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40064A - 태양전지를 구비한 자전거 - Google Patents

태양전지를 구비한 자전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40064A
KR20100040064A KR1020080099115A KR20080099115A KR20100040064A KR 20100040064 A KR20100040064 A KR 20100040064A KR 1020080099115 A KR1020080099115 A KR 1020080099115A KR 20080099115 A KR20080099115 A KR 20080099115A KR 20100040064 A KR20100040064 A KR 2010004006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roller
solar cell
bicycle
storage battery
rear whe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991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10202B1 (ko
Inventor
송성근
Original Assignee
송성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송성근 filed Critical 송성근
Priority to KR10200800991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10202B1/ko
Publication of KR201000400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4006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102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1020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MRIDER PROPULSION OF WHEELED VEHICLES OR SLEDGES; POWERED PROPULSION OF SLEDGES OR SINGLE-TRACK CYCLES; TRANSMISSIONS SPECIALLY ADAPTED FOR SUCH VEHICLES
    • B62M6/00Rider propulsion of wheeled vehicles with additional source of power, e.g. combustion engine or electric motor
    • B62M6/80Accessories, e.g. power sources; Arrangements thereof
    • B62M6/85Solar cel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0/00Electric propulsion with power supplied within the vehicle
    • B60L50/50Electric propulsion with power supplied within the vehicle using propulsion power supplied by batteries or fuel cells
    • B60L50/60Electric propulsion with power supplied within the vehicle using propulsion power supplied by batteries or fuel cells using power supplied by batteries
    • B60L50/66Arrangements of batter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8/00Methods or circuit 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r fuel cell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 B60L58/10Methods or circuit 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r fuel cell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 B60L58/12Methods or circuit 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r fuel cell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responding to state of charge [SoC]
    • B60L58/15Preventing overcharg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8/00Electric propulsion with power supply from forces of nature, e.g. sun or wind
    • B60L8/003Converting light into electric energy, e.g. by using photo-voltaic 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JCYCLE SADDLES OR SEATS; AUXILIARY DEVICE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TO CY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ARTICLE CARRIERS OR CYCLE PROTECTORS
    • B62J45/00Electrical equipment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use as accessories on cy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JCYCLE SADDLES OR SEATS; AUXILIARY DEVICE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TO CY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ARTICLE CARRIERS OR CYCLE PROTECTORS
    • B62J6/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on cycles;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Circuits therefor
    • B62J6/01Electric circuits
    • B62J6/015Electric circuits using electrical power not supplied by the cycle motor generator, e.g. using batteries or piezo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JCYCLE SADDLES OR SEATS; AUXILIARY DEVICE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TO CY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ARTICLE CARRIERS OR CYCLE PROTECTORS
    • B62J6/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on cycles;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Circuits therefor
    • B62J6/02Headligh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JCYCLE SADDLES OR SEATS; AUXILIARY DEVICE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TO CY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ARTICLE CARRIERS OR CYCLE PROTECTORS
