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64132B1 - 쌀겨를 원료로 한 쌀겨 호분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쌀겨를 원료로 한 쌀겨 호분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64132B1
KR101364132B1 KR1020120031536A KR20120031536A KR101364132B1 KR 101364132 B1 KR101364132 B1 KR 101364132B1 KR 1020120031536 A KR1020120031536 A KR 1020120031536A KR 20120031536 A KR20120031536 A KR 20120031536A KR 101364132 B1 KR101364132 B1 KR 10136413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ice bran
rice
raw material
powder
tempera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315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109634A (ko
Inventor
고종환
고태경
Original Assignee
고태경
고종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고태경, 고종환 filed Critical 고태경
Priority to KR10201200315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64132B1/ko
Publication of KR201301096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0963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641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64132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7/00Cereal-derived products; Malt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7/10Cereal-derived products
    • A23L7/198Dry unshaped finely divided cereal produc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23L7/117 - A23L7/196 and A23L29/00, e.g. meal, flour, powder, dried cereal creams or extrac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5Vitami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7Amino acids, peptides or protei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5/00Preparation or treatment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Food or foodstuffs obtained thereby; Materials therefor
    • A23L5/20Removal of unwanted matter, e.g. deodorisation or detoxification
    • A23L5/23Removal of unwanted matter, e.g. deodorisation or detoxification by extraction with solven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PSHAPING OR WORKING OF FOODSTUFFS, NOT FULLY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 A23P10/00Shaping or working of foodstuffs characterised by the products
    • A23P10/40Shaping or working of foodstuffs characterised by the products free-flowing powder or instant powder, i.e. powder which is reconstituted rapidly when liquid is add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25/00Packaging other articles presenting special problems
    • B65B25/001Packaging other articles presenting special problems of foodstuffs, combined with their conservation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Mycology (AREA)
  • Proteomics, Peptides & Aminoacid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ereal-Derived Produc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국 일반정미소나 농협RPC에서 생산된 쌀겨를 원료로 한 쌀겨 호분(糊粉)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본발명의 제조공정은, 대량 구입된 쌀겨 원료에서 모래, 먼지 등 이물질을 선별한 후 엄선된 쌀겨 원료를 2단 가열기에 투입하여 가열온도 95℃~100℃에서 수분함량 7~8%로 가열시켜 살균을 시키고, 살균된 쌀겨 원료를 펠렛 성형기에 투입하여 지름 5m/m, 길이 10m/m 원형모양의 펠렛으로 형성시키며, 펠렛화된 쌀겨 원료를 냉각기로 냉각시켜 쌀겨 온도가 35℃~40℃로 유지되도록 한 다음 착유 추출기로 이송을 시켜 쌀겨 원료에 함유된 식물성 유지성분을 용해시켜 추출을 하고, 5단 토스터 기기를 이용하여 착유된 현미분에 함유된 N-핵산을 90℃ 온도로 탈기하고 내부온도 98℃~103℃ 온도로 멸균시켜 배출한 후, 배출된 높은 온도의 쌀겨 호분을 공냉식 냉각기에 의해 30℃~50℃로 냉각을 시키며, 펠렛화된 쌀겨 호분을 분쇄기로 잘게 분쇄를 시키고 분쇄된 쌀겨 호분을 재차 미세한 분말로 분쇄시켜 쌀겨 호분을 제조하는 것이며,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쌀겨 호분은 쌀겨(미강)에 함유된 식물성 유지(산화성분)만을 본 발명의 제조공정을 통해 추출시키고 쌀겨(미강)의 단백질, 비타민 등 고유 영양성분을 잔류시킨 채 살균, 멸균 등의 위생처리된 쌀겨 호분을 제조하여 고추장, 된장, 간장, 떡, 과자류, 쌀국수 등 각종 식품혼합원료로 제공을 하기 때문에 본 발명의 쌀겨 호분에 의해 만들어진 각종 식품을 단백질, 비타민 등 영양성분이 풍부한 쌀겨 호분 식품을 건강기능식품으로 남녀노소 누구나 즐겨먹을 수 있는 대중식으로 널리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쌀겨를 원료로 한 쌀겨 호분의 제조방법{Manufacturing method of rice bran aleurone using rice bran}
본 발명은 전국 일반정미소나 농협RPC에서 생산된 쌀겨를 원료로 한 쌀겨 호분(糊粉)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쌀겨는 미강(米糠)이라고도 하는데 정미소에서 현미(玄米)를 도정(搗精)하여 정백미(精白米)를 만들 때 발생하는 과피, 종피, 쌀눈 등의 분쇄혼합물을 쌀겨라고 하며, 보통 현미의 6 ~ 8%가 쌀겨로 생기고 현미의 도정도(搗精度)를 높이면 그 양이 증가되며 또한 도정도에 따라서 그 성분도 달라지는데 많이 찧으면 지방, 비타민B₁, 인(燐)이 증가하고 섬유는 감소된다.
