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59963B1 - 차양 - Google Patents

차양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59963B1
KR101359963B1 KR1020130035278A KR20130035278A KR101359963B1 KR 101359963 B1 KR101359963 B1 KR 101359963B1 KR 1020130035278 A KR1020130035278 A KR 1020130035278A KR 20130035278 A KR20130035278 A KR 20130035278A KR 101359963 B1 KR101359963 B1 KR 10135996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llar
sunshade
frame
angle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352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석호
왕우철
이종석
장은영
Original Assignee
한국건설기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건설기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건설기술연구원
Priority to KR10201300352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5996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599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5996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0/00Sunshades, e.g. Florentine blinds or jalousies; Outside screens; Awnings or baldachins
    • E04F10/02Sunshades, e.g. Florentine blinds or jalousies; Outside screens; Awnings or baldachins of flexible canopy materials, e.g. canvas ; Baldachins
    • E04F10/06Sunshades, e.g. Florentine blinds or jalousies; Outside screens; Awnings or baldachins of flexible canopy materials, e.g. canvas ; Baldachins comprising a roller-blind with means for holding the end away from a building
    • E04F10/0637Sunshades, e.g. Florentine blinds or jalousies; Outside screens; Awnings or baldachins of flexible canopy materials, e.g. canvas ; Baldachins comprising a roller-blind with means for holding the end away from a building with mechanisms for adjusting the inclination of the blind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0/00Sunshades, e.g. Florentine blinds or jalousies; Outside screens; Awnings or baldachins
    • E04F10/02Sunshades, e.g. Florentine blinds or jalousies; Outside screens; Awnings or baldachins of flexible canopy materials, e.g. canvas ; Baldachins
    • E04F10/06Sunshades, e.g. Florentine blinds or jalousies; Outside screens; Awnings or baldachins of flexible canopy materials, e.g. canvas ; Baldachins comprising a roller-blind with means for holding the end away from a building
    • E04F10/0603Sunshades, e.g. Florentine blinds or jalousies; Outside screens; Awnings or baldachins of flexible canopy materials, e.g. canvas ; Baldachins comprising a roller-blind with means for holding the end away from a building with telescopic ar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uilding Awnings And Sunshad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차양은 차양막과, 상기 차양막의 테두리에 구비되는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에 연결되어 상기 차양막을 지지하는 한 쌍의 기둥과, 상기 기둥의 일단에 구비되어 상기 기둥과 상기 차양막이 이루는 각도를 조절하는 연결부와, 상기 프레임의 일단과 상기 기둥에 연결되어 상기 차양막을 지지하는 지지부재와, 상기 기둥에 구비되어 상기 지지부의 일단과 연결되며 상기 기둥과 상기 차양막이 이루는 각도가 조절됨에 따라 상기 지지대의 각도가 조절되도록 하는 각도조절장치와, 상기 기둥의 타단에 연결되어 상기 기둥을 지지하는 바닥판과, 상기 바닥판에 구비되어 상기 바닥판과 상기 기둥이 이루는 각도를 조절하는 각도 조절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차양{Awning}
본 발명은 차양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휴대용 차양에 관한 것이다.
차양의 사전적 의미는 햇볕, 낙수물 등을 피하기 위하여 널, 함석 등으로 창문 위나 처마끝 지붕 밑에 만든 좁은 지붕 모양의 구조체로, 일반적으로 건물의 출입구나 상점의 쇼윈도 및 옥외에 설치되어 주로 햇빛을 막기 위해 설치되는 기구로많이 사용되어 진다.
차양에 종류에는 눈썹차양, 엇깔기널 차양, 수평차양, 틈막이 널대차양 등이 있다.
이러한 차양은 건물을 출입하는 사람들과 쇼윈도에 진열된 각종 상품을 보호할 뿐만 아니라 건물이나 상점 등의 테라스(terrace) 공간을 넓게 활용할 수 있는 동시에 건물이나 상점의 시각적인 이미지를 부각시켜 외적인 인테리어 효과를 높이고, 또한 손님들이 옥외에서 식사를 즐기거나 쉴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건물의 출입구나 상점의 쇼윈도 및 옥외에 설치되는 차양들은 옥외의 벽체를 기반으로 설치되어 고정되는 방식이 대부분이다.
