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68334B1 - 절첩식 카누 - Google Patents

절첩식 카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68334B1
KR101368334B1 KR1020130145980A KR20130145980A KR101368334B1 KR 101368334 B1 KR101368334 B1 KR 101368334B1 KR 1020130145980 A KR1020130145980 A KR 1020130145980A KR 20130145980 A KR20130145980 A KR 20130145980A KR 101368334 B1 KR101368334 B1 KR 10136833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noe
shape
folding
sheet
corrugated she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459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진광석
정경일
Original Assignee
정경일
진광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경일, 진광석 filed Critical 정경일
Priority to KR10201301459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6833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683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68334B1/ko
Priority to JP2016556232A priority patent/JP2016538198A/ja
Priority to CN201480024566.6A priority patent/CN105164013B/zh
Priority to PCT/KR2014/011115 priority patent/WO2015080423A1/ko
Priority to US14/787,015 priority patent/US9815523B2/en
Priority to US15/806,967 priority patent/US10472021B2/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7/00Collapsible, foldable, inflatable or like vessels
    • B63B7/06Collapsible, foldable, inflatable or like vessels having parts of non-rigid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4/00Vessels specially adapted for water sports or leisure; Body-suppor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ater sports or leisure
    • B63B34/20Canoes, kayaks or the like
    • B63B34/21Canoes, kayaks or the like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 B63B34/23Sectionalised, e.g. modular, collapsible or fold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5/00Hulls characterised by their construction of non-metallic material
    • B63B5/24Hulls characterised by their construction of non-metallic material made predominantly of plastic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70/00Maritime or waterways transport
    • Y02T70/10Measures concerning design or construction of watercraft hull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Air Bags (AREA)
  • Bag Frames (AREA)
  • Making Paper Articles (AREA)
  • Toys (AREA)
  • Wrapp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절첩식(foldable) 카누에 관한 것이며, 특히 구조적 뼈대를 사용하지 않고 한 장의 경성(硬性) 합성수지재 골판시트(corrugated sheet)를 소정의 절첩선(folding line)을 따라 접어서 카누를 구성할 수 있고, 사용 후에는 그 절첩선을 따라 컴팩트하게 접을 수 있음으로써 그 부피와 길이를 줄여 이송과 보관을 편리하게 할 수 있는 절첩식 카누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절첩식 카누{FOLDABLE CANOE}
본 발명은 절첩식(foldable) 카누에 관한 것이며, 특히 구조적 뼈대를 사용하지 않고 한 장의 경성(硬性) 평판재 합성수지 골판시트(corrugated sheet)를 소정의 절첩선(folding line)을 따라 접어서 카누를 구성할 수 있고, 사용 후에는 그 절첩선을 따라 컴팩트하게 접을 수 있음으로써 부피와 길이를 줄여 이송과 보관을 편리하게 할 수 있는 절첩식 카누에 관한 것이다.
근래 성능이 개선된 경량의 개인용 보트, 예컨대 외부동력 없이 개인의 육체적인 힘만으로 노를 젓는 개인용 보트를 즐기는 사람들이 늘어나고 있다. 특히 경사가 가파르고 흐르는 물의 량이 많은 계곡의 급류나 파도치는 바다에서 타도록 디자인된 카약은 모험과 스릴을 즐기는 전세계 젊은이들에게 전통적으로 인기 있는 익스트림 수상스포츠(extreme water sports) 중의 하나이다. 또한 급류나 파도치는 바다가 아니더라도 카약이나 카누는 수면이 잔잔한 강이나 호수 안으로 멀리까지 나아가거나 건너가 낚시나 사냥을 즐길 수 있도록 해주는 개인용 수상레저수단이다.
그런데 카약이나 카누와 같은 종래의 개인용 소형 무동력 보트들은 단단한 외피를 갖도록 열경화성 수지(thermoformed plastics), 유리섬유강화 플라스틱(FRP)으로 성형되거나 목재, 합판(plywood)과 같은 하드재료를 짜맞추어 일체적으로 제조되기 때문에 수중 안전성(내구성, 내투수성, 내충격성) 및 견고함과 안정성에 따른 사용편의성(조종성능, 방향성, 속도성능 등)이 좋은 이점이 있지만, 제조비가 많이 들고 무거우며 수상에서 사용할 수 있도록 잘 디자인된 것일지라도 무엇보다 흔히 그 사이즈로 인해 물이 있는 곳까지 운반하여 가져가고자 할 때 차량이송이 쉽지 않고 평상시 보관이 불편한 문제가 있다.
종래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기술적 노력을 살펴보면, 다음 세 가지 유형으로 나누어 볼 수 있다.
첫째, 종래로부터 널리 시도된 대표적인 노력으로서, 카약이나 카누 몸체의 골격과 형상을 이루는 뼈대(프레임)를, 소정의 조립용 결속부재나 연결부재 등을 사용하여 분해 조립할 수 있는 다수개의 부재(목재, 금속재 또는 합성수지재 등으로 이루어진 판재, 선재 등)로 구성하는 한편, 그 조립된 뼈대의 외부를 덮는 별도의 유연성 방수외피부재로 분할 구비되는 구조, 즉 뼈대 위에 덮힌 외피구조(skin on frame)라고 불릴 수 있는 형태의 보트이다.
이러한 범주에 속하는 기술로는, 예컨대 Douglass E. Simpson가 발명한 미국특허 제4,274,170호(발명의 명칭 : COLLAPSIBLE KAYAK)(1981년), Michael P. Jones과 Paul M. Hahn이 공동으로 발명한 미국특허 제4,702,193호(발명의 명칭 : COLLAPSIBLE BOAT)(1987년), Logan N. Fleckles와 Karen Fleckles가 공동으로 발명한 미국특허 제4,841,899호(발명의 명칭 : KAYAK, FOLDING)(1989년), Joseph J. Totten이 발명한 미국특허 제5,680,828호(발명의 명칭 : KAYAKS)(1997년), Dwight W. Abernethy와 Gordon E. Espeseth가 공동으로 발명한 미국특허 제5,875,731호(발명의 명칭 : COLLAPSIBLE BOAT)(1999년), Raymond M. Gonda가 발명한 미국특허 제5,964,178호(발명의 명칭 : COLLAPSIBLE BOAT WITH ENHANCED RIGIDITY AND MULTI-FUNCTION CHAIR)(1999년), Gregory W. Smikey가 발명한 미국특허 제6,367,405호(발명의 명칭 : FOLDING BOAT)(2002년) 등이 있다.
이러한 첫 번째 범주의 개인용 보트들은 그 외피가 플렉시블한 방수성 소재로 이루어져 조립식 뼈대의 외부에 착탈식으로 씌워질 수 있게 개발된 것이어서, 전통적인 일체형 보트에 비해 운반과 보관이 다소 편리해진 이점이 있지만, 이러한 형태의 대부분은 그 뼈대를 구성하는 프레임의 개수와 종류가 많고 결합구조가 복잡하며, 뼈대를 서로 연결 결합하기 위한 커넥터 등의 구성도 비교적 복잡하여 그 분해조립에 시간이 많이 들고 공구를 사용하지 않고는 사용이 쉽지 않은 문제가 있다. 또한 경성의 뼈대와 유연성의 외피가 서로 이질적인 소재여서 그 상호간의 결합(일체성)이 불완전하며, 아울러 외피의 강도가 뼈대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아 수압을 받는 부위 등에서 보트 안쪽으로 만곡됨으로써 그 만곡부에 의해 물의 저항이 커져 보트로서의 주행성능이 떨어지거나 외피가 날카로운 바위 등에 부딪힐 때 쉽게 찢기는 등 외부 충격에 약한 문제가 있다.
두 번째는 공기를 주입하여 보트형태로 구성하는 공기주입식 보트로서, 이러한 범주에 속하는 기술로는 예컨대 Clayton Forbes Haller와 Charles Prior Hall가 공동으로 발명한 미국특허 제6,065,421호(발명의 명칭: INFLATABLE KAYAK)(2000년)이 있다.
이 기술은 카약을 사용하거나 보관할 때 그 부피와 길이를 크게 줄일 수 있고 카약의 기본 무게도 줄일 수 있으며 공기의 주입과 배출이 쉬운 장점은 있으나, 바람을 불어 넣어 보트의 외부 형상을 만들어야 하는 방식으로는 그 보트가 나아가는 선수(船首)방향은 물론이고 선미(船尾)방향의 형상을 유선형으로 날카롭게 만들기 어렵고, 결국 물의 저항을 많이 받게 되기 때문에 보트로서의 기본 성능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어, 그다지 활발한 기술개발이 꾀하여지고 있지 않다.
