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198568B1 - 드럼세탁기의 거품발생 방지장치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드럼세탁기의 거품발생 방지장치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198568B1
KR100198568B1 KR1019970004532A KR19970004532A KR100198568B1 KR 100198568 B1 KR100198568 B1 KR 100198568B1 KR 1019970004532 A KR1019970004532 A KR 1019970004532A KR 19970004532 A KR19970004532 A KR 19970004532A KR 100198568 B1 KR100198568 B1 KR 10019856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am
water
tub
washing machine
press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045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68100A (ko
Inventor
김재문
Original Assignee
구자홍
엘지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구자홍, 엘지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구자홍
Priority to KR10199700045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198568B1/ko
Publication of KR199800681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6810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1985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19856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06Arrangements for preventing or destroying scum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3/00Control of operations performed in washing machines or washer-dryers 
    • D06F33/30Control of washing machine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or target of the control 
    • D06F33/32Control of operational steps, e.g. optimisation or improvement of operational steps depending on the condition of the laundry
    • D06F33/42Control of operational steps, e.g. optimisation or improvement of operational steps depending on the condition of the laundry of draining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4/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34/08Control circuits or arrangements thereof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4/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34/14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measuring specific parameters
    • D06F34/22Condition of the washing liquid, e.g. turbidity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08Liquid supply or discharge arrangements
    • D06F39/083Liquid discharge or recirculation arrangemen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08Liquid supply or discharge arrangements
    • D06F39/087Water level measuring or regulating device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3/00Parameters monitored or detected for the control of domestic laundry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3/18Washing liquid level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3/00Parameters monitored or detected for the control of domestic laundry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3/20Washing liquid condition, e.g. turbidity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5/00Systems or parameters controlled or affected by the control systems of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5/08Draining of washing liqui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Control Of Washing Machine And Dry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드럼세탁기의 거품발생 방지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세탁시 발생되는 거품의 과다를 감지하여 거품을 원활하게 제거하도록 하여 드럼세탁기의 세탁성능을 향상시키도록 한 것이다.
이를 위해, 세탁물 세탁행정시 거품과다를 거품감지 압력스위치가 감지하여 배수펌프 모터를 일정시간 구동시켜 거품과 세탁수를 배수하고, 급수밸브를 열어 세탁수를 터브내로 급수시킨 후 모터를 일정시간동안 좌,우반전 구동시키며 세탁수를 배수하고 나서 세탁수위까지 세탁수를 재급수함으로써 드럼세탁기내에서 발생되는 거품을 제거하여 드럼세탁기의 세탁성능을 향상시키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드럼세탁기의 거품발생 방지장치 및 그 방법
본 발명은 드럼세탁기의 거품발생 방지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써, 좀더 구체적으로는 세탁시 발생되는 거품의 과다를 감지하여 거품을 원활하게 제거하도록 하여 드럼세탁기의 세탁성능을 향상시키도록 한 것이다.
도 1a는 종래 드럼세탁기의 정단면도이고, 도 1b는 종래 드럼세탁기의 측단면도로써, 그 구성을 살펴보면 드럼세탁기의 외관인 케이스(13)와, 상기 케이스(13)내에 설치된 터브(9)와, 상기 터브(9)내에 세탁물을 담을 수 있도록 설치되며 리프트(8)가 내주연부에 돌출되게 형성된 드럼(7)과, 상기 드럼세탁기의 전면부에 개폐되도록 설치된 도어(14)와, 상기 터브(9)와 도어(14)사이에 세탁수가 새는 것을 방지하도록 설치된 가스켓(15)과, 상기 터브(9)의 하부에 설치되어 드럼세탁기에 전원이 인가되면 동력을 발생시키는 모터(4)와, 상기 모터(4)의 동력에 의해 발생되는 회전력을 드럼(7)에 전달하여 드럼(7)을 회전시키도록 모터(4)와 드럼(7)의 후면에 설치된 풀리(16)를 연결시키는 벨트(17)와, 상기 모터(4)의 하단부에 설치되어 터브(9)내의 세탁수를 배수시키는 배수 밸로우즈(3)와, 상기 배수 밸로우즈(3)와 연결된 제 1 배수호스(5)내를 흐르는 세탁수가 제 2 배수호스(11)를 통해 드럼세탁기의 외부로 배수되도록 제 1 배수호스(5)와 제 2 배수호스(11)사이에 설치되어 회전동력을 발생시키는 배수펌프모터(6)와, 상기 터브(9)내로 세탁수를 급수시키기 위해 개폐되는 급수밸브(19)와, 상기 급수밸브(19)를 통해 유입되는 세탁수가 급수호스(18)내를 흐르면서 세제통(12)에 담겨져 있는 세제와 함께 터브(9)내로 급수되도록 세제통(12)과 터브(9)사이에 설치된 급수관(10)과, 상기 터브(9)내로 급수된 세탁수의 온도를 높여주도록 터브(9)와 드럼(7)사이에 설치되어 열을 발생시키는 히터(20)와, 상기 히터(20)에 의해 가열된 세탁수의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감지센서(21)와, 상기 터브(9)내로 급수된 세탁수의 수위를 감지하는 수위센서(1)와, 상기 수위센서(1)에서 세탁수의 수위를 감지할 수 있게 수위센서(1)로 세탁수의 수압을 전달해주도록 배수 밸로우즈(3)와 수위센서(1)사이에 설치된 수압전달부(2)로 구성되어 진다.