따라서, 종래의 차양 기술은 태양의 고도에 따라 차양의 길이 조절이 불가능하고, 일시적으로 건물의 출입구나 상점의 쇼윈도 및 옥외에 설치하여 햇빛을 막기 위해 분리하여 휴대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의 태양의 고도에 따라 차양의 길이 조절이 불가능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태양의 고도에 따라 차양의 길이 조절이 가능한 차양 기술이 개발되었으나 이 또한 벽체를 기반으로 설치되기 때문에 일시적으로 건물의 출입구나 상점의 쇼윈도 및 옥외에 설치하여 햇빛을 막기 위해 분리하여 휴대할 수 없다는 문제점은 여전히 남아 있는 상황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일시적으로 건물의 출입구나 상점의 쇼윈도 및 옥외에 설치하여 햇빛을 막기 위해 구조적으로 자립이 가능하여 휴대할 수 있으며 차양의 각도와 길이를 태양의 고도에 따라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는 차양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차양은 차양막과, 상기 차양막의 테두리에 구비되는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에 연결되어 상기 차양막을 지지하는 한 쌍의 기둥과, 상기 기둥의 일단에 구비되어 상기 기둥과 상기 차양막이 이루는 각도를 조절하는 연결부와, 상기 프레임의 일단과 상기 기둥에 연결되어 상기 차양막을 지지하는 지지부재와, 상기 기둥에 구비되어 상기 지지부의 일단과 연결되며 상기 기둥과 상기 차양막이 이루는 각도가 조절됨에 따라 상기 지지대의 각도가 조절되도록 하는 각도조절장치와, 상기 기둥의 타단에 연결되어 상기 기둥을 지지하는 바닥판과, 상기 바닥판에 구비되어 상기 바닥판과 상기 기둥이 이루는 각도를 조절하는 각도 조절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연결부는 상기 기둥의 외측에 구비되는 외측회전부와, 상기 기둥의 내측에 구비되는 내측회전부와, 상기 외측회전부와 상기 내측회전부가 회전하도록 하는 힌지와, 상기 내측회전부의 일단에 구비되고, 상기 프레임이 관통하는 관통홀이 형성된 고정부와, 상기 고정부를 관통하는 상기 프레임의 이동을 조절하도록 상기 외측회전부의 일단에 구비되는 고정장치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지지부재는 복수개의 지지대로 구비되고 상기 차양막이 조절되는 각도에 따라 이웃하는 상기 지지대가 인출되거나 인입될 수 있다.
상기 지지대는 이웃하는 상기 지지대에 고정되도록 하는 고정돌기를 일단에 구비하고 이웃하는 상기 지지대에 구비되는 상기 고정부가 삽입되는 고정홈을 타단에 구비할 수 있다.
상기 각도조절장치는 상기 기둥이 삽입되는 삽입홀이 형성된 몸체와, 상기 삽입홀에 삽입된 상기 기둥과 상기 몸체를 연결하는 연결재와, 상기 몸체에 구비되어 상기 지지대가 상기 기둥과 이루는 각도를 조절하는 레버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삽입홀에는 고무패킹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바닥판은 상기 기둥의 타단이 삽입되는 결합홈이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차양은 차양막과, 상기 차양막의 테두리에 구비되며 상기 차양막의 일단이 연결되어 상기 차양막을 감는 롤을 구비하는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에 연결되어 상기 차양막을 지지하는 한 쌍의 기둥과, 상기 기둥의 일단에 구비되어 상기 기둥과 상기 차양막이 이루는 각도를 조절하는 연결부와, 상기 기둥의 타단에 연결되어 상기 기둥을 지지하는 바닥판과, 상기 바닥판에 구비되어 상기 바닥판과 상기 기둥이 이루는 각도를 조절하는 각도 조절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프레임의 일단에는 상기 롤과 상기 롤에 의해 감긴 상기 차양막을 내부에 구비하는 차양막함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프레임은 상기 차양막의 길이방향으로 복수개의 걸림부재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차양막은 상기 걸림부재에 상기 차양막을 연결하는 걸림부를 타단에 구비할 수 있다.
상기 걸림부는 상기 차양막함 내부로 상기 걸림부가 들어가는 것을 방지하는 방지턱을 일단에 구비하고, 상기 걸림부가 상기 걸림부재에 걸리도록 하는 걸림턱을 타단에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연결부는 상기 기둥의 외측에 구비되는 외측회전부와, 상기 기둥의 내측에 구비되는 내측회전부와, 상기 외측회전부와 상기 내측회전부가 회전하도록 하는 힌지와, 상기 내측 회전부의 일단에 구비되고, 상기 프레임이 관통하는 관통홀이 형성된 고정부와, 상기 고정부를 관통하는 상기 프레임의 이동을 조절하도록 하는 고정장치가 상기 외측회전부의 일단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차양은 상기 프레임의 일단과 상기 기둥에 연결되어 상기 차양막을 지지하는 지지부재와, 상기 기둥에 구비되어 상기 지지부재의 일단과 연결되며 상기 기둥과 상기 차양막이 이루는 각도가 조절됨에 따라 상기 지지대의 각도가 조절되도록 하는 각도조절장치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바닥판은 상기 기둥의 타단이 삽입되는 결합홈이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차양에 의하면, 구조적으로 자립이 가능하여 휴대가 용이하므로 건축물에 고정하지 않고 일시적으로 건물의 출입구나 상점의 쇼윈도 및 옥외에 설치하여 햇빛을 막을 수 있으며 차양의 각도와 길이를 태양의 고도에 따라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양을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결부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지부재와 각도조절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바닥판에 구비된 각도 조절부와 기둥이 연결된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양을 나타낸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양막과 프레임을 나타낸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양막의 길이가 조절된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양 및 차양 설치방법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양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결부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지부재와 각도조절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바닥판에 구비된 각도 조절부와 기둥이 연결된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양(10)은 차양막(100)과, 차양막(100)의 테두리에 구비되는 프레임(200)과, 차양막(100)을 지지하는 기둥(300)을 구비할 수 있다. 그리고, 기둥(300)과 차양막(100)이 이루는 각도를 조절하는 연결부(400)와, 프레임(200)의 일단과 기둥(300)에 연결되어 차양막(100)을 지지하는 지지부재(500)와, 지지부재(500)의 각도를 조절하는 각도조절장치(600)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기둥(300)을 지지하는 바닥판(700)과, 기둥(300)과 바닥판(700)이 이루는 각도를 조절하는 각도 조절부(800)를 포함할 수 있다.
