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60943B1 - 편평형 진동모터의 브러쉬 - Google Patents
편평형 진동모터의 브러쉬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360943B1 KR101360943B1 KR1020070079441A KR20070079441A KR101360943B1 KR 101360943 B1 KR101360943 B1 KR 101360943B1 KR 1020070079441 A KR1020070079441 A KR 1020070079441A KR 20070079441 A KR20070079441 A KR 20070079441A KR 101360943 B1 KR101360943 B1 KR 101360943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brush
- end side
- contact
- substrate
- vibration motor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39/00—Rotary current collectors, distributors or interrupters
- H01R39/02—Details for dynamo electric machines
- H01R39/18—Contacts for co-operation with commutator or slip-ring, e.g. contact brush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 H01R43/12—Manufacture of brushes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13/00—Structural associations of current collectors with motors or generators, e.g. brush mounting plates or connections to windings; Disposition of current collectors in motors or generators; Arrangements for improving commutation
- H02K13/006—Structural associations of commutators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13/00—Structural associations of current collectors with motors or generators, e.g. brush mounting plates or connections to windings; Disposition of current collectors in motors or generators; Arrangements for improving commutation
- H02K13/10—Arrangements of brushes or commutators specially adapted for improving commutation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5/00—Casings; Enclosures; Supports
- H02K5/04—Casings or enclosures characterised by the shape, form or construction thereof
- H02K5/14—Means for supporting or protecting brushes or brush holders
- H02K5/143—Means for supporting or protecting brushes or brush holders for cooperation with commuta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otor Or Generator Current Collectors (AREA)
- Motor Or Generator Frames (AREA)
- Apparatuses For Generation Of Mechanical Vibrations (AREA)
Abstract
편평형 진동모터의 브러쉬가 개시된다. 상기 편평형 진동모터의 브러쉬는 기판에 납땜되는 브러쉬의 부위와 회전자측과 접촉되는 브러쉬의 부위가 지지축을 중심으로 반대편에 위치된다. 그러므로, 브러쉬를 기판에 납땜할 때 발생되는 플러스(Flux) 및 납연에 의하여 회전자측에 접촉되는 브러쉬의 부위가 오염되지 않아, 브러쉬와 정류자의 전기적 접점이 영향을 받지 않으므로 신뢰성 및 성능이 향상된다. 또한, 수평접속부의 일단부측이 기판에 납땜 접속되고, 접촉부의 상단부측이 회전자측에 접촉되며, 수평접속부의 타단부측과 접촉부의 하단부측은 수평접속부와 동일한 형태로 형성된 분기부의 일단부측 및 타단부측에 각각 연결되어 상호 일체로 형성되므로, 수평접속부의 일단부측을 기판에 납땜하여도 수평접속부의 타단부측이 올라가지 않는다. 따라서, 브러쉬가 회전자측으로 올라가는 현상으로 인한 문제점이 해소되므로, 제품의 신뢰성 및 성능이 더욱 향상된다.
Description
도 1a는 종래의 편평형 진동모터의 단면도.
도 1b는 도 1a에 도시된 브러쉬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편평형 진동모터의 단면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브러쉬의 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0 : 케이스 120 : 지지축
130 : 기판 140 : 고정자
150 : 베어링 160 : 회전자
170 : 브러쉬
본 발명은 편평형 진동모터의 브러쉬에 관한 것이다.
도 1a는 종래의 편평형 진동모터의 단면도이고, 도 1b는 도 1a에 도시된 브러쉬의 사시도로서, 이를 설명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스(11)에 지지축(13)의 상단부측 및 하단부측이 지지 되어 설치된다. 지지축(13)에는 편심된 회전자(15)가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회전자(15) 하측의 케이스(11) 하면 테두리부측에는 마그네트인 고정자(17)가 고정된다.
회전자(15)는 편심된 회전자기판(15a), 회전자기판(15a)의 상면에 설치된 코일(15b) 및 웨이트(미도시), 회전자기판(15a)의 하면에 형성된 정류자(15c), 몰딩부재(15d)을 가진다.
