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70549B1 - 모노레일 자전거 - Google Patents

모노레일 자전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70549B1
KR101370549B1 KR1020110089402A KR20110089402A KR101370549B1 KR 101370549 B1 KR101370549 B1 KR 101370549B1 KR 1020110089402 A KR1020110089402 A KR 1020110089402A KR 20110089402 A KR20110089402 A KR 20110089402A KR 101370549 B1 KR101370549 B1 KR 10137054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bicycle
pedal
monorail
shaf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894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26048A (ko
Inventor
장병철
Original Assignee
장병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병철 filed Critical 장병철
Priority to KR10201100894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70549B1/ko
Publication of KR201300260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2604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705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7054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BRAILWAY SYSTEMS; EQUIPMENT THEREFO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1B13/00Other railway systems
    • B61B13/04Monorail syste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5/00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 F16B5/02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by means of fastening members using screw-thread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70Wind energy
    • Y02E10/74Wind turbines with rotation axis perpendicular to the wind direc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30/00Transportation of goods or passengers via railways, e.g. energy recovery or reducing air resistan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Wind Mo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모노레일 자전거에 관한 것으로서, 프레임에 풍력발전부를 구비시켜 주간 및 특히, 야간에 방치된 상태로 남겨지는 상기 프레임에 구비되는 축전지에 전원을 축전시킬 수 있음은 물론 제어부가 페달답력센서의 감지신호에 따라 허브모터를 제어하기 때문에 상기 프레임이 레일을 따라 보다 용이하게 자동으로 주행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모노레일 자전거{MONO RAIL BICYCLE}
본 발명은 프레임에 풍력발전부를 구비시켜 주간 및 특히, 야간에 방치된 상태로 남겨지는 상기 프레임에 구비되는 축전지에 전원을 축전시킬 수 있음은 물론 제어부가 페달답력센서의 감지신호에 따라 허브모터를 제어하기 때문에 상기 프레임이 레일을 따라 보다 용이하게 자동으로 주행할 수 있게 되는 모노레일 자전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전거는 사람이 타고 양발로 페달을 밟아 바퀴를 돌려서 앞으로 나아가게 장치한 수레를 의미한다.
한편, 놀이동산 등에서는 모노레일을 따라 이동하는 모노레일 자전거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모노레일 자전거는 사용하지 않는 특히, 야간에 방치된 상태로 남겨지게 된다.
본 발명자는 상기 모노레일 자전거의 프레임에 풍력발전부를 구비시켜 주간 및 특히, 야간에 방치된 상태로 남겨지는 상기 모노레일 자전거의 축전지에 전원을 축전시킬 수 있음은 물론 제어부가 페달답력센서의 감지신호에 따라 상기 모노레일 자전거의 허브모터를 제어하기 때문에 상기 모노레일 자전거의 프레임이 모노레일을 따라 보다 용이하게 자동으로 주행할 수 있게 되는 모노레일 자전거를 제안하고자 한다.
