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61056B1 - 가라오케 호스트 장치 및 프로그램 - Google Patents

가라오케 호스트 장치 및 프로그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61056B1
KR101361056B1 KR1020127002787A KR20127002787A KR101361056B1 KR 101361056 B1 KR101361056 B1 KR 101361056B1 KR 1020127002787 A KR1020127002787 A KR 1020127002787A KR 20127002787 A KR20127002787 A KR 20127002787A KR 101361056 B1 KR101361056 B1 KR 10136105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karaoke
music data
sound
mus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70027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42902A (ko
Inventor
히로유키 스즈키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카이샤 비쓰리 유나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카이샤 비쓰리 유나이티드 filed Critical 가부시키카이샤 비쓰리 유나이티드
Publication of KR201200429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4290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610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6105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KSOUND-PRODUCING DEVICES; 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ACOUSTIC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10K15/00Acoustic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10K15/04Sound-producing device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OR ELECTRONIC GENERATORS, OR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 G10H1/00Details of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 G10H1/18Selecting circuits
    • G10H1/20Selecting circuits for transposition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OR ELECTRONIC GENERATORS, OR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 G10H1/00Details of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 G10H1/36Accompaniment arrangements
    • G10H1/361Recording/reproducing of accompaniment for use with an external source, e.g. karaoke systems
    • G10H1/366Recording/reproducing of accompaniment for use with an external source, e.g. karaoke systems with means for modifying or correcting the external signal, e.g. pitch correction, reverberation, changing a singer's voice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OR ELECTRONIC GENERATORS, OR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 G10H2210/00Aspects or methods of musical processing having intrinsic musical character, i.e. involving musical theory or musical parameters or relying on musical knowledge, as applied in electrophonic musical tools or instruments
    • G10H2210/031Musical analysis, i.e. isolation, extraction or identification of musical elements or musical parameters from a raw acoustic signal or from an encoded audio signal
    • G10H2210/066Musical analysis, i.e. isolation, extraction or identification of musical elements or musical parameters from a raw acoustic signal or from an encoded audio signal for pitch analysis as part of wider processing for musical purposes, e.g. transcription, musical performance evaluation; Pitch recognition, e.g. in polyphonic sounds; Estimation or use of missing fundamental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Multimedia (AREA)
  • Reverberation, Karaoke And Other Acoustics (AREA)

Abstract

[과제] 가라오케 이용자가 신곡 등 또는 불러보지 않은 대상악곡에 대해서 어느 정도 가창가능한지 여부의 지수를 나타낼 수 있는 가라오케 장치 등을 제공한다.
[해결수단] 가라오케 호스트 장치로서, 이용자의 음고 마다의 가창레벨에 관한 정보를 기초로, 가라오케에서 사용하는 전체의 음역을 상기 이용자의 가창레벨에 따라 복수의 단계로 분할하고, 또한 분할된 단계 마다 보정계수를 결정하는 수단과, 가창가능지수를산출하는 대상이 되는 악곡에 대한 음악 데이터를 취득하는 수단과, 상기 이용자의 각 단계의 음역에 포함되는 각 음고의 음길이의 합계치를 얻는 제 1 연산수단과, 상기 제 1 연산수단에 의해 얻은 값에 상기 이용자의 단계마다 정해진 보정계수를 곱한 값을 얻는 제 2 연산수단과, 상기 제 2 연산수단에 의해 얻은 각 단계의 값의 합계를 상기 제 1 연산수단에 의해 얻은 각 단계의 값의 합계로 나눔으로써 상기 이용자의 가창가능지수를 산출하는 수단을 구비한다.

Description

가라오케 호스트 장치 및 프로그램{KARAOKE HOST DEVICE AND PROGRAM}
본 발명은 가라오케 악곡의 음악 데이터와 가라오케 이용자의 가창 이력 등의 데이터를 기초로, 아직 노래한 적이 없는 가라오케 악곡이 이용자에게 가창 가능한 것인지 여부를 나타내는 가라오케 호스트 장치 및 프로그램에 관한다.
현재 다수의 신곡이 발표되며 이들 곡이 차차 가라오케로 불려지게 되고 있다. 그러나 신곡이 발표되더라도 이들 곡이 가라오케 이용자에게 가창 가능한 것인지 여부는 실제 노래를 해보지 않으면 알 수 없는 문제가 있다.
가라오케 단말에는 가라오케 악곡의 연주를 가창자의 발성 가능한 음역에 맞춰 음고를 시프트시키기 위한 키 변경 기능이 구비되어 있다. 그러나 이 키 변경 기능도 가창자 자신이 자신의 발성가능한 영역을 충분히 파악하고 있지 못하면 설정이 어렵다. 이 때문에 대개는 키 변경의 설정을 여러 번 해 보면서 자신에 맞는 키 설정치를 찾고 있다. 따라서 키를 바꾸면 가창 가능하다고 생각되는 경우라도 구체적으로 어느 정도 키를 변경하면 좋을지 바로 알 수 없는 문제가 있다.
그래서 이용자가 가라오케 악곡에 대해서 가창 가능한 것인지 여부를 분석하는 방법 등이 제공되고 있다.
예컨대 가라오케 소프트웨어의 가창 음역을 사전에 분석하기 위한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여 전자 악보 형식으로 데이터 표현된 주선율을 붙인 가라오케 소프트웨어의 가창음역을 분석하는 방법으로서, 분석 대상의 가라오케 소프트웨어의 상기 전자음악 데이터로부터 상기 주선율을 추출함과 동시에, 해당 주선율을 구성하는 전체 음부의 음고 정보 및 음부의 길이정보를 집약해서 가창음역 데이터를 작성하는 가창음역 분석방법이 제공되어 있다(특허문헌 1 참조).
특허문헌1: 일본국 특개2002-108373호 공보
그러나 가창음역 데이터가 작성되어 있더라도 각 이용자 자신이 실제로 어느 정도 가창 가능한 것인지 여부가 지수화 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신곡 등 아직 불러보지 않은 대상악곡이 해당 이용자가 가창 가능한 것인지 여부를 명확하게 알 수 없다는 문제가 있다.
그런데 각 이용자의 음역은 변성 등의 성장이나 노화에 따르는 변화가 없는 한 거의 변화하지는 않는다. 그러나 자기자신의 음역을 적확하게 파악하는 것은 자신의 음역의 정보를 사전에 조사하던가, 혹은 절대음감을 갖고 있지 않는 한 일반 가라오케 이용자에게는 어렵다.
또한 키를 바꾸면 대상악곡이 어느 정도 가창 가능한 것인지 여부도 사전에 판단하는 것이 곤란하다. 즉, 자기자신의 가창레벨에서 다른 어떤 노래가 가창 가능한 것인지를 알아서 자기의 레퍼토리를 늘리는 수단이 없다.
그래서 본 발명은 가라오케 이용자가 신곡 등 아직 노래를 불러보지 않은 대상악곡에 대해서 어느 정도 가창 가능한 것인지 여부의 지수를 나타낼 수 있는 가라오케 호스트 장치 및 프로그램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에서는, 가라오케 호스트 장치로서, 가라오케 악곡의 음악 데이터로부터 주선율 음악 데이터를 추출하고, 상기 주선율의 음고마다의 음길이 합계를 산출하여 데이터베이스화 하는 주선율 데이터베이스화 수단과, 가라오케 이용자의 음고마다의 가창레벨에 관한 정보를 기초로, 가라오케에서 사용하는 모든 음역을 상기 이용자의 가창레벨에 따라 복수의 단계로 분할하고, 또한 분할된 단계마다 보정계수를 결정하는 단계분할수단과, 상기 주선율 데이터베이스화 수단에 의해 데이터베이스화 된 음악 데이터 중 가창가능지수를 산출하는 대상이 되는 악곡에 대한 음악 데이터를 취득하는 대상악곡 데이터취득수단과, 상기 대상악곡 데이터취득수단에 의해 취득한 음악 데이터에 대해서 상기 이용자의 각 단계의 음역에 포함되는 각 음고의 음길이의 합계치를 얻는 제 1 연산수단과, 상기 제 1 연산수단에 의해 얻은 값으로 상기 이용자의 단계마다 정해진 보정계수를 곱한 값을 얻는 제 2 연산수단과, 상기 제 2 연산수단에 의해 얻은 각 단계의 값의 합계를 상기 제 1 연산수단에 의해 얻은 각 단계의 값의 합계로 나눔으로써 상기 이용자의 가창가능지수를 산출하는 가창가능지수 산출수단을 구비하며, 상기 보정계수는 상기 이용자의 가창레벨이 가장 높은 단계에서부터 멀어짐에 따라 값이 작아지고 있다.
