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62335B1 - 슬라이드식 연속포장장치 - Google Patents

슬라이드식 연속포장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62335B1
KR101362335B1 KR1020120059114A KR20120059114A KR101362335B1 KR 101362335 B1 KR101362335 B1 KR 101362335B1 KR 1020120059114 A KR1020120059114 A KR 1020120059114A KR 20120059114 A KR20120059114 A KR 20120059114A KR 101362335 B1 KR101362335 B1 KR 10136233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m
mold
container
chamber
packag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591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135503A (ko
Inventor
김형태
Original Assignee
하이퍼포장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하이퍼포장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하이퍼포장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0591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62335B1/ko
Publication of KR201301355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3550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623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6233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9/00Enclosing successive articles, or quantities of material, e.g. liquids or semiliquids, in flat, folded, or tubular webs of flexible sheet material; Subdividing filled flexible tubes to form packages
    • B65B9/02Enclosing successive articles, or quantities of material between opposed webs
    • B65B9/04Enclosing successive articles, or quantities of material between opposed webs one or both webs being formed with pockets for the reception of the articles, or of the quantities of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57/00Automatic control, checking, warning, or safety devices
    • B65B57/02Automatic control, checking, warning, or safety devices responsive to absence, presence, abnormal feed, or misplacement of binding or wrapping material, containers, or packages
    • B65B57/08Automatic control, checking, warning, or safety devices responsive to absence, presence, abnormal feed, or misplacement of binding or wrapping material, containers, or packages and operating to stop, or to control the speed of, the machine as a who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7/00Closing containers or receptacles after filling
    • B65B7/16Closing semi-rigid or rigid containers or receptacles not deformed by, or not taking-up shape of, contents, e.g. boxes or cartons
    • B65B7/162Closing semi-rigid or rigid containers or receptacles not deformed by, or not taking-up shape of, contents, e.g. boxes or cartons by feeding web material to securing means
    • B65B7/164Securing by heat-seal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61/00Auxiliary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operating on sheets, blanks, webs, binding material, containers or packages
    • B65B61/04Auxiliary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operating on sheets, blanks, webs, binding material, containers or packages for severing webs, or for separating joined packages
    • B65B61/06Auxiliary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operating on sheets, blanks, webs, binding material, containers or packages for severing webs, or for separating joined packages by cut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ntainers And Plastic Fillers For Packaging (AREA)
  • Closing Of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슬라이드식 연속포장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용기가 장착되는 다수의 몰드를 일방향을 향해 이송시키고, 상기 몰드와 개별적으로 필름이 이송되는 구성을 가지도록 하되, 필름에 형성된 인쇄부가 각 몰드에 장착된 포장대상용기의 상면에 대응위치되도록, 필름에 구획되어 형성되어 있는 인식마크를 제어센서가 순차적으로 인식함으로써 이를 가능하게 하고, 다수의 몰드를 사용대상 포장용기에 맞춰 교체함으로써, 크기에 제한없이 다수의 포장용기를 규격화하여 연속적으로 포장이 가능토록 한 슬라이드식 연속포장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슬라이드식 연속포장장치{Continuous Packing Apparatus of Slide Type}
본 발명의 다수의 몰드부를 슬라이드식으로 이송시키면서, 필름의 열융착 및 컷팅을 동시에 수행함으로써, 연속적인 포장이 가능한 슬라이드식 연속포장장치에 관한 것이다.
현대의 농업 및 각종산업에서는, 고품질의 상품을 생산하는 것뿐만 아니라, 유통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손실을 최소화하는 것이 요구되고 있으며, 또한 유통형태에 있어서도 대량 박스 형태의 유통보다는 산지에서 소비가 가능한 부위만을 로 소포장하여 소비자에게 직접 전달할 수 있는 방식의 유통 형태가 확대되고 있다.
이를 위해 포장을 위한 기계가 사용되고 있는데, 기존의 포장기계는 필름 홀더에 필름을 장착하고, 용기가 장착되는 몰브부를 실링처리를 위한 장치까지 이송시킨다. 이후, 기계의 설정을 수동 몰드로 전환한 후, 필름을 수동으로 이송시켜 몰드부와 필름을 길이방향으로 구획하는 인쇄무늬를 맞추고, 히터는 수동으로 동작시켜 용기에 필름을 접착시킨다. 이후 필름은 용기에 접착되어 있으므로 몰드가 이송시 다음칸으로 함께 이송되는 구조를 가진다.