공개특허공보 제10-2007-0083330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특개평10-016872호 중국 공개실용신안공보 CN201932296
본 발명은 프레임에 풍력발전부를 구비시켜 주간 및 특히, 야간에 방치된 상태로 남겨지는 상기 프레임에 구비되는 축전지에 전원을 축전시킬 수 있음은 물론 제어부가 페달답력센서의 감지신호에 따라 허브모터를 제어하기 때문에 상기 프레임이 레일을 따라 보다 용이하게 자동으로 주행할 수 있게 되는 모노레일 자전거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탑승자가 앉는 좌석이 구비되고, 레일을 따라 주행하는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의 전후측에 각각 구비되는 전륜 및 후륜과; 탑승자의 답력에 의하여 구동하는 페달과; 상기 페달의 답력을 감지하는 페달답력센서와; 상기 전륜 또는 후륜을 회전시키는 허브모터와; 상기 프레임에 구비되어 상기 허브모터로 전원을 공급하는 축전지와; 상기 프레임에 구비되어 상기 축전지에 축전될 전원을 발생시키는 풍력발전부와; 상기 페달답력센서의 감지신호에 따라 상기 허브모터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노레일 자전거를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풍력발전부는 상기 프레임의 좌석의 후측에 구비되는 발전기와; 상기 발전기의 축과 축결합되는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을 풍력에 의해 회전시키는 회전블레이드와; 상기 회전블레이드와 상기 회전축을 연결시키는 연결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는, 상기 풍력발전부는 상기 프레임의 좌석의 후측에 구비되는 발전기와; 상기 발전기의 축과 축결합되는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을 풍력에 의해 회전시키는 회전블레이드와; 상기 회전축을 따라 상하이동되도록 상기 회전축에 구비되는 슬리브와; 상기 회전축과 상기 회전블레이드 및 상기 슬리브와 상기 회전축을 연결하는 연결링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슬리브의 하강을 제한하는 스토퍼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상기 스토퍼는 상기 회전축을 따라 승강하는 고정링과; 상기 고정링을 상기 회전축에 위치고정시키는 위치고정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는, 상기 회전축의 하부 외주면에 숫나사선이 형성되고, 상기 스토퍼는 링형상으로 이루어지고, 내주면에 상기 회전축의 숫나사선과 나사결합되는 암나사선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는, 상기 스토퍼는 고무재질의 링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나아가, 상기 회전축에 상기 슬리브를 상하이동시키는 상하이동부재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불어, 상기 프레임의 좌석의 후측에 상기 풍력발전부가 내부에 수용되는 수용몸체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수용몸체의 내부에 상기 풍력발전부를 상하이동시키는 상하이동부재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수용몸체의 후측면 하측에 관통구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프레임에 풍력발전부를 구비시켜 주간 및 특히, 야간에 방치된 상태로 남겨지는 상기 프레임에 구비되는 축전지에 전원을 축전시킬 수 있음은 물론 제어부가 페달답력센서의 감지신호에 따라 허브모터를 제어하기 때문에 상기 프레임이 레일을 따라 보다 용이하게 자동으로 주행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인 모노레일 자전거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측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정면도이고,
도 3은 제어부의 제어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블록도이고,
도 4는 풍력발전부의 다른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일부확대측면도이고,
도 5 내지 도 7은 도 4의 스토퍼를 개략적으로 각각 나타내는 일부확대단면도이고,
도 8 및 도 9는 슬리브를 상하이동시키는 상하이동부재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일부확대측면도이고,
도 10은 풍력발전부가 수용몸체의 내부에 수용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일부확대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물론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하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기술분야의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자에 의하여 다양하게 변형 실시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인 모노레일 자전거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측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정면도이고, 도 3은 제어부(90)의 제어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본 발명인 모노레일 자전거는 도 1 내지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크게, 프레임(10), 전륜(20) 및 후륜(30), 페달(40), 페달답력센서(50), 허브모터(60), 축전지(70), 풍력발전부(80) 및 제어부(9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프레임(10)에는 탑승자가 앉는 좌석(110)이 구비된다.
상기 프레임(10)은 레일(120)을 따라 주행하게 된다.
상기 전륜(20) 및 후륜(30)은 상기 프레임(10)의 전후측에 각각 축결합된 상태로 구비된다.
상기 페달(40)은 탑승자의 답력에 의하여 정역회전 구동하게 된다.
상기 프레임(10), 전륜(20) 및 후륜(30), 페달(40)은 공지된 기술임과 동시에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라면 자명하게 이해하여 실시할 수 있는 사항에 해당됨으로 이하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상기 페달답력센서(50)는 상기 페달(40)에 구비되어 상기 페달(40)의 답력을 감지하게 된다.
상기 허브모터(60)는 상기 전륜(20)의 축(210) 또는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후륜(30)의 축(310)에 축결합되어 상기 전륜(20) 또는 상기 후륜(30)을 정역회전시키게 된다.
상기 축전지(70)는 상기 프레임(10)의 좌석(110)의 후측면 중간부에 일체형으로 수평형성되는 판부(130)의 상부면에 볼트고정된 상태로 안착고정될 수 있다.
