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59236B1 - 배선 덕트 접속 장치 - Google Patents

배선 덕트 접속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59236B1
KR101359236B1 KR1020120056222A KR20120056222A KR101359236B1 KR 101359236 B1 KR101359236 B1 KR 101359236B1 KR 1020120056222 A KR1020120056222 A KR 1020120056222A KR 20120056222 A KR20120056222 A KR 20120056222A KR 101359236 B1 KR101359236 B1 KR 10135923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ct
elastic body
contactor
wiring duct
electrical conn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562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134038A (ko
Inventor
마사토 도키
유키히로 마츠노부
신이치로 야노
Original Assignee
파나소닉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파나소닉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파나소닉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1201340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3403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592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5923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6Joints for connecting lengths of protective tubing or channels, to each other or to casings, e.g. to distribution boxes; Ensuring electrical continuity in the joint
    • H02G3/0608Joints for connecting non cylindrical conduits, e.g. channe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00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 F16L3/26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specially adapted for supporting the pipes all along their length, e.g. pipe channels or duc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5/00Coupling parts adapted for simultaneous co-operation with two or more identical counterparts, e.g. for distributing energy to two or more circuits
    • H01R25/14Rails or bus-bars constructed so that the counterparts can be connected thereto at any point along their length
    • H01R25/145Details, e.g. end pieces or joi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Details Of Indoor Wiring (AREA)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 Installation Of Bus-Bars (AREA)

Abstract

접속 장치 본체(9)와, 접속 장치 본체(9)의 일단부에 형성되어 배선 덕트의 단부에 삽입되는 삽입부(1)와, 삽입부(1)에 그 양 측면으로부터 돌출이 자유롭도록 유지된 접촉자(2)와, 접촉자(2)를 외측쪽으로 가압하는 탄성체(7)와, 외부 전선에 접속되는 속결 단자부(4)와, 접촉자(2)를 속결 단자부(4)에 전기 접속시키는 전기 접속 구조를 구비한 배선 덕트 접속 장치에 있어서, 이 전기 접속 구조를, 압력에 의해 접점끼리를 탄성적으로 접촉하는 접점 구조를 이용하여 구성한다.

Description

배선 덕트 접속 장치{WIRING DUCT CONNECTOR}
본 발명은 배선 덕트의 단부에 접속되는 배선 덕트 접속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도 1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배선 덕트(100)에 전원을 인입하거나, 배선 덕트(100)끼리를 전기적으로 접촉부속하기 위해, 배선 덕트 접속 장치가 이용되고 있다. 예를 들면, 특허문헌 1에는 도 11에 나타내는 구조의 배선 덕트 접속 장치가 기재되어 있다.
이 배선 덕트 접속 장치는 배선 덕트(100)의 단부에 삽입되는 삽입부(201)와, 삽입부(201)로부터 외측쪽으로 돌출된 접촉자(202)와, 접촉자(202)를 일단부에 고정시킨 판형상의 탄성 도통 부재(203)와, 이 도통 부재(203)의 타단부측에 고정되는 속결(速結) 단자부(204)를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삽입부(201)를 배선 덕트(100)내에 삽입시킨 상태에서, 이 배선 덕트(100)가 가지는 도체(110)에 대해 접촉자(202)가 탄성적으로 접촉하는 구조이다.
일본 특허 공보 제4088441호
도 11에 나타내는 종래의 배선 덕트 접속 장치에 있어서는 접촉자(202)와 속결 단자부(204)를 전기 접속시키는 전기 접속 구조는, 판형상의 탄성 도통 부재(203)를 접촉자(202)와 속결 단자부(204)에 고착시킨 구조로 되어 있다. 따라서, 이 도통 부재(203)의 휨 변형에 수반해서, 도 11의 화살표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접촉자(202)의 자세(경사)가 함께 변화하는 것이었다.
그 때문에, 종래의 배선 덕트 접속 장치에서는 접촉자(202)의 자세가 변화해도 도체(110)에의 접촉이 확보되도록, 접촉자(202)를 도체(110)에 대해 1점에서 접촉하도록 마련하고 있었다. 이러한 1점 접촉에서는 도체(110)에 대한 전기 접속의 신뢰성이 낮았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감안해서 이루어진 것으로, 배선 덕트내의 도체에 대한 전기 접속의 신뢰성을 높일 수 있는 배선 덕트 접속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태양에 따른 배선 덕트 접속 장치는접속 장치 본체와, 상기 접속 장치 본체의 일단부에 형성되어 배선 덕트의 단부에 삽입되는 삽입부와, 상기 삽입부에 그 양 측면으로부터 돌출이 자유롭도록 유지된 접촉자와, 상기 접촉자를 외측쪽으로 가압하는 탄성체와, 외부 전선에 접속되는 속결 단자부와, 상기 접촉자를 상기 속결 단자부에 전기 접속시키는 전기 접속 구조를 구비하고, 상기 전기 접속 구조는 압력에 의해 접점끼리를 탄성적으로 접촉하는 접점 구조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배선 덕트 접속 장치에 있어서는 상기 접촉자의 외측단에, 길이 방향으로 연속되는 복수의 볼록형상의 접촉부를 일체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탄성체는 상기 속결 단자부로부터 연장되는 도전성 부재로 이루어지고, 상기 전기 접속 구조는 상기 탄성체가 가지는 접촉부를, 상기 탄성체의 탄성력에 의해서 상기 접촉자에 탄성적으로 접촉하는 접점 구조로 이루어지는 것도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탄성체는 도전성 부재로 이루어지고, 상기 전기 접속 구조는 상기 탄성체가 가지는 접촉부를, 상기 탄성체의 탄성력에 의해서 상기 접촉자에 탄성적으로 접촉하는 접점 구조와, 상기 탄성체가 가지는 다른 접촉부를, 상기 속결 단자부에 탄성적으로 접촉하는 접점 구조로 이루어지는 것이어도 좋다.
또한,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을, 하기 구성을 구비한 배선 덕트 접속 장치로 해도 좋다.
