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67907B1 - 도어 잠금 장치 - Google Patents

도어 잠금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67907B1
KR101367907B1 KR1020120049635A KR20120049635A KR101367907B1 KR 101367907 B1 KR101367907 B1 KR 101367907B1 KR 1020120049635 A KR1020120049635 A KR 1020120049635A KR 20120049635 A KR20120049635 A KR 20120049635A KR 101367907 B1 KR101367907 B1 KR 10136790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ck pin
slide guide
guide
pair
protru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496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125962A (ko
Inventor
구대화
Original Assignee
(주)엔티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엔티텍 filed Critical (주)엔티텍
Priority to KR10201200496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67907B1/ko
Publication of KR201301259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2596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679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6790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7/00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 E05B47/02Movement of the bolt by electromagnetic means; Adaptation of locks, latches, or parts thereof, for movement of the bolt by electromagnetic means
    • E05B47/026Movement of the bolt by electromagnetic means; Adaptation of locks, latches, or parts thereof, for movement of the bolt by electromagnetic means the bolt moving rectilinearly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7/00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 E05B47/0001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with electric actuators; Constructional features thereof
    • E05B47/0012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with electric actuators; Constructional features thereof with rotary electromoto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7/00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 E05B47/0001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with electric actuators; Constructional features thereof
    • E05B2047/0014Constructional features of actuators or power transmissions therefor
    • E05B2047/0018Details of actuator transmissions
    • E05B2047/0024Cam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Main Body Construction Of Washing Machines And Laundry Dry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도어 잠금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세탁기, 건조기 등의 가전제품에 사용되는 도어 잠금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도어 잠금 장치는, 상측면에 편심돌기가 마련되며, 하측면 중심에 체결되는 모터에 의해 회전하는 캠; 판상의 후단부에, 편심돌기의 직경과 동일한 전후방향 폭을 가지고 좌우방향으로 장공형상을 이루는 계합홀이 마련되어, 편심돌기와 상하방향으로 계합되어 전후왕복 운동하는 슬라이드 가이드; 슬라이드 가이드의 전단부에 체결되며, 도어 또는 도어 지지부 중 일방에 마련되는 락핀 홀과 대향하여, 전진 동작으로 잠금 동작을 하며 후진 동작으로 잠금해제 동작을 하는 락핀; 및 수용 공간을 형성하며, 전단부의 내측면이 슬라이드 가이드의 전단부 외측면 및 락핀의 중간부 외측면과 동일 형상으로 접촉되어, 슬라이드 가이드 및 락핀의 동작을 직선운동으로 규제하는 케이스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도어 잠금 장치는 락핀의 잠금 및 해제 동작이 상하좌우 유동 없이 정확한 직선 운동을 할 수 있도록 하여, 원활한 잠금 및 해제를 도모하는 한편, 도어 잠금 장치의 손상 및 파손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도어 잠금 장치{APPARATUS FOR LOCKING DOOR}
본 발명은 도어 잠금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세탁기, 건조기 등의 가전제품에 사용되는 도어 잠금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세탁기나 건조기 등의 개폐되는 도어를 구비한 장치는, 운전 중에 도어가 열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폐쇄 상태에서 도어를 잠그도록 되어 있다. 종래의 도어 잠금 장치로서 모터 등의 구동원에 의해 락핀(lock pin) 등의 잠금 부재를 전후왕복 이동시켜 락핀 홀(lock pin hole)에 계합되는 것이 사용되고 있다.
