기의 거치불량 감지 장치 및 그 방법
KR1020120101980A KR101385103B1 (ko) 2012-04-04 2012-09-14 벽걸이형 드럼세탁기의 탈수 제어방법
KR1020120101982A KR101373620B1 (ko) 2012-04-04 2012-09-14 벽걸이형 드럼세탁기의 거치불량 감지장치 및 감지방법
KR1020120101984A KR101453274B1 (ko) 2012-04-04 2012-09-14 벽걸이형 드럼세탁기
KR1020120101983A KR101373621B1 (ko) 2012-04-04 2012-09-14 벽걸이형 드럼세탁기의 낙하 감지장치 및 감지방법
KR1020120101979A KR101461386B1 (ko) 2012-04-04 2012-09-14 벽걸이형 드럼세탁기의 탈수 제어방법
KR1020120101977A KR101440297B1 (ko) 2012-04-04 2012-09-14 벽걸이형 드럼세탁기의 헹굼 제어방법
KR1020120101981A KR101373619B1 (ko) 2012-04-04 2012-09-14 벽걸이형 드럼세탁기

Family Applications After (7)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01980A KR101385103B1 (ko) 2012-04-04 2012-09-14 벽걸이형 드럼세탁기의 탈수 제어방법
KR1020120101982A KR101373620B1 (ko) 2012-04-04 2012-09-14 벽걸이형 드럼세탁기의 거치불량 감지장치 및 감지방법
KR1020120101984A KR101453274B1 (ko) 2012-04-04 2012-09-14 벽걸이형 드럼세탁기
KR1020120101983A KR101373621B1 (ko) 2012-04-04 2012-09-14 벽걸이형 드럼세탁기의 낙하 감지장치 및 감지방법
KR1020120101979A KR101461386B1 (ko) 2012-04-04 2012-09-14 벽걸이형 드럼세탁기의 탈수 제어방법
KR1020120101977A KR101440297B1 (ko) 2012-04-04 2012-09-14 벽걸이형 드럼세탁기의 헹굼 제어방법
KR1020120101981A KR101373619B1 (ko) 2012-04-04 2012-09-14 벽걸이형 드럼세탁기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2) US9783918B2 (ko)
EP (2) EP2708626A3 (ko)
KR (8) KR101373618B1 (ko)
CN (2) CN103668857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77873B1 (ko) 2013-12-20 2015-12-15 동부대우전자 주식회사 벽걸이형 드럼 세탁기용 고정장치
KR101555761B1 (ko) 2013-12-23 2015-09-25 동부대우전자 주식회사 벽걸이형 드럼세탁기의 낙하 감지 장치 및 방법
KR101568912B1 (ko) 2013-12-24 2015-11-12 동부대우전자 주식회사 세탁기
KR101577334B1 (ko) 2013-12-26 2015-12-14 동부대우전자 주식회사 수밀 기능을 갖는 벽걸이 세탁기
KR102318188B1 (ko) 2014-02-11 2021-10-28 삼성전자주식회사 세탁기
US20170121881A1 (en) * 2014-06-16 2017-05-04 Qingdao Haier Washing Machine Co.,Ltd. A method for detecting imbalance of washing machine, and a washing machine
CN105714517B (zh) * 2014-12-01 2017-09-19 无锡小天鹅股份有限公司 洗衣机
US9546925B2 (en) * 2014-12-05 2017-01-17 Nxp Usa, Inc. Packaged sensor with integrated offset calibration
CN107419475A (zh) * 2016-05-24 2017-12-01 王军 一种壁挂式滚筒洗衣机
CN106012428A (zh) * 2016-06-30 2016-10-12 无锡小天鹅股份有限公司 壁挂式洗衣机的安装松动检测方法、装置及壁挂式洗衣机
CN108330646B (zh) * 2017-01-19 2020-05-22 青岛胶南海尔洗衣机有限公司 一种壁挂式滚筒洗衣机及其安装异常的检测方法
GB201707438D0 (en) * 2017-05-09 2017-06-21 Howden Joinery Group Plc Detecting appliance conformity
CN107164924B (zh) * 2017-05-23 2023-07-14 无锡小天鹅电器有限公司 壁挂式洗衣机及其箱体组件
KR20180136099A (ko) * 2017-06-14 2018-12-24 주식회사 대우전자 벽걸이형 세탁기 및 벽걸이형 세탁기의 세제함
KR20180136095A (ko) * 2017-06-14 2018-12-24 주식회사 대우전자 벽걸이형 세탁기 및 그의 커버
KR20180136096A (ko) * 2017-06-14 2018-12-24 주식회사 대우전자 벽걸이형 세탁기
KR20180136087A (ko) * 2017-06-14 2018-12-24 주식회사 대우전자 벽걸이형 세탁기 및 그의 도어 개스킷
KR102368502B1 (ko) * 2017-06-14 2022-02-28 주식회사 위니아전자 벽걸이형 세탁기 및 벽걸이형 세탁기의 세제함
KR20180136098A (ko) * 2017-06-14 2018-12-24 주식회사 대우전자 벽걸이형 세탁기 및 벽걸이형 세탁기의 세제함
KR20180136090A (ko) * 2017-06-14 2018-12-24 주식회사 대우전자 벽걸이형 세탁기
KR20180136687A (ko) * 2017-06-15 2018-12-26 주식회사 대우전자 벽걸이형 드럼 세탁기
KR102050026B1 (ko) * 2018-02-13 2019-11-28 엘지전자 주식회사 인공지능을 이용한 수평 진동 진단 시스템
CN110219133A (zh) * 2018-03-01 2019-09-10 青岛海尔洗衣机有限公司 一种洗衣机的控制方法及洗衣机
CN110952287B (zh) * 2018-09-27 2023-05-16 青岛胶南海尔洗衣机有限公司 壁挂式衣物处理设备
