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112641A - 벽걸이형 드럼세탁기 - Google Patents

벽걸이형 드럼세탁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112641A
KR20130112641A KR1020120035174A KR20120035174A KR20130112641A KR 20130112641 A KR20130112641 A KR 20130112641A KR 1020120035174 A KR1020120035174 A KR 1020120035174A KR 20120035174 A KR20120035174 A KR 20120035174A KR 20130112641 A KR20130112641 A KR 2013011264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x
rear panel
washing machine
wall
tub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351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53270B1 (ko
Inventor
황의근
Original Assignee
동부대우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부대우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동부대우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0351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53270B1/ko
Priority to PCT/KR2012/010524 priority patent/WO2013085298A1/ko
Priority to US14/119,436 priority patent/US10301758B2/en
Priority to ES12855734.5T priority patent/ES2627969T3/es
Priority to CN201280022965.XA priority patent/CN103975104B/zh
Priority to EP12855734.5A priority patent/EP2730693B1/en
Publication of KR201301126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1264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532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5327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12Casings; Tub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3/00Washing machines with receptacles, e.g. perforated, having a rotary movement, e.g. oscillatory movement, the receptacle serving both for washing and for centrifugally separating water from the laundry 
    • D06F23/02Washing machines with receptacles, e.g. perforated, having a rotary movement, e.g. oscillatory movement, the receptacle serving both for washing and for centrifugally separating water from the laundry  and rotating or oscillating about a horizontal axi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02Rotary receptacles, e.g. drums
    • D06F37/04Rotary receptacles, e.g. drums adapted for rotation or oscillation about a horizontal or inclined axi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20Mountings, e.g. resilient mountings, for the rotary receptacle, motor, tub or casing; Preventing or damping vibrations
    • D06F37/22Mountings, e.g. resilient mountings, for the rotary receptacle, motor, tub or casing; Preventing or damping vibrations in machines with a receptacle rotating or oscillating about a horizontal axi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26Casings; Tub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26Casings; Tubs
    • D06F37/267Tubs specially adapted for mounting thereto components or devices not provided for in preceding subgroups
    • D06F37/268Tubs specially adapted for mounting thereto components or devices not provided for in preceding subgroups for suspension device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12Casings; Tubs
    • D06F39/14Doors or covers; Securing means therefor

Abstract

본 발명은, 벽면에 거치되는 배면패널과, 세탁수가 담수되고 배면패널에 지지되는 터브와, 터브에 설치되는 전면패널과, 터브를 감싸도록 배면패널에 설치되고 전방에 연결홀부가 형성되는 박스부와, 연결홀부에 설치되는 커버부와, 커버부와 박스부 사이에 탄성력이 생성되도록 박스부와 배면패널을 연결하는 탄력조립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벽걸이형 드럼세탁기 {WALL MOUNTED DRUM TYPE WASHING MACHINE}
본 발명은 벽걸이형 드럼세탁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드럼세탁기를 벽면에 설치하여 사용할 수 있고, 드럼세탁기의 외관을 이루는 부품들을 용이하게 조립할 수 있으며, 부품들 사이의 결속력이 향상되는 벽걸이형 드럼세탁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벽걸이형 드럼세탁기는, 설치판에 일체로 형성되는 세탁조에 정역모터로 구동되는 세탁드럼이 내장되고, 세탁조에 솔레노이드밸브가 구비된 급수관과 배수관이 배관된다.
또한, 세탁조에는 수위를 감지할 수 있는 수위감지센서와, 세탁조에 더운 공기를 공급하는 열풍기와, 세탁조 내부 공기를 배출하는 송풍기와, 세탁, 탈수, 헹굼 및 건조를 선택하는 조작버튼이 마련되며 이들을 제어하는 컨트롤판넬이 내장된다.
또한, 설치판의 상측으로 세탁드럼을 구동하는 정역모터와 세탁조에 열풍를 공급하는 열풍기가 설치되고, 설치판 후방으로는 세탁조 하단과 연통되며 상단에 송풍기가 결합된 배기관과 수위감지센서가 설치된다.
설치판 전방으로는 양측으로 볼트가 매설되어 있는 다수개의 실리콘재질 방진고무가 고정되어, 세탁조내입공과 정역모터내입공 및 열풍기내입공이 형성된 중간케이스의 방진고무 안치홈에 결합된다.
중간케이스 전방으로는 세탁조의 직경과 동일한 직경의 돌환테가 형성되고, 프레임 내측으로 강화유리가 결합된 도어에 의해 개폐되는 실리콘패킹이 개재된 투입공을 갖는 전방케이스가 스테이볼트로 상호 결합된다.
중간케이스 후방으로는 상하측으로 고리가 형성된 후방케이스가 볼트로 고정되며, 고리는 벽에 고정되는 양측 고정편 사이에 돌출 형성되는 끼움편을 형성한 브라켓에 결합된다.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305578호(2003년 2월 26일 공개, 발명의 명칭 : 벽걸이 소형 드럼 세탁기)에 개시되어 있다.
일반적인 벽걸이형 드럼세탁기는 다수 개의 체결부재를 사용하여 드럼세탁기의 외관을 이루는 캐비닛을 조립하였기 때문에 체결부재의 부품수를 줄이기 어렵고, 캐비닛 조립작업에 소요되는 시간 및 비용을 줄이기 어려우며, 드럼세탁기의 외관을 이루는 부재들 사이의 결속력을 증가시키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이를 개선할 필요성이 요청된다.
본 발명은 드럼세탁기를 벽면에 설치하여 사용할 수 있고, 드럼세탁기의 외관을 이루는 부품들을 용이하게 조립할 수 있으며, 부품들 사이의 결속력이 향상되는 벽걸이형 드럼세탁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벽면에 거치되는 배면패널; 세탁수가 담수되고 상기 배면패널에 지지되는 터브; 상기 터브에 설치되는 전면패널; 상기 터브를 감싸도록 상기 배면패널에 설치되고 전방에 연결홀부가 형성되는 박스부; 상기 연결홀부에 설치되는 커버부; 및 상기 커버부와 상기 박스부 사이에 탄성력이 생성되도록 상기 박스부와 상기 배면패널을 연결하는 탄력조립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탄력조립부는, 상기 연결홀부에 형성되는 고리부; 상기 고리부가 삽입되도록 상기 커버부에 형성되는 걸림홈부; 및 상기 배면패널에 형성되고 상기 박스부가 안착되는 안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안착부는 상기 배면패널의 테두리에 계단 모양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안착부는, 상기 커버부가 조립된 상기 박스부가 상기 배면패널에 안착되면 상기 박스부의 단부와 상기 안착부 사이에 간격이 형성되도록 상기 박스부의 단부 위치와 비교하여 후방에 배치되는 길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안착부에는 가이드홈부가 형성되고, 상기 박스부에는 상기 가이드홈부에 삽입되는 가이드돌기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커버부에는 도어가 설치되는 장착홀부가 형성되고, 상기 장착홀부로부터 상기 걸림홈부 측으로 갈수록 상기 박스부 외측으로 경사지는 곡면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커버부에는 상기 장착홀부와 상기 곡면부 사이에 상기 도어의 힌지부가 관통되는 장착홈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전면패널에는, 상기 힌지부가 결합되도록 복수 개의 보강리브가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제1지지부와, 상기 커버부가 밀착되어 지지되도록 복수 개의 상기 보강리브가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제2지지부가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벽걸이형 드럼세탁기는 드럼세탁기의 외관을 이루는 부재들 사이에 걸림결합이 이루어지므로 체결부재의 수를 줄여 제품의 무게 및 단가를 낮출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벽걸이형 드럼세탁기는 박스부와 커버부가 결합될 때에 탄성력이 형성되도록 변형을 가하면 조립하므로 조립이 완료된 후에 부재들 사이의 생성되는 탄성력에 의해 부재들 사이의 결속력이 향상되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벽걸이형 드럼세탁기는 박스부가 배면패널의 안착부에 정확하게 위치되어 조립되므로 드럼세탁기의 외관을 이루는 부재들 사이의 조립공정이 용이해져 드럼세탁기 제작에 소요되는 시간 및 비용을 줄일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벽걸이형 드럼세탁기의 안착부는, 배면패널의 테두리에 계단 모양으로 형성되므로 박스부가 배면패널에 조립될 때에 박스부가 정확한 위치에 안착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벽걸이형 드럼세탁기의 안착부에는, 가이드홈부가 형성되고, 박스부에는 가이드홈부에 삽입되는 가이드돌기가 형성되므로 박스부가 안착부에 안착될 때에 가이드돌기가 가이드홈부에 삽입되면서 박스부가 보다 더 정확한 위치에 안착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벽걸이형 드럼세탁기의 커버부에는 도어가 설치되는 장착홀부가 형성되고, 장착홀부로부터 걸림홈부 측으로 갈수록 박스부 외측으로 경사지는 곡면부가 형성되므로 박스부를 배면패널 측으로 가압하면 곡면부가 변형되면서 결합되므로 박스부와 배면패널 사이의 결합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벽걸이형 드럼세탁기의 커버부에는 장착홀부와 곡면부 사이에 도어의 힌지부가 관통되는 장착홈부가 형성되므로 힌지부가 전면패널의 정확한 위치에 결합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벽걸이형 드럼세탁기의 전면패널에는, 힌지부가 결합되도록 복수 개의 보강리브가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제1지지부와, 커버부가 밀착되어 지지되도록 복수 개의 보강리브가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제2지지부가 일체로 형성되므로 커버부 및 힌지부의 결합력이 향상되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벽걸이형 드럼세탁기가 도시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벽걸이형 드럼세탁기가 도시된 배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벽걸이형 드럼세탁기가 도시된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벽걸이형 드럼세탁기가 도시된 배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벽걸이형 드럼세탁기가 도시된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벽걸이형 드럼세탁기의 탄력조립부가 도시된 작동 상태도이다.
