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61276B1 - 광 센서, 특히 근접 스위치 - Google Patents

광 센서, 특히 근접 스위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61276B1
KR101361276B1 KR1020127007530A KR20127007530A KR101361276B1 KR 101361276 B1 KR101361276 B1 KR 101361276B1 KR 1020127007530 A KR1020127007530 A KR 1020127007530A KR 20127007530 A KR20127007530 A KR 20127007530A KR 101361276 B1 KR101361276 B1 KR 10136127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transmission
area detector
photosensitive
photosensitive are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70075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58570A (ko
Inventor
토마스 뵐켈
Original Assignee
지멘스 악티엔게젤샤프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지멘스 악티엔게젤샤프트 filed Critical 지멘스 악티엔게젤샤프트
Publication of KR201200585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5857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612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6127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17/00Systems using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electromagnetic waves other than radio waves, e.g. lidar systems
    • G01S17/02Systems using the reflection of electromagnetic waves other than radio wave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KPULSE TECHNIQUE
    • H03K17/00Electronic switching or gating, i.e. not by contact-making and –breaking
    • H03K17/94Electronic switching or gating, i.e. not by contact-making and –breaking characterised by the way in which the control signals are generated
    • H03K17/941Electronic switching or gating, i.e. not by contact-making and –breaking characterised by the way in which the control signals are generated using an optical detector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17/00Systems using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electromagnetic waves other than radio waves, e.g. lidar systems
    • G01S17/02Systems using the reflection of electromagnetic waves other than radio waves
    • G01S17/04Systems determining the presence of a target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VGEOPHYSICS; GRAVITATIONAL MEASUREMENTS; DETECTING MASSES OR OBJECTS; TAGS
    • G01V8/00Prospecting or detecting by optical means
    • G01V8/10Detecting, e.g. by using light barriers
    • G01V8/12Detecting, e.g. by using light barriers using one transmitter and one receiver
    • G01V8/14Detecting, e.g. by using light barriers using one transmitter and one receiver using reflec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31/00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31/00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 H01L31/0248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ir semiconductor bodies
    • H01L31/0352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ir semiconductor bodie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or by the shapes, relative sizes or disposition of the semiconductor region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KPULSE TECHNIQUE
    • H03K17/00Electronic switching or gating, i.e. not by contact-making and –breaking
    • H03K17/94Electronic switching or gating, i.e. not by contact-making and –breaking characterised by the way in which the control signals are generated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99/00Subject matter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KPULSE TECHNIQUE
    • H03K2217/00Indexing scheme related to electronic switching or gating, i.e. not by contact-making or -breaking covered by H03K17/00
    • H03K2217/94Indexing scheme related to electronic switching or gating, i.e. not by contact-making or -breaking covered by H03K17/00 characterised by the way in which the control signal is generated
    • H03K2217/941Indexing scheme related to electronic switching or gating, i.e. not by contact-making or -breaking covered by H03K17/00 characterised by the way in which the control signal is generated using an optical detector
    • H03K2217/94102Indexing scheme related to electronic switching or gating, i.e. not by contact-making or -breaking covered by H03K17/00 characterised by the way in which the control signal is generated using an optical detector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activation
    • H03K2217/94108Indexing scheme related to electronic switching or gating, i.e. not by contact-making or -breaking covered by H03K17/00 characterised by the way in which the control signal is generated using an optical detector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activation making use of reflection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physics (AREA)
  • Optical Radar Systems And Details Thereof (AREA)
  • Photometry And Measurement Of Optical Pulse Characteristics (AREA)
  • Electronic Switch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광 센서(1)는 송신 광선(21)의 생성을 위한 적어도 하나의 광 송신 유닛(11), 송신된 광선(21)이 통과하며, 특히 물체(2)로부터 반사 광선들(23)을 다시 수신하는, 반투명 특성을 갖는 감광성 에어리어 검출기(12), 및, 적어도 물체(2)의 검출을 위해 감광성 에어리어 검출기(12)의 광전 전류(12b)에 대한 평가 유닛(13)을 갖는다. 감광성 에어리어 검출기(12)는 유리하게는 감광성 기판으로서 유기 중합체층을 갖는다. 반투명 특성을 갖는 감광성 에어리어 검출기(12)로서 "유기 감광성 다이오드"(OPD)가 특히 유리하게 사용된다.

