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57505B1 - 자동차용 공조덕트 장착구조 - Google Patents

자동차용 공조덕트 장착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57505B1
KR101357505B1 KR1020120096185A KR20120096185A KR101357505B1 KR 101357505 B1 KR101357505 B1 KR 101357505B1 KR 1020120096185 A KR1020120096185 A KR 1020120096185A KR 20120096185 A KR20120096185 A KR 20120096185A KR 101357505 B1 KR101357505 B1 KR 10135750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lding bolt
nut
duct
air conditioning
conditioning du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961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재윤
Original Assignee
쌍용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쌍용자동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쌍용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0961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5750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575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5750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507Details, e.g. mounting arrangements, desaeration devices
    • B60H1/00557Details of ducts or cables
    • B60H1/00564Details of ducts or cables of air duc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507Details, e.g. mounting arrangements, desaeration devices
    • B60H1/00514Details of air conditioning housings
    • B60H1/00535Mounting or fastening of the housing to the vehicl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2Ducting arrang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007Combined heating, ventilating, or cooling devices
    • B60H1/00021Air flow details of HVAC devices
    • B60H2001/00078Assembling, manufacturing or layout detai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ir-Conditioning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용 공조덕트 장착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종래 공조덕트를 용접볼트가 구비된 브라켓에 의해 장착할 경우에는 용접볼트에 너트를 체결해 주어야 만이 공조덕트가 견고하게 장착되는 것이어서 너트 사용에 따른 부품비 증가와 체결공구를 사용하여 너트를 체결하여야 하기 때문에 그만큼 작업성이 저하되면서 생산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덕트몸체(100) 양단의 볼트공(111)이 있는 플랜지부(110)를 차체바디에 장착되는 브라켓(200)의 용접볼트(210)에 끼워 체결하는 자동차의 공조덕트에 있어서, 덕트몸체(100)의 플랜지부(110) 끝단에는 결합부(120)를 연장 형성하고, 결합부(120)에는 용접볼트(210)의 나사산(211)에 걸리는 걸림턱(122)이 홀 모서리나 내면에 구비된 체결공(121)을 원형 또는 장방형으로 형성하며, 플랜지부(110)와 결합부(120) 사이에는 접힘부(130)를 형성하여 플랜지부(110) 위로 중첩되어 접히는 결합부(120)를 용접볼트(210)에 끼우면 체결공(121)의 걸림턱(122)이 용접볼트(210)의 나사산(211)에 걸리면서 너트 없이 덕트몸체(100)가 고정되게 한 것으로서 이러한 본 발명은 너트를 사용하지 않고서도 덕트몸체(100)를 견고하게 장가할 수 있음에 따라 너트 삭제에 따른 부품비를 절감할 수 있는 것은 물론 너트 체결용 공구를 사용할 필요도 없어 그만큼 작업성이 좋아져서 생산성이 향상되는 매우 유용한 발명이다.