하지만, 구동력을 제공하는 모터의 회전운동을 전후왕복 이동시키는 직선운동으로 변환하기 위해 편향돌기를 구비하는 원판캠을 사용하고 있으나, 이는 락핀의 상하좌우 유동을 초래하여 잠금 및 해제 동작이 원활하지 못하고, 심한 경우에는 도어 잠금 장치의 손상을 발생시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도어 잠금 장치를 정지시키고 수동으로 잠금을 해제시키는 경우에도, 락핀의 상하좌우 유동을 초래하는데 나아가, 락핀을 강제 후진시키기 때문에, 구동 장치에 무리를 주어 마모나 손상으로 이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5-54524호(2005.3.3)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안출된 것으로, 락핀의 잠금 및 해제 동작이 상하좌우 유동 없이 정확한 직선 운동을 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수동 잠금 해제시, 도어 잠금 장치에 전혀 무리가 없으며, 이 경우에도 유동 없이 락핀이 후진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여기에 언급되지 않은 본 발명이 해결하려는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도어 잠금 장치는, 상측면에 편심돌기가 마련되며, 하측면 중심에 체결되는 모터에 의해 회전하는 캠; 판상의 후단부에, 편심돌기의 직경과 동일한 전후방향 폭을 가지고 좌우방향으로 장공형상을 이루는 계합홀이 마련되어, 편심돌기와 상하방향으로 계합되어 전후왕복 운동하는 슬라이드 가이드; 슬라이드 가이드의 전단부에 체결되며, 도어 또는 도어 지지부 중 일방에 마련되는 락핀 홀과 대향하여, 전진 동작으로 잠금 동작을 하며 후진 동작으로 잠금해제 동작을 하는 락핀; 및 수용 공간을 형성하며, 전단부의 내측면이 슬라이드 가이드의 전단부 외측면 및 락핀의 중간부 외측면과 동일 형상으로 접촉되어, 슬라이드 가이드 및 락핀의 동작을 직선운동으로 규제하는 케이스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케이스의 전단부는 원통 형상으로 마련되고, 슬라이드 가이드의 전단부는 반원통 형상으로 형성되어, 케이스 전단부 내측면에 접촉되어 전후왕복 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락핀은, 슬라이드 가이드의 중간부에 체결되어 슬라이드 가이드의 전후왕복 운동시 락핀을 연동시키는 후단부와,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어 외측면의 일면이 슬라이드 가이드의 전단부에 접촉되고 타면이 케이스의 전단부에 접촉되는 중간부와, 락핀의 중간부에 연속하는 원통 형상의 전단부를 포함하며, 전진 동작시 락핀의 전단부가 케이스의 전단부로부터 돌출되고 후진 동작시 락핀의 전단부가 케이스의 전단부에 수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슬라이드 가이드의 중간부는 후단부에 연속하는 판상으로 마련되고, 전후 방향으로 장공형상으로 형성되는 가이드홀과, 하측면에서 가이드홀의 후단의 좌우 양측에 마련되며 전후방향으로 관통홀이 형성되는 판상의 지지돌기를 포함하며, 락핀의 후단부는, 상하방향으로 수직 판상으로 마련되어 가이드홀에 계합되는 가이드 돌기와, 가이드 돌기의 전단에서 지지돌기에 대향하여 마련되는 지지판과, 지지판으로부터 후측 방향으로 돌출되어 한 쌍의 지지돌기 각각의 관통홀에 계합되는 한 쌍의 지지핀을 포함하고, 지지핀의 외측면을 따라 마련되며, 지지돌기와 지지판을 이격시키도록 지지하는 한 쌍의 스프링이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수동 잠금해제를 위해 락핀을 후방으로 이동시키는 경우, 슬라이드 가이드는 전방으로 운동한 상태로 고정되며, 락핀은, 가이드 돌기가 가이드홀을 따라 안내되어 후방으로 슬라이드되고, 한 쌍의 지지핀이 한 쌍의 관통홀 각각을 통과하여 후방으로 이동하고, 한 쌍의 스프링 각각은 지지돌기와 지지판에 의해 탄성 압축되며, 락핀의 중간부는 슬라이드 가이드의 전단부에 안내되어 후방으로 슬라이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가이드홀이 좌우 방향으로 한 쌍으로 형성되며, 가이드 돌기가 한 쌍의 가이드홀 각각에 계합되도록 한 쌍으로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슬라이드 가이드의 후단부에는 전후 방향으로 장공형상으로 형성되는 보조 가이드홀이 더 형성되며, 락핀의 후단부에는 보조 가이드홀에 계합되는 보조 가이드 돌기가 더 마련되되, 보조 가이드 돌기는 끝단이 후크 형상으로 형성되어, 전후왕복 운동 중 슬라이드 가이드에 대한 락핀의 하측 이탈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도어 잠금 장치는, 락핀의 측면에서 서로 간격을 가지는 한 쌍의 도체로 형성되며, 도체 간의 접촉에 의해 락핀의 전진 동작의 완료 상태를 신호로 발생시키는 작동상태 확인 스위치를 더 포함하고, 슬라이드 가이드 또는 락핀의 후단부에는 측면으로 돌출되며, 락핀이 전진 동작을 완료하는 