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58313B1 - 계측 장치 - Google Patents

계측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58313B1
KR101358313B1 KR1020110114349A KR20110114349A KR101358313B1 KR 101358313 B1 KR101358313 B1 KR 101358313B1 KR 1020110114349 A KR1020110114349 A KR 1020110114349A KR 20110114349 A KR20110114349 A KR 20110114349A KR 101358313 B1 KR101358313 B1 KR 10135831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xis
arm
winch
stage
mov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143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49363A (ko
Inventor
김성한
최두진
박영준
Original Assignee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1143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58313B1/ko
Publication of KR201300493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4936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583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5831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11/00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optical techniques
    • G01B11/24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optical techniques for measuring contours or curvatures
    • G01B11/25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optical techniques for measuring contours or curvatures by projecting a pattern, e.g. one or more lines, moiré fringes on the object
    • G01B11/2518Projection by scanning of the objec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23/00Details of mechanically-actuated clutches not specific for one distinct type
    • F16D23/12Mechanical clutch-actuating mechanisms arranged outside the clutch as such
    • F16D2023/123Clutch actuation by cams, ramps or ball-screw mechanism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17Systems in which incident light is modified in accordance with the properties of the material investigated
    • G01N21/59Transmissivity
    • G01N21/5907Densitometers
    • G01N2021/5957Densitometers using an image detector type detector, e.g. CCD

Abstract

계측 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계측 장치는 피계측물이 위치되는 스테이지, 스테이지의 양측면에 Y축 방향으로 설치되는 프레임, 프레임을 따라 이동하면서 스테이지에 위치한 피계측물을 촬상하는 촬상부 및 촬상부로부터 촬상된 영상을 제공받아 피계측물의 3차원 형상을 계측하는 영상처리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계측 장치{MEASURING APPARATUS}
본 발명은 계측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선박의 블록과 같은 대형 부재를 계측하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유조선, 컨테이너선, LNG 운반선과 같은 선박의 건조는 선체의 일부에 대해 선체를 구성하는 여러 개의 블록으로 나누고, 각 블록을 별도로 제작한 후 선체를 구성하는 각 블록을 조립하는 과정을 거친다. 블록을 조립하기 위해서는 블록과 블록 간의 정확한 정합이 요구되며, 정합된 블록들은 용접을 사용하여 점진적으로 대형 블록으로 결합되며, 최종적으로 선박의 조립이 완성된다. 만일 조립 과정에서 두 선박 블록의 정합이 정확하지 않은 경우에는 잉여 부분을 절삭 또는 연마하여 잘라내거나, 부족한 부분을 용접 등의 방법으로 채우는 과정이 추가적으로 요구되며, 이러한 과정은 선박 블록 조립 과정의 시간 및 비용을 증가시키는 요인이 되고 있다.
따라서, 두 블록을 정확하게 조립하기 위해서는 조립 대상 두 블록에서 서로 접합되어야 하는 지점들이 최소한의 오차로 일치되어야 한다.
종래의 가장 기본적인 방법은 선체를 구성하는 블록을 별도로 제작한 후 각 선체 블록을 조립하기 위해 정합하는 과정에서 줄자, 추, 오토레벨 등을 사용하여 정합시킬 블록의 위치를 수작업 및 육안으로 측정하였다. 이렇게 줄자, 추, 오토레벨 등을 이용한 수작업에 의한 선박 조립 과정은 작업자가 직접 선박 블록 위에서 작업을 해야 하므로 계측 장비의 오류 및 안전성, 그리고 과다한 작업 시간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빛 반사의 원리를 이용한 레이저 측정 기기인 광파기를 이용하는 방법에서는 작업자가 광파기로 정합시킬 두 블록의 각 지점의 위치를 측정하고, 정합 위치 좌표를 광파기의 디스플레이 화면에서 육안으로 확인한 좌표위치를 알려줌으로써 블록을 추가적으로 이송하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광파기는 레이져 빛 반사 원리를 활용한 방법으로서 빛의 직진성 때문에 지속적으로 시야를 확보할 수 있는 경우에만 작업이 가능하고, 조립 과정 중 블록의 이송이 진행되어 블록 간의 간격이 매우 좁은 경우, 또는 블록의 접합 면이 평면이 아닌 경우에는 관찰자의 시야를 확보하기 힘들어져 관찰할 수 없거나 관찰 지점을 수시로 변경해야만 하는 어려움이 있다.
