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64348A - 지표면의 고도정보와 지형지물을 관측하여 지리정보를 측량하는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지표면의 고도정보와 지형지물을 관측하여 지리정보를 측량하는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64348A
KR20120064348A KR1020100125536A KR20100125536A KR20120064348A KR 20120064348 A KR20120064348 A KR 20120064348A KR 1020100125536 A KR1020100125536 A KR 1020100125536A KR 20100125536 A KR20100125536 A KR 20100125536A KR 20120064348 A KR20120064348 A KR 2012006434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nge finder
laser range
feature
window
horizont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255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동성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지아이에스이십일
김동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지아이에스이십일, 김동성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지아이에스이십일
Priority to KR10201001255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064348A/ko
Publication of KR201200643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6434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15/00Surveying instrument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3/00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21/00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 G01C21/26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specially adapted for navigation in a road network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3/00Measuring distances in line of sight; Optical rangefinders
    • G01C3/10Measuring distances in line of sight; Optical rangefinders using a parallactic triangle with variable angles and a base of fixed length in the observation station, e.g. in the instrument
    • G01C3/20Measuring distances in line of sight; Optical rangefinders using a parallactic triangle with variable angles and a base of fixed length in the observation station, e.g. in the instrument with adaptation to the measurement of the height of an object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13/00Systems using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e.g. radar systems; Analogous systems using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waves whose nature or wavelength is irrelevant or unspecified
    • G01S13/88Radar or analogous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19/00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s; Determining position, velocity or attitude using signals transmitted by such systems
    • G01S19/01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s transmitting time-stamped messages, e.g. GPS [Global Positioning System], GLONASS [Global Orbiting Navigation Satellite System] or GALILEO
    • G01S19/13Receiver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29/00Maps; Plans; Charts; Diagrams, e.g. route diagra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Position Fixing By Use Of Radio Wav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치지도 제작에 기준이 되는 지형지물이 정확히 설정되어 있는 지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도록 된 지형지물 존재 및 고도정보를 관측하여 지표면의 지리정보를 측량하는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GPS수신기(70)를 탑재하고, 둘레부에 투시창(191)이 구비되어 차량(1)에 고정설치되는 케이스(190)와; 물탱크(201)와, 급수라인(202)을 통해 물탱크(201)와 연결되며 상기 케이스(190)의 외부에 구비되고 일측에는 투시창(191)을 향하도록 노즐(203a)이 구비된 급수관(203)과, 상기 급수라인(202)에 구비된 펌프(204)와, 상기 투시창(191)의 상하측에 위치되도록 케이스(190)의 외부면에 구비된 가이드레일(205)과, 상기 투시창(191)의 외부면에 밀착되도록 상기 가이드레일(205)에 슬라이드가능하게 장착된 와이퍼(206)와, 와이퍼(206)에 연결되어 와이퍼(206)를 작동시키는 와이퍼구동장치(207)를 포함하는 투시창세척장치(200)로 구성됨으로서, 수치지도 제작시 누락된 지형지물의 존재여부를 신속하게 검사하고, 필요에 따라, 지형지물의 좌표와 고도를 간편하게 측량할 수 있도록 된 지형지물 존재 및 고도정보를 관측하여 지표면의 지리정보를 측량하는 시스템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Description

지표면의 고도정보와 지형지물을 관측하여 지리정보를 측량하는 장치 및 방법{THE APPARATUS AND METHOD OF TOPOGRAPHY MEASURING}
본 발명은 수치지도 제작에 기준이 되는 지형지물이 정확히 설정되어 있는 지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는 지표면의 고도정보와 지형지물을 관측하여 지리정보를 측량하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용 네비게이션과 같은 GIS는 데이터화된 수치지도와, GPS수신기를 이용하여, 차량의 위치 및 목적지까지의 경로를 안내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와같은 GIS에 이용되는 수치지도는 항공사진을 촬영한 후, 임의로 설정된 기준점을 기준으로 주변의 도로시설물의 좌표를 수치정보화하여 제작된다.