    • B62J6/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on cycles;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Circuits therefor
    • B62J6/16Arrangement of switch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MRIDER PROPULSION OF WHEELED VEHICLES OR SLEDGES; POWERED PROPULSION OF SLEDGES OR SINGLE-TRACK CYCLES; TRANSMISSIONS SPECIALLY ADAPTED FOR SUCH VEHICLES
    • B62M6/00Rider propulsion of wheeled vehicles with additional source of power, e.g. combustion engine or electric motor
    • B62M6/40Rider propelled cycles with auxiliary electric motor
    • B62M6/60Rider propelled cycles with auxiliary electric motor power-driven at axle parts
    • B62M6/65Rider propelled cycles with auxiliary electric motor power-driven at axle parts with axle and driving shaft arranged coaxiall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MRIDER PROPULSION OF WHEELED VEHICLES OR SLEDGES; POWERED PROPULSION OF SLEDGES OR SINGLE-TRACK CYCLES; TRANSMISSIONS SPECIALLY ADAPTED FOR SUCH VEHICLES
    • B62M6/00Rider propulsion of wheeled vehicles with additional source of power, e.g. combustion engine or electric motor
    • B62M6/80Accessories, e.g. power sources; Arrangements thereof
    • B62M6/90Batteri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SGENERATION OF ELECTRIC POWER BY CONVERSION OF INFRARED RADIATION, VISIBLE LIGHT OR ULTRAVIOLET LIGHT, e.g. USING PHOTOVOLTAIC [PV] MODULES
    • H02S40/00Components or accessories in combination with PV modul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2S10/00 - H02S30/00
    • H02S40/30Electrical components
    • H02S40/38Energy storage means, e.g. batterie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PV modu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2200/00Type of vehicles
    • B60L2200/12Bik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70/00Other energy conversion or management systems reducing GHG emissions
    • Y02E70/30Systems combining energy storage with energy generation of non-fossil origi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Energy storage systems for electromobility, e.g.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72Electromobility specific charging systems or methods for batteries, ultracapacitors, supercapacitors or double-layer capaci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Electric Propulsion And Braking For Vehicles (AREA)
  • 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For Vehicles (AREA)
  • Battery Mounting, Suspend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태양전지에 의해 발전된 전기를 축전하여 뒷바퀴에 연결된 구동모터를 회전시킴에 따라 자동으로 주행할 수 있어 사용편의성이 대폭 증대됨과 동시에 에너지를 절약할 수 있고, 자전거 소유자 또는 그에 의해 허가된 지 이외에 사용을 방지할 수 있으며, 태양전지에 의한 축전지의 충전량을 그 즉시 확인할 수 있도록 한 태양전지를 구비한 자전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태양전지를 구비한 자전거는, 앞바퀴 및 뒷바퀴가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뒷바퀴를 전동수단을 거쳐 회전시키는 페달이 구비되며 전방 상측에는 상기 앞바퀴의 좌우 회동을 가능하게 하게 하고 브레이크레버가 구비된 핸들이 구비되고 상기 핸들의 일측에는 전동주행을 위한 회동식조절구가 구비되며 후방 상측에는 안장이 구비되는 자전거본체와, 상기 자전거본체의 전방에 유선형 패널 형태로 고정되는 태양전지와, 상기 자전거본체의 후방 하측에 설치되고 상기 태양전지 및 상기 회동식조절구에 각각 연결되며 그 상부면에는 접속단자가 돌출된 안착대가 구비되는 컨트롤러와, 상기 컨트롤러의 안착대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고 그 하부면에는 상기 컨트롤러의 접속단자에 접속되는 접속단자가 구비되며 상기 태양전지로부터 발전된 전기의 축전 및 출력이 상기 컨트롤러에 의해 제어되는 축전지와, 상기 자전거본체의 뒷바퀴의 회전중심에 설치되고 상기 컨트롤러에 연결되어 상기 회동식조절구의 조작에 따른 상기 컨트롤러의 제어에 따라 상기 뒷바퀴를 회전시키는 구동모터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본 발명에 따른 태양전지를 구 비한 자전거는, 상기 축전지에 구비되고 키이의 삽입 및 회전방향에 따라 상기 컨트롤러로의 축전지의 전원공급여부를 단속하는 단속스위치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고, 상기 핸들에 구비되고 상기 컨트롤러에 연결되어 상기 축전지의 충전상태를 표시하는 충전상태표시구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자전거, 자전거본체, 태양전지, 컨트롤러, 축전지, 구동모터, 단속스위치, 충전표시구

Description

태양전지를 구비한 자전거{BICYCLE WITH SOLAR CELL}
본 발명은 태양전지에 의해 발전된 전기를 축전하여 뒷바퀴에 연결된 구동모터를 회전시킴에 따라 자동으로 주행할 수 있도록 한 태양전지를 구비한 자전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전거는 앞바퀴, 뒷바퀴, 페달, 전동수단, 핸들 및 안장이 구비된 자전거본체 상에 탑승하여 양발로 페달을 회전시켜 체인을 회전시킴에 따라 체인에 전동연결된 뒷바퀴를 회전구동시켜 주행을 하는 2륜차를 말한다.
그러나 자전거의 주행동력이 오로지 페달을 회전시키는 탑승자의 노동력에 의존하는 바, 언덕이나 장거리를 주행하고자 할 경우에는 상당한 체력이 소모될 수 밖에 없는 문제점이 있다.