게다가 본 가라오케 장치는 이하에서와 같은 특징을 함께 갖는 것이다.
즉, 상기 단계분할수단에 의해 결정된 각 단계의 음역폭에, 단계마다 정해진 보정계수를 곱해서 얻은 값을 전체 단계에 대해서 합계함으로써 상기 이용자의 가창 가능한 음역폭을 취득하는 이용자 음역폭취득수단과, 상기 대상악곡 데이터취득수단에 의해 취득한 음악 데이터로부터 최고음 또는 최저음 순서로 미리 정해진 조건을 만족하지 않는 음악 데이터를 제외한 나머지 음악 데이터의 음역폭을 취득하는 판정용 음역폭취득수단과, 상기 이용자 음역폭취득수단에 의해 취득한 상기 이용자의 가창 가능 음역폭이 상기 판정용 음역폭취득수단에 의해 취득한 판정용 음역폭보다 큰지 여부를 판정하는 음역폭 판정수단을 더욱 구비하고 있다.
또한, 상기 대상악곡 데이터취득수단에 의해 취득한 음악 데이터에 대해서, 적의로 키를 변경한 후의 음악 데이터를 취득하는 변경후 음악 데이터 취득수단과, 상기 변경후 음악 데이터 취득수단에 의해 취득한 키를 변경한 후의 음악 데이터를 대상으로 하여 상기 가창가능지수 산출수단에 의해 가창가능지수를 산출하는 변경후 가창가능지수 산출수단을 더욱 구비하고 있다.
또한, 상기 단계 분할 수단에서의 이용자의 가창레벨에 관한 정보는, 상기 이용자가 가창한 이력이 있는 전부 또는 일부 가라오케 악곡에 관하며, 상기 주선율 데이터베이스화 수단에 의해 데이터베이스화 한 상기 주선율 음고마다의 음길이 합계치를 기초로 구해지는 것이다.
또한, 상기 단계분할수단에서의 이용자의 가창레벨에 관한 정보는, 상기 가라오케 호스트 장치와 통신회선을 통해서 접속되어 있는 가라오케 점측에 설치된 가라오케 단말 또는 가라오케 이용자 측에 설치된 이용자 단말에서부터 음부(音符) 데이터를 기초로 출력된 복수의 음고의 음에 따라 이용자가 마이크로폰으로 입력한 음성 데이터와, 상기 가라오케 단말 또는 이용자 단말로부터 출력된 음 데이터를 비교한 결과를 기초로 구해지는 것이다.
또한, 상기 단계분할수단에서의 이용자의 가창레벨에 관한 정보는, 상기 가라오케 호스트 장치와 통신회선을 통해 접속되어 있는 가라오케 이용자 측에 설치된 이용자 단말로부터 음부 데이터를 기초로 출력된 복수의 음고의 음에 따라 이용자가 이용자 단말의 입력부에 의해 입력한 발성 레벨에 관한 정보를 기초로 구해지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컴퓨터용 프로그램으로서, 가라오케 호스트 장치가 구비하는 컴퓨터에, 가라오케 악곡의 음악 데이터로부터 주선율 음악 데이터를 추출하고, 상기 주선율 음고마다의 음길이 합계를 산출하며 데이터베이스화 하는 주선율 데이터베이스화 기능과, 가라오케 이용자의 음고마다의 가창레벨에 관한 정보를 기초로, 가라오케에서 사용하는 모든 음역을 상기 이용자의 가창레벨에 따라 복수의 단계로 분할하고, 또한 분할된 단계마다 보정계수를 결정하는 단계분할기능과, 상기 주선율 데이터베이화 기능에 의해 데이터베이스화 된 음악 데이터 중 가창가능지수를 산출하는 대상이 되는 악곡에 대한 음악 데이터를 취득하는 대상악곡 데이터취득기능과, 상기 대상악곡 데이터취득기능에 의해 취득한 음악 데이터에 대해서 상기 이용자의 각 단계 음역에 포함되는 각 음고의 음길이의 합계치를 얻는 제 1 연산기능과, 상기 제 1 연산기능에 의해 얻은 값에 상기 이용자의 단계마다 정해진 보정계수를 곱한 값을 얻는 제 2 연산기능과, 상기 제 2 연산기능에 의해 얻은 각 단계의 값의 합계를 상기 제 1 연산기능에 의해 얻은 각 단계의 값의 합계로 나눔으로써 상기 이용자의 가창가능지수를 산출하는 가창가능지수 산출기능을 실현하며, 상기 보정계수는 상기 이용자의 가창레벨이 가장 높은 단계에서부터 멀어짐에 따라 값이 작아지고 있다.
게다가 본 프로그램은 이하와 같은 특징을 함께 갖는 것이다.
즉, 상기 단계분할기능에 의해 결정된 각 단계의 음역폭에, 단계마다 정해진 보정계수를 곱해서 얻은 값을 전체 단계에 대해서 합계함으로써 상기 이용자의 가창가능한 음역폭을 취득하는 이용자 음역폭 취득기능과, 상기 대상악곡 데이터취득기능에 의해 취득한 음악 데이터로부터 최고음 또는 최저음 순으로 미리 정해진 조건을 만족하지 않는 음악 데이터를 제외한 나머지 음악 데이터의 음역폭을 취득하는 판정용 음역폭 취득기능과, 상기 이용자 음역폭 취득기능에 의해 취득한 상기 이용자의 가창가능 음역폭이 상기 판정용 음역폭 취득기능에 의해 취득한 판정용 음역폭보다 큰지 여부를 판정하는 음역폭 판정기능을 추가적으로 실현하고 있다.
또한, 상기 대상악곡 데이터취득기능에 의해 취득한 음악 데이터에 대해서, 적의로 키를 변경한 후의 음악 데이터를 취득하는 변경후 음악 데이터취득기능과, 상기 변경후 음악 데이터취득기능에 의해 취득한 키를 변경한 후의 음악 데이터를 대상으로 하여, 상기 가창가능지수 산출기능에 의해 가창가능지수를 산출하는 변경후 가창가능지수 산출기능을 추가적으로 실현하고 있다.
또한, 상기 단계분할기능에서의 이용자의 가창레벨에 관한 정보는, 상기 이용자가 가창한 이력이 있는 전부 또는 일부 가라오케 악곡에 관하며, 상기 주선율 데이터베이스화 기능에 의해 데이터베이스화 한 상기 주선율 음고마다의 음길이 합계치를 기초로 구해지는 것이다.
또한, 상기 단계분할기능에서의 이용자의 가창레벨에 관한 정보는, 상기 가라오케 호스트 장치와 통신회선을 통해서 접속되어 있는 가라오케 점측에 설치된 가라오케 단말 또는 가라오케 이용자 측에 설치된 이용자 단말에서부터 음부 데이터를 기초로 출력된 복수의 음고의 음에 따라 이용자가 마이크로폰으로 입력한 음성 데이터와, 상기 가라오케 단말 또는 이용자 단말로부터 출력된 음 데이터를 비교한 결과를 기초로 구해지는 것이다.
또한, 상기 단계분할기능에서의 이용자의 가창레벨에 관한 정보는, 상기 가라오케 호스트 장치와 통신회선을 통해 접속되어 있는 가라오케 이용자 측에 설치된 이용자 단말로부터 음부 데이터를 기초로 출력된 복수의 음고의 음에 따라 이용자가 이용자 단말의 입력부에 의해 입력한 발성 레벨에 관한 정보를 기초로 구해지는 것이다.
제 일의 효과로, 본 발명의 가라오케 호스트 장치 및 프로그램에 의하면, 가라오케 이용자가 대상악곡에 대해서 어느 정도 가창 가능한지 여부의 지수를 나타낼 수 있다. 따라서 가라오케의 신곡이 나온 경우와 노래한 적이 없는 곡에 이용자가 도전해 보고 싶어진 경우에 그 곡이 이용자가 가창 가능한 것인지 여부를 가창가능지수를 봄으로써 구체적으로 알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제 이의 효과로, 이용자가 키를 변경하여 가창하는 경우에, 키 변경 후의 가창가능지수를 용이하게 알 수 있기 때문에, 가창가능지수가 높은 위치로 키를 변경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제 삼의 효과로, 이용자가 신곡 등의 대상악곡이 가창가능한지 여부를 용이하게 알 수 있기 때문에 가라오케에서의 자신의 레퍼토리를 간단하게 늘릴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원의 전체 시스템 구성을 나타낸 설명도이다.
도 2는 가라오케 단말(3)의 하드웨어 구성의 설명도이다.