도 7은 도 5에 도시된 A부 확대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벽걸이형 드럼세탁기의 장착구조가 도시된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벽걸이형 드럼세탁기의 전면패널 장착구조가 도시된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벽걸이형 드럼세탁기의 수위감지센서 장착구조 및 배수부가 도시된 사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벽걸이형 드럼세탁기의 배수부가 도시된 단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벽걸이형 드럼세탁기의 배면패널이 도시된 배면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벽걸이형 드럼세탁기의 도어 개방상태가 도시된 사시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벽걸이형 드럼세탁기의 박스부 장착구조가 도시된 분해 사시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벽걸이형 드럼세탁기의 가이드돌기와 가이드홈부의 연결구조가 도시된 단면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벽걸이형 드럼세탁기의 우회부가 도시된 사시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벽걸이형 드럼세탁기의 우회부가 구비되는 전면패널이 도시된 사시도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벽걸이형 드럼세탁기의 세제함 장착구조가 도시된 단면도이다.
도 1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벽걸이형 드럼세탁기의 유연제함 장착구조가 도시된 단면도이다.
도 2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벽걸이형 드럼세탁기의 세제함 장착구조가 도시된 분해 사시도이다.
도 2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벽걸이형 드럼세탁기의 유연제함 장착구조가 도시된 분해 사시도이다.
도 2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벽걸이형 드럼세탁기의 세제함 장착구조가 도시된 확대 단면도이다.
도 2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벽걸이형 드럼세탁기의 유연제함 장착구조가 도시된 확대 단면도이다.
도 2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벽걸이형 드럼세탁기의 오조립방지부가 도시된 도면이다.
도 2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벽걸이형 드럼세탁기의 넘침방지부가 도시된 단면도이다.
도 2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벽걸이형 드럼세탁기의 드럼이 도시된 정면 사시도이다.
도 2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벽걸이형 드럼세탁기의 드럼이 도시된 배면 사시도이다.
도 2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벽걸이형 드럼세탁기의 드럼이 도시된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벽걸이형 드럼세탁기의 일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러한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써,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벽걸이형 드럼세탁기가 도시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벽걸이형 드럼세탁기가 도시된 배면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벽걸이형 드럼세탁기가 도시된 분해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벽걸이형 드럼세탁기가 도시된 배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벽걸이형 드럼세탁기는, 벽면에 거치되는 배면패널(10)과, 세탁수가 담수되고 배면패널(10)에 지지되는 터브(20)와, 터브(20)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세탁물이 수납되는 드럼(23)과, 드럼(23)을 회전시키는 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부(40)와, 터브(20)에 세탁수를 공급하는 급수장치(74, 74a)와, 터브(20)로부터 배출되는 세탁수를 외부로 배수하는 배수장치(75)를 포함한다.
터브(20)에는 개구부(53)가 형성되는 전면패널(50)이 설치되고, 배면패널(10)에는 터브(20)를 감싸는 박스부(30)가 설치된다.
박스부(30)의 전방에는 전면패널(50)을 감싸는 커버부(32)가 설치된다.
커버부(32)에는 도어(60)가 개폐 가능하게 설치되고, 전면패널(50)에는 세제함(90) 및 유연제함(100)이 착탈 가능하게 설치된다.(도 17 참조)
사용자가 세탁작동을 행할 때에는 벽면(W : 도 8 참조)에 설치되는 드럼세탁기의 커버부(32)로부터 도어(60)를 개방하고, 드럼(23) 내부에 세탁물을 수납한다.
이후에 전면패널(50)에 장착된 세제함(90) 및 유연제함(100)을 분리하고, 세제와 섬유 유연제를 세제함(90)과 유연제함(100)에 각각 넣고 다시 세제함(90)과 유연제함(100)을 전면패널(50)에 삽입한다.
도어(60)를 닫고 조작부(21a)를 조작하면 급수장치(74, 74a)에 의해 터브(20) 내부에 세탁수가 공급되고, 구동부(40)에 전원이 인가되어 드럼(23)이 회전되면서 세탁작동이 개시된다.
세탁작동이 완료된 후에는 배수장치(75)의 작동에 따라 세탁수가 박스부(30) 외부로 배출된다.
본 실시예는 2~4kg 정도의 크기로 이루어지는 소형의 드럼(23)이 벽면에 거치되는 배면패널(10)에 설치되므로 세탁을 자주하게 되는 아기 옷, 속옷, 와이셔츠 등의 세탁물을 손쉽게 세탁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세탁물이 모아질 때까지 기다리지 않고 소량의 세탁물이 발생되더라도 세탁물이 발생되는 그 때 그 때마다 세탁수 및 전기량의 소비를 걱정하지 않고 부담 없이 세탁을 행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벽걸이형 드럼세탁기는, 배면패널(10)에 설치되는 제어블록(22)과, 제어블록(22)으로부터 배면패널(10) 외부로 연장되는 전원선(11a)과, 배면패널(10)의 배면에 구비되고 전원선(11a)을 배면패널(10) 외부로 안내하고 고정시키는 안내부(12)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의 배면패널(10)은 안내부(12)가 구비되므로 전원선(11a)이 배면패널(10)의 측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어 배면패널(10)을 벽면에 용이하게 거치하게 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벽걸이형 드럼세탁기의 전원선(11a)은, 배면패널(10)의 테두리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배면패널(10)에 형성되는 안내부(12)를 따라 고정되고, 배면패널(10)의 외측으로 드러나게 된다.
제어블록(22)으로부터 연장되는 전원선(11a)은 배면패널(10)을 관통하여 안내부(12) 측으로 연장된다.
본 실시예의 배면패널(10)에는 전원선(11a)이 통과되는 통과홀부(11)가 형성되고, 제어블록(22)은 배면패널(10)의 전면부(10a)에 설치된다.
제어블록(22)으로부터 연장되는 전원선(11a)은 통과홀부(11)를 통해 배면패널(10)의 배면 측으로 연장되고, 배면패널(10)의 배면에 구비되는 안내부(12)를 따라 배면패널(10)의 테두리 방향으로 안내된다.
따라서 전원선(11a)은 배면패널(10)의 측 방향 외측으로 드러나게 되므로 전원선(11a)이 드럼세탁기 외측으로 드러나게 되는 부위가 벽면(W)에 인접하게 배치되어 벽면(W)에 밀착되게 전원선(11a)을 배치시킬 수 있게 된다.
전원선(11a)은 배면패널(10)의 배면으로 연장된 후에, 배면패널(10)의 상측 또는 하측 외부로 드러나게 되므로 벽걸이형 드럼세탁기의 외관이 미려하게 마무리될 수 있다.
안내부(12)는, 통과홀부(11)를 통해 연장되는 전원선(11a)을 배면패널(10)의 일측으로 안내하고 고정하는 고정부(12a)를 포함한다.
고정부(12a)는 배면패널(10)의 배면에 형성되고, 전원선(11a)을 배면패널(10)과 벽면(W) 사이의 공간에 고정시킨다.
따라서 배면패널(10)의 배면으로 연장되는 전원선(11a)은 세탁작동 중에 발생되는 진동에 의해 유동되지 않고 일정한 위치에 배치된다.
배면패널(10)의 배면에는 복수 개의 보강리브(13c)가 형성되고, 배면패널의 중앙을 중심으로 하여 방사형으로 복수 개의 방사형리브(13)가 형성된다.
고정부(12a)는 방사형리브(13)의 일부분이 절개되어 이루어진다. 다수 개의 방사형리브(13)는 서로 간격을 유지한 채 배치되며, 전원선(11a)이 배치되는 공간을 형성하게 된다.
배면패널(10)은 사각 모양에 가까운 패널로 이루어지며, 모서리가 곡면부가 형성된다. 물론, 배면패널(10)은 원형 또는 타원형과 같이 다양한 모양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기한 배면패널(10)의 형상에 한정될 필요는 없다.
배면패널(10)의 테두리는 벽체 방향으로 굴곡되므로 배면패널(10)과 벽체 사이에는 공간이 형성된다.(도 2 참조)
이렇게 공간이 형성됨에 따라 다수 개의 보강리브(13c) 및 방사형리브(13)는 벽면(W)과 간섭되지 않은 채 배면패널(10)의 배면에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배면패널(10)은 보강리브(13c) 및 방사형리브(13)에 의해 강도가 보강되므로 드럼(23)의 회전에 의해 발생되는 진동에 의해 변형되거나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통과홀부(11)는 배면패널(10)의 하부에 형성되고, 방사형리브(13)가 절개되어 이루어지는 다수 개의 고정부(12a)가 전원선(11a)이 지나는 통로를 이루게 된다.
고정부(12a)는 전원선(11a)이 반원 모양에 가까운 곡선을 이루며 배면패널(10)의 상부로 연장될 수 있도록 다수 개가 연속하게 형성된다.
이와 같이 다수 개의 고정부(12a)가 간격을 유지하면서 배면패널(10)의 상단까지 배치됨에 따라, 고정부(12a)에 삽입되는 전원선(11a)을 배면패널(10)의 하단으로부터 상단까지 안내할 수 있게 된다.
복수 개의 방사형리브(13) 사이에는 설치홀부(13a)가 형성되고, 전원선(11a)에 권취되는 케이블부재(13b)는 체결부재에 의해 설치홀부(13a)에 고정된다.
케이블부재(13b)는 외력에 의해 성형된 모양을 그대로 유지하는 철사 또는 이와 그 성질이 유사한 부재이다.
따라서 케이블부재(13b)로 전원선(11a)을 감싸고, 케이블부재(13b)를 설치홀부(13a)에 체결부재로 고정시키면 전원선(11a)이 고정부(12a) 외부로 유동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배면패널(10)의 테두리에는 고정부(12a)를 따라 안내되는 전원선(11a)이 배면패널(10)의 상측 외부로 드러나도록 제1관통홈부(12b)가 형성된다.