최근에는 축전지를 이용한 전동자전거가 개발되고 있으나, 이 경우에는 축전지를 자주 충전해야 하므로 사용상 불편한 문제점이 있으며, 부득이하게 전력을 소모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태양전지에 의해 발전된 전기를 축전하여 뒷바퀴에 연결된 구동모터를 회전시킴에 따라 자동으로 주행할 수 있어 사용편의성이 대폭 증대됨과 동시에 자가발전에 의해 상용전력을 축전을 위해 소모할 필요가 없어 에너지를 절약할 수 있도록 한 태양전지를 구비한 자전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자전거 소유자 또는 그에 의해 허가된 지 이외에 사용을 방지할 수 있으며, 태양전지에 의한 축전지의 충전량을 그 즉시 확인할 수 있도록 한 태양전지를 구비한 자전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전술한 본 발명의 목적들은, 앞바퀴 및 뒷바퀴가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뒷바퀴를 전동수단을 거쳐 회전시키는 페달이 구비되며 전방 상측에는 상기 앞바퀴의 좌우 회동을 가능하게 하게 하고 브레이크레버가 구비된 핸들이 구비되고 상기 핸들의 일측에는 전동주행을 위한 회동식조절구가 구비되며 후방 상측에는 안장이 구비되는 자전거본체와, 상기 자전거본체의 전방에 유선형 패널 형태로 고정되는 태양전지와, 상기 자전거본체의 후방 하측에 설치되고 상기 태양전지 및 상기 회동식조절구에 각각 연결되며 그 상부면에는 접속단자가 돌출된 안착대가 구비되는 컨트롤러와, 상기 컨트롤러의 안착대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고 그 하부면에는 상기 컨트롤러의 접속단자에 접속되는 접속단자가 구비되며 상기 태양전지로부터 발전된 전기의 축전 및 출력이 상기 컨트롤러에 의해 제어되는 축전지와, 상기 자전거본체의 뒷바퀴의 회전중심에 설치되고 상기 컨트롤러에 연결되어 상기 회동식조절구의 조작에 따른 상기 컨트롤러의 제어에 따라 상기 뒷바퀴를 회전시키는 구동모터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태양전지를 이용한 자전거를 제공함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축전지에 구비되고 키이의 삽입 및 회전방향에 따라 상기 컨트롤러로의 축전지의 전원공급여부를 단속하는 단속스위치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더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자전거본체의 핸들에 구비되고 상기 컨트롤러에 연결되어 상기 축전지의 충전상태를 표시하는 충전상태표시구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충전상태표시구의 전방에는 스위치의 조작에 의해 점등되는 전방램프가 구비된다.
본 발명의 더욱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자전거본체에 설치되고 상기 태양전지와 상기 컨트롤러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태양전지로부터 발전된 전기를 일정전압으로 유지시키고 상기 축전지의 과충방전을 방지하는 충전컨트롤러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더욱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축전지의 일측에는 상기 컨트롤러의 안착대로부터 분리된 후 상용전원으로부터 축전이 가능하도록 어댑터접속구가 구비된다.
본 발명에 따른 태양전지를 구비한 자전거에 의하면, 태양전지에 의해 발전된 전기를 축전하여 뒷바퀴에 연결된 구동모터를 회전시킴에 따라 자동으로 주행할 수 있어 사용편의성이 대폭 증대됨과 동시에 자가발전에 의해 상용전력을 축전을 위해 소모할 필요가 없어 에너지를 절약할 수 있는 탁월한 효과가 있다.
또한 차량용 시동키와 유사하게 키이를 통해 단속스위치를 조작하여 축전지의 출력여부를 제어함으로써 자전거 소유자 또는 그에 의해 허가된 지 이외에 사용을 방지할 수 있는 탁월한 효과도 있다.
뿐만 아니라 충전상태표시구를 통해 주행중에 태양전지에 의한 축전지의 충전량을 그 즉시 확인할 수 있어 탑승자로 하여금 그에 따른 적절한 조치를 취할 수 있도록 하는 탁월한 효과도 있다.
또한 전동주행 외에 일반 자전거와 동일하게 페달을 통한 수동주행도 가능한 탁월한 효과가 있다.
이하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되, 이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이지, 이로 인해 본 발명의 기술적인 사상 및 범주가 한정되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도 1에는 본 발명에 따른 태양전지를 구비한 자전거의 사시도가 도시되고, 도 2에는 축전지의 분리결합상태도가 도시되고, 도 3에는 본 발명에 따른 태양전지를 구비한 자전거의 작동을 설명하는 블럭다이아그램이 도시된다.