이러한 구조의 드럼세탁기는 드럼세탁기의 전면부에 설치된 도어(14)를 열고 세탁물을 터브(9)내에 설치된 드럼(7)내에 넣은 다음 도어(14)를 닫은 후, 드럼세탁기에 전원이 인가되어 지면 케이스(13)의 후면에 설치되어 개폐되는 급수밸브(19)가 열리면서 세탁수가 드럼세탁기내로 유입되어 진다.
상기 급수밸브(19)를 통해 유입되는 세탁수는 급수밸브(19)와 연결된 급수호스(18)내를 흐르면서 세제통(12)에 담겨져 있는 세제와 함께 급수관(10)을 통해 터브(9)내로 급수되어진다.
상기 터브(9)내로 일정량의 세탁수가 급수되어 지면, 터브(9)의 하단부에 설치된 배수 밸로우즈(3)의 측면에 연결되어 세탁수의 수압을 수위센서(1)로 전달해주는 수압전달부(2)를 통해 수위센서(1)에서 터브(9)내로 급수된 세탁수의 급수량을 감지하고, 상기 수위센서(1)에서 감지된 신호를 마이콤으로 전달하여 마이콤에서는 급수밸브(19)의 멈추게 하는 신호를 보내 급수밸브(19)를 닫아 세탁수의 급수를 멈추게 한다.
상기 터브(9)내에 세탁수가 일정량 급수되면 드럼세탁기의 외관인 케이스(13)내에 설치된 터브(19)의 하부에 설치된 모터(4)에서 동력이 발생되어 지고, 상기 모터(4)의 동력에 의해 발생되는 회전력은 드럼(7)의 후면에 설치된 풀리(16)와 모터(4)를 연결하는 벨트(17)에 의해서 풀리(16)로 전달되어져 풀리(16)가 회전되어 지며, 상기 회전되는 풀리(16)에 의해서 드럼(17)이 회전하면서 세탁물을 세탁하게 된다.
상기 드럼(7)의 내주연부에는 다수개의 리프트(8)가 형성되어 있어 세탁물의 세탁이 원활하게 이루어지고, 상기 도어(14)와 터브(9)사이에 설치된 가스켓(15)은 터브(9)내로 급수된 세탁수가 드럼세탁기의 외부로 새는 것을 방지하도록 도어(14)와 터브(9)사이를 밀봉하게 된다.
이때, 소비자가 세탁물을 세탁할 때 삶은 세탁(95℃ 수온)을 선택하면 드럼(7)과 터브(9)사이에 설치된 히터(20)에서 열이 발생되어 세탁수를 가열하게 되고, 상기 히터(20)에 의해서 가열되는 세탁수의 온도는 온도감지센서(21)에서 감지하여 히터(20)의 구동을 제어하게 된다.
