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72200B1 -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Lactobacillus plantarum) SY99 및 이의 용도 - Google Patents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Lactobacillus plantarum) SY99 및 이의 용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72200B1
KR101372200B1 KR1020100131687A KR20100131687A KR101372200B1 KR 101372200 B1 KR101372200 B1 KR 101372200B1 KR 1020100131687 A KR1020100131687 A KR 1020100131687A KR 20100131687 A KR20100131687 A KR 20100131687A KR 101372200 B1 KR101372200 B1 KR 10137220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ctobacillus plantarum
bacteriocin
culture
food
kct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316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89530A (ko
Inventor
김민수
윤병대
박찬선
양희종
정성엽
Original Assignee
한국생명공학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생명공학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생명공학연구원
Priority to KR10201001316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72200B1/ko
Publication of KR201200895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8953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722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7220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1/00Microorganisms, e.g. protozoa;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of propagating, maintaining or preserving microorganisms or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of preparing or isolating a composition containing a microorganism; Culture media therefor
    • C12N1/20Bacteria; Culture media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00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e.g. pasteurising, sterilising, specially adapted for foods or foodstuffs
    • A23L3/34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e.g. pasteurising, sterilising, specially adapted for foods or foodstuffs by treatment with chemicals
    • A23L3/3454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e.g. pasteurising, sterilising, specially adapted for foods or foodstuffs by treatment with chemicals in the form of liquids or solids
    • A23L3/3463Organic compounds; Microorganisms; Enzymes
    • A23L3/34635Antibiotic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R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C12C - C12Q, RELATING TO MICROORGANISMS
    • C12R2001/00Microorganisms ; Processes using microorganisms
    • C12R2001/01Bacteria or Actinomycetales ; using bacteria or Actinomycetales
    • C12R2001/225Lactobacillus
    • C12R2001/25Lactobacillus plantarum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50/00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in human health protection, e.g. against extreme weather
    • Y02A50/30Against vector-borne diseases, e.g. mosquito-borne, fly-borne, tick-borne or waterborne diseases whose impact is exacerbated by climate chang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Microbi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Zoolog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Biotechnology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Vir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Tropical Medicine & Parasitolog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es Containing Material From Animals Or Micro-Organisms (AREA)
  • Micro-Organisms Or Cultivation Processe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신규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Lactobacillus plantarum) SY99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다양한 병원성균에 대한 항균활성을 갖는 젓갈 유래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Lactobacillus plantarum) SY99 (KCTC 11766BP), 이로부터 생산되는 박테리오신 및 그 용도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SY99는 젓갈에서 분리한 젖산균으로서 상기 균주에 의해 생산되는 박테리오신은 넓은 범위의 pH 안정성 및 열 안정성을 나타낸다. 젖갈로부터 분리된 것이기 때문에 생균을 섭취하더라도 안정성이 보장되며, 바실러스 세레우스 등 여러 병원성균의 생장을 저해하는 효과가 있어, 친환경적 미생물 제제로서 병원성균에 의한 식품의 부패 및 질병 예방에 매우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Lactobacillus plantarum) SY99 및 이의 용도 {Lactobacillus plantarum SY99 and Use Thereof}
본 발명은 신규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Lactobacillus plantarum) SY99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다양한 병원성균에 대한 항균 활성을 갖는 젖갈 유래 신규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Lactobacillus plantarum) SY99, 이로부터 생산되는 박테리오신 및 그 용도에 관한 것이다.
식품에 있어 오염지표 세균은 식품의 위생상태를 나타내며 이러한 세균들은 식품의 부패 및 변질을 일으켜 식품의 유통기간을 결정하는데 중요한 지표로 이용된다. 식중독은 식품이나 물을 매개로 하여 발생하는 급성 위장염 및 신경장애 등의 중독증상의 총칭으로 우리나라의 경우 식중독 발생의 대부분은 세균성 식중독에 기인하며, 세균성 식중독은 살모넬라, 장염 비브리오, 대장균 O157:H7, 캄프로박터, 여시니아 등을 포함하는 감염형, 황색 포도상 구균, 보툴리누스균을 포함하는 독소형, 클로스트리디움, 세레우스균을 포함하는 감염 독소형, 세균성 이질, 리스테리아, 연쇄상 구균, 슈도모나스 등을 포함하는 기타로 구분된다. 우리나라의 경우 식중독 세균은 감염형인 살모넬라, 장염 비브리오와 독소형인 황생 포도상 구균이 대표적이다 특히, 바실러스 세레우스(Bacillus cereus)균은 자연계에 널리 분포하고 있어 원료단계에서 많은 오염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현실적으로 차단이 쉽지 않은 식품유해미생물로 보고되어 있다.
현재 식품산업에서는 식품의 장기간 보존과 위생적 제조를 위한 천연보존제의 개발이 주요 문제로 제시되고 있다. 수년전까지만 해도 저온저장을 통한 식품저장 및 유통이 최선책인 것으로 알려져 있었다. 그러나, 저온성 병원균인 리스테리아 모노사이토제네스(Listeria monocytogenes) 등의 발견으로 인하여, 저온저장이 식품저장을 위한 완전한 수단이 아닌 것으로 밝혀졌다. 이에 따라, 식품의 위생학적 안전성을 보장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저온저장 이외에도 식중독균 및 식품오염 미생물에 대해 항균효과가 큰 식품보존제의 개발이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식품보존제는 주로 화학적 합성 보존제가 널리 사용되고 있으며, 현재 한국에서도 나프톨 유도체 등을 포함한 14 종의 화합물들이 식품에 사용할 수 있는 것으로 허용되고 있다. 그밖에도, 테트라사이클린(tetracycline)과 같은 일부 항생물질들을 식품에 사용하는 것이 검토되고 있으나, 이들 화학 식품보존제나 독성이 큰 항생물질의 사용은 소비자가 원하지 않고 있다. 따라서, 인체에 무해하고 식품과 함께 섭취시 소화효소에 의해 쉽게 분해되는 항균성 펩타이드 계열의 천연보존제에 대한 관심이 증대되고 있다. 예를 들면, 니신(nisin)과 같은 항균성 펩타이드는 현재 47 개국에서 식품에 사용 가능한 것으로 허용되고 있다.