본 발명에 따른 태양전지를 구비한 자전거(1)는, 태양전지(20)에 의해 발전된 전기를 축전하여 뒷바퀴(12)에 연결된 구동모터(50)를 회전시킴에 따라 자동으로 주행할 수 있어 사용편의성이 대폭 증대됨과 동시에 에너지를 절약할 수 있고, 자전거 소유자 또는 그에 의해 허가된 지 이외에 사용을 방지할 수 있으며, 태양전지(20)에 의한 축전지(40)의 충전량을 그 즉시 확인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앞바퀴(11) 및 뒷바퀴(12)가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뒷바퀴(12)를 전동수단(14)을 거쳐 회전시키는 페달(13)이 구비되며 전방 상측에는 앞바퀴(11)의 좌우 회동을 가능하게 하게 하고 브레이크레버(16)가 구비된 핸들(15)이 구비되고 핸들(15)의 일측에는 전동주행을 위한 회동식조절구(17)가 구비되며 후방 상측에는 안장(18)이 구비되는 자전거본체(10)와, 자전거본체(10)의 전방에 유선형 패널 형태로 고정되는 태양전지(20)와, 자전거본체(10)의 후방 하측에 설치되고 태양전지(20) 및 회동식조절구(17)에 각각 연결되며 그 상부면에는 접속단자(33)가 돌출된 안착대(31)가 구비되는 컨트롤러(30)와, 컨트롤러(30)의 안착대(31)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고 그 하부면에는 컨트롤러(30)의 접속단자(33)에 접속되는 접속단자(41)가 구비되며 태양전지(20)로부터 발전된 전기의 축전 및 출력이 컨트롤러(30)에 의해 제어되는 축전지(40)와, 자전거본체(10)의 뒷바퀴(12)의 회전중심에 설치되고 컨트롤러(30)에 연결되어 회동식조절구(17)의 조 작에 따른 컨트롤러(30)의 제어에 따라 뒷바퀴(12)를 회전시키는 구동모터(5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자전거본체(10)는 본 발명에 따른 태양전지를 구비한 자전거(1)의 프레임을 형성하는 것으로, 그 전방 하부에는 앞바퀴(11)가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그 후방 하부에는 뒷바퀴(12)가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그 중앙 하부에는 뒷바퀴(12)를 예를 들어 2개의 스프로킷과 전동체인으로 이루어지는 전동수단(14)을 거쳐 회전시키는 페달(13)이 구비되고, 그 전방 상측에는 앞바퀴(11)의 좌우 회동을 가능하게 하게 하는 핸들(15)이 양측에 구비되며, 핸들(15)에는 브레이크(상세히 도시되지 않음)을 작동시키기 위한 브레이크레버(16)가 구비되고, 일측의 핸들(15)에는 차후에 설명될 구동모터(50)의 회전여부 및 회전속도 조절을 통해 전동주행을 가능하게 하는 회동식조절구(17)가 구비되며, 그 후방 상측에는 탑승자의 탑승을 위한 안장(18)이 높이조절가능하게 구비된다. 회동식조절구(17)는 항상 오프(OFF) 방향으로 회동되도록 탄성바이어스된다.
자전거본체(10)는 일체식 또는 접이식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일반자전거, 산악자전거 등 그 용도를 불문한다.
전술한 자전거본체(10)의 전방에는 태양전지(20)가 고정되는데, 이 태양전지(20)는 태양광의 조사에 의해 전기를 발생시키는 공지된 태양전지셀의 조합으로 형성될 수 있다.
태양전지(20)는 유선형 패널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한테, 이러한 형상에 의해 태양전지(20)의 면적이 대폭 증대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태양광의 조사 각도에 관계없이 태양전지(20)에 태양광이 조사될 수 있으며, 일종의 스포일러의 기능을 수행하여 본 발명에 따른 태양전지를 구비한 자전거(1)의 주행시 맞바람에 의한 저항을 최소화하는 역할을 한다.
전술한 자전거본체(10)의 후방 하측, 좀 더 정확하게는 뒷바퀴(12)의 바로 전방에는 컨트롤러(30)가 설치되는데, 이 컨트롤러(30)는 태양전지(20)에 의한 축전지(40)의 축전을 제어함과 동시에 회동식조절구(17)의 조작에 따라 차후에 설명될 구동모터(50)의 회전여부 및 회전속도를 제어하고, 축전지(40)의 축전상태에 대한 정보를 차후에 설명될 충전상태표시구(70)로 제공하는 것으로, 태양전지(20), 축전지(40), 구동모터(50) 및 충전상태표시구(70)에 각각 연결된다.