쌀겨의 표준화학조성을 보면 수분 13.5%, 단백질 13.2%, 유지방 18.3%, 당질 38.3%, 섬유 7.8%, 회분 8.9%이고 비타민B₁은 100g 중 2.5㎎이나 들어있으며 비타민E도 많다.
이러한 쌀겨는 연간 40만톤이 생산되고 있으나 대부분 정미소에서 소량만이 수거되어 가축사료로 사용이 되거나 일부는 유지원료(油脂原料)로서 쌀겨 기름을 짜는데도 이용이 되고 있다.
이와 같이 대부분 비경제적으로 이용되거나 폐기되고 있는 쌀겨를 가지고 개발한 발명이 여러 건 공개되어 있는데 한국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10-0545527호(2006. 1. 17 등록)에서는 쌀겨를 가공하여 이를 식용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한 "쌀겨가공방법"이 공고되어 있고, 한국공개특허공보 공개번호 10-2011-0113260호(2011. 10 .17 공개)에서는 밀가루 대신 미강분말을 주원료로 하여 제조하는 "미강을 주재료로 하는 빵 및 그 제조방법"이 공개되어 있으며, 한국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10-0799517호(2008. 1. 24 등록)에서는 미강의 생리활성을 활성화시켜 기능성 음료, 약품 등에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한 "미강발효조성물"이 공고되어 있고, 한국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10-0912054호(2009. 8. 6 등록)에서는 미강 내에 존재하는 양질의 기름을 단백질 변성 없이 추출하여 미강유로 이용가능하게 한 "미강 단백질추출물의 제조방법"이 공고되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쌀겨(미강)를 이용한 발명들이 여러 건 공개되어 있으나, 이러한 발명에 의해 제조된 쌀겨가공제품들은 식품으로서 일반대중들에게 건강식품으로 널리 제공하지 못하고 있는 문제점들이 있는데, 그 이유는 쌀겨에는 유지방이 18.3%가 함유되어 있어 이는 온도 변화에 따라 산성화가 급 진전되어 각종 영양분을 보관 유지하기가 힘들기 때문이다.
도정 공장에서 생산된 쌀겨(미강)에는 인체에 소중한 영양분이 많이 함유되어 있으나, 이를 생산하는 과정에서 각종 불순물과 대장균 등 여러 세균이 들어 있을 수가 있으므로,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각종 불순물과 대장균 등의 세균을 제거하고 산성화(부패)를 시키는 유지방을 추출 제거하여 쌀겨(미강) 고유의 영양분을 그대로 보존하면서 제조한 쌀겨 호분을 고추장, 된장, 간장, 떡, 과자류, 쌀국수 등 각종 식품 혼합원료로 제공을 하여 영양 성분이 풍부한 쌀겨(미강) 건강기능식품을 남녀노소 누구나 즐겨먹을 수 있도록 한 것에 발명의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전국 일반정미소 및 농협RPC에서 생산된 원재료(쌀겨)를 대량으로 구입하여 이물질 스크린 선별공정, Silo 저장공정, 협잡물, 먼지 이물질 휀 선별공정, 철, 금속성 이물질 선별공정, 가열공정, 펠렛공정, 냉각공정, 스크린 선별공정, 콘베어벨트 이송공정, 착유추출공정, 살균공정, 냉각공정, 분쇄공정, 선별공정, 가열멸균공정, 제분공정, 이송공정, 적외선 살균공정을 거쳐 제조된 쌀겨 호분을 20 ~ 25㎏씩 규격에 맞는 지대포장지에 담아 포장을 하여 고추장, 된장, 간장, 떡, 과자류, 쌀국수 등 각종 식품혼합원료로 출고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쌀겨(미강)에 함유된 식물성 유지(산화성분)만을 본 발명의 제조공정을 통해 추출시키고 쌀겨(미강)의 단백질, 비타민 등 고유 영양성분을 잔류시킨 채 살균, 멸균 등의 위생처리된 쌀겨 호분을 제조하여 각종 식품원료로 제공을 하기 때문에 본 발명의 쌀겨 호분에 의해 만들어진 고추장, 된장, 간장, 떡, 과자류, 쌀국수 등 각종 식품을 단백질, 비타민 등 영양성분이 풍부한 건강기능식품으로 남녀노소 누구나 즐겨먹을 수 있는 대중식으로 널리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은 전국 일반정미소나 농협RPC에서 생산된 쌀겨를 원료로 한 쌀겨 호분(糊粉)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이하, 본 발명의 제조공정을 실시예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쌀겨 호분 제조공정)
1. 원재료 구입
전국 일반정미소 및 농협RPC에서 생산된 쌀겨(미강)를 대량으로 구입한다.