하지만, 이러한 종래의 포장기계는, 작업을 처음 시작할 시, 필름에 형성된 인쇄무늬를 용기 상부에 정확히 일치시키기가 번거롭기 때문에, 기계 피치(Pitch)와 필름 인쇄 피치 오차를 보정하기 위한 보정장치가 반드시 필요하므로 장치가 복잡해지고 비용이 추가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필름을 부착하여 내용물을 밀폐하는 Sealing과 필름을 용기마다 잘라내는 cutting공정이 나누어 이뤄지기 때문에 설치공간과 비용이 추가된다는 문제점 또한 있었다. 더불어, 이러한 포장장치의 제품설계(자동식 tray sealer)는 규격화된 이송체인을 제품(용기)에 맞게 피치를 선정(film lose 작업성 등 고려)하고, 체인에 attachment을 부착한 후, 이 위에 용기가 장착되는 Mold base를 조립하는 방식이기 때문에, 제품이 바뀔 때마다 매번 프레임(Frame)부터 다시 설계해야 하므로, 다품종 소량 생산시대에 부응하기 위해서는 많은 설계 인력과 고급 인력이 필요할 수밖에 없는 큰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다수의 용기를 순차적으로 슬라이딩 이송시키되, 순차적으로 용기의 상면에 필름을 융착 및 커팅작업을 동시에 시행할 수 있도록 하되, 포장대상용기 상부에 필름을 덮어 밀봉시, 필름에 인쇄되어 있는 인쇄부가 각각의 용기 상면에 정확하게 대응되어 위치될 수 있도록 하며, 다수의 몰드를 사용자에 따라 포장하고자 하는 대상용기의 크기로 교체가 가능토록 구성함으로써, 포장가능제품 크기의 제한이 없을뿐더러 항시 규격화된 포장제품을 연속생산할 수 있는 슬라이드식 연속포장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에 설명될 것이며,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해 알게 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포장대상용기(16)가 장착되는 한쌍의 몰드(12)가 형성되어 있는 다수의 몰드부(10); 착탈가능하게 길이방향으로 연속배열되는 다수의 몰드부(10)를 일방향으로 이송시키는 이송부(20); 상기 몰드부(10)의 포장대상용기(16) 상면으로 필름(31)을 제공하는 필름 공급부(30); 상기 몰드부(10)의 상부에 상, 하 유동가능하게 설치되어, 포장대상용기(16)에 필름(31)을 열융착하고 컷팅처리하는 챔버부(40); 상기 필름(31)의 인식마크(33)를 인식하여, 상기 다수의 몰드(12)가 챔버부(40) 하단에 대응위치되고 필름(31)의 인쇄부(32)가 포장대상용기(16) 상부에 대응위치되도록, 이송부(20) 및 필름 공급부(30)의 이동을 제어하는 제어센서(60); 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필름(Lid Film)과 용기가 장착되는 몰드를 별도로 분리 이송시켜, 용기에 필름을 대응되는 위치로 맞출때 필름의 인식마크가 제어센서에 의해 인식되도록 함으로써, 작업이 간편하고 필름과 몰드 상호간의 위치를 대응시키고자 하는 보정장치가 필요치 않아 공간과 비용이 절감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제품무게와 관계없이 필름과 몰드의 이송이 자유로워 가벼운 제품 작업시에도 안정적인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포장가능제품의 최소, 최대 범위를 설정하고 몰드부(Mold Base)와 가열수단(sealing heater) 부위를 제외한 나머지 부분을 모두 규격화할 수 있어, 다양한 제품 변화에 대응이 쉽고 비용절감 및 생산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슬라이드식 연속포장장치를 나타낸 일실시예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정면도.
도 3은 도 1의 일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챔버부를 나타낸 일실시예의 분해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챔버부와 몰드부의 접촉을 나타낸 일실시예의 작동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융착과 컷팅단계을 위한 작동을 나타낸 일실시예의 작동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제어센서에 인식마크가 인식되었을시의 필름과 몰드부의 상호대응되는 모습을 나타낸 일실시예의 사시도.
도 8은 도 7에서 챔버부에 의해 필름이 컷팅된 모습을 나타낸 일실시예의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슬라이드식 연속포장장치의 작동방법을 나타낸 일실시예의 작동도.
본 발명의 여러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 전에, 다음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되거나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의 구성 및 배열들의 상세로 그 응용이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다른 실시예들로 구현되고 실시될 수 있고 다양한 방법으로 수행될 수 있다. 또, 장치 또는 요소 방향(예를 들어 "전(front)", "후(back)", "위(up)", "아래(down)", "상(top)", "하(bottom)", "좌(left)", "우(right)", "횡(lateral)")등과 같은 용어들에 관하여 본원에 사용된 표현 및 술어는 단지 본 발명의 설명을 단순화하기 위해 사용되고, 관련된 장치 또는 요소가 단순히 특정 방향을 가져야 함을 나타내거나 의미하지 않는다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아래의 특징을 갖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러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살펴보면,
포장대상용기(16)가 장착되는 한쌍의 몰드(12)가 형성되어 있는 다수의 몰드부(10); 착탈가능하게 길이방향으로 연속배열되는 다수의 몰드부(10)를 일방향으로 이송시키는 이송부(20); 상기 몰드부(10)의 포장대상용기(16) 상면으로 필름(31)을 제공하는 필름 공급부(30); 상기 몰드부(10)의 상부에 상, 하 유동가능하게 설치되어, 포장대상용기(16)에 필름(31)을 열융착하고 컷팅처리하는 챔버부(40); 상기 필름(31)의 인식마크(33)를 인식하여, 상기 다수의 몰드(12)가 챔버부(40) 하단에 대응위치되고 필름(31)의 인쇄부(32)가 포장대상용기(16) 상부에 대응위치되도록, 이송부(20) 및 필름 공급부(30)의 이동을 제어하는 제어센서(60); 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챔버부(40)는 가열수단(45)에 의해 가열되어 포장대상용기(16) 테두리에 필름(31)을 열융착시키는 융착부(44); 상기 포장대상용기(16) 주변의 필름(31)을 컷팅할 수 있도록, 상기 융착부(44) 주변에 설치되는 컷팅부(46); 상기 융착부(44) 및 컷팅부(46)를 대응되는 포장대상용기(16)의 상부에서 상, 하로 승하강시키는 승강부(50); 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어센서(60)는 필름(31)의 길이방향으로 향해 등간격 이격형성된 다수의 인식마크(33)를 순차적으로 인식하여, 인식마크(33)를 인식할때마다 몰드부(10)와 이송부(20)의 이동이 정지되도록 한 후 챔버부(40)가 작동되도록 하되, 상기 제어센서(60)에서 인식마크(33)가 인식될때마다, 상기 다수개의 몰드(12)는 순차적으로 챔버부(40) 하단에 대응위치되어 있고, 필름(31)의 인쇄부(32)는 포장대상용기(16) 상부에 대응되는 위치에 있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다수의 포장대상용기(16)가 몰드(12)에 장착되는 단계(S100); 상기 몰드(12)가 이송되는 단계(S200); 필름(31)이 이송되는 단계(S300); 제어센서(60)에서 필름(31)의 인식마크(33)가 인식되면, 몰드(12)와 필름(31)의 이송을 멈추고 챔버부(40)가 대응되는 포장대상용기(16)로 하강되는 단계(S400); 상기 포장대상용기(16)의 테두리에 필름(31)이 열융착되는 단계(S500); 포장대상용기(16)의 테두리 주변의 필름(31)이 컷팅되는 단계(S600); 챔버부(40)가 상승되는 단계(S700); 로 이루어지는 슬라이드식 연속포장장치의 작동방법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도 1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드식 연속포장장치를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슬라이드식 연속포장장치는 몰드부(10), 이송부(20), 필름 공급부(30), 챔버부(40), 제어센서(60)를 포함한다.