세 번째는 보트의 골격을 구성하는 뼈대(프레임)를 사용하는 것 없이 보트 자체를 다수개의 조립식 판형 몸체 부재 상호간을 소정의 결합부재나 부품을 사용하여 조립구성하거나, 보트 본체를 원피스(one piece)의 평판재를 접어 만들되 그 평판재를 보트 형상으로 접은 형태를 유지하기 위한 막 형태의 리테이너(retainer) 같은 부재를 결합하여 사용하는 기술, 또는 한 장의 유연성을 갖는 경성 박판부재, 예컨대 후상술하듯이 경량 고강도의 합성수지재 박판 골판시트(corrugated sheet)를 마치 종이접기하듯 접어 보트를 구성하는 형태의 보트이다.
이러한 세 번째 범주에 속하는 기술로는, 예컨대 Dennis Dowd가 발명한 미국특허 제4,574,725호(발명의 명칭 : COLLAPSIBLE BOAT)(1986년), Frank M. Flgone가 발명한 미국특허 제4,706,597호(발명의 명칭 : SEAMLESS FOLDABLE BOAT)(1987년), Alex R. Kaye가 발명한 미국특허 제4,911,095호(발명의 명칭 : COLLAPSIBLE BOAT WITH REMOVABLE TRANSOM PANEL)(1990년), Stephen E. Wilce가 발명한 미국특허 제6,006,691호(발명의 명칭 : KNOCK-DOWN BOAT ASSEMBLY)(1999년), William S. Scott가 발명한 미국특허 제6,615,762호(발명의 명칭 : FOLDABLE BOAT WITH LIGHT WEIGHT HULL CONSTRUCTION SYSTEM)(2003년), Anton Michael Willis가 발명한 미국특허 제8,316,788호(발명의 명칭 : COLLAPSIBLE KAYAK)(2012년) 등이 있다.
전술한 세 번째 범주의 기술 중에서 특히 본 발명에 따른 절첩식 카누와 관련하여 좀 더 상세히 언급해 둘 필요가 있는 것은 마지막에 언급한 두 건의 미국특허 기술이다.
먼저, 미국특허 제6,615,762호에 개시된 기술을 살펴보면, 이 기술은 절첩식 보트 분야에서 종래와 구분되는 몇 가지 중요한 기술적 특징을 개시하고 있는데, 그것은 무엇보다 보트의 몸체를 이루는 소재를 성형성, 절첩가능성 및 강도를 떨어뜨리는 것 없이 초경량의 박판 경성소재, 즉 고강도 폴리에틸렌, 고밀도 플라스틱 등으로 압출하여 만든 두께 5~6mm 정도의 얇은 골판시트, 예컨대 상표명 HI~Core COROPLASTTM, COREX, PLASTICCORE, BIPLEX 등과 같은 합성수지재 골판시트를 사용하는 점이다. 구체적으로 이 기술에서 사용하는 합성수지재 골판시트(CS)는 도 27(d)에 도시한 것처럼 소정의 간격을 두어 전후면 나란하게 배치된 한 쌍의 평판재(56) 사이를 수직하게 연결하는 다수의 스페이서(57)에 의해 결합한 골판시트이다. 이런 합성수지재 골판시트는 이미 다른 산업분야, 예컨대 이삿짐 포장박스와 같이, 종래 물품 포장박스로 널리 사용되어 공지된 것으로서, 미국특허 제6,615,762호가 이러한 초경량의 골판시트를 보트 소재로 사용하는 것 자체를 특허청구범위로 하고 있는 것은 아니지만, 이러한 골판시트가 물의 영향을 받지 않고, 부식되거나 녹슬지 않으며 찢겨지지 않고 가혹한 외부 환경에 대해 잘 견디는 내후성, 내충격성, 내뚫림성 등이 좋으며 초경량의 고강도 박판 소재특성이 있는 것에 착안하여 조립식 보트 소재로서 그 활용을 제시한 것이다.
이 기술에서는 도 27 (a) ~ (d)에 도시한 것처럼, 보트의 몸체를, 소정의 형상으로 재단된 복수개의 개별 골판시트(CS1)에 몇 개의 절첩용 주름선(50)을 형성해 둠으로써 보트 조립시 이 주름선을 따라 적절하게 접어 이러한 접혀진 골판시트들을 그 폭방향(가로방향) 양단에 소정 링 형상의 가로대(Rib)(R)을 개재하여 나사결합에 의해 서로 연결함으로써 전체적으로 도 27(a)와 같은 연속하는 카약의 몸체를 구성하는 기술을 개시하고 있다. 이런 미국특허 제6,615,762호는 특히 종래와 다르게, 전술한 골판시트가 접혀지는 주름선(절곡 라인)으로 하여금 여러 번 그 주름선을 따라 반복하여 절곡하여도 끊어지지 않는 지속적 힌지(A Living Hinge)로 기능하도록 한 기술로서, 별도의 힌지부품이 필요 없을 뿐만 아니라 이러한 골판시트를 소정의 단위판재 형상으로 재단하는 가공, 그 판재면 내에 나사체결용 구멍과 같은 크고 작은 구멍을 뚫는 타발가공 및 절첩용 주름선을 형성하기 위한 누름가공과 같은 물리적인 가공이 예컨대 단 한 번의 프레스 가공에 의해 일시에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어서 생산성이 좋은 기술로 평가되고 있다.
절첩식 보트를 구성하는 소재로서 이러한 고강도 초경량의 합성수지재 골판시트를 사용한 것을 제시한 기술로는 이 미국특허 제6,615,762호가 세계 최초의 것으로 파악된다. 또한 이 기술은 외피 표면에 인쇄와 같은 시각적 디자인을 적용하기 쉽다는 부수적 효과도 언급되고 있다.
한편, 미국특허 제8,316,788호는 위와 같은 미국특허 제6,615,762호와 마찬가지로 보트의 몸체를 합성수지재 골판시트를 사용하여 만듦으로써 그 기술적 이익을 그대로 향유하고 있지만, 제6,615,762호와 다른 점은, 여러 개로 분할 형성된 단위 골판시트를 결합하여 넓은 면의 보트의 몸체를 만드는 것이 아니라, 단 한 장의 합성수지재 골판시트 내에, 전체적으로 따라 접으면 보트형상이 이루어지도록 디자인된 절첩용 주름선을 미리 형성해 두어, 마치 그 한 장의 합성수지재 골판시트 전체를 종이접기 하듯이 그 주름선을 따라 접고 펴기만 하면 보트가 형성되거나 컴팩트하게 보관용 패키지 형태로 접혀지는 방식의 카약이 소개되고 있는 점이다.
이 미국특허 제8,316,788호 기술에 있어서도 합성수지재 골판시트 내에 디자인된 절첩용 주름선은 그 주름선을 따라 여러 번 반복하여 절곡하여도 끊어지지 않는 소위 지속적 힌지(A Living Hinge)로 기능하는 특성이 그대로 발휘되며, 단일 골판시트 한 장만을 전체적으로 접어 보트 몸체가 이루어지는 것이기에, 전술한 미국특허 제6,615,762호의 특징에 더하여 부품수가 줄어들고 조립과 해체 작업이 간편해졌다고 볼 수 있다.
그러나 여기서 주목해야 할 것은, 먼저 살펴 본 미국특허 제6,615,762호이든 나중에 살펴 본 미국특허 제8,316,788호이든 다같이 '카누'가 아닌 '카약'을 발명의 대상으로 삼고 있는 점이다. 즉, 카약과 카누는 양자 모두 개인용 무동력 소형 보트인 점에서 차이가 없는 것처럼 보이지만, 양자는 역학적 구조면에서 차이가 크기 때문에 이점을 주의하여 살피지 않으면 안된다.