상기 풍력발전부(80)는 상기 프레임(10)의 좌석(110)의 후측면 중간부에 일체형으로 수평형성되는 상기 판부(130)의 상부면에 상기 축전지(70)와 일정간격을 유지한 상태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풍력발전부(80)는 주간 및 야간에 부는 바람을 통해 상기 축전지(70)에 축전될 전원을 발생시키게 된다.
상기 제어부(90)는 가령, 상기 프레임(10)의 좌석(110)의 후측면 중간부에 일체형으로 수평형성되는 상기 판부(130)의 상부면에 구비될 수 있겠으나, 그 구비위치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보다 다양한 위치에 구비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제어부(90)는 상기 페달답력센서(50)의 감지신호에 따라 상기 허브모터(60)를 제어하게 된다.
상기 좌석(110)에 앉은 탑승자가 상기 페달(40)에 답력을 가할 시, 상기 페달답력센서(50)는 이를 감지하여 상기 제어부(90)로 그 신호를 출력하게 된다.
이때, 상기 제어부(90)는 상기 축전지(70)에 축전된 전원을 상기 허브모터(60)로 공급하게 되고, 상기 허브모터(60)는 상기 전륜(20) 또는 상기 후륜(30)을 정역회전시키게 된다.
상기 좌석(110)에 앉은 탑승자가 상기 페달(40)에 답력을 가하지 않아 상기 페달답력센서(50)가 상기 페달(40)의 답력을 감지하지 못한 경우, 상기 제어부(90)는 상기 축전지(70)에서 상기 허브모터(60)로의 전원공급을 차단하게 되고, 이로 인해 상기 허브모터(60)는 작동중지되어 상기 전륜(20) 또는 상기 후륜(30)을 정역회전시킬 수 없게 된다.
다음으로, 상기 풍력발전부(80)는 일예로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크게, 발전기(810), 회전축(820), 회전블레이드(830) 및 연결부재(870)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발전기(810)는 상기 프레임(10)의 좌석(110)의 후측면 중간부에 일체형으로 수평형성된 상기 판부(130)의 상부면에 볼트고정된 상태로 수직으로 안착고정될 수 있다.
상기 회전축(820)의 하단부는 상기 발전기(810)의 축(811)의 상단부와 축결합될 수 있다.
상기 회전블레이드(830)는 상기 회전축(820)과 일정간격을 유지한 상태로 상기 회전축(820)의 외측에 수직구비될 수 있다.
상기 회전블레이드(830)는 전측회전블레이드(831)와 후측회전블레이드(832)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전측회전블레이드(831)는 상기 회전축(820)과 일정간격을 유지한 상태로 상기 회전축(820)의 전방에 수직구비될 수 있다.
상기 후측회전블레이드(832)는 상기 회전축(820)과 일정간격을 유지한 상태로 상기 회전축(820)의 후방에 수직구비될 수 있다.
상기 연결부재(870)는 상기 회전블레이드(830)와 상기 회전축(820)을 연결시킬 수 있다.
상기 연결부재(870)는 상부연결부재(871)와 하부연결부재(872)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상부연결부재(871)는 상부전측연결부재(871a)와 상부후측연결부재(871b)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상부전측연결부재(871a)는 상기 전측회전블레이드(831)의 상측 내주면과 상기 회전축(820)의 상부 전측 외주면 사이에 수평구비될 수 있다.
상기 상부전측연결부재(871a)의 전측은 상기 전측회전블레이드(831)의 상측 내주면에 용접 등 다양한 방식에 의해 일체연결될 수 있다.
상기 상부전측연결부재(871a)의 후측은 상기 회전축(820)의 상부 전측 외주면에 용접 등 다양한 방식에 의해 일체연결될 수 있다.
상기 상부후측연결부재(871b)는 상기 회전축(820)의 상부 후측 외주면과 상기 후측회전블레이드(832)의 상측 내주면 사이에 수평구비될 수 있다.