한편, 이와같은 수치지도를 제작한 후에는 수치지도 제작시 누락된 지형지물이 있는지를 검사하고, 누락된 지형지물을 발견하면 해당 지형지물의 정보를 수치지도에 입력하는 보정과정을 거쳐야 하는데 이러한 과정이 매우번거롭고 시간이 많이 걸리는 문제점이 있었다
등록특허공보 제10-0892153호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수치지도 제작시 누락된 지형지물의 존재여부를 신속하게 검사하고, 필요에 따라, 지형지물의 좌표와 고도를 간편하게 측량할 수 있도록 된 지형지물 존재 및 고도정보를 관측하여 지표면의 지리정보를 측량하는 시스템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지표면의 고도정보와 지형지물을 관측하여 지리정보를 측량하는 장치는
GPS수신기(70)를 포함하는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GPS수신기(70)를 탑재하고, 둘레부에 투시창(191)이 구비되어 차량(1)에 고정설치되는 케이스(190)와;
물탱크(201)와, 급수라인(202)을 통해 물탱크(201)와 연결되며 상기 케이스(190)의 외부에 구비되고 일측에는 투시창(191)을 향하도록 노즐(203a)이 구비된 급수관(203)과, 상기 급수라인(202)에 구비된 펌프(204)와,
상기 투시창(191)의 상하측에 위치되도록 케이스(190)의 외부면에 구비된 가이드레일(205)과,
상기 투시창(191)의 외부면에 밀착되도록 상기 가이드레일(205)에 슬라이드가능하게 장착된 와이퍼(206)와,
와이퍼(206)에 연결되어 와이퍼(206)를 작동시키는 와이퍼구동장치(207)를 포함하는 투시창세척장치(200)로 구성됨으로서 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지형지물 존재 및 고도정보를 관측하여 지표면의 지리정보를 측량하는 시스템을 통해 지형지물의 좌표를 계산하여, 메모리에 저장된 지형지물의 정보와 비교하여, 해당 지형지물의 좌표가 정확히 설정되어 있는 지를 신속하게 확인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지형지물 존재 및 고도정보를 관측하여 지표면의 지리정보를 측량하는 시스템의 구성요소를 도시한 내부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투시창세척장치(200)의 구성요소를 도시한 내부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레이저거리측정기(50)와 평행하게 장착된 관측카메라(60)를 도시한 확대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투시창(191)의 구성요소를 도시한 내부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투시창(191)의 동작상태를 도시한 동작상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지형지물 존재 및 고도정보를 관측하여 지표면의 지리정보를 측량하는 시스템의 구성요소를 도시한 블럭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회전판(40)의 동작상태를 도시한 동작상태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레이저거리측정기(50)와 관측카메라(60)의 동작상태를 도시한 동작상태도.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예시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지형지물 존재 및 고도정보를 관측하여 지표면의 지리정보를 측량하는 시스템을 도시한 것으로, 지형지물 중에서 특히 건축물의 존재를 자동으로 탐지하고, 해당 건축물의 고도정보를 관측할 수 있도록 된 것을 예시한 것이다.
이에 따르면, 본 발명은, 둘레부에 투시창(191)이 구비되어 차량(1)에 고정설치되는 케이스(190)와; 상기 케이스(190)의 외부면에 구비된 투시창세척장치(200)와; 상기 케이스(190)의 내부에 구비된 지지대(10)와; 상기 지지대(10)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지지프레임(20)과; 상기 지지프레임(20)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된 수평대(30)와; 상기 수평대(30)에 구비되어 수평방향으로 회전되며 상면에는 브라켓(41)이 구비된 회전판(40)과; 상기 브라켓(41)에 상하방향으로 회동가능하게 구비되어 건축물(2)과의 거리를 측정하는 레이저거리측정기(50)와; 상기 레이저거리측정기(50)의 일측에 레이저거리측정기(50)와 평행하게 장착된 관측카메라(60)와; 상기 회전판(40)에 구비된 GPS수신기(70)와; 상기 회전판(40)에 구비된 방위각측정장치(80)와; 상기 수평대(30)에 구비되어 수평대(30)의 기울기를 측정하는 기울기측정센서(90)와; 상기 레이저거리측정기(50)에 연결되며 레이저거리측정기(50)의 상하방향 각도(θ2)를 측정하는 각도측정센서(100)와; 상기 지지프레임(20)의 X축프레임(21)에 연결되어 지지프레임(20)을 회동시키는 제1 구동장치(110)와; 상기 지지프레임(20)의 수평대(30)에 연결되어 수평대(30)를 회동시키는 제2 구동장치(120)와; 상기 회전판(40)에 연결되어 회전판(40)을 회전시키는 제3 구동장치(130)와; 상기 레이저거리측정기(50)에 연결되며 구동에 의해 레이저거리측정기(50)를 상하방향으로 회동시키는 제4구동장치(140)와; 상기 레이저거리측정기(50)와, 방위각측정장치(80)와, 기울기측정센서(90)와 각도측정센서(100)에 연결되고, 상기 제1 내지 제4 구동장치(110,120,130,140)를 제어하는 제어유닛(150)과; 상기 제어유닛(150)에 연결되어 작업자가 제어명령을 입력할 수 있도록 된 입력장치(160)와; 상기 제어유닛(150)에 연결되어관측카메라(60)에 촬영된 영상을 출력하는 모니터(170)로 이루어진다.
