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57236B1 - 컬러 폴리이미드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컬러 폴리이미드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57236B1
KR101357236B1 KR1020110133911A KR20110133911A KR101357236B1 KR 101357236 B1 KR101357236 B1 KR 101357236B1 KR 1020110133911 A KR1020110133911 A KR 1020110133911A KR 20110133911 A KR20110133911 A KR 20110133911A KR 101357236 B1 KR101357236 B1 KR 10135723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lor
pigment
phthalocyanine
polyimide
polymeriz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339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67074A (ko
Inventor
송종석
Original Assignee
송종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송종석 filed Critical 송종석
Priority to KR10201101339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57236B1/ko
Publication of KR201300670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6707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572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5723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2Elements
    • C08K3/04Carbon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73/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linkage containing nitrogen with or without oxygen or carbon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not provided for in groups C08G12/00 - C08G71/00
    • C08G73/06Polycondensates having nitrogen-containing heterocyclic rings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 C08G73/10Polyimides; Polyester-imides; Polyamide-imides; Polyamide acids or similar polyimide precurso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3/00Processes of treating or compound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3/20Compounding polymers with additives, e.g. colour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5/00Manufacture of articles or shaped materials contain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5/18Manufacture of films or sheet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0008Organic ingredient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the "one dot" groups of C08K5/01 - C08K5/59
    • C08K5/0041Optical brightening agents, organic pigm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79/00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a linkage containing nitrogen with or without oxygen or carbon only, not provided for in groups C08L61/00 - C08L77/00
    • C08L79/04Polycondensates having nitrogen-containing heterocyclic rings in the main chain; Polyhydrazides; Polyamide acids or similar polyimide precursors
    • C08L79/08Polyimides; Polyester-imides; Polyamide-imides; Polyamide acids or similar polyimide precurso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201/00Properties
    • C08L2201/02Flame or fire retardant/resistant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201/00Properties
    • C08L2201/08Stabilised against heat, light or radiation or oxyda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203/00Applications
    • C08L2203/16Applications used for film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Forming Nitrogen-Containing Linkages In General (AREA)

Abstract

컬러 폴리이미드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에 개시된다. 본 발명의 컬러 폴리이미드 조성물은, 폴리이미드 75~99wt%; 컬러안료와 CNT 블랙안료 중 어느 하나인 안료 0.01~20wt%; 분산제 0.01~20wt%; 및 레벨링제 0.01~20wt%;로 이루어진다. 이에 의하여, 폴리이미드에 다양한 컬러를 구현함과 동시에 내열성, 절연성, 내화학성, 내알칼리성, 굴곡성 등을 개선하여, 플렉서블 인쇄회로기판의 커버레이로 적용할 수 있고, CNT 블랙안료를 포함하는 폴리이미드 필름은 종래에 비해 상대적으로 얇은 두께의 필름에 의해서도 충분한 광 차단 효과 및 절연성을 나타낼 수 있다.

Description

컬러 폴리이미드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COLOR POLYIMIDE COMPOSITION AND PREPARATION METHOD OF THE SAME}
본 발명은 폴리이미드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스마트폰 등 디스플레이기 기기의 베젤(bezel), 플렉서블 인쇄회로기판(flexible PCB)의 커버레이(coverlay) 등으로 이용될 수 있는 안료 또는 CNT가 첨가된 폴리이미드 조성물 및 필름에 관한 것이다.
폴리이미드는 산 이미드 구조를 갖는 중합체의 총칭하는 것으로서, 보통 방향족 이미드계를 지칭하지만 지방족의 말레이미드계 등을 포함하는 것을 포함하기도 한다. 일반적으로 방향족 테트라카르복시산 무수물과 방향족 디아민에서 축합으로 만들어지며, 내열성이 우수한 특성을 갖는다. 방향족 이미드의 올리고머의 말단에 이중결합과 삼중결합을 도입하여 열 가교하는 복합재료용의 열경화성 수지를 제조할 수 있다.
