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66245B1 - 화상형성장치 - Google Patents

화상형성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66245B1
KR101366245B1 KR1020070041588A KR20070041588A KR101366245B1 KR 101366245 B1 KR101366245 B1 KR 101366245B1 KR 1020070041588 A KR1020070041588 A KR 1020070041588A KR 20070041588 A KR20070041588 A KR 20070041588A KR 101366245 B1 KR101366245 B1 KR 10136624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ssette
image forming
forming apparatus
drawer connector
main boar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415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96296A (ko
Inventor
엄윤섭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0415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66245B1/ko
Publication of KR200800962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9629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662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6624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65Apparatus which relate to the handling of copy material
    • G03G15/6502Supplying of sheet copy material; Cassettes therefor
    • G03G15/6508Automatic supply devices interacting with the rest of the apparatus, e.g. selection of a specific cassett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1/00Supports or magazines for piles from which articles are to be separated
    • B65H1/26Supports or magazines for piles from which articles are to be separated with auxiliary supports to facilitate introduction or renewal of the pile
    • B65H1/266Support fully or partially removable from the handling machine, e.g. cassette, draw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3/00Separating articles from piles
    • B65H3/44Simultaneously, alternately, or selectively separating articles from two or more pile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50Machine control of 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e.g. regulating differents parts of the machine, multimode copiers, microprocessor control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65Apparatus which relate to the handling of copy material
    • G03G15/6502Supplying of sheet copy material; Cassettes therefor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15/00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 G03G2215/00362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relating to the copy medium handling
    • G03G2215/00535Stable handling of copy medium
    • G03G2215/00556Control of copy medium feed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Control Or Security For Electrophotography (AREA)
  • Accessory Devices And Overall Control Thereof (AREA)
  • Electrophotography Configuration And Component (AREA)

Abstract

화상형성장치가 개시된다. 이 장치는 제1 카세트 및 상기 제1 카세트를 경유하여 인쇄용지를 공급하는 제2 카세트를 갖는 화상형성장치에 있어서, 상기 화상형성장치의 메인보드와 연결되어 있는 제1 드로어 커넥터; 및 상기 제1 카세트에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제1 카세트가 상기 화상형성장치에 장착될 때, 상기 제1 카세트와 상기 제1 드로어 커넥터를 연결하는 제2 드로어 커넥터를 구비하고, 상기 제1 카세트가 상기 화상형성장치에 장착되어 있음을 나타내는 장착 신호를 상기 제2 드로어 커넥터 및 상기 제1 드로어 커넥터를 통해 상기 메인보드로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면, 2개 이상의 카세트들을 구비하는 화상형성장치에서 어느 하나의 카세트가 탈착되는 경우에, 카세트가 탈착되었음을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의 화상형성장치 이용에 대한 편의성을 제공한다.

