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60573B1 - 경화 방지 떡의 제조 방법 및 경화 방지 떡 - Google Patents

경화 방지 떡의 제조 방법 및 경화 방지 떡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60573B1
KR101360573B1 KR1020130044693A KR20130044693A KR101360573B1 KR 101360573 B1 KR101360573 B1 KR 101360573B1 KR 1020130044693 A KR1020130044693 A KR 1020130044693A KR 20130044693 A KR20130044693 A KR 20130044693A KR 101360573 B1 KR101360573 B1 KR 10136057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ice
rice cake
hardening
boiled
we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446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63519A (ko
Inventor
채종율
Original Assignee
채종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채종율 filed Critical 채종율
Priority to KR10201300446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60573B1/ko
Publication of KR201300635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6351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605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6057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7/00Cereal-derived products; Malt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7/10Cereal-derived produc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5/00Preparation or treatment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Food or foodstuffs obtained thereby; Materials therefor
    • A23L5/10General methods of cooking foods, e.g. by roasting or frying
    • A23L5/13General methods of cooking foods, e.g. by roasting or frying using water or steam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7/00Cereal-derived products; Malt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7/10Cereal-derived products
    • A23L7/143Cereal granules or flakes to be cooked and eaten hot, e.g. oatmeal; Reformed rice products

Abstract

본 발명은 경화 방지 떡의 제조 방법 및 경화 방지 떡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경화 방지 떡의 제조 방법은 분쇄된 쌀가루에 삶은 모싯잎, 삶은 연잎을 혼합하고 재분쇄하여 혼합 쌀가루를 만들고, 혼합 쌀가루에 물, 소금, 설탕을 추가하고 혼합 반죽하여 피를 성형한 다음, 피를 이용하여 속을 감싸고 찜으로써 경화 방지 떡을 제조한다.
본 발명에 따른 경화 방지 떡의 제조 방법 및 경화 방지 떡은 연잎을 첨가함으로서 떡이 굳는 것을 방지하여, 떡 상태의 변화없이 장시간 보관할 수 있다. 또한, 떡에 모싯잎과 연잎이 함유되어 영양가가 높고 향이 좋은 경화 방지 떡을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경화 방지 떡의 제조 방법 및 경화 방지 떡 {Manufacturing method of tteok having non-hardening characteristic and tteok having non-hardening characteristic}
본 발명은 경화 방지 떡의 제조 방법 및 경화 방지 떡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모싯잎과 연잎을 넣은 혼합 쌀가루에 물, 소금, 설탕을 넣어 반죽하여 피를 성형하고, 피를 이용하여 속을 감싸고 증기에 찐 경화 방지 떡의 제조 방법 및 경화 방지 떡에 관한 것이다.
떡은 우리나라의 전통 먹거리로서 다양한 고명과 재료들로 만들어져 그 종류가 다양하고 영양뿐 아니라 맛 또한 좋다. 또한, 최근에는 현대인의 생활 방식에 맞춘 퓨전떡, 작은 크기로 낱개 포장한 선물용 떡 등 다양한 상품을 개발해 떡의 상품성을 높이고 있으며, 단순히 떡의 영양, 맛을 넘어서 떡 디자인의 화려함까지 추구하고 있다.
떡의 주 재료인 쌀은 전분을 중심으로 78%의 탄수화물을 지니고 있지만 단백질이나 지방도 고루 함유하고 있어 3대 영양소를 두루 섭취할 수 있기 때문에, 떡은 바쁜 출근 시간에 아침 식사 대용으로도 손색이 없는 식품이다. 또한, 쌀은 우리의 주식으로 떡의 소비를 통해 쌀의 소비를 촉진할 수도 있다.
하지만, 쌀에 포함된 전분은 다당류인 아밀로오스(amylose)와 아밀로펙틴(amylopectin)으로 구성되는데, 아밀로오스는 전분의 노화(retrogradation)를 촉진시킨다. 전분의 노화란 호화(gelatinization)된 전분을 상온에서 오랜 기간 방치할 경우 전분 분자들이 수소 결합을 통하여 서로 결합함으로써, 부분적으로 결정성 구조를 형성하는 현상을 의미한다. 따라서 전분의 수소 결합 형성으로 인해 전분에 존재하고 있던 수분이 외부로 빠져나가서 떡이 딱딱하게 굳어진다. 이러한 떡의 노화를 방지하기 위하여 계면활성제, 유화제 등을 첨가하고 있지만, 이러한 첨가제나 보존제 등은 화학 물질로서 체내에서 배출이 안될 수도 있고 각종 질병의 원인이 되기도 한다.