폴리이미드 수지는 불용, 불융의 초고내열성 수지로서 내열산화성, 내열특성, 내방사선성, 저온특성, 내약품성, 내충격성, 치수 안정성, 내마찰성 등이 우수하여, 자동차 재료, 항공소재, 우주선 소재 등의 내열 첨단소재 및 절연코팅제, 절연막, 반도체, TFT-LCD의 전극 보호막과 같은 전자재료로 이용되고 있다.
특히, 상용화된 필름 중 내열성 및 내한성이 우수하여 IT 기기의 소형, 경량화에 따른 FCCL(Flexible Copper Clad Laminate), FPCB(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반도체 공정 소재, 절연재 등의 핵심소재로 이용되고 있으며, LED, 태양전지, 전자종이 등에도 다양하게 적용되고 있다.
특히, 스마트폰, 테블릿 컴퓨터를 비롯한 각종 디스플레이 기기에 적용되는 차폐 목적의 베젤, 각종 전자기기에 사용되는 인쇄회로기판(PCB)에 커버레이(coverlay)로서 폴리이미드 필름의 이용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리지드(rigid) 인쇄회로기판은 녹색의 SR(Solder Resist) 처리를 하지만, 플렉서블 인쇄회로기판의 경우에는 굴곡성을 요구하기 때문에 SR을 적용할 수 없어서, 굴곡성이 있는 황색의 폴리이미드 커버레이를 사용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상기 황색 폴리이미드 커버레이는 150℃ 이하의 내열성을 갖고 있어 열적 특성이 좋지 못하며, 에폭시계 접착제로 부착되므로 굴곡성에 있어서도 우수한 특성을 나타내기 어렵다.
또한, 종래 스마트 폰 등의 디스플레이 기기에 사용되는 블랙 베젤잉크는 에폭시 소재로서 내열성이 떨어지고, 광 차단 기능은 우수한 편이지만, 공정 중 높은 온도에서 황변이 일어나는 등 신뢰성이 좋지 않으며, 광투과를 막으려면 최소 20㎛ 가량의 두께로 코팅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절연성 CNT 또는 안료를 포함한 폴리이미드 조성물을 제조함으로써 폴리이미드 필름에 다양한 컬러를 구현함과 동시에 내열성, 절연성, 내화학성이 개선되고 종래에 비해 상대적으로 얇은 두께의 필름에 의해서도 충분한 광 차단 효과를 나타낼 수 있도록 하는 컬러 폴리이미드 필름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컬러 폴리이미드 조성물은, 폴리이미드 75~99wt%; 컬러안료와 CNT 블랙안료 중 어느 하나인 안료 0.01~20wt%; 분산제 0.01~20wt%; 및 레벨링제(leveling agent) 0.01~20wt%;로 이루어진다.
상기 컬러안료는, 안트라퀴논, 아조 축합물, 아조-피라조론/칼슘, 벤즈이미다졸론, 디아릴라이드, 디아릴라이드-메타-자일라이드, 디아조, 디아조/벤즈이미다졸론, 디아조 축합물, 불용성 아조, 이소인돌린, 이소인돌리논, 모노아조, 모노아조/칼슘, 모노아조/니켈, 니켈 복합체 및 퀴노프탈론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상기 컬러안료는, 녹색 안료일 수 있다.
상기 CNT 블랙안료는, 비전도성 CNT일 수 있다.
상기 레벨링제는, 실록산계 또는 실리콘계일 수 있다.
상기 조성물은 플렉서블 인쇄회로기판의 커버레이로 이용될 수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컬러 폴리이미드 필름은, 폴리이미드 75~99wt%; 컬러안료와 CNT 블랙안료 중 어느 하나인 안료 0.01~20wt%; 분산제 0.01~20wt%; 및 레벨링제(leveling agent) 0.01~20wt%;로 이루어진 컬러 폴리이미드 조성물을 포함한다.