상기 케이스(190)는 사각의 금속박스로 구성되어 내부에 설치되는 부품을 보호할 수 있도록 된 것으로, 차량(1)의 지붕 중앙부에 설치된다. 상기 투시창(191)은 케이스(190)의 둘레면에 형성된 개구부(192)에 열처리된 유리판(193)을 끼워 이루어진 것으로, 케이스(190)의 내부에 설치되는 레이저거리측정기(50)가 투시창(191)을 통해 외부로 레이저를 출력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때, 상기 투시창(191)은 케이스(190)의 4면 둘레 전체에 최대한 크게 구성되어, 케이스(190)에 의해 발생되는 사각이 최소화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투시창세척장치(200)는 물탱크(201)와, 급수라인(202)을 통해 물탱크(201)와 연결되며 상기 케이스(190)의 외부에 구비되고 일측에는 투시창(191)을 향하도록 노즐(203a)이 구비된 급수관(203)과, 상기 급수라인(202)에 구비된 펌프(204)와, 상기 투시창(191)의 상하측에 위치되도록 케이스(190)의 외부면에 구비된 가이드레일(205)과, 상기 투시창(191)의 외부면에 밀착되도록 상기 가이드레일(205)에 슬라이드가능하게 장착된 와이퍼(206)와, 와이퍼(206)에 연결되어 와이퍼(206)를 작동시키는 와이퍼구동장치(207)로 이루어진다.
상기 물탱크(201)는 차량의 내부에 설치되어 급수라인(202)을 통해 급수관(203)에 연결된다. 상기 가이드레일(205)은 케이스(190)의 외부면에 상하측에 상호 평행하게 배치되며, 와이퍼(206)는 가이드레일(205)을 따라 좌우방향으로 슬라이드될 수 있도록 설치된다. 상기 와이퍼구동장치(207)는 와이퍼(206)에 연결된 리드스크류(207a)와, 리드스크류(207a)에 연결된 구동모터(207b)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펌프(204)와 구동모터(207b)는 상기 입력장치(110)에 의해 작동되므로, 작업자가 입력장치(110)를 조작하여, 펌프(204)와 구동모터(207b)를 ON시키므로써, 노즐(203a)을 통해 투시창(191)의 외부면에 물을 분사함과 동시에, 와이퍼(206)가 좌우로 슬라이드되어 투시창(191)의 외부면에 묻은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다.
상기 지지대(10)는 중앙부에 상하방향의 개구부(12)가 형성된 사각 블록형상으로 구성되어, 상기 케이스(190)의 내부바닥면에 고정설치된다.
상기 지지프레임(20)은 바형상으로 구성된 X축프레임(21)과, 바형상으로 구성되어 상기 X축프레임(21)에 직각되도록 결합된 Y축프레임(22)을 갖으며, 상기 X축프레임(21)은 Y축프레임(22)이 상하방향으로 회동되도록 상기 지지대(10)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된다. 이때, 상기 지지프레임(20)은 지지대(10)의 상면둘레부 양측에 구비된 축받이(12)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 Y축프레임(22)이 지지대(10)의 개구부(11) 내부에 위치되도록 설치된다.
상기 수평대(30)는 양단 하측에 아암(31)이 구비된 판형상으로 구성되어, 상기 아암(31)이 상기 지지프레임(20)의 Y축프레임(22)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 회전판(40)은 원판형상으로 구성되어, 도시안된 베어링에 의해 지지되어 상기 수평대(30)의 상면에 수평방향으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레이저거리측정기(50)는 레이저를 출력하는 레이저출력수단과, 레이저출력수단에서 출력되어 건축물(2)에 반사되어 돌아오는 레이저를 수신하는 수신수단와, 레이저출력수단에서 출력된 레이저가 반사되어 돌아오는 시간을 측정하여 거리를 측정하는 거리측정수단으로 구성되는 것으로, 양측에 구비된 회동축(51)이 상기 브라켓(41)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된 상태에서, 회전판(40)과 함께 수평방향으로 회전되어 방향전환되어, 차량(1)에서부터 건축물(2)까지의 거리를 자동으로 측정하여 측정된 거리데이터를 출력한다.
