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119634A - 마늘분말이 첨가된 사료의 제조방법 및 그에 의해 제조된사료 - Google Patents

마늘분말이 첨가된 사료의 제조방법 및 그에 의해 제조된사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119634A
KR20050119634A KR1020050117553A KR20050117553A KR20050119634A KR 20050119634 A KR20050119634 A KR 20050119634A KR 1020050117553 A KR1020050117553 A KR 1020050117553A KR 20050117553 A KR20050117553 A KR 20050117553A KR 20050119634 A KR20050119634 A KR 2005011963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feed
garlic powder
raw material
whea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1175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상문
Original Assignee
의성축산협동조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의성축산협동조합 filed Critical 의성축산협동조합
Priority to KR10200501175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50119634A/ko
Publication of KR200501196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119634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10/00Animal feeding-stuffs
    • A23K10/30Animal feeding-stuffs from material of plant origin, e.g. roots, seeds or hay; from material of fungal origin, e.g. mushroom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30/00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preservation of materials in order to produce animal feeding-stuffs
    • A23K30/20Dehydratio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40/00Shaping or working-up of animal feeding-stuffs
    • A23K40/10Shaping or working-up of animal feeding-stuffs by agglomeration; by granulation, e.g. making powder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50/00Feeding-stuff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nimals
    • A23K50/30Feeding-stuff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nimals for swin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20/00Accessory food factors for animal feeding-stuffs
    • A23K20/10Organic substances
    • A23K20/142Amino acids;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20/00Accessory food factors for animal feeding-stuffs
    • A23K20/10Organic substances
    • A23K20/174Vitami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20/00Accessory food factors for animal feeding-stuffs
    • A23K20/20Inorganic substances, e.g. oligoelements

Abstract

본 발명은 마늘분말이 첨가된 사료의 제조방법 및 그에 의해 제조된 사료에 관한 것으로, 사료로 사용되는 다양한 재료들을 이송하여 분쇄한 후, 이를 일정비율로 개량한 다음 서로 혼합하여 사료를 제조하되, 상기 사료에는 마늘분말을 일정비율로 혼합함으로써 이를 먹은 돼지는 항병력이 높고 육질이 뛰어난 특징이 있다.
본 발명은 크게 네 공정을 통해 완성되는바, 각종 원료를 투입하여 저장고(10)에 저장한 후, 이를 버킷(11)과 컨베이어(12)를 통해 이송한 다음 분쇄기(13)를 통해 알맞은 크기로 분쇄하는 원료 투입 및 분쇄공정(S1)과, 상기 분쇄된 원료를 버킷(11)으로 이송한 다음, 이를 정량 계량하는 계량공정(S2)과, 계량된 원료를 옥수수 48 중량%에 소맥 11.7 중량%, 대두박 11.3 중량%, 소맥피 11.2 중량%, 미강 5 중량%, 당밀 4 중량%, 수지 3.3 중량%, 채종박 2 중량%, 탈불인광석 0.9 중량%, 액상라이신 0.9 중량%, 탄산칼슘 0.5 중량%, 마늘분말 0.4 중량%, 미네랄 0.3 중량%, 비타민 0.3 중량%, 염화콜린 0.1 중량% 및 트레오닌 0.1 중량%를 배합기(30)에 투입한 후 배합하는 배합공정(S3)과, 상기 배합된 사료를 벌크탱크(40)로 버킷(11)을 통해 이송한 후 단위 중량으로 포장하는 포장공정(S4)으로 구성되는 대략적인 제조공정을 갖는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은, 옥수수와 소맥, 대두박, 소맥피, 미강, 당밀, 수지, 채종박, 탈불인광석, 액상라이신, 탄산칼슘, 마늘분말, 미네랄, 비타민, 염화콜린 및 트레오닌을 일정 비율로 배합한 사료를 제작하여 돼지의 사료로 사용함으로써 항생제를 첨가하지 않아도 마늘분말에 의해 항병력이 높아지는 효과가 있다.