따라서 전원선(11a)은 제1관통홈부(12b)를 통해 배면패널(10)의 상측 외부로 드러나게 된다.
배면패널(10)의 하부 테두리에는 통과홀부(11)로부터 연장되는 전원선(11a)이 배면패널(10)의 하측 외부로 드러나도록 제2관통홈부(12c)가 형성된다.
따라서 전원선(11a)을 배면패널(10)의 하측으로 연장시킬 때에는 전원선(11a)이 제2관통홈부(12c)를 통해 배면패널(10)의 외부로 드러나게 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벽걸이형 드럼세탁기가 도시된 단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벽걸이형 드럼세탁기의 탄력조립부가 도시된 작동 상태도이고, 도 7은 도 5에 도시된 A부 확대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벽걸이형 드럼세탁기의 장착구조가 도시된 단면도이다.
도 5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벽걸이형 드럼세탁기는, 터브(20)와 배면패널(10)을 연결하고, 터브(20)를 감싸는 보강부(14)를 포함한다.
배면패널(10)은 패널 모양으로 형성되어 벽면(W)에 거치되고, 배면패널(10)의 전면부(10a)로부터 전방으로 돌출되도록 원통 모양의 터브(20)가 형성된다.
터브(20)와 배면패널(10)의 연결부위에는 보강부(14)가 링 모양으로 터브(20)의 내측 단부를 감싸게 된다.
보강부(14)가 터브(20)의 내측 단부를 감싸므로 터브(20)와 배면패널(10) 사이의 연결부위에 가해지는 하중이 분산된다.
따라서 터브(20)의 내측 단부에 변형이 발생되거나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배면패널(10)의 배면에는 복수 개의 방사형리브(13) 및 보강리브(13c)가 형성되므로 배면패널(10)의 강도가 향상된다. 따라서 배면패널(10)의 변형 또는 파손을 방지하게 된다.
보강부(14)는 보강리브(13c)와 일체로 형성되므로 보강부(14)는 터브(20)의 내측 단부의 변형을 방지하고, 보강리브(13c)는 배면패널(10)의 변형을 방지한다.
따라서 터브(20)와 배면패널(10) 사이의 연결부위 강도가 향상된다.
터브(20)는 배면패널(10)로부터 전방으로 돌출되게 형성되고, 보강리브(13)는 배면패널(10)로부터 후방으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보강부(14)는 배면패널(10)로부터 전방으로 돌출되고 터브(20)에 일체로 연결되므로, 터브(20)의 내측 단부를 감쌀 수 있게 되고, 전면부(10a)와 비교하여 돌출된 위치에서 터브(20)와 배면패널(10)을 연결하게 된다.
보강부(14)의 상단은 굴곡되어 터브(20)에 일체로 연결된다. 보강부(14)의 상단이 굴곡됨에 따라 보강부(14)의 하부와 터브(20) 사이에는 공간부(14a)가 형성된다.
또한, 보강부(14)의 전방 측 단부와 배면패널(10)의 전면부(10a) 사이는 계단 모양으로 이루어지게 된다.
따라서 배면패널(10)의 전면부(10a) 측에 배치되는 제1금형(K1)과, 배면패널(10)의 배면 측에 배치되는 제2금형(K2)과, 배면패널(10) 및 터브(20)의 측면에 배치되는 제3금형(K3)을 사용하여 터브(20)가 일체로 형성되는 배면패널(10)을 제작할 수 있게 된다.(도 11 참조)
상기한 바와 같은 금형공정에 의해 배면패널(10), 터브(20) 및 보강부(14)가 일체로 형성된다.
배면패널(10)의 테두리에는 박스부(30)가 결합되는 안착부(15)가 형성된다.
따라서 배면패널(10)과 박스부(30)를 조립할 때에 박스부(30)의 단부가 배면패널(10)의 테두리에 형성되는 안착부(15)에 정확하게 안착될 수 있게 된다.
안착부(15)는 배면패널(10)의 전면부(10a)와 비교하여 후방에 배치되도록 형성되고, 보강부(14), 전면부(10a) 및 안착부(15)는 계단 모양으로 배치된다.
따라서 박스부(30)와 배면패널(10)을 조립할 때에 안착부(15)와 전면부(10a) 사이에 형성되는 단차에 의해 박스부(30)의 단부를 안착부(15)에 정확히 배치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전면부(10a)로부터 돌출되게 형성되는 보강부(14)에 의해 터브(20)의 내측 단부가 감싸지는 모양을 이루기 때문에 터브(20)와 배면패널(10) 사이의 연결부위 강도가 향상되는 효과가 나타나게 된다.
보강부(14), 전면부(10a) 및 안착부(15)는 안착부(15)로부터 보강부(14)로 갈수록 전방 측으로 돌출되는 계단 모양을 이룬다.
따라서 터브(20)가 일체로 형성되는 배면패널(10)의 제작을 완료한 후에 배면패널(10) 및 터브(20)의 측면에 배치되는 금형이 용이하게 분리될 수 있게 된다.
또한, 보강부(14), 전면부(10a) 및 안착부(15)는 터브(20) 측으로 갈수록 전방 측으로 돌출되는 계단 모양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계단 모양을 성형한 금형이 외측 방향으로 후퇴될 때에 보강부(14), 전면부(10a) 및 안착부(15)와 금형이 간섭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배면패널(10)에는 벽면(W)에 결합되도록 체결부재(16a)가 삽입되는 관통홀부(16)가 형성되고, 관통홀부(16)와 벽면(W) 사이에는 완충부재(16c)가 개재된다.
배면패널(10)은 정면 형상이 사각형 또는 이와 유사한 패널 모양으로 형성되고, 네 개의 모서리부에 각각 관통홀부(16)가 형성된다.(도 8 참조)
관통홀부(16)가 형성되는 배면패널(10)의 배면에는 다수 개의 방사형리브(13) 및 보강리브(13c)가 형성된다.
관통홀부(16)와 간격을 유지하며 방사형리브(13)가 연속되게 형성되고, 각각의 방사형리브(13)를 연결하는 보강리브(13c)가 형성된다.
관통홀부(16)에는 체결부재(16a)가 삽입되어 벽면(W)에 결합되고, 체결부재(16a)와 결합되는 너트부재(16b)는 배면패널(10)의 전면부(10a)에 밀착된다.
세탁작동이 진행되는 동안에 발생되는 진동은 체결부재(16a)와 배면패널(10)을 밀착시키는 너트부재(16b)에 의해 전달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벽걸이형 드럼세탁기는 너트부재(16b)가 전면부(10a)에 위치되므로 너트부재(16b)와 벽면(W) 사이의 간격이 형성되고, 이 간격 사이에 보강리브(13) 및 완충부재(16c)가 개재되어 드럼(23)의 진동이 벽면(W)에 전달되는 것을 억제하게 된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벽걸이형 드럼세탁기의 전면패널 장착구조가 도시된 사시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벽걸이형 드럼세탁기의 수위감지센서 장착구조 및 배수부가 도시된 사시도이고,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벽걸이형 드럼세탁기의 배수부가 도시된 단면도이고,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벽걸이형 드럼세탁기의 배면패널이 도시된 배면도이다.
도 9 내지 도 12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벽걸이형 드럼세탁기는, 드럼(23)의 구동축(23a)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도록 배면패널(10)에 구비되는 결합부(17 : 도 5 참조)와, 구동축(23a)에 연결되는 구동부(40 : 도 2 참조)가 벽면(W)과 간섭되는 것을 방지하는 배치부(17b)를 포함한다.
결합부(17)는 배면패널(10)의 중앙부에 구비되고 터브(20)의 내부에 설치되는 드럼(23)과 구동부(40)를 연결시키므로, 구동부(40)에서 제공되는 동력은 드럼(23)에 전달된다.
배치부(17b)는 배면패널(10)의 배면이 전방으로 오목하게 형성되어 이루어진다. 따라서 배치부(17b) 내측에 구동부(40)가 위치되므로 구동부(40)의 작동에 의해 회전되는 구동휠(42)이 배면패널(10) 및 벽면(W)과 간섭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구동부(40 : 도 2 참조)는, 드럼(23)을 회전시키는 동력을 제공하는 모터(41)와, 구동축(23a)에 연결되는 구동휠(42)과, 모터(41)의 동력을 구동휠(42)에 전달하는 벨트(43)를 포함한다.
모터(41)는 배면패널(10)의 전면부(10a)에 설치되고, 모터(41)의 회전축(41a)은 배면패널(10)을 관통하여 배면패널(10)의 배면으로 연장된다.
구동휠(42)은 배면패널(10)의 배면에 구비되는 배치부(17b) 내부에 위치되면서, 구동축(23a)에 연결된다.
벨트(43)는 모터(41)의 회전축(41a)과 구동휠(42)이 연동되도록 설치된다.
따라서 모터(41)의 동력이 벨트(43)에 의해 구동휠(42)에 전달되고, 구동휠(42)이 회전되면 구동축(23a)에 연결되는 드럼(23)이 회전되면서 세탁작동을 행하게 된다.
결합부(17 : 도 5 참조)는, 배면패널(10)에 형성되는 회전홀부(17c)와, 회전홀부(17c)에 설치되고 구동축(23a)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베어링부(17d)를 포함한다.
구동축(23a)은 회전홀부(17c)에 설치되는 베어링부(17d)에 의해 배면패널(1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구동축(23a)의 전단부에는 드럼(23)이 설치되며, 구동축(23a)의 후단부에는 구동휠(42)이 설치된다.
배치부(17b)는, 구동부(40)가 배치되도록 배면패널(10)의 배면이 전방으로 오목하게 형성되어 이루어진다.
배치부(17b)는 배면패널(10)의 중앙부, 즉 구동휠(42)이 위치되는 부위가 전방으로 오목하게 형성되어 이루어진다.