상기 관측카메라(60)는 초점이 자동으로 조절되는 망원렌즈가 구비된 것으로, 상기 레이저거리측정기(50)의 상측에 레이저거리측정기(50)와 평행하도록 설치되어 레이저거리측정기(50)와 함께 방향전환되므로써, 레이저거리측정기(50)에서 출력된 레이저가 반사되는 부위, 즉, 레이저거리측정기(50)가 거리를 측정하는 대상 건축물(2)을 촬영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GPS수신기(70)는 정지궤도상의 위성과 통신하여 GPS수신기(70)의 지표면상 위치를 좌표데이터 및 고도데이터로 출력하는 것으로, GPS수신기(70)에서 출력된 좌표를 바탕으로 회전판(40) 및 회전판(40)에 구비된 레이저거리측정기(50)의 좌표를 알 수 있다.
상기 방위각측정장치(80)는 전자식 나침반으로서, 상기 회전판(40)에 구비되어 회전판(40)과 함께 회전되어, 정북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회전판(40)과 회전판(40)에 구비된 레이저거리측정기(50)가 향하는 방위각(θ1)을 측정하여 측정된 방위각데이터를 출력하는 기능을 한다.
상기 기울기측정센서(90)는 상기 수평대(30)에 구비되어 수평대(30) 및 회전판(40)의 기울기를 측정한다.
즉,상기 기울기측정센서(90)는 수평면을 기준으로, 상기 X축프레임(21)과 평행한 X축 방향의 기울기와, 상기 Y축프레임(22)과 평행한 Y축방향 기울기를 측정하여, 측정된 기울기 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각도측정센서(100)는 레이저거리측정기(50)의 회동축(51)에 결합되어, 레이저거리측정기(50)가 상하방향으로 회동될 때, 레이저거리측정기(50)가 향하는 상하방향 각도(θ2)를 측정하여, 측정된 각도데이터를 출력할 수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제1 구동장치(110)는 도시안된 구동모터에 의해 구동되는 구동축(111)이 구비되며, 상기 지지대(10)에 고정된 상태에서 구동축(111)이 상기 X축프레임(21)에 연결되어, 구동에 따라 X축프레임(21)을 회전시켜, 지지프레임(20)의 Y축프레임(22)이 X축프레임(21)을 중심으로 상하방향으로 회동되도록 한다.
상기 제2 구동장치(120)는 도시안된 구동모터에 의해 구동되는 구동축(121)이 구비되며, 상기 수평대(30)에 고정된 상태에서 구동축(121)이 상기 Y축프레임(22)에 연결되어, 구동에 따라 수평대(30)가 상기 Y축프레임(22)을 중심으로 회동되도록 한다.
상기 제3 구동장치(130)는 도시안된 구동모터에 의해 구동되는 구동축(131)이 구비되며, 상기 수평대(30)의 하부면에 고정된 상태에서, 구동축(131)이 상기 회전판(40)의 센터에 연결되어, 구동에 따라 회전판(40)이 수평방향으로 회전되도록 한다.
상기 제4 구동장치(140)는 도시안된 구동모터에 의해 구동되는 구동축(141)이 구비되며, 상기 브라켓(41)에 고정된 상태에서 구동축(141)이 상기 레이저거리측정기(50)의 회동축(51)에 연결되어, 구동에 따라 레이저거리측정기(50)가 상하방향으로 회동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제어유닛(150)은, 수치지도 데이터가 저장된 메모리(151)가 구비되며, 상기 레이저거리측정기(50)와 관측카메라(60), GPS수신기(70), 방위각측정장치(80), 기울기측정장치(90), 각도측정센서(100)에서 출력되는 데이터를 수신하고, 제1 내지 제4 구동장치(110,120,130,140)를 제어하여, 주위에 있는 건축물(2)의 좌표를 지속적으로 계산하여 수치지도 데이터에서 누락된 건축물(2)을 검색한 후, 누락된 건축물(2)의 좌표와 높이 및 사진데이터를 메모리(151)에 저장하여, 수치지도데이터를 보정할 수 있도록 한다.
이를 위해, 상기 제어유닛은, 수평대(30)가 수평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는 수평유지부(152)와, 주변에 위치된 건축물(2)의 좌표를 계산하는 좌표연산부(153)와, 좌표연산부(153)에서 출력된 건축물(2)의 좌표데이터와 메모리(151)에 저장된 수치지도 데이터를 비교하는 비교판단부(154)와, 건축물(2)의 고도를 계산하는 고도계산부(155)로 이루어진다.
