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64188B1 - 단말기, 이와 연계된 주변정보 자동안내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단말기, 이와 연계된 주변정보 자동안내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64188B1
KR101364188B1 KR1020120010241A KR20120010241A KR101364188B1 KR 101364188 B1 KR101364188 B1 KR 101364188B1 KR 1020120010241 A KR1020120010241 A KR 1020120010241A KR 20120010241 A KR20120010241 A KR 20120010241A KR 101364188 B1 KR101364188 B1 KR 10136418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visually impaired
unit
database
pers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102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88969A (ko
Inventor
송득주
박광재
Original Assignee
박광재
주식회사 비트앤펄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광재, 주식회사 비트앤펄스 filed Critical 박광재
Priority to KR10201200102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64188B1/ko
Publication of KR201300889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8896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641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6418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04W4/025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using location based information parameter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LMEASURING FORCE, STRESS, TORQUE, WORK, MECHANICAL POWER, MECHANICAL EFFICIENCY, OR FLUID PRESSURE
    • G01L5/00Apparatus for, or methods of, measuring force, work, mechanical power, or torque,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5/00Digital computers in general; Data processing equipment in general
    • G06F15/16Combinations of two or more digital computers each having at least an arithmetic unit, a program unit and a register, e.g. for a simultaneous processing of several progra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2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structured data, e.g. relational data
    • G06F16/23Updat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6Sound input; Sound outpu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Navigation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시각장애인 단말기와, 상기 시각장애인 단말기로부터 촬영정보 및 위치 정보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수신하는 주변정보 자동안내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이 개시된다.
서버가 상기 시각장애인 단말기로부터 수신된 위치정보에 대응하는 위치를 안내하고, 원하는 사물이나 사람 안내를 선택하라는 멘트를 상기 시각장애인 단말기로 송신하고, 원하는 사물이나 사람 안내를 선택하면, 상기 서버가 해당 영상 또는 사진을 송신하라는 멘트를 상기 시각장애인 단말기로 송신한다.
그리고 상기 시각장애인 단말기로부터 영상 또는 사진이 수신되면, 상기 영상 또는 사진에 대응되는 사물 또는 사물을 검색하여 안내를 한다. 이렇게 시각장애인이 주변의 상황을 알고자 자신의 단말기로 위치, 영상, 사진 등을 송신하고 문의를 하면, 음성 및 화상인식기술을 이용하여 주변정보를 안내하여 시각장애인이 자신의 주변 상황에 대해 상세히 알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시각 장애인이 손쉽게 안내를 요청하도록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간편하게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단말기, 이와 연계된 주변정보 자동안내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Smart phone, Automatic information providing service system with that smart phone and a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시각장애인을 위한 안내 서비스 방법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스마트폰 등의 단말기를 이용하여 시각장애인이 자신의 주변정보를 전송하면 시각 장애인의 주변 상황을 상세히 안내해주는 단말기, 이와 연계된 주변정보 자동 안내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자통신 기술의 발전을 통해 다양한 전자기기들이 만들어지고 있으며, 핸드폰, 스마트폰 등 다양한 기기들이 널리 보급되고 있다.
이러한 스마트폰은 현재 널리 보급되는 추세이며 많은 사용자들이 이를 이용하여 전화, 이메일, 무선인터넷 등 다양한 작업을 하고 있다.
한편, 이러한 이동통신기기의 보급확대와는 달리 이동통신 사업자들은 시각장애인들을 위한 서비스개발에 총력을 기울이고 있지 않다. 따라서 시각장애인들은 이동통신 단말기를 통해 보다 다양하고 편리한 서비스를 제공받지 못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이로 인해 시각장애인들은 자신이 원하는 목적지를 찾아갈 때, 손에 맹인용 길안내 지팡이나 맹인안내견을 이용해 길을 찾아가거나, 아니면 다른 사람과 동행해야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이때, 맹인안내견은 구입비용 자체가 매우 비싸기 때문에 대다수의 시각장애인들은 이용 자체가 불가능한 실정이다.