케이스(11)의 하면에는 기판(19)이 설치되고, 기판(19)에는 브러쉬(20)가 설치된다. 브러쉬(20)는 하단부측은 기판(19)에 납땜 접속되고, 상단부측은 정류자(15c)에 접촉된다. 그리하여, 외부의 전원이 기판(19)→브러쉬(20)→정류자(15c)를 통하여 코일(15b)로 공급되면, 코일(15b)과 고정자(17) 사이에 발생되는 전자기력에 의하여 회전자(15)가 회전하면서 진동을 발생한다.
브러쉬(20)는 일단부측이 기판(19)에 납땜 접속되는 수평접속부(21), 수평접속부(21)의 타단부측 측면에서 상측으로 벤딩 형성된 상측벤딩부(23), 상측벤딩부(23)의 상단부에서 수평으로 벤딩되어 형성되어 호 형상을 이루는 곡면벤딩부(25) 및 곡면벤딩부(25)의 단부에서 상측으로 경사지게 연장 형성되며 상단부측이 만곡(27a)되어 정류자(15c)와 접속되는 접촉부(27)를 가진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브러쉬(20)는 기판(19)에 납땜되는 수평접속부(21)의 일단부측 직상방에 정류자(15c)와 접촉되는 접촉부(27)의 만곡부(27a)가 위치된다. 이로인해, 기판(19)에 수평접속부(21)의 일단부측을 납땜할 때 발생하는 플럭스(Flux) 및 납연에 의하여 만곡부(27a)가 오염되므로, 제품의 신뢰성 및 성능이 저하되는 단점이 있다.
그리고, 브러쉬(20)는 크기가 대단히 작아 단품 상태의 브러쉬(20)를 기판(19)에 납땜하기가 어렵다. 그래서, 브러쉬(20)를 기판(19)에 납땜할 때는, 복수의 브러쉬(20)가 일체로 연결된 어레이(Array) 상태에서 하나의 브러쉬(20)를 납땜한 후, 커팅한다. 이로인해, 브러쉬(20)를 기판(19)에 납땜 설치하는 공정 도중, 기판(19)에 납땜되지 않는 수평접속부(21)의 타단부측이, 도 1a에 점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상측으로 올라가는 등 변형이 발생한다.
수평접속부(21)의 타단부측이 상측으로 올라가면, 첫째, 수평접속부(21)의 타단부측이 정류자(15c)에 접촉되어 쇼트(Short)가 발생하고, 둘째, 만곡부(27a)가 정류자(15c)에 밀착되므로 회전자(15)를 회전시키기 위한 기동전압이 상승하며, 세째, 충격에 의하여 브러쉬(20)가 쉽게 변형된다. 이로인해, 제품의 신뢰성 및 성능이 더욱 저하되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작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신뢰성 및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편평형 진동모터의 브러쉬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편평형 진동모터의 브러쉬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에 상단부측 및 하단부측이 지지된 지지축, 상기 케이스의 하면에 고정된 기판, 상기 케이스의 하면에 고정된 고정자, 상기 지지축에 회전가능하 게 설치되며 상기 고정자와 작용에 의하여 회전하면서 진동을 발생하는 회전자, 상기 기판과 상기 회전자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브러쉬를 구비하는 편평형 진동모터에 있어서,
상기 브러쉬의 일단부측은 상기 기판에 납땜 접속되고 타단부측은 상기 회전자에 접촉되되, 상기 브러쉬의 일단부측과 타단부측은 상기 지지축을 중심으로 반대편에 위치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편평형 진동모터의 브러쉬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편평형 진동모터의 단면도이고,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브러쉬의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호 결합된 상부케이스(111)와 하부케이스(115)를 가지는 케이스(110)가 마련된다. 케이스(110)의 상면 및 하면, 즉 상부케이스(111)의 상면 및 하부케이스(115)의 하면에는 지지축(120)의 상단부측 및 하단부측이 각각 지지된다.
케이스(110)의 하면에는 외부의 전원측과 접속되는 기판(130)이 설치되고, 케이스(110)의 하면 테두리부측에는 지지축(120)을 감싸는 형태로 링형상의 고정자(140)가 고정된다. 고정자(140)는 마그네트이다.