Description

광 센서, 특히 근접 스위치{OPTICAL SENSOR, IN PARTICULAR PROXIMITY SWITCH}
본 발명은 광 센서에 관한 것이다.
그러한 광 센서는, 예컨대 근접 스위치, 광 배리어로서 사용될 수 있거나, 또는 광 그리드, 광 커튼, 레이저 스캐너 등의 내에서 사용될 수 있다.
정확도의 관점에서 높은 요구 사항들이 그러한 센서에 부과된다. 이러한 요구 사항들을 만족시키기 위해, 옵틱스(optics), 즉, 프리즘 또는 반투명 거울을 사용하여 광 센서 내의 송신 광선을 측정 광선과 기준 광선으로 재분할하는 것이 종래의 관행이다. 측정 광선은 검출 에어리어(area) 내로 방출되고, 측정 물체가 존재한다면 반사 광선의 형태로 측정 물체에서 반사되는 한편, 기준 광선은 예컨대 동기화 및 조정을 목적으로 센서 내에서 평가된다. 이러한 목적으로, 기준 광선은 추가적인 광 요소들, 예컨대 편향 거울 및 광 도파관의 도움으로 검출기에 공급되며, 다운스트림 컴포넌트들을 사용하여 적절히 평가된다. 게다가, 종래의 광 센서들은 흔히 서로 개별적인 송신 및 수신 옵틱을 갖는다.
이는, 예컨대, 기준 광선이 평가된 후, 송신 광선의 방출의 시작 및 끝, 그러므로 반사 광선들의 수신이 예상될 수 있는 기간 또한 결정되므로, 측정을 동기화시키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반사 광 복사가 이러한 기간들 밖에서 수신된다면, 이는 단지 바람직하지 않은 외부로부터의 광 복사일 수 있다. 이는 또한 외부로부터의 광에 대한 둔감도에 관해 센서를 조정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더욱이, 이는 인접한 센서들로부터의 혼선을 방지하기 위해 광 센서로부터의 송신 광선이 펄스화되거나(pulsed) 코딩될 때 특히 중요하다. 다른 실시예에서, 예컨대 간섭 측정 방법들을 사용하여 기준 광선을 도달하는 반사 광선들과 비교함으로써 측정 물체까지의 거리 또한 결정될 수 있다.
안전 기술에서 사용되는 광 센서의 경우, 송신 광선으로부터 갈라진 기준 광선은 또한 센서의 기능을 모니터링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송신 광선을 생성하기 위한 장치, 예컨대 LED 또는 레이저 송신 유닛 뿐 아니라, 검출기 및 다운스트림 전자 장치들의 기능이 체크될 수 있다. 더욱이, 산업 환경에서 사용되는 광 센서들의 옵틱의 오염이, 특히 내부 기준 광선의 도움으로 모니터링될 수 있다.
이러한 알려진 실시예들은 다수의 단점들을 갖는다. 송신 광선을 측정 광선 및 기준 광선으로 재분할하기 위해 필요한 광학 요소들 뿐 아니라, 기준 광선을 평가하기 위해 필요한 전기 요소들은 특정한 비용을 초래한다. 게다가, 송신 광선은 광선 재분할에 의해 감쇠되며, 그 결과로서 송신 광선을 생성하도록 의도되는 장치들은 충분히 강력한 측정 광선을 방출하기 위해 더 큰 치수들을 가져야 할 수 있다.
서로 분리된 송신 및 수신 옵틱을 포함하는, 송신 광선을 생성하기 위한 요소들 및 기준 및 반사 광 복사를 평가하기 위한 요소들에 대한 개별적인 구동 수단들에서 다른 단점이 발견된다. 그러한 경우, 충분한 측정 정확도를 달성하기 위해, 개별적인 광 신호들을 조정하고 신호 전파 시간들을 동기화하기 위한 상당한 수단들이 제공되어야 한다.
본 발명은, 전술한 단점들을 더이상 갖지 않는 방식으로 광 센서를 개발하는 목적에 기초한다.