시점에 한 쌍의 도체 중 일방을 가압하여 서로 접촉시키는 스위치작동 돌기가 더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과제의 해결 수단에 의해, 본 발명의 도어 잠금 장치는 락핀의 잠금 및 해제 동작이 상하좌우 유동 없이 정확한 직선 운동을 할 수 있도록 하여, 원활한 잠금 및 해제를 도모하는 한편, 도어 잠금 장치의 손상 및 파손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도어 잠금 장치는 수동 잠금 해제시, 도어 잠금 장치에 전혀 무리가 없으며, 이 경우에도 유동없이 락핀이 후진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도어 잠금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도어 잠금 장치의 상부 케이스를 생략하여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도어 잠금 장치를 전후 방향으로 자른 종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도어 잠금 장치를 좌우 방향으로 자른 횡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도어 잠금 장치에서 일부 구성요소만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의 구성요소를 하측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도어 잠금 장치의 캠과 슬라이드 가이드 간의 동작 특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도어 잠금 장치의 수동 잠금해제 동작 특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도어 잠금 장치의 상부 케이스를 생략하여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도어 잠금 장치에서 일부 구성요소만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1은 도 10의 구성요소를 하측에서 본 사시도이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에 대한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 과제의 해결 수단, 발명의 효과를 포함한 구체적인 사항들은 다음에 기재할 실시예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제1 실시예>
도 1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도어 잠금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구체적으로,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도어 잠금 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도어 잠금 장치의 상부 케이스를 생략하여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도어 잠금 장치를 전후 방향으로 자른 종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도어 잠금 장치를 좌우 방향으로 자른 횡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도어 잠금 장치에서 일부 구성요소만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5의 구성요소를 하측에서 본 사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도어 잠금 장치의 캠과 슬라이드 가이드 간의 동작 특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 8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도어 잠금 장치의 수동 잠금해제 동작 특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도어 잠금 장치는, 캠(110), 슬라이드 가이드(120), 락핀(130) 및 케이스(140)를 포함한다.
캠(110)은 상측면에 편심돌기(112)가 마련되며, 하측면 중심에 체결되는 모터에 의해 회전한다. 구체적으로, 캠(110)은 원판(111)과, 원판(111) 상측면의 중심축에 벗어난 위치에서 상방으로 돌출되는 편심돌기(112)와, 원판(111) 하측면의 중심축에서 하방으로 돌출되는 중심돌기(113)로 구성된다. 중심돌기(113)는 모터와 체결되어 원판(111)을 회전시킨다. 모터는 각종 전장품이 구비되는 구동부(10)에서 회전축이 상방을 향하도록 마련된다. 구동부(10)에 관해서는 도 3과 같이 케이스(140)에서 내재되는 위치를 나타내는 정도로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원판(111)이 중심축을 기준으로 회전함에 따라, 편심돌기(112)는 원판(111) 상에서 중심축으로부터 일정거리를 두고 원운동한다. 편심돌기(112)는 슬라이드 가이드(120)와 체결된다.