상기 세탁물의 세탁이 완료되면 세탁수는 상기 터브(9)의 하단부에 설치된 배수 밸로우즈(3)를 통해 배수되어 제 1 배수호스(5)내를 흐르면서 제 1 배수호스(5)와 제 2 배수호스(11)사이에 설치된 배수펌프모터(6)의 회전력에 의해서 제 2 배수호스(11)를 통해 드럼세탁기의 외부로 배수되어 진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 드럼세탁기는 세탁물을 세탁할 때 삶은 세탁을 선택하면 터브내에서 거품이 과다하게 발생될 뿐만 아니라 상기 발생되는 거품을 제거하는 장치가 설치되어 있지 않아 거품에 의해 드럼의 회전이 방해되므로 드럼을 회전시키는 모터에 과부하가 걸리고 또한, 드럼세탁기의 세탁성능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드럼세탁기에서 발생되는 거품을 제거하기 위한 드럼세탁기의 거품발생 방지장치로서, 특허공개공보 제 94-11710호에는 드럼세탁기의 터브에 두 전극이 설치된 거품센서를 일정한 높이에 설치하여 세탁물 세탁시 상기 드럼내에서 거품이 일정량이상 발생되면 거품에 의해 두 전극이 연결되어 도통되므로 거품센서가 이를 감지하여 모터를 약하게 구동시켜 거품의 발생을 줄이고, 설정된 시간이 경과되어도 계속 일정량 이상으로 거품이 발생될 경우에는 세탁수의 일부를 배수 및 보충급수로 2회 반복수행하여 거품의 발생을 줄이며 상기 세탁수의 일부를 배수 및 보충급수하여도 계속 거품이 발생될 경우에는 히터를 오프시키고 모터를 정지시켜 거품이 감소되도록 한 후, 다시 세탁동작을 수행하도록 하여 드럼세탁기에서 발생하는 거품을 제거할 수 있는 드럼세탁기의 거품발생 방지장치를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선행기술의 드럼세탁기의 거품발생 방지장치는 세탁물 세탁시 드럼내에서 발생되는 거품에 의해서 두 전극이 도통되어 거품발생을 감지하는 거품센서가 터브의 일정한 높이에 설치되어 있어 드럼세탁기가 정상적인 동작상태에서도 발생되는 거품이 두 전극을 도통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드럼세탁기에서 발생하는 거품을 제거하기 위한 드럼세탁기의 거품 제거장치로써, 실용신안공개공보 제 95-11700호에는 드럼세탁기의 터브일측에 드럼세탁기의 외부로 노출되게 거품배출호스를 설치하여, 드럼내에서 거품이 과다하게 발생되어 거품배출호스 높이까지 차면 거품은 거품배출호스를 통해 드럼세탁기의 외부로 자동적으로 배수하도록 한 드럼세탁기의 거품 제거장치를 개시하고 있다.
아울러, 특허공개공보 제 91-20258호에는 와권식 세탁기의 세탁조 주변의 일정한 높이에 세탁조와 교차되는 수평방향으로 하나 또는 다수개의 유출부를 설치하고, 상기 유출부를 세탁공정의 제어신호에 의하여 구동하며 개폐하는 거품제거용 밸브를 설치하여 세탁물 세탁시 일정량 이상으로 발생하는 거품을 유출부를 통해 자연 배수하도록 한 드럼세탁기의 거품 제거장치를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선행기술의 드럼세탁기의 거품 제거장치는 드럼세탁기의 터브와 와권식 세탁기의 세탁조의 일정한 높이에 거품배출호스와 유출부를 설치하여 세탁기내에서 발생하는 거품이 일정량이상 차면 거품배출호스와 유출부를 통해 세탁기의 거품을 단순히 자연배수시키도록 하였다.