상기 몰드부(10)는 내용물을 담기 위한 포장대상용기(16)가 장착되는 것으로, 본 발명에서는 후술될 이송부(20)에 의해 일방향으로 이동되도록 한다.
이러한 상기 몰드부(10)는 복수개의 몰드(12)가 한 쌍을 이루며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 이러한 몰드부(10) 다수개가 연속으로 배치되어, 후술될 이송부(20)에 의해 일방향으로 이송되는 형태를 가진다.
즉, 각각의 몰드부(10)에는 2개의 몰드(12)가 좌, 우방향에 각각 하나씩 형성되어 있는 것이며, 2개의 몰드(12)에 포장대상용기(16)가 장착됨으로써, 후술될 챔버부(40)에 의해 2개의 몰드(12)에 장착된 포장대상용기(16)를 동시에 밀봉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 몰드(12)는 몰드(12)를 형성하기 위한 몰드부(10)의 몰드 베이스(11)에 형성되되, 몰드 베이스(11)의 좌, 우측에 상, 하로 관통된 복수개의 안착부(13), 상기 복수개 안착부(13)의 테두리에 형성된 테두리 거치부(14), 상기 테두리 거치부(14) 외측 둘레에 파여져 형성되는 내입부(15)로 이루어진다.
다시 말해, 하나의 몰드부(10)에 2개의 몰드(12)가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사용자는 2개의 몰드(12) 각각에 포장대상용기(16)를 장착할 수 있고, 포장대상용기(16)를 장착시, 상기 포장대상용기(16)는 안착부(13)에 몸체가 내입되어 몰드 베이스(11)의 하단으로 돌출되고, 포장대상용기(16)의 테두리는 몰드(12)의 테두리 거치부(14)에 걸쳐지는 형태를 가지게 되는 것이다.
상기 이송부(20)는 전술된 다수의 몰드부(10)를 일방향으로(더욱 자세히는 챔버부(40)의 하단을 향해) 이송시키는 것으로서, 본 발명에서는 체인 컨베이어(chain conveyer) 등과 같이 원을 이루는 체인(21)의 양단에 스프로킷(Sprocket, 22)을 설치하여, 체인(21)을 순환 회전시키는 형태로써, 이렇게 회전되는 체인(21) 상부에 다수의 몰드부(10)를 길이방향으로 연속설치함으로써, 상기 몰드부(10) 또한 체인(21)에 고정된 상태로 이송부(20)의 이송방향으로 따라 슬라이드되어 회전되도록 한 것이다.
즉, 상기 체인(21)의 양단에 스프로킷(22)이 설치됨으로써, 체인(21)은 상, 하단 복수열의 원을 이루며 회전하게 되므로, 체인(21)의 상단열에 위치된 몰드부(10)는 체인(21)에 의해 일방향(ex: 좌에서 우측을 향해)으로 이송 후 챔버부(40)에 의해 몰드(12)에 장착된 포장대상용기(16)가 포장되도록 한 후, 체인(21)의 양단부 중 일단 끝(최우측)에서 포장용기를 배출되고 나면, 포장용기가 배출된 몰드부(10)는 체인(21)에 연결된 상태로 체인(21)의 하단열로 이동하게 되어 (우에서 좌측으로) 회전하게 되고, 다시 체인(21)의 상단열에 위치되어 이동(좌에서 우측을 향해)될 시 새로운 포장대상용기(16)가 장착되어 챔버부(40)에 의해 또다시 포장공정이 시행되는 것을 반복하게 되는 것이다.
물론, 본 발명에서는 이송부(20)에 체인(21)을 이용하였지만, 이는 사용자의 실시예에 따라, 컨베이어 형태이면서, 다수의 몰드부(10)를 고정설치한 상태로 일방향을 향해 이송시킬 수 있는 용도라면, 벨트, 롤러 등 다양한 컨베이어 형태로 변경될 수 있음이다.
상기 필름 공급부(30)는 포장을 위한 필름(31)을 공급 및 이송시키기 위한 장치로써, 이러한 필름 공급부(30)의 리드 필름(Lid Film, 이하, '필름'이라 칭함, 31)은 다수의 포장대상용기(16) 중 후술될 챔버부(40)의 하단에 위치되어 포장공정이 시행될 포장대상용기(16)의 상면에, 필름(31)이 위치되도록 필름(31)을 일방향으로 이송시키며 연속적으로 공급하는 것이다.