2. 1차 선별공정(screen형식)
구입된 쌀겨 속에 있는 모래 등 이물질을 10m/m 스크린을 통해 분리 선별시킨다.
3. 저장공정
1차 선별된 쌀겨 원료를 이송 기기를 통해 밀폐된 4각 silo에 저장한다.
4. 2차 선별공정(Fan, mesh, 자석식)
저장 silo에서 배출된 쌀겨 원료를 비중차에 의한 선별을 함으로써 협잡물, 미세먼지 등을 포집하여 Fan으로 분리시킨다.
5. 3차 선별공정
운반기로 쌀겨 원료를 이송도중 발생 될 수 있는 철, 기타 금속성분 유해물질을 mesh와 자석으로 분리 선별시킨다.
6. 가열공정
엄선된 쌀겨 원료를 2단 가열기에 투입하여 가열온도 95℃~100℃에서 수분함량 7~8%가 되게 가열하여 모든 균(uA)을 살균처리한다.
7. 콘디셔너 공정
쌀겨 원료를 일정크기의 성상으로 만들기 위해 쌀겨 원료 표면에 라이브 스팀을 일정량 투입하여 다음 공정의 조건을 맞추어 준다.
8. 펠렛공정(원령 pelleter)
온도, 습도 등 잘 조합된 쌀겨 원료를 지름 5m/m, 길이 10m/m 원형 모양의 펠렛으로 형성시키는 것으로, 이때 발생된 마찰열은 90℃까지 상승하므로 살균 효과가 크고 매끄럽고 단단하게 펠렛으로 형성되므로 유지성분 착유에 매우 적합하다.
9. 냉각공정(cooler)
온도가 상승된 쌀겨 원료를 일정시간 냉각기에 정체시켜 공냉식으로 온도를 낮추어 주는 것으로, 이때 쌀겨의 온도는 35℃~40℃로 유지함으로써 유지방 추출 작업의 좋은 조건을 유지하여야 한다.
10. 4차 선별공정(screen)
쌀겨 원료가 일정 모양의 성상으로 형성되지 못했거나 공정 과정에서 미분으로 발생된 것을 선별, 분리하는 공정으로, 미분으로 분리된 쌀겨 원료는 다시 전 공정으로 리턴시킨다.
11. 이송공정
펠렛화된 쌀겨 원료가 파손되거나 분말화 되지 않도록 콘베어벨트로 쌀겨 원료를 이송시킨다.
12. 착유추출공정(요시노 Roto Cool)
펠렛 형태로 추출기로 이송된 쌀겨 원료를 12개의 Tray, 회전식 기계 장치에서 N-핵산을 살포시켜 쌀겨 원료에 함유된 식물성 유지성분을 용해시켜 추출하는 것으로, 이때 다음과 같은 착유조건을 정확히 유지하여야 한다.
① 찬넬링 현상을 방지하기 위해 스프레이 노즐 필히 사용.
② N-핵산 온도 50~55℃를 유지할 것.
③ N-핵산 살포량을 분당 116L 이상 유지할 것.
④ N-핵산 농도를 유지시킬 것(콩크미세라, 중간미세라, 순수 솔벤트 등)
⑤ 화이널 N-핵산을 집중적으로 살포함으로써 쌀겨 원료에 남아 있는 유지성분, 먼지 등을 제거한다.
⑥ 쌀겨 원료 수분은 7~8%로 유지할 것.
⑦ 추출기 회전시간은 80분~90분을 유지한다.
위와 같은 착유조건을 잘 유지 진행시킴으로써 쌀겨 원료에 함유된 각종 영양성분이 파괴 및 이탈되지 않아 양질에 쌀겨 호분을 생산할 수가 있다.
13. 멸균공정
5단 토스터 기기를 이용하여 착유된 쌀겨 호분에 함유된 N-핵산을 탈기하고 수분을 조절하며 멸균시키는 것으로 토스터 기기를 운전하는 조건은 다음과 같다.