상기 컬러 폴리이미드 필름은, 1~20㎛의 두께, 1013 ~ 1016 Ω/㎝ 범위의 절연저항을 갖는 것일 수 있다.
상기 CNT 블랙안료는, 비전도성일 수 있다.
상기 컬러 폴리이미드 필름은, 디스플레이 기기의 베젤로 이용될 수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컬러 폴리이미드 조성물의 제조방법은, 디아민 모노머를 반응용매에 넣어 1차 중합하는 단계(단계 a); 산무수물을 별도의 반응용매에 넣어 2차 중합하는 단계(단계 b); 상기 1차 중합에 의한 생성물, 2차 중합에 의한 생성물을 혼합하여 폴리아믹산을 형성하고, 컬러안료 및 CNT 블랙안료 중 어느 하나인 안료, 분산제 및 레벨링제를 첨가하는 단계(단계 c); 및 상기 안료, 분산제 및 레벨링제가 첨가된 폴리아믹산을 경화하는 단계(단계 d);를 포함한다.
디아민 모노머를 반응용매에 넣어 1차 중합하는 단계(단계 a); 산무수물을 별도의 반응용매에 넣어 2차 중합하는 단계(단계 b); 상기 1차 중합에 의한 생성물, 2차 중합에 의한 생성물을 혼합하여 폴리아믹산을 형성하는 단계(단계 c); 및 상기 폴리아믹산을 경화하는 단계(단계 d);를 포함하며, 상기 단계 a 및 단계 b 중 적어도 어느 한 단계에서, 컬러안료 및 CNT 블랙안료 중 어느 하나인 안료, 분산제 및 레벨링제를 상기 반응용매에 첨가할 수 있다.
상기 디아민 모노머는, ODA, p-PDA, 4,4’-ODA, BAPP, p-MDA, GAPD, jeffamine AP-22, TPE-R, DDS, TFDB , Triazole, MDA 및 OTB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상기 산무수물은, PMDA, PA, BPDA, BTDA, ODPA, TMEG, BPADA, 6FDA 및 TMA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어느 하나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컬러 폴리이미드 조성물은 절연성 CNT 또는 안료를 포함한 폴리이미드 조성물을 제조함으로써 이를 이용한 폴리이미드 필름에 다양한 컬러를 구현함과 동시에 내열성, 절연성, 내화학성, 내알칼리성, 굴곡성 등이 개선되어 플렉서블 인쇄회로기판의 커버레이로 적용할 수 있을 뿐 아니라, CNT 블랙안료를 포함한 폴리이미드는 종래에 비해 상대적으로 얇은 두께의 필름에 의해서도 충분한 광 차단 효과를 나타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폴리이미드 조성물의 제조방법을 순차적으로 나타낸 흐름도이다.
먼저, 본 발명의 컬러 폴리이미드 및 이를 이용한 컬러 폴리이미드 필름에 대하여 설명한 후, 그 제조방법에 대하여 살펴보도록 한다.
본 발명의 따른 컬러 폴리이미드 조성물은 폴리이미드 75~99wt%, 안료 0.01~20wt%, 분산제 0.01~20wt% 및 레벨링제(leveling agent) 0.01~20wt%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폴리이미드는, 산무수물(dianhydride) 및 디아민 모노머(diamine monomer)의 중합에 의해 형성되는 고분자 수지이다.
상기 산무수물은, PMDA(Pyromellitic dianhydride), PA(phthalic anhydride), BPDA(3,3’4,4’- biphenyltertracarboxylic dianhydride), BTDA(3,3’4,4’- benxophenonetetracar boxylic dianhydride), ODPA(4’4-oxydiphthalic anhydride), TMEG (trimellitic ethylene glygol), BPADA(4,4’-(4’4- isopropylbiphenoxy)bi phthalic anhydride), 6FDA(perfluoroisopropylidene containing acid dianhydride), TMA(trimellitic anhydride) 등을 적용할 수 있다.
