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65720B1 - 유료도로의 차선운영정보의 표시를 제어하는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유료도로의 차선운영정보의 표시를 제어하는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65720B1
KR101365720B1 KR1020130154040A KR20130154040A KR101365720B1 KR 101365720 B1 KR101365720 B1 KR 101365720B1 KR 1020130154040 A KR1020130154040 A KR 1020130154040A KR 20130154040 A KR20130154040 A KR 20130154040A KR 101365720 B1 KR101365720 B1 KR 10136572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toll road
display
display device
dat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540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수만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스마트비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스마트비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스마트비전
Priority to KR10201301540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6572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657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6572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9Arrangements for giving variable traffic instruc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1Detecting movement of traffic to be counted or controlled
    • G08G1/017Detecting movement of traffic to be counted or controlled identifying vehicl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1Detecting movement of traffic to be counted or controlled
    • G08G1/04Detecting movement of traffic to be counted or controlled using optical or ultrasonic detecto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 Devices For Checking Fares Or Tickets At Control Point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의한 유료도로의 차선운영정보의 표시를 제어하는 시스템 및 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에 따른 유료도로의 차선운영정보의 표시를 제어하는 시스템은 상기 유료도로의 진입부와 진출부 사이의 적어도 하나의 위치에 설치되며, 상기 유료도로의 차선운영에 관한 정보를 표시하는 적어도 하나의 표시장치; 상기 표시장치와 동일한 개수를 가지고, 대응되는 표시장치의 동작을 각각 제어하는 제 1 장치; 및 상기 차선운영에 관한 정보에 관한 데이터를 상기 제 1 장치로 전송하는 제 2 장치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유료도로의 차선운영정보의 표시를 제어하는 시스템 및 방법.{The system and method to control displying a lane operation information in a toll road}
본 발명은 유료도로에서 차선운영 상황의 표시를 제어하는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유료도로에서 사용이 가능한 차선의 운영 상황을 보다 효율적으로 표시하는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유료도로를 이용하는 사용자에게 차선의 운영정보는 사용자에게 안전을 위해 매우 필요한 정보이다. 또한, 차선의 운영정보는 차선의 운영 및 관리를 책임지고 있는 관리자에게도 대단히 중요한 정보이다. 특히, 유료도로에 진입하는 톨게이트에서의 차선 운영 정보는 사용자의 안전과 직결되므로, 차선운영정보는 유료도로의 교통상황을 정확히 반영하여 식속하게 사용자에게 표시하여야 한다. 즉, 차선의 운영정보의 부주의한 관리는 유료도로를 사용하는 사용자에게 심각한 혼란을 줄 수도 있고, 예상치 못한 추돌 사고로 연결될 수 있으므로, 유료도로를 운영 및 관리를 책임지고 있는 관리자는 매우 신중하면서도 신속하게 사용자의 불편을 유발하지 않도록 차선의 운영정보를 표시하여야 한다.
유료도로의 운영의 주체자 또는 관리자는 사용자의 안전을 위하여, 사용자가 차선의 운영 정보를 확인할 수 있도록 신호등 또는 가변표시안내판(Variable Message Sign)을 통하여 차선의 운영정보를 제공하고 있다. 이러한 신호등 또는 가변표시안내판에서 표시되는 정보는 시급을 다투어 정보를 변경하여야 하는 상황이 발생하기도 한다. 하지만, 현재는 관리자 또는 주체자가 별도의 조작 및 방법을 통해 표시되는 차선의 운영정보를 변경하고 있다. 따라서, 관리자 또는 주체자의 주의 정도에 따라 차선의 운영정보가 다르게 변경되고 있어, 관리자 또는 주체자는 차선의 운영정보 변경에 많은 부담을 가지고 있다. 차선의 운영정보가 현재의 교통상황을 바로 반영하고 있지 않으므로, 사용자는 안전에 취약하며, 유료도로를 이용하는데 불편함을 느낄 수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관리자 또는 주체자가 유로도로에서 차선의 운영정보를 표시하는데 부담감을 느끼지 않는 유료도로의 차선운영정보의 표시를 제어하는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유료도로에서 사용가능한 차선에 관한 정보를 효율적으로 표시할 수 있는 유료도로의 차선운영정보의 표시를 제어하는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유료도로에서 관리자 또는 주체자가 아닌 표시장치에 근접한 사용자가 사용가능한 차선에 관한 정보를 표시할 수 있는 유료도로의 차선운영정보의 표시를 제어하는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유료도로의 교통상황을 보다 빠르게 반영하여 유료도로에서 사용가능한 차선에 관한 정보를 표시할 수 있는 유료도로의 차선운영정보의 표시를 제어하는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유료도로의 차선운영정보의 표시를 제어하는 시스템은 상기 유료도로의 진입부와 진출부 사이의 적어도 하나의 위치에 설치되며, 상기 유료도로의 차선운영에 관한 정보를 표시하는 적어도 하나의 표시장치; 상기 표시장치와 동일한 개수를 가지고, 대응되는 표시장치의 동작을 각각 제어하는 제 1 장치; 및 상기 차선운영에 관한 정보에 관한 데이터를 상기 제 1 장치로 전송하는 제 2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장치는 상기 제 1 장치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부; 상기 제 2 장치로부터 상기 차선운영에 관한 정보에 관한 데이터를 수신하는 데이터 수신부; 상기 수신된 데이터에 포함된 정보를 분석하는 데이터 분석부; 및 상기 데이터 분석부의 분석 결과에 따라, 상기 제 1 장치에 대응하는 표시장치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장치는 상기 제 2 장치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부; 