따라서 배치부(17b) 내부에 위치되는 구동휠(42)은 배면패널(10) 및 벽면(W)과 간섭되지 않고 회전될 수 있게 된다.
물론, 모터(41)는 배면패널(10)의 배면에 위치되어 구동축(23a)에 직결될 수 있다. 즉, 본 실시예에 언급된 구동부(40) 외에 직결식 모터가 설치될 수 있다.
이는 본 발명의 기술구성을 인지한 당업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는 것이므로 다른 실시예에 대한 구체적인 도면이나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모터(41)에는 고정홀부(41b)가 형성되고, 배면패널(10)에는 전방으로 돌출되는 복수 개의 보스부(17a)가 형성되어 고정홀부(41b)가 삽입된다.
고정홀부(41b)는 모터(41)의 양측면으로부터 측 방향으로 돌출되고, 하측 방향으로 굴곡되어 이루어진다.
보스부(17a)는 배면패널(10)의 전면부(10a)로부터 전방으로 돌출되고, 보스부(17a)으 내측으로 고정홀부(41b)가 삽입된다.
따라서 모터(41)의 고정홀부(41b)를 보스부(17a)에 삽입하면 모터(41)가 정확한 위치에 가조립된다.
모터(41)는 배면패널(10)의 전면부(10a) 하측에 설치되고, 한 쌍의 보스부(17a) 사이에 배치되어 가조립된 후에 체결부재에 의해 전면부(10a)와 모터(41)가 결합된다.
모터(41)는 고정홀부(41b) 및 보스부(17a)에 의해 배면패널(10)에 1차 결합되고, 별도의 체결부재(16a)에 의해 배면패널(10)에 2차 결합된다.
따라서 모터(41)가 구동될 때에 발생되는 진동에 의해 모터(41)와 배면패널(10) 사이에 유격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고정홀부(41b)에는 체결부재가 삽입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고정홀부(41b)와 보스부(17a) 사이의 결합력을 더욱 증대시킬 수 있다.
배면패널(10)에는 수위감지센서(19)가 설치되는 돌출부(18)가 설치되고, 돌출부(18)에는 수위감지센서(19)를 분리하기 위한 착탈홀부(18a)가 형성된다.
수위감지센서(19)는 터브(20)의 하부에 연결되는 배수관으로부터 분기되는 별도의 관에 설치되는 압력센서이다.
수위감지센서(19)는 터브(20) 내부의 압력을 감지하여 터브(20)에 담수되는 세탁수의 양을 판단하는 센서이다.
수위감지센서(19)는 터브(20)의 상부에 배치되며, 배면패널(10)로부터 전방으로 돌출되는 돌출부(18)에 설치된다.
돌출부(18)는 배면패널(10)로부터 전방으로 돌출되어 이루어지고, 돌출부(18)의 상면에는 착탈홀부(18a)가 형성되며, 돌출부(18)의 전면에 수위감지센서(19)가 설치된다.
수위감지센서(19)에는 후크가 형성되고, 후크를 돌출부(18)의 전면을 통해 삽입하면 후크가 돌출부(18) 내부로 삽입되면서 수위감지센서(19)의 장착이 이루어지게 된다.
장기간 세탁작동을 행하여 수위감지센서(19)를 교체할 때에는 작업자가 착탈홀부(18a)에 공구를 삽입하여 후크를 돌출부(18) 외측으로 밀어 수위감지센서(19)의 분리를 용이하게 행할 수 있게 된다.
터브(20)에는 개구부(53)가 구비되는 전면패널(50)이 설치되고, 전면패널(50)에는 개구부(53)를 개폐하는 도어(60)가 연결되도록 힌지부(62)가 지지된다.
힌지부(62)는 개구부(53)의 일측에 수직 방향으로 긴 곡선의 패널 모양으로 형성되고, 상부 및 하부에서 돌출되는 지지대(62a)가 도어(60)의 상부 및 하부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배면패널(10)에는 터브(20)를 감싸는 박스부(30)가 설치되고, 박스부(30)에는 전면패널(50)을 감싸는 커버부(32)가 설치된다.
도어(60)부가 연결되는 힌지부(62)는 커버부(32)를 관통하여 전면패널(50)에 결합되는 체결부재에 의해 지지된다.(도 13 참조)
전면패널(50)은 커버부(32)와 비교하여 두껍게 형성되며, 전면패널(50)의 전면에는 다수 개의 보강리브가 형성되므로, 도어(60)를 지지하는 지지력이 향상되는 효과가 나타나게 된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벽걸이형 드럼세탁기의 도어 개방상태가 도시된 사시도이고,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벽걸이형 드럼세탁기의 박스부 장착구조가 도시된 분해 사시도이고,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벽걸이형 드럼세탁기의 가이드돌기와 가이드홈부의 연결구조가 도시된 단면도이다.
또한,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벽걸이형 드럼세탁기의 우회부가 도시된 사시도이고, 도 1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벽걸이형 드럼세탁기의 우회부가 구비되는 전면패널이 도시된 사시도이다.
도 13 내지 도 17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벽걸이형 드럼세탁기는, 전면패널(50)에 설치되는 컨트롤부(21)와, 컨트롤부(21) 측으로 떨어지는 세탁수를 우회시키는 우회부(70)를 포함한다.
컨트롤부(21)는 커버부(32)에 설치되는 조작부(21a)와 연결되도록 전면패널(50)의 전면 하부에 설치된다.
우회부(70)는 컨트롤부(21)의 상측에 배치된다. 따라서 터브(20)를 따라 하측 방향으로 흐르는 세탁수는 우회부(70)를 따라 터브(20)의 측 방향으로 떨어지게 된다.
이로써, 컨트롤부(21)에 수분이 유입되어 발생되는 드럼세탁기의 오작동 및 파손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우회부(70)는 컨트롤부(21)와 개구부(53) 사이에 배치되는 우회리브(71)를 포함한다.
터브(20)를 따라 하측으로 흐르는 세탁수는 우회리브(71)를 따라 터브(20)의 외곽 방향으로 안내되어 컨트롤부(21) 측으로 세탁수가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우회리브(71)는 좌우방향으로 길게 형성되고, 우회리브(71)의 양측 단부는 하측방향으로 곡면을 이루며 굴곡된다.
따라서 우회리브(71)의 상면에 떨어지는 세탁수는 우회리브(71)의 양측 단부 측으로 흐르게 된다.
우회리브(71) 내측에는 세탁수를 가열하는 히터(72)가 설치된다.
터브(20)에 담기는 세탁수를 가열하도록 전원이 공급되는 히터(72)에는 전기장치가 연결된다. 히터(72)의 전기장치는 우회리브(71)에 의해 세탁수가 접촉되지 않게 된다.
배면패널(10)의 상부에는 급수장치(74, 74a : 도 3 참조)가 연결되고, 배면패널(10)에는 급수장치(74, 74a)로부터 떨어지는 세탁수가 컨트롤부(21) 측으로 흐르는 것을 방지하는 배수부(80 : 도 9, 도 10 참조)가 구비된다.
급수장치(74, 74a)는 배면패널(10)에 설치되는 복수 개의 급수밸브(74 : 도 3 참조)와, 급수밸브(74)와 터브(20)를 연결하고, 급수밸브(74)와 급수원을 연결하는 급수관(74a : 도 3 참조)을 포함한다.
급수관(74a)은 배면패널(10)의 하부에 형성되는 제2관통홈부(12c : 도 2 참조)를 통해 배면패널(10)의 배면으로 삽입되고, 터브(20)의 둘레면을 따라 배면패널(10) 상부로 연장되어 급수밸브(74)와 연결된다.
급수밸브(74)가 오작동되거나 파손되는 경우에는 급수관(74a)을 따라 공급되는 세탁수가 터브(20)의 둘레면을 따라 하측으로 흐를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벽걸이형 드럼세탁기는 배수부(80)에 의해 터브(20)의 하측으로 흐르는 세탁수를 배면패널(10) 외측으로 배출시키게 된다.
배수부(80)는, 터브(20)로부터 돌출되는 차단리브(81)와, 차단리브(81)에 대향되도록 배면패널(10)에 형성되는 배수홀부(82)와, 배수홀부(82)를 통해 흐르는 세탁수를 배면패널(10)의 테두리 측으로 안내하는 안내리브(83)를 포함한다.
차단리브(81)는 터브(20)의 양측 상부에 깔때기 모양으로 형성되고, 터브(20)의 둘레면에 일체로 형성된다.
따라서 터브(20)를 따라 흐르는 세탁수는 차단리브(81)에 담겨지게 된다.
배수홀부(82)는 차단리브(81)와 터브(20)의 둘레면으로 형성되는 깔때기 모양의 공간의 하단에 형성되는 홀부이며, 배면패널(10)의 전면부(10a)와 배면이 통하도록 배면패널(10)을 관통하여 이루어진다.
따라서 급수밸브(74)로부터 터브(20)의 둘레면을 따라 흐르는 세탁수는 차단리브(81)에 의해 모아지고, 배수홀부(82)를 통해 배면패널(10)의 배면 측으로 이동된다.
안내리브(83)는 배면패널(10)의 배면에 링 모양으로 형성되고, 배수홀부(82)는 안내리브(83)의 외측에 배치되며 배면패널(10)의 전면과 배면을 관통하도록 형성된다.
터브(20)의 둘레면을 따라 흐르는 세탁수는 차단리브(81)에 의해 모아지고, 배수홀부(82)를 따라 배면패널(10)의 배면으로 이동된 후에 안내리브(83)를 따라 배면패널(10)의 테두리 측으로 이동되며 하측으로 떨어지게 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벽걸이형 드럼세탁기는, 커버부(32)와 박스부(30) 사이에 탄성력이 생성되도록 박스부(30)와 배면패널(10)을 연결하는 탄력조립부(39 : 도 3 참조)를 포함한다.