지지축(120)에는 베어링(150)이 고정되고, 베어링(150)에는 회전자(160)가 회전가능하게 설치된다. 회전자(160)는 편심된 회전자기판(161), 회전자기판(161)의 상면에 설치된 코일(163), 회전자기판(161)의 상면에 설치되어 큰 진동을 발생 하기 위한 금속제의 웨이트(미도시), 회전자기판(161)의 하면에 형성된 정류자(165), 회전자기판(161)과 코일(163)과 상기 웨이트를 일체로 형성하는 몰딩부재(167)를 가진다.
기판(130)과 회전자(160) 사이에는 기판(130)과 회전자(160)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브러쉬(170)가 마련된다. 그리하여, 외부의 전원이 기판(130)→브러쉬(170)→정류자(165)를 통하여 코일(163)로 공급되면, 코일(163)과 고정자(140) 사이에 발생되는 전자기력에 의하여 회전자(160)가 회전하면서 진동을 발생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브러쉬(170)는 일단부측은 기판(130)에 납땜 접속되고 타단부측은 정류자(165)에 접촉되는데, 브러쉬(170)의 일단부측과 타단부측은 상기 지지축(120)을 중심으로 반대편에 위치된다.
브러쉬(170)의 구조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브러쉬(170)는 수평접속부(171), 분기부(173), 벤딩부(175) 및 접촉부(177)를 가진다.
수평접속부(171)는 상면 및 하면이 수평을 이루는 편평한 판형상으로 형성되어 기판(130)에 탑재된다. 브러쉬(170)는 한쌍으로 마련되어 어느 하나 및 다른 하나가 지지축(120)의 일측 및 타측에 설치된다. 이때, 지지축(120)이 어느 하나 및 다른 하나의 브러쉬(170)에 의하여 감싸는 형태를 이루기 위하여 수평접속부(171)의 측면은 호 형상으로 마련된다. 그리고, 수평접속부(171)의 일단부측은 기판(130)에 납땝 접속되고, 타단부측은 지지축(120)을 중심으로 일단부측의 반대편에 위치된다.
분기부(173)는 수평접속부(171)와 소정 간격을 가지되, 일단부측은 수평접속부(171)의 타단부측과 일체로 형성되어 연결되고 타단부측은 수평접속부(171)의 일단부측에 위치된다. 분기부(173)의 상면과 하면은 수평을 이루는 편평한 판형상으로 형성되어 기판(130)에 탑재되고, 측면은 호 형상을 이룬다. 분기부(173)는 수평접속부(171)의 내측에 위치될 수도 있다.
벤딩부(175)는 분기부(173)의 타단부에서 상측으로 벤딩 형성되고, 접촉부(177)는 벤딩부(175)의 상단부에서 수평접속부(171)의 타단부측을 향하여 상측으로 연장 형성된다. 접촉부(177)의 상단부측은 수평접속부(171)의 타단부측에 상측에 위치되어 정류자(165)와 접촉한다.
접촉부(177)는 연장편(177a)과 접촉편(177b)을 가진다. 연장편(177a)은 벤딩부(175)의 상단부에서 연장 형성되어 측면이 분기부(173)의 측면 처럼 호 형상으로 형성되고, 접촉편(177b)은 연장편(177a)의 단부에서 상측으로 경사지게 연장 형성된다. 이때, 접촉편(177b)은 상단부측은 만곡지게 형성되어 정류자(165)와 접촉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편평형 진동 모터는 기판(130)에 납땜되는 수평접속부(171)의 일단부측과 정류자(165)와 접촉하는 접촉편(177b)의 상단부측이 지지축(120)을 중심으로 반대방향에 위치되므로, 수평접속부(171)의 일단부측을 기판(130)에 납땜할 때 발생하는 플럭스(Flux) 및 납연에 의하여 접촉편(177b)의 상단부측이 오염되지 않아 정류자(165)와 전기적 접점에 영향을 주지 않는다.