발효 미생물의 항균효과는 발효시 미생물이 성장하면서 생성하는 대사물질에 의한 것으로서, 항생제, 박테리오신(bacteriocin), 디아세틸, 아세트산, 젖산 등이 주요물질이다. 항균성 펩타이드 생산 균주로는 락토바실러스(Lactobacillus), 스트렙토코커스(Streptococcus), 페디오코커스(Pediococcus), 류코노스톡 (Leuconostoc), 엔테로코커스(Enterococcus), 코리네박테리움(Corynebacterium) 및 할로박테리움 (Halobacterium) 등이 있다. 이들이 생산하는 항균성 펩타이드들은 항균물질 생산균주 자신과 계통 분류학적으로 근접한 균종으로 제한되거나 광범위한 항균 스펙트럼을 나타낸다. 현재 이들은 일부 제품화되어 상용되고 있으며, 우유제품, 육제품, 사료제품, 곡류 등 여러 가지 식품 및 사료의 저장성 향상 및 위생화제 제조과정에도 사용될 수 있다.
박테리오신은 미생물 유래 천연 단백질 또는 펩타이드계 항균물질로서 단백질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인체에 무독성이고 잔류성이 없을 뿐만 아니라, pH와 열에 대한 안정성이 높으며, 인체에 섭취시 소화효소에 의하여 분해되므로, 새로운 생물학적 보존제 또는 발효식품의 생물제어제로서 중요한 가치를 가지고 있다.
유산균(Lactobacillus)은 젖산, 아세트산 등의 유기산, 박테리오신 등 여러 가지 항균물질을 생산한다고 알려지고 있으며 이들은 식품이나 사료의 중요한 생물학적 보존제가 될 수 있다고 알려지고 있다. 또한 각종의 생리활성물질, 항균물질, 항암물질을 생산함으로써 식물체의 자기방어능력을 향상시키며, 가축의 경우 장내 미생물의 안정화, 사료 효율증가, 내병성의 증가 효과를 나타낸다. 또한, 유산균이 특별한 관심을 끄는 이유는 동서양을 막론하고 식품에서 널리 이용되어 섭취되어왔으므로 일반적으로 안전하다고 인식하는 'GRAS'(generally regarded as safe) 미생물이기 때문이다. 그러나, 유산균을 산업적으로 올바르게 사용하기 위해서는 일반적으로 긍정적인 효과의 나열에 의한 판단보다는 사용용도가 무엇이며 용도에 적합한 특성이 무엇인지를 과학적인 입장에서 명확하게 이해하고 평가하는 절차를 반드시 거쳐야 한다. 이와 같은 절차를 통해서만이 제품의 균일성과 효과의 재현성을 보장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전통 발효식품 중 젖갈 식품으로부터 식품유해미생물 중 특히 바실러스 세레우스에 대한 우수한 항균활성을 나타내는 유산균을 분리하기 위해 예의 노력한 결과 유산균인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SY99를 선별하였고, 상기 균주 및 상기 균주의 배양액에 의해 바실러스 세레우스 및 시겔라(Shigella) 등을 포함하는 병원성균의 성장이 저해됨을 확인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은 병원성균에 대한 항균활성을 갖는 신규한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Lactobacillus plantarum) SY99 미생물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병원성균에 대한 항균활성을 갖는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SY99, 그 배양물 또는 상기 균주가 생산하는 박테리오신을 포함하는 항균 조성물, 사료 조성물 및 식품 조성물을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병원성균에 대한 항균활성을 갖는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Lactobacillus plantarum) SY99 (KCTC 11766BP) 균주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SY99로부터 생산되고, 하기 (a) 내지 (d)의 특징을 갖는 박테리오신을 제공한다: (a) 1.4 내지 1.8 kDa의 분자량; (b) 온도 5 내지 121℃에서 안정; (c) pH 2.5 내지 11.5에서 안정; (d) 클로로폼, 이소프로판올, 헥산, 에탄올, 아세톤 및 아세토니트릴 유기용매에 안정; 및 (e) 트립신, 키모트립신, 펩신, α-아밀라제, 섭틸리신 A 및 프로테아제 효소에 안정.
또한 본 발명은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SY99 (KCTC 11766BP11766BP), 그 배양물 또는 상기 균주가 생산하는 박테리오신을 포함하는 항균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SY99 (KCTC 11766BP11766BP), 그 배양물 또는 상기 균주가 생산하는 박테리오신을 포함하는 사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SY99 (KCTC 11766BP11766BP), 그 배양물 또는 상기 균주가 생산하는 박테리오신을 포함하는 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SY99 (KCTC 11766BP11766BP), 그 배양물 또는 상기 균주가 생산하는 박테리오신을 포함하는 약학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병원성균에 대한 항균활성을 갖는 신규한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Lactobacillus plantarum) SY99 (KCTC 11766BP) 또는 상기 균주가 생산하는 박테리오신은 젖갈로부터 분리된 것이기 때문에 생균을 섭취하더라도 안정성이 보장되며, 병원성균의 생장을 저해하는 효과가 있어, 친환경적 미생물 제제로서 병원성균에 의한 식품의 부패 및 질병 예방에 매우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도 1은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SY99의 배양 상등액의 바실러스 세레우스에 대한 항균효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tricine-SDS-PAGE를 통해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SY99가 생산하는 박테리오신의 분자량을 확인한 것이다.
도 3은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SY99의 균주 동정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4는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SY99의 균주 동정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5는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SY99 균의 16S rDNA 염기서열 분석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6은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SY99가 생산하는 박테리오신의 다양한 병원성균에 대한 항균효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7은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SY99가 생산하는 박테리오신의 pH, 열, 유기용매, 각종 가수분해 효소에 대한 안정성 및 내성을 나타낸 것이다.