그리고, 드럼세탁기에서 발생되는 거품을 제거하기 위한 드럼세탁기의 거품발생 방지장치로서, 실용신안공개공보 제 95-8996호에는 드럼세탁기의 에어포켓의 중간 상측부위에 형성된 캡내부에 센서전극을 설치하여 세탁물 세탁동작 진행중 세제거품이 과다하게 발생하여 에어포켓의 캡부분까지 차오르게 되면 센서전극이 온(ON)되어 마이콤이 과다거품 발생을 감지하여 거품이 제거될 때까지 모터의 동작을 중지시키고 급수밸브를 조금씩 3초간 열고 1초간 닫는 동작을 진행시킴으로서 거품을 제거하므로 과도한 거품발생을 제거할 수 있는 드럼세탁기의 거품발생 방지장치를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선행기술의 드럼세탁기의 거품발생 방지장치는 과도한 거품발생을 감지하는 센서전극이 정상상태에서도 온(ON)이 되는 경우도 있을 뿐만 아니라 일정시간 드럼세탁기에 세탁수를 급수하여 거품발생을 방지하거나 줄이므로서 과도하게 발생되는 거품을 능동적으로 드럼세탁기의 외부로 배출시키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드럼세탁기에서 발생되는 거품을 제거하기 위한 드럼세탁기의 거품감지 헹굼방법으로써, 특허공개공보 제 95-6124호에는 세탁물의 세탁과정이 완료되면 세탁물을 탈수할 때 거품이 없거나 적으면 바로 세탁물의 탈수를 행하고, 거품이 과다하게 발생하면 거품과다를 모터의 출력으로 감지하여 모터의 속도를 서서히 낮추면서 탈수를 행하는데, 그래도 소정횟수이상 거품이 계속해서 발생하면 탈수를 중단하고 헹굼을 행하도록 하여 거품을 억제함으로써 헹굼수 사용을 최소화함과 아울러 헹굼효과를 높이도록 한 드럼세탁기의 거품감지 헹굼방법을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선행기술의 드럼세탁기의 거품감지 헹굼방법은 실제 세탁에 있어서 거품과다는 60℃ 이상 삶은 세탁시 세탁행정에서 발생되므로 헹굼과정이나 탈수행정시 거품을 제거하는 효과는 적을 뿐만 아니라 모터의 속도로 거품의 과다를 감지하는 방법 또한 세탁물의 량에 따라 모터에 걸리는 부하의 변동이 심하므로 모터의 속도로 거품의 과다를 감지하기는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종래의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써, 삶은 세탁시 발생하는 거품의 과다를 감지하면 터브내의 거품과 세탁수를 세탁기의 외부로 배수하고 일정시간동안 배수펌프를 구동한 후, 급수밸브를 열어 일정시간동안 세탁수의 급수를 실시한 후 모터를 일정시간동안 좌,우 반전구동을 실시하고, 다시 배수펌프모터를 동작시켜 거품을 제거함으로써 드럼세탁기의 세탁성능을 향상시키고 이상고장현상을 방지하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형태에 따르면, 터브내로 급수되는 세탁수의 급수량을 감지하기 위한 터브의 하단부에 설치된 배수 밸로우즈에 수압전달부와 거품압력전달부가 연결되고 상기 수압전달부 상단에는 물의 급수량을 감지하는 수위센서를 설치하고, 상기 거품압력전달부 상단에는 터브내의 거품과다를 감지하도록 설치된 거품감지 압력스위치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럼세탁기의 거품발생 방지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다른 형태에 따르면, 터브내에서 발생되는 거품과다를 감지하는 거품감지단계와, 상기 거품감지단계에서 감지된 거품을 제거하기 위하여 배수펌프 모터를 일정시간 구동하여 터브내의 거품과 세탁수를 세탁기 외부로 배수시키는 배수단계와, 상기 배수단계 완료시 급수밸브를 일정시간 열어 터브내로 세탁수를 급수하는 급수단계와, 상기 급수단계를 일정시간 행한 후 모터를 일정시간동안 좌,우반전구동시키며 다시 배수펌프모터를 일정시간 구동시켜 터브내의 거품을 제거하는 거품제거단계와, 상기 거품제거단계에서 배수된 세탁수를 세탁수위까지 재급수하는 재급수단계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드럼세탁기의 거품발생 방지방법이 제공된다.
도 1a는 종래 드럼세탁기의 정단면도
도 1b는 종래 드럼세탁기의 측단면도
도 2a는 본 발명 드럼세탁기의 정단면도
도 2b는 본 발명 드럼세탁기의 측단면도
도 3은 본 발명 드럼세탁기의 거품감지 및 제거 동작 흐름도
도 4는 본 발명 드럼세탁기의 구동 블록도
도 5는 본 발명 드럼세탁기의 거품 감지 압력 스위치의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1: 수위센서102: 수압전달부
103: 배수 밸로우즈104: 모터
105: 제 1 배수호스106: 배수펌프모터
107: 드럼108: 리프트
109: 터브110: 급수관
111: 제 2 배수호스112: 세제통
113: 케이스114: 도어
115: 가스켓116: 풀리
117: 벨트118: 급수호스
119: 급수밸브120: 히터
121: 온도감지센서122: 거품감지 압력스위치
123: 상케이스124: 하케이스
125: 제 1 단자126: 제 2 단자
127: 밀봉부재128: 금속판 스위치
129: 고무호스130: 스프링
131: 거품압력전달부
이하, 본 발명의 일실시예로 도시한 첨부된 도 2a 내지 도 5를 참고로 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a는 본 발명 드럼세탁기의 정단면도이고, 도 2b는 본 발명 드럼세탁기의 측단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 드럼세탁기의 거품감지 및 제거동작 흐름도이고, 도 4는 본 발명 드럼세탁기의 구동 블록도이고, 도 5는 본 발명 드럼세탁기의 거품감지 압력스위치의 단면도로써, 본 발명은 드럼세탁기의 외관인 케이스(113)내로 설치된 터브(109)내에 세탁물을 담을 수 있도록 드럼(107)이 설치되어 있고, 상기 드럼(107)내의 내주연부에 다수개의 리프트(108)가 돌출되게 형성되어 있다.
