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69059B1 - 영양성분이 강화된 고급 발효 어분 및 이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영양성분이 강화된 고급 발효 어분 및 이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69059B1
KR101369059B1 KR1020120042943A KR20120042943A KR101369059B1 KR 101369059 B1 KR101369059 B1 KR 101369059B1 KR 1020120042943 A KR1020120042943 A KR 1020120042943A KR 20120042943 A KR20120042943 A KR 20120042943A KR 101369059 B1 KR101369059 B1 KR 10136905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sh meal
fermented
fermentation
products
fermented fis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429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120007A (ko
Inventor
백양기
Original Assignee
백양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백양기 filed Critical 백양기
Priority to KR10201200429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69059B1/ko
Publication of KR201301200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2000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690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6905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10/00Animal feeding-stuffs
    • A23K10/30Animal feeding-stuffs from material of plant origin, e.g. roots, seeds or hay; from material of fungal origin, e.g. mushrooms
    • A23K10/37Animal feeding-stuffs from material of plant origin, e.g. roots, seeds or hay; from material of fungal origin, e.g. mushrooms from waste material
    • A23K10/38Animal feeding-stuffs from material of plant origin, e.g. roots, seeds or hay; from material of fungal origin, e.g. mushrooms from waste material from distillers' or brewers' waste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10/00Animal feeding-stuffs
    • A23K10/10Animal feeding-stuffs obtained by microbiological or biochemical processes
    • A23K10/16Addition of microorganisms or extracts thereof, e.g. single-cell proteins, to feeding-stuff compositions
    • A23K10/18Addition of microorganisms or extracts thereof, e.g. single-cell proteins, to feeding-stuff compositions of live microorganism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10/00Animal feeding-stuffs
    • A23K10/20Animal feeding-stuffs from material of animal origin
    • A23K10/22Animal feeding-stuffs from material of animal origin from fish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50/00Feeding-stuff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nimals
    • A23K50/80Feeding-stuff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nimals for aquatic animals, e.g. fish, crustaceans or mollusc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60/00Technologies relating to agriculture, livestock or agroalimentary industries
    • Y02P60/80Food processing, e.g. use of renewable energies or variable speed drives in handling, conveying or stacking
    • Y02P60/87Re-use of by-products of food processing for fodder production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Zo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icrobiology (AREA)
  • Physi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Botany (AREA)
  • Insects & Arthropods (AREA)
  • Mycology (AREA)
  • Birds (AREA)
  • Biochemistry (AREA)
  • Fodder In General (AREA)
  • Feed For Specific Anim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영양성분이 강화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급 발효 어분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며, 보다 상세하게는 본 발명은 주정박과 홍삼박의 혼합 발효물질 및 대두박과 새우 부산물의 혼합 발효물질을 포함하는 발효 배지를 이용하여 연육 부산물을 발효시킴으로써 영양성분이 강화되고, 저온 가공에 의하여 영양 성분의 변성이 최소화되고, 미생물 발효물질의 처리로 인하여 보존성 및 저장성이 강화된 고급 발효 어분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영양성분이 강화된 고급 발효 어분 및 이의 제조방법{HIGH-GRADE FERMENTED FISH MEAL WITH ENHANCED NUTRIENTS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영양성분이 강화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급 발효 어분 및 이를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연육 가공은 크기가 작은 어류를 이용하여 식용 가능한 살코기와 불가식부(머리, 내장, 껍질, 뼈 및 비늘)를 분리하고, 살코기는 어묵, 소시지 등에 주원료로 이용하지만, 불가식부는 폐기처분 하거나 햇빛에 말려 닭의 사료로 이용하는 등 그 이용에 한계가 있었다. 하지만, 이러한 부산물이 사료적인 가치를 인정받으면서, 이 부산물들을 대량으로 수거하여 단순히 건조하거나 식물성 부산물과 혼합 발효한 후 건조시킴으로써 그 이용성을 높이기 시작하였다.
부산물 어분은 식품으로 이용되는 어종의 가식부를 제외한 나머지 부분으로 제조되는 어분으로 단백질 함량이 낮고 회분이 높아 저급 어분으로 분류되며, 발효 어분은 배합사료에 이용되기 어려운 저급의 어분을 미생물을 이용하여 발효시켜 비료로 이용된다.