또한, 지하철이나 기차 등과 같은 대중교통을 이용해 목적지까지 이동해야될 경우에는 승강장 바닥에 표시된 점형블록을 따라 승차위치까지 이동해야하지만, 계단이나 엘리베이터 등과 같은 시설구조물이 많은 지하철역 또는 기차역의 상황에서 점형블록만을 의지해 탑승위치까지 이동한다는 것은 그리 쉬운 방법은 아니다. 특히, 지하철의 환승역 같은 경우에는 지하철을 갈아타야 하는 어려움뿐만 아니라 역 구조 자체가 매우 복잡해 시각장애인들의 애로사항이 더욱 증폭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뿐만 아니라, 시각장애인이 점형블록을 통해 지하철이나 기차 탑승위치까지 안내받아 도착했을 경우라도, 열차 탑승위치와 철로까지의 정확한 안전거리를 인지할 수 없어, 순간적으로 발을 헛디뎌 안전사고가 발생할 수 있는 위험요소가 있었다.
이외에도 주변의 다양한 곳에서 시각장애인을 위한 시설 또는 장치들이 미비하여 시각 장애인이 외부활동을 하는 경우에 애로사항이 많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종래의 불편한 점을 개선하고자 하는 것으로 시각장애인이 주변의 상황을 알고자 자신의 단말기로 위치, 영상, 사진 등을 송신하고 문의를 하면, 음성 및 화상인식기술을 이용하여 주변정보를 안내하여 시각장애인이 자신의 주변 상황에 대해 상세히 알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시각 장애인이 손쉽게 안내를 요청하도록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간편하게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른 주변정보 자동안내 서비스 시스템은,
적어도 하나의 시각장애인 단말기로부터 촬영정보 및 위치 정보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수신하는 주변정보 자동안내 서비스 시스템으로서,
지도정보, 사물 또는 사람의 영상에 대응되는 정보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부;
상기 시각장애인 단말기로부터 상기 위치정보가 수신되면, 상기 시각장애인 단말기의 위치정보를 안내하고, 상기 촬영 정보가 수신되면, 상기 촬영정보에 대응되는 사물이나 사람을 안내하는 서버를 포함한다.
상기 데이터베이스부는,
시각장애인의 전화번호 및 신상 정보를 저장하는 시각 장애인 정보 데이터베이스,
영상에 대응되는 사물의 정보를 저장하는 사물 데이터베이스;
영상에 대응되는 사람의 정보를 저장하는 사람 데이터베이스;
소정 지역의 지리정보를 저장하는 지리정보 데이터베이스;
상기 시각장애인 단말기에서 수신되는 위치정보, 촬영정보 및 상담정보를 저장하는 수집정보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서버는,
상기 시각장애인 단말기로부터 수신된 상기 위치 정보, 촬영 정보 및 상담 정보를 상기 수집정보 데이터베이스에 시각장애인 별로 저장하는 정보 수신부;
음성을 인식하고, 인식된 음성에 대응되는 명령을 수행하는 음성 인식부;
상기 촬영정보의 화상을 인식하고, 상기 사물 데이터베이스 및 사람 데이터베이스를 참조하여 상기 화상에 대응되는 사물 또는 사람을 검색하는 화상 인식부;
상기 검색된 사람 또는 사물은 안내하고, 상기 위치 정보에 대응되는 위치를 안내하는 안내부를 포함한다.
이러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른 시각장애인 단말기는,
외부의 주변 정보 자동안내 시스템에 정보를 송신하는 시각장애인 단말기로서,
사용자의 선택을 입력받기 위한 입력부;
위치정보를 출력하는 GPS부;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
외부의 영상을 촬영하는 카메라부;
외부 음성을 입력받는 마이크;
소리를 출력하기 위한 스피커;
상기 입력부의 선택에 따라 통신기능을 수행하며, 상기 카메라부를 구동하고 상기 카메라부에서 입력되는 정보를 상기 위치정보와 함께 송신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정보를 송수신하는 통신부를 포함한다.