차양막(100)은 일반적으로 우산이나 파라솔 등에 사용되는 천 재질이 사용되거나 스텐레스, 폴리카보네이트 등과 같은 비금속 재질이 사용될 수 있다.
차양막(100)으로 우산이나 파라솔 등에 사용되는 천 재질이 사용될 경우에는 차양막(100)의 일단을 프레임(200)의 일단에 감싸고 상기 차양막(100)의 일단을 차양막(100)에 재봉하여 고정함으로써 차양막(100)을 프레임(200)에 연결할 수 있다. 또한, 프레임(200)의 내측으로 복수개의 고리를 구비하고 차양막(100)에 상기 복수개의 고리와 동일한 위치에 구멍을 형성하여 고리가 구멍에 삽입되어 고정됨으로써 프레임(200)과 차양막(100)을 연결할 수 있다.
천 재질의 차양막(100)을 사용할 경우에는 프레임(200)에 연결할 시 차양막(100)의 표면에 굴곡이 생기지 않도록 차양막(100)의 표면이 팽팽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해야한다.
한편, 스텐레스, 폴리카보네이트 등과 같은 비금속 재질이 차양막(100)으로 사용될 경우에는 용접이나 다양한 접합장치를 이용하여 프레임(200)과 차양막(100)을 연결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차양막(100)은 프레임(200)과 연결됨으로써 외부의 힘이나 충격에 의해 차양막(100)이 뒤틀리거나 휘어지는 등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프레임(200)은 가볍고, 녹이 슬지 않으며, 비용면에서도 경제적인 알루미늄이 사용될 수 있다. 이외에도 알루미늄과 유사한 효과를 발휘할 수 있는 크로몰리 합금강, 티탄 소재 등이 사용될 수 있다.
프레임(200)을 형성하는 방법으로는 압출 성형 가공을 통하여 일체형으로 프레임(200)을 형성할 수 있고, 가공을 통해 제작된 복수개의 부재를 용접이나 접합장치를 이용하여 일체화함으로써 프레임(200)을 형성할 수도 있다.
그리고, 프레임(200)의 각 모서리에는 모서리부(210)가 구비될 수 있다. 모서리부(210)는 프레임(200)과 동일한 재질로 형성되고 프레임(200)과 일체형으로 제작될 수 있고 용접이나 접합장치를 이용하여 모서리부(210)를 프레임(200)의 일체화시킬 수도 있다.
모서리부(210)가 프레임(200)에 구비되는 목적에 대해서는 다음에 설명할 기둥(300)과 함께 설명하고자 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기둥(300)은 차양(10)에 구비되는 프레임(200)과 연결되어 차양막(100)을 지지할 수 있다.
기둥(300)에 일측에는 프레임(200)과 기둥(300)을 연결하는 연결부(400)가 구비될 수 있다.
연결부(400)는 기둥(300)의 외측에 구비되는 외측회전부(410)와, 기둥(300)의 내측에 구비되는 내측회전부(420)와, 외측회전부(410)와 내측회전부(420)가 회전하도록 하는 힌지(430)를 구비할 수 있다. 그리고, 내측회전부(420) 일단에는 프레임(200)이 관통하는 관통홀(422)이 형성된 고정부(421)가 구비되고, 고정부(421)를 관통하는 프레임(200)의 이동을 조절하는 고정장치(411)가 외측회전부(410)의 일단에 구비될 수 있다.
외측회전부(410)와 내측회전부(420)는 동일한 크기의 원기둥 형태로 기둥(300)의 내외부에 각각 구비될 수 있다.
힌지(430)는 기둥(300)이 기립해 있는 방향과 수직을 이루는 방향으로 기둥(300)을 관통하여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힌지(430)의 양단에는 각각 외측회전부(410)와 내측회전부(420)가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외측회전부(410)와 내측회전부(420)는 힌지(430)에 의해서 기둥(300)에 구비되고 기둥(300)을 축으로 하여 회전할 수 있다.
그리고, 내측회전부(420)의 일단에는 고정부(421)가 구비될 수 있다. 고정부(421)는 내측회전부(420)와 동일한 크기와 형태를 갖으며 내측회전부(420)와 일체화되어 구비되거나 각각 제작되어 결합장치 및 접착제에 의해 결합 될 수 있다.
또한, 고정부(421)에는 프레임(200)이 관통하는 관통홀(422)이 형성될 수 있다. 관통홀(422)은 프레임(200)의 둘레보다 조금 더 큰 둘레를 가져 프레임(200)이 관통홀(422)로부터 슬라이딩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의 기호에 따라 자유롭게 차양막(100)의 방향을 조절할 수 있다. 그리고, 고정부(421)가 구비되는 내측회전부(420)는 힌지(430)에 의해서 회전되기 때문에 태양의 고도에 따라 차양막(100)의 각도를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다.
한편, 프레임(200)에 의해 기둥(300)을 중심으로 좌우로 슬라이딩 되는 차양막(100)은 프레임(200)의 각 모서리에 구비된 모서리부(210)에 의해 슬라이딩을 멈출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가 원하는 방향과 각도로 차양막(100)을 조절한 후 방향과 각도가 지속적으로 유지되도록 하는 고정장치(411)가 구비될 수 있다.
