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63953B1 - 다권종 동시투입 환류식 동전처리장치 - Google Patents

다권종 동시투입 환류식 동전처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63953B1
KR101363953B1 KR1020120061448A KR20120061448A KR101363953B1 KR 101363953 B1 KR101363953 B1 KR 101363953B1 KR 1020120061448 A KR1020120061448 A KR 1020120061448A KR 20120061448 A KR20120061448 A KR 20120061448A KR 101363953 B1 KR101363953 B1 KR 10136395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coins
coin
return
chan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614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137846A (ko
Inventor
강동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이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이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이텍
Priority to KR10201200614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63953B1/ko
Publication of KR201301378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3784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639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6395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DHANDLING OF COINS OR VALUABLE PAPERS, e.g. TESTING, SORTING BY DENOMINATIONS, COUNTING, DISPENSING, CHANGING OR DEPOSITING
    • G07D3/00Sorting a mixed bulk of coins into denominations
    • G07D3/02Sorting coins by means of graded aperture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DHANDLING OF COINS OR VALUABLE PAPERS, e.g. TESTING, SORTING BY DENOMINATIONS, COUNTING, DISPENSING, CHANGING OR DEPOSITING
    • G07D3/00Sorting a mixed bulk of coins into denominations
    • G07D3/14Apparatus driven under control of coin-sensing element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DHANDLING OF COINS OR VALUABLE PAPERS, e.g. TESTING, SORTING BY DENOMINATIONS, COUNTING, DISPENSING, CHANGING OR DEPOSITING
    • G07D3/00Sorting a mixed bulk of coins into denominations
    • G07D3/16Sorting a mixed bulk of coins into denominations in combination with coin-counting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DHANDLING OF COINS OR VALUABLE PAPERS, e.g. TESTING, SORTING BY DENOMINATIONS, COUNTING, DISPENSING, CHANGING OR DEPOSITING
    • G07D5/00Testing specially adapted to determine the identity or genuineness of coins, e.g. for segregating coins which are unacceptable or alien to a currency

Abstract

본 발명은 투입구(21)와 반환구(51)를 구비하는 주화 계수장치에 있어서: 상기 투입구(21)에 이송판(23)을 개재하여 설치되고, 주화를 하나씩 이송하는 투입부(20); 상기 투입부(20)의 하류측에 주화를 선별하도록 설치되고, 주화를 크기에 따른 설정 경로로 낙하하는 선별부(30); 상기 선별부(30)의 하부에 호퍼(44)를 개재하여 설치되고, 선별을 거친 주화를 각각 저장하는 저장부(40); 상기 반환구(51)에 하부벨트(53)와 상부벨트(54)를 개재하여 설치되고, 거스름돈을 이송하는 반환부(50); 및 상기 투입부(20), 선별부(30), 저장부(40), 반환부(50)를 설정된 알고리즘으로 제어하는 제어부(6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따라, 지하철 발매기 등에서 다량으로 투입되는 동전을 신속하고 정확하게 분류하고 지급에러가 발생한 거스름돈을 안전하게 보관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다권종 동시투입 환류식 동전처리장치{Recirculation type coin mechanism for handling different kinds of coins}