또 다른 계측 방법에는 카메라를 이용하여 계측 물체를 촬영하고 그 영상을 처리하여 3차원 정보를 산출하는 사진계측(photogrammetry) 방식이 있다. 이 사진계측 방식은 계측하고자 하는 점의 3차원 좌표를 산출하기 위해 계측 물체의 사진을 복수장 촬영해야 한다. 하지만, 촬영할 때의 카메라의 위치 제약이나 카메라의 공간 위치 관계가 계측 결과에 크게 영향을 주기 때문에 조선소 환경에서 대형 블록을 다양한 각도에서 촬영하기가 어렵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계측 대상물의 촬영이 용이한 계측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계측 대상물을 일정한 간격을 두고 이동하면서 촬영할 수 있는 계측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여기에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피계측물이 위치되는 스테이지; 상기 스테이지의 양측면에 Y축 방향으로 설치되는 프레임; 상기 프레임을 따라 이동하면서 상기 스테이지에 위치한 피계측물을 촬상하는 촬상부; 및 상기 촬상부로부터 촬상된 영상을 제공받아 피계측물의 3차원 형상을 계측하는 영상처리부를 포함하는 계측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레임에 설치되고, 상기 스테이지의 측면과 나란한 Y축 방향으로 상기 촬상부를 이동시키는 Y축 이동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테이지의 측면과 나란한 Y축 방향으로 상기 프레임에 설치되는 가이드 레일; 상기 가이드 레일을 따라 이동하는 이동판; 상기 이동판에 장착되는 아암부; 상기 아암부의 끝단에 설치되고 상기 촬상부가 장착되는 거치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아암부는 z축을 회전축으로 회전가능하게 상기 이동판에 장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아암부는 피계측물의 크기에 따라 상기 촬상부의 촬영거리를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그 길이가 조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아암부는 피계측물의 크기에 따라 상기 촬상부의 촬영거리를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텔리스코픽 방식으로 길이가 가변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거치부는 수직 지지대; 상기 수직 지지대에 설치되고 상기 촬상부가 안착되는 하나 또는 복수의 스탠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나 또는 복수의 스탠드는 상기 지지대 상에서 Z축 방향으로 위치 조정이 가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촬상부는 좌우로 회전하는 제1회전체; 상하로 회전가능하며, 상기 제1회전체에 결합되는 제2회전체; 및 상기 제2회전체에 결합되는 카메라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아암부의 처짐 방지를 위한 처짐 방지 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처짐 방지 부재는 상기 이동판에 설치되는 윈치; 및 상기 윈치에 권취되고, 일단은 상기 아암부에 연결되어 상기 아암부를 일정한 장력으로 잡아주는 와이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처짐 방지 부재는 상기 와이어에 설치되는 장력센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처짐 방지 부재는 상기 아암부의 처짐에 의한 상기 거치부의 기울기를 감지하는 기울기 감지 센서; 및 상기 기울기 감지 센서에서 상기 거치부의 기울기를 감지하는 경우 상기 아암부의 처짐이 보상되도록 상기 윈치에 와이어가 감기거나 풀리도록 상기 윈치를 제어하는 윈치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피계측물이 위치되는 스테이지; 동일 수직선상에 서로 다른 높이로 위치되며, 상기 스테이지에 위치한 피계측물을 촬상하는 촬상부들; 상기 촬상부들이 피계측물 주위를 일정한 간격을 두고 이동하면서 촬영할 수 있도록 상기 촬상부들을 X축 및 Y축으로 이동시키고 Z축을 회전축으로 회전시키는 이동 유닛; 및 상기 촬상부로부터 촬상된 영상을 제공받아 피계측물의 3차원 형상을 계측하는 영상처리부를 포함하는 계측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동 유닛은 상기 스테이지의 측면과 나란한 Y축 방향으로 설치되는 Y축 이동부; 상기 Y축 이동부에 의해 이동하는 이동판; 상기 이동판에 X축 방향으로 설치되고, 텔리스코픽 방식으로 길이가 가변되는 아암부; 및 상기 아암부의 끝단에 설치되고 상기 촬상부가 장착되는 거치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아암부는 z축을 회전축으로 회전가능하게 상기 이동판에 