이러한 상기 필름(31)에는 포장대상용기(16)의 상면에 맞춰 상표 및 사진/그림 등이 인쇄되어 있되, 이러한 인쇄부(32)는 필름(31)의 길이방향으로 향해 소정간격 이격되어 연속적으로 인쇄되어 있다. 물론, 이러한 다수 인쇄부(32)의 인쇄간격은 다수 몰드부(10) 간의 간격과 일치되어야 함은 당연할 것이다.
이를 위한 상기 필름 공급부(30)는 공급하기 위한 필름(31)이 최초로 권취되어 있는 필름 홀더(34)가 후술될 챔버부(40)의 전단 상부에 고정설치되어 있고, 챔버부(40)의 후단 상부에는 챔버부(40)에서 인쇄부(32)가 커팅되어 사용된 나머지 필름(31)부분이 권취되는 스크랩 홀더(39)가 설치되어 있으며, 또한, 필름(31)이 챔버부(40)와 몰드부(10) 사이에서 지면과 수평을 이루며 위치되도록 하는 위치고정 롤러(37)와 더불어, 필름 홀더(34)에서 챔버부(40)와 몰드부(10) 사이로 필름(31)이 공급되기 전, 필름 홀더(34)와 챔버부(40) 사이에서 필름(31)에 포장날짜를 프린팅 할 수 있는 데이트 프린터부(Date Printing, 35)와, 필름(31)을 되감을 수 있는 리와인딩 롤러(36)가 설치되어 있도록 하고, 챔버부(40)와 스크랩 홀더(39) 사이에는 챔버부(40) 후단에서 챔버부(40)에 의해 공정이 완료된 필름(31)이 스크랩 홀더(39)에 권취되기 전, 필름(31)이 팽팽함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필름 텐션장치(38)가 구비되어 있도록 한다.
다시 말해, 필름(31)은 최초 필름 홀더(34)에 권취되어 있다가, 데이트 프린터부(35)를 거치면서 날짜가 프린트되고, 리와인딩 롤러(36)를 거친 후, 복수개의 위치고정 롤러(37)를 통해 몰드부(10)와 챔버부(40) 사이에 수평으로 위치하게 된 후, 몰드부(10)에 장착된 포장대상용기(16)에 필름(31)이 사용되고 난 필름은 필름 텐션장치(38)를 거쳐 스크랩 홀더(39)에 권취되는 것이다.
이러한, 상기 필름 공급부(30)의 다수의 구성은 필름(31)을 포장공정이 시행되는 몰드부(10) 및 이러한 몰드부(10)에 대응되는 위치의 챔버부(40) 사이에 필름(31)을 공급할 수 있는 위치라면, 사용자에 의해 필름 공급부(30)의 구성이 고정설치되는 위치 및 고정설치방법은 다양하게 변경이 가능할 것이다.
상기 챔버부(40)는 전술된 다수의 몰드부(10) 중 하나의 상부에 이격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챔버부(40)는 몰드부(10)의 상부에 설치되어 있는 내부에 설치되는 것이며, 이러한 거치대(100)의 상부에는 실린더부재(48)가 고정설치되되 챔버부(40)와 연결되어, 실린더부재(48)가 챔버부(40)를 거치대(100)의 하단에서 몰드부(10)를 향해 승, 하강시키는 구조이다.
이러한 상기 챔버부(40)는 이송부(20)를 통해 일방향으로 이송되는 다수의 몰드부(10) 중 어느 하나의 상부에 위치되어, 상, 하로 승하강운동을 하면서, 상기 챔버부(40)가 설치된 하단에 다수의 몰드부(10)가 순차적으로 하나씩 이송되어 올때마다 하강 및 승강되어 포장작업을 하게 된다.
전술된 바와 같이, 다수의 몰드부(10) 각각에는 몰드(12)가 각각 2개씩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챔버부(40) 또한 2개의 챔버부(40)가 좌, 우로 일체를 이루는 형태를 가진다. 즉, 몰드부(10)에 형성되어 있는 2개의 몰드(12) 상부에 2개의 챔버부(40)가 대응위치되었을시, 하강 및 승강작동을 하면서, 2개의 포장대상용기(16)가 동시에 포장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를 위한 상기 챔버부(40)를 살펴보면, 상기 챔버부(40)는 실린더부재(48)에 의해 상, 하로 승하강되는 거치판(47), 컷팅부(46), 융착부(44), 가압판(43), 실링판(41)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실링판(41)은 상기 챔버부(40)의 최하단에 위치되며, 사각판재이되, 중앙이 사각형 형태로 상, 하로 관통되는 형태를 가진다. 또한, 이러한 상기 실링판(41)의 저면에는 실링부재(ex: 고무, 실리콘 등)가 실링판(41)의 저면 형상에 맞춰 형성되어 있도록 할 수 있다.
상기 가압판(43)은 전술된 실링판(41)의 상부에 위치되어, 가압판(43)과 탄성부재(ex: 스프링 등, S)으로 상호간 연결되어 있는 것으로, 상기 가압판(43)의 저면이 몰드(12)에 밀착되어 있는 상태라 가정할 시, 상기 탄성부재(S)는 가압판(43)과 실링판(41)을 상호간 연결하면서 최초 인장된 상태로 있다가, 후술될 실린더부재(48)의 의해 가압판(43)을 누르는 압력이 발생하게 되면, 상기 탄성부재(S)는 압축되면서 가압판(43)이 실링판(41) 측으로 하강하게 되는 구조를 가지게 되는 것이다.