이 목적은 청구항 1에 설명된 광 센서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의 유리한 실시예들이 종속 청구항들에 명시된다.
본 발명의 특정 이점은, 반투명한 특성을 가지며, 광 송신 유닛으로부터의 송신 광선에 의해 조사되며, 물체에 의해 반사된 반사 광 복사에 대한 수신기로서 사용되는 감광성 에어리어 검출기가 사용된다는 것이다. 그러므로, 하나의 감광 에어리어 검출기에 의해 송신 광선의 형태의 방출로서, 그리고 반사 광 복사의 형태의 반사로서 검출되며, 다운스트림 전자 장치들에서 평가되는 광 강도를 갖는 사실상 단 하나의 광선 진로가 존재한다.
이 실시예는 다수의 장점들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광 센서에서, 적절한 방식으로 분배된 광학 요소들을 사용하여 광선 재분할이 수행되지 않으므로, 송신 광선은 상당히 더 높은 송신 전력을 가지며, 그 결과로서 광선을 생성하기 위한 광학 송신 유닛은 더 작은 치수들을 가질 수 있다. 감광성 에어리어 검출기는 센서로부터 발산되는 광 및 센서에 입사하는 광 양쪽 모두를 위한 공통 검출기 에어리어를 제공하므로, 공통 옵틱으로도 충분하다.
이러한 배열의 특정한 이점은, 동일한 감광성 에어리어 검출기를 사용하여 광 레벨들 양쪽 모두가 측정된다는 사실 때문에, 이러한 광 레벨들은 평가 동작들에서 이전의 정정 인수들 없이 서로 직접 연관될 수 있다는 것이다. 더욱이, 시간적인 송신 정보가 왔다갔다하는 하나의 송신 및 반사 광선 내에 포함되므로, 에어리어 검출기의 출력에서 송신 유닛 및 평가 유닛을 위한 구동 수단들 사이의 동기화가 필요 없다. 그러므로, 감광성 에어리어 검출기로부터의 아날로그 측정 신호들에 대해 하나의 평가 유닛만이 요구된다. 마지막으로, 광선을 생성하기 위한 광학 송신 유닛에 대해 개별적인 모니터링 유닛이 또한 필요하지 않다. 그보다는, 송신 유닛의 기능은 감광성 에어리어 검출기 및 다운스트림 평가 유닛을 통해 모니터링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한 유리한 실시예에 따라, 감광성 에어리어 검출기는 감광성 기판으로서 유기 중합체층을 갖는다. 이러한 경우, 감광성 에어리어 검출기는 특히 유리하게는 "유기 감광성 다이오드"(OPD)의 형태일 수 있다. 그러한 요소는 광학 편향 유닛들 없이 송신 신호 및 수신 신호들을 동시에 검출하는 이점을 제공한다. 이는, 투명 유기 감광성 검출기는 입사하는 송신 광선의 일부만을 전기 신호들로 변환하는 한편, 광 방사의 대부분은 측정 광선의 방식으로 검출기를 통과하기 때문이다. 각각의 경우에서의 검출기의 원하는 투명도는, 유기 감광성 검출기들에 대한 생산 방법에서 애노드, 캐소드, 중합체 등에 대한 서브마이크로미터 범위, 즉 수백 나노미터 범위의 층 두께를 사용하여 설정될 수 있다.
본 발명 및 그의 특히 유리한 실시예들은 도 1 내지 4를 사용하여 아래 더 상세히 설명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광 센서의 예시적, 개략적인 구조의 블록도를 도시한다.
도 2는 송신 광선을 위한 통로 영역 내에 비감광성 비활성 에어리어를 갖는 감광성 검출기의 특히 유리한 실시예에 대한 구체적인 발췌를 도시한다.
도 3은 송신 유닛의 펄스화된 송신 광선들을 생성하기 위한 3개의 예시적인 구동 펄스들을 도시한다.
도 4는 도 3의 구동 펄스들에 속하며, 3개의 예시적인 상이한 응용들에서의 에어리어 검출기의 측정 신호 라인에서 야기되는 아날로그 측정 신호 전류의 신호 레벨들을 도시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광 센서들의 광 커튼 형태의 평행 배열을 도시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예시적인 광 센서(1)의 개략적인 구조의 블록도를 도시한다. 센서는 대략 점 모양의 모니터링 영역을 갖는 개별적인 센서(1)의 형태이다. 이 경우, 센서(1)는, 반투명 특성을 가지며, 광 송신 유닛(11)에 의해 송신 광선(21)으로 사실상 뒤에서 조사되는 감광성 에어리어 검출기(12)를 포함한다.