이와 같이, 배합사료의 주요 단백질원으로서 이용되고 있는 어분의 원료로는 물고기에서 어육, 내장 일부 등 그대로 먹을 수 있는 부분을 제거하고 남은 머리, 꼬리, 내장, 껍질 등의 먹을 수 없는 부분(가식부가 제거된 부산물)이 많이 쓰이나, 물고기 몸 전체(전어체)가 이용되는 경우도 있다.
전어체를 이용한 어분(고급 어분)은 주로 칠레, 페루 등 남미에서 정어리를 통째로 고온에서 건조하여 생산되고, 이는 대량 소비가 이루어지는 중국, 일본 등에서 주로 소비되고 있다. 그러나, 전 세계적인 이상기후 및 어류 자원의 감소로 인하여 생산량은 줄어들고 가격은 급격히 상승하고 있다.
이러한 생산량 감소 및 가격 상승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고급 어분을 대체할 수 있도록 배합사료에 이용되기 어려운 저급의 어분을 식물성 부산물 또는 동물성 부산물 등과 함께 미생물을 이용하여 발효시킨 발효어분을 제조하는 방법들을 개발하고 있다(한국 특허출원번호 제10-1998-0056335호 등).
그러나, 식품 부산물을 이용하여 제조된 어분은 전어체를 이용하여 제조된 고급 어분에 비하여 단백질 및 지방의 함량이 떨어지고, 영양학적 가치가 없는 회분의 함량이 매우 높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식물성 단백질원은 근복적으로 이용율이 낮기 때문에 효율을 증대시키는 과정이 복잡하며, 동물성 단백질원 특히 포유류 유래의 부산물은 아미노산들을 골고루 함유하고 있으나 병원성 균 또는 독소의 존재로 인하여 이용이 제한되어 고급 어분 대체하는 데에는 한계가 있다.
어분의 대부분은 습식법으로 제조되며, 이 습식법 공정은 원료 칭량, 절단 등의 전처리 공정과 열탕이나 수증기로 직접 삶아서 압착, 건조, 분쇄하는 제조공정, 포장 등 후처리 공정 등으로 구분된다. 압착 공정 중 압착액에서 어유를 분리하고 남은 폐수의 처리 및 건조 공정 중 발생하는 악취는 어분 제조 과정에 있어서 가장 큰 문제점으로 작용하고 있다. 또한, 건조 비용 및 시간을 단축하기 위해 140도 이상의 고온에서 건조하는 공정은 단백질을 변성시키고 지방을 산화시켜 어분의 영양학적 가치를 낮추는 원인이 된다.
본 발명자들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극복하기 위해 연구를 거듭한 결과, 식물성 부산물 및 동물성 부산물을 이용하여 발효 배지를 제조하고, 이를 이용하여 연육 부산물을 발효시킴으로써 단순 혼합 건조 방식에 비해 더 많은 단백질 및 영양인자의 이용율을 증가시킬 수 있는 고급 발효 어분을 제공할 수 있음을 발견하였다. 또한, 저온 가공에 의하여 영양 성분의 변성이 최소화되며, 미생물 발효물질의 처리로 인하여 보존성 및 저장성이 강화된다는 것을 발견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은 식물성 부산물의 혼합 발효물질 및 식물성 부산물과 동물성 부산물의 혼합 발효물질을 포함하는 발효 배지를 이용하여 연육 부산물을 발효시킴으로써 영양성분이 강화되고, 저온 가공에 의하여 영양 성분의 변성이 최소화되고, 미생물 발효물질의 처리로 인하여 보존성 및 저장성이 강화된 고급 발효 어분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 고급 발효 어분을 포함하는 배합사료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 발효 어분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주정박과 홍삼박의 혼합 발효물질 및 대두박과 새우 부산물의 혼합 발효물질을 포함하는 발효 배지를 이용하여 연육 부산물을 발효시킴으로써 영양성분이 강화된 고급 발효 어분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 고급 발효 어분을 포함하는 배합사료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또한 주정박과 홍삼박의 혼합 발효물질 및 대두박과 새우 부산물의 혼합 발효물질을 포함하는 발효 배지를 이용하여 연육 부산물을 발효시킴으로써 영양성분이 강화되고, 저온 가공에 의하여 영양 성분의 변성이 최소화되고, 미생물 발효물질의 처리로 인하여 보존성 및 저장성이 강화된 고급 발효 어분을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버려지는 식물 및 동물성 부산물 부산물과 같은 폐기물을 재활용함으로써 환경오염을 줄일 뿐만 아니라 보다 경제적이며, 기존의 발효 어분에 비해서는 영양성분이 강화되고 기존의 고급 어분과는 영양성분의 거의 동등하며, 저장성 및 보존성 또한 강화된 고급 발효 어분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고급 발효 어분의 제조에 대한 모식도를 나타낸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은 식물성 부산물의 발효물질 및 식물성 부산물과 동물성 부산물의 혼합 발효물질을 포함하는 발효 배지를 이용하여 연육 부산물을 발효시킴으로써 영양성분이 강화된 고급 발효 어분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는 식물성 부산물 및 동물성 부산물의 효과를 극대화시키기 위하여, 식물성 부산물의 혼합 발효물질 및 식물성 부산물과 동물성 부산물의 혼합 발효물질을 포함하는 발효 배지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식물성 부산물은 바람직하게는 주정박, 홍삼 부산물 및 대두박이며, 상기 동물성 부산물은 바람직하게는 새우 등 갑각류 부산물이다.