상기 드럼세탁기의 전면부에 도어(114)가 개폐되도록 설치되어 있고, 상기 도어(114)와 터브(109)사이에 터브(109)내로 급수된 세탁수가 새는 것을 방지하도록 가스켓(115)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케이스(113)후면에는 세탁수의 급수를 제어하는 급수밸브(119)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급수밸브(119)와 세제통(112)사이에 급수호스(118)가 연결되어 있고, 상기 세제통(112)의 다른 일측과 터브(118)사이에는 급수관(110)이 연결되어 있다.
상기 터브(109)내로 급수된 세탁수의 온도를 높여주도록 터브(109)와 드럼(107)사이에 열을 발생시키는 히터(120)와, 상기 히터(120)에 의해 가열된 세탁수의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감지센서(121)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터브(109)의 하부에 전원이 인가되면 동력을 발생시키는 모터(104)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모터(104)와 드럼(107)의 후면에 설치된 풀리(116)는 벨트(117)에 의해서 연결되도록 설치되어 있다.
상기 터브(109)의 하단부에 배수 밸로우즈(103)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배수 밸로우즈(103)와 배수펌프모터(106)사이에 제 1 배수호스(105)가 연결되어 있고, 상기 배수펌프모터(106)의 다른 일측에 세탁수를 세탁기의 외부로 배수시키도록 제 2 배수호스(111)가 설치되어 진다.
상기 배수 밸로우즈(103)의 측면에 터브(109)내로 급수되는 세탁수의 수압을 전달하는 수압전달부(102)와 터브(109)내에서 발생하는 거품의 압력을 전달하는 거품압력전달부(131)가 연결되게 설치되어 있다.
상기 수압전달부(102)의 상단에 세탁수의 급수량을 감지하는 수위센서(101)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거품압력전달부(131)의 상단에 거품의 과다를 감지하는 거품감지 압력스위치(122)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수압전달부(102)와 거품압력전달부(131)는 배수 밸로우즈(103)에 각각 설치되어 있거나 또는 상기 수압전달부(102)와 거품압력전달부(131)가 배수 밸로우즈(103)에 일체로 연결되게 설치되어 지고 다른 끝단은 분리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상기 거품감지 압력스위치(122)의 상,하부에 상,하케이스(1123)(124)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상,하케이스(123)(124)사이에 공기압이 외부로 새는 것을 방지하도록 밀봉부재(127)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하케이스(124)의 하단부에 터브(109)내에서 과다하게 발생되는 거품의 압력을 전달하도록 끼워지는 고무호스(129)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상케이스(123)에 전류가 흐르는 제 1 단자(125)와 제 2 단자(126)가 설치되어 잇다.
상기 밀봉부재(127)의 상부에 고무호스(129)를 통해 전달되는 공기압에 의해 부풀어지는 밀봉부재(127)가 밀려 올라가면서 제 1 단자(125)와 제 2 단자(126)를 연결시켜 전류를 도통시키도록 금속판 스위치(128)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터브(109)내에 거품이 제거되어 공기압이 떨어지면 제 1, 2 단자(125)(126)와 금속판 스위치(128)가 떨어져서 제 1, 2 단자(125)(126)가 이격되도록 상케이스(123)와 금속판 스위치(128) 사이에 탄성부재(130)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탄성부재(130)는 탄성력을 지닌 스프링으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밀봉부재(127)는 공기압에 의해서 원활하게 부풀려지고 또한, 상케이스(123)와 하케이스(124)를 원활하게 밀봉시키도록 얇은 고무막으로 형성되어 진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드럼세탁기의 전면부에 설치된 도어(114)를 열고 터브(109)내에 설치된 드럼(107)내에 세탁물을 넣은 다음 도어(114)를 닫은 후, 드럼세탁기에 전원을 인가하면 케이스(113)의 후면에 설치된 급수밸브(119)가 열리면서 드럼세탁기내로 세탁수가 유입된다.