장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거치부는 수직 지지대; 및 상기 수직 지지대에 설치되고, Z축 방향으로 위치 조정이 가능하며, 상기 촬상부가 안착되는 복수의 스탠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촬상부는 상기 복수의 스탠드에 장착되고, 좌우로 회전가능한 제1회전체; 상하로 회전가능하게 상기 제1회전체에 결합되는 제2회전체; 및 상기 제2회전체에 결합되는 카메라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아암부의 처짐 방지를 위한 처짐 방지 부재를 더 포함하되; 상기 처짐 방지 부재는 상기 이동판에 설치되는 윈치; 상기 윈치에 권취되고, 일단은 상기 아암부에 연결되어 상기 아암부를 일정한 장력으로 잡아주는 와이어; 상기 와이어의 장력을 감지하는 장력 센서; 상기 아암부의 처짐에 의한 상기 거치부의 기울기를 감지하는 기울기 감지 센서; 및 상기 장력 센서 및 상기 기울기 감지 센서에서 상기 와이어의 장력과 상기 거치부의 기울기를 감지하는 경우 와이어의 장력을 조절하도록 상기 윈치를 제어하는 윈치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선체 블록에 대한 촬영을 자동으로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다수의 카메라를 이용하여 동시 촬영이 가능하며 다른 각도에서 다수의 영상을 획득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계측 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계측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3 및 도 4는 이동 유닛을 보여주는 사시도 및 정면도이다.
도 5는 대형 선체 블록을 계측시 촬상부의 이동 경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6은 중형 선체 블록을 계측시 촬상부의 이동 경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7은 계측 장치의 다른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계측 장치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계측 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계측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계측 장치(10)는 스테이지(100), 프레임(200)들, 촬상부(500)들, 이동 유닛(300) 그리고 영상처리부(600)를 포함한다. 계측 장치(10)는 다수의 카메라들을 이용하여 피계측물을 촬영하고 그 영상을 처리하여 3차원 정보를 산출하는 사진계측(photogrammetry) 장치이다.
스테이지(100)에는 피계측물인 선체 블록(B)이 위치된다. 스테이지(100)는 받침부(110)들을 포함하며, 선체 블록(B)은 받침부(110) 상에 놓여진다.
프레임(200)들은 스테이지(100)의 양측면에 Y축 방향으로 서로 대응되게 설치된다.
이동 유닛(300)은 프레임(200)에 각각 설치된다. 이동 유닛(300)에는 3개의 촬상부(500)가 설치된다. 이동 유닛(300)은 촬상부(500)들이 선체 블록(B)의 주위를 일정한 간격을 두고 이동하면서 영상을 안정적으로 촬영할 수 있도록 촬상부(500)들의 이동을 제공한다.
도 3 및 도 4는 이동 유닛을 보여주는 사시도 및 정면도이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이동 유닛(300)은 Y축 이동부(310), 이동판(320), 아암부(330), 거치부(340) 그리고 처짐 방지 부재(380)를 포함한다.
Y축 이동부(310)는 프레임(200)에 설치된다. Y축 이동부(310)는 가이드 레일(312)과 직선이동장치인 볼스크류(314) 그리고 볼스크류(314)를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 구동시키는 구동모터(316)를 포함한다. 가이드 레일(312)과 볼스크류(314)는 프레임(200)의 길이방향(Y축 방향)으로 설치된다. Y축 이동부(310)는 볼스크류 구동 방식 이외에 벨트 구동, 랙 앤 피니언 구동, 리니어 모터와 같은 다양한 직선이동장치가 사용될 수 있다.
이동판(320)은 Y축 이동부(310)에 설치된다. 이동판(320)은 Y축 이동부(310)에 의해 Y축 방향으로 이동된다. 이동판(320)은 베이스판(322), 볼 스크류(314)에 나사결합으로 연결되는 너트(324), 가이드레일(312)에 연결되는 가이드링(326) 그리고 힌지부(327)를 포함한다. 너트(324)와 가이드링(326)은 베이스판(322)의 후면에 제공된다. 힌지부(327)은 힌지축(328)과 회동판(329)을 포함한다. 힌지축(328)은 Z축을 회전축으로 하여 베이스판(322) 정면에 설치된다. 회동판(329)은 힌지축(328)에 끼워져 힌지축(328)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된다. 회동판(329)에는 아암부(330)가 지면과 수평한 방향으로 설치된다.