박스부(30)와 커버부(32)는 벽걸이형 드럼세탁기의 외벽을 이루며, 서로에게 탄성력을 제공하는 부품이다.
따라서 박스부(30)와 커버부(32)에 의해 생성되는 탄성력의 역방향으로 외력을 가하여 박스부(30)와 커버부(32)를 조립한다.
박스부(30)와 커버부(32)는 조립된 후에도 원상태로 복원되려는 탄성력이 존재한다.
따라서 박스부(30), 커버부(32) 및 배면패널(10) 사이에는 탄성력이 의해 각각의 부품들 사이의 결속력이 향상되는 효과가 나타난다.
탄력조립부(39)는, 연결홀부(31)에 형성되는 고리부(31a)와, 고리부(31a)가 삽입되도록 커버부(32)에 형성되는 걸림홈부(33)와, 배면패널(10)에 형성되고 박스부(30)가 안착되는 안착부(15)를 포함한다.
박스부(30)는 전방에 연결홀부(31)가 형성되고, 연결홀부(31)에 커버부(32)가 설치되는데, 연결홀부(31)에 형성되는 고리부(31a)는 커버부(32)의 테두리에 형성되는 걸림홈부(33)에 삽입된다.
안착부(15)는, 커버부(32)가 조립된 박스부(30)가 배면패널(10)에 안착되면 박스부(30)의 단부와 안착부(15) 사이에 간격(a)이 형성되도록 박스부(30)의 단부 위치와 비교하여 후방에 배치되는 길이로 형성된다.(도 7 참조)
따라서 박스부(30)와 커버부(32)를 조립한 후에 전면패널(50)이 설치된 배면패널(10)에 박스부(30) 및 커버부(32)를 안착시키면 박스부(30)의 단부가 안착부(15)로부터 간격(a)을 유지하며 떨어지게 배치된다.
박스부(30)와 배면패널(10)을 조립할 때에는 작업자가 박스부(30)의 전면을 안착부(15) 방향으로 눌러 커버부(32) 및 박스부(30)를 변형시키면서 박스부(30)의 단부가 안착부(15)에 밀착되도록 한 후에 박스부(30)와 배면패널(10)의 결합을 행하게 된다.
박스부(30)와 배면패널(10)에는 상부에 두 곳, 하부에 두 곳 체결부재가 결합되는 조립홀부(10b)가 형성된다.
따라서 박스부(30)의 조립을 완료한 후에도 박스부(30) 및 커버부(32)의 전면으로 체결부재가 드러나지 않게 된다.
안착부(15)에는 가이드홈부(15a)가 형성되고, 박스부(30)에는 가이드홈부(15a)에 삽입되는 가이드돌기(38)가 형성된다.
따라서 박스부(30)를 안착부(15)에 안착시킬 때에 가이드돌기(38)가 가이드홈부(15a)에 삽입되도록 박스부(30)를 배치시키면 박스부(30)를 배면패널(10)의 정확한 위치에 조립할 수 있게 된다.
커버부(32)에는 도어(60)가 설치되는 장착홀부(36)가 형성되고, 장착홀부(36)로부터 걸림홈부(33) 측으로 갈수록 박스부(30) 외측으로 경사지는 곡면부(36a)가 형성된다.(도 5 참조)
커버부(32)의 테두리는 곡면부(36a)에 의해 전방 측으로 돌출되는 모양을 이루게 된다.
따라서 커버부(32)와 박스부(30)가 결합된 상태에서 박스부(30)를 안착부(15) 측으로 가압하면 곡면부(36a)가 직선 모양으로 펴지면서 박스부(30)의 단부가 안착부(15) 측으로 이동된다.
커버부(32)에는 장착홀부(36)와 곡면부(36a) 사이에 도어(60)의 힌지부(62)가 관통되는 장착홈부(37)가 형성된다.
장착홈부(37)에 힌지부(62)를 안착시킨 후에 체결부재를 힌지부(62)와 장착홈부(37)에 관통시켜 전면패널(50)에 결합시킨다.
따라서 외관상으로는 힌지부(62)가 커버부(32)에 결합된 것으로 보이지만, 힌지부(62)는 전면패널(50)에 지지된다.
전면패널(50)에는, 힌지부(62)가 결합되는 제1지지부(51)와, 커버부(32)가 지지되는 제2지지부(52)가 일체로 형성된다.
힌지부(62) 및 장착홈부(37)를 관통하는 체결부재는 제1지지부(51)에 결합된다.
커버부(32) 및 박스부(30)가 안착부(15) 측으로 가압될 때에 제2지지부(52)는 지렛대 역할을 행하므로 커버부(32)의 곡면부(36a)가 펼쳐지면서 박스부(30)의 단부가 안착부(15) 측으로 이동된다.
도 1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벽걸이형 드럼세탁기의 세제함 장착구조가 도시된 단면도이고, 도 1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벽걸이형 드럼세탁기의 유연제함 장착구조가 도시된 단면도이고, 도 2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벽걸이형 드럼세탁기의 세제함 장착구조가 도시된 분해 사시도이고, 도 2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벽걸이형 드럼세탁기의 유연제함 장착구조가 도시된 분해 사시도이다.
또한, 도 2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벽걸이형 드럼세탁기의 세제함 장착구조가 도시된 확대 단면도이고, 도 2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벽걸이형 드럼세탁기의 유연제함 장착구조가 도시된 확대 단면도이고, 도 2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벽걸이형 드럼세탁기의 오조립방지부가 도시된 도면이다.
도 18 내지 도 24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벽걸이형 드럼세탁기는, 커버부(32)를 관통하여 전면패널(50)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는 세제함(90)을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벽걸이형 드럼세탁기는 벽면(W)에 거치되므로 소형의 드럼세탁기가 사용되는 터브(20)와 박스부(30) 사이의 간격, 및 커버부(32)와 전면패널(50) 사이의 간격이 협소하다.
따라서 본 실시예는 세제함(90)이 커버부(32) 또는 박스부(30)에 설치되지 않고, 커버부(32)를 관통하여 배면패널(10)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된다.
전면패널(50)에는 세제함(90)이 삽입되는 제1삽입홀부(54)가 형성되고, 제1삽입홀부(54)에는 급수관(74a)이 연결되는 제1급수홀부(54b)가 형성된다.
제1삽입홀부(54)는 전면패널(50)의 전면으로부터 전방으로 돌출되게 형성되고, 제1삽입홀부(54)의 둘레면 상부에는 급수관(74a)이 삽입되는 제1급수홀부(54b)가 형성된다.
급수관(74a)은 제1급수홀부(54b)에 삽입되어 연결되므로 급수관(74a)과 제1급수홀부(54b) 사이에 누수가 발생되지 않게 된다.
또한, 제1삽입홀부(54)에 세제함(90)이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고, 제1급수홀부(54b)에 급수관(74a)이 연결되므로 박스부(30)나 커버부(32)에 별도의 세제함(90)이 설치되지 않고, 전면패널(50)에서 세재와 세탁수가 혼합되어 터브(20) 내부로 바로 공급된다.
세제함(90)은, 제1삽입홀부(54)에 삽입되는 제1수납부(91)와, 제1수납부(91)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전면패널(50)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손잡이부(92)를 포함한다.
제1수납부(91)는 상면이 개구되는 용기 모양으로 형성되고, 제1수납부(91)의 전면에 제1손잡이부(92)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따라서 제1수납부(91)를 제1삽입홀부(54)에 삽입한 후에 제1손잡이부(92)를 회전시키면 제1손잡이부(92)와 커버부(32)의 제1잠금홀부(34) 사이에서 잠금작동이 이루어진다.
제1손잡이부(92)를 회전시킬 때에는 제1수납부(91)와 제1손잡이부(92)가 서로 공회전되므로 제1수납부(91)는 회전되지 않게 된다.
제1수납부(91)에는 잔수홀부(91a)가 형성되므로 제1수납부(91)를 통해 터브(20)로 공급되는 세탁수가 제1수납부(91)에 잔존하지 않고 잔수홀부(91a)를 통해 터브(20) 측으로 배출된다.
잔수홀부(91a)는 제1수납부(91)의 내측 하단에 형성되고, 터브(20) 내측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된다.
따라서 제1수납부(91)에서 잔수홀부(91a)를 따라 배출되는 세탁수는 터브(20) 내부로 회수된다.
잔수홀부(91a)에는 세탁수가 역류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류방지돌기(91c)가 형성된다.
따라서 제1수납부(91)로부터 배출된 세탁수는 다시 제1수납부(91)와 제1삽입홀부(54) 사이의 간격으로 역류되는 것을 방지토록 한다.
역류방지돌기(91c)는 잔수홀부(91a)의 저면으로부터 하측 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따라서 제1수납부(91)의 저면, 즉 잔수홀부(91a)의 저면을 따라 제1수납부(91) 및 제1삽입홀부(54) 사이의 간격으로 유입되는 세탁수는 역류방지돌기(91c)에 맺힌 후에 하측 방향으로 떨어져 터브(20) 내측으로 회수된다.
제1삽입홀부(54)에는 제1수납부(91)와 제1삽입홀부(54) 사이에 간격이 넓어져 세탁수가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제1단차부(54c)가 형성된다.
제1단차부(54c)는 제1삽입홀부(54)의 하부가 하측 방향으로 확관되어 이루어진다.
제1수납부(91)와 제1삽입홀부(54) 사이의 간격이 넓어지면서 세탁수가 제1수납부(91)의 저면과 제1삽입홀부(54) 사이의 간격으로 유입되는 세탁수가 다시 터브 측으로 배출된다.
제1수납부(91)에는 세탁수가 저장되고 제1수납부(91)에 공급되는 세탁수가 넘치면 터브(20) 측으로 공급되도록 제1수납부(91)의 배면에는 양측면과 비교하여 낮은 제1유도패널(91b)이 구비된다.