Description

화상형성장치{Image forming apparatus}
도 1은 화상형성장치의 전체 구성을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의 특징을 나타내기 위한 구성 블록도의 일 예이다.
도 3은 제2 드로어 커넥터가 제1 카세트에 내장되어 있는 형상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의 특징을 나타내기 위한 구성 블록도의 또 다른 일 예이다.
본 발명은 화상형성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2개 이상의 카세트를 구비하는 화상형성장치에서 어느 하나의 카세트가 탈착되었는지를 용이하게 감지할 수 있도록 하는 화상형성장치에 관한 것이다.
제1 카세트 및 제2 카세트를 갖는 화상형성장치에서, 제1 카세트 내에는 구동 전장물인 엑츄에이터(쏠레노이드 또는 클러치)와 인쇄용지 피딩검지를 위한 광 센서를 포함하며, 제1 카세트 아래에 제2 카세트가 놓여 지게 된다. 제2 카세트에 서 인쇄 용지 픽업시에는 픽업된 인쇄 용지가 상단에 위치한 제1 카세트로 진입하게 된다. 제1 카세트는 피딩 센서를 사용해 인쇄용지를 검지하게 된다.
그런데, 종래에는 인쇄 도중 제1 카세트를 화상형성장치로부터 탈착하게 되더라도, 제2 카세트로부터 인쇄 용지가 계속적으로 공급되므로, 제1 카세트가 탈착되었는지 여부에 대해 제대로 확인되지 않게 되며, 또한, 제2 카세트에 구비된 인쇄용지가 모두 소모된 후에야 비로소 제1 카세트 및 제2 카세트의 인쇄용지가 없음을 표시하게 되어, 제1 카세트의 인쇄 용지가 모두 소모되었는지 여부에 대해 정확히 파악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2개 이상의 카세트들을 구비하는 화상형성장치에서 어느 하나의 카세트가 탈착되는 경우에, 카세트가 탈착되었음을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화상형성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의 과제를 이루기 위해, 본 발명에 의한 화상형성장치는 제1 카세트 및 상기 제1 카세트를 경유하여 인쇄용지를 공급하는 제2 카세트를 갖는 화상형성장치에 있어서, 상기 화상형성장치의 메인보드와 연결되어 있는 제1 드로어 커넥터; 및
상기 제1 카세트에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제1 카세트가 상기 화상형성장치에 장착될 때, 상기 제1 카세트와 상기 제1 드로어 커넥터를 연결하는 제2 드로어 커넥터를 구비하고, 상기 제1 카세트가 상기 화상형성장치에 장착되어 있음을 나타내는 장착 신호를 상기 제2 드로어 커넥터 및 상기 제1 드로어 커넥터를 통해 상기 메인보드로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메인보드에서 출력된 상기 제1 카세트의 장착 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문의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제1 카세트가 상기 장착 신호를 상기 메인보드로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2 드로어 커넥터는, 상기 문의 신호에 대한 궤환 신호를 상기 장착 신호로서 출력하기 위해, 상기 문의 신호를 수신하는 단자와 상기 장착 신호를 송신하는 단자가 서로 접속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2 드로어 커넥터는, 그라운드에 접지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드로어 커넥터는, 상기 제1 카세트가 장착되어 있을 때, 상기 제2 드로어 커넥터를 통해 상기 그라운드의 접지신호를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화상형성장치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화상형성장치의 전체 구성을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화상형성장치는 화상을 형성하기 위한 대전 수단, 현상 수단, 전사 수단, 정착 수단 등이 구비되어 있는 본체(100)와 제1 카세트(120) 및 제2 카세트(140)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의 특징을 나타내기 위한 구성 블록도의 일 예로서, 메인 보드(200), 제1 드로어 커넥터(220) 및 제1 카세트(240)이 도시되 어 있다.
메인 보드(200)는 화상형성장치의 구동을 위한 시스템 제어를 담당한다. 이 메인 보드(200)는 도 1의 본체(100)에 장착되어 있다. 메인 보드(200)는 제1 카세트(240)의 장착 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문의 신호를 출력한다.