본 발명의 다른 태양에 따른 배선 덕트 접속 장치는접속 장치 본체와, 상기 접속 장치 본체의 일단부에 형성되어 배선 덕트의 단부에 삽입되는 제 1 삽입부와, 상기 제 1 삽입부에 그 양 측면으로부터 돌출이 자유롭도록 유지된 제 1 접촉자와, 상기 제 1 접촉자를 외측쪽으로 가압하는 제 1 탄성체와, 상기 접속 장치 본체의 타단부에 형성되어 다른 배선 덕트의 단부에 삽입되는 제 2 삽입부와, 상기 제 2 삽입부에 그 양 측면으로부터 돌출이 자유롭도록 유지된 제 2 접촉자와, 상기 제 2 접촉자를 외측쪽으로 가압하는 제 2 탄성체와, 상기 제 1 접촉자와 상기 제 2 접촉자를 전기 접속시키는 전기 접속 구조를 구비하고, 상기 전기 접속 구조는 접점끼리를 압력에 의해 탄성적으로 접촉하는 접점 구조로 이루어진다.
이 배선 덕트 접속 장치에 있어서는 상기 제 1 접촉자의 외측단과 상기 제 2 접촉자의 외측단에, 길이 방향으로 연속되는 복수의 볼록형상의 접촉부를 일체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 1 탄성체와 상기 제 2 탄성체는 모두 도전성 부재로 이루어지고, 상기 전기 접속 구조는 상기 제 1 탄성체가 가지는 접촉부를, 상기 제 1 탄성체의 탄성력에 의해서 상기 제 1 접촉자에 탄성적으로 접촉하는 접점 구조와, 상기 제 2 탄성체가 가지는 다른 접촉부를, 상기 제 2 탄성체의 탄성력에 의해서 상기 제 2 접촉자에 탄성적으로 접촉하는 접점 구조로 이루어지는 것이어도 좋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배선 덕트내의 도체에 대한 전기 접속의 신뢰성을 높일 수 있다고 하는 효과를 가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 따른 배선 덕트 접속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 따른 배선 덕트 접속 장치의 일부 파단 측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 따른 배선 덕트 접속 장치에 구비한 속결 단자부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2에 따른 배선 덕트 접속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2에 따른 배선 덕트 접속 장치에 구비한 탄성체 및 속결 단자부의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3에 따른 배선 덕트 접속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3에 따른 배선 덕트 접속 장치에 구비한 탄성체의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4에 따른 배선 덕트 접속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4에 따른 배선 덕트 접속 장치의 주요부 측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5에 따른 배선 덕트 접속 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11은 종래의 배선 덕트 접속 장치의 일부 파단 평면도이다.
도 12는 배선 덕트의 사시도이다.
본 발명을, 첨부 도면에 나타내는 실시형태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도면 전체에 있어서 동일 또는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 참조 번호를 부여하여 설명을 생략한다.
(제 1 실시 형태)
도 1, 도 2에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 따른 배선 덕트 접속 장치를 나타내고 있다. 본 실시형태에 따른 배선 덕트 접속 장치는 종래 기술로서 전술한 특허문헌 1에 따른 배선 덕트 접속 장치와 마찬가지로, 배선 덕트(100)에 장착해서 이용하는 것이며, 여기서는 배선 덕트(100)의 도체(110)에 대해 외부 전원으로부터의 급전을 실행하는 피드 인 박스(배선 덕트 레일용 전원 연결 부품)로 되어 있다.
우선, 배선 덕트(100)의 구조에 대해, 상세하게 기술한다.
도 1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배선 덕트(100)는 그 길이 방향 X에 직교하는 단면이 립(lip)을 가지는 ‘コ’형상을 이루도록 형성한 긴 통형상 부재이며, 상부벽(101)과, 상부벽(101)의 양측단으로부터 연장되어 마련되는 한 쌍의 측벽(102)과, 각 측벽(102)의 선단으로부터 연장되어 마련되어 립부를 이루는 저벽(103)을 가진다. 립부로 되는 양 저벽(103)간의 간극이, 배선 덕트(100)의 내부와 외부를 연통시키는 개구(104)로 된다. 배선 덕트(100)는 개구(104)가 하측을 향하도록 배치되고, 개구(104)보다도 폭이 더 큰 홈형의 코어(105)로 된다.
측벽(102)의 내면에는 내측쪽을 향해 도체 유지부(106)를 돌출 설치하고 있고, 이 도체 유지부(106)의 선단부에 도체(110)를 고정시키고 있다. 도체(110)는 배선 덕트(100)의 길이 방향 X를 따라 배치되고, 일직선형상으로 연장하는 긴 직사각형형상의 평탄한 접속면(111)을 코어(105)내에 노출시키고 있다. 한 쌍의 도체(110)의 접속면(111)은 코어(105)를 사이에 두고 대향하도록, 동일 높이에 배치되어 있다.
다음에, 상기 배선 덕트(100)에 장착하는 실시형태 1에 따른 배선 덕트 접속 장치의 구조에 대해, 상세하게 기술한다.
도 1,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따른 배선 덕트 접속 장치는 배선 덕트(100)의 단부 개구를 통해 코어(105)내에 삽입하기 위한 삽입부(1)를, 접속 장치 본체(9)의 길이 방향 X의 일단부에 구비하고 있다. 삽입부(1)에는 그 양 측면으로부터 소정 범위내에서 외측쪽으로 돌출이 자유롭게 되도록, 전체적으로 긴 판형상을 이루는 접촉자(2)를 1쌍 구비하고 있다.
접속 장치 본체(9)의 길이 방향 X의 타단부측에는 외부 전선을 접속시키기 위한 속결 단자부(4)(도 3 참조)를 한 쌍 배치하고 있다. 속결 단자부(4)에는 접촉자(2)가 일대일로 전기 접속된다. 삽입부(1)가 배선 덕트(100)의 코어(105)내에 삽입된 상태에 있어서, 양 접촉자(2)는 각각 대응하는 도체(110)에 2개소에 탄성 접촉한다. 이에 따라, 접촉자(2)와 도체(110)가 일대일로 전기 접속된다.
이하, 배선 덕트 접속 장치의 각 구성에 대해, 더욱 구체적으로 기술한다.
접속 장치 본체(9)의 삽입부(1)내에는 한 쌍의 접촉자(2)가 서로 접촉하는 것을 방지하는 칸막이벽(6)을, 길이 방향 X를 따라 형성하고 있다. 그리고, 폭 방향 Y의 중앙부에 위치하는 칸막이벽(6)과 이것에 인접하는 양 접촉자(2)의 사이에, 접촉자(2)에 접촉해서 외측쪽으로의 편향력을 부여하는 탄성체(7)를 배치하고 있다.