도 3은 이용자 개인 단위에서 복수의 단계로 분할된 음역의 예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4는 평균음고와 표준편차를 기초로 이용자의 단계를 결정하는 경우의 모집단정보의 구체 예이다.
도 5는 중앙음고와 출현율을 기초로 이용자의 단계를 결정하는 경우의 모집단정보의 구체 예이다.
도 6은 대상악곡의 가창가능지수를 산출한 경우의 구체 예이다.
도 7은 이용자의 음역폭을 베이스로 가창가능 여부를 판정하는 예의 설명도이다.
가라오케 이용자가 신곡 등 아직 노래를 불러보지 않은 대상악곡에 대해서, 어느 정도 가창 가능한 것인지 여부의 지수를 나타낼 수 있는 가라오케 호스트 장치 및 프로그램을 제공하는 것을 실현했다.
[실시예 1]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도면을 참조하면서 이하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원의 전체 시스템 구성을 나태는 설명도이며, 가라오케 점측에 설치된 가라오케 단말(3), 가라오케 이용자 측에 설치된 이용자 단말(4)이 통신회선(2)를 통해서 가라오케 사업자 측에 설치된 가라오케 호스트 장치(1)와 접속되어 있다.
또한, 도 1에 나타난 시스템 구성에 있어서는, 가라오케 호스트 장치(1), 가라오케 단말(3), 이용자 단말(4)은 각각 1개만 나타내어져 있지만, 이들은 각각 복수여도 좋다. 또한, 통신회선(2)은 인터넷, 공중전화회선 등 다양한 회선을 이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가라오케 호스트 장치(1)는,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CPU, ROM, RAM을 포함한 중앙처리부, 가라오케 음악의 반주음악 데이터, 가사, 주선율 음악 데이터의 음고마다의 음길이 합계 데이터를 포함하는 가라오케 데이터를 기억한 가라오케 데이터베이스, 가라오케 이용자의 식별정보와 가창이력정보 등의 데이터를 기억한 이용자 데이터베이스, 통신회선(2)과의 통신을 제어하는 통신제어부 등을 구비한 가라오케 사업자에 의해 운용되는 컴퓨터이다.
이용자가 가라오케 단말(3)로부터 가라오케 데이터의 배신(配信)을 가라오케 호스트 장치(1)로 리퀘스트하면, 중앙처리부가 리퀘스트된 가라오케 데이터를 가라오케 데이터베이스에서 추출해서 통신제어부를 통해 통신회선(2)으로 송출하고, 가라오케 호스트 장치(1)로부터 가라오케 단말(3)로 가라오케 데이터를 배신한다. 또한 가라오케 호스트 장치(1)의 중앙처리부는 가라오케 단말(3)에서 업로드 된 가동 로그 등의 각종 정보 처리를 행한다. 또한 가라오케 단말(3)에서부터 이용자 마다의 가창이력정보 등을 적의 기회로 수집하여 이용자 데이터베이스로 기억한다.
도 2는 가라오케 단말(3)의 하드웨어 구성의 설명도이다. 가라오케 단말(3)은, CPU, ROM, RAM을 포함하는 중앙처리부(11), 하드디스크나 광디스크 등의 외부기억부(12), 이용자로부터 입력과 이용자로의 응답을 수행하는 유저 인터페이스부(13), 통신회선(2)을 통해 가라오케 호스트 장치(1)와 통신하는 통신제어부(15), CRT, 액정화면 등을 이용한 영상표시부(16), 이 영상표시부(16)에 표시될 영상 데이터를 처리하는 영상처리부(17), MIDI 형식 등의 음악 데이터에 기초하여 가라오케용 오디오 신호를 생성하는 오디오 생성부(18), 반주음악 데이터나 마이크로폰(20)으로부터의 오디오 신호를 증폭하여 스피커(21)에서 출력하는 오디오 처리부(19) 등을 구비하고 있다.
또한 유저 인터페이스부(13)에는, 가라오케 단말(3)의 본체 조작 패널이 포함됨과 동시에, 가라오케 악곡의 검색, 선곡, 재생 등의 지시를 수행하기 위한 적외선 통신수단을 구비한 리모콘 단말(14)이 부속되어 있다.
또한 이용자 단말(4)은 도시되지 않았으나, CPU, ROM, RAM을 포함한 중앙처리부, CRT, 액정화면 등을 이용한 표시부, 키보드, 마우스, 마이크로폰 등의 입력부, 스피커, 헤드폰 등의 출력부, 통신회선(2)과의 통신을 제어하는 통신제어부 등을 구비한 정보처리기기이며, 이 중에는 퍼스널 컴퓨터, 휴대전화, PHS, PDA 등이 포함된다.
우선, 악곡 단위의 주선율 데이터베이스화 수단에 대해서 설명한다.
이것은 가라오케 악곡의 음악 데이터에서 주선율 데이터를 추출하고, 악곡 단위로 주선율 데이터의 음고마다 음 길이 합계를 계산하여 데이터베이화하는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MIDI의 경우라면 MIDI 파일로부터 주선율 데이터를 추출하고, 주선율 데이터의 음고마다 음 길이 합계를 계산하여, 악곡 단위로 데이터베이스화하는 것이다. 이로써 주선율 데이터에 포함되는 각 음고가 해당 악곡 중에서 어느 정도의 시간, 출력되고 있는지를 알 수 있다.
음 길이는 MIDI의 경우라면 1/1000초 단위의 음 길이 데이터를 사용하며, 그 이외의 경우로 박자수와 템포의 의해 음 길이가 정해지 경우 등은 박자수와 템포에 기초해서 음 길이를 계산한다.
다음으로, 이용자의 가창레벨에 관한 정보를 기초해서 이용자 개인 단위로 가라오케에서 사용하는 모든 음역을 복수의 단계로 분할하는 수단에 대해서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서의 이용자의 가창레벨에 관한 정보는, 이용자의 가라오케 악곡의 가창이력으로부터 취득한다. 구체적으로는 먼저 각 가라오케 단말(3)에서 수집하여 가라오케 호스트 장치(1)의 이용자 데이터베이스로 이용자 고유 회원번호 등의 식별정보와 함께 기억되어 있는 이용자마다의 가창이력 데이터, 즉, 해당 이용자가 가창한 이력이 있는 가라오케 악곡에 관한 데이터를 취득한다.
또한 가창인력 데이터는 각 가라오케 단말(3)에서부터 이용자가 가창한 악곡 데이터를 가라오케 호스트 장치(1)가 자동으로 수집해서 이용자 데이터베이스에 기억하고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리모콘 단말(14) 또는 이용자 단말(4)의 입력부에 의해서 이용자가 가창한 실적이 있는 곡의 식별정보를 직접 입력하여 그 정보를 통신회선(2)을 통해서 가라오케 호스트 장치(1)로 송신하여 이용자 데이터베이스에 기억하고 있는 경우여도 좋다. 또한 가라오케 악곡을 키를 변경해서 가창한 경우는 해당 악곡의 식별정보와 함께 키 변경에 관한 정보, 예컨대 키를 하나 올려서 가창한 등의 정보가 이용자 데이터베이스에 기억되어 있는 것으로 한다.
더욱이 본 실시예에서의 이용자의 가창레벨에 관한 정보는, 이용자의 가창이력이 있는 모든 가라오케 악곡을 대상으로 해서 취득하는 경우에 한정되지 않고, 가창이력이 있는 일부 가라오케 악곡을 대상으로 해서 취득하는 경우여도 좋다.
구체적으로는 리모콘 단말(14) 또는 이용자 단말(4)의 입력부에 의해서, 이용자가 가창한 이력이 있는 곡 중에, 단계를 결정할 적에 대상외로 하고 싶은 악곡의 식별정보를 이용자가 입력해서 그 정보를 통신회선(2)을 통해서 가라오케 호스트 장치(1)로 송신하고, 이용자 데이터베이스에 대상외 희망 악곡으로 기억한다. 그리고 이용자의 단계를 결정하기 위해서 가창한 이력이 있는 가라오케 악곡에 관한 데이터를 이용자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취득하는 경우는, 대상외 희망 악곡 데이터를 제외하여 취득한다. 이로써 이용자가 “이 악곡은 처음부터 끝까지 가성으로 불렀기 때문에 내 단계를 결정할 때의 대상악곡으로부터 제외하고 싶다”와 같은 경우에도 처리할 수 있으며, 이용자로서도 적절한 단계를 결정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다음으로, 이용자의 단계를 결정할 때 대상이 되는 해당 이용자의 가창 이력이 있는 가라오케 악곡에 대해서, 가라오케 데이터베이스에 기억되어 있는 MIDI 등의 음악 데이터로부터 주선율 데이터를 추출한다. 그리고 추출한 모든 악곡의 주선율 데이터를 대상으로 하여 음고마다의 음 길이의 합계치를 산출한다. 또한, 이용자 데이터베이스에 이용자가 키를 변경하여 노래한 기록이 있는 악곡의 경우는 키 변경 후의 음고 데이터를 이용한다.