슬라이드 가이드(120)는 판상의 후단부(121)에, 편심돌기(112)의 직경과 동일한 전후방향 폭을 가지고 좌우방향으로 장공형상을 이루는 계합홀(122)이 마련되어, 편심돌기(112)와 상하방향으로 계합되어 전후왕복 운동한다. 구체적으로, 슬라이드 가이드(120)는, 도 7과 같이 캡(110)의 회전 운동을 직선 운동으로 변환하여 슬라이드 가이드(120)에 체결된 락핀(130)을 전후왕복 운동시킨다. 이때, 계합홀(122)은, 좌우방향의 폭은 회전 운동을 직선 운동으로 변환하기 위하여 장공형상을 이루되, 전후방향의 폭이 편심돌기(112)의 외경에 밀착되는 크기를 이룸으로써 양 부재간의 갭이 발생하지 않도록 한다. 이에 따라, 운동 변환시 캡(110)과 슬라이드 가이드(120) 간의 흔들림을 방지하여 제1 유동 요인을 제거할 수 있다. 또한, 슬라이드 가이드(120)는, 전반적으로 락핀(130)이 전후 방향으로 원활하게 슬라이딩 되도록 가이드하는 형상을 이루는 한편, 수동 잠금해제시 락핀(130)의 후방 이동을 가이드한다. 이에 관한 보다 상세한 설명은 락핀(130) 및 케이스(140)의 구조와 함께 후술하기로 한다.
락핀(130)은 슬라이드 가이드(120)의 전단부(123)에 체결되며, 세탁기나 냉장고 등에 구비되는 도어 또는 도어 지지부 중 일방에 마련되는 락핀 홀(도시하지 않음)과 대향하여, 전진 동작으로 잠금 동작을 하며 후진 동작으로 잠금해제 동작을 한다. 즉, 락핀(130)은 슬라이드 가이드(120)의 전측에서 전후왕복 운동을 전달받아, 전방으로 이동하는 동작으로 락핀(130)이 락핀 홀에 체결되어 도어를 잠그는 기능을 행하며, 반대로 후방으로 이동하는 동작으로 락핀(130)이 락핀 홀에 이탈되어 도어의 잠금을 해제하는 기능을 행한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락핀(130)은, 슬라이드 가이드(120)의 중간부(124)에 체결되어 슬라이드 가이드(120)의 전후왕복 운동시 락핀(130)을 연동시키는 후단부(133)와,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어 외측면의 일면이 슬라이드 가이드(120)의 전단부(123)에 접촉되고 타면이 케이스(140)의 전단부(141)에 접촉되는 중간부(132)와, 락핀(130)의 중간부(132)에 연속하는 원통 형상의 전단부(131)를 포함한다. 이와 같은 구조에 의하여, 전진 동작시 락핀(130)의 전단부(131)가 케이스(140)의 전단부(141)로부터 돌출되고 후진 동작시 락핀(130)의 전단부(131)가 케이스(140)의 전단부(141)에 수용되어, 잠금 동작 및 잠금해제 동작이 이루어진다.
케이스(140)는 캠(110), 슬라이드 가이드(120) 및 락핀(130)을 수용하는 수용 공간을 형성한다. 또한, 전단부(141)의 내측면이 슬라이드 가이드(120)의 전단부(123) 외측면 및 락핀(130)의 중간부(132) 외측면과 동일 형상으로 접촉되어, 슬라이드 가이드(120) 및 락핀(130)의 동작을 직선운동으로 규제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락핀(130)의 중간부(132)로부터 전단부(131)까지의 형상이 주로 원통형상을 이루는 점을 고려하여,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케이스(140)의 전단부(141)는 원통 형상으로 마련되어 슬라이드 가이드(120)와 락핀(130)의 전후왕복 운동에 대해 전체적으로 지지하고 규제한다. 한편, 슬라이드 가이드(120)의 전단부(123)는 반원통 형상으로 형성되어 락핀(130)의 전후왕복 운동에 대해 이차적으로 더 지지하고 규제하며, 또한 수동 잠금해제시 고정된 슬라이드 가이드(120)에 대하여 락핀(130)이 전방 또는 후방으로 이동되는 것을 가이드한다. 또한, 슬라이드 가이드(120)는 반원통의 형상을 이룸으로써, 케이스(140)의 전단부(141) 내측면에 접촉되어 전후왕복 운동이 가능해진다.