상기 디아민 모노머는, ODA(4,4'-diamino diphenyl), p-PDA(p-phenyl diamine), 4,4’-ODA(4,4’-oxydianiline), BAPP(2,2-bis(4-(4- aminophenoxy)-phenyl)propane), p-MDA (p-methylenedianiline), GAPD(propyltetramethyl disiloxane), jeffamine AP-22(polyaromatic amine), TPE-R, DDS(4,4’-diaminodiphenyl sulfone), TFDB (2,2’-bis(trifluoromethyl)- 4,4’-diaminobiphenyl), Triazole(3,5-diamino-1,2,4- triazole), MDA(4.4'-diamino-diphenyl methane), OTB(3.3'-dimethyl benzidine) 등을 적용할 수 있다.
상기 안료는 통상적인 도료에 포함되는 다양한 컬러안료 또는 CNT(Carbon Nano Tube) 블랙안료를 사용한다.
이때, 상기 안료의 컬러에 따라 다양한 컬러의 폴리이미드 조성물을 제작할 수 있으며, 동일한 컬러의 안료라도 그 조성비에 따라 컬러의 농도를 적절히 조절할 수 있다. 특히, 녹색 안료를 적용함으로써 플렉서블 인쇄회로기판의 커버레이로 적용할 수 있다.
상기 안료는, 안트라퀴논(Anthraquinone), 아조 축합물(Azo condensation), 아조-피라조론/칼슘(Azo-pyrazolone/Ca), 벤즈이미다졸론(Benzimidazolone), 디아릴라이드(Diarylide), 디아릴라이드-메타-자일라이드(Diarylide-m-xylidide), 디아조(Disazo), 디아조/벤즈이미다졸론(Disazo/Benzimidazolone), 디아조 축합물(Disazo condensation), 불용성 아조(Insoluble Azo), 이소인돌린(Isoindoline), 이소인돌리논(Isoindolinone), 모노아조(Monoazo), 모노아조/칼슘(Monoazo/Ca), 모노아조/니켈(Monoazo/Ni), 니켈 복합체(Nickel complex), 퀴노프탈론(Quinophthalone), 구리-프탈로시아닌 α(Cu-Phthalocyanine α), 구리-프탈로시아닌 β(Cu-Phthalocyanine β), 구리-프탈로시아닌 ε(Cu-Phthalocyanine ε), 구리-프탈로시아닌(Cu-phthalocyanine), 프탈로시아닌 α(Phthalocyanine α), 프탈로시아닌(Phthalocyanine), 페릭 페로시아나이드(Ferric ferrocyanide), 인단트론(Indanthrone), 구리-프탈로시아닌/염소(Cu-Phthalocyanine/Cl) 등을 적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CNT는 일종의 블랙 안료로 작용하며, 전기 절연성을 저하시키지 않으면서, 우수한 광 차단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비전도성(non conductive) CNT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비전도성 CNT는 제조되는 폴리이미드 필름의 두께와 광 차단 정도의 필요에 따라 그 조성을 적절히 조절할 수 있다.
상기 레벨링제는, 실록산(siloxsane)계, 실리콘(silicon)계 등을 적용할 수 있다.