제1 드로어 커넥터(220)는 메인보드(200)와 제1 카세트(240)을 연결하는 연결 소자에 해당한다. 제1 드로어 커넥터(220)는 도 1의 본체(100)에 장착되어 있다. 제1 드로어 커넥터(220)는 메인보드(200)와 2개의 선으로 연결되어 있다. 또한, 제1 드로어 커넥터(220)는 제1 카세트(240)와도 2개의 선으로 연결되어 있다. 제1 드로어 커넥터(220)는 메인 보드(200)에서 생성된 문의 신호를 수신한다. 이때, 제1 카세트(240)가 장착되어 있는 경우에는, 제1 드로어 커넥터(220)는 이 문의 신호를 제1 카세트(240)의 제2 드로어 커넥터(242)로 출력한다.
제1 카세트(240)는 제2 드로어 커넥터(242)를 내장하고 있다. 제2 드로어 커넥터(242)는 제1 카세트(240)가 화상형성장치에 장착될 때, 제1 카세트(240)와 제1 드로어 커넥터(220)를 연결시키는 연결 소자에 해당한다. 도 3은 제2 드로어 커넥터(242)가 제1 카세트(240)에 내장되어 있는 형상(300)을 예시한 도면이다.
제2 드로어 커넥터(242)는 제1 드로어 커넥터(220)로부터 문의 신호를 수신하면, 수신된 문의 신호에 대한 궤환 신호 즉, 제1 카세트가 장착되어 있음을 나타내는 장착 신호를 제1 드로어 커넥터(220)로 출력한다. 이를 위해, 제2 드로어 커넥터(242)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문의 신호를 수신하는 단자(244)와 장착 신호를 송신하는 단자(246)가 서로 연결되어 있다. 또한, 이러한 연결 단자들(244, 246)은 그라운드(GND)와 접지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1 카세트(240)가 장착되어 있음을 나타내는 장착 신호는 제1 드로어 커넥터(220)을 거쳐서 메인보드(200)로 출력된다. 따라서, 메인 보드(200)가 자신이 생성한 문의 신호에 대한 응답 신호로서 제1 카세트(240)로부터 장착 신호를 수신한다면, 제1 카세트(240)이 장착되어 있음을 확인할 수 있고, 만일 장착 신호를 수신하지 못한다면 제1 카세트(240)이 장착되어 있지 않다고 판단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의 특징을 나타내기 위한 구성 블록도의 또 다른 일 예로서, 메인 보드(400), 제1 드로어 커넥터(420) 및 제1 카세트(440)가 도시되어 있다.
메인 보드(400)는 도 2에 설명한 바와 같이, 도 1의 본체(100)에 장착되어 있다. 메인 보드(400)는 소정 저항(R)을 통해 소정 전원(Vcc)을 공급받는다. 여기서, 소전 저항 및 소정 전원은 임의로 정해질 수 있다.
제1 드로어 커넥터(420)는 메인보드(400)와 제1 카세트(440)을 연결하는 연결 소자에 해당한다. 제1 드로어 커넥터(420)는 도 1의 본체(100)에 장착되어 있다. 제1 드로어 커넥터(420)는 메인보드(400)와 1개의 선으로 연결되어 있다. 또한, 제1 드로어 커넥터(420)는 제1 카세트(440)와도 1개의 선으로 연결되어 있다. 이러한 점은 전술한 도 2의 제1 드로어 커넥터(220)와의 차이점이라 할 수 있다.
제1 카세트(440)는 제2 드로어 커넥터(442)를 내장하고 있다. 제2 드로어 커넥터(442)는 제1 카세트(440)가 화상형성장치에 장착될 때, 제1 카세트(440)와 제1 드로어 커넥터(420)를 연결시키는 연결 소자에 해당한다.
제2 드로어 커넥터(442)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라운드(GND)와 접지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제1 카세트(440)가 화상형성장치에 장착되어 있으면, 제2 드로어 커넥터(442)는 그라운드(GND)와 접지되어 있다는 것을 나타내는 접지신호를 제1 드로어 커넥터(420)로 출력한다. 제1 드로어 커넥터(420)는 제1 카세트가 장착되어 있음을 나타내는 접지신호를 메인 보드(400)로 출력한다.
메인 보드(400)는 접지신호를 수신함으로써, 제1 카세트(440)가 장착되어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메인 보드(400)는 접지신호를 수신할 수 있는 상태에서는 소정 저항(R)으로 인해 소정 전원(Vcc)을 공급받을 수 없다. 그러나, 제1 카세트(440)가 장착되어 있지 않다면, 메인 보드(400)는 소정 저항(R)을 통해 소정 전원(Vcc)을 공급받는다. 메인 보드(400)가 소정 전원(Vcc)을 공급받게 된다는 것은 제1 카세트(440)가 화상형성장치에 장착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제1 드로어 커넥터(420)가 제1 카세트(440)에 의해 그라운드에 접지되지 못한다는 것을 나타낸다.
이러한 본원 발명인 화상형성장치는 이해를 돕기 위하여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분야에서 통상적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화상형성장치는 2개 이상의 카세트들을 구비하는 화상형성장치에서 어느 하나의 카세트가 탈착되는 경우에, 카세트가 탈착되었음을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의 화상형성장치 이용에 대한 편의성을 제공한다.