상기 상부후측연결부재(871b)의 전측은 상기 회전축(820)의 상부 후측 외주면에 용접 등 다양한 방식에 의해 일체연결될 수 있다.
상기 상부후측연결부재(871b)의 후측은 상기 후측회전블레이드(832)의 상측 내주면에 용접 등 다양한 방식에 의해 일체연결될 수 있다.
상기 하부연결부재(872)는 하부전측연결부재(872a)와 하부후측연결부재(872b)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하부전측연결부재(872a)는 상기 전측회전블레이드(831)의 하측 내주면과 상기 회전축(820)의 하부 전측 외주면 사이에 수평구비될 수 있다.
상기 하부전측연결부재(872a)의 전측은 상기 전측회전블레이드(831)의 하측 내주면에 용접 등 다양한 방식에 의해 일체연결될 수 있다.
상기 하부전측연결부재(872a)의 후측은 상기 회전축(820)의 하부 전측 외주면에 용접 등 다양한 방식에 의해 일체연결될 수 있다.
상기 하부후측연결부재(872b)는 상기 회전축(820)의 하부 후측 외주면과 상기 후측회전블레이드(832)의 하측 내주면 사이에 수평구비될 수 있다.
상기 하부후측연결부재(872b)의 전측은 상기 회전축(820)의 하부 후측 외주면에 용접 등 다양한 방식에 의해 일체연결될 수 있다.
상기 하부후측연결부재(872b)의 후측은 상기 후측회전블레이드(832)의 하측 내주면에 용접 등 다양한 방식에 의해 일체연결될 수 있다.
주간 및 야간에 부는 바람을 통해 상기 회전블레이드(830)는 정역회전하게 되고, 이때 상기 회전축(820)과 상기 발전기(810)의 축(811)은 상기 회전블레이드(830)를 따라 정역회전하게 되며, 이로 인해 상기 발전기(810)가 상기 축전지(70)에 축전될 전원을 발생시킬 수 있게 된다.
도 4는 풍력발전부(80)의 다른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일부확대측면도이다.
다음으로, 상기 풍력발전부(80)는 다른예로서,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크게, 상기 발전기(810), 상기 회전축(820), 상기 회전블레이드(830), 슬리브(840) 및 연결링크(850)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슬리브(840)는 상기 회전축(820)을 내부에 수용한 상태로 상기 회전축(820)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슬리브(840)는 본 모노레일 자전거의 관리자 등에 의해 상기 회전축(820)을 따라 수동으로 상하이동될 수 있다.
상기 연결링크(850)는 상기 회전축(820)과 상기 회전블레이드(830)를 연결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결링크(850)는 상기 슬리브(840)와 상기 회전축(820)을 연결할 수 있다.
상기 연결링크(850)는 상부연결링크(851)와 하부연결링크(852)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상부연결링크(851)는 상부전측연결링크(851a)와 상부후측연결링크(851b)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상부전측연결링크(851a)는 상기 전측회전블레이드(831)의 상측 내주면과 상기 회전축(820)의 상부 전측 외주면 사이에 수평구비될 수 있다.
상기 상부전측연결링크(851a)의 전측은 상기 전측회전블레이드(831)의 상측 내주면에 축결합된 상태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상부전측연결링크(851a)의 후측은 상기 회전축(820)의 상부 전측 외주면에 축결합된 상태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상부후측연결링크(851b)는 상기 회전축(820)의 상부 후측 외주면과 상기 후측회전블레이드(832)의 상측 내주면 사이에 수평구비될 수 있다.
상기 상부후측연결링크(851b)의 전측은 상기 회전축(820)의 상부 후측 외주면에 축결합된 상태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상부후측연결링크(851b)의 후측은 상기 후측회전블레이드(832)의 상측 내주면에 축결합된 상태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하부연결링크(852)는 하부전측연결링크(852a)와 하부후측연결링크(852b)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하부전측연결링크(852a)는 상기 전측회전블레이드(831)의 하측 내주면과 상기 슬리브(840)의 하부 전측 외주면 사이에 수평구비될 수 있다.