그리고 이 음고마다의 음길이의 합계치를 해당 이용자의 가창레벨에 관한 정보로 해서, 해당 정보를 기초로 가라오케에서 사용하는 모든 음역을 복수의 단계로 분할한다.
도 3은 이용자 개인 단위에서 복수의 단계로 분할된 음역의 예에 대한 설명도이다. 악곡A, 악곡B, 악곡C, 악곡D의 선은 각 악곡의 음역을 나타내고 있다. 본 이용자의 경우, 악곡A, 악곡B, 악곡C, 악곡D의 4곡의 가창이력이 있고, 가창레벨에 관한 정보를 기초로 가창레벨이 높은 음역을 단계A로 하고, 거기서부터 고음방향 또는 저음방향으로 멀어짐에 따라 고음방향에서는 단계B 고음, 단계C 고음, 단계D 고음, 저음방향에서는 단계B 저음, 단계C 저음, 단계D 저음의 7단계로 분할되어 있다. 단, 단계는 이 7단계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복수의 단계로 나뉘어진다면 몇 개라도 좋다.
도 4는 평균음고와 표준편차를 기초로 이용자의 단계를 결정하는 경우의 모집단 정보의 구체예이다. 여기서는 가창 이력이 있는 전악곡의 MIDI의 주선율 데이터의 누적 데이터를 모집단을 하고, 음고의 분포는 정규분포라고 가정하고 있다. 본 이용자의 경우의 평균 음고(μ)는 노트 넘버로 약 66.52, 표준편차(σ)는 약 2.83이다.
여기서 이용자의 가창이력 데이터의 평균음고(μ)를 포함하는 단계를 단계A로 하고, 단계A에서부터 고음방향으로 멀어짐에 따라 단계B 고음, 단계C 고음, 단계D 고음, 역으로 저음방향으로 멀어짐에 따라 단계B 저음, 단계C 저음, 단계D 저음으로 분할하는 경우를 예로 설명한다. 예를 들면 도 4의 경우, μ±1.5σ의 범위를 단계A, μ+2σ의 범위까지를 단계B 고음, μ+3σ의 범위까지를 단계C 고음, 그리고 μ-2σ의 범위까지를 단계B 저음, μ-3σ의 범위까지를 단계C 저음으로 한다.
그리고 도 4의 아래표에 나타나 있는 것처럼, μ±1.5σ의 범위는 노트 넘버로 최저음 약 62.27에서 최고음 약 70.76까지의 범위이며, μ±2σ의 범위는 최저음 약 60.86에서 최고음 약 72.17까지의 범위이며, μ±3σ의 범위는 최저음 약 58.03에서 최고음 약 75.00까지의 범위이다.
따라서 가라오케에서 사용하는 모든 음역은 음악 데이터가 MIDI에 의한 것인 경우는 노트 넘버의 정수치로 표현되어 있기 때문에, 이 경우는 음고 58이하가 단계D 저음, 음고 59에서 60까지가 단계C 저음, 음고 61에서 62까지가 단계B 저음, 음고 63에서 70까지가 단계A, 음고 71에서 72까지가 단계B 고음, 음고 73에서 75까지가 단계C 고음, 음고 76이상이 단계D 고음이 되도록 단계가 결정되진다.
또한 단계의 결정방법은 상기의 평균 음고 및 표준편차를 계산해서 구하는 통계 방법에 의한 방법으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그 이외의 방법이어도 좋다.
예컨대, 도 5는 중앙음고와 출현율을 기초로 이용자의 단계를 결정하는 경우의 모집단 정보의 구체예이다. 이 경우는 먼저 최저음인 음고 59와 최고음인 음고 74의 중앙치인 66.5를 중앙음고로 하고, 음고마다의 음길이 합계를 모든 음고의 음길이 합계에서 제하여 산출한 음고마다의 출현율을 중앙음고에서부터 고음방향 또는 저음방향으로 멀어짐에 따라 누적해 있던 누적출현율을 기초로 단계를 결정하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누적출현율이 95% 이내의 범위를 단계A, 누적출현율이 95%초과 99%이내의 범위를 단계B 고음 또는 단계B 저음, 누적출현율이 99% 초과해서 처음 100%에 도달한 음고까지의 범위를 단계C 고음 또는 단계C 저음, 그리고 이들의 범위를 넘은 음고를 단계 D 고음 또는 단계D 저음으로 하고 있다.
따라서 도 5의 경우는 음고 57이하가 단계D 저음, 음고 58에서 59까지가 단계C 저음, 음고 60에서 61까지가 단계B 저음, 음고 62에서 70까지가 단계A, 음고 71에서 72까지가 단계B 고음, 음고 73에서 74까지가 단계C 음고, 음고 75이상이 단계D 음고가 되도록 단계가 결정되어 있다.
상기 단계의 결정방법에 있어서는 고음방향과 저음방향에서 같은 값으로 단계를 나누고 있지만, 같은 값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이한 값이어도 좋다. 이를테면 누적출현율이 95% 이내의 범위를 단계A로 하고, 고음방향에서 누적출현율이 95% 초과 99% 이내의 범위를 단계B 고음, 누적출현율 99% 초과해서 처음으로 100%에 도달한 음고까지의 범위를 단계C 고음, 그것을 넘는 고음역을 단계D 고음으로 해도, 저음방향에서는 누적출현율이 95% 초과 97% 이내의 범위를 단계B 저음, 누적출현율이 97%를 초과해서 처음으로 100%에 도달한 음고까지의 범위를 단계C 저음, 그것을 넘는 저음역을 단계D 저음으로 해도 좋다.
위와 같이 각 이용자의 가창레벨에 기초해서 가라오케에서 사용하는 모든 음역을 복수의 단계로 분할한 후, 단계마다 각각 보정계수를 설정한다.
구체적인 보정계수의 설정방법으로서는, 단계A는 노래를 부를 수 있음이 확실한 것으로 보정계수를 100%, 단계D 고음과 단계D 저음은 노래부를 수 없음이 확실한 것으로 보정계수를 각각 0%로 한다. 그리고 단계B 고음 및 단계B 저음의 보정계수는 75%, 단계C 고음 및 단계C 저음의 보정계수는 50% 등으로 하고, 100% 및 0%를 제한 범위의 값을 설정한다.
인간의 목소리는 트레이닝에 의해서 높은 방향의 음은 더 잘 낼 수 있도록 되지만, 낮은 쪽 음은 잘 나오지 않게 된다는 특징이 있다. 바꿔 말하면, 저음 쪽이 노래부르기 어렵다고 말할 수 있다. 따라서 보정계수도 고음역과 저음역이 같은 값으로 하는 것에 제한되지 않고, 저음부분보다 고음부분의 보정계수를 크게 해서, 예컨대 단계B 고음의 보정계수는 80%이지만 단계B 저음의 보정계수는 70%, 단계 C 고음의 보정계수는 60%이지만 단계C 저음의 보정계수는 40% 등으로 고음역과 저음역에서 변화를 주어도 좋다.
단, 보정계수는 이용자의 가창레벨이 가장 높은 단계A에서부터 고음방향 또는 저음방향으로 멀어짐에 따라서 값이 작아지고 있는 것으로 한다. 상기 예에서 말하자면 단계C 고음의 보정계수는 단계B 고음의 보정계수보다 작은 값으로 하며, 마찬가지로 단계C 저음의 보정계수는 단계B 저음의 보정계수보다 작은 값인 것으로 한다.
다음으로 대상악곡에서의 각 단계의 음길이 합계, 및 각 단계의 보정계수에 기초해서 이용자의 대상악곡에서의 가창가능지수를 산출하는 수단에 대해서 설명한다.