송신 광선(21)은 검출될 물체에, 도 1의 예에서는 박스(2)에 측정 광선의 방식으로 겨누어지며, 감광성 에어리어 검출기(12)의 표면 상에 송신 광점(light spot)(22)을 야기한다. 이 광점은 에어리어 검출기(12)에 의해 검출되며, 추가적인 처리를 위해 에어리어 검출기(12)의 광전기 전류의 실제 값으로서 아날로그 측정값 출력부(12b)를 통해 컨트롤러(13)에 전달된다. 컨트롤러는, 예컨대 송신 광선의 존재 및 그것의 강도를 검출하기 위해 이 측정값을 사용할 수 있으며, 예컨대 이러한 방식으로 기능 모니터링을 수행할 수 있다.
광 송신 유닛(11)에 의해 방출되는 송신 광선(21)이 물체(2)에 부딪히면, 상기 광선은 물체에서 반사되고, 반사 광 복사(23)의 형태로 광 센서(1)에 반사되며, 반사 광점(24)의 형태로 감광성 에어리어 검출기(12)의 표면에 다시 부딪힌다. 이 반사 광점은 또한 에어리어 검출기(12)에 의해 검출되며, 추가적인 처리를 위해 에어리어 검출기(12) 내에서 야기된 광전자 전류의 실제 값으로서 아날로그 측정값 출력부(12b)를 통해 컨트롤러(13)에 전달된다. 컨트롤러는, 예컨대 물체의 존재 또는 그것의 강도를 검출하기 위해 이 측정값을 사용할 수 있으며, 예컨대 이러한 근접 스위치의 방식으로 물체 검출 및 거리 결정을 수행할 수 있다. 이는 아래의 도면들의 예를 사용하여 더 상세히 설명된다.
도 1은 또한, 예로서, 예시적인 컨트롤러(13)의 기본적인 요소들을 예시한다. 이 경우, 감광성 에어리어 검출기(12)는 아날로그 측정값 출력부(12b)를 통해 평가 유닛(13a)에 연결된다. 평가 유닛은 에어리어 검출기(12)의 광전자 전류의 실제 값을 평가하며, 실제 값은 송신 광선에 의해, 송신 광선 및 반사 복사의 조합에 의해, 또는 확산 배경 미광(diffuse ambient stray light)에 의해서만 야기된다. 그러한 평가의 예시적인 종류가 도 3 및 4를 사용하여 아래에 더 상세히 설명된다. 평가 유닛(13a)은 이러한 측정값 및 추가적인 평가 결과들을, 유리하게는 디지털 데이터 인터페이스(12c)를 통해, 예컨대 데이터 버스에의 연결을 위한 통신 인터페이스(13d)를 갖는 제어 유닛(13c)에 공급한다.
제어 유닛(13c)은 일반적으로 입력부들 및 출력부들(12c, 11c 및 13d), 즉 유리하게는 디지털 데이터 인터페이스들을 통해 센서(1)와 환경 사이의 상호작용, 송신 유닛(11)과 검출기(12) 사이의 상호작용 및 센서(1)의 내부 모니터링 기능들을 조정한다. 그러므로, 제어 유닛(13c)은, 예컨대 송신 유닛(11)을 위한 구동 수단(13b)이 구동 라인(11a)을 통해 빔 형성의 클록화된 스위칭-온 및 스위칭-오프를 위한 펄스 패턴들을 방출하도록 송신 유닛(11)을 위한 구동 수단(13b)을 파라미터화한다.