본 발명은 다권종 동시투입 환류식 동전처리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지하철 발매기 등에서 다량으로 투입되는 동전을 신속하고 정확하게 분류하고 지급에러가 발생한 거스름돈을 안전하게 보관하는 다권종 동시투입 환류식 동전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동전 ATM은 지하철 발권기, 자동판매기, 게임기 등에 활용되는 것으로서, 주화의 재질과 사이즈를 함께 감지하여 유사주화, 불량주화와 정상주화를 고속으로 정확하게 분리하면서 정상주화의 계수를 수행한다. 동전 ATM에 환류방식을 적용하면 출금을 위한 동전 보충이 불필요하고, 동전의 회수 주기를 연장할 수 있어 편의성이 향상된다. 이와 관련되어,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1997-0049879호의 "티켓 발매기의 동전 처리 장치",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2004-0067674호의 "대용량 환류식 주화 사상 장치 및 그 방법",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0986595호의 "자동발매기용 동전처리장치" 등의 선행특허가 알려져 있다.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1997-0049879호는 승차권이나 출입권 등을 자동발급하는 티켓발매기에 설치되어 동전을 자동분류 및 보관하는 동전처리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입구부, 전자검전부, 이송부, 계수센서에 의한 4회의 판별에 따라 동전의 불량, 위조 및 금액분류 등을 정확히 판별할 수 있게 되므로 판별의 신뢰성을 향상시키고, 거스름돈의 부족시 예비거스름돈부에 대체로 인해 거스름돈이 정확히 방출되도록 하는 효과를 기대한다.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2004-0067674호는 동전투입구와, 동전투입구의 하부에서 투입된 동전을 정상주화와 불량주화로 분류하는 동시에 정상주화는 다시 종류에 따라 분리하는 동전분리통과, 동전분리통의 일 측 하부에서 분리된 정상주화를 종류에 따라 집적하는 동전집적통과, 동전집적통의 하부에서 거스름돈을 방출하는 반면 동전분리통에 불량주화를 반출하는 동전반환구로 구성한다. 이에 따라, 거스름돈을 보충하는 횟수를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어 무인자동화 기기의 효율을 크게 높이는 효과를 기대한다.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0986595호는 진위판별부, 동전의 종류를 분류하는 동전분류부, 일시저장부, 동전저장부, 임시 동전 배출용 보조호퍼, 거스름돈을 이송하여 배출하는 이송부로 이루어진 자동발매기용 동전처리장치에 있어서, 상기 일시저장부는 동전의 종류별로 저장되도록 구획된 일시저장통의 하면이 일측은 동전저장부와 연통되고, 타측은 동전배출관로와 연통되어, 일측이나 타측이 선택적으로 개방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이에 따라, 모든 동전배출이 하나의 경로로 이루어지므로 동전처리장치의 구조가 간단해지는 효과를 기대한다.
그러나 상기한 선행특허에 의하면 다량의 동전이 투입되는 경우 처리 능력에 한계를 보여 정확한 분류가 곤란하고, 거스름돈을 배출하는 과정에서 에러가 발생한 경우 주요부 손상이 초래될 우려가 크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들을 개선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지하철 발매기 등에서 다량으로 투입되는 동전을 신속하고 정확하게 분류하고 지급에러가 발생한 거스름돈을 안전하게 보관하는 다권종 동시투입 환류식 동전처리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투입구와 반환구를 구비하는 주화 계수장치에 있어서: 상기 투입구에 이송판을 개재하여 설치되고, 주화를 하나씩 이송하는 투입부; 상기 투입부의 하류측에 주화를 선별하도록 설치되고, 주화를 크기에 따른 설정 경로로 낙하하는 선별부; 상기 선별부의 하부에 호퍼를 개재하여 설치되고, 선별을 거친 주화를 각각 저장하는 저장부; 상기 반환구에 하부벨트와 상부벨트를 개재하여 설치되고, 거스름돈을 이송하는 반환부; 및 상기 투입부, 선별부, 저장부, 반환부를 설정된 알고리즘으로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선별부는 이송판에서 횡으로 연장되는 활주판과, 활주판 상에 밀착되어 주화를 이송하는 벨트와, 활주판 상에 주화의 크기 별로 통과를 허용하도록 형성되는 유도홈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저장부는 각각의 호퍼의 저면에 계수판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반환부는 하부벨트와 상부벨트로 이루어지는 경로 상에서 반환구의 반대측 행정단에 수거통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제어부는 이송판의 하류단에서 비정상적인 주화를 판별하는 감지기와, 거스름돈의 회수를 위한 설정 시간을 판별하는 타이머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지하철 발매기 등에서 다량으로 투입되는 동전을 신속하고 정확하게 분류하고 지급에러가 발생한 거스름돈을 안전하게 보관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전면에서 주요부를 나타내는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후면에서 주요부를 나타내는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후면에서 선별부를 나타내는 구성도
도 4는 도 3에서 슈트를 제거하여 유도홈을 나타내는 구성도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투입구(21)와 반환구(51)를 구비하는 주화 계수장치에 관하여 개시한다. 투입구(21)는 본체(10)의 전면 상측에 위치하고 지하철 발권시 다량의 동전을 수용할 수 있는 용량으로 구성한다. 반환구(51)는 비정상 주화나 거스름돈을 주는 곳으로 본체(10)의 측면 상측에서 투입구(21)에 인접하도록 설치한다. 계수장치가 지하철 발권기에 적용됨을 예시하지만 반드시 이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주화를 하나씩 이송하는 투입부(20)가 상기 투입구(21)에 이송판(23)을 개재하여 설치된다. 투입부(20)의 이송판(23)은 투입구(21)에 대기중인 다량의 동전을 하나씩 이송하는 것으로서, 본 출원인에 의한 등록특허공보 제0780052호(명칭: 주화 선별/계수장치)에서 디스크를 참조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투입부(20)의 하류측에 주화를 선별하도록 설치되는 선별부(30)가 주화를 크기에 따른 설정 경로로 낙하하는 구조이다. 선별부(30)는 투입부(20)에 인접하여 수평(횡방향) 상태로 설치되며, 주화의 이송경로 상으로 볼 때 하류측에 해당한다. 주화의 이송중에 50원, 10원, 100원, 500원 단위로 신속하게 분류하는 구성을 요지로 한다.