상기 유료 도로에 관한 정보 및 상기 차선운영에 관한 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표시장치에 관한 정보를 설정하는 정보 설정부; 상기 정보 설정부를 통해 설정한 유료 도로에 관한 정보 및 표시장치에 관한 정보와 상기 유료도로의 상항을 반영한 차선운영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데이터를 생성하는 데이터 생성부; 및 상기 생성된 데이터를 상기 제 1 장치로 전송하는 데이터 전송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장치는 상기 데이터 분석부의 분석 결과에 따라, 상기 제 1 장치에 대응하지 않는 다른 표시장치를 제어하는 다른 제 1 장치로 상기 수신된 데이터를 전송하는 데이터 송신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데이터 분석부의 분석 결과, 상기 수신된 데이터에 상기 제 1 장치에 대응하는 표시장치에 관한 정보가 포함되어 있으면, 상기 제 1 장치에 대응하는 표시장치를 제어하고, 상기 데이터 송신부는 상기 데이터 분석부의 분석 결과, 상기 수신된 데이터에 상기 제 1 장치에 대응하는 표시장치에 관한 정보가 포함되어 있지 않으면, 상기 수신된 데이터를 상기 다른 제 1 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유료 도로에 관한 정보는 우리 나라에 존재하는 유료도로들을 각각 하나의 코드로 표시하고, 상기 표시장치가 위치한 유료도로의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표시장치에 관한 정보는 상기 표시장치가 설치된 위치를 각각 하나의 코드로 표시하고, 상기 표시장치가 위치한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장치의 제어부는 상기 표시장치가 상기 유료도로에서 사용이 가능한 차선, 상기 유료도로의 운영정보 및 상기 유료도로의 교통상황정보를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표시장치와 상기 제 1 장치는 하나의 장치로 구현되고, 상기 제 1 장치는 고유의 IP(Internet Protocol)를 가지며, 상기 제 2 장치로부터 상기 고유의 IP에 대응하는 제어 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제 1 장치의 제어부는 상기 제 1 장치에 대응하는 표시장치를 제어하고, 상기 제 2 장치로부터 상기 고유 IP에 대응하지 않는 제어 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제 1 장치의 데이터 송신부는 상기 제어 신호를 다른 제 1 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유료도로 교통 상황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는 도로교통 정보 획득부; 및 상기 도로교통 정보 획득부를 통해 획득한 상기 유료도로 교통 상황에 대한 정보를 분석하여, 상기 유료도로에서의 차선운영에 관한 정보를 산출하고, 상기 산출된 차선운영에 관한 정보를 상기 제 2 장치로 전송하는 서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도로교통 정보 획득부는 상기 유료도로의 다수의 지점에 설치되어, 상기 유료도로를 통행하는 차량들을 촬상하는 다수의 카메라들이며, 상기 다수의 카메라들은 상기 촬상한 영상을 상기 서버에 전송하며, 상기 서버는 상기 촬상한 영상을 통해 상기 유료도로에서의 교통량을 분석하고, 미리 설정된 기준 교통량과 상기 분석한 교통량을 비교하여, 상기 유료도로에서 사용이 가능한 차선들에 관한 정보를 산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도로교통 정보 획득부는 상기 유료도로의 다수의 지점에 설치되어, 상기 유료도로를 통행하는 차량들을 감지하는 차량 감지 센서이며, 상기 서버는 상기 감지한 차량들을 통해 상기 유료도로에서의 교통량을 분석하고, 미리 설정된 기준 교통량과 상기 교통량을 비교하여, 상기 유료도로에서 사용이 가능한 차선들에 관한 정보를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료도로의 차선운영 표시를 제어하는 시스템.
본 발명에 따른 유료도로의 차선운영정보의 표시를 제어하는 방법은 유료도로에 관한 정보 코드를 입력하는 단계; 상기 유료도로에 관한 차선운영에 관한 정보를 표시하는 표시장치가 위치한 위치 정보 코드를 입력하는 단계; 상기 입력된 유료도로에 관한 정보 코드 및 상기 표시장치가 위치한 위치 정보 코드를 포함하는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생성된 데이터를 상기 표시장치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표시장치에서 상기 유료도로에 관한 차선운영에 관한 정보를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유료도로의 차선운영 표시를 제어하는 시스템에 의하면, 관리자 또는 주체자가 부담감을 가지지 않고도 유로도로에서 차선의 운영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유료도로에서 사용가능한 차선에 관한 정보를 효율적으로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유료도로에서 관리자 또는 주체자가 아닌 표시장치에 근접한 사용자가 사용가능한 차선에 관한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유료도로의 교통상황을 보다 빠르게 반영하여 유료도로에서 사용가능한 차선에 관한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유료도로의 차선운영정보의 표시를 제어하는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제 1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제 2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4는 도 1의 제 1 장치에서 제 2 장치로 전송되는 데이터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유료도로의 차선운영정보의 표시를 제어하는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유료도로의 차선운영정보의 표시를 제어하는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유료도로의 차선운영정보의 표시를 제어하는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 설명 및 첨부된 도면들에서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각각 동일한 부호들로 나타냄으로써 중복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이하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할 것이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이에 한정하거나 제한되지 않고 당업자에 의해 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유료도로의 차선운영정보의 표시를 제어하는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유료도로의 차선운영정보의 표시를 제어하는 시스템(10)은 표시장치(100), 제 1 장치(200) 및 제 2 장치(30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표시장치(100)는 유료도로의 진입부와 진출부 사이의 적어도 하나의 위치에 설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유료도로의 진입부에서 유료도로에 진입하려는 차량에서 쉽게 확인할 수 있는 진입부의 상부, 유료도로를 통행하는 차량에서 확인이 가능한 유료도로의 상부 또는 측부, 유료도로의 진출부에 설치될 수 있다.