상기 컷팅부(46)는 전술된 가압판(43)의 저면에서 하단으로 돌출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가압판(43)이 하강될 시, 컷팅부(46)는 전술된 실링판(41)의 관통된 중앙부를 거쳐 전술된 몰드(12)의 내입부(15)에 내입되는 형태를 가지는 것이다. 이를 위해, 상기 컷팅부(46)는 테두리 거치부(14) 주변에 사각으로 파여진 내입부(15)에 대응되어 내입될 수 있도록 사각형 형태로 돌출되어야만 할 것이다.
상기 융착부(44)는 가압판(43)에 형성된 컷팅부(46) 내측에 형성되는 것으로, 이러한 상기 융착부(44)는 전술된 테두리 거치부(14) 상면과 접촉되며, 상기 융착부(44)의 상부 또는 내부에 설치되어 있는 가열수단(45)(ex: 히터 등)에 의해 가열되며, 융착부(44)의 상면은 가압판(43)의 저면과 또 다른 탄성부재(ex: 스프링, S)에 의해 상호간 연결되어 있도록 한다.
상기 거치판(47)은 가압판(43)의 상부에 소정간격 이격되어 고정설치되어 있는 판재이다.
상기 실린더부재(48)는 몰드부(10)의 상부에 설치되어 있는 거치대(100) 상부에 고정설치되어 있는 것이며, 이러한 거치대(100) 하단으로 승강축(49)이 돌출되어 있는 형태로, 이러한 상기 실린더부재(48)와 승강축(49)이 승강부(50)를 이루는 것이다. 이러한 상기 승강축(49)에 거치판(47)이 고정됨으로써, 고정설치된 실린더부재(48) 내 승강축(49)이 상, 하로 승하강하게 되면, 거치대(100) 하단에서는 승강축(49)의 승, 하강 운동에 의해 거치판(47)이 승하강되는 것이고, 상기 거치판(47)이 승하강함은 결국 챔버부(40) 전체가 승하강되는 형태가 되는 것이다.
이러한 챔버부(40)의 작동을 살펴보면, 다수의 몰드부(10) 중 하나가, 위치가 고정되어 있는 챔버부(40)의 하단에 대응위치하게 되면, 몰드부(10) 상부에 이격되어 있는 챔버부(40)는 상기 실린더부재(48)의 승강축(49)이 하강하면서, 몰드부(10) 상부에서 이송되는 필름(31)과 함께 몰드부(10)에 접촉하게 된다.
이때, 일체로 하강되는 상기 복수개의 챔버부(40) 각각이 2개의 몰드(12)에 각각 접촉되는 형태인데,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단일개의 챔버부(40)와 단일개의 몰드(12) 상호간의 작동만을 설명하겠다.
상기 챔버부(40)가 하강함으로써 몰드(12)에 접촉하게 되면, 가장 우선적으로 실링판(41)이 몰드(12) 상면에 접촉되되, 실링판(41) 저면에 형성된 실링부재가 몰드(12)의 내입부(15) 외측에 접촉되게 된다.
이후, 상기 실린더부재(48)가 승강축(49)을 더 하강시키게 되면, 실링판(41)과 가압판(43)을 상호 연결하고 있는 다수의 탄성부재(S)가 압축되면서 가압판(43)이 하강하게 실링판(41)을 향해 더 하강하게 되고, 이러한 하강에 의해, 상기 가압판(43)의 저면에 형성되어 있는 융착부(44)가 실링판(41)의 개구된 중앙으로 내입되어 몰드(12)의 테두리 거치부(14)에 올려져 있는 포장대상용기(16)의 테두리에 필름(31)을 열융착하면서 가압하게 되며, 상기 융착부(44)를 통한 열융착 공정과 동시에 컷팅부(46) 또한 가압판(43)과 함께 하강하게 되므로,(융착부(44)가 테두리 거치부(14)에 접촉되어 있는 상태가 되도록 승강축(49)을 하강시킨 후, 실린더부재(48)로 승강축(49)을 더 하강시키게 되면, 융착부(44)와 가압판(43)을 연결하고 있는 탄성부재(S)가 압축되면서 가압판(43)이 더 하강되도록 한 것이다.) 상기 컷팅부(46)는 실링판(41)의 개구된 중앙을 통해 하강된 후 몰드(12)의 내입부(15)로 내입되면서 포장대상용기(16) 테두리 주변의 필름(31)을 컷팅하는 것이다.
즉, 거치판(47), 가압판(43), 컷팅부(46), 융착부(44), 실링판(41)로 이루어지는 복수개의 챔버부(40)가 거치판(47)의 저면에 복수개 형성되어 있고, 이러한 거치판(47)을 실린더부재(48)를 통해 승, 하강시킴으로써, 2개의 챔버부(40)가 상, 하로 동시에 승하강되면서 몰드부(10)에 형성된 2개의 몰드(12)에 장착된 포장대상용기(16)를 동시에 포장할 수 있는 것이다.
물론, 사용자의 실시예에 따라서는 실린더부재(48)를 복수개(ex: 2~3개) 설치하여, 다수의 실린더부재(48)가 동시에 움직이면서 복수개의 챔버부(40)를 승, 하강시킬 수 있도록 할 수도 있음이다.
상기 제어센서(60)는 전술된 이송부(20) 및 필름 공급부(30)의 이동을 제어하기 위한 것으로, 다수의 몰드부(10)가 이송부(20)에 의해 좌측에서 우측으로 이송되고, 이송부(20)의 우측 상단에 챔버부(40)가 설치되어 있다 가정할 경우, 상기 제어센서(60)는 몰브부가 챔버부(40)의 하단에 대응되기 전, 즉 챔버부(40)의 전단에 위치되도록 설치되는 것으로, 전술된 리와인딩 롤러(36)와 위치제어 롤러(36) 사이를 지나가는 필름(31)을 인식하는 것이다.