본 발명은 일 관점에서,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Lactobacillus plantarum) SY99 (KCTC 11766BP)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다른 관점에서, 상기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SY99로부터 생산되고, 하기 (a) 내지 (d)의 특징을 갖는 박테리오신에 관한 것이다: (a) 1.4 내지 1.8 kDa의 분자량; (b) 온도 5 내지 121℃에서 안정; (c) pH 2.5 내지 11.5에서 안정; (d) 클로로폼, 이소프로판올, 헥산, 에탄올, 아세톤 및 아세토니트릴 유기용매에 안정; 및 (e) 트립신, 키모트립신, 펩신, α-아밀라제, 섭틸리신 A 및 프로테아제 효소에 안정.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은 락토바실러스(Lactobacillus) 속에 속하는 그람 양성균으로서 일반적으로 김치, 젖갈, 피클, 올리브 절임 및 식물 발효 식품이나 일부 치즈에서 발견되는 유산균으로, 본 발명에 따른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SY99은 젖갈로부터 분리 동정된 신규한 유산균이다.
본 발명에 따른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SY99는 젖갈로부터 분리 동정된 유산균으로서, 유산균은 통상적으로 병원성이 없는 균으로 알려져 있기 때문에, 상기 유산균 또는 이로부터 생산되는 박테리오신을 생균으로 섭취하더라도 인체에 무해하다는 사실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본 발명에 따른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SY99 또는 이로부터 생산되는 박테리오신은 병원성균에 대해 항균 및 생장 저해 활성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항균 및 생장 저해 활성은 비교적 열에 안정한 특성을 보인다.
본 발명의 구체예에 따르면, 상기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SY99 (KCTC 11766BP)는 살모넬라 엔테리카(Salmonella enteric), 스타필로콕쿠스 아우레우스(Staphylococcus aureus), 스타필로콕쿠스 에피데미디스(Staphylococcus epidermidis), 시겔라 플레크스네리(Shigella flexneri), 시겔라 손네이(Shigella sonnei), 바실러스 세레우스(Bacillus cereus) 및 에스케리키아 콜리(Escherichia coli)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병원성균에 대한 항균 및 생장 저해 활성을 가질 수 있다. 하기 실시예를 통하여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식중독의 원인균인 살모넬라(Salmonella) 속 및 바실러스(Bacillus) 속의 장내 병원성균에 대한 항균 및 생장 저해 활성이 특히 우수하며, 바실러스 세레우스(Bacillus cereus)에 대한 항균 및 생장 저해 활성이 매우 우수하다.
본 발명의 항균 활성은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SY99뿐만 아니라 상기 균주의 배양물 또는 상기 균주가 생산하는 박테리오신에서도 동일하게 나타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 '배양물'은 균체를 포함한 배양원액일 수 있으며, 균체를 제거한 배양 상등액일 수 있고, 또한 상기 배양원액 또는 배양 상등액의 희석액일 수 있다.
상기 배양물의 조성은 통상의 유산균 배양에 필요한 성분뿐만 아니라, 유산균 생장에 상승적으로 작용을 하는 성분을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 있으며, 이에 따른 조성은 당업계의 통상의 기술을 가진 자에 의하여 용이하게 선택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 다른 관점에서,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Lactobacillus plantarum) SY99 (KCTC 11766BP), 그 배양물 또는 상기 균주가 생산하는 박테리오신을 포함하는 항균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상기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SY99, 그 배양물 또는 상기 균주가 생산하는 박테리오신을 포함하는 항균 조성물은 병원성균에 대해 항균 및 생장 저해 활성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항균 및 생장 저해 활성은 비교적 열에 안정한 특성을 보인다.
본 발명의 구체예에 따르면, 상기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SY99 (KCTC 11766BP)는 살모넬라 엔테리카(Salmonella enteric), 스타필로콕쿠스 아우레우스(Staphylococcus aureus), 스타필로콕쿠스 에피데미디스(Staphylococcus epidermidis), 시겔라 플레크스네리(Shigella flexneri), 시겔라 손네이(Shigella sonnei), 바실러스 세레우스(Bacillus cereus) 및 에스케리키아 콜리(Escherichia coli)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병원성균에 대한 항균 및 생장 저해 활성을 가질 수 있다. 하기 실시예를 통하여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식중독의 원인균인 살모넬라(Salmonella) 속 및 바실러스(Bacillus) 속의 장내 병원성균에 대한 항균 및 생장 저해 활성이 특히 우수하며, 바실러스 세레우스(Bacillus cereus)에 대한 항균 및 생장 저해 활성이 매우 우수하다.
상기 항균 조성물은 균체가 제거된 배양물 만을 포함할 수도 있으며, 균체가 혼합되거나 균체만을 함유하도록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항균 조성물을 제조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SY99은 통상의 액상 또는 고상의 배양기술을 통하여 대량으로 배양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항균 조성물은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SY99 균주의 영양세포 또는 포자, 또는 영양 세포와 포자의 혼합 상태로 구성될 수 있고, 제제화하기 위하여 감압동결건조(Lyophillized), 동결건조, 수화의 상태로 균체를 제거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 다른 관점에서,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SY99 (KCTC 11766BP), 그 배양물 또는 상기 균주가 생산하는 박테리오신을 포함하는 병원성균에 대한 항균활성을 갖는 식품(또는 건강기능성식품)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상기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SY99, 그 배양물 또는 상기 균주가 생산하는 박테리오신을 포함하는 식품 조성물은 병원성균에 대해 항균 및 생장 저해 활성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데, 구체적인 특성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다.
상기 식품 조성물은 균체가 제거된 배양물 만을 포함할 수도 있으며, 균체가 혼합되거나 균체만을 함유하도록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SY99와 같은 유산균은 젖산 발효를 함으로써 식품의 부패를 방지하고, 항균 물질을 분비하여 식중독 균을 억제하는 등 인체에 유익한 균으로 활동한다. 유산균 발효를 이용하여 제조되는 식품으로는 치즈, 버터밀크, 요구르트, 유청(whey) 등이 있으며, 최근에는 유산균 발효에 의한 기능성 요구르트도 널리 시판되고 있다. 또한 유산균 발효 식품들은 정장제로서의 정제, 과립제제 등으로 제조되어 식품 조성물, 의약품 등으로 시판되고 있다.
따라서, 상기 식품에는 냉장, 냉동 또는 장기보관이 가능한 유제품, 예를 들면, 우유, 분유, 요커트, 캐피어(kefir), 아이스크림, 밀크쉐이크, 치즈, 크림, 커드, 발효유 및 우유가 첨가된 발효식품뿐만 아니라 두유, 발효된 곡류 제품, 환자식이 및 유아식이 등이 포함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SY99 (KCTC 11766BP)를 배양하여 식품으로 제조하거나 식품에 첨가하기 위해서는 우유 또는 곡류와 같이 녹말을 포함한 기질이 균주 배양에 바람직하다.