표시장치(100)는 유료도로의 차선운영에 관한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유료도로의 차선운영에 관한 정보는 유료도로에서 현재 차량들이 이용 가능한 차선들을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현재, 유료도로에서는 교통상황에 따라, 사용이 가능한 차선을 다르게 하는 가변 차선 제도를 운영하고 있다. 또한, 유료도로에 진입하는 진입부인 톨게이트(tollgate)도 교통상황, 인력의 부재, 시스템상의 문제 등와 같은 다양한 요인으로 인해 운영 여부가 달라질 수 있다. 표시장치(100)는 차량들이 이용 가능한 차선들의 정보를 신호등 형태 또는 안내판 형태로 표시할 수 있다.
또한, 표시장치(100)는 유료도로의 운영정보, 유료도로의 교통상황정보 등과 같이, 유료도로를 이용하는 통행차량들에게 유용한 정보를 더 포함한 메시지를 안내판 형태로 표시할 수도 있다.
표시장치(100)는 다른 표시장치(100)과 구별되는 고유의 식별정보(ID)를 가질 수 있다. 표시장치(100)의 식별정보(100)는 표시장치(100)를 나타내는 고유의 정보이면, 어떠한 정보라도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표시장치(100)가 설치되는 위치를 코드로 나타내는 경우, 표시장치(100)의 코드 값은 표시장치(100)의 식별정보가 될 수 있다. 또한, 표시장치(100)가 고유의 IP를 가지는 경우, IP는 표시장치(100)의 식별정보가 될 수 있다.
제 1 장치(200)는 표시장치(100)와 동일한 개수를 가지고, 표시장치(100)와 인접한 위치에서 표시장치(100)와 각각 하나씩 대응될 수 있다. 그리고, 제 1 장치(200)는 대응되는 표시장치(10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 1 장치(200)는 표시장치(100)에서 유료도로의 교통상황을 반영한 차선운영에 관한 정보를 표시할 수 있도록 제 1 장치(200)와 대응되는 표시장치(100)를 제어할 수 있다. 도 1에서는 표시장치(100)와 제 1 장치(200)를 별도의 장치로 구현되는 것으로 나타내었으나, 표시장치(100)와 제 1 장치(200)는 하나의 장치에서 구현될 수 있다. 즉, 표시장치(100)와 제 1 장치(200)는 물리적으로 분리되지 않는 하나의 장치로 구현할 수 있다. 표시장치(100)와 제 1 장치(200)가 하나의 장치로 구현되면, 하나의 식별정보를 가지고 표시장치(100)과 제 1 장치(200)를 나타낼 수 있다.
표시장치(100)와 제 1 장치(200)가 분리된 장치로 구현되는 경우, 표시장치(100)와 제 1 장치(200)는 제어신호를 송수신하는 구성이 요구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표시장치(100)와 제 1 장치(200)는 유선 또는 무선 통신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표시장치(100)와 제 1 장치(200)는 블루투스와 같은 근거로 통신수단을 이용할 수 있다. 하지만, 표시장치(100)와 제 1 장치(200)가 하나의 장치로 구현되는 경우, 표시장치(100)와 제 1 장치(200)에게 이러한 구성은 요구되지 않을 수 있다. 즉, 제 1 장치(200)는 표시장치(100)를 제어하기 위해 별도의 통신수단을 구비하지 않고, 표시장치(100)를 제어할 수 있다.
제 2 장치(300)는 유료도로의 상황을 반영하여, 차선운영에 관한 정보에 관한 데이터를 상기 제 1 장치(200)로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유료도로의 상황은 유료도로를 통행하는 차량들의 평균속도, 유료도로에서 교통사고의 발생 여부, 긴급 상황 등 유료도로에서 발생하는 다양한 상황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제 2 장치(300)는 사용자들이 휴대하기 용이한 이동형 장치로 구현될 수 있다. 이 때, 사용자는 제 2 장치(300)를 이용하여, 제 1 장치(200)를 통해, 제 1 장치(200)와 대응하는 표시장치(100)를 제어할 수 있다. 제 2 장치(300)가 이동형 장치로 구현되는 경우, 제 2 장치(300)는 제 1 장치(200)로부터 100m 이내의 위치에서 제 1 장치(200)로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따라서, 관리자가 아니더라도, 제 1 장치(200)와 인접한 제 2 장치(300)를 이용하여, 제 1 장치(200)에 대응되는 표시장치에 표시되는 차선운영에 관한 정보를 제어할 수 있다.