따라서, 첨가제나 보존제를 첨가하지 않고도 떡의 노화를 방지하고 보존 기간을 늘릴 수 있는 떡의 제조 방법이 요구된다. 이와 더불어 떡의 맛뿐 아니라 영양 성분도 향상시킨 떡의 제조 방법 역시 요구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제조일로부터 일정 시간이 지나도 잘 굳지 않고 말랑말랑한 식감이 유지되어 장기간 보관 및 유통이 가능한 경화 방지 떡의 제조 방법 및 그 제조 방법으로 제조한 경화 방지 떡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쌀에 포함된 영양소 이외에 다양한 영양소를 첨가한 경화 방지 떡의 제조 방법 및 그 제조 방법으로 제조한 경화 방지 떡을 제공하는 것이다.
위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경화 방지 떡의 제조 방법은 물에 불린 후 물기를 제거한 쌀을 분쇄하여 쌀가루를 만드는 단계, 쌀가루에 모싯잎과 연잎을 혼합하여 혼합 쌀가루를 만드는 단계, 혼합 쌀가루에 물, 소금, 설탕을 첨가하여 반죽을 만들고, 반죽을 이용하여 피를 성형하는 단계, 피를 이용하여 속을 감싸는 단계, 속을 감싼 피를 찌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경화 방지 떡의 제조 방법에서 혼합 쌀가루는 쌀가루 100중량부에 대하여 삶은 모싯잎 8~12중량부, 삶은 연잎 8~12중량부를 혼합 분쇄하여 만들고, 반죽은 쌀가루 100중량부에 대하여 물 32~33중량부, 소금 1~2중량부, 설탕 1.5~1.7중량부를 첨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경화 방지 떡의 제조 방법에서 삶은 연잎은 생연잎 100중량부에 대하여 소금 5~10중량부를 첨가하여 끓는 물에 2~4분 삶아 만들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경화 방지 떡의 제조 방법에서 혼합 쌀가루는 쌀가루 100중량부에 대하여 모싯잎 가루 0.8~1.2중량부, 연잎 가루 0.8~1.2중량부를 혼합하여 만들며, 반죽은 쌀가루 100중량부에 대하여 물 32~33중량부, 소금 1~2중량부, 설탕 1.5~1.7중량부를 첨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경화 방지 떡은 경화 방지 떡의 제조 방법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경화 방지 떡의 제조 방법에 의해 제조된 경화 방지 떡은 떡 반죽에 첨가된 연잎이 떡의 노화를 방지하여, 시간이 지나도 잘 굳지 않고 말랑말랑한 식감이 유지되며, 장기간 보관 및 유통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경화 방지 떡의 제조 방법에 의해 제조된 경화 방지 떡은 모싯잎과 연잎을 첨가함으로써 영양가가 높고 향이 좋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경화 방지 떡의 제조 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경화 방지 떡의 제조 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경화 방지 떡의 제조 방법으로 제조한 떡과 종래의 제조 방법으로 제조한 떡의 경과 시간에 따른 굳기 비교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경화 방지 떡의 제조 방법으로 제조한 떡과 종래의 제조 방법으로 제조한 떡의 경과 시간에 따른 굳기 비교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경화 방지 떡의 제조 방법으로 제조한 떡과 종래의 제조 방법으로 제조한 떡의 굳기 비교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이 때, 첨부된 도면에서 동일한 구성 요소는 가능한 동일한 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게 할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마찬가지 이유로 첨부 도면에 있어서 일부 구성요소는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개략적으로 도시되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경화 방지 떡의 제조 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경화 방지 떡을 제조하기 위해서 물에 불린 후 물기를 제거한 쌀을 분쇄하여 쌀가루를 만든다(S1110). 쌀은 멥쌀을 사용하며 깨끗이 씻은 후 10~12시간 정도 물에 불린다. 충분히 불린 쌀은 채에 받쳐 물기를 제거하고 분쇄기를 이용하여 분쇄한다. 쌀가루는 입자의 크기가 200~300㎛가 되도록 분쇄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멥쌀을 이용하여 1회 분쇄하나 이에 한정하지는 않는다.