고정장치(411)는 외측회전부(410)의 일단에 구비되고 다양한 방식이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고정장치(411)를 오른쪽으로 돌리면 관통홀(422)이 프레임(200)을 꽉 조여 프레임(200)이 더 이상 관통홀(422)로부터 슬라이딩 되지 않도록 고정하고 내측회전부(420)와 외측회전부(410)가 기둥(300)에 밀착되어 회전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고정된 상태에서 고정장치(411)를 왼쪽으로 돌리면 프레임(200)을 꽉 조였던 관통홀(422)이 풀어져 프레임(200)이 다시 관통홀(422)로부터 슬라이딩 되고 기둥(300)에 밀착되었던 내측회전부(420)와 외측회전부(410)가 다시 기둥(300)으로부터 소정 거리를 유지하여 회전하도록 하는 방식이 적용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의 기호에 따라 원하는 방향과 각도로 조절할 수 있으며, 조절한 방향과 각도가 지속적으로 유지되도록 고정할 수 있다.
그러나, 프레임(200)의 모서리부(210)가 기둥(300)의 연결부(400)에 닿을 정도로 차양막(100)이 어느 한쪽에 치우칠 경우, 차양막(100)과 프레임(200)의 무게에 의해서 치우친 방향으로 차양(10)이 쓰러질 수 있다. 그리고, 프레임(200)의 모서리부(210)가 연결부(400)에 닿을 정도로 차양막(100)이 어느 한쪽에 치우칠 경우, 내측회전부(420)와 외측회전부(410)가 고정장치(411)에 의해 고정되더라도 회전하고자 하는 힘이 크기 때문에 고정장치(411)만으로는 차양막(100)을 지지하고 조절된 차양막(100)의 방향과 각도가 지속적으로 유지되도록 하는데 어려운 점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프레임(200)의 모서리부(210)가 연결부(400)에 닿을 정도로 차양막(100)이 어느 한쪽에 치우치더라도 쓰러지지 않도록 지지하는 역할을 하는 장치가 요구될 수 있다.
다음은 상기의 역할을 하는 지지부재(500)에 관해 설명하고자 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지지부재(500)는 차양막(100)을 지지하는 프레임(200)의 일단과 기둥(300) 사이에 구비되며 양단이 프레임(200)의 일단과 기둥(300)에 각기 연결될 수 있다.
지지부재(500)는 다양한 모양의 관 형태로 형성될 수 있고, 재질로는 가볍고, 녹이 슬지 않으며, 비용면에서도 경제적인 알루미늄이 사용될 수 있다. 알루미늄 이외에도 크로몰리 합금강, 티탄 소재 등이 사용될 수 있다.
그리고, 지지부재(500)는 복수개의 지지대(510)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 이유는, 지지부재(500)의 일단이 차양막(100)을 지지하는 프레임(200)의 일단과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차양막(100)이 기둥(300)으로부터 멀어지거나 기둥(300)에 가까워지도록 슬라이딩 될 경우, 지지부재(500) 또한 길이가 늘어나거나 줄어들어야 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복수개의 지지대(510)는 차양막(100)과 기둥(300)이 이루는 각도가 조절됨에 따라 길이가 조절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차양막(100)을 지지하는 프레임(200)의 일단에 연결된 지지대(510)는 이웃하는 지지대(510)보다 작은 둘레로 갖도록 하고 상기 이웃하는 지지대(510)는 또 다른 이웃하는 지지대(510)보다 작은 둘레를 갖는 방식으로 지지부재(500)가 형성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차양막(100)을 지지하는 프레임(200)의 일단에 연결된 지지대(510)는 이웃하는 지지대(510) 내부로 인입될 수 있고 상기 이웃하는 지지대(510)는 또 다른 이웃하는 지지대(510) 내부로 인입될 수 있다.
따라서, 차양막(100)이 기둥(300)에 가까워지도록 슬라이딩 될 경우, 복수개의 지지대(510)는 이웃하는 지지대(510)의 내부로 인입되어 지지부재(500)의 길이가 줄어들 수 있다. 이와 반대로, 차양막(100)이 기둥(300)으로부터 멀어지게 슬라이딩 될 경우, 복수개의 지지대(510)는 이웃하는 지지대(510)의 내부로부터 인출되어 지지부재(500)의 길이가 늘어날 수 있다.
그리고, 지지대(510)는 이웃하는 지지대(510)의 내부로부터 인출된 후 그 상태를 유지하기 위해서 이웃하는 지지대(510)에 고정되도록 하는 고정돌기(511)를 일단에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지지대(510)의 타단에는 이웃하는 지지대(510)가 구비한 고정돌기(511)가 삽입되는 고정홈(512)이 구비될 수 있다. 즉, 복수개의 지지대(510)는 일단에 고정돌기(511)를 구비하고 타단에는 고정홈(512)을 동일하게 구비할 수 있다.