컨트롤러(30)의 그 상부면에는 안착대(31)가 구비되는데, 이 안착대(31)는 축전지(40)의 안착과 동시에 컨트롤러(30)와 축전지(40)의 전기적 접속을 가능하게 하는 것으로, 축전지(40)의 전기적 접속을 위한 컨트롤러(30)의 접속단자(33)는 안착대(31)를 관통하여 상측으로 돌출된다.
전술한 컨트롤러(30)의 안착대(31)에는 축전지(40)가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데, 이 축전지(40)는 컨트롤러(30)의 제어에 의해 태양전지(20)로부터 발전된 전기를 축전함과 동시에 축전된 전기를 컨트롤러(30)를 통해 구동모터(50)나 충전상태표시구(70)로 제공하는 것으로, 그 하부면에는 안착대(31) 상으로의 안착시 컨트롤러(30)의 접속단자(33)에 자동적으로 접속되는 접속단자(41)가 구비되며, 그 일측에는 예를 들어 태양전지(20)에 의한 충전량이 부족할 경우에 안착대(31)로부터 분리된 후 상용전원으로부터 축전이 가능하도록 어댑터접속구(43)가 구비된다.
축전지(40)의 상부에는 축전지(40)의 착탈시 파지를 위한 손잡이(45)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축전지(40)의 배면측을 지지하는 별도의 지지대(47)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술한 자전거본체(10)의 뒷바퀴(12)의 회전중심에는 구동모터(50)가 설치되는데, 이 구동모터(50)는 컨트롤러(30)에 연결되어 회동식조절구(17)의 조작에 따른 컨트롤러(30)의 제어에 따라 뒷바퀴(12)를 회전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상세히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내부에 브러시가 구비되지 않아 소음과 진동에 강하며 회전축이 양측으로 돌출되는 브러시리스(BLDC) 모터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술한 축전지(40)에는 단속스위치(60)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 단속스위치(60)는 일종의 차량용 시동키와 유사하게 키이(61)의 삽입 및 회전방향에 따라 컨트롤러(30)로의 축전지(40)의 전원공급여부를 단속함으로써 본 발명에 따른 태양전지를 구비한 자전거(1)의 전동주행 여부를 결정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키이(61)를 소유한 자만이 본 발명에 따른 태양전지를 구비한 자전거(1)의 전동주행을 가능하게 함에 따라 자전거 소유자 또는 그에 의해 허가된 지 이외에 사용을 방지할 수 있게 한다.
전술한 자전거본체(10)의 핸들(15)의 중앙에는 또한 충전상태표시구(70)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 충전상태표시구(70)는 컨트롤러(30)에 연결되어 컨트롤러(30)로부터 전달받은 축전지(40)의 충전상태를 표시하는 것으로, 아날로그식 게이지 또는 디지털식 게이지 형태로 형성된다. 충전상태표시구(70)는 축전지(40)의 충전전력으로 주행랗 수 있는 거리나 시간을 표시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충전상태표시구(70)의 전방에는 또한 스위치(73)의 조작에 의해 축전지(40)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점등되는 전방램프(71)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자전거본체(10)에는 충전컨트롤러(80)가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 충전컨트롤러(80)는 태양전지(20)와 컨트롤러(30) 사이에 개재되어 태양전지(20)로부터 발전된 전기를 일정전압으로 유지시키고 축전지(40)의 과충방전을 방지함으로써 축전지(40)의 효울 및 수명을 증대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컨트롤러(30)와 분리되어 형성될 수도 있고, 실시예에 따라서는 컨트롤러(30)에 통합되어 형성될 수도 있다.
이하, 도 1 내지 도 3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태양전지를 구비한 자전거(1)의 작동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축전지(40)를 컨트롤러(30)의 안착대(31) 상에 장착해 두면, 태양전지(20)에 의해 발전된 전기가 컨트롤러(30)의 제어하에 축전지(40) 내로 충전된다. 기후적인 요인으로 축전지(40)의 충전량이 부족할 경우에는 어댑터접속구에 어탭터잭을 연결하여 상용전원으로부터 축전지(40)를 충전할 수 있다.