하지만, 제 2 장치(300)는 반드시 이동형 장치로 구현되는 것이 아니고, 유료도로의 주변에 설치되는 고정형 장치로 구현될 수도 있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제 1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고,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제 2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이하,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유료도로의 차선운영 표시를 제어하는 시스템의 구조 및 동작을 보다 상세히 살펴본다.
제 1 장치(200)는 전원부(210), 데이터 수신부(220), 데이터 분석부(230), 제어부(240) 및 데이터 송신부(250)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전원부(210)는 제 1 장치(200)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전원부(210)는 외부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아 제 1 장치(200)에 전원을 공급할 수도 있으나, 배터리와 같은 휴대용 전원공급장치가 전원부(210)로 사용될 수도 있다.
데이터 수신부(220)는 제 2 장치(300)로부터 차선운영에 관한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제 1 장치(200)와 제 2 장치(300)는 유선통신수단 및/또는 무선통신수단을 구비하고, 이러한 통신수단을 이용하여, 제 1 장치(200)의 데이터 수신부(220)는 제 2 장치(300)로부터 차선운영에 관한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장치(200)와 제 2 장치(300)는 IRDA(Infrared Data Association), RF(Radio Frequency), 이더넷(Ethernet), PLC(Power LIne Communication), 무선랜(Wireless Lan) 등과 같은 다양한 무선통신수단들 중 어느 하나를 사용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도 4는 도 1의 제 1 장치에서 제 2 장치로 전송되는 데이터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송 데이터(400)는 STX 필드(410), 영업소 코드 필드(420), 차선코드 필드(430), 표시장치코드 필드(440), 명령코드 필드(450), 상세명령코드 필드(460), ETX 필드(470) 및 BCD 필드(480)를 포함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STX 필드(410)는 데이터 시작을 나타내는 필드이고, 유료도로 코드 필드(420)는 유료도로의 코드가 입력되는 필드이고, 차선코드 필드(430)는 유료도로에서 운영이 가능한 차선의 코드가 입력되는 필드이고, 표시장치코드 필드(440)는 표시장치의 위치를 나타낸 코드가 입력되는 필드이고, 명령코드 필드(450)는 표시장치의 온/오프 제어명령이 입력되는 필드이고, 상세명령코드 필드(460)는 표시장치에 표시되는 데이터가 입력되는 필드이고, ETX 필드(470)는 데이터 전송을 나타내는 필드이며, BCD 필드(480)는 데이터의 오류를 체크하기 위한 데이터가 입력되는 필드이다. 상세명령코드 필드(460)는 표시장치에 표시되는 메시지가 존재하는 경우에만 사용될 수 있다. 상술한 데이터는 8 바이트(Byte)의 크기를 가지며, 헥사데시말(Hexadecimal) 코드의 형식을 가질 수 있다. 전송데이터(400)의 영업소 코드 필드(420), 차선코드 필드(430) 등은 제 1 장치(200)에 위치한 스위치를 이용하여 설정될 수도 있다.
제 1 장치(200)에서 제 2 장치(300)로 전송되는 데이터는 도 4에 도시된 데이터(400)의 구조에 따른 정보를 포함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추가적으로 다른 정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유료도로에서의 차량 평균속도, 교통사고 여부, 긴급 상황 등 유료도로에서 발생할 수 있는 다양한 상황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정보는 도 4에 도시된 데이터와 구별되는 별도의 데이터로 생성된 후, 전송될 수도 있다.
데이터 분석부(230)는 제 2 장치(300)로부터 수신된 데이터에 포함된 정보를 분석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데이터 분석부(230)는 데이터에 포함된 표시장치(100)의 정보를 분석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데이터(400)에서 장치코드 필드(440)에 기재된 정보를 분석하여, 제 2 장치(300)에서 전송한 데이터의 목적지를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장치코드 필드(440)에 기재된 정보가 데이터를 수신한 제 1 장치(200)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고 있으면, 데이터 분석부(230)는 이러한 정보를 제어부(240)로 전달하고, 제어부(240)는 제 1 장치(200)에 대응하는 표시장치(100)를 제어할 수 있다. 반면, 장치코드 필드(440)에 기재된 정보가 데이터를 수신한 제 1 장치(200)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고 있지 않으면, 데이터 분석부(230)는 이러한 정보를 데이터 송신부(250)로 전달하고, 데이터 송신부(250)는 수신된 데이터를 다른 제 1 장치(200')로 전송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데이터 분석부(230)의 분석 결과에 따라, 제어부(240) 또는 데이터 송신부(250)가 동작할 수 있다. 제 1 장치(200)의 데이터 송신부(250)가 데이터 수신부(220)로부터 수신된 데이터를 다른 제 1 장치(200')로 전송하는 경우, 제 1 장치(200)는 바이패스 장치 역할을 수행하며, 이로 인해, 제 2 장치(200)로부터 제 1 장치(100)로 전송되는 데이터 전송 거리를 확장시킬 수 있다.