이때, 상기 선별부(30)는 이송판(23)에서 횡으로 연장되는 활주판(32)과, 활주판(32) 상에 밀착되어 주화를 이송하는 벨트(36)와, 활주판(32) 상에 주화의 크기 별로 통과를 허용하도록 형성되는 유도홈(38)을 구비한다. 활주판(32)은 주화의 안정적 이송을 위해 표면조도를 양호하게 유지하면서 수직선을 기준으로 5~10˚ 정도 경사지도록 설치된다. 벨트(36)는 다수의 롤러(34)를 개재하여 일면이 활주판(32)에 밀착되도록 설치된다. 도 3에서 활주판(32)의 후면에는 50원, 10원, 100원, 500원 주화의 낙하를 유도하는 저장슈트(45)의 상단 투입구가 연결되고, 도 4에서 활주판(32)은 상기 저장슈트(45)의 투입구에 해당하는 위치에 각각의 유도홈(38)을 구비한다.
세부적 구성으로서, 유도홈(38)은 각각 주화의 이송경로 상으로 상류에서 하류로 오면서 50원, 10원, 100원, 500원이 통과되는 크기로 형성된다. 각각의 유도홈(38)에서 주화의 원활한 통과를 위해 이송경로 상으로 상류측에 챔퍼를 두고 하류측에는 챔퍼를 두지 않는다. 그리고 유도홈(38)의 상류측은 원형으로 하류측은 직선형으로 하는 것이 좋다. 이에 따라, 이송판(23)에서 다량의 동전이 공급되어도 유도홈(38)을 통하여 저장슈트(45)로 신속하고 정확하게 분류된다.
한편, 투입부(20)의 이송판(23)에서 감지기(62)를 거치면서 비정상 주화(불량주화)로 판단되면 저장슈트(45)에 이르기 전에 불량슈트(25)를 통하여 별도의 경로로 이송되어 반환되거나 수집된다.
또, 본 발명에 따르면 선별을 거친 주화를 각각 저장하는 저장부(40)가 상기 선별부(30)의 하부에 호퍼(44)를 개재하여 설치된다. 저장부(40)는 50원, 10원, 100원, 500원 주화를 저장하는 각각의 호퍼(44)를 구비하며, 호퍼(44)는 전술한 저장슈트(45)를 통하여 선별부(30)에 연결된다. 호퍼(44)의 후면에는 거스름돈을 배출하는 배출구(도시 생략)를 구비하여 "환류식"을 구현한다. 저장슈트(45)의 하단과 호퍼(44)의 상단 사이에 안내판(41)이 개재되어 물품(승차권)의 미구매시 호퍼(44)로 보내지 않고 반환 경로로 보낸다.
이때, 상기 저장부(40)는 각각의 호퍼(44)의 저면에 계수판(47)을 구비한다. 호퍼(44)에 저장된 주화를 수거하거나 점검하는 경우 계수판(47)을 통하여 하방향으로 낙하시킨다. 계수판(47)은 호퍼(44)에서 인출되는 동전을 카운트하여 후술하는 제어부(60)에 데이터를 전송한다.
한편, 본체(10)의 일측에는 호퍼(44)의 주화가 소진되는 경우를 대비하여 예비호퍼(12)가 구비된다. 예비호퍼(12)의 상측으로는 수거 또는 비상공급을 위한 주화통(15)이 착탈 가능하게 설치된다.