상기 급수밸브(119)를 통해 유입되는 세탁수는 급수밸브(119)와 연결된 급수호스(118)내를 흐르면서 세제통(112)에 담겨져 있는 세제와 함께 급수관(110)을 통해 터브(109)내로 급수된다.
상기 터브(109)내로 일정량의 세탁수가 급수되면 터브(109)의 하단부에 설치된 배수 밸로우즈(103)의 측면에 연결된 수압전달부(102)의 상단에 설치된 수위센서(101)로 세탁수의 수압이 전달되며, 상기 세탁수의 수압을 전달받은 수위센서(101)에서 감지된 신호는 마이콤으로 전달되어 상기 마이콤에서 급수밸브(119)로 멈추게 하는 신호를 보내 급수밸브(119)를 닫으므로 세탁수의 급수가 멈춰지게 된다.
상기 터브(109)내로 세탁수의 급수가 완료되면 터브(109)의 하부에 설치된 모터(104)에서 동력이 발생되고, 상기 모터(104)의 동력에 의해 발생되는 회전력은 드럼(107)의 후면에 설치된 풀리(116)와 모터(104)를 연결하는 벨트(117)에 의해서 풀리(116)로 전달되며, 상기 풀리(116)로 전달된 회전력에 의하여 풀리(116)가 회전하면서 드럼(107)도 같이 회전하여 세탁물을 세탁한다.
상기 드럼(107)의 내주연부에는 다수개의 리프트(108)가 형성되어 있어 세탁물을 원활하게 세탁하고, 상기 도어(114)와 터브(109)사이에 설치된 가스켓(115)은 터브(109)내로 급수된 세탁수가 세탁기의 외부로 새는 것을 방지한다.
이때, 소비자가 삶은 세탁 즉, 65℃이상의 수온(95℃)을 선택하면 터브(109)와 드럼(107)사이에 설치된 히터(120)에서 열이 발생되어 세탁수가 가열되며, 상기 히터(120)에 의해 가열된 세탁수의 온도는 온도감지센서(121)에 의해 감지되어 히터(120)의 구동을 제어한다.
이때, 세탁물 세탁중 거품이 과다하게 발생되면, 배수 밸로우즈(103)의 측면에 연결된 거품압력전달부(131)의 상단에 설치된 거품감지 압력스위치(122)로 터브(109)내에서 발생된 거품의 압력이 전달되며, 상기 거품의 압력을 전달받은 거품감지 압력스위치(122)가 도통되므로 거품제거 프로그램이 동작되어 드럼(107)내의 거품을 제거한다.
상기 거품감지 압력스위치(122)는 상케이스(123)와 하케이스(124)로 구성되며, 상기 하케이스(124)의 하단부에 연결된 고무호스(129)를 통해 터브(109)내에서 발생하는 과다한 거품의 공기압이 유입되어 상기 상,하케이스(123)(124)사이에 설치된 밀봉부재(127)를 공기압이 부풀려서 상측으로 이동시키게 된다.
상기 상측으로 이동되는 밀봉부재(127)는 밀봉부재(127)의 상부에 설치된 금속판 스위치(128)를 밀어올리게 되며, 상기 밀려 올려진 금속판 스위치(128)는 상케이스(123)에 설치된 제 1 단자(125)와 제 2 단자(126)와 접촉되어 제 1 단자(125)와 제 2 단자(126)를 연결시키므로써 전류가 도통되어 거품제거 프로그램이 동작된다.
상기 거품감지 압력스위치(122)가 도통되어 거품제거 프로그램이 동작되면, 배수펌프모터(106)를 일정시간 구동시켜 터브(109)내의 거품과 세탁수를 세탁기 외부로 배수하며, 상기 거품과 세탁수의 배수가 완료되면 급수밸브(119)를 열어 터브(109)내로 일정시간 세탁수를 급수한다.
상기 세탁수가 터브(109)내로 일정시간 급수되면, 모터(104)를 일정시간동안 좌,우반전구동시키면서 다시 배수펌프모터(106)를 일정시간 구동시켜 세탁수를 배수하여 터브(108)내의 거품을 제거한다.