이를 좀 더 상술하면, 카약에는 물에 잠겨져 닿는 측저판(側底板) 부분과, 좌우 측판의 각 상단을 대체로 수평방향으로 편평하게 덮는, 물에 닿지 않는 상부 데크 부분이 연결되게 구비됨으로써, 보트 탑승자가 앉게 되는 조종실(cockpit)(좀 더 엄밀하게 말해 탑승자가 앉아 발을 뻗게 되는 공간 및/또는 그 반대 방향의 공간)은 측저판과 데크에 의해서 둥그렇게 둘러싸이게 되는 밀폐된 튜브(tube) 형상을 이루는 공간이고, 대략 데크의 중앙쯤에 형성되는 조종실(cockpit)의 입구 또한 조종실 내로 물이 들어오는 것을 막기 위해 코밍(coaming) 등이 설치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한편 카누에는 이러한 카약과 달리, 물에 잠기는 측저판만이 구비되고 상부 데크는 구비되지 않는 비(非) 튜브형, 즉 상부 오픈 형 보트이다.
동일한 재료량(단면적 및 면적)을 갖는 얇은 평판형 시트를 그 형상을 변경하여 외력에 대하여 충분히 저항하도록 역학적으로 안정되게 만들려면 그 단면성능(특히, 단면이차모멘트값)이 커지는 형상이 되도록 하여야 하는데(예컨대, 중공철봉(中空鐵棒)은 매달려도 휘어지지 않지만, 같은 재료량의 중실철봉(中實鐵棒)에 매달리면 쉽게 휘어져 버리는 재료역학적 이치), 얇은 합성수지재 골판시트를 사용하여 만들어지더라도, 보트 몸체가 밀폐형 튜브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카약의 경우에는 그 단면이차모멘트 값이 커져 마치 중공철봉처럼 외력에 저항하는 능력이 쉽게 발현되지만, 대부분의 상부면이 오픈되는 형상의 카누는 카약에 비해 그 단면이차모멘트 값이 상대적으로 작기 때문에 골판시트를 재료역학적으로 안정되게 접어 상부 오픈형 카누를 만들기 쉽지 않다. 실험결과 예컨대 길이가 3m ~ 4m, 중앙측 폭이 약 1m 정도 되는 상부 개구형 카누를 얇은 합성수지재 골판시트를 접어 만들 경우, 비록 그 합성수지재 골판시트 자체의 소재 강도, 내구성과 같은 물리적(역학적) 성능이 뛰어나다고 할지라도, 카누 보트로서의 단면성능이 크게 떨어져 보트의 측판이 흐느적거릴 정도로 좌굴(挫屈: buckling)이 일어나는 현상이 생기게 된다.
본 발명자들은, 이러한 이유로 전술한 미국특허 제6,615,762호의 발명자도 또한 미국특허 제8,316,788호의 발명자도 다같이, 경량 박판의 고강도 합성수지재 골판시트를 사용하여 보트를 만들 경우, 그 제조할 수 있는 대상으로 길이방향으로 튜브형 몸체가 만들어지는 카약이 손쉬웠을 것이라 생각한다. 이러한 관점은 미국특허 제6,615,762호에서는 몸체를 이루는 판재가 링형 가로대(Rib)의 전제 바깥 둘레를 둘러쌈으로써 튜브가 만들어지도록 하는 구성에 의해, 또한 미국특허 제8,316,788호에 있어서는 그 특허청구범위 제1항에서, 좌우 패널의 한 쌍의 대향하는 단부가 축방향을 따라 마주보도록 접혀 결합됨으로써 튜브 형상을 이루는 것을 필수적인 구성요소로 삼고 있는 것에 의해, 그 또다른 독립항인 특허청구범위 제22항에서 비록 튜브형상이라는 용어는 사용되고 있지는 않지만, 판넬이 접혀졌을 때 카약의 킬(keel : 배의 밑바닥에서 중심선에 평행으로 걸쳐 선체를 받치는 길고 큰 재목), 외피(hull : 측저판) 및 데크(상부 덮개판)가 일체적으로 형성되는 것을 필수구성요소로 삼고 있는 것에 의해 잘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전술한 바와 같은 고강도의 박판형 합성시트재 골판시트 한 장을 마치 종이접기하듯 접어서 보트의 본체를 구성하되, 역학적으로 안정됨으로써 그 측저판이 좌굴되지 않는 상부개구형(데크부 부재형(不在形)) 보트, 즉 '카누'를 구축할 수 있는 기술이 강구될 필요가 있으며, 본 발명은 그 필요에 부응한 것이다.
본 발명은 이상과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고강도의 박판형 합성시트재 골판시트 단 한 장만을 접어서 데크부가 없는 상부 개구형 카누의 몸체를 구성하되, 카누의 좌우 측저판부가 좌굴됨이 없이 견고하게 카누의 폭방향 형태성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견고하고 유연한 건넬라인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카누의 선수(船首 : bow) 및 선미(船尾 : stem) 부분을 가능한 한 날렵하게(전후방향으로 갈수록 뾰족한 선상(線狀)을 이루도록) 형성함으로써 종래 전통적인 제조방식에 따른 여늬 카누와 다름없이, 카누 특유의 아름다운 선수, 선미 라인을 살림과 아울러 역학적으로 가능한 한 물의 저항을 줄여 보트의 주행성능(직진성, 속도)을 높일 수 있도록 하고, 골판시트 단 한 장만을 접어서 카누를 형성함에 있어서 절첩할 때마다 작동적으로 분리 및 봉합되는 부분이 됨으로써 가장 쉽게 물이 침투될 수 있는 부분인 카누의 선수와 선미 부분의 방수성능을 높일 수 있는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카누 사용시, 카누의 몸체 외측에서 가장 큰 상향의 수압이 작용되는 부분임과 동시에 카누의 몸체 내측에서 탑승자의 체중이 작용하는 부분인 카누 바닥면을 역학적으로 보강하기 위해 그 바닥면 위에 폭방향에 걸쳐지게 추가로 깔려지는 바닥판으로 하여금 카누 몸체의 형태를 유지하는 데에 도움이 될 수 있도록 하고. 나아가 카누 바닥의 역학적 응력(전단응력, 압축응력, 휨응력)을 보강할 수 있으며, 카누 사용을 마치고 그 카누를 컴팩트하게 접어 보관할 때 접힌 카누의 외부를 단정하고 컴팩트하게 둘러싸는 패킹부재로 겸용 사용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부품의 활용도를 높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그밖의 또다른 목적과 이점은 후술하는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의 설명으로부터 잘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본 발명의 일 특징에 따라,
면 내에 사전에 형성해 둔 복수개의 주름선 및 이 복수개의 주름선에 의해 구획되는 다수의 판면을 갖는, 빳빳한(stiff) 한 장의 합성수지재 박판 골판시트를 접어서 만들 수 있는 절첩식 카누로서,
상기 주름선은 상기 합성수지재 박판 골판시트를 소정의 형상으로 접거나 펼칠 때 그 접음과 펼침을 가능하게 하는 지속적 힌지(living hinge)로 기능하며;
상기 소정의 형상은 상기 합성수지재 박판 골판시트가 평판상으로 펼쳐지는 제1형상; 측저판, 선수부 및 선미부를 구비하되 측저판의 좌우 상단 상호간을 수평으로 덮는 데크부가 구비되지 않음으로써 상부 오픈형 카누를 이루는 제2형상; 및 상기 주름선에 의해 구획되는 다수의 판면들을 그 주름선을 따라 사전에 정해진 순서에 따라 서로 근접하도록 전방 또는 후방으로 접을 경우 상기 합성수지재 박판 골판시트는 그 전체로서 컴팩트한 육면체 박스형상으로 접혀지는 제3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첩식 카누에 의해 이루어진다.
또한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라,
상기와 같은 구성에 있어서,
상기 합성수지재 박판 골판시트의 상기 제1형상에서 상기 제2형상의 선수부 및 선미부에 해당하는 부위는 좌우 대칭형의 곡선 절개부를 구비하며, 이 곡선 절개부는 상기 합성수지재 박판 골판시트가 상기 제1형상으로부터 제 2형상으로 변경될 때 지퍼에 의해 작동적으로 봉합됨으로써 상기 선수부 및 선미부가 카누의 길이방향을 향하여 갈수록 뾰족해지는 선상(線狀)의 형상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첩식 카누에 의해 이루어진다.