그리고, 어레이(Array) 상태의 브러쉬(170)의 수평접속부(171)의 일단부측을 기판(130)에 납땜하고 커팅하였을 때, 수평접속부(171)의 타단부측이 상측으로 올라가려고 하나, 수평접속부(171)의 타단부측에 연결된 분기부(173)의 자중에 의하여 상측으로 올라가지 못한다.
분기부(173)와 접촉부(177)를 연결하는 벤딩부(175)는 호 형상 또는 주름진 형상으로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접촉부(177)가 필요 이상의 힘으로 정류자(165)에 접촉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정류자(165)에 접촉되는 접촉편(177b)의 접촉 세기에 따라 연장편(177a)의 상면은 상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될 수도 있고, 수평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편평형 진동모터의 조립이 완료되면, 접촉편(177b)이 정류자(165)에 접촉되므로, 연장편(177a)은 벤딩부(175)에서부터 하측으로 경사진 형태가 된다.
이상에서 설명하듯이, 본 발명에 따른 편평형 진동모터의 브러쉬는 기판에 납땜되는 브러쉬의 부위와 회전자측과 접촉되는 브러쉬의 부위가 지지축을 중심으로 반대편에 위치된다. 그러므로, 브러쉬를 기판에 납땜할 때 발생되는 플러스(Flux) 및 납연에 의하여 회전자측에 접촉되는 브러쉬의 부위가 오염되지 않아, 브러쉬와 정류자의 전기적 접점이 영향을 받지 않으므로 신뢰성 및 성능이 향상된다.
또한, 수평접속부의 일단부측이 기판에 납땜 접속되고, 접촉부의 상단부측이 회전자측에 접촉되며, 수평접속부의 타단부측과 접촉부의 하단부측은 수평접속부와 동일한 형태로 형성된 분기부의 일단부측 및 타단부측에 각각 연결되어 상호 일체 로 형성되므로, 수평접속부의 일단부측을 기판에 납땜하여도 수평접속부의 타단부측이 올라가지 않는다. 따라서, 브러쉬가 회전자측으로 올라가는 현상으로 인한 문제점이 해소되므로, 제품의 신뢰성 및 성능이 더욱 향상된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본 발명을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변경 및 변형한 것도 본 발명에 속함은 당연하다.
Claims (7)
- 케이스, 상기 케이스에 상단부측 및 하단부측이 지지된 지지축, 상기 케이스의 하면에 고정된 기판, 상기 케이스의 하면에 고정된 고정자, 상기 지지축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고정자와 작용에 의하여 회전하면서 진동을 발생하는 회전자, 상기 기판과 상기 회전자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브러쉬를 구비하는 편평형 진동모터의 브러쉬로,상기 브러쉬는,일단부측과 타단부측이 상기 지지축을 중심으로 상호 반대편에 위치되며 일단부측이 상기 기판에 접속된 수평접속부;상기 수평접속부와 간격을 가지되, 일단부측은 상기 수평접속부의 타단부측과 연결되고 타단부측은 상기 수평접속부의 일단부측에 위치된 분기부;상기 분기부의 타단부에서 상측으로 벤딩 형성된 벤딩부;상기 벤딩부의 상단부에서 상기 수평접속부의 타단부측을 향하여 상측으로 연장 형성되며, 상기 수평접속부의 타단부측 상측에 위치된 상단부측이 상기 회전자와 접촉하는 접촉부를 가지며,상기 수평접속부의 측면과 상기 분기부의 측면은 동일한 방향으로 굴곡진 호 형상으로 마련되고,상기 접촉부는 상기 벤딩부의 상단부에서 연장 형성되어 측면이 상기 분기부의 측면과 동일한 호 형상으로 굴곡진 연장편과 상기 연장편의 단부에서 상측으로 경사지게 연장 형성되며 상단부측이 만곡지게 형성되어 상기 회전자와 접촉하는 접촉편을 가지는 편평형 진동모터의 브러쉬.
- 삭제
- 삭제
- 제 1 항에 있어서,상기 연장편의 상면은 상측으로 경사진 편평형 진동모터의 브러쉬.