여기서의 폭 방향 Y는 길이 방향 X와 직교하며, 양 접촉자(2)를 잇는 방향이다. 또, 삽입부(1)의 설명에 이용하는 길이 방향 X는 배선 덕트(100)의 설명에서 이용한 길이 방향 X와 일치하는 방향이다.
탄성체(7)는 접촉자(2)에 대해 독립적으로 탄성력을 부여하는 것이며, 1개의 접촉자(2)의 내측쪽에 이와 대응하는 탄성체(7)를 복수(본 실시형태에서는 한 쌍) 배치하고 있다. 이 한 쌍의 탄성체(7)는 길이 방향 X를 따라 일렬을 이루도록 병설되어 있다.
한 쌍의 탄성체(7)는 각각이 독립적으로 접촉자(2)에 편향력을 부여하는 것이지만, 이하에 설명하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서는 그 일부끼리를 연속시켜, 1부재로서 구성하고 있다.
즉, 이 실시형태에서는 양단을 굴곡시킨 형상의 탄성판 부재(10)에 의해서, 길이 방향 X를 따라 병설되는 한 쌍의 탄성체(7)를 구성하고 있다. 이 탄성판 부재(10)는 일직선형상의 지지편부(11)의 양단으로부터 각각 U자형상으로 굴곡편부(12)를 연장시키고, 이 굴곡편부(12)의 선단으로부터 또한 탄성편부(13)를 연장시킨 것이다.
탄성편부(13)는 경사가 다른 제 1 부분과 제 2 부분을, ‘ヘ’형상으로 연결시킨 형상을 가진다. 제 1 부분은 굴곡편부(12)의 선단으로부터 일단 내측쪽으로 기울어서 연장된 직선형상의 탄성편이며, 제 2 부분은 이 제 1 부분의 선단으로부터 외측쪽으로 기울어서 연장된 직선형상의 탄성편이다. 이 제 2 부분의 선단부가, 접촉자(2)로부터 연장 설치된 받이부(21)의 단면에 닿아, 접촉자(2)에 대해 탄성적인 편향력을 가한다.
다시 말해서, 각 탄성체(7)가, 지지편부(11)와 굴곡편부(12)와 탄성편부(13)를 가지는 대략 U자형상의 형상이며, 길이 방향 X에 인접하는 한 쌍의 탄성체(7)의 지지편부(11)끼리를 일체화시킴으로써, 1개의 탄성판 부재(10)를 구성하고 있다.
접촉자(2)의 외측단에는 볼록형상을 이루는 접촉부(20)를 복수(본 실시형태에서는 한 쌍) 형성하고 있다. 각 접촉부(20)는 외측쪽을 향해 완만하게 돌출된 외형을 가지고, 그 외형 중 가장 외측쪽에 위치하는 점에서, 배선 덕트(100)의 도체(110)에 접촉하도록 마련하고 있다. 즉, 접촉자(2)는 길이 방향 X를 따라 연장하는 외측단 가장자리 중 2개소를 외측쪽으로 돌출되게 함으로써 한 쌍의 접촉부(20)를 형성한 것이며, 접촉부(20)끼리는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접촉자(2)의 내측단으로부터는 전술한 받이부(21)를 일체로 연장 설치시키고 있다. 이 받이부(21)는 두께 방향 Z를 향해 연장하는 편형상의 부분이다. 또, 여기서의 두께 방향 Z는 길이 방향 X 및 폭 방향 Y와 직교하는 방향이다. L자형상으로 굴곡 형성되는 받이부(21)는 내측쪽을 향하는 평탄면을 가지고, 이 평탄면상에 있어서 길이 방향 X에 거리를 두고 위치한 개별의 개소에, 한 쌍의 탄성체(7)가 가지는 탄성편부(13)의 선단이 각각 탄성적으로 접촉된다.
이에 따라, 한 쌍의 탄성체(7)가, 대응하는 1개의 접촉자(2)를 외측쪽으로 탄성적으로 가압하고, 이 접촉자(2)의 외측단 가장자리에 형성한 한 쌍의 접촉부(20)가, 배선 덕트(100)내의 도체(110)에 대해 각각 탄성적으로 접촉한다.
접속 장치 본체(9)에 구비한 접촉자(2)와 속결 단자부(4)는 접점끼리를 압력에 의해서 탄성적으로 접촉하는 접점 구조를 이용하여, 서로 전기 접속시키고 있다. 즉, 접촉자(2)를 속결 단자부(4)에 전기 접속시키는 본 실시형태의 전기 접속 구조는 이하에 설명하는 구조이다.
속결 단자부(4)의 단면으로부터는 길이 방향 X를 향해 도전성 부재(31)가 연장 설치되어 있다(도 3 참조). 이 도전성 부재(31)는 그 선단부에 접촉부(32)를 가지고 있다. 접촉부(32)는 판형상을 가지고, 접촉자(2)의 길이 방향 X의 단부(22)에 대해 두께 방향 Z으로 중첩되도록 배치된다. 접촉자(2)의 단부(22)의, 접촉부(32)와 대향하는 면에는 접촉자(2)측의 접촉부(33)가 돌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속결 단자부(4)측과 접촉자(2)측의 접촉부(32, 33)끼리가 두께 방향 Z으로 탄성적으로 접촉함으로써, 접촉자(2)와 속결 단자부(4)가 전기 접속되는 구조이다. 예컨대, 접촉자(2)가 고정되어 있는 상태에서, 속결 단자부(4)를 스프링부(5)(도 2 참조)에 의해 두께 방향 Z의 상방으로 밀어 올리면, 속결 단자부(4)측과 접촉자(2)측의 접촉부(32, 33)끼리가 두께 방향 Z으로 탄성적으로 접촉된다.
본 실시형태에 따른 배선 덕트 접속 장치에 의하면, 각 접촉자(2)를, 길이 방향 X에 병설되는 한 쌍의 탄성체(7)에 의해서 좋은 밸런스로 바깥쪽으로 가압할 수 있고, 외측으로 가압되는 각 접촉자(2)는 2개소의 접촉부(20)에 있어서 배선 덕트(100)의 도체(110)에 전기 접속된다. 그리고, 이 때의 접촉자(2)의 위치나 경사에 영향을 받지 않고, 접촉자(2)와 속결 단자부(4)의 사이에서는 상기의 접점 구조를 통하여 전기 접속이 안정적으로 유지된다. 여기서, 접촉자(2)와 속결 단자부(4)는 접점끼리가 닿음으로써 전기 접속되므로, 양자(2, 4)간을 가요성의 전선으로 전기 접속시키는 구조에 비해, 조립성이 향상하고, 부품수도 삭감된다. 또한, 접속 개소가 1개소로 충분하므로, 전선을 거쳐서 전기 접속시키는 경우에 접속 개소가 2개소로 되는 것에 비교하여 그 만큼 전기 접속의 신뢰성이 높아진다.