제어부(240)는 데이터 분석부(230)의 분석 결과, 제 2 장치(300)로부터 수신된 데이터에 제 1 장치(200)에 대응하는 표시장치(100)에 관한 정보가 포함되어 있으면, 제 1 장치(200)에 대응하는 표시장치(100)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 2 장치(300)로부터 수신된 데이터에는 제 1 장치(200)에 대응하는 표시장치(100)를 제어하는 명령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4에 도시된 데이터 구조에서, 명령코드 필드(450)는 표시장치(100)의 온(On)/오프(Off) 제어명령이 입력되는 필드이고, 상세명령코드 필드(460)는 표시장치(100)에 표시되는 데이터가 입력되는 필드이다. 따라서, 명령코드 필드(450)에 입력되는 정보 및 상세명령코드 필드(460)에 입력되는 정보에 따라, 제 1 장치(200)에 대응하는 표시장치(100)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명령코드 필드(450)에 표시장치(100)를 온(On)시키는 제어명령이 입력되어 있으면, 제어부(240)는 제 1 장치(200)에 대응하는 표시장치(100)를 온(On)시키는 제어명령을 표시장치(100)에 전송하여, 표시장치(100)를 온(On)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표시장치(100)가 작동하면, 표시장치(100)에서 표시한 차선은 유료도로에서 운영하고 있음을 사용자는 인식할 수 있다.
또한, 상세명령코드 필드(460)에 운영가능한 가변차로에 관한 정보, 유료도로의 차량 현황 정보 등이 입력되어 있으면, 제어부(240)는 제 1 장치(200)에 대응하는 표시장치(100)가 이러한 정보를 표시할 수 있도록 표시장치(100)를 제어할 수 있다.
데이터 송신부(250)는 데이터 분석부(230)의 분석 결과, 수신된 데이터에 제 1 장치(200)에 대응하는 표시장치(100)에 관한 정보가 포함되어 있지 않으면, 수신된 데이터를 다른 제 1 장치(100')로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데이터 송신부(230)가 데이터를 전송하는 다른 제 1 장치(100')는, 수신된 데이터의 장치코드 필드(440)에 입력되는 코드에 대응하는 제 1 장치(100')가 될 수 있다. 결국, 데이터의 장치코드 필드(440)에 입력되는 코드에 대응하는 제 1 장치(100')는 데이터를 수신하는 최종 목적지가 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 장치(300)는 전원부(310), 정보 설정부(320), 데이터 생성부(330) 및 데이터 전송부(3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전원부(310)는 제 2 장치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전원부(310)는 외부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아 제 2 장치에 전원을 공급할 수도 있고, 배터리와 같은 휴대용 전원공급장치가 전원부(310)로 사용될 수 있다.
정보 설정부(320)는 유료 도로에 관한 정보 및 차선운영에 관한 정보를 표시하는 표시장치에 관한 정보를 설정할 수 있다. 이러한 정보는 미리 설정될 수 있으며, 제 2 장치(300)를 사용하는 사용자는 그 정보를 변경할 수 있다. 제 2 장치(300)를 사용하는 사용자가 그 정보를 입력할 수도 있다. 정보의 변경 및 입력은 스위치를 이용할 수 있다. 정보 설정부(320)는 외부로부터 수신되는 데이터에 따라 정보를 입력 및 변경할 수도 있다.
데이터 생성부(330)는 정보 설정부(320)를 통해 설정한 유료 도로에 관한 정보 및 표시장치에 관한 정보와 차선운영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데이터 전송부(340)는 데이터 생성부(330)에서 생성된 데이터를 제 1 장치(200)로 전송할 수 있다. 전송된 데이터는 도 4에 도시된 데이터의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유료도로의 차선운영정보의 표시를 제어하는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다른 유료도로의 차선운영정보의 표시를 제어하는 시스템(50)은 표시장치(100a), 제 1 장치(200a), 제 2 장치(300a), 다수의 카메라들(400a, 400b) 및 서버(500a)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 도 1의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유료도로의 차선운영정보의 표시를 제어하는 시스템(10)과 구별되는 구성을 중심으로,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다른 유료도로의 차선운영정보의 표시를 제어하는 시스템(50)의 동작을 살펴보겠다.
다수의 카메라들(400a, 400b)은 유료도로의 다수의 지점에 설치되어, 유료도로를 통행하는 차량들을 촬상하고, 촬상한 영상을 서버(500a)에 전송할 수 있다. 다수의 카메라들(400a, 400b)은 유료도로를 통행하는 차량들의 영상을 획득하기 용이한 위치에서 일정한 간격으로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서버(500a)와 통신할 수 있는 통신모듈을 포함하고, 이를 통해 서버(500a)에 촬상한 영상을 전송할 수 있다.
서버(500a)는 다수의 카메라들(400a, 400b)이 촬상한 영상을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서버(500a)는 수신된 영상을 통해, 차량들이 통행하는 유료도로에서의 교통량을 분석할 수 있다. 서버(500a)는 미리 설정된 기준 교통량에 관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는데, 서버(500a)는 저장된 기준 교통량과 분석한 교통량을 비교하여, 유료도로에서 사용이 가능한 차선들에 관한 정보를 산출하고, 산출된 정보를 제 2 장치(300)로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4개의 차선을 이용하는 경우의 기준 교통량이 1분에 1000대라고 설정하고, 설정된 기준 교통량의 120%를 초과하는 경우에 1개의 가변 차선을 더 사용하는 경우로 결정할 수 있다. 따라서, 다수의 카메라들(400a, 400b)로부터 수신된 영상을 분석한 결과, 교통량이 1분에 1200대 이상인 경우, 1개의 가변 차선을 더 사용하는 경우로 결정하고, 사용이 가능한 차선들에 관한 정보를 산출할 수 있다.