또한, 마늘분말의 첨가로 인해 돈육의 보수력이 향상되어 결국 육즙에 의한 향기와 맛이 향상되며, 불포화지방산의 함량이 높아져서 풍미와 조직감 등의 전체적인 맛이 향상되는 또 다른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마늘분말이 첨가된 사료의 제조방법 및 그에 의해 제조된 사료 { The manufacturing method of feed containing garlic powder and the feed added garlic powder, for pig }
본 발명은 사료의 제조방법 및 그에 의해 제조된 사료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사료로 사용되는 다양한 재료들을 이송하여 분쇄한 후, 이를 일정비율로 개량한 다음 서로 혼합하여 사료를 제조하되, 상기 사료에는 마늘분말을 일정비율로 혼합함으로써 이를 먹은 돼지는 항병력이 높고 육질이 뛰어난 마늘분말이 첨가된 사료의 제조방법 및 그에 의해 제조된 사료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배합사료라 함은, 여러 가지 단미사료와 사료첨가물을 배합하여 가금류 등의 사육목적에 맞게 영양소를 균형있게 배합·조제한 사료를 말하는 것으로, 그에는 영양소가 골고루 들어 있고 보존하기 좋으며 사용법이 간편한 점이 특징이다.
배합사료의 모양은 대상에 따라 가루로 된 매시, 낟알로 된 펠릿, 펠릿을 대강 부순 크럼블 등 여러 가지가 있으며, 생산목적으로 사육되는 가금류 등의 양분요구량이 분명해지면서 더 새로운 배합사료를 만들어 내고 있는바, 가금용의 주원료는 곡류, 겨·밀기울, 식물유 찌꺼기, 농산물제조 찌꺼기, 동물질사료이며 부원료는 특수사료·첨가물 등이다.
배합사료를 만들 때는 영양가·가격·색깔·기호·입자크기 등 많은 요소를 고려하여 몇 가지 단미사료를 조합해 나가는데, 요즘은 컴퓨터를 사용하여 목적에 적합한 제품을 가장 경제적으로 만들 수 있게 되었다.
하지만, 실제 양돈업에서는 배합사료에 질병의 예방 및 치료를 위한 목적 외에도 성장 촉진을 위해 항생제를 필수적으로 사용하여 왔으며, 최근에 들어서는 안정성 문제로 인해 항생제의 사용을 규제하거나 금지시키는 추세에 이르게 되어 일반적인 배합사료 만으로는 양계가 어려워 항생제를 대체할 다양한 생리활성물질의 개발에 많은 노력을 기울이고 있는 실정이다.
최근에 이르러 유익한 식물 혹은 한약재를 이용하여 면역력을 증대시키고 육질을 개선시키는 등의 효과를 얻으려 하였으나, 그 혼합되는 물질의 수가 20여 종에 가깝고 각각의 물질이 돼지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등이 규명되지 않은 상태에서 사료에 배합함으로써 돈육의 안전성에 문제점을 내포하고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발명한 것으로, 옥수수와 소맥, 대두박, 소맥피, 미강, 당밀, 수지, 채종박, 탈불인광석, 액상라이신, 탄산칼슘, 마늘분말, 미네랄, 비타민, 염화콜린 및 트레오닌을 일정 비율로 배합한 사료를 제작하여 돼지의 사료로 사용함으로써 항생제를 첨가하지 않아도 마늘분말에 의해 항병력이 높아지도록 함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마늘분말의 첨가로 인해 돈육의 보수력이 향상되어 결국 육즙에 의한 향기와 맛이 향상되며, 불포화지방산의 함량이 높아져서 풍미와 조직감 등의 전체적인 맛이 향상되어 돼지고기의 소비를 증대시킬 수 있도록 함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마늘분말이 첨가된 사료의 제조방법 및 그에 의해 제조된 사료에 관한 것으로, 사료로 사용되는 다양한 재료들을 이송하여 분쇄한 후, 이를 일정비율로 개량한 다음 서로 혼합하여 사료를 제조하되, 상기 사료에는 마늘분말을 일정비율로 혼합함으로써 이를 먹은 돼지는 항병력이 높고 육질이 뛰어난 특징이 있다.