- 제 1 항에 있어서,상기 연장편의 상면은 수평인 편평형 진동모터의 브러쉬.
- 제 1 항, 제 4 항 또는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상기 벤딩부는 호 형상인 편평형 진동모터의 브러쉬.
- 제 1 항, 제 4 항 또는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상기 벤딩부는 주름진 형상인 편평형 진동모터의 브러쉬.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70079441A KR101360943B1 (ko) | 2007-08-08 | 2007-08-08 | 편평형 진동모터의 브러쉬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70079441A KR101360943B1 (ko) | 2007-08-08 | 2007-08-08 | 편평형 진동모터의 브러쉬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90015257A KR20090015257A (ko) | 2009-02-12 |
KR101360943B1 true KR101360943B1 (ko) | 2014-02-25 |
Family
ID=406848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70079441A KR101360943B1 (ko) | 2007-08-08 | 2007-08-08 | 편평형 진동모터의 브러쉬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360943B1 (ko)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993859A (ja) * | 1995-09-19 | 1997-04-04 | Tokyo Parts Ind Co Ltd | 高効率な偏平コアレス振動モータ |
JP2002119913A (ja) | 2000-08-11 | 2002-04-23 | Tokyo Parts Ind Co Ltd | 偏心ロータ及び同ロータを備えた扁平型振動モータ |
KR20070030057A (ko) * | 2005-09-12 | 2007-03-15 | 삼성전기주식회사 | 진동 모터의 브러쉬 |
-
2007
- 2007-08-08 KR KR1020070079441A patent/KR101360943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993859A (ja) * | 1995-09-19 | 1997-04-04 | Tokyo Parts Ind Co Ltd | 高効率な偏平コアレス振動モータ |
JP2002119913A (ja) | 2000-08-11 | 2002-04-23 | Tokyo Parts Ind Co Ltd | 偏心ロータ及び同ロータを備えた扁平型振動モータ |
KR20070030057A (ko) * | 2005-09-12 | 2007-03-15 | 삼성전기주식회사 | 진동 모터의 브러쉬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90015257A (ko) | 2009-02-12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9564789B2 (en) | Assembly having a substrate, an SMD component, and a lead frame part | |
WO2013129280A1 (ja) | 電気コネクタ | |
CN100401619C (zh) | 电刷盒、端盖和电刷盒组件及其装配方法和电动机 | |
KR200463261Y1 (ko) | 브러쉬리스 모터의 회로기판 커넥터 접속장치 | |
JP6394533B2 (ja) | 機電一体装置 | |
KR101360943B1 (ko) | 편평형 진동모터의 브러쉬 | |
JP2008166275A (ja) | 電気的なコネクタストリップ | |
KR20080084183A (ko) | 코인형 진동 모터 | |
TWI690135B (zh) | 馬達及用於馬達之電磁干擾防護裝置 | |
KR101360937B1 (ko) | 편평형 진동 모터 | |
US6215080B1 (en) | Switch device with AC inlet and AC switch | |
JP2019205216A (ja) | 制御装置一体型回転電機 | |
KR101360941B1 (ko) | 편평형 진동 모터 | |
EP1073162B1 (en) | Switch device with AC inlet | |
KR101039760B1 (ko) | 편평형 진동 모터 | |
KR20080113641A (ko) | 편평형 진동 모터 | |
JP4864115B2 (ja) | 電磁継電器 | |
KR101872790B1 (ko) | 모터의 터미널 구조체 | |
JP5381663B2 (ja) | コネクタ部材およびそれを用いた電子装置 | |
WO2024212027A1 (zh) | 振动马达 | |
JP7102111B2 (ja) | 導電性固定部材 | |
KR20080033702A (ko) | 편평형 진동 모터 | |
JP2007215375A (ja) | モータ装置、及びモータ装置製造方法 | |
KR20160034118A (ko) | 고정자의 터미널 연결구조 | |
JP2021083227A (ja) | 電力変換装置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117 Year of fee payment: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110 Year of fee payment: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207 Year of fee payment: 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