예를 들면 단계를, 단계A, 단계B 고음, 단계C 고음, 단계 D고음 단계B 저음, 단계C 저음, 단계D 저음의 7단계로 나눈 경우를 예로 해서, 대상악곡에 대한 가창가능지수의 구체적인 계산식을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가창가능지수 = (단계A의 음길이 합계×보정계수 + 단계B고음의 음길이 합계×보정계수 + 단계C 고음의 음길이 합계×보정계수 + 단계D 고음의 음길이 합계×보정계수 + 단계B 저음의 음길이 합계×보정계수 + 단계C 저음의 음길이 합계×보정계수 + 단계D 저음의 음길이 합계×보정계수) / (단계A의 음길이 합계 + 단계B 고음의 음길이 합계 + 단계C 고음의 음길이 합계 + 단계D 고음의 음길이 합계 + 단계B 저음의 음길이 합계 + 단계C 저음의 음길이 합계 + 단계D 저음의 음길이 합계)
이와 같이 대상악곡에서의 해당 이용자의 각 단계의 음역에 포함되는 각 음고의 음길이 합계치를 얻는 제 1 연산수단과, 상기 제 1 연산수단에 의해 얻은 값에 이용자의 각 단계마다 정해진 보정계수를 곱한 값을 얻는 제 2 연산수단과, 상기 제 2 연산수단에 의해 얻은 각 단계의 값의 합계를 상기 제 1 연산수단에 의해 얻은 각 단계의 값의 합계로 나눔으로써 대상악곡 마다 이용자의 가창가능지수를 산출한다. 그리고 산출한 가창가능지수의 정보는 통신회선(2)를 통해서 가라오케 호스트 장치(1)로부터 가라오케 단말(3) 또는 이용자 단말(4)로 송신해서 가라오케 단말(3) 또는 이용자 단말(4)의 표시부에 의해 이용자에게 제시하여도 좋다.
도 6은 몇 개의 대상악곡의 가창가능지수를 산출한 경우의 구체예이다. 이 예에 있어서는 단계A의 보정계수는 100%, 단계 B 고음 및 단계B 저음의 보정계수는 75%, 단계C 고음 및 단계C 저음의 보정계수는 50%, 단계D 고음 및 단계D 저음의 보정계수는 0%로 하고, 가창가능지수를 산출하고 있다.
또한, 도 6의 가장 우측의 예에서는, 가창가능지수를 알기 쉽게 이용자에게 제시하기 위해서 가창가능지수에 기초한 노래부를 수 있는 정도라는 지표에 의해서 대상악곡의 가창가능의 정도를 나타내고 있다.
예를 들면 가창가능지수가 1인 경우는 노래부를 수 있는 정도는 100%, 가창가능지수가 0.99 이상 1 미만은 노래부를 수 있는 정도는 90%, 가창가능지수가 0.98 이상 0.99 미안의 경우는 노래부를 수 있는 정도는 80%, 가창가능지수가 0.97 이상 0.98 미안의 경우는 노래부를 수 있는 정도가 70%, 가창가능지수가 0.96 이상 0.97 미만의 경우는 노래부를 수 있는 정도는 60%, 가창가능지수가 0.95이상 0.96 미만의 경우는 노래부를 수 있는 정도는 50%, 가창가능지수가 0.94 이상 0.95 미만의 경우는 노래부를 수 있는 정도가 40%, 가창가능지수가 0.93 이상 0.94 미만의 경우는 노래부를 수 있는 정도가 30%, 가창가능지수가 0.92 이상 0.93 미만의 경우는 노래부를 수 있는 정도가 20%, 가창가능지수 0.91 이상 0.92 미만인 경우는 노래부를 수 있는 정도가 10%, 가창가능지수가 0.91 미만인 경우는 노래부를 수 있는 정도가 0% 등으로 판정하고, 그 판정정보를 통신회선(2)를 통해서 가라오케 호스트 장치(1)에서 가라오케 단말(3) 또는 이용자 단말(4)로 송신하고, 가라오케 단말(3) 또는 이용자 단말(4)의 표시부에 의해 이용자에게 제시한다.
다음으로 이용장의 가창가능한 음역폭 및 대상악곡의 판정용 음역폭에 의한 판정수단에 대해서 설명한다.
먼저, 이용자가 가창가능한 음역폭은, 단계분할수단에 의해 결정된 각 단계의 음역폭에, 단계마다 정해진 보정계수를 곱해서 얻은 값을 전체 단계에 대해서 합계함으로써 상기 이용자의 가창가능한 음역폭을 취득한다.
예컨대, 단계C 저음, 단계B 저음, 단계A, 단계B 고음, 단계C 고음의 5단계로 분할되어 있는 경우에서 설명한다. 이 경우 MIDI의 노트 넘버의 차이로 표현한 각 단계의 음역폭은 단계A가 10, 단계B 고음 및 단계B 저음이 각 4로 한다. 또한, 각 단계의 보정계수는 단계A가 100%, 단계B 고음 및 단계B 저음이 각 50%, 단계C 고음 및 단계C 저음이 각 0%로 한다. 이 경우의 이용자의 가창가능한 음역폭을 계산하면, 10×100% + 4×50% + 4×50% = 14가 된다.
다음으로 대상악곡 데이터 취득수단에 의해 취득한 음악 데이터에서, 최고음 또는 최저음부터의 순서로 소정 조건을 만족하지 않는 음악 데이터를 제외하고 남은 음악 데이터의 음역폭, 즉 판정용 음역폭을 취득한다.
예컨대, 대상악곡의 평균음고를 μ, 표준편차를 σ로 하고, μ±3σ의 범위의 음악 데이터를 대상으로 하는 것을 소정 조건으로 해서, 판정용 음역폭을 취득하는 경우를 예로 설명한다. 이 경우 대상악곡의 최고음 및 최저음이 함께 μ±3σ의 범위 외에 존재하는 경우라면 최저음부터 μ-3σ미만의 범위의 음악 데이터 및 μ+3σ초과로부터 최고음까지의 범위의 음악 데이터를 소정조건을 만족하지 않는 것으로 해서 제외한다. 그리고 제외한 후의 음악 데이터, 즉 μ±3σ의 범위의 음악 데이터를 대상으로 해서 그 중 최저음과 최고음의 노트 넘버의 차이를 판정용 음역폭으로서 취득한다.
다음으로 상기 이용자의 가창가능한 음역폭이, 상기 판정용 음역폭보다 큰지 여부를 판정하고, 그 판정정보를 통신회선(2)을 통해서 가라오케 호스트 장치(1)로부터 가라오케 단말(3) 또는 이용자 단말(4)로 송신하여 가라오케 단말(3) 또는 이용자 단말(4)의 표시부에 의해 이용자에게 제시한다.
또한, 판정은 이용자의 가창가능한 음역폭이 판정용 음역폭보다 큰지 여부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를테면 도 7은 이용자의 가창가능한 음역폭과 대상악곡의 판정용 음역폭을 사용해서 대상악곡이 이용자에게 가창가능한지 여부를 3개의 케이스로 나눠서 판정하는 예의 설명도이며, 이용자에게 대상악곡이 가창가능한지 여부, 더욱이 가창가능한 경우에 키를 어느 정도 변경하면 가창가능한지 여부 혹은 가창불능한 것인지를 판정하고 있다. 또한 도 7의 가장 위의 점선의 길이는 이용자의 가창가능한 음역폭을 나타내며, 케이스 1, 케이스 2, 케이스 3에서의 실선의 길이는 각 대상악곡의 판정용 음역폭을 나타내고 있다.
제 1은 이용자의 가창가능한 음역폭이 대상악곡의 판정용 음역폭보다 크며, 또한 가창가능지수가 소정의 범위 내(예컨대 0.95 이상)이라면 그대로의 키로 가창가능하다고 판정하는 경우이다. 도 7에서 케이스 1이 해당하고, 오리지널 키 그대로 대상악곡의 판정용 음역폭의 최고음 및 최저음이 함께 가창가능한 단계C 고음과 단계C 저음 사이의 음역에 들어가 있다.
제 2는 이용자의 가창가능한 음역폭이 대상악곡의 판정용 음역폭보다 크며, 또한 가창가능지수가 소정의 범위 외(예컨대 0.95 미만)라면 어느 정도 키를 변경하면 좋을지를 나타내서 가창가능하다고 판정하는 경우이다. 이 경우는 오리지널 키 그대로는 가창할 수 없다. 그러나 대상악곡의 음역폭에 이용자의 가창가능한 음역의 폭이 들어가 있기 때문에 키를 변경하면 가창가능해진다. 도 7에서 케이스 2가 해당하며 키를 낮춤으로써 대략 단계A 음역 내로 들어가게 된다.
제 3은 이용자의 가창가능한 음역폭이 대상악곡의 판정용 음역폭보다 작은 경우는 가창가능하지 않다고 판정하는 경우다. 도 7에서는 케이스 3이 해당하며, 대상악곡의 판정용 음역폭이 이용자의 가창가능한 음역폭을 넘고 있으며 이 악곡은 해당 이용자에는 가창불능한 것을 나타내고 있다.