상기 컬러 폴리이미드 조성물은 플렉서블 인쇄회로기판의 커버레이(coverlay)로 이용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커버레이는, 종래 리지드 인쇄회로기판(rigid PCB)의 SR(Solder Resist)에 대응되는 부분으로서, 구리로 이루어진 배선부분이 공기와 접촉하여 산화하거나 물리적인 접촉에 의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고, 금속으로 인한 쇼트를 막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플렉서블 인쇄회로기판 커버레이는 본 발명의 컬러 폴리이미드 조성물 중 녹색 안료를 포함하는 녹색 폴리이미드(green PI) 조성물을 이용하여 형성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녹색 폴리이미드 조성물로 이루어진 커버레이는, 플렉서블 인쇄회로기판의 필요한 부분에 코팅하여 마련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상기 녹색 폴리이미드 조성물을 실크스크린에 의해 코팅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컬러 폴리이미드 조성물을 이용한 플렉서블 인쇄회로기판의 커버레이는 종래의 노란색 폴리이미드 커버레이를 대체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컬러 폴리이미드 조성물을 이용한 컬러 폴리이미드 필름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컬러 폴리이미드 필름은, 상기 컬러 폴리이미드 조성물로 이루어지며, 1~20㎛의 두께, 1013 ~ 1016 Ω/㎝ 범위의 절연저항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컬러 폴리이미드 필름 중 비전도성 CNT를 안료로 포함하는 블랙 폴리이미드(black PI)는 스마트 폰, 테블릿 PC 등의 디스플레이 기기의 베젤로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컬러 폴리이미드 필름으로 이루어진 베젤은 높은 절연성, 내열성 및 내화학성을 가지며, 효과적으로 빛의 투과를 제어할 수 있다. 경우에 따라, 상기 비전도성 CNT의 조성을 조절하여 베젤의 광투과율을 적절히 조절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컬러 폴리이미드 조성물의 제조방법은, 총 세단계로 나누어 볼 수 있다. 이에 따른 제조방법을 도 1에 흐름도로 나타내었다.
도 1에 따르면, 먼저, 디아민 모노머를 반응용매(solvent)에 넣어 1차 중합한다(단계 a).
여기서, 상기 디아민 모노머는 상기 컬러 폴리이미드 조성물의 설명에 기재된 디아민 모노머와 동일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그 부분을 참조하기로 한다. 이때, 반응용매에 넣는 디아민 모노머는 상기 디아민 들 중 선택된 적어도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상기 반응용매는, NMP (N-Methyl-2-pyrrolidone), DMAC (Dimethylacetamide), DMF (Dimethylformamide) 등을 적용할 수 있다.
다음으로, 산무수물을 상기 단계 a의 반응용매와 별도의 반응용매에 넣어 2차 중합한다(단계 b).
여기서, 상기 산무수물은 상기 컬러 폴리이미드 조성물의 설명에서 기재된 것과 동일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그 부분을 참조하기로 한다. 또한, 상기 반응용매는 상기 단계 a에서 사용된 반응용매와 동일하다.
이후, 상기 1차 중합에 의해 생성된 중합체, 상기 2차 중합에 의해 생성된 중합체를 혼합하여 액상의 폴리아믹산(PAA, Polyamic Acid)을 형성하고, 여기에 소정의 안료, 분산제 및 레벨링제를 첨가한다(단계 c).
이때, 상기 안료 및 레벨링제는 상기 컬러 폴리이미드 조성물의 설명과 동일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그 부분을 참조하기로 한다.
마지막으로, 상기 단계 c의 안료, 분산제 및 레벨링제가 첨가된 폴리아믹산을 경화한다(단계 d).
이에 따라, 고체 상태의 상기 첨가한 안료의 컬러가 구현된 컬리 폴리이미드 조성물이 완성된다.
본 발명의 다른 컬러 폴리이미드 조성물의 제조방법은, 상기 컬러 폴리이미드 조성물의 제조방법과 방법 및 조건이 동일하나, 다만, 상기 안료, 분산제 및 레벨링제를 단계 c가 아닌, 단계 a 또는 단계 b, 경우에 따라 단계 a와 단계 b 모두에서 혼합하는 것이 상이하다.
이하, 바람직한 실시예를 들어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디아민 모노머 ODA(4,4'-diamino diphenyl ), p-PDA(p-phenyl diamine), 4,4’-ODA(4,4’-oxydianiline)을 NMP 용매에 넣어 1차 중합시키고, 산무수물인 PMDA(Pyromellitic dianhydride) , PA(phthalic anhydride), BPDA(3,3’4,4’- biphenyltertracarboxylic dianhydride)를 NMP 용매에 넣어 2차 중합한다.