즉, 케이스(140)는 슬라이드 가이드(120)의 전단부(123) 외측면 및 락핀(130)의 중간부(132) 외측면에 밀착되는 형상 및 크기를 이룸으로써 갭이 발생하지 않도록 한다. 이에 따라, 직선운동시 슬라이드 가이드(120)와 락핀(130)의 흔들림을 방지하여 제2 유동 요인을 제거할 수 있다. 따라서, 락핀(130)의 잠금 및 해제 동작이 상하좌우 유동 없이 정확한 직선 운동을 도모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서는 슬라이드 가이드(120)의 중간부(124)가 후단부(121)에 연속하는 판상으로 마련되고, 전후 방향으로 장공형상으로 형성되는 가이드홀(125)과, 하측면에서 가이드홀(125)의 후단의 좌우 양측에 마련되며 전후방향으로 관통홀(126)이 형성되는 판상의 지지돌기(127)를 포함한다.
또한, 락핀(130)의 후단부(133)는, 상하방향으로 수직 판상으로 마련되어 가이드홀(125)에 계합되는 가이드 돌기(134)와, 가이드 돌기(134)의 전단에서 지지돌기(127)에 대향하여 마련되는 지지판(135)과, 지지판(135)으로부터 후측 방향으로 돌출되어 한 쌍의 지지돌기(127) 각각의 관통홀(126)에 계합되는 한 쌍의 지지핀(136)을 포함하고, 지지핀(136)의 외측면을 따라 마련되며, 지지돌기(127)와 지지판(135)을 이격시키도록 지지하는 한 쌍의 스프링(137)이 더 형성된다.
이와 같은 구조에 의해, 도 8과 같이, 수동 잠금해제를 위해 락핀(130)을 후방으로 이동시키는 경우, 슬라이드 가이드(120)는 전방으로 운동한 상태로 고정되며, 락핀(130)은, 가이드 돌기(134)가 가이드홀(125)을 따라 안내되어 후방으로 슬라이드되고, 한 쌍의 지지핀(136)이 한 쌍의 관통홀(126) 각각을 통과하여 후방으로 이동하고, 한 쌍의 스프링(137) 각각은 지지돌기(127)와 지지판(135)에 의해 탄성 압축되며, 락핀(130)의 중간부(132)는 슬라이드 가이드(120)의 전단부(123)에 안내되어 후방으로 슬라이딩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도어 잠금 장치는, 슬라이드 가이드(120)와 락핀(130)의 안정적이며 견고한 결합 구조에 의해, 수동 잠금 해제시 도어 잠금 장치에 전혀 무리가 없으며, 이 경우에도 유동없이 락핀이 후진될 수 있다.
덧붙여, 일반적인 전진 동작시에도 락핀(130)이 전방 장애물에 충돌하게 되면, 스프링(137)이 지지돌기(127)와 지지판(135)에 의해 탄성 압축되며 락핀(130)이 후방으로 슬라이딩되는 동작으로, 충돌에 의한 충격을 완충시키는 기능을 행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도어 잠금 장치는 락핀의 잠금 및 해제 동작이 상하좌우 유동 없이 정확한 직선 운동을 할 수 있도록 하여, 원활한 잠금 및 해제를 도모하는 한편, 도어 잠금 장치의 손상 및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제2 실시예>
도 9 내지 도 11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도어 잠금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구체적으로, 도 9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도어 잠금 장치의 상부 케이스를 생략하여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도어 잠금 장치에서 일부 구성요소만을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11은 도 10의 구성요소를 하측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9 내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서는 가이드홀(225)이 좌우 방향으로 한 쌍으로 형성되며, 가이드 돌기(234)가 한 쌍의 가이드홀(225) 각각에 계합되도록 한 쌍으로 마련되어, 더욱더 안정적이며 견고한 결합 구조를 이룰 수 있다.