축전지(40)에 충전이 어느 정도 된 상태에서 본 발명에 따른 태양전지를 구비한 자전거(1)를 이용하여 주행을 하고자 할 경우에, 사용자는 키이(61)를 단속스위치(60)에 삽입한 후 회동시킴으로써 축전지(40)의 충전전력이 컨트롤러(30)를 통해 출력될 수 있도록 한 상태에서, 회동식조절구(17)를 회동시키기만 하면 회동식 조절구(17)의 회동량에 따른 컨트롤러(30)의 제어에 의해 구동모터(50)가 회전됨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태양전지를 구비한 자전거(1)는 마치 오토바이와 유사하게 전동주행될 수 있다.
이 경우에 유선형 패널 형상의 태양전지(20)에 의해 맞바람에 의한 저항이 최소화됨에 따라 주행속도가 더욱 배가될 수 있게 된다.
전동주행시에 축전지(40)의 충전전력은 구동모터(50)의 회전구동을 위해 소모되기 하지만, 그와 동시에 태양전지(20)에 의해 발전된 전기가 컨트롤러(30)의 제어하에 축전지(40) 내로 계속 충전된다.
탑승자는 또한 주행 중에도 충전상태표시구(70)를 통해 축전지(40)의 현재 충전상태를 즉각적으로 확인해 가면서 전동주행을 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전동주행이 필요없는 경우에는 회동식조절구(17)를 조작하지 않은 상태로 페달(13)을 회전시키기만 하면 통상의 자전거와 같이 수동주행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태양전지를 구비한 자전거(1)를 사용할 경우에는, 태양전지(20)에 의해 발전된 전기를 축전하여 뒷바퀴(12)에 연결된 구동모터(50)를 회전시킴에 따라 마치 오토바이와 유사하게 전동주행될 수 있어 사용편의성이 대폭 증대됨과 동시에 태양전지(20)에 의한 자가발전을 이용함에 따라 에너지를 대폭적으로 절약할 수 있고, 차량용 시동키와 유사하게 키이(61)를 통해 단속스위치(60)를 조작하여 축전지(40)의 출력여부를 제어함으로써 자전거 소유자 또는 그에 의해 허가된 지 이외에 사용을 방지할 수 있으며, 충전상태표시구(70)를 통해 주행중에 태양전지(20)에 의한 축전지(40)의 충전량을 그 즉시 확인할 수 있어 탑승자로 하여금 그에 따른 적절한 조치를 취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태양전지를 구비한 자전거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태양전지를 구비한 자전거에 있어서, 축전지의 분리결합상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태양전지를 구비한 자전거의 작동을 설명하는 블럭다이아그램.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본 발명에 따른 태양전지를 구비한 자전거
10 : 자전거본체 11 : 앞바퀴
12 : 뒷바퀴 13 : 페달
15 : 핸들 17 : 회동식조절구
20 : 태양전지 30 : 컨트롤러
31 : 안착지지대 33 : 접속단자
40 : 축전지 41 : 접속단자
50 : 구동모터 60 : 단속스위치
70 : 충전상태표시구 80 : 충전컨트롤러

Claims (5)

  1. 앞바퀴 및 뒷바퀴가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뒷바퀴를 전동수단을 거쳐 회전시키는 페달이 구비되며 전방 상측에는 상기 앞바퀴의 좌우 회동을 가능하게 하게 하고 브레이크레버가 구비된 핸들이 구비되고 상기 핸들의 일측에는 전동주행을 위한 회동식조절구가 구비되며 후방 상측에는 안장이 구비되는 자전거본체;
    상기 자전거본체의 전방에 유선형 패널 형태로 고정되는 태양전지;
    상기 자전거본체의 후방 하측에 설치되고 상기 태양전지 및 상기 회동식조절구에 각각 연결되며 그 상부면에는 접속단자가 돌출된 안착대가 구비되는 컨트롤러;
    상기 컨트롤러의 안착대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고 그 하부면에는 상기 컨트롤러의 접속단자에 접속되는 접속단자가 구비되며 상기 태양전지로부터 발전된 전기의 축전 및 출력이 상기 컨트롤러에 의해 제어되는 축전지; 및
    상기 자전거본체의 뒷바퀴의 회전중심에 설치되고 상기 컨트롤러에 연결되어 상기 회동식조절구의 조작에 따른 상기 컨트롤러의 제어에 따라 상기 뒷바퀴를 회전시키는 구동모터;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태양전지를 구비한 자전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축전지에 구비되고 키이의 삽입 및 회전방향에 따라 상기 컨트롤러로의 축전지의 전원공급여부를 단속하는 단속스위치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전지를 구비한 자전거.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자전거본체의 핸들에 구비되고 상기 컨트롤러에 연결되어 상기 축전지의 충전상태를 표시하는 충전상태표시구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충전상태표시구의 전방에는 스위치의 조작에 의해 점등되는 전방램프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전지를 구비한 자전거.