상기 식품에 포함되는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SY99의 양은 약 105 cfu/g 내지 약 1011 cfu/g일 수 있으며, 약 106 cfu/g 내지 약 1010 cfu/g, 또는 약 107 cfu/g 내지 약 109 cfu/g일 수 있다. 상기 식품에 포함되는 박테리오신의 양은 식품 조성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0.01 내지 99.9 중량부, 0.01 내지 90 중량부, 0.01 내지 80 중량부, 0.01 내지 70 중량부, 0.01 내지 60 중량부, 0.01 내지 50 중량부, 0.1 내지 50 중량부 또는 1 내지 50 중량부로 포함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균주를 투여할 경우에는 생균 상태로 투여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섭취 전에 사멸시키거나, 감쇄(attenuation)상태로 투여할 수 있다. 또한 배양물을 사용하여 제조할 경우에는 열처리 과정을 통한 멸균화 과정을 추가적으로 거칠 수 있다. 최소의 효능을 가지는데 필요한 균주량 및 일일 섭취 정도는 섭취자의 신체 또는 건강상태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나 일반적으로 106 내지 1012 cfu/day일 수 있고, 또는 107 내지 1010 cfu/day일 수 있다. 배양 상등액은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기술을 사용하여 항균 효능의 정도를 판단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투여량이 결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 다른 관점에서,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SY99 (KCTC 11766BP), 그 배양물 또는 상기 균주가 생산하는 박테리오신을 포함하는 병원성균에 대한 항균활성을 갖는 사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상기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SY99, 그 배양물 또는 상기 균주가 생산하는 박테리오신을 포함하는 사료 조성물은 병원성균에 대해 항균 및 생장 저해 활성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데, 구체적인 특성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다.
상기 사료 조성물은 균체가 제거된 배양물 만을 포함할 수도 있으며, 균체가 혼합되거나 균체만을 함유하도록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사료 조성물은 기존의 항생제를 대체하고 유해한 병원성균의 생장을 억제하여 동물체의 건강상태를 양호하게 하고, 가축의 증체량과 육질을 개선시키며, 산유량 및 면역력을 증가시키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사료 조성물은 발효사료, 배합사료, 펠렛 형태 및 사일레지 등의 형태로 제조될 수 있다.
상기 사료에 첨가되는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SY99의 유효량은 약 105 cfu/g 내지 약 1011 cfu/g일 수 있으며, 약 106 cfu/g 내지 약 1010 cfu/g, 또는 약 107 cfu/g 내지 약 109 cfu/g일 수 있다. 상기 사료에 포함되는 박테리오신의 양은 사료 조성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0.01 내지 99.9 중량부, 0.01 내지 90 중량부, 0.01 내지 80 중량부, 0.01 내지 70 중량부, 0.01 내지 60 중량부, 0.01 내지 50 중량부, 0.1 내지 50 중량부 또는 1 내지 50 중량부로 포함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발효사료는 여러 가지 미생물군 또는 효소들을 첨가함으로서 유기물을 발효시켜 제조할 수 있으며, 배합사료는 여러 종류의 일반사료와 본 발명의 미생물을 혼합하여 제조할 수 있다. 펠렛 형태의 사료는 상기 배합사료 등을 펠렛기에서 열과 압력을 가하여 제조할 수 있으며, 사일레지는 청예사료를 본 발명에 따른 미생물로 발효시킴으로써 제조할 수 있다. 습식발효사료는 음식물 쓰레기 등과 같은 유기물을 수집 및 운반하여 살균과정과 수분조절을 위한 부형제를 일정비율로 혼합한 후, 발효에 적당한 온도에서 24시간 이상 발효하여, 수분함량이 약 70% 포함되도록 조절하여 제조할 수 있다. 발효건조사료는 습식발효사료를 건조과정을 추가로 거쳐 수분함량이 30% 내지 40% 정도 함유되도록 조절하여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 다른 관점에서,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SY99 (KCTC 11766BP), 그 배양물 또는 상기 균주가 생산하는 박테리오신을 포함하는 살모넬라 엔테리카(Salmonella enteric), 스타필로콕쿠스 아우레우스(Staphylococcus aureus), 스타필로콕쿠스 에피데미디스(Staphylococcus epidermidis), 시겔라 플레크스네리(Shigella flexneri), 시겔라 손네이(Shigella sonnei), 바실러스 세레우스(Bacillus cereus) 및 에스케리키아 콜리(Escherichia coli)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병원성균에 의한 감염증의 치료 또는 예방용 약학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SY99 (KCTC 11766BP), 그 배양물 또는 상기 균주가 생산하는 박테리오신은 하기 실시예를 통하여 알 수 있듯이, 살모넬라 엔테리카(Salmonella enteric), 스타필로콕쿠스 아우레우스(Staphylococcus aureus), 스타필로콕쿠스 에피데미디스(Staphylococcus epidermidis), 시겔라 플레크스네리(Shigella flexneri), 시겔라 손네이(Shigella sonnei), 바실러스 세레우스(Bacillus cereus) 및 에스케리키아 콜리(Escherichia coli)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병원성균에 대한 항균 및 생장 억제 효과를 갖는다. 