아암부(330)는 이동판(320)의 힌지부(327)에 수평한 방향(X축 방향)으로 설치된다. 아암부(330)는 촬상부(500)와 선체 블록(B) 간의 간격 조절을 위해 길이가 가변되는 구조로 제공된다. 일 예에 의하면, 아암부(330)는 텔리스코픽 방식으로 길이가 가변될 수 있다. 아암부(330)는 다단으로 연장 및 축소시킬 수 있는 중공형의 제1단 내지 제4단 아암(331,332,333,334)을 포함한다. 제1단 아암(331)의 하단은 힌지부(327)의 회동판(329)에 결합되고, 제1단 아암(331)의 내측에는 제2단 아암(332)이 출몰할 수 있도록 수용된다. 제2단 아암(332)의 내측에는 제3단 아암(333)이 출몰할 수 있도록 수용되며, 제3단 아암(333)의 내측에는 제4단 아암(334)이 출몰할 수 있도록 수용된다. 아암부(330)는 4단 구조를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아암부(330)의 단수는 스테이지(100)의 크기 또는 계측하고자 하는 피계측물의 크기 등에 따라 적절하게 가감할 수 있다.
처짐 방지 부재(380)는 아암부(330)의 처짐을 방지한다. 처짐 방지 부재(380)는 윈치(382), 와어어(384)들, 기울기 감지 센서(386) 그리고 윈치 제어부(388)를 포함한다.
윈치(382)는 회동판(329)에 설치된다. 와이어(384)들은 윈치(382)에 권취되고, 일단은 아암부(330)의 제2단 아암(332)과 제3단 아암(333) 그리고 제4단 아암(334)에 각각 연결된다. 와이어(384)들은 아암부(330)를 일정한 장력으로 잡아줌으로써 아암부(330)의 처짐 현상을 방지한다. 와이어(384)에는 장력 센서(385)가 설치된다. 윈치 제어부(388)는 장력 센서(385)로부터 실시간으로 감지하는 신호를 제공받아 와이어(384)가 기설정 장력을 유지하도록 윈치(382)를 제어한다.
기울기 감지 센서(386)는 거치부(340)의 수직 지지대(342)에 설치된다. 수직 지지대(342)는 수평한 아암부(330)에 지면과 수직하게 설치된다. 따라서, 수직 지지대(342)는 아암부(330)의 처짐에 따라 기울어진다. 기울기 감지 센서(386)는 수직 지지대(342)의 기울기를 감지한다. 윈치 제어부(388)는 기울기 감지 센서(386)에서 수직 지지대(342)의 기울기를 감지하는 경우 아암부(330)의 처짐이 보상되도록 윈치(382)를 제어한다. 또 다른 예로, 기울기 감지 센서(386)은 아암부(330)의 기울기를 직접 감지할 수 있도록 아암부(330)의 제4단 아암(334)에 설치될 수 있다.
거치부(340)는 아암부(330)의 끝단(제4단 아암)에 설치된다. 거치부(340)는 수직 지지대(342)와 3개의 스탠드(344)를 포함한다. 수직 지지대(342)는 지면과 수직하도록 아암부(330)의 제4단 아암(334) 끝단에 설치된다. 3개의 스탠드(344)는 수직 지지대(342)에 소정 간격을 두고 설치된다. 스탠드(344)에는 촬상부(500)가 설치된다. 3개의 스탠드(344)는 수직 지지대(342) 상에서 Z축 방향으로 위치 조정이 가능하다. 일 예에 의하면, 수직 지지대(342)는 일면에 스탠드(344)의 슬라이드 이동을 위한 레일부(346)가 제공될 수 있다. 거치부(340)는 3개의 스탠드(344)로 구성하였지만, 이에 국한하지 않으며, 스탠드(344)의 개수는 계측 정밀도, 피계측물의 크기에 따라 적절하게 가감할 수 있다.