CN110952276A (zh) * 2018-09-27 2020-04-03 青岛海尔洗衣机有限公司 一种壁挂式洗衣机
CN111560741A (zh) * 2019-02-13 2020-08-21 青岛海尔洗衣机有限公司 一种壁挂式衣物处理设备及其安装检测方法
CN109974645B (zh) * 2019-04-10 2021-09-10 成都安尔法智控科技有限公司 传感器异常位移监测方法和系统
KR102633155B1 (ko) * 2019-04-15 2024-02-05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 처리 장치 및 그 제어방법
WO2020251086A1 (ko) * 2019-06-13 2020-12-17 엘지전자 주식회사 인공지능 세탁물 처리 기기
CN112796076A (zh) * 2019-11-13 2021-05-14 青岛海尔洗衣机有限公司 一种壁挂式洗衣机
WO2023075733A2 (en) * 2021-10-27 2023-05-04 Vestel Beyaz Esya Sanayi Ve Ticaret Anonim Sirketi A washing and/or drying machine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0483Y1 (ko) 2007-04-03 2008-06-13 서천하 벽걸이식 헤어스타일링기기 셋트

Family Cites Families (4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2416518A1 (de) * 1974-04-03 1975-10-30 Bosch Siemens Hausgeraete Verfahren zum schleudern von waesche in einer trommelwaschmaschine
JPS5742767U (ko) * 1980-08-21 1982-03-09
KR940021801A (ko) * 1993-03-26 1994-10-19 이헌조 급수조건에 따른 세탁기의 세탁 제어방법
KR100297050B1 (ko) * 1993-12-09 2001-10-24 구자홍 세탁기의헹굼횟수결정방법
US5421175A (en) * 1994-02-10 1995-06-06 Niu; Chi-Chou Stocking washing machine
DE4410589C2 (de) * 1994-03-26 1998-03-12 Miele & Cie Verfahren zur Steuerung des Programms einer Waschmaschine
TW262497B (en) * 1994-06-29 1995-11-11 Toshiba Co Ltd Washing machine
KR100198568B1 (ko) * 1997-02-14 1999-06-15 구자홍 드럼세탁기의 거품발생 방지장치 및 그 방법
KR19990066658A (ko) * 1998-01-31 1999-08-16 윤종용 세탁수 유도장치를 가지는 세탁기
JPH11347290A (ja) * 1998-06-10 1999-12-21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ドラム式洗濯機
KR100403026B1 (ko) * 2001-07-31 2003-10-23 삼성전자주식회사 세탁물의 흡수특성을 고려한 세탁기의 제어방법
KR100468470B1 (ko) * 2002-07-18 2005-01-27 삼성전자주식회사 세탁기 및 그 제어 방법
KR200305578Y1 (ko) * 2002-11-21 2003-02-26 김성곤 벽걸이 소형 드럼 세탁기
KR100495064B1 (ko) * 2002-11-28 2005-06-14 엘지전자 주식회사 잔류세제 감지형 세탁기의 동작방법
JP2004313232A (ja) * 2003-04-11 2004-11-11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洗濯機
KR101082563B1 (ko) * 2004-04-14 2011-11-10 엘지전자 주식회사 드럼 세탁기의 세제박스
KR20060077318A (ko) * 2004-12-30 2006-07-05 엘지전자 주식회사 벽걸이용 세탁 장치
KR100826174B1 (ko) * 2004-12-30 2008-04-30 엘지전자 주식회사 벽걸이용 세탁 장치
KR20060125298A (ko) * 2005-06-02 2006-12-06 추성엽 드럼 세탁기
JP4600221B2 (ja) * 2005-09-06 2010-12-15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ドラム式洗濯機
US7546780B2 (en) * 2005-09-30 2009-06-16 Rockwell Automation Technologies, Inc. Sensor mounting structure allowing for adjustment of sensor position
WO2007055475A1 (en) * 2005-11-11 2007-05-18 Lg Electronics Inc. Drum-type washing machine and tub cleaning method of the same
KR20070050583A (ko) * 2005-11-11 2007-05-16 엘지전자 주식회사 드럼 세탁기 및 드럼 세탁기의 터브 세척 방법
CN2927483Y (zh) * 2005-12-14 2007-07-25 上海环达计算机科技有限公司 电源适配器的隔热结构
JP2007214751A (ja) * 2006-02-08 2007-08-23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転倒・盗難防止装置付テレビ
US7627920B2 (en) * 2006-06-09 2009-12-08 Whirlpool Corporation Method of operating a washing machine using steam
JP2008055016A (ja) * 2006-09-01 2008-03-13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ドラム式洗濯機
JP4941012B2 (ja) * 2007-03-08 2012-05-30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食器洗い機