다음으로, 분쇄된 쌀가루에 모싯잎과 연잎을 혼합하여 혼합 쌀가루를 만든다(S1120). 모싯잎과 연잎은 삶은 모싯잎과 삶은 연잎을 이용할 수 있다.
삶은 모싯잎은 생모싯잎을 깨끗이 씻어 끓는 물에 삶아 준비한다. 모싯잎은 5-6월 경에 청정 지역에서 잎을 채취한다. 채취된 모싯잎은 고압으로 2회 이상 세척하여 먼지와 오염 물질을 제거한다. 세척된 생모싯잎 100중량부에 대하여 소금 5~10 중량부를 첨가하고 끓는 물에 2~4분 삶는다. 바람직하게는 생모싯잎 100중량부에 대하여 소금 7.5 중량부를 첨가하고 끓는 물에 3분 삶는다. 소금을 첨가함으로써 모싯잎의 색이 선명해지고 영양소의 파괴를 줄일 수 있다. 삶아진 모싯잎은 손으로 눌러 수분을 제거하거나 탈수기에 의해 탈수시킨다. 삶아서 탈수시킨 모싯잎은 바로 사용하거나 영하 18℃ 이하로 냉동 보관후 필요시 해동하여 사용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생모싯잎 2Kg에 소금을 150g 첨가하고 끓는 물에 3분간 삶아서 식힌 후 탈수시켜 바로 이용한다. 생모싯잎 2Kg를 삶아서 탈수시키면 약 1~1.2Kg의 삶은 모싯잎이 생산된다.
모싯잎은 떡의 색을 선명하게 해주어 천연 색소의 역할을 하며, 떡의 저장기간을 길게 한다. 또한, 쌀의 영양소에서 부족한 지방과 섬유소, 칼슘, 철, 비타민 A와 C 등의 영양성분을 보충하여 인체의 면역력을 높여주고 소화 기능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섬유소를 다량 함유하고 있어 다이어트에도 좋다.
삶은 연잎도 삶은 모싯잎과 마찬가지로 생연잎을 깨끗이 씻어 끓는 물에 삶아 준비한다. 연잎은 5월 경 청정 지역에서 깨끗한 연잎을 채취한다. 연잎은 너무 어리거나 너무 오래된 잎 보다는 적당하게 영근 잎 중에 병반이 없고 상처를 받지 않은 잎이 좋으며, 재배지보다는 늪이나 자연 상태로 자란 것이 좋다. 채취한 연잎은 고압으로 2회 이상, 특히 뒷면을 깨끗하게 세척하여 먼지와 오염 물질을 제거한다. 세척된 연잎은 생연잎 100중량부에 대하여 소금 5~10 중량부를 첨가하고 끓는 물에 2~4분 삶으며, 바람직하게는 생연잎 100중량부에 대하여 소금 7.5 중량부를 첨가하고 끓는 물에 3분 삶는다. 소금을 첨가함으로써 연잎의 색이 선명해지고 영양소의 파괴를 줄일 수 있다. 삶아진 연잎은 손으로 물기를 짜거나 탈수기에 의해 탈수시키며, 바로 사용하거나 냉동 보관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생연잎 2Kg에 소금을 150g 첨가하고 끓는 물에 3분간 삶아 삶은 연잎을 준비한다. 생연잎 2Kg를 삶아서 탈수시키면 약 1~1.2Kg의 삶은 연잎이 생산된다.