상기 수평유지부(152)는 상기 기울기측정센서(90)에서 출력되는 기울기데이터를 지속적으로 감시하여, 수평대(30) 및 회전판(40)이 수평면에 대해 기울어질 경우, 제1 및 제2 구동장치(110,120)를 작동시켜, 지지프레임(20)을 회동시키므로써, 수평대(30) 및 회전판(40)이 지속적으로 수평을 이루도록 조절한다.
상기 좌표연산부(153)는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레이저거리측정기(50)와 관측카메라(60)이 수평방향을 향하는 상태에서, 제3 구동장치(130)를 제어하여 회전판(40)을 회전시켜, 레이저거리측정기(50)와 관측카메라(60)를 지속적으로 수평방향으로 방향전환되도록 하므로써, 레이저거리측정기(50)가 주변에 위치된 불특정 다수의 건축물(2)과의 거리를 측정하도록 함과 동시에, 레이저거리측정기(50)에서 출력되는 거리데이터(L1)와, GPS수신기(70)에서 출력되는 좌표데이터와, 방위각측정장치(80)에서 출력되는 방위각데이터(θ1)를 수신하여, 이를 삼각측량법으로 연산하므로써, 각 건축물(2)의 좌표를 연산한다.
상기 비교판단부(154)는 좌표연산부(153)에서 출력된 건축물(2)의 좌표데이터와 메모리(151)에 저장된 수치지도데이터를 비교하여 수치지도 데이터에 누락된 건축물(2)이 있는 지를 비교판단하고 누락된 건축물(2)이 발견되면 해당 건축물(2)의 좌표데이터를 출력함과 동시에 제3 구동장치(130)를 제어하여 레이저거리측정기(50)와 관측카메라(60)가 해당 건축물(2)을 향하도록 한다.
이를 자세히 설명하면, 상기 비교판단부(154)는 좌표연산부(153)에서 임의의 건축물(2)의 좌표데이터가 출력되면, 메모리(151)에 저장된 수치지도 데이터를 검색하여, 해당 좌표에 위치된 건축물의 데이터가 있는지를 검색하고, 해당 좌표에 위치된 건축물의 데이터가 수치지도 데이터에 존재하지 않을 경우, 해당 건축물(2)의 데이터가 누락된 것으로 판단하고, 즉시, 제3 구동장치(130)를 정지시켜 레이저거리측정기(50)와 관측카메라(60)가 건축물(2)을 향한 상태에서 정지되도록 한다.
상기 고도계산부(155)는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작업자가 입력장치(160)를 조작하면 제4 구동장치(140)를 구동시켜 레이저거리측정기(50)와 관측카메라(60)를 상하방향으로 회동시키는 기능과, 레이저거리측정기(50)와 관측카메라(60)가 건축물(2)의 꼭대기부분을 향하도록 한 상태에서, 레이저거리측정기(50)에서 출력된 거리데이터(L2)와, 각도측정센서(100)에서 출력된 각도데이터(θ2)를 연산하여, 건축물(2)의 고도, 즉, 높이를 계산할 수 있다.
이때, 작업자는 상기 모니터(170)에 디스플레이되는 영상을 보면서, 제4 구동장치(140)를 구동시켜 관측카메라(60)가 건축물의 꼭대기부분을 향하도록 하므로써, 관측카메라(60)와 평행하게 배치된 레이저거리측정기(50)가 건축물(2)의 꼭대기까지의 거리를 측정하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제어유닛(150)은 주위에 있는 건축물(2)의 좌표를 지속적으로 계산하여 수치지도 데이터에서 누락된 건축물(2)을 검색한 후, 누락된 건축물(2)이 발견되면, 해당 건축물(2)의 좌표와 높이 및 사진데이터를 메모리(151)에 저장하여, 사후에 작업자가 메모리(151)에 저장된 데이터를 확인하여, 수치지도데이터를 보정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입력장치(160)는 on-off 스위치와, 키보드 등으로 이루어지며, 제어유닛(150)에 연결되어 제어유닛(150)과, 투시창세척장치(200)을 비롯한 각 장비를 on-off 시키거나 제어명령을 입력할 수 있다.