또한, 판정하는 경우에 판정대상의 악곡을 키를 변경해서 가창한 경우의 키 변경후 가창가능지수를 산출하고, 산출한 키 변경후 가창가능지수의 정보를 통신회선(2)를 통해서 가라오케 호스트 장치(1)로부터 가라오케 단말(3) 또는 이용자 단말(4)로 송신하고, 가라오케 단말(3) 또는 이용자 단말(4)의 표시부에 의해 이용자에게 제시해도 좋다.
예컨대 상기 제 1, 제 2 또는 제 3의 판정의 경우에 있어서, 키를 복수 변경하여 상기 대상악곡을 가창한 경우의 키 변경후의 각 가창가능지수를 도 6의 악곡 I의 경우에 나타내고 있는 것처럼, 복수 후보 키마다 산출하고 산출한 가창가능지수를 이용자에게 나타내는 것 등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 실시예 1의 기능을 실현하는 소프트웨어의 프로그램을 시스템 또는 장치에 공급하며, 그 시스템 또는 장치의 컴퓨터가 기억매체에 기억된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을 독출하여 실행하는 것에 의해서도 달성된다.
이 경우, 기억매체로부터 독출된 프로그램 자체가 본 발명의 신규한 기능을 실현함으로써 해당 프로그램이나 그것을 기억한 기억매체는 본 발명을 달성하는 것이 된다.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을 기록하기 위한 기억매체로서는, 예컨대 하드디스크, 광디스크, 광자기디스크, CD-ROM, CD-R, 자기테이프 불휘발성 메모리카드, ROM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기억매체로부터 독출된 프로그램이 시스템 또는 장치 컴퓨터에 삽입된 기능 확장용 포트나 컴퓨터에 접속된 기능 확장용 유닛에 구비된 메모리에 라이팅된 후, 해당 프로그램의 지표에 기초해서 그 기능 확장용 포트나 유닛에 구비된 CPU 등이 실제 처리의 일부 또는 전부를 행하며 그 처리에 의해 상기 기능이 실현되는 경우도 포함되는 것으로 하다.
[실시예 2]
본 실시예는 이용자의 단계를 분할할 때에 사용하는 이용자의 가창레벨에 관한 정보가 실시예 1의 경우와 다르며, 이용자의 가창 이력 데이터가 아니라 이용자가 마이크로폰으로 입력한 이용자의 음성 데이터를 기초로 분할하는 것이다. 다른 부분은 실시예 1과 같기 때문에 설명을 생략한다.
구체적으로는 가라오케 단말(3) 또는 이용자 단말(4)의 스피커나 해드폰에서부터 음악에 있어서 각각의 음의 고저나 길이 등을 지정하는 음부 데이터를 기초로 출력된 사람의 목소리나 악기의 음 등에 의해 복수의 음고의 음에 따라서, 이용자가 발성하여 마이크로폰에 입력한다. 그리고 마이크로폰으로 입력한 음성 데이터와 스프커나 헤드폰으로부터 출력된 음 데이터를 가라오케 단말(3) 또는 이용자 단말(4)에서부터 가라오케 호스트 장치(1)로 송신한다.
다음으로 가라오케 호스트 장치(1)의 중앙처리부에 있어서, 수신한 상기 음성 데이터와 음 데이터를 비교한 결과를 기초로 이용자의 가창레벨을 판단하고, 가라오케에서 사용하는 모든 음역을 복수의 단계로 나워 해당 이용장의 각 단계의 음역을 결정한다.
예를 들면 이용자가 가라오케 단말(3)로부터 샘플링을 위한 발성의 지시에 따라 스프커(21)로부터 출력되는 음을 들으면서, 들은 음의 음고에 맞춰 마이크로폰(20)으로 발성하고, 그 음성 데이터를 가라오케 단말(3)로부터 스프커(21)에서 출력된 음 데이터와 함께, 통신회선(2)을 통해서 가라오케 호스트 장치(1)로 송신한다. 또한 샘플링을 위해서 스피커(21)로부터 음부 데이터를 기초로 출력되는 복수의 음고의 음은 이용자가 발성할 수 없게 되는 최고음 및 최저음까지의 범위로 출력되는 것으로 한다.
그리고 수신한 가라오케 호스트 장치(1)의 중앙처리부가 이용자의 음성 데이터의 음고와 스피커(21)로부터 출력된 음 데이터의 음고를 비교해서, 양 음고의 상이함이 어느 범위 내로 들어가 있는지 여부로 이용자의 가창레벨을 판단하고, 가라오케에서 사용하는 모든 음역을 복수의 단계로 나눠 해당 이용자의 각 단계의 음역을 결정한다.
예컨대 이용자의 음성 데이터의 음고가 스피커(21)로부터 출력된 음 데이터의 음고와 비교해서 동일한 경우, 상이함이 반음 이내인 경우, 상이함이 반음을 초과하는 경우로 이용자의 가창레벨을 판단하는 예로 설명한다.
양자를 비교해서 동일한 경우가 MIDI의 노트 넘버 62에서 70까지, 상이함이 반음 이내인 경우가 60에서 61까지 그리고 71에서 72까지라면 음고 59 이하가 단계C 저음, 음고 60에서 61까지가 단계B 저음, 음고 62에서 70까지가 단계A, 음고 71에서 72까지가 단계B 고음, 음고 73이상이 단계C 고음이 되도록 가라오케에서 사용하는 모든 음역을 5개로 나눠 이용자의 각 단계 음역을 결정한다.
또한 가라오케 단말(3)에서의 마이크로폰(20)으로부터의 입력수단은, 이용자가 가라오케 단말(3)으로터 샘플링을 위한 발성의 지시에 따라 발성하는 방법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용자가 가라오케 단말(3)에 있어서 가라오케의 악곡을 보통으로 가창하고 있을 때에 발성한 해당 이용자의 음성 데이터와 스피커(21)로부터 출력된 음 데이터를 가라오케 호스트 장치(1)로 송신하고, 양 데이터를 비교하는 경우여도 좋다.
본 발명의 목적이 본 실시예의 기능을 실현하는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을 시스템 또는 장치에 공급하며, 그 시스템 또는 장치의 컴퓨터가 기억매체에 기록된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을 독출하여 실행하는 것에 의해서도 달성된다는 점은 상기의 실시예 1의 경우와 같다.
[실시예 3]
본 실시예는, 이용자의 단계를 분할할 때에 사용하는 이용자의 가창레벨에 관한 정보가 실시예 1의 경우와 다르며, 사용자의 가창이력 데이터가 아니라 이용자가 이용자 단말(4)의 입력부에 의해 입력한 이용자에 의한 입력 데이터를 기초로 분할하는 것이다. 다른 부분은 실시예 1과 같기 때문에 설명을 생략한다.
구체적으로는, 이용자 단말(4)에서부터의 리퀘스트에 따라 가라오케 호스트 장치(1)로부터 송신된 음부 데이터를 기초로, 이용자 단말(4)의 스피커나 헤드폰으로부터 출력된 사람의 소리나 악기의 음 등에 의해 복수의 음고의 음에 따라서, 이용자가 이용자 단말(4)의 키보드, 마우스 등의 입력부에 의해 발성 레벨에 관한 정보를 입력한다. 그리고 상기 발성 레벨에 관한 정보를 가라오케 호스트 장치(1)로 송신하고, 가라오케 호스트 장치(1)의 중앙처리부에 있어서 가라오케에서 사용하는 모든 음역을 복수의 단계로 나워 해당 이용자의 각 단계의 음역을 결정한다.
예컨대 가라오케 호스트 장치(1)로부터 송신된 샘플링을 위한 입력 지시에 따라서 이용자가 이용자 단말(4)의 스프커나 헤드폰으로부터 출력되는 음을 들으면서, 해당 음의 음고가 여유롭게 발성가능한 것이라면 1, 거의 발성가능하다면 2, 그럭저럭 발성가능하다면 3, 발성불능이라면 4 등으로, 이용자 단말(4)의 키보드, 마우스 등의 입력부를 사용해서 입력한다. 스피커나 헤드폰으로부터 출력되는 음은, 이용자가 발성불능으로 입력하는 최고음 및 최저음까지의 범위에서 출력되는 것이다.
또한 이용자가 입력부를 사용해서 저음부터 고음, 또는 고음부터 저음의 순으로 입력하는 경우, 발성불능 “4”, 그럭저럭 발성가능 “3”, 거의 발성가능 “2”, 여유롭게 발성가능 “1”, 거의 발성가능 “2”, 그럭저럭 발성가능 “3”, 발성불능 “4”의 순으로 입력하는 것으로 된다. 따라서 이 순서에 맞지 않는 입력의 경우는 입력 에러로 하는 입력 에러 체크 수단을 설치하여 입력을 제한하는 것으로 한다. 따라서 MIDI의 노트 넘버 61은 거의 발성가능 “2”, 62에서 70까지는 여유롭게 발성가능 “1”, 71은 거의 발성가능 “2”로 입력하고 있는 경우에, 72에서 여유롭게 발성가능 “1”로 입력하는 것은 입력 에러가 되며, 입력이 제한되는 것으로 된다.