연잎은 떡 반죽에 첨가되어 떡이 쉽게 굳어지는 것을 방지한다. 연잎에는 섬유질이 다량 함유되어 있어 소화에 도움이 되고 다이어트 식품으로서 손색이 없다. 또한, 연잎은 연잎 특유의 향이 있으며 마음을 안정시키는 효과가 있어 불면증에 좋다. 연잎은 피를 맑게 하고 갈증을 해소하는 기능이 있어 숙취 해소에 도움이 되며, 로에메린, 루시페린, 비타민C, 비타민B12 등 기초비타민, 아스파라긴산, 아르기닌, 티로산 등 아미노산, 생리활성재배 성분인 플라보노이드성분 등과 같은 여러 영양소를 포함하고 있어 당뇨병 등 성인병에 좋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 외에도 연잎은 항산화 효과, 혈압강하 효과, 치매예방 효과가 있으며, 자양강장, 지혈작용에도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분쇄된 쌀가루에 삶은 모싯잎, 삶은 연잎을 혼합하여 재분쇄함으로써 혼합 쌀가루를 만든다. 혼합 쌀가루는 쌀가루 100중량부에 대하여 삶은 모싯잎 8~12중량부, 삶은 연잎 8~12중량부를 혼합 분쇄하며, 삶은 모싯잎과 삶은 연잎의 총합은 20중량부를 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삶은 모싯잎과 삶은 연잎의 함량이 높으면 색과 향이 너무 진해져 풍미를 잃고 맛이 씁쓸해져서 좋지 않다. 또한, 제조 비용도 올라가버린다. 특히, 삶은 연잎의 함량이 쌀가루 100중량부에 대하여 12중량부보다 높으면, 반죽이 힘이 없어 피를 성형하기 어려우며, 만들어진 떡이 흐물흐물해진다. 반면, 삶은 모싯잎의 함량이 쌀가루 100중량부에 대하여 12중량부보다 높으면 만들어진 떡이 쉽게 굳어버린다. 한편, 삶은 연잎의 함량이 쌀가루 100중량부에 대하여 8중량부보다 낮으면 떡을 잘 굳지 않게 하는 효과가 현저히 떨어진다. 바람직하게 혼합 쌀가루는 삶은 모싯잎과 삶은 연잎의 비율을 동률로 하여 쌀가루 100중량부에 대하여 삶은 모싯잎 10중량부, 삶은 연잎 10중량부를 혼합 분쇄하여 만든다. 쌀가루, 삶은 모싯잎, 삶은 연잎은 분쇄하는 과정에서 골고루 섞이게 된다. 쌀가루, 삶은 모싯잎, 삶은 연잎의 분쇄는 수회 반복될 수 있으며, 이러한 반복 분쇄를 통해서 혼합 쌀가루가 더욱 골고루 섞이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 쌀가루, 삶은 모싯잎, 삶은 연잎은 2회 반복 분쇄된다. 재분쇄된 쌀가루 입자의 크기는 200~300㎛일 수 있다.
혼합 쌀가루에 물, 소금, 설탕을 첨가하여 반죽을 만들고, 반죽을 이용하여 피를 성형한다(S1130). 물은 상온의 물을 사용한다. 반죽은 쌀가루 100중량부에 대하여 물 32~33중량부, 소금 1~2중량부, 설탕 1.5~1.7중량부를 포함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쌀가루 100중량부에 대하여 물 32중량부, 소금 1.5중량부, 설탕 1.6중량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혼합 쌀가루는 쌀가루 10Kg, 삶은 모싯잎 1Kg, 삶은 연잎 1Kg로 형성되며, 반죽은 이러한 혼합 쌀가루에 대하여 물 3.2Kg, 소금 150g, 설탕 160g을 첨가하여 만든다. 만들어진 반죽을 적당한 크기로 떼어내어 피를 성형한다. 피는 송편 등의 떡에서 외피를 이루는 부분을 말한다.
성형된 피를 이용하여 속을 감싼다(S1140). 속은 송편 등의 떡에서 외피에 의해 감싸진 앙금을 말하며, 콩이나 팥 등을 삶아 으깬 것(기피)을 이용할 수 있고 경우에 따라 견과류 등을 첨가할 수도 있다. 적당량(3g정도)의 속을 피로 감싼 후 알맞은 모양으로 만든다.
속을 감싼 피를 수증기에 찐다(S1150). 속을 넣은 떡은 찜솥 또는 찜기를 이용하여 찔 수도 있고, 스팀기를 이용하여 대량으로 찔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찜솥에서 섭씨 90-110℃ 바람직하기로는 100℃의 증기로 20~30분간 찐다. 다 쪄진 떡의 외피에 식용유 등을 발라 코팅 처리할 수도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경화 방지 떡의 제조 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경화 방지 떡을 제조하기 위해서 물에 불린 쌀을 분쇄하여 쌀가루를 만든다(S2110). 쌀은 깨끗이 씻은 후 10~12시간 정도 물에 불린 후 채에 받쳐 물기를 제거하고, 분쇄기를 이용하여 분쇄한다. 분쇄 횟수는 3~4회로 반복될 수 있다. 쌀가루는 입자의 크기가 200~300㎛가 되도록 분쇄되며, 본 실시예에서는 불린 쌀을 3회 분쇄한다.
분쇄된 쌀가루에 모싯잎 가루, 연잎 가루를 혼합하여 혼합 쌀가루를 만든다(S2120).