(제 2 실시 형태)
다음에, 본 발명의 실시형태 2에 따른 배선 덕트 접속 장치에 대해, 도 4, 도 5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또, 상기한 실시형태 1과 마찬가지의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 부호를 부여하여 자세한 설명을 생략하고, 실시형태 1과는 상이한 본 실시형태의 특징적인 구성에 대해 이하에 상세하게 기술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전기 접속 구조를 이루는 접점 구조를, 접촉자(2)와 탄성체(7)의 사이에 형성하고 있다. 즉, 접촉자(2)를 바깥쪽으로 가압하는 탄성체(7)를, 이 접촉자(2)와 속결 단자부(4)를 전기 접속시키기 위한 도전성 부재(31)로서 겸용하고, 이 도전성 부재(31)인 탄성체(7)가 접촉자(2)를 바깥쪽으로 가압하는 탄성력을, 탄성체(7)가 그 선단에 가지는 접촉부(41)를 접촉자(2)에 탄성적으로 접촉하는 편향력으로서 이용하고 있다. 즉, 접촉자(2)를 속결 단자부(4)에 전기 접속시키는 본 실시형태의 전기 접속 구조는 이하에 설명하는 구조이다.
탄성체(7)는 실시형태 1과 마찬가지의 탄성편부(13)로부터 굴곡편부(12)를 거쳐서 지지편부(11)를 연장시킨 대략 U자형상의 구조이며, 또한, 지지편부(11)로부터 크랭크형상의 연장편부(40)를 일체로 연장시키고 있다. 이 탄성편부(13)의 선단부분이 접촉부(41)이며, 이 접촉부(41)를, 접촉자(2)가 가지는 받이부(21)의 길이 방향 X 중앙 부분에 닿게 하고 있다. 탄성체(7)가 가지는 연장편부(40)는 속결 단자부(4)에 일체로 연결된다.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속결 단자부(4)와 탄성체(7)는 일체로 성형되어 있다. 또, 본 실시형태에서는 1개의 접촉자(2)의 내측쪽에, 이와 대응하는 탄성체(7)가 1개만 배치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 따른 배선 덕트 접속 장치에 의하면, 각 접촉자(2)를, 그 안쪽에 위치하는 탄성체(7)에 의해서 바깥쪽으로 가압할 수 있고, 외측으로 가압되는 각 접촉자(2)는 2개소의 접촉부(20)에 있어서 배선 덕트(100)의 도체(110)에 전기 접속된다. 그리고, 이 때의 접촉자(2)의 위치나 경사에 영향을 받지 않고, 접촉자(2)와 속결 단자부(4)의 사이의 전기 접속은 탄성체(7)의 접촉부(41)를 이용한 상기의 접점 구조를 통하여 안정적으로 유지된다. 이 구조에 의하면, 가요성의 전선 등을 이용하여 전기 접속시킬 필요도 없기 때문에, 배선 덕트 접속 장치의 조립성이 향상하고, 부품수도 삭감된다. 또한, 접속 개소가 1개소로 충분하므로, 전기 접속의 신뢰성도 그 만큼 높아진다.
(제 3 실시 형태)
다음에, 본 발명의 실시형태 3에 따른 배선 덕트 접속 장치에 대해, 도 6, 도 7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또, 상기한 실시형태 2와 마찬가지의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 부호를 부여하여 자세한 설명을 생략하고, 실시형태 2와는 상이한 본 실시형태의 특징적인 구성에 대해 이하에 상세하게 기술한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도 실시형태 2와 마찬가지로, 전기 접속 구조를 이루는 접점 구조를, 접촉자(2)와 탄성체(7)의 사이에 형성하고 있다. 즉, 접촉자(2)를 바깥쪽으로 가압하는 탄성체(7)를, 이 접촉자(2)와 속결 단자부(4)를 전기 접속시키기 위한 도전성 부재(31)로서 겸용하고 있고, 이 점에 있어서 실시형태 2와 마찬가지이다. 그러나, 본 실시형태에서는 이 탄성체(7)와 속결 단자부(4)의 사이에 있어서도, 접점끼리를 압력에 의해 탄성적으로 접촉하는 접점 구조를 마련하고 있고, 이 점에 있어서 실시형태 2와 상이하다.
탄성체(7)는 탄성편부(13)로부터 굴곡편부(12)를 거쳐서 지지편부(11), 연장편부(40)를 일체로 연장시킨 구조이며, 연장편부(40)의 선단 부분에, 접촉부(50)를 형성하고 있다. 그리고, 이 접촉부(50)를 속결 단자부(4)의 내측면에 탄성적으로 접촉하고 있다.
한편, 탄성체(7)의 탄성편부(13)의 선단 부분은 실시형태 1과 마찬가지로, 접촉자(2)에 탄성적으로 접촉하는 접촉부(41)로 되어 있다. 즉, 본 실시형태에서는 접점끼리를 가압하는 접촉 구조로 해서, 탄성체(7)가 일단측에 가지는 접촉부(41)를 접촉자(2)에 탄성적으로 접촉하는 구조와, 이 탄성체(7)가 타단측에 가지는 다른 접촉부(50)를 속결 단자부(4)에 가압하는 구조를 가지고 있다.
본 실시형태에 따른 배선 덕트 접속 장치에 의하면, 각 접촉자(2)를, 그 안쪽에 위치하는 탄성체(7)에 의해서 바깥쪽으로 가압할 수 있고, 외측으로 가압되는 각 접촉자(2)는 2개소의 접촉부(20)에 있어서 배선 덕트(100)의 도체(110)에 전기 접속된다. 그리고, 이 때의 접촉자(2)의 위치나 경사에 영향을 받지 않고, 접촉자(2)와 속결 단자부(4)의 전기 접속은 탄성체(7)를 이용해서 형성되는 2개소의 접점 구조를 통하여 안정적으로 유지된다. 이 구조에 의하면, 가요성의 전선 등을 이용하여 전기 접속시킬 필요도 없으며, 배선 덕트 접속 장치의 조립성이 향상하고, 부품수도 삭감된다.