상기 모니터(170)는 제어유닛(150)에 연결되어, 상기 관측카메라(60)에 의해 촬영된 영상을 디스플레이 하여, 작업자가 모니터(170)에 디스플레이된 영상을 보면서 입력장치(160)로 제4 구동장치(140)를 제어하여 레이저거리측정기(50)가 건축물(2)의 꼭대기부분을 정확하게 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비교판단부(154)의 작동이 늦어져, 레이저거리측정기(50)가 수치지도 데이터에 누락된 건축물(2)을 지나쳐 정지된 경우, 작업자가 모니터(170)를 육안으로 확인하여, 입력장치(160)을 조작하여 레이저거리측정기(50)와 관측카메라(60)가 해당건축물(2)을 향하도록 방향전환시킬 수 있다.
따라서, 작업자가 임의의 장소에 차량(1)을 정차시킨 후, 상기 입력장치(160)를 조작하여 제어명령을 입력하면, 제어유닛(150)은 주위에 있는 건축물(2)의 좌표를 계산하고, 메모리(151)에 저장된 수치지도 데이터를 검색하여, 누락된 건축물(2)의 좌표데이터와 고도데이터 및 사진을 확보하여 메모리(151)에 저장하므로써, 이러한 데이터를 바탕으로 수치지도 데이터를 보정할 수 있다.
이와같이 구성된 지형지물 존재 및 고도정보를 관측하여 지표면의 지리정보를 측량하는 시스템은 작업자가 차량(1)을 운전하여 임의의 장소로 이동하여 차량(1)을 정차시킨 후 on 시키면, 자동으로 주변에 있는 건축물(2)의 좌표를 확인하여 수치지도 데이터에 누락된 건축물(2)을 검색하고, 간단하게, 해당 건축물(2)의 좌표데이터와 고도데이터 및 사진을 확보하여, 수치지도 데이터를 보정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차량(1)이 주행함에 따라 지지대(10)가 기울어질 경우, 상기 제1 및 제2 구동장치(110,120)를 제어하여 수평대(30)와 회전판(40)이 항상 수평상태를 유지하게 되므로, 회전판(40)에 장착된 레이저거리측정기(50)가 기울어져, 건축물(2)까지의 거리를 측정하는 데 오차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레이저거리측정기(50)를 비롯한 각종 기구가 상기 케이스(190)의 내부에 구비되므로써, 외부의 오염이나 충격으로부터 각종 기구를 보호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투시창(191)의 외부에는 투시창세척장치(200)가 구비되어, 또한, 상기 투시창(191)이 오염되어 레이저거리측정기(50)에서 출력되는 레이저가 투시창(191)을 투과할 수 없게 될 경우, 작업자는 상기 입력장치(160)를 조작하여 투시창세척장치(200)를 작동시키므로써, 투시창(191)을 닦아낼 수 있으므로, 투시창(191)이 오염되어 측정이 어려워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실시예의 경우, 지형지물 중에서 건축물(2)의 존재 및 고도정보를 관측하는 것을 예시하였으나, 필요에따라, 교각이나 야산 등과 같은 다양한 지형지물의 누락여부 및 고도정보를 관측하는데 활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10 : 지지대 20 : 지지프레임
30 : 수평대 40 : 회전판
50 : 레이저거리측정기 60 : 관측카메라
70 : GPS수신기 80 : 방위각측정장치
90 : 기울기측정센서 100 : 각도측정센서

Claims (3)

  1. GPS수신기(70)를 포함하는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GPS수신기(70)를 탑재하고, 둘레부에 투시창(191)이 구비되어 차량(1)에 고정설치되는 케이스(190)와;
    물탱크(201)와, 급수라인(202)을 통해 물탱크(201)와 연결되며 상기 케이스(190)의 외부에 구비되고 일측에는 투시창(191)을 향하도록 노즐(203a)이 구비된 급수관(203)과, 상기 급수라인(202)에 구비된 펌프(204)와,
    상기 투시창(191)의 상하측에 위치되도록 케이스(190)의 외부면에 구비된 가이드레일(205)과,
    상기 투시창(191)의 외부면에 밀착되도록 상기 가이드레일(205)에 슬라이드가능하게 장착된 와이퍼(206)와,