모싯잎 가루는 모싯잎을 세척하여 그늘에서 또는 건조 기계를 이용하여 건조시킨 후, 분말로 곱게 갈아서 만든다. 연잎 가루 역시 마찬가지로 연잎을 세척하여 그늘에서 건조시키거나 건조 기계를 이용하여 건조시킬 수 있다. 생모싯잎이나 생연잎이 아닌 삶은 모싯잎, 삶은 연잎을 건조하여 분말화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생연잎 2.5Kg을 씻어서 건조 기계에 48시간 건조시킨 후, 분말로 곱게 갈았다. 이 경우 분말은 250~300g이 생산된다. 모싯잎이나 연잎을 건조시켜 분말화하면 무게가 1/10로 줄어들기 때문에, 삶은 모싯잎, 삶은 연잎 대신 모싯잎 가루, 연잎 가루를 이용하는 경우에는 삶은 모싯잎, 삶은 연잎 무게의 1/10만 첨가하면 된다.
혼합 쌀가루는 쌀가루 100중량부에 대하여 모싯잎 가루 0.8~1.2중량부, 연잎 가루 0.8~1.2중량부를 혼합하며, 모싯잎 가루와 연잎 가루의 총합은 2중량부를 넘기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연잎 가루의 함량이 쌀가루 100중량부에 대하여 1.2중량부보다 높으면 반죽이 힘이 없어 피를 성형하기 어렵고 만들어진 떡이 흐물흐물해지며, 연잎 가루의 함량이 쌀가루 100중량부에 대하여 0.8중량부보다 낮으면 떡을 잘 굳지 않게 하는 효과가 현저히 떨어진다. 한편, 모싯잎 가루의 함량이 쌀가루 100중량부에 대하여 1.2중량부보다 높으면 만들어진 떡이 쉽게 굳어버린다. 바람직하게는 쌀가루 100중량부에 대하여 모싯잎 가루 1중량부, 연잎 가루 1중량부를 혼합하여 만든다.
혼합 쌀가루에 물, 소금, 설탕을 첨가하여 반죽을 만들고, 반죽을 이용하여 피를 성형한다(S2130). 물은 상온의 물을 사용한다.
반죽은 쌀가루 100중량부에 대하여 물 32~33중량부, 소금 1~2중량부, 설탕 1.5~1.7중량부를 첨가하여 만들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쌀가루 100중량부에 대하여 물 32중량부, 소금 1.5중량부, 설탕 1.6중량부를 첨가하여 만들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혼합 쌀가루는 쌀가루 10Kg, 모싯잎 가루 100g, 연잎 가루 100g로 형성되며, 반죽은 이러한 혼합 쌀가루에 대하여 물 3.2Kg, 소금 150g, 설탕 160g을 혼합하여 만들었다. 만들어진 반죽을 적당한 크기로 떼어내어 피를 성형한다.
성형된 피를 이용하여 속을 감싼다(S2140). 콩이나 팥 등을 삶아 으깨어 만든 속을 피로 감싼 후 적당한 모양으로 만든다.
속을 감싼 피를 수증기에 찐다(S2150). 속을 넣은 떡을 찜솥이나 찜기를 이용하여 20~30분간 찐다. 다 쪄진 떡의 외피에 식용유 등을 발라 코팅 처리할 수 있다.
상술한 실시예에서는 삶은 모싯잎과 삶은 연잎, 모싯잎 가루와 연잎 가루를 각각 이용한 것만 설명되었지만, 삶은 모싯잎과 연잎 가루를 이용하거나 모싯잎 가루와 삶은 연잎을 이용하여도 무방하다. 단, 모싯잎 가루와 연잎 가루를 이용하는 경우에는 삶은 것을 이용하는 경우의 1/10만을 사용하며, {삶은 모싯잎(또는 삶은 연잎) + 연잎 가루(또는 모싯잎 가루) X 10}은 쌀가루 100중량부에 대하여 20중량부를 넘지 않도록 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피 내부에 속을 충진하여 송편 형식으로 만들지만, 이에 한하지 않으며 다른 실시예에서는 궁글게 또는 사각형으로 성형하여 절편 형식으로 만들 수도 있다.