(제 4 실시 형태)
다음에, 본 발명의 실시형태 4에 따른 배선 덕트 접속 장치에 대해, 도 8, 도 9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상기한 실시형태 1과 마찬가지의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 부호를 부여하여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고, 실시형태 1과는 상이한 본 실시형태의 특징적인 구성에 대해 이하에 상세하게 기술한다.
본 실시형태에 따른 배선 덕트 접속 장치에 있어서, 평면에서 보아 대략 직사각형형상인 접속 장치 본체(9)는 실시형태 1과 마찬가지의 구성을 구비하는 삽입부(1)를 길이 방향 X의 양측에 가지고 있다. 즉, 본 실시형태에 따른 배선 덕트 접속 장치는 실시형태 1과 같은 피드 인 박스가 아닌, 배선 덕트(100)끼리를 전기적으로 접촉부속하는 덕트 커플러로 되어 있다.
이하에 있어서는 한 쌍의 삽입부(1) 중 한쪽을 「제 1 삽입부(1A)」로 하고, 다른 쪽을 「제 2 삽입부(1B)」로 한다. 제 1 및 제 2 삽입부(1A, 1B)는 동일한 부재를 구비한 것이지만, 본 실시형태에서는 구별을 위해, 제 1 삽입부(1A)에 구비하는 접촉자(2)를 「제 1 접촉자(2A)」로 하고, 탄성체(7)를 「제 1 탄성체(7A)」로 한다. 마찬가지로, 제 2 삽입부(1B)에 구비하는 접촉자(2)를 「제 2 접촉자(2B)」로 하고, 탄성체(7)를 「제 2 탄성체(7B)」로 한다.
제 1 접촉자(2A)와 제 2 접촉자(2B)는 모두, 볼록형상을 이루는 한 쌍의 접촉부(20)를, 외측단에 있어서 길이 방향 X를 따라 연속되도록 일체로 형성한 것이다. 제 1 접촉자(2A)의 안쪽에는 이것을 바깥쪽으로 가압하는 제 1 탄성체(7A)가 각각 1쌍 배치되고, 제 2 접촉자(2B)의 안쪽에는 이것을 바깥쪽으로 가압하는 제 2 탄성체(7B)가 각각 1쌍 배치되어 있다.
이 접속 장치 본체(9)내에 있어서는 한 쌍씩 배치되는 제 1 및 제 2 접촉자(2A, 2B) 중, 길이 방향 X를 따라 병설되는 제 1 접촉자(2A)와 제 2 접촉자(2B)의 조합을, 압력에 의해 접점끼리를 탄성적으로 접촉하는 접점 구조에 의해서, 전기 접속시키고 있다. 즉, 제 1 접촉자(2A)와 제 2 접촉자(2B)를 전기 접속시키는 본 실시형태의 전기 접속 구조는 이하에 설명하는 구조이다.
길이 방향 X에 라이닝되는 제 1 접촉자(2A)와 제 2 접촉자(2B)에 있어서는 서로의 단부끼리가 두께 방향 Z에 중첩되도록, 제 1 접촉자(2A)와 제 2 접촉자(2B)의 적어도 한쪽의 단부를 크랭크형상으로 굴곡 형성하고 있다. 제 1 접촉자(2A)와 제 2 접촉자(2B)의 서로의 단부에는 볼록형상의 접촉부(50, 51)를 마련하고 있다(도 9 참조). 그리고, 제 1 접촉자(2A)가 가지는 접촉부(51)와 제 2 접촉자(2B)가 가지는 접촉부(50)가, 두께 방향 Z의 압력을 수반하여 탄성적으로 접촉하는 것에 의해, 제 1 접촉자(2A)와 제 2 접촉자(2B)가 전기 접속되는 구조이다.
본 실시형태에 따른 배선 덕트 접속 장치에 의하면, 제 1 접촉자(2A)를, 그 안쪽에 있어서 길이 방향 X를 따라 병설되는 한 쌍의 제 1 탄성체(7A)(본 실시형태에서는 일체화된 탄성판 부재(10))에 의해서, 좋은 밸런스로 바깥쪽으로 가압할 수 있다. 외측으로 가압되는 제 1 접촉자(2A)는 2개소의 접촉부(20)에 있어서 배선 덕트(100)의 도체(110)에 전기 접속된다. 제 2 접촉자(2B)에 있어서도 마찬가지이다.
그리고, 이 때의 제 1 접촉자(2A)의 위치 및 경사나, 제 2 접촉자(2B)의 위치 및 경사에 영향을 받지 않고, 제 1 접촉자(2A)와 제 2 접촉자(2B)의 사이에 있어서는 상기의 접점 구조를 통하여 전기 접속이 안정적으로 유지된다. 이 접점 구조에서는 접점끼리가 닿는 것에 의해 전기 접속되므로, 가요성의 전선 등으로 제 1 접촉자(2A)와 제 2 접촉자(2B)를 전기 접속시키는 구조에 비해, 배선 덕트 접속 장치의 조립성이 향상하고, 부품수도 삭감된다. 또한, 접속 개소가 1개소로 충분하므로, 그 만큼 전기 접속의 신뢰성도 높아진다.
(제 5 실시 형태)
다음에, 본 발명의 실시형태 5에 따른 배선 덕트 접속 장치에 대해, 도 10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상기한 실시형태 4와 마찬가지의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 부호를 부여하여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고, 실시형태 4와는 상이한 본 실시형태의 특징적인 구성에 대해 다음에 상세하게 기술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전기 접속 구조를 형성하는 접점 구조를, 제 1 접촉자(2A)와 제 1 탄성체(7A)의 사이와, 제 2 접촉자(2B)와 제 2 탄성체(7B)의 사이에 각각 형성하고 있다. 즉, 제 1 접촉자(2A)를 바깥쪽으로 가압하는 제 1 탄성체(7A)와, 제 2 접촉자(2B)를 바깥쪽으로 가압하는 제 2 탄성체(7B)를, 제 1 및 제 2 접촉자(2A, 2B)간을 전기 접속시키기 위한 도전성 부재(60)로서 겸용하고 있다.