또한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라,
상기와 같은 구성에 있어서,
상기 지퍼에 의해 작동적으로 봉합되는 좌우 대칭형의 곡선 절개부에는,
그 곡선 절개부 형상으로 재단된 띠재인 방수고무판이 그 절개된 좌우 박판 골판시트의 곡선 절개부 가장자리를 따라 접착되고;
상기 방수고무판의 상면에 소정 면적의 방수천 단부가 접착되며;
상기 방수천 위에 그 절개된 좌우 박판 골판시트의 곡선 절개부 형상을 따라 지퍼가 부착되며;
상기 지퍼 위에 좌우 박판 골판시트, 방수고무판, 방수천 및 지퍼가 일체적으로 결합되도록 꺽쇠못 또는 스테이플러핀이 이들이 접착된 길이방향을 따라 다수개 타설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첩식 카누에 의해 이루어진다.
또한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라,
상기와 같은 구성에 있어서,
상기 합성수지재 박판 골판시트가 제2형상이 되었을 때, 카누의 폭방향으로 그 폭의 내주면에 접하는 적어도 2개 이상의 U자 형상의 가로대가 상기 측저판의 내주면에 착탈식으로 더 장착됨으로써, 상기 상부 오픈형 카누의 폭방향 유선형의 형태성이 견고하게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첩식 카누에 의해 이루어진다.
또한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라,
상기와 같은 구성에 있어서,
상기 카누의 측저판의 바닥면 상에 그 적어도 폭방향 전체 길이에 걸쳐지게 놓여지는 적어도 한 개의 바닥판이 더 구비되되, 이 바닥판은 그 상면이 상기 적어도 하나의 U자 형상의 가로대에 의해 눌려짐으로써 상기 카누의 측저판의 바닥면에 고정되어 카누 바닥의 역학적 성능이 개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첩식 카누에 의해 이루어진다.
또한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라,
상기와 같은 구성에 있어서,
상기 바닥판은 2개이며, 이 각 바닥판은 상기 합성수지재 박판 골판시트가 그 전체로서 컴팩트한 육면체 박스형상으로 접혀지는 제3형상으로 접혀졌을 때, 그 컴팩트한 육면체 박스형상의 외주면을 상하로 나누어 각각 둘러싸는 분할 패키지로 기능할 수 있는 형상과 크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첩식 카누에 의해 이루어진다.
또한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라,
상기와 같은 구성에 있어서,
상기 2개의 바닥판이 상기 제3형상으로 접혀진 상기 합성수지재 박판 골판시트의 외주면을 둘러싸는 2-분할형 외부 패키지로 사용될 때, 이들 2개의 분리된 바닥판 상호간을 박스형상으로 긴결하는 결속버클이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첩식 카누에 의해 이루어진다.
또한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라,
상기와 같은 구성에 있어서,
상기 측저판의 상단 건넬에 그 건넬의 길이방향을 따라 소정 길이의 빳빳한 건넬 캡이 연속하여 장착됨으로써, 건넬의 유선형 라인이 견고하게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첩식 카누에 의해 이루어진다.
또한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라,
상기와 같은 구성에 있어서,
상기 측저판을 이루는 좌우 측면판부의 상단에 삼각형으로 따낸 노치부 또는 요입부가 더 형성되고, 상기 카누의 건넬 라인의 축방향 길이를 조정하기 위해 상기 노치부 또는 요입부를 가로지르는 버클이 더 장착되며, 이 버클을 조임으로써 상기 노치부 또는 요입부가 오무라들게 되어 건넬 라인의 축방향 길이가 줄어듦과 동시에 건넬 라인이 매끈한 유선형을 이루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첩식 카누에 의해 이루어진다.
본 발명은 이상과 같은 구성에 의해, 고강도의 박판형 합성시트재 골판시트 단 한 장만을 손쉽게 접어서 상부 개구형 카누의 몸체를 구성하되, 극히 간단하고 사용이 편리한 최소한의 보조부품(가로대, 바닥판, 건넬)만을 사용하여 좌우 측저판부가 좌굴됨이 없이 견고하게 유선형 몸체 형태성을 유지할 수 있는 상부 개구형 절첩식 카누를 얻을 수 있으며, 골판시트를 접어서 카누를 형성함에 있어서 절첩할 때마다 작동적으로 분리 및 봉합되는 부분인 선수와 선미 부분의 심미성과 방수성 및 주행성능을 높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카누 바닥면을 역학적으로 보강하기 위해 사용하는 가로대 및 바닥판에 의해 손쉽게 카누 몸체의 역학적 형태성을 유지할 수 있는 한편, 특히 바닥판에 의해 카누 사용을 마치고 그 카누를 컴팩트하게 접어 보관할 때, 접힌 카누의 외부를 컴팩트하고 단정하게 둘러싸는 패킹부재로 겸용 사용될 수 있음으로써 제품의 중량을 줄이면서 부품의 활용도를 크게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카누를 펼친 전개도(평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카누를 펼친 전개도(저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카누를 조립 완료했을 때의 측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카누를 조립 완료했을 때의 평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카누를 조립하였을 때 그 형태성을 유지하기 위한 부품 및 패킹(Packing)을 하기 위한 부품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카누를 조립 완료한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7은 대체로 평판형태의 전개상태로부터 카누로 만들기 위해 최초 조립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8은 선미(船尾; stem) 부분의 지퍼를 채워 닫은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9는 가로대를 볼트머리에 끼워서 수직으로 세우는 것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0은 가로대를 카누 건넬 내측에 결합하기 위한 구성을 보여주는 부분확대 사시도이다.
도 11은 각 가로대들을 바닥판 위에 놓이도록 회전시킴으로서 바닥판이 카누 바닥에 견고하게 고정되는 것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카누의 조립시 견고한 카누 형태성을 유지하기 위한 부품들의 체결구성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3은 건넬 상부에 캡을 끼우는 부분확대 상세도 및 한 쌍의 소형 착탈식 데크를 선수부분과 선미부분의 보트 내측에 체결하기 위한 부분 확대 상세도이다.
도 14는 카누 사용이후 한 장의 판으로 된 카누를 접어 보관하기 위한 패키지를 만들기 위한 내측 전개도이다.
도 15 내지 도 25는 각각 카누 사용이후 한 장의 판으로 된 카누를 접어 보관하기 위한 패키지를 만들 때 그 순차적인 접는 과정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6은 본 발명에 따른 절첩식 카누에 있어서 선수(선미)부분의 방수를 도모하기 위한 구성을 도시한 부분 분해사시도이다.
도 27은 소정 형상으로 재단된 복수개의 합성수지재 박판 골판시트를 가로대(Rib)를 개재하여 길이방향으로 연접함으로써 바닥판과 양 측판과 상부 테크가 일체화되어 카약을 구성하는 것을 개시한 미국특허 제6,615,762호 상의 도면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카누를 펼친 전개도(평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카누를 펼친 전개도(저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카누를 조립 완료했을 때의 측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카누를 조립 완료했을 때의 평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4에 의해 알 수 있듯이, 본 발명에 따른 절첩식 카누는 구조적 뼈대를 사용하지 않고 한 장의 경성(硬性) 평판재 합성수지 골판시트(corrugated sheet)를, 그 골판시트 판면 내에 미리 성형해 둔 소정의 절첩선(folding line)을 따라 접어서 카누를 구성할 수 있고, 사용 후에는 그 절첩선을 따라 컴팩트하게 접을 수 있음으로써 그 부피와 길이를 줄여 이송과 보관을 편리하게 할 수 있는 절첩식 카누이다.
본 발명에서 사용할 수 있는 합성수지재 골판재는 미국특허 제6,615,762호에 서 제시된 것처럼, 고강도 폴리에틸렌, 고밀도 플라스틱 등으로 압출하여 만든 두께 5mm ~ 6mm 정도의 얇은 골판시트, 예컨대 상표명 HI~Core COROPLASTTM, COREX, PLASTICCORE, BIPLEX 등과 같은 합성수지재 골판시트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합성수지재 골판시트로 만들어지는 본 발명에 따른 카누는 그 길이가 4 m ~ 5m이고 폭방향 길이가 1m ~ 1.5m 정도일 때 무게는 18kg ~22kg 정도에 불과하다.