제조된 떡은 찐 후 바로 먹거나, -38℃의 냉동고에 급속 냉동 보관될 수 있다. 떡은 상온에서 유통되거나 냉동 상태로 유통될 수 있다. 급속 냉동되어 유통되는 경우 떡의 맛과 향을 장기간 유지할 수 있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경화 방지 떡의 제조 방법으로 제조한 떡과 종래의 제조 방법으로 제조한 떡의 시간 경과에 따른 굳기 비교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경화 방지 떡의 제조 방법으로 제조한 떡과 종래의 제조 방법으로 제조한 떡의 굳기 비교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쌀가루와 모싯잎을 이용하여 만든 종래의 떡과 쌀가루, 모싯잎, 연잎을 이용하여 만든 본 발명의 제조 방법으로 만든 떡의 시간 경과에 따른 굳기 변화를 비교하였다. 도 3의 (a)와 (b)는 떡을 제조한 당일의 상태를 나타낸다. 비교의 대상이 되는 종래의 떡은 쌀 1Kg 기준으로 삶은 모싯잎만 200g 첨가하여 제조되었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떡은 쌀 1Kg 기준으로 삶은 모싯잎 100g과 연잎 가루 10g을 첨가하여 제조되었다. 떡은 제조 후 비닐에 쌓여 실내 온도 22℃에서 방치되었다.
도 3의 (c) 내지 (h)는 떡을 제조한 다음날(제조일로부터 1일 경과)의 상태를 나타내는 것으로, 도 3의 (e)와 (g)에는 종래의 제조 방법으로 제조된 떡을 접거나 펜으로 누르는 것이, 도 3의 (f)와 (h)에는 본 발명에 따른 제조 방법으로 제조된 떡을 접거나 펜으로 눌러서 굳기를 알아보는 것이 도시되어 있다. 도 (e)와 도 (f)를 비교해보면 종래의 떡은 손으로 접었을 때 반 정도 접혀지는 반면, 본 발명에 따른 연잎 가루가 첨가된 떡은 완전히 접혀 아직 굳어지지 않았음을 알 수 있다. 펜으로 눌러본 경우에도 도 3의 (g)의 경우에는 떡의 윗부분이 조금 눌러진 것에 비해 도 3의 (h)는 떡의 윗부분이 많이 눌러져 떡이 굳지 않았음을 알 수 있다.
도 4의 (a) 내지 (f)는 떡의 제조일로부터 2일 경과했을 때의 도면이고, 도 4의 (g)와 (h)는 떡의 제조일로부터 3일이 경과했을 때의 비교 도면이다. 도 4의 (c)와 (d)를 비교해보면 떡을 손으로 접었을 때 접히는 정도가 확연히 다름을 알 수 있는데, 연잎 가루가 들어간 떡의 경우 종래의 떡에 비해 말랑말랑하여 많이 접혀지는 것을 볼 수 있다. 또한, 도 4의 (e)와 (f)를 비교해봤을 때 도 4의 (e)에서는 떡이 쉽게 눌러지지 않지만, 도 4의 (f)에서는 떡이 쉽게 눌러져 제조한지 2일이 경과해도 아직 떡이 굳지 않았음을 알 수 있다.
떡이 제조된지 3일이 경과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g)와 (h)를 비교하면 종래의 제조 방법으로 제조한 떡은 거의 굳어져 접혀지지 않지만, 본 발명에 따른 제조 방법으로 제조한 떡은 아직도 말랑말랑하여 접혀지는 것을 볼 수 있다.
도 5에는 떡이 제조된지 4일이 경과했을 때의 떡의 상태가 나타나 있다. 도 5의 (a)는 종래의 제조 방법으로 만든 떡의 상태를, 도 5의 (b)는 본 발명에 따른 떡의 상태를 나타낸다. 떡을 양 옆으로 잡아 당겼을 때, 도 5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제조 방법으로 제조한 떡은 뚝 끊어져버린 반면, 본 발명의 제조 방법으로 제조한 떡은 완전히 굳지 않아 도 5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잘려진 단면이 늘어난 형상인 것이 확인되었다.
실험 결과, 본 발명의 제조 방법에 따라 제조한 떡은 종래의 떡에 비해 잘 굳지 않음을 알 수 있으며, 특히 제조한지 4일이 경과하여도 쉽게 굳지 않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발명에 따른 경화 방지 떡의 제조 방법 및 경화 방지 떡은 연잎을 사용하여 떡이 굳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연잎의 영양가도 섭취할 수 있다. 또한, 연잎의 사용으로 연잎 생산 농가에 새로운 소득원이 될 수 있다.