충격을 감지하는 충격 감지센서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충격이 감지되는 경우, 바로 앞에 선택했던 메뉴를 취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입력부의 인터페이스 화면은 통화요청 버튼이 화면의 중앙에 배치되며, 사각부분에 회원등록, 통화기록, 이용안내, 환경설정의 기능이 각각 배치되고, 상기 통화요청 버튼은 화면의 가로 길이의 1/2~1/3 크기의 지름을 갖는 원형태로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입력부의 인터페이스 화면은 통화종료 버튼이 화면의 중앙에 배치되며, 사각부분에 영상, 사진, 위치, 화면 기능이 각각 배치되고, 상기 통화종료 버튼은 화면의 가로 길이의 1/2~1/3 크기의 지름을 갖는 원형태로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입력부의 인터페이스 화면은 통화버튼이 제일 상단에 배치하고, 그 아래로 영상전송, 사진정송, 위치전송, 화면전송 기능 버튼을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입력부의 인터페이스 화면은 드래그 패턴에 따라 기능이 조작되며, 화면 상단에서 좌에서 우로 획을 그으면, 영상전송 기능이고, 대각선으로 아래로 그으면, 위치전송 기능이고, 하단에서 좌에서 우로 획을 그으면 통화종료 기능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른 주변정보 자동안내 서비스 방법은,
적어도 하나의 시각장애인 단말기로부터 촬영정보 및 위치 정보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수신하는 주변정보 자동안내 서비스 방법으로서,
서버가 상기 시각장애인 단말기로부터 수신된 위치정보에 대응하는 위치를 안내하고, 원하는 사물이나 사람 안내를 선택하라는 멘트를 상기 시각장애인 단말기로 송신하는 단계;
원하는 사물이나 사람 안내를 선택하면, 상기 서버가 해당 영상 또는 사진을 송신하라는 멘트를 상기 시각장애인 단말기로 송신하는 단계;
상기 시각장애인 단말기로부터 영상 또는 사진이 수신되면, 상기 영상 또는 사진에 대응되는 사물 또는 사물을 검색하여 안내를 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러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른 주변정보 자동안내 서비스 방법은,
적어도 하나의 시각장애인 단말기로부터 촬영정보 및 위치 정보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수신하는 주변정보 자동안내 서비스 방법으로서,
서버가 상기 시각장애인 단말기로부터 수신된 위치정보에 대응하는 위치를 안내하고, 영상에 대한 안내를 원하는지를 문의하는 멘트를 상기 시각장애인 단말기로 송신하는 단계;
영상에 대한 안내를 선택하면, 상기 서버가 해당 영상을 송신하라는 멘트를 상기 시각장애인 단말기로 송신하는 단계;
상기 시각장애인 단말기로부터 영상이 수신되면, 상기 서버가 상기 영상에 대응되는 사람 또는 사물을 검색하여 안내를 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영상에 대응되는 사람 또는 사물이 없는 경우에는 상기 서버가 사람 또는 사물이며 자세한 정보는 없다는 멘트를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스마트폰을 보유한 시각장애인이 주변의 상황을 촬영하여 서버로 송신하고, 서버는 영상에 대응되는 사람 또는 사물을 검색하여 시각장애인에게 제공하여 주변 정보에 대한 자세한 안내를 받을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시각 장애인이 손쉽게 안내를 요청하도록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간편하게 제공하여 시각 장애인이 쉽게 서버에 접속하여 정보 안내를 요청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스마트폰) 및 주변정보 자동안내 서비스 시스템의 연결관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주변정보 자동안내 서비스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각 장애인 단말기를 내부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a 내지 도4d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각 장애인 단말기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의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주변정보 자동안내 서비스 방법의 동작 흐름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스마트폰) 및 주변정보 안내 서비스 시스템의 연결관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적어도 하나의 단말기(300)는 와이파이망 또는 3G 또는 4G 등 기타 네트워크망(100)을 통해 주변정보 자동안내 서비스 시스템(200)과 연결되고, 스마트폰 등의 시각장애인이 사용하는 단말기(300)는 필요에 따라 주변정보 안내 서비스를 주변 정보 자동안내 서비스 시스템(200)에 요청한다.
그리고 주변정보 자동안내 서비스 시스템(200)은 단말기(300)로부터 수신한 위치정보 및 촬영정보를 참조하여 시각장애인의 위치 또는 촬영정보에 대응되는 사람 또는 사물을 안내한다. 예를 들면 앞에 누가 있는지 또는 어떤 건물이나 물건 등의 사물이 있는지에 대해 안내를 한다.
한편, 데이터베이스에 저장이 안된 사람 또는 사물인 경우에는 사람인지 사물인지에 대한 안내만을 한다.
그러면, 이러한 주변정보 자동안내 서비스 시스템의 구성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주변정보 자동안내 서비스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주변정보 자동안내 서비스 시스템은, 적어도 하나의 단말기로부터 위치정보 및 촬영 정보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수신하는 주변정보 자동안내 서비스 시스템으로서, 서버(210), 데이터베이스(220)를 포함한다.