도 1에서 실선은 절단선이고, 점선은 접는선이다. 도 1, 도 2에 의해 알 수 있듯이, 전개된 합성수지 골판시트의 전체적인 형상은 전후방향 (길이방향) 및 좌우방향(폭방향) 모두 대칭형이다. 그러나 이러한 전후좌우 대칭형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로서 제시된 것일 뿐 반드시 이에 국한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며, 필요에 따라 좌우방향(폭방향)은 대칭형으로 하되 전후방향(길이방향)은 비대칭형으로 구성하여 것, 예컨대 선수와 선미의 형상을 서로 다르게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며 이러한 선수, 선미부분의 형상 차이가 본 발명 명세서의 전 취지로부터 파악되는 기술사상을 그대로 공유하는 한, 본 발명 범위 내의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에서, 도면부호 ① ~ ⑦은 접는선에 의해 구획되는 각 판면부를 나타내며, 도면부호 11~17은 각 접는선을 구분하여 표기한 번호이다. 도면부호 21~39(분지숫자 포함)는 골판시트로 카누 보트를 구성함에 있어서 카누 보트에 부착되는 부품으로서, 이중에서 21은 가로대(Rib)를 부착하기 위해 골판시트 면에 돌출되게 고정된 볼트머리 또는 돌출머리핀이고(예컨대, 그 확대 도시된 예는 도 10 참조), 22는 카누의 전후 부분(선수, 선미의 내측 상부에 부착하는 착탈식 소형 데크이며, 28은 카누의 판을 접어서 패키지(도 25)를 만들 때 마지막 접기를 용이하게 할 수 하도록 양쪽에 설치한 버클을 나타낸다. 도면부호 29는 보트의 좌우측 가장자리인 건넬(Gunwale)이다.
한편, 도 2에서 도면부호 23은 선미(stem), 선수(bow) 부분의 방수를 도모하기 위해 좌우로 절개된 형상의 대칭부 전체에 공통으로 걸쳐지게 구비되는 방수천으로, 지퍼를 닫았을 때 그 지퍼 안쪽(선미, 선수의 보트 내부 쪽)으로 모아져 수용된다.
도면부호 24는 선미, 선수 부분의 절단된 판의 곡선부를 상호 맞닿게 닫아주는 지퍼로서, 본 발명에서 지퍼는 벨크로, 버클, 스넵단추 등으로 대체될 수도 있다.
도면부호 25는 선미, 선수부분의 지퍼마감을 보트의 외부에서 바라볼 때 보이지 않게 가려주는 한편 지퍼의 결합력을 보충하여 지퍼가 벌어지지 않도록 도와주며, 날렵한 선미, 선수의 곡선부가 외부에 충돌하더라도 보호될 수 있도록 탄성적으로 인장 장착되는 최외측 고무커버이다. 이 고무커버(25)는 또한 방수에도 도움이 되는 구성으로서, 도시된 것처럼, 그 일단은 보트의 선미(선수)측 외측 중앙 저면에 부착 고정되고 그 타단은 자유단으로서, 카누의 선수(선미)가 조립 완료되어 납렵한 선단을 형성한 이후에, 그 자유단인 타단을 선수(선미)의 날렵하고 유연한 모서리 곡선을 감싸 타고 넘어가도록 탄성적으로 상향 인장된 다음 선수(선미) 상단의 돌출고리(미도시) 등에 작동적으로 걸어 고정됨으로서, 팽팽하게 탄성적으로 인장된 상태로 체결된다. 한편 이 고무커버(25)는 그 색상을 적절히 선택함으로써 카누 외관에 미장적인 강조 포인트로 활용될 수도 있다.
한편, 전술한 방수천(23) 및 지퍼(24)을 포함하여, 절단된 좌우판의 곡선부를 작동적으로 수밀하게 여닫아주는 선미부, 선수부의 구성을 도 26을 참조하여 좀 더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즉, 도 26은 본 발명에 따른 절첩식 카누에 있어서 선수(선미) 부분의 방수를 효과적으로 도모하기 위한 구성을 도시한 분해사시도로서, 절단된 좌우판의 곡선부 형상으로 재단된 띠재인 방수고무판(60)이 접착재(미도시)에 의해 그 절단된 좌우판의 곡선부를 따라 접착되고, 이 방수고무판(60)의 상면에 다시 접착재(미도시)를 매개로 소정 면적의 방수천(23) 단부가 접착된다. 또한 이 방수천(23) 위에 다시 접착제(미도시)를 매개로, 절단된 좌우판의 곡선부 형상을 따라 지퍼(24)가 부착되며, 이 지퍼(24) 위에 전술한 좌우 판면 본체(⑦), 방수고무판(60), 방수천(23) 및 지퍼(24)가 일체적으로 결합되도록 꺽쇠못 또는 스테이플러핀(61)이 이들 접착된 길이방향을 따라 다수개 타설됨으로써 이들의 선수부 좌우 판면 본체에 대한 부착 결합 및 방수성능이 견고해진다. 도면부호 62는 지퍼(24) 위에 박힌 꺽쇠못 또는 스테이플러핀(61)을 시각적으로 가림과 아울러 선수부의 곡선모양을 부각시키기 위한 최종 막음커버로서 접착재(미도시)에 의해 지퍼 상면에 부착된다.
본 발명의 목적 중의 하나는, 카누의 선수 및 선미 부분을 가능한 한 날렵하게(전후방향쪽으로 뾰족한 선상(線狀)을 이루도록) 형성함으로써 종래 전통적인 제조방식에 따른 여늬 카누와 다름없은 카누 특유의 아름다운 선수, 선미 라인을 살림과 아울러, 역학적으로 가능한 한 물의 저항을 줄여 보트의 주행성능(직진성, 속도)을 높일 수 있도록 하고, 또한 골판시트 단 한 장만으로 절첩식 카누를 형성함에 있어서 절첩할 때마다 작동적으로 분리 및 봉합되는 부분이 됨으로써 가장 쉽게 물이 침투될 수 있는 부분인 카누의 선수와 선미 부분의 방수성능을 높일 수 있도록 하는 것인데, 이러한 본 발명의 목적은 전술한 바와 같은 절단된 판의 곡선부의 구성, 지퍼에 의한 작동적 개폐구성 및 절단된 판의 곡선부 가장자리를 따라 여려겹 필요구성요소들(28, 23, 24)이 견고하고 일체화되게 장착 결합되는 구성에 의해 효과적으로 달성될 수 있다.
다시 도 2로 돌아와 미설명 도면부호를 설명하면, 도면부호 26은 카누 조립시, 좌우 두 쪽으로 부착 형성된 것이 서로 만나 결합되는 한 쌍의 분할 데크(22)를 상호 결합하기 위한 버클을 나타낸다.
본 발명은 한 장의 평판을 접어 3차원 형상의 카누를 만드는 것으로서, 특히 조립시 연속적으로 곡선형상이 부드럽게 유선형으로 변하는 건넬 라인(Gunwale Line)을 제대로 형성하기 위하여 측면판부에 대략 삼각형으로 따낸 노치부 또는 요입부를 형성하는데, 도면부호 27은 이러한 이유로 형성된 노치부 또는 요입부와 관련하여 카누의 측면 상부 건넬 라인의 축방향 길이를 조정하기 위한 버클을 나타낸다. 이 버클(27)을 조임으로써 삼각형 노치부 또는 요입부가 오무라들어 건넬 라인의 축방향 길이가 줄어듦과 동시에 건넬 라인이 매끈한 유선형을 이룰 수 있게 된다. 이 버클은 이외에도 지퍼, 벨크로 등으로 대체될 수도 있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카누를 조립할 때, 그 형태성을 변형없이 유지하기 위한 부품 및 사용후 패킹(Packing)하기 위한 부품을 함께 도시한 도면으로, 도면 부호 41은 U자형상의 제1가로대(Rib#1)(1개로서 도 1에 도시된 21-1의 볼트머리에 결합됨), 도면부호 42는 동일한 형상의 제2가로대(Rib#2)(2개로서 도 1에 도시된 21-2의 볼트머리에 결합됨), 도면부호 43은 동일한 형상의 제3가로대(Rib#3)(2개로서 도 1에 도시된 21-3의 볼트머리에 결합됨)을 나타내며, 이들 가로대가 카누 내측에 창작되는 상태는 도 6, 도 9, 도 10 및 도 11에 잘 도시되어 있다.
본 발명에서 가로대는 카누의 좌우 판넬면 내측에 착탈식으로 고정되는 부재로서, 카누 보트의 좌우 폭방향의 유선형(카누의 길이방향을 따라 카누 폭방향의 배부름이 유연하게 유선형으로 변하는 형태성)을 견고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중추적인 부품이며, 그 U자 형상은 카누의 폭방향 내측 크기 및 형상에 부합하는 크기및 형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이러한 가로대의 형상, 장착 위치와 개수 등은 카누의 설계에 따라 가변될 수 있는 것으로서, 전술한 위치와 개수에 국한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다.