한편, 본 명세서와 도면에 개시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이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특정 예를 제시한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예들 이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Claims (2)

  1. 물에 불린 후 물기를 제거한 쌀을 분쇄하여 쌀가루를 만드는 단계;
    모싯잎과 연잎을 세척하여 각각 삶는 단계;
    상기 쌀가루에 삶은 상기 모싯잎과 삶은 상기 연잎을 혼합한 후 2회 반복하여 재분쇄하여 혼합 쌀가루를 만드는 단계;
    상기 혼합 쌀가루에 상온의 물, 소금, 설탕을 첨가하여 반죽을 만들고, 상기 반죽을 이용하여 피를 성형하는 단계;
    상기 피를 이용하여 속을 감싸는 단계; 및
    상기 속을 감싼 피를 찌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화 방지 떡의 제조 방법.
  2. 제1항에 기재된 제조 방법을 이용하여 제조된 경화 방지 떡.
KR1020130044693A 2013-04-23 2013-04-23 경화 방지 떡의 제조 방법 및 경화 방지 떡 KR10136057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44693A KR101360573B1 (ko) 2013-04-23 2013-04-23 경화 방지 떡의 제조 방법 및 경화 방지 떡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44693A KR101360573B1 (ko) 2013-04-23 2013-04-23 경화 방지 떡의 제조 방법 및 경화 방지 떡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29875A Division KR101308224B1 (ko) 2011-12-06 2011-12-06 경화 방지 떡의 제조 방법 및 경화 방지 떡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63519A KR20130063519A (ko) 2013-06-14
KR101360573B1 true KR101360573B1 (ko) 2014-02-10

Family

ID=488608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44693A KR101360573B1 (ko) 2013-04-23 2013-04-23 경화 방지 떡의 제조 방법 및 경화 방지 떡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60573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92624B1 (ko) * 2005-04-29 2005-06-03 오세성 즉석 떡국의 제조방법
KR100770763B1 (ko) * 2007-09-21 2007-10-26 주식회사 마뚜레수산 함초를 포함하는 모시잎 떡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92624B1 (ko) * 2005-04-29 2005-06-03 오세성 즉석 떡국의 제조방법
KR100770763B1 (ko) * 2007-09-21 2007-10-26 주식회사 마뚜레수산 함초를 포함하는 모시잎 떡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63519A (ko) 2013-06-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4431088A (zh) 山楂六堡茶及其制备方法
KR100492624B1 (ko) 즉석 떡국의 제조방법
KR101271298B1 (ko) 쑥떡 제조 방법
KR101733170B1 (ko) 건강 기능성 김치 및 그 제조방법
KR20110053876A (ko) 대추분말과 대추앙금을 함유하는 대추떡의 제조방법
KR101695654B1 (ko) 고추장 굴비의 제조 방법 및 고추장 굴비
KR101759147B1 (ko) 수국누룽지 및 그 제조방법
KR101308224B1 (ko) 경화 방지 떡의 제조 방법 및 경화 방지 떡
KR20130031865A (ko) 기능성 천연재료가 함유된 가래떡의 제조방법
KR101360573B1 (ko) 경화 방지 떡의 제조 방법 및 경화 방지 떡
KR101911237B1 (ko) 백하수오를 이용한 건강 기정떡 및 그 제조방법
CN104137871A (zh) 一种膳食纤维葱油饼干及其加工方法
CN106343359A (zh) 一种玫瑰花绿豆饼及其制作方法
KR20150105782A (ko) 녹차 모시 떡의 제조 방법 및 녹차 모시 떡
KR101934285B1 (ko) 곤드레 쌈떡의 제조방법
KR102235060B1 (ko) 대게 김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054934B1 (ko) 곡물페이퍼 및 그 제조방법
KR101585498B1 (ko) 순대 및 순대 제조방법
KR101926824B1 (ko) 품질이 향상된 단풍 떡 제조 방법
KR101398107B1 (ko) 개두릅 찹쌀떡의 제조방법
KR101232944B1 (ko) 떡볶이 떡 제조방법
KR102228346B1 (ko) 견과류 송편의 제조 방법 및 그에 의해 제조된 견과류 송편
KR20120005155A (ko) 몰로키아를 이용한 즉석 쌀국수의 제조방법
KR101025838B1 (ko) 떡라면용 건조 떡 및 그 제조방법
KR100739836B1 (ko) 김밥용 미역줄기의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0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1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08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