상기 터브(109)내의 거품이 제거되면 급수밸브(119)를 열어 세탁수위까지 세탁수를 급수한 후, 초기 소비자가 선택한 세탁수온을 읽어 들여서 소비자가 60℃이상의 수온(95℃)을 선택하였으면 수온을 60℃로 내부적으로 조정하여 히터(120)의 구동을 수온 60℃까지만 실시하도록 한다.
상기 거품이 제거되면 거품감지 압력스위치(122)내에서 공기압이 떨어져서 상케이스(123)와 금속판 스위치(128)사이에 설치된 탄성부재(130)에 의해서 금속판 스위치(128)가 제 1, 2 단자(125)(126)에서 떨어져서 제 1 단자(125)와 제 2 단자(126)를 이격시킴으로써 거품감지 압력스위치(122)에 전류가 차단되므로 드럼세탁기는 다시 세탁프로그램으로 돌아가서 세탁완료될 때까지 세탁물을 세탁하게 되며, 상기 세탁물의 세탁이 완료될 때까지 거품과다는 계속해서 마이콤에서 감시하도록 하여 거품의 과다 발생시 거품제거 프로그램을 다시 동작시킨다.
상기 세탁물의 세탁이 완료되면 상기 터브(109)의 하단부에 설치된 배수 밸로우즈(103)를 통해 배수되어 제 1 배수호스(105)내를 흐르면서 제 1 배수호스(105)와 제 2 배수호스(111)사이에 설치된 배수펌프모터(106)의 회전력에 의해서 제 2 배수호스(111)를 통해 드럼세탁기의 외부로 세탁수는 배수된다.
상기 세탁수의 배수가 완료되면 급수밸브(119)를 열어 터브(109)내로 세탁수를 급수하여 세탁물을 헹구는 헹굼행정과 세탁물을 탈수하는 탈수행정을 실시한 후 세탁을 종료한다.
상기 온도감지센서(121)와 수온센서(101) 및 거품감지 압력스위치(122)에서 감지된 신호는 마이콤으로 전달되며, 상기 마이콤에서는 모터(104)와 배수펌프모터(106) 및 급수밸브(119) 그리고 히터(120)등을 제어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은 드럼세탁기내에서 발생되는 거품과다를 기계식 압력스위치인 거품감지 압력스위치로 감지함으로써 거품과다의 감지 오차를 저감시킬 뿐만 아니라 거품과다로 인한 세탁기의 오동작 및 고장을 저감시켜 세탁기의 이상고장 현상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세탁물 세탁행정시 거품과다를 거품감지 압력스위치가 감지하여 배수펌프모터를 일정시간 구동시켜 거품과 세탁수를 배수하고, 급수밸브를 열어 세탁수를 급수시킨 후, 모터를 일정시간동안 좌,우반전 구동시키며 세탁수를 배수하고 나서 세탁수위까지 세탁수를 급수함으로써 드럼세탁기내에서 발생되는 거품을 제거하고 또한, 삶은 세탁을 선택할 경우 거품이 과다하게 발생하면 세탁수온을 60℃로 유지시켜 세탁을 실시함으로써 드럼세탁기의 세탁성능이 향상되는 효과도 있다.

Claims (5)

  1. 터브내로 급수되는 세탁수의 수압과 세탁시 발생되는 거품의 압력을 전달하도록 터브의 하단부에 설치된 배수 밸로우즈에 수압전달부와 거품압력전달부가 연결되고 상기 수압전달부 상단에는 세탁수의 급수량을 감지하는 수위센서를 설치하고, 상기 거품압력전달부 상단에는 터브내의 거품과다를 감지하도록 설치된 거품감지 압력스위치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럼세탁기의 거품발생 방지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수압전달부와 거품압력전달부는 배수 밸로우즈에 일체로 연결되고 다른 끝단이 분리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럼세탁기의 거품발생 방지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거품감지 압력스위치는
    상,하부에 설치된 상,하케이스와,
    상기 상,하케이스사이에 공기압이 새는 것을 방지하도록 설치된 밀봉부재와,
    상기 하케이스의 하단부에 터브내에서 과다하게 발생되는 거품의 압력을 거품감지 압력스위치로 전달하도록 설치된 고무호스와,
    상기 고무호스를 통해 전달되는 공기압에 의해 상측으로 이동되는 밀봉부재의 상부에 제 1, 2 단자와 접촉되어 전류가 도통되도록 설치된 금속판 스위치와,
    상기 터브내에 거품이 제거되어 공기압이 떨어지면 제 1, 2 단자가 이격되도록 상케이스와 금속판 스위치사이에 설치된 탄성부재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럼세탁기의 거품발생 방지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밀봉부재는 공기압에 의해서 원활히 부풀려지고, 상케이스와 하케이스 사이를 원활하게 밀봉시키도록 얇은 고무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럼세탁기의 거품발생 방지장치.