이후, 상기 1차 및 2차 중합된 생성물을 혼합하여 폴리아믹산을 얻고, 여기에 비전도성 CNT, 분산제 및 실록산계 레벨링제를 첨가하고, 300℃에서 경화시켰다.
이에 따라 제조된 컬러 폴리이미드 조성물의 폴리이미드:안료:분산제:레벨링제의 중량비는 85:5:5:5로 하였다.
시험예 1: 전기적 특성 분석
상기 실시예 1에 따라 제조된 컬러 폴리이미드 조성물의 전기적 특성을 다양한 표준 시험을 통하여 분석하였다.
그 분석결과를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Figure 112011099065601-pat00001
시험예 2: 열적 특성 분석
상기 실시예 1에 따라 제조된 컬러 폴리이미드 조성물의 열적 특성을 다양한 표준 시험을 통하여 분석하였다.
그 분석결과를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Figure 112011099065601-pat00002
이상,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들어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당 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하다.

Claims (14)

  1. 폴리이미드 75~99wt%; 컬러안료와 CNT 블랙안료 중 어느 하나인 안료 0.01~20wt%; 분산제 0.01~20wt%; 및 레벨링제 0.01~20wt%;로 이루어지고,
    상기 컬러안료는,
    안트라퀴논, 아조 축합물, 벤즈이미다졸론, 디아릴라이드, 디아릴라이드-메타-자일라이드, 디아조, 디아조 축합물, 불용성 아조, 이소인돌린, 이소인돌리논, 모노아조, 니켈 복합체, 퀴노프탈론, 구리-프탈로시아닌α, 구리-프탈로시아닌 β, 구리-프탈로시아닌 ε, 구리-프탈로시아닌(Cu-phthalocyanine), 프탈로시아닌 α, 프탈로시아닌, 페릭 페로시아나이드 및 인단트론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컬러 폴리이미드 조성물.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컬러안료는,
    녹색 안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컬러 폴리이미드 조성물.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CNT 블랙안료는,
    비전도성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컬러 폴리이미드 조성물.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레벨링제는,
    실록산계 또는 실리콘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컬러 폴리이미드 조성물.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플렉서블 인쇄회로기판의 커버레이로 이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컬러 폴리이미드 조성물.
  7. 폴리이미드 75~99wt%; 컬러안료와 CNT 블랙안료 중 어느 하나인 안료 0.01~20wt%; 분산제 0.01~20wt%; 및 레벨링제 0.01~20wt%;로 이루어지고,
    상기 컬러안료는,
    안트라퀴논, 아조 축합물, 벤즈이미다졸론, 디아릴라이드, 디아릴라이드-메타-자일라이드, 디아조, 디아조 축합물, 불용성 아조, 이소인돌린, 이소인돌리논, 모노아조, 니켈 복합체, 퀴노프탈론, 구리-프탈로시아닌α, 구리-프탈로시아닌 β, 구리-프탈로시아닌 ε, 구리-프탈로시아닌(Cu-phthalocyanine), 프탈로시아닌 α, 프탈로시아닌, 페릭 페로시아나이드 및 인단트론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컬러 폴리이미드 조성물을 포함하는 컬러 폴리이미드 필름.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컬러 폴리이미드 필름은,
    1~20㎛의 두께, 1013 ~ 1016 Ω/㎝ 범위의 절연저항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컬러 폴리이미드 필름.
  9.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CNT 블랙안료는,
    비전도성 CNT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컬러 폴리이미드 필름.
  10.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컬러 폴리이미드 필름은,
    디스플레이 기기의 베젤로 이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컬러 폴리이미드 필름.
  11. 디아민 모노머를 반응용매에 넣어 1차 중합하는 단계(단계 a);
    산무수물을 별도의 반응용매에 넣어 2차 중합하는 단계(단계 b);
    상기 1차 중합에 의한 생성물, 2차 중합에 의한 생성물을 혼합하여 폴리아믹산을 형성하고, 컬러안료 및 CNT 블랙안료 중 어느 하나인 안료, 분산제 및 레벨링제를 첨가하는 단계(단계 c); 및
    상기 안료, 분산제 및 레벨링제가 첨가된 폴리아믹산을 경화하는 단계(단계 d);를 포함하는 컬러 폴리이미드 조성물의 제조방법.