송신 광선(21)의 펄스화(pulsation)는, 예컨대, 센서(1)와 물체(2) 사이의 거리를 결정하는 목적으로 전파 시간을 측정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더욱이, 그러므로 광 센서(1)의 외부의 광 감도를 감소시키거나, 예컨대 LED, 레이저 다이오드 또는 OLED가 송신 유닛(11)인 경우, 규정된 방출 클래스를 따르는 것이 가능하다. 센서(1)의 광학 인터페이스에서의 확실한 광선 형성을 위해, 옵틱은 송신 및 반사 광 복사(21, 23)의 결합된 광선 경로의 전면에 배치될 수 있다. 더 나은 오버뷰를 목적으로, 그러한 옵틱은 도면들에 예시되지 않는다.
감광성 에어리어 검출기(12)에 관한 송신 유닛(11)의 바람직한 배향에서, 송신 광선(21)은 대략 직교하는 방식으로 감광성 에어리어 검출기(12)의 표면에 부딪힌다. 이 경우, 센서(1)가 물체(2)에 대해 직선으로 배향된다면, 반사 광 복사(21)는 감광성 에어리어 검출기(12)의 표면에 충돌하며, 중심에 있는 송신 광 점(22)을 대략 동심인 방식으로 둘러싸는 반사 광 점(24)을 형성한다. 감광성 에어리어 검출기(12) 및 송신 유닛(11)은 반사 광선(23)이 송신 광선(21)에 대해 최대한 축 방향으로 에어리어 검출기(12)와 충돌하는 방식으로 특히 유리하게 배향된다.
도 2는 감광성 에어리어 검출기(12)의 측면 사시도의 예를 사용하여 그러한 배열을 도시한다. 본 발명의 유리한 추가적인 실시예에 따라, 에어리어 검출기(12)는 송신 광선(21)이 외부로 통과하는 비활성 에어리어(12a)를 그 위치에 갖는다. 이 에어리어(12a)는 송신 광점(22)에 의해 커버되는 에어리어보다 작으므로, 송신 빔(21)의 일부만이 센서(1)에 의해 검출되는 한편, 대부분은 검출되지 않고, 특히 감쇄 없이 외부로 통과할 수 있다. 이는, 추가적인 기능들, 예컨대 기능 모니터링이 그것에 의해 제한받지 않으면서 센서의 동적 범위를 상당히 개선시키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유기 감광성 다이오드"(OPD)를 감광성 에어리어 검출기로 사용하는 경우, 예컨대 투명 검출기를 생산할 때, 애노드, 캐소드 및 중합체 반도체를 위한 적합한 마스크들을 사용하여, 또는 캐리어 재료의 구멍(hole)을 사용하여 비활성 에어리어(12a)가 실현될 수 있다.
도 3은, 예로서, 펄스화된 송신 광선들(21)을 생성하기 위한 목적으로 신호 라인(11a)을 통해 송신 유닛(11)에 공급되는 3개의 구동 펄스들 S1, S2, S3를 도시한다. 상이한 응용들에서 에어리어 검출기(12)의 측정 신호 라인(12b)에서 그것에 의해 야기되는 아날로그 측정 신호 전류의 신호 레벨들이 아래의 도 4에 예시된다.
그러므로, 도 4는 구동 펄스 S1에 의해 송신 광선이 야기되지만, 광선 경로에 물체가 없으므로 광선이 반사되지 않는 상황에 대한 광전류의 신호 레벨 SPs를 좌측 영역에 도시한다. 그러므로, 이 경우, 송신 광선의 레벨 SPs만이 측정된다.
본 발명의 유리한 추가적인 실시예에 따라, 측정 신호의 더 나은 평가를 위해, 예컨대 평가 유닛(13a)에 의해 역치 값들이 제공될 수 있다. 도 3 및 4의 예에서, 예컨대, 이러한 목적으로 더 낮은 모니링 광 역치 Su, 더 높은 모니터링 광 역치 So 및 최상부의 검출 광 역치 Sd가 제공된다.
그러므로, 도 4의 극좌에서의 광전류의 측정 가능한 신호 레벨은 더 낮은 모니터링 광 역치 Su에 못 미친다. 도 3에서의 구동 펄스의 부재 때문에 이 영역에서는 명백히 송신 광선이 생성되지 않으므로, 이 신호 레벨은 확산 미광에 의해서만 야기될 수 있다. 그렇지만, 이 측정값은, 예컨대, 광 센서(1)를 조정하기 위해 제어 유닛(13c) 또는 평가 유닛(13a)에 의해 사용될 수 있다. 반면에, 신호 레벨 SPs는 구동 펄스 S1의 지속 시간 동안 더 높은 모니터링 광 역치 So를 초과한다. 이 크기의 측정값은 광 센서(1)의 적합한 기능을 결정하기 위해 제어 유닛(13c) 또는 평가 유닛(13a)에 의해 사용될 수 있다.