따라서 본 발명은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SY99 (KCTC 11766BP), 그 배양물 또는 상기 균주가 생산하는 박테리오신의 병원성균에 의한 감염증의 치료 또는 예방 용도 및 치료상 유효량의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SY99 (KCTC 11766BP), 그 배양물 또는 상기 균주가 생산하는 박테리오신을 대상체에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병원성균에 의한 감염증의 치료 또는 예방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병원성균에 의한 감염증은 상기 병원성균의 감염으로 인한 모든 질병을 포함하며, 예를 들면 식중독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약학적 조성물은 다양한 제형과 방법으로 제조 및 투여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약학적 조성물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통상의 방법에 따라 산제, 과립제, 정제, 캡슐제, 현탁액, 에멀젼, 시럽, 에어로졸 등의 경구형 제형, 파우더, 젤, 연고, 크림 등의 외용제 또는 멸균 주사용액의 형태로 제형화하여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약학적 조성물은, 예를 들어 약제의 제조에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적절한 항생제, 담체, 부형제 또는 희석제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담체, 부형제 또는 희석제로는 락토즈, 덱스트로즈, 수크로스, 솔비톨, 만니톨, 자일리톨, 에리스리톨, 말티톨, 전분, 아카시아 고무, 알지네이트, 젤라틴, 칼슘 포스페이트, 칼슘 실리케이트, 셀룰로즈, 메틸 셀룰로즈, 미정질 셀룰로스, 폴리비닐 피를리돈, 물, 메틸히드록시벤조에이트, 프로필히드록시벤조에이트, 로필히드록시벤조에티트, 탈크,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및 광물유를 사용할 수 있다. 제제화할 경우에는 보통 사용하는 충진제, 증량제, 결합제, 습윤제, 붕해제, 계면활성제 등의 희석제 또는 부형제를 사용하여 조제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약학 조성물을 약제로 사용할 때, 바람직한 투여량은 환자의 상태 및 체중, 질병의 정도, 약물형태, 투여경로 및 기간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며 당업자에 의해 적절하게 선택될 수 있다. 그러나 바람직한 효과를 위해서, 본 발명의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SY99 (KCTC 11766BP) 은 일반적으로 106 내지 1012 cfu/day, 또는 107 내지 1010 cfu/day로 투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박테리오신의 경우 1 내지 1000 mg/day, 1 내지 800 mg/day, 1 내지 600 mg/day 또는 1 내지 400 mg/day로 투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투여는 하루에 한번 투여할 수도 있고, 수회 나누어 투여할 수도 있다. 상기 투여량은 어떠한 면으로든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있어서, '대상체'는 인간을 포함하는 포유동물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경로로 투여될 수 있다. 투여의 모든 방식은 예상될 수 있는데, 예를 들면, 경구, 정맥, 근육 또는 피하 주사에 의해 투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항균 조성물, 식품 조성물, 사료 조성물 및 약학 조성물은 약제학적으로 필요한 구성물 또는 식품으로 적합한 구성물 외에도 인체에 이로운(probiotic) 균주를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에 의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들 실시예는 단지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국한되지 않는다는 것은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실시예 1: 젖갈로부터 박테리오신 생산 젖산균의 탐색 및 분리
단계 1: 젖산균의 분리 및 보존
각종 젓갈로부터 젖산균을 분리하기 위하여 각종 젓갈을 무균적으로 잘게 다진 다음, 이 중 1 g을 취하여 멸균 생리식염수(0.85% NaCl) 9 ㎖에 현탁하고 단계적으로 희석하여 MRS 고체배지에 각각 도말하였다. 30℃에서 48시간 배양한 다음 집락의 형태가 서로 다른 균주들을 선택하여 순수 분리하였다. 이어 상기 젖갈로부터 순수 분리한 젖산균을 MRS 고체배지에 도말하여 30℃에서 배양하였으며, 이때 형성된 집락을 20% 글리세롤 용액에 현탁시킨 후 -80℃ 냉동고에 보관하면서 하기 박테리오신 생산 젖산균의 탐색에 사용하였다.
단계 2: 박테리오신 생산 젖산균의 탐색 및 선발
식중독을 일으키는 병원성 균을 생물자원센터(KCTC)로부터 분양받아 사용하였다. 젖갈로부터 분리한 100여종의 젖산균의 배양 상등액의 항균 활성을 확인 하기 위하여 플레이트 위에 NB(nutrient broth) 연한천배지(0.8% agar, Bacillus cereus 1%(v/v)) 25ml를 굳히고 살균된 팁으로 배지 상에 웰을 만들었다. 준비해 놓은 배지의 웰에 상기 유산균의 배양 상등액을 100㎛씩 분주하여 지시균주(Bacillus cereus )의 최적 배양 온도에서 배양하여 NB 플레이트 상에 억제환 생성 여부를 관찰함으로써 항균활성을 갖는 균주를 선별하였고, 그 중 항균활성이 강한 균주 1 주를 선별하였다(도 1). 한편, 상기 억제환이 항균성 단백질 혹은 펩타이드인 박테리오신에 의한 것임을 확인하기 위하여 단백질분해효소인 프로테이나아제 K [proteinase K (20 ㎎/㎖)]를 처리하여 단백질성 또는 펩타이드성 여부를 확인하였다.
단계 3: 박테리오신의 생산 확인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SY99가 생산하는 항균활성을 나타내는 물질이 박테리오신인지 확인하기 위하여 상기 물질의 분자량을 tricine-sodium dodecyl sulfate polyacrylamide gel electrophoresis(SDS-PAGE) 방법을 통하여 확인하였다. 황산암모늄 침전법을 이용하여 배양 상등액을 부분 정제한 샘플을 사용하였다.