  12. 디아민 모노머를 반응용매에 넣어 1차 중합하는 단계(단계 a);
    산무수물을 별도의 반응용매에 넣어 2차 중합하는 단계(단계 b);
    상기 1차 중합에 의한 생성물, 2차 중합에 의한 생성물을 혼합하여 폴리아믹산을 형성하는 단계(단계 c); 및
    상기 폴리아믹산을 경화하는 단계(단계 d);를 포함하며,
    상기 단계 a 및 단계 b 중 적어도 어느 한 단계에서, 컬러안료 및 CNT 블랙안료 중 어느 하나인 안료, 분산제 및 레벨링제를 상기 반응용매에 첨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컬러 폴리이미드 조성물의 제조방법.
  13. 청구항 11 또는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디아민 모노머는,
    ODA(4,4'-diamino diphenyl), p-PDA(p-phenyl diamine), 4,4’-ODA(4,4’-oxydianiline), BAPP(2,2-bis(4-(4- aminophenoxy)-phenyl)propane), p-MDA (p-methylenedianiline), GAPD(propyltetramethyl disiloxane), jeffamine AP-22(polyaromatic amine), TPE-R, DDS(4,4’-diaminodiphenyl sulfone), TFDB (2,2’-bis(trifluoromethyl)- 4,4’-diaminobiphenyl), Triazole(3,5-diamino-1,2,4- triazole), MDA(4.4'-diamino-diphenyl methane) 및 OTB(3.3'-dimethyl benzidine)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컬러 폴리이미드 조성물의 제조방법.
  14. 청구항 11 또는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산무수물은,
    PMDA(Pyromellitic dianhydride), PA(phthalic anhydride), BPDA(3,3’4,4’- biphenyltertracarboxylic dianhydride), BTDA(3,3’4,4’- benxophenonetetracar boxylic dianhydride), ODPA(4’4-oxydiphthalic anhydride), TMEG (trimellitic ethylene glygol), BPADA(4,4’-(4’4- isopropylbiphenoxy)bi phthalic anhydride), 6FDA(perfluoroisopropylidene containing acid dianhydride) 및 TMA(trimellitic anhydride)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컬러 폴리이미드 조성물의 제조방법.
KR1020110133911A 2011-12-13 2011-12-13 컬러 폴리이미드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135723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33911A KR101357236B1 (ko) 2011-12-13 2011-12-13 컬러 폴리이미드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33911A KR101357236B1 (ko) 2011-12-13 2011-12-13 컬러 폴리이미드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67074A KR20130067074A (ko) 2013-06-21
KR101357236B1 true KR101357236B1 (ko) 2014-01-29

Family

ID=488630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33911A KR101357236B1 (ko) 2011-12-13 2011-12-13 컬러 폴리이미드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57236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211974A (zh) * 2014-08-14 2014-12-17 哈尔滨工业大学 一种彩色聚酰亚胺薄膜的制备方法
CN108997580A (zh) * 2018-08-28 2018-12-14 江西师范大学 一种含蒽酮和三氟甲基结构的聚醚酰亚胺及其制备方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14583B1 (ko) * 2016-12-20 2019-08-26 주식회사 두산 커버레이용 필름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12075A (ja) * 1992-12-15 1994-08-02 E I Du Pont De Nemours & Co 顔料入りポリイミド成型物品の製造方法