인식되는 상기 필름(31)에는 길이방향을 향해 소정간격 이격되어 인쇄되는 인쇄부(32)(인쇄광고물) 외에, 이러한 다수의 인쇄부(32)의 이격부위마다 인식마크(33)가 형성되어 있도록 한 것이다.
즉, 상기 제어센서(60)가 챔버부(40)의 전단에서, 리와인딩 롤러(36)와 위치제어 롤러(36) 사이에 고정설치된 상태로 있다가, 이송되는 필름(31) 중 인식마크(33)가 인식되게 되면, 상기 제어센서(60)의 제어신호에 의해 이송부(20)가 정지되어 몰드부(10)의 이동이 멈추고, 필름 공급부(30)의 회전도 멈추도록 한 후, 상승되어 있던 챔버부(40)가 몰드부(10) 측으로 하강되어 필름(31)을 포장대상용기(16)에 열융착 및 커팅하는 작업을 시행 후, 원상태로 상승되어 위치를 복귀하도록 하며, 이러한 챔버부(40)의 공정이 완료되면, 이송부(20) 및 필름 공급부(30)의 이송이 다시 시작되도록 한 것이다. 즉. 제어센서(60)가 인식마크(33)를 인식할 때마다 이송부(20) 및 필름 공급부(30)를 멈추고 챔버부(40)가 작동되도록 하는 것을 반복하도록 한 것이다.
물론, 이렇게 상기 제어센서(60)를 통해 필름(31)의 인식마크(33)가 인식되어, 상기 이송부(20) 및 필름 공급부(30)가 정지된 상태를 살펴보면, 상기 챔버부(40)의 하단에는 다수의 몰드부(10) 중 하나가 정확히 대응되어(챔버부(40)의 융착부(44)가 몰드(12)의 테두리 거치부(14)에 대응되는 형태) 위치되어 있는 상태이고, 상기 필름(31) 또한 다수의 인쇄부(32) 중 하나가 대응위치되어 있는 몰드(12) 내 포장대상용기(16)의 상면에 정확하게 위치되어 있는 상태가 되도록 사용자가 사전조절해 놓은 것으로, 이로써, 상기 제어센서(60)를 통해 인식마크(33)가 인식될때마다 상기와 같은 작동을 반복하도록 함으로써, 한쌍의 몰드(12)에 장착된 복수개의 포장대상용기(16)를 순차적이면서 연속적으로 포장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하에서는 상기와 같은 구성 및 구조를 갖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작동방법을 설명하도록 한다.
1. 다수의 포장대상용기(16)가 몰드(12)에 장착되는 단계(S100단계): 복수개의 몰드(12)로 이루어진 몰드부(10)를 이송부(20)의 고정설치한 후, 이러한 상기 다수의 몰드(12)에 포장대상용기(16)를 장착하는 것으로, 상기 포장대상용기(16)의 테두리는 몰드(12)의 테두리 거치부(14)에 걸쳐지는 형태가 되도록 한다.
물론, 상기 몰드(12)에 포장대상용기(16)를 장착하는 작업은, 작업자가 본 발명의 슬라이드식 연속포장장치에서 포장되어 용기가 배출되고 난 비어있는 몰드(12)에 포장대사용기를 계속해서 장착해야 함은 당연할 것이다.
또한, 이송부(20)에 설치되는 다수의 몰드부(10)의 경우, 포장하고자 하는 용기의 크기 등에 맞춰 그에 맞는 몰드(12)가 형성되어 있는 몰드부(10)로 교체하여 이송부(20)에 설치할 수 있음이다.
2. 상기 몰드(12)가 이송되는 단계(S200단계): 상기 S100단계를 통해 다수의 몰드(12)에 포장대상용기(16)가 장착되면, 포장대상용기(16)가 장착된 다수의 몰드부(10)가 이송부(20)를 통해 순차적으로 챔버부(40) 하단에 대응위치될 수 있도록 몰드부(10)를 이송시키는 단계이다.
3. 필름(31)이 이송되는 단계(S300단계): 상기 S200단계와 동시에 이루어지는 것으로, 상기 필름(31) 또한 필름 공급부(30)를 통해 일방향으로 이동되어, 필름(31)에 인쇄되어 있는 다수의 인쇄부(32)(광고 부분)가 순차적으로 챔버부(40)의 하단에 대응위치되어 있는 몰드부(10)의 상면에 정확하게 위치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4. 제어센서(60)에서 필름(31)의 인식마크(33)가 인식되면, 몰드(12)와 필름(31)의 이송을 멈추고 챔버부(40)가 대응되는 포장대상용기(16)로 하강되는 단계(S400단계): 상기 S200 및 S300단계를 통해 다수의 몰드부(10)와 필름(31)이 이송하는 도중, 제어센서(60)에서 필름(31)의 인식마크(33)를 인식하게 되어, 몰드(12)와 필름(31)의 이송이 멈추는 단계이다.