본 발명은 크게 네 공정을 통해 완성되는바, 각종 원료를 투입하여 저장고(10)에 저장한 후, 이를 버킷(11)과 컨베이어(12)를 통해 이송한 다음 분쇄기(13)를 통해 알맞은 크기로 분쇄하는 원료 투입 및 분쇄공정(S1)과, 상기 분쇄된 원료를 버킷(11)으로 이송한 다음, 이를 정량 계량하는 계량공정(S2)과, 계량된 원료를 옥수수 48 중량%에 소맥 11.7 중량%, 대두박 11.3 중량%, 소맥피 11.2 중량%, 미강 5 중량%, 당밀 4 중량%, 수지 3.3 중량%, 채종박 2 중량%, 탈불인광석 0.9 중량%, 액상라이신 0.9 중량%, 탄산칼슘 0.5 중량%, 마늘분말 0.4 중량%, 미네랄 0.3 중량%, 비타민 0.3 중량%, 염화콜린 0.1 중량% 및 트레오닌 0.1 중량%를 배합기(30)에 투입한 후 배합하는 배합공정(S3)과, 상기 배합된 사료를 벌크탱크(40)로 버킷(11)을 통해 이송한 후 단위 중량으로 포장하는 포장공정(S4)으로 구성되는 대략적인 제조공정을 갖는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조 순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제조 공정도를 나타낸 것으로, 본 발명은 네 단계의 공정으로 구성되는바, 우선 제1공정은 사료로 사용되는 옥수수와 연소맥, 대두박, 소맥피, 미강, 당밀 및 채종박을 차량 등을 이용하여 이송한 다음 저장고(10)에 저장하되, 곡물 원료의 특성과 용량에 맞게 주 저장고(10a)와 보조 저장고(10b)에 각각 저장한 후, 이를 컨베이어(12)와 버킷(11)을 통해 수평 또는 수직으로 이동시켜 분쇄기(13)로 투입하여 분쇄하는 원료 투입 및 분쇄공정(S1)을 완료한다.
상기 분쇄기(13)로 투입된 곡물 원료 중 옥수수는 7.5 내지 3.5mm 크기로 분쇄하고 연소맥과 대두박, 소맥피, 미강, 당밀 및 채종박은 3mm 이하의 크기로 분쇄하도록 구성된다.
그 후 행해지는 제2공정은, 상기 분쇄된 곡물 원료를 버컷(11)과 컨베이어를 통해 이송하여 배합 전 원료탱크(21)에 투입하며, 상기 곡물 원료 이외의 재료인 탈불인광석과 액상라이신, 탄산칼슘, 마늘분말, 미네랄, 비타민, 염화콜린 및 트레오닌 또한 배합 전 원료탱크(21)에 각각 분리하여 저장한 후, 계량기(20)를 이용하여 정량 계량하는 계량공정(S2)을 완료한다.
그런 다음, 제3공정은, 상기 계량된 각종 원료를 배합기(30)로 배합하여 사료를 완성하는 배합공정(S3)을 완료한다.
상기 배합되는 배합비를 살펴보면, 옥수수 48 중량%에 소맥 11.7 중량%, 대두박 11.3 중량%, 소맥피 11.2 중량%, 미강 5 중량%, 당밀 4 중량%, 채종박 2 중량%, 탈불인광석 0.9 중량%, 탄산칼슘 0.5 중량%, 마늘분말 0.4 중량%, 미네랄 0.3 중량%, 비타민 0.3 중량%, 염화콜린 0.1 중량% 및 트레오닌 0.1 중량%를 배합하되, 액상의 수지 3.3 중량%와 액상라이신 0.9 중량%을 가장 마지막에 첨가하여 배합하는 구성을 갖는다.
상기 배합된 사료는 일반적인 사료와 대동소이한 형태로 구성되지만, 가장 특징이 있는 것은 마늘분말이 배합되어 있는 것이 가장 큰 차이점인바, 상기 마늘분말을 제조하는 방법을 살펴보면, 생마늘에 부착된 흙 등의 각종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해 물로 세척을 한 후, 뿌리와 속대부분을 제거하고 얇게 세절한 다음, 이를 고추건조용 열풍건조기에서 60 ~ 70℃의 온도로 약 4일간 완전건조시킨 다음 분말의 형태로 미분쇄하여 사용하도록 구성된다.