도면부호 44는 건넬 라인을 따라 건넬 상부에 체결되는 건넬 캡(Gunwale Cap)으로서, 본 발명에서 이 건넬 캡은 본 발명이 단일 판재를 절곡하여 튜브형 카약이 아닌, 단면이차모멘트값이 상대적으로 작은 상부 개구형 카누를 형성함에 있어서, 카누의 부드러운 유선형의 형태성을 견고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요소라는 측면에서 전술한 가로대와 함께 역학적으로 의미 있는 기능을 담당한다. 즉, 건넬 캡(44)은 강성(stiffness)이 큰 단면 디귿자 형상의 길이방향 부재로서, 그 다수개가 건넬 라인을 따라 연속하여, 또한 전술한 좌우 한 쌍으로 연결된 데크의 전면 에 삽입 체결됨으로써 건넬의 유연하고 견고한 곡선을 구현한다(도 12, 도 13). 이 건넬 캡(44)은 건넬(29)에 대하여 그 길이방향을 따라 연속하여 체결될 때, 특히 전술한 삼각형 노치부 또는 요입부가 버클(27)에 의해 조여져 오므라지는 부분(이 부분은 일체성이 훼손된 역학적 취약부라고 할 수 있음)이 가능한 한 그 건넬 캡의 길이방향 중앙 쪽에 수용될 수 있도록 그 길이의 모듈이 사전에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면부호 45는 H-Cap으로서, 카누 조립시 선미, 선수부의 보트 안쪽에 각각 두 쪽이 결합되어 구성되는 소형 데크부의 맞댐부 사이를 결합하여 데크의 뒤틀림을 방지하는 요소이다(도 12, 도 13). 데크(22)는 그 각 선단부는 H-Cap의 상하 플렌지 사이의 좌우측 웹(web)부에 각각 끼워져 결합된 후 폭방향 전면 선단부에 건넬이 장착된다(도 12). 한편, 본 발명에서 전술한 데크(22)는 미국특허 제8,316,788호에 개시된 카약 성형시의 데크와는 전혀 다른 것으로서, 미국특허 제8,316,788호에 개시된 데크는 판재로부터 절곡되어 판재의 다른 부분과 일체적으로 형성되는 비교적 넓은 면적의 몸체부재(튜브형성에 일조하는 요소)이지만, 본 발명에서의 데크(22)는 골판시트 판재로부터 일체적으로 절곡되어 형성되는 요소가 아니라 별개의 부품으로 제조되어 판재에 사후적으로 체결되어 형성되는 소형의 것으로서, 좌우 분할되어 지퍼 등으로 결합되는 보트 전후의 선미, 선수부분의 뒤틀림 또는 그 좌우측으로의 벌어짐 등을 방지하기 위하여 구비되는 부가적 요소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면부호 46은 바닥판(Floor Board)으로서, 본 발명에서는 카누 몸체를 이루는 골판시트와 동일한 소재로 2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카누의 바닥 및 양 측판 일부에 걸쳐 꼭 들어맞게 밀착될 수 있도록 적절한 곡률의 절첩 주름선이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는 카누 사용시, 카누의 몸체 외측에서 가장 큰 상향의 수압이 작용되는 부분임과 동시에 카누의 몸체 내측에서 탑승자의 체중이 작용하는 부분인 카누 바닥면을 역학적으로 보강하기 위해 그 바닥면 위에 폭방향으로 걸쳐지게 추가로 깔려지는 이 바닥판(46)으로 하여금 카누 몸체의 역학적 형태성을 유지하는 데에 도움이 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카누의 재하(載荷) 공간인 카누 바닥의 두께를 키우는 결과로 되어 그 바닥의 역학적 응력(예컨대, 압축응력, 전단응력)을 보강한다. 한편 이 바닥판(46)은 카누 사용을 마치고 그 카누를 컴팩트하게 접어 보관할 때 접힌 카누의 외부를 단정하고 컴팩트하게 둘러싸는 패킹부재로 겸용 사용될 수 있다(도 23 내지 도 25). 이러한 측면에서 본 발명에서 바닥판(22)은 극히 간단한 형상이면서도 카누와 동일한 소재의 적은 개수만으로 본 발명의 목적 중의 하나를 달성하는 중요한 역할을 한다. 바닥판(46)은 카누 내부에서 카누 바닥 위에 밀착되게 깔려진 후 제1가로대(41)와 제3가로대(43)가 이 바닥판의 길이방향 양단측에 끼워지고 제2가로대(42)가 바닥판의 상면을 누르도록 설치됨으로써 고정된다(도 6, 도 9). 그러나 이러한 바닥판(46)와 가로대(41~43) 상호간의 위치관계는 본 발명의 본질과 직접적으로 관련이 있는 것은 아니며, 이 또한 가변될 수 있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면부호 47은 탑승자가 깔고 앉는 좌석(Seat)으로서, 제2가로대(42)와 제3가로대(43) 위에 걸쳐지게 설치되며 버클(미도시)로 고정된다(도 6).
도면부호 48은 벨트(Belt)로서, 카누 보관시 카누를 패키지(Package)로 감싸는 바닥판(46)의 고리에 걸어 어깨끈으로 활용될 수 있다(도 24, 도 25).
도면부호 49는 부품 보관용가방으로 가로대(41~43), 건넬 캡(44)을 휴대하는 가방이다.
도 6은 이상과 같은 구성에 따라 구축되는 본 발명에 따른 카누의 조립된 상태의 일 예를 대표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7 내지 도 13은 이러한 도 6에 도시한 것과 같은 카누의 구축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필요도면들이다. 도 7 내지 도 13에 도시된 것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절첩식 카누의 조립과정 내지 조립구성을 좀 더 부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7은 최초 조립도로서 중앙의 접는선(11, 14, 16)을 이용하여 판을 길게 접고, 방수천(23)을 카누 내측으로 접어 넣어 지퍼 체결시 지퍼 이빨에 걸리지 않도록 한다. 도 8은 선미부분의 지퍼가 채워진 상태를 도시한 것으로서, 이때 방수천은 안쪽으로 카누 내측으로 밀어 넣어져 수용된다. 도 9는 제3가로대(43)를 볼트머리(21-3)에 끼워 회동함으로써 수직으로 세우는 것을 도시함과 아울러 두 개의 바닥판(46)이 제3가로대(43) 사이에 붙여져 놓여지는 것이 도시되어 있다. 가로대(43)의 볼트머리(21-3)에 대한 고정 구조는 도 10에 확대 도시되어 있듯이, 가로대(43)에는 예컨대 열쇠구멍 모양의 홈이 있고 큰 구멍에 볼트 머리(21-3)를 끼워 밀어서 움직이지 않게 한 후, 가로대를 볼트머리를 중심으로 회전시켜 카누 바닥에 수직이 되도록 하여 두 개의 바닥판 사이에 놓여진다. 도 11은 제1가로대(41)를 볼트머리(21-1)에 끼워 카누 바닥에 수직이 되도록 회전하고 이어서 제2가로대(42)를 볼트머리(21-2)에 끼워 바닥판(46) 위에 놓이도록 회동함으로써 바닥판(46)이 견고하게 카누 바닥에 고정되는 것이 도시되어 있다. 다음으로 도 12는 보트 측면의 버클(27) 8개를 차례로 당겨서 카누의 전체 모양이 유선형의 부드러운 곡선을 이루도록 조정하는 것이 도시되어 있고, 건넬 캡을 건넬 위에 맞게 끼워서 고정하여 건넬 라인의 견고하고 유연한 형태성을 유지하는 것, 한 쌍의 데크 사이에 H-Cap(45)을 길이방향으로 끼워 맞춘 후 버클(26)로 조이고 그 선단부에 폭방향으로 건넬 캡이 끼워져 데크가 평평하게 맞춰져 고정되는 것, 좌석(47)을 제2가로대와 제3가로대 사이에 걸치고 아래로 버클(미도시)을 채워 고정하는 것 및 선미의 외측에 고무커버(25)를 당겨 선미부 전체를 탄성적으로 덮는 등의 구성이 도시되어 있다. 도 13은 건넬 상부에 건넬 캡을 끼우는 확대 상세도 및 한 쌍의 데크를 붙이기 위해 사용하는 H-Cap 확대 상세도가 도시되어 있다. 한편 도 12에 도시되었듯이 한 쌍의 데크를 직선으로 연결하는 부분에도 건넬 캡이 사용된다.