도전성 부재(60)인 제 1 탄성체(7A)가 제 1 접촉자(2A)를 바깥쪽으로 가압하는 탄성력은 제 1 탄성체(7A)가 그 선단에 가지는 접촉부(61)를 제 1 접촉자(2A)에 탄성적으로 접촉하는 편향력으로서 이용된다. 마찬가지로, 도전성 부재(60)인 제 2 탄성체(7B)가 제 2 접촉자(2B)를 바깥쪽으로 가압하는 탄성력은 제 2 탄성체(7B)가 그 선단에 가지는 접촉부(62)를 제 2 접촉자(2B)에 탄성적으로 접촉하는 편향력으로서 이용된다. 즉, 제 1 및 제 2 접촉자(2A, 2B)간을 전기 접속시키는 본 실시형태의 전기 접속 구조는 다음에 설명하는 구조이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 1 접촉자(2A)의 안쪽에 이와 대응하는 제 1 탄성체(7A)를 하나만 배치하고, 제 2 접촉자(2B)의 안쪽에 이와 대응하는 제 2 탄성체(7B)를 하나만 배치하고 있다.
제 1 탄성체(7A)와 제 2 탄성체(7B)는 모두, 탄성편부(13)로부터 굴곡편부(12)를 거쳐서 지지편부(11)를 연장시킨 대략 U자형상의 구조이며, 길이 방향 X를 따라 병설되는 제 1 및 제 2 탄성체(7A, 7B)의 서로의 지지편부(11)끼리를 일체로 연속시키고 있다.
본 실시형태에 따른 배선 덕트 접속 장치에 의하면, 제 1 접촉자(2A)를, 그 안쪽에 위치하는 제 1 탄성체(7A)에 의해서 바깥쪽으로 가압할 수 있고, 외측으로 가압되는 제 1 접촉자(2A)는 2개소의 접촉부(20)에 있어서 배선 덕트(100)의 도체(110)에 전기 접속된다. 제 2 접촉자(2B)에 있어서도 마찬가지이다. 그리고, 제 1 및 제 2 접촉자(2A, B)의 서로의 위치나 경사에 영향을 받지 않고, 양 접촉자(2A, 2B)간의 전기 접속은 제 1 탄성체(7A)의 접촉부(61)를 이용해서 형성되는 접점 구조와, 제 2 탄성체(7B)의 접촉부(62)를 이용해서 형성되는 다른 접점 구조를 통하여 안정적으로 유지된다. 이 구조에 의하면, 가요성의 전선 등을 이용하여 전기 접속시킬 필요도 없고, 배선 덕트 접속 장치의 조립성이 향상하고, 부품수도 삭감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실시형태 1 ~ 3에 따른 배선 덕트 접속 장치는 접속 장치 본체(9)와, 접속 장치 본체(9)의 일단부에 형성되어 배선 덕트(100)의 단부에 삽입되는 삽입부(1)와, 삽입부(1)에 그 양 측면으로부터 돌출이 자유롭도록 유지된 접촉자(2)와, 접촉자(2)를 외측쪽으로 가압하는 탄성체(7)와, 외부 전선에 접속되는 속결 단자부(4)와, 접촉자(2)를 속결 단자부(4)에 전기 접속시키는 전기 접속 구조를 구비한다. 이 전기 접속 구조는 압력에 의해 접점끼리를 탄성적으로 접촉하는 접점 구조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접점끼리가 탄성적으로 접촉하는 접점 구조를 거치는 것에 의해, 접촉자(2)의 위치나 자세에 영향을 받지 않고, 접촉자(2)와 속결 단자부(4)를 안정적으로 전기 접속시킬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접점 구조를 이용함으로써, 배선 덕트 접속 장치의 조립성이 향상하고, 부품수도 삭감된다.
또한, 실시형태 1 ~ 3에 따른 배선 덕트 접속 장치에 있어서는 접촉자(2)의 외측단에, 길이 방향 X를 따라 연속되는 복수(각 실시형태에서는 한 쌍)의 볼록형상의 접촉부(20)를 일체로 형성하고 있다.
이에 따라, 탄성체(7)에 의해서 바깥쪽으로 가압되는 접촉자(2)는 그 외측단에 형성한 복수 개소의 접촉부(20)를 통해, 배선 덕트(100)의 도체(110)에 전기 접속된다. 그 때문에, 도체(110)에 대한 접촉 면적이 증가하고, 접촉 저항이 억제된다. 또한, 복수 개소에서 접촉하기 때문에, 접촉자(2)의 도체(110)에 대해 접촉하는 자세가 안정화된다.
또한, 실시형태 2에 따른 배선 덕트 접속 장치에 있어서, 탄성체(7)는 속결 단자부(4)로부터 연장되는 도전성 부재(31)로 이루어지고, 전기 접속 구조는 탄성체(7)가 가지는 접촉부(41)를, 탄성체(7)의 탄성력에 의해서 접촉자(2)에 탄성적으로 접촉하는 접점 구조로 이루어진다.
이에 따라, 속결 단자부(4)와 일체로 마련한 탄성체(7)를 이용해서, 접촉자(2)를 바깥쪽으로 밀어냄과 함께, 접촉자(2)를 속결 단자부(4)에 전기 접속시킬 수 있다. 그 때문에, 배선 덕트 접속 장치의 조립성이 향상하고, 부품수도 삭감된다.
또한, 실시형태 3에 따른 배선 덕트 접속 장치에서는 탄성체(7)는 도전성 부재(31)로 이루어지고, 전기 접속 구조는 탄성체(7)가 가지는 접촉부(41)를, 탄성체(7)의 탄성력에 의해서 접촉자(2)에 탄성적으로 접촉하는 접점 구조와, 탄성체(7)가 가지는 다른 접촉부(50)를, 속결 단자부(4)에 탄성적으로 접촉하는 접점 구조로 이루어진다.
이에 따라, 속결 단자부(4)와는 별개로 마련한 탄성체(7)를 이용하여, 접촉자(2)를 바깥쪽으로 밀어냄과 함께, 접촉자(2)를 속결 단자부(4)에 전기 접속시킬 수 있다. 그 때문에, 배선 덕트 접속 장치의 조립성이 향상하고, 부품수도 삭감된다.