상기 하부전측연결링크(852a)의 전측은 상기 전측회전블레이드(831)의 하측 내주면에 축결합된 상태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하부전측연결링크(852a)의 후측은 상기 슬리브(840)의 전측 외주면에 축결합된 상태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하부후측연결링크(852b)는 상기 슬리브(840)의 후측 외주면과 상기 후측회전블레이드(832)의 하측 내주면 사이에 수평구비될 수 있다.
상기 하부후측연결링크(852b)의 전측은 상기 슬리브(840)의 후측 외주면에 축결합된 상태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하부후측연결링크(852b)의 후측은 상기 후측회전블레이드(832)의 하측 내주면에 축결합된 상태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전측회전블레이드(831)와 후측회전블레이드(832)를 상기 회전축(820)의 외주면 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해 상기 슬리브(840)를 하강시키게 되면,
상기 상부전측연결링크(851a)의 전측과 상기 상부후측연결링크(851b)의 후측은 상기 회전축(820)의 외주면 방향으로 각각 회전이동하여 접혀지게 되고,
상기 하부전측연결링크(852a)의 전측과 상기 하부후측연결링크(852b)의 후측 또한 상기 회전축(820)의 외주면 방향으로 각각 회전이동하여 접혀지게 된다.(도 8 참조.)
상기 전측회전블레이드(831)와 후측회전블레이드(832)를 상기 회전축(820)의 외측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해 상기 슬리브(840)를 상승시키게 되면,
상기 상부전측연결링크(851a)의 전측과 상기 상부후측연결링크(851b)의 후측은 상기 회전축(820)의 외측방향으로 각각 회전이동하여 수평상태로 펼쳐지게 되고,
상기 하부전측연결링크(852a)의 전측과 상기 하부후측연결링크(852b)의 후측 또한 상기 회전축(820)의 외측방향으로 각각 회전이동하여 수평상태로 펼쳐지게 된다.(도 9 참조.)
도 5 내지 도 7은 도 4의 스토퍼(100)를 개략적으로 각각 나타내는 일부확대단면도이다.
다음으로, 관리자 등에 의해 수동으로 상승된 상태인 상기 슬리브(840)가 하강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도 5 내지 도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슬리브(840)의 하강을 제한하는 스토퍼(100)가 구비될 수 있다.
일예로, 상기 스토퍼(100)는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크게, 링형상의 고정링(101)과 위치고정부재(102)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고정링(101)은 상기 회전축(820)을 내부에 수용한 상태로 관리자 등에 의해 상기 회전축(820)을 따라 승강할 수 있다.
상기 위치고정부재(102)는 관리자 등에 의해 상승된 상태인 상기 고정링(101)을 위치고정시킬 수 있다.
상기 위치고정부재(102)는 상기 고정링(101)의 전측에 수평으로 나사결합된 상태로 상기 회전축(820)의 전측 외주면에 밀착고정되는 고정볼트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다른예로,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회전축(820)의 하부 외주면에 숫나사선(821)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스토퍼(100)는 링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스토퍼(100)의 내주면에는 상기 회전축(820)의 숫나사선(821)과 나사결합되는 암나사선(103)이 형성될 수 있다.
관리자가 상기 스토퍼(100)를 정역회전시킴에 따라 상기 스토퍼(100)가 상기 회전축(820)을 따라 상하방향으로 이동하여 위치고정될 수 있다.
또다른예로, 도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스토퍼(100)는 상기 회전축(820)의 외주면에 밀착고정되는 고무재질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링형상의 오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관리자 등은 링형상의 오링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상기 스토퍼(100)를 인위적으로 승강시킬 수 있다.
도 8 및 도 9는 슬리브(840)를 상하이동시키는 상하이동부재(860)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일부확대측면도이다.
다음으로, 상기 슬리브(840)를 자동으로 상하이동시키기 위해 도 8 및 도 9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회전축(820)의 하측 외주면에는 상기 슬리브(840)를 상하이동시키기 위한 실린더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상하이동부재(860)가 볼트고정된 상태로 수직구비될 수 있다.