우선 멸균한 MRS 액체배지 1L에 액체 배양한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SY99 균주 10㎖를 접종하고 30℃에서 18시간 동안 배양한 후 배양액을 원심분리(12000rpm, 4℃, 15분)하여 상등액을 얻었다. 이어, 상기 배양액을 매우 천천히 교반하면서 항산암모늄 561g을 천천히 가하여 80%까지 포화시킨 후 3시간 동안 4℃에서 교반하였다. 그런 다음, 상기 용액을 원심분리 (6000rpm, 4℃, 20분)하여 단백질을 회수하고, DW에 용해 한 후 분자량 1000이상을 거르는 투석 튜브(spctra-por사)에 넣어 4℃에서 완충용액(0.1M Citrate buffer, pH 3.0) 5ℓ에서 3시간 투석 후 다시 완충용액 5ℓ에서 하룻밤 투석시켰다. 그리고 나서, 원심분리 (12000rpm, 4℃, 15분) 하여 전기영동 샘플로 사용하였다. 조제한 샘플용액 30 ㎕ tricine-SDS-PAGE 샘플 완충용액 30 ㎕을 vortex mix 및 spin down하여 준비하였다. 5% stacking gel과 16% separating gel을 조제한 후 전기영동 장치에 장착 후 전개 완충용액(running buffer)을 붓고, 겔의 웰에 폴리펩티드 SDS-PAGE 표준 마커와 준비된 시료 30 ㎕을 로딩한 뒤 40mA, 2시간 동안 전기영동을 수행하였다. Silver stain 방법을 통하여 겔을 염색하였다. 단백질 분자량 측정을 위한 표준물질로는 fermentas사의 SpectraTM Multicolor Low Range Protein Ladder SM1861을 사용하였다. 나머지 하나의 겔은 30분마다 교체하면서 2시간 30분 세척하였다. 세척한 겔을 gel overlay assay 방법을 이용하여 플레이트에 올려 UV로 10분간 건조시킨 후 감수성 균주(B. cereus KCTC 3624)가 접종된 0.8% NB 아가를 중층하여 30℃에서 24시간 동안 배양하여 항균 활성을 확인하였다.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부분 정제된 물질을 분자량 표준시료와 비교한 결과, 약 1.5 kDa의 분자량을 갖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 또한 전기영동한 겔을 증류수로 30분간 4회 세척 한 후 지시균주를 중층하여 박테리오신의 활성을 조사한 결과 위의 염색한 겔의 밴드와 일치하는 곳에 강한 억제환을 확인함으로써 상기 부분 정제된 물질이 박테리오신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시예 2: 젖갈로부터 분리한 박테리오신 생산 젖산균의 분류학적 성질 및 유전학적 동정
선별된 균주의 동정은 Bergey's Manual of Determinative bacteriology의 방법에 따라 형태학적, 생화학적 특성을 조사하였으며, 최적 생육온도, 그람염색, 운동성, catalase test, CO2 생성 유무 및 API 50 CHl Kit(Bio-Merieux, France)를 이용하여 당 이용성을 확인하였고, 유전학적 동정을 위해서 16S rRNA의 염기서열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도 3 내지 도 5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해 분리된 균주는 간균으로서 포자를 형성하지 않고 운동성이 없었으며, 그람양성균으로서 카탈라제 및 옥시다제를 생산하지 않았다. 결과적으로 선별된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SY99 균주는 락토바실러스 플라타룸과 99% 이상의 상동성을 가지는 것으로 확인 되었으며, 상기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SY99 균주는 한국생명공학연구원 생물자원센터에 2010.09.29자로 기탁하였다(기탁번호 KCTC 11766BP).
실시예 3: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SY99 의 병원성 균에 대한 항균활성
실시예 1의 방법과 동일하게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SY99 배양 상등액을 스타필로콕쿠스 아우레우스(Staphylococcus aureus, 한국생명공학연구원 생물자원센터, KCTC 1928)과 바실러스 세레우스(Bacillus cereus, 한국생명공학연구원 생물자원센터 KCTC 3624) 등 도 5에 개시된 병원성 균주가 접종된 고체배지에 분주하고, 각 지시균주의 최적 생육 온도에서 24시간 이상 배양하여 억제환의 생성 여부를 확인하였다. 박테리오신 역가는 배양 상등액을 순차적으로 2배씩 희석하여 억제환을 형성하는 최대 희석배수의 역수를 취하고, 이 값에 1㎖에 대해서 환산해주는 환산계수를 곱하여 bacteriocin activity unit (AU/㎖)으로 나타내었다.
그 결과 도 6에 나타난 바와 같이, 살모넬라 엔테리카(Salmonella enteric), 스타필로콕쿠스 아우레우스(Staphylococcus aureus), 스타필로콕쿠스 에피데미디스(Staphylococcus epidermidis), 시겔라 플레크스네리(Shigella flexneri), 시겔라 손네이(Shigella sonnei), 바실러스 세레우스(Bacillus cereus) 및 에스케리키아 콜리(Escherichia coli)에 대하여 성장저해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실시예 4: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SY99 가 생산하는 박테리오신의 특성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SY99가 생산하는 박테리오신의 특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pH, 열, 유기용매, 가수 분해효소 처리 조건 하에서 안정성을 확인하였다.
1. pH 안전성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SY99가 생산하는 박테리오신의 pH에 대한 안정성을 조사하기 위하여 pH 3.0 (0.1 M citrate buffer), pH 5.0 (0.1 M acetate buffer), pH 7.0 (0.1 M phosphate buffer), pH 9.0 (0.1 M borate buffer) 및 pH 11.0 (0.1 M carbonate buffer)의 완충용액과 확보된 박테리오신 용액을 1:1의 비율로 혼합하여 24시간 상온(25?)에서 반응시킨 후 병원성균인 바실러스 세레우스를 접종한 고체배지에 락토바실러스 플라타룸 SY99의 배양 상등액을 pH별로 처리한 샘플을 분주하여 상기 병원성 균에 대해 항균활성이 관찰되는지를 확인하였다. 대조군으로 pH 처리를 하지 않은 배양 상등액을 사용하였다. 항균활성의 역가는 activity unit(AU)/mL로 표기하였고 상등액을 순차적으로 2배씩 희석하여 억제환을 형성하는 최대 희석배수의 역수를 취하고, 이 값에 1ml에 대해서 환산해주는 환산계수를 곱하여 나타내었다.
그 결과 도 7에 나타난 바와 같이, 모든 샘플에서 항균활성이 관찰되었다. 상기 결과를 근거로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SY99가 생산하는 박테리오신은 넓은 범위의 pH에 걸쳐 높은 안정성을 나타내었다.
2. 열 안정성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SY99가 생산하는 박테리오신의 열에 대한 안정성의 조사는 박테리오신 용액을 20℃, 40℃, 60℃, 80℃, 100℃ 및 121℃에서 각각 30분 또는 60분간 열처리 한 후 병원성균인 바실러스 세레우스를 접종한 고체배지에 락토바실러스 플라타룸 SY99의 배양 상등액을 온도별로 열처리한 샘플을 분주하여 상기 병원성 균에 대해 항균활성이 관찰되는지를 확인함으로써 수행하였다. 대조군으로 열처리를 하지 않은 배양 상등액을 사용하였다. 항균활성의 역가는 activity unit(AU)/mL로 표기하였고 상등액을 순차적으로 2배씩 희석하여 억제환을 형성하는 최대 희석배수의 역수를 취하고, 이 값에 1ml에 대해서 환산해주는 환산계수를 곱하여 나타내었다.