마지막으로 행해지는 제4공정은, 상기 배합된 사료를 벌크탱크(40)로 버킷(11)을 통해 이송한 후, 이를 단위 중량으로 포장하는 포장공정(S4)을 완료한다.
상기 벌크탱크(40)에는 계량기(20)가 구비되어 있어서 일정한 중량씩 포장되거나 운송차량에 적재하여 사료를 필요로 하는 곳에서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구성을 갖는다.
상기와 같은 공정으로 제조된 사료의 구성을 살펴보면, 일반적인 사료와 외관상으로는 크게 다른 점이 없는 형태로 구성되는바, 입자의 크기가 7.5 내지 3.5mm 크기로 구성된 옥수수 48 중량%와, 입자가 3mm 이하의 크기로 구성된 소맥 11.7 중량%, 대두박 11.3 중량%, 소맥피 11.2 중량%, 미강 5 중량%, 당밀 4 중량%, 채종박 2 중량%와, 액상의 형태로 배합되는 수지 3.3 중량%, 액상라이신 0.9 중량%와, 입자가 1mm 이하의 분말형태로 구성된 탈불인광석 0.9 중량%, 탄산칼슘 0.5 중량%, 마늘분말 0.4 중량%, 미네랄 0.3 중량%, 비타민 0.3 중량%, 염화콜린 0.1 중량% 및 트레오닌 0.1 중량%가 혼재되어 있는 형태로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제조된 사료를 건국대학교 동물자원연구센터에 그 효능과 효과를 의뢰하였는바, 개시중량 90㎏의 비육돈을 32일간 마늘분말이 함유된 사료를 건식급이기를 통해 자유채식토록한 마늘첨가구와 마늘분말이 함유되지 않은 사료를 건식급이기를 통해 자유채식토록한 무첨가구와의 사육결과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우선 육질분석의 결과를 살펴보면, 도축 24시간 경과 후 육가공업체에서 작업하는 기준에 따라 분할하였으며, 이중 등심부위를 시료로 취하여 과도한 지방을 제거하고 일정한 모양으로 정형한 후 진공포장하여 2±1℃ 냉장실에 보관하면서 공시재료로 사용하였으며, 플렉시 글라스 판 상에 여과지를 깔고 그 위에 시료를 300㎎을 올려놓은 다음 또 다른 플렉시 글라스 판 한 개를 포개 놓고 일정한 압력으로 압착시킨 후 여과지를 꺼내어 고기 육편이 묻어 있는 부분의 면적과 수분이 젖어 있는 부분의 총면적을 면적계를 이용하여 측정한 결과 [표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보수력과 다즙성이 마늘분말이 함유된 사료를 섭취한 마늘첨가구의 돈육이 높은 수치를 나타낸 결과를 얻을 수 있었으며, 상기 보수력이 높으면 다즙성이 높게 되어 결국 육즙에 의한 향기나 맛이 향상됨을 알 수 있다.
또한, 상기와 실험군과 동일한 조건에서 사육된 대조군의 지질을 각각 50g 추출하여 Folch 용액에 넣고 균질화하여 지질을 추출한 후, 가수분해하고 메틸화시킨 후 지방산을 분석한 결과 [표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전체적인 조성에 있어서 마늘첨가구가 마늘무첨가구에 비해 돈육의 기호도에 영향을 주는 단일불포화지방산의 함량이 다소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또한 포화지방산에 대한 단일불포화지방산의 비율은 풍미에 영향을 미치므로 그 비율이 마늘분말 무첨가군의 1.04에 비해 마늘분말 첨가구가 1.23으로 높은 수치를 나타냄에 따라 마늘분말을 먹은 돈육이 더욱 좋은 맛을 나타내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은, 옥수수와 소맥, 대두박, 소맥피, 미강, 당밀, 수지, 채종박, 탈불인광석, 액상라이신, 탄산칼슘, 마늘분말, 미네랄, 비타민, 염화콜린 및 트레오닌을 일정 비율로 배합한 사료를 제작하여 돼지의 사료로 사용함으로써 항생제를 첨가하지 않아도 마늘분말에 의해 항병력이 높아지는 효과가 있다.