    와이퍼(206)에 연결되어 와이퍼(206)를 작동시키는 와이퍼구동장치(207)를 포함하는 투시창세척장치(20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표면의 고도정보와 지형지물을 관측하여 지리정보를 측량하는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는
    내부에 구비되는 지지대(10)와;
    X축프레임(21)과, 상기 X축프레임(21)에 직각되는 Y축프레임(22)을 갖으며, 상기 X축프레임(21)은 Y축프레임(22)이 상하방향으로 회동되도록 상기 지지대(10)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지지프레임(20)과;
    상기 지지프레임(20)의 Y축프레임(22)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된 수평대(30)와;
    상기 수평대(30)에 구비되어 수평방향으로 회전되며, 상면에는 브라켓(41)이 구비되고, GPS수신기(70)가 구비되는 회전판(40)과;
    상기 브라켓(41)에 상하방향으로 회동가능하게 구비되어 지형지물과의 거리를 측량하는 레이저거리측정기(50)와;
    상기 레이저거리측정기(50)의 일측에 레이저거리측정기(50)와 평행하게 장착된 관측카메라(60)와;
    상기 회전판(40)에 구비된 방위각측정장치(80)와;
    상기 수평대(30)에 구비되어 수평대(30)의 기울기를 측정하는 기울기측정센서(90)와;
    상기 레이저거리측정기(50)에 연결되며 레이저거리측정기(50)의 상하방향 각도(θ2)를 측정하는 각도측정센서(100)와;
    상기 지지프레임(20)의 X축프레임(21)에 연결되어 지지프레임(20)을 회동시키는 제1 구동장치(110)와;
    상기 지지프레임(20)의 수평대(30)에 연결되어 수평대(30)를 회동시키는 제2 구동장치(120)와;
    상기 회전판(40)에 연결되어 회전판(40)을 회전시키는 제3 구동장치(130)와;
    상기 레이저거리측정기(50)에 연결되며 구동에 의해 레이저거리측정기(50)를 상하방향으로 회동시키는 제4 구동장치(140)와;
    수치지도 데이터가 저장된 메모리(151)가 구비되며, 상기 레이저거리측정기(50)와, 방위각측정장치(80)와, 기울기측정센서(90)와 각도측정센서(100)에 연결되고, 상기 제1 내지 제4 구동장치(110,120,130,140)를 제어하는 제어유닛(150)과;
    상기 제어유닛(150)에 연결되어 작업자가 제어명령을 입력할 수 있도록 된 입력장치(160)와;
    상기 제어유닛(150)에 연결되어 관측카메라(60)에 촬영된 영상을 출력하는 모니터(17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표면의 고도정보와 지형지물을 관측하여 지리정보를 측량하는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유닛(150)은 상기 기울기측정센서(90)의 신호를 수신하고 제1 및 제2 구동장치(110,120)를 작동시켜 수평대(30)가 수평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는 수평유지부(152)와, 제3 구동장치(130)를 제어하여 레이저거리측정기(50)와 관측카메라(60)를 지속적으로 수평방향으로 회전시키며 레이저거리측정기(50)와 GPS수신기(70)와 방위각측정장치(80)에서 출력된 데이터를 수신하여 주변에 위치된 지형지물의 좌표를 계산하는 좌표연산부(153)와, 좌표연산부(153)에서 출력된 지형지물의 좌표데이터와 메모리(151)에 저장된 수치지도 데이터를 비교하여 수치지도 데이터에 누락된 지형지물이 있는 지를 비교판단하고 누락된 지형지물이 발견되면 해당 지형지물의 좌표데이터를 출력함과 동시에 제3 구동장치(130)를 제어하여 레이저거리측정기(50)와 관측카메라(60)가 해당 지형지물을 향하도록 하는 비교판단부(154)와, 작업자가 입력장치(160)로 제4 구동장치(140)를 제어하여 레이저거리측정기(50)가 지형지물의 꼭대기부분을 향하도록 하면 레이저거리측정기(50)와 각도측정센서(100)에서 출력된 데이터를 수신하여 해당 지형지물의 고도를 계산하는 고도계산부(155)를 포함하며, 제어유닛(150)은 누락된 지형지물이 발견되면 해당 지형지물의 좌표와 높이데이터 및 관측카메라(60)에 의해 촬영된 해당지형지물의 사진을 메모리(151)에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표면의 고도정보와 지형지물을 관측하여 지리정보를 측량하는 장치.