한편, 고정돌기(511)의 밑단에는 탄성부재(900)가 구비될 수 있다. 지지대(510)가 이웃하는 지지대(510)로부터 인출된 후 그 상태를 유지하기 위해서 지지대(510)의 고정홈(512)에 이웃하는 지지대(510)의 고정돌기(511)가 삽입될 수 있다. 그리고, 삽입된 후 사용자에 의해 차양막(100)의 위치가 조정될 경우, 차양막(100)을 지지하는 프레임(200)의 일단에 연결된 지지부재(500)의 길이도 조정되어야 하기 때문에 이웃하는 지지대(510)로부터 인출된 지지대(510)를 다시 이웃하는 지지대(510)의 내부로 인입시켜야 한다. 이렇듯, 지지대(510)의 인출과 인입이 수시로 이러질 수 있기 때문에 인출과 인입이 수월하면서도 인출 후 고정하기 위해 고정돌기(511)의 밑단에 탄성부재(900)가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차양막(100)이 기둥(300)으로부터 멀어지게 슬라이딩 될 경우, 복수개의 지지대(510)는 이웃하는 지지대(510)로부터 인출될 수 있다. 인출되는 지지대(510)의 고정홈(512)이 이웃하는 지지대(510)의 고정돌기(511)와 동일 선상에 위치했을 때 탄성부재(900)를 구비한 고정돌기(511)가 탄력적으로 고정홈(512)에 삽입됨으로써 지지대(510)와 이웃하는 지지대(510)는 인출 후 고정될 수 있다.
이와 반대로, 차양막(100)이 기둥(300)과 가까워지도록 슬라이딩 될 경우에는 수동으로 고정부재를 눌러 고정부재가 고정홈(512)으로부터 빠져나오게 하여 지지대(510)가 이웃하는 지지대(510)의 내부로 인입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차양막(100)이 슬라이딩 되는 정도에 따라 지지부재(500)의 길이가 조절될 수 있다. 그러나, 차양막(100)은 슬라이딩 될 뿐만 아니라 연결부(400)에 구비된 힌지(430)에 의해서 차양막(100)이 기둥(300)과 이루는 각도도 조절될 수 있다. 따라서, 차양막(100)을 지지하는 프레임(200)의 일단과 연결된 지지부재(500)는 차양막(100)이 기둥(300)과 이루는 각도가 조절됨에 따라 지지부재(500)의 각도 또한 조절되어야 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각도조절장치(600)는 상기에서 언급한 차양막(100)이 기둥(300)과 이루는 각도가 조절됨에 따라 지지부재(500)의 각도를 조절해주는 역할을 할 수 있다.
각도조절장치(600)는 차양막(100)을 지지하는 프레임(200)의 일단과 연결되는 지지부재(500)의 타단에 구비되고, 기둥(300)이 삽입되는 삽입홀(611)이 형성된 몸체(610)와, 삽입홀(611)에 삽입된 기둥(300)을 상기 몸체(610)에 연결하는 연결재(620)를 구비할 수 있다. 그리고, 몸체(610)에 구비되어 지지부재(500)가 기둥(300)과 이루는 각도를 조절하는 레버(630)를 구비할 수 있다.
삽입홀(611)은 기둥(300)의 크기보다 크게 형성되어 지지부재(500)가 조절될 때 각도조절장치(600)가 기둥(300)에 간섭되지 않고 수월하게 기둥(300)과 이루는 각도가 조절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삽입홀(611)에는 고무패킹(640)이 구비되어 급격한 각도 변화에 의한 충격이나 외부의 힘에 의해 각도조절장치(600)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각도조절장치(600)는 삽입홀(611)에 삽입된 기둥(300)과 연결하기 위해서 연결재(620)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연결재(620)는 원기둥 또는 파이프 형태를 가질 수 있고 각도조절장치(600)와 기둥(300)을 관통하여 구비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연결재(620)는 기둥(300)과 각도조절장치(600)를 연결하는 역할뿐만 아니라 지지부재(500)가 기둥(300)으로부터 각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회전축 역할을 할 수 있다.
한편, 지지부재(500)와 기둥(300)이 이루는 각도를 조절하도록 각도조절장치(600)에 구비되는 레버(630)는 양면에 형성되는 복수개의 결합공(631)과 결합부재(632)에 삽입되는 결합부재(632)를 구비할 수 있다.
레버(630)의 양면에 형성되는 복수개의 결합공(631)은 서로 마주보는 위치에 형성되고 결합부재(632)는 상기 마주보는 위치에 형성된 결합부재(632)에 삽입될 수 있다. 결합부재(632)가 레버(630)의 양면에 형성된 결합공(631)에 삽입되기 위해서 기둥(300)에는 결합부재(632)가 삽입되는 가이드홀(310)이 형성될 수 있다.
지지부재(500)의 각도를 조절하기 위해서는 우선 결합부재(632)를 결합공(631)으로부터 제거한 후 각도조절장치(600)를 원하는 각도만큼 조절한다. 그리고, 레버(630)에 형성된 결합공(631)과 기둥(300)에 형성된 가이드홀(310)을 동일선상에 위치시킨 후, 결합부재를 삽입함으로써 지지부재(500)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다.
따라서, 지지부재(500)는 양단이 각기 프레임(200)의 일단과 각도조절장치(600)에 연결되므로 차양막(100)이 기둥(300)과 이루는 각도가 조절됨에 따라 지지부재(500)가 기둥(300)과 이루는 각도 또한 조절될 수 있다.
다음은 기둥(300)을 지지하는 바닥판(700)에 대해 설명하고자 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바닥판(700)은 기둥(300)의 타단이 삽입되어 바닥판(700)과 연결될 수 있도록 하는 결합홈(710)이 구비될 수 있다.