또한, 마늘분말의 첨가로 인해 돈육의 보수력이 향상되어 결국 육즙에 의한 향기와 맛이 향상되며, 불포화지방산의 함량이 높아져서 풍미와 조직감 등의 전체적인 맛이 향상되는 또 다른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공정순서도
도 2는 본 발명의 공정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저장고 10a: 주 저장고
10b: 보조 저장고 11: 버킷
12: 컨베이어 13: 분쇄기
20: 계량기 21: 배합 전 원료탱크
30: 배합기 40: 벌크탱크

Claims (3)

  1. 배합사료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원료가 저장된 저장고(10)로부터 버킷(11)과 컨베이어(12)를 통해 원료를 이송한 다음 분쇄기(13)를 통해 분쇄하는 원료 투입 및 분쇄공정(S1)과,
    상기 분쇄된 원료를 버킷(11)으로 이송한 다음, 이를 정량 계량하는 계량공정(S2)과,
    계량된 원료를 옥수수 48 중량%에 소맥 11.7 중량%, 대두박 11.3 중량%, 소맥피 11.2 중량%, 미강 5 중량%, 당밀 4 중량%, 수지 3.3 중량%, 채종박 2 중량%, 탈불인광석 0.9 중량%, 액상라이신 0.9 중량%, 탄산칼슘 0.5 중량%, 마늘분말 0.4 중량%, 미네랄 0.3 중량%, 비타민 0.3 중량%, 염화콜린 0.1 중량% 및 트레오닌 0.1 중량%를 배합기(30)에 투입한 후 배합하는 배합공정(S3)과,
    상기 배합된 사료를 벌크탱크(40)로 이송한 후 단위 중량으로 포장하는 포장공정(S4)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마늘분말이 첨가된 사료의 제조방법.
  2. 배합사료에 있어서,
    입자의 크기가 7.5 내지 3.5mm 크기로 구성된 옥수수 48 중량%와,
    입자가 3mm 이하의 크기로 구성된 소맥 11.7 중량%, 대두박 11.3 중량%, 소맥피 11.2 중량%, 미강 5 중량%, 당밀 4 중량%, 채종박 2 중량%와,
    액상의 형태로 배합되는 수지 3.3 중량%, 액상라이신 0.9 중량%와,
    입자가 1mm 이하의 분말형태로 구성된 탈불인광석 0.9 중량%, 탄산칼슘 0.5 중량%, 마늘분말 0.4 중량%, 미네랄 0.3 중량%, 비타민 0.3 중량%, 염화콜린 0.1 중량% 및 트레오닌 0.1 중량%가 혼재되어 있는 형태로 구성되어, 이를 먹은 돼지는 항병력이 높고, 생산된 돈육은 보수력과 불포화지방산의 함량이 높음을 특징으로 하는 마늘분말이 첨가된 배합사료.
  3. 제 1 또는 2항에 있어서,
    사용되는 마늘 건조분말은, 생마늘에 부착된 흙 등의 각종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해 물로 세척을 한 후, 뿌리와 속대부분을 제거하고 얇게 세절한 다음, 이를 고추건조용 열풍건조기에서 60 ~ 70℃의 온도로 약 4일간 완전건조시킨 다음 분말의 형태로 분쇄하여 사용함을 특징으로 하는 마늘분말이 첨가된 사료의 제조방법 및 그에 의해 제조된 사료.