중심 영역에서, 도 4는 또한, 구동 펄스 S2에 의해 송신 광선이 야기되고, 광선 경로 내의 물체 때문에 반사되는 상황에 대한 광전류의 신호 레벨 SPe를 도시한다. 이 경우, 반사 광선의 레벨이 송신 광선의 레벨에 추가되어, 그 결과로서 더 높은 모니터링 광 역치 So가 초과된다. 그러나, 최후의 신호 레벨 SPe는 지연 시간 T 후에만 도달된다. 후자는 센서를 떠나고 물체에서 반사된 후 감광성 에어리어 검출기에 다시 부딪히기 위해 송신 광선(21)의 전파 시간에 대응한다. 도 4의 예에서, 이 지연 시간 T는, 예컨대 평가 유닛(13a)에 의해 구동 펄스 S2의 전면 에지, 및 측정된 레벨이 더 높은 모니터링 광 역치 So를 초과하는 시간으로부터 결정될 수 있다. 센서(1)와 물체(2) 사이의 거리는, 예컨대, 광속, 및 지연 시간 T의 측정값의 도움으로 평가 유닛(13a)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도 4는 또한 센서의 동적 범위 D, 즉, 송신 광선의 신호 레벨 SPs와 송신 광선 내에 물체가 있는 경우의 최대 신호 레벨 SPe 사이의 차이를 도시한다. 동적 범위 D를 증가시키기 위해, 도 2로부터의 예를 사용하여 이미 설명한 바와 같이, 감광성 에어리어 검출기는 비감광 비활성 에어리어를 구비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우측 영역에서, 도 4는 구동 펄스 S3에도 불구하고, 예컨대 센서(1)의 결함 때문에 송신 광선이 야기되지 않는 상황에 대한 광전류의 신호 레벨 SPu를 도시한다. 이 경우에, 모니터링 광 역치 Su 아래에 있으며, 고작 배경 미광에 의해 야기되는 신호 레벨 SPu가 검출될 수 있으므로, 예컨대, 제어 유닛(13c)은, 예컨대 송신 유닛의 완전한 고장, 또는 노화에 의해 야기된 송신 전력의 허용 불가능한 감소를 알리는 진단 메시지들을 생성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광 센서들의 광 커튼 형태의 유리한 평행 배열을 도시한다. 그러한 예시적인 케스케이드형(cascaded) 실시예의 경우, 센서(5) 내에 복수의 개별적인 센서들이 서로의 옆에 배열되며, 그 결과로서 개별적인 센서들에 의해 생성된 송신 광선들이 일종의 광 커튼(5a)을 형성한다.
그러므로, 도 5의 예는, 예컨대, 사실상 "커튼 내에 있는" 물체(2)가 센서(5)의 4개의 개별적인 센서들에 의해 그들의 송신 광선들의 반사에 의해 검출되는 한편, 다른 개별적인 센서들로부터의 송신 광선들이 물체를 지나가는 상태를 도시한다. 예컨대, 본 발명에 따라 광 송신 유닛(11x), 그것에 의해 조사되는 감광성 에어리어 검출기(12x), 및 공통 서브컨트롤러(13x)를 갖는 상부 개별 센서로부터의 송신 광선 21x은 물체(2)를 지나간다. 반면에, 마찬가지로 본 발명에 따라 광 송신 유닛(11y), 그것에 의해 조사되는 감광성 에어리어 검출기(12y), 및 공통 서브컨트롤러(13y)를 갖는 그 아래의 센서로부터의 송신 광선(21y)은 물체(2)에 부딪힌다. 그 프로세스에서 생성된 반사 광 복사(23y)는 또한 에어리어 검출기(12y)에 의해 검출되며 위에서 설명한 방식으로 처리된다.