또한, 슬라이드 가이드(220)의 후단부(221)에는 전후 방향으로 장공형상으로 형성되는 보조 가이드홀(228)이 더 형성되며, 락핀(230)의 후단부(233)에는 보조 가이드홀(228)에 계합되는 보조 가이드 돌기(238)가 더 마련된다. 이와 같은 구조에 의해서도, 슬라이드 가이드(220)와 락핀(230)은 보다 안정적이며 견고한 결합 구조를 이룰 수 있다. 나아가, 보조 가이드 돌기(238)가 끝단이 후크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에 의해, 보조 가이드홀(228)과의 체결력을 향상시킬 수 있으므로, 전후왕복 운동 중 슬라이드 가이드(220)에 대한 락핀(230)의 하측 이탈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다른 실시예>
한편, 본 발명의 제1 실시예 및 제2 실시예에 따른 도어 잠금 장치는, 구동부(10)를 구동하기 위하여 외부의 전원 장치(도시하지 않음)와 연결되는 리드선(310, 410)을 더 포함한다. 또한, 락핀(130, 230)의 측면에서 서로 간격을 가지는 한 쌍의 도체로 형성되며, 도체 간의 접촉에 의해 락핀(130, 230)의 전진 동작의 완료 상태를 신호로 발생시키는 작동상태 확인 스위치(320, 420)를 더 포함하는 것이 가능하다.
작동상태 확인 스위치(320, 420)는 도체 간 접촉에 의해, 락핀(130, 230)의 전진 동작이 완료되었음을 신호로 발생시키고, 이를 리드선(310, 410)을 통해 외부의 제어 장치(도시하지 않음)에 전송한다. 제어 장치는 상기의 신호를 수신하여 도어 잠금 동작이 완료되었음을 판단하고, 외부의 전원 장치로부터 구동부(10)로의 전원 공급을 차단하는 한편, 세탁기, 건조기 등의 세탁 동작 또는 건조 동작을 지령한다.
또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서는 슬라이드 가이드의 후단부(121)에서 측면으로 돌출되며, 락핀(130)이 전진 동작을 완료하는 시점에 작동상태 확인 스위치(320)의 한 쌍의 도체 중 일방을 가압하여 서로 접촉시키는 스위치작동 돌기(139)가 더 마련되며,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서는 락핀의 후단부(233)에서 측면으로 돌출되며, 락핀(230)이 전진 동작을 완료하는 시점에 작동상태 확인 스위치(420)의 한 쌍의 도체 중 일방을 가압하여 서로 접촉시키는 스위치작동 돌기(239)가 더 마련되는 것이 가능하다. 즉, 스위치작동 돌기(139, 239)는 슬라이드 가이드 또는 락핀의 전진 동작에 연동하여 전진하며 한 쌍의 도체 중 인접하는 일방의 도체를 타방의 도체 측으로 가압하여 도체 간 접촉시키는 동작을 한다. 이와 같이, 간단한 구조 및 동작만으로, 락핀(130, 230)의 전진 동작이 완료되었음을 센싱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술한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가 본 발명의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나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 구동부
110 : 캠
111 : 원판
112 : 편심돌기
113 : 중심돌기
120, 220 : 슬라이드 가이드
121, 221 : 슬라이드 가이드의 후단부
122 : 계합홀
123 : 슬라이드 가이드의 전단부
124 : 슬라이드 가이드의 중간부
125, 225 : 가이드홀
126 : 관통홀
127 : 지지돌기
130, 230 : 락핀
131 : 락핀의 전단부
132 : 락핀의 중간부
133, 233 : 락핀의 후단부
134, 234 : 가이드 돌기
135 : 지지판
136 : 지지핀
137 : 스프링
139, 239 : 스위치작동 돌기
140 : 케이스
141 : 케이스의 전단부
228 : 보조 가이드홀
238 : 보조 가이드 돌기
310, 410 : 리드선
320, 420 : 작동상태 확인 스위치

Claims (8)

  1. 상측면에 편심돌기가 마련되며, 하측면 중심에 체결되는 모터에 의해 회전하는 캠;