바닥판(700)은 한 쌍의 기둥(300)의 타단에 각각 연결될 수 있고 하나의 바닥판(700)에 한 쌍의 기둥(300)의 타단이 모두 연결될 수도 있다.
그리고, 차양막(100)이 어느 위치나 각도로 조절되더라도 쓰러지지 않고 지면으로부터 차양(10)이 자립할 수 있도록 크기와 형태를 다양하게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차양(10)이 외부의 충격이나 바람에 쓰러지지 않도록 바닥판(700)의 자체 무게를 무겁게 하여 구비할 수 있다. 그러나, 바닥판(700)의 자체 무게가 무거울 경우 사용자가 휴대하기 어렵다는 점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가 휴대 가능한 무게로 바닥판(700)을 구비하고 바닥판(700) 상면에 모레 주머니와 같이 바닥판(700)에 하중을 가할 수 있는 물체를 이용하여 차양(10)에 가해지는 외부의 충격이나 바람에 쓰러지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바닥판(700)에는 바닥판(700)과 기둥(300)이 이루는 각도를 조절하는 각도 조절부(800)가 한 쌍으로 구비되어 기둥(300)에 연결되고 각도 조절부(800)의 일단은 바닥판(700)에 고정될 수 있다.
각도 조절부(800)는 양면에 복수개의 조절홈(810)과 조절홈(810)에 삽입되는 조절부재(820)를 구비할 수 있다.
각도 조절부(800)의 양면에 형성되는 복수개의 조절홈(810)은 서로 마주보는 위치에 형성되고 조절부재(820)는 상기 마주보는 위치에 형성된 조절홈(810)에 삽입될 수 있다. 조절부재(820)가 각도 조절부(800)의 양면에 형성된 조절홈(810)에 삽입되기 위해서 기둥(300)에는 조절부재(820)가 삽입되는 가이드홀(310)이 형성될 수 있다.
바닥판(700)과 기둥(300)이 이루는 각도를 조절하기 위해서는 우선 조절부재(820)를 조절홈(810)으로부터 제거한 후 기둥(300)을 원하는 각도만큼 조절한다. 그리고, 각도 조절부(800)에 형성된 조절홈(810)과 기둥(300)에 형성된 가이드홀(310)을 동일선상에 위치시킨 후, 조절부재(820)를 삽입함으로써 바닥판(700)과 기둥(300)이 이루는 각도를 조절할 수 있다.
한편, 차양막(100)은 상술한 예 말고도 다양한 방식으로 프레임(200)에 연결될 수 있다. 도 5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차양막(100)이 프레임(200)에 연결된 차양의 모습을 보인 사시도이다. 이하에서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차양막(100)을 구비하는 차양(10)을 설명함에 있어 상술한 실시예와 동일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번호를 사용하며,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차양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양에 구비되는 차양막과 프레임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양막의 길이가 조절되는 차양의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차양(10)은 차양막(100)의 일단이 연결되어 차양막(100)을 감을 수 있는 롤(221)을 구비하는 프레임(200)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프레임(200)의 일단에는 롤(221)과 롤(221)에 의해 감긴 차양막(100)이 구비되는 차양막함(220)을 구비할 수 있다. 차양막함(220)은 프레임(200)이 형성되는 방법과 동일하게 압출 성형 가공을 통하여 프레임(200)에 일체형으로 구비될 수 있고, 기제작된 일체형 프레임(200)의 일단을 제거한 후 동일 위치에 차양막함(220)을 용접이나 접합장치를 이용하여 일체화함으로써 차양막함(220)을 프레임(200)에 구비할 수도 있다.
그리고, 차양막함(220)에는 외부의 힘에 의해 롤(221)로부터 풀린 차양막(100)이 외부의 힘이 제거될 시 자동적으로 차양막(100)이 롤(221)에 감기게 하는 스파이럴 스프링(222)을 구비할 수 있다.
또한, 프레임(200)에는 차양막(100)의 길이방향으로 복수개의 걸림부재(230)를 구비할 수 있다. 복수개의 걸림부재(230)는 일정 간격을 유지하며 프레임(200)에 구비되고 차양막함(220)과 동일하게 압출 성형 가공을 통하여 프레임(200)에 일체형으로 구비될 수 있고, 기제작된 일체형 프레임(200)에 복수개의 걸림부재(230)를 용접이나 접합장치를 이용하여 일체화함으로써 프레임(200)에 구비할 수도 있다.
한편, 스파이럴 스프링(222)에 의해 자동적으로 롤(221)에 감기는 차양막(100)은 차양막함(220)의 내부에 구비되기 때문에 롤(221)에 감기더라도 차양막(100)의 일부분이 차양막함(220)의 외부로 노출되도록 하거나 롤(221)에 감겨있는 차양막(100)을 용이하게 풀 수 있는 별도의 장치가 요구된다.
그리고, 롤(221)에 감긴 차양막(100)을 푼 후에는 풀린 상태의 차양막(100)을 사용자가 지속적으로 유지시키는 것은 매우 어렵기 때문에 차양막(100)이 롤(221)로부터 풀린 상태를 지속적으로 유지시켜주는 별도의 장치도 요구된다.
따라서, 차양막(100)은 스파이럴 스프링(222)에 의해 차양막(100)이 자동적으로 감기더라도 롤(221)에 감겨있는 차양막(100)을 용이하게 풀 수 있고 롤(221)로부터 풀린 차양막(100)이 다시 감기지 않고 풀린 상태를 지속적으로 유지시켜주는 걸림부(110)를 구비할 수 있다.