실시형태 4, 5에 따른 배선 덕트 접속 장치는 접속 장치 본체(9)와, 접속 장치 본체(9)의 일단부에 형성되어 배선 덕트(100)의 단부에 삽입되는 제 1 삽입부(1A)와, 제 1 삽입부(1A)에 그 양 측면으로부터 돌출이 자유롭도록 유지된 제 1 접촉자(2A)와, 제 1 접촉자(2A)를 외측쪽으로 가압하는 제 1 탄성체(7A)와, 접속 장치 본체(9)의 타단부에 형성되어 다른 배선 덕트(100)의 단부에 삽입되는 제 2 삽입부(1B)와, 제 2 삽입부(1B)에 그 양 측면으로부터 돌출이 자유롭도록 유지된 제 2 접촉자(2B)와, 제 2 접촉자(2B)를 외측쪽으로 가압하는 제 2 탄성체(7B)와, 제 1 접촉자(2A)와 제 2 접촉자(2B)를 전기 접속시키는 전기 접속 구조를 구비한다. 이 전기 접속 구조는 접점끼리를 압력에 의해 탄성적으로 접촉하는 접점 구조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접점끼리가 탄성적으로 접촉하는 접점 구조를 거침으로써, 제 1 접촉자(2A)와 제 2 접촉자(2B)의 위치나 자세에 영향을 받지 않고, 양 접촉자(2A, 2B)를 안정적으로 전기 접속시킬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접점 구조를 이용함으로써, 배선 덕트 접속 장치의 조립성이 향상하고, 부품수도 삭감된다.
또한, 실시형태 4, 5에 따른 배선 덕트 접속 장치에서는 제 1 접촉자(2A)의 외측단과, 제 2 접촉자(2B)의 외측단에, 길이 방향 X를 따라 연속되는 복수의 볼록형상의 접촉부(20)를 일체로 형성하고 있다.
이에 따라, 바깥쪽으로 가압되는 제 1 및 제 2 접촉자(2A, 2B)는 모두, 외측단에 형성한 복수 개소의 접촉부(20)를 통해, 배선 덕트(100)의 도체(110)에 전기 접속된다. 그 때문에, 도체(110)에 대한 접촉 면적이 증가하고, 접촉 저항이 억제된다. 또한, 복수 개소에서 접촉하기 때문에, 각 접촉자(2A, 2B)의 도체(110)에 대해 접촉하는 자세가 안정화된다.
또한, 실시형태 5에 따른 배선 덕트 접속 장치에 있어서, 제 1 탄성체(7A)와 제 2 탄성체(7B)는 모두 도전성 부재(60)로 이루어지고, 전기 접속 구조는 제 1 탄성체(7A)가 가지는 접촉부(61)를, 제 1 탄성체(7A)의 탄성력에 의해서 제 1 접촉자(2A)에 탄성적으로 접촉하는 접점 구조와, 제 2 탄성체(7B)가 가지는 다른 접촉부(62)를, 제 2 탄성체(7B)의 탄성력에 의해서 제 2 접촉자(2B)에 탄성적으로 접촉하는 접점 구조로 이루어진다.
이에 따라, 제 1 탄성체(7A)와 제 2 탄성체(7B)(실시형태 5에서는 양 탄성체(7A, 7B)를 일체화시킨 탄성판 부재)를 이용하여, 제 1 접촉자(2A)와 제 2 접촉자(2B)를 모두 바깥쪽으로 밀어냄과 함께, 양 접촉자(2A, 2B)간을 전기 접속시킬 수 있다. 그 때문에, 배선 덕트 접속 장치의 조립성이 향상하고, 부품수도 삭감된다.
이상,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를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이들 특정 실시 형태에 한정되지 않고, 특허청구의 범위 및 그 균등물에 벗어나지 않는 다양한 변경 및 변형이 가능하며, 이러한 변경 및 변형도 본 발명의 범주에 속한다. 즉, 본 발명의 의도하는 범위내이면, 각 실시형태에 있어서 적절한 설계 변경을 실행하는 것이나, 각 실시형태의 구성의 결합이나 치환을 실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1: 삽입부
1A: 제1 삽입부
1B: 제2 삽입부
2: 접촉자
2A: 제1 접촉자
2B: 제2 접촉자
4: 속결 단자부
7: 탄성체
7A: 제1 탄성체
7B: 제2 탄성체
9: 접속 장치 본체
20: 접촉부
31: 도전성 부재
32: 접촉부
33: 접촉부
41: 접촉부
50: 접촉부
60: 도전성 부재
61: 접촉부
62: 접촉부
100: 배선 덕트
105: 코어
110: 도체
X: 길이 방향

Claims (8)

  1. 접속 장치 본체와,
    상기 접속 장치 본체의 일단부에 형성되어 배선덕트의 단부에 삽입되는 삽입부와,
    상기 삽입부에 그 양 측면으로부터 돌출이 자유롭도록 유지된 접촉자와,
    상기 접촉자를 외측쪽으로 가압하는 탄성체와,
    외부 전선에 접속되는 속결 단자부와,
    상기 접촉자를 상기 속결 단자부에 전기 접속시키는 전기 접속 구조
    를 구비하고,
    상기 전기 접속 구조는 압력에 의해 상기 접촉자와 상기 속결 단자부의 접점끼리를 탄성적으로 접촉하는 접점 구조로 이루어지고,
    상기 탄성체는 상기 속결 단자부로부터 연장되는 도전성 부재로 이루어지고,
    상기 전기 접속 구조는 상기 탄성체가 가지는 접촉부를, 상기 탄성체의 탄성력에 의해서 상기 접촉자에 탄성적으로 접촉하는 접점 구조로 이루어지는 배선 덕트 접속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자의 외측단에, 길이 방향으로 연속되는 복수의 볼록형상의 접촉부를 일체로 형성한 배선 덕트 접속 장치.
  3. 삭제
  4. 접속 장치 본체와,
    상기 접속 장치 본체의 일단부에 형성되어 배선덕트의 단부에 삽입되는 삽입부와,
    상기 삽입부에 그 양 측면으로부터 돌출이 자유롭도록 유지된 접촉자와,
    상기 접촉자를 외측쪽으로 가압하는 탄성체와,
    외부 전선에 접속되는 속결 단자부와,
    상기 접촉자를 상기 속결 단자부에 전기 접속시키는 전기 접속 구조
    를 구비하고,
    상기 전기 접속 구조는 압력에 의해 상기 접촉자와 상기 속결 단자부의 접점끼리를 탄성적으로 접촉하는 접점 구조로 이루어지고,
    상기 탄성체는 도전성 부재로 이루어지고,
    상기 전기 접속 구조는 상기 탄성체가 가지는 접촉부를, 상기 탄성체의 탄성력에 의해서 상기 접촉자에 탄성적으로 접촉하는 접점 구조와, 상기 탄성체가 가지는 다른 접촉부를, 상기 속결 단자부에 탄성적으로 접촉하는 접점 구조로 이루어지는 배선 덕트 접속 장치.