JPH09328611A (ja) * 1996-04-12 1997-12-22 Toray Ind Inc 顔料分散熱硬化性樹脂溶液組成物、その製造方法およびカラーフィルター
KR20090101197A (ko) * 2007-01-05 2009-09-24 시바 홀딩 인크 퓸드 실리카를 갖는 동시-밀링 유기 안료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12075A (ja) * 1992-12-15 1994-08-02 E I Du Pont De Nemours & Co 顔料入りポリイミド成型物品の製造方法
JP3370403B2 (ja) * 1992-12-15 2003-01-27 イー・アイ・デュポン・ドウ・ヌムール・アンド・カンパニー 顔料入りポリイミド成型物品の製造方法
JPH09328611A (ja) * 1996-04-12 1997-12-22 Toray Ind Inc 顔料分散熱硬化性樹脂溶液組成物、その製造方法およびカラーフィルター
KR20090101197A (ko) * 2007-01-05 2009-09-24 시바 홀딩 인크 퓸드 실리카를 갖는 동시-밀링 유기 안료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211974A (zh) * 2014-08-14 2014-12-17 哈尔滨工业大学 一种彩色聚酰亚胺薄膜的制备方法
CN104211974B (zh) * 2014-08-14 2018-02-02 哈尔滨工业大学 一种彩色聚酰亚胺薄膜的制备方法
CN108997580A (zh) * 2018-08-28 2018-12-14 江西师范大学 一种含蒽酮和三氟甲基结构的聚醚酰亚胺及其制备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67074A (ko) 2013-06-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40802B1 (ko) 폴리이미드 수지 및 그 제조 방법과 박막
JP6567000B2 (ja) ポリイミド樹脂及びその製造方法と薄膜
US20180105657A1 (en) Polyimide film having low gloss and manufacture thereof
KR102239605B1 (ko) 양면 연성 금속 적층판 및 그 제조방법
TWI572479B (zh) 包含聚醯亞胺樹脂之金屬積層板及其製造方法
CN109942815A (zh) 一种低介电常数的聚酰亚胺复合树脂及制备方法与应用
JP2013028767A (ja) 絶縁性黒色ポリイミドフィルム、カバーレイフィルム及びフレキシブルプリント配線板
TW201446840A (zh) 聚醯亞胺及其製造方法、聚醯胺酸及其製造方法、聚醯胺組成物、聚醯胺酸組成物、聚醯胺酸清漆、乾膜、膜、光學膜以及可饒性顯示器用基板
KR101357236B1 (ko) 컬러 폴리이미드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JP2007106891A (ja) 新規なポリイミド樹脂
TWI742945B (zh) 具低介電損失的軟性銅箔基板、其製備方法以及電子裝置
TWI809377B (zh) 聚醯亞胺樹脂組成物、黏著劑組成物、薄膜狀黏著材料、黏著薄片、附有樹脂的銅箔、覆銅積層板、印刷線路板及聚醯亞胺薄膜
JP2019067929A (ja) カバーレイフィルム及び回路基板
CN111448245B (zh) 包含氟树脂的黑色聚酰亚胺薄膜及其制备方法
TW202233416A (zh) 聚醯亞胺樹脂組成物、接著劑組成物、膜狀接著材料、接著片材、附樹脂之銅箔、覆銅積層板、印刷配線板及聚醯亞胺膜
JP2007099842A (ja) 新規なポリイミド樹脂
US11203192B2 (en) Matte finish polyimide films and methods relating thereto
CN110857332B (zh) 高分子树脂、高分子树脂组合物及覆铜板
KR102014583B1 (ko) 커버레이용 필름
TW201434890A (zh) 黑色聚醯亞胺膜
JP2006176581A (ja) ポリアミック酸、それからなるポリイミドフィルム、その製造方法およびフレキシブル回路基板
JP6991712B2 (ja) 着色ポリイミドフィルム、カバーレイフィルム、銅張積層板及び回路基板
JP2016047863A (ja) 黒色ポリイミドフィルム
JP2014141575A (ja) 顔料添加ポリイミドフィルム
KR102336859B1 (ko) 내화학성이 우수한 폴리이미드 필름 및 이의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1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2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2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20

Year of fee payment: 7