  5. 터브내에서 발생되는 거품과다를 감지하는 거품감지단계와,
    상기 거품감지단계에서 감지된 거품을 제거하기 위하여 배수펌프모터를 일정시간 구동하여 터브내의 거품과 세탁수를 세탁기 외부로 배수시키는 배수단계와,
    상기 배수단계 완료시 급수밸브를 일정시간 열어 터브내로 세탁수를 급수하는 급수단계와,
    상기 급수단계를 일정시간 행한 후 모터를 일정시간동안 좌,우반전구동시키며 다시 배수펌프모터를 일정시간 구동시켜 터브내의 거품을 제거하는 거품제거단계와,
    상기 거품제거단계에서 배수된 세탁수를 세탁수위까지 재급수하는 재급수단계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드럼세탁기의 거품발생 방지방법.
KR1019970004532A 1997-02-14 1997-02-14 드럼세탁기의 거품발생 방지장치 및 그 방법 KR10019856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04532A KR100198568B1 (ko) 1997-02-14 1997-02-14 드럼세탁기의 거품발생 방지장치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04532A KR100198568B1 (ko) 1997-02-14 1997-02-14 드럼세탁기의 거품발생 방지장치 및 그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68100A KR19980068100A (ko) 1998-10-15
KR100198568B1 true KR100198568B1 (ko) 1999-06-15

Family

ID=194970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04532A KR100198568B1 (ko) 1997-02-14 1997-02-14 드럼세탁기의 거품발생 방지장치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19856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85103B1 (ko) * 2012-04-04 2014-04-14 동부대우전자 주식회사 벽걸이형 드럼세탁기의 탈수 제어방법
KR102544443B1 (ko) * 2016-10-24 2023-06-16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DE102018105667A1 (de) * 2018-03-12 2019-09-12 Miele & Cie. Kg Verfahren zum Betreiben einer Waschmaschine und Waschmaschin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68100A (ko) 1998-10-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544345B1 (en) Washing machine
EP1751344B1 (en) A washing machine generating and using the steam
US7490493B2 (en) Steam jet drum washing machine
KR20050065721A (ko) 세탁기 및 그 제어방법
EP2112262B1 (en) Washing machine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KR100198568B1 (ko) 드럼세탁기의 거품발생 방지장치 및 그 방법
KR20020062969A (ko) 자동제어식 세탁기
KR100934016B1 (ko) 세탁기의 누수 감지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1146273B1 (ko) 삶는 기능을 갖는 드럼세탁기의 수위감지장치
KR100765280B1 (ko) 증기발생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드럼 세탁기.
KR100730941B1 (ko) 드럼 세탁기의 거품 제거 장치 및 거품 제거 방법.
KR20020095764A (ko) 전자동 세탁기에 있어서의 어린이 안전 보호를 위한 세탁제어방법
KR100333599B1 (ko) 세탁기의물넘침방지방법
KR100290230B1 (ko) 드럼세탁기의 과압 제어방법
JPH09108489A (ja) 洗濯機内の泡が除去できる洗濯方法
JPS589573Y2 (ja) センタクキ
KR100505255B1 (ko) 드럼세탁기의 수위감지방법
KR101202747B1 (ko) 드럼 세탁기의 거품제거장치 및 방법
KR0164949B1 (ko) 세탁기의 헹굼행정 제어방법
JP6681553B2 (ja) 洗濯機
KR19990010956U (ko) 세탁기의 배수펌프 공회전 방지장치
KR20040038214A (ko) 세탁기의 배수호스 연결구조
KR200340239Y1 (ko) 세탁기의 배수장치
KR20030004705A (ko) 드럼세탁기의 세탁량 감지방법
KR20000031396A (ko) 드럼 세탁기의 거품제거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223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