제1유도패널(91b)은 제1수납부(91)의 배면이 양측면 패널과 비교하여 낮게 형성되어 이루어진다.
따라서 제1급수홀부(54b)를 따라 공급되는 세탁수가 제1수납부(91)에 담수된 후에 제1수납부(91)의 용량을 초과하여 넘치게 되면 세탁수가 제1유도패널(91b)의 상단을 넘어 터브(20) 측으로 떨어지게 된다.
또한, 본 실시예의 벽걸이형 드럼세탁기는, 커버부(32)를 관통하여 제2삽입홀부(55)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는 유연제함(100)을 더 포함한다.
유연제함(100)에 섬유 유연제를 담아 세탁작동을 행하면 헹굼단계가 진행될 때에 유연제함(100)에 세탁수가 공급되어 섬유 유연제와 세탁수가 터브(20) 내부로 공급된다.
유연제함(100)은, 제2삽입홀부(55)에 삽입되고 사이펀부(103)가 구비되는 제2수납부(101)와, 제2수납부(101)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전면패널(50)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손잡이부(102)를 포함한다.
제2수납부(101)는 상면이 개구되는 용기 모양으로 형성되고, 제2수납부(101)의 전면에 제2손잡이부(102)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따라서 제2수납부(101)를 제2삽입홀부(55)에 삽입한 후에 제2손잡이부(102)를 회전시키면 제2손잡이부(102)와 커버부(32)의 제2관통홀부(16) 사이에서 잠금작동이 이루어진다.
제2손잡이부(102)를 회전시킬 때에는 제2수납부(101)와 제2손잡이부(102)가 서로 공회전되므로 제2수납부(101)는 회전되지 않게 된다.
제2수납부(101)에는 사이펀부(103)가 설치되므로 제2수납부(101)에 세탁수가 공급되면 세탁수와 섬유 유연제가 사이펀 효과에 의해 제2수납부(101)에 잔존하지 않고 터브(20) 측으로 배출된다.
제2삽입홀부(55)에는 제2수납부(101)와 제2삽입홀부(55) 사이에 간격이 넓어져 유입되는 세탁수가 터브(23) 측으로 배출되도록 제2단차부(55c)가 형성된다.
제2단차부(55c)는 제2삽입홀부(55)의 하부가 하측 방향으로 확관되어 이루어진다.
제2수납부(101)와 제2삽입홀부(55) 사이의 간격이 넓어지면서 세탁수가 제2수납부(101)의 저면과 제2삽입홀부(55) 사이의 간격으로 유입된 후에 잔존되지 않고 터브(20) 측으로 배출된다.
제2수납부(101)에는 세탁수가 저장되고 제2수납부(101)에 공급되는 세탁수가 넘치면 터브(20) 측으로 공급되도록 제2수납부(101)의 배면에는 양측면과 비교하여 낮은 제2유도패널(101a)이 구비된다.
제2유도패널(101a)은 제2수납부(101)의 배면이 양측면 패널과 비교하여 낮게 형성되어 이루어진다.
따라서 제2급수홀부(55b)를 따라 공급되는 세탁수가 제2수납부(101)에 담수된 후에 제2수납부(101)의 용량을 초과하여 넘치게 되면 세탁수가 제2유도패널(101a)의 상단을 넘어 터브(20) 측으로 떨어지게 된다.
제2수납부(101)의 바닥면은 사이펀부(103) 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된다.
제2수납부(101)의 바닥면에 잔존하는 세탁수 또는 섬유 유연제는 경사진 바닥면을 따라 사이펀부(103) 측으로 이동되고, 사이펀부(103)의 작동에 의해 세탁수 또는 섬유 유연제가 제2수납부(101)에 잔존하지 않게 된다.
사이펀부(103)는, 제2수납부(101)의 바닥면으로부터 상측으로 돌출되는 배출관(103a)과, 배출관(103a)과 간격을 유지하며 배출관(103a)의 상부를 감싸는 덮개부(103b)를 포함한다.
섬유 유연제가 담겨진 제2수납부(101)에 세탁수가 공급되면 배출관(103a)과 덮개부(103b) 사이의 간격을 따라 세탁수와 섬유 유연제가 사이펀 효과에 의해 배출관(103a) 측으로 배출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벽걸이형 드럼세탁기는, 세제함(90)과 유연제함(100)이 서로 교차되어 조립되는 것을 방지하는 오조립방지부(59)를 포함한다.
제1수납부(91)와 제2수납부(101)가 유사한 모양과 유사한 크기로 형성되기 때문에 사용자가 세제함(90)과 유연제함(100)을 서로 교차하여 삽입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벽걸이형 드럼세탁기는 오조립방지부(59)에 의해 세제함(90)과 유연제함(100)이 서로 교차되어 삽입되지 않도록 한다.
따라서 사용자가 제1삽입홀부(54)에 유연제함(100)을 넣고 제2삽입홀부(55)에 세제함(90)을 넣은 상태에서 세탁작동을 개시하는 실수를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제1손잡이부(92)에는 제1걸림부(92a)가 형성되고, 제1손잡이부(92)가 삽입되는 커버부(32)의 제1잠금홀부(34)에는 제1걸림부(92a)의 회전을 구속하는 제1스토퍼(34a)가 형성된다.
제1손잡이부(92)의 배면에는 제1수납부(91)의 제1후크부(92b)가 회전 가능하게 삽입되는 제1체결홈부(91d)가 형성되므로 제1손잡이부(92)와 제1수납부(91)는 서로 공회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제1손잡이부(92)의 둘레면에는 한 쌍의 제1걸림부(92a)가 형성되고, 제1걸림부(92a)가 걸리도록 커버부(32)의 제1잠금홀부(34)에는 한 쌍의 제1스토퍼(34a)가 간격을 유지하며 형성된다.
제1스토퍼(34a)는 제1잠금홀부(34)의 테두리에서 중앙 측으로 돌출되는 돌기 모양으로 형성되고, 제1잠금홀부(34)의 두 부분에 서로 간격을 유지하면 형성된다.
제1손잡이부(92)를 제1잠금홀부(34)에 삽입할 때에 제1걸림부(92a)와 제1스토퍼(34a)가 서로 이격되게 배치된 상태에서 제1손잡이부(92)를 제1잠금홀부(34)에 삽입하고 제1손잡이부(92)를 회전시키면, 제1걸림부(92a)와 제1스토퍼(34a)가 겹치게 된다.
따라서 제1손잡이부(92)가 제1잠금홀부(34)로부터 분리되지 않는 잠금상태가 된다.
이때, 제1손잡이부(92)와 제1수납부(91)는 서로 공회전되므로 제1수납부(91)에 담긴 세제가 쏟아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제2손잡이부(102)에는 제2걸림부(104)가 형성되고, 제2손잡이부(102)가 삽입되는 커버부(32)의 제2잠금홀부(35)에는 걸림부의 회전을 구속하는 제2스토퍼(35a)가 형성된다.
제2손잡이부(102)의 배면에는 제2수납부(101)의 제2후크부(102a)가 회전 가능하게 삽입되는 제2체결홈부(101b)가 형성되므로 제2손잡이부(102)와 제2수납부(101)는 서로 공회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제2손잡이부(102)의 둘레면에는 한 쌍의 제2걸림부가 형성되고, 제2걸림부가 걸리도록 커버부(32)의 제2잠금홀부(35)에는 한 쌍의 제2스토퍼(35a)가 간격을 유지하며 형성된다.
제2스토퍼(35a)는 제2잠금홀부(35)의 테두리에서 중앙 측으로 돌출되는 돌기 모양으로 형성되고, 제2잠금홀부(35)의 두 부분에 서로 간격을 유지하면 형성된다.
제2손잡이부(102)를 제2잠금홀부(35)에 삽입할 때에 제2걸림부(104)와 제2스토퍼(35a)가 서로 이격되게 배치된 상태에서 제2손잡이부(102)를 제2잠금홀부(35)에 삽입하고 제2손잡이부(102)를 회전시키면, 제2걸림부(104)와 제2스토퍼(35a)가 겹치게 배치된다.
따라서 제2손잡이부(102)가 제2잠금홀부(35)로부터 분리되지 않는 잠금상태가 된다.
이때, 제2손잡이부(102)와 제2수납부(101)는 서로 공회전되므로 제2수납부(101)에 담긴 섬유 유연제가 쏟아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제1잠금홀부(34)에는 상부로부터 제1수납부(91) 측으로 연장되는 제1차단패널(54a)이 형성되고, 제2잠금홀부(35)에는 상부로부터 제2수납부(101) 측으로 연장되는 제2차단패널(55a)이 형성된다.
제1차단패널(54a)은 제1수납부(91)가 삽입되었을 때에 제1수납부(91)의 상측에 배치되고, 제1수납부(91)가 제1삽입홀부(54)에 삽입된 상태에서 제1손잡이부(92)에 가깝게 배치된다.
따라서 제1급수홀부(54b)를 통해 세탁수가 공급될 때에 제1수납부(91) 외부로 넘치는 세탁수가 제1손잡이부(92) 측으로 유실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제2차단패널은 제2수납부(101)가 삽입되었을 때에 제2수납부(101)의 상측에 배치되고, 제2수납부(101)가 제2삽입홀부(55)에 삽입된 상태에서 제2손잡이부(102)에 가깝게 배치된다.
제2급수홀부(55b)를 통해 세탁수가 공급될 때에 제2수납부(101) 외부로 넘치는 세탁수가 제2손잡이부(102) 측으로 유실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오조립방지부(59)는, 제1삽입홀부(54)에서 제1수납부(91) 측으로 연장되는 제1차단패널(54a)에 형성되고 사이펀부(103)와 간섭되는 차단부(56)를 포함한다.