주정박은 옥수수, 보리 및 호밀 등에 포함된 전분을 효모나 미생물을 이용하여 알코올로 변화시키고 남은 부산물을 지칭한다. 일반적으로, 주정박은 많은 효모균을 포함하고 있기 때문에 비타민 B군이 다량으로 포함되어 있고, 미지의 성장인자가 포함되어 있다는 연구결과가 있어 사료 첨가제로 각광을 받고 있다(Wang Z., Eastridge, M. L. and Qiu, X. 2001. Effects of forage neutral detergent fiber and yeast culture on performance of cows during early lactation1. J. Dairy Sci. 84:204-212 등을 참조).
홍삼 부산물은 인간에게 이로운 홍삼에서 엑기스를 추출하고 남은 찌꺼기로, 부산물이라고 해도 홍삼에 포함된 유용물질이 약 25%정도 남아있어 사료용 첨가제로 이용가치가 높다. 일반 가축의 사료 내에 0.5% 첨가 시 체내 아미노산 함량이 일반 사료 공급에 비해 높아지고, 게르마늄 함량이 증가한다는 연구결과가 보고된 바 있다.
농촌진흥청 영양생리팀에 따르면 홍삼박은 연간 700톤 정도 생산되며, 홍삼박 내에는 사포닌을 구성하는 성분이 상당부분 남아 있어 일부 농장에서 가축사료로 활용되어 왔다. 그러나, 그동안 사료로서의 효능을 입증하는 과학적인 자료가 부족하여 사용 확대에 어려움이 있었다. 이에 국립축산과학원이 홍삼박의 사료가치를 규명하는 연구에 착수 한 결과, 홍삼박을 이용한 사료를 이용함으로써 항산화 활성이 10% 높아지고, 외부에서 침입한 병원성 물질에 대해 1차 면역을 담당하는 항체의 농도 또한 36% 향상된다는 사실을 확인하였다.
대두박은 대두로부터 착유 후 생기는 산물로, 현재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는 중요한 식물성 고단백질 공급원이다.
새우 등 갑각류 부산물에는 키틴이라는 유용 물질이 포함되어 있으며, 이를 분해하여 키토산이나 키토 올리고당과 같은 유용한 물질을 제조하는데 사용된다. 하지만, 이러한 유용 물질은 추출하는 방법이 까다롭고 생산 단가가 높아 식품이나 의약품의 원료로 사용되고 있다. 키틴은 키토산이라는 아미노산 결정이 복잡한 구조로 연결되어 있어 생물이 직접적으로 이용하기 어려운 형태를 가지고 있으나, 미생물을 이용하여 키토산이나 키토 올리고당과 같은 흡수하기 쉬운 형태로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미생물을 적절히 이용한다면 사료원으로써 사용이 가능하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발효 배지는 식물성 부산물 및 동물성 부산물의 효과를 극대화시키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은
주정박과 홍삼박을 혼합하여 발효하는 단계;
대두박과 새우 부산물을 혼합하고, 리소박터 속(Lysobacter sp.) 미생물을 접종하여 발효하는 단계;
상기 수득된 각 혼합 발효물질을 혼합하여 발효 배지를 제조하는 단계;
상기 발효 배지에 연육 부산물을 혼합하고, 유레이바실러스 속(Ureibacillus sp.) 미생물을 접종하여 발효하는 단계;
상기 수득된 발효물을 건조하는 단계; 및
상기 건조된 발효물에 바실러스 속(Bacillus sp.) 미생물 배양액을 스프레이 분무하여 코팅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고급 발효 어분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주정박과 홍삼박은 각각 2:1-1:1의 비율로 혼합된다. 발효는 주정박에 포함된 효모균을 이용하여 35-40℃에서 65-72시간, 바람직하게는 38℃에서 3일간 수행한다.