상기 데이터베이스부(220)는, 시각장애인의 전화번호, 인증정보 및 신상 정보를 저장하는 시각 장애인 데이터베이스(222), 영상에 대응되는 사물의 정보를 저장하는 사물 데이터베이스(223), 영상에 대응되는 사람의 정보를 저장하는 사람 데이터베이스(225), 소정 지역의 지리정보를 저장하는 지리정보 데이터베이스(221), 상기 시각장애인 단말기에서 수신되는 위치정보, 촬영정보 및 상담정보를 저장하는 수집정보 데이터베이스(224)를 포함한다.
상기 사물 데이터베이스(223)에는 건물사진 정보와 그에 대응하는 건물정보를 미리 저장해둔다. 또한, 버스, 택시, 책상, 오토바이, 나무, 책상, 화장실 표시판 등 다양한 사물의 사진과 그에 대응하는 사물의 정보를 연계하여 저장한다. 또한, 사람의 복장과 관련하여 경찰관, 간호사, 의사 등의 유니폼을 미리 저장하여 둘 수도 있으며, 이러한 유니폼을 입은 사람이 검색될 경우에 경찰관, 간호사, 의사 등으로 판단할 수가 있다. 그리고 필요에 따라 사진 또는 영상과 그에 대응하는 정보를 연관하여 추가로 저장할 수 있다.
상기 사람 데이터베이스(225)에는 사람의 사진에 대응하는 이름을 저장가능하며, 필요에 따라 추가나 수정도 가능하다.
이러한 추가나 수정은 운영자가 할 수도 있고, 시각장애인 단말기의 사진 및 정보 업로드 및 요청에 따라 이루어질 수도 있다.
상기 서버(210)는, 정보 수신부(211), 음성 인식부(212), 화상 인식부(213), 안내부(214)를 포함한다.
정보 수신부(211)는 상기 시각장애인 단말기로부터 수신된 상기 위치 정보, 촬영 정보 및 상담 정보를 상기 수집정보 데이터베이스(224)에 시각장애인 별로 저장한다. 따라서 추후에 이러한 기록이 보고 싶은 경우에는 언제든지 사용할 수가 있다.
음성 인식부(212)는 음성을 인식하고, 인식된 음성에 대응되는 명령을 수행한다. 필요에 따라 음성인식부(212)는 내부의 메모리에 음성에 대응되는 명령을 저장해두고 사용할 수도 있다.
화상 인식부(213)는 상기 촬영정보의 화상을 인식하고, 상기 사물 데이터베이스 및 사람 데이터베이스를 참조하여 상기 화상에 대응되는 사물 또는 사람을 검색한다. 이러한 화상 인식 기술은 이 분야에서 널리 사용되는 화상 인식기술을 사용하며, 상세한 설명은 상략한다.
안내부(214) 상기 검색된 사람 또는 사물을 안내하고, 상기 위치 정보에 대응되는 위치를 안내하며, 이외에도 다양한 정보를 안내해줄 수 있다.
다음, 상기 과정에서의 시각장애인 단말기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각장애인 단말기의 구성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각장애인 단말기는, 입력부(320), GPS부(340), 저장부(360), 카메라부(370), 통신부(350), 제어부(330), 표시부(310), 충격 감지부(380)를 포함한다.
입력부(320)는 터치패널, 키패드 등의 입력장치가 포함될 수 있으며, 사용자의 선택을 입력받는다.
GPS부(340)는 적어도 두개의 GPS 위성으로부터 GPS 신호를 수신하여 자신의 위치정보를 생성하여 출력한다. 필요에 따라 GPS부를 생략하고, 이동 통신사에서 제공하는 위치정보를 이용할 수도 있다.
저장부(360)는 음성에 대응되는 기능제어신호를 저장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통화기능, 위치, 영상 또는 사진 등의 전송기능에 대응되는 명령어를 음성에 대응하여 저장할 수 있다. 이러 인해 음성으로 해당 기능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필요에 따라서는 카메라부(370)에서 촬영되는 촬영정보를 저장할 수도 있다.
카메라부(370)는 일반 카메라 또는 적외선 카메라를 적용하여 좋은 화질의 영상을 촬영한다. 이때 마이크(371)도 같이 동작하여 음성녹음도 같이 이루어진다.
마이크(371)는 음성을 입력받는다.
제어부(330)는 입력부의 선택에 따라 주변정보 자동안내 서비스 시스템(200)에 접속하여 자신의 위치정보를 송신하고, 상기 카메라부(370)를 구동하여 상기 카메라부(370)에서 입력되는 사진 정보 또는 동영상 정보를 마이크(371)에서 입력되는 음성정보 및 위치정보와 함께 송신한다.