다음으로 도 14 내지 도 25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절첩식 카누를 그 사용 이후 운송 및 보관하기 쉽게 하기 위하여 컴팩트하게 패킹하는 과정을 간단히 설명한다.
도 14은 한 장의 판으로 된 카누를 패키지하기 위한 내측 전개도이다. 도 14, 도 15에 도시되었듯이, 접는선(15)을 안쪽으로 접은 후, 접는선(17)을 바깥쪽으로 접고, 도 16과 같이 접는선(11)과 접는선(14)을 기준으로 전체를 안쪽으로 접는다. 이어서 도 17과 같이 접는선(13)을 바깥쪽으로 접으면서 판면(6)(7)을 안쪽으로 당긴 후 도 18에 도시된 것처럼 접는다. 도 19와 같이 판면(1)이 양쪽으로 마주보게 덮이도록 접고, 도 20과 같이, 판면(1)의 끝 쪽에 있는 버클(28)로 우선 한쪽만 임시 고정하고, 도 21에 도시된 것처럼 반대편의 접는선(13)을 따라 바깥쪽으로 접으면서 판면(6)(7)을 안쪽으로 당긴다. 도 22와 같이 새로 당긴 쪽의 판면(1) 끝에 있는 버클(28)로 고정하고 양쪽 버클을 필요한 만큼 더 조여당겨 패키지 모양을 컴팩트하고 단정하게 조정한다. 도 23에는 바닥판(46) 중 고리가 달리지 않은 것을 접혀진 카누 패키지의 아래쪽에 덮고 고리가 달린 바닥판(46)을 카누 패키지의 위쪽을 덮는 것이 도시되어 있다. 도 24는 바닥판(46)에 부착된 버클을 이용하여 카누가 최종적으로 조립된 패키지 모양을 완성하고 벨트(48)를 고리에 걸어 어깨에 매어 휴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도 25 패키지 완성도로서 도시되어 있다. 한편 가로대 등의 부품(41~49)은 별도의 휴대용 백(49)에 넣어 휴대한다.
① ~ ⑦ : 접는선에 의해 구획되는 판면들
11 ~ 17 : 접는선
22 : 탈착식 데크 26, 27, 28 : 버클
29 : 건넬(Gunwale) 23 : 방수천
24 : 지퍼 25 : 고무커버
41, 42, 43 : 가로대 44 : 건넬 캡
45 : H-Cap 46 : 바닥판
47 : 좌석 48 : 벨트
49 : 부품 보관용 백 60 : 방수고무판
61 : 꺽쇠못 또는 스테이플러핀

Claims (9)

  1. 면 내에 사전에 형성해 둔 복수개의 주름선 및 이 복수개의 주름선에 의해 구획되는 다수의 판면을 갖는, 빳빳한(stiff) 한 장의 합성수지재 박판 골판시트를 접어서 만들 수 있는 절첩식 카누로서,
    상기 주름선은 상기 합성수지재 박판 골판시트를 소정의 형상으로 접거나 펼칠 때 그 접음과 펼침을 가능하게 하는 지속적 힌지(living hinge)로 기능하며;
    상기 소정의 형상은 상기 합성수지재 박판 골판시트가 평판상으로 펼쳐지는 제1형상; 측저판, 선수부 및 선미부를 구비하되 측저판의 좌우 상단 상호간을 수평으로 덮는 데크부가 구비되지 않음으로써 상부 오픈형 카누를 이루는 제2형상; 및 상기 주름선에 의해 구획되는 다수의 판면들을 그 주름선을 따라 사전에 정해진 순서에 따라 서로 근접하도록 전방 또는 후방으로 접을 경우 상기 합성수지재 박판 골판시트는 그 전체로서 컴팩트한 육면체 박스형상으로 접혀지는 제3형상이며;
    상기 합성수지재 박판 골판시트가 상기 제2형상이 되었을 때, 카누의 폭방향으로 그 폭의 내주면에 접하는 적어도 2개 이상의 U자 형상의 가로대가 상기 측저판의 내주면에 밀착되도록 착탈식으로 더 장착되어 상기 상부 오픈형 카누의 폭방향 유선형의 형태성이 유지되고;
    상기 측저판의 상단 건넬(29)에 그 건넬의 길이방향을 따라 소정 길이의 빳빳한 건넬 캡(44)이 연속하여 장착되어 카누의 길이방향 전체에 걸쳐 건넬의 유선형 라인이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첩식 카누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첩식 카누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합성수지재 박판 골판시트의 상기 제1형상에서 상기 제2형상의 선수부 및 선미부에 해당하는 부위는 좌우 대칭형의 곡선 절개부를 구비하며, 이 곡선 절개부는 상기 합성수지재 박판 골판시트가 상기 제1형상으로부터 제 2형상으로 변경될 때 지퍼에 의해 작동적으로 봉합됨으로써 상기 선수부 및 선미부가 카누의 길이방향을 향하여 갈수록 뾰족해지는 선상(線狀)의 형상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첩식 카누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지퍼에 의해 작동적으로 봉합되는 좌우 대칭형의 곡선 절개부에는,
    그 곡선 절개부 형상으로 재단된 띠재인 방수고무판(60)이 그 절개된 좌우 박판 골판시트의 곡선 절개부 가장자리를 따라 접착되고;
    상기 방수고무판(60)의 상면에 소정 면적의 방수천(23) 단부가 접착되며;
    상기 방수천(23) 위에 그 절개된 좌우 박판 골판시트의 곡선 절개부 형상을 따라 지퍼(24)가 부착되며;
    상기 지퍼(24) 위에 좌우 박판 골판시트, 방수고무판(60), 방수천(23) 및 지퍼(24)가 일체적으로 결합되도록 꺽쇠못 또는 스테이플러핀(61)이 이들이 접착된 길이방향을 따라 다수개 타설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첩식 카누
  4. 삭제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카누의 측저판의 바닥면 상에 적어도 그 폭방향 전체 길이에 걸쳐지게 놓여지는 적어도 한 개의 바닥판(46)이 더 구비되되, 이 바닥판은, 그 상면이 상기 적어도 하나의 U자 형상의 가로대에 의해 눌려짐으로써 상기 카누의 바닥면 위에 밀착 고정되어 측저판 바닥의 역학적 성능이 개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첩식 카누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바닥판은 2개이며, 이 각 바닥판은 상기 합성수지재 박판 골판시트가 그 전체로서 컴팩트한 육면체 박스형상으로 되는 제3형상으로 접혀졌을 때, 그 컴팩트한 육면체 박스형상의 외주면을 상하로 나누어 둘러싸는 2-분할형 패키지로 기능할 수 있는 형상과 크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첩식 카누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2개의 바닥판(46)은, 상기 제3형상으로 접혀진 상기 합성수지재 박판 골판시트의 외주면을 둘러싸는 2-분할형 패키지로 사용될 때, 이들 2개의 분리된 바닥판 상호간을 박스형상으로 결속하는 결속버클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첩식 카누
  8. 삭제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측저판을 이루는 좌우 측면판부의 상단에 삼각형으로 따낸 노치부 또는 요입부가 더 형성되고, 상기 카누의 건넬 라인의 축방향 길이를 조정하기 위해 상기 노치부 또는 요입부를 가로지르는 버클(27)이 더 장착되며, 이 버클을 조임으로써 상기 노치부 또는 요입부가 오무라들게 되어 건넬 라인의 축방향 길이가 줄어듦과 동시에 건넬 라인이 매끈한 유선형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첩식 카누
KR1020130145980A 2013-11-28 2013-11-28 절첩식 카누 KR101368334B1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45980A KR101368334B1 (ko) 2013-11-28 2013-11-28 절첩식 카누
JP2016556232A JP2016538198A (ja) 2013-11-28 2014-11-19 折畳式カヌー
CN201480024566.6A CN105164013B (zh) 2013-11-28 2014-11-19 可折叠式轻舟
PCT/KR2014/011115 WO2015080423A1 (ko) 2013-11-28 2014-11-19 절첩식 카누
US14/787,015 US9815523B2 (en) 2013-11-28 2014-11-19 Foldable canoe
US15/806,967 US10472021B2 (en) 2013-11-28 2017-11-08 Foldable cano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45980A KR101368334B1 (ko) 2013-11-28 2013-11-28 절첩식 카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68334B1 true KR101368334B1 (ko) 2014-03-12

Family

ID=506471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45980A KR101368334B1 (ko) 2013-11-28 2013-11-28 절첩식 카누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9815523B2 (ko)
JP (1) JP2016538198A (ko)
KR (1) KR101368334B1 (ko)
CN (1) CN105164013B (ko)
WO (1) WO2015080423A1 (ko)

Cited B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23465B1 (ko) * 2014-04-14 2015-05-28 윤동환 휴대용 접이식 보트
KR101523464B1 (ko) * 2014-04-14 2015-05-28 윤동환 휴대용 접이식 보트
CN105730615A (zh) * 2016-03-21 2016-07-06 刘石全 船用浮筒的制造方法
KR20160081661A (ko) * 2014-12-31 2016-07-08 주식회사 이지티 조립식 보트
CN105799861A (zh) * 2016-03-21 2016-07-27 刘石全 浮筒的制造方法
CN105836044A (zh) * 2016-03-21 2016-08-10 刘石全 浮筒的制造方法
WO2016187104A1 (en) * 2015-05-15 2016-11-24 Oru Kayak, Inc. Collapsible kayak with large cockpit
FR3036370A1 (fr) * 2015-05-22 2016-11-25 Benoit Nageleisen Architecture navale textile dynamique et demontable