상기 대두박과 새우 부산물은 각각 1:10의 비율로 혼합된다.
상기 리소박터 속 미생물은 키틴 분해능력을 가지는 미생물로서, 바람직하게는 리소박터 엔자이모게네스(Lysobacter enzymogenes)일 수 있다. 발효는 상기 리소박터 속 미생물을 107-109의 농도, 바람직하게는 108의 농도로 접종하여 35-40℃에서 65-72시간, 바람직하게는 38℃에서 3일간 수행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발효 배지는 각각 수득된 혼합 발효물질을 각각 1:1의 비율로 혼합하여 제조한다.
본 발명에 이용된 연육 부산물은 일반 연육 가공공장에서 전어체중 약 45%를 차지하는 가식 부위를 식품으로 가공하고, 식품으로 가공이 불가능하여 폐기처리하는 나머지 약 55%의 머리, 뼈, 껍질 및 내장을 특별한 처리를 하지 않고 전처리한 발효 배지와 함께 섞어 사용한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상기 연육 부산물은 작은 크기의 실꼬리돔 및 조기를 이용하여 가식 부위인 살을 발라내고 남은 불가식 부위이다.
상기 제조된 각각의 발효물질을 1:1로 포함하는 발효 배지와 연육 부산물을 1:4의 비율로 혼합하고, 유레이바실러스 속(Ureibacillus sp.) 미생물을 107-109의 농도, 바람직하게는 108의 농도로 접종하여 70-80℃에서 10-14시간, 바람직하게는 80℃에서 12시간 동안 발효하였다. 그 후, 90-100℃에서 10-14시간, 바람직하게는 100℃에서 12시간 동안 건조하면서 수분함량 6-8%, 바람직하게는 6%의 최종 제품을 얻었다.
상기 유레이바실러스 속 미생물은 60℃이상의 초고온에서도 생육이 활발한 것으로 알려진 미생물로서, 바람직하게는 유레이바실러스 써모스패리쿠스 (Ureibacillus Thermosphaericus)이다.
본 발명에서 제조된 어분은 저장성 및 보존성 향상을 위해 포장 공정 중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화학물질 대신 항균 작용이 강한 미생물인 바실러스 속(Bacillus sp.) 미생물의 액체 배양액을 스프레이 분무하여 코팅한다.
상기 바실러스 속 미생물은 바람직하게는 바실러스 폴리페르멘티쿠스(Bacillus Polyfermenticus)이다.
상기 액체 배양액은 어분 내 약 2%의 농도가 되도록 스프레이 코팅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 고급 발효 어분을 포함하는 배합사료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에서, 상기 배합사료는 배합사료 100 중량%를 기준으로 하여 상기 제조된 고급 발효 어분 50-60 중량%, 콘글루텐 5-15 중량%, 어유 1-5 중량%, 밀가루 20-30 중량%, 콜린 1-5 중량%, 비타민 프리믹스 1-5 중량% 및 미네랄 프리믹스 1-5 중량%를 포함한다.
이하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내용이 실시예에 의하여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 실시예 >
실시예 1: 어분의 제조
주정박 1,000kg과 홍삼박 1,000kg을 혼합하고, 주정박에 포함된 효모균을 이용하여 38℃에서 3일간 발효하였다.
새우 부산물 5,000kg과 대두박 500kg를 혼합하고, 키틴을 분해하는 미생물로 알려진 리소박터 엔자이모게네스(L. enzymogenes)를 108의 농도로 접종한 후, 38℃에서 3일간 발효하였다.
상온에서 3일간 발효하는 동안 발생하는 발효 가스는 내부 공기 배출 시스템을 이용하여 배출하면서 냄새를 모두 제거하고, 각 혼합물에 포함된 수분을 30%로 조절하였다.
연육 부산물은 일반 연육 가공공장에서 전어체중 약 45%를 차지하는 가식 부위를 식품으로 가공하고, 식품으로 가공이 불가능하여 폐기 처리하는 나머지 약 55%의 머리, 뼈, 껍질 및 내장을 특별한 처리를 하지 않고 전처리한 발효 배지와 함께 섞어 사용하였다.