다음은 걸림부(110)에 대해 설명하고자 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차양막(100)은 롤(221)에 연결되는 일단과 마주보는 타단에 걸림부(110)를 구비할 수 있다.
걸림부(110)는 탄성부재(900)에 의해 롤(221)에 차양막(100)이 차양막함(220)의 내부로 감겨 들어갈 때 차양막(100)의 타단에 연결된 걸림부(110)도 함께 들어가는 것을 방지하는 방지턱(111)과, 차양막(100)이 롤(221)로부터 풀린 상태를 지속적으로 유지시켜주는 걸림턱(112)이 형성될 수 있다. 차양막(100)에 구비되는 걸림턱(112)은 프레임(200)에 구비되는 걸림부재(230)에 걸릴 수 있다.
또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차양은 차양막(100)에 구비되는 걸림턱(112)과 프레임(200)에 구비되는 복수개의 걸림부재(230)에 의해 태양의 고도나 사용자의 기호에 따라 차양막(100)의 길이를 다양하게 조절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양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사상은 본 명세서에 제시되는 실시 예에 제한되지 아니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구성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추가 등에 의해서 다른 실시 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 발명의 사상범위 내에 든다고 할 것이다.
10: 차양 100: 차양막
110: 걸림부 111: 방지턱
112: 걸림턱 200: 프레임
210: 모서리부 220: 차양막함
221: 롤 222: 스파이럴 스프링
230: 걸림부재 300: 기둥
310: 가이드홀 400: 연결부
410: 외측회전부 411: 고정장치
420: 내측회전부 421: 고정부
422: 관통홀 430: 힌지
500: 지지부재 510: 지지대
511: 고정돌기 512: 고정홈
600: 각도조절장치 610: 몸체
611: 삽입홀 620: 연결재
630: 레버 631: 결합공
632: 결합부재 640: 고무패킹
700: 바닥판 710: 결합홈
800: 각도 조절부 810: 조절홈
820: 조절부재 900: 탄성부재

Claims (15)

  1. 차양막과,
    상기 차양막의 테두리에 구비되는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에 연결되어 상기 차양막을 지지하는 한 쌍의 기둥과,
    상기 기둥의 일단에 구비되어 상기 기둥과 상기 차양막이 이루는 각도를 조절하는 연결부와,
    상기 프레임의 일단과 상기 기둥에 연결되어 상기 차양막을 지지하는 지지부재와,
    상기 기둥에 구비되어 상기 지지부재의 일단과 연결되며 상기 기둥과 상기 차양막이 이루는 각도가 조절됨에 따라 상기 지지부재의 각도가 조절되도록 하는 각도조절장치와,
    상기 기둥의 타단에 연결되어 상기 기둥을 지지하는 바닥판과,
    상기 바닥판에 구비되어 상기 바닥판과 상기 기둥이 이루는 각도를 조절하는 각도 조절부를 구비하고,
    상기 연결부는 상기 기둥의 외측에 구비되는 외측회전부와, 상기 기둥의 내측에 구비되는 내측회전부와, 상기 외측회전부와 상기 내측회전부가 회전하도록 하는 힌지와, 상기 내측회전부의 일단에 구비되고, 상기 프레임이 관통하는 관통홀이 형성된 고정부와, 상기 고정부를 관통하는 상기 프레임의 이동을 조절하도록 상기 외측회전부의 일단에 구비되는 고정장치를 구비하고, 상기 관통홀은 상기 차양막이 상기 기둥을 중심으로 좌우로 슬라이딩되도록 상기 프레임의 둘레보다 조금 더 큰 둘레로 구비되고,
    상기 프레임의 각 모서리에는 상기 차양막의 슬라이딩을 제어하는 모서리부를 구비하고,
    상기 각도 조절부는 상기 각도 조절부의 양면에 형성되는 복수개의 조절홈과 상기 조절홈에 삽입되는 조절부재를 구비하여 상기 기둥을 원하는 각도만큼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양.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는 복수개의 지지대로 구비되고 상기 차양막이 조절되는 각도에 따라 이웃하는 상기 지지대가 인출되거나 인입되는 특징으로 하는 차양.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대는 이웃하는 상기 지지대에 고정되도록 하는 고정돌기를 일단에 구비하고 이웃하는 상기 지지대에 구비되는 상기 고정돌기가 삽입되는 고정홈을 타단에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양.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각도조절장치는 상기 기둥이 삽입되는 삽입홀이 형성된 몸체와,
    상기 삽입홀에 삽입된 상기 기둥과 상기 몸체를 연결하는 연결재와,
    상기 몸체에 구비되어 상기 지지부재가 상기 기둥과 이루는 각도를 조절하는 레버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양.