즉, 필름(31)에는 길이방향을 향해 소정간격으로 다수의 인쇄부(32)가 인쇄되어 있되, 이러한 다수의 인쇄부(32) 사이마다 인쇄부(32)의 정확한 이격간격을 알 수 있도록 인식마크(33)가 형성되어 있는데(물론, 이러한 다수의 인식마크(33) 또한, 상호간 동일한 간격으로 필름(31)에 형성되어 있음이다.), 필름(31)이 챔버부(40)의 하단으로 공급되는 전에, 제어센서(60)가 필름(31)에 형성된 다수의 인식마크(33)를 인식하는 순간마다, 다수의 몰드부(10) 중 하나는 챔버부(40)의 하단에 대응되는 위치에 있고, 필름(31) 또한 다수의 인쇄부(32) 중 하나는 상호간 대응되어 있는 챔버부(40)와 몰드부(10) 사이에 정확히 위치되어 있는 위치가 되도록 한 것이다. 즉, 인식마크(33)를 제어센서(60)가 감지할때마다 몰드부(10)와 필름 공급부(30)의 이동을 정지시키고, 챔버부(40)를 챔버부(40)의 하단에 대응되어 위치되어 있는 몰드부(10)를 향해 하강시키는 단계이다.
5. 상기 포장대상용기(16)의 테두리에 필름(31)이 열융착되는 단계(S500단계): 전술된 S400단계를 통해 챔버부(40)가 하강하게 되면, 챔버부(40)의 융착부(44)가 몰드(12)의 테두리 거치부(14)에 접촉되면서 포장대상용기(16)의 테두리에 필름(31)이 열융착되는 단계이다.
6. 포장대상용기(16)의 테두리 주변의 필름(31)이 컷팅되는 단계(S600단계): 상기 S500단계와 동시에 이루어지는 단계로써, 상기 챔버부(40)가 하강되면서 융착부(44)가 필름(31)을 테두리에 열융착하면, 이와 동시에 융착부(44) 주변에 일체로 형성된 컷팅부(46) 또한 하강하게 되어, 컷팅부(46)가 몰드(12)의 내입부(15)까지 하강되면서 필름(31)이 열융착된 포장용기 주변의 필름(31)을 컷팅하는 단계이다.
7. 챔버부(40)가 상승되는 단계(S700단계): 전술된 S500 및 S600단계에 의해 챔버부(40)를 통한 열융착 및 컷팅작업이 완료되면, 상기 챔버부(40)는 상승되어 원위치로 복귀하는 단계이다. 이러한 상기 S700단계가 완료되면, 이송부(20)가 움직이면서 몰드부(10)가 일방향으로 이동되고, 필름 공급부(30) 또한 일방향으로 이동되면서 컷팅작업이 안된 또 다른 인쇄부(32) 부분을, 챔버부(40) 하단에 대응되도록 이동된 또 다른 몰드부(10) 상면에 위치되도록 하는 것으로, 상기 S100단계에서 S600단계 또는 S200단계에서부터 S600단계가 반복되는 것이다.
더불어, 상기에서 전술된 실린더부재(48)의 경우, 유압 및 공압의 실린더가 사용될 수 있음이며, 이러한 작동을 위한 압축공기 또는 유압탱크, 모터펌프, 전원장치(ex: 배터리 등)은 당연히 별도 구비되어야 할 것이며, 상기 이송부(20)의 스프로킷(22)을 회전시키기 위한 동력 및 제어센서(60)의 전원, 가열수단(45)의 전원 등을 비롯하여 상기 필름 공급부(30)를 회전시키기 위해, 별도의 전원장치 및 모터장치가 구비되어 있어야 함은 당연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슬라이드식 연속포장장치는 이송부(20) 및 필름 공급부(30)의 회전방향, 회전속도를 제어하고, 챔버부(40)의 승, 하강 속도 및 승하강 높이, 융착부(44)에 설치된 가열수단(45)의 가열온도 등을 제어할 수 있는 제어장치(70)가 구비되어 있음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 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10: 몰드부 11: 몰드 베이스
12: 몰드 13: 안착부
14: 테두리 거치부 15: 내입부
16: 포장대상용기 20: 이송부
21: 체인 22; 스프로킷
30: 필름 공급부 31: 필름
32: 인쇄부 33: 인식마크
34: 필름 홀더 35: 데이트 프린트부
36: 리와인딩 롤러 37: 위치고정 롤러
38: 필름 텐션장치 39: 스크랩 홀더
40: 챔버부 41: 실링판
43: 가압판 44: 융착부
45: 가열수단 46: 컷팅부
47: 거치판 48: 실린더부재
49: 승강축 50: 승강부
60: 제어센서 70: 제어장치
100: 거치대
S: 탄성부재

Claims (4)

  1. 포장대상용기(16)가 장착되는 한쌍의 몰드(12)가 형성되어 있는 다수의 몰드부(10);
    착탈가능하게 길이방향으로 연속배열되는 다수의 몰드부(10)를 일방향으로 이송시키는 이송부(20);
    상기 몰드부(10)의 포장대상용기(16) 상면으로 필름(31)을 제공하는 필름 공급부(30);
    상기 몰드부(10)의 상부에 상, 하 유동가능하게 설치되어, 포장대상용기(16)에 필름(31)을 열융착하고 컷팅처리하는 챔버부(40);
    상기 필름(31)의 인식마크(33)를 인식하여, 상기 다수의 몰드(12)가 챔버부(40) 하단에 대응위치되고 필름(31)의 인쇄부(32)가 포장대상용기(16) 상부에 대응위치되도록, 이송부(20) 및 필름 공급부(30)의 이동을 제어하는 제어센서(60); 로 이루어지며,
    상기 챔버부(40)는 가열수단(45)에 의해 가열되어 포장대상용기(16) 테두리에 필름(31)을 열융착시키는 융착부(44)와, 상기 포장대상용기(16) 주변의 필름(31)을 컷팅할 수 있도록, 상기 융착부(44) 주변에 설치되는 컷팅부(46), 상기 융착부(44) 및 컷팅부(46)를 대응되는 포장대상용기(16)의 상부에서 상, 하로 승하강시키는 승강부(50)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어센서(60)는 필름(31)의 길이방향으로 향해 등간격 이격형성된 다수의 인식마크(33)를 순차적으로 인식하여, 인식마크(33)를 인식할때마다 몰드부(10)와 이송부(20)의 이동이 정지되도록 한 후 챔버부(40)가 작동되도록 하되, 상기 제어센서(60)에서 인식마크(33)가 인식될때마다, 상기 다수개의 몰드(12)는 순차적으로 챔버부(40) 하단에 대응위치되어 있고, 필름(31)의 인쇄부(32)는 포장대상용기(16) 상부에 대응되는 위치에 있게 되며,