촬상부(500)는 제1회전체(510), 제2회전체(520) 그리고 카메라(530)를 포함한다. 제1회전체(510)는 스탠드(344)에 좌우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제2회전체(520)는 상하로 회전가능하게 제1회전체(510)에 결합된다. 카메라(530)는 제2회전체(520)에 결합된다. 제1회전체(510)의 좌우 회전은 지면과 수직한 축(예를 들면 Z축)을 회전축으로 하는 회전을 의미하고, 제2회전체(520)의 상하 회전은 지면과 수평한 축(예를 들면 Y축 또는 X축)을 회전축으로 하는 회전을 의미한다. 즉, 촬상부(500)들은 거치부(340)에 장착되는 위치에 따라 촬영 각도를 다르게 세팅할 수 있다.
영상처리부(600;도 1 참조)는 촬상부(500)들이 복수의 촬영위치에서 촬영한 복수의 영상을 기초하여 선체 블록(B)의 3차원 형상을 계측한다.
도 5은 대형 선체 블록을 계측시 촬상부의 이동 경로를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6은 도 5에 도시된 대형 선체 블록보다 작은 선체 블록을 계측시 촬상부의 이동 경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도면에 표시된 굵은 이점 쇄선은 촬상부(500)의 이동 경로를 보여준다. 선체 블록(B)의 좌측과 우측에 각각 배치되는 촬상부(500)들은 이동 유닛(300)의 동작에 의해 선체 블록(B) 주위를 일정한 거리를 두고 이동하면서 양질의 영상 획득이 가능하다. 또한, 동일 수직선상에 위치하는 3개의 촬상부(500)들은 서로 다른 높이, 서로 다른 각도에서 선체 블록(B)을 동시에 촬영할 수 있다.
도 7은 계측 장치의 다른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계측 장치(10a)는 도 2에 도시된 계측 장치(10)와 동일한 구성과 기능을 갖는 스테이지(100), 프레임(200)들, 촬상부(500)들, 이동 유닛(400) 그리고 영상처리부(600)를 포함하며, 이들에 대한 설명은 앞에서 상세하게 설명하였기에 본 실시예에서는 생략하기로 한다.
다만, 계측 장치(10a)는 이동 유닛(400)의 높낮이를 조절하기 위한 Z축 이동부(700)를 갖는데 그 특징이 있다. Z축 이동부(700)는 프레임(200)에 각각 설치된다. Z축 이동부(700)는 이동 유닛(300)의 높낮이를 조절한다. Z축 이동부(700)에는 볼스크류 구동, 벨트 구동, 랙 앤 피니언 구동, 리니어 모터와 같은 다양한 직선이동장치가 사용될 수 있다.
계측 장치(10a)는 선체 블록(피계측물)의 높이에 맞게 이동 유닛(300)의 높낮이를 조절함으로써 촬상부들이 선체 블록과 동등한 높이에서 촬영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 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 스테이지 200 : 프레임
300 : 이동 유닛 500 : 촬상부
600 : 영상처리부

Claims (19)

  1. 계측 장치에 있어서:
    피계측물이 위치되는 스테이지;
    상기 스테이지의 양측면에 Y축 방향으로 설치되는 프레임;
    상기 프레임을 따라 이동하면서 상기 스테이지에 위치한 피계측물을 촬상하는 촬상부;
    상기 촬상부로부터 촬상된 영상을 제공받아 피계측물의 3차원 형상을 계측하는 영상처리부;
    상기 스테이지의 측면과 나란한 Y축 방향으로 상기 프레임에 설치되는 가이드 레일;
    상기 가이드 레일을 따라 이동하는 이동판;
    상기 이동판에 장착되는 아암부;
    상기 아암부의 끝단에 설치되고 상기 촬상부가 장착되는 거치부를 포함하며;
    상기 아암부는 피계측물의 크기에 따라 상기 촬상부의 촬영거리를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그 길이가 조정되는 계측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에 설치되고, 상기 스테이지의 측면과 나란한 Y축 방향으로 상기 촬상부를 이동시키는 Y축 이동부를 더 포함하는 계측 장치.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아암부는
    z축을 회전축으로 회전가능하게 상기 이동판에 장착되는 계측 장치.