그 결과 도 7에 나타난 바와 같이 모든 샘플에서 항균활성이 관찰되었다. 상기 결과를 근거로 락토바실러스 플란타품 SY99가 생산하는 박테리오신은 121℃에서도 항균활성이 일정하게 나타나는 바, 열 안정성이 높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3. 유기용매 안정성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SY99가 생산하는 박테리오신의 유기용매에 대한 내성 실험은 chloroform, isopropanol, hexane, ethanol, acetone 및 acetonitrile 등을 제조된 박테리오신 용액과 같은 부피 비율로 혼합(1:1)하여 상온(25℃)에서 1시간 배양한 후, 병원성균인 바실러스 세레우스를 접종한 고체배지에 락토바실러스 플라타룸 SY99의 배양 상등액을 유기용매별로 처리한 샘플을 분주하여 상기 병원성균에 대해 항균활성이 관찰되는지를 확인함으로써 수행하였다, 대조군으로 유기용매 처리를 하지 않은 배양 상등액을 사용하였다. 항균활성의 역가는 activity unit(AU)/mL로 표기하였고 상등액을 순차적으로 2배씩 희석하여 억제환을 형성하는 최대 희석배수의 역수를 취하고, 이 값에 1ml에 대해서 환산해주는 환산계수를 곱하여 나타내었다.
그 결과 도 7에 나타난 바와 같이 모든 샘플에서 항균활성이 관찰되었다. 상기 결과를 근거로 락토바실러스 플란타품 SY99가 생산하는 박테리오신은 각종 유기용매에 대해서 항균활성이 나타내어 유기용매에도 안정함을 알 수 있었다.
4. 가수분해효소 안정성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SY99가 생산하는 박테리오신의 각종 가수분해효소에 대한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단백질, 탄수화물 등의 가수분해효소를 Sigma-Aldrich (St. Louis, MO, USA)에서 구입하여 제조사의 지침에 따라 사용하였다. Trypsin (13,500 U/㎎), protease (1.0 U/㎎)는 50 mM tris-HCl 완충액 (pH 7.5), α-chymotrypsin (83.9 U/㎎)은 50 mM tris-HCl 완충액 (pH 8.0), pepsin (800~2500 U/㎎)은 10 mM citrate 완충액 (pH 6.0), α-amylase (519 U/㎎)는 0.1 M sodium phosphate 완충액 (pH 7.0), subtilisin A (12 U/㎎)와 proteinase K (30 U/㎎) 는 0.01 M tris-HCl 완충액 (pH 7.9), 0.005M EDTA 및 0.5% SDS 완충액으로 20 ㎎/㎖이 되도록 준비하였다. 배양 상등액에 준비된 각종 효소를 2 ㎎/㎖의 농도로 첨가하고 37℃에서 3시간 동안 반응시켰다. proteinase K는 45℃에서 12시간 반응시켰다. 남아있는 박테리오신 활성은 바실러스 세레우스 KCTC 3624에 대한 억제환의 생성 유무로 확인하였다. 또한 동일한 조건에서 효소액만을 처리하지 않은 것을 음성 대조구로 사용하였다.
그 결과 도 7에 나타난 바와 같이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SY99가 생산하는 박테리오신은 proteinase K에 의해서만 항균활성이 완전히 소실되었으며 trypsin, chymotrypsin, pepsin, subtilisin A 및 protease에 의해서는 항균활성이 소실되지 않음으로써 기존에 알려진 단백질성 박테리오신과는 차이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상의 본 발명 내용의 특정한 부분을 상세히 기술하였는바,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이러한 구체적 기술은 단지 바람직한 실시 양태일 뿐이며, 이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되는 것이 아닌 점은 명백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질적인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들과 그것들의 등가물에 의하여 정의된다고 할 것이다.
한국생명공학연구원 KCTC11766BP 20100929

Claims (7)

  1. 살모넬라 엔테리카(Salmonella enteric), 스타필로콕쿠스 아우레우스(Staphylococcus aureus), 스타필로콕쿠스 에피데미디스(Staphylococcus epidermidis), 시겔라 플레크스네리(Shigella flexneri), 시겔라 손네이(Shigella sonnei), 바실러스 세레우스(Bacillus cereus) 및 에스케리키아 콜리(Escherichia coli)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병원성균에 대해 항균활성을 가지는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SY99 (KCTC 11766BP).
  2. 삭제
  3. 삭제
  4. 살모넬라 엔테리카(Salmonella enteric), 스타필로콕쿠스 아우레우스(Staphylococcus aureus), 스타필로콕쿠스 에피데미디스(Staphylococcus epidermidis), 시겔라 플레크스네리(Shigella flexneri), 시겔라 손네이(Shigella sonnei), 바실러스 세레우스(Bacillus cereus) 및 에스케리키아 콜리(Escherichia coli)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균에 항균 활성을 가지는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SY99 (KCTC 11766BP), 또는 그의 배양물을 포함하는 항균 조성물.
  5.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SY99 (KCTC 11766BP)), 또는 그의 배양물을 포함하는 사료 조성물.
  6.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SY99 (KCTC 11766BP)), 또는 그의 배양물을 포함하는 식품 조성물.