상기 제조된 발효물질을 각각 1,000kg씩 혼합한 후, 상기 연육 부산물 8,000kg를 혼합하고, 60℃ 이상의 초고온에서도 생육이 활발한 것으로 알려진 유레이바실러스 써모스패리쿠스(U. Thermosphaericus)를 108농도로 접종하여 80℃에서 12시간 발효하였다. 그 후, 100℃에서 12시간 건조하면서 수분함량 6%의 최종 제품을 얻었다.
고온의 생산 과정에서 제거되는 미생물의 2차 대사 산물을 보충하기 위하여, TSB 배지(Tryptic Soy Broth)에서 포장 과정 중 항균 작용이 강한 미생물로 알려진 바실러스 폴리멘티쿠스(B. Polyfermenticus)를 38℃ 진탕 배양기(shaking incubator)에서 24시간 동안 배양하여 액체 배양액을 제조하였다.
상기 액체 배양액을 제조된 어분 내 약 2% 농도가 될 수 있도록 스프레이 분무하면서 포장하였다.
실시예 2: 본 발명에 따른 배합사료 제조
하기 표 1에 나타낸 조성 및 함량으로 배합사료를 통상의 방법으로 제조하였다.
성분 함량(%)
어분 54
콘글루텐 5
대두박 31
어유 2
밀가루 28
콜린 2
비타민 프리믹스 1
미네랄 프리믹스 1
합계 100
실험예 1: 양식어의 생육에 미치는 영향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어분의 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일반적으로 이용되는 고급 어분, 일반적인 방법으로 생산된 발효 어분(이하, 일반 발효 어분이라 함) 및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고급 발효 어분을 이용하여 하기 표 2에 나타낸 것과 같은 조성 및 함량으로 배합사료를 통상의 방법으로 제조하였다.
대조구 실험구 1 실험구 2
고급어분 30
일반 발효 어분 54
고급 발효 어분 54
콘글루텐 5 12 12
대두박 31
어유 2 3 3
밀가루 28 27 27
콜린 2 2 2
비타민 premix 1 1 1
미네랄 premix 1 1 1
합계 100 100 100
조단백질 (%) 42.16 41.61 41.29
조지방 (%) 4.82 5.21 5.10
수분 (%) 8.9 9.6 8.4
상기 각각의 배합사료를 이용하여 넙치의 생존율, 증체율 및 일일 성장율을 8주간 관찰하였다. 실험 시작과 종료 시 각 수조에서 20 마리를 무작위로 채취하여 무게를 측정하였으며, 그 결과를 하기 표 3에 나타내었다.
초기무게 나중무게 생존율 증체율 일일 성장율
대조구 13.0±0.02 42.8±0.55 100±0.00 29.8±0.56 2.5±0.03
실험구 1 12.9±0.02 38.8±0.24 99.2±0.83 25.9±0.21a 2.3±0.01b
실험구 2 12.7±0.16 40.9±0.45 100±0.00 28.1±0.57a 2.4±0.05a
a: 대조군과 비교하여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음(P>0.05)
b: 대조군과 비교하여 유의적인 차이를 보임(P<0.05)
각 실험구에서 증체율은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P>0.05). 일일 성장율은 고급 어분을 사용한 배합사료(대조구)에 비하여 일반 발효 어분을 사용한 배합사료(실험구 1)는 유의적으로 낮은 값을 나타내었으나(P<0.05), 본 발명에 따른 고급 발효 어분을 사용한 배합사료(실험구 2)는 대조구와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P>0.05).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고급 발효 어분은 시중에 유통되고 있는 일반 발효 어분에 비하여 영양학적 가치가 더욱 향상되었으며, 고급 어분과 유사한 효과를 나타내므로 부산물 어분의 효율을 극대화시킬 수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실험예 2: 저장성의 확인
저장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실시예 1에 기재된 것과 동일하게 제조된 바실러스 폴리멘티쿠스 액체 배양액을 스프레이 분무처리한 고급 발효어분(실험구 1), 단순 포장한 고급 발효 어분(실험구 2) 및 일반 발효 어분(실험구 3)을 이용하여 유통기한 설정 테스트를 실시하였다.