도 5의 예에서, 개별적인 센서들로부터의 측정값들은 마지막으로 추가적인 처리를 위해 통신 링크들(6)을 통해 중앙 컨트롤러(7)에 송신된다. 이 컨트롤러는 또한 통신 인터페이스(13d) 및 데이터 버스를 통해 상위의 관측 및 제어 유닛들과 통신할 수 있다.

Claims (5)

  1. 광 센서(1)로서,
    a) 송신 광선(21)을 생성하기 위한 광 송신 유닛(11);
    b) 반투명 특성을 갖고, 상기 송신 광선(21)에 의해 조사되고, 물체(2)로부터 반사 광선들(23)을 다시 수신하는 감광성 에어리어 검출기(12); 및
    c) 적어도 물체(2)를 검출하기 위한, 상기 감광성 에어리어 검출기(12)의 광전기 전류(12b)에 대한 평가 유닛(13)
    을 적어도 갖는 광 센서(1).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감광성 에어리어 검출기(12) 및 상기 광 송신 유닛(11)은, 반사 광선들(23)이 상기 송신 광선(21)에 대해 가능한 축방향으로 상기 에어리어 검출기(12)를 스트라이크하는 방식으로 배향되는 광 센서(1).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감광성 에어리어 검출기(12)는 상기 송신 광선(21)을 위한 통로 영역(22)에 비감광성 비활성 에어리어(12a)를 갖는 광 센서(1).
  4. 제1항 및 제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감광성 에어리어 검출기(12)는 감광성 기판으로서 유기 중합체층을 갖는 광 센서(1).
  5. 제4항에 있어서,
    반투명 특성을 갖는 상기 감광성 에어리어 검출기(12)로서 "유기 감광성 다이오드"(OPD)를 갖는 광 센서(1).
KR1020127007530A 2009-09-23 2010-09-21 광 센서, 특히 근접 스위치 KR10136127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09042609A DE102009042609A1 (de) 2009-09-23 2009-09-23 Optischer Sensor, insbesondere Näherungsschalter
DE102009042609.4 2009-09-23
PCT/EP2010/063847 WO2011036137A1 (de) 2009-09-23 2010-09-21 Optischer sensor, insbesondere näherungsschalte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58570A KR20120058570A (ko) 2012-06-07
KR101361276B1 true KR101361276B1 (ko) 2014-02-11

Family

ID=432598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7007530A KR101361276B1 (ko) 2009-09-23 2010-09-21 광 센서, 특히 근접 스위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8841598B2 (ko)
EP (1) EP2481152B1 (ko)
JP (1) JP2013505657A (ko)
KR (1) KR101361276B1 (ko)
DE (1) DE102009042609A1 (ko)
WO (1) WO201103613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2164345A1 (en) * 2011-05-27 2012-12-06 Nokia Corporation An apparatus and method comprising an optical emitter and a detector to provide a signal indicative of a position of a body
DE102011081487B4 (de) * 2011-08-24 2023-12-14 Endress + Hauser Flowtec Ag Optoelektronisches Bedienelement sowie Feldgerät der Prozessautomatisierungstechnik mit einem solchen optoelektronischen Bedienelement
US9476968B2 (en) * 2014-07-24 2016-10-25 Rosemount Aerospace Inc. System and method for monitoring optical subsystem performance in cloud LIDAR systems
US11410419B2 (en) 2016-07-21 2022-08-09 L3 Technologies, Inc. Enhanced vision systems and methods
US20180113022A1 (en) * 2016-10-20 2018-04-26 Osram Opto Semiconductors Gmbh Integrated circuit for sensor applications
DE102016121204A1 (de) * 2016-11-07 2018-05-09 Pepperl + Fuchs Gmbh Optischer Sensor
CN109150151A (zh) * 2017-06-28 2019-01-04 美的智慧家居科技有限公司 感应开关
DE102019216811A1 (de) * 2019-10-31 2021-05-06 Robert Bosch Gmbh LIDAR-Sensor mit Kontrolldetektor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262636A (en) * 1992-05-04 1993-11-16 Diolase Corporation Proximity sensor apparatus for laser diode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112359A (ja) 1986-10-27 1988-05-17 Toshiba Corp カレンダロ−ルの巻付き防止制御装置
JPH0623003Y2 (ja) * 1988-08-25 1994-06-15 鐘淵化学工業株式会社 反射型ホトセンサ
DE3840277C2 (de) 1988-11-30 1997-04-17 Diehl Gmbh & Co Einrichtung zur Lokalisierung von Fahrzeugen im Gefechtsfeld