① 쌀겨 호분에 함유된 N-핵산을 탈기할때는 생증기(Live steam) 1.2㎏/㎠ 이상 압력을 유지할 것.
② N-핵산 보일링 포인트가 67.5℃ 임을 감안할 때 그 이상의 온도(90℃)를 유지하여 쌀겨 호분에 N-핵산을 완전히 제거할 것.
③ 수분 조절과 살균작용을 위해 내부온도를 98~103℃까지 유지한다. 이때 쌀겨 호분이 탄화되지 않고 영양성분이 파괴되지 않도록 온도규정을 정확히 유지하면서 30분 이내에 다음 공정으로 배출한다.
④ 공정 내부에는 항상 진공상태를 유지하여 발생된 수증기, 유증기, 냄새 등 이 취물질을 외부로 신속히 배출시킨다.
14. 냉각공정
쌀겨 호분의 안정성을 위해 높은 온도에서 배출된 쌀겨 호분을 공냉식 냉각기에 의해 30℃~50℃로 즉시 냉각시킨다.
15. 분쇄공정
펠렛화된 쌀겨 호분을 분쇄기(Hammer meal)로 잘게 분쇄시킨다.
16. 저장탱크(silo Tank)
분쇄 냉각되어 안정화된 쌀겨 호분을 운반기를 이용하여 4각 silo 탱크에 저장한다.
1기 : 100TON
2기 : 100TON
17. 3단 매시선별공정
저장탱크에서 배출된 쌀겨 호분을 3단 선별기로 단계적으로 입자 크기에 따라 이물질 등을 최종적으로 분리하는 공정으로, 매시의 규격 및 종류는 쌀겨 호분의 성상에 따른다.
18. 3단 원형가열멸균공정
회전식의 3단 가열 살균기에 쌀겨 호분을 투입시켜 내부온도 90℃~103℃에서 대장균 등의 유해 세균을 제거시킨다.
19. 제분공정
쌀겨 호분을 펀크레셔, 로울러, 밀, 커팅와류기로 분쇄를 시켜 미세분말로 제조한다.
20. 브로워공정(Root, Blower)
분말로 완성된 쌀겨 호분을 외부공기로 압축시켜 포장 탱크로 이송한다.
21. 적외선살균공정
적외선을 쌀겨 호분에 투시하여 최종적으로 살균시킨다.
22. 포장공정
분말화된 쌀겨 호분을 20~25㎏씩 지대 포장지에 담아 자동포장기로 연속 포장을 한다.
23. 금속탐지공정
포장된 쌀겨 호분 내용물에 금속 성분 등의 이물질이 있는지를 탐지한다.
24. 빠렛트 작업공정
최종 포장된 상품을 출하 및 적재하기 위하여 빠렛팅 작업을 한다.
25. 출하공정
빠렛트된 상품(쌀겨 호분)을 각 출고처에 따라 출고시킨다.
상술한 바와 같은 제조공정을 거쳐 제조되는 본 발명의 쌀겨를 원료로 한 쌀겨 호분은 쌀겨(미강)에 함유된 식물성 유지(산화성분)만을 본 발명의 제조공정을 통해 추출시키고 쌀겨(미강)의 단백질, 비타민 등 고유 영양성분을 잔류시킨 채 살균, 멸균 등의 위생처리된 쌀겨 호분을 제조하여 각종 식품원료로 제공을 하기 때문에 본 발명의 쌀겨 호분에 의해 만들어진 고추장, 된장, 간장, 떡, 과자류, 쌀국수 등 각종 식품을 단백질, 비타민 등 영양성분이 풍부한 쌀겨 호분 식품을 건강기능식품으로 남녀노소 누구나 즐겨먹을 수 있는 대중식으로 널리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Claims (1)

  1. 대량 구입된 쌀겨 원료에서 모래, 먼지 등 이물질을 선별한 후 엄선된 쌀겨 원료를 2단 가열기에 투입하여 가열온도 95℃~100℃에서 수분함량 7~8%로 가열시켜 살균을 시키고, 살균된 쌀겨 원료를 펠렛 성형기에 투입하여 지름 5m/m, 길이 10m/m 원형모양의 펠렛으로 형성시키며, 펠렛화된 쌀겨 원료를 냉각기로 냉각시켜 쌀겨 온도가 35℃~40℃로 유지되도록 한 다음 착유 추출기로 이송을 시켜 쌀겨 원료에 함유된 식물성 유지성분을 용해시켜 추출을 하고, 5단 토스터 기기를 이용하여 착유된 현미분에 함유된 N-핵산을 90℃ 온도로 탈기하고 내부온도 98℃~103℃ 온도로 멸균시켜 배출한 후, 배출된 높은 온도의 쌀겨 호분을 공냉식 냉각기에 의해 30℃~50℃로 냉각을 시키며, 펠렛화된 쌀겨 호분을 분쇄기로 잘게 분쇄를 시키고 분쇄된 쌀겨 호분을 재차 미세한 분말로 분쇄 시킨 다음 분말화된 쌀겨 호분을 20~25㎏씩 지대 포장지에 담아 출고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쌀겨를 원료로 한 쌀겨 호분의 제조방법.