제2수납부(101)에 형성되는 사이펀부(103)는 제2수납부(101) 상측으로 돌출되도록 길게 형성된다.
제2수납부(101)를 제1삽입홀부(54)에 끼우면 사이펀부(103)와 차단부(56)가 간섭되어 제2수납부(101)를 제1삽입홀부(54)에 끼울 수 없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세제함(90)과 유연제함(100)을 서로 교차하여 삽입한 후에 세탁작동을 행하는 실수를 차단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전면패널(50)에 설치되는 도어(60)에는 제1손잡이부(92) 및 제2손잡이부(102)가 삽입되는 감지홈부(61)가 형성된다.(도 13 참조)
제1손잡이부(92) 및 제2손잡이부(102)를 완전히 잠그지 않은 상태에서는 도어(60)를 닫을 때에 제1손잡이부(92) 및 제2손잡이부(102)가 감지홈부(61)에 삽입되지 않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제1손잡이부(92) 및 제2손잡이부(102)를 완전히 잠그지 않은 상태에서 도어(60)를 닫을 수 없게 된다. 이렇듯 불완전한 장치 시 정상적인 세탁작동을 행할 수 없게 된다.
도 2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벽걸이형 드럼세탁기의 넘침방지부가 도시된 단면도이다.
도 2 및 도 25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는, 터브(20)에 충진되는 공기가 배출되도록 배면패널(10)에 형성되는 공기배출구(123)와, 공기배출구(123)가 막히는 것을 방지하는 막힘방지부(120)를 포함한다.
배면패널(10)의 중앙 상측에는 공기배출구(123)가 형성되어 터브(20) 내부의 고압 공기가 공기배출구(123)를 통해 터브(20) 외부로 배출된다.
공기배출구(123)에는 터브(20)로부터 배출되는 공기를 외부로 안내하는 배기관이 설치되고, 배기관(125)은 안내부(12)에 의해 제2관통홈부(12c) 측으로 연장된다.
배기관(125)은 전원선(11a)과 같이 케이블부재(13b)에 의해 권취되어 설치홀부(13a)에 결합될 수 있다.
막힘방지부(120)는 배면패널(10)에 형성되고 공기배출구(123)의 단부가 확관되도록 하는 포밍부(121)를 포함한다.
포밍부(121)는 공기배출구(123)와 비교하여 지름이 크게 형성되므로 터브(20) 내부에 형성되는 거품 등에 의해 공기배출구(123)가 막히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막힘방지부(120)는 공기배출구(123)에 연결되는 배기관(125)이 공기배출구(123) 보다 높은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배면패널(10)에 형성되는 안내부(12)를 포함한다.
안내부(12)에는 전원선(11a)과 배기관(125)이 모두 삽입될 수 있으며, 배기관(125)에 권취되는 케이블부재(13b)가 체결부재(16a)에 의해 설치홀부(13a)에 결합되면 배기관(125)이 고정부(12a) 외부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고정부(12a) 내측으로 연장되는 배기관(125)은 배면패널(10) 하측으로 연장되고, 제2관통홈부(12c)를 통해 배면패널(10)의 외측으로 드러나게 된다.
도 2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벽걸이형 드럼세탁기의 드럼이 도시된 정면 사시도이고, 도 2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벽걸이형 드럼세탁기의 드럼이 도시된 배면 사시도이고, 도 2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벽걸이형 드럼세탁기의 드럼이 도시된 단면도이다.
도 26 내지 도 2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벽걸이형 드럼세탁기의 드럼(23)의 직경(B)은 드럼(23)의 깊이(A)와 비교하여 길게 형성된다. 이때, 드럼(23)의 깊이(A)는 드럼(23)의 전면(23c)으로부터 배면(23d)까지의 거리를 의미한다.
드럼(23)은 직경(B)이 깊이(A)보다 크게 형성되므로, 즉, 직경(B)은 상대적으로 크게, 깊이(A)는 상대적으로 얕게 형성됨에 따라 동일한 용적을 구현하고자 할 때에 드럼(23)의 전장 길이를 짧게 형성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벽걸이형 드럼세탁기 전체의 전장 길이가 짧아지게 되므로, 벽면(W)으로부터 드럼세탁기가 돌출되는 정도를 줄일 수 있게 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드럼(23)의 깊이(A)는 120 ~ 130mm로 이루어진다. 드럼(23)의 깊이가 120mm 미만으로 형성되는 경우에는 세탁물이 드럼(23)의 전면(23c)과 배면(23d) 사이에 수납되기 어려워 세탁물의 투입이 불편해진다.
또한, 드럼(23)의 깊이(A)가 130mm을 초과하는 경우에는 드럼(23) 및 드럼세탁기의 전장 길이가 길어져 설치 공간을 많이 차지하게 되므로 벽걸이형 드럼세탁기의 외관이 미려하지 못하고, 드럼세탁기가 차지하는 공간이 증가되어 사용자의 행동반경이 줄어들게 된다.
따라서 드럼(23)의 깊이(A)를 120 ~ 130mm로 하면, 세탁물의 투입이 용이해지고, 드럼세탁기의 외관이 미려해지며, 드럼세탁기의 돌출량이 줄어 사용자의 행동반경이 넓어지게 된다.
드럼(23)의 형상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드럼(23)의 직경(B)은 드럼(23)의 깊이(A)와 비교하여 3 ~ 3.2배 크게 형성된다.
드럼(23)의 직경(B)이 드럼(23)의 깊이(A)와 비교하여 3배 미만인 경우에는, 드럼(23)의 깊이(A)가 커지므로 벽면(W)으로부터 드럼세탁기가 돌출되는 길이가 증가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드럼세탁기의 전장 길이가 길어져 설치 공간을 많이 차지하게 되므로 벽걸이형 드럼세탁기의 외관이 미려하지 못하고, 드럼세탁기가 차지하는 공간이 증가되어 사용자의 행동반경이 줄어들게 된다.
드럼(23)의 직경(B)이 드럼(23)의 깊이(A)와 비교하여 3.2배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제품의 가로 크기 및 세로 크기가 확장되므로 드럼세탁기를 거치하기 위한 벽면(W)의 넓이가 넓어지게 되어 드럼세탁기의 설치가 어려워지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드럼(23)의 직경(B)이 드럼(23)의 깊이(A)와 비교하여 3 ~ 3.2배 크게 형성되면, 세탁물의 투입이 용이해지고, 드럼세탁기의 외관이 미려해지며, 드럼세탁기의 돌출량이 줄어 사용자의 행동반경이 넓어지게 된다.
또한, 드럼(23)의 테두리로부터 투입구(23b)까지의 최단 거리(C)는 드럼(23)의 깊이(A)와 비교하여 0.4 ~ 0.8배 작게 형성된다.
드럼(23)의 테두리로부터 투입구(23b)까지의 최단 거리(C)가 드럼(23)의 깊이(A)와 비교하여 0.4배 보다 작은 경우에는 세탁물이 수납되는 공간이 작아지게 되므로 세탁물의 투입이 불편해지고, 드럼(23) 내부에 투입된 세탁물이 드럼(23) 외부로 다시 나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드럼(23)의 테두리로부터 투입구(23b)까지의 최단 거리(C)가 드럼(23)의 깊이(A)와 비교하여 0.8배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투입구(23b)의 크기가 작아져 세탁물을 꺼내기가 불편해지게 된다.
따라서 드럼(23)의 테두리로부터 투입구(23b)까지의 최단 거리(C)가 드럼(23)의 깊이(A)와 비교하여 0.4 ~ 0.8배 작게 형성되면, 세탁물의 투입이 용이해지고, 드럼세탁기의 외관이 미려해지며, 드럼세탁기의 돌출량이 줄어 사용자의 행동반경이 넓어지게 된다.
드럼(23)의 배면(23d)에는 구동부(40)가 연결되도록 다수 개의 돌출부(23e)가 간격을 유지하며 형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벽걸이형 드럼세탁기의 작동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벽걸이형 드럼세탁기를 설치할 때에는 벽면(W)에 네 개의 체결부재(16a)를 설치하고, 체결부재(16a)에 완충부재(16c)를 삽입한 후에 체결부재(16a)가 배면패널(10)의 관통홀부(16)에 삽입되도록 배면패널(10)을 벽면(W)에 거치시킨다.
관통홀부(16)를 통해 배면패널(10)의 전면부(10a) 측으로 돌출되는 체결부재(16a)에 너트부재(16b)를 결합하고, 전면부(10a)에 너트부재(16b)가 밀착되도록 한다.
이후에, 커버부(32)와 박스부(30)를 조립하고 박스부(30)를 배면패널(10)에 씌우면 박스부(30)의 단부가 안착부(15)에 안착되고, 가이드돌기(38)가 가이드홈부(15a)에 삽입되면서 박스부(30)가 배면패널(10)의 정확한 위치에 안착된다.
이때, 박스부(30)의 단부는 안착부(15)와 간격을 유지하도록 배치된다. 작업자는 박스부(30)와 커버부(32)를 안착부(15) 측으로 누르면서 박스부(30)의 상부 및 하부에 체결부재(16a)를 삽입하여 배면패널(10)과 결합시킨다.
벽걸이형 드럼세탁기의 설치가 완료된 후에는 박스부(30)와 커버부(32)의 사이에서 발생되는 탄성력에 의해 박스부(30), 커버부(32) 및 배면패널(10)이 서로 당겨지게 되므로 부품들 사이의 결속력이 향상되는 효과가 나타나게 된다.
세탁작동을 행할 때에는 사용자가 도어(60)를 열어 드럼(23) 내부에 세탁물을 수납하고, 세제함(90) 및 유연제함(100)을 분리시켜 세제 및 섬유 유연제를 제1수납부(91)와 제2수납부(101)에 충진시킨 후에 제1수납부(91) 및 제2수납부(101)를 제1삽입홀부(54) 및 제2삽입홀부(55)에 삽입한다.