  5. 접속 장치 본체와,
    상기 접속 장치 본체의 일단부에 형성되어 배선 덕트의 단부에 삽입되는 제 1 삽입부와,
    상기 제 1 삽입부에 그 양 측면으로부터 돌출이 자유롭도록 유지된 제 1 접촉자와,
    상기 제 1 접촉자를 외측쪽으로 가압하는 제 1 탄성체와,
    상기 접속 장치 본체의 타단부에 형성되어 다른 배선 덕트의 단부에 삽입되는 제 2 삽입부와,
    상기 제 2 삽입부에 그 양 측면으로부터 돌출이 자유롭도록 유지된 제 2 접촉자와,
    상기 제 2 접촉자를 외측쪽으로 가압하는 제 2 탄성체와,
    상기 제 1 접촉자와 상기 제 2 접촉자를 전기 접속시키는 전기 접속 구조를 구비하고,
    상기 전기 접속 구조는 접점끼리를 압력에 의해 탄성적으로 접촉하는 접점 구조로 이루어지는 배선 덕트 접속 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접촉자의 외측단과, 상기 제 2 접촉자의 외측단에, 길이 방향으로 연속되는 복수의 볼록형상의 접촉부를 일체로 형성한 배선 덕트 접속 장치.
  7. 제 5 항 또는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탄성체와 상기 제 2 탄성체는 모두 도전성 부재로 이루어지고,
    상기 전기 접속 구조는 상기 제 1 탄성체가 가지는 접촉부를, 상기 제 1 탄성체의 탄성력에 의해서 상기 제 1 접촉자에 탄성적으로 접촉하는 접점 구조와, 상기 제 2 탄성체가 가지는 다른 접촉부를, 상기 제 2 탄성체의 탄성력에 의해서 상기 제 2 접촉자에 탄성적으로 접촉하는 접점 구조로 이루어지는 배선 덕트 접속 장치.
  8.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자의 외측단에, 길이 방향으로 연속되는 복수의 볼록형상의 접촉부를 일체로 형성한 배선 덕트 접속 장치.
KR1020120056222A 2011-05-31 2012-05-25 배선 덕트 접속 장치 KR10135923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1-122577 2011-05-31
JP2011122577A JP5895180B2 (ja) 2011-05-31 2011-05-31 配線ダクト接続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34038A KR20120134038A (ko) 2012-12-11
KR101359236B1 true KR101359236B1 (ko) 2014-02-05

Family

ID=472344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56222A KR101359236B1 (ko) 2011-05-31 2012-05-25 배선 덕트 접속 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5895180B2 (ko)
KR (1) KR101359236B1 (ko)
CN (1) CN102810779B (ko)
TW (1) TWI445270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4191964A (ja) * 2013-03-27 2014-10-06 Panasonic Corp 絶縁トロリー用接続装置
JP7429903B2 (ja) * 2020-06-19 2024-02-09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端子装置及びそれを備えた配線器具
CN116670947A (zh) * 2020-11-30 2023-08-29 松下控股株式会社 Dc管道系统、dc管道、供电构件和供电系统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26830A (ja) 1999-10-22 2001-05-11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配線ダクト接続装置
JP2003197026A (ja) 2001-12-26 2003-07-11 Toshiba Lighting & Technology Corp 配線器具、配線装置およびライティングダクト装置
JP2009283423A (ja) 2008-05-26 2009-12-03 Panasonic Electric Works Co Ltd 配線ダクト接続装置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49146499U (ko) * 1973-04-16 1974-12-18
JPS50126994U (ko) * 1974-03-30 1975-10-17
JPS5911426Y2 (ja) * 1978-10-30 1984-04-07 日立電線株式会社 配線ダクト用ジヨイント
JPS55161387A (en) * 1979-05-31 1980-12-15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Lighting duct connector
JPH0531835Y2 (ko) * 1986-10-27 1993-08-16
JPH0518220U (ja) * 1991-08-14 1993-03-05 松下電工株式会社 低電圧配線装置
JP2001160314A (ja) * 1999-12-02 2001-06-12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配電ダクト用プラグ
JP4178750B2 (ja) * 2000-12-22 2008-11-12 松下電工株式会社 配線ダクト用電気接続器
JP5383248B2 (ja) * 2009-02-25 2014-01-08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配線ダクトシステム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26830A (ja) 1999-10-22 2001-05-11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配線ダクト接続装置
JP2003197026A (ja) 2001-12-26 2003-07-11 Toshiba Lighting & Technology Corp 配線器具、配線装置およびライティングダクト装置
JP2009283423A (ja) 2008-05-26 2009-12-03 Panasonic Electric Works Co Ltd 配線ダクト接続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201320514A (zh) 2013-05-16
JP2012252804A (ja) 2012-12-20
KR20120134038A (ko) 2012-12-11
TWI445270B (zh) 2014-07-11
CN102810779B (zh) 2015-04-15
CN102810779A (zh) 2012-12-05
JP5895180B2 (ja) 2016-03-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364434B2 (en) Electrical connector with improved terminal
US7402049B2 (en) Contact for an interposer-type connector array
US9033743B2 (en) Electric connection terminal and connector including the same
JP4525699B2 (ja) 基板間接続コネクタ
US20110294326A1 (en) Floating connector
US9033722B2 (en) Electric connection terminal and connector including the same
KR101221840B1 (ko) 커넥터
JP6712794B2 (ja) コネクタおよび当該コネクタに用いられるヘッダならびにソケット
JP6241712B2 (ja) コネクタおよび当該コネクタに用いられるヘッダならびにソケット
US8172623B1 (en) Compression connector having contacting ends with co-used deforming section
CN102790308A (zh) 电连接器端子
KR101359236B1 (ko) 배선 덕트 접속 장치
JP6128435B2 (ja) コネクタおよび当該コネクタに用いられるヘッダならびにソケット
KR101333423B1 (ko) 배선 덕트 접속 장치
KR101306516B1 (ko) 배선 덕트 접속 장치
JP6327287B2 (ja) 電気コネクタ
US20200067223A1 (en) Contact Assembly
KR101340182B1 (ko) 배선 덕트 접속 장치
JP7002437B2 (ja) コネクタ
CN101783448A (zh) 一种板对板电连接器
JP4053515B2 (ja) コネクタ
JP2023092647A (ja) 基板コネクタ及び基板対基板コネクタ
JP2022060207A (ja) コネクタ
CN103178376A (zh) 电连接器和连接器组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1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1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19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