바실러스 폴리멘티쿠스 액체 배양액을 스프레이 분무처리한 고급발효어분 200g, 스프레이 처리하지 않은 고급발효어분 200g 및 일반 발효어분 200g을 각각 비커에 담고, 36℃ 배양기에서 곰팡이의 발생 및 일반 미생물 생균수를 측정하여 가속화 테스트를 실시하였다.
실험 시작 2주 후, 바실러스 폴리멘티쿠스 액체 배양액을 스프레이 처리하지 않은 고급발효어분 및 일반 발효 어분에서는 곰팡이가 발견되었고, 일반 미생물 수가 급격히 증가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실험 시작 3주 후, 바실러스 폴리멘티쿠스 액체 배양액을 스프레이 처리한 고급발효어분에서 곰팡이가 발견되었고, 일반 미생물 수도 급격히 증가함을 확인하였다. 그 결과를 하기 표 4에 나타내었다.
1주 2주 3주 4주
실험구 1 2.4 ×101 3.7 ×103 8.2 ×106
(곰팡이 발생)
3.2 ×107
실험구 2 5.7 ×101 5.2 ×105
(곰팡이 발생)
3.9 ×106 1.8 ×107
실험구 3 6.0 ×103 2.4 ×106
(곰팡이 발생)
6.2 ×107 6.9 ×107
(단위 cfu /g)
가속화 테스트에서의 1일은 상온에서의 1개월과 동일하게 고려되므로, 스프레이처리를 하지 않은 고급 발효 어분은 유통기한은 약 12개월이며, 스프레이 처리를 한 고급 발효 어분의 유통기한은 이보다 약 6개월이 더 긴 것으로 확인되어 저장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Claims (15)

  1. 주정박과 홍삼박을 혼합하여 발효하는 단계;
    대두박과 새우 부산물을 혼합하고, 리소박터 속(Lysobacter sp.) 미생물을 접종하여 발효하는 단계;
    상기 수득된 각 혼합 발효물질을 혼합하여 발효 배지를 제조하는 단계;
    상기 발효 배지에 연육 부산물을 혼합하고, 유레이바실러스 속(Ureibacillus sp.) 미생물을 접종하여 발효하는 단계;
    상기 수득된 발효물을 건조하는 단계; 및
    상기 건조된 발효물에 바실러스 속(Bacillus sp.) 미생물의 액체 배양액을 스프레이 분무하여 코팅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고급 발효 어분의 제조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주정박과 홍삼박은 각각 2:1-1:1의 중량 비율로 혼합하여 발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급 발효 어분의 제조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발효는 주정박에 포함된 효모균을 이용하여, 35-37℃에서 65-72시간 동안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급 발효 어분의 제조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대두박과 새우 부산물은 각각 1:10의 중량 비율로 혼합하여 발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급 발효 어분의 제조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발효는 리소박터 속 미생물을 107-109 cfu/g의 농도로 접종하여, 35-40℃에서 65-72시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급 발효 어분.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리소박터 속 미생물은 리소박터 엔자이모게네스(Lysobacter enzymogenes)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급 발효 어분의 제조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육 부산물은 작은 크기의 실꼬리돔 및 조기를 이용하여 가식 부위인 살을 발라내고 남은 불가식 부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급 발효 어분의 제조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발효 배지와 연육 부산물을 1:4의 중량 비율로 혼합하여 발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급 발효 어분의 제조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발효는 유레이바실러스 속 미생물을 107-109 cfu/g의 농도로 접종하여, 70-80℃에서 10-14시간 동안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급 발효 어분.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유레이바실러스 속 미생물은 유레이바실러스 써모스패리쿠스(Ureibacillus Thermosphaericus)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급 발효 어분의 제조방법.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건조는 90-100℃에서 10-14시간 동안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급 발효 어분의 제조방법.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바실러스 속 미생물은 바실러스 폴리멘티쿠스(Bacillus Polyfermenticus)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급 발효 어분의 제조방법.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바실러스 속 미생물의 액체 배양액은 어분 내 2%의 농도가 되도록 스프레이 코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급 발효 어분의 제조방법.
  14. 제1항에 따라 제조되는 고급 발효 어분.
  15. 제14항의 고급 발효 어분을 포함하는 배합사료.