이때, 제1삽입홀부(54)에는 제1차단패널(54a)로부터 하측으로 연장되는 차단부(56)가 형성되므로 유연제함(100)을 제1삽입홀부(54)에 넣으면 사이펀부(103)와 차단부(56)가 간섭되므로 사용자가 세제함(90)과 유연제함(100)을 교차하여 삽입하는 실수를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세제함(90) 및 유연제함(100)을 제1삽입홀부(54) 및 제2삽입홀부(55)에 넣은 후에는 제1손잡이부(92) 및 제2손잡이부(102)를 회전시켜 제1걸림부(92a) 및 제2걸림부(104)가 제1스토퍼(34a) 및 제2스토퍼(35a)와 겹치도록 한다. 이로써, 세제함(90)과 유연제함(100)이 잠기게 된다.
이후에, 사용자가 조작부를 눌러 세탁작동을 개시하면 급부밸브가 개방되면서 세탁수가 터브(20)에 공급된다.
이때, 급수관(74a)을 따라 제1급수홀부(54b)를 지나 세제함(90)으로 공급되는 세탁수는 제1수납부(91)에 충진된다.
이후에 세탁수가 계속 공급되면 제1유도패널(91b) 상측으로 넘쳐 터브(20) 내부로 공급된다.
세탁수의 공급이 완료되면 제어블록(22)에서 송신되는 작동신호에 따라 모터(41)가 구동되고, 모터(41)의 회전축(41a)으로부터 벨트(43)를 따라 전달되는 동력이 구동휠(42) 및 드럼(23)을 회전시켜 세탁작동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때, 본 실시예는 터브(20), 배면패널(10) 및 보강부(14)가 일체로 형성되기 때문에 드럼(23)이 회전되면서 발생되는 진동에 의해 터브(20)가 유동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배면패널(10)과 벽면(W) 사이에 개재되는 완충부재(16c)에 의해 드럼(23)의 진동이 벽면(W)에 전달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게 된다.
이로써, 드럼세탁기를 벽면에 설치하여 사용할 수 있고, 전원선(11a)을 연장방향을 가변시킬 수 있는 벽걸이형 드럼세탁기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되는 일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또한, 벽걸이형 드럼세탁기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벽걸이형 드럼세탁기가 아닌 다른 제품에도 본 발명의 드럼세탁기가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0 : 배면패널 10a : 전면부
10b : 조립홀부 11 : 통과홀부
11a : 전원선 12 : 안내부
12a : 고정부 12b : 제1관통홈부
12c : 제2관통홈부 13 : 보강리브
13a : 설치홀부 13b : 케이블부재
14 : 보강부 14a : 공간부
15 : 안착부 15a : 가이드홈부
16 : 관통홀부 16a : 앵커볼트
16b : 너트부재 16c : 완충부재
17 : 결합부 17a : 보스부
17b : 배치부 17c : 회전홀부
17d : 베어링부 18 : 돌출부
18a : 착탈홀부 19 : 수위감지센서
20 : 터브 21 : 컨트롤부
21a : 조작부 22 : 제어블록
23 : 드럼 23a : 구동축
30 : 박스부 31 : 연결홀부
31a : 고리부 32 : 커버부
33 : 걸림홈부 34 : 제1잠금홀부
34a : 제1스토퍼 35 : 제2잠금홀부
35a : 제2스토퍼 36 : 장착홀부
36a : 곡면부 37 : 장착홈부
38 : 가이드돌기 40 : 구동부
41 : 모터 41a : 회전축
41b : 고정홀부 42 : 구동휠
43 : 벨트 50 : 전면패널
51 : 제1지지부 52 : 제2지지부
53 : 개구부 54 : 제1삽입홀부
54a : 제1차단패널 54b : 제1급수홀부
54c : 제1단차부 55 : 제2삽입홀부
55a : 제2차단패널 55b : 제2급수홀부
55c : 제2단차부 56 : 차단부
59 : 오조립방지부 60 : 도어
61 : 감지홈부 62 : 힌지부
62a : 지지대 70 : 우회부
71 : 우회리브 72 : 히터
74 : 급수밸브 74a : 급수관
75 : 배수장치 80 : 배수부
81 : 차단리브 82 : 배수홀부
83 : 안내리브 90 : 세제함
91 : 제1수납부 91a : 잔수홀부
91b : 제1유도패널 92 : 제1손잡이부
92a : 제1걸림부 92b : 제1후크부
100 : 유연제함 101 : 제2수납부
101a : 제2유도패널 102 : 제2손잡이부
102a : 제2후크부 103 : 사이펀부
103a : 배출관 103b : 덮개부
104 : 제2걸림부 110 : 오조립방지부
120 : 막힘방지부 121 : 포밍부
123 : 공기배출구 125 : 배기관

Claims (8)

  1. 벽면에 거치되는 배면패널;
    세탁수가 담수되고 상기 배면패널에 지지되는 터브;
    상기 터브에 설치되는 전면패널;
    상기 터브를 감싸도록 상기 배면패널에 설치되고 전방에 연결홀부가 형성되는 박스부;
    상기 연결홀부에 설치되는 커버부; 및
    상기 커버부와 상기 박스부 사이에 탄성력이 생성되도록 상기 박스부와 상기 배면패널을 연결하는 탄력조립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걸이형 드럼세탁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탄력조립부는,
    상기 연결홀부에 형성되는 고리부;
    상기 고리부가 삽입되도록 상기 커버부에 형성되는 걸림홈부; 및
    상기 배면패널에 형성되고 상기 박스부가 안착되는 안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걸이형 드럼세탁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안착부는 상기 배면패널의 테두리에 계단 모양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걸이형 드럼세탁기.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안착부는, 상기 커버부가 조립된 상기 박스부가 상기 배면패널에 안착되면 상기 박스부의 단부와 상기 안착부 사이에 간격이 형성되도록 상기 박스부의 단부 위치와 비교하여 후방에 배치되는 길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걸이형 드럼세탁기.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안착부에는 가이드홈부가 형성되고, 상기 박스부에는 상기 가이드홈부에 삽입되는 가이드돌기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걸이형 드럼세탁기.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에는 도어가 설치되는 장착홀부가 형성되고, 상기 장착홀부로부터 상기 걸림홈부 측으로 갈수록 상기 박스부 외측으로 경사지는 곡면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걸이형 드럼세탁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에는 상기 장착홀부와 상기 곡면부 사이에 상기 도어의 힌지부가 관통되는 장착홈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걸이형 드럼세탁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전면패널에는, 상기 힌지부가 결합되도록 복수 개의 보강리브가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제1지지부와, 상기 커버부가 밀착되어 지지되도록 복수 개의 상기 보강리브가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제2지지부가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걸이형 드럼세탁기.
KR1020120035174A 2011-12-08 2012-04-04 벽걸이형 드럼세탁기 KR101453270B1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35174A KR101453270B1 (ko) 2012-04-04 2012-04-04 벽걸이형 드럼세탁기
PCT/KR2012/010524 WO2013085298A1 (ko) 2011-12-08 2012-12-06 벽걸이형 드럼세탁기
US14/119,436 US10301758B2 (en) 2011-12-08 2012-12-06 Wall-mounted drum-type washing machine
ES12855734.5T ES2627969T3 (es) 2011-12-08 2012-12-06 Máquina lavadora de tipo tambor de montaje en pared
CN201280022965.XA CN103975104B (zh) 2011-12-08 2012-12-06 壁装式滚筒洗衣机及其装配方法
EP12855734.5A EP2730693B1 (en) 2011-12-08 2012-12-06 Wall-mounted drum-type washing machin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35174A KR101453270B1 (ko) 2012-04-04 2012-04-04 벽걸이형 드럼세탁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12641A true KR20130112641A (ko) 2013-10-14
KR101453270B1 KR101453270B1 (ko) 2014-10-21

Family

ID=496336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35174A KR101453270B1 (ko) 2011-12-08 2012-04-04 벽걸이형 드럼세탁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53270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102286A1 (en) * 2013-12-31 2015-07-09 Samsung Electronics Co., Ltd. Laundry treating apparatus and assembling method for the same
CN112553838A (zh) * 2019-09-24 2021-03-26 青岛海尔滚筒洗衣机有限公司 一种洗衣机固定组件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95269Y1 (ko) * 2005-04-15 2005-09-08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기의 전면부 구조
EP2317001B1 (en) * 2009-10-29 2016-05-25 Electrolux Home Products Corporation N.V. Household appliance for wall mounting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102286A1 (en) * 2013-12-31 2015-07-09 Samsung Electronics Co., Ltd. Laundry treating apparatus and assembling method for the same
CN112553838A (zh) * 2019-09-24 2021-03-26 青岛海尔滚筒洗衣机有限公司 一种洗衣机固定组件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53270B1 (ko) 2014-10-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73619B1 (ko) 벽걸이형 드럼세탁기
US10472758B2 (en) Wall-mounted drum-type washing machine
US10465326B2 (en) Wall-mounted drum type washing machine
US20170121883A1 (en) Wall-mounted drum type washing machine
US9783924B2 (en) Wall-mounted drum-type washing machine
US10174451B2 (en) Wall-mounted drum-type washing machine
US20140076007A1 (en) Wall-mounted drum-type washing machine
KR20130112639A (ko) 벽걸이형 드럼세탁기
KR20130112641A (ko) 벽걸이형 드럼세탁기
KR20130112638A (ko) 벽걸이형 드럼세탁기
KR20130112637A (ko) 벽걸이형 드럼세탁기
KR20130112643A (ko) 벽걸이형 드럼세탁기
KR20130112645A (ko) 벽걸이형 드럼세탁기
KR20130112642A (ko) 벽걸이형 드럼세탁기
KR20130112644A (ko) 벽걸이형 드럼세탁기
KR20130112640A (ko) 벽걸이형 드럼세탁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