JP3109885B2 (ja) * 1991-12-26 2000-11-20 キヤノン株式会社 光半導体装置
GB2296815B (en) * 1994-12-09 1999-03-17 Cambridge Display Tech Ltd Photoresponsive materials
US6037644A (en) * 1997-09-12 2000-03-14 The Whitaker Corporation Semi-transparent monitor detector for surface emitting light emitting devices
CA2306833C (en) 1998-08-19 2013-02-12 The Trustees Of Princeton University Organic photosensitive optoelectronic device
US6352777B1 (en) 1998-08-19 2002-03-05 The Trustees Of Princeton University Organic photosensitive optoelectronic devices with transparent electrodes
JP3617951B2 (ja) * 2000-08-09 2005-02-09 シャープ株式会社 光反射型センサ
US6670213B2 (en) * 2001-10-10 2003-12-30 Cambridge Display Technology Limited Method of preparing photoresponsive devices, and devices made thereby
US6835923B2 (en) 2001-11-16 2004-12-28 Nokia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self-monitoring of proximity sensors
DE10206907A1 (de) 2002-02-19 2003-09-04 Siemens Ag Optisch gesteuerte Bildschirmeingabehilfe
EP1467224A1 (en) * 2003-04-07 2004-10-13 CSEM Centre Suisse d'Electronique et de Microtechnique SA Optical proximity detector
DE102006025469A1 (de) 2006-05-30 2007-12-06 Siemens Ag Lichtschranke
DE102007027457A1 (de) * 2007-06-14 2008-12-24 Siemens Ag Betätigungselement
DE102008039345A1 (de) * 2008-08-22 2010-02-25 Siemens Aktiengesellschaft Eingabeeinrichtung zum Eingeben zumindest eines Befehls durch zumindest eine Betätigung eines Nutzers und Verfahren zum Herstellen einer solchen Eingabeeinrichtung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262636A (en) * 1992-05-04 1993-11-16 Diolase Corporation Proximity sensor apparatus for laser diod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102009042609A1 (de) 2011-03-24
EP2481152A1 (de) 2012-08-01
US8841598B2 (en) 2014-09-23
KR20120058570A (ko) 2012-06-07
JP2013505657A (ja) 2013-02-14
WO2011036137A1 (de) 2011-03-31
EP2481152B1 (de) 2018-07-04
US20130001406A1 (en) 2013-01-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61276B1 (ko) 광 센서, 특히 근접 스위치
US20090256714A1 (en) Device and Method for Detecting Smoke by Joint Evaluation of Two Optical Backscatter Signals
CN101952863B (zh) 借助于两种光谱不同的散射光测量的烟雾探测
US8587442B2 (en) Smoke alarm with temporal evaluation of a backscatter signal, test method for the functional capability of a smoke alarm
EP2632166B1 (en) System to test performance of pixels in a sensor array
EP1894178B1 (en) A flame detector and a method
JP5583120B2 (ja) オブジェクトを検出するための光電スイッチおよび方法
JP2009516157A (ja) 空間領域モニター装置および方法
US11372107B2 (en) Triangulation photoelectric proximity sensor
JP6382899B2 (ja) 物体検出方法
US6316762B1 (en) Optoelectronic device
JP7101529B2 (ja) 光センサおよび電子機器
WO2020179268A1 (ja) 光学的測距装置
JP2023528646A (ja) ライダーセンサの保護スクリーンの汚れを識別する方法及び装置
JP3893155B2 (ja) ノイズ許容範囲の改良された検出システム
JPH07253461A (ja) 距離測定装置
CN216792445U (zh) 用于前窗监控的光电传感器
US8324557B2 (en) Optoelectronic sensor for the detection of pallets
CN216272610U (zh) ToF电梯光幕装置和电梯
CN112912757B (zh) 检测监测区域中的物体的根据飞行时间原理的光学传感器
JPH03144897A (ja) 光学的煙検知器及びその操作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0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1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13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