KR20180037537A (ko) * 2016-10-04 2018-04-12 주식회사 마이카누 절첩식 보트
KR101937451B1 (ko) * 2017-05-31 2019-01-11 한광희 접이식 이중 스킨 구조의 선체
US10843772B2 (en) 2018-06-26 2020-11-24 Oru Designs, Llc Collapsible watercraft with tandem and single-seat configurations
KR20220029564A (ko) * 2019-05-14 2022-03-08 오루 카약 인코포레이티드 접을 수 있는 선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BE1023527B1 (nl) * 2015-10-01 2017-04-21 Onak Bvba Vouwbare vaartuigen
CN107792311A (zh) * 2016-08-30 2018-03-13 福建爱的电器有限公司 分段式划水板
CN109159867B (zh) * 2018-10-23 2023-09-01 应急管理部上海消防研究所 一种可折叠大刚度充气式救生筏及应用方法
CN111452920A (zh) * 2020-05-27 2020-07-28 鲁炯 便携轻舟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568444B2 (en) * 2006-08-07 2009-08-04 Trak Kayaks (Barbados) Ltd. Folding kayak
US20120073491A1 (en) * 2006-06-22 2012-03-29 Matteo Signorini Collapsible boat formed from releasably connected laminar panels
US8316788B2 (en) * 2009-07-21 2012-11-27 Anton Michael Willis Collapsible kayak
US20130233234A1 (en) * 2012-03-08 2013-09-12 Michael A. Crumpton Collapsible kayak apparatus and method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880429A (en) * 1955-07-18 1959-04-07 Glenn C Henry Collapsible boats
JPS5143272B2 (ko) * 1972-04-20 1976-11-20
JPS4939195U (ko) * 1972-07-06 1974-04-06
DK160976C (da) * 1983-02-01 1991-11-04 Alex R Kaye Lille baad med et sammenfoldeligt skrog og med loefteklapper til loeftning af haekken under fart fremad
JPS6178089U (ko) * 1984-10-29 1986-05-24
CN1159170A (zh) * 1995-07-28 1997-09-10 大丸机工株式会社 可携带折叠船
US6006691A (en) * 1997-07-11 1999-12-28 Wilce; Stephen E. Knock-down boat assembly
US6615762B1 (en) * 2001-08-23 2003-09-09 William S. Scott Foldable boat with light weight hull construction system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20073491A1 (en) * 2006-06-22 2012-03-29 Matteo Signorini Collapsible boat formed from releasably connected laminar panels
US7568444B2 (en) * 2006-08-07 2009-08-04 Trak Kayaks (Barbados) Ltd. Folding kayak
US8316788B2 (en) * 2009-07-21 2012-11-27 Anton Michael Willis Collapsible kayak
US20130233234A1 (en) * 2012-03-08 2013-09-12 Michael A. Crumpton Collapsible kayak apparatus and method

Cited By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23464B1 (ko) * 2014-04-14 2015-05-28 윤동환 휴대용 접이식 보트
KR101523465B1 (ko) * 2014-04-14 2015-05-28 윤동환 휴대용 접이식 보트
KR20160081661A (ko) * 2014-12-31 2016-07-08 주식회사 이지티 조립식 보트
KR101667919B1 (ko) 2014-12-31 2016-10-21 주식회사 이지티 조립식 보트
US10086909B2 (en) 2015-05-15 2018-10-02 Oru Kayak, Inc. Collapsible kayak with large cockpit
KR102012119B1 (ko) 2015-05-15 2019-08-19 오루 카약 인코포레이티드 큰 조종석을 갖는 접이식 카약
US10322774B2 (en) 2015-05-15 2019-06-18 Oru Designs, Llc Collapsible kayak with large cockpit
WO2016187104A1 (en) * 2015-05-15 2016-11-24 Oru Kayak, Inc. Collapsible kayak with large cockpit
KR20180025861A (ko) * 2015-05-15 2018-03-09 오루 카약 인코포레이티드 큰 조종석을 갖는 접이식 카약
FR3036370A1 (fr) * 2015-05-22 2016-11-25 Benoit Nageleisen Architecture navale textile dynamique et demontable
CN105836044A (zh) * 2016-03-21 2016-08-10 刘石全 浮筒的制造方法
CN105799861A (zh) * 2016-03-21 2016-07-27 刘石全 浮筒的制造方法
CN105730615A (zh) * 2016-03-21 2016-07-06 刘石全 船用浮筒的制造方法
KR20180037537A (ko) * 2016-10-04 2018-04-12 주식회사 마이카누 절첩식 보트
KR101929470B1 (ko) * 2016-10-04 2018-12-31 주식회사 마이카누 절첩식 보트
KR101937451B1 (ko) * 2017-05-31 2019-01-11 한광희 접이식 이중 스킨 구조의 선체
US10843772B2 (en) 2018-06-26 2020-11-24 Oru Designs, Llc Collapsible watercraft with tandem and single-seat configurations
KR20220029564A (ko) * 2019-05-14 2022-03-08 오루 카약 인코포레이티드 접을 수 있는 선박
US11541971B2 (en) 2019-05-14 2023-01-03 Oru Kayak, Inc. Collapsible watercraft
KR102631566B1 (ko) * 2019-05-14 2024-02-01 오루 카약 인코포레이티드 접을 수 있는 선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5164013A (zh) 2015-12-16
CN105164013B (zh) 2018-03-09
US9815523B2 (en) 2017-11-14
JP2016538198A (ja) 2016-12-08
WO2015080423A1 (ko) 2015-06-04
US20160257378A1 (en) 2016-09-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68334B1 (ko) 절첩식 카누
US6615762B1 (en) Foldable boat with light weight hull construction system
US7854211B2 (en) Portable boat in nesting sections, with waterproof fabric cover incorporating a stabilizing keel
US10259535B2 (en) Collapsible kayak with large cockpit
US20100050922A1 (en) Portable collapsible boat
US5964178A (en) Collapsible boat with enhanced rigidity and multi-function chair
JP2020530826A (ja) 膨張式船舶とその製造方法
US9808072B2 (en) Kayak backpack
US10472021B2 (en) Foldable canoe
US20080314308A1 (en) Kick boat
US3748670A (en) Foldable boat
US5615634A (en) Collapsible boat with enhanced rigidity
KR101929470B1 (ko) 절첩식 보트
EP2035272B1 (en) Collapsible boat formed from releasably connected laminar panels
US20070044700A1 (en) Outrigger canoe and kit for making the same
US6283058B1 (en) Foam plastic boat and method of manufacturing same
KR101740232B1 (ko) 휴대용 조립식 보트
US20230100528A1 (en) Boat shells with waterproof layer therebetween
KR20140099142A (ko) 합성수지 시트를 이용한 롤업 구조의 소형 보트
GB2390573A (en) Kit of parts to form a boat hull
KR101541724B1 (ko) 접이식 카약
JPS5845754Y2 (ja) ボデイボ−ド
FR2611645A1 (fr) Dispositif formant une coque rigide et pliable pour bateau pneumatiqu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0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1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10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