KR1020100125536A 2010-12-09 2010-12-09 지표면의 고도정보와 지형지물을 관측하여 지리정보를 측량하는 장치 및 방법 KR2012006434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25536A KR20120064348A (ko) 2010-12-09 2010-12-09 지표면의 고도정보와 지형지물을 관측하여 지리정보를 측량하는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25536A KR20120064348A (ko) 2010-12-09 2010-12-09 지표면의 고도정보와 지형지물을 관측하여 지리정보를 측량하는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64348A true KR20120064348A (ko) 2012-06-19

Family

ID=466844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25536A KR20120064348A (ko) 2010-12-09 2010-12-09 지표면의 고도정보와 지형지물을 관측하여 지리정보를 측량하는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20064348A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36902B1 (ko) * 2012-08-08 2013-02-25 대원항업 주식회사 항공 사진 도화에서의 오차를 방지하기 위한 수치 영상 도화 시스템 및 방법
KR101416364B1 (ko) * 2012-10-15 2014-07-08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포인팅 네비게이션 장치 및 방법과, 이를 이용한 개인용 이동체용 포인팅 네비게이션 시스템
CN104150124A (zh) * 2014-07-22 2014-11-19 大连理工大学 大型浮顶油罐溢油、泄漏gps实时预警系统
KR102600868B1 (ko) * 2023-04-12 2023-11-10 주식회사포앤텍 측지측량용 장비의 세척시스템
CN117516467A (zh) * 2024-01-05 2024-02-06 菏泽市自然资源和规划局 一种土地规划定位用测量装置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36902B1 (ko) * 2012-08-08 2013-02-25 대원항업 주식회사 항공 사진 도화에서의 오차를 방지하기 위한 수치 영상 도화 시스템 및 방법
KR101416364B1 (ko) * 2012-10-15 2014-07-08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포인팅 네비게이션 장치 및 방법과, 이를 이용한 개인용 이동체용 포인팅 네비게이션 시스템
CN104150124A (zh) * 2014-07-22 2014-11-19 大连理工大学 大型浮顶油罐溢油、泄漏gps实时预警系统
KR102600868B1 (ko) * 2023-04-12 2023-11-10 주식회사포앤텍 측지측량용 장비의 세척시스템
CN117516467A (zh) * 2024-01-05 2024-02-06 菏泽市自然资源和规划局 一种土地规划定位用测量装置
CN117516467B (zh) * 2024-01-05 2024-03-29 菏泽市自然资源和规划局 一种土地规划定位用测量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62061B1 (ko) 지표에 설치된 기준좌표점의 측지정보를 확인한도로시설물의 측량시스템
KR100892147B1 (ko) 지피에스 확인을 통한 기준점별 지리정보와 지형지물을관측하여 확인하는 지형측지시스템
US7701566B2 (en) Surveying system
JP6336837B2 (ja) 測量装置
KR100888716B1 (ko) 지피에스 수신기와 항공촬영 정보를 이용한 지아이에스수치지도 보정시스템
KR100892445B1 (ko) 지피에스 측정기와 기준점 표식정보를 이용한 수치지도작성시스템
JP6346011B2 (ja) 測量装置
US10634795B2 (en) Rover and rover measuring system
EP3483554A1 (en) Surveying device, and calibration checking method and calibration checking program for surveying device
KR100887361B1 (ko) 수치지도 오차 보정을 위한 기준거리의 실시간 측정용위치정보시스템
KR100878890B1 (ko) 수치지도의 업그레이드를 위한 지형지물의 높이측정 변경확인시스템
JP7313955B2 (ja) 測量装置、測量方法および測量用プログラム
JP7257326B2 (ja) 測量装置、測量システム、測量方法および測量用プログラム
KR101464162B1 (ko) 지상이미지에 적용된 지피에스(gps) 기준점별 수치지도의 세부정보 갱신시스템
KR20120064348A (ko) 지표면의 고도정보와 지형지물을 관측하여 지리정보를 측량하는 장치 및 방법
JP7355484B2 (ja) 3次元測量装置および3次元測量方法
KR100892153B1 (ko) 지형지물 존재 및 고도정보를 관측하여 지표면의 지리정보를 측량하는 시스템
KR100892150B1 (ko) 지피에스 기준점에 따라 수치지도 데이터를 갱신하는수치인식시스템
KR100855066B1 (ko) 수치지도 작성을 위한 지형지물의 수치화정보 설정시스템
JP4916780B2 (ja) 測量装置
JP2005003448A (ja) 電子式測量装置
KR102024238B1 (ko) 측지측량용 영상이미지 확보장치의 좌표정보 수정유지 시스템
JP2001033250A (ja) 測量装置
KR100892440B1 (ko) 수치지도의 기준점 오차확인을 통한 수치정보 갱신시스템
KR100892443B1 (ko) 기준점의 정밀 위치확인을 위한 지피에스형 수치정보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