  5. 삭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아암부의 길이 조정은 텔리스코픽 방식으로 길이가 가변되는 계측 장치.
  7. 제 1 항 또는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거치부는
    수직 지지대;
    상기 수직 지지대에 설치되고 상기 촬상부가 안착되는 하나 또는 복수의 스탠드를 포함하는 계측 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또는 복수의 스탠드는 상기 지지대 상에서 Z축 방향으로 위치 조정이 가능한 계측 장치.
  9. 제 1 항 또는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촬상부는
    좌우로 회전하는 제1회전체;
    상하로 회전가능하며, 상기 제1회전체에 결합되는 제2회전체; 및
    상기 제2회전체에 결합되는 카메라를 포함하는 계측 장치.
  10. 제 1 항 또는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아암부의 처짐 방지를 위한 처짐 방지 부재를 더 포함하는 계측 장치.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처짐 방지 부재는
    상기 이동판에 설치되는 윈치; 및
    상기 윈치에 권취되고, 일단은 상기 아암부에 연결되어 상기 아암부를 일정한 장력으로 잡아주는 와이어를 포함하는 계측 장치.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처짐 방지 부재는
    상기 와이어에 설치되는 장력센서를 더 포함하는 계측 장치.
  13.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처짐 방지 부재는
    상기 아암부의 처짐에 의한 상기 거치부의 기울기를 감지하는 기울기 감지 센서; 및
    상기 기울기 감지 센서에서 상기 거치부의 기울기를 감지하는 경우 상기 아암부의 처짐이 보상되도록 상기 윈치에 와이어가 감기거나 풀리도록 상기 윈치를 제어하는 윈치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계측 장치.
  14. 계측 장치에 있어서:
    피계측물이 위치되는 스테이지;
    동일 수직선상에 서로 다른 높이로 위치되며, 상기 스테이지에 위치한 피계측물을 촬상하는 촬상부들;
    상기 촬상부들이 피계측물 주위를 일정한 간격을 두고 이동하면서 촬영할 수 있도록 상기 촬상부들을 X축 및 Y축으로 이동시키고 Z축을 회전축으로 회전시키는 이동 유닛; 및
    상기 촬상부로부터 촬상된 영상을 제공받아 피계측물의 3차원 형상을 계측하는 영상처리부를 포함하는 계측 장치.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유닛은
    Y축 이동부;
    상기 Y축 이동부에 의해 이동하는 이동판;
    상기 이동판에 X축 방향으로 설치되고, 텔리스코픽 방식으로 길이가 가변되는 아암부; 및
    상기 아암부의 끝단에 설치되고 상기 촬상부가 장착되는 거치부를 포함하는 계측 장치.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아암부는
    z축을 회전축으로 회전가능하게 상기 이동판에 장착되는 계측 장치.
  17. 제 15 항 또는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거치부는
    수직 지지대; 및
    상기 수직 지지대에 설치되고, Z축 방향으로 위치 조정이 가능하며, 상기 촬상부가 안착되는 복수의 스탠드를 포함하는 계측 장치.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촬상부는
    상기 복수의 스탠드에 장착되고, 좌우로 회전가능한 제1회전체;
    상하로 회전가능하게 상기 제1회전체에 결합되는 제2회전체; 및
    상기 제2회전체에 결합되는 카메라를 포함하는 계측 장치.
  19. 제 15 항 또는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아암부의 처짐 방지를 위한 처짐 방지 부재를 더 포함하되;
    상기 처짐 방지 부재는
    상기 이동판에 설치되는 윈치;
    상기 윈치에 권취되고, 일단은 상기 아암부에 연결되어 상기 아암부를 일정한 장력으로 잡아주는 와이어;
    상기 와이어의 장력을 감지하는 장력 센서;
    상기 아암부의 처짐에 의한 상기 거치부의 기울기를 감지하는 기울기 감지 센서; 및
    상기 장력 센서 및 상기 기울기 감지 센서에서 상기 와이어의 장력과 상기 거치부의 기울기를 감지하는 경우 와이어의 장력을 조절하도록 상기 윈치를 제어하는 윈치 제어부를 포함하는 계측 장치.