  7. 삭제
KR1020100131687A 2010-12-21 2010-12-21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Lactobacillus plantarum) SY99 및 이의 용도 KR10137220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31687A KR101372200B1 (ko) 2010-12-21 2010-12-21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Lactobacillus plantarum) SY99 및 이의 용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31687A KR101372200B1 (ko) 2010-12-21 2010-12-21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Lactobacillus plantarum) SY99 및 이의 용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89530A KR20120089530A (ko) 2012-08-13
KR101372200B1 true KR101372200B1 (ko) 2014-03-14

Family

ID=468742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31687A KR101372200B1 (ko) 2010-12-21 2010-12-21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Lactobacillus plantarum) SY99 및 이의 용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7220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33909B1 (ko) 2015-10-19 2016-06-28 (주)마이크로자임 양식어 유해세균 항균 활성을 갖는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mz-1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058577B2 (en) * 2014-10-01 2018-08-28 Triphase Pharmaceuticals Pvt. Ltd. Thermo-stable strains, products and methods thereof
WO2016064000A1 (ko) * 2014-10-22 2016-04-28 주식회사 프로바이오닉 항바이러스 및 항병원성세균 활성을 가진 락토바실러스 프란타륨 Probio 090 및 이의 생산물
JP6270976B2 (ja) * 2015-12-15 2018-01-31 ロッテ コンフェクショナリー カンパニー リミテッド 低温抵抗性に優れたラクトバシラスプランタラムlrcc5309及びこれを用いたアイスクリームの製造方法
BE1023643B1 (nl) * 2016-03-21 2017-06-01 Yun NV Vaginale preparaten voor het onderhouden en / of herstellen van een gezonde vrouwelijke microbiota
CN105779350B (zh) * 2016-04-11 2019-10-15 北京科拓恒通生物技术股份有限公司 一种抗肠炎沙门氏菌感染的植物乳杆菌及其用途
BE1024425B9 (nl) * 2016-06-21 2018-03-26 Yun NV Dermatologische preparaten voor het onderhouden en/of herstellen van een gezonde huidmicrobiota
KR102052056B1 (ko) * 2017-12-13 2019-12-04 대한민국(환경부 국립생물자원관장) 항균 활성을 나타내는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균주 및 이의 용도
KR102310336B1 (ko) * 2020-12-04 2021-10-07 주식회사 큐옴바이오 복합 소화 효소 생산능 및 항균 활성을 갖는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럼 q1 균주 및 이의 용도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47065A (ko) * 1998-12-31 2000-07-25 박호군 신규 락토바실러스 속 (lactobacillus sp.)mt-1077 및 그로부터 생산되는 신규 박테리오신
KR20050030504A (ko) * 2003-09-26 2005-03-30 삼성에버랜드 주식회사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j9 및 이의 용도
KR20090105171A (ko) * 2008-04-01 2009-10-07 (주)오비티 항균물질을 생산하는 유산균 및 이를 함유하는 생균제조성물
KR20100099536A (ko) * 2009-03-03 2010-09-13 대상에프앤에프 주식회사 신선유지를 위한 식물성 유산균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륨 dsr ck10, dsr m2 및 이의 용도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47065A (ko) * 1998-12-31 2000-07-25 박호군 신규 락토바실러스 속 (lactobacillus sp.)mt-1077 및 그로부터 생산되는 신규 박테리오신
KR20050030504A (ko) * 2003-09-26 2005-03-30 삼성에버랜드 주식회사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j9 및 이의 용도
KR20090105171A (ko) * 2008-04-01 2009-10-07 (주)오비티 항균물질을 생산하는 유산균 및 이를 함유하는 생균제조성물
KR20100099536A (ko) * 2009-03-03 2010-09-13 대상에프앤에프 주식회사 신선유지를 위한 식물성 유산균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륨 dsr ck10, dsr m2 및 이의 용도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33909B1 (ko) 2015-10-19 2016-06-28 (주)마이크로자임 양식어 유해세균 항균 활성을 갖는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mz-1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89530A (ko) 2012-08-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72200B1 (ko)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Lactobacillus plantarum) SY99 및 이의 용도
KR100878799B1 (ko) 항생제 내성 병원성 미생물 또는 장내 유해 미생물의생장을 억제하는 바실러스 아밀로리퀴페시언스 k317
Todorov et al. Bacteriocin production and resistance to drugs are advantageous features for Lactobacillus acidophilus La-14, a potential probiotic strain
KR102052056B1 (ko) 항균 활성을 나타내는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균주 및 이의 용도
Darsanaki et al. Antimicrobial activities of Lactobacillus strains isolated from fresh vegetables
KR102032703B1 (ko)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mifi-sy3 균주를 이용한 아로니아 발효액의 제조방법
KR102052047B1 (ko) 항균 활성을 나타내는 페디오코커스 펜토사세우스 균주 및 이의 용도
KR101047948B1 (ko) 박테리오신을 생산하는 유산균 및 이를 함유하는 생균제 조성물
KR20120118570A (ko) 락토코커스 락티스 (Lactococcus lactis) ET45 및 이의 용도
KR101068531B1 (ko) 박테리오신을 생산하는 유산균주 및 이를 함유하는 가축용 복합 생균제 조성물
KR102044365B1 (ko) 장 부착능이 우수하고, 항균 물질을 합성하는 유전자를 보유하며, 프로바이오틱스 특성을 가지는 바실러스 서틸리스 scdb 291 균주 및 이의 용도
KR102178350B1 (ko) 항균 활성을 갖는 바실러스 사펜시스 균주 및 이의 항균 용도
KR102207512B1 (ko) 항균 활성을 갖는 락토바실러스 젠세니 swpm104
KR102159379B1 (ko) 장 부착능 및 세포외 효소 분비능이 우수하고, 프로바이오틱스 특성을 가지는 바실러스 서틸리스 srcm101371 균주 및 이의 용도
KR101215422B1 (ko) 신균주 페디오코쿠스 에시딜락티시 wrl-1 및 이의 용도
Negm Classification, antimicrobial potential, industrial applications and probiotic capability of lactic acid bacteria: A review article
KR101024950B1 (ko) 메주로부터 분리된 바실러스 폴리퍼멘티쿠스 및 이를 포함하는 항진균 조성물
Wadoum et al. In vitro antimicrobial characterization of Lactobacillus Isolates towards their use as probiotic alternatives to antibiotic growth promoters
KR20030064462A (ko) 유해세균의 성장을 억제하는 신규 미생물 및 이를유효성분으로 하는 미생물 첨가제
KR101086239B1 (ko) 박테리오신을 생산하는 유산균 및 이를 함유하는 육계용생균제 조성물
KR102272419B1 (ko) 페디오코커스 펜토사세우스 kcc-45 및 이를 포함하는 조성물
KR101164512B1 (ko) 비피도박테리움 슈도카테눌라튬 spm1204 유산균 또는 이의 배양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가축용 생균제 조성물
Murat Food stabilizing potential of nisin Z produced by wild Lactococcus lactis subsp. lactis from raw milk and some fermented products
Hasan et al. Isolation, identification and evaluation of lactic acid bacteria as antibacterial activity
KR102457367B1 (ko) 제주산 방울 양배추 절임식품에서 유래한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WiKim0126 균주 및 이를 이용한 조성물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0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1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04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