그리고, 유료도로에서 사용이 가능한 차선들에 관한 정보가 서버(500a)로부터 제 2 장치(300a)로 전송이 되면, 제 2 장치(300a)는 이를 포함하는 데이터를 생성한 후, 제 1 장치(200a)로 전송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유료도로의 차선운영정보의 표시를 제어하는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3 실시예에 따른 유료도로의 차선운영정보의 표시를 제어하는 시스템(60)은 표시장치(100aa), 제 1 장치(200aa), 제 2 장치(300aa), 다수의 차량 감지센서들(400aa, 400ab) 및 서버(500aa)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 도 5의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유료도로의 차선운영정보의 표시를 제어하는 시스템(50)과 구별되는 구성을 중심으로, 도 6의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다른 유료도로의 차선운영정보의 표시를 제어하는 시스템(60)의 동작을 살펴보겠다.
다수의 차량감지센서들(400aa, 400ab)은 유료도로의 다수의 지점에 설치되어, 유료도로를 통행하는 차량들을 감지하고, 감지한 값을 서버에 전송할 수 있다. 이 때, 다수의 차량감지센서들(400aa, 400ab)은 유료도로를 통행하는 차량들의 통행을 감지하기 용이한 위치에서 일정한 간격으로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차량감지센서들(400aa, 400ab)는 유료도로의 측부와 그 맞은편, 유료도로의 하부, 유료도로의 상부 등과 같이 다양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차량감지센서들(400aa, 400ab)은 서버(500aa)와 통신할 수 있는 통신모듈을 포함하고, 이를 통해 서버(500aa)에 감지한 값을 전송할 수 있다.
서버(500aa)는 다수의 차량감지센서들(400aa, 400ab)이 감지한 값을 수신하고, 이로부터 차량들이 통행하는 유료도로에서의 교통량을 분석할 수 있다. 서버(500aa)는 미리 설정된 기준 교통량에 관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는데, 서(500aa)버는 저장된 기준 교통량과 분석한 교통량을 비교하여, 유료도로에서 사용이 가능한 차선들에 관한 정보를 산출하고, 산출된 정보를 제 2 장치(300aa)로 전송할 수 있다.
도 5의 다수의 카메라들(400a, 400b)과 도 6의 다수의 차량감지센서들(400aa, 400ab)은 유료도로 교통 상황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므로, 도로교통 정보 획득부라고 볼 수 있다.
이와 같이, 도 5 및 6의 유료도로의 차선운영 표시를 제어하는 시스템(50, 60)은, 유료도로의 교통 상황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고, 획득한 정보를 이용하여, 표시장치(100a, 100aa)에 표시되는 차선운영에 관한 정보를 제어하므로, 유료도로의 교통상황을 보다 빠르고, 정확하게 반영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유료도로의 차선운영정보의 표시를 제어하는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이하,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유료도로의 차선운영정보의 표시를 제어하는 방법을 살펴본다.
제 700 단계에서, 유료도로에 관한 정보를 나타내는 코드을 설정한다. 유료도로에 관한 정보를 나타내는 코드 값은 사용자가 제 2 장치(300)에서 스위치를 사용하여 설정할 수 있다.
제 710 단계에서, 제어하고자 하는 표시장치의 위치를 나타내는 코드를 설정한다. 표시장치의 위치를 나타내는 코드 값은 사용자가 제 2장치(300)에서 스위치를 사용하여 설정할 수 있다.
제 720 단계에서, 유료도로의 차선운영정보의 표시를 제어하는 방법을 구현하는 소프트웨어가 구현되었는지를 확인한다. 제 720 단계는 소프트웨어가 구현되었는지가 확인될 때까지 반복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제 2 장치(300)가 이동단말기인 경우, 유료도로의 차선운영정보의 표시를 제어하는 방법을 구현하는 소프트웨어가 구현된 경우에 표시부(100)에 표시되는 차선운영정보를 제어할 수 있다.
제 730 단계에서, 설정된 코드 값에 따라 차선운영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데이터를 생성한다.
제 740 단계에서, 생성된 데이터를 제 1 장치로 전송한다. 생성된 데이터의 형식은 도 4와 같을 수 있다.
제 750 단계에서, 제 1 장치는 외부로부터 데이터가 입력되었는지를 확인한다. 제 750 단계는 외부로부터 데이터가 입력되는지가 확인될 때까지 반복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제 760 단계에서, 제 1 장치는 입력되는 데이터의 코드를 분석한다. 입력되는 데이터에 제 1 장치(200)에 대응하는 표시장치(100)의 코드가 포함되어 있는지를 분석한다. 분석 결과, 제 1 장치(200)에 대응하는 표시장치(100)의 코드가 포함되어 있으면, 제 770 단계를 진행하고, 제 1 장치(200)에 대응하는 표시장치(100)의 코드가 포함되어 있지 않으면, 제 780 단계를 진행한다.