Description

자동차용 공조덕트 장착구조{air conditio ning ductstructure mounting for automobile}
본 발명은 자동차용 공조덕트 장착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히는 공조덕트를 장착시 너트와 체결공구를 사용치 않고서도 공조덕트를 장착할 수 있음에 따라 너트를 삭제함에 따른 부품비 절감은 물론 체결공구를 사용하지 않음에 따라 작업성이 좋아져서 생산성이 향상되는 자동차용 공조덕트 장착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공조장치는 주위의 각종 변화에 따른 온도 및 습도와 공기의 환경을 적당하게 유지하여 탑승자에게 쾌적한 느낌을 줄 수 있도록 한 장치로서 차량 외의 신선한 공기를 끌어들여 자동차 실내의 공기와 바꾸어 주는 환기장치와, 자동차 실내의 온도를 높게 유지시켜 주는 난방장치와, 차 실내의 온도를 낮게 유지시켜 주는 냉방장치로 구분된다.
공조덕트는 이러한 공조장치의 플로우덕트에 연결되어 유입되는 공기를 실내로 분배시키는 기능을 한다.
그러나 종래 공조덕트를 장착하는 데에는 많은 문제점이 있는 것으로서 이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즉, 종래에는 덕트몸체(10)의 양단에 체결공(12)이 구비된 플랜지부(11)를 형성하고, 브라켓(20)에는 용접볼트(21)를 돌출되게 설치하였다.
따라서 브라켓(20)을 차체바디(도면중 미도시)에 고정되게 설치한 후 이 브라켓(20)을 이용하여 덕트몸체(10)를 장착하는 것으로 우선 덕트몸체(10)의 플랜지부(11)에 형성된 볼트공(12)과 브라켓(20)의 용접볼트(21)가 일치되도록 덕트몸체(10)를 브라켓(20)상면에 위치시킨 후 덕트몸체(10)를 하향으로 내려 볼트공(12)속으로 용접볼트(21)가 끼워져 돌출되게 덕트몸체(10)를 브라켓(20)에 밀착시킨다.
이후 덕트몸체(10)의 볼트공(12)으로 돌출된 용접볼트(21)에 체결공구를 사용하여 너트(30)를 체결하여 덕트몸체(10)를 장착하는 것이다.
이처럼 종래에는 덕트몸체(10)를 장착할때 너트(30)와 체결공구를 사용하기 때문에 너트(30)사용에 따른 부품비 증가는 물론 체결공구 사용으로 인해 그만큼 작업성이 저하되면서 생산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공조덕트를 장착 시 너트와 체결공구를 사용하지 않고서도 장착할 수 있음에 따라 너트 삭제에 따른 부품비 절감과 체결공구를 사용치 않음에 따른 작업성이 개선되어 생산성이 향상되는 자동차용 공조덕트 장착구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덕트몸체 양단의 볼트공이 있는 플랜지부를 차체바디에 장착되는 브라켓의 용접볼트에 끼워 체결하는 자동차의 공조덕트에 있어서, 덕트몸체의 플랜지부 끝단에는 결합부를 연장 형성하고, 결합부에는 용접볼트의 나사산에 걸리는 걸림턱이 모서리나 내면에 구비된 체결공을 원형 또는 장방형으로 형성하며, 플랜지부와 결합부 사이에는 접힘부를 형성하여 플랜지부 위로 중첩되어 접히는 결합부를 용접볼트에 끼우면 체결공의 걸림턱이 용접볼트의 나사산에 걸리면서 너트 없이 덕트몸체가 고정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용접볼트에 너트를 체결하지 않고서도 공조덕트를 견고하게 장착할 수 있음에 떠라 너트 삭제에 따른 부품비 절감을 이룰 수 있는 것이고 아울러 너트를 삭제하면 체결공구를 사용할 필요가 없어 그만큼 작업성이 좋아져 생산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도 1 은 종래 공조덕트 장착구조를 도시한 사시도.
도 2a,2b는 본 발명에 따른 공조덕트 장착구조를 예시한 사시도로서 2a는 공조덕트를 브라켓에 가조립한 상태이고, 2b는 조립한 이후이다.
도 3 은 도 2a의 "A"부분 확대 사시도.
도 4 는 본 발명에 따라 공조덕트가 브라켓에 결합한 상태의 요부 단면도.
도 5 는 본 발명에 따라 덕트몸체의 결합부에 체결공이 형성된 상태를 예시한 요부 확대 단면도.
이하 본 발명의 특징을 효과적으로 달성할 수 있는 바람직한 실시 예로서 그 기술구성 및 작용효과를 첨부된 도면에 의해 상세하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a,2b는 본 발명에 따른 공조덕트 장착구조를 예시한 사시도로서 2a는 공조덕트를 브라켓에 가조립한 상태이고, 2b는 조립한 이후이며, 도 3 은 도 2a의 "A"부분 확대 사시도이고, 도 4 는 본 발명에 따라 공조덕트가 브라켓에 결합한 상태의 요부 단면도이며, 도 5 는 본 발명에 따라 덕트몸체의 결합부에 체결공이 형성된 상태를 예시한 요부 확대 단면도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덕트몸체(100) 양단의 볼트공(111)이 있는 플랜지부(110)를 차체바디에 장착되는 브라켓(200)의 용접볼트(210)에 끼워 체결하는 자동차의 공조덕트에 있어서, 덕트몸체(100)의 플랜지부(110) 끝단에는 결합부(120)를 연장 형성하고, 결합부(120)에는 용접볼트(210)의 나사산(211)에 걸리는 걸림턱(122)이 홀 모서리나 내면에 구비된 체결공(121)을 장방형 또는 원형으로 형성한다.