그리고 입력부에 의해 입력된 정보는, 이용자 단말(4)로부터 통신회로(2)를 통해서 가라오케 호스트 장치(1)로 송신되며, 가라오케 호스트 장치(1)의 중앙처리부에 있어서 해당 입력정보를 기초로 가라오케에서 사용하는 모든 음역을 복수의 단계로 나눠 해당 이용자의 각 단계의 음역을 결정한다.
만일 여유롭게 발성가능한 것으로 1이라고 입력된 것이 MIDI의 노트 넘버 62에서 70까지, 거의 발성가능한 것으로서 2로 입력된 것이 60에서 61까지 그리고 71에서 72까지, 그럭저럭 발성가능한 것으로서 3으로 입력된 것이 58에서 59까지 그리고 73에서 74까지, 발성불능인 것으로서 4로 입력된 것이 57 이하 그리고 75 이상의 경우라면, 음고 57이하가 단계D 저음, 음고 58에서 59까지가 단계C 저음, 음고 60에서 61까지가 단계B 저음, 음고 62에서 70까지가 단계A, 음고 71에서 72까지가 단계B 고음, 단계 73에서 74까지가 단계C 고음, 음고 75 이상이 단계D 고음이 되도록 가라오케에서 사용하는 모든 음역을 7개로 나워서 이용자의 각 단계의 음역을 결정한다.
본 발명의 목적이 본 실시예의 기능을 실현하는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을 시스템 또는 장치에 공급하며, 그 시스템 또는 장치의 컴퓨터가 기억매체에 기록된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을 독출하여 실행하는 것에 의해서도 달성된다는 점은 상기의 실시예 1의 경우와 같다.
1 가라오케 호스트 장치
2 통신회로
3 가라오케 단말
4 이용자 단말
11 중앙처리부
12 외부기억부
13 유저 인터페이스부
14 리모콘 단말
15 통신제어부
16 영상표시부
17 영상처리부
18 오디오 생성부
19 오디오 처리부
20 마이크로폰
21 스피커

Claims (12)

  1. 가라오케 악곡의 음악 데이터로부터 주선율 음악 데이터를 추출하고, 상기 주선율의 음고마다의 음길이 합계를 산출하여 데이터베이스화 하는 주선율 데이터베이스화 수단과,
    가라오케 이용자의 음고마다의 가창레벨에 관한 정보를 기초로, 가라오케에서 사용하는 모든 음역을 상기 이용자의 가창레벨에 따라 복수의 단계로 분할하고, 또한 분할된 단계마다 보정계수를 결정하는 단계분할수단과,
    상기 주선율 데이터베이스화 수단에 의해 데이터베이스화 된 음악 데이터 중 가창가능지수를 산출하는 대상이 되는 악곡에 대한 음악 데이터를 취득하는 대상악곡 데이터취득수단과,
    상기 대상악곡 데이터취득수단에 의해 취득한 음악 데이터에 대해서 상기 이용자의 각 단계의 음역에 포함되는 각 음고의 음길이의 합계치를 얻는 제 1 연산수단과,
    상기 제 1 연산수단에 의해 얻은 값으로 상기 이용자의 단계마다 정해진 보정계수를 곱한 값을 얻는 제 2 연산수단과,
    상기 제 2 연산수단에 의해 얻은 각 단계의 값의 합계를 상기 제 1 연산수단에 의해 얻은 각 단계의 값의 합계로 나눔으로써 상기 이용자의 가창가능지수를 산출하는 가창가능지수 산출수단을 구비하며,
    상기 보정계수는 상기 이용자의 가창레벨이 가장 높은 단계에서부터 멀어짐에 따라 값이 작아지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라오케 호스트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분할수단에 의해 결정된 각 단계의 음역폭에, 단계마다 정해진 보정계수를 곱해서 얻은 값을 전체 단계에 대해서 합계함으로써 상기 이용자의 가창 가능한 음역폭을 취득하는 이용자 음역폭취득수단과,
    상기 대상악곡 데이터취득수단에 의해 취득한 음악 데이터로부터 최고음 또는 최저음 순서로 미리 정해진 조건을 만족하지 않는 음악 데이터를 제외한 나머지 음악 데이터의 음역폭을 취득하는 판정용 음역폭취득수단과,
    상기 이용자 음역폭취득수단에 의해 취득한 상기 이용자의 가창 가능 음역폭이 상기 판정용 음역폭취득수단에 의해 취득한 판정용 음역폭보다 큰지 여부를 판정하는 음역폭 판정수단을 더욱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라오케 호스트 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대상악곡 데이터취득수단에 의해 취득한 음악 데이터에 대해서, 적의로 키를 변경한 후의 음악 데이터를 취득하는 변경후 음악 데이터 취득수단과,
    상기 변경후 음악 데이터 취득수단에 의해 취득한 키를 변경한 후의 음악 데이터를 대상으로 하여 상기 가창가능지수 산출수단에 의해 가창가능지수를 산출하는 변경후 가창가능지수 산출수단을 더욱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라오케 호스트 장치.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분할 수단에서의 이용자의 가창레벨에 관한 정보는,
    상기 이용자가 가창한 이력이 있는 전부 또는 일부 가라오케 악곡에 관하며, 상기 주선율 데이터베이스화 수단에 의해 데이터베이스화 한 상기 주선율 음고마다의 음길이 합계치를 기초로 구해지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가라오케 호스트 장치.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분할수단에서의 이용자의 가창레벨에 관한 정보는,
    상기 가라오케 호스트 장치와 통신회선을 통해서 접속되어 있는 가라오케 점측에 설치된 가라오케 단말 또는 가라오케 이용자 측에 설치된 이용자 단말에서부터 음부(音符) 데이터를 기초로 출력된 복수의 음고의 음에 따라 이용자가 마이크로폰으로 입력한 음성 데이터와, 상기 가라오케 단말 또는 이용자 단말로부터 출력된 음 데이터를 비교한 결과를 기초로 구해지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가라오케 호스트 장치.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분할수단에서의 이용자의 가창레벨에 관한 정보는,
    상기 가라오케 호스트 장치와 통신회선을 통해 접속되어 있는 가라오케 이용자 측에 설치된 이용자 단말로부터 음부 데이터를 기초로 출력된 복수의 음고의 음에 따라 이용자가 이용자 단말의 입력부에 의해 입력한 발성 레벨에 관한 정보를 기초로 구해지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가라오케 호스트 장치.
  7. 가라오케 호스트 장치가 구비하는 컴퓨터에,
    가라오케 악곡의 음악 데이터로부터 주선율 음악 데이터를 추출하고, 상기 주선율 음고마다의 음길이 합계를 산출하며 데이터베이스화 하는 주선율 데이터베이스화 기능과,
    가라오케 이용자의 음고마다의 가창레벨에 관한 정보를 기초로, 가라오케에서 사용하는 모든 음역을 상기 이용자의 가창레벨에 따라 복수의 단계로 분할하고, 또한 분할된 단계마다 보정계수를 결정하는 단계분할기능과,
    상기 주선율 데이터베이화 기능에 의해 데이터베이스화 된 음악 데이터 중 가창가능지수를 산출하는 대상이 되는 악곡에 대한 음악 데이터를 취득하는 대상악곡 데이터취득기능과,
    상기 대상악곡 데이터취득기능에 의해 취득한 음악 데이터에 대해서 상기 이용자의 각 단계 음역에 포함되는 각 음고의 음길이의 합계치를 얻는 제 1 연산기능과,
    상기 제 1 연산기능에 의해 얻은 값에 상기 이용자의 단계마다 정해진 보정계수를 곱한 값을 얻는 제 2 연산기능과,
    상기 제 2 연산기능에 의해 얻은 각 단계의 값의 합계를 상기 제 1 연산기능에 의해 얻은 각 단계의 값의 합계로 나눔으로써 상기 이용자의 가창가능지수를 산출하는 가창가능지수 산출기능을 실현하며,
    상기 보정계수는 상기 이용자의 가창레벨이 가장 높은 단계에서부터 멀어짐에 따라 값이 작아지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가능한 기억매체.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분할기능에 의해 결정된 각 단계의 음역폭에, 단계마다 정해진 보정계수를 곱해서 얻은 값을 전체 단계에 대해서 합계함으로써 상기 이용자의 가창 가능한 음역폭을 취득하는 이용자 음역폭 취득기능과,
    상기 대상악곡 데이터취득기능에 의해 취득한 음악 데이터로부터 최고음 또는 최저음 순으로 미리 정해진 조건을 만족하지 않는 음악 데이터를 제외한 나머지 음악 데이터의 음역폭을 취득하는 판정용 음역폭 취득기능과,
    상기 이용자 음역폭 취득기능에 의해 취득한 상기 이용자의 가창가능한 음역폭이 상기 판정용 음역폭 취득기능에 의해 취득한 판정용 음역폭보다 큰지 여부를 판정하는 음역폭 판정기능을 더욱 실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가능한 기억매체.