  4.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자전거본체에 설치되고 상기 태양전지와 상기 컨트롤러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태양전지로부터 발전된 전기를 일정전압으로 유지시키고 상기 축전지의 과충방전을 방지하는 충전컨트롤러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전지를 구비한 자전거.
  5.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축전지의 일측에는 상기 컨트롤러의 안착대로부터 분리된 후 상용전원 으로부터 축전이 가능하도록 어댑터접속구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전지를 구비한 자전거.
KR1020080099115A 2008-10-09 2008-10-09 태양전지를 구비한 자전거 KR10101020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99115A KR101010202B1 (ko) 2008-10-09 2008-10-09 태양전지를 구비한 자전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99115A KR101010202B1 (ko) 2008-10-09 2008-10-09 태양전지를 구비한 자전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40064A true KR20100040064A (ko) 2010-04-19
KR101010202B1 KR101010202B1 (ko) 2011-01-21

Family

ID=422162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99115A KR101010202B1 (ko) 2008-10-09 2008-10-09 태양전지를 구비한 자전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10202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55637B1 (ko) * 2011-05-30 2011-08-09 (주)한동알앤씨 탈착식 전동 장치가 설치된 자전거
CN107415762A (zh) * 2017-09-04 2017-12-01 赵维平 利用光能充电的电动车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99249B1 (ko) * 2019-07-23 2021-09-08 (주)제이디자인웍스 합성수지 피복체를 구비한 자전거 프레임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27511B1 (ko) * 2000-07-26 2002-03-15 노재익 자가발전 장치가 구비된 이륜차의 점등장치
KR20040037986A (ko) * 2002-10-31 2004-05-08 주식회사 평화자동차 카트형 3륜 자전거
JP4421353B2 (ja) * 2004-04-01 2010-02-24 浜松ホトニクス株式会社 固体撮像装置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55637B1 (ko) * 2011-05-30 2011-08-09 (주)한동알앤씨 탈착식 전동 장치가 설치된 자전거
CN107415762A (zh) * 2017-09-04 2017-12-01 赵维平 利用光能充电的电动车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10202B1 (ko) 2011-01-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894898A (en) Solar-electric motor scooter
WO2012090244A1 (ja) 電動二輪車
EP1791753B1 (en) Hybrid motorbike powered by muscle power and an electric motor with the current generated by a fuel cell
US8089168B2 (en) Tire actuated generator for use on cars
US20110011657A1 (en) Solar electric scooter
US20130270016A1 (en) Solar electric scooter with removable battery module
WO2012085977A1 (ja) 電動二輪車
KR101010202B1 (ko) 태양전지를 구비한 자전거
CN201525470U (zh) 自行发电助力自行车
KR20140078321A (ko) 압전센서를 이용한 자가 충전식 전기자전거
KR100843264B1 (ko) 자가발전기, 연료전지, 태양전지를 이용한 자전거용 전원공급 장치
JPH08111905A (ja) 電気自動車
JP2012166763A (ja) 電動車両
GB2429193A (en) Solar powered scooter
CN101811552A (zh) 四轮电动脚踏两用车
CN213184476U (zh) 一种电动自行车的高续航蓄电池
JPH11235991A (ja) 電源装置付きバイク
CN212766602U (zh) 一种轻便折叠电动自行车
JP3187370U (ja) 低速走行用の乗物
CN215527832U (zh) 一种新能源汽车充电电池的铝制散热基座
CN204870592U (zh) 一种电动自行车
CN217945401U (zh) 电动车
CN201472177U (zh) 太阳能电动车
JP3188120U (ja) 低速走行用の乗物
CN221068358U (zh) 电动车驱动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1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1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1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1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07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15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