상기 회전축(820)의 원활한 정역회전을 위해 상기 상하이동부재(860)로서, 무게가 상대적으로 가벼운 플라스틱 재질 등으로 이루어지는 실린더 등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실린더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상기 상하이동부재(860)의 상단부는 상기 슬리브(840)의 하부면에 용접 등 다양한 방식으로 일체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90)의 제어에 의해 상기 상하이동부재(860)를 이루는 실린더의 로드의 길이가 늘어나게 되면 상기 슬리브(840)는 상승하게 된다.
상기 제어부(90)의 제어에 의해 상기 상하이동부재(860)를 이루는 실린더의 로드의 길이가 줄어들게 되면 상기 슬리브(840)는 하강하게 된다.
도 10은 풍력발전부(80)가 수용몸체(200)의 내부에 수용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일부확대단면도이다.
다음으로, 상기 회전블레이드(830)가 바람에 의해 정역회전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 도 10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프레임(10)의 좌석(110)의 후측면 중간부에 일체형으로 수평형성되는 판부(130)의 상부면에는 상기 풍력발전부(80)가 내부에 수용되는 수용몸체(200)가 구비될 수 있다.
도 10에서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내부에 상기 풍력발전부(80)가 수용된 상기 수용몸체(200)의 상측에는 별도의 덮개가 분리가능하게 수평으로 안착구비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수용몸체(200)의 내부에 수용된 상기 풍력발전부(80)의 회전블레이드(830)가 상기 수용몸체(200)의 외부로 노출되어 바람에 의해 정역회전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상기 수용몸체(200)의 내부에는 도 10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제어부(90)의 제어에 의해 상기 풍력발전부(80)를 상하이동시키는 실린더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상하이동부재(300)가 수직구비될 수 있다.
실린더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상기 상하이동부재(300)의 하측은 상기 수용몸체(200)의 내부 바닥면 중간부에 볼트고정될 수 있다.
상기 상하이동부재(300)를 이루는 실린더의 상단부에는 상하이동판(301)이 일체형으로 수평구비될 수 있다.
상기 상하이동판(301)의 상부면에는 상기 풍력발전부(80)의 발전기(810)가 볼트고정된 상태로 안착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90)의 제어에 의해 상기 상하이동부재(300)를 이루는 실린더의 로드의 길이가 늘어나게 되면 상기 풍력발전부(80)는 상승하게 된다.
상기 제어부(90)의 제어에 의해 상기 상하이동부재(300)를 이루는 실린더의 로드의 길이가 줄어들게 되면 상기 풍력발전부(80)는 하강하게 된다.
다음으로, 도 10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수용몸체(200)의 후측면 하측에는 관통구(201)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수용몸체(200)의 내부로 유입된 빗물 등을 포함한 이물질은 상기 관통구(201)를 통해 상기 수용몸체(200)의 외부로 배출될 수 있게 된다.
다음으로, 도 1 및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지붕부재(400)와 태양전지(50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지붕부재(400)는 지붕(410)과 지지대(420)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지붕(410)은 상기 좌석(110)의 상부방향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지붕(410)은 후측에서 전측방향으로 갈수록 상기 좌석(110)의 전방방향으로 상향경사질 수 있다.
상기 지지대(420)는 상기 좌석(110)의 후방방향에 위치하도록 상기 프레임(10)의 후측 상부면에 수직구비될 수 있다.
상기 지지대(420)의 상단부는 상기 지붕(410)의 하부 후측에 일체형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태양전지(500)는 상기 지붕부재(400)의 지붕(410)의 상부면에 안착고정될 수 있다.
상기 태양전지(500)는 태양광을 집광하여 상기 축전지(70)에 축전될 전원을 발생시킬 수 있다.