또한, 제어부(330)는 주변정보 자동안내 서비스 시스템(200))에서 수신되는 인내정보를 음성으로 출력하도록 제어한다.
통신부(350)는 제어부(330)의 제어에 따라 정보를 송수신하며, 와이파이 방식, 3G, 4G 등 다양한 무선 인터넷이나 다른 무선 통신망을 이용할 수도 있다.
그리고 충격감지부(380)는 충격을 감지하여 출력하고, 상기 제어부(330)는 흔들림 등의 충격이 감지되는 경우, 입력부(320)로부터 입력받은 명령의 실행을 취소한다.
상기 입력부(320)는 터치스크린 형태로 표시부(310)와 결합되어 입력기능을 수행하는데, 시각장애인이 입력을 쉽게 하도록 하기 위해 표시부(310)의 화면 배치를 도 4a 내지 도 4d와 같이 다양하게 할 수 있다.
도 4a 내지 도4d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각 장애인 단말기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의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a를 참조하면, 통화요청 버튼이 화면의 중앙에 배치되며, 사각부분에 회원등록, 통화기록, 이용안내, 환경설정 등의 기능이 배치되었다. 여기서 통화요청 버튼은 화면의 가로 길이의 1/2~1/3 크기의 지름을 갖는 원으로서 선택이 더욱 편리하다, 그리고 이러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미리 시각장애인이 알아두면 더욱 더 원할한 선택이 가능하다.
그리고 필요에 따라 버튼을 누르면, 제어부(330)의 제어에 의해 선택된 기능을 음성출력하여 시각장애인은 자신이 어떤 기능을 선택했는지 인지하도록 하여 신속하게 원하는 기능을 선택 또는 취소하도록 할 수도 있다.
도 4b를 참조하면, 통화중인 상태에서 통화종료 버튼이 화면의 중앙에 배치되며, 사각부분에 영상, 사진, 위치, 화면 등의 기능이 배치되었다. 여기서 통화종료 버튼은 화면의 가로 길이의 1/2~1/3 크기의 지름을 갖는 원으로서 선택이 더욱 편리하도록 하였다. 그리고 이러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미리 시각장애인이 알아두면 더욱더 원활한 선택이 가능하다.
도 4c를 참조하면, 통화버튼을 제일 상단에 배치하고, 그 아래로 영상전송, 사진정송, 위치전송, 화면전송 등의 기능 버튼을 배치하였다.
또한, 이러한 버튼형과는 달리 정해진 드래그 패턴에 따라 기능을 조작하는 경우의 예를 도 4d에 도시하였다.
도 4d를 참조하면, 상단에서 좌에서 우로 획을 그으면, 영상전송 기능이고, 대각선으로 아래로 그으면, 위치전송 기능이고, 하단에서 좌에서 우로 획을 그으면 통화종료 기능이다. 이러한 다양한 기능은 미리 다양한 방식으로 정해질 수 있고 시각장애인이 미리 해당 기능의 실행방법은 습득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서는 음성으로 해당기능을 실행함을 알려주어 시각장애인이 해당기능을 실행하거나 취소하는 것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한다.
이와 같이 시각 장애인이 손쉽게 안내를 요청하도록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간편하게 제공하여 시각 장애인이 쉽게 서버(200)에 접속하여 정보 안내를 요청할 수 있다.
그러면 이러한 주변 정보 자동안내 서비스 시스템의 동작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시각 장애인은 미리 본 발명의 주변 정보 자동안내 서비스에 가입하여 성명, 성별, 나이, 장애등급, 주소, 연락처, 사람에 대응하는 사진 등의 정보를 입력하고, 서버(210)는 이러한 기본 정보를 시각장애인 DB(222)와 사람 DB(225)에 저장해 둔다. 이러한 서비스는 유료 또는 무료 서비스일 수 있다. 또한, 단말기(300)의 메뉴에 이와 같은 기능을 옵션으로 설정하여 자동으로 동작하도록 하거나 수동으로만 동작하도록 할 수도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주변정보 자동안내 서비스 방법의 동작 흐름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일단 시각장애인이 주변정보 안내 서비스를 받고자 하는 경우에, 단말기(200)에서 어플리케이션 형태로 표현되는 본 발명의 서비스 아이콘을 실행한다(S510).