그리고 플랜지부(110)와 결합부(120) 사이에는 접힘부(130)를 형성하여 플랜지부(110) 위로 중첩되어 접히는 결합부(120)를 용접볼트(210)에 끼우면 체결공(121)의 걸림턱(122)이 용접볼트(210)의 나사산(211)에 걸리면서 너트 없이 덕트몸체(100)가 고정되게 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덕트몸체(100)를 차체바디(도면중 미도시)에 설치된 브라켓(200)에 의해 장착되게 하는 것은 종래와 마찬가지이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의 특징은 덕트몸체(100)를 브라켓(200)의 용접볼트(210)에 의해 장착시 용접볼트(210)에 너트를 체결하지 않고서도 덕트몸체(100)를 견고하게 장착할 수 있음에 따라 너트 삭제에 따른 부품비를 절감할 수 있는 것은 물론 너트를 조여주기 위한 체결공구가 불필요해 그만큼 작업성이 개선되어 생산성이 향상되는 것이다.
즉, 본 발명은 덕트몸체(100)의 플랜지부(110) 끝단을 연장하여 접히는 결합부(120)를 형성하고 그 결합부(120)에는 걸림터(122)이 구비된 체결공(121)을 형성하였다.
따라서 덕트몸체(100)를 장착하고자 할 경우에는 덕트몸체(100)의 플랜지부(110)에 형성된 볼트공(111)속으로 차체바디에 설치된 브라켓(200)의 용접볼트(210)가 끼워져 돌출되게 덕트몸체(100)를 브라켓(200)위에 가조립시킨다.
이처럼 덕트몸체(100)의 플랜지부(110)에 구비된 볼트공(111)속으로 브라켓(200)의 용접볼트(210)가 돌출되게 하여 덕트몸체(100)를 가조립한 이후에는 플랜지부(110)에서 연장 형성된 결합부(120)를 용접볼트(210)방향으로 접어 결합부(120)에 형성된 체결공(121) 속으로 용접볼트(210)가 끼워져 돌출되게 하면 결합부(120)와 플랜지부(110)가 서로 중첩된다.
여기서 플랜지부(110)와 결합부(120)사이에는 접힘부(130)가 형성되어 있고, 이 접힘부(130)는 접힘홈(131)에 의해 두께살을 얇게 하거나 다수의 접힘공(132)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결합부(120)를 접을 시 작업자가 힘들이지 않고 손쉽게 접을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결합부(120)에 형성된 체결공(121)은 장방형 또는 원형으로 형성할 수 있는 것으로 즉, 장방형 일 경우에는 도2a, 2b 에서와 같이 덕트몸체(100)를 브라켓(200)에 가조립한 상태에서 결합부(120)를 접어주면 되는 것이고, 도시하지는 안았지만 결합부(120)의 체결공(121)이 원형일 경우에는 덕트몸체(100)를 브라켓(200)에 가조립하기 전에 미리 결합부(120)를 접어서 플랜지부(110)와 결합부(120)를 중첩시켜 플랜지부(110)의 볼트공(111)과 결합부(120)의 체결공(121)을 서로 일치시킨 상태에서 덕트몸체(100)를 브라켓(200)에 밀착시켜 브라켓(200)의 용접볼트(210)가 볼트공(111)과 체결공(121)에 차례로 끼워져 돌출되게 하면 된다.
이렇게 덕트몸체(100)를 브라켓(200)에 장착하게 되면 용접볼트(210)에 너트를 체결하지 않아도 덕트몸체(100)가 견고하게 장착되는 것인데 이는 체결공(121)모서리나 내면에 걸림턱(122)이 형성되어 있어 결합부(120)의 체결공(121)속으로 용접볼트(210)가 끼워지면 걸림턱(122)이 용접볼트(210)의 나사산(211)에 걸리어 이탈되지 않음에 따라 덕트몸체(100)가 견고하게 고정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 결합부(120)의 체결공(121)에 형성된 걸림턱(122)은 탄력성을 부여하는 요입부(123)를 다수 형성하여 용접볼트(210)의 나사산(211)에 걸림턱(122)이 걸리면 탄력적으로 견고하게 걸리도록 하였다.
그리고 결합부(120)의 체결공(121)테두리 외측에는 걸림턱(122)의 지지력을 보강해 주는 보강부(124)를 빙둘러 형성하였기 때문에 걸림턱(122)이 용접볼트(210)의 나사산(211)에 더욱 견고하게 걸릴 수 있어 그만큼 덕트몸체(100)를 더욱 견고하게 장착할 수 있는 것이다.
100 : 덕트몸체 110 : 플랜지부
111 : 볼트공 120 : 결합부
121 : 체결공 122 : 걸림턱
123 : 요입부 124 : 보강부
130 : 접힘부 131 : 접힘홈
132 : 접힘공 200 : 브라켓
210 : 용접볼트 211 : 나사산