또, 본 발명에 따르면 거스름돈을 이송하는 반환부(50)가 상기 반환구(51)에 하부벨트(53)와 상부벨트(54)를 개재하여 설치된다. 도 2에서 하부벨트(53)는 저면에서 측면에 이르는 L자형으로 배치되고, 상부벨트(54)는 하부벨트(53)의 수직부에 상호 긴밀하게 접촉하도록 배치된다. 호퍼(44)에서 공급되는 거스름돈 주화는 하부벨트(53)의 상면을 따라 수평으로 이송된 후 상부벨트(54)와 접한 부분에서 수직으로 이송되어 반환구(51)에 도달한다. 만일 반환구(51)로 이송되는 과정에서 에러가 발생하는 경우 반환부(50)에서 하부벨트(53)와 상부벨트(54)를 역으로 이송하여 거스름돈을 본체(10)의 내부로 회수한다.
이때, 상기 반환부(50)는 하부벨트(53)와 상부벨트(54)로 이루어지는 경로 상에서 반환구(51)의 반대측 행정단에 수거통(56)을 구비한다. 수거통(56)은 하부벨트(53) 상에서 상부벨트(54)가 위치하는 반대측 행정단에 연결되고, 반환구(51)에서 역으로 이송되는 거스름돈(주화)을 수집한다.
또, 본 발명에 따르면 제어부(60)가 상기 투입부(20), 선별부(30), 저장부(40), 반환부(50)를 설정된 알고리즘으로 제어한다. 제어부(60)는 메모리와 입출력인터페이스를 지니는 마이콤 회로로 구성된다. 제어부(60)는 투입부(20)의 이송판(23)의 회전을 단속하고, 선별부(30)의 롤러(34)와 벨트(36)의 회전을 단속하고, 저장부(40)의 안내판(41), 거스름돈 배출구(도시 생략), 계수판(47)의 작동을 단속하고, 반환부(50)의 하부벨트(53)와 상부벨트(54)의 정역회전을 단속한다.
이때, 상기 제어부(60)는 이송판(23)의 하류단에서 비정상적인 주화를 판별하는 감지기(62)와, 거스름돈의 회수를 위한 설정 시간을 판별하는 타이머(64)를 구비한다. 감지기(62)는 이송판(23)과 활주판(32) 사이에 설치되어 비정상 주화를 감별하고, 제어부(60)는 비정상 주화를 불량슈트(25)로 보내어 활주판(32)에 도달하지 않도록 한다. 제어부(60)는 거스름돈이 설정된 시간(예컨대 3초) 내에 배출되지 않는 등의 에러가 발생하면 타이머(64)의 신호에 의하여 반환부(50)의 하부벨트(53)와 상부벨트(54)를 역으로 작동하여 수거통(56)으로 보낸다. 물론 이와 동시에 제어부(60)는 거스름돈이 수거된 금액과 시간을 저장하여 후일에 필요에 따라 정산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변형예 또는 수정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해야 할 것이다.
10: 본체 20: 투입부
21: 투입구 23: 이송판
25: 불량슈트 30: 선별부
32: 활주판 34: 롤러
36: 벨트 38: 유도홈
40: 저장부 41: 안내판
44: 호퍼 45: 저장슈트
47: 계수판 50: 반환부
51: 반환구 53, 54: 벨트
56: 수거통 60: 제어부
62: 감지기 64: 타이머

Claims (5)

  1. 투입구(21)와 반환구(51)를 구비하는 주화 계수장치에 있어서:
    상기 투입구(21)에 이송판(23)을 개재하여 설치되고, 주화를 하나씩 이송하는 투입부(20);
    상기 투입부(20)의 하류측에 주화를 선별하도록 설치되고, 주화를 크기에 따른 설정 경로로 낙하하는 선별부(30);
    상기 선별부(30)의 하부에 호퍼(44)를 개재하여 설치되고, 선별을 거친 주화를 각각 저장하는 저장부(40);
    상기 반환구(51)에 하부벨트(53)와 상부벨트(54)를 개재하여 설치되고, 거스름돈을 이송하는 반환부(50); 및
    상기 투입부(20), 선별부(30), 저장부(40), 반환부(50)를 설정된 알고리즘으로 제어하는 제어부(6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선별부(30)는 이송판(23)에서 횡으로 연장되는 활주판(32)과, 활주판(32) 상에 밀착되어 주화를 이송하는 벨트(36)와, 활주판(32) 상에 주화의 크기 별로 통과를 허용하도록 형성되는 유도홈(38)을 구비하며,
    상기 유도홈(38)은 상류측에서 챔퍼를 지닌 원형으로, 하류측에서 챔퍼를 지니지 않은 직선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저장부(40)는 각각의 호퍼(44)의 저면에 계수판(47)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권종 동시투입 환류식 동전처리장치.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반환부(50)는 하부벨트(53)와 상부벨트(54)로 이루어지는 경로 상에서 반환구(51)의 반대측 행정단에 수거통(56)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권종 동시투입 환류식 동전처리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60)는 이송판(23)의 하류단에서 비정상적인 주화를 판별하는 감지기(62)와, 거스름돈의 회수를 위한 설정 시간을 판별하는 타이머(64)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권종 동시투입 환류식 동전처리장치.