Claims (5)

  1. 제1 카세트 및 상기 제1 카세트를 경유하여 인쇄용지를 공급하는 제2 카세트를 갖는 화상형성장치에 있어서,
    상기 화상형성장치 본체에 장착되어 있으며, 소정의 저항(R)을 통해 소정의 전원(Vcc)을 공급받는 메인보드;
    상기 메인보드와 상기 제1카세트를 연결하며, 상기 메인보드와 하나의 선으로 연결되어 있고, 상기 제1카세트와 하나의 선으로 연결되어 있는 제1 드로어 커넥터; 및
    상기 제1 카세트에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제1 카세트가 상기 화상형성장치에 장착될 때, 상기 제1 카세트와 상기 제1 드로어 커넥터를 연결하며, 그라운드(GND)에 접지되어 있는 제2 드로어 커넥터를 구비하고,
    상기 메인보드는 상기 제2드로어 커넥터에 연결되어 있는 접지신호를 수신함으로써 상기 제1카세트가 장착되어 있음을 확인하고, 상기 접지신호가 수신될 때에는 소정의 전원(Vcc)을 수신할 수 없으며,
    상기 메인보드는 상기 제1카세트가 장착되어 있지 않을 때에는 상기 소정의 저항(R)을 통해 상기 소정의 전원(Vcc)을 공급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드로어 커넥터는
    그라운드에 접지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드로어 커넥터는
    상기 제1 카세트가 장착되어 있을 때, 상기 제2 드로어 커넥터를 통해 상기 그라운드의 접지신호를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KR1020070041588A 2007-04-27 2007-04-27 화상형성장치 KR10136624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41588A KR101366245B1 (ko) 2007-04-27 2007-04-27 화상형성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41588A KR101366245B1 (ko) 2007-04-27 2007-04-27 화상형성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96296A KR20080096296A (ko) 2008-10-30
KR101366245B1 true KR101366245B1 (ko) 2014-02-20

Family

ID=401556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41588A KR101366245B1 (ko) 2007-04-27 2007-04-27 화상형성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66245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02059A (ja) * 2000-06-26 2002-01-08 Casio Electronics Co Ltd 多段オプション装置
JP2005176163A (ja) * 2003-12-15 2005-06-30 Sharp Corp オプション給紙ユニット,オプション給紙ユニットシステム,装着位置アドレス設定方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02059A (ja) * 2000-06-26 2002-01-08 Casio Electronics Co Ltd 多段オプション装置
JP2005176163A (ja) * 2003-12-15 2005-06-30 Sharp Corp オプション給紙ユニット,オプション給紙ユニットシステム,装着位置アドレス設定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96296A (ko) 2008-10-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80299819A1 (en) Connection detection device
US7391334B2 (en) Connection checking system, printer device, method of checking connected state, connection checking program, and recording medium storing connection checking program
JP2014134807A5 (ko)
CN102809463A (zh) 气压传感器批量标定方法和装置
JP2007047015A (ja) 静電気測定装置および表面電位センサ
KR20160074432A (ko) 모듈식 인쇄 회로 기판 배열을 가진 카메라 시스템
JP6010957B2 (ja) 検出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
KR101366245B1 (ko) 화상형성장치
US7947388B2 (en) Battery pack for an industrial instrument in a process control system and method
CN110514869A (zh) 利用双线接口来测量特定量的电子装置
JP4074147B2 (ja) パーツフィーダおよび部品実装装置
JP2007328760A (ja) 接続ユニットとこれを含んだ検出装置および検出方法
US7016792B2 (en) Transducer comprising a connected data memory
CN101452102B (zh) 组件减少的数字图像拍摄设备及其装配方法
WO2010100754A1 (ja) 検出システム及び電気システム
US20100088449A1 (en) Detecting system for detecting insertion of expansion card
JP6137678B2 (ja) ひずみ測定装置
JP4077111B2 (ja) 機器用制御回路
US20140082426A1 (en) Detection circuit for flexible printed circuit connection integrity
US8249501B2 (en) Self-detecting electronic connection for electronic devices
TWI726408B (zh) 混合模組式無線感測器
JP5582673B2 (ja) 圧力測定装置のパラメータ化方法
JP2001230504A (ja) フレキシブル配線基板およびその回路基板への接続構造
JP2002366505A (ja) 実装位置検出方法及び装置
JP2018072464A (ja) 電子機器、そ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2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1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07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