    상기 챔버부(40) 최하단에 위치된 실링판(41)은 상부에 위치된 가압판(43)과 탄성부재(S)로 상호간 연결되는 구조를 가지며, 상기 가압판(43)의 저면이 몰드(12)에 밀착되어 있을 시, 상기 탄성부재(S)는 가압판(43)과 실링판(41)을 상호간 연결하면서 최초 인장된 상태로 있다가, 실린더부재(48)의 의해 가압판(43)을 누르는 압력이 발생하게 되면, 상기 탄성부재(S)는 압축되면서 가압판(43)이 실링판(41) 측으로 하강하게 되는 구조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드식 연속포장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KR1020120059114A 2012-06-01 2012-06-01 슬라이드식 연속포장장치 KR10136233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59114A KR101362335B1 (ko) 2012-06-01 2012-06-01 슬라이드식 연속포장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59114A KR101362335B1 (ko) 2012-06-01 2012-06-01 슬라이드식 연속포장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35503A KR20130135503A (ko) 2013-12-11
KR101362335B1 true KR101362335B1 (ko) 2014-02-13

Family

ID=499827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59114A KR101362335B1 (ko) 2012-06-01 2012-06-01 슬라이드식 연속포장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6233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04184A (ko) * 2017-07-03 2019-01-11 쓰리애플즈코스메틱스 주식회사 블리스터 포장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72297B1 (ko) * 2019-01-21 2019-04-24 이문수 양방향 주입식 가스 치환 포장기계
KR102431057B1 (ko) * 2020-04-17 2022-08-10 강춘식 두부살균 및 두부물 살균기능을 갖는 두부 포장기계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90735B1 (ko) 2007-09-19 2008-01-02 장성환 포장장치
KR100918823B1 (ko) 2009-07-15 2009-09-25 오필제 초음파용접을 이용하여 접합성능과 마감성을 향상시킨 용기의 자동포장방법
KR20100048627A (ko) * 2008-10-31 2010-05-11 주식회사 샤니 생분해성 플라스틱 용기를 이용하는 음식물 포장장치 및 포장방법, 그에 의해 포장된 음식물
KR20110052795A (ko) * 2009-11-13 2011-05-19 이한봉 아이마크 감지용 마이크로포토센서가 구비된 자동냉면용기포장장치 및 자동포장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90735B1 (ko) 2007-09-19 2008-01-02 장성환 포장장치
KR20100048627A (ko) * 2008-10-31 2010-05-11 주식회사 샤니 생분해성 플라스틱 용기를 이용하는 음식물 포장장치 및 포장방법, 그에 의해 포장된 음식물
KR100918823B1 (ko) 2009-07-15 2009-09-25 오필제 초음파용접을 이용하여 접합성능과 마감성을 향상시킨 용기의 자동포장방법
KR20110052795A (ko) * 2009-11-13 2011-05-19 이한봉 아이마크 감지용 마이크로포토센서가 구비된 자동냉면용기포장장치 및 자동포장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04184A (ko) * 2017-07-03 2019-01-11 쓰리애플즈코스메틱스 주식회사 블리스터 포장장치
KR101986359B1 (ko) * 2017-07-03 2019-06-05 쓰리애플즈코스메틱스 주식회사 블리스터 포장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35503A (ko) 2013-12-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472729B (zh) 用于成形、填充和封闭泡沫聚合物容器的机器
US20110083401A1 (en) Method and packaging machine for packaging products
JP5570772B2 (ja) ヒートシール包装装置及びヒートシール包装方法
KR101362335B1 (ko) 슬라이드식 연속포장장치
CN103402876A (zh) 用于特别是食品的真空包装的装置
EP2380810A2 (en) Machine for packaging, by sealing with synthetic film, products, particularly food products, in containers such as trays, tubs or the like, with high flexibility in use
DK155183B (da) Pakkemaskine
KR200395250Y1 (ko) 두부포장장치
CN206734766U (zh) 胶膜封口包装装置
JP6325935B2 (ja) 処理システム
US11724840B2 (en) Blister packing machine and blister pack manufacturing method
TW201323236A (zh) 自動蓋印系統及蓋印方法
KR100898779B1 (ko) 용기 밀봉장치
CN107098021B (zh) 电池包装线
JP2002019710A (ja) 蓋の供給装置
KR101339298B1 (ko) 밴드 실링장치
JPH0437043Y2 (ko)
KR102553819B1 (ko) 두부 포장장치
JPH0788065B2 (ja) 注出口を有する容器の成形シ−ル装置
JP5774950B2 (ja) トレーへのカバーフィルムシール装置
JP2012101930A (ja) 容器搬送装置
CN219857915U (zh) 封口包装装置
JP7142935B2 (ja) 袋詰め機におけるプリント装置
CN215514268U (zh) 薄膜输送装置及具有其的封膜检测机
US11718432B2 (en) Sealing cardboard blanks by placement onto conveyor bel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0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3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7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