KR1020120042943A 2012-04-25 2012-04-25 영양성분이 강화된 고급 발효 어분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36905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42943A KR101369059B1 (ko) 2012-04-25 2012-04-25 영양성분이 강화된 고급 발효 어분 및 이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42943A KR101369059B1 (ko) 2012-04-25 2012-04-25 영양성분이 강화된 고급 발효 어분 및 이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20007A KR20130120007A (ko) 2013-11-04
KR101369059B1 true KR101369059B1 (ko) 2014-02-28

Family

ID=498507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42943A KR101369059B1 (ko) 2012-04-25 2012-04-25 영양성분이 강화된 고급 발효 어분 및 이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6905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970184A (zh) * 2014-04-11 2015-10-14 中国海洋大学 一种三文鱼脂肪线与豆粕混合固态发酵制备蛋白粉的方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190927B (zh) * 2016-08-30 2019-08-30 北京中明和远环保科技有限公司 一种用于污泥高温堆肥的菌株及其应用
CN107927456A (zh) * 2017-12-12 2018-04-20 杨志军 一种液态复合微生物虾肥及其制备方法
CN110338105A (zh) * 2018-04-03 2019-10-18 嘉丰海洋国际股份有限公司 使用甲基睪酮的浸泡处理来诱导尼罗罗非鱼的雄性化的方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52344B1 (ko) * 2009-07-06 2010-04-09 김종익 광어 사료의 제조방법
KR20120006606A (ko) * 2010-07-13 2012-01-19 이대용 바실러스속 고온성 균주 Bacillus pumilus OYR 0108(SARC_BSS) 및 이를 이용한 대두박이 함유된 어분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52344B1 (ko) * 2009-07-06 2010-04-09 김종익 광어 사료의 제조방법
KR20120006606A (ko) * 2010-07-13 2012-01-19 이대용 바실러스속 고온성 균주 Bacillus pumilus OYR 0108(SARC_BSS) 및 이를 이용한 대두박이 함유된 어분의 제조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970184A (zh) * 2014-04-11 2015-10-14 中国海洋大学 一种三文鱼脂肪线与豆粕混合固态发酵制备蛋白粉的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20007A (ko) 2013-11-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40145B1 (ko) 유산균 및 효모를 이용한 축산용 발효사료 및 그 제조방법
CN102100315B (zh) 一种乳猪教槽饲料
CN103053846B (zh) 育肥期肉鸭专用的非常规蛋白质复合鸭饲料
CN109362987B (zh) 一种家禽无抗桑叶发酵浓缩料及制备方法
CN104757267A (zh) 一种苹果渣微生物发酵剂及利用其生产生物饲料的方法
CN103609852A (zh) 茶饲料及制备方法
TW201618675A (zh) 一種醱酵豆粉及蚯蚓粉所成混合原料之製備方法及包含該醱酵混合原料之水產飼料
KR101369059B1 (ko) 영양성분이 강화된 고급 발효 어분 및 이의 제조방법
Hatta et al. Effects of fermentation by Trichoderma viride on nutritive value of copra meal, cellulase activity and performance of broiler chickens
CN106578369A (zh) 一种猪饲料配方及其制造方法
CN109007295A (zh) 一种辣木饲料添加剂、制备方法和用途
CN105325729A (zh) 一种复合猪饲料添加剂及其制备方法
Raza et al. Effect of enzyme supplementation of broiler diets containing varying level of sunflower meal and crude fiber
Ilias et al. Potentiality of selected seaweed for the production of nutritious fish feed using solid state fermentation
KR20090083234A (ko) 가축용 사료 첨가제 및 이를 포함하는 가축용 사료
CN103719539A (zh) 一种微生物发酵鱼料及其制备方法
KR20180056229A (ko) 케나프 사일리지의 제조방법 및 이에 따른 케나프 사일리지
KR101032033B1 (ko) 중쇄지방산을 포함하는 가축사료 첨가용 항균제 조성물, 그의 제조방법 및 상기 항균제 조성물을 포함하는 가축사료
CN103053847A (zh) 生长期肉鸭专用的非常规蛋白质复合鸭饲料
CN103875907A (zh) 家畜饲料配方
KR101273276B1 (ko) 커큐민을 첨가한 가축용 사료의 제조방법 및 상기 방법으로 제조된 가축용 사료
CN105104730A (zh) 一种玉米糟ddgs饲料
CN110477203A (zh) 一种用金银花渣制成的育肥猪发酵饲料
CN107625002A (zh) 一种发酵淡水鱼饲料及其制备方法
KR20150000107A (ko) 사과 재배용 퇴비형 영양제 및 그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1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2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25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