그러면, 제어부(330)는 대기 화면을 표시부(310)에 표시한다. 대기 화면은 도 4a 내지 도 4d중 하나일 수도 있고, 다른 형태의 화면일 수도 있다. 그리고 필요에 따라 사용자는 아이디와 비밀번호 등을 입력하여 로그인하는 로그인 절차를 거칠수도 있다(S511)
대기화면에서 시각장애인은 입력부(320)를 조작하여 통화버튼을 선택하고(S512), 제어부(330)는 서비스 요청 신호를 서버(210)에 전송한다. 이때, 제어부(330)는 GPS(340)로부터 수신한 위치정보를 함께 전송한다.
그러면, 서버(210)의 안내부(214)는 시각장애인 단말기(300)로부터 수신된 위치정보에 대응하는 위치를 지리정보 DB(221)를 참조하여 안내하고, 원하는 사물이나 사람등의 영상 안내를 원하는지 문의하는 멘트를 상기 시각장애인 단말기(300)로 송신한다(S520).
영상에 대한 안내를 선택하면(S513), 상기 서버(210)의 안내부(214)가 해당 영상을 송신하라는 멘트를 상기 시각장애인 단말기(300)로 송신한다(S521).
이후 시각장애인이 카메라부(370)를 통해 주변영상을 촬영하여 송신하고(S514), 상기 시각장애인 단말기(300)로부터 영상이 수신되면, 상기 서버(210)의 화상 인식부(213)가 상기 영상에 대응되는 사람 또는 사물을 검색하여 안내를 한다(S522).
여기서 필요에 따라 음성 인식부(212)는 시각장애인 단말기(300)로부터 선택에 관한 음성정보를 입력받고, 이를 인식하여 다음 명령을 진행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예, 아니오"라는 멘트나 "영상안내" 등의 선택정보를 음성으로 입력하여 주변 정보 안내 서비스를 진행할 수도 있다.
한편, 영상에 대응되는 사람 또는 사물이 없는 경우에는 안내부(214)가 수신된 영상은 사람 또는 사물이며 자세한 정보는 없다는 멘트를 송신하고, 단말기(300)는 이를 음성으로 출력한다(S515).
상기 과정은 다양하게 변형이 가능하며, 필요에 따라서는 사물안내 또는 사람안내를 미리 선택하라는 멘트를 상기 시각장애인 단말기로 송신하고, 원하는 사물이나 사람 안내를 음성 또는 터치 방식으로 선택하면, 상기 서버가 해당 영상을 송신하라는 멘트를 상기 시각장애인 단말기로 송신한다.
그리고 나서, 상기 시각장애인 단말기로부터 영상이 수신되면, 상기 영상 또는 사진에 대응되는 사물 또는 사물을 검색하여 안내를 할 수도 있다.
상기 과정에서 안내되는 정보는 정보 수신부에 의해 수집정보 DB(224)에 저장되며, 추후에 필요시 이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스마트폰을 보유한 시각장애인이 주변의 상황을 촬영하여 서버로 송신하고, 서버는 이를 영상인식 및 음성인식하여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시각장애인은 주변 정보에 대한 자세한 안내를 받을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장치 및 방법을 통해서만 구현이 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에 대응하는 기능을 실현하는 프로그램 또는 그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 매체를 통해 구현될 수도 있으며, 이러한 구현은 앞서 설명한 실시예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전문가라면 쉽게 구현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Claims (10)

  1. 적어도 하나의 시각장애인 단말기로부터 촬영정보 및 위치 정보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수신하는 주변정보 자동안내 서비스 시스템으로서,
    지도정보, 사물 또는 사람의 영상에 대응되는 정보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부;
    상기 시각장애인 단말기로부터 상기 위치정보가 수신되면, 상기 시각장애인 단말기의 위치정보를 안내하고, 상기 촬영 정보가 수신되면, 상기 촬영정보에 대응되는 사물이나 사람을 안내하는 서버를 포함하고,
    상기 데이터베이스부는,
    시각장애인의 전화번호 및 신상 정보를 저장하는 시각 장애인 정보 데이터베이스;
    영상에 대응되는 사물의 정보를 저장하는 사물 데이터베이스;
    영상에 대응되는 사람의 정보를 저장하는 사람 데이터베이스;
    소정 지역의 지리정보를 저장하는 지리정보 데이터베이스; 및
    상기 시각장애인 단말기에서 수신되는 위치정보, 촬영정보 및 상담정보를 저장하는 수집정보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서버는,
    상기 시각장애인 단말기로부터 수신된 상기 위치 정보, 촬영 정보 및 상담 정보를 상기 수집정보 데이터베이스에 시각장애인 별로 저장하는 정보 수신부;