KR1020120031536A 2012-03-28 2012-03-28 쌀겨를 원료로 한 쌀겨 호분의 제조방법 KR10136413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31536A KR101364132B1 (ko) 2012-03-28 2012-03-28 쌀겨를 원료로 한 쌀겨 호분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31536A KR101364132B1 (ko) 2012-03-28 2012-03-28 쌀겨를 원료로 한 쌀겨 호분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09634A KR20130109634A (ko) 2013-10-08
KR101364132B1 true KR101364132B1 (ko) 2014-02-19

Family

ID=496318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31536A KR101364132B1 (ko) 2012-03-28 2012-03-28 쌀겨를 원료로 한 쌀겨 호분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64132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04569A (ko) 2019-02-27 2020-09-04 주식회사 세림현미 미강유의 정제방법
KR102291120B1 (ko) * 2020-12-07 2021-08-20 김일 등겨의 파분, 멸균 및 포장 시스템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80275A (ja) 2001-12-18 2003-07-02 Sanwa Yushi Kk 脱脂糠粉末の製造方法および脱脂糠粉末
JP2007029090A (ja) * 2005-06-22 2007-02-08 Chikuno Shokuhin Kogyo Kk 低変性脱脂米糠の製造方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80275A (ja) 2001-12-18 2003-07-02 Sanwa Yushi Kk 脱脂糠粉末の製造方法および脱脂糠粉末
JP2007029090A (ja) * 2005-06-22 2007-02-08 Chikuno Shokuhin Kogyo Kk 低変性脱脂米糠の製造方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04569A (ko) 2019-02-27 2020-09-04 주식회사 세림현미 미강유의 정제방법
KR102291120B1 (ko) * 2020-12-07 2021-08-20 김일 등겨의 파분, 멸균 및 포장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09634A (ko) 2013-10-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11757B1 (ko) 식물종자의 지방 추출 분말 제조방법
AU2013384157A1 (en) Coffee cherry flour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their preparation
CN103404597A (zh) 一种豆浆粉加工工艺
CN103719671A (zh) 一种真空冷冻干燥果蔬小米粥的加工方法
Khir et al. Walnuts
KR101298809B1 (ko) 원적외선과 기류분쇄에 의한 위생 검정콩 활성 미분말 제조방법
KR101364132B1 (ko) 쌀겨를 원료로 한 쌀겨 호분의 제조방법
WO2011107760A2 (en) High value edible products from bran, and method and apparatus for producing same
CN103039842A (zh) 一种纯天然低温烘焙熟的全麦面粉及其制作方法
KR101977788B1 (ko) 과립 야채를 이용한 즉석 이유식 및 그의 제조방법
RU2402962C1 (ru) Пищевой продукт в.а.кущенко
CN102960730A (zh) 一种红稗羹生产工艺
KR20050119634A (ko) 마늘분말이 첨가된 사료의 제조방법 및 그에 의해 제조된사료
Okonkwo et al. Application of HACCP to post-harvest processing of African breadfruit Treculia african Decne in Nigeria
CN110250459A (zh) 一种白菜冻干粉片剂及其制备方法和应用
RU2250045C2 (ru) Биологически активная мука из пивной дробины и способ ее получения
JP4454290B2 (ja) 調理方法、白米栄養付加材、米加工食品、および米調理セット
KR20160027670A (ko) 한약재 조립물의 제조방법 및 상기 방법으로 제조된 한약재 조립물
JP5090199B2 (ja) こごみパウダーの製造方法
CN104206602A (zh) 一种高黄酮苦荞葛根配方茶及其制作方法
JP2015002715A (ja) 桑葉加工品及びその製造方法
US20180295864A1 (en) Method for converting organic byproducts into food-grade ingredients
US11576400B2 (en) Methods for producing a hemp seed product
Campos et al. Development of functional cookies with Cerrado fruits and residues: sensory analysis, nutrients, and bioactive compounds
CN107981331A (zh) 大麦嫩叶姜汁粉及其加工工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0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0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2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311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