    판상의 후단부에, 상기 편심돌기의 직경과 동일한 전후방향 폭을 가지고 좌우방향으로 장공형상을 이루는 계합홀이 마련되어, 상기 편심돌기와 상하방향으로 계합되어 전후왕복 운동하는 슬라이드 가이드;
    상기 슬라이드 가이드의 전단부에 체결되며, 도어 또는 도어 지지부 중 일방에 마련되는 락핀 홀과 대향하여, 전진 동작으로 잠금 동작을 하며 후진 동작으로 잠금해제 동작을 하는 락핀; 및
    수용 공간을 형성하며, 전단부의 내측면이 상기 슬라이드 가이드의 전단부 외측면 및 상기 락핀의 중간부 외측면과 동일 형상으로 접촉되어, 상기 슬라이드 가이드 및 상기 락핀의 동작을 직선운동으로 규제하는 케이스;
    를 포함하며,
    상기 케이스의 전단부는 원통 형상으로 마련되고,
    상기 슬라이드 가이드의 전단부는 반원통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케이스 전단부 내측면에 접촉되어 전후왕복 운동하며,
    상기 락핀은, 상기 슬라이드 가이드의 중간부에 체결되어 상기 슬라이드 가이드의 전후왕복 운동시 락핀을 연동시키는 후단부와,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어 외측면의 일면이 상기 슬라이드 가이드의 전단부에 접촉되고 타면이 상기 케이스의 전단부에 접촉되는 중간부와, 상기 락핀의 중간부에 연속하는 원통 형상의 전단부를 포함하며,
    전진 동작시 상기 락핀의 전단부가 상기 케이스의 전단부로부터 돌출되고 후진 동작시 상기 락핀의 전단부가 상기 케이스의 전단부에 수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잠금 장치.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드 가이드의 중간부는 후단부에 연속하는 판상으로 마련되고, 전후 방향으로 장공형상으로 형성되는 가이드홀과, 하측면에서 상기 가이드홀의 후단의 좌우 양측에 마련되며 전후방향으로 관통홀이 형성되는 판상의 지지돌기를 포함하며,
    상기 락핀의 후단부는, 상하방향으로 수직 판상으로 마련되어 상기 가이드홀에 계합되는 가이드 돌기와, 상기 가이드 돌기의 전단에서 상기 지지돌기에 대향하여 마련되는 지지판과, 상기 지지판으로부터 후측 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한 쌍의 지지돌기 각각의 관통홀에 계합되는 한 쌍의 지지핀을 포함하고,
    상기 지지핀의 외측면을 따라 마련되며, 상기 지지돌기와 상기 지지판을 이격시키도록 지지하는 한 쌍의 스프링이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잠금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수동 잠금해제를 위해 상기 락핀을 후방으로 이동시키는 경우,
    상기 슬라이드 가이드는 전방으로 운동한 상태로 고정되며,
    상기 락핀은, 상기 가이드 돌기가 상기 가이드홀을 따라 안내되어 후방으로 슬라이드되고, 상기 한 쌍의 지지핀이 상기 한 쌍의 관통홀 각각을 통과하여 후방으로 이동하고, 상기 한 쌍의 스프링 각각은 상기 지지돌기와 상기 지지판에 의해 탄성 압축되며,
    상기 락핀의 중간부는 상기 슬라이드 가이드의 전단부에 안내되어 후방으로 슬라이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잠금 장치.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홀이 좌우 방향으로 한 쌍으로 형성되며, 상기 가이드 돌기가 상기 한 쌍의 가이드홀 각각에 계합되도록 한 쌍으로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잠금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드 가이드의 후단부에는 전후 방향으로 장공형상으로 형성되는 보조 가이드홀이 더 형성되며,
    상기 락핀의 후단부에는 상기 보조 가이드홀에 계합되는 보조 가이드 돌기가 더 마련되되,
    상기 보조 가이드 돌기는 끝단이 후크 형상으로 형성되어, 전후왕복 운동 중 상기 슬라이드 가이드에 대한 상기 락핀의 하측 이탈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도어 잠금 장치.