    음성을 인식하고, 인식된 음성에 대응되는 명령을 수행하는 음성 인식부;
    상기 촬영정보의 화상을 인식하고, 상기 사물 데이터베이스 및 사람 데이터베이스를 참조하여 상기 화상에 대응되는 사물 또는 사람을 검색하는 화상 인식부; 및
    상기 검색된 사람 또는 사물은 안내하고, 상기 위치 정보에 대응되는 위치를 안내하는 안내부
    를 포함하는 주변정보 자동안내 서비스 시스템.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시각장애인 단말기는,
    사용자의 선택을 입력받기 위한 입력부;
    위치정보를 출력하는 GPS부;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
    외부의 영상을 촬영하는 카메라부;
    외부 음성을 입력받는 마이크;
    소리를 출력하기 위한 스피커;
    상기 입력부의 선택에 따라 통신기능을 수행하며, 상기 카메라부를 구동하고 상기 카메라부에서 입력되는 정보를 상기 위치정보와 함께 송신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정보를 송수신하는 통신부를 포함하는 주변정보 자동안내 서비스 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충격을 감지하는 충격 감지센서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충격이 감지되는 경우, 바로 앞에 선택했던 메뉴를 취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변정보 자동안내 서비스 시스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부의 인터페이스 화면은 통화요청 버튼이 화면의 중앙에 배치되며, 사각부분에 회원등록, 통화기록, 이용안내, 환경설정의 기능이 각각 배치되고, 상기 통화요청 버튼은 화면의 가로 길이의 1/2~1/3 크기의 지름을 갖는 원형태로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변정보 자동안내 서비스 시스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부의 인터페이스 화면은 드래그 패턴에 따라 기능이 조작되며, 화면 상단에서 좌에서 우로 획을 그으면, 영상전송 기능이고, 대각선으로 아래로 그으면, 위치전송 기능이고, 하단에서 좌에서 우로 획을 그으면 통화종료 기능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변정보 자동안내 서비스 시스템.
  7. 외부의 주변 정보 자동안내 시스템에 정보를 송신하는 시각장애인 단말기로서,
    사용자의 선택을 입력받기 위한 입력부;
    위치정보를 출력하는 GPS부;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
    외부의 영상을 촬영하는 카메라부;
    외부 음성을 입력받는 마이크;
    소리를 출력하기 위한 스피커;
    상기 입력부의 선택에 따라 통신기능을 수행하며, 상기 카메라부를 구동하고 상기 카메라부에서 입력되는 정보를 상기 위치정보와 함께 송신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정보를 송수신하는 통신부를 포함하며,
    상기 주변정보 자동안내 서비스 시스템은,
    지도정보, 사물 또는 사람의 영상에 대응되는 정보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부;
    상기 시각장애인 단말기로부터 상기 위치정보가 수신되면, 상기 시각장애인 단말기의 위치정보를 안내하고, 상기 촬영 정보가 수신되면, 상기 촬영정보에 대응되는 사물이나 사람을 안내하는 서버를 포함하고,
    상기 데이터베이스부는,
    시각장애인의 전화번호 및 신상 정보를 저장하는 시각 장애인 정보 데이터베이스;
    영상에 대응되는 사물의 정보를 저장하는 사물 데이터베이스;
    영상에 대응되는 사람의 정보를 저장하는 사람 데이터베이스;
    소정 지역의 지리정보를 저장하는 지리정보 데이터베이스; 및
    상기 시각장애인 단말기에서 수신되는 위치정보, 촬영정보 및 상담정보를 저장하는 수집정보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서버는,
    상기 시각장애인 단말기로부터 수신된 상기 위치 정보, 촬영 정보 및 상담 정보를 상기 수집정보 데이터베이스에 시각장애인 별로 저장하는 정보 수신부;
    음성을 인식하고, 인식된 음성에 대응되는 명령을 수행하는 음성 인식부;
    상기 촬영정보의 화상을 인식하고, 상기 사물 데이터베이스 및 사람 데이터베이스를 참조하여 상기 화상에 대응되는 사물 또는 사람을 검색하는 화상 인식부; 및
    상기 검색된 사람 또는 사물은 안내하고, 상기 위치 정보에 대응되는 위치를 안내하는 안내부
    를 포함하는 시각장애인 단말기.