Claims (4)

  1. 덕트몸체(100) 양단의 볼트공(111)이 있는 플랜지부(110)를 차체바디에 장착되는 브라켓(200)의 용접볼트(210)에 끼워 체결하는 자동차의 공조덕트에 있어서,
    덕트몸체(100)의 플랜지부(110) 끝단에는 결합부(120)를 연장 형성하고,
    결합부(120)에는 용접볼트(210)의 나사산(211)에 걸리는 걸림턱(122)이 홀 모서리나 내면에 구비된 체결공(121)을 원형 또는 장방형으로 형성하며,
    플랜지부(110)와 결합부(120) 사이에는 접힘부(130)를 형성하여
    플랜지부(110) 위로 중첩되어 접히는 결합부(120)를 용접볼트(210)에 끼우면 체결공(121)의 걸림턱(122)이 용접볼트(210)의 나사산(211)에 걸리면서 너트 없이 덕트몸체(100)가 고정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공조덕트 장착구조
  2. 제 1 항에 있어서,
    플랜지부(110)와 결합부(120)사이의 접힘부(130)는,
    접힘홈(131)에 의해 두께살을 얇게 하거나 다수의 접힘공(132)에 의해 쉽게 접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공조덕트 장착구조.
  3. 제 1 항에 있어서,
    체결공(121) 내주면의 걸림턱(122)은,
    탄력성을 부여하는 요입부(123)를 다수 형성하여 용접볼트(210)의 나사산(211)에 탄력적으로 견고하게 걸리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공조덕트 장착구조.
  4. 제 1 항에 있어서,
    결합부(120)의 체결공(121) 테두리 외측에는,
    걸림턱(122)의 지지력을 보강하는 해 주는 보강부(124)를 빙둘러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공조덕트 장착구조.
KR1020120096185A 2012-08-31 2012-08-31 자동차용 공조덕트 장착구조 KR10135750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96185A KR101357505B1 (ko) 2012-08-31 2012-08-31 자동차용 공조덕트 장착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96185A KR101357505B1 (ko) 2012-08-31 2012-08-31 자동차용 공조덕트 장착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57505B1 true KR101357505B1 (ko) 2014-02-04

Family

ID=502696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96185A KR101357505B1 (ko) 2012-08-31 2012-08-31 자동차용 공조덕트 장착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5750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04652A (ko) * 2019-07-05 2021-01-13 엔브이에이치코리아(주) 콘솔덕트 장착 구조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63945U (ja) * 1992-02-06 1993-08-24 トヨタ車体株式会社 フューエルタンクのプロテクタ取付用樹脂ナット
JPH0674451U (ja) * 1993-03-30 1994-10-21 日野自動車工業株式会社 エアダクト取付け部
JPH09303639A (ja) * 1996-05-15 1997-11-28 Calsonic Corp ボルト固着構造および固着方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63945U (ja) * 1992-02-06 1993-08-24 トヨタ車体株式会社 フューエルタンクのプロテクタ取付用樹脂ナット
JPH0674451U (ja) * 1993-03-30 1994-10-21 日野自動車工業株式会社 エアダクト取付け部
JPH09303639A (ja) * 1996-05-15 1997-11-28 Calsonic Corp ボルト固着構造および固着方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04652A (ko) * 2019-07-05 2021-01-13 엔브이에이치코리아(주) 콘솔덕트 장착 구조
KR102235653B1 (ko) * 2019-07-05 2021-04-05 엔브이에이치코리아(주) 콘솔덕트 장착 구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55706B1 (ko) 카울크로스 구조
US11987157B2 (en) Vehicle seat
JP2005096684A (ja) 車体前部の導風構造
JP6444593B2 (ja) エンジンルームの構造
US9139071B2 (en) Installation aid for a ventilation nozzle and a ventilation duct of a motor vehicle, ventilation nozzle, ventilation duct, and dashboard
KR101357505B1 (ko) 자동차용 공조덕트 장착구조
JP5796819B2 (ja) 自動車のピラー構造
US20120289140A1 (en) Air outlet for ventilating the interior of a motor vehicle
JP6040142B2 (ja) 吸気取入構造
JP6260820B2 (ja) インストルメントパネル構造
KR20170050099A (ko) 여객용 상용차의 에어컨 유닛 지지구조
JP5573492B2 (ja) 自動車の空気調整機の取り付け構造
JP6609853B2 (ja) 車両の空調ユニット取付部構造
JP2008105465A (ja) ベントダクトの固定構造
JP6601733B2 (ja) 車両用空調ダクトの取付部構造
KR20190054291A (ko) 자동차의 헤드라이너에 와이어링을 장착하는 구조
JP2010012846A (ja) 車両の前部車体構造
JP5477633B2 (ja) インストルメントパネル
JP2018149935A (ja) ダクト構造
JP6500762B2 (ja) 車両用ドア構造
JP2017159842A (ja) ステアリングメンバー装置
KR101677711B1 (ko) 자동차용 전자기기 장착 조립체
CN203637584U (zh) 一种连接吹面风管和仪表板的加强件
KR101240861B1 (ko) 자동차용 공조시스템의 마운팅구조
JPH09207549A (ja) 内装パネル付きダク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1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1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19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