바람이 불지 않아 상기 풍력발전부(80)가 전원을 발생시키지 못하더라도 주간에 상기 태양전지(500)가 발생시킨 전원을 상기 축전지(70)에 축전시킬 수 있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상기 프레임(10)에 상기 풍력발전부(80)를 구비시켜 주간 및 특히, 야간에 방치된 상태로 남겨지는 상기 프레임(10)에 구비되는 상기 축전지(70)에 전원을 축전시킬 수 있음은 물론 상기 제어부(90)가 상기 페달답력센서(50)의 감지신호에 따라 상기 허브모터(60)를 제어하기 때문에 상기 프레임(10)이 레일(120)을 따라 보다 용이하게 자동으로 주행할 수 있게 되는 이점이 있게 된다.
10; 프레임, 20; 전륜,
30; 후륜, 40; 페달,
50; 페달답력센서, 60; 허브모터,
70; 축전지, 80; 풍력발전부,
90; 제어부.

Claims (12)

  1. 탑승자가 앉는 좌석(110)이 구비되고, 레일(120)을 따라 주행하는 프레임(10)과;
    상기 프레임(10)의 전후측에 각각 구비되는 전륜(20) 및 후륜(30)과;
    탑승자의 답력에 의하여 구동하는 페달(40)과;
    상기 페달(40)의 답력을 감지하는 페달답력센서(50)와;
    상기 전륜(20) 또는 후륜(30)을 회전시키는 허브모터(60)와;
    상기 프레임(10)에 구비되어 상기 허브모터(60)로 전원을 공급하는 축전지(70)와;
    상기 프레임(10)에 구비되어 상기 축전지(70)에 축전될 전원을 발생시키는 풍력발전부(80)와;
    상기 페달답력센서(50)의 감지신호에 따라 상기 허브모터(60)를 제어하는 제어부(9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풍력발전부(80)는 상기 프레임(10)의 좌석(110)의 후측에 구비되는 발전기(810)와;
    상기 발전기(810)의 축(811)과 축결합되는 회전축(820)과;
    상기 회전축(820)을 풍력에 의해 회전시키는 회전블레이드(830)와;
    상기 회전블레이드(830)와 상기 회전축(820)을 연결시키는 연결부재(87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노레일 자전거.
  2. 탑승자가 앉는 좌석(110)이 구비되고, 레일(120)을 따라 주행하는 프레임(10)과;
    상기 프레임(10)의 전후측에 각각 구비되는 전륜(20) 및 후륜(30)과;
    탑승자의 답력에 의하여 구동하는 페달(40)과;
    상기 페달(40)의 답력을 감지하는 페달답력센서(50)와;
    상기 전륜(20) 또는 후륜(30)을 회전시키는 허브모터(60)와;
    상기 프레임(10)에 구비되어 상기 허브모터(60)로 전원을 공급하는 축전지(70)와;
    상기 프레임(10)에 구비되어 상기 축전지(70)에 축전될 전원을 발생시키는 풍력발전부(80)와;
    상기 페달답력센서(50)의 감지신호에 따라 상기 허브모터(60)를 제어하는 제어부(9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풍력발전부(80)는 상기 프레임(10)의 좌석(110)의 후측에 구비되는 발전기(810)와;
    상기 발전기(810)의 축(811)과 축결합되는 회전축(820)과;
    상기 회전축(820)을 풍력에 의해 회전시키는 회전블레이드(830)와;
    상기 회전축(820)을 따라 상하이동되도록 상기 회전축(820)에 구비되는 슬리브(840)와;
    상기 회전축(820)과 상기 회전블레이드(830) 및 상기 슬리브(840)와 상기 회전축(820)를 연결하는 연결링크(85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노레일 자전거.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슬리브(840)의 하강을 제한하는 스토퍼(100)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노레일 자전거.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100)는 상기 회전축(820)을 따라 승강하는 고정링(101)과;
    상기 고정링(101)을 상기 회전축(820)에 위치고정시키는 위치고정부재(102);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노레일 자전거.
  5.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축(820)의 하부 외주면에 숫나사선(821)이 형성되고,
    상기 스토퍼(100)는 링형상으로 이루어지고, 내주면에 상기 회전축(820)의 숫나사선(821)과 나사결합되는 암나사선(103)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노레일 자전거.