  8. 삭제
  9. 삭제
  10. 삭제
KR1020120010241A 2012-02-01 2012-02-01 단말기, 이와 연계된 주변정보 자동안내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KR10136418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10241A KR101364188B1 (ko) 2012-02-01 2012-02-01 단말기, 이와 연계된 주변정보 자동안내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10241A KR101364188B1 (ko) 2012-02-01 2012-02-01 단말기, 이와 연계된 주변정보 자동안내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88969A KR20130088969A (ko) 2013-08-09
KR101364188B1 true KR101364188B1 (ko) 2014-02-20

Family

ID=492150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10241A KR101364188B1 (ko) 2012-02-01 2012-02-01 단말기, 이와 연계된 주변정보 자동안내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64188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58812A (ko) * 2003-12-12 2005-06-17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통신 시스템의 관광정보 서비스 방법
KR20110024607A (ko) * 2009-09-02 2011-03-09 주식회사 메가디코 디지피에스 정보를 이용한 실외 영상 도우미 시스템 및 서비스 방법.
KR20110048753A (ko) * 2009-11-03 2011-05-12 삼성전자주식회사 사용자 단말 장치, 경로 안내 시스템 및 그 경로 안내 방법
KR20110097729A (ko) * 2010-02-25 2011-08-31 주식회사 제니텀 이동 단말에 대한 주변 정보 안내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58812A (ko) * 2003-12-12 2005-06-17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통신 시스템의 관광정보 서비스 방법
KR20110024607A (ko) * 2009-09-02 2011-03-09 주식회사 메가디코 디지피에스 정보를 이용한 실외 영상 도우미 시스템 및 서비스 방법.
KR20110048753A (ko) * 2009-11-03 2011-05-12 삼성전자주식회사 사용자 단말 장치, 경로 안내 시스템 및 그 경로 안내 방법
KR20110097729A (ko) * 2010-02-25 2011-08-31 주식회사 제니텀 이동 단말에 대한 주변 정보 안내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88969A (ko) 2013-08-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836996B2 (en) Methods, apparatus and systems for providing remote assistance for visually-impaired users
CN104092972B (zh) 一种通信终端及安装于移动终端的工具
WO2017133541A1 (zh) 信息推荐方法及装置
KR101712064B1 (ko) 정보 획득 방법, 장치, 시스템, 프로그램 및 저장매체
JP2005117621A (ja) 画像配信システム
JP6439806B2 (ja) ロボット装置及びプログラム
KR101954989B1 (ko) 시각 장애인을 위한 정보 제공 장치
KR20180079116A (ko) 시각 장애인 안내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CN103245345A (zh) 一种基于图像传感技术的室内导航系统及导航、搜索方法
WO2019221416A1 (ko) 실시간 현장 동영상 중계를 이용한 시각장애인 안내 서비스 제공 방법
KR101232115B1 (ko) 안심귀가 정보관리방법 및 그 장치
CN108063873B (zh) 一种应用程序权限配置方法、移动终端及存储介质
JP2009147651A (ja) 通信装置およびその制御方法、サーバおよびその制御方法、通信システム、通信装置制御プログラム、サーバ制御プログラム、並びに該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記録媒体
US20180039836A1 (en) Single call-to-connect live communication terminal, method and tool
KR20080076270A (ko) 시각 장애인 길 안내 시스템
KR101756766B1 (ko) 운전중 메시지 통합 제어장치와 방법
KR102225456B1 (ko) 로드 메이트 시스템 및 로드 메이트 서비스 제공 방법
KR101364188B1 (ko) 단말기, 이와 연계된 주변정보 자동안내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KR101260879B1 (ko) 이동로봇의 인물탐색 방법
KR20150048329A (ko) 모바일 사용자의 위급상황 오신호 알림을 방지하는 위급상황 알림 서비스 제공방법
KR20130087228A (ko) 단말기, 이와 연계된 주변정보 안내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KR20140048169A (ko) 단말기와 연계된 주변정보 안내 서비스 방법
JP4997572B2 (ja) 携帯電話装置の制御装置、携帯電話装置、及び携帯電話装置の制御方法
KR101602397B1 (ko) 라우터 액세스 제어 방법, 장치, 라우터, 프로그램 및 저장매체
CN109827589A (zh) 一种智能导航方法、终端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10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