KR20080100961A (ko) * 2007-05-15 2008-11-21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벽걸이형 스탠드 경고 장치
KR101337533B1 (ko) * 2007-07-16 2013-12-06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기 및 그 탈수방법
CN201099770Y (zh) * 2007-10-12 2008-08-13 苏州三星电子有限公司 壁挂式洗衣机
EP2220280A4 (en) * 2007-11-20 2013-12-04 Lg Electronics Inc METHOD AND DEVICE FOR TREATING WASH
US20090183319A1 (en) * 2008-01-22 2009-07-23 Samsung Electronics Co., Ltd. Washing machine and rinsing control method thereof
KR101587466B1 (ko) * 2008-09-16 2016-01-21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물 처리기기 및 세탁물 처리기기 제어방법
IT1392968B1 (it) * 2009-02-04 2012-04-02 Indesit Co Spa Sistema elettrodomestico
KR101687544B1 (ko) * 2009-09-21 2016-12-19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 방법 및 세탁기
EP2317001B1 (en) * 2009-10-29 2016-05-25 Electrolux Home Products Corporation N.V. Household appliance for wall mounting
JP5158120B2 (ja) * 2010-03-26 2013-03-06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洗濯機
KR20110116794A (ko) * 2010-04-20 2011-10-26 삼성전자주식회사 세탁기 및 그 제어방법
CN201835139U (zh) * 2010-10-10 2011-05-18 张正 一种壁挂式洗衣机
CN201883308U (zh) * 2010-12-15 2011-06-29 南京乐金熊猫电器有限公司 具有位移传感器的洗衣机
KR101143328B1 (ko) 2011-02-18 2012-05-09 주식회사 아모텍 커버 일체형 구조의 스테이터를 포함하는 드럼세탁기의 직결형 구동장치
CN202247393U (zh) * 2011-07-12 2012-05-30 王黔平 壁挂式滚筒洗衣机
US9368959B2 (en) * 2011-09-06 2016-06-14 Robert W. Wright, JR. Displacement safety system for electrical charging stations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0483Y1 (ko) 2007-04-03 2008-06-13 서천하 벽걸이식 헤어스타일링기기 셋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708626A2 (en) 2014-03-19
KR20130112665A (ko) 2013-10-14
US20140068873A1 (en) 2014-03-13
KR20130112671A (ko) 2013-10-14
US20140077624A1 (en) 2014-03-20
KR101373619B1 (ko) 2014-03-12
EP2708626A3 (en) 2015-10-28
CN103668861A (zh) 2014-03-26
CN103668857B (zh) 2017-01-04
KR101440297B1 (ko) 2014-09-17
US9783918B2 (en) 2017-10-10
KR20130112669A (ko) 2013-10-14
KR101373621B1 (ko) 2014-03-12
US10190247B2 (en) 2019-01-29
US20170254010A9 (en) 2017-09-07
CN103668857A (zh) 2014-03-26
KR20130112670A (ko) 2013-10-14
KR101461386B1 (ko) 2014-11-13
EP2708627A3 (en) 2018-01-03
KR20130112666A (ko) 2013-10-14
KR101453274B1 (ko) 2014-10-21
KR20130112667A (ko) 2013-10-14
KR20130112668A (ko) 2013-10-14
CN103668861B (zh) 2016-03-02
KR20130112672A (ko) 2013-10-14
KR101385103B1 (ko) 2014-04-14
EP2708627A2 (en) 2014-03-19
KR101373620B1 (ko) 2014-03-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73618B1 (ko) 벽걸이형 드럼세탁기의 거치불량 감지 장치 및 그 방법
US10472758B2 (en) Wall-mounted drum-type washing machine
US10465326B2 (en) Wall-mounted drum type washing machine
US20140298866A1 (en) Wall-mounted drum type washing machine
US10174451B2 (en) Wall-mounted drum-type washing machine
KR20130112639A (ko) 벽걸이형 드럼세탁기
KR20130112641A (ko) 벽걸이형 드럼세탁기
KR20130112638A (ko) 벽걸이형 드럼세탁기
KR20130112642A (ko) 벽걸이형 드럼세탁기
KR20130112645A (ko) 벽걸이형 드럼세탁기
KR20130112643A (ko) 벽걸이형 드럼세탁기
KR20130112637A (ko) 벽걸이형 드럼세탁기
KR20130112640A (ko) 벽걸이형 드럼세탁기
KR20130112644A (ko) 벽걸이형 드럼세탁기
KR101696706B1 (ko) 세탁물 처리기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23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