  8. 제4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락핀의 측면에서 서로 간격을 가지는 한 쌍의 도체로 형성되며, 상기 도체 간의 접촉에 의해 상기 락핀의 전진 동작의 완료 상태를 신호로 발생시키는 작동상태 확인 스위치를 더 포함하고,
    상기 슬라이드 가이드 또는 상기 락핀의 후단부에는 측면으로 돌출되며, 상기 락핀이 전진 동작을 완료하는 시점에 상기 한 쌍의 도체 중 일방을 가압하여 서로 접촉시키는 스위치작동 돌기가 더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도어 잠금 장치.
KR1020120049635A 2012-05-10 2012-05-10 도어 잠금 장치 KR10136790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49635A KR101367907B1 (ko) 2012-05-10 2012-05-10 도어 잠금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49635A KR101367907B1 (ko) 2012-05-10 2012-05-10 도어 잠금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25962A KR20130125962A (ko) 2013-11-20
KR101367907B1 true KR101367907B1 (ko) 2014-03-03

Family

ID=498541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49635A KR101367907B1 (ko) 2012-05-10 2012-05-10 도어 잠금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6790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84971B1 (ko) * 2014-04-02 2016-01-22 주식회사 공진 전동 및 수동 겸용 모티스락
KR101674814B1 (ko) * 2015-07-07 2016-11-22 강철호 오토바이용 록킹장치 및 그 록킹장치가 구비된 오토바이
WO2018016665A1 (ko) * 2016-07-22 2018-01-25 강철호 오토바이용 록킹장치 및 그 록킹장치가 구비된 오토바이
WO2020170993A1 (ja) * 2019-02-21 2020-08-27 シャープ株式会社 加熱調理器の扉解除機構、加熱調理器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054524A (ja) * 2003-08-07 2005-03-03 Mitsubishi Material Cmi Kk ロックピン駆動構造
JP2011196054A (ja) * 2010-03-18 2011-10-06 Kameya Kogyosho:Kk 蓋ロック装置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054524A (ja) * 2003-08-07 2005-03-03 Mitsubishi Material Cmi Kk ロックピン駆動構造
JP2011196054A (ja) * 2010-03-18 2011-10-06 Kameya Kogyosho:Kk 蓋ロック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25962A (ko) 2013-11-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67907B1 (ko) 도어 잠금 장치
CN108468801B (zh) 驻车机构
JP5720801B2 (ja) ソフトクローズ機構及びプッシュオープン機構を組み込んだ機構ユニット
WO2017038370A1 (ja) 車両用シートスライド装置
CN102874137B (zh) 座椅滑动装置
JP6396163B2 (ja) 進退移動装置
US9279276B2 (en) Charge cord locking/unlocking actuator
JP2020532071A (ja) プラグイン方向に可動なロック要素を有するプラグソケット
KR20170001458A (ko) 도어 래치 시스템
CN105318169B (zh) 一种带限位导轨的可调式计算机显示装置组件
CN113199438B (zh) 锤钻
CN109637897B (zh) 一种交流接触器的卡接装置
KR101627578B1 (ko) 미닫이 창호용 자동 록킹장치의 록킹조립체
KR101605546B1 (ko) 전기차량용 충전장치
TW202004814A (zh) 電動式主開關鎖
CN211472675U (zh) 脚踏阀锁紧装置及挖掘机
CN112490033A (zh) 一种电磁铁控制装置及医疗器械
CN112112495B (zh) 一种门锁结构及应用有该门锁结构的清洗机
CN104810680A (zh) 一种具有导向槽的供电设备及其使用方法
CN104810678A (zh) 一种由导向杆定位导向的供电设备及其使用方法
CN105508845B (zh) 一种可防止紧急断电的计算机显示装置组件
CN104836066A (zh) 一种具有防震功能的供电设备及其使用方法
KR101732915B1 (ko) 차량용 래치장치
CN218858212U (zh) 电池锁止机构、车身支架及电动汽车
CN212085364U (zh) 电连接系统及机械联锁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2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1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05

Year of fee payment: 7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