KR1020110114349A 2011-11-04 2011-11-04 계측 장치 KR10135831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14349A KR101358313B1 (ko) 2011-11-04 2011-11-04 계측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14349A KR101358313B1 (ko) 2011-11-04 2011-11-04 계측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49363A KR20130049363A (ko) 2013-05-14
KR101358313B1 true KR101358313B1 (ko) 2014-02-06

Family

ID=486601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14349A KR101358313B1 (ko) 2011-11-04 2011-11-04 계측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5831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78783B1 (ko) * 2020-12-08 2021-07-20 주식회사 엔시스 극판용 두께 측정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05310B1 (ko) * 2018-01-30 2019-07-30 한국해양과학기술원 진동방지기능을 갖는 정밀계측장치 및 정밀계측시스템
CN109668521A (zh) * 2019-01-30 2019-04-23 桂林电子科技大学 一种预制构件自动化快速三维建模系统
WO2021099648A1 (es) * 2019-11-18 2021-05-27 Asociacion Centro Tecnologico Ceit Sistema de control dimensional mediante vision fotogrametrica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524808A (ja) * 2003-03-07 2007-08-30 インターナショナル インダストリー サポート、インク 立体カメラセットを有する走査システム
KR100978148B1 (ko) * 2008-11-24 2010-08-25 주식회사 지팬스 컨테이너의 3차원 표면 영상획득 시스템
KR20110022600A (ko) * 2008-05-16 2011-03-07 록히드 마틴 코포레이션 초음파 데이터의 cad 공간으로의 맵핑을 위한 비전 시스템 및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524808A (ja) * 2003-03-07 2007-08-30 インターナショナル インダストリー サポート、インク 立体カメラセットを有する走査システム
KR20110022600A (ko) * 2008-05-16 2011-03-07 록히드 마틴 코포레이션 초음파 데이터의 cad 공간으로의 맵핑을 위한 비전 시스템 및 방법
KR100978148B1 (ko) * 2008-11-24 2010-08-25 주식회사 지팬스 컨테이너의 3차원 표면 영상획득 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78783B1 (ko) * 2020-12-08 2021-07-20 주식회사 엔시스 극판용 두께 측정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49363A (ko) 2013-05-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4067111B (zh) 用于跟踪和监测目标对象上的差异的自动化系统和方法
KR101358313B1 (ko) 계측 장치
US5118192A (en) System for 3-D inspection of objects
JP6450481B2 (ja) 撮像装置及び撮像方法
KR100888716B1 (ko) 지피에스 수신기와 항공촬영 정보를 이용한 지아이에스수치지도 보정시스템
CA2488301C (en) Laser survey device
US20190272424A1 (en) Remote visual inspection method and system
EP2896949B1 (en) Device, system and method for rapidly and comprehensively detecting lens actuator
JP6726885B2 (ja) 検査用カメラおよびこれを備えた検査システム、検査方法
US9488899B2 (en) Strobe device and imaging device provided with strobe device
US20120194651A1 (en) Shape measuring apparatus
JP7448397B2 (ja) 測量装置及び測量システム
CN110230981B (zh) 用于大尺寸件的尺寸检测系统及尺寸检测方法
JP2016197103A (ja) 放電発生箇所の検出装置
KR101342630B1 (ko) 오차보정을 통해 영상이미지의 정밀도를 향상시킨 영상이미지 처리시스템
KR100888715B1 (ko) 측량지점의 기준점 위치확인시스템
JP2009192292A (ja) 軌道検測装置および軌道検測方法
JP4409183B2 (ja) 検査装置
KR20120064348A (ko) 지표면의 고도정보와 지형지물을 관측하여 지리정보를 측량하는 장치 및 방법
JP5277600B2 (ja) 架空線撮影システム及び方法
KR101353612B1 (ko) 지피에스와 아이엔에스를 이용한 초정밀 항공촬영 장치
KR101830296B1 (ko) 기준점과 항공촬영 이미지를 합성한 공간영상도화 제작 시스템
CN113295696B (zh) 一种曲屏外弧裂纹光学检测装置
CN203616521U (zh) 一种视场角调整装置
KR101348800B1 (ko) 오차수정으로 영상이미지의 정밀도를 향상시킨 영상이미지 처리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0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0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2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