KR1020120061448A 2012-06-08 2012-06-08 다권종 동시투입 환류식 동전처리장치 KR10136395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61448A KR101363953B1 (ko) 2012-06-08 2012-06-08 다권종 동시투입 환류식 동전처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61448A KR101363953B1 (ko) 2012-06-08 2012-06-08 다권종 동시투입 환류식 동전처리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37846A KR20130137846A (ko) 2013-12-18
KR101363953B1 true KR101363953B1 (ko) 2014-02-18

Family

ID=499838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61448A KR101363953B1 (ko) 2012-06-08 2012-06-08 다권종 동시투입 환류식 동전처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6395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986292A (zh) * 2018-07-03 2018-12-11 张家港市欧微自动化研发有限公司 一种硬币分拣设备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56248A (ko) 2017-11-16 2019-05-24 최이선 동전 자동 분류계산기
KR20200051439A (ko) 2018-11-05 2020-05-13 최이선 자판기의 동전 투입
KR102371858B1 (ko) 2020-06-30 2022-03-10 (주)에이텍티앤 유지보수가 편리한 환류식 동전처리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49879A (ko) * 1995-12-26 1997-07-29 배순훈 티켓발매기의 동전처리장치
JPH09270071A (ja) * 1996-04-02 1997-10-14 Tec Corp 釣り銭自動払出装置
KR100780052B1 (ko) * 2007-04-27 2007-11-30 주식회사 에이텍 주화 선별/계수장치
KR200445721Y1 (ko) * 2009-04-01 2009-08-27 국제시스템산업 주식회사 자동발매기용 동전처리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49879A (ko) * 1995-12-26 1997-07-29 배순훈 티켓발매기의 동전처리장치
JPH09270071A (ja) * 1996-04-02 1997-10-14 Tec Corp 釣り銭自動払出装置
KR100780052B1 (ko) * 2007-04-27 2007-11-30 주식회사 에이텍 주화 선별/계수장치
KR200445721Y1 (ko) * 2009-04-01 2009-08-27 국제시스템산업 주식회사 자동발매기용 동전처리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986292A (zh) * 2018-07-03 2018-12-11 张家港市欧微自动化研发有限公司 一种硬币分拣设备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37846A (ko) 2013-12-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839938B2 (en) Coin receiving and dispensing machine
KR101363953B1 (ko) 다권종 동시투입 환류식 동전처리장치
TW202011358A (zh) 金錢處理裝置
JP4284100B2 (ja) 循環式硬貨入出金機の精査処理装置
JP3673052B2 (ja) 硬貨入出金機の取引口装置
JP3499702B2 (ja) 硬貨入出金機
JP3547648B2 (ja) 硬貨入出金機
JP2003044895A (ja) 硬貨出金処理機
JP6534533B2 (ja) 硬貨処理装置
JP3423645B2 (ja) 硬貨入出金機
JPS626396A (ja) 循環式硬貨入出金機
JP2009043183A (ja) 硬貨入出金機
JPH10228556A (ja) 硬貨搬送装置および硬貨入金処理機の残留硬貨類搬送装置
JP3867753B2 (ja) 硬貨処理装置
JP3214841B2 (ja) 循環式硬貨入出金機
JP5022816B2 (ja) 硬貨入出金機
JPS61253595A (ja) 硬貨入出金機
JPS639013Y2 (ko)
JP3214842B2 (ja) 硬貨出金処理機
JP2003157464A (ja) 硬貨処理機
JPH0551951B2 (ko)
JP5386296B2 (ja) 硬貨入出金機
JPH0831162B2 (ja) 硬貨処理機の入金処理方法
KR100625208B1 (ko) 주화 입금장치용 입금 컨베이어장치
JPS61248188A (ja) 硬貨入金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1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0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11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