제 770 단계에서, 제 1 장치는 표시장치(100)에 유료도로에 관한 차선운영에 관한 정보를 표시한다.
제 780 단계에서, 제 1 장치는 데이터에 포함된 표시장치로 데이터를 전달한다. 따라서, 제 1 장치는 바이패스 장치의 역할을 수행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요소들이 하나로 결합하거나 결합하여 동작하는 것으로 기재되어 있다고 해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또한, 그 모든 구성요소들이 각각 하나의 독립적인 하드웨어로 구현될 수 있지만, 각 구성요소들의 그 일부 또는 전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하나 또는 복수개의 하드웨어에서 조합된 일부 또는 전부의 기능을 수행하는 프로그램 모듈을 갖는 컴퓨터 프로그램으로서 구현될 수도 있다. 또한, 이와 같은 컴퓨터 프로그램은 USB 메모리, CD 디스크, 플래쉬 메모리 등과 같은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Computer Readable Media)에 저장되어 컴퓨터에 의하여 읽혀지고 실행됨으로써,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현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의 기록매체로서는 자기 기록매체, 광 기록매체, 캐리어 웨이브 매체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또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상세한 설명에서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갖는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 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50, 60: 유료도로의 차선운영정보의 표시를 제어하는 시스템
100, 100a, 100aa: 표시장치
200, 200a, 200aa: 제 1 장치
300, 300a, 300aa: 제 2 장치
400: 전송 데이터
400a, 400b: 카메라
400aa, 400ab: 차량감지센서
500a, 500aa: 서버

Claims (11)

  1. 유료도로의 차선운영정보의 표시를 제어하는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유료도로의 진입부와 진출부 사이의 적어도 하나의 위치에 설치되며, 상기 유료도로의 차선운영에 관한 정보를 표시하는 적어도 하나의 표시장치;
    상기 표시장치와 동일한 개수를 가지고, 대응되는 표시장치의 동작을 각각 제어하는 제 1 장치; 및
    상기 차선운영에 관한 정보에 관한 데이터를 상기 제 1 장치로 전송하는 제 2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장치는
    상기 제 1 장치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부;
    상기 제 2 장치로부터 상기 차선운영에 관한 정보에 관한 데이터를 수신하는 데이터 수신부;
    상기 수신된 데이터에 포함된 정보를 분석하는 데이터 분석부;
    상기 데이터 분석부의 분석 결과, 상기 수신된 데이터에 상기 제 1 장치에 대응하는 표시장치에 관한 정보가 포함되어 있으면, 상기 제 1 장치에 대응하는 표시장치를 제어하는 제어부; 및
    상기 데이터 분석부의 분석 결과, 상기 수신된 데이터에 상기 제 1 장치에 대응하는 표시장치에 관한 정보가 포함되어 있지 않으면, 상기 수신된 데이터를 상기 제 1 장치에 대응하지 않는 다른 표시장치를 제어하는 다른 제1 장치로 전송하는 데이터 송신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료도로의 차선운영정보의 표시를 제어하는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장치는
    상기 제 2 장치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부;
    상기 유료 도로에 관한 정보 및 상기 차선운영에 관한 정보를 표시하는 표시장치에 관한 정보를 설정하는 정보 설정부;
    상기 정보 설정부를 통해 설정한 유료 도로에 관한 정보 및 표시장치에 관한 정보와 상기 차선운영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데이터를 생성하는 데이터 생성부; 및
    상기 생성된 데이터를 상기 제 1 장치로 전송하는 데이터 전송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료도로의 차선운영정보의 표시를 제어하는 시스템.
  3. 삭제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유료 도로에 관한 정보는
    우리 나라에 존재하는 유료도로들을 각각 하나의 코드로 표시하고, 상기 표시장치가 위치한 유료도로의 코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료도로의 차선운영정보의 표시를 제어하는 시스템.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장치에 관한 정보는
    상기 표시장치가 설치된 위치를 각각 하나의 코드로 표시하고, 상기 표시장치가 위치한 코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료도로의 차선운영정보의 표시를 제어하는 시스템.
  6.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장치의 제어부는
    상기 표시장치가 상기 유료도로에서 사용이 가능한 차선, 상기 유료도로의 운영정보 및 상기 유료도로의 교통상황정보를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료도로의 차선운영정보의 표시를 제어하는 시스템.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장치와 상기 제 1 장치는 하나의 장치로 구현되고,
    상기 제 1 장치는 고유의 IP(Internet Protocol)를 가지며, 상기 제 2 장치로부터 상기 고유의 IP에 대응하는 제어 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제 1 장치의 제어부는 상기 제 1 장치에 대응하는 표시장치를 제어하고,
    상기 제 2 장치로부터 상기 고유 IP에 대응하지 않는 제어 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제 1 장치의 데이터 송신부는 상기 제어 신호를 다른 제 1 장치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료도로의 차선운영정보의 표시를 제어하는 시스템.