  6. 삭제
  7. 삭제
  8. 차양막과,
    상기 차양막의 테두리에 구비되며 상기 차양막의 일단이 연결되어 상기 차양막을 감는 롤을 구비하는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에 연결되어 상기 차양막을 지지하는 한 쌍의 기둥과,
    상기 기둥의 일단에 구비되어 상기 기둥과 상기 차양막이 이루는 각도를 조절하는 연결부와,
    상기 기둥의 타단에 연결되어 상기 기둥을 지지하는 바닥판과,
    상기 바닥판에 구비되어 상기 바닥판과 상기 기둥이 이루는 각도를 조절하는 각도 조절부를 구비하고,
    상기 연결부는 상기 기둥의 외측에 구비되는 외측회전부와, 상기 기둥의 내측에 구비되는 내측회전부와, 상기 외측회전부와 상기 내측회전부가 회전하도록 하는 힌지와, 상기 내측회전부의 일단에 구비되고, 상기 프레임이 관통하는 관통홀이 형성된 고정부와, 상기 고정부를 관통하는 상기 프레임의 이동을 조절하도록 상기 외측회전부의 일단에 구비되는 고정장치를 구비하고, 상기 관통홀은 상기 차양막이 상기 기둥을 중심으로 좌우로 슬라이딩되도록 상기 프레임의 둘레보다 조금 더 큰 둘레로 구비되고,
    상기 프레임의 각 모서리에는 상기 차양막의 슬라이딩을 제어하는 모서리부를 구비하고,
    상기 각도 조절부는 상기 각도 조절부의 양면에 형성되는 복수개의 조절홈과 상기 조절홈에 삽입되는 조절부재를 구비하여 상기 기둥을 원하는 각도만큼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양.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의 일단에는 상기 롤과 상기 롤에 의해 감긴 상기 차양막을 내부에 구비하는 차양막함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양.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은 상기 차양막의 길이방향으로 복수개의 걸림부재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양.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차양막은 상기 걸림부재에 상기 차양막을 연결하는 걸림부를 타단에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양.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부는 상기 차양막함 내부로 상기 걸림부가 들어가는 것을 방지하는 방지턱을 일단에 구비하고, 상기 걸림부가 상기 걸림부재에 걸리도록 하는 걸림턱을 타단에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양.
  13. 삭제
  14.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차양은 상기 프레임의 일단과 상기 기둥에 연결되어 상기 차양막을 지지하는 지지부재와,
    상기 기둥에 구비되어 상기 지지부재의 일단과 연결되며 상기 기둥과 상기 차양막이 이루는 각도가 조절됨에 따라 상기 지지부재의 각도가 조절되도록 하는 각도조절장치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양.




  15. 삭제
KR1020130035278A 2013-04-01 2013-04-01 차양 KR10135996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35278A KR101359963B1 (ko) 2013-04-01 2013-04-01 차양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35278A KR101359963B1 (ko) 2013-04-01 2013-04-01 차양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59963B1 true KR101359963B1 (ko) 2014-02-25

Family

ID=502702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35278A KR101359963B1 (ko) 2013-04-01 2013-04-01 차양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59963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311962A (ja) * 1992-05-12 1993-11-22 Nichibei Co Ltd ロールスクリーン装置
JPH0734726A (ja) * 1993-07-26 1995-02-03 N S P:Kk テント用ウインチ
KR200267594Y1 (ko) * 2001-11-29 2002-03-09 송근성 천막용 절첩식 차양막
KR20020062124A (ko) * 2001-01-17 2002-07-25 가부시키가이샤 닛뽄 에이세이 센터 차양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311962A (ja) * 1992-05-12 1993-11-22 Nichibei Co Ltd ロールスクリーン装置
JPH0734726A (ja) * 1993-07-26 1995-02-03 N S P:Kk テント用ウインチ
KR20020062124A (ko) * 2001-01-17 2002-07-25 가부시키가이샤 닛뽄 에이세이 센터 차양 장치
KR200267594Y1 (ko) * 2001-11-29 2002-03-09 송근성 천막용 절첩식 차양막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7075903B (zh) 可改造的可伸缩纱窗系统
KR101141516B1 (ko) 다목적용 차양 장치
US20150292261A1 (en) Roller curtain structure
US20120012260A1 (en) Retractable shade assembly with adjustable side guides
BE1021781B1 (nl) Kolom voor het ondersteunen van een overkapping en schermconstructie omvattende een dergelijke kolom
US10914068B2 (en) Adjustable awning and retractable canopy system
US20120211179A1 (en) Covering System
KR101571106B1 (ko) 상하, 좌우 개폐가 가능한 스마트커튼장치
KR101359963B1 (ko) 차양
KR200476979Y1 (ko) 차양막 처짐방지 구조를 갖는 차양장치
KR101400243B1 (ko) 안전성이 개선된 롤 블라인드
JP2007327322A (ja) 日除け装置
KR102370816B1 (ko) 각도 가변형 다단 차양막장치
KR101618204B1 (ko) 스크린에 인장력을 제공하는 어닝의 롤러튜브 내부구조
JP6861354B1 (ja) パラソル
JP6727619B2 (ja) パラソル
KR101189735B1 (ko) 가변형 차양장치
KR200486630Y1 (ko) 부분 개폐기능이 구비된 블라인드 장치
JP2015030974A (ja) 遮蔽ユニット
KR100571575B1 (ko) 차광 조절가능한 차양을 가진 붙박이 창 및 사용방법
KR20190108322A (ko) 어닝 시스템용 고정브래킷
JP2020070606A (ja) ロールスクリーン構造体、オーニング装置およびベランダ構造
KR102612970B1 (ko) 아암 승강식 어닝
JP2007009656A (ja) 日除け装置
KR200461501Y1 (ko) 탈착 및 부분보수가 용이한 어닝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0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0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01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