  6.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100)는 고무재질의 링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노레일 자전거.
  7.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축(820)에 상기 슬리브(840)를 상하이동시키는 상하이동부재(860)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노레일 자전거.
  8.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10)의 좌석(110)의 후측에 상기 풍력발전부(80)가 내부에 수용되는 수용몸체(200)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노레일 자전거.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몸체(200)의 내부에 상기 풍력발전부(80)를 상하이동시키는 상하이동부재(300)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노레일 자전거.
  10.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몸체(200)의 후측면 하측에 관통구(201)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노레일 자전거.
  11.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10)에 지붕부재(400)가 구비되고,
    상기 지붕부재(400)의 상부면에 태양전지(500)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노레일 자전거.
  12. 삭제
KR1020110089402A 2011-09-05 2011-09-05 모노레일 자전거 KR10137054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89402A KR101370549B1 (ko) 2011-09-05 2011-09-05 모노레일 자전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89402A KR101370549B1 (ko) 2011-09-05 2011-09-05 모노레일 자전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26048A KR20130026048A (ko) 2013-03-13
KR101370549B1 true KR101370549B1 (ko) 2014-03-06

Family

ID=481774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89402A KR101370549B1 (ko) 2011-09-05 2011-09-05 모노레일 자전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7054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002822B (zh) * 2014-06-06 2016-05-04 王惠丽 一种双模滑板车及滑板车轨道交通系统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6872A (ja) * 1996-07-03 1998-01-20 Yamaha Motor Co Ltd 電動補助車両
JP2004169630A (ja) 2002-11-20 2004-06-17 Hikoshichi Takahashi 二輪車用風力発電装置、風力発電装置付き二輪車
KR20070083330A (ko) * 2006-02-21 2007-08-24 강기세 레일바이크 장치
CN201932296U (zh) * 2010-12-22 2011-08-17 上海市宝山区青少年科学技术指导站 一种太阳能和风能电动车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6872A (ja) * 1996-07-03 1998-01-20 Yamaha Motor Co Ltd 電動補助車両
JP2004169630A (ja) 2002-11-20 2004-06-17 Hikoshichi Takahashi 二輪車用風力発電装置、風力発電装置付き二輪車
KR20070083330A (ko) * 2006-02-21 2007-08-24 강기세 레일바이크 장치
CN201932296U (zh) * 2010-12-22 2011-08-17 上海市宝山区青少年科学技术指导站 一种太阳能和风能电动车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26048A (ko) 2013-03-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919483B2 (en) Ridden vehicle with integrated fuel tank
CN101074039A (zh) 左右两轮自动平衡电动车
CN205010404U (zh) 折叠式站坐两用电动滑板车
CN205186430U (zh) 一种折叠车架及折叠电动车
CN201147420Y (zh) 休闲代步座椅
CN105083436A (zh) 环保型电动代步车
KR101370549B1 (ko) 모노레일 자전거
WO2010094192A1 (zh) 加装半透明太阳能充电棚的微型省电电动三轮车
CN210494424U (zh) 轻便可折叠自动化助残车
CN105501365B (zh) 一种折叠车架及折叠电动车
CN204821880U (zh) 太阳能电动滑板车
CN102001409B (zh) 电动二轮车
CN203581345U (zh) 助力水上人力车
CN102126537B (zh) 手脚并用快速健身三轮小面包车
CN202020608U (zh) 一种会爬台阶的轮椅
CN107972764A (zh) 电动自行车停放系统
CN211969095U (zh) 铁路电务施工用轨道运输车
CN211460893U (zh) 全自动载人爬楼梯装置
CN203938297U (zh) 一种用于电力施工中的卷线架
CN207388973U (zh) 可拆卸式正反两用电动搬运车座椅
KR20100040064A (ko) 태양전지를 구비한 자전거
CN201261516Y (zh) 多功能助力自行车
CN220465689U (zh) 一种电动平衡车
CN201808649U (zh) 太阳能微型电动三轮车
CN203844938U (zh) 电动车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27

Year of fee payment: 4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27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