KR1020050117553A 2005-12-05 2005-12-05 마늘분말이 첨가된 사료의 제조방법 및 그에 의해 제조된사료 KR2005011963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17553A KR20050119634A (ko) 2005-12-05 2005-12-05 마늘분말이 첨가된 사료의 제조방법 및 그에 의해 제조된사료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17553A KR20050119634A (ko) 2005-12-05 2005-12-05 마늘분말이 첨가된 사료의 제조방법 및 그에 의해 제조된사료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119634A true KR20050119634A (ko) 2005-12-21

Family

ID=372923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117553A KR20050119634A (ko) 2005-12-05 2005-12-05 마늘분말이 첨가된 사료의 제조방법 및 그에 의해 제조된사료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50119634A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09036B1 (ko) * 2009-06-19 2012-01-31 (주)이엘티사이언스 펜벤다졸 경구용 정제 복합 조성물
KR101154061B1 (ko) * 2010-06-16 2012-06-11 전성환 흑마늘을 주재료로 하는 사료 첨가제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흑마늘을 주재료로 하는 사료 첨가제
CN103652330A (zh) * 2013-12-19 2014-03-26 遵义市金鼎农业科技有限公司 一种含糖蜜的泌乳母猪全价饲料
CN107156474A (zh) * 2017-05-09 2017-09-15 安徽长乐生态农业有限公司 一种肉猪饲料
WO2023008286A1 (ja) * 2021-07-29 2023-02-02 日本水産株式会社 鳥類の肉質改善方法、鳥類の肉加工品及び鳥類の肉質改善飼料並びにブロイラー及び鶏肉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09036B1 (ko) * 2009-06-19 2012-01-31 (주)이엘티사이언스 펜벤다졸 경구용 정제 복합 조성물
KR101154061B1 (ko) * 2010-06-16 2012-06-11 전성환 흑마늘을 주재료로 하는 사료 첨가제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흑마늘을 주재료로 하는 사료 첨가제
CN103652330A (zh) * 2013-12-19 2014-03-26 遵义市金鼎农业科技有限公司 一种含糖蜜的泌乳母猪全价饲料
CN107156474A (zh) * 2017-05-09 2017-09-15 安徽长乐生态农业有限公司 一种肉猪饲料
WO2023008286A1 (ja) * 2021-07-29 2023-02-02 日本水産株式会社 鳥類の肉質改善方法、鳥類の肉加工品及び鳥類の肉質改善飼料並びにブロイラー及び鶏肉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940265B (zh) 一种含中药提取剩余物成分的家兔饲料及其应用
CN103503828B (zh) 一种竹林散养肉鸡的方法
CN102972651A (zh) 一种改善犬皮肤与毛发健康状况的犬粮及其制备方法
CN103493981A (zh) 一种添加益母草的保健肉鸭饲料
CN104171513A (zh) 一种中华绒螯蟹育膏专用配合饲料及其制备方法
CN101991012A (zh) 一种肉鸡饲料及加工方法
JP6934115B2 (ja) 亜麻種子の食品としての価値を高めるための処理方法
CN110367397A (zh) 一种超低淀粉的加州鲈膨化饲料及其制备方法
CN104782957A (zh) 一种羔羊饲料
CN100442991C (zh) 罗非鱼亲鱼颗粒饲料及其制造方法
KR20050119634A (ko) 마늘분말이 첨가된 사료의 제조방법 및 그에 의해 제조된사료
CN111374233A (zh) 综合营养宠物食品
CN103892036B (zh) 一种酒糟颗粒状种猪复合饲料的制备方法
CN103892037B (zh) 一种酒糟颗粒状母猪复合饲料的制备方法
Gonzalez et al. Preparing farm-made fish feed
KR100525663B1 (ko) 마늘분말이 첨가된 사료의 제조방법 및 그에 의해 제조된배합사료
CN111165683A (zh) 一种虾蟹类中药保健配合饲料及其制备工艺
Akaffou et al. Physicochemical and functional properties of flours from three purple maize varieties named “Violet de Katiola” in Côte d’Ivoire
CN105614031A (zh) 一种螃蟹配合饲料及其制备方法
CN103907780B (zh) 一种酒糟颗粒状种猪复合饲料
CN106858098A (zh) 一种增强免疫力的饲料添加剂配方及其制备工艺
CN103202440A (zh) 一种小麦胚芽养生粥及其制作方法
CN104782958A (zh) 一种羔羊饲料的制备方法
KR101484274B1 (ko) 밤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사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CN106509461B (zh) 一种蛋鸡饲料及其加工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