  9. 제7항 또는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대상악곡 데이터취득기능에 의해 취득한 음악 데이터에 대해서, 적의로 키를 변경한 후의 음악 데이터를 취득하는 변경후 음악 데이터취득기능과,
    상기 변경후 음악 데이터취득기능에 의해 취득한 키를 변경한 후의 음악 데이터를 대상으로 하여, 상기 가창가능지수 산출기능에 의해 가창가능지수를 산출하는 변경후 가창가능지수 산출기능을 더욱 실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가능한 기억매체.
  10. 제7항 또는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분할기능에서의 이용자의 가창레벨에 관한 정보는,
    상기 이용자가 가창한 이력이 있는 전부 또는 일부 가라오케 악곡에 관하며, 상기 주선율 데이터베이스화 기능에 의해 데이터베이스화 한 상기 주선율 음고마다의 음길이 합계치를 기초로 구해지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가능한 기억매체.
  11. 제7항 또는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분할기능에서의 이용자의 가창레벨에 관한 정보는,
    상기 가라오케 호스트 장치와 통신회선을 통해서 접속되어 있는 가라오케 점측에 설치된 가라오케 단말 또는 가라오케 이용자 측에 설치된 이용자 단말에서부터 음부 데이터를 기초로 출력된 복수의 음고의 음에 따라 이용자가 마이크로폰으로 입력한 음성 데이터와, 상기 가라오케 단말 또는 이용자 단말로부터 출력된 음 데이터를 비교한 결과를 기초로 구해지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가능한 기억매체.
  12. 제7항 또는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분할기능에서의 이용자의 가창레벨에 관한 정보는,
    상기 가라오케 호스트 장치와 통신회선을 통해 접속되어 있는 가라오케 이용자 측에 설치된 이용자 단말로부터 음부 데이터를 기초로 출력된 복수의 음고의 음에 따라 이용자가 이용자 단말의 입력부에 의해 입력한 발성 레벨에 관한 정보를 기초로 구해지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가능한 기억매체.
KR1020127002787A 2009-08-12 2010-08-05 가라오케 호스트 장치 및 프로그램 KR10136105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9187591A JP4375810B1 (ja) 2009-08-12 2009-08-12 カラオケホスト装置及びプログラム
JPJP-P-2009-187591 2009-08-12
PCT/JP2010/063338 WO2011018985A1 (ja) 2009-08-12 2010-08-05 カラオケホスト装置及びプログラ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42902A KR20120042902A (ko) 2012-05-03
KR101361056B1 true KR101361056B1 (ko) 2014-02-10

Family

ID=414597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7002787A KR101361056B1 (ko) 2009-08-12 2010-08-05 가라오케 호스트 장치 및 프로그램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JP (1) JP4375810B1 (ko)
KR (1) KR101361056B1 (ko)
CN (1) CN102473408B (ko)
HK (1) HK1166874A1 (ko)
WO (1) WO201101898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291742B2 (ja) * 2011-03-04 2013-09-18 株式会社コナミデジタルエンタテインメント カラオケ装置、音域測定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KR101725703B1 (ko) 2013-03-29 2017-04-10 닛산 지도우샤 가부시키가이샤 비접촉 급전 시스템
WO2015155837A1 (ja) 2014-04-08 2015-10-15 日産自動車株式会社 非接触給電システム及び非接触受電装置
JP6366403B2 (ja) * 2014-07-25 2018-08-01 株式会社第一興商 カラオケ装置
CN105825868B (zh) * 2016-05-30 2019-11-12 福州大学 一种演唱者有效音域的提取方法
JP6708537B2 (ja) * 2016-12-02 2020-06-10 株式会社第一興商 カラオケシステム
CN108281130B (zh) * 2018-01-19 2021-02-09 北京小唱科技有限公司 音频修正方法及装置
CN109036463B (zh) * 2018-09-13 2021-02-12 广州酷狗计算机科技有限公司 获取歌曲的难度信息的方法、装置及存储介质
CN112365868B (zh) * 2020-11-17 2024-05-28 北京达佳互联信息技术有限公司 声音处理方法、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42285A (ja) 1999-02-22 2000-09-08 Masaki Nakayama 計算機による声域測定とその結果を反映したカラオケシステム
JP2002108373A (ja) 2000-10-02 2002-04-10 Daiichikosho Co Ltd カラオケソフトの歌唱音域分析方法、分析装置、およびプログラム記録媒体
JP2008152169A (ja) 2006-12-20 2008-07-03 Daiichikosho Co Ltd カラオケ選曲補助システム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290945B2 (ja) * 1998-02-23 2002-06-10 株式会社第一興商 歌唱採点装置
JP2000267679A (ja) * 1999-03-18 2000-09-29 Taito Corp カラオケ曲検索方法及びカラオケ曲検索機能を具備するカラオケシステム
JP2001022364A (ja) * 1999-07-08 2001-01-26 Taito Corp 自動移調装置を具備したカラオケ装置
EP1950735A4 (en) * 2005-10-19 2012-03-07 Tiao Pin Cultural Entpr Co Ltd METHOD FOR MODULATING A HUMAN SPEECH FREQUENCY
JP2008052169A (ja) * 2006-08-28 2008-03-06 Toppan Printing Co Ltd 液晶表示装置用カラーフィルタ及び液晶表示装置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42285A (ja) 1999-02-22 2000-09-08 Masaki Nakayama 計算機による声域測定とその結果を反映したカラオケシステム
JP2002108373A (ja) 2000-10-02 2002-04-10 Daiichikosho Co Ltd カラオケソフトの歌唱音域分析方法、分析装置、およびプログラム記録媒体
JP2008152169A (ja) 2006-12-20 2008-07-03 Daiichikosho Co Ltd カラオケ選曲補助システ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2473408B (zh) 2013-09-25
KR20120042902A (ko) 2012-05-03
JP2011039333A (ja) 2011-02-24
JP4375810B1 (ja) 2009-12-02
WO2011018985A1 (ja) 2011-02-17
CN102473408A (zh) 2012-05-23
HK1166874A1 (en) 2012-11-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61056B1 (ko) 가라오케 호스트 장치 및 프로그램
JP4672613B2 (ja) テンポ検出装置及びテンポ検出用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KR101094687B1 (ko) 노래학습 기능을 갖는 노래방 시스템
MX2011012749A (es) Sistema y metodo para recibir, analizar y editar audio para crear composiciones musicales.
JP2008275975A (ja) リズム検出装置及びリズム検出用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JP2007310204A (ja) 楽曲練習支援装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6539887B2 (ja) 楽音評価装置及びプログラム
JP6288197B2 (ja) 評価装置及びプログラム
JP6102076B2 (ja) 評価装置
WO2019180830A1 (ja) 歌唱評価方法及び装置、プログラム
JP4491743B2 (ja) カラオケ装置
JP4171680B2 (ja) 音楽再生装置の情報設定装置、情報設定方法、及び情報設定プログラム
JP5457791B2 (ja) カラオケ採点システム
JP2003015672A (ja) 声域告知機能付きカラオケ装置
JP2014048469A (ja) 楽器演奏評価装置、カラオケ装置、楽器演奏評価システム
JP6788560B2 (ja) 歌唱評価装置、歌唱評価プログラム、歌唱評価方法及びカラオケ装置
JP5843074B2 (ja) 弦楽器演奏評価装置及び弦楽器演奏評価プログラム
JP5807754B2 (ja) 弦楽器演奏評価装置及び弦楽器演奏評価プログラム
JP4180548B2 (ja) 声域告知機能付きカラオケ装置
JP6144593B2 (ja) 歌唱採点システム
JP5627063B2 (ja) 不適正な歌唱採点リファレンスデータ報知システム
JP6177091B2 (ja) 歌唱採点システム
JP5551983B2 (ja) カラオケ演奏制御システム
US20230260490A1 (en) Selective tone shifting device
JP6065827B2 (ja) 楽音演奏装置及び楽音演奏処理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14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