  8.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시스템은
    상기 유로도로의 교통 상황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는 도로교통 정보 획득부; 및
    상기 도로교통 정보 획득부를 통해 획득한 상기 유로도로의 교통 상황에 대한 정보를 분석하여, 상기 유료도로에서의 차선운영에 관한 정보를 산출하고, 상기 산출된 차선운영에 관한 정보를 상기 제 2 장치로 전송하는 서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료도로의 차선운영정보의 표시를 제어하는 시스템.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도로교통 정보 획득부는
    상기 유료도로의 다수의 지점에 설치되어, 상기 유료도로를 통행하는 차량들을 촬상하는 다수의 카메라들이며, 상기 다수의 카메라들은 상기 촬상한 영상을 상기 서버에 전송하며,
    상기 서버는 상기 촬상한 영상을 통해 상기 유료도로에서의 교통량을 분석하고, 미리 설정된 기준 교통량과 상기 분석한 교통량을 비교하여, 상기 유료도로에서 사용이 가능한 차선들에 관한 정보를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료도로의 차선운영정보의 표시를 제어하는 시스템.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도로교통 정보 획득부는
    상기 유료도로의 다수의 지점에 설치되어, 상기 유료도로를 통행하는 차량들을 감지하는 차량 감지 센서이며,
    상기 서버는 상기 감지한 차량을 통해 상기 유료도로에서의 교통량을 분석하고, 미리 설정된 기준 교통량과 상기 교통량을 비교하여, 상기 유료도로에서 사용이 가능한 차선들에 관한 정보를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료도로의 차선운영정보의 표시를 제어하는 시스템.
  11. 삭제
KR1020130154040A 2013-12-11 2013-12-11 유료도로의 차선운영정보의 표시를 제어하는 시스템 및 방법. KR10136572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54040A KR101365720B1 (ko) 2013-12-11 2013-12-11 유료도로의 차선운영정보의 표시를 제어하는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54040A KR101365720B1 (ko) 2013-12-11 2013-12-11 유료도로의 차선운영정보의 표시를 제어하는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65720B1 true KR101365720B1 (ko) 2014-03-12

Family

ID=506470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54040A KR101365720B1 (ko) 2013-12-11 2013-12-11 유료도로의 차선운영정보의 표시를 제어하는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6572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63115A (ko) * 2021-06-02 2022-12-09 한국도로공사 차선제어기와 연동하는 다차로 하이패스 갠트리의 조명 제어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46168A (ko) * 1998-06-22 1999-07-05 최종욱 영상 검지기 기반의 가변차선제어 시스템
KR20010037317A (ko) * 1999-10-15 2001-05-07 최정환 종합 교통관리 정보전달 시스템
KR101013685B1 (ko) * 2008-11-27 2011-02-10 김영복 비상차선확보안내표시장치 및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46168A (ko) * 1998-06-22 1999-07-05 최종욱 영상 검지기 기반의 가변차선제어 시스템
KR20010037317A (ko) * 1999-10-15 2001-05-07 최정환 종합 교통관리 정보전달 시스템
KR101013685B1 (ko) * 2008-11-27 2011-02-10 김영복 비상차선확보안내표시장치 및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63115A (ko) * 2021-06-02 2022-12-09 한국도로공사 차선제어기와 연동하는 다차로 하이패스 갠트리의 조명 제어장치
KR102521150B1 (ko) * 2021-06-02 2023-04-13 한국도로공사 차선제어기와 연동하는 다차로 하이패스 갠트리의 조명 제어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86706B1 (ko) 카스토퍼 지자기 무선센서를 이용한 주차 관리 방법
KR101072353B1 (ko) 네비게이션을 이용한 무인 주차관리시스템 및 방법
US8907818B2 (en) Bus stop and system providing travel information in relation to buses
KR102101956B1 (ko) 보행자 검지를 이용한 어린이보호구역 단속시스템
TWM458629U (zh) 智慧公車站牌及公車行駛資訊指示系統
TW201409420A (zh) 智慧公車站牌及公車行駛資訊指示系統
KR100954614B1 (ko) 트럭스케일 자동계량장치
JP2010102514A (ja) 信号機制御システム
KR102336776B1 (ko) 차량의 톨-게이트 구간 안내 장치 및 방법
CN105069492A (zh) 汽车电子显示标签远程通信系统及通信方法
KR101525151B1 (ko) 차량 번호판 인식 시스템 및 방법
KR101396459B1 (ko) 방범용 cctv의 작동 상태 감시 시스템
KR20180116808A (ko) 신호등 상태 예측 장치 및 방법
KR101365720B1 (ko) 유료도로의 차선운영정보의 표시를 제어하는 시스템 및 방법.
KR101310103B1 (ko) 주차장 차량 번호 인식 시스템 및 그 인식방법
JP2019185629A (ja) 車高検知装置および車高検知方法
CN105159199A (zh) 公交智能车载系统
KR101992973B1 (ko) 터널 관리 시스템
KR102417041B1 (ko) 교통 신호 정보 제공 장치, 이를 이용한 차량 제어 장치 및 방법
KR20150068680A (ko) 스마트 주차 안내 단말기 및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스마트 주차 안내 방법
KR101441907B1 (ko) 휴대용 교통정보 수집 장치
KR20200059876A (ko) 보행자 가이드 모듈, 이의 운영 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안내 시스템
RU133339U1 (ru) Система автоматической фиксации нарушений правил стоянки и парковки транспортных средств
KR102077336B1 (ko) 터널 관리 시스템
RU135827U1 (ru) Мобильное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контроля оплаты стоянки транспортных средств в зонах платной парковк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1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1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0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20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